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52B1 -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52B1
KR101811552B1 KR1020170005801A KR20170005801A KR101811552B1 KR 101811552 B1 KR101811552 B1 KR 101811552B1 KR 1020170005801 A KR1020170005801 A KR 1020170005801A KR 20170005801 A KR20170005801 A KR 20170005801A KR 101811552 B1 KR101811552 B1 KR 10181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input
information
m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2496A (en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7000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552B1/en
Publication of KR2017001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 상기 키패드 터치부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비전부; 및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기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및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touch unit coupled to a terminal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oward a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A vision unit coupled to the keypad touch unit and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en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escription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put device,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단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put device,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일반적으로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는 각종 데이터 연산 처리를 통해 업무, 커미니케이션, 엔터테이먼트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general, terminals such as computers and smart phones can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business, personalization and entertainment through various data processing processes.

이러한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 신호가 전송되면, 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직접 사용자 입력부를 접촉해야하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다.Such a terminal can be driven accordingly when an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its own input unit. Therefore, there is a space restriction that the user must be in close proximity to the terminal to directly touch the user input unit to operate the terminal.

이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원격 서비스 방법을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대상 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the target terminal is remotely controll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mote service method.

하지만, 이러한 원격 제어 방법은 통신 신호를 해당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해당 신호에 따라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해당 데이터를 비정상적인 접근으로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해킹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remote control method directly transmits a communication signal to a corresponding terminal and drives a program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ignal. In this remote control method, an error is generated by judging the data as an abnormal access, exist.

본 발명의 목적은 해킹의 위험성을 방지하고, 대사 프로그램에 대한 정상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input device,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prevent a risk of hacking and enable a normal access to a metabolic progr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 입력장치는,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 상기 키패드 터치부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비전부; 및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기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input device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keypad touch part coupled to a terminal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oward a user input part of the terminal; A vision unit coupled to the keypad touch unit and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en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여기서, 상기 키패드 터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키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keypad touch unit may include: a housing disposed to face the user input unit; A key in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unit in the housing; And a key driver for moving the key input unit toward the user input unit.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 탈착 및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ousing may be detachable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the key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that are individually detachable and can be adjusted in spacing between the keys.

여기서, 마우스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use driver configured to drive the mouse,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use driver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마우스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마우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와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를 이동 및 상기 마우스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se driver may include a sub housing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mouse; And a mouse executing unit installed on the sub housing and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us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he mouse and the button of the mouse.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power button touch un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power button of th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button touch uni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touch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touch uni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여기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input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비전부는, 위치 및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on-conductiv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hangeable in position an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입력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nd when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키패드 터치부는, 자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며, 수동 모드에서 외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keypad touch unit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in an automatic mode and may be driven by an external force in a manual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방법은, 키패드 터치부에 결합되는 비전부를 통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through a vision unit coupled to a keypad touch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ntrolling,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a keypad touch unit coupled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마우스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ich is formed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is combined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mouse driver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mouse.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ich is formed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is combined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power button touch unit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power button.

여기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ich is formed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is combined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to selectively touch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ouch unit to be formed.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키패드 터치부에 구비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입력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keypad touch unit;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converting the response information into the input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키패드 터치부에 결합되는 비전부를 통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마우스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키패드 터치부에 구비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입력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입력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through a vision unit coupled to a keypad touch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Controlling a keypad touch unit coupled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oward a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Controlling a mouse driver configured to drive a mous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Controlling a power button touch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a power butt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Controlling a display touch unit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keypad touch unit;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converting the response information into the input information; The terminal inputting method can be per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타격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rminal input device, the terminal input method,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input normal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by hitting the user input portion of the terminal.

또한, 단말기 입력장치가 외부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정상적인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input devi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a normal input signal can be remotely provid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또한, 비전부를 통해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입력부에 해당 입력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automatically generating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outpu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vision unit and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input unit.

또한, 사용자 입력부뿐 아니라, 전원 버튼, 마우스,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 역시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실행할 수 있어, 적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the user input unit but also the display unit such as the power button, the mouse, and the touch screen can be directly brought into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터치부(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구둥부(14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버튼 터치부(1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 키입력부(117)를 구비하는 키패드 터치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termi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keypad touch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mouse mouth par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power button touch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keypad touch unit 210 having a manual key input unit 11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termina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terminal input device,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터치부(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M) 구둥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버튼 터치부(1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keypad touch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mouse 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power button touch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단말기(T)의 사용자 입력부(K)에 설치되어 입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K)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1, the terminal input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a user input unit K of the terminal T and may be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K according to input information.

단말기(T)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스크탑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데스크탑 컴퓨터를 단말기(T)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terminal T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a program, and may be a desktop computer, a tablet computer, a smart phone, or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ktop computer will be described as a target for the terminal T for ease of explanation.

이러한 단말기는, 키보드(K)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K)와, 마우스(M), 디스플레이부(D), 및 각종 전자 부품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O)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K)는 키보드(K)가 구비되지 않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컴퓨터의 경우, 자판이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Such a terminal may include a user input section K such as a keyboard K, a main body O including a mouse M, a display section D,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martphone or a tablet computer in which the keyboard K is not provided, the user input unit K can be defined as a partial area of the touch screen where the keyboard is formed.

이와 같은 단말기(T)의 사용자 입력부(K)에 설치되는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입력 정보나, 외부 단말기(S)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정보, 단말기 입력장치(100)에 구비되는 비전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D)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이에 대해 생성되는 입력 정보 등을 기초로 하여 구동될 수 있다.The terminal input apparatus 100 installed in the user input unit K of the terminal T may be provided with inpu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170 provided therein or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S, And may be driven based on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D through the vision unit 130 provided in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의도하는 웹사이트 또는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입력에 관한 입력 정보를 단말기 입력장치(100)에 전달하면,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해당 입력 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입력부(K)를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T)는 실제로 자신의 사용자 입력부(K)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마우스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키보드(K)뿐 아니라, 마우스(M) 역시 상술한 방법에 따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D)와 본체(O)의 전원 버튼(PB)에는 전원 버튼 터치부(150)를 배치하여, 각 장치의 전원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비전부(130)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D)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구동시키거나, 외부 단말기(S)로 해당 영상을 전달하여 이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받아 구동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to the web site or the specific program intended by the user to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displays the user input K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Can be touched. Thus, the terminal T may actually operat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its user input K.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may include not only the keyboard K but also the mouse M including the mouse driver 140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power button touch unit 150 may be disposed on the power button PB of the display unit 150 to control power operation of each apparatus. Further,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may include a vision unit 130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 automatically generate and drive corresponding input information, And may be driven by receiving input information therefrom.

이와 같은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is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입력장치(100)는 키패드 터치부(110), 디스플레이 터치부(120), 비전부(130), 마우스 구동부(140), 전원 버튼 터치부(150), 통신부(160), 메모리부(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includes a keypad touch unit 110, a display touch unit 120, a vision unit 130, a mouse driver 140, a power button touch unit 150, A memory unit 170, a power supply unit 180,

키패드 터치부(110)는, 단말기(T)의 사용자 입력부(K)를 향해 이동하여 물리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1), 키입력부(113), 및 키구동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keypad touch unit 110 includes a housing 111, a key input unit 113, and a key drive unit 115 as means for physically moving toward the user input unit K of the terminal T .

하우징(111)은, 키패드 터치부(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K)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입력부(K)에 탈착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서로 결합되지 않은체로 하우징(111)이 사용자 입력부(K) 상에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11)은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해당 지지부를 통해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고, 해당 이격된 공간에 사용자 입력부(K)가 배치될 수 있다. 반면, 하우징(111)이 사용자 입력부(K)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1)은 탈착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 결합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부(K)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결합부는 하우징(1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결합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부(K)와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111)은 사용자 입력부(K) 상에서 사용자 입력부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은 후술하는 키입력부(113)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111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keypad touch part 110 and may be arranged to face the user input part K.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11 is formed to be detachable to the user input unit K, but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housing 111 may be disposed on the user input unit K. In this case, the housing 111 may hav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extend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through the support portion, and the user input portion K may be disposed in the spaced apart spac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using 111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user input unit K, the housing 111 can be coupled with the user input unit K through a housing coupling unit (not shown) for detachment. In this case, the housing coupling part may b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housing 111. When the housing coupling part is coupled with the user input part K through the housing coupling part, the housing 111 is separated from the user input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tate. In addition, the housing 111 may hav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key input unit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키입력부(113)는, 사용자 입력부(K)와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1)과 사용자 입력부(K)의 결합 시, 사용자 입력부(K)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1)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키입력부(113)는, 사용자 입력부(K)의 개별 입력 버튼과 대응되는 복수의 키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키버튼은 개별 탈착 및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의 측벽들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가 설치되고, 키버튼은 해당 연결대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키버튼의 면적은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부(K)의 입력 버튼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키버튼 사이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따라, 키입력부(113)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용자 입력부(K)에 적용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입력부(K)의 입력 버튼 간격에 따라 키버튼의 위치 및 개 수를 조정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13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11 to correspond to the user input unit K when the housing 111 and the user input unit K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means for contacting the user input unit K. [ Accordingly, the key input unit 11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input buttons of the user input unit K.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 buttons may be formed so as to allow individual detachment and adjustment of the spacing therebetween. In other word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sidewalls of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1 are provided, The key buttons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spective connecting rods.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key button may be smaller than the input butt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unit K, and thus,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ccordingly, when the key input unit 113 is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user input units K,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key butto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put button interval of the corresponding user input unit K. [

키구동부(115)는, 키입력부(113)를 사용자 입력부(K)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111)의 일측에 설치되어 키입력부(1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키구동부(115)는 모터와 같은 구동기가 설치되어 키입력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키연결부를 사용자 입력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하거나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구동부(115)가 키입력부(113)와 대응되는 복수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단일 키구동부(115)로 형성되어 각 키입력부(113)와 키연결부를 통해 개별 연결될 수도 있다.The key driver 11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113 as a means for moving the key input unit 113 toward the user input unit K. [ The key driving unit 115 may be driven by a driver such as a motor so that the key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113 is extend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r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key input unit 113 and the key connection unit may be formed of a single key driving unit 115, Lt; / RTI >

디스플레이 터치부(120)는, 디스플레이부(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D)에 대하여 접촉하여 화면의 켜짐이나 커서의 이동이과 같은 기능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터치부(120)는 디스플레이 이동부(121) 및 디스플레이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touch unit 120 is a means for selectively making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D and is capable of contacting a display unit D such as a touch screen to implement a function of turning on a screen or moving a cursor have. For this, the display touch unit 120 may include a display moving unit 121 and a display input unit 123.

디스플레이 이동부(121)는, 키패드 터치부(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디스플레이 이동부(121)는 내부에 전기적으로 회전 및 승하강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일측이 키패드 터치부(1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이동부(121)는 키패드 터치부(110)와의 결합 부분을 축으로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The display moving unit 121 can be formed to be movable in the keypad touch unit 110. [ In other words, the display moving unit 121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is electrically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and one side can be coupled with one side of the keypad touch unit 110. Accordingly, the display moving unit 121 can be moved leftward or rightward or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with the keypad touch unit 110 as an axis.

디스플레이 입력부(123)는, 디스플레이 이동부(121)의 끝단에 설치되어 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입력부(123)는 터치스크린의 감지 방식에 따라 정전식 소재 정압식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이 적외선 터치 방식(IR Touch)일 경우, 디스플레이부(D)에 대한 접촉 없이 소정 간격 이격된체로 이동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display input unit 123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play moving unit 121 to selectively contact the display unit D of the terminal T. [ At this time, the display input unit 123 may be an electrostatic material static pressure material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sensing method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when the touch screen is the infrared touch method (IR Touch), the touch screen may be moved on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out touching the display portion D.

비전부(130)는, 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전 결합부(131)를 통해 키패드 터치부(110)와 결합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비전 결합부(131)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방향으로 자세가 변경 가능한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비전 결합부(131)는 디스플레이 이동부(121)처럼 구동부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될 수도 있다.The vision unit 130 may include a camera coupled to the keypad touch unit 110 via the non-coupling unit 131 as a means for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 of the terminal T have. At this time, the non-coupl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ody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and can change posture in multiple directions. Further, the non-coupling portion 131 may include a driving portion such as the display moving portion 121, and may be adjusted in position and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portion 190 described later.

비전부(130)가 카메라로 구성됨에 따라 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나 텍스트, 동영상과 같은 영상 정보를 해당 카메라로 외부에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비전부(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전 결합부(131)의 끝단에 스마트폰을 탈착하는 구조가 형성되고, 스마트폰을 해당 구조에 부착하여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집되는 영상 정보는 제어부(190)에 전송하거나, 아니면 스마트폰 내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190)에 제공할 수 도 있다.As the vision unit 130 is configured by a camera, the image information such as an image, text, and moving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D of the terminal T can be photographed from the outside by the corresponding camera. In addition, the vision unit 130 may be replaced wit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n this case, a structure for detaching the smartphon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non-coupling portion 131, and the smart phone may be attached to the structure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of the smart phone. The image information thus collec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90 or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90 by generat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ed in the smart phon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구동부(140)는 마우스(M)를 이동시키거나 및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브 하우징(141), 제1 이동부(143), 및 제2 이동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mouse driver 140 includes a sub housing 141, a first moving part 143, and a second moving part 143 as means for moving the mouse M and clicking a mouse button. And may include a portion 145.

서브 하우징(141)은, 마우스(M)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를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sub housing 141 may hav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use M therein.

제1 이동부(143)는, 상기 서브 하우징(141)의 일면과 그 반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이동부(143)는 한 쌍의 가이드부(141a)가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141)의 일면 및 타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141a)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moving part 143 may be form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sub housing 141 and the opposite side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moving part 143 is formed to connect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b housing 141, on which the pair of guide parts 141a are formed, and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part 141a.

제2 이동부(145)는, 마우스(M)와 결합되어 제1 이동부(143)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다시말해, 제2 이동부(145)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바닥면을 향하는 일면을 통해 마우스(M)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면을 통해 제2 이동부(145)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45)는 제1 이동부(143)를 향하는 일면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부가 설치됨에 따라 제2 이동부(145)는 해당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part 145 may be means for moving along the first moving part 143 in combination with the mouse M. In other words, the second moving part 145 is detach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can be coupled with the second moving part 145 through the other surface. The second moving part 145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not shown) along one side thereof facing the first moving part 143 so that the second moving part 145 can move along the guide part.

또한, 제2 이동부(145)는 마우스(M)와 결합될뿐만 아니라, 마우스(M)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마우스 버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버튼 구동부는, 마우스(M)에 구비되는 버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누를 수 있다. 또한, 마우스(M)에 휠버튼이 구비되는 경우, 해당 휠버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ving unit 145 may include a mouse button driving unit (not shown)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button of the mouse M as well as the mouse M. The mouse button drive unit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button provided on the mouse M, and can be selectively pressed and pressed. In addition, when the mouse M is provided with a wheel button, the wheel button may b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상술한 제1 이동부(143)는 내부 공간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145)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143) 및 제2 이동부(145) 각각의 이동에 의해서 마우스(M)는 서브 하우징(141)의 내부 공간 전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M)는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되기 위해서 제1 이동부(143)의 높이가 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oving part 143 may be moved in a first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5 may be mov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herefore, the mouse M can be moved along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sub housing 141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ing part 143 and the second moving part 145, respectively. In order to move the mouse M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 height of the first moving part 143 may be arranged at a corresponding heigh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버튼 터치부(150)는 단말기(T)의 디스플레이부(D)나 본체(O)의 전원 버튼(PB)을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본체(O)를 대상으로 하는 전원 버튼 터치부(150)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4, the power button touch unit 150 is a means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display unit D of the terminal T or the power button PB of the main body O. In this embodiment, For ease of explanation, the power button touch unit 150 that targets the main body O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를 위해 전원 버튼 터치부(150)는, 버튼 하우징(151), 버튼 입력부(153), 버튼 구동부(155), 및 수동 버튼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button touch unit 150 may include a button housing 151, a button input unit 153, a button driving unit 155, and a manual button unit 157.

버튼 하우징(151)은, 본체(O)의 전원 버튼과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전원 버튼(PB)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하우징(15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O)의 외면에 결합되기 위해 본체(O)와 접촉하는 면이 자성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해당 외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utton housing 151 is a means for engaging with the power button of the main body O. The button housing 151 may have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facing the power button PB. The button housing 151 may include a magnetic body or a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 to contact the body O to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

버튼 입력부(153)는, 버튼 하우징(151)이 전원 버튼(PB)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경우, 전원 버튼(PB)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버튼 하우징(15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button input unit 153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utton housing 151 as a means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power button PB when the button housing 151 is coupled to surround the power button PB .

버튼 구동부(155)는, 모터 등의 구동력을 통해 버튼 입력부(153)를 전원 버튼(PB)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다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버튼 하우징(PB)의 일측에서 버튼 입력부(153)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utton driving unit 155 is a means for moving the button input unit 153 in the direction of the power button PB or returning the button input unit 153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a driving force of a motor or the like, 153, respectively.

수동 버튼부(157)는, 외력에 의해 버튼 입력부(153)를 전원 버튼(PB)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버튼 입력부(153)의 반대편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버튼 하우징(1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버튼부(157)는 버튼 입력부(153)와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버튼 입력부(15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버튼 입력부(153)는 내부에 태엽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된 뒤 외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위치로 탄성 복귀될 수 있다.The manual button unit 157 is a means for moving the button input unit 153 in the direction of the power button PB by an external force and is coupled to the button housing 151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button input unit 153 . The manual button unit 157 may be connected to the button input unit 153 to move the button input unit 153 by an external force. At this time, the button input unit 15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or a spring, and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n elas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통신부(160), 메모리부(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는 하우징(11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해당 구성들은 전기적인 구성 또는 부품이므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서로 통합된 상태로 도시하였을뿐 이들이 모두 통합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the memory unit 170, the power source unit 180, and the control unit 190 shown in FIGS. 1 and 5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1. Since the configurations are electrical components or parts, they are shown as being integrated with each other for ease of explanation, but they are not all integrated.

통신부(160)는, 외부 단말기(S)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거나, 비전부(130)로부터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외부 단말기(S)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means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S o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ision unit 130 to the external terminal S. [

메모리부(170)는, 입력 정보 및 영상 정보와 패턴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입력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단말기(S)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고, 후술하는 제어부(19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패턴 테이블 정보는 영상 정보의 비교값들이 집합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다시말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테이블 정보일 수 있다.The memory unit 170 may be means for storing inpu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pattern tabl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external terminal S and transmitted, and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image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The pattern tabl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arison values of the image information are aggregated. In other words, it may be table information for calculating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put image information.

전원부(180)는, 단말기 입력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 케이블로 연결되어 외부 콘센트와 연결될 수도 있고, UBS 케이블로 구성되어 본체(O)의 USB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be applied in various manners as a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input apparatus 100.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as a replaceable battery, and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outlet through a power cable, or can be connected to a USB terminal of the main body O by a UBS cable to receive power.

제어부(190)는, 상술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 터치부(110), 디스플레이 터치부(120), 마우스 구동부(140), 및 전원 버튼 터치부(15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keypad touch unit 110, the display touch unit 120, the mouse driver 140, The touch unit 150 can be controlled to be driven.

또한, 제어부(190)는 비전부(130)로부터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70)에 저장하거나 외부 단말기(S)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90 may also control the memory unit 170 to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S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vision unit 130. [

제어부(190)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A concrete control method of the control unit 19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이상은, 단말기 입력장치(100)의 구조 및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6에서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 수동 키입력부(117, 도 6)를 구비하는 키패드 터치부(210, 도 6)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tructur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100 have been described above. 6 illustrates a keypad touch unit 210 (FIG. 6) including a manual key input unit 117 (FIG. 6)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 키입력부(117)를 구비하는 키패드 터치부(2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적용하도록 한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keypad touch unit 210 having a manual key input unit 11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se of explan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5 are applied to the same components.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키패드 터치부(210)는 도 2의 키패드 터치부(110, 도 2 이하생략)와 대체로 동일하나 수동 키입력부(117)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6, the keypad touch unit 2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keypad touch unit 110 (not shown in FIG. 2) of FIG. 2 but includes a manual key input unit 117.

수동 키입력부(117)는, 기존 키입력부(113, 도 2 이하생략)의 반대면에서 각각의 키버튼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 터치부(210)가 사용자 입력부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동 키입력부(117)를 조작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 입력부에 대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시킬수 있다.The manual key input unit 117 may b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key butto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isting key input unit 113 (not shown in FIG. 2),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user input uni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anual key input unit 117 even when the keypad touch unit 210 is coupled with the user input unit.

다시말해, 키패드 터치부(210)는 자동 모드에서는 기존 키입력부를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 입력부를 터치할 수 있으며, 수동 모드에서는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림되는 수동 키입력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부를 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 터치부(210)는 자동 모드 및 수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스위치를 일측에 구비하여 해당 스위치의 ON/OFF에 따라 모드의 변경을 실시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n the automatic mode, the keypad touch unit 210 can automatically touch the user input unit through the existing key input unit. In the manual mode, the user can touch the user input unit by the manual key input unit that is selectively pressed by the external force . Here, the keypad touch unit 210 may include a changeover switch for selectively changing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and may change the mode according to ON / OFF of the corresponding switch.

이상은 수동 입력부(117)를 구비하는 키패드 터치부(2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7에서는 단말기 입력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keypad touch unit 210 having the manual input unit 117 has been described above. 7,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입력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기재되는 구성들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의 도면 부호들로 대체하여 생략하도록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erminal input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termina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structures shown in Fig. 7 will be omitted in place of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6.

단말기 입력장치를 이용한 입력방법은, 입력 정보의 발생 주체에 따라서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황에서 외부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상황에 대하여 우선 설명하도록 한다.The input method using the terminal input devi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bject of genera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a situation in which a terminal located in a room is powered off by an external terminal will first be described.

최초, 앞서 상술한 단말기 입력장치가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마우스, 및 본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전원이 꺼져 있는 상황에 있을 수 있다. 다만, 단말기 입력장치는 전원부를 통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자체 동작 및 통신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입력장치의 통신부는 유선 통신 케이블이나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At first, the above-mentioned terminal input device may be in a state where the power is turned off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user input unit, the display unit, the mouse, and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respectively. However, since the terminal input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power source, the terminal input device may be in a state of self-operation and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can communicate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cable or a wireless network.

이렇게 설치가 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인 외부 단말기를 통해 단말기 입력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S11).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이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는 서버를 통해 단말기 입력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가 서버를 통해 단말기 입력장치로 전송되면(S13), 단말기 입력장치의 제어부는 입력 정보의 수신을 판단하여(S15) 입력 정보를 기초하여 해당되는 키패드 터치부, 마우스 구동부, 전원 버튼 터치부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S17). 최초,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이므로, 전송된 입력 정보에 따라 제어부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모두 켤 수 있다. 이렇게 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는 비전부로부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9). 이렇게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can drive the related application to drive the terminal in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S11). The application may be constituted by a program such as an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operated,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put device through the server. When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put device through the server (S13),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determines recep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S15), and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 mouse driver, a power button touch unit, and the like (S17). First, since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can turn on the power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power button touch uni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put informa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from the vision unit (S19).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can cope with the image information in various ways.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영상 정보가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 만약 영상 정보가 정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따라 터치부나 구동부를 자동으로 구동 시킬 수 있다(S23). 뿐만아니라, 제어부는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영상 정보를 매칭시켜 이에 대한 서버 입력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입력 정보로하여 터치부나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는 영상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해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입력 정보를 수신받아 이에 따라 터치부나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analyzes the imag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nformation has an error (S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nformation is normal,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using the pattern tab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may automatically operate the touch unit or the driving unit (S23). In addition,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server, matches the database of the serv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s the server input information, and drives the touch unit or the driving unit as input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receive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external terminal by the user, and may drive the touch unit or the driving unit accordingly.

반면, 제어부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요구하는 영상과 같이 사용자의 수동 입력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S25),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갱신 입력 정보를 수신받아(27)을 받아 터치부나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29).On the other hand, if the manual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s requested, such as an image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manual input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of the user (S25) (27), and can drive the touch part or the driving part (S29).

상술한 동작 방법을 갖는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통해 단말기 입력장치나, 서버, 외부 단말기 등에서 저장되어 이용될 수 있다.May be stored and used in a terminal input device, a server, an external terminal, or the like throug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ethod.

이와 같은 단말기 입력장치에 의하면, 단말기에 대한 제어를 기존의 원격 제어처럼 단말기와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는 장치들에 대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들에게, 단말기 자가 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타이핑이나 마우스 이동 등의 조작을 하는 것과 동일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전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메모리부나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대응되는 입력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프로그램의 동작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terminal input device,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an be accomplished by physical contact with the devices provided in the terminal itself, rather tha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as in the existing remote control. Accordingly, the same information as that used by the user to perform typing, mouse movement, or the like can be provided to the programs driven by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is received through the non-volatile memory, and is compared with the memory unit or the database of the server, and corresponding inpu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itself,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intended by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상기와 같은 단말기 입력장치 및 단말기 입력방법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terminal input device, the terminal input method,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단말기 입력장치 150: 전원 버튼 터치부
110: 키패드 터치부 160: 통신부
120: 디스플레이 터치부 170: 메모리부
130: 비전부 180: 전원부
140: 마우스 구동부 190: 제어부
100: terminal input device 150: power button touch part
110: keypad touch part 160: communication part
120: display touch unit 170: memory unit
130: Vision part 180: Power part
140: Mouse driver 190:

Claims (19)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
상기 키패드 터치부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비전부; 및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상기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A keypad touch unit coupled to the terminal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oward a user input of the terminal;
A vision unit coupled to the keypad touch unit and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when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터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키입력부; 및
상기 키입력부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키구동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pad-
A housing disposed to face the user input;
A key in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unit in the housing; And
And a key driver for moving the key input unit toward the user inpu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와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입력부는,
개별 탈착 및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키버튼을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includes:
A user input unit,
The key input unit,
And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med so as to be individually detachabl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spacing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마우스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use driver configured to drive the mouse,
Wherein,
And controls the mouse driver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구동부는,
상기 마우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서브 하우징; 및
상기 서브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마우스와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를 이동 및 상기 마우스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use driver includes:
A sub-housing formed to receive the mouse; And
And a mouse execution unit installed in the sub housing and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us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the mouse and the button of the mo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button touch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act a power button of the terminal,
Wherein,
And controls the power button touch uni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touch unit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Wherein,
And controls the display touch unit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input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부는,
위치 및 방향이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being changeab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입력 정보로 변환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nd converts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into the inpu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터치부는,
자동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며, 수동 모드에서 외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되는, 단말기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eypad-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in an automatic mode and is configured to be driven by an external force in a manual mode.
키패드 터치부에 결합되는 비전부를 통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되는 입력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방법.
Collecting image information output from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through a vision unit coupled to a keypad touch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And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keypad touch unit being associated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마우스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마우스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ntrolling a mouse driver configured to drive the mouse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전원 버튼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전원 버튼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ntrolling the power button touch unit to selectively contact the power butt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키패드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터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controlling the keypad touch unit to be selectively moved toward the user input unit of the terminal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ontrolling a display touch unit form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키패드 터치부에 구비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정보를 상기 입력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입력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keypad touch unit;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And
And converting the response information into the inpu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2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 입력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termina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5 and 17 is recorded.
KR1020170005801A 2017-01-13 2017-01-13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8115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01A KR101811552B1 (en) 2017-01-13 2017-01-13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801A KR101811552B1 (en) 2017-01-13 2017-01-13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496A KR20170012496A (en) 2017-02-02
KR101811552B1 true KR101811552B1 (en) 2017-12-21

Family

ID=5815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801A KR101811552B1 (en) 2017-01-13 2017-01-13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5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1658A (en) * 1977-06-29 1979-02-27 Ricca Tom L Attachment for remote control of a keyboard
JP3077355B2 (en) * 1992-02-26 2000-08-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Electronic balance
JP3077355U (en) * 2000-10-25 2001-05-18 精模科技股▲ふん▼有限公司 Wireless or wired control auxiliary button transmission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1658A (en) * 1977-06-29 1979-02-27 Ricca Tom L Attachment for remote control of a keyboard
JP3077355B2 (en) * 1992-02-26 2000-08-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Electronic balance
JP3077355U (en) * 2000-10-25 2001-05-18 精模科技股▲ふん▼有限公司 Wireless or wired control auxiliary button transmiss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496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839B2 (en) Remote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2180169B1 (en) Smart controller
KR101104749B1 (en) Mouse-pad of entering data
EP2724222B1 (en) Mobile touch-genera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with a touchscreen
US20180075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ireless Remote Control Terminal by Third-party Terminal
KR102141390B1 (en) Remotely controller
CN101910989A (en) A hand-held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ingle pointer touch sensitive user interface
US20090167715A1 (en)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578902A (en) Finger wearable input assembly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N104781761A (en) User interface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05894800A (en) Intelligent handle and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US9082292B2 (en) Display apparatus, hardware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KR101811552B1 (en)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70113132A1 (en)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US11789569B2 (en) Physical control device for touchscreens
JP3211484U (en) Tactile controller
CN103916497A (en) Auxiliary equipment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duct
KR201001204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fluid of portable terminal
TW202114765A (en) Customizable controller add-on system
US20150185880A1 (en) Finger-mounted touch panel actuator
CN104317435A (en) Tablet computer equipment with back press key
WO2019153815A1 (en) Touch screen clic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WI639111B (en) Method of simulating a remote controller
WO2015089991A1 (en) Remote control,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isplay system
US20230152903A1 (en) Smart key cap with trans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