KR102019285B1 -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 Google Patents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85B1
KR102019285B1 KR1020190040103A KR20190040103A KR102019285B1 KR 102019285 B1 KR102019285 B1 KR 102019285B1 KR 1020190040103 A KR1020190040103 A KR 1020190040103A KR 20190040103 A KR20190040103 A KR 20190040103A KR 102019285 B1 KR102019285 B1 KR 10201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훈
신동혁
김기재
Original Assignee
(주)에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바 filed Critical (주)에바
Priority to PCT/KR2019/0114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5902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In order to prevent an error from occurring during a docking proces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connector, a docking socket and a dock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docking socket of the charging robot can be precisely docked to a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docking assembly comprises: a charging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docking socket provided in the charging robot and driven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to be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The charging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guide and a connector electrode portion. The docking socket includes a socket guide, a socket electrode portion and an actuator. The connector guide and the socket guide have corresponding shapes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The socket guide is coupled to the connector guide by the driving of the charging robot, and then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thereby achieving docking.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커넥터, 도킹 소켓 및 도킹 어셈블리{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Charging connectors, docking sockets and docking assemblie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충전 커넥터, 도킹 소켓 및 도킹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onnector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docking socket and a docking assembly.

최근 들어, 화석 연료의 고갈, 환경 오염 등 각종 문제들로 인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운송 수단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Recently,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tive vehicles for replacing them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그리고, 이미 상용화가 이루어진 운송 수단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가 대표적이지만, 전기자동차가 등장할때마다 함께 언급되는 것이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an electric vehicle is representative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it is abou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mentioned together whenever an electric vehicle appears.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물 주차장의 모든 주차공간에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비용이 들게 되며, 전기자동차가 아닌 자동차도 존재하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Insta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 all parking spaces of a building parking lot, such as an apartment or a building, is too expensive and is inefficient in that a non-electric car is also present.

그렇다면, 일부 주차공간에만 전기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차공간이 남게되는 효율성의 문제점과 주차장에 전기차가 많이 진입할 경우 충전 장치가 모자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f so, it may be an alternative to instal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nly in some parking spaces.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of efficiency of leaving a parking space and a problem of insufficient charging device when a lot of electric vehicles enter the parking lot. do.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수동 이동식 충전 장치인데, 수동 이동식 충전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충전 스테이션에서 차량까지 이동식 충전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An alternative to the above problems is the passive mobile charging device. In the case of the manual mobile charging device, the user has to move the mobile charging device from the charging station to the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사용자가 매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은 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충전 로봇을 이용하여 충전 과정을 자동화시키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s of electric vehicles are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the above problems should be solved. To this end, there may be a way to automate the charging process using a charging robot.

충전 로봇을 이용한 충전 자동화 시스템에서는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전 로봇의 도킹 소켓을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정밀하게 도킹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In a charging automation system using a charging robot,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rrors,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dock the docking socket of the charging robot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킹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전 로봇의 도킹 소켓을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정밀하게 도킹시킬 수 있는 충전 커넥터와 도킹 소켓과 이를 포함하는 충전용 도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connector and docking socket and a charging docking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hat can accurately dock the docking socket of the charging robot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no error occurs during the docking process. It 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충전 커넥터는 자동차의 충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로봇의 도킹 소켓이 도킹되는 충전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고, 도킹 소켓의 소켓 가이드와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커넥터 가이드; 도킹 소켓의 소켓 전극부와 접속하는 커넥터 전극부를 포함하고, 도킹 소켓의 소켓 가이드가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 가이드와 결합된 다음, 도킹 소켓의 소켓 전극부가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함으로써, 도킹이 이뤄질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the charging connector in which the docking socket of the charging robot docked, the case; A connector guide formed in the cas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male and female coupling with the socket guide of the docking socket; And a connector electrode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of the docking socket, wherein the socket guide of the docking socket is moved to engage with the connector guide, and then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of the docking socket is moved to connect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so that docking can be achieved. Can b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도킹 소켓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충전 로봇용 도킹 소켓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가이드에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소켓 가이드; 상기 소켓 가이드에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하는 소켓 전극부; 상기 소켓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가이드와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가이드가 결합된 다음, 상기 소켓 전극부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여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함으로써, 도킹이 이뤄질 수 있다.A docking socke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docking socket for a charging robot docked to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the case; A socket guide disposed in the cas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male and female coupling to a connector guide of a charging hole or a charging connector; A socket electrode part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socket guide and connected to a connector electrode part of a charging hole or a charging connector;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socket electrode part, wherein the socket guide and the connector guide of the charging port or the charging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socket electrode part is moved by driving the actuator to connect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of the charging port or the charging connector. By connecting, docking can be accomplish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면에 따른 도킹 어셈블리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 충전 로봇에 마련되고, 상기 충전 커넥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커넥터 가이드와 커넥터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소켓은 소켓 가이드와 소켓 전극부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와 상기 소켓 가이드는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충전 로봇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소켓 가이드가 상기 커넥터 가이드와 결합된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소켓 전극부가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함으로써 도킹이 이뤄질 수 있다.Docking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harging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 docking socket provided in a charging robot and driven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wherein the charging connector includes a connector guide and a connector electrode part, and the docking socket includes a socket guide and a socket electrode. And an actuator, wherein the connector guide and the socket guide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male and female coupling, wherein the socket guide is coupled to the connector guide by driving the charging robot, and then, by driving of the actuator. Docking may be achieved by connecting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본 발명에서는 충전 로봇을 이용한 충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킹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별도로 마련되고, 충전 로봇의 도킹 소켓이 특징점을 센싱함하여 충전 커넥터의 위치를 트랙킹하여 도킹됨으로써, 도킹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도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inimize docking errors in a charging automation system using a charging robot, a charging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is separately provided, and a docking socket of the charging robot senses a feature poi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By docking by tracking, it provides a docking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docking accuracy.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킹 과정이 로봇 암의 구동에 의해 도킹 가이드와 커넥터 가이드가 암수 결합되는 1차 도킹과, 도킹 소켓의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소켓 전극부와 커넥터 전극부가 접속되는 2차 도킹을 포함하는 2단 도킹으로 진행됨으로써, 도킹 소켓이 도킹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process includes a primary docking in which the docking guide and the connector guide are male and female coupled by driving the robot arm, and a secondary docking in which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and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are connected by driving the actuator of the docking socket. By proceeding to a two-stage dock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cking socket is separated from the docking path.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전 커넥터 또는 도킹 소켓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도킹 센서에 의해 실제 도킹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충전을 진행함으로써, 도킹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전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actual docking is completed by the docking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onnector or the docking socket and proceeds with the char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rging is started in the docking state is not completed and electric shock Accidents can also be preven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도 6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도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의 (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전방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의 (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상측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an electric vehicle and is charged at a charging sta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8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Figure 14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facing forward, Figure 14 (2) is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facing upwards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ca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work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 below ", " beneath ", " lower ", " above ", " upper "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rms in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에 도시된 z축의 일측과 타측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z축의 화살표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고 z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전방은 "충전 로봇의 자율주행 방향"과 혼용될 수 있으며, "충전 로봇의 자율주행 방향"에 의해 전방이 정의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z-ax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may be defined back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may be defined forward. On the other hand, the front may be mixed with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the front may be defined by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이하, 도면에 도시된 x축의 일측과 타측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x축의 화살표 방향을 우측으로 정의할 수 있고 x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좌축으로 정의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x-axi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x-axis may be defined as the right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x-axis may be defined as the left axis.

이하, 도면에 도시된 y축의 일측과 타측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의 화살표 방향을 상측으로 정의할 수 있고 y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하 방향은 "수직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 ax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y-axis may be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y-axis may be defined as the lower side.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mixed with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 및 충전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도 6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도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14의 (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전방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의 (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이 상측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harging robot 1000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an electric vehicle and is charged in a charging sta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of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Figure 8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Figure 14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facing forward, Figure 14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to face upward.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주차된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동차(1)는 배터리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하는 자동차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나아가 배터리 엔진과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vehicle)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charging the parked electric vehicle 1. In this case, the electric vehicle 1 may not only be a vehicle that is driven by a driving force by a battery engine, but also includes a hybrid vehicle that is driven by a driving force by a battery eng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n be.

이하,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20)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1 and is charged in the charging station 20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전기자동차(1)를 주차시키고, 충전 커넥터(100)를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시킨 후, 충전 커넥터(100)를 케이블(100-1)에 의해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도 1의 (1), 도 2 참조).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에 직접 도킹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충전 커넥터(10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충전 커넥터(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는 전기자동차(1)의 생산 제작 단계에서부터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를 개조시켜 구비될 수도 있다.First, the user parks the electric vehicle 1, mounts the charging connector 100 on the license plate 3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n charges the charging connector 100 by the cable 100-1. It can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charging port 2 of (1) (refer FIG. 1 (1), FIG. 2). Alternatively,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ocked directly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1, in this case,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harging port 2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have a substantially identical structure. The charging port 2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provided from the production manufacturing stage of the electric vehicle 1, or alternatively, the user may be provided by remodeling the charging hole 2 of the electric vehicle 1. have.

그 다음 단계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을 호출하는 오더 신호를 중앙 서버(로봇 관리 회사 서버, 주차장 관리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기기(10)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등과 같은 전기 통신 장치,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 next step, the user may use the user device 10 to transmit an order signal for calling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entral server (robot management company server, parking lot management server, etc.). In this case, the user device 1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tele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PDA, a laptop, a remote controll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로, 주차장은 복수의 주차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고(한편, 복수의 주차영역에는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복수의 주차영역에는 이에 매칭되는 스마트 태그(일 예로, NFC 태그; Near field communication Tag)가 구비(일 예로, 기둥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0)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 위치한 NFC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오더 신호를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오더 신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parking lo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parking areas may be matched with smart tags (for example, NFC tags;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may be provided (eg, attached to a pillar). The user can transmit the order signal to the central server by selecting the NFC tag located in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using the user device 10, but the order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중앙 서버에는 건축물의 도면을 바탕으로 주차장이 매핑(Mapping)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사용자의 오더 신호를 처리하여), 매핑된 주차장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이 특정될 수 있다. 그 후, 중앙 서버에서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충전 로봇(1000)에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Meanwhile, a parking lot may be mapped to a central server based on a drawing of a building. In the central server,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specified in the mapped parking lot by the user's order signal (processing the user's order signal). Thereafter, the central server may issue a control command to the charging robot 1000 so that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상술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대기 위치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전기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의 (2)의 (2-1) 참조).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utonomousl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a wide area in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see FIG. 1). (2-1) in (2)).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자율주행으로 이동 중에, 위치 센서(820,830)에 의해 "특징점"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율주행을 중단하고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주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충전 로봇(10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장치(400)의 인출 방향(후방)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한 방향과 정렬되도록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next step,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 “feature point” by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while moving in autonomous driving, and relates to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us, autonomous driving may be stopped, the attitude may be changed, and the vehicle may be driven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In more detail, the charging robot 100 has a charging direction 100 (rear) of the docking device 400 in the draw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fter the posture is changed to be align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is located, the vehicle may move in a straight line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이 경우, "특징점"은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은 주차영역에 위치하는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일 수도 있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위치하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특징점"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eatures" may be located in various places in various numbers and forms. For example, the "feature point" may be a feature point (not shown) of the parking area located in the parking area,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positioned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 May be a feature point 140, but the position of the "featur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특징점"은 스마트 코드와 같은 형태를 가져 위치 센서(820,830)에서 2차원 이미지로 식별될 수도 있고, 특정 형상을 가져 위치 센서(820,830)에서 3차원 깊이 정보로 식별될 수도 있고, 위치 센서(820,830)와 특정 전자 신호로 통신하여 식별될 수도 있지만(일 예로, 비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eature point” may be identified as a two-dimensional image in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by having a shape such as a smart code, or may be identified as three-dimensional depth information in the position sensor 820 and 830 by having a specific shape. 820 and 830 may be identified by communicating with a specific electronic signal (eg, beac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경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는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되어 주차장의 공간 상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좌표)를 도출(산출)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좌표) 그 자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 pos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 is processed by a specific algorithm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on the space of the parking lot (coordinates) ) Can be interpreted as a concept encompassing all information that can be derived (calcula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tself.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는 원거리 위치 센서(820)가 구비될 수 있고,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자율주행으로 이동 중에,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도킹장치(400)의 인출 방향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한 방향과 정렬되도록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의 (2)의 (2-2) 참조).For example,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mote location sensor 820, the remote location sensor 820 is a feature of the parking area (not shown)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t least one of the feature points 140 of the sphere) may be sensed. As a result,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feature point (not shown) of the parking area and the feature point 14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while moving in autonomous driving. According to the " positional information ", the posture of the docking device 4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is changed to be align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positioned, and then the electric vehicle ( It can move to the vicinity of 1) by linear driving (refer to (2-2) of (2) of FIG. 1).

일 예로, 도킹 소켓(500)이 충전 로봇(1000)에서 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도킹장치의 위치는 무관), 충전 로봇(1000)의 후방이 충전 커넥터를 향하도록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ocking socket 500 is drawn out rearward from the charging robot 1000 (the position of the docking device is irrelevant), the posture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changed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charging robot 1000 faces the charging connector.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도킹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된 후,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킬 수 있다.As a next step,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by the driving of the docking device 400,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 .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는 근거리 위치 센서(830)가 구비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전기자동차(1)의 인근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near position sensor 830,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feature point 140 of the sphere may be sensed.

또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도킹장치(400)는 3축으로 직선 구동을 하는 로봇 암(410)과, 로봇 암(410)에 배치되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device 4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arm 410 for linear driving in three axes, the robot arm 410 is disposed o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It may include a docking socket 500 that is docked to).

이에 따라, 도킹장치(40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한 다음,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에 의해서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로봇 암(410)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1차 도킹과, 도킹 소켓(500)의 액추에이터(540)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는 2차 도킹에 의해, 도킹 소켓(500)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cking device 400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charging robot 1000, and then the "position" generated by the feature point 14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 In more detail, the primary docking of the robot arm 4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actuator 540 of the docking socket 50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by the second docking driv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hole of the electric vehicle.

도킹 후,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의 전기에너지를 도킹 소켓(500)과 충전 커넥터(100)와 케이블(100-1)과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를 통해 전기자동차(1)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킬 수 있다(도 1의 (3), 참조).After docking,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from the docking socket 500, the charging connector 100, the cable 100-1, and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charg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electric vehicle 1 through (2) (see (3) of FIG. 1).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방전된 경우,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스테이션(20)으로 이동하여,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 스테이션 커넥터(20-1)에 도킹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스테이션 커넥터(20-1)와 충전 커넥터(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a next step,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the charging station 20 and is 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00. The connector 20-1 may be docked and charged. To this end, the charging station connector 20-1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대기 위치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은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차장에서 특정된 영역일 수 있다.In summary,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autonomousl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in which case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is a user's order signal. It may be an area specified in the parking lot mapped by.

나아가 자율주행 중,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발견한 경우, 충전 로봇(1000)은 "위치 정보"에 따라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서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할 수 있고, 도킹장치(400)는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도킹이 수행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found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charging robot 1000 changes its posture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the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It can be moved to the neighborhood of (1), the docking device 400 may be drive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docking.

한편,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도킹장치(4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may include the docking device 400. In the case of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다만,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를 충전하는 프로세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의 프로세스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한 다음,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장치(400)가 구동되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생략될 수 있다.However, the process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processes may be omitted. For example,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utonomously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user's order signal, and then dock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400 may be driven and docked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n which case,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00-1)에 의해 전기 자동차(1)의 충전구(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도 2 참조).Hereinafte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2 of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cable 100-1, the license plate 3 of the electric vehicle 1 It can be mounted on and fixed to it (see FIG. 2).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케이스(110), 커넥터 가이드(120), 커넥터 전극부(130), 특징점(140), 베이스(150) 및 자세 변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110, a connector guide 120, a connector electrode unit 130, a feature point 140, a base 150, and a posture change unit (not shown).

충전 커넥터(100)의 케이스(110)는 충전 커넥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case 11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is a member for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충전 커넥터(100)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와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가이드(120)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는 돌출되고 일부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with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Accordingly, the connector guide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and some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some may be recessed.

이하, 커넥터 가이드(120)가 함몰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커넥터 가이드(120)는 케이스(110)의 전방 면에서 함몰된 홈 형태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guide 120 is formed in recess is demonstrated for example. For example, the connector guide 120 may have a groove shape recess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10.

커넥터 가이드(120)는 1차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커넥터 가이드(120)는 1차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1차 도킹 시,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에 따라 로봇 암(410)을 3축 직선 구동시켜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를 커넥터 가이드(120)에 인입시킬 수 있다.The connector guide 120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first docking. That is, the connector guide 120 may accommodate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when the first docking.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first docking, the charging robot 1000 drives the robot arm 410 linearly in three ax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of the docking socket 500. The socket guide 52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guide 120.

1차 도킹이 완료되면, 즉, 커넥터 가이드(12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의 암수 결합이 완료되면, 커넥터 전극부(13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는 상호 대향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도킹이 완료되면, 2차 도킹 시의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 경로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rimary docking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of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is completed,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and the socket electrode part of the docking socket 500 ( 530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first docking is completed, the movement path of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second docking can be correctly formed.

즉,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서는 커넥터 가이드(120)가 마련되어 1차 도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의 도킹 경로가 정상 경로에서 미세하게 이탈하여 1차 도킹을 진행하더라도, 2차 도킹 시의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 경로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guide 120 is provided and the first dock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ocking path of the docking socket 5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is slightly removed from the normal path and the first docking is performed. Although procee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second docking can be formed correctly.

나아가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서 커넥터 가이드(120)의 홈은 바닥면의 단면적이 천정 개방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적어도 일부분에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 가이드(120)의 홈은 1차 도킹 방향을 향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of the connector guide 120 may have a taper formed at least in part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ttom surface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iling opening. That is, the groove of the connector guide 120 may have a taper having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primary docking direction.

커넥터 가이드(120)의 홈의 테이퍼 형태에 의해, 1차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이 인출됨에 따라, 커넥터 가이드(12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좁혀, 도킹 소켓(500)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Due to the tapered shape of the groove of the connector guide 120, as the docking socket 500 is drawn out during the first docking, the gap between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is gradually narrowed.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naturally guided.

충전 커넥터(100)의 커넥터 전극부(130)는 커넥터 가이드(120)의 바닥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전극부(130)는 2차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2차 도킹 시, 충전 로봇(1000)은 도킹 소켓(500)의 액추에이터(540)를 제어하여,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330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커넥터 전극부(13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3300)을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도킹이 완료되면, 커넥터 전극부(13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는 상호 대향하도록 정렬되므로, 별도의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 없이,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를 단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만 하면, 커넥터 전극부(13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가 도킹될 수 있다.The connector electrode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or guide 120. The connector electrode unit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electrode unit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second docking. Meanwhile, during the second docking, the charging robot 1000 controls the actuator 540 of the docking socket 500 to slide the socket electrode 3300 of the docking socket 500 to dock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130. The socket electrode 3300 of the socket 500 can be connected.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docking is completed, the connector electrode 130 and the socket electrode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are aligned to face each other, and thus, a separate charging connector 100 or an electric vehicle. Without simply "sliding"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without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charging port of,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130 and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 Can be docked.

충전 커넥터(100)의 커넥터 전극부(130)는 커넥터 충전 전극(131), 커넥터 신호 전극(132) 및 커넥터 접지 전극(1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electrode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include a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a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and a connector ground electrode 133.

2차 도킹 시, 커넥터 충전 전극(131)은 도킹 소켓(500)의 도킹 충전 전극(531)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커넥터 신호 전극(132)은 도킹 소켓(500)의 도킹 신호 전극(532)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커넥터 접지 전극(133)은 도킹 소켓(500)의 도킹 접지 전극(533)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the second docking,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cking charging electrode 531 of the docking socket 500, and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may be a docking signal electrode of the docking socket 500. The connector ground electrode 1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cking ground electrode 533 of the docking socket 500.

한편, 커넥터 충전 전극(131)은 충전을 위한 채널로서 이용되는 전극일 수 있고, 커넥터 신호 전극(132)은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극일 수 있고, 커넥터 접지 전극(133)은 기준 전압 제공이나 접지를 위해 마련된 전극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may be an electrode used as a channel for charging,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may be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onfirming docking, and the connector ground electrode 133 may be a reference. It may be an electrode provided for providing voltage or grounding.

따라서 2차 도킹 시, 커넥터 신호 전극(132)과 도킹 신호 전극(532)을 통해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또는 동시에) 커넥터 충전 전극(131)과 도킹 충전 전극(531)을 통해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econd docking, a "connection signal" occurs through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and the docking signal electrode 532 (or at the same time), and then charging starts through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and the docking charging electrode 531. Can be.

커넥터 충전 전극(131), 커넥터 신호 전극(132) 및 커넥터 접지 전극(133)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커넥터 충전 전극(131)과 커넥터 신호 전극(132)은 2개의 핀 형태의 전극이거나 2개의 핀 홀 형태의 전극(2 pin 전극, 2 pin hole 전극)일 수 있고(도킹 충전 전극 및 도킹 신호 전극과 암수 체결 형태), 커넥터 접지 전극(133)은 1개의 핀 형태의 전극이거나 1개의 핀 홀 형태의 전극(1 pin 전극, 1 pin hole 전극)일 수 있지만(도킹 접지 전극과 암수 체결 형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커넥터 전극부(130)는 5 pin, 5 pin hole 형태의 전극일 수 있다.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and the connector ground electrode 133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1 and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may have two pin shapes. Electrodes of the two pin holes (2 pin electrode, 2 pin hole electrode) (dock charging electrode and docking signal electrode and male and female engagement type), and the connector ground electrode 133 is a one pin electrode Or one pin hole type electrode (1 pin electrode, 1 pin hole electrode), but the docking ground electrode and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ty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above, the connector electrode 130 may be a 5 pin, 5 pin hole type electrode.

특징점(140)은 충전 로봇(1000)의 위치 센서(820, 830)에 의해 센싱되어, 충전 로봇(1000)에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있다. 특징점(140)은 커넥터 가이드(120)의 청전 개방면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140)은 커넥터 가이드(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eature point 140 is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of the charging robot 1000 to provide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ing robot 1000. have. The feature point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lean opening surface of the connector guide 120. As an example, the feature point 140 may be disposed above the connector guide 120.

상술한 바와 같이, 특징점(140)에는 위치 센서(820, 83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식별 구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접촉식인지 비접촉식인지 여부를 불문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140)으로서 스마트 코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징점(14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2차원 평면 상에서 형성되어, 충전 로봇(1000)에게 충전 커넥터(20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3차원 좌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정보"는 위치 센서(820, 830)와 충전 커넥터(100) 사이의 거리(d)와 각도(Θ)에 대한 데이터(3차원 좌표 상에서 충전 커넥터의 좌표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identification structures that may be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be used for the feature point 140, and may be contacted or contactless. For example, a smart cord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eature point 140. In this case, the feature point 140 is formed on a two-dimensional plane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a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robot 1000 is used.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20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ata about the distance d and the angle θ between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coordinate values of the charging connector o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충전 커넥터(100)의 베이스(150)는 케이스(11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150)는 케이스(110)의 후방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15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ase 110. For example, the base 15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충전 커넥터(100)의 자세 변경부(미도시)는 케이스(110)와 베이스(15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세 변경부는 "스프링(Spring)"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n attitude change unit (not show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may elastically connect the case 110 and the base 150. For example, the posture change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pring".

자세 변경부는 커넥터 가이드(12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의 1차 도킹 시, 커넥터 가이드(12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가 정렬되도록, 커넥터 가이드(120)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posture changing part may include a connector guide 120 such that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are aligned when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are first docked. 120 may be changed.

일 예로, 자세 변경부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어,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가 커넥터 가이드(120)와 결합하도록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케이스(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 가이드(120)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ture change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by rotating the case 110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moves to engage the connector guide 120. The posture of the guide 120 may be changed.

한편,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는 케이스(110)의 후방면에 복수의 후크가 마련되어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충전 커넥터(100)는 제1차와 제2차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와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에 따른 외력에 의해,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110 can be mounted on the license plate 3 of the electric vehicle (1). 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1) by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movement of the socket guide 520 and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when the first and second docking. The problem of falling from the license plate 3 may occur.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 커넥터(100)에는 케이스(110)와 커넥터 가이드(120) 중 적어도 하나에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33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를 지지하는 리테이닝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닝부는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를 일차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와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에 의한 외력이 충전 커넥터(100)와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의 연결 부분(복수의 후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charging connector 100 has a socket of the docking socket 5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ocket electrode 3300 of the docking socket 500 in at least one of the case 110 and the connector guide 120. A retaining part (not shown) supporting the guide 520 may be formed. The retaining unit primarily supports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so that an external for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ocket guide 520 and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changed from that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nnecting portion (plural hooks) of the license plate 3 of the electric vehicle 1.

이하,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와 달리 케이블(100-1)이 필요치 않으며, 번호판(3)에 거치될 필요가 없이,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에 직접 도킹될 수 있다(도 6 참조; 간편형).Hereinafte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modification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nlike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onnector 2000 of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he cable 100-1, and does not need to be mounted on the license plate 3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 It can be docked directly to the sphere 2 (see FIG. 6; simple).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에서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거치 구조(일 예로, 복수의 후크)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구성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mounting structure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oks)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mitted in the charging connector 2000 of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charging connector 2000 of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ferred and applied. .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서브 커넥터(2200)와 힌지 링크(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커넥터(22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에 도킹될 수 있고, 힌지 링크(2300)는 케이스(110)와 서브 커넥터(2000)를 힌지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1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도킹한 상태에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힌지 커넥터(2300)는 다양한 축을 기준으로 케이스(110)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고, 구면 커넥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harging connector 200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b connector 2200 and a hinge link 2300. The sub connector 2200 may be docked at the charging port 2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 hinge link 2300 may hinge-connect the case 110 and the sub connector 2000 to be hinged. Therefore, the charging connector 10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in posture while docked with the charging port 2 of the electric vehicle 1. Further, the hinge connector 2300 may change the posture of the case 110 based on various axes, and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kinds of connectors such as spherical connectors.

이하,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케이스(200),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 도킹장치(400), 베이스(600), 이동장치(700), 센싱장치(800), 비상버튼(900), 범퍼(1100) 및 전자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200,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300, the docking device 400, the base 600, the moving device 700, the sensing device 800, the emergency button 900 , A bumper 1100 and an electronic controller (not shown).

케이스(200)는 충전 로봇(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후방에는 셔터(21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210)는 충전 로봇(1000)의 도킹 구동 및 충전 시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도킹장치(40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개방 부분을 마련할 수 있다.The case 200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charging robot 1000. Meanwhile, the shutter 210 may be disposed behind the case 2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The shutter 210 may be selectively opened at the time of docking driving and charging of the charging robot 1000, and may provide an open portion to draw the docking device 400 to the outside.

한편, 케이스(200)에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가 수용되는 제1격실(201)과, 도킹장치(400)가 수용되는 제2격실(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격실(201)은 제2격실(20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전방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도킹장치(400)는 후방에 위치하여, 충전 로봇(100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전방으로 편향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se 200 may include a first compartment 201 in which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300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ompartment 202 in which the docking device 400 is accommodated. In this case, the first compartment 20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compartment 202, whereby the relatively heavy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docking device is relatively light weight. 400 is located at the rear,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charging robot 1000 may be deflected forward.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에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을 위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케이스(2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도킹장치(4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일 수 있다.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300 may store electric energy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may be built in the case 200. In this case,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ocking device 400.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도킹장치(4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되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장치(400)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로봇 암(410)과 도킹 소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device 400 may be docked at the charging port 2 o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 To this end, the docking device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300, and may include a robot arm 410 and a docking socket 500.

로봇 암(410)은 3축(x, y, z축)으로 직선 구동을 할 수 있다. 로봇 암(410)에는 도킹 소켓(500)이 배치될 수 있고, 도킹 소켓(500)은 1차 도킹 시, 로봇 암(410)의 도킹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될 수 있다.The robot arm 410 may drive linearly in three axes (x, y, z axis). A docking socket 500 may be disposed in the robot arm 410, and the docking socket 500 may move according to the docking driving of the robot arm 410 when the first docking is performed, and thus the charging port 2 of the electric vehicle 1 may be disposed. Or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00.

로봇 암(410)은 3축 구동을 위해, 제1레일(411), 제2레일(412), 암부(413), 제1로봇 암 구동부(414), 제2로봇 암 구동부(415) 및 제3로봇 암 구동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arm 410 includes a first rail 411, a second rail 412, an arm 413, a first robot arm driver 414, a second robot arm driver 415, and a third axis for driving three axes. The robot arm driver 416 may be included.

제1레일(411)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레일(412)은 제1로봇 암 구동부(414)에 의해 제1레일(411)을 따라 좌우 방향(x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rail 411 may exten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x axis), and the second rail 412 may b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x axis) along the first rail 411 by the first robot arm driver 414. Can be moved straight.

제2레일(412)은 수직 방향(y축;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암부(413)는 제2로봇 암 구동부(415)에 의해 제2레일(412)을 따라 수직 방향(y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rail 41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y axis;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m part 413 is vertically along the second rail 412 by the second robot arm driver 415. ) Can be moved straight.

암부(413)는 제3로봇 암 구동부(416)에 의해 전후 방향(z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arm 413 may linearl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z-axis) by the third robot arm driver 416.

이 경우, 제1레일(411)과 제2레일(412)은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암부(413)는 "x링크 리프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로봇 암 구동부(414), 제2로봇 암 구동부(415) 및 제3로봇 암 구동부(416)로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 모터(일 예로, 스텝 모터)나 유압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ail 411 and the second rail 4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ll screw or lead screw, the arm portion 41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x-link lift". In addition, as the first robot arm driver 414, the second robot arm driver 415, and the third robot arm driver 416, various types of electric motors (eg, step motors) or oil presses may be used.

제1레일(411)과 제2레일(412)을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 형태로 마련한 이유는 암부(4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정밀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암부(413)를 "x링크 리프트" 형태로 마련한 이유는 다른 인출 장치와 비교하여 접었을 때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치 않으며(충전 로봇의 전장 길이 축소), 펼쳤을 때 충분한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rail 411 and the second rail 41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ll screw or a lead screw is to stably support the arm part 413 and move it precisely.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arm portion 4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x-link lift" does not require much storage space when folded compared to other take-out devices (reduces the full length of the charging robot), and can secure a sufficient take-out length when unfolded. Because.

도킹장치(400)의 구동 시, 제1로봇 암 구동부(414)와 제2로봇 암 구동부(415)가 먼저 구동하여(x, y축 구동), 2차원 좌표 상(일 예로, x-y 좌표)에서 도킹 소켓(500)을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정렬시킬 수 있다.When the docking device 400 is driven, the first robot arm driver 414 and the second robot arm driver 415 are driven first (x, y-axis driving), and thus,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eg, xy coordinates).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aligned with the charging port 2 o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1.

그 다음, 제3로봇 암 구동부(416)이 구동하여(z축 구동), 암부(413)가 후방(z축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통해, 도킹 소켓(500)을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1차 도킹시킬 수 있다.Then, the third robot arm drive unit 416 is driven (z-axis drive), the arm portion 413 is pulled out rea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the docking socket 500 of the electric vehicle 1 Primary docking may be performed on the charging port 2 or the charging connector 100.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변형례에서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가 후방에 도킹장치(400)가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암부(413)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device 4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300 in the rear, in this case, the arm portion 413 may be drawn out to the front. have.

이상, 구동장치(400)의 로봇 암(410)에 대해 설명하였고, 도킹 소켓(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robot arm 410 of the driving device 400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ocking socket 500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의 하면(하판)을 형성하는 것과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도 있고, 케이스(200)와 별도의 부재로서 케이스(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케이스(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베이스(600)는 단일의 층으로 구성된 부재일 수도 있고, 겹겹히 쌓여 복수의 층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도 있다.The base 600 may perform one of forming a lower surface (lower plate) of the case 200 and supporting the case 200. That is, the base 600 may be a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200 or may be disposed below the case 200 as a member separate from the case 200 to support the case 200. Further, the base 600 may be a member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ay be a member stacked on top of one another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와 수직 방향(y축)으로 오버랩되는 본체(610)와 케이스(200)와 수직 방향(y축)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돌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620)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62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전기자동차(1)의 차체 밑으로 인입될 수 있다.The base 600 may include a main body 610 overlapping the case 200 in a vertical direction (y-axis) and a protrusion 620 not overlapping the case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In this case, the protrusion 620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620 may be drawn under the vehicl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1,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무게중심은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에너지 저장장치(300)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이에 따라, 베이스(600)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충전 로봇(1000)이 주행 및 충전 중에 쉽게 쓰러지는 것(특히,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to be deflected forward by the relatively heavy energy storage device 300, the base 600 is protruded rearward and thus charged. The robot 1000 prevented it from falling easily during driving and charging (especially from falling forward).

한편,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1격실(20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1)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베이스(600)의 본체(610)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611 of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that overlaps the first compartment 201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laps with the second compartment 202 of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located above the portion 612. That is, a step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이는 제2격실(202)에 수용되어 있는 도킹장치(400)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와 도킹되기 위해서는 제1격실(20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위치해야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충전 로봇(1000)의 주된 주행 방향이 전방(자율주행 방향; 단, 자세를 변경한 후에는 후방으로 주행)이므로 주행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해야함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전방에 직경이 큰 휠을 배치시킴으로써, 직경이 큰 휠이 차지하는 배치공간만큼(또는 휠 구동부의 수용공간만큼) 제1격실(201)이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docking device 400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mpartment 202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compartment 201 to be docked with the charging port 2 or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1. This may be because it must be locat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1000 is front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however, after changing the posture, the driving direction is rearward), the diameter of the front of the charging robot 1000 is increased as the driving power must be transmitted efficiently. By arranging the large wheels, it may be because the first compartment 201 moves upward as much as the arrangement space occupied by the wheel with the large diameter (or as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heel drive unit).

한편, 베이스(600)의 본체(610)에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1격실(20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1)과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610-1)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includes a portion 611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compartment 201 in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and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A reinforcement frame 610-1 may be formed to obliquely connect the portion 612 overlapping the two compartments 202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 경우, 보강 프레임(610-1)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무게가 무거운 제2격실(20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frame 610-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portion 612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compartment 202 in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and positioned relatively upward. The heavy second compartment 202 can be stably supported.

이동장치(70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이동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장치(700)는 제1휠(710), 제2휠(720), 제3휠(730), 제4휠(740) 및 휠 구동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device 700 may be a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moving device 700 may include a first wheel 710, a second wheel 720, a third wheel 730, a fourth wheel 740, and a wheel driver 750.

제1휠(710)과 제2휠(720)은 휠 구동부(75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휠일 수 있고, 제3휠(730)과 제4휠(740)은 제1휠(710)과 제2휠(720)의 구동에 종동되는 종동 휠일 수 있다.The first wheel 710 and the second wheel 720 may be driving wheels driven by the wheel driver 750, and the third wheel 730 and the fourth wheel 740 may be formed of the first wheel 710 and the first wheel 710. It may be a driven wheel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two wheels 72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주된 주행 방향은 전방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제1휠(710)과 제2휠(72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 배치되어 전방에서 이동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휠(730)과 제4휠(74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에 배치되어 후방에서 베이스(600)를 지지하며 제1휠(710)과 제2휠(720)을 보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ront, reflecting this, the first wheel 710 and the second wheel 720 is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Can be arranged to generate moving power from the front. In contrast, the third wheel 730 and the fourth wheel 740 are disposed on the protrusion 620 of the base 600 to support the base 600 from the rear and the first wheel 710 and the second wheel 720. ) Can be assisted.

좀 더 상세하게, 제1휠(71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의 가장자리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휠(72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의 가장자리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3휠(73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의 가장자리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4휠(74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의 가장자리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wheel 71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edge of the body 610 of the base 600, and the second wheel 720 may be located on the edge of the body 610 of the base 600. The third wheel 730 may be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edge of the protrusion 620 of the base 600, and the fourth wheel 740 may be positioned at the left side of the protrusion 620 of the base 600. It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edge.

한편, 구동 휠인 제1휠(710)과 제2휠(720)은 종동 휠인 제3휠(730)과 제4휠(740)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wheel 710 and the second wheel 720 which are driving wheels may have larger diameters than the third wheel 730 and the fourth wheel 740 which are driven wheels.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600)의 돌출부(62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전기자동차(1)의 차체 밑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600)의 돌출부(620)가 전기자동차(1)의 차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휠(730)과 제4휠(74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620)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전기자동차(1)의 최저지상고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제3휠(730)과 제4휠(74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620)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개별 국가의 법령에 따른 최저지상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일 예로, 15cm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620 of the base 600 may be drawn under the vehicl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1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1. have.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protrusion 620 of the base 600 from colliding with the vehicl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620 from the bottom of the third wheel 730 and the fourth wheel 740. The length up to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st ground elev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third wheel 730 and the fourth wheel 740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620 may vary depending on the minimum ground height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individual country, for example, may be less than 15cm.

센싱장치(800)는 장애물 센서(810), 위치 센서(820, 830) 및 범퍼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device 800 may include an obstacle sensor 810,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and a bumper sensor (not shown).

장애물 센서(810)는 케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애물을 센싱할 수 있다. 장애물 센서(810)는 주로 이동 시의 장애물을 센싱할 수 있다.The obstacle sensor 810 may be disposed in the case 200, and may sense an obstacle. The obstacle sensor 810 may mainly sense an obstacle during movement.

일 예로, 장애물 센서(81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직선 주행(자세 변경 후의 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bstacle sensor 810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a straight line (driving after changing position) so that the charging robot 1000 may move autonomously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1.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an obstacle may be detected.

충전 로봇(1000)은 장애물이 센싱된 경우,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obstacle is sensed, the charging robot 1000 may move by changing the path after stopping the movement or searching for another path.

한편, 장애물 센서(8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애물 센서(810)로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키넥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for the obstacle sensor 8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lidar, an ultrasonic sensor, a 3D camera module, an RGBD camera module, and a Kinect sensor may be used as the obstacle sensor 8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라이다(811)는 센싱 영역(스캐닝 영역)이 2차원(x-z 평면)일 수 있고, 특정 높이에서의 장애물(일 예로, 대략적으로 지면으로부터 60cm; 어린 아이의 키에 맞출 수 있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실질적으로 센싱 영역이 3차원인 것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dar 811 has a sensing area (scanning area) can be two-dimensional (xz plane), the obstacle at a specific height (for example, approximately 60cm from the ground;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young child) 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d can produce the effect that the sensing area is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

한편, 장애물 센서(810)로서 상호 다른 종류의 센서가 활용되는 경우, 상호 간의 부족한 센싱 조건(일 예로, 주변 조도 등)과 센싱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일 예로, 라이다와 초음파 센서의 조합).On the other hand, when different types of sensors are used as the obstacle sensor 810, there is an advantage of covering the sensing conditions (e.g., peripheral illumination, etc.) and the sensing area that are insuffici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lidar and ultrasound Combination of sensors).

장애물 센서(810)는 케이스(200)의 전방면(전방판)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진행 과정 전반에서, 주로 전방(자율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므로, 장애물 센서(810)의 주된 센싱 방향(도 8의 (1-1) 참조; 일 예로, 센싱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방향, 센싱 영역의 중심이 형성되는 방향 등)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일 수 있다. 다만, 장애물 센서(81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전방이라는 것이지, 장애물 센서(810)가 충전 로봇(1000)의 좌측과 우측을 센싱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The obstacle sensor 8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front plate) of the case 2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ing robot 1000 travels mainly in the front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throughout the charging process,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obstacle sensor 810 (see (1-1) of FIG. 8;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region is gradually expand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of the sensing region is formed, and the like may be an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forward) of the charging robot 1000 on the plan view. However,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obstacle sensor 810 is forward, not that the obstacle sensor 810 may not sense the left and right of the charging robot 1000.

즉, 장애물 센서(810)는 충전 로봇(1000)의 좌측(전방 좌측)과 우측(전방 우측)도 커버할 수 있으며, 충전 로봇(1000)이 자세를 변경한 후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좌측과 우측에서 장애물이 나타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That is, the obstacle sensor 810 may also cover the left side (front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front right side) of the charging robot 1000, so that the charging robot 1000 is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1 after changing the posture. Even when driving backwards, obstacles may be det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위치 센서(820, 8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센서(820, 830)는 단일한 종류의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원거리 위치 센서(820)와 근거리 위치 센서(830)와 같이 이종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by sensing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be provided as a single type of sensor, and may include heterogeneous sensors such as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and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 경우, 위치 센서(820, 8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센서(820, 830)로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키넥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위치 센서(820, 830)는 다양한 종류의 "특징점"을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perform sensing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lidar, an ultrasonic sensor, a 3D camera module, an RGBD camera module, and a Kinect sensor may be used as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and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have various kinds of "feature points." "May be generat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위치 센서(820, 830)로서, 카메라 모듈이 이용되는 경우, 특징점(140)을 촬상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촬상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적용).On the other hand, when the camera module is used as 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the feature point 140 may be imaged to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applied with a captured image analysis algorithm).

위치 센서(820, 830)는 센싱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원거리 위치 센서(820)와 근거리 위치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ors 820 and 830 may include a far position sensor 820 and a near position sensor 830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sensing target.

일 예로,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충전 로봇(1000)이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한 다음 도킹장치(4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ote location sensor 820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to autonomous driving and when it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 near location sensor 830. )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then the docking apparatus 400 is driven.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특징점(140)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mote location sensor 820 may sense the feature point 140 and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이 경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구)에 위치하는 특징점(140)을 센싱하여 도출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 위치한 특징점(미도시)을 센싱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여 도출될 수도 있다(일 예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의 건물 구조물에 배치된 QR코드를 센싱하여 QR코드에 관한 위치 좌표를 획득한 후, QR코드의 좌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건물 구조물과 전기자동차의 예상 주차 위치 사이의 거리를 대입하여, 충전 커넥터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음).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derived by sensing the feature point 140 located at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t can also be derived by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sensing the feature point (not shown) located in the parking area of (1) (for example, by sensing the QR code disposed on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QR code After acquiring position coordinates for,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can be derived by substitu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ilding structure already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expected parking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QR code).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케이스(200)의 우측면(우측판)과 좌측면(좌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제1원거리 위치 센서(821)와 제2원거리 위치 센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right side (right side plate) and the left side (left side plate) of the case 200. To this end, the far position sensor 820 may include a first far position sensor 821 and a second far position sensor 822.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도 8의 (1-2) 및 (1-3) 참조; 일 예로, 센싱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방향, 센싱 영역의 중심(카메라 모듈인 경우 광축)이 형성되는 방향 등)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질 수 있다. 나아가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see (1-2) and (1-3) of FIG. 8;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region is gradually extended, the center of the sensing region (the optical axis in the case of the camera module)) The direction, etc.) may be inclined with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front) of the charging robot 1000 on the plan view. Furthermore,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may be perpendicular to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1000 in the plan view.

충전 로봇(1000)은 우선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전방을 향하여 자율주행을 하며, 자율주행 과정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에 따라 후방면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향하도록 자세를 변경하고, 후방으로 주행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인접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1000 first runs autonomously toward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senses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during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Or change the posture so that the rear surface towar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rive backward to drive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electric vehicle) Inlet).

따라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과정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경로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지거나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of the charging robot 1000, in order to sense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tonomous driving path of the charging robot 1000, a remote position sensor (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820 is inclined or perpendicular to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front) of the charging robot 1000.

일 예로, 제1원거리 위치 센서(821)는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우측(우측판)에 배치될 수 있고,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우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제2원거리 위치 센서(822)는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좌측(좌측판)에 배치될 수 있고,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좌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mote position sensor 821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right side plate) of the case 2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and the main sensing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1000 in a plan view. It can be inclined or vertical to the right. In addition, the second remote position sensor 822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left side plate) of the case 2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and the main sensing direction is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and the left side of the charging robot 1000 in a plan view. It can be inclined or vertical.

다만, 장애물 센서(810)와 마찬가지로,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지거나 수직하다는 것이지, 원거리 위치 센서(820)가 충전 로봇(1000)의 전방이나 후방을 센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like the obstacle sensor 810,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is inclined or perpendicular to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forward) of the charging robot 1000, and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is a charging robot (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not sense the front or rear of the 1000).

한편,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킹 소켓(500)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범퍼 센서(미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범퍼(110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will be described later along with the docking socket 500. In add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mper sensor (not shown)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bumper 1100.

비상버튼(900)은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상버튼(900)은 사용자, 관리자, 주변 사람의 터치 동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비상버튼(900)의 터치 시, 충전 로봇(1000)의 이동을 정지하는 것과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는 것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The emergency button 900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ase 200 of the charging robot 1000. The emergency button 900 may be operated by a touch operation of a user, a manager, or a neighboring person. When the emergency button 900 is touched, the emergency button 900 stops the movement of the charging robot 1000 and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1. At least one of stopping may be performed.

즉, 비상버튼(900)은 비상상황의 경우(일 예로, 충전 로봇이 장애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행을 유지하는 경우, 충전 중 어린 아이들이 소켓 및 커넥터 등에 접근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는 경우), 충전 로봇(1000)의 동작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That is, the emergency button 900 is charged in case of emergency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robot keeps driving despite the obstacle, when the young children approach the socket and connector while charging,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charging It may be used in the case of sudden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1000.

한편, 비상버튼(900)은 제1비상버튼(910)과 제2비상버튼(9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비상버튼(910)은 케이스(200)의 우측(우측판)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비상버튼(910)은 케이스(200)의 좌측(좌측판)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button 9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emergency button 910 and the second emergency button 920, the first emergency button 910 is the right side (right side plate) of the case 200 The second emergency button 910 may be located above the left side (left plate) of the case 200.

범퍼(1100)는 충전 로봇(1000)의 충격 시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충전 로봇(1000)의 충격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범퍼(1100)에 의해 충전 로봇(1000)이 넘어지거나 충격 대상이 다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mper 1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cushioning the shock of the charging robot 1000. When an impact accident of the charging robot 1000 occurs, the charging robot 1000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due to the bumper 1100 or an injury to the impact object may be prevented.

범퍼(1100)는 베이스(600)에 배치될 수 있다. 범퍼(1100)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 시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에어 범퍼; Air bumper).The bumper 110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600. The bumper 1100 may b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to perform buffer driving by a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elastic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member during impact (air bumper).

한편, 범퍼 센서(미도시)는 범퍼(1100)에 배치될 수 있고, 범퍼(1100)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 범퍼 센서는 주로 이동 시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a bumper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bumper 1100 and may sense an impact of the bumper 1100. Bumper sensors can primarily sense shock during movement.

일 예로, 범퍼 센서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직선 주행(자세 변경 후의 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범퍼(1100)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er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se where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autonomously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and a case where the charging robot 1000 moves in a straight line (driving after changing the position) to be adjacent to the electric vehicle 1. In one case, the shock of the bumper 1100 may be sensed.

한편, 충전 로봇(1000)은 범퍼(1100)의 충격이 센싱된 경우,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mpact of the bumper 1100 is sensed, the charging robot 1000 may move by changing the path after stopping the movement or searching for another path.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장애물 센서(810)와 범퍼 센서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장애물과 충격한 경우 완충 작용을 하며 충격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charging robo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obstacle by the obstacle sensor 810 and the bumper sensor, and when shocked with the obstacle in a sudden situation, the shock absorbing action and can detect the impact Accordingly, the movement may be changed after stopping the movement or searching for another route.

범퍼(1100)는 베이스(6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 충격을 완충하는 제1범퍼(1100)와 베이스(6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우측 충격을 완충하는 제2범퍼(1200)와 베이스(6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좌측 충격을 완충하는 제3범퍼(1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범퍼(1100)와 제2범퍼(1200)와 제3범퍼(1300)에는 독립적으로 범퍼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umper 11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se 600 to buffer the rear shock and the first bumper 1100 and the right side of the base 600 to buffer the right bump and the second bumper 1200 and the base 600. It may include a third bumper (130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hock absorber to cushion the left impact, the bumper sensor is independently provided in the first bumper 1100, the second bumper 1200 and the third bumper (1300). Can be.

이 경우, 제1범퍼(1100)는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격 시, 전후 방향(z축)으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범퍼(1200)와 제3범퍼(1300)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격 시, 좌우 방향(x축)으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bumper 1100 may be disposed on the protruding portion 620 of the base 600, and the shock absorber 1100 may be buffer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z-axis) during the impact. The second bumper 1200 and the third bumper 1300 may be disposed on the main body 610 of the base 600, and may perform a shock driv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x-axis) during an impact.

전자제어장치(미도시)는 중앙 서버 및 충전 로봇(1000)의 다른 구성들과 통신하여 다양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구성들을 제어하여, 충전 로봇(1000)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ler (not shown) communicates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central server and the charging robot 1000 to process various signals and information,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charging robot 1000 to control the charging robot 1000. Can be operated.

일 예로, 전자제어장치는 중앙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1)의 주자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으로 자율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는 센싱장치(600)로부터 생성된 "장애물 정보"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도킹장치(400)와 이동장치(700)를 제어하여, 도킹 구동, 주행 정지 및 경로 재탐색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는 비상버튼(900)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와 이동장치(700)를 제어하여, 충전을 중단하거나 주행을 정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unner region of the electric vehicle 1 from the central server, process the same, and control the charging robot 1000 to autonomously drive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1. have. 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ler processes the "obstacl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ing device 6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by docking device 400 ) And the mobile device 70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docking drive, a driving stop, and a route rescanning function. 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receives the touch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900 and, accordingly, controls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300 and the mobile device 700 to perform a function of stopping charging or stopping driving. can do.

이하, 도킹 소켓(500)과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cking socket 500 and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will be described.

도킹 소켓(500)은 로봇 암(410)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docking socket 500 is driven by the robot arm 410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configuration may be docked to.

도킹 소켓(500)은 소켓 가이드(520)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결합(수용)되는 1차 도킹이 수행된 다음, 소켓 전극부(530)가 액추에이터(54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에 결합(접속)되는 2차 도킹이 수행되는 것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될 수 있다.Docking socket 500 is a socket electrode 530 after the first docking is coupled (accommodating) to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performed,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Is moved by driving of the actuator 540 to perform secondary docking, which is coupled (connected) to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by performing the charging connector 100. Can be docked to.

도킹 소켓(500)은 케이스(510), 소켓 가이드(520), 소켓 전극부(530), 액추에이터(540) 및 근거리 위치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king socket 500 may include a case 510, a socket guide 520, a socket electrode 530, an actuator 540, and a near position sensor 830.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는 도킹 소켓(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으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case 510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a member that forms an appearance of the docking socket 500,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켓 가이드(520)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는 돌출되고 일부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male and female coupling with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ly, the socket guide 520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and some of the socket guide 520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이하, 소켓 가이드(520)가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소켓 가이드(520)는 케이스(510)의 후방 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socket guide 520 is formed to protrude is described. For example, the socket guide 520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510.

소켓 가이드(520)는 1차 도킹 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수용될 수 있다.The socket guide 5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first docking.

한편, 1차 도킹 시,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로봇 암(410)을 3축 직선 구동시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소켓 가이드(520)를 커넥터 가이드(120)에 인입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first docking, the charging robot 1000 drives the robot arm 410 in three straight line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by charging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a socket guide 520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port)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guide 120.

1차 도킹이 완료되면, 즉, 소켓 가이드(520)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암수 결합이 완료되면, 소켓 전극부(530)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는 상호 대향하도록 정렬하므로, 1차 도킹이 완료되면, 2차 도킹 시의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 경로가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primary docking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of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socket guide 520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and the charging connector ( Since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s 130 of the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re align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primary docking is completed, the movement path of the socket electrode portion 530 during the secondary docking may be correctly formed. .

나아가 도킹 소켓(500)에서 소켓 가이드(520)는 충전 커넥터(20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소켓 가이드(520)와 대응되도록, 후방 단부의 단면적이 전방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적어도 일부분에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켓 가이드(520)의 돌출부에는 1차 도킹 방향을 향하여 단면적이 좁아지는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docking socket 500, the socket guide 520 tapers at least in part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ar end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ront end so that the socket guide 520 corresponds to the socket guide 520 of the charging connector 20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formed. That is, a taper having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in the primary docking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protrusion of the socket guide 520.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는 소켓 가이드(520)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켓 전극부(530)의 이동은 도킹 소켓(500)에 별도로 마련된 액추에이터(5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2차 도킹 시, 소켓 전극부(530)는 액추에이터(54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socket guide 520.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may be performed by an actuator 540 separately provided in the docking socket 500. For example, in the second docking,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is slidably moved by the driving of the actuator 540 to be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Can be connect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도킹이 완료되면, 소켓 전극부(5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대향하도록 정렬되므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 없이 직선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정밀하게 도킹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mary docking is completed,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is aligned to face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precisely docked by a linear sliding movement.

소켓 전극부(530)는 초기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으며, 2차 도킹이 진행되면, 액추에이터(54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케이스(5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510 in an initial state. When the secondary docking is performed,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may be slid and moved by driving of the actuator 540 to externally the case 510. May be exposed.

소켓 전극부(5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마찬가지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대응되는 도킹 충전 전극(531), 도킹 신호 전극(532) 및 도킹 접지 전극(53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도킹 시, 도킹 신호 전극(532)과 커넥터 신호 전극(132)을 통해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또는 동시에) 도킹 충전 전극(533)과 커넥터 충전 전극(133)을 통해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corresponds to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similarly to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 docking charging electrode 531, the docking signal electrode 532, and the docking ground electrode 533 may be included. Thus, during the second docking, charging is initiated through the docking charging electrode 533 and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133 after a "connection signal" occurs (or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docking signal electrode 532 and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Can be.

도킹 소켓(500)의 액추에이터(540)는 소켓 전극부(530)를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540)는 케이스(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40)로서 다양한 구동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액추에이터(540)는 리니어 스텝 모터(Linear step motor)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tuator 540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be a driving member for moving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The actuator 5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510. Various driving members may be used as the actuator 540. For example, the actuator 540 may be a linear step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킹 소켓(500)의 자세 변경부(미도시)는 케이스(510)와 소켓 가이드(5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세 변경부는 "스프링(Spring)"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n attitude change unit (not shown) of the docking socket 500 may elastically connect the case 510 and the socket guide 520. For example, the posture change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pring".

자세 변경부는 소켓 가이드(520)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1차 도킹 시(결합 시), 소켓 가이드(520)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가 정렬되도록, 소켓 가이드(520)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posture change unit may perform the first docking of the socket guide 520 and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the socket guide 520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osture of the socket guide 520 may be changed such that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is aligned.

일 예로, 자세 변경부는 토션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어, 소켓 가이드(520)가 커넥터 가이드(120)와 결합하도록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소켓 가이드(520)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켓 가이드(520)의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ture change p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and the socket guide 520 i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cket guide 520 moves to engage the connector guide 120. You can change your posture.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커넥터(100;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near position sensor 830 senses a feature point 14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Can be.

근거리 위치 센서(830)로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키넥트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as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For example, a lidar, an ultrasonic sensor, a 3D camera module, an RGBD camera module, a Kinect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에서 도킹장치(400)로 도킹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위치 센서(830-1)는 1차 도킹 시, 도킹장치(400)의 3축 직선 구동을 위한 센서일 수 있으며, 로봇 암(410)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하는 좌표를 향하여 도킹 소켓(500)을 이동시킴으로써 1차 도킹을 완료할 수 있다.The near position sensor 830 may be used when the charging robot 1000 performs docking driving to the docking apparatus 400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1. The near position sensor 830-1 may be a sensor for three-axis linear driving of the docking device 400 when the first docking is performed, and the robot arm 410 may be configured as a charging connector 100 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The primary docking may be completed by moving the docking socket 500 toward the coordinate where the filling hole) is located.

이하,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 1차 도킹과 2차 도킹의 완료 여부를 센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와 도킹 소켓(500) 중 적어도 하나(일방, 타방 또는 모두)는 제1도킹 센서(4100)와 제2도킹 센서(4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sensing of the completion of the primary docking and the secondary docking in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 this end, at least one (one, the other, or both)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and the docking socke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ocking sensor 4100 and a second docking sensor 4200.

제1도킹 센서(4100)는 제1도킹 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여 "제1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켓 전극부(530)는 "제1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액추에이터(540)의 구동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접속(결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docking sensor 4100 senses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guide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upled with the socket guide 520 of the docking socket 500 when the first docking sensor 4 is docked.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is connected (coupled)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an electric vehicle) by driving the actuator 540 after the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Can be moved.

제2도킹 센서(4200)는 제2도킹 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커넥터 전극부(130)와 도킹 소켓(500)의 소켓 전극부(530)의 접속 여부를 센싱하여 "제2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 로봇(1000)은 "제2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도킹 센서(4200)는 상술한 커넥터 신호 전극(132) 및 도킹 신호 전극(53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방이 존재하는 경우 타방은 생략될 수 있다.The second docking sensor 4200 senses whether the connector electrode 13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electrode 530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second docking.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can be generated. The charging robot 1000 may start charging after the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occurs. Meanwhile, the second docking sensor 4200 may perform a function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132 and the docking signal electrode 532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other docking sensor 4200 may be omitted. .

제1도킹 센서(4100)와 제2도킹 센서(4200)에는 다양한 접촉식 및 비접촉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도킹 센서(4100)와 제2도킹 센서(4200)는 로드 셀, 적외선/초음파 거리 센서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contact and non-contact sensors may be used for the first docking sensor 4100 and the second docking sensor 4200. For example, the first docking sensor 4100 and the second docking sensor 4200 may include a load cell, It may be an infrared / ultrasound distance sensor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제1도킹 센서(4100)와 제2도킹 센서(4200)에 의해, 스텝 바이 스텝으로 안정적인 도킹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킹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cking sensor 4100 and the second docking sensor 4200 can perform a stable docking procedure in a step-by-step manner, and the charging current is applied when the docking is not complet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한편,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커넥터 가이드(120)와 커넥터 전극부(130)가 전방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1)에 거치될 수 있지만(도 14의 (1) 참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1 so that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connector electrode portion 130 to the front (see (1) of Figure 14),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doesn't happen.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커넥터 가이드(120)와 커넥터 전극부(130)가 상측을 향하도록 전기자동차(1)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암(410)은 2축 구동을 수행한 다음, 도킹 소켓(5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1차 도킹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소켓 전극부(530)는 액추에이터(54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2차 도킹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conn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1 such that the connector guide 120 and the connector electrode 130 face upward. In this case, the robot arm 410 may perform two-axis driving, and then the first docking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docking socket 500 downward. In addition, the socket electrode part 530 may be moved downward by the actuator 540 to perform secondary docking.

한편, 로봇 암(410)의 2축 구동과 1차 도킹 시의 도킹 소켓(500)의 하측 이동 시 각각의 시점에서 충전 커넥터(100)의 "위치 정보"를 원활하게 얻을 수 있도록, 충전 커넥터(100)의 특징점(140)은 충전 커넥터(100)의 케이스(110)에서 상호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특징점(141; 일 예로, 전반 면에 위치)와 제2특징점(142; 일 예로, 상면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로봇 암(410)의 2축 구동 시에 제1특징점(141)를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1차 도킹 시에 제2특징점(142)를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ly obtain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at each time point when the two-axis driving of the robot arm 410 and the lower movement of the docking socket 500 during the first docking, the charging connector ( The feature point 140 of the 100 is a first feature point 141 (for example, located in the front surface) and a second feature point 142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which are position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ase 11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Location). Accordingly, the near position sensor 830 senses the first feature point 141 when the robot arm 410 is driven in two axes, and provides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142 during the first docking. ) May be provided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일부 구성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대신 도킹 소켓(5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킹 소켓(500)의 일부 구성은 도킹 소켓(500) 대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have a variety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that the skilled person does not change the essential features. For example, some components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provided in the docking socket 500 instead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or part of the docking socket 500. Th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nstead of the docking socket 5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26)

자동차의 충전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
충전 로봇의 로봇암에 배치되고, 로봇암의 x축과 y축과 z축으로의 직선 구동에 의해 상기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 및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도킹 소켓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자세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는,
케이스;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가이드;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에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와 이웃하여 배치되며, 2차원 평면 이미지인 스마트 코드; 및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 위치하는 커넥터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소켓은,
케이스;
상기 도킹 소켓의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소켓 가이드;
상기 소켓 가이드에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하는 소켓 전극부;
상기 소켓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소켓 가이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마트 코드를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로봇암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소켓 가이드를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소켓 전극부를 z축을 기준으로 상기 소켓 가이드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함으로써, 도킹이 이뤄지고,
상기 자세 제어 부재는 x축과 y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와 상기 소켓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와 상기 소켓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도킹 어셈블리.
A charging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A docking socket disposed on a robot arm of a charging robot and docked to the charging connector by linear driving of the robot arm to x, y, and z axes; And
An attitude contro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the docking socket;
The charging connector,
case;
A connector guide formed on a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A smart cor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or guide in a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the smart cord being a two-dimensional plane image; And
A connector electrode part positioned on the connector guide;
The docking socket,
case;
A socket guide disposed on the case of the docking socket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male and female coupling to the connector guide;
A socket electrode part disposed on the socket guide to be movabl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ocket electrode part; And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ocket guide, and comprises a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smart code to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The robot arm is drive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sition sensor to couple the socket guide to the connector guide, and then the actuator slides the socket electrode part from the inside of the socket guide to the outside on the z axis to the outside. By connecting with the said connector electrode part, docking is performed,
The posture control member may be docked on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socket guide of the charging connector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socket guid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rotatable about at least one axis of the x and y axes. assemb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코드는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에서 상호 다른 면에 위치하는 제1스마트 코드와 제2스마트 코드를 포함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cord includes a docking assembly including a first smart cord and a second smart cord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에서 함몰된 홈 형태이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의 홈은 바닥면의 단면적이 천정 개방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적어도 일부분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guide is in the form of a groove recessed in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the groove of the connector guide is a docking assembly having a tapered on at least a por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ttom surface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iling ope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소켓 가이드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여 제1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제1도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 전극부는 제1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하도록 이동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first docking sensor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socket guide and the connector guide are coupled to generate a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And the socket electrode part moves to connect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after a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소켓 전극부와 상기 커넥터 전극부의 접속 여부를 센싱하여 제2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제2도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충전 로봇은 상기 제2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충전을 개시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second docking sensor that senses whether the socket electrode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and generates a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And the charging robot initiates charging after the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전극부는 커넥터 충전 전극과 커넥터 신호 전극을 포함하고,
충전 로봇은 상기 커넥터 신호 전극에서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 상기 커넥터 충전 전극을 통해 충전을 개시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includes a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and a connector signal electrode,
And a charging robot initiates charging through the connector charging electrode after a connection signal is generated at the connector signal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소켓 전극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소켓 가이드를 지지하는 리테이닝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the connector guide is a docking assembly having a retain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ocket gui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ocke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에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후크를 더 포함하고,
케이블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후크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번호판에 거치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hook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or guide in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A docking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by a cable, and is mounted to the license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by the plurality of hoo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와 도킹하는 도킹 커넥터와, 상기 도킹 커넥터와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의 케이스의 자세를 변경하는 힌지 링크를 더 포함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docking connector for docking with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hinge link for connecting the case of the docking connector and the charging connector and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소켓은 상기 소켓 가이드와 상기 커넥터 가이드의 결합 여부를 센싱하여 제1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제1도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 전극부는 제1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상기 커넥터 전극부와 접속하도록 이동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socket further includes a first docking sensor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socket guide and the connector guide are coupled to generate a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And the socket electrode part moves to connect with the connector electrode part after a first docking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소켓은 상기 소켓 전극부와 상기 커넥터 전극부의 접속 여부를 센싱하여 제2도킹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제2도킹 센서를 더 포함하고,
충전 로봇은 상기 제2도킹 완료 신호가 발생한 다음 충전을 개시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king socket further includes a second docking sens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by sensing whether the socket electrode unit and the connector electrode unit are connected.
And the charging robot initiates charging after the second docking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전극부는 도킹 충전 전극과 도킹 신호 전극을 포함하고,
충전 로봇은 상기 상기 도킹 신호 전극에서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 상기 도킹 충전 전극을 통해 충전을 개시하는 도킹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socket electrode unit includes a docking charging electrode and a docking signal electrode,
And a charging robot to start charging through the docking charging electrode after a conn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docking signal electrode.
삭제delete
KR1020190040103A 2019-02-01 2019-04-05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2019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1439 WO2020159028A1 (en) 2019-02-01 2019-09-05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3386 2019-02-01
KR1020190013386 2019-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285B1 true KR102019285B1 (en) 2019-09-06

Family

ID=6794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103A KR102019285B1 (en) 2019-02-01 2019-04-05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9285B1 (en)
WO (1) WO202015902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87A (en) * 2021-01-05 2022-07-12 (주)엑스포 Recharger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WO2023101337A1 (en)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230084412A (en) * 2021-12-03 2023-06-13 (주)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0042A1 (en) * 2019-07-08 2021-01-14 Kuka Deutschland Gmbh Automated connection of a charging plug with a charging interface of a vehicle
CN113752882B (en) * 2021-09-24 2023-08-04 四川智多鑫新能源有限公司 Automatic super-charging pile and charg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079A (en) * 2007-04-02 2008-10-23 Honda Motor Co Ltd Charging apparatus
US9592742B1 (en) * 2014-04-09 2017-03-14 FreeWire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6118B2 (en) * 2011-05-23 2014-11-19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US9266440B2 (en) * 2011-09-26 2016-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botically operated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618527B1 (en) * 2016-10-28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079A (en) * 2007-04-02 2008-10-23 Honda Motor Co Ltd Charging apparatus
US9592742B1 (en) * 2014-04-09 2017-03-14 FreeWire Technologie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87A (en) * 2021-01-05 2022-07-12 (주)엑스포 Recharger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KR102589311B1 (en) * 2021-01-05 2023-10-18 (주)엑스포 Recharger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WO2023101337A1 (en)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230084412A (en) * 2021-12-03 2023-06-13 (주)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KR102576173B1 (en) * 2021-12-03 2023-09-08 (주)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KR20230132748A (en) * 2021-12-03 2023-09-18 (주)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KR102634030B1 (en) * 2021-12-03 2024-02-07 (주)에바 Docking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028A1 (en)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333B1 (en)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KR102015796B1 (en)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102019285B1 (en)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US9815377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US9908426B2 (en) Vehicle and mobile body system
US9662995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N104085313B (en) The 8 degree-of-freedom manipulator systems on AGV chassis
CN109683605A (en) Robot and its automatic recharging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US11284765B2 (en) Robot
KR101600809B1 (en) Autonomously driving mobile robot comprising side-type charging means and charging st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Behl et al. Autonomou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O2020159027A1 (en) Charging robot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US20210086601A1 (en) Linear positioning system for automatic charging device
CN112644604A (en) AGV robot and trade power station
CN111845391A (en) Charging robot
KR101964372B1 (en) Docking module
CN209719283U (en) Charge robot
KR102380007B1 (en) Charging module, autonomous driving robot hav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robot using the same
CN218085118U (en) Heavy-duty card battery replacement station
CN217259896U (en) Miniature vehicle based on V2X multi-mode multi-sensor fusion
US20210072761A1 (en) Electric cart
CN205970888U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garage
CN212649156U (en) Autonomous charging and docking device of inspection robot
CN210174664U (en) Automatic induction type RFID charging pile
KR102656274B1 (en) Intelligent Autonomous Char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