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657B1 -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657B1
KR101845657B1 KR1020170035061A KR20170035061A KR101845657B1 KR 101845657 B1 KR101845657 B1 KR 101845657B1 KR 1020170035061 A KR1020170035061 A KR 1020170035061A KR 20170035061 A KR20170035061 A KR 20170035061A KR 101845657 B1 KR101845657 B1 KR 101845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earthquake
augmented reality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이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식 filed Critical 이성식
Priority to KR102017003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6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6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drill system, which determines a facility where a participant is staying based on information on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participant, and which conducts an earthquake evacuation drill by using virtual information to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image and loc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participant and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participant is staying are reflected, and a method using the system. The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dri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rticipant terminal obtaining participa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n a facility where a participant is staying; an earthquake evacuation drill server receiving, from the outside, or loading and obtaining, from a pre-stored database, the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participant is staying when detecting the facility where the participant is staying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participa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created to display a virtual earthquake generated in the facility from which the facility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an image output device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participant terminal; and an experience suit provided as a type of suit wearable on the participant and transmitting a vibration stimulus to the participant′s body 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ted through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ly, ordinary persons including children can experience an earthquake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limitations on place and can conduct an evacuation drill under a virtually created earthquake situation.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험자 주변의 영상정보와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판단하고, 체험자 주변의 영상정보와 위치정보와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반영한 가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진 대피훈련을 수행하는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for evaluating a facility in which an experiencer is staying based on imag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 athl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for performing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using virtual information reflecting information on facility information of a facility in which a user is staying, and a method using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통상적으로 지진체험장치는 실제상황과 비슷한 진동을 가상으로 체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진강도별 적응력을 키우고, 실제 지진에 따른 대체능력 훈련 및 지진을 고려한 실내부설계의 적합성을 실험하기 위해 수요가 점차 늘고 있으나, 기존의 기술들은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는 설치가 불가능하여 체험자가 장치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문제가 존재한다.In order to experiment with the adaptability of seismic intensity according to seismic intensity, and to test the suitability of indoor design considering seismic replacement training and actual earthquake, However, existing technologies are not able to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interior,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go to a place where the device is located.

더불어, 기존의 기술들은 특정 시설에 방문하여, 지진 상황을 체험해야 하는 장소의 제한이 존재하여, 한정된 이용자들만이 체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on existing places where visitors have to visit a specific facility and experience an earthquake, and only limited users can experience it.

한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은 체험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교육, 원격 의료진단, 방송, 건축설계, 제조 공정관리 등에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어, 향후 그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the real world seen by the viewer as an eye, and can display the virtual worlds hav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a real world together as a single image. Technology has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remote medical diagnosis, broadcasting, architectural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management.

이에 따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지진 체험 및 지진 대피훈련을 경험해보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find a way to experience earthquake experience and earthquake evacuation drill b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한국등록특허 10-1590955 (발명의 명칭: 지진체험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90955 (Title: Earthquake Experience Apparatu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지진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evacuation drill by directing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은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체험자 단말;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면,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도록 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되어 획득되도록 하며,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장치; 및 체험자가 착용 가능한 슈트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체험 슈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for an experiential terminal to acquire experiential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a facility in which an experient is staying; If the experient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experient information, the experient is allowed to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from the outside or be loaded from a previously stored database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hat generat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that the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A vide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an experiential suit that is provided in a suit-type suit to be worn by the experient and transmits the stimulus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그리고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그리고 상기 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전기설비, 가스설비, 가구, 조명장치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설비정보를 할 수 있다.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rchitectural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an view, a layout view, an elevatio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and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drawings including information on electrical equipment, gas equipment, furniture, Equip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건축도면 정보 및 상기 설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설에서의 탈출 여부 또는 상기 안전한 지점으로의 대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further includ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evacuating path information for allowing the experient to escape safely or escape to a safe point on the basis of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experiential information continuously updated,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t by judging whether the experient is escaping from the facility or evacuating to the safe point based on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

삭제delete

또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외부로부터 상기 시설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체험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설비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설비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발생된 가상의 지진의 강도가 변경되면, 상기 대피 경로정보도 변경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outside, to update the acquired faci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to reflect the updated facility information, If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virtual earthquake is changed,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changed earthquake.

그리고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체류 중인 시설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adds a temporary ID to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s in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escapes safely to the video output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evacuating to a safe point can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generate movement path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r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when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is updated over time,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cer can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with the generated moving route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체험자 단말은, 생체정보 획득부가 마련되어, 상기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체험자가 상기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체험자의 연령,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xperiential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through the synchronized video output device, , Kidney, body temperat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sugar.

또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발생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상기 체험 슈트를 통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진동 자극의 세기가 결정되도록 하되, 상기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지진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진동 자극의 세기를 재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timulu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through the experience su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earthquake, and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e health state during evacuation training and readjust the intensity of the determined vibration stimulus according to the health state.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방법은 체험자 단말에 의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지진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되어 획득되는 단계;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영상출력장치가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체험자가 착용 가능한 슈트 타입으로 마련된 체험 슈트에 의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이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method for an experiential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Is obtaine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experient information, ;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hat a virtual earthquake occurs 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hat a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in a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video output device when the video output device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and transmitting a vibration stimulus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by an experience suit provided in a suit type that the experient can wear.

이에 의해, 장소에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할 수 있으며, 가상의 지진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seismic situations for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children, at various facilities in various places, and conduct evacuation drills by producing virtual earthquake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지진 대피훈련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 슈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periencer terminal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perience suite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rom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이하에서는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으로 총칭함)을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은 증강현실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지진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o experience seismic situations for ordinary people including children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limitation of places and to perform a evacuation drill by directing a virtual earthquake situation .

이를 위해, 본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은, 체험자 단말(100),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 영상출력장치(300) 및 체험 슈트(400)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includes an experience terminal 100,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 video output device 300, and an experience suit 400.

체험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테블릿 PC 등, 체험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로 구현되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하여,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implemented as a mobile terminal that a user can possess or wear,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nd a tablet PC.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And transmit it to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그리고 체험자 단말(100)은, 파노라마 카메라와 같은 영상정보 획득 수단이 마련되어, 피사체를 통해,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되어, 기설정된 시구간 동안 기설정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영상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image information acquiring means such as a panoramic camera and is photographed at different viewpoints through the subject and is displayed on the front, back, up, down ,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wo adjacent ones of the left and right room images can be obtained.

이때,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정보들은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인접한 영상정보들이 서로 스티치(Stitch) 처리되어, 파노라마 영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adjacent at least two pieces of image information are stitched to each other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so that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produced as a panorama image.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recognize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peri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and obtai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

예를 들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이 A 어린이집이라고 인지하면, A 어린이집에 대한 시설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네이버,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의 위치정보 서비스를 통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acquire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child care center from the outside or load it from the pre-stored database if the experient is aware that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is the child care center.
Here,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recognize a facility where an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a search engine such as Naver or Google.

구체적으로,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A 어린이집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A 어린이집에 대한 건축도면 정보를 수신하고,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에서 A 어린이집의 인테리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receives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for the child care center A from outside to acquire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child care center A, extracts the interior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A from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perience information can do.

이때, 인테리어 정보는 복수의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개별적으로 각각의 영상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1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A 어린이집 내부의 조명장치에 대한 정보의 추출에는 성공하였으나, A 어린이집 내부의 가구에 대한 정보의 추출에는 실패하면, 제2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통해 A 어린이집 내부의 바닥재에 대한 정보의 추출을 시도하여, 성공할 때까지 각각의 영상정보를 통해 인테리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불어, 같은 방식으로 A 어린이집 내부의 전기설비, 가스설비, 가구, 조명 및 문에 대한 정보를 각각의 영상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individually from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 100, the interior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experiencer terminal 100 If it is unsuccessful to extract the information about the furniture in the child care center A, the information about the flooring inside the child care center A is tried to be extract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The interio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in the same manner,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facilities, the gas facilities, the furniture, the lights and the doors inside the child care house A can be extracted from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더불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 또는 시설의 특정 지역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an experiencer is staying is acquired, a virtual earthquake occurs in a facility where the experimenter is staying, Generates real-world information.

예를 들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집에 체류 중인 경우, 체험자의 거주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고,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거주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cquires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t facility of the experiencer when the experient is staying in the residence where the resident resides, and if a virtual earthquake occurs in the resident facility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that is generated as being generated.

더불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상의 지진이 확산되거나 중단되는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virtual earthquake has occurre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may continuously upd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thereby producing a state in which a virtual earthquake is diffused or interrupted over time .

예를 들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건축도면 정보 및 설비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대피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시설에서의 탈출 여부 또는 상기 안전한 지점으로의 대피 여부를 판단하여,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which allows the experimenter to escape safely or escape to a safe point in a facility where the experimenter is staying, is continuously updated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continuously updated experien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escape behavior of the experient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escape person escapes from the facility or evacuates to the safe point based on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삭제delete

이를 통해, 지진 발생 시 전기 누전으로 인한 화재 또는 가스 누출이 발생하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cond accident in which a fire or gas leakage occurs due to an electric leak when an earthquake occurs.

그리고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외부로부터 시설정보를 획득하되, 체험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설비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설비정보를 반영하여 대피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발생된 가상의 지진의 강도가 변경되면, 대피 경로정보도 변경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cquires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outside, updates the acquired faci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and generates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updated facility information And if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virtual earthquake changes,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can also be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changed earthquake.

다른 예를 들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특정 시설에 체류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체험자의 체험자 단말(100)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300)에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dds a temporary ID to the experiencing person's terminal 100 of the experiencing person who is judged to be staying in a specific facility, logs in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that allows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synchronized with the terminal 100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or evacuate to a safe point can be transmitted.

이때,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100)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logged in as the temporary ID is updated as time elapses,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searches the moving path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and evacuation behavior of the user can be evaluated by comparing the created route information with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더불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에 파노라마 카메라와 같은 영상정보 획득 수단이 마련된 경우,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인접한 복수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의 영상정보를 서로 스티치(Stitch) 처리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such as a panorama camera,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acquire a plurality of adjacent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Information can be stitch-processed to produce a panoramic image.

그리고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특정 지역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되도록 한 이후, 증강현실 정보에 체험자의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 지진 상황에 적절한 대응 요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체험자가 지진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대피 행동을 수행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The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uses a virtual earthquake to occur in a specific area, and then, based on the experiential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r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e experient can escape from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or can evacuate to a safe point Information on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measures for earthquake situations can be included so that the experimenter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earthquake situations and evaluate evacuation behavior.

여기서 적절한 대피 행동의 평가 항목으로는, 지진이 발생하는 동안 탁자, 책상과 같은 가구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는지, 또는 시설 밖으로 대피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하는지 여부, 떨어지는 물건, 조명장치를 경계하며 이동하는지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ppropriate evacuation behaviors include the use of stairs rather than elevators to protect the body, such as a table, a desk or the like, during an earthquake, or to evacuate to a safe location , Falling objects, whether or not they are moving around the lighting device, and the like.

그리고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다른 예를 들면,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 주변에 다른 체험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체험자의 주변에 다른 체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체험자와 함께 시설 밖 또는 안전한 지점으로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대피하도록 하는 협력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judges whether or not another experiential person exists around the experiential person based on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and if there is another experiential person around the experient , A cooperative event may occur with the other participants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facility or to a safe poin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복수의 체험자가 이용하는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when each image information and each experient information are individually obtain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100 used by a plurality of experient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or evacuating to a safe point based on the facility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facility,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experiencer terminal 100 and the real- Can be generated individually.

영상출력장치(300)는,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VR 글라스와 같이 체험자가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is provided so that an experient can be worn such a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or a VR glass. When the experiente terminal 100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be output.

특히, 영상출력장치(30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ransmi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the virtual image is outputted through the panorama image and the real appearanc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t is possible to cause the image produced as being displayed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viewer's viewpoint.

체험 슈트(400)는 체험자가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이 전달되어, 체험자가 실제 지진이 발생되는 상황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ted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300, the experiencing suit 400 is provided so that the experiente can be worn, and the vibration stimulus i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so that the experiencer can indirectly experience a situation in which an actual earthquake occurs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periencer terminal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체험자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 또는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for acquiring experi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or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하여, 본 체험자 단말(100)은,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 위치정보 획득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는 체험자 단말(100)의 카메라로 구현되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과 같은 체험자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camera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may acquire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user, such as a facility where the user is staying.

또한,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는, 파노라마 카메라로 구현되어, 체류 중인 시설과 같은 체험자 주변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하여, 기설정된 시구간 동안 기설정된 지리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전방, 후방, 상방, 하방, 좌측방 및 우측방 영상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is implemented by a panoramic camera.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captures images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user, such as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at different points in time, It is possibl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wo adjacent ones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room images.

위치정보 획득부(110)는, 체험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position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is provided for obtaining real-time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xperiencer.

여기서, 실시간 위치정보는, 현재 시점(time)에서의 체험자의 위치정보를 의미하며, 체험자가 이동하면 위치정보가 갱신될 수 있어,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mea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xperient at the current time, and when the experient moves,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updated and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제어부(120)는 체험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체험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12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to perform the overall tasks of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영상정보 획득부(미도시) 또는 위치정보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체험자 정보들을,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the experienc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to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또한, 특정 영상출력장치(300)와 동기화되도록 하여, 체험자가 자신의 체험자 정보가 반영된 증강현실 정보들을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ith the specific image output device 300 so that the experiencing person can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flecting his / her experience information through the synchronized image output device 300.

통신부(13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로 획득된 영상들을 전달하거나, 블루트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영상출력장치(300)와 동기화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to transmit images acquir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or to be synchronized with a specific video output apparatus 300 using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luetooth or a beacon do.

저장부(140)는 체험자 단말(100)의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to store applications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asks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140 may install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

디스플레이부(150)는 체험자 단말(100)이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display unit 150 is provided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be output by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더불어, 체험자 단말(100)은, 전술한 영상정보 획득부, 위치정보 획득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 이외에, 생체정보 획득부(미도시), 입력부(미도시) 및 배터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storage unit 140, and display unit 150, the experiential terminal 100 may acquire biometric information (Not shown), an input unit (not shown),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생체정보 획득부(미도시)는, 체험자의 연령,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The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acquire at least on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age, body weight, height, body temperatur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blood glucose of the participant.

또한, 입력부(미도시)는 수행하고자 하는 업무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되며, 배터리부(미도시)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An input unit (not shown) is provided for inputting a command related to a task to be performed,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supplying pow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지진 대피훈련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획득하여,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experi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acquires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provided to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that the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in the self-staying facility.

이를 위하여, 본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nd a storage unit 230.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체험자 단말(100) 및 영상출력장치(300), 그리고 기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and other external servers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facilities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from outside .

또한,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영상출력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transmi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

제어부(22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22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 perform the overall tasks of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수신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이 인지되면,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데이터에서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20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er is staying based on the received experience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from the outside or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30 ) From the pre-stored data.

여기서, 시설정보는,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시설의 내부의 벽지, 바닥재, 몰딩, 가구, 조명, 커튼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인테리어 정보가 포함된다.Herein,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loor plan, the layout plan, the elevation view and the section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ire fighting equipment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interior information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lights, curtains, and doors.

한편, 제어부(22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 또는 시설의 특정 지역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acquired, the controller 220 stor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that the virtual viewer is experiencing in the facility or the specific area of the facility, Can be generated.

또한, 제어부(220)는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이후, 증강현실 정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하여, 체험자의 행동에 따라 가상의 지진이 확산되거나 진화되는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the controller 220 may continuously upd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ith the lapse of time, and may produce a state in which a virtual earthquake spreads or evolv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experiencer.

또한, 제어부(220)는 체험자가 체류 중이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되도록 한 이후, 증강현실 정보에 체험자의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 지진 상황에 적절한 대응 요령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고, 체험자가 지진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대피 행동을 수행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virtual earthquake occurs in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the control unit 220 allows the user to escape from the facility in which the user is staying or to evacuate to the safe point based on the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on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and appropriate response measures for earthquake situations can be included so that the experimenter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earthquake situations and evaluate evacuation behavior.

더불어, 제어부(220)는,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체험자의 생체정보가 수신되면,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지진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xperiencer is receiv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the health state of the experiential evacuation training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이는, 제어부(220)가 발생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체험 슈트를 통해 체험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진동 자극의 세기가 결정되도록 하는 경우에,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의 지진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면, 건강상태에 따라 결정된 진동 자극의 세기를 재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control unit 22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timulu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through the experience sui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earthquake, It is possible to readjus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timulu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예를 들면, 제어부(220)는 체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5세 아동의 경우, 진동의 세기가 5라면, 15세 청소년의 경우, 진동의 세기를 10으로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20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to 10 in the case of a 5-year-old child, and the intensity of vibration in a 15-year-old youth if the vibration intensity is 5, considering the age of the experiencer.

또한, 제어부(220)는 체험자가 둘 다 5세 아동인 경우에도, 체중을 고려하여, 15kg의 체중의 아동의 경우 진동의 세기를 6으로 하고, 12kg의 체중의 아동의 경우, 진동의 세기를 5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to be 6 for a child weighing 15 kg and the intensity of vibration for a child weighing 12 kg,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even when the experimenter is a child of both 5 years old 5 can be adjusted.

이와 같은 진동 자극 재조정을 통하여 제어부(220)는, 체험자가 진동 자극에 의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대피 행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such vibration stimulation re-adjustment, the control unit 220 can prevent the injured person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evacuation action by adversely affecting the health by the vibration stimulus.

그리고 제어부(220)는, 체험자 단말(100)이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을 통해,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정보가 개별적으로 획득된 경우, 각각의 영상정보와 각각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와 각각의 체험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시설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개별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experiential terminals 100 are provided and the respectiv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spective experiential information are individually obtained through each experiential terminal 100,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the escape route information for allowing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pecific facility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each experiencer terminal 100 .

한편, 저장부(23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의 업무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unit 230 is provided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tasks of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시설에 마련된 소화설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전기설비, 가스설비, 가구, 조명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시설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30 store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plan information including the plan, layout, elevation, and sectional views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gas Equipment information including equipment, furniture, lighting and door information can be stor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영상출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300)는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image outpu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ynchronizes with the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s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

이를 위해, 본 영상출력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디스플레이부(330)를 포함한다.The image output apparatus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nd a display unit 330.

통신부(310)는, 블루트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특정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거나,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로부터 증강현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provided for receiv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rom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by using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luetooth or a beacon, synchronizing with the specific experience user terminal 100, or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

제어부(320)는, 영상출력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영상출력장치(300)의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320 is provided to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to perform overall tasks of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20 may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cer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cer.

또한,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ransmi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a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through the panorama image and the real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t is possible to output them together according to a time point.

디스플레이부(330)는,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과 함께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30 may outpu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t.

또한, 디스플레이부(33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가 파노라마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실제 모습과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을 체험자의 시점에 따라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ransmi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norama image,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actual state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cing person is staying and a virtual earthquake occurred through the panorama image Can be outputted together with the viewpoint of the experi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의 체험 슈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xperience suite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체험 슈트는 체험 슈트(400)는 체험자가 착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을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experiential su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experiential wearer can wear the experiential suit 400. 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ted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300,

이를 위해, 체험 슈트(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진동 자극 발생부(430)를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suit 4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control unit 420, and a vibration stimulation generating unit 430.

통신부(41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is provide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using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로부터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410 can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a vibration stimulus from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제어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 자극 발생부를 제어하여,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을 절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42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vibration stimulus generator to cut the vibration stimulus to the body of the experimenter.

진동 자극 발생부(430)는,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The vibration stimulus generator 430 can transmit a vibration stimulus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구체적으로 진동 자극 발생부(430)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 형태로 구현되되, 내부에 도전성 입자가 부가되어, 도전성 입자에 미세한 전류가 제공되면, 진동 자극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ibration stimulation generating unit 430 is implemented as a pad made of a silicon material, and conductive particles are added to the inside of the vibrating stimulation generating unit 430. When a minut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ductive particles, a vibration stimulus can be gene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진 대피훈련 방법은 증강현실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의 제한 없이 다양한 시설에서, 어린이들을 포함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지진 상황을 체험하고, 가상의 지진 상황을 연출하여 대피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ased o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n earthquake situation for a general public including a child in various facilities without limitation of a place and to perform a evacuation drill by directing a virtual earthquake situation have.

이를 위해, 우선, 체험자 단말(100)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can acquire the experi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S510).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획득된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When the experient information is obtaine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acquired experient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is present in the database of the previously stored facility (S520).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S520-Y),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는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I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exists in the database of the pre-stored facility (S520-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loads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the database for the pre-stored facility Can be obtained.

그리고 만약에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기저장된 시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520-N), 외부로부터 해당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If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of the previously stored facility (S520-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can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cquired.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획득되면, 지진 대피훈련 서버(200)가,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0).When the facility information o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s obtained,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00 can generate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that causes a virtual earthquake to occur i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S530).

영상출력장치(300)가 체험자 단말(100)과 동기화되면, 영상출력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540). When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cer terminal 100, the video output apparatus 300 can output the genera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540).

또한, 영상출력장치(300)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체험자가 착용 가능한 슈트 타입으로 마련된 체험 슈트(400)는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여(S550), 체험자가 지진 상황을 체험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300, the experiential suit 400 provided with a suit-type suit for the experient can transmit a vibration stimulus to the experient's body (S550) You can try i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특정의 실시예를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체험자 단말 110 : 위치정보 획득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저장부 150 : 디스플레이부
200 : 지진 대피훈련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30 : 저장부
300 : 영상출력장치 310 : 통신부
320 : 제어부 330 : 디스플레이부
400 : 체험 슈트 410 : 통신부
420 : 제어부 430 : 진동 자극 발생부
100: experiencer terminal 110: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20: control unit 130:
140: storage unit 150: display unit
200: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210: communication part
220: control unit 230:
300: video output device 310:
320: Control section 330:
400: Experience suit 410: Communication department
420: control unit 430: vibration stimulation generating unit

Claims (10)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체험자 단말;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면,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도록 하거나 또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되어 획득되도록 하며,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지진 대피훈련 서버;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장치; 및
체험자가 착용 가능한 슈트 타입으로 마련되어,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는 체험 슈트;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An experiential terminal for acquiring experiential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for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If the experient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experient information, the experient is allowed to receive facility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from the outside or be loaded from a previously stored database An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hat generate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that the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obtained;
A video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n being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And an experiential suit tha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uitable wearable suit so that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so that a vibration stimulus i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시설의 구조에 대한 평면도, 배치도, 입면도 및 단면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건축도면 정보, 그리고 상기 시설의 내부에 마련된 전기설비, 가스설비, 가구, 조명장치 및 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설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A construction draw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plan view, a layout view, an elevatio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and equip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electric equipment, gas equipment, furniture, Where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건축도면 정보 및 상기 설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된 증강현실 정보에 포함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체험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설에서의 탈출 여부 또는 상기 안전한 지점으로의 대피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comprises: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that allows the experient to escape safely or escape to a safe point in the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building drawing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information is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updat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Wherein said experience evaluator evaluates evacuation behavior of said experiencer based on said experiential information continuously updated based on said evacuation path information whether said evacuee escapes from said facility or evacuates to said safe point,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reality.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외부로부터 상기 시설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체험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설비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설비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발생된 가상의 지진의 강도가 변경되면, 상기 대피 경로정보도 변경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갱신되도록 하는 것을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comprises:
Wherein the facility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es the facility information from outside, updates the acquired faci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xperiencer terminal,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flecting the updated facility information,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virtual earthquake is changed,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is also upda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hanged earthquak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체험자 단말에 임시 아이디를 부가하되, 별도의 패스워드 입력없이 로그인되도록 하고,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에 상기 체류 중인 시설에서 안전하게 탈출하거나 안전한 지점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comprises:
A temporary ID is added to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the login is made without inputting a separate password,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for escaping safely from the resident facility or evacuating to a safe point is transmitted to the video output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위치정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면, 상기 임시 아이디로 로그인된 체험자 단말의 이동 경로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며,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정보와 상기 대피 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체험자의 대피 행동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comprises:
When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as the temporary ID is updated as time elapses, movement route information of the experiential terminal logged in with the temporary ID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travel route information and the evacuation And evaluating the evacuation behavior of the experiencer by comparing the path information with the augmented reality based seismic evacuation train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험자 단말은,
생체정보 획득부가 마련되어, 상기 동기화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체험자가 상기 대피 경로정보가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생체정보 획득부를 통해 상기 체험자의 연령, 체중, 신장,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가 획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periential terminal,
Wherein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outpu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path information to the experiencer through the synchronized video output device, the age, weight, , Respiration rate, and blood sugar level of the at least one biological information are obtai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는,
상기 발생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상기 체험 슈트를 통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진동 자극의 세기가 결정되도록 하되, 상기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의 지진 대피훈련 중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된 진동 자극의 세기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comprises: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stimulu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experiencer through the experience su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earthquake, and the health state of the experiencer during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Wherein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stimulus is readjust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체험자 단말에 의해,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영상정보와 실시간 위치정보가 포함된 체험자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지진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획득된 체험자 정보에 포함된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을 인지하고, 상기 체험자가 체류 중인 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되어 획득되는 단계;
상기 지진 대피훈련 서버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영상출력장치가 상기 체험자 단말과 동기화되면, 상기 영상출력장치에 의해, 상기 시설정보가 획득된 시설에 가상의 지진이 발생된 것으로 연출된 영상이 포함된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정보가 출력되면, 체험자가 착용 가능한 슈트 타입으로 마련된 체험 슈트에 의해, 상기 체험자의 신체에 진동 자극이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지진 대피훈련 방법.
Acquiring experiential information including image information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where the experient is staying, by the experiential terminal;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recognizes the facility in which the experient is staying based on the real tim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experient information, ;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generated by the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server that a virtual earthquake occurs in the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Outputt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that a virtual earthquake is generated in a facility where the facility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video output device when the video output device is synchronized with the experiential terminal; And
And an augmented reality-based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when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is outputted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a vibration stimulus is transmitted to a body of the experiencer by an experience suit provided in a suit- .
KR1020170035061A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456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61A KR101845657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61A KR101845657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657B1 true KR101845657B1 (en) 2018-04-04

Family

ID=6197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61A KR101845657B1 (en) 2017-03-21 2017-03-21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6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81B1 (en) * 2018-05-23 2019-08-21 최성은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case of emergency disaster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81B1 (en) * 2018-05-23 2019-08-21 최성은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case of emergency disaster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89B1 (en) System for fir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257336B2 (en) Virtual enhancement of security monitoring
CN109276887B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virtual object
CN107427722A (en) Motion sickness monitors and the application of supplement sound confrontation motion sickness
EP3317786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ordin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CN108255942A (en) The method of facility number capacity in configuration skifield, amusement park or gymnasium
US201600426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training simulation
KR101845657B1 (en) System for earthquake drill base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8142119A (en) Method to be executed by computer for movement in virtual space, program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0522828A (en) Computer vision based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CN111127822A (en) Augmented reality-based fire-fighting auxiliary method and intelligent wearable equipment
US202303850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2002108196A (en) System for virtual experience of refuge
John et al. Smartsenior’s interactive trainer-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system for a home-based fall-prevention training for elderly people
Amini et al. Using kinect v2 to control a laser visual cue system to improve the mobility during freezing of gait in Parkinson’s disease
KR20210070119A (en) Meditation guide system using smartphone front camera and ai posture analysis
CN113223718B (en) One-stop emotion releasing system
US20210249050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design support system
CN112995523B (en) Online self-service environment detection method and system
JP2018142319A (en) Method to be executed by computer for movement in virtual space, program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21190100A (e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han et al. Flight Chair: An Interactive Chair for Controlling Emergency Service Drones
JP2005050122A (en) Renovation simulation system
CN112274140A (en) Abnormity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0299038A (en) Construction scene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