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653B1 -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653B1
KR101272653B1 KR1020120106935A KR20120106935A KR101272653B1 KR 101272653 B1 KR101272653 B1 KR 101272653B1 KR 1020120106935 A KR1020120106935 A KR 1020120106935A KR 20120106935 A KR20120106935 A KR 20120106935A KR 101272653 B1 KR101272653 B1 KR 10127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mera
monitoring system
interne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수
이병건
마상훈
Original Assignee
윤영제
마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제, 마상훈 filed Critical 윤영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PURPOSE: A home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imply construct the system an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CONSTITUTION: A home device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n IP(Internet Protocol) camera(100). The home device includes a dedicated control device(410) and an IR(Infrared Ray) control device(420).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is controlled by RF(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 smartphone(500) includes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IP camera through the Internet. The smartphone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P camera with operation by a user. The smartphone displays a captured image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Reference numerals] (411) Door locking device; (412) Gas valve device; (413) Distribution device; (422) Air-conditioner; (423) Fan; (431) Boiler; (432) Electric mat; (433) Lamp; (600) SMS server

Description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Home appliances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본 발명은 사무실, 가정 내의 모든 전기, 전자 가전기기나 통신기기(이하 '댁내 기기'로 총칭함)를 원격에서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네트워크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IP 카메라와 연결하여 원격으로 영상(및 음성)과 댁내 기기들에 대한 각종 제어하며 감시할 수 있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enabling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of all electrical, electronic home appliances or communication device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home devices') in offices and homes. Establish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based on wireless network IP (Internet Protocol) cameras, and remotely control and monitor video (and voice) and indoor devices remotely b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IP cameras through smartpho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댁내에는 컴퓨터, 전등, 텔레비전, 오디오 기기, 애완용 배식기 등을 비롯하여, 보일러, 에어컨과 같은 냉난방시스템, 전자레인지와 전기밥솥 및 식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와 같은 주방용 기기,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전자 기기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은 통상 단독 제어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homes have computers, lamps, televisions, audio equipment, pet cookers, as well as boilers, air-conditioning systems such as air conditioners, microwave and rice cookers and dish dryers, kitchen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washing machines, etc. There may be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usually designed to be operated in a single control manner.

최근에는 이러한 댁내 기기를 통합하여 제어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있으며, 또한, 댁내 기기와 홈오토메이션 기기와의 연계를 통해 원격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폐시키거나, 또는 커튼과 블라인드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전등의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등이 여러모로 모색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ntegrate and control such indoor devices, and also, by connecting the indoor devices and home automation devices to remotely control the locking device to open or close the door,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curtains and blinds. Various systems are being sought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room or to control the lighting on / off.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는, 원거리에서도 전화라인을 통해 댁내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걸어 가정용 기기들을 선택한 후 버튼 조작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되었다.The home automation system also provides a technology that allows remote control of home devices through a telephone line from a distance, and such a home automation system can be controlled by a button operation after a user calls a remote location to select a home device. Convenience was provided.

그런데 이러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기술은 해당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댁내에 구축하려는데 상당한 비용이 들며, 또한 댁내 기기들 각각에 미리 제작 과정에서부터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기능 및 하드웨어 장비가 내부에 구비되어야 하는 등, 해당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댁내에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기존 구축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새로운 기기를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각종 새로운 댁내 기기들의 출시율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축시에 매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However, the technology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very expensive to build the home automation system in the house, and each home device must be equipped with the functions and hardware equipment for the home automation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vance. It was not easy to build an automation system. In addition, even if the home automation system is built in the home, it is difficult to apply a new device to the existing home automation system, and this problem is more prominent as the release rate of various new home devices is accelerating. Has become a very big obstacle when building.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상 편리하며, 저비용 및 매우 간단한 구축이 가능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that are convenient to use, low cost and very simple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댁내 기기에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며, 제어 및 감시 대상 기기의 추가, 변경 등이 용이할 수 있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which can be more universally applicable to a variety of indoor devices, and can be easily added, changed, and the like to be controlled and monitored.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촬영 영상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IP 카메라(100);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제어 콘센트(200); IP 카메라(100)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RF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전용제어기기(410)와 IR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적외선제어기기(420)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400); 인터넷을 통해 IP 카메라(100)에 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700)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IP 카메라(1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제공하는 것으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P camera 100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transmit a captured imag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by a control command; A power control outlet 200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An indoor device 400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and including an exclusive control device 410 controlled by RF communication and an infrared control device 420 controlled by IR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700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the IP camera 100 through the Internet is installe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P camera 100 by a user's operation, and captures a captured image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an indoor device, including a smart phone 500 to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사용상 편리하며, 저비용 및 매우 간단한 구축이 가능하며, 다양한 댁내 기기에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제어 및 감시 대상 기기의 추가, 변경 등이 용이할 수 있다.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for use, low cost and very simple construction, more universally applicable to a variety of indoor devices, it is easy to add, change, etc. the control and monitoring target device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IP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원격지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므로 제어되는 대상의 댁내 기기를 직접 보면서 이를 제어할 수 있어 신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watching the indoor device of the controlled target directly because the image captured by the IP camera is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of the remote loca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 등의 설치가 필요없이, 해당 IP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실시간 모니터링과 동작감지, 온도감지, 빛 감지, 전류감지 등의 시스템 구성으로 야간 침입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컨, 보일러, 블라인드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a personal computer,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such as real-time monitoring, operation detection, temperature detection, light detection, current detection, and the like by simply installing the corresponding IP camera. It enables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night intrusion detection, and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ir conditioners, boilers, blind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IP 카메라의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제어 콘센트의 내부 블록도(a)와 외관 사시도(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 구성도,
도 7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IP camera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P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premises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a) and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b) of a control outlet in a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mod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6 is a view showing the UI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IP 카메라와 연결하여 원격으로 댁내의 촬영 영상을 확인하며 댁내 기기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stablishes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based on IP (Internet Protocol) cameras, connects to the corresponding IP cameras via smartphones, remotely checks the captured images of the indoors, and controls the indoor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home equipment that can be monitored.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크게, IP 카메라(100), 전원제어 콘센트(200), 댁내 기기(400), 스마트폰(500) 및 SMS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P camera 100, power control outlet 200, indoor device 400, smart phone 500 and SMS server ( 600).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스마트폰(500)과 접속되어 촬영 영상을 전송하며, 스마트폰(500)에서의 제어명령에 의해 댁내 기기의 각종 제어를 수행하는 IP 카메라(100)와; 인터넷을 통해 IP 카메라(100)에 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IP 카메라(100)에 접속하여 댁내 기기의 각종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스마트폰(5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brief,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mart phone 500 through the Internet to transmit a captured image, and controls various kinds of indoor devices by a control command from the smart phone 500. IP camera 100 for performing; An application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the IP camera 100 through the Internet is installed, and includes a smart phone 500 that accesses the IP camera 100 by a user's operation and transmits various control commands of the indoor device.

IP 카메라(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댁내 기기(400)는 제어방법, 구동방법, 전력소모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댁내 기기(400)는 IP 카메라(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3가지 분류로 대별될 수 있다.Prior to describing the IP camera 100, the indoor device 400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a driving method, a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the like. The indoor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첫째,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IP 카메라(100)와 통신하면서,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전용제어기기(410),First, a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that receives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communicates with the IP camera 100,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둘째,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적외선제어기기(420) 및Second,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receives power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is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and

셋째, 상용전원의 공급만으로도 저장된 로직을 수행하는 전원제어기기로 분류된다.Third, it is classified as a power control device that executes stored logic only by supplying commercial power.

첫 번째로 분류한 전용제어기기(410)는 IP 카메라(100)와 통신하면서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적합한 작동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IP 카메라(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용제어기기(410)의 전원플러그는 상용콘센트(450)에 접속되어 있으며, IP 카메라(10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IP 카메라(100)와 전용제어기기(410)의 사이의 통신은 RF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ly,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which is classified with the IP camera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performs an operation suitable for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IP camera 100. do. Accordingly, the power plug of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outlet 450, and includes 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P camera 1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P camera 100 and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may be made by RF communication.

전용제어기기(410)에 포함될 수 있는 기기는 IP 카메라(100)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거나 그 모듈을 결합시킬 수 있는 기기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잠금장치(411), 가스밸브장치(412) 및 배식장치(4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includes a modul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IP camera 100 or a device that can combine the modul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door lock Device 411, gas valve device 412, drainage device 413, and the like.

출입문잠금장치(411)는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을 단속하는 장치로, 상용전원으로도 동작될 수 있으나 배터리로도 동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door lock device 411 is a device that regulates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and can be operated even with a commercial power source, but can also be operated with a battery.

가스밸브장치(412)는 가스레인지 또는 가스보일러 등으로 공급되는 가스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스공급을 단속하는 장치이며, 배식장치(413)는 반려동물의 먹이를 충전하고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량의 먹이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The gas valve device 412 is installed on a gas supply line supplied to a gas range or a gas boiler to control the gas suppl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and the food dispensing device 413 is used for pets. It is a device that charges the food and discharges a predetermined amount of foo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두 번째로 분류한 적외선제어기기(420)는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만 수신하여 동작되는 장치로, 단방향 통신으로 구동되는 기기이다. 이에 따라 적외선제어기기(420)의 전원플러그는 상용콘센트(450)에 접속되어 있으며,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만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속하는 기기로는 텔레비전(421, 이라 'TV'라 함), 에어컨(422) 및 선풍기(4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IP 카메라(100)와 적외선제어기기(420) 사이의 통신은 IR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ategory infrared control device 420 is a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only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the device is driven by one-way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power plug of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outlet 450,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only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Devices belonging to this may include a television 421 (referred to as “TV”), an air conditioner 422, a fan 423,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P camera 100 and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may be made by IR communication.

세 번째로 분류한 전원제어기기(430)는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지 않고, 전원을 투입하는 것만으로도 저장된 로직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기기(43)의 전원플러그는 IP 카메라(10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제어 콘센트(200)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속하는 기기로는 보일러(431), 전기장판(432) 및 램프(또는 전구)(4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class power control device 430 does not include a module that can communicate, and is a device that performs stored logic only by applying power. Accordingly, the power plug of the power control device 43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 outlet 200 controlled by the IP camera 100. Devices belonging to this may include a boiler 431, an electric field plate 432, and a lamp (or light bulb) 433.

위에서 분류된 기기는 댁내 기기(400)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분류한 것으로, 각각 분류된 기기는 통신모듈의 구성 여부, 통신방법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재분류될 수 있다. 가령, 보일러(431)에 적외선 통신 모듈을 적용하여 적외선 제어가 가능하다면 이는 적외선제어기기(420)로 분류된다. 따라서 위에서 제어기기를 세부적으로 분류한 기기들은 일 실시예에 의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The classified devices are classified to configure the system by minimizing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indoor device 400, and the classified devices may b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For example, if infrared control is possible by applying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to the boiler 431, it is classified as an infrared control device 420. Therefore, devices classified in detail above 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P 카메라(100)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촬영 영상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도 3에 나타내었다.The IP camera 1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ransmits a captured imag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by a control comm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P camera 100 is illustrated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IP 카메라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접속부(110),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0), 카메라부(120)의 촬영 영역을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30), 카메라부(120)의 촬영 영역에 광원을 조사하는 조명부(140), 댁내 기기(4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신호 발생부(150), 촬영 영역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60), 호출버튼(170), 촬영 영역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80)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85) 및 촬영된 영상 및 감지된 신호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며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조명 점등을 하고 제어신호를 상기 댁내 기기(4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IP camera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for communication, the camera unit 120 for capturing an image, and the camera unit. The motor driving unit 130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120, the lighting unit 140 for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unit 120,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device 400. ), The sensor unit 160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shooting area, the call button 170, the microphone 180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shooting area and the speaker 185 for outputting the voice and the captured image and the detected signal And a control unit 190 which transmits to the Internet and controls the camera to photograph the direction and light of the camer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device 400.

인터넷 접속부(11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통신을 위한 모듈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net access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may be configured as a module for communication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카메라부(12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장치로, CCD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또는 이들을 결합한 형태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is a device for photographing a surveillance reg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CCD camera, a thermal imaging camera, or a combination of these.

모터 구동부(130)는 제어에 의해서 카메라부(120)의 상·하·좌·우로 틸트(tilt)시켜 감시(또는 촬영) 영역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motor driver 130 is a device that tilt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camera unit 120 to move the monitoring (or photographing) area under control.

조명부(140)는 촬영 영역이 어두운 경우 광원을 조사하는 램프로서, LED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140 is a lamp for irradiating a light source when the photographing area is dark, and may be configured as an LED lamp.

제어신호 발생부(150)는 댁내 기기(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모듈로, 전용제어기기(410)를 제어하기 위한 RF통신부(151)와 적외선제어기기(420)를 제어하기 위한 IR통신부(152)로 구성된다. 이때, RF통신부(151)는 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전용제어기기(410)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모듈이며, IR통신부(15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적외선제어기기(420)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0 is a module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door device 400, and controls the RF communication unit 151 and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for controlling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It consists of an IR communication unit 152. At this time, the RF communication unit 151 communicates using a radio frequency, and is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and the IR communication unit 152 communicates using infrared rays, and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센서부(160)는 촬영 영역을 포함하여 그 주변의 상태 또는 상황을 센싱하는 것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61);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2);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63) 및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164)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전류감지센서(164)는 컴퓨터, 텔레비전 등 특정 기기의 전원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특정 기기의 전류를 감지하여 기기의 사용 상태, 사용시간 및 누전 등을 체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도센서(163)에서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조명부(140)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60 includes a photographing area to sense a state or situation in the vicinity thereof, and inclu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161 for detecting a movement; A temperature sensor 162 for sensing a temperature; And an illuminance sensor 163 for detecting illuminance and a current detecting sensor 164 for detecting current. In particular, the current sensor 164 is installed in the power supply line of a specif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 televisio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urrent of the specific device to check the use state of the device, use time and leakage.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sensor 14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illumin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ensed.

호출버튼(170)은 긴급을 요하는 상황 또는 호출을 요하는 상황에서 스마트폰(50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인터넷에 연결되는 SMS서버(600)와 연계된다. 즉, 호출버튼(170)의 눌림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된 SMS서버(600)에 눌림신호가 전송되며, SMS서버(600)는 눌림신호에 따라 저장된 로직을 수행하여 스마트폰(500)으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한다.Call button 170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o the smart phone 500 in a situation requiring an emergency or a call, it is associated with the SMS server 600 connected to the Internet. That is, the pres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S server 600 connected to the Internet as the call button 170 is pressed, and the SMS server 600 performs the stored logic according to the pressing signal to send a call message to the smartphone 500. Send it out.

마이크(180) 및 스피커(185)는 각각 IP 카메라(100)의 영역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음성을 출력한다.The microphone 180 and the speaker 185 receive voices in the area of the IP camera 100 and output voices.

제어부(190)는 인터넷 접속부(110), 카메라부(120), 모터 구동부(130), 조명부(140), 제어신호 발생부(150), 센서부(160) 및 호출버튼(170)을 제어하여 설정된 로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Internet connection unit 110, the camera unit 120, the motor driver 130, the lighting unit 140,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0, the sensor unit 160, and the call button 170. Control to execute the set logic.

이와 같이 구성된 IP 카메라(100)의 일 실시예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천장 부착형 IP 카메라(100)이며, 도 4b는 스탠드/벽면 부착형 IP 카메라(100)이다.An embodiment of the IP camera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Figures 4a and 4b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P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ceiling-mounted IP camera 100, Figure 4b is a stand / wall surface Attachable IP camera 100.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마이크(180), 카메라부(120), 센서부(160) 등이 위치하고, 후면에는 모터 구동부(130)가 위치된다. 특히, 천장 부착형 IP 카메라인 경우 호출버튼은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호출버튼(170)을 작동시키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호출버튼(170)은 스탠드/벽면 부착형 IP 카메라(100, 도 4b)에만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microphone 180, the camera unit 120, the sensor unit 160, and the like are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and the motor driver 130 is positioned at the rear sid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eiling-mounted IP camera,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call button 170 because the call button may be configured out of reach of the user. Therefore, the call button 170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ly on the stand / wall-mounted IP camera 100 (FIG. 4B).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IP 카메라(100)에 의해 제어되는 댁내 기기(400)는 세 가지로 분류된다. IP 카메라(100)와 쌍방 통신으로 작동되는 전용제어기기(410), 단방향 통신으로 작동되는 적외선제어기기(420) 및 전원의 투입여부에 따라 저장된 로직을 수행하는 전원제어기기(430)로 분류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device 400 controlled by the IP camera 100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P controller 100 is classified into a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operated by two-way communication, an infrared control device 420 operated by one-way communication, and a power control device 430 that performs stored logic according to whether power is supplied. .

이때, 전용제어기기(410)와 적외선제어기기(4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전원 플러그는 상용 전원이 투입되는 상용콘센트(450, 도 1 참조)에 접속되어,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적합한 로직을 수행한다.At this time, each power plug for driving the dedicated controller 410 and the infrared controller 420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outlet 450 (refer to FIG. 1) into which commercial power is applied,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Receive and perform logic appropriate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전원제어기기(430)는 전원의 투입 여부에 따라 저장된 로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원제어기기(430)는 전원 투입을 단속하는 별도의 콘센트에 접속된다.The power control device 430 performs the stored logic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is connected to a separate outlet to control the power supp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원제어기기(430)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전원제어 콘센트(200)가 구비고 IP 카메라(100)로 전원제어 콘센트(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원제어기기(430)를 제어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control outlet 200 is provided a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outlet 200 with the IP camera 100.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제어 콘센트의 내부 블록도(a)와 외관 사시도(b)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5 shows an internal block diagram (a) and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b) of the control outlet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전원제어 콘센트(200)는 상용 콘센트(450)와 전원제어기기(430) 사이에 설치되어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제어기기(430)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콘센트로, 제어 플러그(210), 제어 콘센트(220), 제어 릴레이(230) 및 제어 통신부(24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ower control outlet 2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mmercial outlet 450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The outlet includes a control plug 210, a control outlet 220, a control relay 230, and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240.

제어 플러그(210)는 상용 콘센트(450)와 접속되는 부분으로 통상의 플러그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 plug 210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outlet 450 and is configured in a general plug shape.

제어 콘센트(220)는 댁내 기기(400) 중에서 전원제어기기(430)의 전원 플러그와 접속되는 부분으로 통상의 콘센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outlet 220 is a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plug of the power control device 430 of the indoor device 400 is made of a conventional outlet shape.

제어 릴레이(230)는 제어 플러그(210)와 제어 콘센트(220) 사이에 설치되어 접속신호에 따라 제어 플러그(210)와 제어 콘센트(22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한다. The control relay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rol plug 210 and the control outlet 220 to control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plug 210 and the control outlet 22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ignal.

제어 통신부(240)는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릴레이(230)로 접속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제어 통신부(240)는 IP 카메라(100)의 RF통신부(151)와 통신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24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and transmits a connection signal to the control relay 230. At this time, the control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RF communication unit 151 of the IP camera 100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다음으로, 스마트폰(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martphone 500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a schematic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500)은 통상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되어, 해당 단말기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 해당 단말기의 각종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모듈(510)과; 디스플레이모듈(510)과 연계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모듈(520)과; 전화 통신 등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모듈(530)과;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으며, 사용자에게 가청음을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모듈(540)과; 각 모듈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해당 단말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60)와; 제어부(560)의 동작에 관련된 동작 프로그램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 콘텐츠나 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550)를 포함한다.The smartphone 500 is usually configured with a display screen, and includes a display module 510 for displaying execution images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various operating states and menu state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the like; An operation module 520 which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ssociated with the display module 510 and receives a user's touch screen operation; A communication module 53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telephone communication; A voice input / output module 540 including a speaker, a microphone, and the like to receive a voice of the user and output an audible sound to the user; A controller 560 which controls each module as a whol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 a whole; An operation program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560, and a memory 550 for stor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nd related content or image data.

특히, 통신모듈(530)은 이동통신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550)에는 인터넷을 통해 IP 카메라(100)에 접속하여 IP 카메라(100)를 통해 댁내 기기(400)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700, application)이 설치된다. 이에, 조작모듈(520)은 사용자의 멀티 터치 및 연동된 터치 움직임 상태(즉, 제스처)를 입력받아 제어모듈(560)은 터치 움직임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설정된 로직을 수행하여 IP 카메라(1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즉, 애플리케이션(700)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신호는 IP 카메라(1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700)은 별도의 공급 서버(도면에 미표시) 또는 SMS서버(600)에서 내려받아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module 530 is configured to use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addition, the memory 550 is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700 for controlling the indoor device 400 through the IP camera 100 by accessing the IP camera 100 through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operation module 520 receives the user's multi-touch and interlocked touch movement state (ie, gesture), and the control module 560 detects the touch movement state and performs the set logic according to the IP camera 100. Send a control command. That is,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7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P camera 100, and displays the captured image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This application 700 may be configured to be downloaded from a separate supply server (not shown in the figure) or SMS server 600 installed.

도 7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7 illustrates a mode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폰(5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700)은 실행에 따라 타인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특정 사용자만 로그인 되도록 구성되는 로그인 접속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lication 700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500 preferably includes a login access process configured to log in only a specific user by inputting an ID and a password in order to prevent access of others according to execution.

또한, 애플리케이션(700)은 관리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각각의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에는 자녀관리 모드(702), 반려동물관리 모드(704) 및 홈관리 모드(70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UI'라 함)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700 may be divided into respective modes according to a target to be managed, and such a mode may include a child care mode 702, a pet care mode 704, and a home care mode 706. . In addition, each mode includes at least one user interface (UI).

구성될 수 있는 UI로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급식제어 UI(75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및 출입제어 UI(790)를 포함한다.
UIs that can be configured include a photographed video display UI 710, voice call UI 720, light control UI 730, TV control UI 740, feeding control UI 750, air conditioning control UI 760, heating The control UI 770,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and the access control UI 790 are included.

이러한 UI는 각 모드에 따라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관리 모드(702)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및 음성통화 UI(720)를 포함하며, 반려동물관리 모드(704)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및 급식제어 UI(750)를 포함하고, 홈관리 모드(706)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출입제어 UI(7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uch a UI may be selec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each mode. For example, the child care mode 702 includes a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and a voice call UI 720, and the pet management mode 704 includes a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and a voice call UI 720. ), A light control UI 730, a TV control UI 740, and a meal control UI 750, and the home management mode 706 includes a shot image display UI 710, a voice call UI 720, and a light control. The UI 730,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I 760, the heating control UI 770,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and the access control UI 790 may be configured.

여기서,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및 음성통화 UI(720)는 3가지 모드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의 모드에 UI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ere, the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and the voice call UI 720 may be applied to all three modes, and configured to add or delete the UI in each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8 to 16 is a view showing a UI installed in a smart phone in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를 나타낸 것으로,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는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UI로,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 UI 및 IP 카메라(100)의 촬영 영역을 이동시키는 이동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는 모든 모드에 공통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카메라를 촬영 영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줌(zoom)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FIG. 8 illustrates a captured image display UI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is a UI for outputting a captured image. The image output UI and IP outputt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are illustrated. And a move button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100. The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in common in all modes.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zoom button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may be further provid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UI를 나타낸 것으로, 음성통화 UI(720)는 IP 카메라(100)와 스마트폰(500)을 연결하여 댁내와 원격지와의 음성통화를 하는 것으로,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버튼 등이 구성된다.
9 illustrates a voice cal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oice call UI 720 connects an IP camera 100 and a smartphone 500 to make a voice call between a home and a remote place. Volume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voice transmitted from the 100) is configured.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전등제어 UI(730)는 댁내에 설치된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램프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과 선택된 램프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이 점등 버튼 등이 구비된다.
FIG. 10 illustrates a light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control UI 730 controls on / off of a lamp installed in a home, and includes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lamp and on / off a selected lamp. Button for lighting is provided.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TV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TV제어 UI(740)는 텔레비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텔레비전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TV 온/오프 버튼,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 버튼 및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 버튼 등이 구비된다.
FIG. 11 illustrates a TV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rein the TV control UI 740 is used to control a television, a TV on / off button for turning on / off a television, and a channel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channel. And a volume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he volume.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급식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급식제어 UI(750)는 반려 동물의 먹이를 충전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량의 먹이를 배출하기 위한 배식장치(413, 도 2 참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먹이배출 버튼 등이 구비된다.
FIG. 12 illustrates a feeding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feeding control UI 750 includes a feeding device 413 (see FIG. 2) for charging a pet's food and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oo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ood discharge button and the like is provided.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에어컨제어 UI(760)는 에어컨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에어컨 온/오프 버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버튼 및 가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가동시간조절 버튼 등이 구비된다.
FIG. 13 illustrates an air conditioner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rein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I 760 is configured to set an air conditioner on / off button for turning on / off an air conditioner, a temperature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temperature, and an operation time. Uptime adjustment buttons and the like are provided.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난방제어 UI(770)는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보일러 온/오프 버튼, 난방온도 조절버튼, 보일러 가동시간 버튼 등이 구비된다.
14 illustrates a heating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eating control UI 770 is for controlling a boiler and includes a boiler on / off button, a heating temperature control button, a boiler operating time button, and the like.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밸브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가스밸브제어 UI(780)는 가스밸브장치(412, 도 2 참조)를 온/오프하는 가스 열림/차단 버튼 등이 구비된다. 이때 가스밸브제어 UI는 가스밸브를 차단하지 않고 집을 비운 상태에서 가스 유출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라인을 개방하는 열림버튼은 생략될 수 있다.
15 illustrates a gas valve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is provided with a gas open / block button for turning on / off a gas valve device 412 (see FIG. 2). At this time, the gas valve control UI is to prevent an accident due to the outflow of the gas in the state of emptying the house without blocking the gas valve, the open button for opening the gas line can be omitted.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제어 UI를 나타낸 것으로, 출입제어 UI(790)는 출입문잠금장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버튼 등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출입제어 UI(790)는 출입을 감지하는 UI로도 변경될 수 있다.
16 illustrates an access control UI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access control UI 79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butt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door lock. In this regard, the access control UI 790 may also be changed to a UI for detecting access.

이와 같이 각각의 UI는 각각의 모드(702, 704, 706)에 포함되어 원격지에서 댁내 기기(400)의 제어가 이루어지며, 특히 각 UI마다 IP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원격지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므로 제어되는 대상의 댁내 기기를 직접 보면서 이를 제어할 수 있어 제어명령에 대한 동작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each UI is included in each mode 702, 704, and 706 to control the indoor device 400 at a remote location. In particular, since each image captured by an IP camera is displayed on a remote smartphone, each UI is displayed. This can be controlled by directly watching the indoor device of the controlled targe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ommand can be directly checked,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한편, 각 모드에 대해 부여하면, 자녀관리 모드(702)에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및 음성통화 UI(720)를 포함하는 경우,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통해 자녀의 귀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를 통해 자녀에 음성통화도 가능하여 TV 시청 시간을 조절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each mode, if the child management mode 702 includes a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and the voice call UI 720, whether the child returns home through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You can check and voice calls to your child through the voice call can be induced to adjust the TV watching time.

반려동물관리 모드(704)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및 급식제어 UI(75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관찰하며, 음성통화로 목소리(음성)를 전달하거나 받고, 전등을 제어하며, TV를 제어하여 소외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등, 원격지에서 반려동물을 관리할 수 있다.
The pet management mode 704 includes a captured image display UI 710, a voice call UI 720, a light control UI 730, a TV control UI 740, and a meal control UI 750. You can manage your pets remotely, such as observing animals, transmitting or receiving voices (voices) with voice calls, controlling lights, controlling TVs to avoid alienation, and providing meals. have.

홈관리 모드(706)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출입제어 UI(790)를 포함하여 침입자를 감시하며, 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The home management mode 706 includes a photographed image display UI 710, a voice call UI 720, a light control UI 730, an air conditioner control UI 760, a heating control UI 770, and a gas valve control UI 780. Including the access control UI 790, to monitor the intruder, it is possible to safely manage the home.

각 모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UI를 더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자녀관리 모드(702)에 TV제어 UI(740)를 추가하여 TV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mode may be configured to add or remove a UI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example, the mode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TV by adding the TV control UI 740 to the parental management mode 702. .

또한, 애플리케이션(700)이 실행되어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실행되지 않는 다른 모드는 일측에 표시되도록 화면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application 700 is executed and one mode is executed, another mode which is not execute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 one side.

또한, 모드에 상관없이 전체적인 UI가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700)은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및 급식제어 UI(75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출입제어 UI(79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tire UI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regardless of the mode. That is, the application 700 includes a photographed image display UI 710, a voice call UI 720, a light control UI 730, a TV control UI 740, a meal control UI 750, an air conditioning control UI 760, The heating control UI 770,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the entrance control UI 790 may b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selected.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UI에 의해서 댁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저비용 및 매우 간단한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댁내 기기에 보다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제어 및 감시 대상 기기의 추가, 변경 등이 용이할 수 있다.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indoor device by the UI displayed on the user's smartphone, it is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a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on a smartphone, which enables low cost and very simple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indoor devices, and it may be easy to add or change a control and monitoring target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 등의 설치가 필요없이, 해당 IP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실시간 모니터링과 동작감지, 온도감지, 빛 감지, 전류감지 등의 시스템 구성으로 야간 침입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컨, 보일러, 블라인드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indoor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a personal computer,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such as real-time monitoring, operation detection, temperature detection, light detection, current detection, and the like by simply installing the corresponding IP camera. It enables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night intrusion detection, and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ir conditioners, boilers, blinds, and the like.

100: IP 카메라 110: 인터넷 접속부
120: 카메라부 130: 구동 구동부
140: 조명부 150: 제어신호 발생부
151: RF통신부 152: IR통신부
160: 센서부 161: 동작감지센서
162: 온도센서 163: 조도센서
164: 전류감지센서 170: 호출버튼
180: 마이크 185: 스피커
190: 제어부 200: 제어 콘센트
400: 댁내 기기 410: 전용제어기기
411: 출입문잠금장치 412: 가스밸브장치
413: 배식장치 420: 적외선제어기기
421: TV 422: 에어컨
423: 선풍기 430: 전원제어기기
450: 상용 콘센트 431: 보일러
432: 전기장판 433: 램프
450: 상용 콘센트 500: 스마트폰
600: SMS서버 700: 애플리케이션
702: 자녀관리 모드 704: 반려동물관리 모드
706: 홈관리 모드 710: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
720: 음성통화 UI 730: 전등제어 UI
740: TV제어 UI 750: 급식제어 UI
760: 에어컨제어 UI 770: 난방제어 UI
780: 가스밸브제어 UI 790: 출입제어 UI
100: IP camera 110: Internet connection
120: camera unit 130: drive driver
140: lighting unit 150: control signal generator
151: RF communication unit 152: IR communication unit
160: sensor unit 161: motion detection sensor
162: temperature sensor 163: light sensor
164: current sensor 170: call button
180: microphone 185: speaker
190: control unit 200: control outlet
400: home appliances 410: dedicated control equipment
411: door lock device 412: gas valve device
413: breeding equipment 420: infrared control equipment
421: TV 422: air conditioning
423: fan 430: power controller
450: commercial outlet 431: boiler
432: electric field 433: lamp
450: commercial outlet 500: smartphone
600: SMS server 700: application
702: Child Care Mode 704: Pet Care Mode
706: Home management mode 710: Shooting image display UI
720: voice call UI 730: light control UI
740: TV control UI 750: Feed control UI
760: air conditioning control UI 770: heating control UI
780: gas valve control UI 790: access control UI

Claims (9)

인터넷에 접속되어 촬영 영상을 전송하고,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IP 카메라(100);
상기 IP 카메라(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전원제어 콘센트(200);
상기 IP 카메라(100)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RF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전용제어기기(410)와 IR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적외선제어기기(420)를 포함하는 댁내 기기(400);
인터넷을 통해 상기 IP 카메라(100)에 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700)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IP 카메라(1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IP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500)을 포함하되,
상기 IP 카메라(100)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넷 접속부(110);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20);
상기 카메라부(120)의 촬영 영역을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부(130);
상기 카메라부(120)의 촬영 영역에 광원을 조사하는 조명부(140);
상기 댁내 기기(400)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신호 발생부(150);
촬영 영역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60);
촬영 영역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80)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85) 및
상기 촬영된 영상, 감지된 신호 및 음성을 인터넷으로 전송하며,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조명 점등을 하고, 제어신호를 상기 댁내 기기(4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An IP camera 100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transmit a captured imag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by a control command;
A power control outlet 200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IP camera 100;
An indoor device 400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and including an exclusive control device 410 controlled by RF communication and an infrared control device 420 controlled by IR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700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the IP camera 100 through the Internet is installed,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IP camera 100 by a user's operation, and is transmitted from the IP camera 100. Including a smart phone 500 for displaying a shooting image,
The IP camera 100 is
An internet access unit 110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perform communication;
Camera unit 120 for taking an image;
A motor driver 130 for moving th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unit 120;
An illumination unit 140 irradiating a light source to a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unit 120;
A control signal generator 15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device 400;
A sensor unit 160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photographing area;
A microphone 180 for receiving a voice in the shooting area, a speaker 185 for outputting voice,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he detected signal and the voice to the Internet, turns on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nd lighting of the camer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device 400; An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19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100)에 호출버튼(170)을 더 구비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기 호출버튼(170)의 눌림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500)으로 호출 메시지를 송출하는 SMS서버(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provided with a call button 170 in the IP camera 100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SMS server 600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send a call message to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sing signal of the call button (17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50)는
상기 전용제어기기(410)를 제어하기 위한 RF통신부(151)와 상기 적외선제어기기(420)를 제어하기 위한 IR통신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50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n RF communication unit (151) for controlling the dedicated control device (410) and an IR communication unit (152) for controlling the infrared control device (4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6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161);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62);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63) 및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160
A motion sensor 161 for detecting a motion; A temperature sensor 162 for sensing a temperature;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sensor (163) for sensing the illumination and a current sensor (164) for sensing the curr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 콘센트(200)는
상용 콘센트(450)와 접속되는 제어 플러그(210);
상기 댁내 기기(400)의 전원 플러그와 접속되는 제어 콘센트(220);
상기 제어 플러그(210)와 상기 제어 콘센트(220) 사이에 설치되어 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플러그(210)와 상기 제어 콘센트(220)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는 제어 릴레이(230) 및
상기 IP 카메라(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릴레이(230)로 접속신호를 송출하는 제어 통신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control outlet 200 is
A control plug 210 connected to the commercial outlet 450;
A control outlet 220 connected to the power plug of the indoor device 400;
A control relay 230 installed between the control plug 210 and the control outlet 220 to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plug 210 and the control outlet 220 according to a connection signal;
The indoor devic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communication unit 24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IP camera 100 and sending a connection signal to the control relay 2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5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700)은
자녀관리 모드(702), 반려동물관리 모드(704) 및 홈관리 모드(70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700 installed on the smartphone 500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child care mode (702), pet management mode (704) and home care mode (706)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자녀관리 모드(702), 반려동물관리 모드(704) 및 홈관리 모드(706)는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및 급식제어 UI(75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출입제어 UI(79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child care mode 702, pet management mode 704 and home care mode 706 is
Shooting image display UI (710), voice call UI (720), light control UI (730), TV control UI (740) and meal control UI (750), air conditioning control UI (760), heating control UI (770), Indoor valv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access control UI (79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5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700)은
촬영 영상 디스플레이 UI(710), 음성통화 UI(720), 전등제어 UI(730), TV제어 UI(740) 및 급식제어 UI(750), 에어컨제어 UI(760), 난방제어 UI(770), 가스밸브제어 UI(780), 출입제어 UI(790)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700 installed on the smartphone 500 is
Shooting image display UI (710), voice call UI (720), light control UI (730), TV control UI (740) and meal control UI (750), air conditioning control UI (760), heating control UI (770), Indoor valve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as valve control UI 780, access control UI (790).
KR1020120106935A 2011-12-19 2012-09-26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KR1012726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43 2011-12-19
KR20110137543 2011-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653B1 true KR101272653B1 (en) 2013-06-12

Family

ID=4886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35A KR101272653B1 (en) 2011-12-19 2012-09-26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653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35B1 (en) 2013-12-16 2014-09-23 제일정보통신(주) Remote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Phone
KR20150101774A (en) 2014-02-27 2015-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GPS Boiler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GPS feature of smartphone
KR20150144360A (en) 2014-06-16 2015-12-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home system for customizable service based on application package, method of customiz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608968B1 (en) 2013-06-28 2016-04-04 (주)성광유니텍 Smartphone Mounted Power plug app.
KR20160050963A (en)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mart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 device registration of intelligent home ECO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WO2016076597A3 (en) * 2014-11-10 2016-07-07 주식회사 민토시스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1698565B1 (en) 2016-05-12 2017-0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pace devices
KR101709715B1 (en) * 2015-11-16 2017-02-24 (주)아이오텍 Control and monitoring apparatus based internet of things using a camera
CN107368104A (en) * 2017-07-19 2017-11-21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Any independent positioning method based on cell phone application and domestic intelligent monopod video camera
KR102040939B1 (en) * 2019-07-15 2019-1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01903A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266A (en) * 2001-04-14 2002-10-19 (주)크립토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monitoring and home automation based on the network
JP2004040272A (en) 2002-07-01 2004-02-05 Cosmo:Kk Network camera, remote monitor /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1037397B1 (en)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Digital device controlling system by utilizing smart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266A (en) * 2001-04-14 2002-10-19 (주)크립토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monitoring and home automation based on the network
JP2004040272A (en) 2002-07-01 2004-02-05 Cosmo:Kk Network camera, remote monitor /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1037397B1 (en)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Digital device controlling system by utilizing smartphon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68B1 (en) 2013-06-28 2016-04-04 (주)성광유니텍 Smartphone Mounted Power plug app.
KR101442235B1 (en) 2013-12-16 2014-09-23 제일정보통신(주) Remote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Phone
KR20150101774A (en) 2014-02-27 2015-09-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GPS Boiler control method for using the GPS feature of smartphone
KR20150144360A (en) 2014-06-16 2015-12-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home system for customizable service based on application package, method of customiz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311315B1 (en) * 2014-10-31 2021-10-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mart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 device registration of intelligent home ECO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KR20160050963A (en)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mart terminal equipment for control device registration of intelligent home ECO system and the registration method
WO2016076597A3 (en) * 2014-11-10 2016-07-07 주식회사 민토시스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1709715B1 (en) * 2015-11-16 2017-02-24 (주)아이오텍 Control and monitoring apparatus based internet of things using a camera
KR101698565B1 (en) 2016-05-12 2017-01-23 주식회사 엔쓰리디앤티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pace devices
CN107368104B (en) * 2017-07-19 2020-09-29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Random point positioning method based on mobile phone APP and household intelligent pan-tilt camera
CN107368104A (en) * 2017-07-19 2017-11-21 济南中维世纪科技有限公司 Any independent positioning method based on cell phone application and domestic intelligent monopod video camera
KR102040939B1 (en) * 2019-07-15 2019-1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393330B2 (en) 2019-07-15 2022-07-19 Hanwha Techwin Co., Ltd.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01903A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KR102510499B1 (en) 2020-06-30 2023-03-14 주식회사 대림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65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household appliances
KR102215569B1 (en) Hom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11039048B2 (en) Doorbell camera
US11212427B2 (en) Doorbell camera
US115955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xposure in high dynamic range video capture systems
US20180240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WO2019062335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panel
US10764540B2 (en) Monitoring system
US9852608B2 (en) Monitoring system
US10455670B2 (en) Video camera with privacy
US11671683B2 (en) Doorbell camera
JP2006245829A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electric appliance, and recording medium
GB2544406A (en) Hom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WO2016079887A1 (en) Monitoring system
WO2016079896A1 (en) House monitoring system
KR1005061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tus checking home automation/home network using by speech recognition in a remote
US9515841B2 (en) Monitoring system
KR101377065B1 (en) Home-auto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102510499B1 (en)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US11997370B2 (en) Doorbell camera
KR200328706Y1 (en) Home automation system
CN117957525A (en) Hierarchical mobile application launch
JP2022158169A (en) gateway
KR200328707Y1 (en) Multifunctional video phone system
KR20110121328A (en) Home auto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