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27B1 -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27B1
KR101969727B1 KR1020170138324A KR20170138324A KR101969727B1 KR 101969727 B1 KR101969727 B1 KR 101969727B1 KR 1020170138324 A KR1020170138324 A KR 1020170138324A KR 20170138324 A KR20170138324 A KR 20170138324A KR 101969727 B1 KR101969727 B1 KR 10196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mmand
task
activated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현
신동관
정의인
남궁휘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to KR102017013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27B1/en
Priority to CN201711047750.4A priority patent/CN109693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hand, wrist, gri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device for manipulating a multi-joint robot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manipulating the multi-joint robot comprises: an input device receiving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activating at least one task in which a work variable restraining at least one DOF of total degrees of freedom (DOF) of the robot is defined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nd receiving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ctivated work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activation command; and a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 second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a posture of the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second command.

Description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joint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joint robot.

일반적으로 다관절 로봇은 여러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링크들을 구비하고 자유로운 동작을 취할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다관절 로봇은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회전 운동 기구로 각 링크들을 결합시키고, 다관절 로봇을 움직이는 경우 이 회전 운동 기구(일반적으로는 모터)를 구동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Generally, a jointed-arm robot is a robot that has links capable of moving at various angles and can take free action. In general, a jointed-arm robot can combine each link with three or more rotational motion mechanisms, and when the jointed-arm robot is moved, the rotational motion mechanism (generally, a motor) can be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다관절 로봇은 여러 가지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자세를 변경하는 경우 각 링크들을 어떻게 동작시켜야 할지에 대해서 여러 가지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관절 로봇은 직각 좌표 로봇, 수평 다관절 로봇, 수직 다관절 로봇, 양팔 로봇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ticulated robot can take various attitudes and various control methods can be applied as to how to operate each link when changing the posture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The articulated robot may include a rectangular coordinate robot, a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a vertical articulated robot, and a two-armed robot.

이러한 다관절 로봇은 로봇의 형태에 따라 각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가 존재하는데, 새로운 형태의 로봇이 개발될 때마다 이에 적합한 UI가 개발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6689호에는 팔꿈치의 동작 궤적이 미리 설정된 평면 내에 제한되도록 7축 다관절 로봇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교시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 방식은 7축 다관절 로봇에 국한된다.In such a multi-joint robot, there is a UI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each robo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bot, and a UI suitable for each new robot is develop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066689 proposes a control device and a teach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7-axis articulated robot so that the motion locus of the elbow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plane. It is limited to articulated robots.

이렇게 로봇의 형태에 따라 매번 새로운 UI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은 로봇의 개발자뿐 아니라, 로봇의 사용자 입장에서도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로봇의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로봇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인 UI가 필요하다.The development and use of a new UI every tim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bot is troublesome not only for the robot developer but also for the user of the robot, so a universal UI applicable to all the robots regardless of the robot shape is needed.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6689호, 공개일자 2013년06월20일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66689, published on June 20, 2013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의 총 DOF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를 작업으로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을 활성화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지령 및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매개로 하여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한,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fine a task variable that can constrain at least one DOF out of the total DOF of a robot as a task, And controlling the attitude of the robot by means of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work,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articulated robot.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봇의 총 DOF(Degrees Of Freedom)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가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제2 지령을 전달 받고 그 전달 받은 제2 지령에 따라 상기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jointed-arm robot, the manipulator including a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at least one DOF of a total degrees of freedom (DOF) And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ctivated job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first activation command,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input;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econd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ceived second command.

또한, 상기 작업은, 상기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work may be a task in which an angle of an axis of at least one joint among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a position in which at least one end effector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The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can include the task defined by the work variabl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상기 로봇의 베이스에 고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조작될 수 있다.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end effector may be manipulat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ixed to the base of the robot.

또한, 상기 로봇의 어느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상기 로봇의 다른 엔드 이펙터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조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ny of the end effectors of the robot can be manipulated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other end effector of the robot.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작업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상기 활성화된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현재의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command for maintaining the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task at the current value is received,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after the task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activation command .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작업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상기 활성화된 작업 변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determines that the second instruction for inputting the activated operation variable to the input valu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inputt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opera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putted first activation command can do.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입력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jobs when all of the input jobs are activated, and to set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f the jobs as an input value 2 command can be input.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으며, 선택 받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현재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jobs if all of the inputted jobs are activated and to receive a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f the jobs, And a second command for keeping the current value of the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ther tasks not selected is inputted.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상기 활성화된 작업에 의해 바뀔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receives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job to be a value inpu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when one of the inputted jobs is activa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ask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 tasks that are not activated can be changed by the activated task.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입력창, 상기 입력된 작업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업 상태창, 상기 작업에 따른 로봇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 창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task input window for inputting at least one task, a task status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input task, a monitoring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task, can do.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봇의 총 DOF(Degrees Of Freedom)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가 정의된 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제2 지령에 따라 상기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operating a jointed-arm robot, the method including: activating a task in which a task variable capable of restricting at least one DOF among total degrees of freedom of the robot (DOF) Receiving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performing a first activation command; Receiving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ask activated according to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And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ceived second command when receiving the second command.

또한,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작업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상기 활성화된 작업 변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command, if there is an operation of the user after the opera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activation comm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command has been input.

또한,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command, when all of the input jobs are activated,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jobs is selected, and a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job is set The second command can be inputted.

또한,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으며, 선택 받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현재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command, when all of the inputted jobs are activated,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jobs is selected, and the oper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user And a second instruction for setting a working valu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nselected jobs to be a current value is received.

또한,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상기 활성화된 작업에 의해 바뀔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comm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jobs inputted is activated, the oper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one operation is set to be a value input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ther jobs that have not been activated can be changed by the activated job.

이처럼 본 발명은 로봇의 총 DOF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를 작업으로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을 활성화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지령 및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매개로 하여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로봇의 형상이 아닌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DOF, DH 파라미터 등 로봇의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로봇에 적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k variable that can constrain at least one DOF out of the total DOF of a robot is defined as a task, and a comman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defined task and a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task are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 the posture. In other words, it is applicable to all robots regardless of the shape of robot such as DOF and DH parameters because it is a method based on work rather than the shape of robot.

또한, 본 발명은 로봇의 능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동시에 2개 이상의 작업을 조합하여 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방법으로 로봇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activate two or more operations simultaneously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robot's capabilities, the robot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의 조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jointed-arm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 Fig.
3A to 3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G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hrough 5G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H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로봇의 총 DOF(Degrees Of Freedom)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를 작업(task)으로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을 활성화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지령 및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매개로 하여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한, 새로운 범용적인 다관절 로봇 조작 방안 제안한다. 여기서, 작업은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엔드 이펙터(end effector)의 위치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jointed-arm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task variable capable of restricting at least one DOF of the total DOF (Degrees of Freedom) of a robot is defined as a task, and a task corresponding to a command and a task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defined task This paper proposes a new general - purpose multi - joint robot manipulation method that controls the robot 's posture through the work variable. Herein, the task is a task in which the angle of an axis of at least one joint among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the position of an end effector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You can include a job defined by a vari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jointed-arm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는 다관절 로봇(100), 제어 장치(200), 입력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jointed-arm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jointed-arm robot 100, a control device 200, and an input device 300.

다관절 로봇(100)은 여러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링크들을 구비하고 자유로운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절 로봇(100)은 예컨대, 직각 좌표 로봇, 수평 다관절 로봇, 수직 다관절 로봇, 양팔 로봇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articulated robot 100 has links capable of moving at various angles and can take a free action. The articulated robot 100 may be, for example, a concept including a rectangular coordinate robot, a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a vertical articulated robot, and a two-armed robot.

제어 장치(200)는 다관절 로봇(100)과 입력 장치(300) 각각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 장치(300)로부터 전달 받은 지령에 따라 사용 가능한 로봇의 DOF가 구속되도록 다관절 로봇(1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rticulated robot 100 and the input device 300 so that the DOF of the usable robot is constrained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300 by the user'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robot 100.

입력 장치(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1 지령 즉, 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지령, 작업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제1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device 300 receives a first command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one job, that is,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activating a job, and a first deactivation command for deactivating a job,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command as a value input by a user's operation.

그 일예로, 입력 장치(300)는 제1 지령을 입력 받으면, 제1 지령에 따라 비활성화된 작업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작업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device 300 receives the first command, the input device 300 can activate the deactivated job and deactivate the activated job according to the first command.

다른 예로, 입력 장치(300)는 제1 지령에 따라 작업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task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first instruction, the input device 300 may receive a second instruction to set the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task to be a value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때, 입력 장치(300)는 제1 지령에 따라 작업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의 조작이 없으면 활성화된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의 초기값이 현재의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해당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device 300 judges that the second command for setting the initial value of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job to be the current value is input after the job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first command , It can be determined that a second instruction for setting the corresponding work variable to be the input value is input if the user's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입력 장치(300)는 다수의 작업이 활성화된 경우, 어떤 작업에 대해 제2 지령을 받을 것인지에 대한 식별과 함께 작업 변수의 설정값이 기재된 제2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Further, when a plurality of jobs are activated, the input device 300 can receive a second command describing a set value of the work variable, together with an identification as to which job to receive the second command.

또한, 입력 장치(300)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이 모두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을 선택 받고, 선택 받은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으며, 이 때 선택 받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현재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inputted jobs are activated, the input device 300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ed jobs, and if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job is a value And the second instruction for setting the task variable to be the second task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second instruction for setting the task variable for the other tasks that are not selected at this time.

또한, 입력 장치(300)는 입력된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활성화된 작업에 의해 바뀔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one of the input jobs is activated, the input device 300 receives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one activated job to be a value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 It can be judged that the work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 tasks that are not activated can be changed by the activated task.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표시부(340),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2, an input device 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n input unit 320, a control unit 330, a display unit 340, and a storage unit 350 .

통신부(310)는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각종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10)는 제1 지령과 제2 지령을 제어 장치에 송신하고,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지령과 제2 지령에 따라 처리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o transmit or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transmit the first instruction and the second instruction to the control device, and receive the processed result from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instruction and the second instruction.

입력부(320)는 메뉴 또는 키를 조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지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320 can receive a command from a user by operating a menu or a key.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 받은 제1 지령과 제2 지령을 제어 장치에 전달하고, 제어 장치로부터 제1 지령과 제2 지령에 따라 처리된 결과를 제공 받아 표시부(34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transmits the first command and the second command receiv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ed result according to the first command and the second command from the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340 .

표시부(340)는 제1 지령과 제2 지령에 따라 처리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340)에는 로봇의 자세와 입력된 모든 작업들의 현재 활성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40 can display the processed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instruction and the second instruction. That is, the display unit 340 may display the posture of the robot and the current activation status of all inputted jobs.

저장부(350)는 제1 지령과 제2 지령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the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first instruction and the second instruction.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의 조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A to 3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입력창(341), 입력된 작업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업 상태창(342), 로봇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 창(343)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3A to 3C,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sk input window 341 for inputting at least one task, a task status window 342 for displaying a status of an input task, , A monitoring window 343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robo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사용자는 작업 입력창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입력할 수 있고, 이렇게 입력된 작업은 작업 상태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 상태창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중 어느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이용하여 로봇을 조작하게 되면 조작된 로봇의 상태가 모니터링 창에 표시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t least one job through the job input window, and the inputted job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job status window. If the user manipulates the robot us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at least one task displayed in the work status window, the status of the operated robot can be displayed in the monitoring window.

도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작업을 입력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나의 작업을 입력 받으면, 입력된 작업 즉,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작업(Joint)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 case where one job is input is shown. That is, when one operation is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input work, that is, the angle of the axis of at least one join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the work variable {1,2,3,4,5,6 } Can be displayed.

여기서는 4개의 작업 Joint, Cartesian(위치+방향), Cartesian(위치), Cartesian(방향)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작업의 종류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four work Joints, Cartesian (position + direction), Cartesian (position), and Cartesian (direction) are register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도 3c를 참조하면, 다수의 작업을 입력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수의 작업을 입력 받으면, 입력된 작업 즉,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작업 Joint이 표시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지령을 추가적으로 입력 받으면, 제1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Cartesian(위치+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a case where a plurality of jobs are input is shown. That is, when a plurality of jobs are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input work, that is, the angles of the axe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set to the work variable {1,2,3,4,5,6 },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can be displayed in the job Cartesian (position + direction) defined by the work variable according to the first command have.

도 3d를 참조하면, 하나의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는 경우,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로봇의 베이스에 고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조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D, when one articulated robot is operate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one end effector can be manipulat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ixed to the base of the robot.

도 3e를 참조하면, 다수의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는 경우,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다른 엔트 이펙터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조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E, when a plurality of articulated robots are operate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one end effector can be manipulated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other end effector.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4A to 4G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g를 참조하면, 6 자유도를 갖는 수직 다관절 로봇의 DOF를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도 4a에서 2개의 작업 즉,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제1 작업,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x, y, z), (α, β, γ)}로 정의된 제2 작업이 입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4A to 4G, a process of operating the DOF of a vertical articulated robot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is described. In FIG. 4A, two operations, that is, at least one joint among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X, y, z), (?,?,?)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defined as the work variables { } Is input to the second job.

도 4b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작업 Joint이 활성화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4B, when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first task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angle of the axi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according to the inputted first activation command is set to the task variable { 1, 2, 3, 4, 5, 6}.

도 4c에서는, 제1 작업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1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4C shows that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is set to the input value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job is activated.

도 4d에서는, 제1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작업 Joint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4D, when the first deactivation command receiv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first operation is input, the angle of the axis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changed The work joint defined by the variable {1,2,3,4,5,6} is deactivated.

도 4e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Cartesian(위치+방향)이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4E, when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job is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defined as a work Cartesian (position + direction) defined by the work variable according to the inputted first activation command It shows that it is activated.

도 4f에서는, 제2 작업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2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In FIG. 4F, it is shown that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is set to the input valu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job is activated.

도 4g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Cartesian(위치+방향)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In FIG. 4G, when a first de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job is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defined as a work Cartesian (position + direction) defined by the work variable according to the first deactivation command Indicating that it is inactive.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5A through 5G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면, 6 자유도를 갖는 수직 다관절 로봇의 DOF를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도 5a에서는 3개의 작업 즉,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1,2,3,4,5,6}로 정의된 제1 작업, 엔드 이펙터의 위치가 작업 변수{x, y, z}로 정의된 제2 작업,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α, β, γ}로 정의된 제3 작업이 입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5A to 5G, a process of operating a DOF of a vertical articulated robot having six degrees of freedom is described. In FIG. 5A, three operations, that is, at least one joint among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A first operation in which the angle of the axis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1,2,3,4,5,6}, a second oper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end effector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x, y, z} Shows that the third task defined by this work variable {alpha, beta, gamma} has been input.

도 5b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아서,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가 작업 변수{x, y, z}로 정의된 제2 작업이 활성화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에 의해 제3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받아서,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α, β, γ}로 정의된 제3 작업이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5B,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operation is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end effector is set to the second operation defined by the operation variable {x, y, z} And receives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third operation by an additional operation of the user to show that the third opera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is defined as the work variable {alpha, beta, gamma} is activated.

도 5c에서는, 제2 작업과 제3 작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2개의 작업 중 제2 작업이 선택되고, 제2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2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3 작업도 활성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초기값으로 구속되어 변하지 않게 된다.In FIG. 5C, the second operation among the activated two operations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third operation are activated, and the oper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ration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for the second operation Is set to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job is also activated,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job is bound to the initial value and does not change.

도 5d에서는, 계속해서 활성화된 2개의 작업 중 제3 작업이 선택되고, 제3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3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2 작업도 활성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설정값을 유지하게 된다.FIG. 5D shows that the third task is selected from among the two tasks that are continuously activated and the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task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for the third task is set to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job is also activated,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b maintains the set value.

도 5e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제2 작업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In FIG. 5E, when the first de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task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second task defined by the position of the end effector as the work variable is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deactivation command.

도 5f에서는, 제3 작업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3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3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1 작업과 제2 작업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작업과 제2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변경될 수 있다.5F shows that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for the third job in the state where only the third job is activated is set as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job and the second job are inactivated, the job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b and the second job can be changed.

도 5g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3 작업에 대한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제3 작업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In FIG. 5G, when a deactivation command for the third task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third task whos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work variable is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deactivation command.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로봇 조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to 6H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the articulated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h를 참조하면, 7 자유도를 갖는 수직 다관절 로봇의 DOF를 조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도 6a에서 2개의 작업 즉,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3}로 정의된 제1 작업,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x, y, z), (α, β, γ)}로 정의된 제2 작업이 입력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6A to 6H, a process of operating a DOF of a vertical articulated robot having seven degrees of freedom is described. In FIG. 6A, two operations, that is, operations of one axis of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Shows that the second task is defined in which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end effector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x, y, z), (α, β, γ) Giving.

도 6b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x, y, z), (α, β, γ)}로 정의된 제2 작업이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6B, when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job is input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set to the work variable {(x, y, z), , β, γ)} is activated.

도 6c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작업에 대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복수 개의 관절 중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3}로 정의된 제1 작업이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6C, when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the first operation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angle of the axis of one of the plurality of joints is defined as the work variable {3} according to the inputted first activation command This shows that the first operation is activated.

도 6d에서는, 제1 작업과 제2 작업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2개의 작업 중 제1 작업이 선택되고, 제1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1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2 작업도 활성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초기값으로 구속되어 변하지 않게 된다.In FIG. 6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job and the second job are activated, the first one of the two activated jobs is selected, and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for the first job Is set to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job is also activated,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ob is bound to the initial value and does not change.

도 6e에서는, 계속해서 활성화된 2개의 작업 중 제2 작업이 선택되고, 제2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2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1 작업도 활성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는 설정값을 유지하게 된다.FIG. 6E shows that the second task is selected from among the two tasks that are continuously activated, and the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ask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for the second task is set to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job is also activated, the job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b maintains the set value.

도 6f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작업에 대한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제2 작업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6F, when the first deactivation command for the second task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deactivation command and the second task defined by the work variable is deactivated have.

도 6g에서는, 제1 작업만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작업에 대한 제2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제1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입력된 값으로 설정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1 작업만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변경될 수 있다.FIG. 6G shows that the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job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cond command for the first job in the state where only the first job is activated is set to the input value. At this time, since only the first job is activated, the job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 jobs that are not activated can be changed.

도 6h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작업에 대한 제1 비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으면, 입력 받은 제1 비활성화 지령에 따라 복수 개의 관절 중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3}로 정의된 제1 작업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6H, when a first deactivation command for the first job is input by the user's operation, the angle of the axis of one of the plurality of joints is defined as the work variable {3}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deactivation command Indicating that the first task is deactivated.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다관절 로봇
200: 제어 장치
300: 입력 장치
100: articulated robot
200: Control device
300: input device

Claims (15)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봇의 총 DOF(Degrees Of Freedom)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가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제2 지령을 전달 받고 그 전달 받은 제2 지령에 따라 상기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으로 설정하는 제2 지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상기 활성화된 작업에 따라 변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activating at least one task in which a work variable defining a DOF of at least one DOF among total DOFs of the robot is defi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1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wor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activated work according to an activation command; And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econd command from the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ceived second command,
The input device includes: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task as an input valu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when the task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input first activation command,
And determines that the work variab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ther tasks that are not activa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ctivated tas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은, 상기 로봇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관절 중 적어도 하나의 관절이 갖는 축의 각도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가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방향이 작업 변수로 정의된 작업을 포함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is a task in which an angle of an axis of at least one joint among a plurality of joints constituting the robot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a position in which at least one end effector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workpiece is defined as a work variabl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상기 로봇의 베이스에 고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end effector are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fixed to a base of the robo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어느 하나의 엔드 이펙터의 위치와 방향은 상기 로봇의 다른 엔드 이펙터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one of the end effectors of the robot is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other end effector of the robo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 활성화 지령 또는 제2 지령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입력창, 상기 입력된 작업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작업 상태창, 상기 작업에 따른 로봇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링 창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device includes:
A work input window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and the second command, a work status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input job, and a monitoring window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job A device for manipulating a multi-joint robot to display on a screen.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봇의 총 DOF(Degrees Of Freedom) 중 적어도 하나의 DOF를 구속할 수 있는 작업 변수가 정의된 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 활성화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으면, 상기 입력 받은 제2 지령에 따라 상기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령을 입력 받는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 받은 제1 활성화 지령에 따라 다수의 작업 중 하나의 작업이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하나의 작업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값이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지령을 입력 받고,
활성화되지 않은 다른 작업 각각에 해당하는 작업 변수들은 상기 활성화된 작업에 의해 변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다관절 로봇을 조작하기 위한 방법.
Receiving a first activation command for activating a task in which a work variable defining a DOF of at least one of DOFs (Degrees of Freedom) of the robot is defin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Receiving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a task variabl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ask activated according to the first activation command; And
And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instruction when the second instruction is inputted,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cond instruction,
If one of the plurality of jobs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activation command, a second command for setting the oper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the activated one operation to be a value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under,
And determines that the work variab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ther tasks that are not activated can be changed by the activated tas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38324A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KR101969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24A KR101969727B1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CN201711047750.4A CN109693250A (en) 2017-10-24 2017-10-31 For operating the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of articulated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324A KR101969727B1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727B1 true KR101969727B1 (en) 2019-04-17

Family

ID=6623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324A KR101969727B1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9727B1 (en)
CN (1) CN10969325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378A (en) * 1992-09-22 1994-04-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teaching robot track
KR20130066689A (en) 2010-12-28 2013-06-20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Control device and teaching method for seven-shaft multi-joint robot
JP6181861B2 (en) * 2014-05-01 2017-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eaching data creation apparatus and creation method for articulated robo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0775A1 (en) * 1997-09-17 1999-03-18 Focke & Co Control system for especially palletizing systems with robots
JP2002113675A (en) * 2000-10-11 2002-04-16 Sony Corp Robot control system and introducing method for robot controlling software
KR20140067701A (en) * 2012-11-27 201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ortable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75847B2 (en) * 2013-01-18 2016-06-28 Irobot Corpor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mobile robots and methods using same
EP2933070A1 (en) * 2014-04-17 2015-10-21 Aldebaran Robotics Methods and systems of handling a dialog with a robo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378A (en) * 1992-09-22 1994-04-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teaching robot track
KR20130066689A (en) 2010-12-28 2013-06-20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Control device and teaching method for seven-shaft multi-joint robot
JP6181861B2 (en) * 2014-05-01 2017-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eaching data creation apparatus and creation method for articulated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3250A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344B2 (en) Robot system
US10166673B2 (en) Portable apparatus for controlling robot and method thereof
CN110026977B (en) Robot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assembly system
JP5686775B2 (en) Method for dynamic optimization of robot control interface
Mokaram et al. A ROS-integrated API for the KUKA LBR iiwa collaborative robot
EP3342562A1 (en) Remote control robot system
JP6450960B2 (en) Robot, robot system and teaching method
US10981278B2 (en) Robot system
CN106891321B (en) Working device
Yepes et al.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based teleoperatio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 KUKA-KR6 robot by using sensor fusion
JP6904759B2 (en) Robot movement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839979B2 (en) Dual mode free-drive of robot arm
US10315305B2 (en) Robot control apparatus which displays operation program including state of additional axis
Chan et al. A multimodal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gestures, and tactile feedback for robot trajectory programming and execution
WO2015137162A1 (en) Control device, robo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data
Sharp et al. Semiautonomous dual-arm mobile manipulator system with intuitive supervisory user interfaces
KR101969727B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multi-joint robot and method thereof
US11975454B2 (en) Program gener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Selvaggio et al. Towards a self-collision aware teleoperation framework for compound robots
JP2019081204A (en) Robot control method, control terminal, and robot system
JP5272447B2 (en) Numerical control machine operation simulator
Beeson et al. Cartesian motion planning & task programming with CRAFTSMAN
US20220024029A1 (en) Teaching Control Method For Robot, Robot System, And Computer Program
Mousavi Mohammadi et al. A real-time impedance-based singularity and joint-limits avoidance approach for manual guidance of industrial robots
US10784799B2 (en) Electric motor capacity selection device, capacity selection method, and capacity selec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