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40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640B1
KR101953640B1 KR1020180028199A KR20180028199A KR101953640B1 KR 101953640 B1 KR101953640 B1 KR 101953640B1 KR 1020180028199 A KR1020180028199 A KR 1020180028199A KR 20180028199 A KR20180028199 A KR 20180028199A KR 101953640 B1 KR101953640 B1 KR 10195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se
driving
drive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9236A (en
Inventor
육형규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640B1/en
Publication of KR2018007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236A/en
Priority to KR1020190021348A priority patent/KR1024606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휠 커버; 상기 휠 커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휠 커버에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와 상기 구동 모듈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wheel cover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 drive module movably coupled to the wheel cover up and down; A drive wheel coupled to the drive modul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module; A guide bar coupled to the wheel cover and disposed vertically, the guide bar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drive modul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cover and the driving module, respectively, and absorbs an impact when the driving module is moved up and down.

Description

청소기{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 본체의 이동을 위한 구동휠을 구비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driving wheel for moving a cleaner main body.

청소기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걸레질을 통하여 청소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바닥에 대한 청소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청소기는 이동을 위한 휠을 포함한다.The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functions by suctioning dust or foreign matter or cleaning it. Generally, the vacuum cleaner performs a cleaning function on the floor, and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wheel for movement.

일반적으로 휠은 청소기 본체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굴림되어 청소기 본체를 바닥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노즐을 따라 스스로 이동하는 청소기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청소기에는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휠이 요구된다.Generally, the wheel is roll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leaner main body to move the cleaner main body relative to the floor. In recent years, however, a robotic vacuum cleaner has been developed which carries out cleaning while traveling by itself without user's operation, and a vacuum cleaner which moves by itself along a nozzle moved by a user's operation. A wheel is required.

청소기가 안정된 주행 성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바닥의 상태나 조건이 변하더라도 구동휠이 바닥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발생하는 충격이 완충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844호 (2016.10.21. 공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암에 구동휠이 연결되고, 탄성부재가 하우징과 구동암에 연결되어 구동암을 탄성 지지하는 서스펜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In order for the cleaner to have a stable running performance, the driving wheel must be grounded at the bottom even if the condition or condition of the floor changes, and the shock generated at this time should be buffered. In this connec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1844 (published on October 21, 2016), a drive wheel is connected to a drive arm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and an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drive arm, Of the suspension structure.

상기 구조는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서스펜션 성능에 차이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구동휠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양호한 서스펜션 성능을 가진다면, 구동휠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만큼의 서스펜션 성능이 확보되지 않는다.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has a difference in suspensio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For example, if the driving wheel has a good suspension performan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uspension performance is not ensured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counterclockwise, as long as the driving wheel rotates clockwise.

또한, 상기 구조에서 기어부가 내장된 구동암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가 연결되고, 구동암의 타측에는 구동휠이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 구동암 및 구동휠의 공간이 각각 필요하므로, 이들이 청소기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drive moto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e arm having the gear portion in the above structure, and a drive wheel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rive arm.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required for the driving motor, the driving arm, and the driving wheel is required, respectively, so that they occupy a large space in the vacuum cleaner.

그리고 구동 유닛이 어느 정도 모듈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구동 유닛의 장착 공정과는 별개로 구동 모터와 전원 유닛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연결 공정이 필요하며, 최종 조립시 구동 유닛과는 별개의 구성(예를 들어, 커버)이 추가로 장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조립 구조는 불량률을 높이며, 보수 등을 위한 분해시 다른 구성들이 파손되는 2차 불량을 야기하기도 한다.Although the drive unit is modularized to a certain degree, a wiring connection process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required separately from the drive unit mounting process. For example, a cover) may be additionally mounted. Such a complicated assembling structure raises the defect rate and causes a secondary defect in which the other components are broken at the time of disassembly for repair or the like.

아울러, 청소기 본체가 장애물에 걸려 구동휠이 헛돌거나,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 본체가 들어올려졌을 때에도 구동휠이 계속 회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안정성, 사용자 감성 등의 측면에서 고급화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driving wheel continuously rotates when the cleaner main body is caught by an obstacle and the driving wheel is idled or the cleaner main body is lifted by the user. This can be an obstacle to high-end in terms of stability and user's sensitiv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844호 (2016.10.2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1844 (published on October 21, 2016)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서스펜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exhibiting the same suspension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구동휠의 구동과 관련된 구조가 소형화된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s is miniaturized.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구동휠의 구동과 관련된 구조를 쉽게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고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보수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which can easil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구동휠이 바닥면과 닿지 않았을 때 이를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구동휠의 회전을 제어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physically senses when the drive wheel does not contact the floor surface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drive wheel.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휠 커버; 상기 휠 커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휠 커버에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와 상기 구동 모듈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wheel cover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 drive module movably coupled to the wheel cover up and down; A drive wheel coupled to the drive modul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module; A guide bar coupled to the wheel cover and disposed vertically, the guide bar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drive modul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cover and the drive module, respectively,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drive module moves up and down.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휠 하우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유성기어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휠 하우스에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하우스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drive module including a case coupled to the wheel house of the cleaner body movably up and down, a drive motor mounted to the case, and a planetary gear set for reducing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devic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 guide bar coupled to the wheel house and vertically disposed, the guide bar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case and guiding the case up and down;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 house and the case and absorbs an impact when the case is moved up and down.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휠 커버; 상기 휠 커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유성기어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및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 상에 놓이며,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는 상기 유성기어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wheel cover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 drive module including a case movably coupled to the wheel cover, a drive motor mounted to the case, and a planetary gear set for reducing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devic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a suspension for guid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ase and absorbing an impact upon up-down movement of the case, wherein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wheel are on the same axi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lanetary gear device is formed.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휠 하우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유성기어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및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 상에 놓이며,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는 상기 유성기어장치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drive module including a case coupled to the wheel house of the cleaner body movably up and down, a drive motor mounted to the case, and a planetary gear set for reducing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devic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nd a suspension for guid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ase and absorbing an impact upon up-down movement of the case, wherein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wheel are on the same axis, And can be achieved by a vacuum cleaner in which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planetary gear device is formed.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저부에 상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의 개구와 마주하는 상기 장착부의 내부면에는 제1커넥터가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휠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상기 휠 어셈블리가 상기 장착부에 수용시 상기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가 구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to be recessed upward; And a wheel assembly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wherein a first connector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facing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the wheel assembly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assembly And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청소기는, 상기 휠 어셈블리가 상기 장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휠 어셈블리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wheel assembly to the cleaner main body while the wheel assembly is housed in the mounting unit.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휠 커버; 상기 휠 커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상기 휠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이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상기 구동 모듈의 돌기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로 가압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wheel cover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 drive module movably coupled to the wheel cover up and down; A drive wheel coupled to the drive modul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module; A suspension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and absorbing an impact when the drive module is moved up and down; A link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cover and rotated by contacting the projection of the driving module when the driving module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and transmits a pres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휠 하우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유성기어장치를 구비하는 구동 모듈; 상기 유성기어장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휠 하우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가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돌기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로 가압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drive module including a case coupled to the wheel house of the cleaner body movably up and down, a drive motor mounted to the case, and a planetary gear set for reducing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wheel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devic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 link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house and rotated in contact with a projection formed on the case when the case is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and transmits a pres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상술한 발명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nventions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휠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구동휠에 전달하는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may include a cas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ar passes; A drive motor mounted on the case; And a planetary gear device that connects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wheel, decelerates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ransmits the decelerated rotation to the drive wheel.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는 제1유성기어부; 및 상기 제1유성기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구동휠과 연결되는 제2유성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netary gear device includes: a first planetary gear unit interlocked with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second planetary gear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and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부를 수용하는 메인 케이스;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부를 수용하는 미들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성기어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includes a main case having the through-hole, the main case being mounted with the driving motor and receiving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A middle case coupled to the main case and disposed to cover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the middle case receiving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And a front case coupled to the middle case and disposed to cover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상기 제1유성기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메인 케이스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1선기어를 수용하는 제1링기어; 상기 제1선기어 및 제1링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선기어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며 상기 제1선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 및 상기 복수의 제1유성기어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includes: a first sun gear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 first ring gear formed in the main case and accommodating a first sun gear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that engage with the first sun gear and the first ring gear and revol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un gear and revolve around the first sun ge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un gear, Gear; And a first cage rotatably supporting a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상기 제2유성기어부는, 상기 제1케이지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 상기 미들 케이스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2선기어를 수용하는 제2링기어; 상기 제2선기어 및 제2링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선기어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며 상기 제2선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 및 상기 복수의 제2유성기어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includes: a second sun gear formed on the first cage; A second ring gear formed in the middle case and accommodating a second sun gear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engaged with the second sun gear and the second ring gear and revol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un gear and revolving about the second sun ge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un gear, Gear; And a second cage rotatably supporting a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상기 제2케이지에는 상기 구동휠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휠이 결합홈과 맞물리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age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for engaging the driving wheel with the coupling groove to prevent the driving wheel from being idle.

상기 휠 커버 또는 상기 휠 하우스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wheel cover or the wheel house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guide bar is fixed; And a second fixing part formed to face the first fixing part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guide bar, wherein the case is vertically movabl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the guide bar And can be configured to be movable.

상기 케이스가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고정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ase may be hooked to the second fixing part when the case is moved downward by a certain distanc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case,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p driving the driving motor when the switch is pressed.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돌기가 위치하는 상기 휠 커버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가 위치하는 상기 휠 커버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link that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wheel cover where the projection is located;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wheel cover on which the switch is located.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휠과 결합된 구동 모듈이 가이드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탄성부재가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접지 기능과 충격 완충 기능이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발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dule coupled to the driving wheel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and the elastic member absorbs impact generated when the driving module is moved up and down, Can be exerted uniformly irrespective of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둘째,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구동휠에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유성기어장치로 구성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구동휠의 회전축이 동일한 축 상에 놓이며, 유성기어장치가 구동휠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구동휠의 구동과 관련된 구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의 소형화 내지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먼지통)의 부피 증대에 이바지할 수 있다.Second, a gear device for reduc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nd transmitting the drive motor to the drive wheel is constituted by a planetary gear device,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wheel are on the same axis, and the planetary gear devic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can be miniaturized. This may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of the vacuum cleaner or to increase the volume of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dust bin).

셋째, 휠 어셈블리를 청소기 본체에 형성된 장착부에 끼우면, 장착부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가 휠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접속되도록 구성되므로, 청소기 본체에 대한 휠 어셈블리의 장착 및 전기적 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휠 어셈블리의 문제 발생시 청소기 본체에서 휠 어셈블리만을 분리하여 점검, 수리, 교체 등을 할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ird, when the wheel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cleaner main body, the first connector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provided on the wheel assembly, so that mount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leaner main body is easy have. In addition, since the wheel assembly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in the event of a problem of the wheel assembly, it can be inspected, repaired, replaced, and the like.

넷째, 구동 모듈이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구동 모듈의 돌기가 링크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링크부재가 스위치를 가압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휠이 바닥면과 닿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동휠의 회전이 제어(예를 들어,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Fourth, when the drive module mov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 occurs a situation in which the projection of the drive module rotates the link member, and the drive wheel does not touch the floor surface by the mechanism in which the rotated link member presses the switch The rotation of the drive wheel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stopped). According to this,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휠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의 저부에 휠 어셈블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휠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9는 도 3의 휠 어셈블리를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휠 어셈블리에서 구동휠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구동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3의 휠 어셈블리를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3의 휠 어셈블리에서 구동 모듈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정면(a)과 배면(b)에서 각각 보인 개념도들.
도 15는 도 3의 휠 어셈블리에서 구동 모듈이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정면(a)과 배면(b)에서 각각 보인 개념도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링크부재를 보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wheel assembly of Fig. 2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FIGS. 5 and 6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at the wheel assemb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shown in FIG. 2. FIG.
Figures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wheel assembly of Figure 3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assembly of Figure 3 taken along line AA;
FIG. 10 and FIG. 11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is moved upward and the wheel is moved downward in the wheel assembly of FIG. 3;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odule shown in Fig.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assembly of Figure 3 taken along line BB;
FIG. 1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module is moved upward in the wheel assembly of FIG. 3, in front view (a) and rear view (b), respectively.
FIG. 1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module is moved downward in the wheel assembly of FIG. 3, in a front view (a) and a rear view (b), respectively.
1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link membe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lean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obscur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water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소기(100)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acuum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100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서는 청소기(100)의 일 예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100)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바닥의 청소에는,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거나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이 포함된다.1 and 2 illustrate a robot cleaner 100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leaning a floor while traveling in a certain area by itself. Cleaning of the floor mentioned here includes suction of dust and foreign matter on the floor or mopping the floor.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 및 구동휠(123)을 포함한다.The cleaner 100 includes a cleaner main body 110 and a drive wheel 123.

청소기 본체(110)는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각종 부품들이 내장 또는 장착된다.The cleaner main body 1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100.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1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100.

청소기 본체(110)에는 주행을 위한 구동휠(123)이 구비된다. 구동휠(123)은 구동 모터(122b)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 모터(122b)의 회전 방향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휠(123)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123 for traveling. The driving wheel 123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22b.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motor 122b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us the driving wheel 123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another direction.

구동휠(123)은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동휠(123)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는 전후좌우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휠(123)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구동휠(123)은 서로 다른 구동 모터(122b)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The driving wheels 123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respectively. The cleaner main body 11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leftward or rightward by the drive wheel 123. Each of the driving wheels 123 can be configured to be dri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this end, each drive wheel 123 may be driven by a different drive motor 122b.

청소기(100)에는 보조휠(1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휠(140)은 구동휠(123)과 함께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며, 구동휠(123)에 의한 청소기(100)의 주행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vacuum clean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wheel 140. The auxiliary wheel 140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110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123 and assists the traveling of the cleaner 100 by the driving wheel 123.

청소기(100)는 청소 기능에 따라 흡입부(150) 또는 걸레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leane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uction unit 150 and a mop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 cleaning function.

청소기(100)가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될 경우, 청소기(100)는 흡입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부(150)는 모터(미도시)와 팬(미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vacuum cleaner 100 is configured to suck dust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the vacuum cleaner 100 may have a suction unit 150. The suc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foreign matter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motor (not shown) and a fan (not shown). The suction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or may protrude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흡입부(150)는 먼지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개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바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에는 회전 구동에 의해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15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보조휠(140)은 흡입부(150)에도 구비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50 may include an opening (not shown) for sucking air containing dust and foreign matter. The opening may be formed to face the bottom. The brush unit 151 configured to sweep the dust on the floor by rotary driving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opening. The auxiliary wheel 14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uction unit 150.

흡입부(15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먼지통(160)에 집진되고, 먼지와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는 청소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흡입부(150)에서 먼지통(160)까지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흡기 유로(미도시)와, 먼지통(160)에서 청소기(100) 외부까지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배기 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160)에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또는 사이클론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150 are filtered and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60 and air in which dust and foreign matter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100.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intake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the flow of the air from the suction portion 150 to the dust container 160 and a flow passage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the dust container 160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100 An exhaust passage (not shown) for guiding can be formed. The dust container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lter and a cyclone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청소기(100)는 먼지통(160)을 덮는 먼지통 덮개(17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지통 덮개(170)가 먼지통(16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먼지통 덮개(170)에 의해 먼지통(160)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cleaner 100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case 170 covering the dust container 160. The dust container 1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the dust container case 170 when the dust container case 170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60. [

본 도면에서는, 먼지통 덮개(170)가 청소기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먼지통 덮개(170)는 먼지통(160) 또는 청소기 본체(110)에 고정되어 먼지통(160)의 상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figure, the dust container case 170 is hing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be rotatable. The dust container cover 170 may be fixed to the dust container 160 or the cleaner body 11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60.

청소기(100)가 바닥을 걸레질하도록 구성될 경우, 청소기(100)는 걸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걸레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vacuum cleaner 100 is configured to wipe the floor, the vacuum cleaner 100 may have a mop. The mop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걸레부는 흡입부(150)를 대체하여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걸레부는 브러시 유닛(151)을 대체하여 흡입부(150)의 개구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흡입부(150) 또는 걸레부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The mop part can be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in place of the suction part 150. Alternatively, the mop part can be attached to the opening of the suction part 150 in place of the brush unit 151. [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mount the suction unit 150 or the mo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leaning.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주변 상황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부(180)를 통하여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지형 지물을 감지하거나,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180 for sensing the circumstan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control unit can sense an obstacle, detect a land feature, or generate a map of a driving area through the sensing unit 180. [

이하에서는, 청소기(100)에 구비되는 구동휠(123)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wheel 123 provided in the vacuum clean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휠 어셈블리(12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휠 어셈블리(1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인 개념도들이다.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2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 5 and FIG. 6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wheel assembly 1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110 shown in FIG. Are combined.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휠 어셈블리(12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듈(122), 상기 구동 모듈(12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123), 그리고 구동 모듈(122)과 구동휠(123)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휠 커버(121)를 포함한다. 휠 어셈블리(120)는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3 to 6, the wheel assembly 120 includes a driving module 122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driving wheel 123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dule 122, And a wheel cover 121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and the driving wheel 123. The wheel assembly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이를 위하여, 청소기 본체(110)에는 휠 어셈블리(120)를 수용하는 장착부(110a)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장착부(110a)가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상부를 향하도록 리세스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o this end, a mounting portion 110a for receiving the wheel assembly 120 is form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 In this figure, the mounting portion 110a is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장착부(110a)의 내부면에는 제1커넥터(130)가 배치된다. 제1커넥터(130)는 장착부(110a)의 개구(110a')와 마주하는 장착부(110a)의 내부면에 상기 개구(110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13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or 13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a. The first connector 1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pening 110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10a facing the opening 110a' of the mounting portion 110a. The first connector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휠 어셈블리(120)에는 제2커넥터(127)가 구비된다. 제2커넥터(127)는 휠 어셈블리(120)의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커넥터(127)는 구동 모듈(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20)와 상기 전자 부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선(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휠 커버(1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wheel assembly 12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or 127. The second connector 12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of the wheel assembly 120.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or 12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dule 122. An electric wire (not shown) may be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heel assembly 120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electric wir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heel cover 121.

휠 어셈블리(120)가 장착부(110a)에 수용시, 제2커넥터(127)는 제1커넥터(130)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장착부(110a)에 수용시 상기 내부면과 마주하는 휠 어셈블리(120)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130)에 대응되는 제2커넥터(127)가 구비된다.The second connector 127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30 when the wheel assembly 120 is receiv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a. The second connector 127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assembly 120 facing the inner surface when the mounting portion 110a is accommodated.

제1커넥터(130)와 제2커넥터(127)의 접속 방향은 휠 어셈블리(120)가 장착부(110a)에 수용되는 방향에 대응된다. 장착부(110a)는 휠 어셈블리(120)의 수용을 가이드하여, 제1커넥터(130)와 제2커넥터(127)가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second connector 127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heel assembly 120 is receiv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a. The mounting portion 110a guides the reception of the wheel assembly 12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30 and the second connector 127 can be connected at the correct positions.

상술한 구조에 따라, 휠 어셈블리(120)를 청소기 본체(110)에 형성된 장착부(110a)에 끼우면, 장착부(110a)에 구비되는 제1커넥터(130)가 휠 어셈블리(120)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127)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10)에 대한 휠 어셈블리(120)의 장착 및 전기적 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휠 어셈블리(120)의 문제 발생시 청소기 본체(110)에서 휠 어셈블리(120)만을 분리하여 점검, 수리, 교체 등을 할 수 있으므로,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When the wheel assembl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10a form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connector 130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0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27. Therefore, mount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wheel assembly 120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wheel assembly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only when the wheel assembly 120 is in trouble, it can be inspected, repaired, replaced, and the like.

휠 어셈블리(120)가 장착부(110a)에 수용되고 제1 및 제2커넥터(130, 127)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휠 어셈블리(120)는 체결부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는 휠 어셈블리(120)와 장착부(110a) 간의 후크 결합 구조, 스크류 체결 구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부가 휠 커버(121)에 형성되는 체결홀(121d) 및 상기 체결홀(121d)을 관통하여 청소기 본체(110)에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부재(111)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wheel assembly 120 is firmly fix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the fasten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wheel assembly 120 is received in the mount portion 110a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30 and 127 are interconnected .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hook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wheel assembly 120 and the mounting part 110a, a screw fastening structure, or the like. In this figure, the fasten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astening hole 121d formed in the wheel cover 121 and a fastening member 111 screwed to the cleaner body 11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21d.

제2커넥터(127)는 상술한 구동 모듈(122)뿐만 아니라 스위치(126), 클리프 센서(129) 등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127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126, the cliff sensor 129, and the like as well as the driving module 122 described above.

스위치(126)는 구동휠(123)의 처짐에 따른 하방향 이동을 감지하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switch 126 senses a downward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 123 due to sagging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sensing signal.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클리프 센서(129)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며, 발광부에서 바닥으로 조사된 광이 수광부에서 수신된 시간을 측정하여 클리프 센서(129)와 바닥 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방에 급격하게 낮아지는 단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전방에 낭떠러지가 있는 경우에는, 수광부로 광이 수신되지 않게 된다.The cliff sensor 129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nd measures the time at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to the bottom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there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liff sensor 129 and the floor.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sudden lowering step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ceived time rapidly increases. When there is a cliff in front,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따라서, 클리프 센서(129)에 의해 휠 어셈블리(120) 하측의 지형이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는 클리프 센서(129)를 통하여 하방의 지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구동 모듈(12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청소기(100)가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동 모듈(122)에 반대 방향의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청소기(100)가 회전하도록 어느 하나의 휠 어셈블리(120)의 구동 모듈(122)에만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좌우 양측 휠 어셈블리(120)에 서로 다른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refore, the terrain on the lower side of the wheel assembly 120 can be detected by the cliff sensor 129.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122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wnward terrain is lower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rough the cliff sensor 129.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apply a driving signa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module 122 so that the vacuum cleaner 100 travels in the opposite direc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module 122 of one of the wheel assemblies 120 or apply different driving signals to the left and right wheel assemblies 120 so that the vacuum cleaner 100 rotates.

한편, 상술한 장착시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는 구조는 청소기 본체(110)에 대한 휠 어셈블리(120)의 장착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조는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 어느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s not limited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wheel assembly 120 with respect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above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0. [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0)가 장착된다. 배터리(190)는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battery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vacuum cleaner 100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he battery 190 is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detachable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배터리 수용부는 배터리(19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와 마주하는 내부면에는 제3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된다.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시 상기 내부면과 마주하는 배터리(190)의 상면에는 제3커넥터에 대응되는 제4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배터리(190)가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되면, 제3커넥터와 제4커넥터가 상호 접속될 수 있다.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190, and a third connecto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pening. A fourth connector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nector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190 facing the inner surface when the battery is hous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battery 190 is received in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the third connector and the fourth connector can be interconnected.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휠 어셈블리(120)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9는 도 3의 휠 어셈블리(120)를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S.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3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3 taken along line A-A.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휠 어셈블리(120)는 휠 커버(121), 구동 모듈(122), 구동휠(123) 및 서스펜션(124)을 포함한다.7 to 9, the wheel assembly 120 includes a wheel cover 121, a driving module 122, a driving wheel 123, and a suspension 124.

휠 커버(121)는 구동휠(123)과 구동 모듈(122)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휠 커버(121)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130)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127)가 구비되고, 휠 커버(121)의 하부에는 청소기 본체(110)와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111)가 관통하는 체결홀(121d)이 형성될 수 있다.The wheel cover 121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and the driving module 122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A second connector 127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ver 121 and a fastening member 111 for fixing the cleaner body 1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ver 121 A fastening hole 121d can be formed.

구동 모듈(122)은 구동력을 발생하여 구동휠(123)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휠 커버(12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 모듈(122)의 상하 이동은 서스펜션(124)의 가이드바(124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구동 모듈(12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riving module 122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wheel 123, and is coupled to the wheel cover 12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122 can be guided by the guide bar 124a of the suspension 124.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module 12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구동휠(123)은 구동 모듈(122)과 결합되고, 구동 모듈(12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휠(123)은 구동 모듈(122)과 함께 휠 커버(121)에 의해 상부가 덮인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riving wheel 123 is coupled to the driving module 122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dule 122. The driving wheel 123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top covered by the wheel cover 121 together with the driving module 122.

서스펜션(124)은 구동 모듈(12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구동 모듈(122)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 서스펜션(124)이 구비됨으로써, 구동휠(123)이 울퉁불퉁한 부분이나 턱을 넘어갈 때 청소기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이 경감될 수 있다.The suspension 124 guide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122 and absorbs the impact when the drive module 122 moves up and down. By providing the suspension 124, an impact applied to the cleaner main body 110 when the drive wheel 123 passes over a rugged portion or a jaw can be reduced.

서스펜션(124)은 가이드바(124a) 및 탄성부재(124b)를 포함한다.The suspension 124 includes a guide bar 124a and an elastic member 124b.

가이드바(124a)는 구동 모듈(12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바(124a)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구동 모듈(122)을 관통하여 휠 커버(121)의 상하로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가이드바(124a)가 구동 모듈(122)의 좌우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guide bar 124a is configured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122. [ The guide bar 124a is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and is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wheel cover 121 through the drive module 122. [ In this figure, the guide bars 124a ar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e module 122, respectively.

가이드바(124a)의 상하 양단부는 휠 커버(121)에 고정된다. 본 도면에서는, 가이드바(124a)의 상단부가 휠 커버(1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121a)에 고정되고, 가이드바(124a)의 하단부가 휠 커버(1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121b)에 고정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제1고정부(121a)와 제2고정부(121b)는 휠 커버(121)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bar 124a are fixed to the wheel cover 121. The upper end of the guide bar 124a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ver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124a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cover 121 And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heel cover 121. [

구동 모듈(122)은 제1고정부(121a)와 제2고정부(121b) 사이에서 가이드바(124a)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riving module 12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guide bar 124a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탄성부재(124b)는 구동 모듈(122)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24b)는 휠 커버(121)와 구동 모듈(1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부재(124b)가 가이드바(124a)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휠 커버(121)의 제1고정부(121a)와 구동 모듈(122)의 상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elastic member 124b is configured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drive module 122 is moved up and down. The elastic member 124b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cover 121 and the driving module 122,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 124b is formed of a coil spring that surrounds the guide bar 124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of the wheel cover 1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module 122 .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탄성부재(124b)와는 별도로, 휠 커버(121)의 제2고정부(121b)와 구동 모듈(122)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또 다른 탄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astic member 124b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of the wheel cover 12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module 122, It is possible.

도 10 및 도 11은 도 3의 휠 어셈블리(120)에서 구동휠(123)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10 and 11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is moved upward and the wheel is moved downward in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122)은 서스펜션(124)의 가이드바(124a)를 따라 휠 커버(12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휠(123)은 구동 모듈(122)에 결합되므로, 구동 모듈(122)과 함께 이동된다. 즉, 구동휠(123)은 구동 모듈(122)과 함께 휠 커버(121)에 의해 상부가 덮인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10 and 11, the driving module 12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heel cover 121 along the guide bar 124a of the suspension 124. As shown in FIG. The drive wheel 123 is coupled to the drive module 122 and therefore moves with the drive module 122. That is, the driving wheel 123 is configur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top covered by the wheel cover 121 together with the driving module 122.

구동 모듈(122)과 구동휠(123)의 상하 이동은 구동휠(123)이 바닥에 접지된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122 and the drive wheel 123 is closely related to the state where the drive wheel 123 is grounded on the floor.

도 10은 구동휠(123)이 바닥에 접지되어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고 있는 제1상태를 나타낸다. 즉, 청소기 본체(110)의 자중이 구동휠(123)에 실려 구동휠(123)이 위로 올라간 상태를 나타낸다.10 shows a first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is grounded on the floor and supports the cleaner main body 110. Fig. That is, the weight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loaded on the driving wheel 123 and the driving wheel 123 is lifted up.

상기 제1상태에서, 구동휠(123)은 휠 커버(121) 내에 최대로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23)의 중심은 휠 커버(121)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the drive wheel 123 is accommodated in the wheel cover 121 at the maximum. As shown, the center of the driving wheel 123 may be located in the wheel cover 121. [

도 11은 구동휠(123)이 바닥에 대한 접지를 잃은 제2상태를 나타낸다. 즉, 구동휠(123)이 바닥에 닿지 않아 구동휠(123)이 아래로 처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청소기 본체(110)가 장애물에 걸려 구동휠(123)이 헛돌거나,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가 들어올려졌을 때 구동휠(123)이 계속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Figure 11 shows a second state in which drive wheel 123 loses ground to the floor. That is, the driving wheel 123 does not touch the floor, and the driving wheel 123 is in a downward posi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as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rotates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caught by an obstacle or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lifted by the user.

상기 제2상태에서, 구동휠(123)은 휠 커버(121) 내에 최소로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123)의 중심은 휠 커버(12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the drive wheel 123 is received in the wheel cover 121 at a minimum. As shown, the center of the drive wheel 123 may be located below the wheel cover 121. [

청소기 본체(110)가 주행하는 동안 바닥의 상태나 조건에 따라 바닥에 대한 구동휠(123)의 접지 상태는 달라질 수 있다. 구동휠(123)은 주행 과정에서 바닥에 대한 접지 상태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제1상태와 도 11에 도시된 제2상태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이때 탄성부재(124b)는 구동휠(123)과 연결된 구동 모듈(122)을 탄성 지지한다.The ground state of the driving wheel 123 with respect to the floor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r condition of the floor while the cleaner main body 110 travels. The driving wheel 123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first state shown in Fig. 10 and the second state shown in Fig. 11 depending on the groun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in the running process, 123 and the driving module 122 connected thereto.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접지 기능과 충격 완충 기능이 구동휠(123)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00)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grounding function and the shock buffering function can be exerted uniformly irrespective of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Therefore,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acuum cleaner 100 can be improved.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구동 모듈(12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3의 휠 어셈블리(120)를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odule 122 shown in Fig. 7,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122)은 케이스(122a), 구동 모터(122b) 및 유성기어 장치를 포함한다.12 and 13, the drive module 122 includes a case 122a, a drive motor 122b, and a planetary gear device.

케이스(122a)에는 가이드바(124a)가 관통하는 관통홀(122a1a)이 형성된다. 관통홀(122a1a)은 케이스(122a)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2a)는 가이드바(124a)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A through hole 122a1a through which the guide bar 124a passes is formed in the case 122a. The through holes 122a1a may be form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122a. The case 122a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124a.

케이스(122a)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122b)가 장착된다. 구동 모터(122b)는 제2커넥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drive motor 122b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122a. And the driving motor 122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7. [

유성기어장치(122c)는 구동 모터(122b)와 구동휠(123)을 연결하고, 구동 모터(122b)의 회전을 감속시켜 구동휠(123)에 전달한다. 유성기어장치(122c)는 케이스(122a)의 타측에 구비된다.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connects the drive motor 122b and the drive wheel 123 and decelerates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2b and transmits the decelerated rotation to the drive wheel 123b.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22a.

유성기어장치(122c)는 1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유성기어장치(122c)가 2단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may be configured in one or more stages. In the figure, it is shown that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composed of two stages.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에는 선기어가 장착되고, 복수의 유성기어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지에는 구동휠(123)이 장착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과 구동휠(123)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 상에 놓이게 된다.A sun gear is mounted on a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122b, and a drive wheel 123 is mounted on a cage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With this structure,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2b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wheel 123 are on the same axis.

앞선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구동휠(123)의 내측에는 구동 모듈(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23a)가 형성된다. 유성기어장치(122c)는 수용부(123a)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유성기어장치(122c)의 둘레가 구동휠(12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유성기어장치(122c)가 보이지 않게 된다.6 and 8, a receiving portion 123a for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module 12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riving wheel 123. As shown in FIG.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23a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may be surrounded by the drive wheels 123. [ Therefore,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not visible outside.

이처럼 구동 모터(122b)의 회전을 감속시켜 구동휠(123)에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유성기어장치(122c)로 구성되어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과 구동휠(123)의 회전축이 동일한 축 상에 놓이며, 유성기어장치(122c)가 구동휠(123)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23a)에 수용됨으로써, 구동휠(123)의 구동과 관련된 구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이는 청소기(100)의 소형화 내지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먼지통(160)]의 부피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The gear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to the drive wheel 123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2b is configured by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2b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wheel 123 are on the same axis And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23a formed inside the driving wheel 123 so that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 123 can be miniaturized. This can contribute to miniaturization of the vacuum cleaner 100 or to increase the volume of another structure (for example, the dust container 160).

적절한 감속비를 얻기 위하여, 유성기어장치(122c)는 제1유성기어부(122c1)와 제2유성기어부(122c2)의 조합, 즉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유성기어부(122c1)는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과 연동된다. 제2유성기어부(122c2)는 제1유성기어부(122c1)와 연동되고, 구동휠(123)과 연결된다.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reduction ratio, the planetary gear set 122c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and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i.e., two stages.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122b.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23. [

그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스(122a)는 메인 케이스(122a1), 미들 케이스(122a2) 및 프론트 케이스(122a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ase 122a includes a main case 122a1, a middle case 122a2, and a front case 122a3.

메인 케이스(122a1)는 가이드바(124a)가 관통하는 관통홀(122a1a)을 구비한다. 메인 케이스(122a1)의 일측에는 구동 모터(122b)가 장착되며, 메인 케이스(122a1)의 타측에는 제1유성기어부(122c1)가 수용된다.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은 메인 케이스(122a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커버(122d)는 구동 모터(122b)를 덮도록 배치되어 메인 케이스(122a1)에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case 122a1 has a through hole 122a1a through which the guide bar 124a passes. A drive motor 122b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case 122a1 and a first planetary gear portion 122c1 is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122a1.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2b is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case 122a1. The cover 122d may be disposed so as to cover the drive motor 122b and be coupled to the main case 122a1.

제1유성기어부(122c1)는 제1선기어(122c1a), 제1링기어(122c1b), 복수의 제1유성기어(122c1c) 및 제1케이지(122c1d)를 포함한다.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includes a first sun gear 122c1a, a first ring gear 122c1b, a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122c1c, and a first cage 122c1d.

제1선기어(122c1a)는 구동 모터(122b)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홀(122a1’)을 통하여 메인 케이스(122a1)의 타측으로 노출된다. 제1선기어(122c1a)는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n gear 122c1a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122b and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122a1 through the hole 122a1 '. The first sun gear 122c1a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제1링기어(122c1b)는 메인 케이스(122a1)의 타측에 제1선기어(122c1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선기어(122c1a)는 제1링기어(122c1b)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기어(122c1b)는 메인 케이스(122a1)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ing gear 122c1b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sun gear 122c1a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case 122a1. The first sun gear 122c1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ring gear 122c1b. As shown, the first ring gear 122c1b may be formed in the main case 122a1 itself.

복수의 제1유성기어(122c1c)는 제1선기어(122c1a) 및 제1링기어(122c1b)와 맞물려, 자전함과 동시에 제1선기어(122c1a)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링기어(122c1b)가 고정된 본 구조에서, 복수의 제1유성기어(122c1c) 각각의 자전 방향은 제1선기어(122c1a)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며, 공전 방향은 제1선기어(122c1a)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122c1c engage with the first sun gear 122c1a and the first ring gear 122c1b and are configured to revolve about the first sun gear 122c1a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sun gear 122c1a. In this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ring gear 122c1b is fixe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122c1c is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sun gear 122c1a, and the idle direction is the first sun gear 122c1a.

제1케이지(122c1d)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122c1c)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케이지(122c1d)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122c1c) 각각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1케이지(122c1d)는 제1선기어(122c1a)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선기어(122c1a)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age 122c1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122c1c. The first cage 122c1d is arranged to cover a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122c1c. The first cage 122c1d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first sun gear 122c1a, in which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sun gear 122c1a.

미들 케이스(122a2)는 메인 케이스(122a1)에 결합된다. 미들 케이스(122a2)의 일측은 제1유성기어부(122c1)를 덮도록 배치되고, 미들 케이스(122a2)의 타측에는 제2유성기어부(122c2)가 수용된다. 미들 케이스(122a2)에는 제1유성기어부(122c1)와 제2유성기어부(122c2) 간의 연결을 위한 홀(122a2’)이 형성된다.The middle case 122a2 is coupled to the main case 122a1. One side of the middle case 122a2 is arranged to cover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and a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is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case 122a2. A hole 122a2 'for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122c1 and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is formed in the middle case 122a2.

제2유성기어부(122c2)는 제2선기어(122c2a), 제2링기어(122c2b), 복수의 제2유성기어(122c2c) 및 제2케이지(122c2d)를 포함한다.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includes a second sun gear 122c2a, a second ring gear 122c2b, a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122c2c, and a second cage 122c2d.

제2선기어(122c2a)는 제1케이지(122c1d)에 돌출 형성되어 홀(122a2’)을 통해 미들 케이스(122a2)의 타측으로 노출된다.The second sun gear 122c2a is protruded from the first cage 122c1d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case 122a2 through the hole 122a2 '.

제2링기어(122c2b)는 미들 케이스(122a2)의 타측에 제2선기어(122c2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선기어(122c2a)는 제2링기어(122c2b)의 중심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기어(122c2b)는 미들 케이스(122a2)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ing gear 122c2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case 122a2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sun gear 122c2a. And the second sun gear 122c2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ring gear 122c2b. As shown, the second ring gear 122c2b may be formed in the middle case 122a2 itself.

복수의 제2유성기어(122c2c)는 제2선기어(122c2a) 및 제2링기어(122c2b)와 맞물려, 자전함과 동시에 제2선기어(122c2a)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된다. 제2링기어(122c2b)가 고정된 본 구조에서, 복수의 제2유성기어(122c2c) 각각의 자전 방향은 제2선기어(122c2a)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며, 공전 방향은 제2선기어(122c2a)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122c2c engage with the second sun gear 122c2a and the second ring gear 122c2b and are configured to revolve about the second sun gear 122c2a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sun gear 122c2a. In the present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ing gear 122c2b is fixe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122c2c is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n gear 122c2a, and the idle direction is the second sun gear 122c2a.

제2케이지(122c2d)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122c2c)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케이지(122c2d)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122c2c) 각각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2케이지(122c2d)는 제2선기어(122c2a)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선기어(122c2a)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cage 122c2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122c2c. The second cage 122c2d is arranged to cover a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122c2c. The second cage 122c2d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second sun gear 122c2a, and in this case, be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un gear 122c2a.

프론트 케이스(122a3)는 미들 케이스(122a2)에 결합되어 제2유성기어부(122c2)를 덮도록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22a3)에는 제2유성기어부(122c2)와 구동휠(123) 간의 연결을 위한 홀(122a3’)이 형성된다.The front case 122a3 is coupled to the middle case 122a2 and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second planetary gear portion 122c2. A hole 122a3 'for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122c2 and the driving wheel 123 is formed in the front case 122a3.

제2케이지(122c2d)에는 홀(122a3’)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구동휠(123)의 결합홈(123b)과 맞물리는 결합돌기(122c2d’)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22c2d’)는 결합홈(123b)에 맞물려 구동휠(123)이 유성기어장치(122c)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시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cage 122c2d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122a3 'and a coupling protrusion 122c2d' for engaging with the coupling groove 123b of the driving wheel 123 is formed in the protrusion. The engaging projections 122c2d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123b so as to prevent the driving wheels 123 from being idle during rota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through the planetary gear set 122c.

결합부재(128)는 구동휠(123)을 관통하여 제2케이지(122c2d)에 체결됨으로써, 구동휠(123)을 유성기어장치(122c)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engaging member 128 is fastened to the second cage 122c2d through the driving wheel 123 so that the driving wheel 123 can be firmly fixed to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도 14는은 도 3의 휠 어셈블리(120)에서 구동 모듈(122)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정면(a)과 배면(b)에서 각각 보인 개념도들이고, 도 15는 도 3의 휠 어셈블리(120)에서 구동 모듈(122)이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정면(a)과 배면(b)에서 각각 보인 개념도들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링크부재(125)를 보인 개념도이다.FIG. 1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module 122 is moved upward in the wheel assembly 120 of FIG. 3, and FIG. 15 is a schematic view of the wheel assembly 120 And FIG. 1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link member 125 shown in FIG. 14. In FIG. 16, the drive module 122 is moved downward in FIG.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제1상태에 대응되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제2상태에 대응된다. 참고로, 도 14의 (a)와 도 15의 (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휠(123)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Fig. 14 corresponds to the first state shown in Fig. 10, and Fig. 15 corresponds to the second state shown in Fig. For reference, in FIGS. 14A and 15A, the driving wheel 123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구동 모듈(122)은 서스펜션(124)의 가이드바(124a)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휠(123)은 구동 모듈(122)에 결합되므로, 구동 모듈(122)과 함께 이동된다.14 to 16, the driving module 12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124a of the suspension 124. [ The drive wheel 123 is coupled to the drive module 122 and therefore moves with the drive module 122.

도 14는 구동 모듈(122)이 상측으로 최대로 이동된 제1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구동휠(123)이 바닥에 접지되어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14 shows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122 is moved to the maximum position. This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is grounded to support the cleaner main body 110.

상기 제1상태에서, 유성기어장치(122c)는 휠 커버(121) 내에 최대로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기어장치(122c)의 중심은 휠 커버(121)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accommodated in the wheel cover 121 at the maximum. As shown in the figure, the center of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may be located in the wheel cover 121.

상기 제1상태에서, 구동 모듈(122)의 케이스(122a) 상단은 제2고정부(121b)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 놓인다. 케이스(122a) 상단은 제1고정부(12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state, the upper end of the case 122a of the driving module 122 is placed at a maximum distance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The upper end of the case 122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상기 제1상태에서, 제1고정부(121a)와 케이스(122a)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124b)는 최대로 압축된다.In the first state, the elastic members 124b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s 121a and the case 122a, respectively, are compressed to the maximum.

도 15는 구동 모듈(122)이 하측으로 최대로 이동된 제2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구동휠(123)이 바닥에 대한 접지를 잃은 상태를 나타낸다.15 shows a second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122 is moved to the maximum position downward. This indicates that the driving wheel 123 has lost ground to the floor.

상기 제2상태에서, 유성기어장치(122c)는 휠 커버(121) 내에 최소로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기어장치(122c)의 중심은 휠 커버(12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is accommodated in the wheel cover 121 at a minimum. As shown in the figure, the center of the planetary gear device 122c may be located under the wheel cover 121.

상기 제2상태에서, 구동 모듈(122)의 케이스(122a)는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된다. 즉, 케이스(122a)가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됨으로써, 구동 모듈(122)의 하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케이스(122a)의 상단은 제1고정부(121a)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 놓인다.In the second state, the case 122a of the drive module 122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That is, the case 122a is caught by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riving module 122 is restricted. The upper end of the case 122a is placed at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상기 제2상태에서, 제1고정부(121a)와 케이스(122a)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124b)는 최대로 인장된다.In the second state, the elastic member 124b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and the case 122a is pulled to the maximum.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122)의 케이스(122a)는 가이드바(124a)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121a)와 가이드바(124a)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121b) 사이에서 가이드바(124a)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케이스(122a)의 상방향 이동은 탄성부재(124b)가 최대로 압축됨에 의해 제한되고, 케이스(122a)의 하방향 이동은 케이스(122a)가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The case 122a of the driving module 122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121a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guide bar 124a is fixed and a second fixing part 121b to which a lower end of the guide bar 124a is fixed. And is vertically movable by a guide bar 124a. The upward movement of the case 122a is limited by the maximum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124b and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case 122a is limited by the case 122a being caught by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

한편, 본 청소기(100)는 구동휠(123)이 바닥면과 닿지 않았을 때 이를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구동휠(123)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100 physically detects the driving wheel 123 when the driving wheel 123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is controlled.

구체적으로, 휠 커버(121)에는 링크부재(1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링크부재(125)가 제1고정부(121a)와 제2고정부(121b)를 연결하는 장착부(121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Specifically, a link member 12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 cover 121. [ In this figure, it is shown that the link member 125 is rotatably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121c connecting the first fixing portion 121a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링크부재(125)는 상호 결합되는 제1링크(125a) 및 제2링크(125b)를 포함한다. 제1링크(125a)는 상기 장착부(121c)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2링크(125b)는 상기 장착부(121c)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The link member 125 includes a first link 125a and a second link 125b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link 125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21c and the second link 125b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21c.

제1 및 제2링크(125a, 125b)는 상호 결합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호 결합을 위하여, 제1 및 제2링크(125a, 125b)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1 및 제2링크(125a, 125b) 중 다른 하나에는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홀(125b')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inks 125a and 125b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rotate together. The coupling part is protruded from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125a and 125b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125a and 125b has a coupling hole 125b ' May be formed.

결합홀(125b')은 결합부가 삽입되었을 때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는 결합홀(125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홀(125b')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5a')와, 결합돌기(125a')에서 돌출 형성되며 결합홀(125b')에 삽입시 벌어져 걸림으로써 빠짐을 방지하는 탄성핀(125a")으로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hole 125b 'is non-circularly formed so as to prevent the engaging portion from being loosened when it is inserted. The engaging portion protrude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 125b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hole 125b'. The engaging portion 125b 'protrudes from the engaging hole 125b' And an elastic pin 125a "for preventing the elastic pin 125a "

링크부재(125)는 가압이 가해져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The link member 125 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when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link member 125 is rotated under pressure.

상기 장착부(121c)의 일면에는 제1링크(125a)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가이드(121e)가 제1링크(125a)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125a)는 회전 가이드(121e)에 의해 걸림되어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A rotation guide 121e that defines a rotation range of the first link 125a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1c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link 125a. That is, the first link 125a is caught by the rotation guide 121e, and its rotation range can be limited.

제1링크(125a)는 구동 모듈(122)의 케이스(122a)가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케이스(122a)에 형성된 돌기(122a1b)와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돌기(122a1b)는 구동 모듈(122)의 케이스(122a) 측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1링크(125a)를 부드럽게 가압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nk 125a is configured so that the case 122a of the driving module 122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2a1b formed in the case 122a when the case 122a mov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rusion 122a1b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case 122a of the drive module 122 and can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smoothly press the first link 125a.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2a)의 상단이 제2고정부(121b)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는, 돌기(122a1b)와 제1링크(125a)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 놓인다.As shown in Fig. 14,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ase 122a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rusion 122a1b and the first link 125a are placed apart from each other.

케이스(122a)가 점차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돌기(122a1b)와 제1링크(125a)는 점차 서로 가까워진다. 돌기(122a1b)와 제1링크(125a)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케이스(122a)가 더 아래로 이동하면, 돌기(122a1b)는 제1링크(125a)를 가압하여 회전시키게 된다.As the case 122a is gradually moved downward, the protrusion 122a1b and the first link 125a gradually come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protrusion 122a1b and the first link 125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ase 122a moves further downward, the protrusion 122a1b presses and rotates the first link 125a.

상기 회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2a)가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된 상태에 이르기까지 계속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122a)가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된 상태는 구동휠(123)이 바닥에 대한 접지를 잃은 상태 즉, 구동휠(123)이 바닥에 닿지 않아 구동휠(123)이 아래로 처진 상태이다.The rotation continues until the case 122a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in which the case 122a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i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loses grounding to the floor, that is, the driving wheel 123 does not touch the floor, 123) is in a downward position.

제2링크(125b)가 위치하는 상기 장착부(121c)의 타면 상에는 제2링크(125b)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는 스위치(126)가 구비된다. 스위치(126)는 휠 커버(121)에 장착되며, 제2커넥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switch 126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1c where the second link 125b is located, which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125b. The switch 126 is mounted on the wheel cover 121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7.

케이스(122a)가 제2고정부(121b)에 걸림된 상태에서, 제1링크(125a)와 연결된 제2링크(125b)는 스위치(126)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된 스위치(126)는 제어부로 가압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link 125b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25a presses the switch 126 while the case 122a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121b, As shown in FIG.

제어부는 스위치(126)가 가압되면, 구동 모터(122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witch 126 is presse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2b.

일 예로, 제어부는 스위치(126)가 가압되면, 구동 모터(122b)의 구동을 정지하여, 구동휠(123)이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는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측 구동휠(123)에 각각 구비되는 스위치(126)가 모두 가압되었을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가 들어올려졌을 때, 회전하는 구동휠(123)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로 이해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witch 126 is press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2b so that the driving wheel 123 is not rotated.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when both the switches 126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123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re all pressed.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trol for stopping the rotating driving wheel 123 when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lifted by the user.

다른 일 예로,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측 구동휠(123) 중 어느 하나의 구동휠(123)에 구비되는 스위치(126)가 가압되었을 경우, 제어부는 구동 모터(122b)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켜, 구동휠(123)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청소기 본체(110)가 장애물에 걸려 한쪽 구동휠(123)이 헛돌고 있을 때, 장애물을 탈출하기 위한 제어로 이해될 수 있다.When the switch 126 provid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drive wheels 123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is presse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drive motor 122b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wheel 123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trol for escaping the obstacle when the cleaner body 110 is caught by an obstacle and one driving wheel 123 is id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듈(122)이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구동 모듈(122)의 돌기가 링크부재(125)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링크부재(125)가 스위치(126)를 가압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구동휠(123)이 바닥면과 닿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동휠(123)의 회전이 제어(예를 들어,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protrusion of the drive module 122 rotates the link member 125 and the rotated link member 125 moves the switch 126 in a downward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stopped) when a situation occurs in which the driving wheel 123 does not touch the bottom surface due to the pres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is,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한편, 위에서는 휠 어셈블리(120)가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기초로, 휠 어셈블리(12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동 모듈(122), 서스펜션(124), 링크부재(125), 스위치(126), 클리프 센서(129)는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하지 않고 청소기 본체(11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heel assembly 120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structure in which the wheel assembly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However, the drive module 122, the suspension 124, the link member 125, the switch 126, and the cliff sensor 129 may be mounted on the cleaner body 110 without forming one assembly.

이 경우, 상술한 휠 커버(121)의 기능을 청소기 본체(110)의 휠 하우스가 대신할 수 있다. 휠 하우스는 구동휠(123)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wheel cover 121 described above can be replaced by the wheel hous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 The wheel house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wheel 123.

휠 하우스에는 가이드바(124a)가 장착되는 제1 및 제2고정부(121a, 121b)가 형성될 수 있다. 휠 하우스의 장착부(121c)에는 링크부재(1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스위치(126)도 휠 하우스 장착부(121c)에 장착될 수 있다. 클리프 센서(129)는 휠 하우스 또는 이와 인접한 청소기 본체(11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wheel house may hav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121a and 121b on which the guide bar 124a is mounted. The link member 125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 house mounting portion 121c and the switch 126 can be mounted on the wheel house mounting portion 121c. The cliff sensor 129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wheel house or adjacent to the cleaner body 110.

또한, 위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봇 청소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로봇 청소기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로봇 청소기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제한적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In the above, the robot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robot cleaner is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obot cleaner.

즉, 위에서 설명한 구조는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드 타입 등 모든 청소기에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휠(123)을 구비하는 구조라면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ny structure having a driving wheel 123 rotated by a driving force in all the cleaners such as a canister type and an upright type.

Claims (15)

제어부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휠 커버;
상기 휠 커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 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구동 모듈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동휠;
상기 휠 커버에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와 상기 구동 모듈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듈의 상하 이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
상기 휠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모듈이 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 상기 구동 모듈에 형성된 돌기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어부로 가압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휠 커버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바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cleaner main body having a control unit;
A wheel cover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 drive module movably coupled to the wheel cover up and down;
A drive wheel coupled to the drive modul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module;
A guide bar coupled to the wheel cover and disposed vertically, the guide bar being formed to penetrate the drive modul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ive module;
An elastic member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and connected to the wheel cover and the drive module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drive module is moved up and down;
A link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wheel cover and rotated by contact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driving module when the driving module mov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a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and transmits a pres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wheel cover
A first fixing part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guide bar is fixed; And
And a second fixing part formed to face the first fixing part and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is fixed,
Wherein the drive module is vertically movable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by the guide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돌기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휠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기 구동휠에 전달하는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cas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ar passes and a projection;
A drive motor mounted on the case; And
And a planetary gear device that connects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wheel and transmits the rotation to the drive wheel by reduc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고정부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ase is hooked to the second fixing part when the case is moved downward by a certain dist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case,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driving the drive motor when the switch is pr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돌기가 위치하는 상기 휠 커버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가 위치하는 상기 휠 커버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ember
A first link that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wheel cover where the projection is located; And
And a second link coupled to the first link and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wheel cover on which the switch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wheel are on the same axi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는 제1유성기어부; 및
상기 제1유성기어부와 연동되고, 상기 구동휠과 연결되는 제2유성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anetary gear set includes:
A first planetary gear unit interlocked with a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motor; And
And a second planetary gear unit interlock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제1유성기어부를 수용하는 메인 케이스;
상기 메인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1유성기어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유성기어부를 수용하는 미들 케이스; 및
상기 미들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2유성기어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is case,
A main case having the through hole and to which the driving motor is mounted, the main case accommodating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A middle case coupled to the main case and disposed to cover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the middle case receiving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And
And a front case coupled to the middle case and disposed to cover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성기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선기어;
상기 메인 케이스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1선기어를 수용하는 제1링기어;
상기 제1선기어 및 제1링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선기어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며 상기 제1선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 및
상기 복수의 제1유성기어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planetary gear unit includes:
A first sun gear coupled to a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A first ring gear formed in the main case and accommodating a first sun gear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that engage with the first sun gear and the first ring gear and revol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un gear and revolve around the first sun ge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sun gear, Gear; And
And a first cage rotatably supporting a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성기어부는,
상기 제1케이지에 형성되는 제2선기어;
상기 미들 케이스에 형성되고, 내부에 제2선기어를 수용하는 제2링기어;
상기 제2선기어 및 제2링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선기어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며 상기 제2선기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2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 및
상기 복수의 제2유성기어 각각의 자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planetary gear unit comprises:
A second sun gear formed on the first cage;
A second ring gear formed in the middle case and accommodating a second sun gear therein;
And a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engaged with the second sun gear and the second ring gear and revol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un gear and revolving about the second sun gea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sun gear, Gear; And
And a second cage rotatably supporting a rotation axi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지에는 상기 구동휠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휠의 결합홈과 맞물리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cage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engaging with the coupling groove of the driving wheel to prevent the driving wheel from being loos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저부에는 상부를 향하여 리세스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개구와 마주하는 상기 장착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가 상기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휠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휠 커버가 상기 장착부에 수용시 상기 제1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a bottom portion of the cleaner body to be recessed toward the upper portion,
A first connect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facing the opening of the mounting portion so as to face the opening,
And a second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dule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wheel cover is housed in the moun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module is formed inside the driving wheel.
KR1020180028199A 2018-03-09 2018-03-09 Cleaner KR101953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99A KR101953640B1 (en) 2018-03-09 2018-03-09 Cleaner
KR1020190021348A KR102460609B1 (en) 2018-03-09 2019-02-22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99A KR101953640B1 (en) 2018-03-09 2018-03-09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40A Division KR101897731B1 (en) 2016-12-30 2016-12-30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348A Division KR102460609B1 (en) 2018-03-09 2019-02-22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236A KR20180079236A (en) 2018-07-10
KR101953640B1 true KR101953640B1 (en) 2019-03-04

Family

ID=6291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99A KR101953640B1 (en) 2018-03-09 2018-03-09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6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9268A1 (en) 2004-01-16 2005-07-21 Jason Ya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779195B1 (en) * 2006-11-14 2007-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obot cleaner and suspension module therefor
JP2016051342A (en)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東芝 Traveling bod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0619B1 (en) * 2005-12-02 2013-05-08 iRobot Corporation Modular robot
KR20090007907A (en) * 2007-07-16 2009-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1018720B1 (en) * 2008-06-12 2011-03-04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Driving apparatus of robot cleaner
KR102320199B1 (en) 2015-04-13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riving unit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9268A1 (en) 2004-01-16 2005-07-21 Jason Ya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0779195B1 (en) * 2006-11-14 2007-11-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obot cleaner and suspension module therefor
JP2016051342A (en) 2014-08-29 2016-04-11 株式会社東芝 Traveling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236A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731B1 (en) Cleaner
JP6293084B2 (en)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s
US10568482B2 (en) Cleaner
KR20190021294A (en) Cleaner
EP2574263B1 (en) Robot cleaner
CN100409795C (en) Robot cleaner
KR101897732B1 (en) Cleaner
EP2732939A2 (en) Wheel assembly of mobile robot
KR20180106225A (en) Robot cleaner
KR20040096252A (en) Bumpering and sensing device for robot vacuum cleaner
KR101953640B1 (en) Cleaner
KR20160035366A (en) Robot Cleaner
CN113729543A (en) Cleaning device with edge and omnidirectional obstacle detection
JP6837319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2020208B1 (en) Robot cleaner
JP7438141B2 (en) Electronics
JP7005322B2 (en) Vacuum cleaner suction port
KR100595577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ink caster of robot cleaner
JP2003125992A (en) Suction port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CN117442103A (en) Cleaning robot and cleaning system
KR20230133654A (en) Robot
JP2000093364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