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419B1 -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419B1
KR101243419B1 KR1020060045929A KR20060045929A KR101243419B1 KR 101243419 B1 KR101243419 B1 KR 101243419B1 KR 1020060045929 A KR1020060045929 A KR 1020060045929A KR 20060045929 A KR20060045929 A KR 20060045929A KR 101243419 B1 KR101243419 B1 KR 10124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charging
docking
present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2908A (en
Inventor
권혁민
임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419B1/en
Publication of KR2007011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는 적어도 충전 배터리가 내장되는 로봇 청소기; 상기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는 금속 부재; 상기 로봇 청소기가 도킹 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대; 및 상기 충전대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 결합 되도록 하는 자성 부재가 포함된다.Charging apparatus fo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robot cleaner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 metal member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A charging stand for docking the robot clean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 the charging stand to magnetically couple with the metal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 충전대의 정확한 위치에 도킹 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charg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bot cleaner is dock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로봇 청소기, 로봇 청소기 충전대, 도킹 플레이트 Robot Cleaner,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Docking Plate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Charg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를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harging zon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이스부를 나타낸 저면 부분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 보조 바퀴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cking auxiliary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충전대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Ⅰ-Ⅰ'따라 절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로봇 청소기 18: 충전 단자 홈10: robot cleaner 18: charging terminal groove

19: 도킹 보조 바퀴 20: 충전 배터리 19: docking auxiliary wheel 20: rechargeable battery

24: 금속 부재 40: 로봇 청소기 충전대24: metal member 40: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44: 전원 공급 단자 45: 도킹 플레이트44: power supply terminal 45: docking plate

46: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 48: 자성 부재46: docking auxiliary wheel seating groove 48: magnetic memb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하여 발생 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청소 대상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에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링 장치를 통하여 먼지 등의 이 물질을 필터링 하고 외부로 배출하여 청소 대상을 청결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동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uses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motor mounted inside a cleaner main body, and sucks air containing this substance such as dust from a cleaning object, and then removes dust such as dust through a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It is a device that cleans the object of cleaning by filtering the material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Such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and robot cleaners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m.

로봇 청소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청소구역을 스스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로봇 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영역에 대한 주행 경로를 계획한다. 그 다음으로 센서와 양측에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구동 바퀴를 통하여, 계획된 주행 경로를 주행하면서 청소 대상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한다.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the cleaning area by the input program using a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The robot cleaner determines a cleaning area by driving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a wall or an obstacle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lans a driving path for the determined cleaning area. Then, through the driving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nsor and independently rotated, while driving the planned driving path to suck and clean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n the cleaning object.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는 다시금 충전되는 충전배터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는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외부에서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는 로봇 청소기 충전대와 함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s the battery mounted inside the robot cleaner, a rechargeable battery that is charged again is generally used. Therefore, the robot cleaner is configured as a system together with the robot cleaner charger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from the outsid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그러나, 종래의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가 충전대에 도킹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의 정확한 위치에 도킹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의 부정확한 도킹으로 인하여, 로봇 청소기의 충전 배터리의 충전이 불확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로봇 청소기의 충전단자와 로봇 청소기 충전대의 전원공급단자가 부정확하게 접속되어 스파크가 발생 되어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at the charging stand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bot cleaner is not dock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harging stand of the robot cleaner. And, due to incorrect docking of the robot clea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is uncertain.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are incorrectly connected and sparks are generated to damage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 충전대에 정확하게 도킹 되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which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be accurately docked to the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는 적어도 충전 배터리가 내장되는 로봇 청소기; 상기 로봇 청소기에 구비되는 금속 부재; 상기 로봇 청소기가 도킹 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대; 및 상기 충전대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 결합 되도록 하는 자성 부재가 포함된다.A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t least a robot cleaner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 metal member provided in the robot cleaner; A charging stand for docking the robot clean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 the charging stand to magnetically couple with the metal member.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는 적어도 충전 배터리가 내장되는 로봇 청소기; 상기 로봇 청소기의 바닥부에 구비되 제 1 자성체; 상기 로봇 청소기가 도킹 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대; 및 상기 충전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자성체와 자력 결합 되도 록 하는 제 2 자성체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 least a robot cleaner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 first magnetic materia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A charging stand for docking the robot clean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second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charging stand to be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본 발명에 따른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 충전대의 정확한 위치에 도킹 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charg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bot cleaner is dock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other inven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embodiments which are deteriorated by addi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of other components can be easily proposed.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harging zon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는 탑 커버(12)와 배이스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1)와, 상기 배이스부(13)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이동 되도록 하는 구동 바퀴(14)와, 상기 배이스부(13)의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흡입구(15)와, 상기 배이스부(13)의 뒷부분에 형성되는 보조 바퀴(16)와 상기 배이스부(13)의 앞 부분에 형성되는 도킹 보조 바퀴(19) 및 상기 본체(11)의 테두리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충전단자 홈(18)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obot cleane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 including the top cover 12 and the bass unit 13 and the bass unit 13. Drive wheel 14 to move the robot cleaner 10, the suction port 15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bass portion 13, and the auxiliary wheel 16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bass portion (13) ) And a docking auxiliary wheel 19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s portion 13 and a charging terminal groove 18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edge of the main body 11.

상세히,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적어도 구동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흡입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필터링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동력원으로서 작용하는 충전 배터리(20)가 수용된다.In detail, the main body 11 has at least a driving motor (not shown), a suction motor (not shown), a filtering device (not shown) and the robot cleaner 10. A rechargeable battery 20 that acts as a power source is housed.

더욱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본체(1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이스부(13)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 바퀴(14)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상 기 구동 바퀴(14)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동 바퀴(14)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 바퀴(14)가 각각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1)가 전/후진은 물론 좌/우 방향전환이동 할 수 있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driving motor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 to allow the driving wheels 14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s portion 13 to rotate. The drive motors are formed on the drive wheels 14, respectively, to rotate the drive wheels 14 independently. Thus, the driving wheel 14 is rotated in each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so that the main body 11 can move forward / backward as well as left / right direction change.

그리고, 상기 흡입구(15)는 상기 배이스부(13)의 어느 일 측에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구(15)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5)의 상측에는 먼지 비산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흡입구(15)에 일부 노출되어 상기 본체(11) 내부에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먼지 비산장치는 외주 면에 메인 브러시(17)가 심어지는 회전 드럼(16)과 상기 회전 드럼(16)을 회전하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먼지 비산 장치는 상기 메인 브러시(17)가 심어진 상기 회전 드럼(16)을 회전하여, 피 청소면의 먼지가 털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ction port 15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any one side of the bass portion 13. The suction port 15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In addition, a dust scatter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is partially exposed to the suction port 15 and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1 at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port 15. In detail, the dust scattering apparatus includes a rotating drum 16 in which a main brush 17 is pla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rotat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ng drum 16. The dust scattering apparatus rotates the rotary drum 16 in which the main brush 17 is planted, so that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haken off.

그리고,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먼지 비산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과 일부가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장치는 흡입 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흡입팬을 회전하는 흡입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먼지 비산 장치에 의해 털어진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링 장치로 배기한다.The suction devic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a part of the space in which the dust scatter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detail, the suction device comprises a suction fan (not shown) and a suction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suction fan. The suction device sucks air containing dust shaken off by the dust scattering device and exhausts it to the filtering device.

그리고, 상기 필터링 장치는 내부에 먼지 등의 이 물질이 수거되는 집진통(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이 물질을 거리는 필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필터링 장치는 그 일 측이 상기 흡입장치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본체(11)의 상기 탑커버(12)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필 터링 장치는 상기 필터를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필터링 한다. 그리고, 필터링된 후에 남게 되는 먼지는 상기 집진통에 수집되고, 먼지가 걸러진 깨끗한 공기는 상기 탑커버(12)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과하여 배기 된다.The filtering device is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container (not shown) in which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collected therein and a filter (not shown) separating the material. The filtering device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formed in the top cover 12 of the main body 11. In detail, the filtering device filters the air containing the dust through the filter. And, the dust remaining after the filtering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e dust is filtered clean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2).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앞 부분 테두리에는 충격감지센서(21)와 거리감지센서(2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충격감지센서(21)는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주행할 때 충돌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회피 주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 감지 센서(22)는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주행 경로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고, 계획된 주행 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n impact sensor 21 and a distance sensor 22 are formed o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1. In detail, the impact sensor 21 detects an obstacle that collides when the robot cleaner 10 travels, so that the robot cleaner 10 avoids travel. In addition, the distance sensor 22 may plan the travel path of the robot cleaner 10 and travel the planned travel path.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로봇 청소기(10)에 요구되는 전력 원으로서 작용하는 충전 배터리(20)가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 accommodates the suction battery, the driving motor,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20 serving as a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robot cleaner 10.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상기 탑 커버(12) 앞 부분에는 유도 센서(23)가 형성되어, 후술 되는 로봇 청소기 충전대(40)의 적외선 송신부(4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유도 센서(23)는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로 도킹을 시도하는 경우, 정확한 도킹 위치에 도킹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도 센서(23)의 상측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와 통신하는 통신부(24)가 형성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와 통신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24)는 상기 충전 배터리(20)가 방전되는 경우, 원거리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도센서(23)의 하측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단자 홈(18)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충전 단자 홈(18)은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 충전대(40)에 도킹한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 충전대(40)의 전원 공급 단자(43)와 접촉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20)가 충전되도록 한다.In addition, an induction sensor 23 is formed at the front part of the top cover 12 of the robot cleaner 10, and detect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41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ductive sensor 23 allows the robot cleaner 10 to be docked at an accurate docking position when the robot cleaner 10 attempts to dock the charging table 40 of the robot cleaner. In addition, a communication unit 24 communicating with the charging stand 40 of the robot cleaner is formed above the induction sensor 23 so that the robot cleaner 10 can communicate with the charging stand 40 of the robot cleaner. .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20 is discharged, the communication unit 24 allows the robot cleaner 10 to easily locate the charging stand 40 of the robot cleaner at a distance.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induction sensor 23 is formed by recessing the charging terminal groove 1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20. The charging terminal groove 18 is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 43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40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docked on the robot cleaner charger 40. ) Is charged.

또한, 상기 베이스부(13)에 다수개의 보조 바퀴(16)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 바퀴(16)들은 그 설치방향이 상기 구동 바퀴(14)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이동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진행방향이 원활히 바뀌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보조 바퀴(16) 중 상기 배이스부(13)의 앞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킹 보조 바퀴(19)가 포함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wheels 16 are formed in the base portion 13. These auxiliary wheels 16 ar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14 is rot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0,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0 is smoothly changed. . And at least one docking auxiliary wheel 19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ass portion 13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wheels 16.

이하,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이스부를 나타낸 저면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 보조 바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cking auxiliary wh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킹 보조 바퀴(19)는 상기 배이스부(13)의 앞 부분에 형성되는 보조 바퀴 수용부(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된다.2 and 3,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portion 23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s (13).

상세히,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는 내부에 자력에 의하여 끌려지는 금속 부재(24)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부재(24)의 외주면에 플라스틱 부재(26)가 코팅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의 중앙에는 회전축(25)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회전 홀(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홀(27)의 내주면과 상기 회전축(25)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28)이 개입되어,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5)은 보조 바퀴 수용부(23)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홀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In detail,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is formed by a metal member 24 is attracted by a magnetic force therein, the plastic member 2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member 24 is coated or insert injection. In addition, a rotation hole 27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25 is rotatably penetra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In addition, a bearing 28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hole 27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5 to allow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to rotate smoothly.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25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portion 23, it becomes possible to rotate.

한편, 상기 금속 부재(24)는 후술 되는 도킹 플레이트(45)에 형성되는 자성부재(48)에 의하여 이끌려지고,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도킹 플레이트(45)에 안착 되는 경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0)는 상기 도킹 플레이트(45)에서 요동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etal member 24 is drawn by the magnetic member 48 formed on the docking plate 45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ixed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seated on the docking plate 45. Thus, the robot cleaner 10 is not rocked by the docking plate 45.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충전대(4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obot cleaner charger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충전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 of FIG.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는 내부에 외부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로 정류하고 소정의 전압으로 감압하는 어뎁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충전대 본체(47) 및 상기 충전대 본체(46)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자성부재(46)가 수용되는 도킹 플레이트(45)가 포함된다.4 and 5, the charging stage 40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dapter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receives the external AC power to rectify the DC and depressurizes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rein. The docking plate body 47 and a docking plate 45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harging unit body 46 and accommodating the magnetic member 46 are included therein.

상세히. 상기 충전대 본체(47)의 상면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0)와 통신하는 통신부(42)가 형성되어, 원거리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A communication unit 42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cleaner 1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harging unit body 47 to allow the robot cleaner 10 to return to the charging unit 40 of the robot cleaner from a distance.

또한, 상기 충전대 본체(47)의 상부에는 두 개의 적외선 송신부(41)가 형성되어, 근거리에서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 충전대(40)로 일직선 방향으로 진입되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wo infrared transmitters 41 are formed on the charging unit main body 47 to induce the robot cleaner 10 to enter the robot cleaner charging station 40 in a straight direction at a short distance.

또한, 상기 충전대 본체(47)의 일 측에는 외부전원공급선(51)이 연결되어 상기 어뎁터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어뎁터는 교류의 전원을 인가받아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한다. 그리고 직류로 변환된 전원은 변압기에 의해 감압 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충전 배터리(20)에 충전가능한 전압으로 변환된다. In addition, an external power supply line 5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harging unit main body 47 to supply power to the adapter. In detail, the adapter receives rectified AC power and rectifies the converted AC into DC. Then, the power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is decompressed by a transformer and converted into a voltage chargeable to the rechargeable battery 20 of the robot cleaner 10.

또한, 상기 충전대 본체(47)의 하부에는 전원 공급 단자(44)가 형성되는 충전단자 하우징(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44)는 상기 충전대 본체(47) 내부에 형성되는 변압기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충전 단자 하우징(43)의 앞면이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앞면과 면 접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44)는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상기 충전 단자 홈(18)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어 상기 본체(11)에 장착되는 상기 충전 배터리(20)가 충전된다.In addition, a charging terminal housing 43a in which a power supply terminal 44 is formed is formed below the charging unit body 47. The power supply terminal 44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of a transformer formed inside the charging unit body 47. In detail, the front surface of the charging terminal housing 43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0. The power supply terminal 44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erminal groove 18 of the robot cleaner 10. In this way, the rechargeable battery 20 mounted on the main body 11 is charged.

또한, 상기 충전대 본체(47)의 전방 하단에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도킹 플레이트(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킹 플레이트(45)의 상면에는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이 형성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도킹 플레이트(45)의 상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선택된 위치에 정 위치 되게 한다.In addition, the front lower end of the charging unit body 47 is formed with a docking plate 45 extending for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robot cleaner 10 is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ocking plate 45, the robot cleaner 1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docking plate 45. Place it in the selected position.

상세히, 상기 도킹 플레이트(45)는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45a)와 하 면을 형성하는 버텀 플레이트(45b)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탑 플레이트(45a)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의 형상에 대략 대응되어 함몰되는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의 하측에는, 상기 버텀 플레이트(45b)에서 연직 하여 연장 형성되는 리브(49)들에 의해 형성되는 자성 부재 수용부(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 부재 수용부(50)에는 자력을 발생하는 상기 자성 부재(48)가 수용된다. 이러한 상기 자성 부재(48)는 상기 금속 부재(24)를 포함하는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가 상기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경우,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를 상기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도킹 보조 바퀴(19)가 상기 도킹 보조 바퀴 안착 홈(46)에 안착 되는 경우 고정되도록 한다.In detail, the docking plate 45 includes a top plate 45a forming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plate 45b forming a lower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docking auxiliary wheel seating groove 46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top plate 45a to be recess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In addition, a magne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50 formed by ribs 49 extending and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45b is formed below the docking auxiliary wheel seating groove 46. In addition, the magnetic member 48 that receives the magnetic force is accommodated in the magne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50. The magnetic member 48 may cause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to be positioned in proximity to the docking auxiliary wheel seating groove 46 when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including the metal member 24 is positioned. Guides into docking assist wheel seating groove 46. And, when the docking auxiliary wheel 19 is seated in the docking auxiliary wheel seating groove 46 to be fixed.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금속 부재(24)와 상기 자성 부재(46)에 의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에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의 배이스부(13)에 제 1 자성체를 형성하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충전대(40)에 제 2 자성체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자성체는 자석을 의미하며,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2 자성체는 서로 당기도록 배치됨을 밝혀둔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robot cleaner 10 is prevented from being rocked by the charging table 40 of the robot cleaner by the metal member 24 and the magnetic member 46,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e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may be formed in the basal unit 13 of the cleaner,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may be formed in the charging stand 40 of the robot cleaner. Here, the magnetic material means a magnet, and it is noted that the first magnetic material and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are arranged to pull each other.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 충전대의 정확한 위치에 도킹 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charging devic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obot cleaner is dock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그리고, 로봇 청소기가 로봇 청소기 충전대에 정확하게 도킹 되어, 로봇 청소기의 충전 배터리의 충전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is accurately docked to the robot cleaner charging stand,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charging battery of the robot cleaner.

더 나아가서, 로봇 청소기의 충전 단자 홈과 로봇 청소기 충전대의 전원공급단자가 정확하게 접속되어, 스파크 발생이 방지되어 제품이 보호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는 스파크에 의한 화상 또는 감전사고를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charging terminal groove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robot cleaner charger are correctly connec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parks, thereby protecting the product. In addition, the user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burn or electric shock due to sparks.

Claims (4)

충전 배터리 및 이동바퀴가 포함되는 로봇 청소기;A robot cleaner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wheel; 상기 이동바퀴에 제공되며, 상기 이동바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A rotating shaft provided on the moving wheel and forming a center of rotation of the moving wheel;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배치되는 금속 부재;A metal member disposed outside the rotation shaft; 상기 로봇 청소기가 도킹될 수 있는 도킹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충전대; 및A charging table having a docking plate on which the robot cleaner can be docked; And 상기 도킹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 결합 되는 자성 부재가 포함되고,A magnetic member provided on the docking plate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etal member; 상기 도킹 플레이트에는, The docking plate, 바텀 플레이트; 및 Bottom plate; And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상측에 제공되며,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이동바퀴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가지는 탑 플레이트가 포함되고,A top plate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mounting recess recessed downward to allow the movable wheel to be seated,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안착홈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충전 장치.The magnetic member is a charging device for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seating groove and the bottom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45929A 2006-05-23 2006-05-23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KR101243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29A KR101243419B1 (en) 2006-05-23 2006-05-23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29A KR101243419B1 (en) 2006-05-23 2006-05-23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08A KR20070112908A (en) 2007-11-28
KR101243419B1 true KR101243419B1 (en) 2013-03-13

Family

ID=3909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929A KR101243419B1 (en) 2006-05-23 2006-05-23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4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9879A1 (en) 2004-06-24 2006-01-12 Lynch James K Programming and diagnostic tool for a mobile robot
US11647783B2 (en) 2005-07-19 2023-05-16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8087117B2 (en) 2006-05-19 2012-01-03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bot roller processing
KR101412580B1 (en) * 2007-12-11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gitator cleaning apparatus of robot cleaner and cleaning method of the agitator
EP2661208B1 (en) 2011-01-07 2014-10-08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system
EA037480B1 (en) * 2011-08-16 2021-04-01 Джуул Лэбз, Инк. Low temperature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KR101297677B1 (en) * 2012-05-30 2013-08-21 (주)동부로봇 Robot system for cleaning equipped with a reflector
CN104665704A (en) * 2013-11-30 2015-06-03 镇江康元电器有限公司 Filtering barrel of dust collector
US9462920B1 (en) 2015-06-25 2016-10-11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KR102642531B1 (en) * 2016-12-29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KR20210082181A (en) 2018-10-19 2021-07-02 쥴 랩스, 인크. carburetor pow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896A (en) * 2001-04-18 2002-10-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uly reaching to charging of robot cleaner
JP2005270430A (en) * 2004-03-25 2005-10-06 Funai Electric Co Ltd Station for mobile rob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896A (en) * 2001-04-18 2002-10-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uly reaching to charging of robot cleaner
JP2005270430A (en) * 2004-03-25 2005-10-06 Funai Electric Co Ltd Station for mobil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08A (en)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19B1 (en) Chargeing apparatus for robot vacuum cleaner
US11564545B2 (en) Self-propelled, dust-collecting robot
JP6293084B2 (en)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s
KR101420972B1 (en) Electric cleaner
KR100657736B1 (en) Vacuum cleaner having charging function for robot cleaner
JP642944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70226947A1 (en) Vacuum cleaner with an integrated handheld vacuum cleaner unit
JP409726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238118B1 (en) Charging apparatus for robot cleaner
JP2007181660A (en) Robot cleaning system
CN111150327B (en) Robot cleaner
JP2016073396A (en) Self propelled dust collection robot
KR20060134368A (en) 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JP6552856B2 (en) Cleaning device
KR101208980B1 (en) Separable robot cleaner
CN111685658A (en) Electric sweeper and suction inlet body thereof
JP2016041203A (en) Vacuum cleaner
JP2019166239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JP2016047220A (en) Vacuum cleaner
KR100657737B1 (en) Vacuum cleaner having automatic dust removal function for robot cleaner
CN107374506B (e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system
CN111657792B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7300536B1 (en) autonomous cleaning robot
JP7314232B2 (en) sweeping robot
CN115023166B (en) Robot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