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482B1 -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 Google Patents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482B1
KR101298482B1 KR1020100035757A KR20100035757A KR101298482B1 KR 101298482 B1 KR101298482 B1 KR 101298482B1 KR 1020100035757 A KR1020100035757 A KR 1020100035757A KR 20100035757 A KR20100035757 A KR 20100035757A KR 101298482 B1 KR101298482 B1 KR 10129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video
unit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6380A (en
Inventor
오훈
하창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482B1/en
Publication of KR2011011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은, 통신망과 접속하는 외부접속부; 건물 내 이용자를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부; 및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통화부;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user in a building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moving unit that enables position movement; And a video call unit that enables a video call; .

Description

상황 인지 기반의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본 발명은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요양병원 요양환자들에게 환자 맞춤형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lligent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that provides a personalized call service to the nursing care patients in elderly nursing hospitals.

생활수준의 향상, 의학의 발달, 환경 개선, 영양 개선 등으로 노인의 건강 상태가 증진되면서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1991년 71.7세에서 2002년 77세로 개선되었고,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로 2000년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2%에 이르러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는 상태이며, 향후 2018년에는 14.4%로 크게 증가하고, 2026년에는 20.8%로 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As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mproved due to improved living standards, medical develop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nutritio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 improved from 71.7 years in 1991 to 77 years in 2002, and 65 years in 2000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s the elderly population reached 7.2%, Korea is already entering an aging society, and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increase to 14.4% in 2018, and enter an aging society at 20.8% in 2026.

이와 같은 고령화 사회에 노인 요양시설 등에서 요양을 받는 노인환자가 많이 늘어나고 있지만, 가족과 지인들로부터 격리되어 생활하는 노인 환자들은 정서적 안정감이 저하되어 오히려 지병이 악화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다발하고 있다. 가족 혹은 지인들과의 교류는 주로 병문안이나 전화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지만,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 때문에 병원을 찾는 것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노인 환자들이 사회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현 실정이다. In this aging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receive nursing care in elderly nursing homes is increasing, but the elderly patients who live in isolation from their families and acquaintances often suffer from the worsening of emotional stability and worsening of the disease. . Interaction with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is mainly done through visits or by telephone,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hospital because of the busy life of modern people, and it is difficult for elderly patients to maintain social relations continuously.

조사에 따르면, 노인요양병원(경남 진주 엠마우스 요양병원) 환자의 경우 300명의 요양환자 가운데 약 10% 정도가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노인환자들은 필요한 경우 병원 내부의 공중전화 혹은 안내데스크의 전화를 빌려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10% of the 300 nursing care patients with geriatric nursing homes (Jinnam Emmanuel Nursing Homes) have cell phones. It was found to borrow a desk phone.

휴대폰을 사용하여 가족이나 지인과 통화를 하는 경우, 휴대전화 요금이 비싸고, 대화주제가 부족하기 때문에 매우 일상적이고 단편적인 대화로 인해 대화의 질이 낮으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통화를 주저하게 되고 회수 및 통화 시간이 더욱 줄어들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When talking to a family member or acquaintance using a mobile phone, the cost of the phone is high and the quality of the conversation is low due to the lack of conversation topics. It is common for people to hesitate and to further reduce recall and talk time.

또한 공중전화를 사용하는 경우에 노인 환자의 이동불편으로 인해 전화를 사용하기 어려우며, 안내 데스크의 전화의 경우 업무 전화이기 때문에 사적인 대화를 나누기 어렵고, 편안하지 못한 통신 환경으로 인하여 용건만 간단히 말하고 전화를 종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In addition, when using a public telephone, it is difficult to use the telephone due to the mobility of the elderly patient, and it is difficult to have a private conversation because the telephone of the information desk is a work telephone. Most of the cases were found to be terminated.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 가족과 지인들의 생활모습을 보는 것으로 많은 정서적 위안을 갖게 되는데 음성 통화로는 이러한 정서적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In particular, the elderly patients have a lot of emotional comfort by looking at the life of family and acquaintances, and it is not easy to satisfy such emotional satisfaction with voice call.

따라서,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요양병원 요양환자들에게 환자 맞춤형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t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that provides a personalized call service to a nursing home patient who is inconvenient to move.

또한, 이용자, 특히 노인 요양 병원의 노인과 같이 아들이나 손자, 손녀와 공유할 수 있는 대화의 주제가 없어서 전화를 꺼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치료 동영상이나 환자의 기본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video call that can share a treatment video or bas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to prevent the user from reluctant to call because there is no topic of conversation that can be shared with his son, grandson or granddaughter, such as the elderly in elderly care hospitals.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ce robot.

또한, 외부인의 전화에 받아, 환자의 상황에 맞게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하거나 전화 통화 가능 시간대를 알려 주거나, 전화 통화가 가능한 경우 해당 환자로 이동하여 전화 연결을 시켜주는 것이 가능한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robot that can receive a call from an outsider, inform the user of the phone call or notify the time available for the call, or move to the patient and make a phone call if the call is availabl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통신망과 접속하는 외부접속부; 건물 내 이용자를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부; 및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통화부;를 포함한다.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xternal connection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user in a building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moving unit that enables position movement; And a video call unit that enables a video call.

또한,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the building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an object in the building and RFID tags attached to the user. can do.

또한,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erver configured to stor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in a building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an object in the building and RFID tags attached to the user; By communicating, it is possible to retrie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또한,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전화 통화 불가 지역에 있을 때에는,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user cannot make a phone call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the user cannot perform a phone call.

또한, 전화 통화 불가 안내와 함께 전화 통화 가능 시간을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hone call can be guided along with a non-phone call guidance.

또한,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한 경우,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이후 위치가 전화 통화 가능 지역으로 들어오는 때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이동하여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telephone call can not be guided, when the user's subsequent location enters the telephone call available area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missed call.

또한,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것도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notify the missed call by outputting a voice signal through a speaker.

또한, 상기 화상통화부는,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ideo call unit preferably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for enabling a video cal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s preferably a touch screen display.

또한, 상기 이용자가 전화를 걸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터치하여 상기 사진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makes a phone call, it is possible to call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by touching a previously stored picture, or to make a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번호 상대방의 사진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may be stored together with a picture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counterpart.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저장된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 동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eatment video storage configured to share a previously stored treatment video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의 치료 동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a treatment video of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may be received and the treatment video may be shared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용자 기본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basic information storage unit configured to share bas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level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have.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the user'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body temperature, or oxygen saturation is received from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and the user's basic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can do.

또한, 상기 이동수단부는, 장애물 탐지를 위한 장애물 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또한, 상기 장애물 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bstacle detector may detect the obstacle using ultrasonic waves.

또한, 상기 이동수단부는, 상기 로봇 하단에 설치된 2개의 휠과,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oving means is preferably composed of two wheel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robot,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wheel.

또한, 상기 2개의 휠의 구동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driving speed of the two wheels,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robot.

또한, 상기 로봇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obot.

또한, 상기 로봇에게 주어진 임무가 없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소로 이동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task given to the robot,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charging by moving to a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또한, 상기 이용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for register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

또한,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해당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부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call comes from a telephone number existing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the user moves through the mobile unit so that the user can answer the telephone.

또한, 화상통화의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of the video call.

또한,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전화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 call comes from a phone numb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phone number matching tabl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a user who wants to make a phone call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복수의 이용자에 해당하는,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가운데 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when a telephone call comes from the telephone number which exists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the user who wants to talk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상기 화상통화부를 통해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전화요금을 과금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through the video call unit,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telephone fee to the user.

또한, 상기 화상통화부는, 상기 이용자의 명령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따라, 화면 구성요소의 위치나 화면 구성요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cal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switching unit that enabl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creen element or the size of the screen element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or the touch on the display unit.

또한, 외부접속부는 이용자의 주변에 설치된 로봇 호출 수단에 의한 로봇 호출 신호를 수신하며, 이동수단부는 로봇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로봇 호출 신호를 송신한 로봇 호출 수단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receives the robot call signal by the robot call mean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the moving unit may move to the place where the robot call means transmitting the robot call signal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노인요양병원 요양환자들에게 환자 맞춤형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lligent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that provides a personalized call service to the elderly care hospital care patients with inconvenient behavior.

또한, 이용자, 특히 노인 요양 병원의 노인과 같이 아들이나 손자, 손녀와 공유할 수 있는 대화의 주제가 없어서 전화를 꺼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치료 동영상이나 환자의 기본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video call that can share a treatment video or bas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to prevent the user from reluctant to call because there is no topic of conversation that can be shared with his son, grandson or granddaughter, such as the elderly in elderly care hospitals. A service robot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족 또는 지인과 같이 치료 동영상 또는 환자의 기본정보를 보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가족간의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서 노인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나아가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가족들이 치료의 진행 상황이나 호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서, 병원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켜, 병원 입장에서는 이미지 제고, 추가적인 의료비 책정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By doing so, you can talk on the phone while watching the treatment video or the patient's basic information with your family or acquaintances, thereby reducing emotional distance between family members, giving them emotional stability and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It is possible. Furthermore, the family can understand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reby increasing the credibility of the hospital, thereby enhancing the image for the hospital and ensuring the justification for additional medical expenses.

또한, 외부인의 전화에 받아, 환자의 상황에 맞게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하거나 전화 통화 가능 시간대를 알려 주거나, 전화 통화가 가능한 경우 해당 환자로 이동하여 전화 연결을 시켜주는 것이 가능한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robot that can receive a call from an outsider, inform the user of the phone call or notify the time available for the call, or move to the patient and make a phone call if the call is available. It is possibl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터치하여, 그 사진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의 주화면에 이용자의 기본정보가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case of making a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previously stored picture is touched to make a call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basic information of a user is displayed on a main screen of a display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mmon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will be required to proper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10)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10)은 외부접속부(100)와,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와, 이동수단부(300)와, 화상통화부(400)로 이루어진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10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unit 100, a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00, a moving unit unit 300, and a video call unit 400.

여기서, 로봇이라는 것은 이용자에게 화상통화 등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의 기계 장치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용자는 바람직하게는 병원, 의료원, 요양원 등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Here, the robot may be any type of mechanical device that provides a user with various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video call.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tended for patients such as hospitals, medical centers and nursing homes.

외부접속부(100)는,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과 접속하여 외부와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을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현재 3세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거나, 앞으로 4세대 표준이 될 수 있는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 또는 LTE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unit 1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with an externa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data, images, and the like with the outside. You can connect to your current 3G mobile network, or to your mobile WiMAX or LTE network, which will become the 4G standard in the future.

외부접속부(100)는 이용자의 주변에 설치된 로봇 호출 수단에 의한 로봇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로봇 호출 수단은 병실, 휴게실과 같이 건물 내의 특징적인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가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벨일 수 있다. 즉, 이용자가 자신의 병실에서 로봇 호출 수단인 벨을 누르면, 외부접속부(100)를 통해 로봇(10)이 로봇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The external connection unit 100 may receive a robot call signal by a robot call means installed near the user. The robot call means may be installed in a characteristic place in a building, such as a hospital room or a resting room, and preferably a bell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bell which is the robot call means in his / her room, the robot 10 receives the robot call signal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100.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는, 건물 내 이용자를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병원 외부인이 병원 내 환자와 통화하려고 하는 경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는 병원 내 이용자를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물론, 병원, 의료원, 요양원 이외의 일반 건물이나 빌딩의 회사 조직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이용자는 환자가 아니라 해당 회사의 임직원일 수 있다.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searches for a user in a building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 outside the hospital tries to talk to the patient in the hospital,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searches for the user in the hospital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in the company organization of a general building or building other than a hospital, medical center, nursing home, in which case, the user may be an employee of the company, not the patient.

또한,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부(미도시)를 로봇(10)에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00 stores in-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an object in the building and RFID tags attached to the user.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robot 10.

또한,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00 stores in-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an object in the building and RFID tags attached to the user. In communication with a storage server (not shown), it is possible to retrie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이 경우, 로봇(10)은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 서버에 특정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 서버는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한 다음,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로봇(10)에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수신은 건물 내 사설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obot 1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erver in the building,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erver in the building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bot 10. Su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lso possible using a private network in the building.

상기에서는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에서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검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초음파 센서가 건물에 설치되고, 이용자의 의복에 초음파 수신기가 설치되어,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이용자의 의복에 설치된 초음파 수신기가 수신함에 따라,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200 searches for a location of a user using an RFID system. However, thi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using ultrasonic wave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an ultrasonic receiver is installed in the user's clothing, and the ultrasonic receiver installed in the user's clothing receives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from the ultrasonic generato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 can be grasped.

통상 외부인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의 검색결과를 통해, 해당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전화 통화 불가 지역에 있을 때에는, 이미 저장되어 있능 음성으로 전화 통화 불가 안내 멘트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 통화 불가 지역이라는 것은,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한 결과, 화장실에 있거나 재활센터에 있거나 주치의와 상담 중에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an outsider,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whe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in an area where a phone call cannot be made, a voice memorandum for a phone call is not already stored. Can be. Here, the area where the phone call is impossible may mean a case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the bathroom, in the rehabilitation center, or in consultation with the attending physician.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의 검색 결과, 전화 통화 불가 지역에 있다는 것을 알 수도 있지만, 미리 해당 이용자의 스케줄을 저장하여 전화 통화 불가 시간대를 설정하여, 해당 전화 통화 불가 시간대에 전화가 오는 경우, 적절한 안내 멘트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 result of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it may be known that the user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phone call is impossible. However, if the user comes to the phone call dead zone by storing the schedule of the user in advance and setting the time zone for the non-telephone call, Appropriate announcements are also possible.

또한, 전화 통화 불가 안내와 함께 해당 외부인에게 전화 통화 가능 시간을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미리 해당 이용자의 스케줄을 저장하여 전화 통화 가능 시간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hone call can be guided to the outsider together with the available phone call time.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et a time zone during which a telephone call is possible by storing the schedule of the user in advance.

또한,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한 경우,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의 검색결과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이후 위치가 전화 통화 가능 지역으로 들어오는 때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이동하여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200)는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트랙킹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부재중 전화를 알릴 때,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부재중 전화가 있음을 알릴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not allowed to talk on the phone, when the user's subsequent location enters a phone call available area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missed call. . In this case,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200 needs to track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Here, when the missed call is notified,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re is a missed call by voice using a speaker.

한편, 이동수단부(300)는, 로봇(10)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수단부(300)는, 로봇(10) 하단에 설치된 2개의 휠과,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와 휠 사이에 감속기 등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2개의 휠의 구동속도를 달리함으로써, 로봇(1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매카넘 휠 타입과 같은 형식으로 로봇(10)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oving unit 300 is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robot 10. In general, the moving unit 300 is preferably composed of two wheel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obot 10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wheels.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reducer between the drive motor and the wheel.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robot 10 can be switched by changing the driving speeds of the two wheels.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bot 10 in the same manner as the McCannum wheel type.

물론, 이동수단부(300)가 휠이 아니라 인간형 로봇인 경우, 예를 들어, KAIST에서 개발한 "휴보"나, 일본 혼다의 "아시모", 도요타의 "파트너"와 같이, 보행하는 타입의 이동수단부(300)를 가질 수 있다. Of course, if the vehicle 300 is a humanoid robot instead of a wheel, for example, a walking type of movement such as "Hubo" developed by KAIST, "Asimo" by Honda Japan, "Partner" by Toyota, etc. It may have a means 300.

또한, 상기 이동수단부는, 장애물 탐지를 위한 장애물 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애물 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탐지할 수 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통해서 실시간 장애물 탐지도 가능하다. The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this case, the obstacle detection unit may detect an obstacle using ultrasonic waves, and real-time obstacle dete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image processing technology.

외부접속부(100)를 통해 로봇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로봇(10)은 이동수단부(300)에 의해 로봇 호출 신호를 송신한 로봇 호출 수단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한다. 즉, 이용자가 로봇을 호출하면, 로봇(10)이 이용자가 있는 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로봇(10)은 위치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건물 내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로봇 호출 수단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robot call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100, the robot 10 moves to a place where the robot call means that transmits the robot call signal is installed by the moving unit 300. That is, when the user calls the robot, the robot 10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user is. In this case, the robot 10 may move to the place where the robot call means is installed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화상통화부(400)는, 건물 내 이용자의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화상통화부(400)는,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video call part 400 is a part which enables the video call of the user in a building. The video call unit 400 preferably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display unit for enabling a video call.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is preferably a touch screen display.

또한, 건물 내 이용자가 전화를 걸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터치하여 상기 사진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3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터치하여, 그 사진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user in the building makes a call, it is possible to call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by touching a previously stored picture or to make a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2 illustrates a case of making a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and FIG. 3 illustrates a case of making a call to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by touching a previously stored picture.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경우, 전화 통화 완료 후 또는 전화 통화 중이라도, 해당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번호 상대방의 사진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해당 전화번호 상대방의 사진은 화상 통화시 사진을 캡처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 경우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프로세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making a phone call by touching a number on the display unit, the phone number may be matched with the picture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counterpart and stored even after the phone call is completed or during a phone call. The picture of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can be captured by taking a picture during a video call.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the other party's fac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저장된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 동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의 명령은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eatment video storage configured to share a previously stored treatment video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In this case, the user's command is generally touch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도 2의 오른쪽 상단에는 이용자 본인의 사진을 보여주고, 오른쪽 중간에는 미리 저장된 치료 동영상을 나타내는 화면 부분을 두어,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 전체 화면으로 치료 동영상이 플레이되게도 할 수 있으며, 일부 작은 화면으로 치료 동영상이 플레이되게 할 수도 있다. 화상 통화시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미도시)에서 촬영된 이용자의 모습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 동영상이 상대방의 휴대 단말로 전송되게 된다. In the upper right of FIG. 2, a picture of the user himself is shown, and in the middle of the right side, a screen portion indicating a previously stored treatment video can be placed and shar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In this case, the treatment video may be played on the full screen of the display unit, or the treatment video may be played on some small screens. Instead of transmitting the user's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not shown) mounted on the robot during the video call, the treatment video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용자, 특히 노인 요양 병원의 노인과 같이 아들이나 손자, 손녀와 공유할 수 있는 대화의 주제가 없어서 전화를 꺼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족과 같이 치료 동영상을 보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가족간의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서 노인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나아가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가족들이 치료의 진행 상황이나 호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서, 병원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켜, 병원 입장에서는 이미지 제고, 추가적인 의료비 책정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a user, especially an elderly person in an elderly nursing hospital, does not have a subject of conversation that can be shared with a son, grandchild, or granddaughter, and thus becomes reluctant to call. You can make a phone call while watching a treatment video with your family. Through this, you can reduce the emotional distance between families and give the elderly an emotional stability and maximize the effect of treatment. Furthermore, the family can understand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reby increasing the credibility of the hospital, thereby enhancing the image for the hospital and ensuring the justification for additional medical expenses.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의 치료 동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치료 동영상을 로봇이 자체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저장 서버에 치료 동영상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을 받은 외부의 저장 서버는 해당 치료 동영상을 영상통화용 로봇(10)과 상대방 휴대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In addition,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a treatment video of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may be received and the treatment video may be shared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In this case, the robot does not store the treatment video by itself, but requests the external storage server to transmit the treatment video, and the external storage server that receives the request transmits the treatment video to the video call robot 10 and the counterpart. 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치료 동영상을 1개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복수 개의 치료 동영상이 존재하여 이 가운데 이용자가 선택하여 해당 치료 동영상을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assuming one treatment video, it is also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treatment videos exist and the user can select and play the treatment video among them.

여기서, 프로그램에 따라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한다는 것은, 노인 환자에 맞게 적절한 타이밍에 치료 동영상이 자동으로 화상 통화 상대방의 화면과 노인 환자가 바라보는 로봇의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플레이되어, 서로 대화의 주제를 이어가도록 하는 기능이다. Here, sharing the treatment video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program means that the treatment video is automatically played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of the video call counterpar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robot as viewed by the elderly patient at an appropriate timing for the elderly patient. It is a function to continue the theme of.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용자 기본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의 명령은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basic information storage unit configured to share bas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level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have. In this case, the user's command is generally touch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또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the user'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body temperature, or oxygen saturation is received from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and the user's basic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can do.

이 경우는, 이용자 기본정보를 로봇이 자체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저장 서버에 이용자 기본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을 받은 외부의 저장 서버는 해당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영상통화용 로봇(10)과 상대방 휴대단말로 전송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robot does not store the basic user information by itself, but requests the external storage server to transmit the basic user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storage server that receives the request transmit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video call robot ( 10) and the other party's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경우, 외부의 저장 서버는 실시간으로 해당 이용자(노인 환자)의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노인 환자에 부착된 맥박 센서, 체온 센서 또는 산소포화도 센서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아, 실시간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 네트워크 구성을 활용하여 이와 같은 것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storage server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pulse sensor, body temperature sensor or oxygen satu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elderly patient in order to obtain the pulse, body temperature or oxygen satu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elderly patient) in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update the real time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is by utilizing a sensor network configuration.

마찬가지로, 이용자, 특히 노인 요양 병원의 노인과 같이 아들이나 손자, 손녀와 공유할 수 있는 대화의 주제가 없어서 전화를 꺼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족과 같이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보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가족간의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서 노인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나아가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가족들이 치료의 진행 상황이나 호전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서, 병원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켜, 병원 입장에서는 이미지 제고, 추가적인 의료비 책정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Similarly, there is no subject of conversation that can be shared with a son, grandson or granddaughter, such as an elderly person in a nursing home, especially a nursing home. You can make a phone call while looking a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like a fami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ive emotional stability to the elderly by maximizing the emotional distance between families and further maximize the effect of treatment. Furthermore, the family can understand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reby increasing the credibility of the hospital, thereby enhancing the image for the hospital and ensuring the justification for additional medical expenses.

이용자는 로봇(10)을 이용하여 가족들과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고, 의사 및 간호사와의 전화 통화를 통한 상담도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 및 도 3의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담당의 혹은 주치의, 및 간호사와의 통화 연결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이 버튼을 눌렀을 경우, 로봇(10)은 외부접속부(100) 및 건물 내 사설 통신망을 통해 먼저 이용자가 상담을 원하는 의사 혹은 간호사의 통화 가능 상태를 파악하고, 통화가 가능할 경우 전화 통화를 연결하도록 한다.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with the family using the robot 10, and can consult with a doctor and a nurse through a phone call.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butto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of FIGS. 2 and 3 for a call connection with a doctor or a doctor and a nurse. In this case, when the user presses this button, the robot 10 first checks the available state of the doctor or nurse that the user wants to consult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100 and the privat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building, and when the call is possible, Try to connect the call.

도 4는 디스플레이부의 주화면에 이용자의 기본정보가 표시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basic information of a user is displayed on a main screen of a display unit.

또한, 상기 로봇(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에게 주어진 임무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화상통화의 수요가 없으며 배터리의 잔량이 적정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소로 이동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obot (10).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task given to the robot,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demand for a video call and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falls below an appropriate level, it is preferable to move to a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to perform charging.

한편, 로봇(10)은 이용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로봇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을 구비하고 해당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robot 10 may further include a phone number matching table for registering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in a database outside the robot and obtain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 database outside of the robot.

통상,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해당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로봇은 이동수단부(300)를 통해서 이동하게 된다. 로봇은 이동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도달하여, 해당 이용자가 해당 전화를 받을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으로 물어보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문자로 표시하여 물어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화를 받을 것인지 거부할 것인지, 이용자로부터 답변을 듣는 것도 음성인식을 통해서 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전화연결" 또는 "전화거부"를 터치함으로써 답변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general, when a call comes from a phone number existing in the phone number matching table, the robot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answer the call. The robot can move and reach the user, giving the user the opportunity to choose whether to accept or reject the call. It is possible to ask by voice or to display by text on the display. In addition, whether to answer or reject the call, or hear the answer from the user can also be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answer by touching "telephone connection" or "call rejec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여기서 말하는 음성인식을 위하여 로봇(10)은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bot 1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voice recognition.

이 경우,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전화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a call comes from a telephone numb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the user who wants to make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또한,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로봇(10)은 자신의 위치에 따라 가장 근접해 있는 간호사 혹은 간병인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걸려온 전화를 주변의 간호사 혹은 간병인과 연결해 주고, 통화를 한 간호사 혹은 간병인에게 건물 내 위치정보 예를 들면, 병원 내부 지도를 제공하여 통화를 연결할 환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all comes from a phone numb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phone number matching table, the robot 10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nearest nurse or caregiver is located according to its location, and connects the incoming call with the nurse or caregiver nearby. In addition, a nurse or caregiver who has made a call can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the building, for example, an internal map of a hospital, so as to select a patient to be connected to the call.

또한, 복수의 이용자에 해당하는,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가운데 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when a telephone call comes from the telephone number which exists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user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name of the user who wants to talk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일 예로, "홍길동"이라는 외부인으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에, 이 홍길동이라는 외부인과 대응되는 환자가 홍길동의 아버지와 어머니로 2명이 있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로봇은 홍길동의 아버지가 있는 병실 870호로 가야할 지, 홍길동의 어머니가 있는 병실 504호로 가야할 지 판단하여야 한다. 로봇은 홍길동에게 홍길동의 아버지(홍서범)을 찾는 것인지 홍길동의 어머니(조갑경)을 찾는 것인지 기계음 등으로 물어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홍길동이 홍서범을 찾는다라는 것을 음성신식부를 통해서 인식한 다음, 홍서범이 있는 870호로 이동하여 홍서범과 외부인인 홍길동을 전화연결시키게 된다. As an example, when a call comes from an outsider named "Hong Gil-Dong",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o patients who correspond to the outsider of Hong Gil-Dong as the father and mother of Hong Gil-Dong. In this case, the robot should decide whether to go to room 870, where Hong's father is, or go to room 504, where Hong's mother is. The robot can ask Hong Gil-dong whether he is looking for Hong-gil-dong's father (Hong Seo-bum) or Hong-gil-dong's mother (Jo Gap-kyung) with a mechanical sound. At this time, Hong Gil-dong recognizes that Hong Seo-bum is looking for Hong Seo-beom, and then moves to 870 where Hong Seo-bum is located.

또한, 로봇(10)에는 전화 통화 블랙 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전화 통화 블랙 리스트에는 광고성 전화, 수신자 전화와 같이 이용자에게 불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화 번호들을 리스트화한 것으로, 전화 통화 블랙 리스트 상에 있는 전화 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해당 전화를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10 may store a phone call black list. The phone call black list lists phone numbers that are expected to be unnecessary to the user, such as an advertisement phone and a recipient phone, and the call can be blocked when a call comes from a phone number on the phone call black list.

또한, 로봇(10)은 외부인으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에,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야 할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전화 통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들이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어머니는 통화가 가능한 상황이나, 어머니가 있는 병실 내의 다른 환자들이 수면중이라면, 로봇(10)은 이동수단부(300)를 통해 간호사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전화가 왔으니 해당 환자를 밖으로 데리고 나오도록 유도한 후, 아들의 전화를 어머니에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all comes from an outsider, the robot 1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onnect a phone call according to a situation of a user who should receive an incoming call. For example, when the son calls the mother, the mother can talk on the phone, or if other patients in the room where the mother is sleeping, the robot 10 has a nurse through the vehicle unit 300 After moving to another place, the phone is brought in so that the patient can be taken out, and the son's 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mother.

또 다른 상황으로, 아들이 어머니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어머니가 수면 중이라고 가정하면, 로봇(10)은 전화 연결을 하지 않고, 기계음으로 어머니가 수면 중임을 알리거나, 전화를 걸어온 해당 전화 번호로 문자를 보내 어머니가 수면 중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로봇(10)은 전화를 걸어온 전화 번호를 저장해 두었다가 해당 이용자 즉, 어머니가 잠에서 깨어나면 이용자에게 전화가 왔던 사실을 통지하고 전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In another situation, when the son calls the mother, assuming that the mother is sleeping, the robot 10 does not make a phone call, and the machine 10 notifies the mother that he is sleeping, or to the telephone number that called. You can send a text to let your mother know you are sleeping. At this time, the robot 10 may store the telephone number that has been dialed and then notify the user that the telephone has been called when the corresponding user, that is, the mother wakes up, and attempt to connect the telephone.

또한, 상기 화상통화부를 통해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전화요금을 과금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through the video call unit,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telephone fee to the user.

또한, 상기 화상통화부는, 상기 이용자의 명령(예, 음성 명령)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따라, 화면 구성요소의 위치나 화면 구성요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통화 중에 "보조화면"을 터치하면, "주화면"의 동영상 또는 환자 정보 화면은 종료되고 보조화면에 있는 통화대상자가 중앙 화면으로 확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화면전화부버튼의 예를 도시하였다. The video cal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switching unit that enabl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creen element or the size of the screen element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eg, a voice command) or a touch on the display unit. can do.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creen" is touched during the video call, the moving picture or the patient information screen of the "main screen" is terminated, and the call subject on the sub screen is moved to the center screen. 3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phone button.

여기서, 로봇이 하나인 경우를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병원에서는 각 층별로 2-3개의 로봇을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only one robot, the hospital may operate 2-3 robots for each floor.

본 발명과 같은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을 통해서, 전화를 원하는 이용자(노인환자)에게 찾아가는 기능,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 이용자를 자동으로 찾아가는 기능, 수신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을 때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응답하는 기능, 수인 이용자를 파악하여 해당 이용자(환자)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예를 들어, 말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글자로 의사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 전화를 끝내고 다음 통화 요청자가 없는 경우 혹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자동으로 충전소로 찾아가서 충전하는 기능, 환자의 대화상태에게 적합한 동영상을 찾아 보여주면서 대화를 돕는 기능, 환자의 기본정보(맥박, 혈압, 온도 등)를 획득하기 위한 노인환자에 적합한 USN 센서 통신모듈 기능, 통화자(이용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통신 사용료에 대한 자동 과금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환자가 퇴원하는 경우 같이 청구하는 기능, 화상통화 중에 의사의 의견을 들을 수 있도록 환자, 가족, 의사가 컨퍼런스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rough the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of visiting a user (elderly patient) who wants to make a call, a function of automatically finding a receiving user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when the receiving user cannot receive a call. The ability to answer questions, identify the number of users, and provide a customized user interface to the user (patient) (for example, the ability to express words in words to a patient who can't speak) When there is no requestor or when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 it automatically goes to the charging station to charge it, finds a video suitable for the patient's conversation status, and helps to talk, and the patient's basic information (pulse, blood pressure, temperature, etc.) USN sensor communication module function suitable for elderly patients to acquire, identify the caller (user) It provides an automatic billing function for communication charges, so that the patient can be billed when the patient i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nd the patient, family, and doctor can make a conference call so that the doctor can hear the opinion during the video call. It is possible.

로봇에는 화상통화를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청정기, 및 카메라와 같은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가 로봇에 탑재된다면, 공기청정기가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거나 혹은 로봇이 위치한 장소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카메라가 로봇에 탑재된다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의 가족 사진을 촬영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The robot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a function for a video call but also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For example, devices such as air cleaners and cameras may be mounted. If the air cleaner is mounted on the robot, the air cleaner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or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level at the place where the robot is located. In addition, if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robot,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family picture of the user using the camera.

또한, 로봇이 인간형 로봇인 경우, 머리, 팔, 다리와 같은 특정 신체 부위를 움직여 재롱을 떠는 기능, 건물에 새로운 사람이 들어왔을 때 인사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bot is a humanoid robot, it may be provided with a function of moving a certain body part such as a head, an arm, a leg, and shaking a gang, and greeting a new person when a building enter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로봇 100 외부접속부
200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 300 이동수단부
400 화상통화부
10 Robot 100 External connection
200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300 Transportation unit
400 Video Call

Claims (29)

통신망과 접속하는 외부접속부;
건물 내 이용자를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부; 및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통화부; 를 포함하되,
전화가 걸려 오는 경우,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가 전화 통화 불가 지역에 있을 때에는,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하고,
전화 통화 불가 안내와 함께 전화 통화 가능 시간을 안내하며,
전화 통화 불가 안내를 한 경우,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의 검색결과를 통해 상기 이용자의 이후 위치가 전화 통화 가능 지역으로 들어오는 때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이동하여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An external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user in a building and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moving unit that enables position movement; And
A video call unit that enables a video cal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in the area where the user cannot make a phone call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a call is not allowed.
Informs you when a phone call is available, along with a non-phone call.
When the telephone call can not be guided, when the user's subsequent location enters the telephone call available area through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arch unit, the video call service robot, which notifies the user of the missed c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a building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an object in a building and an RFID tag attached to a user. Video 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위치정보 검색부는, 건물 내 대상물 및 이용자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독출하는 복수 개의 RFID 리더기를 건물 내에 설치하여 획득한 건물 내 위치정보를 저장한 건물내 위치정보 저장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retrieval unit communicates with the 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erve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e building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FID readers in the building to read information on the objects in the building and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user. And searching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부재중 전화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nd a video signal service robot, which notifies the missed call by outputting a voice signal through a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부는,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video call unit,
A video telephony service robot comprising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display to enable a video ca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unit is a video call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touch screen ty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전화를 걸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터치하여 상기 사진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user makes a call, the video call service robot of claim 1, the previously stored picture to touch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or to make a call by touching the number on the display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번호를 터치함으로써 전화를 거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를, 해당 전화번호 상대방의 사진과 함께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making a call by touching the number on the display unit,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for matching and storing the phone number, along with the picture of the other party.
제 8 항에 있어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저장된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 동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And a treatment video storage unit for sharing a previously stored treatment video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제 8 항에 있어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의 치료 동영상을 수신하여 해당 치료 동영상을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A video call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upon receiving a video of a treatment from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and sharing the treatment video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제 8 항에 있어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용자 기본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asic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enables the user to shar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rate,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level with the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the video call. Video service service robot.
제 8 항에 있어서,
화상 통화시 이용자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맥박, 체온 또는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로봇 외부의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기본정보를 화상 통화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Receiving basic information of a user including at least one of pulse, body temperature or oxygen saturation from a storage server external to the robot and shar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a video call counterpart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program during a video call. Video 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부는, 장애물 탐지를 위한 장애물 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obsta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obstacle detecting unit detects an obstacle using ultrasonic waves.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부는, 상기 로봇 하단에 설치된 2개의 휠과, 상기 휠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7,
The moving unit comprises a video wheel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wheel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bot,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wheel.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휠의 구동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로봇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direction of the robot by changing the driving speed of the two whee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nd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obo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에게 주어진 임무가 없는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소로 이동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21. The method of claim 20,
If there is no task assigned to the robot,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to move to a charging st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to perform the charg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for register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use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해당 이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부를 통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n a call comes from a telephone number existing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answer the telephone.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통화의 상대방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in the video call.
제 24 항에 있어서,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전화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n the call comes from a telephone number that does not exist in the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to confirm the name of the user who wants to make a telephone call.
제 2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용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 매칭 테이블에 존재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이용자 가운데 통화를 원하는 이용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n a call comes from a telephone number existing in a telephone number matching tab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users, the video recognition service robot checks a name of a user who wants to talk among the plurality of users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부를 통해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게 전화요금을 과금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n making a call through the video call unit, the video telephone servi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a telephone fee to the us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부는, 상기 이용자의 명령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따라, 화면 구성요소의 위치나 화면 구성요소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9,
The video cal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switching unit that enabl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creen element or the size of the screen element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or the touch on the display unit. rob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속부는, 상기 이용자의 주변에 설치된 로봇 호출 수단에 의한 로봇 호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수단부는, 상기 로봇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로봇 호출 신호를 송신한 상기 로봇 호출 수단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receives the robot call signal by the robot call mean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And the moving unit moves to a place where the robot calling unit which has transmitted the robot calling signal is installed when the robot calling signal is received.
KR1020100035757A 2010-04-19 2010-04-19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KR101298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57A KR101298482B1 (en) 2010-04-19 2010-04-19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757A KR101298482B1 (en) 2010-04-19 2010-04-19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80A KR20110116380A (en) 2011-10-26
KR101298482B1 true KR101298482B1 (en) 2013-08-21

Family

ID=4503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757A KR101298482B1 (en) 2010-04-19 2010-04-19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4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636B1 (en) 2018-09-14 2020-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robo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52112B1 (en) * 2020-03-30 2022-01-17 푼노톡 샬러폰 Robot for providing elderly management service and system for porviding elderly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robot
KR102345666B1 (en) * 2020-09-28 2021-12-31 주식회사 어반컴플렉스 Conference video providing system using A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580A (en) * 2002-10-04 2004-04-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Robot
KR20060120306A (en)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phone and method for change recipient in robot phone
KR20070055456A (en) * 2007-05-03 2007-05-30 주식회사 화인티앤에스 The system and method on real time communication services of moving pictures based on the terminal of the robot
KR20100008439A (en)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쏠리테크 Mobile image robot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580A (en) * 2002-10-04 2004-04-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Robot
KR20060120306A (en) * 2005-05-19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phone and method for change recipient in robot phone
KR20070055456A (en) * 2007-05-03 2007-05-30 주식회사 화인티앤에스 The system and method on real time communication services of moving pictures based on the terminal of the robot
KR20100008439A (en) *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쏠리테크 Mobile image robot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380A (en)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8163C (en) Robot
WO2019142370A1 (en) Nurse call system
US20090060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control using mo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CN104038625A (e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KR101298482B1 (en) Context-aware video phone service robot
CN102474901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image photographed by portable terminal
WO2019021771A1 (en) Charging sta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CN202385282U (en) Mobile phone suitable for sending information to fixed mobile phone by the elderly
JP5947206B2 (en) Nurse call system
CN104168377A (en) Conversation method and device
JP2004029908A (en) Support system and program
JP2012249259A (en) Room monitoring system, and telephone device
JP2007048075A (en)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use article and person requiring nursing care helping system
JP6995638B2 (en) Nurse call system
JP6187732B1 (en)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monitored person monitoring system
JP6942557B2 (en) Interactive electronic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WO2013171629A1 (en) Personalized handing of a user terminal
JP6971088B2 (en) Interactive electronics, communica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KR101692186B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n emergency call function
JP6883487B2 (en) Charging stan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CN100473096C (en) Monitor for combining mobile
KR102582357B1 (en) Simultaneously communicative smart nurse call system
JP5597851B2 (en) Door phone system with message function
JP2010212903A (en) Answer control device, answer control method, answer control program, answer equipment, and answer system
JP6783492B1 (en) Telephones, notification systems and computer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