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422B1 - 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 - Google Patents

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422B1
KR101626422B1 KR1020140161618A KR20140161618A KR101626422B1 KR 101626422 B1 KR101626422 B1 KR 101626422B1 KR 1020140161618 A KR1020140161618 A KR 1020140161618A KR 20140161618 A KR20140161618 A KR 20140161618A KR 101626422 B1 KR101626422 B1 KR 10162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ser
electronic device
optical sens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4663A (en
Inventor
박연제
Original Assignee
박연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제 filed Critical 박연제
Publication of KR2015006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센서를 활용하여 출력되는 화면, 홀로그램과 같은 빔 등이 사용자의 손이나 기기가 놓이는 물체의 수평에 상관 없이 사용자가 보기 편한 형태를 찾아 액정 위치를 맞추어 출력하거나 홀로그램, 빔 등을 자동으로 조정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nsor such as a gyroscope to output a screen such as a screen or a beam such as a hologram that matches the position of the liquid crystal and finds a user-friendly shape irrespective of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object on which the user's hand or the device is placed, Automatically adjust backlight

Description

센서 값에 따라 표시부를 조정하는 전자장치{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ensor value,

본 발명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또는 홀로그램 표시장치와 같이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such as a flat panel display or a holographic display.

기존 휴대폰, 컴퓨터는 손으로 쥔 상태에서 기기에 달린 화면을 보기 위해 불편한 자세를 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이 표시부를 갖는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거치대를 수동으로 다시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isting mobile phone and the computer were in an uncomfortable position to see the screen attached to the device while holding it by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radle for holding a mobile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used, but it is troublesome to manually adjust the cradle every time the user moves.

한편, 광학센서 중력센서를 이용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나 자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 또는 일부 내용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표시부는 그대로 둔 채로 가로 또는 세로로 화상을 회전시켜 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위치나 자세에 맞춰 최적의 표시 방향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direction or some content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user determined by using the optical sensor gravity sensor. However,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display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various positions or postures of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로 쥐거나, 어딘가에 내려놓더라도 사용자가 편하게 볼 수 있는 방향으로 표시부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항상 편하게 출력되는 결과물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able a user to view an output result that is always comfortably output by adjusting the display unit in a direction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view even if the user grasps in some form or places it somewhere.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센서; 및 전자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장치의 자세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상기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optical sensor for recognizing a user's gaze; And a gravity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ing a posture or a motion of the electronic apparatus, wherein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gaze position and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gravity sensor Is adjusted.

상기 표시부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전자장치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광학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을 기계적으로 조정하는, 표시부 조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lat panel display and connects the display unit and the electronic device body,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at panel display is orien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aze position and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gravity sensor, And a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that adjusts the display unit to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는 다수의 링크와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는 다수의 능동형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s and a plurality of active joint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s.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센서는,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제1 광학센서; 및 상기 전자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근접 여부 및 사용 환경을 감지하는 제2 광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광학센서에서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가 접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전자장치 본체가 합체되는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Wherein the at least one optical sensor comprises: a first optical sensor provided at the display unit and sensing a user's gaze; And a second optical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cting a proximity of the user and a usage environment. Here, if the second optical sensor senses that the user is not in proximity,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may be folded back to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main body are combined.

한편, 상기 표시부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hologram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hologram image. The display unit may adjust a display direction of the hologram image according to a user's gaze position and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gravity senso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떠한 형태로 쥐거나, 어딘가에 내려놓더라도 사용자에 맞춰 편하게 출력되는 결과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see an output that is easy to match with the user even if the user grasps in some form or places it down somewher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와 같은 센서와 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홀로그램, 빔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또는 홀로그램, 빔 장치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해당 장치를 받쳐주는 부분이 유동적이다. 사용자가 장비를 편히 들거나 아무 곳에 장착 되어 있어도 디스플레이나 홀로그램 장치가 출력한 결과는 사용자의 시야로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ensor such as a gyroscope, a gravity sensor, a display for outputting results, a hologram, and a beam device. Particularly, the display, hologram, and beam device are flexible, which supports the device so that it can move without being fixed. The output of the display or hologram device is configured to enter the user's field of view, whether the user is comfortable with the equipment or mounted anywhe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further illustrat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112)를 갖는 표시부(110)와 전자장치 본체(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10)를 상기 전자장치 본체(100)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표시부 조정기구(50)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센서로서 예컨대,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광학센서(91),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광학센서(92)를 구비한다. 전자장치 본체(100)에는 상기 전자장치 본체(100)의 자세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센서(93)를 구비한다.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ortion 110 having a flat panel display 112 and an electronic device body 100. And a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50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he display unit 110 with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0 and actively moving the display unit 110. At least one optical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gaze, for example, includes a first optical sensor 91 for sensing the user's gaze position, and a second optical sensor 92 for sensing proximity of the user.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gravity sensor 93 for sensing the posture or move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0.

상기 제2 광학센서(92)에 사용자의 근접이 감지되고, 상기 제1 광학센서(91)에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방향 등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50)를 움직여서 상기 표시부(110)에서 평판 디스플레이(112)가 사용자 시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적어도 그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고 그 각도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중력센서(93)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전자장치 본체의 자세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학센서(92)에는 사용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표시부(110)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When the user's proximity to the second optical sensor 92 is sensed and the user's gaze position and direction are sensed by the first optical sensor 91, The flat panel display 112 is position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user's line of sight, or at least moves to a position close thereto, and adjusts the angle.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5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attitude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is balanc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gravity sensor 93. The second optical sensor 92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environment of use and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50)는 다수의 링크(51, 52, 53)와 상기 다수의 링크(51, 52, 53)를 연결하는 다수의 능동형 관절(512, 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능동형 관절(512, 523)은 기구적으로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모터 등의 회전구동부를 구비하여 능동적으로 상기 다수의 링크(51, 52, 53)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s 51, 52 and 53 and a plurality of active joints 512 and 523 connecting the links 51, 52 and 53. The plurality of active joints 512 and 523 are mechanically hinged to each other and are rotatable. The active joints 512 and 523 are actively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ing part such as a motor to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links 51, 52 and 53 .

한편, 상기 제2 광학센서(92)에서 사용자(H)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50)가 접혀 상기 표시부(110)와 상기 전자장치 본체(100)가 합체된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optical sensor 92 detects that the user H is not close,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50 is folded to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 body 100 are combined You may want to go back.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홀로그램 이미지(120)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전자장치 본체(101)의 일측에 제2 광학센서(92)를 구비하고, 역시 상기 전자장치 본체(101) 내부에 중력센서(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력센서(93)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장치 본체(101)의 현 자세를 인식하고, 상기 제2 광학센서(92)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H)의 시선 위치 및 사용 환경을 감지하여 그에 맞게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120)의 표시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ncludes a hologram display unit 120 for outputting a hologram image 120. In this case, a second optical sensor 9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1, and a gravity sensor 93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1. Recognizes the current pos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101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gravity sensor 93 and detects the gaze position of the user H and the user's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second optical sensor 92. [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hologram image 120 may be adjusted accordingly.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광학센서(91) 및 제2 광학센서(92)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센서이고, 감지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과 주변의 조도 등 다양한 광학적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사용자의 근접 여부는 적외선 감지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irst optical sensor 91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92 are sensors having a camera function, and use various types of optic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gaze and ambient illuminance Lt; / RTI > The proximity of the user may be implemented through infrared detection.

50: 표시부 조정 기구
91: 제1 광학센서 92: 제2 광학센서
93: 중력센서 100, 101: 전자장치 본체
110: 표시부 112: 평판 디스플레이
120: 홀로그램 이미지 122: 홀로그램 표시부
50:
91: first optical sensor 92: second optical sensor
93: gravity sensor 100, 101: electronic device body
110: Display unit 112: Flat panel display
120: holographic image 122: holographic display

Claims (6)

평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하는 광학센서; 및 전자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장치의 자세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센서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제1 광학센서 및 상기 전자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근접 여부와 사용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제 2 광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전자장치 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2 광학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맞게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의 방향 및 사용자에게 근접한 위치로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조정하는 표시부 조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2 광학센서에서 감지된 조도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A display including a flat panel display; An optical sensor for recognizing the user's gaze; And a gravity sensor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apparatus for sensing the posture or movemen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Wherein the optical sensor includes a first optical sensor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to sense a user's gaze and a second optical sensor provid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main body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the illuminance of the user's environment,
The display unit and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movement of the flat display and the position close to the user is mechan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ignal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and the gravity sensor, And a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nce signal detected by the two optical sensors.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는 다수의 링크와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는 다수의 능동형 관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adjustment mechanism includes a plurality of links and a plurality of active joint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s,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센서에서 사용자가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 조정기구가 접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전자장치 본체가 합체되는 초기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전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second optical sensor detects that the user is not in proximity, the display unit adjusting mechanism is folded back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and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coalesc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출력하는 홀로그램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서 및 상기 중력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상기 홀로그램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조정하는,
전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hologram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hologram image,
And adjusting a display direction of the hologram image according to a user's gaze position and usage environment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and the gravity sensor,
Electronic device.
KR1020140161618A 2013-12-03 2014-11-19 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 KR1016264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8951 2013-12-03
KR1020130148951 201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63A KR20150064663A (en) 2015-06-11
KR101626422B1 true KR101626422B1 (en) 2016-06-13

Family

ID=5350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618A KR101626422B1 (en) 2013-12-03 2014-11-19 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4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936A1 (en) * 2015-12-03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226A (en) * 2003-06-16 2005-01-13 Denso Corp Hologram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262B1 (en) * 2009-11-16 2013-03-13 (주) 퓨처로봇 Intelligent display apparu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226A (en) * 2003-06-16 2005-01-13 Denso Corp Hologram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63A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2186B2 (en) Lapel microphone micro-display system incorporating mobile information access system
US9891670B2 (en) Foldable display
EP3029550B1 (en) Virtual reality system
EP3240707B1 (en) Vehicle vision system having adjustable displayed field of view
CN105319718B (en) Wearable glasse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via wearable glasses
KR101958778B1 (en) A Head Mounted Display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US961906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116985A (en) The method that control information is shown
EP1507196A3 (en) Mobile device with on-screen optical navigation
US10114512B2 (en) Projection system manager
US20160378181A1 (en) Method for Image Stabilization
US20160077670A1 (en) System with projector unit and computer
CN104223613A (en) Intelligent bracelet display control system and intelligent bracelet
CN111008055A (e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626422B1 (en) Erectronic Apparatus For Adjusting Display Position Using Sensors
CN108141560A (en) Image projection
JP2021056371A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2015019413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ing function and projecting method thereof
CN109690444A (en) The Earphone with microphone being used together with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JP2017181593A (en) Display device
CN111083326A (en)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070026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headset and method for using headset
JP201421696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US11886236B2 (en) Desktop platform
FI129320B (en) Helping a user to improve posture when using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