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950B1 -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950B1
KR101760950B1 KR1020110046476A KR20110046476A KR101760950B1 KR 101760950 B1 KR101760950 B1 KR 101760950B1 KR 1020110046476 A KR1020110046476 A KR 1020110046476A KR 20110046476 A KR20110046476 A KR 20110046476A KR 101760950 B1 KR101760950 B1 KR 10176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cleaning
area
information
remot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8485A (en
Inventor
신동현
오민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950B1/en
Priority to PCT/KR2012/003830 priority patent/WO2012157951A2/en
Publication of KR2012012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Manipulat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어방법은,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정보가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원격 기기에서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청소 순서가 지정되는 단계; 및 지정된 청소 순서대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In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a control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of an entire area to be cleaned to a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Designating a cleaning order of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in the remote device; And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ile moving the robot cleaner in a specified cleaning order.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network system.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면서 청소 대상 영역을 청소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로봇 청소기는 단순히 청소 기능 만을 포함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로봇 청소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Generally, 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area to be cleaned while performing self-cleaning.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ncludes merely a cleaning function, but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robot cleaner.

그리고, 종래의 로봇 청소기의 경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였뿐, 로봇 청소기 외의 제품과는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In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device has been performed to charge the battery, but communication with a product other than the robot cleaner has failed.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청소기가 청소 기능 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network system in which a robot cleaner can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a cleaning function.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정보가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원격 기기에서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청소 순서가 지정되는 단계; 및 지정된 청소 순서대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면서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transmitting map information of an entire area to be cleaned to a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Designating a cleaning order of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in the remote device; And cleaning the robot cleaner while moving the robot cleaner in a specified cleaning order.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 청소가 완료된 경우, 청소 완료 영역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원격 기기에서 추가 청소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추가 청소 영역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is traveling; Cleaning completion area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Selecting an additional cleaning area at the remote device; And moving the robot cleaner to the selected additional cleaning area to perform clean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로봇 청소기의 모니터링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의 촬영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영상이 획득되는 단계;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이 비교되는 단계; 및 영상 비교 결과 차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차 영상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system, comprising: selecting a monitoring mode of a robot cleaner; A step of periodically acquiring an image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robot cleaner; Comparing a currently acquired image with a previously acquired image; And transmitting the difference image information to the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when the image comparison result difference image exists.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체 청소 영역에서 청소 순서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최단 이동 경로를 지정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영역을 다수 회 선택하는 경우에는 특정 영역의 청소가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designate the cleaning order in the entire cleaning area, the robot cleaner can effectively perform the cleaning. For example, the travel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can be reduced by specifying the shortest travel route. As another example,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a plurality of times, cleaning of a specific area can be performed intensively.

또한, 청소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 청소가 필요한 경우 추가 청소 영역을 선택하여 재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체 청소 대상 영역에서 청소 완료 영역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leaning state. If the additional cleaning is necessary, the user can select the additional cleaning area and perform the cleaning again. Thus, the cleaning completion area can be increased in the entire cleaning area.

또한, 집안 내부 환경 변화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무단 침입자가 존재하거나, 집안 내부의 화재 발생 등의 경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hange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ouse can be confirmed at a remote location, and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presence of a trespasser or a fire in the h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1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2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3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4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rst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cond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hird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ourth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자동으로 움직이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1)와,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컴포넌트(2, 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cleaner 1 capable of performing cleaning while being automatically moved, at least one communication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cleaner, Components 2 and 3 are included.

상기 통신 컴포넌트(2, 3)는, 상기 로봇 청소기(1) 외의 다른 가전제품(3)이거나 휴대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폰을 원격 기기(2)라 이름할 수 있다. 다른 가전제품은 세탁기, 냉장고, 조리기기, 에어컨 등일 수 있으며, 통신부와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omponent (2, 3) may be a household appliance (3) other than the robot cleaner (1) or a cellular phone.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phone may be referred to as a remote device (2). Other home appliances may be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cookers, air conditioners, etc.,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a photographing device.

상세히,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제어부(11)와,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장치(12)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3)와, 배터리(미도시)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14)와, 상기 통신 컴포넌트(2, 3)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통신부(15)와,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6)와, 이동을 위한 한 쌍의 휠(미도시)와, 상기 한 쌍의 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륜 모터(17) 및 우륜 모터(18)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control unit 11, a photographing apparatus 12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an input unit 13 capable of inputting a comm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 for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devic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5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mponents 2 and 3, a memory unit 16 for storing information, A left wheel motor 17 and a right wheel motor 18 for rotating the pair of wheels, and a voice output unit 19 for outputting voice.

추가적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충격 감지센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hock sensor 20.

상기 촬영장치(12)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로봇 청소기(1)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촬영장치(12)가 로봇 청소기(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촬영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상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영장치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측면 둘레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device 12 may acquire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and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one or more camera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devices 12 are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1 in order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of various areas.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bot cleaner 1. [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hotographing apparatuses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상기 촬영장치(12)를 이용하여 청소 대상 영역의 맵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 청소기(1)로 맵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이동하면서 상기 촬영장치(12)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청소 가능 영역을 맵핑한다. 상기 청소 가능 영역이 청소 대상 영역으로 설정되고, 맵핑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6)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1)는 맵핑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1)의 맵핑 과정은 예시적인 것이며, 공지의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robot cleaner 1 can perform a mapping operation of a region to be cleaned us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 That is, when a mapping command is input to the robot cleaner 1, the robot cleaner 1 acquires an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2 while moving, and maps the cleanable area using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cleanable area is set as the area to be cleaned, and the mapp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part 16. Then, the robot cleaner 1 carries out cleaning while traveling using the mapped inform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mapp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1 is exemplary and may be implemented by a known technique.

청소 과정에서는 청소 완료 영역이 상기 메모리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전체 청소 영역에서 청소 완료 영역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the cleaning process, the cleaned are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 [ That is, the cleaned area can be divided and stored in the entire cleaning area.

상기 입력부(13)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청소 시작 또는 청소 예약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패턴(주행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청소 패턴은, 지그재그 패턴, 랜덤 패턴, 셀 단위 패턴(특정 셀의 청소를 완료한 후에 다음 셀로 이동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방식), 사용자 설정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can input a cleaning start or clean reservation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1 through the input unit 13. In addition, a cleaning pattern (traveling pattern) of the robot cleaner can be set through the input unit 13. [ The cleaning pattern may include a zigzag pattern, a random pattern, a cell unit pattern (a method of moving to the next cell to perform cleaning after completion of cleaning of a specific cell), a user setting pattern, and the like.

상기 좌륜 모터(17) 및 상기 우륜 모터(18)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전진 및 후진 뿐만 아니라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가능하다. The left wheel motor 17 and the right wheel motor 18 can operate independently. Therefore, the robot cleaner 1 can be turned left or right as well as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음성 출력부(19)는 일 례로 스피커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9)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9)에서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텍스트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로 수신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에서는 텍스트 정보가 음성으로 변환되어 상기 음성 출력부(12)에서 출력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9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In the voice output unit 19,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 may be outputted as a voice. Further, the audio output unit 19 can outpu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voice. For example, when tex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may convert the text information into speech and output the speech information from the speech output unit 12. [

상기 충격 감지센서(20)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충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충격 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충격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장치(12)에서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장치(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충격량이 기준량을 초과하게 되어 상기 촬영장치(12)에서 영상이 획득된 경우, 획득된 영상이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될 수 있다. The impact sensor 20 may sense the amount of impact of the robot cleaner 1.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 may control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to acquire an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when the amount of the impact detected by the impact detecting sensor 20 exceeds a reference amount. If the detected amount of impact exceeds the reference amount and the image is acquir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the acquired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apparatus 2. [

한편, 상기 원격 기기(2)는, 제어부(21)와,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2)와, 상기 제2통신부(15)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3)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24)와,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5)와,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 표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원격 기기가 통신할 수 있는 한 상기 원격 기기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remote device 2 includes a control unit 21, an input unit 22 capable of inputting commands and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23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5, An audio output unit 24 for outputting information, a memory unit 25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6 for displaying inform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device is not limited in this specification as long as the robot cleaner and the remote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입력부(22)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명령은 상기 통신부(23)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로 전송될 수 있다. An operation command of the robot cleaner 1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2. [ The inputted comm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원격 기기(2)와 상기 로봇 청소기(1)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원격 기기(2)와 상기 로봇 청소기(1)는 zigbee, wi-fi 등에 의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mote device 2 and the robot cleaner 1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remote device 2 and the robot cleaner 1 can perform communication by zigbee, wi-fi, and the like.

상기 정보 표시부(26)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작동 정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촬영장치(12)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may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1,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of the robot cleaner,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use examples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1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rst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1)로 맵 정보 요청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로봇 청소기(1)의 메모리부(16)에 저장된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된다(S1).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된 맵 정보는 상기 원격 기기(2)의 정보 표시부(26)에서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map information request command may be input from the remote device 2 to the robot cleaner 1 in order to perform cleaning using the robot cleaner 1. Map information of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stored in the memory unit 16 of the robot cleaner 1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2 (S1). The map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2 may b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of the remote device 2. [

그 다음, 상기 정보 표시부(26)에 표시된 맵 정보에서 사용자는 청소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정보 표시부(26)에 표시된 맵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에 구분된 다수의 영역의 청소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특정 영역을 다수 회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정보 표시부(26)에서 표시된 맵 상의 특정 지점을 지정한 후에 드래그하면서 청소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청소 패턴(주행 패턴)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Then, the user can designate a cleaning order in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 For example, the map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then a plurality of regions may be sorted in a cleaning order.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area a plurality of times.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 specific point on the map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and then set a cleaning order by dragging. That is, the user can set a cleaning pattern (traveling pattern).

전체 청소 대상 영역에서 청소 순서가 지정된 후에는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로 청소 시작 명령이 입력된다. After the cleaning order is designated in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a command to start the cleaning with the robot cleaner is inputted from the remote device (2).

그러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지정된 청소 순서를 기초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S3).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청소 수행과정에서 상기 충격 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충격량이 기준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촬영장치(12)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기준량은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정상적으로 주행할 때 감지할 수 있는 충격량 보다 크게 설정된다. Then,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based on the designated cleaning order (S3). If the amount of impact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20 exceeds the reference amount during the cleaning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1,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2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2 . The reference amount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amount of impact that can be detected when the robot cleaner 1 is normally traveling.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장치(12)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장애물 센서에 의해서 장애물이 회피될 수 있다. 설령,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상기 충격 감지센서(20)에서 감지되는 충격량은 상기 기준량 보다 작다. When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 obstacle can be avoid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2 or an obstacle sensor provided separately. Even if the robot cleaner 1 collides with an obstacle, the amount of impact detected by the impact sensor 20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amount.

상기 충격량이 기준량 보다 큰 경우는 상기 로봇 청소기(1)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이거나 상기 로봇 청소기가 장애물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이 급작스럽게 생긴 경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일반적인 청소 환경과 다른 환경이므로, 상기 촬영장치(12)에서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집안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impact amoun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amount, it may be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bot cleaner (1), or an obstacle may suddenly appear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obstacle by the robot cleaner. In this case, since the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leaning environment of the robot cleaner 1, the image pickup device 12 acquires an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remote device 2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본 사용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체 청소 영역에서 청소 순서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효과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최단 이동 경로를 지정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영역을 다수 회 선택하는 경우에는 특정 영역의 청소가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use example, since the user can specify the cleaning order in the entire cleaning area, the robot cleaner can effectively perform the cleaning. For example, the travel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can be reduced by specifying the shortest travel route. As another example, when a specific area is selected a plurality of times, cleaning of a specific area can be performed intensively.

도 4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의 제2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econd use example of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1)로 청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는 설정된 청소 패턴으로 청소를 시작하게 된다(S11). 상기 청소 명령은 상기 로봇 청소기(1)에서 입력하거나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2)가 청소를 수행하는 중에는 청소 완료 영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 cleaning command is inputted to the robot cleaner 1, the robot cleaner starts cleaning with a set cleaning pattern (S11). The cleaning command may be input by the robot cleaner 1 or input by the remote device 2. [ Cleaning completion area information can be stored while the robot cleaner 2 performs cleaning.

그리고, 청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청소 완료 영역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1)에서 상기 원격 기기(2)로 전송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ing is completed, the cleaned area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obot cleaner 1 to the remote device 2.

상기 원격 기기(2)의 정보 표시부(26)에서는 전체 청소 대상 영역 상에 상기 청소 완료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체 청소 대상 영역 상에서 청소 완료 영역이 선 또는 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색상과 청소 완료 영역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I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of the remote device 2, the cleaned area may be separately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For example, the cleaned area may be displayed as a line or a face on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Alternatively, the color of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color of the cleaned area.

사용자는 상기 청소 완료 영역을 확인하여 추가적으로 청소가 필요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추가 청소가 필요한 영역(이동 대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청소 대상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check the area to be cleaned by checking the cleaned area, and select the area (the area to be moved) that requires further cleaning in the remote device 2. [ That is, the user can designate the area to be cleaned.

만약, 이동 대상 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는 선택된 이동 대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청소를 재차 수행하게 된다(S14). If the movement target area is selected, the robot cleaner moves to the selected movement target area and performs cleaning again (S14).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 청소가 필요한 경우 추가 청소 영역을 선택하여 재차 청소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체 청소 대상 영역에서 청소 완료 영역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cleaning state, and if additional cleaning is required, the user can select an additional cleaning area and perform cleaning again, so that the cleaning completion area can be increased in the entire cleaning target area .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3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hird use example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로 외출 모드 설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21). 상기 외출 모드 명령은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입력부에서 입력되거나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외출 모드는 자동 모니터링 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outgoing mode setting command may be input to the robot cleaner 1 (S21). The outgoing mode command may be input at the input of the robot cleaner 1 or input at the remote device 2. The outgoing mode may be referred to as an automatic monitoring mode.

외출 모드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22). 상기 설정된 위치는 사용자가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상에서 지정할 수 있으며 가변될 수 있다. 일 례로 설정된 위치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촬영 장치(12)에서 획득한 정보가 집안 내의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설정된 위치는 거실의 중앙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된 위치는 외부인이 집안 내로 무단으로 침입하였을 때 이를 쉽게 알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위치는 현관을 바라보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로봇 청소기는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When the outgoing mode setting command is inputted, the robot cleaner 1 moves to the set position (S22). The set position can be designated on the map of the area to be cleaned by the user and can be varied. For example, the set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2 of the robot cleaner may include a lot of information in the house.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a central portion of the living room. Alternatively, the set position may be set to a position where an outside person can easily recognize the infiltration into the house. For example, the set position may be a position for viewing the porch. The robot cleaner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후에는 주기적(초 단위 간격 또는 분 단위 간격)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S23).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제어부(11)는 현재 획득된 영상과 이전 영상을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4). After the robot cleaner 1 is moved to the set position, it acquires an image periodically (intervals of seconds or intervals of minutes) or intermittently (S23). Then, the control unit 11 of the robot cleaner compares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with the previous image.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the previously acquired image (S24).

만약,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차 영상의 존재 알림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S25). 또한, 차 영상 정보(현재 영상 정보 및 이전 영상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S26).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the previously acquired image, the presence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fference im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S25). Further, difference video information (current video information and previous vide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S26).

로봇 청소기의 설정에 따라서,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음성 출력부에서 경고 음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기기에서 특정 텍스트나 음성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입력된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로 전송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음성 출력부에서 음성이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robot cleaner,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the previously acquired image, a warning sound may be generated in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robot cleaner. In addition, when a specific text or a voice command is input from the remote device, the inpu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and a voice can be output from the voice output unit of the robot cleaner.

또는, 상기 원격 기기에서 텍스트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가 다른 가전제품으로 전송되어 다른 가전제품에서 음성이 출력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f text or voic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remote device,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other home appliances and voice may be output from other home appliances.

사용자는 차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여 집안 내부의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무단 침입자가 존재하거나, 집안 내부의 화재 발생 등의 경우에 신속하게 경찰서나 소방서 등으로 연락할 수 있다. The user can confirm the change of the inside of the house easily by confirming the presence of the car image, and can quickly contact the police or the fire department if there is a trespasser or a fire inside the house.

위의 예에서, 상기 설정된 위치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한 위치에서 영상 비교를 수행한 후에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영상 비교를 수행하게 되며, 설정된 위치 들로의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In the above example, sinc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e set positions, after the image comparison is performed at one position, the image comparison is performed by moving to another position, and the movement to the set positions is repeated.

다른 예로서, 상기 원격 기기에서 차 영상 정보를 확인하였으나 영상 차이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 및/또는 다른 전기제품으로 재 촬영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원격 기기에서 추가적인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it is difficult to easily confirm the image difference after confirming the car image information at the remote device, a re-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to the robot cleaner and / or other electric appliance to check additional image information at the remote device have.

다른 예로서, 상기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 간에 차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충격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even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ly obtained image and the previously acquired image, if the amount of impact detected by the impact detection sensor exceeds the reference amount,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cquires the image and acquires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4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ourth use example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로 수동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된다(S31). 일 례로, 상기 수동 모드는 사용자가 집안 내부를 직접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수동 모니터링 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manual mod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o the robot cleaner (S31). For example, the manual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o directly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and may be referred to as a manual monitoring mode.

상기 수동 모드 선택 명령은 상기 원격 기기(2)에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수동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촬영 장치(12)가 활성화되어 상기 촬영 장치(12)에서 영상 정보가 획득된다. 본 사용 예에서 상기 촬영 장치(12)에서는 동영상 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획득된 동영상 정보는 상기 원격 기기(2)로 실시간으로 전송된다(S32). 따라서, 상기 원격 기기의 정보 표시부에서는 집안 내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manual mode selection command may be input at the remote device (2).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of the robot cleaner 1 is activated and image information is obtain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 In this use example, moving picture information is obtain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2. Then, the obtained moving pictur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device 2 in real time (S32). Therefor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of the remote device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in real time.

사용자가 집안 내부를 전체적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기기의 입력부에서 전후 및 좌우 이동부가 활성화되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이동 명령에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할 수 있다(S33). 이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 속도로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도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로봇 청소기에는 상기 촬영 장치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 장치를 수평 또는 수직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원격 기기에서는 청소 대상 영역의 맵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맵 상에서 특정 위치를 지정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If the user intends to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as a whole, the robot cleaner can be manually moved. For example, the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movement units may be activated at the input unit of the remote device, and the robot cleaner may be moved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input at the input unit (S33). At this time, the moving speed of the robot clean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can be adjusted. Although not shown, the robot cleaner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horizontally or vertically rota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o adjust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s another example, since the map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cleaned can be displayed in the remote device, the robot cleaner can be moved by designating a specific position on the map.

따라서, 본 사용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집안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use example, the user can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e while moving the robot cleaner by using the input unit of the remote device.

1: 로봇 청소기 3: 통신 컴포넌트 1: Robot cleaner 3: Communication component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소 명령 입력에 따라,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하는 중에, 청소 완료 영역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
청소가 완료된 경우, 상기 청소 완료 영역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원격 기기에서 전체 청소 대상 영역 상에 청소 완료 영역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
상기 원격 기기에서 상기 전체 청소 대상 영역 상에서 추가 청소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추가 청소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및
선택된 추가 청소 영역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robot cleaner is traveling according to a cleaning command input;
Storing cleaned area information in a memory of the robot cleaner while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transmitting the cleaned area information to a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Displaying the cleaned area on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in the remote device;
Selecting an additional cleaning area for an area requiring additional cleaning on the entire cleaning target area in the remote device; And
And moving the robot cleaner to the selected additional cleaning area to perform cleaning.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청소 대상 영역 상에서 청소 완료 영역이 선 또는 면으로 표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leaned area is displayed as a line or a face on the entire area to be clean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청소 대상 영역의 색상과 청소 완료 영역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lor of the entire cleaning target area and the color of the cleaning completion area are displayed differently.
로봇 청소기의 모니터링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의 촬영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영상이 획득되는 단계;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이 비교되는 단계; 및
영상 비교 결과,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기기로 현재 획득한 영상과 이전에 획득한 영상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Selecting a monitoring mode of the robot cleaner;
A step of periodically acquiring an image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robot cleaner;
Comparing a currently acquired image with a previously acquired image; And
And a step of transmitting a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a previously acquired image to a remot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ly acquired image and a previously acquired image as a result of image comparis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에 영상을 획득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monitoring mode is selected, the robot cleaner acquires an image after mov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위치는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t position is manually set or chang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에서는 충격량이 감지될 수 있고, 감지된 충격량이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의 촬영 장치에서 영상 정보가 획득되고, 획득된 영상 정보가 상기 원격 기기로 전송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ontrol method of a network system in which the robot cleaner is capable of detecting an impact amount,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robot cleaner,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to the remote apparatus when the detected amount of impact exceeds a reference amount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기기에서 특정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가 상기 로봇 청소기로 전송되고, 상기 로봇 청소기에서는 상기 특정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bot cleaner when specific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remote device, and the robot cleaner outputs the specific information by voice.
KR1020110046476A 2011-05-17 2011-05-17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KR101760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76A KR101760950B1 (en) 2011-05-17 2011-05-17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PCT/KR2012/003830 WO2012157951A2 (en) 2011-05-17 2012-05-16 Method for controlling component for network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76A KR101760950B1 (en) 2011-05-17 2011-05-17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85A KR20120128485A (en) 2012-11-27
KR101760950B1 true KR101760950B1 (en) 2017-07-24

Family

ID=4717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76A KR101760950B1 (en) 2011-05-17 2011-05-17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0950B1 (en)
WO (1) WO201215795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754B1 (en) * 2013-07-11 202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5204643B2 (en) 2014-01-10 2019-05-30 Diversey, Inc. Cleaning apparatus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E102014110265A1 (en) * 2014-07-22 2016-01-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Method for cleaning or processing a room by means of a self-moving device
KR101592108B1 (en) * 2014-07-23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06709B1 (en) 2014-08-19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robot cleaner
DE102015109775B3 (en) 2015-06-18 2016-09-22 RobArt GmbH Optical triangulation sensor for distance measurement
DE102015114883A1 (en) 2015-09-04 2017-03-09 RobArt GmbH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a base station of an autonomous mobile robot
DE102015119501A1 (en) 2015-11-11 2017-05-11 RobArt GmbH Subdivision of maps for robot navigation
DE102015119865B4 (en) 2015-11-17 2023-12-21 RobArt GmbH Robot-assisted processing of a surface using a robot
DE102015121666B3 (en) 2015-12-11 2017-05-24 RobArt GmbH Remote control of a mobile, autonomous robot
DE102016102644A1 (en) 2016-02-15 2017-08-17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EP3974934A1 (en) 2017-03-02 2022-03-30 Robart GmbH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mobile robot
JP6989210B2 (en) * 2017-09-26 2022-01-0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Controlling the movement of robot cleaning devices
DE102019106227A1 (en) * 2019-03-12 2020-09-1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oil cultivation device and system consisting of a soil cultivation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792A1 (en) * 2003-03-14 2004-10-14 Taylor Charles E. Robotic vacuum with localized cleaning algorithm
KR100636270B1 (en) * 2005-02-04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141131A2 (en) * 2007-05-09 2008-11-20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8565B1 (en) * 1999-08-31 2005-05-0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image sensing apparatus in image sens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4792A1 (en) * 2003-03-14 2004-10-14 Taylor Charles E. Robotic vacuum with localized cleaning algorithm
KR100636270B1 (en) * 2005-02-04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141131A2 (en) * 2007-05-09 2008-11-20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85A (en) 2012-11-27
WO2012157951A3 (en) 2013-01-24
WO2012157951A2 (en)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950B1 (en) Controlling mehtod of network system
US20230304803A1 (en) Emergency drone guidance device
AU2015203001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426603B2 (en) Robot cleaner,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robot cleaner, and remote monitoring method using robot cleaner
KR102104896B1 (en) robot cleaner and caring method of human using the same
CN1753040B (en) Trespass detecting system and method
WO2017141535A1 (en) Autonomous traveling device
WO2016031710A1 (en) Autonomous traveling body
JP5703454B1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JP6599603B2 (en) Autonomous vehicle
CN103211557A (en) Self-propelled device and method for orienting such a device
US20160020918A1 (en) Smart household applian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
CN106155050A (en) The mode of operation method of adjustment of intelligent cleaning equipment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CN107414829A (en) The more scene application systems of robot and method
KR20120081816A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apparatus
CN107485335B (en) Identification method, identific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322551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elf-balanced vehicle to park
KR101708301B1 (en) Robot cleaner and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same
JP7052260B2 (en) Camera-equipped mobiles, camera-equipped mobile control systems, and programs
CN108536135B (en) Path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leaning robot
CN111343696A (en) Communication method of self-moving equipment, self-mov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9103073A (en) Electrical apparatus and electrical apparatus system
CN210541347U (en) Intelligent cleaning device and relocating device for same
JP2015204102A (en) monitoring system and setting method
KR20180099098A (en) Fusion Type Image Monitoring System Camera with Movement Tracking Function of Shooting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