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142B1 - Authent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uthent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142B1
KR101110142B1 KR1020110065344A KR20110065344A KR101110142B1 KR 101110142 B1 KR101110142 B1 KR 101110142B1 KR 1020110065344 A KR1020110065344 A KR 1020110065344A KR 20110065344 A KR20110065344 A KR 20110065344A KR 101110142 B1 KR101110142 B1 KR 10111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terminal
dock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성일
김남학
조홍철
Original Assignee
이츠미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츠미디어(주) filed Critical 이츠미디어(주)
Priority to KR102011006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1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authent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connect a media player to a docking station, thereby easily storing media content. CONSTITUTION: If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are docked, a control unit(170) compares a corresponding pair between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with a corresponding pair between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an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to receive media content from the external terminal in case of an operation mode. In case of the operation mode, an output unit(140) outputs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or media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an external reproducing device.

Description

인증 시스템 {Authentication system}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를 도킹시킴으로써 동작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 수신 및 저장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media p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cking station for receiving and stor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operating by docking the mobile media player.

또한, 본 발명은 도킹 스테이션에서 재생한 방송 정보를 저장하여 이동 중에도 시청할 수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dia player that can store broadcast information played by a docking station so that it can be viewed on the go.

디지털 컨텐츠가 점점 모바일화되고, 디지털 컨버전스 경향이 가속화됨에 따라,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휴대 기기들은 원래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부가적으로 갖추게 되었다.As digital content becomes more mobile and the digital convergence trend is accelerating, portable devices commonly encountered in real life are equipped with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original functions.

예를 들면,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는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캠코더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녹화할 수 있는 기능까지 구비할 수 있게 되었다.For example, most of today's mobile phones have built-in functions of digital cameras and digital camcorders, and the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has the capability to receive and record digital broadcasts.

이와 같은 휴대 기기의 다기능화에 따라, 휴대 기기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에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생산하는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휴대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With such multifunctionalization of portable devices, portable devices have evolved from means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means for produc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while on the other hand, user interfaces of portable devi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따라서, 휴대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휴대 기기에 저장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지털 TV 및/또는 셋톱 박스에 연결하여 재생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a portable device to play digital broadcast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device by connecting to a digital TV and / or a set-top box.

한편, 휴대 기기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휴대 기기의 배터리 용량이나화면 크기 등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감상하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다.On the other hand, even users familiar with mobile devices have limitations such as battery capacity and screen size of the mobile devices, and thus are not a good environment for enjoy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using mobile devices.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CATV, 위성안테나, 지상파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콘텐츠를 이러한 종래의 휴대 기기에 저장하는 경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 저장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storing media content received from CATV, satellite antenna, and terrestrial antenna in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must be stor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왜냐하면,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저장을 위해서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셋톱 박스 또는 디지털 TV에 연결해야 하고, 설정도 변경해야되므로 조작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media player must be connected to a set-top box or a digital TV for storing such media content, and the setting is also changed, which is cumbersome to operate.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셋톱 박스 및/또는 디지털 TV에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도 연결이 가능하므로 보안 유지가 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즉, 아이들의 시청 또는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도 사용을 제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인증이 된 경우에만 디지털 TV 및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의 디지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other media players to the set-top box and / or the digital TV, so there is a problem that security is not maintain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children are not watching or legitimate users can not restrict the use. It is only necessary to be able to watch digital content from digital TVs and other media players if it is certified.

아울러, 휴대 기기는 휴대성 및 이동성 등으로 인해 분실되기 쉬운데, 분실시 휴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는 보안에 취약해진다. 정당한 사용자만 휴대 기기를 사용하도록 하거나 분실시 휴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is easy to be lost due to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when lost, the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device becomes vulnerable to security. There is a need to ensure that only legitimate users use the mobile device or protect content stored on the mobile device in case of los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디어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장하며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시간 및/또는 장소 제약없이 재생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dia player that easily stores media content and enables playback of stored media content without time and / or location constraints.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플레이어와의 연결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플레이어에 전송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cking station that facilitates the transfer of media content to a media player 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with the media player.

또한, 본 발명은 도킹 스테이션에 미디어 플레이어를 연결하는 경우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security by using an authentication technology when connecting a media player to a dock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은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미디어 플레이어에 저장된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data security stored in a media player using an authentication technique.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 단말기를 도킹하여 외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단말기 도킹부, 인증 장치를 도킹하여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인증 장치 도킹부, 및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과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for docking an external terminal to receive exter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unit for docking an authentication device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and an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docke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corresponding pair of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with the corresponding pair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to switch to an operation mod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는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와 도킹가능하며 도킹된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로부터 외부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과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도킹 커넥터, 및 상기 도킹 커넥터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모드에서 잠금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exter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and can be docked with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a docking is performed on an external docking station that outputs an unlocking signal by comparing an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pair with a corresponding pair of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a docking connector for outpu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lock release signal are received from the docking connector. If so,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from the lock mode to the unlock mode.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와 도킹하는 도킹 스테이션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방법은 외부 단말기가 도킹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을 기저장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과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 docking station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method includes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when the external terminal is docked, and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the authentication device is docked And receiving, and compar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ence pair with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ence pair, and switching to an operation mode.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인증 방법은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와 도킹가능하며 도킹된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로부터 외부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과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는 외부 단말기의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인증 방법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uthentication method of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ockable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and receives the exter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docked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respectively,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pairs.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n external terminal docked at a docking station that outputs an unlocking signal by comparing a corresponding pair of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wherein the authentication method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cking station when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And, upon receiving a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docking station, setting the lock release mode.

본 발명에 따르면, 미디어 플레이어 자체를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시킴으로써 미디어 콘텐츠를 용이하게 저장하고, 이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를 시간 또는 장소 제약없이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media player itself to the docking station, the media content can be easily stored, and the media player can be used to play the stored media content without time or place constrai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미디어 플레이어 및 인증 장치와 연결이 되어야 도킹 스테이션이 동작하게 되므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증 장치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모듈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CAS 모듈은 유료 방송 모델의 경우 필요한 장치이므로, 추가 비용 없이 CAS 모듈을 인증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ocking station is operated only when it is connected to the media player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so that the use can be restricted. The authentication device may use a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module. Since the CAS module is a necessary device in the case of a pay broadcast model, the CAS module may be used for authentication at no additional cos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특정 인증 장치와 대응하는 특정 미디어 플레이어만이 도킹 스테이션과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안을 강화되며, 미디어 플레이어 분실시에도 저장된 데이터 유출을 최소로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nly a specific media player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uthent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thereby enhancing security and minimizing data leakage when the media player is l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의 블럭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인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uffixes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인증 시스템은 도킹 스테이션(100), 미디어 플레이어(200), 인증 장치(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authentication system may include a docking station 100, a media player 200, an authentication device 300, and a display device 400.

도킹 스테이션(100)은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을 착탈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에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가 접속된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장치(300)의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0)은,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을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과 비교하여, 등록된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인지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킹 스테이션(100)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변환한다. The docking station 100 may attach or detach the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When the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re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ocking station 1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a player 2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 The docking station 100 compar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pair with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pair, and performs a function of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gistered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re authentic. Once authentication is established, docking station 100 switches from standby mode to operating mode.

도킹 스테이션(100)은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동작 모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 전송 또는 재생 등 도킹 스테이션(100)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다. 대기 모드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기능 중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와의 통신 기능과 기등록된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가 맞는지 인증하는 기능 등의 일부 기능만 활성화된 상태이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vary in operation according to a standby mode and an operation mode. In the operation mode, all functions of the docking station 100 are activated, such as receiving, transmitting, 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In the standby mode, only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docking station 100 are activated, such a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50 and a func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a registered external terminal and an authentication device are correct. It is a state.

동작 모드인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안테나 등을 통해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인 경우에만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미성년자의 TV 사용 제한에 유용할 수 있다.In the operation mode, the docking station 100 may receive digital broadcast content through an antenna or the like. Since the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may be received only in the operation mode, it may be useful for limiting the TV usage of minors.

도킹 스테이션(100)은 수신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해석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A/V) 신호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100)은 수신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신호를 해석하여 A/V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The docking station 100 may interpret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content, output the audio and video (A / V) signal, and transmit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the display apparatus 400. 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100 may transmit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the media player 200. In this case, the media player 200 may interpret the signal and output the signal as an A / V signal.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 재생, 녹화, 및 편집 중 어느 한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The media player 200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storing, playing, recording, and editing digital content. The mobile media player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 tablet computer. (tablet computer), e-book terminal and the like.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접속되면,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식별 정보는 일련번호, ID(identification) 번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media player 2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When the media player 20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media player 2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serial number, an identification number (ID), or a media access control (MAC) address.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있을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잠금 모드인 경우에 특정 기능만 수행하며,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에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전환되거나 일정 주기(예를 들어, 매일 저녁 8시 또는 12시간 마다 등)에 전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잠금 모드로의 전환은 입력부의 입력이나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전환될 수 있다.The media player 200 may be in a locked mode or an unlocked mode. The media player 200 performs only a specific function in the lock mode, and may perform all functions in the unlock mode. The lock mode may be set to be forcibly switched by the user or to be switched at a certain period (eg, every 8 hours or every 12 hours every evening). The switch to the lock mode by the user may be switched through an input of an input unit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도킹 스테이션(100)에 접속되어 도킹 스테이션(100)로부터 인증 신호를 수신한 경우(도킹 스테이션(100)이 동작 모드인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잠금 해제 모드로 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잠금 모드인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도록 설정하여, 아이들의 시청 또는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자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media player 20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and receives an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when the docking station 100 is in an operation mode), the media player 200 enters the unlock mode. Can be. When the media player 200 is in the lock mode, the media player 200 may be configured to not play the stored digital content, thereby limiting the viewing of children or the use of non-legal users.

인증 장치(300)는 인증 코드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인증 장치(300)는 도킹 스테이션(10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시 인증 코드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전송한다. 인증 장치(300)는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도 있다. 인증 코드는,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인 경우,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해석할 수 있는 키코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이나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복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s a device for storing an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and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de to the docking station 100 when connecte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may decrypt the encrypted digital content using an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 may function as a key code capable of interpreting the encrypted data stream when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output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is an encrypted data stream. In this case, the docking station 100 or the media player 200 may perform a decoding function.

인증 장치(300)는 특히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모듈(250)은 조건부 제한수신 서비스를 만족할 수 있게 하는 제한 수신 시스템으로, 위성 안테나, 지상파 안테나, CATV 등을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스크램블링되는 경우, 수신측의 수신인가를 받은 가입자만이 이 스크램블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may in particular comprise a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module. The 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module 250 is a conditional access system that can satisfy a conditional conditional access service. It is a system that allows subscribers to receive a program by descrambling the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이러한 CAS 모듈(250)이 동작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은 스크램블링되고, 통신 링크상에서 보호되어야 하며, 인증을 위한 가입자 신분확인(Authentication) 기능과 접근제어(Access Control) 기능이 된다.The basic requirement for the CAS module 250 to be operated is to be scrambled, protected on the communication link, and become a subscriber authentication function and an access control function for authent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도킹 스테이션(100)과 연결되어 A/V 신호를 수신받아,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에는 디지털 TV,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IP(Internet Protocol) TV, 모니터 등이 포함된다.The display apparatus 40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o receive an A / V signal and display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digital content on a screen. The display device 400 includes a digital TV,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V, an Internet Protocol (IP) TV, a monitor,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을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2 in terms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unction as follows. Please refer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도킹 스테이션(100)는, 튜너(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ocking station 100 includes a tuner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n interface unit 150, 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튜너(110)는 안테나(115)을 통해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한다. 튜너(110)는 수신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제어부(170)나 다른 장치(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전송한다. 튜너(110)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방송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영상, 음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일 수 있다. 튜너(110)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데, 특히 DVB(Digital Video Broadcast), HTSC,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ATSC(Advanced TV System Committe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uner 110 receives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antenna 115. The tuner 110 transmits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the controller 170 or another device (the display device 300 or the media player 200). The tuner 110 may select a broadcast type for transmitt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may be in the form of video, audio, data,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tuner 110 may receive digital broadcast content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video broadcast (DVB), HTSC,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ISDB), advanced TV system committee (ATSC), and digit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may be received using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such as multimedia broadcasting. In addition, the tuner 110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such digital broadcast systems.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위성, 지상파, CATV, IPTV 등을 포함하는 모든 디지털 방송의 정보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가입권에 있는 채널들에 의해 제공되는 비디오,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와 유료 시청(PPV; pay per view) 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일 수 있다. 비디오 형식으로는 AVI(Audio Video Interleaving), MP4(MPEG(Moving Pictures Expert Group)-4), WMA (Windows Media Audio), WMV (Windows Media Video), MPEG-2, MPEG-4 (ITU-T H.264로도 알려짐), RealMedia 등이 사용될 수 있다.Digital broadcast content defines the information of all digital broadcasts, including satellite, terrestrial, CATV, IPTV, etc., and is provided by video and video on demand (VOD) provided by channels to which consumers generally subscribe. And a pay per view (PPV) program.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may be an encrypted data stream. Video formats include Audio Video Interleaving (AVI), Moving Pictures Expert Group (MP4) -4, Windows Media Audio (WMA), Windows Media Video (WMV), MPEG-2, MPEG-4 (ITU-T H) Also known as .264), RealMedia, etc. may be used.

안테나(115)는 위성 안테나, 지상파 안테나, CATV 등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FTTH(Fiber to the home),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등의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안테나(115)는 유/무선 통신 모뎀이 된다. The antenna 115 may be a satellite antenna, terrestrial antenna, CATV, or the lik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Local Area Network (LAN), Wireless LAN (WLAN) (Wi-Fi),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Fiber to the home (FTTH) ),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Ultra Wideband (UWB),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method. In this case, the antenna 115 becom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명령을 도킹 스테이션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함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transmits a user's command to the docking station controller 170.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ance), etc.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configured as a jog wheel or a jog method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a finger mouse,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touch pad may be part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1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출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4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41), 및 음향출력 모듈(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41, a sound output module 14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41)는 도크 스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도킹된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등을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크 스테이션에 미디어 플레이어(200)나 인증 장치(30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 대기 모드인지 동작 모드인지 여부, 컨텐츠 선택 메뉴, 컨텐츠 선택시 선택된 컨텐츠의 메뉴나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module 14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ock station 100 or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ocked media player 200. For example, whether the media player 200 or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dock station, whether it is in a standby mode or an operation mode, a content selection menu, or a menu o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module 141 is a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 14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종이(e-Pap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odule 14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electronic paper (e-Paper) may include at least one.

음향출력 모듈(143)은 도크 스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도킹된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등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4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43 outputs sound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ock station 100 or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ocked media player 200. The sound output module 14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50)는 도크 스테이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도킹 스테이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도킹 스테이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특히,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 및 출력 단자 모듈(1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ock station 100. The interface unit 170 may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docking station 100, and may transmit data within the docking station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50 may, in particular, include an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a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and an output terminal module 155.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은 인증 장치(3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은 인증 장치(300)가 접속 되어 있는지 인식할 수 있으며, 인증 장치(300)의 접속 여부를 제어부(170)에 알릴 수 있다.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은, 인증 장치(300)와 접속시, 인증 장치(300)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장치(300)가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장치로서 기능할 때,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은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인증 장치(300)에 출력하고, 복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인증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may be connected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n a detachable manner. 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may recognize whether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s connected, and inform the controller 170 whether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s connected. 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may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when connected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When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functions as a device for decrypting an encrypted data stream, 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outputs the encrypted data stream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nd outputs the decrypted data stream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Can also be received from.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와 착탈 가능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접속되어 있는지 인식할 수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200)의 접속 여부를 제어부(170)에 알릴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200)와 접속된 경우,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로 안테나(115)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입력 신호, 인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 등을 인증 장치 도킹 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미디어 플레이어(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어부(170)나 출력 단자 모듈(155)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edia player 200.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may recognize whether the media player 200 is connected and may inform the controller 170 whether the media player 200 is connected. When connected to the media player 200,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inputs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5 to the media player 200 or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The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300 may be output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In addition,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may receive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media player 200 from the media player 200.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may transmit the digital content received from the media player 200 to the controller 170 or the output terminal module 155.

출력 단자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위한 연결 단자로서, 출력 단자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출력한다. 출력 단자 모듈(155)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A/V 출력 단자, LAN, USB 등이 될 수 있다. The output terminal module 155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the display device 400, and the output terminal module 155 outputs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digital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400. The output terminal module 155 may b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n A / V output terminal, a LAN, a USB, or the like.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등록된 미디어 플레이어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장치의 인증 코드를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미디어 플레이어와 인증 장치 등록시 각각의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를 한 쌍으로 묶어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or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6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media player and an authentication code of the authentication devic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in pairs when registering the media player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킹 스테이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킹 스테이션(100)을 대기 모드 또는 동작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대기 모드에서 특정 기능들이 실행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인증 장치 도킹 모듈(151) 및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을 통해 인증 장치(300)와 미디어 플레이어(200)이 접속되어 있으면, 양 구성요소로부터 각각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특정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인 경우에 이를 인증하여,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동작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인증 신호를 전송하여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잠금 모드에서 잠금 해제 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170)는 튜너(110)가 수신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미디어 플레이어(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인 경우 인증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170)는 미디어플레이어 도킹 모듈(153)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 단자 모듈(155)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ocking station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set the docking station 100 to a standby mode or an operation mode, and control the specific function not to be executed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if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nd the media player 200 are connec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module 151 and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the controller 170 may identif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from both components, respectively. It can be received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data. In the case of the specific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the control unit 170 authenticates this and switches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operation mode. In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70 may transmit an authentication signal to the media player 200 to allow the media player 200 to switch from the lock mode to the unlock mode. In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gital broadcast content received by the tuner 110 to be transmitted to the media player 200. When the received digital broadcast content is an encrypted data stream, the controller 170 may decrypt the received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In the operation mod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receive the digital content through the media player docking module 153 and output the same through the output terminal module 155.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플레이어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edia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Please refer to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미디어 플레이어(200)는,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edia player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n A / V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n output unit 240, an interface unit 250, Th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control unit 270.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통신부(210)는 방송수신 모듈(211),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5), 이동통신 모듈(2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은 별도로 독립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250)을 통해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모듈은 인터페이스부(250)의 역할을 대신 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an internet module 2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5,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7. Each module may receive data independently and may receive data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0. In addition, each module may take the role of the interface unit 250.

방송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n this cas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217)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7.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2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such digital broadcast systems.

인터넷 모듈(213)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인터넷 접속은 무선으로도 가능한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nternet module 213 is a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Internet access is also available wirelessly, and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an be.

근거리 통신 모듈(2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5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동통신 모듈(217)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7)은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 포함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7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voice call signal, video call signal, or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7 is included when the media player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223)는 음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A / V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3. 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microphone 223 converts sound into a digital signal.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명령을 제어부(270)에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1)과 함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230 transmits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270.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ance), etc.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jog wheel for rotating a key, a jog method, a method of operating like a joystick, a finger mouse,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touch pad may be part of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251 to be described later.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 및 음향출력 모듈(2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51, a sound output module 253,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접속된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등을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메뉴 정보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module 24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edia player 200 or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nected docking station 100. The display module 241 displays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menu information.

디스플레이 모듈(241)이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module 241 is a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 241 may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종이(e-Pap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play module 24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electronic paper (e-Paper) may include at least one.

음향출력 모듈(243)은 미디어 플레이어(2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또는 접속된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등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24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43 outputs sound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edia player 200 or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nected docking station 100. The sound output module 24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50)는 미디어 플레이어(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미디어 플레이어(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미디어 플레이어(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특히, 도킹 커넥터 모듈(2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5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edia player 200. The interface unit 270 may receive data from such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edia player 200, and may transmit data within the media player 2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250 may, in particular, include a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도킹 커넥터 모듈(255)은 도킹 스테이션(100)와 착탈 가능하도록 도킹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 모듈(255)이 도킹 스테이션(100)에 도킹된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도킹 스테이션(100)에 전송한다. 도킹 커넥터 모듈(255)은 도킹 스테이션(100)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나 인증 코드 또는 도킹 스테이션(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은 입력 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도킹 커넥터 모듈(255)은 저장부(26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킹 스테이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may be dock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When the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a player 200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may receive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an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or an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of the docking station 100. In addition, the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may transmit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to the docking station 100.

저장부(260)는 제어부(2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2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70, or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저장부(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제어부(2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디어 플레이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잠금 모드 또는 잠금 해제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잠금 모드에서 특정 기능들이 실행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킹 커넥터 모듈(255)를 통해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70)는 미디어 플레이어(200)를 잠금 해제 모드로 설정한다.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에, 제어부(270)는 도킹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저장부(2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도킹 스테이션(1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 제어부(27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킹 스테이션(10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일정 주기나 일정 시간대에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잠금 모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부(230) 또는 이동통신 모듈(217)을 통한 강제 잠금 모드 지시가 있으면 미디어 플레이어(200)가 잠금 모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7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edia player 2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270 may set the media player 200 to the lock mode or the unlock mode, and control the specific function not to be executed in the lock mode. In particular, upon receiving the unlock signal through the docking connector module 255, the controller 270 sets the media player 200 to the unlock mode. In the unlock mode, the controller 270 controls the digital broadcas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docking station 100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or to be played back on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docking station 100.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in the unlock mode, the controller 270 may control digital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to be played on the display apparatus 400 through the docking station 100. The controller 270 may set the media player 200 to be in the lock mode at a predetermined period or at a certain time. The controller 270 may set the media player 200 to be in a lock mode when a forced lock mode instruction is give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3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7.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인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 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S. 1-3.

도 4를 참조하면, 도킹 스테이션(100)은 대기 모드 상태로 대기한다(S500). 대기 모드의 경우, 전원 절약을 위해 도킹 스테이션(100)은 절전 상태(idle)로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docking station 100 waits in a standby mode state (S500). In the standby mode, the docking station 100 may be in an idle state to save power.

도킹 스테이션(100)은,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가 삽입되어 각 구성요소로부터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지 판단한다(S510). 어느 하나라도 수신되지 않으면, 도킹 스테이션(100)은 계속 대기 모드 상태로 있게 된다(S500).The docking station 100 determines whether the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re insert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uthentication code from each component (S510). If any one is not received, the docking station 100 will remain in the standby mode (S500).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를 수신한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접속된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가 등록된 한 쌍의 장치들인지 확인한다(S520). 이러한 확인 과정은,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과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이 등록되지 않은 쌍인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도킹 스테이션(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41), 미디어 플레이어(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4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속된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 쌍을 등록할 것인지 표시하여, 등록 지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540). 등록 지시 입력이 있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접속된 양 구성요소의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쌍을 저장한다. 등록 지시 입력이 없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계속 대기 모드 상태로 있게 된다(S500).Whe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the docking station 100 checks whether the connected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re a pair of registered devices (S520). This verification process compar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pairs with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pairs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pair are not registered pairs, the docking station 100 may display the display module 141 of the docking station 100, the display module 241 of the media player 200, or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which one, it is determined whether to register the pair of the connected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registration instruction input (S540). If there is a registration indication input, the docking station 10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pairs of both connected components. If there is no registration instruction input, the docking station 100 remains in the standby mode (S500).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 쌍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동작 모드로 전환하며(S530), 미디어 플레이어(20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S535). Whe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pair are registered, the docking station 100 switches to the operation mode (S530) and transmits a lock release signal to the media player 200 (S535).

접속된 미디어 플레이어(200) 및 인증 장치(300) 쌍이 등록에 성공하거나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도킹 스테이션(100)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디지털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When the connected media player 200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300 pair successfully register or successfully authenticate, the docking station 100 causes the display device 400 to play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digital content.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도킹 스테이션 200: 미디어 플레이어
300: 인증 장치 40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100: docking station 200: media player
300: authentication device 400: external display device

Claims (15)

외부 단말기를 도킹하여 외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단말기 도킹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인증 장치를 도킹하여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인증 장치 도킹부;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과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단말기 도킹부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로서,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동작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클램블링되거나,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되는, 상기 방송 수신부; 및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를 외부 재생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
An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that receives exter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docking the external terminal;
An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unit for docking an authentication device having data capable of descrambl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are docked, the corresponding pair of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rresponding pair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are compared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receive media content from the external terminal;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wherein the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is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d data by the controller in an operation mode, or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to be authenticated. The broadcast receiver being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able data by an apparatus;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media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an external playback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시, 상기 외부 단말기를 잠금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switch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dock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unlock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 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operation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도킹 커넥터; 및
상기 도킹 커넥터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로서,
상기 외부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를 도킹하여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단말기 도킹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인증 장치를 도킹하여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인증 장치 도킹부;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및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과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단말기 도킹부가 상기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로서,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동작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클램블링되거나,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되는, 상기 방송 수신부; 및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상기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를 외부 재생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A storage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docking connector that out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docked to an external docking station; And
Receiving a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docking connector, a removable media play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o the unlock mode,
The external docking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configured to dock the mobile media player to receive mobile media play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unit for docking an authentication device having data capable of descrambl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the mobile media player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are docked, the corresponding pair of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rresponding pair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code are compared to an operation mode, and the external terminal is docked in the operation mode. An additional control unit controlling to receive media content from the mobile media player;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wherein the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is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d data by the controller in an operation mode, or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to be authenticated. The broadcast receiver being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able data by an apparatus;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media content received from the mobile media player to an external playback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rol unit plays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ocking station in the unlock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한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docking station when in the unlock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잠금 해제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lay the media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unlock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일정 주기, 및 사용자 조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잠금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미디어 플레이어.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lock mode by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time, a predetermined period, and a user operation.
외부 장치와 도킹하는 도킹 스테이션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가 도킹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을 기저장된 식별 정보 및 인증 코드 대응 쌍과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클램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를 외부 재생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의 인증 방법.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docking station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terminal is docked,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terminal;
Receiv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an authentication device having data capable of descrambl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is docked;
Compar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pair with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corresponding pair, and switching to an operation mode;
Receiving media content from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operation mode;
Receiv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Descrambling the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using the descrambled data in the operation mode; And
And outputting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media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an external playback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외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면, 상기 도킹 스테이션으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는 외부 단말기의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외부 단말기를 도킹하여 외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단말기 도킹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인증 장치를 도킹하여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인증 장치 도킹부,
외부 단말기 및 인증 장치가 도킹되면 기저장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과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와 인증 코드의 대응 쌍을 비교하여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잠금 해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외부 단말기 도킹부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로서,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동작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클램블링되거나, 상기 인증 장치로 전송되어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크램블링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되는, 상기 방송 수신부, 및
상기 동작 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스클램블링된 디지털 방송 컨텐츠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컨텐츠를 외부 재생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외부 단말기의 인증 방법.
When docked to an external docking station,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cking station;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of an external terminal docked to an external docking station,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n unlock mode when receiving a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external docking station.
The external docking station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for receiving the external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docking the external terminal,
An authentication device docking unit for docking an authentication device having data capable of descrambl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to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authentication device;
When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authentication device are docked, the corresponding pair of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rresponding pair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code are compared to switch to an operation mode and generate an unlocking sig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external terminal docking unit to receive media content from the external terminal;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wherein the 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is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d data by the controller in an operation mode, or is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device to be authenticated. The broadcast receiver, descrambled by using the descrambleable data by a device, an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descrambled digital broadcast content or media content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an external playback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KR1020110065344A 2011-07-01 2011-07-01 Authentication system KR101110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44A KR101110142B1 (en) 2011-07-01 2011-07-01 Authent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44A KR101110142B1 (en) 2011-07-01 2011-07-01 Authent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142B1 true KR101110142B1 (en) 2012-01-31

Family

ID=4561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344A KR101110142B1 (en) 2011-07-01 2011-07-01 Authent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1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5102A1 (en) 2002-12-11 2003-11-20 Ira Marlowe Audio device integration system
JP2004265358A (en) 1995-02-13 2004-09-24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KR20070104393A (en) * 2005-01-07 2007-10-25 애플 인크.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20080007584A (en) * 2005-05-13 2008-01-22 톰슨 라이센싱 Security and transcoding system for transfer of content to portable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5358A (en) 1995-02-13 2004-09-24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US20030215102A1 (en) 2002-12-11 2003-11-20 Ira Marlowe Audio device integration system
KR20070104393A (en) * 2005-01-07 2007-10-25 애플 인크.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20080007584A (en) * 2005-05-13 2008-01-22 톰슨 라이센싱 Security and transcoding system for transfer of content to portabl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8696B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access to conten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8555326B2 (en) Display device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an idle mode of a remote sender device
KR20130066168A (en) Apparatas and method for dual display of television using for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JP52783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04075549A1 (en) Program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2421018A (en) Portable digital television
KR101110142B1 (en) Authentication system
WO2015079562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ter-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JP5223924B2 (en) Data broadcasting system
KR20130004768A (en) Authentication system
JP2007288476A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system, digital broadcast receiver, limited receiving processor,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ption program
US201500293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outputting a charging status
KR100837430B1 (en) Broadcasting receive apparatus and security method thereof
US2012031165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CN202395922U (en) Portable digital television
US88377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hannel reproduction delay in mobile terminal
KR101332287B1 (en) Portable media player and Docking station for receiving and stor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201500329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5033699A (en) Receiving system and receiving method
KR101284834B1 (en) Method for notifying service of message forward
KR100661354B1 (en) Broadcasting receive system having POD apparatus and application method for broadcasting service data using POD apparatus
KR20080095725A (en) Method for upgrading softwar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31372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77526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ong watching
KR20140045123A (en) Method for notifying service of message forw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