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744B1 -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744B1
KR101778744B1 KR1020170024680A KR20170024680A KR101778744B1 KR 101778744 B1 KR101778744 B1 KR 101778744B1 KR 1020170024680 A KR1020170024680 A KR 1020170024680A KR 20170024680 A KR20170024680 A KR 20170024680A KR 101778744 B1 KR101778744 B1 KR 10177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screen
cameras
display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명섭
고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누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누시스
Priority to KR102017002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744B1/en
Priority to PCT/KR2017/002110 priority patent/WO20181557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04N5/4459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by cameras installed in a certain area, such as a CCTV, in real time. More specifically,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ameras which are success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ertain place; a display unit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display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cameras. Accordingly,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can simultaneously monitor a wider range by providing a panoramic view of all directions in which the plurality of images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monitoring by displaying the images which are naturally connected.

Description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CTV와 같은 일정 지역에서 설치된 카메라들로부터 촬영되는 복수의 영상들을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multiple camera inputs by combining multiple camera inputs capable of real- Real-time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최근에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능형 감시 경계 로봇, GOP(Gerenal OutPost) 과학화 시스템, 사회안전 로봇 시스템과 같이 영상을 이용한 시큐리티 시스템(security system)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urveillance camera is a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 specific area by processing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 a fixed or mobile manner at a specific place. Recently, the monitoring system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security system using an image, such as an intelligent monitoring boundary robot, a GOP (Gerenal OutPost) scientific system, and a social safety robot system.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사한 적용 분야로 관제 시스템이라 하며, 공공기관 또는 공공기관과 연계된 업체에서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특정 위치나 특정 지역에서 카메라로 수집된 영상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것으로, 많게는 수 백여개의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많은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인 전시나 광고 목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에 비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그에 따른 카메라는 복수개가 상호 연동되어 작동된다. 복수개의 카메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지정된 영역 또는 위치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촬영되는 방향이 지정된 영역 또는 위치로 향할 수 있도록, 감시 카메라에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zoom) 등의 기능이 마련된다.This monitoring system is referred to as a control system in a similar application area and monitors and manages images collected by a camera in a specific location or in a specific area for the purpose of safety of a community in a public or public agency association, Many displays are used to monitor and manage hundreds of images. In such a monitoring system, since the display is larger in size than a display used for general display or advertising purposes, a plurality of cameras ar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can monitor a designated area or position. In addition, the surveillance camera is provided with functions such as panning, tilting, and zooming so that the direction taken by the monitoring system can be directed to a designated area or position.

그러나, 이러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로서는 정해진 촬영 방향과 화각 이외의 범위를 촬영할 수는 없고, 또한 PTZ(Panning, Tilting, Zoom)카메라를 이용하더라도 넓은 지역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파노라마 촬영 기술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노라마 촬영 기술은 고가의 촬영 기술로서 일반적인 소규모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파노라마 기술에서도 모두 화각이 고정되어 있어서 고정된 화각 내의 영상만 감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범위를 촬영하여 화면으로 표출하면 각각의 화면을 주시하면서 모니터링의 집중도 차이가 발생된다.However, as a camera used in such a monitoring system, it is not possible to photograph a range other than a predetermined photographing direction and an angle of view, and a wide area can not be simultaneously monitored even by using a PTZ (Paning, Tilting, Zoom) camer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anoramic photographing technique using a camera should be used. However, such a panoramic photographing technique has been difficult to apply to an ordinary small-scale monitoring system as an expensive photographing technique. In addition, in this panoramic technology, since the angle of view is fixed, only the images within a fixed angle of view can be monitored. When a variety of ranges are photograph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monitoring while watching each screen.

이러한 까닭에 저가의 단방향 카메라만을 이용하여도 파노라마 영상과 같이 넓은 범위를 촬영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capture and monitor a wide range such as a panorama image using only a low-cost one-way camera.

(특허문헌 1) KR10-2010-0033537 A (Patent Document 1) KR10-2010-0033537 A

(특허문헌 2) KR10-2000-0070646 A (Patent Document 2) KR10-2000-0070646 A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복수의 영상으로 서로 연결된 전방위 뷰를 제공하여,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된 영상을 표출하여 모니터링의 집중도가 향상될 수 있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mnidirectional view tha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mages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to provide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that can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monitor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정 장소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수와 대응되는 수의 화면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화면을 서로 순서를 가지고 병렬배치시키는 화면설정부; 상기 각각의 화면에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1:1 매칭시켜 표출시키는 영상표출부;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 어느 하나의 영상의 일측 가장자리가 가상의 표시선으로 구획된 중첩 영역 내의 고정체 또는 구조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음 차순으로 연결된 영상의 중첩 영역 내에 중복되고 카메라의 연결 순서에 따라 영상들이 각 화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영상들이 서로 연결된 이음매가 있는 모자이크 뷰를 형성시키는 화면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comprising: a plurality of camera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lace; A display unit having a plurality of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cameras,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screen setting unit for sequentially arranging screens of the display uni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in a 1: 1 manner on the respective screens; A part or all of the fixed body or the structure in the overlapping area in which one edge of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s divided into virtual display lines is overlapped in the overlapped area of the images connected in the next order, And a screen combining unit for forming a seamless mosaic view in which the imag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각 영상 간의 배치를 기초로 각 카메라의 영상들을 개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enlarge or reduce the images of the cameras individually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하나의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포인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포인팅수단을 통해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해당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pointing means for selecting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one of the screen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screen selected through the pointing unit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creen, And the area is adjus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 영역에 위치하면, 다음 차순의 화면에 상기 선택된 임의의 위치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각각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is located in one side of the screen,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adjusts the shooting direction of each camera so that the selected position overlaps the next selected screen .

또한, 상기 포인팅수단은 상기 선택된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가 선택되면 후속되는 화면에서 임의의 위치가 위치한 영역을 연속해서 선택하여 복수의 화면이 서로 연결되게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inting unit may combine the plurality of screens so that a plurality of scree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tinuously selecting an area where an arbitrary position is located in a subsequent screen when an arbitrary position is selected in the selected screen.

또한, 상기 포인팅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는 키 또는 모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inting unit may be a key or a motion sensor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복수의 영상이 서로 연결된 전방위 뷰를 제공하여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자연스럽게 연결된 영상을 표출하여 모니터링의 집중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nitor a wider rang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images connected with each other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The concentration of monitoring can be improved.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can be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unit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서 나오는 설명과 예시적이고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설명된다. 설명을 목적으로 특정 구성들 및 세부 항목들은 실시예들의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나타난 특정 구성들과 세부 항목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공지된 양상들은 본 발명의 모호성을 없애기 위하여 생략되고 간소화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보여진 양상들은 다른 실시예에 보여진 양상들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양상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반복되지 않는다.First, various aspec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that follows and in the exemplary and non-limi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specific configurations and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s and details shown. Moreover, known aspects may be omitted and simplified in order to obscure the ambigu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pects shown in one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those shown in the other embodiments. Such aspects are not repe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발명은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al-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0)와 디스플레이부(20)는 서로 원격으로 연결되어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다른 장소의 디스플레이부(20)로 실시간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입력부와, 입력부를 통해 수용된 입력신호로 표출될 영상의 배치 및 조합하거나 상기 카메라(10)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에는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시키는 저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Here, the camera 10 and the display unit 20 are remote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0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to the display unit 20 at another location.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 control unit 30 for arranging and combining images to be displayed as inpu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input unit, or adjusting a shooting direction of the camera 10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10.

첨부된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카메라(10)는 복수로 구비된다. 이 복수의 카메라(10)들은 각각 근사한 영역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카메라(10)들은 일정 장소에서 설치되어 각각이 서로 동일한 지점을 촬영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각 카메라(10)들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카메라(10)들은 설치되거나 근접하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각 카메라(10)들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신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attached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irs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cameras 10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0 photographs an approximate area.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cameras 10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ace and photograph each same point. At this time, the cameras 10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each camera 10 may be installed or connected in the order of proximity. Here, it is preferable that each camera 10 is mechanically connected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는 복수의 카메라(10)의 수와 대응되는 수의 화면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displays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0.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0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20.

제어부(30)는 상기 영상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10)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의 각 화면을 통해 어라운드 뷰, 파노라마 뷰와 같은 전방위 뷰의 유사한 형태로 표출시키는 일체의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20 and the plurality of cameras 10 to display the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entire display of the omnidirectional view such as the surround view and the panoramic view through the respective screens of the display unit 20.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제어부(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에는 화면설정부(31), 영상표출부(32) 및, 화면조합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3 is a view of the display unit 20 of FIG. 1, and FIG. 4 is a view of the control unit 30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screen setting unit 31, an image display unit 32, and a screen combination unit 33.

화면설정부(3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각 화면을 서로 순서를 가지게 병렬배치시킨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에는 화면이 복수로 구비된다. 이 화면들의 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화면들의 순서는 상기 카메라(10)의 설치된 순서나 촬영 방향의 순서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화면설정부(31)는 각 화면들은 서로 순서를 가지고 연결시키며, 이때 각 화면들은 선형으로 배치되거나, 병렬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화면들이 복수로 병렬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The screen setting unit 31 arranges the screens of the display unit 20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order.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creens. The number of the screens may be set t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0. The order of the respective screens may be the same as the order of installation of the camera 10 or the order of the shooting direc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etting unit 31 connects the screens in order, and each screen may be linearly arranged or arranged in parallel.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creens are arranged in parallel.

영상표출부(32)는 상기 복수의 화면에 상기 복수의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시킨다. 여기서 각 화면에는 서로 연결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1:1 매칭시켜 표출시킨다.The image display unit (32) displays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0) on the plurality of screens. Here, the images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0 are displayed in a 1: 1 matching manner on the respective screens in the order of connecting them.

화면조합부(33)는 상기 영상의 양측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화면과 서로 겹치는 중첩 영역으로 하여 상기 카메라(10)의 연결 순서에 따라 영상을 각 화면에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중첩 영역은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 어느 하나의 영상의 일측 또는 양측이 다음 차순으로 연결된 영상과 서로 겹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영상들이 서로 연결된 어라운드 뷰, 파노라마 뷰와 같은 전방위 뷰의 유사한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화면조합부(33)는 상기 영상의 양측에는 일정 영역이 중첩 영역이 결정된다.The screen combination unit 33 sequentially arranges images on each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order of the camera 10, as overlapping areas where the two sides of the image are sequen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overlap region means an area in which one or both sides of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re overlapped with an image connected in the next order. Through this, the images can be displayed in a similar form of the omnidirectional views such as the surround view and the panoramic view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creen combination unit 33, a predetermined area is determined as an overlapping area on both sides of th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화면의 영상 간 배치는 복수의 영상에서 검출되는 고정체 또는 구조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근거하여 자동으로 배치된다. 이때,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특정 고정체나 구조체를 인식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고정체나 구조체는 미리 지정된 고정체나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체나 구조체를 GIS(지리정보시스템, 이하, 'GIS'라 함)의 지도 상에서 위치를 미리 지정해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고정체나 구조체를 매칭함으로써 영상 간의 배치가 결정된다. 즉, 미리 설정된 고정체나 구조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20)로 표출되는 일련의 영상들은 어라운드 뷰 또는 파노라마 뷰 형태의 전방위 뷰와 유사하게 표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표출되는 영상들은 모자이크 어라운드 형태, 모자이크 파노라마 형태의 화면이 형성된다.The inter-image arrangement of each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arranged based on a part or all of the fixed body or the structure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images. At this time, a specific fixture or structure can be recognized and determined without user intervention. Specifically, a particular fixture or structure may be a pre-designated fixture or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images is determined by matching each fixture or structure from a database in which a fixture or structure is specified in advance on a map of a GIS (GIS). That is, a series of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a preset fixture or structure are displayed similar to an omnidirectional view in the form of an ambient view or a panoramic view. Preferably,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form a screen in the form of a mosaic-around form or a mosaic panorama.

본 발명의 영상들의 배치에서 서로 연결되는 2 이상의 영상이 겹쳐지는 중첩 영역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중첩 영역은 화상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근처에 가상의 표시선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선으로 구획된 영역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의 양측 끝을 도출하는 에지분리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엣지분리기술은 통상의 시판되는 기술로 적용 가능하다.In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verlapping area in which two or more images connected to each other overlap is formed. As shown in Fig. 3, the overlap area may be provided as an area partitioned by a virtual display line near one side or both edges of the image. In order to provide a region partitioned by the display lines, an edge separation technique for deriving both ends in an image is preferably applied, and the edge separation technique is applicable to a commercially available technique.

중첩 영역은 화면 내에서의 영상 영역에서 결정되며, 중첩 영역 내에서의 객체, 바람직하게는 고정체 또는 구조체의 일부 또는 전체로 정의된다. 예컨대 고정체 또는 구조체는 건물, 간판, 나무, 방지턱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은 미리 좌표 또는 위치로 저장되고 기록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는 GIS(지리정보시스템, 이하, 'GIS'라 함)의 지도 상에 마킹될 수 있으며, 이때, 지도에는 방위를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GIS로 구현되는 지도 상에 상기 고정체 또는 구조체의 좌표가 설정되며, 이 고정체 또는 구조체를 기준으로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들 간의 수평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overlap area is determined in the image area in the screen and is defined as an object in the overlap area, preferably a part or all of the fixture or the structure. For example, the fixture or structure may be a building, a signboard, a tree, a bail, etc., which are stored and recorded in advance in coordinates or loca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0 may be marked on a map of a GIS (GIS), and the map preferably includes a symbol indicating a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s of the fixture or structure are set on a map implemented by a GIS, and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10 on the basis of the fixture or the structure may be vertically connected as well as horizont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에서 어라운드 뷰 또는 파노라마 뷰와 유사하도록 각 화면들이 서로 연속되게 연결되어 표출되는 효과를 주기 위해, 촬영되는 영상이 병렬 배치되는 모자이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give an effect that each screen is connected and displayed continuously so as to be similar to the surround view or the panoramic view in the display unit 20, the captured images may be formed in a mosaic shape .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에 표출될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여러 방향의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0),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카메라(10)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영상들을 서로 연결하여 어라운드 뷰 또는 파노라마 뷰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프로세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모니터가 구비되는 관제센터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photograph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10, preferably two or more cameras 10, for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images in various directions. A control center having a processor for displaying images taken by a plurality of cameras 10 in a form of an ambient view or a panoramic view, a memory for storing photographed images,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images, .

본 발명의 각각의 화면에 표출되는 영상들, 더욱 구체적으로 각 화면들의 연결 순서에 매칭되어 표출되는 제1 영상(21), 제2 영상(22), 제3 영상(23), 제4 영상(24), 내용에 근거하여 적어도 제1 영상(21) 및 제2 영상(22) 사이에서의 연결을 결정하는 과정 및 그 결정된 연결 순서에 따라 화면을 배치하기 위한 영상 조합이나 합성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영상들 사이의 연결을 결정하는 과정은 영상 표출 영역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출부(32)와 영상 조합의 순서로 연계된 화면조합부(33)는 중첩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상들을 연결하며, 이때 중첩 영역은 선형의 가상 표시선으로 분리된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며, 이 가상의 공간은 화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중첩 영역은 영상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체 또는 구조체이며, 예컨대, 건물, 간판, 나무, 방지턱, 횡단보도 등의 영상의 내부에 나타나는 정형적인 물체이기 때문에 영상들 간에 이음매가 있는 모자이크 형태가 구현되더라도 영상간의 자연스러운 연계성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image 21, the second image 22, the third image 23, and the fourth image (e.g., the first image 21, the second image 22, and the third image 23), which are displayed on the respective screen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24), a process of determining a connection between at least the first video 21 and the second video 22 based on the content, and a method of combining or combining images for arranging screens according to the decided connection order is provided And can be understood clearly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determining a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images is performed in an image display area. Specifically, the screen combination unit 33 associated with the image display unit 32 in the order of image combination connects each of the images with reference to the overlapping area, wherein the overlapping area is a virtual space separated by a linear virtual display line And this virtual space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area is a fixed object or a structure located inside the image. For example, the overlapping area is a regular object appearing inside an image of a building, a signboard, a tree, Even if it is implemented, it can have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images.

또한, 본 발명의 영상 표출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카메라(10)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영상들을 표출하는 화면들 간의 연결된 순서 및 배치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들을 표출 영역에서 조합하기 위한 제어부(30)가 포함된다.In addition, a camera 10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in real time in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for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display screen And a controller 30 for combining the images in the display area.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2개의 카메라(10)들 사이에서 미리 등록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리 등록된 카메라(10)들 간의 정의에 의해서 화면의 수가 결정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30 performs a registration process in advance between at least two cameras 10 that photograph the image, and the number of the images is determined by the definition between the cameras 10 registered in advanc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에서의 영상 표출에서 줌인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이 포함할 수 있으며, 줌인 레벨의 기준이 되는 중첩 영역이 결정된 때에는 상기 다수의 카메라(10)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카메라(10) 각각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때 각 카메라(10)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틸트, 패닝, 줌인을 제어방식이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30)는 상기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 영역에 위치하면, 후속되는 화면에 상기 선택된 임의의 위치가 대향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각각의 카메라(10)의 촬영 영역을 조절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10)의 촬영 방향을 원격지에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n area displayed in the zoom-in mode in the imag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verlapping area, which is a reference of the zoom-in level, is determined, So tha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each of the cameras 1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tilt, panning, and zoom-in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the shooting direction of each camera 10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is located in one side of the screen, the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controls each of the cameras 10 so that the selected arbitrary position is positioned on the following screen Adjust the shooting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10 from a remote place can be implement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표출될 영상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하여 화면에 표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2 이상의 영상을 표출하기 위하여 그에 대응하는 수의 화면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선형 또는 병렬배치 될 수 있을 것이다.The images to be displaye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in order to display at least two images in general, the corresponding number of the screens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linearly or in parallel.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는 각각의 영상들 간의 연결에 의해 회전, 확대, 축소의 광학적인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나타나는 영상에 따라 제한되며, 이때, 영상의 회전, 확대, 축소의 광학적인 영상처리에 의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인 블랭크 영역(26)이 표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is limited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ed by performing optical image processing of rotation, enlargement, and reduction by conn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images, , The blank area 26 which is a part which is not displayed by the optical image processing of enlargement and reduction is displayed.

이 화면상에 표출된 블랭크 영역(2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상에서 표시되지 않는 사각지대로 정의될 수 있으며, 향후에, 이 블랭크 영역(26)으로 표시되는 사각지대를 제거하기 위한 카메라(10)의 촬영 방향 조절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The blank area 26 displayed on this screen can be defined as a blank area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r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lind area indicated by this blank area 26 can be removed A photographing direction adjusting function of the camera 10 can be added.

본 발명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의 복수의 화면 상에서 어라운드 뷰 및 파노라마 뷰 형태로 표출하기 위한 제어부(30)는 영상들 간에 완전히 중첩되지 않아서 비교적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는 임의의 구조체나 고정체들이 여럿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영상들이 서로 연결되는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의 내용에 따라 배치 및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원래 상태의 영상 내에서 정의되는 임의 위치에서 구조체나 고정체에 따라서 영상을 확대, 축소 및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하여 영상을 화면에 배치한다. 이로서 블랭크 영역(26)이 나타나며, 이 블랭크 영역(26)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블랭크 영역(26)을 제거하기 위한 카메라(10)의 촬영 방향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for displaying the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n overview view and a panoramic view on a plurality of screens of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arbitrary structures or fixtures that are not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s are arrang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image to provide a feeling that the im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image is enlarged, reduced,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r fixture at an arbitrary position defined in the original image to arrange the image on the screen. This allows the blank area 26 to be exposed directl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rt 20 so that the shooting direction adjustment of the camera 10 for removing the blank area 26 can be performe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화면 상에 표출되는 영상들의 배치를 조합하는 것이며, 정의된 영상의 배치에 따라 화면의 조합 영역에서 어라운드 형태 또는 파노라마 형태의 전방위적 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들의 배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조합되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출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먼저 메모리에 저장한 후, 후처리 절차로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images to be displayed on each screen is combined, and an all-view or panoramic-type omnidirectional view can be formed in the combination area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efined imag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y combining images photograph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10 in real time.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10 may be first stored in a memory and then processed by a post-processing procedure.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각 영상 간의 배치를 기초로하여 각 카메라(10)의 영상들을 개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ler 30 preferably enlarges or reduces the images of the respective cameras 10 individually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어느 하나의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포인팅수단(35)이 마련된다. 상기 포인팅수단(35)은 디스플레이부(20)에 마련되는 입력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조작 키 또는 모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And a pointing unit 35 for selecting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The pointing unit 35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unit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20, an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or a motion sensor may be used.

상기 포인팅수단(35)을 통해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일측의 중첩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해당 카메라(10)의 촬영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인팅수단(35)은 상기 선택된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가 선택되면 후속되는 화면에서 임의의 위치가 위치한 영역을 연속해서 선택 처리하는 기능이 탑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화면이 서로 연결되어 어라운드 뷰를 형성하도록 화면이 합성되는 것이다.An arbitrary position can be selected in the screen through the pointing means 35 and the position of the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can be selected so th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he shooting area can be adjusted. Here, the pointing unit 35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inuously selecting an area where an arbitrary position is located in the following screen when an arbitrary position is selected in the selected screen, So that the screen is synthesized to form the surround view.

본 발명은 특정 구역의 주변 카메라(10)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현장에 있는 듯한 형태의 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라운드 뷰 또는 파노라마 뷰와 유사한 표출 형태를 구현한다. 사용자는 이를 위한 조작 키나 모션센서 등을 사용하여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하는 영상들을 합성 및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view in a form of being in the scene by synthesizing images of a peripheral camera 10 of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expression format similar to the surround view or the panoramic view. The user can control the direction using an operation key or a motion sensor for this purpose, and the corresponding images can be synthesized and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현장에 있는 듯한 효과를 만들어 줌으로써 직관적이고 집중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and intensively monitor the effect by making it appear that the user is in the field even if he does not go to the scene in real time.

이로써, 주변 환경을 보다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고, 빠른 판단이 용이해지며, 경찰 출동 지원 시에 보다 정확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 more detailed manner, to make quick judgments easier,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in support of police dispatch.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디스플레이부(20)의 일실시예를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display unit 20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카메라(10) 각각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한다.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images input through the respective cameras 10; And a controller 30 for outputting images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는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는 상기 카메라(10)를 조절할 수 있는 포인팅수단(35)으로 조작 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작 키의 조작에 대응되게 제어부(30)를 통해 상기 카메라(10)의 구동과 촬영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송출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camera 10 capable of adjust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20 is provided with a pointing means (35) are provided with operation key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amera 10 and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s.

상기 포인팅수단(35)은 포커스 조정키, 줌 인/아웃 조정키, 촬영 방향 조작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inting means 35 may include a focus adjustment key, a zoom in / out adjustment key, and a photographing direction operation ke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인팅수단(35)은 비 선택시 촬영 방향을 가이드 하기 위한 방향 안내 표시정보가 GIS의 지도에 표시된 방위 표시 기호를 포함하여 카메라(10)의 위치인 원점 위치에 부채꼴 형태의 마크로 표시된다. 상기 마크에 대한 포인팅수단(35)의 선택 시에 클릭이 유지된 마우스의 드래그 방향에 연동되게 상기 마크를 상기 방위 표시창 내에서 이동시켜 표시처리 하고, 이동 방향에 대응되게 해당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제어신호, 틸팅 제어신호, 줌인/줌아웃 제어신호를 연결된 통신을 통해 카메라(10)로 출력하고, 클릭유지상태가 해제되면, 해제된 상태의 원점으로 상기 마크가 이동되게 표시처리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의 사용자 컴퓨터로 구축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More preferably, the pointing means 35 includes a direction display indication symbol for guiding the photographing direction in non-selection, including a direction display symbol displayed on a map of the GIS, Is displayed. The mark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orientation display window in conjunction with the drag direction of the mouse which is held at the time of selection of the pointing means 35 for the mark, A tilting control signal, and a zoom-in / zoom-out control signal to the camera 10 through the connected communication. When the click-holding state is released, the mark is moved to the origin of the released state Can be display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display unit 20 can be constructed as a normal user computer in hardwar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the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elements may be ad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 카메라
20 : 디스플레이부
25 : 중첩 영역
26 : 블랭크 영역
30 : 제어부
31 : 화면설정부
32 : 화면표출부
33 : 화면조합부
35 : 포인팅수단
10: Camera
20:
25: overlap area
26: Blank area
30:
31: Screen setting section
32:
33: Screen combination section
35: Pointing means

Claims (7)

일정 장소에서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수와 대응되는 수의 화면이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각의 화면을 서로 순서를 가지고 병렬배치시키는 화면설정부;
상기 각각의 화면에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1:1 매칭시켜 표출시키는 영상표출부;
상기 복수의 영상 중에 어느 하나의 영상의 일측 가장자리가 가상의 표시선으로 구획된 중첩 영역 내의 고정체 또는 구조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음 차순으로 연결된 영상의 중첩 영역 내에 중복되고 카메라의 연결 순서에 따라 영상들이 각 화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영상들이 서로 연결된 이음매가 있는 모자이크 뷰를 형성시키는 화면조합부;
를 포함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 plurality of camera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lace;
A display unit having a plurality of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meras and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cameras,
The control unit
A screen setting unit for arranging the screens of the display uni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order;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in a 1: 1 manner on the respective screens;
A part or all of the fixed body or the structure in the overlapping area in which one edge of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s divided into virtual display lines is overlapped in the overlapped area of the images connected in the next order, A screen combining unit for forming a mosaic view having sequential images arranged in succession on the respective screens and connecting the images to each other;
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영상 간의 배치를 기초로 각 카메라의 영상들을 개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enlarges or reduces the images of the respective cameras individually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images, and displays the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하나의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포인팅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포인팅수단을 통해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해당 카메라의 촬영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pointing means for selecting an arbitrary position within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shooting area of the camera is adjusted so th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hrough the point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가 해당 화면의 일측 영역에 위치하면, 다음 차순의 화면에 상기 선택된 임의의 위치가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연속적으로 각각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hooting direction of each camera is continuously adjusted so as to be positioned in an area in which the selected arbitrary position is superimposed on a screen of the next order when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selected screen is located in one side of the screen, Real 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camera inpu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수단은 상기 선택된 화면 내에서 임의의 위치가 선택되면 후속되는 화면에서 임의의 위치가 위치한 영역을 연속해서 선택하여 복수의 화면이 서로 연결되게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inting unit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select an area in which an arbitrary position is located in a subsequent screen and to combine a plurality of screens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n arbitrary position is selected in the selected scre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는 키 또는 모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inting means is a key or a motion sensor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KR1020170024680A 2017-02-24 2017-02-24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KR10177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80A KR101778744B1 (en) 2017-02-24 2017-02-24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PCT/KR2017/002110 WO2018155742A1 (en) 2017-02-24 2017-02-27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80A KR101778744B1 (en) 2017-02-24 2017-02-24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744B1 true KR101778744B1 (en) 2017-09-14

Family

ID=5992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680A KR101778744B1 (en) 2017-02-24 2017-02-24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8744B1 (en)
WO (1) WO201815574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945B1 (en) * 2019-12-26 2020-07-01 주식회사엔클라우드 Vide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edge cloud
WO2020145547A1 (en) * 2019-01-07 202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78168B1 (en) * 2020-11-04 2021-07-15 하인석 Car body generation process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6491B1 (en) * 2020-01-21 2021-08-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deo streams on a display
CN117197754B (en) * 2023-10-19 2024-04-30 航天正通汇智(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Security monitoring method based on ultra-clear wide-amplitude vide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022A (en) * 2006-08-11 2008-02-28 Canon Inc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onitoring and storage medium
JP2009010915A (en) * 2007-05-31 2009-01-15 Takeshi Yanagisawa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18B1 (en) * 2011-04-27 2016-12-1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picture
KR101757661B1 (en) * 2012-10-31 2017-07-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image
KR102099239B1 (en) * 2013-10-14 2020-05-2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022A (en) * 2006-08-11 2008-02-28 Canon Inc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monitoring and storage medium
JP2009010915A (en) * 2007-05-31 2009-01-15 Takeshi Yanagisawa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47A1 (en) * 2019-01-07 202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28945B1 (en) * 2019-12-26 2020-07-01 주식회사엔클라우드 Video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edge cloud
KR102278168B1 (en) * 2020-11-04 2021-07-15 하인석 Car body generation proc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742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744B1 (en) Monitoring system through synthesis of multiple camera inputs
US9398214B2 (en) Multiple view and multiple object processing in wide-angle video camera
US9602700B2 (en) Method and system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multiple views for video surveillance
US9749526B2 (en) Imaging system for immersive surveillance
EP24029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tracking multiple moving objects using a monitoring camera
KR101776702B1 (en) Monitoring camera for generating 3 dimensional scene and method thereof
KR10169524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security image
SG191198A1 (en) Imaging system for immersive surveillance
KR20160094655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Panoramic Video Surveillance with Multiple High-Resolution Video Cameras
JP20062456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140327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capturing system of two cameras
KR101297294B1 (en) Map gui system for camera control
KR102009988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image camera system for compensating distortion of lens using super wide angle camera and Transport Video Interface Apparatus used in it
JP2002101408A (en) Supervisory camera system
KR101619956B1 (en)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of surveilance camera by using auto multi-tracing
KR101619953B1 (e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of surveilance camera by using auto multi-tracing
KR101738514B1 (en) Monitoring system employing fish-eye thermal imaging camera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JP3559607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ideo processing apparatus
JP2020202503A (en) Imag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061868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dual surveillance camera
JP663009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KR101462269B1 (en) part of picture storing method for high definition camera
JPH03217978A (en) Picture display device
JP2004194309A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180134114A (en) Real Time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