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28B1 -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 Google Patents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28B1
KR101249528B1 KR1020100131439A KR20100131439A KR101249528B1 KR 101249528 B1 KR101249528 B1 KR 101249528B1 KR 1020100131439 A KR1020100131439 A KR 1020100131439A KR 20100131439 A KR20100131439 A KR 20100131439A KR 101249528 B1 KR101249528 B1 KR 10124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medicine
name
module
prescription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0045A (en
Inventor
김철
송미영
김상균
장현철
김안나
김익태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근거하여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처방명을 검색할 수 있고, 사용되는 약재의 기본 정보 및 독성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처방명에 포함되는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처방 결정을 지원하며 부적절한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earch the prescription name by any one of the prescription name, exhibition,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primary care, based on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and can view the basic information and toxicity information of the medicine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half of the constituent medicine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 name, out-of-order, contraindications, and more effectively support prescription decisions and prevent inappropriate misuse.

Description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본 발명은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근거하여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처방명을 검색할 수 있고, 사용되는 약재의 기본 정보 및 독성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처방에 포함되는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처방 결정을 지원하며 부적절한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nd based on the Korean medicine database server, the prescription name can be searched by any one of a prescription name, an exhibition,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and an attending physician. Information and toxicological information can be viewed, and by automatically judging whether the constituent medicine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 are contradictory, extravagant, or contraindicated, it is possible to support prescription decision more efficiently and to support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f oriental medicine to prevent inappropriate misuse. It is about the system.

병원정보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서 서비스 생산을 비롯한 각종 의료 및 일반 업무에 있어 정보이용자와 컴퓨터를 결합시켜 조직 구성원의 성과를 높이고, 나아가 병원 조직의 전체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구축되는 통합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1960년대 중반 미국과 네델란드, 스웨덴, 스위스와 같은 국가들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이래로 국내에서도 SI(System Integration)분야의 회사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여 양방병원에 적용시키고 있다. 이러한 양방병원 의료정보화의 발전과 대비하여 한의분야의 정보화는 IT 기술 도입 자체가 늦은 점과 함께 의료기기 장비 사용의 법적 제한 등으로 인해 병원정보시스템의 초기 모델인 처방전달시스템 중심의 전자차트 정도가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combines information users and computers in various medical and general affair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services, in hospitals that provide medical service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further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Refers to an integrated system built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Since it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the Netherlands, Sweden, and Switzerland in the mid-1960s, companies in the field of system integration (SI) have been focusing on developing various solutions in both hospitals. In prepa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informatization in both hospitals, the informatization of oriental medicine has been slow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IT technology and legal restrictions on the use of medical device equipment. The situation is being used.

한의학에서 의료행위는 크게 진단 및 처방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환자가 내원한 이후 환자의 병증 및 원인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행하는 사진법(四診法: 望診, 問診, 聞診, 切診)과 변증논치(辨證論治)를 기본으로 진단을 결정하고 이에 의거하여 처방이라는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의학에서 처방이란 약물배합의 원리인 방제(方劑)의 내용으로 치료원칙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약물을 배합하여 치료에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지금 현재 대부분의 한의 의료현장에서는 한의 개념에 기반한 시스템 사용이 아니라 대부분 양방 솔루션의 기능을 가져다가 변환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iental medicine, medical practice can be divided into diagnosis and prescription. Photographing is performed to collect and analyz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and cause after the patient's visit (四 診 法: 望 診, 問診, 聞 診, Diagnosis is decided based on the diagnosis of dialectic and dialectical theory, and medical treatment of prescription is performed based on this. In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means the combination of various drugs based on the principle of treatment, which is the principle of drug mixing. However, at present, most Korean medical sites are not using the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Han, but most of them take the functions of both solutions and convert them to use them.

한편, 이러한 병원정보시스템의 선행 연구 및 시스템 구축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병원정보시스템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의사의 처방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시스템인 처방전달시스템(OCS:Order Communication System)에서 출발이 하였고, 단순한 텍스트(text) 기반이 아닌 의료영상정보 전달을 위한 영상정보전달시스템(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과 임상검사결과를 운영하는 임상병리정보시스템(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을 거쳐 현재는 전자의무기록(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의무기록 데이터들이 디지털화됨으로서 paperless 환경이 구현되고,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 등 기계적 정보가 효율적으로 관리됨으로 병원의 경영 효율을 높이며, 대기 시간 단축, 정확한 정보 전달 등 환자에 대한 서비스가 개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ceding research and system building trend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s as follows. The application softwar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riginated from the 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a system that delivers doctor's prescription information accurately and quickly through the network, and delivers medical image information that is not just text-based. Now, the Medical Medical Record (EMR) has become commonplace through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and the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 which operates clinical test results. There is a trend. Medical records are digitiz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realize a paperless environment, and mechanical information such as video and audio data can be efficiently manag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hospitals, improve waiting time, and improve patient services such as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It is becoming.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서 국가보건의료정보화 기획, 개인건강기록관리(EHR:Electronic Health Record) 아키텍처 개발, 임상콘텐츠모형 개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을 주 연구내용으로 수행하고 있는 EHR 핵심공통기술연구개발사업단에서는 현재 특정 지역 내에서 대형병원과 소형병원간의 EMR 시스템 간의 데이터 호환 및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EHR에 대한 연구개발 및 시범 시스템 구축단계까지 진행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용에 양방의학에서 다루는 처방전달시스템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보건의료정보표준화기구인 HL7에서는 보건의료정보시스템의 세부 모듈 별로 work group을 제정하여 목표, 정의, 메시지, 데이터, 코드, 콤포넌트, 예제를 정리하는 문서를 제정하고 있다. 특히 ACTIVE WORK GROUPS 중에서 'Orders and Observations'이 운영 중이며, 처방에 관련된 각 종 데이터의 정의 및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In line with this trend, the c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HR core technologies, which include national health informatization planning,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rchitecture development, clinical content model development, an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development, are conducted. The project team is currently proceeding to the R & D and pilot system construction for EHR aimed at data compatibility and exchange between EMR system between a large hospital and a small hospital in a specific area. Feature included. In addition, the HL7, a health informatio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establishes a work group for each detailed module of the health information system, and establishes a document for organizing goals, definitions, messages, data, codes, components, and examples. In particular, 'Orders and Observations' are operating among ACTIVE WORK GROUPS, and there is a movement to define standards for definition of various data related to prescription and transmission protocol.

처방 프로세스에 한정되어 진행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송원재(2002)는 처방전달시스템에서 스마트카드를 전자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병원과 약국간의 처방전달시스템에 대한 설계 논문을 발표하였다. 김석수(2002)는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환자가 지정한 약사에게 자동 전송하여 조제할 수 있도록 양/한방 겸용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off-line상에서 진료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약사에게 전송하여 조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3자간의(의사, 약사, 환자) 상호대화형 원격진료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In a previous study limited to the prescription process, Song Won-jae (2002) published a design paper on the prescription delivery system between a hospital and a pharmacy with the purpose of using a smart card as an electronic medium in the prescription delivery system. Kim Seok-soo (2002) designed a system for both / heral medicine so that the patient's electronic prescription can be automatically sent to the pharmacist designated by the patient. In addition, we presented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three-way interactive medical examination system (doctor, pharmacist, patient) with the ability to transmit and prepare the electronic prescription of patients treated off-line to the pharmacist.

이러한 연구의 모든 기반은 서양의학 관점에서 의료정보의 효율적 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연구이며, 한의학적 개념과 진료프로세스에 적합한 처방지원방안이나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김기왕(2009)은 현재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방 솔루션 제품에 대해서 건강심사평가원에 보험 수가 청구를 위한 EDI 데이터 연결을 위주로 전자차트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제품이 다수이나 처방전달 및 조제지원 기능을 가진 솔루션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The basis of all these studies is the stud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medicine, and there are few studies related to prescription support or information system suitable for oriental medical concepts and treatment processes. Kim Ki-wang (2009) shows that there are a number of products that provide the electronic chart function for the connection of EDI data for billing insurance claims to the Health Review & Assessment Service for the herbal solution products currently operated by the Oriental Hospital and Oriental Medical Center.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few solutions with.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한의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서 한의 의료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본처방 및 처방가감, 약재독성, 금기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한의사의 효율적인 처방결정 지원 및 부적절한 오남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약재 관리, 환자 처방이력 관리 기능 등을 추가하여 진료 및 원무, 행정을 포함하는 한의병원정보시스템의 독립적인 모듈로서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art of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riental medical services by providing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basic prescription and prescription value, drug toxicity, contraindication information, etc. Provides information on effective prescription decision and inappropriate misuse of oriental medicine by adding medicine management, patient prescription history management function, and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module of orient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medical treatment,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on. It is.

본 발명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은, 한의학 테이터에 의해 구축된 정보를 저장하는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 일정한 카테고리에 의해 상기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처방명이 검색되는 처방명 검색부, 상기 검색된 처방명이 출력되는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 및 상기 검색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이 출력되는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를 포함하는 처방전 모듈; 및 상기 처방전 모듈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따른 처방 정보 및 이에 상응하는 구성 약재가 출력되는 구성 약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orean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comprising: a Korean medicine database server for storing information constructed by Korean medicine data;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for retrieving the prescription name from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by a certain category, a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arched prescription name, and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milar prescription name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prescription name A prescription module comprising; And a constituent medicine module for outputting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stituent medicine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selected in the prescription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한의학 서적, 한의학 논문, 한의학 EMR 및 웹문서에 근거한 테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based on the oriental medicine books, oriental medical papers, oriental medical EMR and web documents are stor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한 카테고리는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category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prescription name, source,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primary ca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전 모듈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약속 처방명이 출력되는 약속 처방명 출력부; 및 사용자가 작성한 최근 처방명이 출력되는 최근 처방명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cription module,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specified in advance by the user; And a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cent prescription name written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상기 약속 처방명 출력부 및 상기 최근 처방명 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처방명이 출력되고,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상기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rescription name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and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is output to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and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is similar to the selected prescription name. The prescription name is out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는,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처방명 중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may output a similar prescription name corresponding to a prescription name selected from one or more prescription names listed in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 및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처방명, 상기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및 출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and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prescription name, the constituent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efficacy, primary care, the source and the source is further output. .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출력된 구성 약재가 가감될 수 있도록 구성 약재 가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stituent medicinal herb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stituent medicinal herbs module so that the output constituent medicinal herbs can be added or subtra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 약재 가감 모듈은 약상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상자는 약재명, 약재에 따른 효능, 주치, 귀경 및 성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stituent medicinal herbs module further comprises a medicine box, the medicin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st including any one of the name of the medicine, the efficacy according to the medicine, primary care, earrings and temp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약재에 따른 기본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약대 사전 모듈; 및 약재에 따른 독성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독성 사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the medicine dictionary dictionary module that can be retrieved the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And a toxicity dictionary module in which toxi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can be searched fur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판단하는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stituent medicinal herb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dicinal upper half, upper phase, contraindica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tituent medicinal herbs, upper and lower, contraindi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전 모듈에는, 상기 구성 약재 모듈에 출력된 구성 약재에 추가적인 약재를 더 추가할 수 있는 합방 여부 선택 모듈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rescri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r not selection module that can further add an additional medicine to the constituent medicine output to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환자가 검색될 수 있는 환자 정보 검색부; 및 검색된 환자에 상응하는 환자 정보 중 처방이력사항이 출력되는 처방이력사항 출력부로 구성된 환자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atient information search unit that can search for a specific patient; And a patient information module configured as a prescription history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scription history information among pat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patient.

본 발명에 따르면, 한의 의료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본처방 및 처방가감, 약재독성, 금기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한의사의 효율적인 처방결정 지원 및 부적절한 오남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약재 관리, 환자 처방이력 관리 기능 등을 추가하여 진료 및 원무, 행정을 포함하는 한의병원정보시스템의 독립적인 모듈로서 활용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oriental medicine, providing basic prescription and prescription value, drug toxicity, contraindication information, etc., provides information on efficient prescription decision support and inappropriate abuse Also, by adding medicine management, patient prescription history management, etc., i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module of orient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medical treatment,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근거하여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처방명을 검색할 수 있고, 사용되는 약재의 기본 정보 및 독성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처방에 포함되는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처방 결정을 지원하며 부적절한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cription name can be searched by any one of prescription name, application,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and physician based on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and basic information and toxicity information of the medicine used can be read. By automatically judging whether the constituent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 are contradictory, extravagant, or contraindicated,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support prescription decisions and prevent inappropriate mis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메인 화면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ethod of supporting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main screen of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8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버(server)" 또는 "모듈(module)"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특히 데이터의 전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물리적으로 구분된 구획은 아님에 주의한다. Meanwhile, the term "server" or "module" as used herein refers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n particular, a unit for processing a data processing function or operation of data, and a physical Note that it is not a compartment separated b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입력(input)"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소정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통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출력(output)"은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소정의 데이터 출력 장치를 통해 일정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입력 수단과 출력 수단은 종래 공지된 어떠한 수단이어도 무방한바,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수단들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The term "input"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act of writing data to a data processing device via a predetermined data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and "output" means a monitor or printer. The act of visually expressing certain data to a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data output device. The input means and the output means may be any means known in the art, and thus description of specific means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용자(user)"는 한의사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개인을 의미하며, 이러한 개인들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소정의 장치를 단순히 데이터 기록, 클릭, 드래그 등의 행위를 수행할 뿐 기타 다른 인위적 행위는 수행하지 않음을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속처방명"은 양학 및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병원에서 각 진료과목별로 여러 의사 또는 한의사가 진료를 하는 경우 각 진료과목별로 공통적이고 다빈도로 사용되는 처방의 명칭(처방명, 기본구성약재 및 대체 사용가능약재, 약재별 사용용량 등)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user" refers to a number of individuals who can use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a medical doctor, who simply refer to any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Note that data recording, clicking, dragging, and other actions are performed, but not other artificial actions.
As used herein, the term "provisional prescription name" is a general term used in pharmacy and oriental medicine, and the name of prescription used in common and frequently used medical treatments when multiple doctors or oriental medical practitioners are treated by each medical treatment at a hospital ( Prescription name, basic composition and alternative medicines, dosages for each medicine, etc.).

<실시예><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메인 화면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method of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is a main screen of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은 환자 정보 모듈(200),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 처방전 모듈(400) 및 구성 약재 모듈(5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edicinal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system includes a patient information module 200, a medicinal database server 300, a prescription module 400, and a constituent medicine module 500.

환자 정보 모듈(200)은 도 3의 메인 화면의 좌측부에 도시된 부분으로서, 환자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환자의 성명이 검색될 수 있는 환자 정보 검색부(210) 및 검색된 환자에 상응하는 환자 정보 중 처방이력사항이 출력되는 처방이력사항 출력 모듈(220)을 포함한다. The patient information module 200 is a part shown in the left part of the main screen of FIG. 3, and the patient information is output. Specifically, the patient information search unit 210 and the retrieved patient may search for the name of the patient. Prescription history information output module 220 that outputs the prescription history of the pat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즉, 환자 정보 모듈(200)에는 사용자가 환자의 성명을 검색하는 경우에 별도의 환자 접수 시스템(도시 안됨)으로부터 차트 넘버, 성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기본 인적 사항과, 별도의 진단 시스템(도시 안됨)으로부터 환자의 주증상 및 부증상, 상기 증상에 따른 진단명이 출력되게 되며, 또한 검색된 환자의 성명에 상응하는 환자 정보 중 처방이력사항(진단 및 처방 날짜, 진단명, 처방명, 구성약재를 포함함)이 출력되게 된다. That is, the patient information module 200 includes basic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hart number, gender, social security number, and a separate diagnosis system (not shown) from a separate patient reception system (not shown) when a user searches for a patient's name. From the patient's main symptoms and sub-symptoms, the diagnosis name according to the above symptoms will be output, and also the prescription history (including diagnosis and prescription date, diagnosis name, prescription name, constituent medicine) in the pat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patient name Will be output.

한편, 본 명세서에서, 환자 정보 모듈(200)은 환자의 성명을 검색함으로써 환자 정보가 출력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환자의 차트 넘버 등 다른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환자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atient information module 200 is described as outputting patient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a patient's nam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patient information may be output by searching for other information such as a chart number of a patient. Note.

도 4에는 환자 등록 화면이 도시되는데, 상기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접수 시스템과 진단 시스템에서 환자의 기본 정보(차트 넘버, 성명, 성별, 나이,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환자 식별에 필요한 기본 인적 사항)와 진단 결과(환자의 증상, 예를 들면, 주증상, 부증상 및 진단 결과 등)가 기본적으로 입력되어 환자 정보 모듈(200)로 자동적으로 넘어오는 것을 전제로 구현된다.
4 shows a patient registration screen. As shown in the screen, basic information of a patient in a patient reception system and a diagnosis system (basic personal information required for patient identification such as chart number, name, gender, age, social security number) And a diagnosis result (for example, a patient's symptoms, for example, a main symptom, a sub symptom, a diagnosis result, etc.) are basically inputted and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patient information module 200.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 및/또는 외부 데이터로부터 한의학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검색 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포함되는 자료로서, 한의학 서적(310), 한의학 논문(320), 한의학 EMR(330) 및 기타 웹 문서(340)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한의원으로부터 한의학 EMR(330)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 서버를 구축하고 검색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보안 정보가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collects and stores oriental medicine related data from internal data and / or external data of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system, and provides data as a search result for various search requests of the user. As the material included in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the oriental medicine books 310, the oriental medical thesis 320, the oriental medicine EMR 330, and other web documents 340 may be used. In particular, by collecting the oriental medical EMR (330) data from a number of oriental medical doctors can build a data server more effectively and present the search results. In this case, it is of course preferable that the personal security information is deleted.

처방전 모듈(400)은 도 3의 메인 화면의 중간부에 도시된 부분으로서, 처방명 검색부(430),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40) 및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50)를 포함한다. 또한, 약속 처방명 출력 모듈(410) 및 최근 처방명 출력 모듈(4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합방 여부 선택 모듈(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cription module 400 is a portion shown in the middle of the main screen of FIG. 3, and includes a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430, a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40, and a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50. In addition,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module 410 and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module 420 may further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bination selection module 460.

처방명 검색부(430)는 일정한 카테고리에 의해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처방명이 검색되도록 구성되며,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40)는 검색된 처방명이 출력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50)는 검색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즉, 해당 처방과 동일/유사한 효능이나 주치를 가지고 있는) 유사 처방명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430 is configured to search for a prescription name from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by a certain category,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4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searched prescription name, and outputs a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Module 450 is configured to output a similar prescription name that corresponds to the retrieved prescription name (ie, has the same / similar efficacy or attendance as the prescription).

여기서, 일정한 카테고리는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지 않은 카테고리가 더 추가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Here, it is noted that a certain category is any one or more of a prescription name, a source, a classification, a medicine, an efficacy, an attending physician, and a category not described herein may be further added.

이와 같이 복수의 카테고리가 설정된 이유는 사용자별 본초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처방명 이외 병증에 따른 처방의 효능이나 주치 정보 및 특정 본초를 포함한 처방 검색 역시 실제로 많이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검색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re set is based on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herbal medicine, and thus,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ther than the prescription name, the physician's information, and the prescription search including the specific herbal medicine are also used in many ways. To provide a condition.

이러한 처방전 모듈(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일정한 카테고리에 의해 처방명을 검색하는 경우에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처방명, 상기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및 출처 등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아 해당 처방명, 상기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및 출처가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40)에 출력되게 된다. 이때, 일정한 카테고리에 기재된 단어나 입력 내용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처방명이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40)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처방명 중에서 하나의 처방명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선택된 하나의 처방명에 상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사 처방명, 각각에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등이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50)에 출력되게 된다. Looking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cription module 400, when a user searches for a prescription name by a certain category from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prescription name, constituent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efficacy, primary care, exhibition and Receiving the data on the source and the like, the prescription name, the constituent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efficacy, primary care, source and source is output to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40. In this case, one or a plurality of prescription names may be output to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40 according to words or input contents described in a certain category. When the user selects one prescription name among a plurality of prescription names, one or more similar prescription nam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escription name, and the constituent medicine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s, efficacy, primary care, and exhibiting are similar.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50 is output.

한편, 처방전 모듈(400)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약속 처방명이 약속 처방명 출력부(410)에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작성한 최근 처방명이 최근 처방명 출력부(420)에 출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cription module 400 may output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to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10, and the latest prescription name crea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to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20.

즉, 사용자는 특정한 환자와 상관 없이 약속 처방 관리를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약속 처방명을 미리 입력해 놓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약속 처방명이 약속 처방명 출력부(410)에 출력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최근에 작성하였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최근 처방명이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최근 처방명이 최근 처방명 출력부(420)에 출력되게 된다.That is, the user may input one or more specific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s in advance through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management regardless of the specific patient, and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is output to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10. In addition, a user may store one or more recent prescription names that he or she has recently written in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and the latest prescription names are output to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20.

만약, 사용자가 일정한 카테고리에 의해 처방명을 검색하지 않거나 검색을 한 후에라도, 약속 처방명 출력부(410) 및 최근 처방명 출력부(420)에 기재되어 있는 처방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로부터 처방명 및 이와 관련된 자료를 제공 받아 해당 처방명, 상기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및 출처가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40)에 출력되며, 선택된 처방명에 유사한 처방명 및 이에 관련된 정보들이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450)에 출력되게 된다.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rescription names described in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10 and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20 even after the user does not search or search the prescription name by a certain category, Receiving a prescription name and related data from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the prescription name, the constituent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efficacy, primary care, source and source are output to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40, Prescription names similar to the selected prescription name and related information are output to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50.

처방전 모듈(400)에는 후술되는 구성 약재 모듈(500)에 출력된 구성 약재에 추가적인 약재를 더 추가할 수 있는 합방 여부 선택 모듈(460)이 더 제공된다. 이러한 합방 여부 선택 모듈(460)은 사용자가 합방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복수의 처방명을 검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구성 약재 모듈(500)에 출력된 구성 약재에 추가적인 약재를 더 추가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cription module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bination or not selection module 460 that can further add an additional medicine to the component medicine output to the component medicine module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mbination or not selection module 460 can search for a plurality of prescription names by the user clicking on the combination button, thereby allowing additional medicine to be added to the constituent medicine outputted to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500.

구성 약재 모듈(500)은 도 3의 메인 화면의 우측부에 도시된 부분으로서, 처방전 모듈(400)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따른 처방 정보를 출력하는 처방 정보 출력 모듈(510), 처방전 모듈(400)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구성 약재가 출력되는 구성 약재 출력 모듈(520)을 포함한다. Constituent medicine module 500 is a portion shown in the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of Figure 3,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the prescription module 400 for outputting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selected in the prescription module 400 Constituent medicinal herbs output module 520 outputs the constituent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selected in the.

즉, 사용자가 처방전 모듈(400)에서 특정한 처방명을 선택하게 되면, 처방 이름, 처방의 출전에 근거한 첩약수, 기본 용량 등의 처방 정보가 자동적으로 처방 정보 출력 모듈(510)에서 출력되고 또한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구성 약재가 구성 약재 출력 모듈(520)에서 출력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rescription name in the prescription module 400, prescrip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rescription name, the number of medications based on the appearance of the prescription, the basic dose, etc. are automatically output from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and selected. The constituent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is output from the constituent medicine output module 520.

구성 약재 모듈(500)은 출력된 구성 약재가 가감될 수 있도록 약상자부(570) 및 약재 추가부(580)로 구성되는 구성 약재 가감 모듈(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nent medicine module 500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medicine adding / reducing module 560 configured of the medicine box part 570 and the medicine adding part 580 so that the output component medicine may be added or reduced.

이때, 약상자부(5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의원에서 실제로 예전부터 사용되던 약장과 유사하게 화면이 구성된다. 이러한 약상자부(570)는 약장의 사용이 익숙한 사용자가 처방 작성시 보다 친숙하게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 것임을 유의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5, the medicine box 570 is configured in the screen similar to the medicine cabinet that has been used in practice in the traditional medicine. Note that the medicine box 570 is configured to be more familiar to the user who is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medicine cabinet when writing a prescription.

구체적으로, 약상자부(570)에는 약상자와 유사하게 생긴 상자에 각각의 약재명이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약상자부(570)의 약상자를 드래그 또는 클릭함으로써 사용자는 출력된 구성 약재의 수정 및 삭제뿐만 아니라 새로운 약재를 출력된 구성 약재에 추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약상자에 사용자가 원하는 약재가 없는 경우에는 약재 검색 프레임을 이용하여 출력된 구성 약재의 수정 및 삭제, 가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약재 검색 프레임에는 약재 리스트가 존재하게 되며, 약재 리스트에는 약재명, 각각의 약재에 따른 효능, 주치, 귀경 및 성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ecifically, each medicine box name is described in the medicine box part 570 similar to the medicine box. By dragging or clicking the medicine box of the medicine box part 570, the user can add new medicine to the output medicine, as well as modifying and deleting the output medicine.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medicine desired by the user in the medicine box,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dification, deletion, and addition of the outputted medicines using the medicine search frame. In this case, the medicine search frame is present in the medicine list, the medicine lis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name of the medicine, the efficacy, primary medicine, earring and temper according to each medicine.

약재 추가부(580)는 색인 검색을 통하여 약재를 추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은 약상자부(57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dicine adding unit 580 is to add the medicine through the index search, such a function is similar to the medicine box 570,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약상자부(570)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약상자부 관리 화면은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약상자 화면의 약재 버튼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드래그를 통하여 위치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해당 약재의 버튼 위에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커서를 올려놓으면 해당 약재의 한글명이 도움말처럼 보여지게 된다. 또한, 약재 검색을 통하여 새로운 약재명을 검색하여 새로운 약상자를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The medicine box unit 570 may be managed by a user, and the user medicine box managing screen of the user is illustrated in FIG. 6. As shown in Figure 6, the user may add or delete the medicine button on the medicine box screen, or change the location by dragging and storing, and at this time, if the mouse or keyboard cursor is placed on the button of the medicine Hangul names will look like hel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 new medicine name through the medicine search to add and save a new medicine box.

한편, 사용자의 처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구성 약재 모듈(500)은 약재에 따른 기본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약대 사전 모듈(540); 및 약재에 따른 독성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독성 사전 모듈(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user's prescription,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500 includes a medicine dictionary dictionary module 540 that can be retrieved the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And a toxicity dictionary module 550 in which toxi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may be searched.

약대 사전 모듈(5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의 첫글자의 초성에 해당하는 버튼을 입력하면 약재 리스트에 해당 약재의 검색 결과가 출력된다. 이때 약재 리스트에서 약재명을 클릭하면 해당 약재와 구성을 갖는 약재 리스트가 검색되게 되며, 구성된 약재 리스트를 선택하면 배오 효능, 주치, 일일 사용량, 임상 경험 등의 정보가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7, the medicine dictionary dictionary module 540 input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letter of the first letter of the medicine to output the search result of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list. At this time, if you click on the name of the medicinal herbs in the list of medicinal herbs and the list of medicinal herbs are searched, and if you select the configured medicinal list, information such as germ efficacy, primary care, daily usage, clinical experience is output.

독성 사전 모듈(5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재의 첫글자의 초성에 해당하는 버튼을 입력하면 약재 리스트에 해당 약재의 검색 결과가 출력된다. 이때 약재 리스트에서 약재명을 클릭하면 약재의 한글명, 한자명, 최소 중동량, 잠복기, 중독증상, 중독 예방법, 한의 치료법 등의 정보가 출력된다. As illustrated in FIG. 8, when the toxicity dictionary module 550 inputs a butt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letter of the first letter of the medicine, a search result of the medicine is output on the medicine list. At this time, if you click on the name of the medicinal herbs in the list of herbs, information such as Hangul name, Chinese characters name, the minimum amount of Middle East, incubation period, symptoms of addiction, prevention of poisoning, herbal medicine treatment, etc. are displayed.

구성 약재 모듈(500)은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판단하는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cinal herb module 500 may further include a medicinal herb antagonist, ancestor, and contraindications determining unit 59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stituent medicinal herbs are upper half, upper phase, or contraindication.

이러한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590)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원하는 구성 약재와 처방명을 저장하기 위해 저장 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590)는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에 근거하여, 기 구성된 약재들이 18反, 19畏 및 기타 금기배오 본초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예를 들명 경고 알람을 통하여 이를 알려주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구성 약재의 저장 여부를 다시 한번 고려하게 되며 구성 약재를 수정하거나 이를 알면서도 필요에 의해 저장하게 된다.
Looking at the role of such medicinal herbs, upper and lower, taboo bae decision unit 590 as follows. When the user enters the save button to store the desired composition and prescription name, the medicine upper, upper, and contraindications determination unit 590 is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herbs are 18, 19, and other taboos, so as to inform the user through a warning alarm, for example. Through this, the user may once again consider whether or not to store the constituent medicine and modify or save the constituent medicine as needed while storing it.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방법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에 따른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반드시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2, it will be briefly described a method for supporting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ed that such a method of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for oriental medicine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method of using the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ethod.

사용자가 환자 정보 검색부(210)에서 환자의 성명을 검색한다. 검색된 환자의 성명에 의하여, 1) 별도의 환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차트 넘버, 성별,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기본 인적 사항과, 별도의 진단 시스템으로부터 환자의 주증상 및 부증상; 및 상기 증상에 따른 진단명이 출력되며, 2) 진단 및 처방 날짜, 진단명, 처방명, 구성약재 등으로 구성된 처방이력사항이 출력된다. The user searches for the patient's name in the patient information search unit 210. According to the retrieved patient's name: 1) basic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hart number, gender, social security number from a separate patient reception system, and major and minor symptoms of the patient from a separate diagnostic system; And a diagnosis name according to the symptom, and 2) a prescription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a diagnosis and prescription date, a diagnosis name, a prescription name, and a constituent medicine is output.

한편, 3) 사용자가 약속 처방 관리를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한 약속 처방명을 미리 입력한 경우에는 특정한 약속 처방명이 약속 처방명 출력부(410)에 출력되게 되며, 4) 사용자가 최근에 작성한 처방명이 있는 경우에는 일정 기간 동안의 처방명이 최근 처방명 출력부(420)에 출력되게 된다.Meanwhile, 3) when the user inputs one or more specific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s in advance through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management, the specific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is output to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10, and 4) the prescription that the user has recently written. If there are, the prescription n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is output to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420.

사용자는 이러한 출력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약속 처방 자료 및 최근 처방 자료를 이용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약속 처방 자료 및 최근 처방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속 처방 자료 및 최근 처방 자료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입력한다. 반면에 약속 처방 자료 및 최근 처방 자료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방명 검색 여부 판단 단계로 진행된다. Based on this output information,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data and the latest prescription data. When using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data and the latest prescription data, the prescription is input using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data and the latest prescription data. On the other hand, if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data and the recent prescription data are not use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prescription name search.

사용자는 처방명 검색부(430)에서 다양한 카테고리(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 이상)를 이용하여 처방명을 검색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 처방명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합방을 이용할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합방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방명을 검색하여 약재를 구성하고, 합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처방명을 검색하고 임시 기억한 후 처방명을 추가 검색하는 등의 절차를 걸쳐 약재명을 입력하게 된다. 반면에 처방명을 검색하지 않는 경우에는 약상자부(570) 및 약재 추가부(580) 등을 통하여 약재명을 입력한다.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430 searches for the prescription name using any one or more of various categories (prescription name, source,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primary care). When searching for a prescription na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use a combination.If not using a combination, the prescription name is searched to construct a medicine, and when using a combination, the prescription name is searched for and stored temporarily. You can enter the name of the medicine through a procedure such as further search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cription name is not searched, the medicine name is input through the medicine box unit 570 and the medicine adding unit 580.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약재명을 입력한 후, 사용자는 처방전 수정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수정 사항이 있다면 구성 약재를 수정하고 없다면 즉시 저장 버튼을 클릭하게 된다. After entering the drug name through this series of procedures, the user will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rescription modification. If there are modifications, you will immediately click the Save button if you are not modifying the configuration terms.

저장 버튼이 입력되면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590)는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에 근거하여, 기 구성된 약재들이 18反, 19畏 및 기타 금기배오 본초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이에 해당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 또는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방전을 저장하게 된다. 경고 또는 알람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다시 한번 저장 여부를 선택하게 되며, 구성된 약재의 수정 또는 저장을 진행하게 된다. When the save button is input, the medicinal herb, the extraordinary, taboo gestation judging unit 590,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300, whether the pre-configured medicinal herbs are 18, 19, and other taboo Will be judged. If this is the case, a warning or alarm message is output to the user, otherwise the prescription is saved. After confirming the warning or alarm message, the user selects whether to save it again and proceeds to modify or save the configured medicine.

이러한 방식으로 처방전이 저장되면 이러한 자료는 각종 통신 방식을 통하여 탕약실로 전송되게 되며, 창방 등록 대상 여부인지에 따라 창방 등록을 수행하거나 아니면 창방 등록 없이 다음 환자로 넘어가게 된다. When the prescription is stored in this manner, thes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medicine chamber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window regist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window registration target or not, or proceed to the next patient without the window registration.

구체적으로, 확정된 처방 데이터는 탕제실로 연계되어 한의사 또는 간호사가 조제업무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만약 해당 한의원/한방병원이 각 약재별 재고량을 기입해두었을 경우 처방전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약재 재고 관리를 할 수 있게 지원된다. 자주 쓰는 약재에 대해서는 약재구입시 약재의 진품 및 좋은 품질약재감별을 위해 식약청관능검사정보를 제공하고 구입한 약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자주 쓰는 약재에 대한 관리정보도 구축, 제공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escribed prescription data is used to perform the dispensary work by the oriental medicine doctor or nurse in connection with the pill room. It is supported. For the most commonly used medicinal herbs, KFDA can provide the KFDA sensory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uthentic and good quality medicinal herbs, and also establish and provide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frequently used medicinal herb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purchased medicinal herbs.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환자는 주증, 소증, 총 용량(탕약파우치 개수 등), 복용법, 복용주의사항, 생활관리, 다음 방문일자 등이 적힌 처방전을 발행받을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patient is finally able to receive a prescription containing the main symptom, microtia, the total dose (such as the number of drops of pouch), the method of taking, the precautions for taking care, the lifestyle management, and the next visitor.

이상, 여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과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llowing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환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서버
200 : 환자 정보 모듈
210 : 환자 정보 검색부
220 : 처방 이력 사항 출력 모듈
300 :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
310 : 한의학 서적
320 : 한의학 논문
330 : 한의학 EMR
340 : 웹문서
400 : 처방전 모듈
410 : 약속 처방명 출력 모듈
420 : 최근 처방명 출력 모듈
430 : 처방명 검색부
440 :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
450 :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 모듈
460 : 합방 여부 선택 모듈
500 : 구성 약재 모듈
510 : 처방 정보 출력 모듈
520 : 구성 약재 출력 모듈
530 : 사전 모듈
540 : 약대 사전 모듈
550 : 독성 사전 모듈
560 : 구성 약재 가감 모듈
570 : 약상자
580 : 약재 추가부
590 : 약재 상반,상외,금기배오 여부 판단부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 patient information database server
200: patient information module
210: patient information search unit
220: prescription history output module
300: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310: Oriental Medicine Books
320: Korean Medicine
330: Oriental Medicine EMR
340: Web document
400: Prescription Module
410: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module
420: Latest prescription name output module
430: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440: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module
450: module similar list output module
460: selection module
500: constituent medicine module
510: prescription information output module
520: constituent medicine output module
530: dictionary module
540: Pharmacy Dictionary Module
550: Toxic Dictionary Module
560: medicinal herbs modulating module
570: medicine box
580: adding herbs
590: Determination of the medicinal herbs, offshore, contraindications

Claims (13)

한의학 데이터에 의해 구축된 정보를 저장하는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
일정한 카테고리에 의해 상기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처방명이 검색되는 처방명 검색부, 상기 검색된 처방명이 출력되는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를 포함하는 처방전 모듈; 및
상기 처방전 모듈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다른 처방 정보 및 이에 상응하는 구성약재가 출력되는 구성 약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처방전 모듈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약속 처방명이 출력되는 약속 처방명 출력부;
사용자가 작성한 최근 처방명이 출력되는 최근 처방명 출력부; 및
상기 검색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이 출력되는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A oriental medical database server for storing information constructed by the oriental medical data;
A prescription module including a prescription name search unit for retrieving a prescription name from the Chinese medicine database server by a predetermined category, and a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arched prescription name; And
It includes a constituent medicine module that outputs the other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nstituent medicine to the prescription name selected in the prescription module,
The prescription module,
An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predefined by the user;
A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recent prescription name written by a user; And
And a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milar prescription name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prescription name.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의학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한의학 서적, 한의학 논문, 한의학 EMR 및 웹문서에 근거한 테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riental medicine databas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stored based on the oriental medicine books, oriental medical papers, oriental medical EMR and web documents,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카테고리는 처방명, 출전, 분류, 약재, 효능, 주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category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prescription name, exhibit, classification, medicine, efficacy, attending physician,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상기 약속 처방명 출력부 및 상기 최근 처방명 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된 처방명이 출력되고,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상기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outputs a prescription name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and the recent prescription name output unit, and a similar prescription nam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escription name is output to the pseudo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는,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처방명 중에서 선택된 처방명에 상응하는 유사 처방명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similar prescription name correspon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selected from the one or more prescription names listed in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 및 상기 유사 처방명 리스트 출력부에는,
처방명, 상기 처방명에 따른 구성 약재, 효능, 주치, 출전 및 출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and the similar prescription name list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cription name, constituent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name, efficacy, attending physicians, exhibitors and sources are further output,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출력된 구성 약재가 가감될 수 있도록 구성 약재 가감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further comprises a component medicinal medicament module to be added, medicinal herbs,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약재 가감 모듈은 약상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약상자는 약재명, 약재에 따른 효능, 주치, 귀경 및 성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스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at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medicine box,
The medicin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st including any one of the name of the medicine, the efficacy according to the medicine, the attending physician, jinja and temper is provided,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약재에 따른 기본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약대 사전 모듈; 및
약재에 따른 독성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독성 사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Medicine dictionary dictionary module that can be retrieved the bas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And
Further comprising a toxicity dictionary module that can be retrieved toxic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dicine,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약재 모듈은,
구성 약재의 상반, 상외, 금기배오 여부를 판단하는 약재 상반, 상외, 금기배오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ituent medicine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dicinal upper and lower, upper, and contraindications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pper and lower, upper and lower taboo of the constituent medicine,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모듈에는,
상기 구성 약재 모듈에 출력된 구성 약재에 추가적인 약재를 더 추가할 수 있는 합방 여부 선택 모듈이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escrip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is further provided to add the additional medicine to the component medicine outputted to the component medici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특정한 환자가 검색될 수 있는 환자 정보 검색부; 및
검색된 환자에 상응하는 환자 정보 중 처방이력사항이 출력되는 처방이력사항 출력부로 구성된 환자 정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의학 처방 및 조제 지원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patient inform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specific patien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tient information module consisting of a prescription history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prescription history of the pat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patient,
Chinese medicine prescription and dispensing support system.
KR1020100131439A 2010-12-21 2010-12-21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KR101249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39A KR101249528B1 (en) 2010-12-21 2010-12-21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439A KR101249528B1 (en) 2010-12-21 2010-12-21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45A KR20120070045A (en) 2012-06-29
KR101249528B1 true KR101249528B1 (en) 2013-04-01

Family

ID=4668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439A KR101249528B1 (en) 2010-12-21 2010-12-21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5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234A (en) 2022-05-13 2023-11-21 (주)헬리큐어 Method for supporting medical treatment and syste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00B1 (en) * 2013-01-04 2015-02-27 주식회사 한메디 Prescription management service method
US9076115B2 (en) 2013-01-30 2015-07-07 Carefusion 303, Inc. Component based aggregation of medication orders
US11182728B2 (en) 2013-01-30 2021-11-23 Carefusion 303, Inc. Medication workflow management
US9342484B2 (en) 2013-01-30 2016-05-17 Carefusion 303, Inc. Variable dose dispensing system
CA2913040C (en) * 2013-05-23 2021-10-26 Carefusion 303, Inc. Component based aggregation of medication orders
KR101491337B1 (en) * 2013-11-04 2015-02-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mparison and distinction method of korean medicine information
KR101491338B1 (en) * 2013-11-04 2015-0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Models and representations of formula in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ystem
CN104008464A (en) * 2014-06-17 2014-08-27 北京大学第一医院 Hospital pharmacist skill testing and assessment system
KR101681235B1 (en) * 2014-12-31 2016-12-01 (주)한의바이오 Preparation system for customizing oriental medicine
KR102044079B1 (en) * 2017-12-29 2019-11-12 주식회사 버키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KR102276155B1 (en) * 2019-07-17 2021-07-12 구태훈 Preparation system for oriental medic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03A (en) * 1996-03-21 1997-10-03 Kenshiyoudou Seiyaku Kk Method for supporting chinese medicine formulation and its system
JP2006000113A (en) * 2004-05-20 2006-01-05 Masatomo Sakurai Gene used for diagnosis of herbal treatmen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03A (en) * 1996-03-21 1997-10-03 Kenshiyoudou Seiyaku Kk Method for supporting chinese medicine formulation and its system
JP2006000113A (en) * 2004-05-20 2006-01-05 Masatomo Sakurai Gene used for diagnosis of herbal treatmen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234A (en) 2022-05-13 2023-11-21 (주)헬리큐어 Method for supporting medical treatment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045A (en)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528B1 (en) Supporting system for prescription and preparation oriental medicine
AU2011288135B2 (en) An automated integrated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healthcare services.
Knox et al.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telemedicine enhanced chronic heart failure disease management: A meta-analysis
Schmidt et al. Permutations of cooperative work practices: A study of two oncology clinics
US20140038152A1 (en) Medical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Levin et al. Exploring the costs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unsafe abortion in Mexico City before legalisation
JP2016192207A (en) Medical information system
JP2022190131A (en) Medic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server, medical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medical information provision medium, medical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Akram et al. Effective delivery of pharmaceutical palliative care: challenges in the community pharmacy setting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JP5868538B1 (e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by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09211470A (en) Nursing and care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Jardim et al. An overview and a future perspective in health information systems in portugal
JP5602177B2 (en) Medical support system and medical support program
Abd-Ali et al. Web based e-hospital management system
JP5992234B2 (en) Receipt analysis system and analysis method
US20050149357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satisfying health maintenance item expectations in a healthcare environment
Zolot Computer-based patient records
JP5936799B1 (en) Dispensing pharmacy support device used i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dispensing pharmacy support method using this device
KR100538583B1 (en) Method For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For Nurse In On-line
WO2014019050A1 (en) Medical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Rangraz Jeddi et al. Older people home care through electronic health records: Functions, data elements and security needs
Hamilton et al. Automate best practices with electronic healthcare records
US20050246203A1 (en) Crucial and significant (C&amp;S)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display
JP2024005812A (en) Medical relat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medical related information retrieval program and medical relat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