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62B1 -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62B1
KR101606162B1 KR1020140155550A KR20140155550A KR101606162B1 KR 101606162 B1 KR101606162 B1 KR 101606162B1 KR 1020140155550 A KR1020140155550 A KR 1020140155550A KR 20140155550 A KR20140155550 A KR 20140155550A KR 101606162 B1 KR101606162 B1 KR 10160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ffic card
passenger
tag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태
홍재성
김무선
정흥채
김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bstract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or control unit (DCU) which controls a door of a tracked vehicle; a reader which is installed in the tracked vehicle, emits a beam, receives tag information from a tag, and then traces the position of a transportation card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detec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through the reader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putted from the DCU, and determines whether a passenger having the transportation card gets on or off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Description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ognizing a ride-

본 발명은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궤도차량의 출입문의 리더기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a railway car do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for detecting the tag information of a transportation card and the position of a transportation card through a reader of a doorway of a railway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o get on and off.

최근 대부분의 대중교통수단에서는 선불 또는 후불 RF 교통카드와 일회용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그 이용요금을 징수하고 있다.Most public transit systems currently use prepaid or postpaid RF traffic cards and disposable transportation cards to collect fees.

이에 따라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선불교통카드, 후불교통카드, 일회용교통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person who wants to use the public transportation selects either the prepaid transportation card, the post-payment transportation card or the disposable transportation card.

더욱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환경에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서 제공했던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기능은 기본으로 제공되며, 교통카드, 모바일 뱅킹, 증권거래 및 비용 결제 등 다양한 금융거래 서비스까지 지원할 수 있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이하 "USIM"이라 함)이 사용되고 있다.Furthermore, in the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nvironment, the user authentication and global roaming functions provided by th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are provided as basic, and various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s such as traffic card, mobile banking,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IM") is used.

선불교통카드, 후불교통카드, 일회룡교통카드에는 RF 태그가 내장되어 있고, USIM 카드에서는 모바일 전자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모바일 전자태그를 이용한 RF 결제 기능의 경우 단말기의 전원과 관계없이 특정 거리 이내에 RF 리더기(reader)가 존재하기만 하면 결제 동작이 이루어진다.Since the USIM card accommodat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he prepaid transportation card, the deferred transportation card, the ilyongyong transportation card, and the USIM card accommodate the RFID. As long as there is an RF reader within a certain distance regardless of the power source, the settlement operation is performed.

한편, 지하철은 역사 내에 개찰하는 통로를 두어(보통 중간층) 승객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중에 이 통로를 통과하여 요금을 결제하고 환승 정보를 교환한다. 즉, 종래의 지하철에서는, 개찰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고, 혼잡시간대에는 해당 공간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효율적인 열차 운영을 위해서는 역별, 열차 별 수송정보가 필요한데 개찰구 정보만으로는 환승역에서의 정보를 얻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the subway has a ticket gate (usually in the middle layer) in the history, and passengers pay the fare and exchange transfer information while going up and down the stairs.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ubwa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ticket inspection, and a bottleneck occurs in the space in the congestion time zone. In order to operate an efficient train, transportation information for each station and each train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transfer station only by the ticket informatio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608호(2013.02.05)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2608 (2013.02.0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궤도차량의 출입문의 리더기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etecting a tag of a traffic card and a position of a traffic card through a reader of a doorway of a tracked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o get on and of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실제 궤도차량에 승하차할 때 요금 결제 요청이 이루어지므로, 혼잡 시간대에 역사 내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railway car entering / leaving a train, which can prevent bottlenecks in the history from occurring during a congestion time zone since a payment settlement request is made when a passenger gets on and off the actual tracked vehicl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찰구를 역사 내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역사 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ride-on / exit-of-a-rail car entering and leaving a railway car, in which space efficiency in histor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궤도차량에 실제로 승하차하는 승객을 검출할 수 있어 역별, 궤도차량별 수송정보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passenger in and out of a track vehicle, which can detect passengers actually getting on and off the track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는 궤도차량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DCU(Door Control Unit);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리더기; 및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출입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리더기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a track vehicle entrance, including: a DCU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oor of a track vehicle; A reader installed in the track vehicle for emitting a beam, receiv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based on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And detect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through the reader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the DCU,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holding the traffic card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리더기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er irradiates a plurality of beams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a passenger's getting-and-away direction, combin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s to obtain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ag, The loca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us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본 발명에서, 상기 리더기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위상 배열 안테나;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를 통해 빔을 방출하고,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채널별로 신호 처리하는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에서 안테나 채널 별로 입력된 신호에 대한 빔 형성(Beamforming) 과정을 통해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을 형성하여 수신된 빔의 조향 정보를 획득하는 빔 형성기; 및 상기 빔 형성기에서 입력된 방향각과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카드의 위치를 획득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er may include: a phased array antenna that emits a plurality of beams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a passenger's entering / leaving directio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tag; A transceiver for emitting a beam through the phased array antenna and signal proces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hased array antenna for each antenna channel of the phased array antenna; A beamformer for forming a beam in a tagged direction through a beamforming process on a signal input for each antenna channel in the transceiver and obtaining steer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eam; And a processor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by using the direction angle input from the beamformer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본 발명에서, 상기 빔 형성기는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채널별로 입력된 신호 각각에 복수 개의 위상을 지정하는 빔 형성 계수를 각각 곱하고, 빔 형성 계수가 곱해진 신호를 모두 중첩시킨 후, 중첩된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의 조향각을 빔 조향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former multiplies beamforming coefficients for designating a plurality of phases for each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transceiver on a channel-by-channel basis, superimposes all the signals multiplied by the beamforming coefficients, The steering angle of the largest signal is determined as the beam steering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의 개폐시의 교통카드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or off based on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하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승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getting off area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op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 having the traffic card boarded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closed in the closed area,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open area and the entrance door is detected in the open area and the exit area is detected in the departure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hav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is off.

본 발명은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installed in a track vehicle for photographing passengers who are getting on and off, and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period do.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승객의 승하차 여부에 따라 교통카드의 태그정보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달하여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and requests to perform the settl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은 출입문이 오픈되면, 리더기가 교통카드의 태그를 향해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교통 카드의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출입문이 클로즈되면, 제어부가 교통 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 ride-on / exit of a passenger car when a door is opened, the reader emitting a beam toward a tag of a traffic card, detecting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through a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when the door is closed.

본 발명에서, 상기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cing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may include irradiating a plurality of beams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a passenger loading / unloading direction, combin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 to obtain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a tag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by using the beam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시의 교통카드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하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승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boarding the passenger seat is detected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getting-off area while the door is opened, If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while the door is opened and the door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in the closed state after the entrance door is ope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hold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has got off.

본 발명은 카메라부가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further comprises a step of photographing a passenger who is on a track vehicle and getting on and off,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period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 여부에 따라 교통카드의 태그정보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달하여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of a traffic card to a vehicle control comput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and requesting the execution of a pay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 vehicle.

본 발명은 궤도차량의 출입문의 리더기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요금 처리를 요청하여 혼잡 시간대에 역사 내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are detected through the reader of the entrance door of the track vehicl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get on and off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bottleneck in the history in the congestion time zone by requesting the processing.

본 발명은 개찰구를 역사 내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역사 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ticket gate within the history, thereby enhancing the space efficiency in history.

본 발명은 궤도차량에 실제로 승하차하는 승객을 검출할 수 있어 역별, 궤도차량별 수송정보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passengers who are actually getting on and off the tracked vehicl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accurately obtain the transport information of each tracked vehicle by trai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위치에 대한 리더기의 교통카드 인식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방향에서의 빔 조사 범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방향에서의 빔 조사 범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더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기의 빔 형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의 위치에 따른 승차 판정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의 위치에 따른 하차 판정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tracked vehicle entrance / exit boarding /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tion of a transportation card by a reader with respect to a passenge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beam irradiation range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beam irradiation range in a direction of getting in and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beam forming process of a beam 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riding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traffic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getting off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traffic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ride-on / exit of a passenger ca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ride-on / exit-of-a-rail vehicle entrance and ex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위치에 대한 리더기의 교통카드 인식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위치에 대한 리더기의 교통카드 인식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방향에서의 빔 조사 범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방향에서의 빔 조사 범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더기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형성기의 빔 형성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의 위치에 따른 승차 판정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의 위치에 따른 하차 판정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tion of a traffic card of a reader with respect to a passenge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ader / FIG. 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ognition of a transportation card by a reader with respect to a passenger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traffic card recognition range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forming process of the beam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conceptually,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off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는 리더기(10), 카메라부(20), DCU(30), 통신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track vehicle access door ascending / descending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der 10, a camera unit 20, a DCU 30, a communication unit 40, and a control unit 50.

본 실시예에서, 궤도차량은 슬라이딩 방식의 출입문을 구비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고,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지하철, 기차, 전동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는 궤도차량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폭 출입문을 구비한 대중교통 수단, 예를 들어 버스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ck vehicle includes a sliding-type door and includes a vehicle that travels along the orbit, and includes a subway, a train, a train, and the like.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f a track vehicl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 public transportation means having a wide door, for example, a bus.

리더기(10)는 출입문 근처의 궤도차량(70)에 설치되어 교통카드(60)와 RF(Radio Frequency)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카드(60)의 위치를 추적한다. 이러한 교통카드(60)의 위치는 해당 교통카드(60)를 소지한 승객이 궤도차량(70)에 승차했는지 또는 궤도차량(70)에서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The reader 10 is installed in the track vehicle 70 near the entrance door and performs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to detect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Based on the detected tag information Tracks the loca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60.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60 is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a passenger carrying the transportation card 60 has boarded the track vehicle 70 or has got off the track vehicle 70. [

참고로, 교통카드(60)에는 선불식 교통카드와 후불식 교통카드, 일회용교통카드 등 다양한 교통카드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USIM 카드도 포함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transportation card 60 may include a variety of transportation cards such as a prepaid transportation card, a posterior transportation card, and a disposable transportation card. In addition, a USIM card may be included.

이러한 교통카드(60) 각각에는 태그가 형성되며, 이 태그는 각각이 고유한 태그 정보를 저장한다. 태그는 리더기(10)로부터 수신된 빔에 의해 충전되고 충전된 전원으로 자신의 태그 정보를 리더기(10)로 송신한다. Each of these traffic cards 60 is tagged, and each tag stores unique tag information. The tag is charged by the beam received from the reader 10 and transmits its tag information to the reader 10 with the charged power source.

한편, 리더기(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출입문(72) 근처의 빔 조사 범위 이내에 위치할 경우 해당 승객의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하며, 빔 조사 범위 내 빔의 개수와 방향은 승차하시 승객의 위치와 승객수, 승하차 방향 RF 통신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 the reader 10 performs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of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is located within a beam irradiation range near the door 72, The number and direction of the passenger can be various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passengers, number of passengers, availability of RF communication in the direction of getting in and out,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리더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는데, 승하차 방향으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72)의 전범위에 걸쳐 m개의 빔을 조사하여 출입문(72)을 통과하는 승객 각각의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리더기(1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개폐 방향으로는 궤도차량(70) 내부에 있는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n개열의 빔을 조사하여 승객과 궤도차량(70) 외부에 있는 승객 또는 출입문(72)을 통과하는 승객 모두의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reader 10 irradiates a plurality of beams in various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reader 10 irradiates m beams over the entire range of the door 72, as shown in FIG. 3,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of each passing passenger. As shown in FIG. 4, the reader 10 irradiates a beam of n rows so as to perform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inside the track vehicle 70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60) of passengers on the outside of the door (70) or passengers passing through the door (72).

즉, 리더기(10)는 출입문 개폐 방향과 승하차 방향으로 m×n개의 빔을 조사하여 승하차 승객 전체의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reader 10 can perform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of the entire boarding passenger by irradiating the m × n beams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the entering / leaving direction.

한편, 리더기(10)는 궤도차량(70)에 설치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는데,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ader 10 is installed on the track vehicle 70 and irradiates a plurality of beam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combining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ag is obtained ,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s detected using the beam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tag information.

도 5 를 참조하면, 리더기(10)는 위상 배열 안테나(11), 송수신기(12), 빔 형성기(13) 및 처리기(14)를 포함한다.5, the reader 10 includes a phased array antenna 11, a transceiver 12, a beamformer 13, and a processor 14.

위상 배열 안테나(11)는 복수 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어서 태그를 향해 각각의 위상에 따라 복수 개의 방향으로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위상 배열 안테나(11)는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복수 개의 위상 배열 안테나(11)를 기반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m×n개의 빔을 형성한다. The phased array antenna 1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ntennas, and emits beam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ccording to respective phases toward the tag,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tag. A plurality of such phased array antennas 11 can be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getting in and out. The m × n beams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plurality of phased array antennas 11 as described above.

송수신기(12)는 각각의 위상에 따라 위상 배열 안테나(11)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빔을 방출하고, 위상 배열 안테나(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위상 배열 안테나(11)의 안테나 채널별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The transceiver 12 emits beams in different directions through the phased array antenna 11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phases and outpu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phased array antenna 11 to signal processing for each antenna channel of the phased array antenna 11 .

즉, 송수신기(12)는 위상 배열 안테나(11)별로 신호를 수신하고, 각 안테나 채널별로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한 후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That is, the transceiver 12 receives a signal for each of the phased array antennas 11, frequency-down converts the signal input for each antenna channel, samples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digital data.

빔 형성기(13)는 송수신기(12)에서 채널별로 입력된 신호에 대한 빔 형성(Beamforming) 과정을 통해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을 형성하여 해당 빔의 방향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eam former 13 forms a beam in the direction of the tag through a beamforming process for a signal inputted for each channel in the transceiver 12 so as to acquire a direction angle of the corresponding beam.

이를 위해, 빔 형성기(13)는 송수신기(12)로부터 안테나 채널 별로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에 L개의 위상을 지정하는 빔 형성 계수(BeamForming Weight)를 곱하여 빔을 생성한다. For this purpose, the beam former 13 multiplies digital data input from the transceiver 12 for each antenna channel by a beamforming weight for designating L phases to generate a beam.

도 6 을 참조하면,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x(n))는 각각의 위상 배열 안테나(11)에 수신되는데, 이때 빔 형성기(13)는 각 위상 배열 안테나(11)에 수신된 신호(x1(n),x2(n),xM(n)) 각각에 L개의 위상이 지정된 빔 형성 계수((W11 H,W21 H,...,WL1 H),(W12 H,W22 H,...,WL2 H),(W1M H,W2M H,...,WLM H))를 곱한다. 6, a signal x (n) received from the tag is received by a respective phased array antenna 11, where the beamformer 13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x (n) 1 (n), x 2 ( n), x M (n)) beamforming coefficients ((W 11 H, W 21 H, ..., W L1 H) are the L-phase assigned to each, (W 12 H , W 22 H , ..., W L2 H ), (W 1M H , W 2M H , ..., W LM H )).

즉,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x1(n))에 L개의 위상이 지정된 빔 형성 계수(W11 H,W21 H,...,WL1 H)를 곱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x2(n))에 L개의 위상이 지정된 빔 형성 계수(W12 H,W22 H,...,WL2 H)를 곱하며,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xM(n))에 L개의 위상이 지정된 빔 형성 계수(W1M H,W2M H,...,WLM H)를 각각 곱한다. That is, the signal (x 1 (n) received from the tag is multiplied by L beamforming coefficients (W 11 H , W 21 H , ..., W L1 H ) 2 (n)) beamforming coefficients are specified for the L-phase (the product W 12 H, W 22 H, ..., W L2 H) and the signal (x M (n received from the tag) of a) L (W 1M H , W 2M H , ..., W LM H ),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x1(n),x2(n),xM(n)) 각각에 L개의 위상이 지정된 빔 형성 계수((W11 H,W21 H,...,WL1 H),(W12 H,W22 H,...,WL2 H),(W1M H,W2M H,...,WLM H))를 각각 곱한 후에는, 빔 형성기(13)는 각 위상 배열 안테나(x1(n),x2(n),xM(n))(11) 별로 동일 위상의 빔 형성 계수((W11 H,W12 H,...,W1M H),(W21 H,W22 H,...,W2M H),(WL1 H,WL2 H,...,WLM H))가 곱해진 신호를 모두 중첩시킨다. , The signals (x 1 (n), x 2 (n), x M (n)) received from the tag on the L-phase specified beamforming coefficients ((W 11 H, W 21 H ,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 W L1 H ), (W 12 H , W 22 H , ..., W L2 H ), (W 1M H , W 2M H , ..., W LM H ) beamformer 13 for each phased array antenna (x 1 (n), x 2 (n), x M (n)) (11) in phase beamforming coefficients ((W 11 H, W 12 H of each. .., W 1M H), ( W 21 H, W 22 H, ..., W 2M H), (W L1 H, W L2 H, ..., are all made the signal LM product W H)) Overlap.

이 경우, L개의 위상에 대응되는 각각의 신호는 모두 중첩되면서, 이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방향의 신호(xB(n))가 나타나게 되고, 이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의 빔 조향각을 현재 태그가 있는 방향각으로 결정한다. In this cas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L phases are superimposed, and a signal (x B (n)) in the direction with the largest signal intensity appears, and the beam steering angle of the signal with the largest signal intensity is represented by Determine the orientation angle with the tag.

즉,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태그가 있는 방향에 따라 그 신호 세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리더기(10)는 빔을 태그로 계속 조향하게 되므로, 태그의 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signal received from a tag has a relatively large signal intensity depending on a direction in which the tag is present. As a result, the reader 10 continues to steer the beam to the tag,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ag can be continuously tracked.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배열 안테나(11)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m×n개의 빔을 조사하기 위해, 평면 배열 안테나(planar array antenna)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배열 안테나는 상기한 위상 배열 안테나(11)를 2차원으로 확장한 것으로 각각의 소자에 계수를 곱함으로써 2차원에서 빔을 조사한다. For example, the phased array antenna 1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rder to irradiate m x n beams as described above, a planar array antenna antenna. The planar array antenna is a two-dimensional extension of the above-described phased array antenna 11, and irradiates a beam in two dimensions by multiplying each element by a coefficient.

처리기(14)는 빔 형성기(13)에서 입력된 방향각과 태그의 태그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60)의 위치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 The processor 14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using the direction angle input from the beamformer 13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and input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traffic card 60 to the controller 50 .

카메라부(20)는 궤도차량(70)의 출입문(72) 근처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며, 출입문(72)을 통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시간 동안 저장한다. 저장된 영상은 리더기(10)의 교통카드(60) 검출 오류 발생시, 승객이 실제 해당 출입문(72)을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증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0 is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near the door 72 of the track vehicle 70 and photographs the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rough the door 72 and inputs the captured images to the control unit 5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for a preset time. The stored image can be used as evid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assenger has actually pass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oor 72 when a detection error of the traffic card 60 of the reader 10 occurs.

DCU(30)는 궤도차량(70)의 차량제어컴퓨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출입문 제어 명령에 따라 출입문(72)의 개폐를 제어한다. DCU(30)는 차량제어컴퓨터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출입문 제어 명령에 따라 출입문(72)을 오픈 또는 클로즈시킨다. 이러한 DCU(30)는 궤도차량(70)의 출입문(72)에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는 바, 통상적으로 1량에 8개의 UCU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DCU(30)는 차량제어컴퓨터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출입문 제어 명령에 따라 출입문(72)를 오픈 또는 클로즈시킴과 더불어 출입문의 개폐 상태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 The DCU 30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72 in accordance with a door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vehicle control computer (not shown) of the track vehicle 70. The DCU 30 opens or closes the door 72 according to the door control command when the door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he DCU 30 is install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door 72 of the track vehicle 70, and typically eight UCUs can be installed in one unit. In particular, when the door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he DCU 30 opens or closes the door 72 according to the door control command, and input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to the control unit 50.

통신부(40)는 제어부(50)와 차량제어컴퓨터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부(40)는 차량제어컴퓨터와 이더넷(ethernet) 등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한 제어부(50)로부터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제어컴퓨터에 전달하고, 교통카드(60)의 태그정보를 차량제어컴퓨터에 전달한다. 이 경우, 차량제어컴퓨터는 상기한 영상을 저장하고, 교통카드(60)의 태그정보를 결제서버(미도시) 등으로 전달하여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요금 결제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4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unit 50 and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he communication unit 40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hrough an Ethernet or the like to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20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from the control unit 5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stores the image, and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to a payment server (not shown) so that it can be used for billing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ed vehicle.

제어부(50)는 DCU(30)로부터 입력된 출입문(72)의 개폐 여부에 따라 리더기(10)를 제어하여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하차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에 따라 차량제어컴퓨터로 궤도차량(70)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한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reader 10 to detect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72 input from the DCU 30 is opened or close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60, the control computer 60 requests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o perform the settl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 vehicle 7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즉, 차량제어컴퓨터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이 입력되어 DCU(30)가 해당 출입문(72)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출입문(72)의 상태를 제어부(50)로 입력하면, 제어부(50)는 리더기(10)를 제어하여 교통카드(60)의 태그를 향해 빔을 방출하도록 한다. 참고로, 제어부(50)는 오픈되기 전에도 리더기(10)를 통해 빔을 방출함으로써, 출입문 근처의 태그를 미리 인식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door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and the DCU 30 opens the door 72, the control unit 50 inputs the state of the door 72 to the controller 50, So as to emit a beam toward the tag of the traffic card 60. For reference, the control unit 50 may recognize the tag near the door by preliminarily emitting the beam through the reader 10 before it is opened.

이때, 리더기(10)는 태그를 향해 복수 개의 방향으로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통해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 및 추적하고, 이 교통카드(60)의 태그정보와 위치를 제어부(50)에 입력한다.At this time, the reader 10 emits beam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oward the tag, combin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 to obtain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ag, and then transmits the beam steering information and tag information Detects and tracks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and inputs the tag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to the controller (50).

이때, DCU(30)가 차량제어컴퓨터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출입문(72)을 클로즈시키고 출입문(72) 상태를 제어부(50)로 입력하면, 제어부(50)는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 및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교통카드(60)를 소지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한다. At this time, when the DCU 30 receives the door control command from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o close the door 72 and input the state of the door 72 to the control unit 5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assenger carry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60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제어부(50)에는 사전에 승차 지역 및 하차 지역이 설정되는데, 제어부(5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60)의 위치가 하차 지역(A)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72)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B)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카드(60)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제어부(50)는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60)의 위치가 승차 지역(B)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72)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C)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50 sets the riding area and the getting off area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50.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reaches the getting off area A in the state where the door 72 is op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who has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60 rides when the door 72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B in a state where the door 72 is clo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B while the door 72 is open and the door 72 is detected in the closed area C in the closed state It is judged that the passenger holding the relevant traffic card has got off.

따라서,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의 교통카의 위치, 및 출입문(72)이 클로즈된 상태에서의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승객에 대한 승차 또는 하차를 판단함으로써, 출입문(72)이 오픈 상태에서 승객이 일시적으로 하차한 후 다시 승차하거나 또는 승객이 일시적으로 승차한 후 하차하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적인 승하차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Thus, by judg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or off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72 is open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72 is closed, The abnormal boarding and landing can be accurately detected as in the case where the passenger is temporarily taken off after the passenger 72 is in the open state and then rides again or the passenger temporarily gets off after getting off.

이와 같이, 승하차 여부가 판정되면, 제어부(50)는 상기한 판정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와 승하차 여부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송하여 궤도차량(70)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한다.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getting on and off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an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getting on and off,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Lt; / RTI >

이에 따라, 차량제어컴퓨터는 해당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승객에 대한 결제 과정을 수행한다. Accordingly,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performs a payment process for the corresponding passenger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한편, 제어부(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 카메라부(20)를 제어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저장하고, 해당 영상을 차량제어컴퓨터로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camera unit 20 to shoot an imag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72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stores the captured image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이하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recognizing a ride-on / exit of a passenger ca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recognizing a ride-on / exit of a passenger ca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를 참조하면, DCU(30)는 궤도차량(70)의 차량제어컴퓨터(미도시)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출입문 제어 명령에 따라 출입문(72)을 개폐시킨다. Referring to FIG. 9, the DCU 30 opens and closes the door 72 according to the door control command when a door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a vehicle control computer (not shown) of the track vehicle 70.

이때, 제어부(50)는 DCU(30)로부터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인지를 체크하고(S10),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이면, 카메라부(20)를 제어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20)는 출입문(72)을 통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50)에 입력하고, 제어부(50)는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설정 시간 동안 저장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 checks whether the door 72 is opened from the DCU 30 (S10). If the door 72 is opene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camera unit 20 to shoot an image do. Accordingly, the camera unit 20 photographs the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rough the door 72, inpu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50, and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camera unit 20 to photograph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0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20 for a preset time.

또한, 제어부(50)는 리더기(10)를 제어하여 교통카드(60)의 태그를 향해 빔을 방출하도록 한다. 이에 리더기(10)는 태그를 향해 복수 개의 방향으로 빔을 조사한다(S20). Further,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reader 10 to emit a beam toward the tag of the traffic card 60. The reader 10 then irradiates the beam toward the tag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20).

이 경우, 리더기(10)는 출입문(72)의 승하차 지역, 즉 승하차 방향과 출입문 개폐 방향으로 m×n개의 빔을 조사하여 승하차 승객 전체의 교통카드(60)와 RF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reader 10 irradiates the m × n beams in the boarding and landing areas of the door 72, ie, the boarding direction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so as to perform RF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card 60 of the entire boarding passenger .

이와 같이 빔이 조사되면, 리더기(10)는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통해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하여(S30), 검출된 교통카드(6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S40). When the beam is irradiated, the reader 10 combin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 to acquire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ag, and then, through the beam steering information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S30), and continuously tracks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traffic card 60 (S40).

이 경우 제어부(50)는 리더기(10)에 의해 검출 및 추적되는 교통카드(60)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0 receives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detected and tracked by the reader 1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DCU(30)가 차량제어컴퓨터로부터 출입문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출입문(72)을 클로즈시키고 출입문(72) 상태를 제어부(50)로 입력한다.Meanwhile, in the above process, the DCU 30 receives the door control command from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closes the door 72, and inputs the state of the door 72 to the control unit 50.

제어부(50)는 상기한 과정에서 출입문(72)이 클로즈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50), 이때 출입문(72)이 클로즈되면 리더기(10)에 의해 검출된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 및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교통카드(60)를 소지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한다(S60). The control unit 50 checks whether or not the door 72 is 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S50). When the door 72 is clos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 read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detected by the reader 10,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a passenger carry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60 is getting on and off (S60).

즉, 제어부(50)는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60)의 위치가 하차 지역(A)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72)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B)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카드(60)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제어부(50)는 출입문(72)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60)의 위치가 승차 지역(B)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72)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C)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s detected in the getting off area A in the state where the door opening 72 is opened and the control part 5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n the driving area B in a state where the doorway 72 is closed It is judged that the passenger carry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60 has boarded. On the other hand, if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B while the door 72 is open and the door 72 is detected in the closed area C in the closed state It is judged that the passenger holding the relevant traffic card has got off.

이와 같이, 승하차 여부를 판단한 후에는 제어부(50)는 상기한 판단 결과에 따라,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와 승하차 여부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송하여 궤도차량(70)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한다.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getting on and off,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and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getting on and off,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Lt; / RTI >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가 차량제어컴퓨터로 요금처리를 요청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결제서버로 직접 요금처리를 요청하는 것도 포함한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50 requests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to perform the billing process.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궤도차량(70)의 출입문(72)의 리더기(10)를 통해 교통카드(60)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60)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여 혼잡 시간대에 역사 내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60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60 are detected through the reader 10 of the door 72 of the track vehicle 7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bottleneck in the history in the congestion time zone.

또한 본 실시예는 개찰구를 역사 내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역사 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provide a ticket gate separately in the history, so that space efficiency in the history can be improved.

게다가 본 실시예는 궤도차량(70)에 실제로 승하차하는 승객을 검출할 수 있어 역별, 궤도차량별 수송정보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is embodiment can detect passengers who actually get on and off the track vehicle 70,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accurately obtain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for each track vehicle by the trai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리더기
11: 위상 배열 안테나
12: 송수신기
13: 빔 형성기
14: 처리기
20: 카메라부
30: DCU
40: 통신부
50: 제어부
60: 교통카드
70: 궤도차량
72: 출입문
10: Reader
11: Phased Array Antenna
12: Transceiver
13: Beamformer
14: Processor
20:
30: DCU
40:
50:
60: Transportation Card
70: track vehicle
72: Entrance

Claims (14)

궤도차량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DCU(Door Control Unit);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리더기; 및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출입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리더기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의 개폐시의 교통카드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되,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하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승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A door control unit (DCU) for controlling the door of the track vehicle;
A reader installed in the track vehicle for emitting a beam, receiving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based on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And
Detec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through the reader according to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the DCU,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holding the transportation card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unloading area and the door is closed, If it is detected that the passenger carrying the traffic card is riding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and the door is detected in the getting off area after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getting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2.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ader irradiates a plurality of beams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a passenger's up / down direction, combines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tag to acquire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a tag-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is us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위상 배열 안테나;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를 통해 빔을 방출하고,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위상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채널별로 신호 처리하는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에서 안테나 채널 별로 입력된 신호에 대한 빔 형성(Beamforming) 과정을 통해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을 형성하여 수신된 빔의 조향 정보를 획득하는 빔 형성기; 및
상기 빔 형성기에서 입력된 방향각과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통카드의 위치를 획득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eader
A phased array antenna that emits a plurality of beams in a door opening / closing direction and a passenger loading / unloading direction, and receives signals from tags;
A transceiver for emitting a beam through the phased array antenna and signal process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phased array antenna for each antenna channel of the phased array antenna;
A beamformer for forming a beam in a tagged direction through a beamforming process on a signal input for each antenna channel in the transceiver and obtaining steer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eam; And
And a processor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transportation card by using the direction angle inputted from the beamformer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ta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빔 형성기는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채널별로 입력된 신호 각각에 복수 개의 위상을 지정하는 빔 형성 계수를 각각 곱하고, 빔 형성 계수가 곱해진 신호를 모두 중첩시킨 후, 중첩된 신호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의 조향각을 빔 조향 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beam former
A beamforming coefficient for specifying a plurality of phases is multiplied by each of the signals inputted from the transceiver on a channel by channel basis, all the signals multiplied by the beamforming coefficient are superimposed,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signal, And the steering information is determined as the steering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unit mounted on a track vehicle for photographing passengers who are getting on and off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for a predetermined set tim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승객의 승하차 여부에 따라 교통카드의 태그정보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달하여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ag information of a traffic card to a vehicle control comput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and requests a pay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 vehicle.
출입문이 오픈되면, 리더기가 교통카드의 태그를 향해 빔을 방출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교통카드의 태그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교통 카드의 태그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및
출입문이 클로즈되면, 제어부가 교통 카드의 태그 정보 및 교통카드의 위치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의 개폐시의 교통카드의 위치 변화를 기반으로 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판정하되,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하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된 상태에서 승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교통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출입문이 오픈된 상태에서 교통카드의 위치가 승차 지역에서 검출된 후 출입문이 클로즈 상태에서 하차 지역에서 검출되면 해당 교통 카드를 소지한 승객이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
When the door is opened, the reader emits a beam toward the tag of the traffic card, detects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throug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ag, and tracks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detected traffic card ;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and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based on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f it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in the closed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carrying the transportation card boarded the vehicle. If the position of the traffic card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opened and the door is detected in the riding area And determining that the passenger having the corresponding traffic card has got off the bu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는
출입문의 개폐 방향과 승객의 승하차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빔을 조사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조합하여 태그가 있는 방향의 빔 조향 정보를 획득한 후, 빔 조향 정보와 태그의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카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raffic card
A plurality of beams are irradi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f the doors and the passenger in and out directions and the beams received from the tags are combined to obtain beam steering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ag, And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카메라부가 궤도차량에 설치되어 승하차하는 승객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가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hotographing a passenger who is mounted on a track vehicle, and a camera is mounted on the track vehicle,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stored by the control unit for a preset time.
제 9 항에 있어서, 승객의 승하차 여부에 따라 교통카드의 태그정보를 차량제어컴퓨터로 전달하여 궤도차량 이용에 따른 결제 과정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 출입문 승하차 인식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traffic card to the vehicle control comput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getting on and off, and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settl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rack vehicle .
KR1020140155550A 2014-11-10 2014-11-10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KR101606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50A KR101606162B1 (en) 2014-11-10 2014-11-10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50A KR101606162B1 (en) 2014-11-10 2014-11-10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162B1 true KR101606162B1 (en) 2016-04-05

Family

ID=5580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50A KR101606162B1 (en) 2014-11-10 2014-11-10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6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350B1 (en) * 2018-01-15 2019-01-16 주식회사 핀텔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ree riding
US20200001475A1 (en) * 2016-01-15 2020-01-02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KR102109647B1 (en) * 2019-12-03 2020-05-12 주식회사 핀텔 System for counting ride of public transportation using deep learning and method thereof
CN113830010A (en) * 2020-06-23 2021-12-2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4898A (en) * 2006-03-28 2007-10-11 West Japan Railway Technos Corp On-train automatic ticket gat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4898A (en) * 2006-03-28 2007-10-11 West Japan Railway Technos Corp On-train automatic ticket gate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01475A1 (en) * 2016-01-15 2020-01-02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US11662722B2 (en) * 2016-01-15 2023-05-30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KR101939350B1 (en) * 2018-01-15 2019-01-16 주식회사 핀텔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ree riding
KR102109647B1 (en) * 2019-12-03 2020-05-12 주식회사 핀텔 System for counting ride of public transportation using deep learning and method thereof
CN113830010A (en) * 2020-06-23 2021-12-2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EP3929057A1 (en) * 2020-06-23 2021-12-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with passenger detection uni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1297B2 (en) Vision-based fare collection
US11875579B2 (en) Parking objects detection system using live inventory management
KR101606162B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boarding and alighting of door of rail car
CN108985748B (en) Mobile device and reader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CN111667608B (en)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gate passage and gate
US20160371893A1 (en) Rfid for fare collection
KR101981328B1 (en) Unattended Port Entrance and Exit Gate Control of Container Truck Providing Efficiency and Security
KR101861181B1 (en) System for automatic electronic toll collection based on virtual toll using smartphone
US11787444B2 (en) Management device,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30230146A1 (en) Method for purchasing goods, access authorizations or authorizations for using a service from a plurality of offered goods, access authorizations or authorizations for using a service
US11462069B2 (en) Tracking transportation for hands-free gate
CN110958566B (en) Positioning, recognizing and carrying passenger receiv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99196B2 (en) Objec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lectromagnetic beam
JP6964272B2 (en) ETC (Trademark Registration) Roadside Equipment, ETC Recovery System, ETC Recovery Method and ETC Recovery Program
KR20160105200A (en) Public transport payment device and a method using a beacon
US20220398926A1 (en) Eliminating use of a mobile printing device in issuing a record of transaction activity information
CN113469602A (en) Management device, transpor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685812B1 (en) Baggage handling device, baggage handling system using the same
JP726088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NL2030776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effortless check-in for a transaction-based transportation vehicle.
WO2023028750A1 (en) An apparatus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by crossing a virtual line
KR20180116016A (en) Illegal passenger detection system, illegal passenger detection server and the method thereof
CN113610598A (en) Public traffic intelligent passing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40145458A (en) Invention and the free transfer of equipment to the other side in the same subway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