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898B1 - Robot teac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obot teac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898B1
KR101740898B1 KR1020160180585A KR20160180585A KR101740898B1 KR 101740898 B1 KR101740898 B1 KR 101740898B1 KR 1020160180585 A KR1020160180585 A KR 1020160180585A KR 20160180585 A KR20160180585 A KR 20160180585A KR 101740898 B1 KR101740898 B1 KR 10174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teaching
button
mo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현민
최태용
박동일
김휘수
박찬훈
김두형
경진호
손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8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8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898B1/en
Priority to DE112017006658.1T priority patent/DE112017006658B4/en
Priority to PCT/KR2017/015143 priority patent/WO20181246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81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with master teach-i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92Calibration of manip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의 교시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버튼, 및 로봇의 이동량 또는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 버튼이 형성된 모션 설정부; 및 사용자의 조그 모션에 의해 로봇의 위치 및 회전 모션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교시 핸들이 구비된 모션 동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로봇 암의 말단에 장착될 수 있는 로봇 암 장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그리퍼가 장착될 수 있는 그리퍼 장착부가 형성되어, 로봇의 말단에 장착되어 로봇을 교시할 수 있는 로봇 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교시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인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버튼, 다이얼, 조그 등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교시 정밀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 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including a motion setting unit having a mode button for switching a teaching mode or an operation mode of the robot, and a shaft button for controlling a movement amount or a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A motion operation unit having a teaching handle capable of generating a position and a rotation motion of the robot by the jog motion of the user; A robot arm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mount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arm is formed on one side, a gripp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gripper can be moun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robot mount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is a robot teaching apparatus capable of intuitively teaching a user and realizing a user-inputable input device with a physical interface such as a button, a dial, and a jog, thereby improving teaching accuracy and efficiency .

Description

로봇 교시 장치 {Robot teach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te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봇의 말단에서 로봇의 작업을 직접 교시할 수 있도록 함을로서 직관적인 교시 작업이 가능한 로봇 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teaching apparatus capable of intuitive teaching work by enabling a user to directly teach a robot's work at the end of the robot.

최근 다양한 제품 생산 공정의 자동화를 위한 로봇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따라, 조립 부품들의 이송, 용접 및 도장 등 다양한 분야에 로봇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using robots to automate various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es. Accordingly, robo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welding and painting of assembled parts.

이러한 로봇을 교시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은 로봇은 본체와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티칭 팬던트(teaching pendant)를 사용하여 로봇의 교시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자가 로봇의 말단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부분이 직관적이 않아서 교시에 어려움이 있다.In teaching the robots, the conventional technique teaches the robot using a teaching pendant in which the robo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end of the robot, There is a difficulty in teaching because the part to judge is not intuitive.

다른 종래 기술로는 로봇 말단에 힘 센서를 이용한 교시 장치를 부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교시 장치를 움직이는 힘과 방향을 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이를 로봇 교시의 신호로 사용하고 있어, 센서 노이즈와 민감도에 따라서 교시 방향과 거리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to attach a teaching device using a force sensor to the end of the robot. In this case, the force and direction of the teaching device are detected using a force sensor and used as a signal of robot teach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flect the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teaching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이에 따라 로봇의 말단에 교시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로봇 교시가 가능하며 교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 교시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obotic teaching device capable of intuitive robot teaching by attaching a teaching device to the end of the robot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eaching.

KR 10-1498836 B1 (2015.02.26.)KR 10-1498836 B1 (February 26, 20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의 말단에 교시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교시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인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버튼, 다이얼, 조그 등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교시 정밀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 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aching device at the end of a robot to enable intuitive teaching of a user, , A dial, a jog, etc., to improve the teaching accuracy and efficienc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봇 교시 장치는, 로봇의 교시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버튼, 및 로봇의 이동량 또는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 버튼이 형성된 모션 설정부; 및 사용자의 조그 모션에 의해 로봇의 위치 및 회전 모션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교시 핸들이 구비된 모션 동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로봇 암의 말단에 장착될 수 있는 로봇 암 장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그리퍼가 장착될 수 있는 그리퍼 장착부가 형성되어, 로봇의 말단에 장착되어 로봇을 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teaching device including a mode button for switching a teaching mode or an operation mode of a robot, a motion setting button for setting a moving amount of the robot, part; And a motion operation unit having a teaching handle capable of generating a position and a rotational motion of the robot by the user's jog motion; The robot arm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bot arm and the gripper moun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bot arm so that the gripper can be mounted on the robot arm mounting portion. Lt; / RTI >

또한, 로봇의 교시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로봇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로봇 상태 표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robot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ate of performing a teaching of the robot or a state of the robo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는, 로봇의 위치를 저장 또는 불러오기 할 수 있는 관리 버튼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se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button for storing or retriev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의 모드 버튼은, 교시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티칭 버튼,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는 좌표계 버튼, 및 인칭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티칭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de button of the motion setting unit may include a teaching button for turning the teaching mode ON / OFF, a coordinate system button for changing the coordinate system, and a teaching button for turning the inching mode ON / OFF.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의 축 버튼은,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에 대한 개별 설정이 가능한 이동축 버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xis button of the motion setting unit may include movement axis buttons capable of individually setting X, Y and Z direction movement, θ X , θ y and θz direction rotation.

또한, 상기 모션 동작부는, 상기 교시 핸들이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교시 핸들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operation unit is forming the above teaching handle are X, Y and Z movement, θ X, θy and θz rotation so as to be, and can be provided with a switch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teaching handle.

또한, 로봇의 말단을 기준으로 사람을 감지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non-contact sensor unit for sensing a person bas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to predict a collision;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로봇 교시 장치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교시가 가능하며 교시 정밀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obot teac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ntuitive teaching of the user is possible and accuracy and efficiency of teaching ar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시 장치가 로봇 암의 단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 설정부의 버튼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부를 포함한 로봇 교시 장치를 이용한 안전 지역 설정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end portion of a robot ar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buttons of a motion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etting of a safe area using a robot teaching apparatus including a non-contact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로봇 교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시 장치가 로봇 암의 단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n end of a robot arm,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교시 장치(1000)는, 로봇의 교시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버튼(120), 및 로봇의 이동량 또는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 버튼(110)이 형성된 모션 설정부(100); 및 사용자의 조그 모션에 의해 로봇의 위치 및 회전 모션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교시 핸들(210)이 구비된 모션 동작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로봇 암(2100)의 말단에 장착될 수 있는 로봇 암 장착부(40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그리퍼가 장착될 수 있는 그리퍼 장착부(101)가 형성되어, 로봇의 말단에 장착되어 로봇을 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button 120 for switching a teaching mode or an operation mode of the robot, A motion setting unit 100 having a shaft button 110 formed therein; A motion operation unit 200 having a teaching handle 210 capable of generating a position and a rotational motion of the robot by a user's jog motion; A robot arm mounting portion 401 which can be mount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arm 2100 is formed on one side and a gripper mounting portion 101 on which the gripper can be moun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robot can be instructed.

우선, 본 발명의 로봇 교시 장치(1000)는 로봇(2000)의 말단인 로봇 암(2100)의 말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로봇 교시 장치를 이용해 로봇을 직접 교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로봇 교시 장치(10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모션 설정부(100), 모션 동작부(200), 로봇 상태 표시부(300) 및 비접촉 센서부(400)가 적층되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상측인 비접촉 센서부(400)의 상면에는 로봇 암 장착부(401)가 형성되어 로봇 암(2100)의 말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최하측인 모션 설정부(100)의 하면에는 그리퍼 장착부(101)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의 그리퍼가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그리퍼 장착부(101)에는 그리퍼 이외에도 다양한 엔드 이펙터(end effector)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First,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2100, which is the end of the robot 2000, and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teach the robot using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 For example,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includes a motion setting unit 100, a motion operation unit 200, a robot status display unit 300, and a non-contact sensor unit 400 stacked and coupled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The robot arm mounting portion 401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non-contact sensor portion 400 as the uppermost side and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robot arm 2100. The motion setting portion 100 A gripper mounting portion 10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per 101 so that various types of grippers can be coupled and mounted. The gripper mounting portion 101 may be mounted with various end effectors in addition to the gripper.

여기에서 본 발명의 로봇 교시 장치(1000)는 크게 모션 설정부(100) 및 모션 동작부(200)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봇의 교시를 위한 로봇의 동작 설정 및 로봇의 위치 또는 회전 모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ion setting unit 100 and a motion operation unit 200.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includes an operation setting of the robot for teaching the robot and a position or rotation You can create motion.

즉, 모션 설정부(100)는 사용자가 로봇을 직접 교시할 수 있도록 로봇의 교시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버튼(120) 및 로봇의 이동량 또는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 버튼(11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들을 눌러 모드들을 선택할 수 있다.That is, the motion setting unit 100 includes a mode button 120 for switching a teaching mode or an operation mode of the robot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teach the robot, and an axis button 12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amount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110 are form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modes by pressing the buttons.

또한, 모션 동작부(200)는 일례로 사용자자 교시 핸들(210)을 손으로 건드리는 조그 모션을 하면 그 조그 모션에 따라 로봇의 위치 이동 또는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ion operation unit 200 may move or rotate the robot according to the jog motion if the user performs a jog motion by touching the user's instruction handle 210 by hand.

그리하여 본 발명은 로봇의 말단에 교시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교시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인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버튼, 다이얼, 조그 등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교시 정밀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teach the user by attaching a teaching device to the end of the robot, and realizes the input device capable of being applied by the user as a physical interface such as a button, a dial, and a jo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또한, 로봇의 교시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로봇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로봇 상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bot state display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robot state display unit 300 for displaying the robot state or the state of the robot.

즉, 로봇 상태 표시부(300)는 사용자가 교시를 수행하는 상태나 로봇의 상태를 표현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로봇 상태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obot status display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user performing the teaching or the state of the robot. For example, the robot state display unit 300 may be formed of an LED or the like. have.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100)는, 로봇의 위치를 저장(save) 또는 불러오기(load) 할 수 있는 관리 버튼(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motion set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button 130 that can save or load the position of the robot.

즉, 관리 버튼(130)은 로봇의 포인트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 및 저장된 위치를 불러올 수 있는 불러오기 버튼으로 구성되어 교시된 로봇의 포인트를 저장하거나 임의의 포인트에서 저장되어 있는 포인트로 로봇이 이동되도록 불러오기 할 수 있다.That is, the management button 130 includes a storage button for storing a point of the robot and a retrieval button for retrieving the stored position, and stores the point of the taught robot or moves the robot to a point stored at an arbitrary point Can be called up.

[모션 설정부의 모드 버튼 실시예][Example of mode button of motion setting section]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100)의 모드 버튼(120)은, 교시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티칭 버튼(121),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는 좌표계 버튼(122), 및 인칭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인칭 버튼(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de button 120 of the motion setting unit 100 includes a teaching button 121 for turning the teaching mode ON and OFF, a coordinate system button 122 for converting the coordinate system, And an inching button 123 that can be turned off.

즉, 도 3과 같이 모션 설정부(100)에는 교시 모드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티칭 버튼(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교시 모드는 로봇을 이동 또는 회전시키도록 티칭할 수 있는 모드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motion setting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teaching button 121 for controlling the teaching mode to be turned on / off, and the teaching mode may include a mode capable of teaching the robot to move or rotate to be.

그리고 모션 설정부(100)에는 작업 경로(Task)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로봇에 장착되는 그리퍼(Tool)를 기준으로 한 좌표계, 로봇 암의 관절(Joint)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 등의 좌표계를 선택하여 바꿀 수 있는 좌표계 버튼(122)이 형성되어, 원하는 좌표계를 기준으로 로봇의 이동 및 회전을 교시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설정부(100)에는 인칭 모드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인칭 버튼(12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칭 모드는 특정한 mm단위 또는 cm단위 등으로 로봇이 스텝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모드이다.In the motion setting unit 100, a coordinate system based on a task path, a coordinate system based on a gripper mounted on the robot, and a coordinate system based on a joint of the robot arm are selected A coordinate system button 122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can be formed so that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robot can be taught based on a desired coordinate system. In addition, the motion setting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ching button 123 for controlling the inching mode on / off. Herein, the inch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robot can perform a step operation in a specific unit of mm or cm.

또한, 모션 설정부(100)에는 인칭 다이얼(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칭 다이얼은 인칭 모드에서 인칭량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ching dial 140 may be formed in the motion setting unit 100, and the inching dial may be used to adjust the inching amount in the inching mode.

[모션 설정부의 축 버튼 실시예][Example of axis button of motion setting section]

또한, 상기 모션 설정부(100)의 축 버튼(110)은,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에 대한 개별 설정이 가능한 이동축 버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xis button 110 of the motion setting unit 100 may include movement axis buttons capable of individually setting the X, Y and Z direction movement, the θ X , θ y and the θz direction rotation.

즉, 이동축 버튼들은 X, Y, Z, θX, θy 및 θz 버튼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방향의 버튼만 눌러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누르지 않은 버튼들은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원하는 이동축 버튼을 눌러 각 방향 이동 또는 회전에 대한 개별 설정이 가능하며,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은 구속될 수 있다.That is, the movement axis buttons are composed of X, Y, Z,? X ,? Y, and? Z buttons, and can be activated by pressing only a button in a desired direction, and buttons that are not pressed can be deactivated. Thus,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set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rotation by depressing the desired movement axis button, and the movement and rotation in the undesired direction can be restricted.

[모션 동작부 실시예][Example of motion operation section]

또한, 상기 모션 동작부(200)는, 상기 교시 핸들(210)이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교시 핸들(210)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by the action of the motion operation unit 200, the teaching handle 210, the X, Y and Z movement, θ X, θy and θz are formed a direction of rotation to enable it said teaching handle (210) A switch to be operated may be provided.

즉, 모션 동작부(200)의 교시 핸들(210)은 6축 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모션 동작부(200)에는 스위치들이 구비되어 교시 핸들(210)의 움직임에 따라 스위치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교시 핸들(210)을 움직여 로봇을 교시할 수 있다.That is, the teaching handle 210 of the motion opera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six-axis direction, and the motion operation unit 200 is provided with switches so that the swit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aching handle 210 The user can teach the robot by moving the teaching handle 210.

또한, 로봇의 말단을 기준으로 사람을 감지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non-contact sensor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non-contact sensor unit 400 for sensing a person based on the end of the robot and predicting a collision.

즉, 로봇 암(2100)의 단부에 장착된 로봇 교시 장치(1000)에는 비접촉 센서부(400)가 있어, 비접촉 센서부(400)에서 사람이 존재하는 방향과 거리를 측정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다.That is,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1000 mounted on the end of the robot arm 2100 has the non-contact sensor unit 400, and the collision can be predicted by measuring the direction and the distance in which the person exists in the non-contact sensor unit 400 .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0 : 로봇 교시 장치
100 : 모션 설정부 101 : 그리퍼 장착부
110 : 축 버튼 120 : 모드 버튼
121 : 티칭 버튼 122 : 좌표계 버튼
123 : 인칭 버튼
130 : 관리 버튼 140 : 인칭 다이얼
200 : 모션 동작부
210 : 교시 핸들
300 : 로봇 상태 표시부
400 : 비접촉 센서부 401 : 로봇 암 장착부
2000 : 로봇
2100 : 암 2200 : 그리퍼
1000: Robot teaching device
100: Motion setting section 101: Gripper mounting section
110: axis button 120: mode button
121: Teaching button 122: Coordinate system button
123: Inching button
130: management button 140: inching dial
200:
210:
300: Robot status indicator
400: non-contact sensor part 401: robot arm mounting part
2000: Robot
2100: arm 2200: gripper

Claims (7)

로봇의 교시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버튼, 및 로봇의 이동량 또는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축 버튼이 형성된 모션 설정부; 및
사용자의 조그 모션에 의해 로봇의 위치 및 회전 모션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교시 핸들이 구비된 모션 동작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로봇 암의 말단에 장착될 수 있는 로봇 암 장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그리퍼가 장착될 수 있는 그리퍼 장착부가 형성되어,
로봇의 말단에 장착되어 로봇을 교시할 수 있는 로봇 교시 장치.
A motion setting unit having a mode button for switching a teaching mode or an operation mode of the robot, and a shaft button for controlling a movement amount or a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And
A motion operation unit having a teaching handle capable of generating a position and a rotational motion of the robot by a user's jog motion; And,
A robot arm mounting portion that can be mount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arm is formed on one side, and a gripper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gripper can be mount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robot teaching device mounted on the end of a robot and capable of teaching the robot.
제1항에 있어서,
로봇의 교시를 수행하는 상태 또는 로봇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로봇 상태 표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obot state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state of performing a teaching of the robot or a state of the robot; And a robot teach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설정부는,
로봇의 위치를 저장 또는 불러오기 할 수 있는 관리 버튼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ion setting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management button for storing or retriev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설정부의 모드 버튼은,
교시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티칭 버튼,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는 좌표계 버튼, 및 인칭 모드를 ON/OFF 할 수 있는 인칭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de button of the motion setting unit,
A teaching button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teaching mode, a coordinate system button capable of changing the coordinate system, and an inching button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inch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설정부의 축 버튼은,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에 대한 개별 설정이 가능한 이동축 버튼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xis button of the motion setting unit comprises:
And movement axis buttons capable of individually setting movement in X, Y and Z directions, rotation in the directions of? X ,? Y and? 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동작부는,
상기 교시 핸들이 X, Y 및 Z 방향 이동, θX, θy 및 θz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교시 핸들의 움직임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ion-
Is formed to enable the teaching handle to the X, Y and Z movement, θ X, θy and θz rotation, the robot teac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witch op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teaching handle.
제1항에 있어서,
로봇의 말단을 기준으로 사람을 감지하여 충돌을 예측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로봇 교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non-contact sensor unit for detecting a person based on a distal end of the robot to predict a collision; And a robot teaching device.
KR1020160180585A 2016-12-28 2016-12-28 Robot teaching apparatus KR101740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85A KR101740898B1 (en) 2016-12-28 2016-12-28 Robot teaching apparatus
DE112017006658.1T DE112017006658B4 (en) 2016-12-28 2017-12-20 Robot training device
PCT/KR2017/015143 WO2018124610A1 (en) 2016-12-28 2017-12-20 Robot tea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585A KR101740898B1 (en) 2016-12-28 2016-12-28 Robot teach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898B1 true KR101740898B1 (en) 2017-06-15

Family

ID=5921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585A KR101740898B1 (en) 2016-12-28 2016-12-28 Robot teac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89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4480A (en) * 2018-03-20 2018-07-13 上海海洋大学 A kind of 6DOF control handle
KR20190041358A (en)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mobile water injection and method for early fire suppression using the same
KR20200061160A (en) * 2018-11-23 2020-06-02 한국기계연구원 Removable teaching device
WO2021210820A1 (en) * 2020-04-14 2021-10-21 한국기계연구원 Tool coupling apparatus for robot capable of actively driv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18B1 (en) 2000-03-28 2007-06-2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Teaching pendant of rob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18B1 (en) 2000-03-28 2007-06-2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Teaching pendant of robo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358A (en)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mobile water injection and method for early fire suppression using the same
KR102289280B1 (en) * 2017-10-12 2021-08-1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mobile water injection and method for early fire suppression using the same
CN108274480A (en) * 2018-03-20 2018-07-13 上海海洋大学 A kind of 6DOF control handle
CN108274480B (en) * 2018-03-20 2024-05-17 上海海洋大学 6-Degree-of-freedom control handle
KR20200061160A (en) * 2018-11-23 2020-06-02 한국기계연구원 Removable teaching device
KR102148251B1 (en) * 2018-11-23 2020-08-26 한국기계연구원 Removable teaching device
WO2021210820A1 (en) * 2020-04-14 2021-10-21 한국기계연구원 Tool coupling apparatus for robot capable of actively driving
KR20210127838A (en) * 2020-04-14 2021-10-25 한국기계연구원 Tool coupling device for robot being capable of active moving
KR102380237B1 (en) * 2020-04-14 2022-03-31 한국기계연구원 Tool coupling device for robot being capable of active mov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898B1 (en) Robot teaching apparatus
US104569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work offset
US10870199B2 (en) Robot system and robot teaching method
KR101795847B1 (en) Method for programming an industrial robot and related industrial robot
US10583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ol offsets
US9919424B1 (en) Analog control switch for end-effector
US10675767B2 (en)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ler
JP6730247B2 (en) Robot operating device
JP6824855B2 (en) Operation unit and robot
KR102400668B1 (en) Method for handling an object by means of a manipulator and by means of an input tool
CN112643682B (en) Teaching method
Do et al. User-friendly teaching tool for a robot manipulator in human robot collaboration
US11745339B2 (en)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US11400583B2 (en) Robot
WO2023157261A1 (en) Robot control device
JP2008173711A (en) Robot and its direct instructing device
JP6737765B2 (en) Robot teaching system, controller and hand guide unit
KR1024869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Arms
JP2015217477A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robot system
JP2023131893A (en) Robot teaching control method, robot teaching device and robo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