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103B1 -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103B1
KR101397103B1 KR1020090079131A KR20090079131A KR101397103B1 KR 101397103 B1 KR101397103 B1 KR 101397103B1 KR 1020090079131 A KR1020090079131 A KR 1020090079131A KR 20090079131 A KR20090079131 A KR 20090079131A KR 101397103 B1 KR101397103 B1 KR 10139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unit
robot cleaner
driving wheel
rotati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33870A (en
Inventor
이준화
주재만
정삼종
송정곤
김동원
홍준표
고장연
정우람
유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0164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EP2260750A3/en
Priority to CN201010202445.XA priority patent/CN101923350B/en
Priority to US12/813,871 priority patent/US20100313910A1/en
Publication of KR2010013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7Surface tr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주행 성능을 개선한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that improves the running performance of a robot cleaner and a running control method thereof.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과 바닥 면의 먼지를 쓸어 주는 브러시유닛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펫과 같이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에서도 로봇청소기의 전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leaner which is capable of smooth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for moving a robot cleaner and a brush unit for sweeping dust on a bottom surface in the same direction, .

Description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 방법{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성능을 개선한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and a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that improve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 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by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a floor surface while traveling an area to be cleaned by itself without user's operation.

이러한 로봇청소기는 이동을 위한 한 쌍의 구동 바퀴를 본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하여 로봇청소기 본체가 청소 영역을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로봇청소기가 주행하는 바닥 면이 마루 바닥이나 장판 타일과 같이 딱딱한 바닥 면에서는 로봇청소기가 쉽게 전진 또는 후진을 한다. 그러나 카펫과 같은 바닥 면에서는 카펫의 많은 털로 인하여 주행 저항이 크고 이로 인해 로봇청소기가 전진 또는 후진을 하기가 어렵다. 특히 브러시유닛을 일 방향(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는 브러시유닛의 전진 방향 회전으로 로봇청소기의 전진 주행은 보다 용이해지나 후진 주행은 더 어려워진다. 이는 로봇청소기의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해 구동 바퀴는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바꾸지만 브러시 유닛은 일정하게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봇청소기가 후진을 하는 데에는 훨씬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심한 경우 로봇청소기가 후진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drive wheels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body on the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can move forward, backward, or rotate the cleaning area. The robot cleaner easily moves forward or backward on the floor where the robot cleaner runs, such as floor or floor tile. However, on the floor such as a carpet, the driving resistance is large due to a lot of hair of the carpe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robot cleaner to move forward or backward. Particularly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by rotating the brush unit in one direction (forward directi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becomes easier due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brush unit, but the backward travel becomes more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 driving wheel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for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but the brush uni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constantly. Therefore, much more force is required for the robot cleaner to move backward, and in a severe case, the robot cleaner may not be able to move backward.

본 발명은 카펫과 같이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에서도 로봇청소기의 전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성능을 개선한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obot cleaner that improves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robot cleaner, such that the robot cleaner can smoothly run forward and backward on a floor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such as a carpe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본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 회전하면서 바닥 면의 먼지를 쓸어 주는 브러시유닛; 본체의 후진 시,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rive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A brush unit for sweeping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when the main body is retrac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브러시유닛을 정역 회전시키는 브러시모터와, 구동 바퀴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역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rush motor for rotating the brush unit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wheel and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

또한, 제어부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 변경에 따라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본체의 전후 주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ront-rear running of the main body by chang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또한, 제어부는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상대적으로 브러시모터를 빠르게 회전시키고,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브러시모터의 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rush motor to relatively rapidly rotate at an early stage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starts to change, and to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motor relatively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본체;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 회전하면서 바닥 면의 먼지를 쓸어 주는 브러시유닛; 본체의 후진 시, 바닥 면의 상태에 따라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Furthe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rive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A brush unit for sweeping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surface when the main body is moved backwar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바닥 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노면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바닥 면의 상태가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이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ad surface sensor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and if the state of the floor surface is a road surface with a large running resistance, the brush unit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구동 바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동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 바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e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wheels,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e wheels if motion of the drive wheels is not detect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는 구동 바퀴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부하가 기준값 이상이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wheel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load sensor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So a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은, 로봇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봇청소기를 전후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iving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for moving a robot cleaner; Determining a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n accordance with a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ing wheel and the brush unit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so that the robot cleaner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구동 바퀴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로봇청소기의 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advances smoothly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구동 바퀴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로봇청소기의 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is smooth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the backwar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은, 바닥 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바닥 면의 상태가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이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sensing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and determin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performed when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is a road surface with a large running resistance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so that the brush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은, 구동 바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구동 바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performed when the motion of the driving wheels is not detect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so a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은, 구동 바퀴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부하가 기준값 이상이면 브러시유닛이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driving wheels,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determined when the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so as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은,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상대적으로 브러시유닛을 빠르게 회전시키고,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브러시유닛의 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starts to change relatively early, the brush unit is relatively rotated, And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unit to be reduced.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로봇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과 회전하면서 바닥 면의 먼지를 쓸어 주는 브러시유닛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펫과 같이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에서도 로봇청소기의 전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unit for sweeping the dust on the bottom surface while rotating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The run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running smooth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러시유닛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ush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1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20)와,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바닥의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켜 청소하는 브러시장치(30,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driving device (not shown)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move the robot cleaner 10 20 for cleaning the robot cleaner 1, and brush devices 30, 40 for sweeping or scattering the dust on the floor running by the robot cleaner 1.

또한, 본체(10)에는 구동장치(20) 및 브러시장치(30, 40)와 더불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접촉센서와 근접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11)는 벽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본체(10)의 바닥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또는 초음파센서)는 계단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디스플레이장치(1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로봇청소기(1)의 상태 또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알려 주 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driving device 20 and the brush devices 30 and 40,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For example, the bumper 11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can be used to detect an obstacle such as a wall, and an infrared sensor (or an ultrasonic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can detect obstacles .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12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tus or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구동장치(20)는 본체(10)의 중앙부 양측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1)의 이동을 조절하는 한 쌍의 구동 바퀴(21, 22)와,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1)가 이동하는 바닥 면의 상태에 따라 회전하는 각도가 변화하는 캐스터 바퀴(23)로 구성된다. 캐스터 바퀴(23)는 로봇청소기(1)의 자세 안정 및 추락 방지 등에 활용되어 로봇청소기(1)를 지지하며, 롤러나 캐스터 형상의 바퀴로 구성된다.The driving device 20 includes a pair of driving wheels 21 and 2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And a caster wheel 23 whose angle of rot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wheel 1 moves. The caster wheel 23 supports the robot cleaner 1 by being used for stabilizing the posture of the robot cleaner 1 and preventing falling, and is constituted by a roller or a caster-shaped wheel.

양 구동 바퀴(21, 22)는 후술하는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로봇청소기(1)가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양 구동 바퀴(21, 22)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봇청소기(1)가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하도록 한다. 또한 좌측 구동 바퀴(21)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안 우측 구동 바퀴(22)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봇청소기(1)가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양 구동 바퀴(21, 22)를 이와 반대로 회전시켜 로봇청소기(1)가 전방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The two driving wheels 21 and 22 rotate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be moved forward, backward, or rotated. For example, both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rota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so that the robot cleaner 1 travels forward or backward. The robot cleaner 1 is rotated in the lef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direction by rotating the right driving wheel 22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left driving wheel 21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robot cleaner 1 rotate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브러시장치(30, 40)는 먼지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4)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는 메인 브러시장치(30)과, 본체(10)의 전방 양측면 하부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바닥의 먼지를 흡입구(14) 측으로 쓸어 주는 사이드 브러시장치(40)로 구성된다.The brush devices 30 and 40 include a main brush device 30 provid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improve the suction efficiency of dust and to sweep or scatter dust on the floor, And a side brush device 40 installed below the both front side surfaces of the robot cleaner 1 for sweeping the dust on the floor running by the robot cleaner 1 toward the suction port 14. [

메인 브러시장치(30)는 흡입구(14)에 대응하는 길이로 흡입구(14)에 인접하 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에 부착된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도록 바닥에 대해 롤러식으로 회전하는 드럼 형상의 브러시유닛(31)과, 브러시유닛(31)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모터(32)를 포함한다.The main brush device 30 has a drum shape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4 at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14 and rotates in a roller manner relative to the floor so as to sweep or scatter dust adhering to the floor And a brush motor 32 for rotating the brush unit 31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또한, 브러시유닛(31)은 롤러(33)와 브러시(34)를 포함한다. 롤러(33)는 강체로 형성되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브러시모터(32)에 의해서 구동된다. 롤러(33)의 양측 단부에는 앤드캡(33a)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브러시모터(3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브러시(34)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롤러(33)에 심어져 있는 구조로,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동안 브러시(34)는 롤러(33)와 함께 구동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또는 이물질을 휘젓게 된다.In addition, the brush unit 31 includes a roller 33 and a brush 34. The roller 33 is formed of a rigid body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is driven by a brush motor 32. An end cap 33a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33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moving to the brush motor 32. [ The brush 34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mounted on the roller 33. The brush 34 is moved along with the roller 33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running to remove dust or foreign matter Churned.

또한 브러시유닛(31)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플랩(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랩(35)은 롤러(33)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설치된다. 복수 개의 플랩(35)은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감길 수 있는 직경을 크게 하고, 이물질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즉 이물질이 롤러(33)에 직접 감기지 않고 복수 개의 플랩(35)에 감기게 되어 이물질의 접촉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The brush unit 31 may further include a flap 35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plurality of flaps 35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er 33, bu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 plurality of flaps 35 enlarge the diameter by which the foreign material such as hair can be wound, and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with foreign matter. That is, the foreign matter is wound on the plurality of flaps 35 without being wound directly on the roller 33, so that the contact friction of the foreign matter is minimized, and the energy required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an be reduced.

사이드 브러시장치(40)는 본체(10)의 전면부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바닥에 부착된 먼지를 흡입구(14)측으로 쓸어 주도록 바닥에 대해 수평면으로 회전하는 사이드 브러시(41)를 양측에 포함한다.The side brush device 4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t regular intervals and is rotated in a horizontal plane with respect to the floor so as to sweep the dust adhering to the bottom running on the robot cleaner 1 toward the suction port 14 Side brushes 41 are provided on both sides.

또한,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1)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빨아들여 저장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있다.Further, the robot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ucking and storing foreign matter such as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제어 블록도로서, 로봇청소기(1) 및 주행 바닥 면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센서부(100)의 감지 정보에 따라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연동하여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제어부(110)의 구동 명령에 따라 구동 바퀴(21, 22)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20)를 포함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sensor unit 100 for sens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robot cleaner 1,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brush unit 31 in cooperation with the rotation direction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a drive motor 120 for driving the drive wheels 21 and 2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센서부(100)는 구동 바퀴(21, 22)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동센서(102)와,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바닥 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노면센서(104)와, 구동 모터(120)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센서(106)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driving sensor 102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 road surface sensor 104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 120)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vehicle.

구동센서(102)는 각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전달되는 토크 등의 구동 바퀴(21, 22)의 구동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The driving sensor 102 sense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such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transmitted torqu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10.

노면센서(104)는 로봇청소기(1)가 주행하는 바닥 면이 마루 바닥이나 장판 타일 등과 같이 딱딱한 노면인지 아니면 카펫 등이 설치되어 푹신하고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The road surface sensor 104 senses whether the floor on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s a rigid road surface such as a floor or a long tile or a carpet or the like to detect whether the road surface is fluffy and has a large road resistance, do.

부하센서(106)는 구동 모터(120)에 걸리는 부하(토크나 전류 값)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The load sensor 106 senses a load (torque or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driving motor 120 and transmits the sensed load to the control unit 11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봇청소기 및 그 주행 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동 작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전진 주행 시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후진 주행 시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raveling mo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and a brush unit during for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and a brush unit when the robot cleaner is moving back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로봇청소기(1)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10)는 청소 시작인가를 판단하여(200), 청소 시작이면 구동 바퀴(21, 22)에 각각 설치된 구동 모터(120)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구동 바퀴(21, 22)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로봇청소기(1)가 전진 또는 후진하거나 회전하면서 바닥 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202).6, when the robot cleaner 1 is operated,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operation is started (Step 200). If the cleaning operation is started,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driving motors 120 installed o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So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move forward, backward, or rotate while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rotated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로봇청소기(1)의 주행 시, 제어부(110)는 브러시유닛(31)을 회전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브러시유닛(31)의 회전에 따라 로봇청소기(1)의 전후 주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을 구동센서(102)에서 검출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204).When the robot cleaner 1 is running, the controller 110 rotates the brush unit 31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robot cleaner 1 is smooth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rush unit 31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is detected by the driving sensor 102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204).

따라서, 제어부(110)는 구동센서(102)에 의해 검출된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전진 또는 후진 방향)에 따라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을 결정한다(206).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detected by the driving sensor 102 (206).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1)의 전진 주행을 위해 구동 바퀴(21, 22)가 전진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러시유닛(31)도 로봇청소기(1)의 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즉, 전진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로봇청소기(1)의 후진 주행을 위해 구동 바 퀴(21, 22)가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러시유닛(31)도 로봇청소기(1)의 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즉, 후진하는 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여 브러시모터(32)에 구동 명령을 전달한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advanced in the forward direction (forward direction) for for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1, the brush unit 31 is also moved forward so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be smoothly moved forwar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is determined so as to rotate in the advancing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nd whe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rotated in the backward direction for the back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1, The unit 31 also determin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so as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ckward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can be performed smoothly, that is, in the backward direction (reverse direction) .

따라서, 구동 바퀴(21, 22)가 로봇청소기(1)를 전진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모터(32) 또한 제어부(110)의 구동 명령을 전달받아 구동 바퀴(21, 22)와 동일하게 전진하는 방향(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 바퀴(21, 22)가 로봇청소기(1)를 후진하는 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모터(32) 또한 제어부(110)의 구동 명령을 전달받아 구동 바퀴(21, 22)와 동일하게 후진하는 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닥 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 동작을 수행한다(208).7, whe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rotated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 brush motor 32 also receives the drive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Whe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r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wheels 21 and 22 and ar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revers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 brush motor 32 receives the driving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to reverse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of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surface (208).

이와 같이, 로봇청소기(1)의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을 위해 구동 바퀴(21, 22)가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바꿀 때에, 브러시유닛(31) 또한 제어부(110)의 구동 명령을 전달받아 실질적으로 동시에 회전 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바꿔 줌으로써 로봇청소기(1)의 전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카펫과 같이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에서 주행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change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brush unit 31 also receives the drive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The robot cleaner 1 can be smooth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simultaneously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1 to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unning performance on a floor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such as a carpet.

이후, 제어부(110)는 청소 완료인가를 판단하여(210), 청소 완료가 아니면 단계 204로 피드백하여 이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operation has been completed (210). If the cleaning operation is not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feeds back the operation to step 204 and repeats the subsequent operations.

단계 210의 판단 결과, 청소 완료이면 제어부(110)는 구동 모터(120)와 브러 시모터(32)의 구동을 정지시켜 청소 동작을 정지한다(212).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0 that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stops driving the driving motor 120 and brush holder 32 to stop the cleaning operation (step 212).

도 6은 제어부(110)에서 구동 모터(120)와 브러시모터(32)에 동시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과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바꿔 주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제어부(110)에서 구동 모터(120)에만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을 바꿔 줌으로써 구동 바퀴(21, 22)와 브러시유닛(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는 마루 바닥이나 장판 타일과 같이 딱딱한 바닥 면은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카펫과 같이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에서만 구동 바퀴(21, 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을 바꿔 주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은 센서부(10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바꿀 수 있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110 simultaneously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driving motor 120 and the brush motor 32 so as to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change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brush unit 31 are rotat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by transmitting a driving command only to the driving motor 120 in the control unit 11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ll be described. This is because the hard floor surface such as the floor or the long tile does not greatly affect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31. Therefore, only the bottom surfac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such as a carpet, A case in whic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or 31 is changed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can be changed using the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00.

그 일 예로, 구동센서(102)를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로봇청소기(1)가 후진하게 되어 구동 바퀴(21, 22)와 브러시유닛(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행하다가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이나 장애물을 만나게 되면, 주행 저항으로 인해 구동 바퀴(21, 22)가 제어부(110)의 구동 명령이 있더라도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센서(102)는 구동 바퀴(21, 2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를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브러시모터(32)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브러시유닛(31)이 구동 모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As an example, a case of using the drive sensor 102 will be described.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backward and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brush unit 31 rotate while runn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floor surface or the obstacl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is encountered, 21, and 22 may not be able to rotate even if there is a drive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In this case, the driving sensor 102 senses the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10 of the movemen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brush motor 32 to control the brush unit 31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motor 120.

다른 예로, 노면센서(104)를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로봇청소기(1)가 후 진하게 되어 구동 바퀴(21, 22)와 브러시유닛(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행하다가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을 만나게 되면, 노면센서(104)는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의 바닥 상태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브러시모터(32)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브러시유닛(31)이 구동 모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As another example, a case in which the road surface sensor 104 is us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robot cleaner 1 is backed up and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brush unit 31 travel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floor surfac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is encountered, And detects the floor condition of the large road surface,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ler 1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brush motor 32 to control the brush unit 31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motor 120.

또 다른 예로, 부하센서(106)를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로봇청소기(1)가 후진하게 되어 구동 바퀴(21, 22)와 브러시유닛(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행하다가 주행 저항이 큰 바닥 면을 만나게 되면, 구동 모터(120)에는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게 되고, 그 부하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 되면 부하센서(106)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브러시모터(32)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브러시유닛(31)이 구동 모터(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As another example, a case of using the load sensor 106 will be described. When the robot cleaner 1 is moved backward and the driving wheels 21 and 22 and the brush unit 31 travel while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floor surfac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is encountered, When the load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load sensor 106 senses the load and transmits the detected load to the controller 1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brush motor 32 to control the brush unit 31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motor 120.

또한, 제어부(110)는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브러시모터(32)에 상대적으로 큰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고, 브러시유닛(31)의 회전 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브러시모터(32)에 상대적으로 작은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여 로봇청소기(1)의 후진 시, 초기에는 주행 저항력을 이겨내기 위해 브러시모터(32)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고, 이후 후진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 주행 저항력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브러시모터(32)의 회전 속도를 줄여 줌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소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10 causes a relatively large torque to be transmitted to the brush motor 32 at an initial stage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starts to be changed and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unit 31 is changed A relatively small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brush motor 32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motor 32 is increased in order to overcome the resistance of the robot dur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Since the driving resistance is not greatly genera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rush motor 32 is reduced,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noise re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상부 사시도이다.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하부 사시도이다.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저면도이다.3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브러시유닛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제어 블록도이다.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전진 주행 시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and a brush unit during for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로봇청소기의 후진 주행 시 구동 바퀴와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and a brush unit during back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로봇청소기 10 : 본체1: robot cleaner 10: main body

20 : 구동장치 21,22 : 구동 바퀴20: drive device 21, 22: drive wheel

30 : 메인 브러시장치 31: 브러시유닛30: Main brush device 31: Brush unit

32 : 브러시모터 100 : 센서부32: brush motor 100: sensor part

102 : 구동센서 104 : 노면센서102: drive sensor 104: road surface sensor

106 : 부하센서 110 : 제어부106: load sensor 110:

112 : 구동 모터112: drive motor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A driving wheel for moving the main body; 회전하면서 바닥 면의 먼지를 쓸어 주는 브러시유닛;A brush unit for sweeping dust on the floor while rotating; 상기 바닥 면의 상태를 감지하는 노면센서;A road surface sensor for sensing a state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본체의 후진 시, 상기 바닥 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according to a state of the bottom surface when the main body is retra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 면의 상태가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이면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로봇청소기.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if the bottom surface state is a road surfac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구동 바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동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drive sensor for sensing movement of the drive whee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바퀴로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 바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브러시유닛으로 상기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로봇청소기.The controller transmits a driving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otating direction to the driving wheel and transmits a driving command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ng direction to the brush unit when the motion of the driving wheel is not detected,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구동 바퀴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wheels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load sensor for detecting a load applied to the drive mo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로봇청소기.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brush unit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when the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로봇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고;Detecting a rotating direction of a driving wheel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바닥 면의 상태를 감지하고;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Determin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상기 결정된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 바퀴와 상기 브러시유닛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로봇청소기를 전후 주행시키고, Rotating the driving wheel and the brush unit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바닥 면의 상태가 주행 저항이 큰 노면이면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And changing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so that the brush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if the state of the bottom surface is a road surface having a large running resistanc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구동 바퀴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상기 로봇청소기의 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Wherein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or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is smoothly performe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구동 바퀴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상기 로봇청소기의 후진 주행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And when the driving wheel rotates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ward travel of the robot cleaner is smoothly performed.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동 바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A controlle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driving wheels, 상기 로봇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이전에, 상기 구동 바퀴로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drive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to the drive wheels before detect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wheels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구동 바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브러시유닛으로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브러시 유닛의 회전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Wherei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driving command to the brush unit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s that of the driving wheel so that the rotation of the brush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is changed.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구동 바퀴에 걸리는 부하를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sensing a load on the drive wheels,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Determin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ush unit, 상기 부하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브러시유닛이 상기 구동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And chang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brush unit so that the brush un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if the lo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상대적으로 상기 브러시유닛을 빠르게 회전시키고,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청소기의 주행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he brush unit to relatively rotate at an early stage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unit starts to be changed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rush unit relatively decreases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rush unit is changed Wherein the robot cleaner is a traveling robot.
KR1020090079131A 2009-06-12 2009-08-26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KR101397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4200.7A EP2260750A3 (en) 2009-06-12 2010-05-28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veling thereof
CN201010202445.XA CN101923350B (en) 2009-06-12 2010-06-09 The method of the movement of robot cleaner and this robot cleaner of control
US12/813,871 US20100313910A1 (en) 2009-06-12 2010-06-11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ve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652909P 2009-06-12 2009-06-12
US61/186,529 2009-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70A KR20100133870A (en) 2010-12-22
KR101397103B1 true KR101397103B1 (en) 2014-05-20

Family

ID=4350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131A KR101397103B1 (en) 2009-06-12 2009-08-26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1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6971B2 (en) 2011-10-21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15953B1 (en) * 2015-09-17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79760B1 (en) 2016-07-14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KR20220103225A (en) 2021-01-14 2022-07-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cleaner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fl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728B1 (en) * 1992-05-18 1994-08-24 주식회사 금성사 Brush roll driver of vacuum cleaner
JP2000235416A (en) * 1999-02-17 2000-08-29 Sharp Corp Autonomously traveling robot
US20070016328A1 (en) * 2005-02-18 2007-01-18 Andrew Ziegler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and dry cleaning
KR20070105124A (en)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728B1 (en) * 1992-05-18 1994-08-24 주식회사 금성사 Brush roll driver of vacuum cleaner
JP2000235416A (en) * 1999-02-17 2000-08-29 Sharp Corp Autonomously traveling robot
US20070016328A1 (en) * 2005-02-18 2007-01-18 Andrew Ziegler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and dry cleaning
KR20070105124A (en) * 2006-04-25 2007-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atic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70A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0750A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veling thereof
KR101412143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US9854956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61787B1 (en) Autonomous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22970B1 (en) Robotic cleaning device
US9326654B2 (en) Roller brush for surface cleaning robots
EP2263510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its travel control
JP5891736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TWI623295B (en) Self-disciplined walker
JP2004166968A (en) Self-propelled cleaning robot
CN110507238B (en) Autonomous walking type dust collector
KR101397103B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vel the same
JP2020511193A (en) Estimating the wheel slip of a robot cleaning device
CN109965786A (en) A kind of clean robot and its barrier-avoiding method
JPH07322977A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2007185228A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JP2018047051A (en) Vacuum cleaner
JP6685740B2 (en) Vacuum cleaner
JP2004049592A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130050482A (en) Robot cleaner
JP3036863B2 (en) Traveling robot
KR20230002219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JP2019111008A (en) Self-travelling cleaning machine
JP2004021775A (e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