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79B1 -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 Google Patents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79B1
KR101933179B1 KR1020170013622A KR20170013622A KR101933179B1 KR 101933179 B1 KR101933179 B1 KR 101933179B1 KR 1020170013622 A KR1020170013622 A KR 1020170013622A KR 20170013622 A KR20170013622 A KR 20170013622A KR 101933179 B1 KR101933179 B1 KR 101933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utput
unit
passenge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9050A (en
Inventor
전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7001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79B1/en
Publication of KR2018008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62M6/50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detectors or sensors, or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조작 예민도 또는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불능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는 사용자의 탑승여부 및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의한 조작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조작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조작입력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ensitivity or an output in consideration of a body characteristic of a user so as to improv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o prevent an accident from being incapacitated.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input by a user's boarding and a user's body motion;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on board by us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A driving unit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the operation inpu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Description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TECHNICAL FIELD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0002]

본 발명은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조작 예민도 또는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불능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adjusting means,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an operation sensitivity or an output in consideration of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a user,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s operating convenience and prevent accid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 vehicle.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승용장치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승용장치는 과거에 꾸준히 이용되어 오던 차량, 모터 바이크, 기차, 자전거와 같은 장치뿐만 아니라, 보드류, 착화 형태로 이용하는 장치등 종류가 많이 다양해졌다.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passenger devices have become available. Such passenger devices have been variously used in the past, such as vehicles, motorbikes, trains, and bicycles, as well as devices used in the form of boards and ignition.

특히, 과거에는 차량과 모터 바이크와 같은 일부장치에만 동력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동력 수단의 소형화, 다양화로 인해 자전거와 1인용 혹은 2인용 승용장치에도 동력이 이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형 내연기관을 이용한 전동보드, 전기 모터와 배터리를 이용하는 전동휠 장치와 같은 것들이 새로운 승용장치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Particularly, in the past, power was used only for some devices such as a vehicle and a motorbike. Recently, however, due to miniatu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ower means, power is increasingly used for a bicycle and a passenger for a single person or a double person. Specifically, electric power boards using smal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lectric motor wheels and electric wheel devices using batterie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as new passenger devices.

이러한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들고 이동하거나, 이를 소지한채로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경량 소형으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승용장치들은 별도의 조작 패널 예를 들어, 조향장치, 가속 패달, 브레이크 패달, 스로틀 조절 장치와 같은 조정장치를 주 사용층인 젊은 세대들의 기호에 맞추어 조작에 흥미를 유발하고,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탑승자의 신체적 움직임을 감지하여 조작 명령으로 인지하도록 하는 추세이다.These devices are produced in a lightweight and small size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or carry it, and use other transportation means as needed. Particularly, these passenger devices can be operated with a separate control panel, for example, a steering device, an accelerator pedal, a brake pedal and a throttle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enc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t is a tendency to detect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occupant and perceive it as an operation command, not separately.

일례로 전동 휠의 경우 탑승한 사용자의 신체움직임 예를 들어, 신체가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하는 동작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고 조향은 사용자 신체의 회전 또는 회전 방향으로 기울임을 감지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장치들의 경우도 조향이나 출력 조절의 일부를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lectric wheel, the outpu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movemen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body tilts forward, and the steering is detected by tilting the body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r rotation. It is common to use a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the body as part of steering or power control.

그러나, 이러한 승용장치의 조작 방법은 사용자별 각기 다른 신체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여 장치의 운영을 어렵게 하거나, 사고가 유발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동일한 승용장치에 몸무게가 가벼운 사용자가 탑승할 때와 몸무게가 무거운 사용자 또는 키가 작은 사용자와 키가 큰 사용자가 탑승할 때 승용장치의 동특성이 달라지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조작이 어려워지고, 조작의 기민성이 변동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method of operating the passenger device has difficulties in considering the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which make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difficult or causes an accident. For example, when a user who is light in weight is loaded on the same passenger, and when a heavy user or a small user or a tall user board the vehicl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passenger device are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an aging of operation is changed and an accident occurs.

한국등록특허 10-1511858(등록일 2015. 04. 0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11858 (registered on May 28, 20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조작 예민도 또는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불능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de-on device having an outpu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sensitivity or the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characteristics of a user, thereby improving the user's operational convenience and preventing an accident from being incapacitated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몸무게에 상관 없이 동작 특성을 나타내도록 출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adjusting means for sensing a weight of a user and adjusting an output so as to show an operation characteristic regardless of a weigh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는 사용자의 탑승여부 및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의한 조작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조작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조작입력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passenger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input by a user's boarding and a body motion of a user;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on board by us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A driving unit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the operation input;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ensor unit comprises: a first sensor unit for sensing the body movement of the user; And a second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ing the vehicle.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 또는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또는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ensor unit measures or senses the weight of the user or senses a distribution of pressure or pressure generat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에 의해 측정 또는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measured or sensed by the second sensor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 최대값, 출력의 증가 감소 정도, 출력 변화의 예민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so that at least one of the output maximum value,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output, and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chang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조작 예민도 또는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불능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passenger device having the outpu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operational sensitivity or the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user so as to improv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of the user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due to the inability to operat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출력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체중에 상관없이 일정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passenger device having the outpu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utput by sensing the weight of the user, thereby exhibiting a constant operating characteristic regardless of the weigh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승용장치의 내부에 구성되는 제어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3은 표 1에 따른 최대 출력의 조절을 위한 출력대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출력레벨의 예민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조작 입력의 예민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of a passenger device having outpu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figuration example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inside the passenger-by-passenger.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 versus weight for regulating the maximum output according to Table 1;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level.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nsitivity of an operation inp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승용장치의 내부에 구성되는 제어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ssenger-carrying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inside the passenger-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는 센서부(20), 출력부(30), 구동부(40), 전원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passenger device having outpu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0, an output unit 30, a driving unit 40, a power source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Lt; / RTI >

승용장치(10)는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승용장치(10)는 케이스(11)와 바퀴(12) 및 케이스(11)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게 하는 발판(13)과 같은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용장치(10)는 승용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기립한 헝태로 탑승하는 장치, 착석한 형태로 탑승하는 장치로 구분되고, 사용자가 몸의 정면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두어 탑승하는 장치와, 진행방향과 다른 방향에 몸의 정면을 향하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승용장치(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만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손잡이 또는 의자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바퀴가 하나로 구성되는 승용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나, 바퀴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볼 형태 또는 원통 형태의 바퀴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승용장치(10)는 손잡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통해 신체를 고정 및 지지하고, 일부 명령을 손잡이에 마련된 장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또는 이의 등가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장치(10)가 사용자의 탑승 여부와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The passenger device 10 senses the user's body movement when the user is boarded and moves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To this end, the passenger 10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such as a case 11, a wheel 12, and a scaffold 13 formed on the case 11 to allow the user to ride. Such a passenger 10 is classified into a device for boarding in a standing position and a device for boarding in a seated form that the user stands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he passenger, and includes a device in which a user places the front direction of the body in a traveling direction, There may be a device facing the front of the body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body. Further, the passenger 10 may be a device that provides only a footrest, as shown, or a device that includes a configuration such as a handle or a chair. In addition, although FIG. 1 shows a passenger device having one wheel, the number of wheels may be varied, and a ball-shaped or cylindrical whee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assenger 1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or an equivalent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fix and support a body through a hand, such as a handle, and to input a command through a device provided on the hand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assenger device 10 will focus on the devic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and the movement of the user.

이러한 승용장치(10)는 케이스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및 진행 의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0)와, 센서부(20)의 감지결과를 판단하여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승용장치(10)를 가동하는 구동부(4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를 전원으로 하는 전기모터(45)와 이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50)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구동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부(50) 대신 연료계통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전기모터(45)와 전원부(50)로 구성된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The passenger device 10 includes a sensor unit 20 for detecting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board and proceed in the case, a controller 6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 by determin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20, A driving unit 40 driven by the control unit 60 to operate the passenger device 10 and a power source unit 50 for supplying power. Her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motor 45 that uses electric power as an electric power and the power supply unit 50 that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motor. However, the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u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this case, Instead, a fuel system can be included and configu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anation will be made mainly on an example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45 and a power source unit 50. FIG.

센서부(2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입력과 승용장치(10)의 구동에 따른 측정대상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구동부(4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는 사용자의 탑승 여부, 사용자 신체의 움짐임으로 인해 의해 발생되는 승용장치의 기울어짐, 회전과 같이 승용장치(10)의 조작을 위한 입력을 감지한다. 또한, 센서부(20)는 승용장치(10)의 속도, 가속, 회전 여부, 출력정도와 같은 사항을 감지하고, 이를 측정값으로 생성하여 제어부(6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센서부(20)는 조작을 감지하는 제1센서부(21)와 사용자의 무게와 같이 출력제어를 위한 요소를 측정하는 제2센서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 measures an operation input generated by a user and an object to be measur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passenger 10,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driving unit 40.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 senses an input for operating the passenger device 10, such as whether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vehicle, tilting or turning the passenger device caused by the motion of the user's body. The sensor unit 20 senses the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d output of the passenger 10, generates the measured valu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ler 60. To this end, the sensor unit 20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21 for sensing an operation and a second sensor unit 26 for measuring an element for output control such as the weight of the user.

제1센서부(21)는 전술한 조작입력과 조작입력에 따른 구동장치의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제1센서부(21)는 사용자에 의해 승용장치(10)에 발생되는 기울어짐,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압력감지 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승용장치(10)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감지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센서부(21)는 승용장치(10)의 회전 또는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센서부(21)는 승용장치(10)의 구동에 따른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장치와 같은 센서나 정보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센서부(21)에 의해 측정된 요소들은 제1센싱값으로 작성되어 제어부(60)에 전달된다.The first sensor unit 21 senses the state of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put and the operation input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first sensor unit 21 may include sensors such as a gyro sensor, a tilt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ilts and pressures generated in the passenger device 10 by a user, A speed sensing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10 may be provided. The first sensor unit 21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 geomagnetism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r tilting of the passenger 10. In addition, the first sensor unit 21 may be a sensor or a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for detecting an obstacl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passenger 10, But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ments measured by the first sensor unit 21 are generated as a first sensing valu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

제2센서부(26)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출력제어를 위한 요소를 측정하고 이를 제2센싱값으로 작성하여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2센서부(26)에 포함되는 센서가 제1센서부(21)에도 포함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1센서부(21)의 센서가 제2센서부(26)의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의 센서라도 제1센서부(21)와 제2센서부(26)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센서부(26)는 사용자의 신체 특성으로 인해 승용장치(10)의 출력 또는 속도에 영양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측정한다. 대표적으로 제2센서부(26)는 사용자에 의해 승용장치(10)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와 승용장치(10)의 접촉면에 발생되는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고 이를 제2측정값으로 작성하여 제어부(60)에 전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센서부(26)는 사용자의 탑승여부와 출력의 가변범위를 판단하기 위해 탑승자의 무게나 탑승자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특히, 제2센서부(26)는 사용자의 탑승시 발생하는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센서부(26)는 승용장치(10)에 탑승한 사용자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의 압력분포 또는 속도 조절을 위해 가압 또는 체중쏠림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는 조작의 정도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와 승용장치(10)의 접촉 부위에 발생되는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2센서부(26)는 압력센서, 중량 감지 센서, 압전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26 measures an element for output contr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generates the second sensing value, and transmits the second sensing value to the controller 60. Here, the sensor included in the second sensor unit 26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sensor unit 21, and the sensor of the first sensor unit 21 may be used as the sensor of the second sensor unit 26 hav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senso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also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unit 21 and the second sensor unit 26, respectively. The second sensor unit 26 measures an element that can nourish the output or speed of the passenger device 10 due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e second sensor unit 26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assenger 10 by the user or the body weight of the user or senses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passenger 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unit 26 senses the weight of the occupant or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occupant 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ing and the variable range of the output. In particular, the second sensor unit 26 may sense a distribution of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is riding. That is, the second sensor unit 26 detects the degree of the operation intended by the user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user aboard the passenger 10 is not performed, The user senses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passenger-by-passenger 10 to determine accurately. For this, the second sensor unit 26 may include a sensor such as a pressure sensor, a weight sensor, and a piezoelectric sensor. The second sensor unit 26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출력부(3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신호음, 정보와 같은 사항을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30)는 사용자에게 승용장치(10)의 정보,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속도, 사용자의 포지션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일 수도 있고,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타인에 대한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출력부(30)는 글씨, 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나, 정보를 색의 레벨, 점등 정도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발광수단, 비프음, 경보음, 음향안내와 같은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가 통신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장치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output unit 30 outputs information such as a signal sound and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The output unit 30 may be used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device 10, such a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speed, and position of the user, It may b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arm. The output unit 30 includes a display unit capable of outputting text and images, a light emitting unit capable of expres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level of color, degree of lighting,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sound such as beep sound, alarm sound, Lt; / RTI > In addition, the output unit 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o access the user's mobile terminal device or the external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동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하여 승용장치(10)를 주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40)는 바퀴(1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모터(45)와 전기모터(45)를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모터네어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터제어부(41)는 전원부(50)의 전원이 전기모터(45)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riving unit 40 generates a driving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nd drives the passenger 10 to travel.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n electric motor 45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heels 12 and a motor gate unit 41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 And the motor control unit 41 serve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power source unit 50 to the electric motor 45.

전기모터(45)는 모터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동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동력을 바퀴(41)에 전달하게 된다.The electric motor 45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motor control unit 41 to produce pow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wer to the wheel 41.

모터제어부(41)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전기모터(45)의 구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모터제어부(41)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전기모터(45)의 출력을 가변시키거나, 출력의 가변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기모터(45)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형태일 수도 있고, 제어 강도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되는 정현파 신호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motor control unit 41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ctric motor 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 More specifically, the motor control unit 41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vary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45 or controlling the degree of variable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 motor 45 do. The control signal may be PWM (Pulse Width Modulation) or a sinusoidal signal whose frequency varies according to control streng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원부(5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50)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환 가능한 건전지 또는 교환 및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교환 또는 충전을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원부(50)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모터(45)를 회생제동에 의한 감속 및 발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때 발전된 전력이 전원부(50)에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supply unit 50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 The power supply unit 50 may be a battery for storing electricity, and may include a replaceable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replacement or charging. Meanwhile, when the power supply unit 50 include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ic motor 45 is allowed to perform deceleration and power generation by regenerative braking, and the generated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 to be char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60)는 승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며, 이를 위해 센서부(20)를 통해 감지되는 조작입력,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제1센서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형태로 승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승용장치가 운행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0)는 제1센서부(21)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즉, 제1측정값이 조작을 위한 움직임 예를 들어, 전방 기울임, 후방 기울임, 회전, 좌우 기울임과 같은 것인지를 확인하여 승용장치(10)가 전진, 가속, 감속, 후진, 좌우회전, 기울임과 같은 주행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driving of the passenger device, and uses an operation input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20 and body information of the user.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 confirms the intention of the us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user's body inputt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21, and controls driving of the passenger device in a form that the user intends to operate, . For this,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first sensor unit 21, that is, whether the first measured value is a movement for manipulation such as forward tilting, backward tilting, rotation, Thereby allowing the passenger 10 to perform the traveling-related operations such as forward, acceleration, deceleration, reverse, left-right rotation, and tilting.

그리고, 제어부(60)는 제2센서부(26)로부터 전달되는 제2측정값에 의해 사용자가 승용장치(10)에 탑승했는지 여부와 사용자의 신체 특성 특히, 체중에 따라 구동부(40)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60)는 제2측정값에 의해 확인되는 사용자의 체중 또는 압력의 분포에 따라 전기모터(45)의 출력 최대값, 출력의 증가 감소 정도, 출력 변화의 예민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중이 많은 경우 출력 최대값을 상승시키고, 체중별 조작 입력에 대한 출력의 증가 또는 감소 정도를 조절하거나, 사용자 신체에 따른 조작 입력의 정확도에 따른 출력의 증감 예민성을 조절하여 전기모터(45)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제어부(41)는 제어부(60)와 구분되어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제어부(60)의 한 기능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60)에서 처리하고, 이에 대한 모터 제어신호만 모터제어부(41)에서 발생시켜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ser has boarded the passenger 10 based on the second measured valu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ensor unit 26 and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value of the electric motor 45, the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of the output, or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chang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weight or the pressure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second measured value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a large weight, the output maximum value is raised, the output of the body weight is increased or decreas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input, or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 electric motor 45 is controlled. The motor control unit 41 may b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60 and may be configured as a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6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0 processes the motor control signal, Motor control unit 41 to control it.

이러한 제어부(60)는 승용장치(10)에 탑승한 사용자 체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승용장치(10)의 속도가 달라지지 않고, 비슷한 움직임에 대해서는 같은 탑숭자에 무관하게 같은 속도를 낼 수도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는 탑승장의 가압분포, 가압정도를 확인하여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체중 쏠림 분포를 확인하고, 조작입력을 위한 신체의 움직임 범위를 추정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추정된 범위 내에서 출력의 증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입력의 레벨을 구분하여 승용장치(1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60)는 제2센서부(26)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움직임 정밀도 즉, 숙련 정도를 파악하고 입력으로 인정할 움직임의 범위와 그에 따라 증감되는 출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변화 예민성을 조절하여 승용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조절 예민성은 사용자의 탑승 및 운행시마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련 정도, 체중변화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갱신된 정보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speed of the passenger 10 so that the speed of the passenger device 10 does not vary with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weight of the user who rides on the passenger 10, d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confirms the pressure distribution and pressurization degree of the passenger seat, identifies the user's body weight distribution for the operation, and estimates the movement range of the body for the operation input.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passenger device 10 by dividing the input level so as to control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output within the estimated rang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motion precis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6, determines the range of motion to be recognized as input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The control of the passenger device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to change. This output control sensitivity is obtained by collecting information each time a user rides and operates the vehicle, and by updating the information to update the information, partially updated information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skill and degree of weight change of the user. However, no.

이러한 승용장치(10)의 구동에 관해서는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riving of the passenger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표 1은 중량에 따른 최대 출력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표 1에 따른 최대 출력의 조절을 위한 출력대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and the weight for adjusting the maximum output according to Table 1. FIG.

kg | 출력레벨kg | Output level 1One 22 33 44 0Kg0Kg 0%0% 0%0% 0%0% 0%0% 20Kg 이하20Kg or less 10%10% 20%20% 30%30% 40%40% 50Kg 이하Less than 50Kg 15%15% 30%30% 45%45% 60%60% 80Kg 이하80 kg or less 20%20% 40%40% 60%60% 80%80% 80Kg 초과Above 80Kg 25%25% 50%50% 75%75% 100%100%

표 1은 4단계의 출력레벨(1~4)로 승용장치(10)의 출력(0%~100%)을 조정하는 경우 체중에 따른 각 출력레벨(1~4)별 출력을 나타낸 표이며, 도 3은 이에 대한 그래프이다.Table 1 shows the output of each output level (1 to 4) according to body weight when the output (0% to 100%) of the passenger device 10 is adjusted to the output level (1 to 4) Figure 3 is a graph of this.

종래에는 승용장치(10)는 사용자의 체중과 같은 신체특성에 의해 출력을 변화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입력 즉, 승용장치 상에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또는 스로틀이 구비되는 경우 스로틀의 조작에 따라 정해진 출력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어린 아이, 여성, 마른체형의 사용자는 동일한 조작을 입력해도 체중대 출력의 비 즉, 추력이 커지게 되어 속도가 빨라지도, 상대적으로 체중이 무거운 사용자의 경우 속도 증가가 더디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숙련된 사용자의 경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충분히 숙달되지 않은 경우, 또는 최근의 승용장치와 같이 스로틀과 같은 별도의 속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지 않은 승용장치의 경우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거나, 체중이 무거운 사용자의 경우 가벼운 사용자에 비해 원하는 속도를 낼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했다.Conventionally, the passenger 10 does not change the output depending on the bod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ody weight of the user, but rather adjusts the outpu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input of the user, that is, the degree of motion on the passenger device or the operation of the throttle when the throttle is provided Respectively. However, in such a case, a user who is a child, a woman, or a skinny person may have a problem in that even if the same operation is inputted, the weight-to-output ratio, that is, the thrust is increased, there was. In the case of a passenger device which does not have a large problem in the case of a skilled user but is not sufficiently mastered or does not have a separate speed adjusting means such as a throttle as in a recent passenger devi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the user because the user could not achieve the desired speed compared to the light user.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우선 제2센서부(26)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통해 표 1 및 도 3과 같이 최대출력과 각 출력레벨별 전기모터(45)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1 내지 4레벨의 출력레벨이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실제 승용장치에는 출력 조절이 도 3과 같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더 많은 단계로 구분되어 세밀하게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output and the output of the electric motor 45 for each output level are controlled through the weight of the user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26 as shown in Table 1 and FI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utput levels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are described as being divided. However, the output control of the actual passenger device may be linear 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사용자의 체중이 적은 경우 최대 출력 및 각 레벨별 출력도 체중이 많은 경우 비해 작게 설정된다. 이를 통해 체중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한 출력 조절에 대해서는 전기모터가 체중의 과소에 무관하게 비슷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출력레벨과 최대출력의 조절 제어는 속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가지고 있는 승용장치나 속도 제어를 신체의 움직임만 가지고 수행하는 별도의 조절 수단을 가지지 않는 승용장치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weight of the user is small, the maximum output and the output of each level are set to be smaller than those in the case where the weight is large. This allows the electric motor to control the same output regardless of weight, so that the electric motor can achieve a similar speed regardless of the body weight. Such control of the output level and the maximum output can be applied both to a passenger device having a separate means for speed control or to a passenger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speed control only with body motion.

한편, 도 4는 출력레벨의 예민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조작 입력의 예민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level,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nsitivity of the operation inpu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승용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모두 승용장치의 조작에 숙달된 사용자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승용장치(10)는 어린아이나 여성들, 노인들과 같이 순발력, 균형감각 등 신체감각이 예민하지 못한 사용자에 의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이 승용장치(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의도한 것보다 크게 증가하는 경우 탑승자는 당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속도의 증가는 반복적인 제어를 필요로 하게 되어 조작의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ll of the users using the passenger 10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users who are skilled in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n addition, the passenger device 10 can be used by a user who is not sensitive to physical sensations such as a child, a woman, an elderly person, and the like. If the speed of these users increases more than the intended speed in the course of using the passenger 10, the occupant becomes confused and an accident may occur. In addition, an unintended increase in the speed requires repetitive control,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operation.

이러한 조작의 불편함은 체중, 체형, 운동신경, 밸런스와 같은 운동신경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숙련 정도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능력을 고려하여 출력의 증가를 조절하거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조작 예민성을 사용자별로 조절하여 제어가 되게 하며, 이러한 조작 예민성은 피드백 정보로 활용되어 사용자의 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자료로 이용된다.The discomfort of such manipulation may be due to motor nerves such as body weight, body shape, motor nerve, balance, or may be due to skill leve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increase of the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al capability of the user, or controls the sensitivity of the operation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input is input by the user, and this operational sensitivity is utilized as feedback information, It is used as data to evaluate ability.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A, B 그래프와 같이 가속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A와 같이 시간 또는 가속의 입력 정도에 따라 출력을 완만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속도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숙련도를 가지는 사용자의 경우 A 그래프에서 출력의 증가가 이루어지는 구간의 기울기 V1에 비해 B 그래프에서 출력의 증가가 이루어지는 구간의 기울기 V2를 더 급격하게 증가하도록 조절하여 사용자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다소 둔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숙련된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의 증가 기울기 뿐만 아니라 증가되는 출력의 크기 자체도 숙력자와 비숙련자를 구분하여 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n untrained user in a situation of accelerating as shown in the graphs A and B shown in FIG. 3, the output can be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put of time or accele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 proficiency enough to withstand such a speed, the slope V2 of the section where the output is increased in the B graph is adjusted so as to increase more sharply than the slope V1 of the section where the output is increased in the A graph It is possible to react sensitively or slightly dullly depending on the user. Especially, when it is judged to be a skilled user,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only the increase slope of the output but also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d output itself by separating the skilled person and the unskilled person.

마찬가지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입력값을 조종을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지, 그렇지 않을지도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즉,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신체적인 움직임을 발생하고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제1측정값을 감지하면, 이를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비교하여 입력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전방에 대한 기울임이 감지되며, 기울임의 크기를 x라고 가정할 때, 0-x1, x1-x2, x2-x3...와 같이 움직임이 감지된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이때, 사용자에 따라 x2-x3, x3-x3의 구간을 입력으로 인정할 수도 있고, 입력으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x4-x5, x5-x6의 구간을 한 단계의 가속 또는 한 단계의 감속으로 인식할 수도 있고, 몇 단계의 가속, 몇 단계의 감속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Likewise, the input value sensed by the sensor may or may not be recognized as an input for steering. That is, when an untrained user generates a physical motion and the sensor senses the first measured value by sensing it, it can be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is an input or no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tilt to the front is detected, and when the tilt is assumed to be x, a period in which motion is detected as 0-x1, x1-x2, x2-x3 ... may occur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60 may recognize the sections of x2-x3 and x3-x3 as the input or not as the input according to the user. Similarly, the sections of x4-x5 and x5-x6 can be recognized as one-step acceleration or one-step deceleration, or several stages of acceleration and several stages of deceleration.

즉, 제어부(60)가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 즉, 오입력이 발생할 소지가 많은 사용자로 판단되는 경우, 도 4의 변동값을 비교하는 기준값의 크기를 크게하여 기준값보다 센서값에 대해서는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값보다 큰 크기의 센서값에 대해서는 입력으로 인정하여, 승용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not skilled, that is, a user who is likely to miss the input, the magnitude of the reference value for comparing the variation values in FIG. 4 is increased, And the sensor devic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s regarded as an input, so that the passenger device can be operated.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사용자가 승용장치에 탑승한 상태의 무게, 사용자와 승용장치의 접촉 부위에 발생되는 접촉점의 변화, 조종에 의해 승용장치와 탑승자의 움직임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및 승용장치의 움직임,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조정입력의 정밀도 등을 제어부(60)가 누적된 데이터에 의해 판단하고, 이를 통해 숙련자와 비숙련자를 구분할 수 있으며, 숙련 정도에 체중의 요소를 부가하여 승용장치의 조절이 정교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weight of the user on board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change in the contact point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passenger device, and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 The control unit 60 can judge the movement of the user's body,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 device, and the precision of the adjustment input generated by the user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thereby distinguishing the skilled and unskilled persons. It is possible to make the adjustment of the passenger device elaborate by adding elements.

이를 위해 전술한 제2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압력센서 외에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장치 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잠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senso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in addition to the pressure sensor.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may be a device worn on the wearer's body or an infrared sensor such as a wearable device. And may further comprise a sensor or device capable of locking the body move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the lik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승용장치 11 : 케이스
12 ; 바퀴 13 : 발판
20 : 센서부 21 : 제1센서부
26 : 제2센서부 30 : 출력부
40 : 구동부 41 : 모터 제어부
45 : 전기모터 50 : 전원부
60 : 출력부
10: passenger device 11: case
12; Wheel 13: Scaffolding
20: sensor unit 21: first sensor unit
26: second sensor unit 30: output unit
40: driving part 41: motor control part
45: electric motor 50: power source
60: Output section

Claims (5)

사용자의 탑승여부 및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의한 조작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조작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조작입력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저장 전력 정보, 승용장치의 속도 정보, 사용자의 포지션 정보 및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타인에 대한 경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수단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용자의 무게,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또는 압력의 분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숙련 정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사용자의 숙련 정도에 따라 입력으로 인정할 신체의 움직임 범위와, 상기 신체의 움직임 범위에 따라 증감되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의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 변화의 예민성을 조절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
A sensor unit for sensing operation input by the user's boarding status and the user's body motion;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on board by us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or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s the operation;
A driving unit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by the operation inpu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nd outputs at least one of the stored power information of the power source unit,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devic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alarm information of the other person located on the driving route,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r the speaker, And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user terminal,
The sensor unit includes:
A weight of the user, a pressure or a pressure generated by the user,
Wherein,
The degree of skill of the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n outpu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an output change by determining a size of an output of the driving unit which is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a movement range of the body to be recognized as an input according to a degree of skill of the us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 최대값 및 출력의 증가 감소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변경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조절 수단을 가지는 승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driving unit such that at least one of a maximum output value of the driving unit and an increasing and decreasing degree of the outpu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KR1020170013622A 2017-01-31 2017-01-31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KR101933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22A KR101933179B1 (en) 2017-01-31 2017-01-31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622A KR101933179B1 (en) 2017-01-31 2017-01-31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050A KR20180089050A (en) 2018-08-08
KR101933179B1 true KR101933179B1 (en) 2019-04-05

Family

ID=6322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622A KR101933179B1 (en) 2017-01-31 2017-01-31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80B1 (en) * 2019-10-15 2021-07-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Roller apparatus for stimulating balanc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72B1 (en) * 2015-08-31 2016-08-25 주식회사 이에스지 Driving stop device of one person standing style paddle train
WO2016206294A1 (en) * 2015-06-26 2016-12-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Balanced ca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US20170008593A1 (en) * 2014-02-04 2017-01-12 Timur ARTEMEV Usage detection system for a self-balancing powered unicyc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858B1 (en) 2013-11-04 2015-04-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ADA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8593A1 (en) * 2014-02-04 2017-01-12 Timur ARTEMEV Usage detection system for a self-balancing powered unicycle device
WO2016206294A1 (en) * 2015-06-26 2016-12-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Balanced ca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101651372B1 (en) * 2015-08-31 2016-08-25 주식회사 이에스지 Driving stop device of one person standing style paddle t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050A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769B2 (en) Dynamic control for light electric vehicles
JP65780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ody movement and occupant experience
AU2002211908B2 (en) Control of a personal transporter
US6538411B1 (en) Deceleration control of a personal transporter
US6288505B1 (en) Motor amplifier and control for a personal transporter
US6408240B1 (en) Traction control for a personal transporter
US7445069B2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KR20160089773A (en)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WO2008026725A1 (en) Vehicle
KR20140101767A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haptic accelerator pedal in a motor vehicle based on seat data
KR101933179B1 (en) The vehicle including output adjusting means
JP2008056067A (en) Vehicle
EP2783958B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KR102167009B1 (en) Control method automatic switching device
KR20190100015A (en) Wheel chair having an auxiliary force generating device
US11952012B2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for vehicle
KR102546089B1 (en) Safe wheelchair for safe driving and its driving method
JP2008056066A (en) Vehicle
CN111098962A (en) Movable inverted pendulum
KR101798528B1 (en) Vehicle operating system using wearable equipment
GB2452119A (en) Toy navigation device, e.g. sat-nav
WO2017117746A1 (en) Method to control scooter based on tilting posture of human body, and scooter
KR102339488B1 (en) Sea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using Gradient Change
KR102673335B1 (en) Airbag module system for mobility aids
JP2011105051A (en) Mobil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