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122B1 -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122B1
KR101084122B1 KR1020040060413A KR20040060413A KR101084122B1 KR 101084122 B1 KR101084122 B1 KR 101084122B1 KR 1020040060413 A KR1020040060413 A KR 1020040060413A KR 20040060413 A KR20040060413 A KR 20040060413A KR 101084122 B1 KR101084122 B1 KR 10108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nozzle case
lev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1528A (en
Inventor
이동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122B1/en
Priority to US11/192,113 priority patent/US20060021185A1/en
Priority to RU2005124250/12A priority patent/RU2300303C2/en
Priority to DE602005010334T priority patent/DE602005010334D1/en
Priority to EP05254803A priority patent/EP1621125B1/en
Publication of KR2006001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의 상태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교반기가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즐 케이스; 상기 노즐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며, 공기흡입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흡입구; 상기 공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교반기; 그리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노즐 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을 개시한다.

Figure R1020040060413

진공청소기, 흡입노즐, 교반기, 회전터빈, 속도조절장치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tirrer whose rotation speed is adjusted according to a state of a floo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nozzle case; A first air inl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case and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by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air intake device; A stirrer rotatably provided at the air inlet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When the nozzle case is seated on the floor,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is increased, and when the nozzle case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is decreased, Disclosed is a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speed controller for changing a rotation speed.

Figure R1020040060413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stirrer, rotary turbine, speed controller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 흡입노즐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vacuum suction nozz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의 흡입노즐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nozzle in the state the upper case is removed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의 하부를 나타낸 하부 평면도5 is a bottom plan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흡입노즐을 레버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수직하게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of FIG. 4 cut vertically from side to side based on a lever part;

도 7은 도 4의 흡입노즐을 회전 터빈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수직하게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of FIG. 4 vertically cut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a rotary turbine.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구비되는 제 3 공기 흡입구가 차폐된 상태의 흡입노즐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nozzle in a state that the third air intake port is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ield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흡입 노즐 110: 노즐 케이스100: suction nozzle 110: nozzle case

111: 상부 케이스 112: 하부 케이스111: upper case 112: lower case

113: 챔버 120: 제 1 공기 흡입구 113: chamber 120: first air inlet                 

130: 교반기 140: 회전 터빈130: stirrer 140: rotary turbine

142: 벨트 143: 터빈 회전축142: belt 143: turbine rotation axis

150: 제 2 공기 흡입구 160: 유속 조절부150: second air inlet 160: flow rate adjusting unit

161: 제 3 공기 흡입구 162: 차폐수단161: third air intake 162: shielding means

162a: 차폐판 163: 레버부162a: shield plate 163: lever portion

163a: 제 1 레버 163b: 제 2 레버163a: first lever 163b: second lever

200: 청소기 본체 210: 집진부200: cleaner body 210: dust collector

300: 연결관 310: 연장관300: connector 310: extension tube

320: 연결호스 330: 손잡이320: connection hose 330: handl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청소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cleaned by the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실내의 일반 바닥이나 카페트 등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외부에서 흡입한 후, 상기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a general floor, a carpet, and the like in a room.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inside the cleaner main body to drive the air inhalation apparatus that generates air suction force to suck in polluted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hereafter,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polluted air, and the device to discharge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상기 진공 청소기는, 모터와 송풍기로 구성되는 공기 흡입장치(미도시)와 상기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미도시) 등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미도시), 청소될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1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로 안내하는 연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not shown) including an air suction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motor and a blower, a dust collecting part (not shown)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polluted air, and a floor to be cleaned. It comprises a suction nozzle 10 for sucking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while moving, and a connecting pipe (not shown) for guid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dust collector of the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의 양측 하부에는 바퀴들이 구비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는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통이나 일반 여과방식의 집진백 등으로 구성된다. Wheels are provided at lower sides of the cleaner body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leaner body. The dust collecting part of the cleaner main body includes a cyclone dust collecting container, a general filtration dust collecting bag,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연결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노즐에 연결되는 연장관(5), 일단이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호스, 그리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ipe 5,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ndle.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구비되는 종래의 흡입노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a conventional suction nozzle provided in the general vacuum cleaner as follows.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흡입노즐(10)은, 외관을 이루는 상부 케이스(미도시)와 하부 케이스(11)로 구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노즐 케이스, 상기 노즐 케이스의 저면, 즉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을 개구하여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2), 상기 공기 흡입구(12)의 양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교반기(Agitator;13), 상기 노즐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13)를 회전시키는 회전 터빈(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suction nozzle 10 includes a nozzle case formed of an upper case (not shown) and a lower case 11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namely, a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case. An air inlet 12 formed by opening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an agitator 13 rotatably supported by both ends of the air inlet 12, and provided in the nozzle case to provide the agitator 1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ry turbine 14 for rotating ().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전방 양측에는 롤러들(15)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노즐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Rollers 15 are provid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lower case to smoothly move the suction nozzle.

그리고, 상기 교반기(13)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공기 흡입구(12)의 양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축(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교반기(13)의 회전 중심을 이루며, 상기 교반기의 외주면에는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브루쉬(13a)가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tirrer 13 are formed with a rotating shaft (not shown) supported by both ends of the air inlet 12, respectively, to form a center of rotation of the stirrer 13, the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irrer The formed brush (13a) is form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한편, 상기 회전 터빈(14)는 상기 공기 흡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연장관(5)을 향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터빈(14)은 상기 교반기(13)와 벨트(16)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교반기(13)와 상기 회전 터빈의 회전축에는 각각 상기 벨트가 걸림되는 종동 풀리(17)와 구동 풀리(18)가 구성되어, 상기 회전 터빈(14)의 회전력이 상기 교반기(13)에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turbine 14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2 and flowing toward the extension pipe (5). In addition, the rotary turbine 14 is connected by the stirrer 13 and the belt 16, the driven pulley 17 and the driving pulley which the belt is engaged with the rotary shaft of the stirrer 13 and the rotary turbine, respectively 18 is configure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urbine 14 is transmitted to the stirrer 13.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흡입 노즐(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uction nozzle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흡입구(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연장관(5)을 향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터빈(14)을 회전시키게 된다.First, when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2 by the driving of the air suction device, the rotary turbine 14 is rotated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introduced air toward the extension pipe 5.

이에 따라, 상기 회전 터빈(14)의 회전력이 상기 벨트(16)를 통해 상기 교반기(13)에 전달되어 상기 교반기(13)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교반기(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브루쉬(13a)가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urbine 14 is transmitted to the stirrer 13 through the belt 16 to rotate the stirrer 13, and as the stirrer 13 rotates, the brusch ( 13a) separate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상기와 같이 바닥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연장관을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로 안내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유동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bottom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ction port together with air and guid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of the cleaner body through the extension pipe,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separates and collects the foreign matter from the flowing ai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진공 청소기 흡입노즐(10)은, 상기 교반기가 청소되는 바닥의 상태와 상관없이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근래에는 청소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rotates at a constant rotation speed irrespective of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stirrer is cleaned, in recent years, the rotation of the stirr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to be cleaned.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variable speed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바닥의 상태에 따라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즐 케이스; 상기 노즐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며, 공기흡입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흡입구; 상기 공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교반기; 그리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노즐 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zzle case; A first air inl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case and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by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air intake device; A stirrer rotatably provided at the air inlet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When the nozzle case is seated on the floor,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is increased, and when the nozzle case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is decreased, It provides a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peed control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캐니스터형(Canister Type) 진공 청소기와 업라이형(Upright Type) 진공 청소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스터형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흡입노즐이 상호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와 흡입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이 구비된 타입의 진공 청소기이고,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된 타입의 진공 청소기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nd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ere, the cavity type vacuum cleaner is a vacuum cleaner of a type having a cleaner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cleaner body and the suction nozzle to each other, and the upright vacuum cleaner is the cleaner. The main body is a vacuum cleaner of the typ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nozzl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이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는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로서, 청소되는 바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100), 내부에 공기 흡입장치(미도시)와 상기 이물질을 분리 및 집진하는 집진부(210)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200),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100)과 상기 청소기 본체(20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오염공기를 상기 집진부로 안내하는 연결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5, the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nister-type vacuum cleaner, a suction nozzle 100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the floor to be cleaned, the air therein A vacuum cleaner body 200 including a suction device (not shown) and a dust collecting part 210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suction nozzle 100 and the vacuum cleaner body 200 a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suction nozzle.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300 for guiding the suctioned contaminated air to the dust collector.

상기 청소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이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와 팬 등이 내장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200)의 양측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2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바퀴(220)에는 상기 집진부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는 상기 집진부(210)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집진부 장착공간이 형성된다.An interior of the cleaner main body 200 includes an electric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and a fan constituting the air suction device, and the cleaner main body. On both sides of the 200, the wheels 220 are rotat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so as to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and the wheels 220 are discharge parts for discharging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 221 is formed.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part mounting space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cleaner body to accommodate the dust collecting part 210 in a detachable manner.

여기서, 상기 집진부(210)는 싸이클론 방식 또는 필터 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안내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싸이클론 방식과 상기 필터 장치에 의한 여과 방식을 동시에 채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적이 백(Bag)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dust collecting unit 210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collec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guided through the connecting pipe in a way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by a cyclone method or a filter device or the cyclone method and the filter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adopt a filtration method by the apparatus, but it may also be generally configured as a bag type.

상기 연결관(300)은, 일단이 상기 흡입 노즐(100)에 연결되는 연장관(310), 일단이 상기 연장관(3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청소기 본체(200)에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호스(320), 그리고 상기 연장관(3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on pipe 300, one end of the extension tube 31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10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material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200 It comprises a connection hose 320, and a handle 330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tube (31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10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nozz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노즐(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케이스(110), 상기 노즐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1 공기 흡입구(120),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교반기(130), 그리고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3 to 6, the suction nozzle 100 includes a nozzle case 110 forming an appearance, a first air inlet 120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case, and the first air intake port (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irrer 130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and a speed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여기서, 상기 노즐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1)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상기 속도조절장치 등이 구비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Here, the nozzle case 110 includes an upper case 111 and a lower case 112 provided below the upper case, and the speed for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inside the nozzle cas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adjusting device or the like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2) 전방부의 하면 양측과 후방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110a)들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moving wheels 110a for rotatable movement of the suction nozzle 100 are rotatably installed at both bottom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lower case 112.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전방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바닥에 쌓인 이물질과 함께 상기 노즐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노즐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를 지나 상기 연장관(310)으로 유입된다.The first air inlet 120 penetrates the front part of the lower case 112 up and down and is formed long left and right. Therefore, after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nozzle case 110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and the foreign air accumulated on the floor by the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air intake device, It is introduced into the extension pipe 310 through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nozzle case.

상기 교반기(130)는 원통형의 본체(131), 상기 본체의 양단에서 측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회전축(미도시), 그리고 청소되는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irrer 1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body 131, a rotating shaft (not shown) protruding laterally from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a foreign matter separation unit 132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being cleaned.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의 양측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2)와 상기 상부 케이스(111)에 의하여 고정되는 회전축 장착부(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장착부(133)에 형성되는 삽입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 Here, the rotating shaf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ir inlet 120 to be detachable,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rotating shaft mounting portion 133 fixed by the lower case 112 and the upper case 111. Connected. In more detail, the rotation shaft is rotatably inserted and supported in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mounting portion 133.

그리고, 상기 이물질 분리부(132)는 상기 본체(13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 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V" 형상의 홈들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이물질 분리부(132)는 상기 본체(131)의 외주면에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또는 상기 본체(131)의 외주면에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루쉬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13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 shaped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Of course, the foreign matter separating unit 13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 groove formed in the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or a brush formed in the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31.

한편, 상기 속도조절장치는, 상기 흡입 노즐의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안착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eed adjusting device, when the nozzle case 110 of the suction nozzle is seated on the floor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stirrer 130 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bottom on which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속도조절장치는, 상기 노즐 케이스(11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교반기(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그리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는지 여부와 상기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 수단을 회전시키는 공기를 조절하여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공기유동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의 상태라 함은, 예를 들면 청소되는 바닥이 마루나 일반 장판과 같은 딱딱한 바닥인지 또는 카페트나 이불이 깔린 푹신한 바닥인지 등과 같이 청소되는 바닥의 표면 상태를 말한다.To this end, the speed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nozzle case 110 to rotate by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the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tirrer 13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flow control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by adjusting the air for rotating the rotating means, depending on whether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and the state of the floor. . Here, the state of the floor refers to the surface state of the floor to be cleaned, for example, whether the floor to be cleaned is a hard floor such as a floor or a general floor, or a soft floor covered with a carpet or a blanket.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노즐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 통로에 형성되는 소정의 챔버(11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다수개의 날개(141)들을 가지는 회전 터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챔버(113)는 상기 제 1 공기 흡입 구(120)와 상기 연장관(3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챔버(113)를 통과하면서 상기 회전 터빈(140)의 날개(141)들에 부딪혀 상기 회전 터빈(140)을 회전시키게 된다. The rotation means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chamber 113 formed in the air passage provided in the nozzle case 110, by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Rotating, and comprises a rotary turbine 140 having a plurality of wings (141). Here, the chamber 11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and the extension tube 310,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passes, the firs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20 passes through the chamber 113 and strikes the vanes 141 of the rotary turbine 140 to rotate the rotary turbine 140.

상기 회전 터빈(140)은, 벨트(142)를 통하여 상기 교반기(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 터빈(140)의 중심에는 일측으로 연장된 터빈 회전축(143)이 구비되고, 상기 벨트(142)는 상기 터빈 회전축(143)에 구비되는 구동 풀리(144)와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종동 풀리(134)에 걸어 감겨짐으로써, 상기 회전 터빈(140)의 회전력을 상기 교반기(13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풀리(144)와 종동 풀리(134)의 외주면 그리고 상기 벨트(142)의 내측면에는 상기 벨트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 풀리(144)의 직경은 상기 종동 풀리(134)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터빈 회전축(143)은 상기 하부 케이스(112)에 형성되는 제 1 지지부(114)와 상기 상부 케이스(111)에 형성되는 제 2 지지부(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되는 패킹부(14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된다.The rotary turbine 14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stirrer 130 through the belt 142. In more detail, the center of the rotary turbine 140 is provided with a turbine rotating shaft 143 extending to one side, the belt 142 is a drive pulley 144 and the turbin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143 By being wound on the driven pulley 134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stirrer 13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urbine 140 is transmitted to the stirrer 130. 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pulley 144 and the driven pulley 13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42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not shown) to prevent the belt from slipping, the drive pulley Preferably, the diameter of 14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iven pulley 134. In addition, the turbine rotation shaft 143 is a packing part 145 fixed by a first support part 114 formed in the lower case 112 and a second support part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case 111. I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nd supported.

한편, 상기 공기유동 조절장치는, 상기 챔버(113) 벽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수단, 즉 상기 회전 터빈(140)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공기 흡입구(150), 그리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는지 여부와 상기 노즐 케이스가 안착된 바닥의 상태 에 따라,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 터빈(140)을 회전시키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조절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 control devi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wall of the chamber 113, the rotation means, that i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to rotate the rotary turbine 140 The rotary turbine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50, depending on whether to guide the second air inlet 150, and whether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and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nozzle case is seated. It comprises a flow rate adjusting unit 16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air to rotate 140.

여기서,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는 상기 챔버(113)의 정면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113)의 정면 벽은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을 전, 후로 구획하여,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를 통해 상기 챔버(113)로 유입되도록 한다.Here, the second air inlet 15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chamber 113, the front wall of the chamber 113 extends from side to side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nozzle case 110 before and after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13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50.

그리고, 상기 유속 조절부(160)는, 상기 챔버(113)의 일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보조 공기 흡입구(11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3 공기 흡입구(161)와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차폐수단(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low rate adjusting unit 160 is formed on one wall of the chamber 113, and a third air inle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air inlet 115 formed in the nozzle case 110 passes. 161 and the shielding means 162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161.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는 상기 챔버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보조 공기 흡입구(115)는, 외부 공기가 상기 노즐 케이스의 후측 공간에 유입되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과하도록, 상기 노즐 케이스(110)의 소정 위치, 특히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방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third air inlet 161 is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chamber, and the auxiliary air inlet 115 is configured such tha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rear space of the nozzle case to allow the third air.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suction port 161, the nozzle case 1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particularly at one side of a rear portion of the upper case.

그리고, 상기 차폐수단(162)은,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는지 여부와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안착된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ielding means 162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 flow into the third air inlet 161 according to whether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and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By adjusting the flow rate,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50 is configured.

다시 말하면, 상기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 터빈(140)이 구 비되는 상기 챔버(113)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과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수단(162)를 조절하여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로 유입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회전 터빈(140)의 회전 속도와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air flowing into the chamber 113 in which the rotary turbine 140 is provided by driving the air suction device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50 and the third air inlet 161. Done. In this case, when the shielding means 162 is adjusted to reduce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161, most of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inlet 150. Thus, by increasing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air per unit time flowing into the second air inlet 15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turbine 14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is increased.

이를 위하여, 상기 차폐수단(162)은,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개폐하는 차폐판(162a), 그리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는지 여부와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안착된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차폐판(162a)을 움직이게 하는 레버부(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shielding means 162, the shielding plate 162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air inlet 161, and whether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and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ottom, it comprises a lever portion 163 for moving the shield plate 162a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inlet 161.

여기서,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는 그 하단이 상기 챔버(113) 측면의 하단, 즉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고, 상기 차폐판(162a)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차폐판(162a)이 이동할 때 상기 하부 케이스(112) 상면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동작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lower end of the third air inlet 161 is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chamber 113,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shielding plate 162a is the lower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1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operation failure by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2 when the shield plate 162a is moved.

그리고, 상기 레버부(163)는, 상기 흡입노즐(100)의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차폐판(162a)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과하는 공 기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차폐판(162a)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상기 바닥에 안착되면,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된다.And, the lever unit 163, the shield plate 162a to reduce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inlet 161 when the nozzle case 110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seated on the floor. Move toward the third air inlet 161 and the shield plate 162a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inlet 161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air inlet 161. Accordingly,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bottom,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130 is increased, and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130 is decreased.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버부(163)는 제 1 레버(163a)와 상기 제 1 레버에 연결되는 제 2 레버(16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the lever unit 163 includes a first lever 163a and a second lever 163b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여기서, 상기 제 1 레버(163a)는 일측이 상기 차폐판(162a)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노즐 케이스의 내부 특히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내측 후방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구비된 제 1 회전축(11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레버(163b)는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차폐판(162a)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레버(163a)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lever (163a) is one sid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hield plate 162a,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nozzle case, in particular the inner rear of the lower case 112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12a, and the second lever 163b moves to the third air inlet 161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ated on the floor.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lever 163a.

그리고, 상기 제 2 레버(163b)는, 일측이 상기 제 1 레버(163a)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될 때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레버(163a)에 연결된 상기 차폐판(162a)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측으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lever 163b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applies a force to the first lever 163a and the other side protrudes below the lower case 110, and the nozzle case 110. Moves the shield plate 162a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163a toward the third air inlet 161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161 is reduced when it is seated on the floor. Let's do i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 레버(163b)는, 그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 대략 중간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 2 레버(163b)의 타측이 바닥에 의해 눌림 되면 상기 제 2 레버(163b)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레버(163a)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차폐판(162a)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향하여 움직이면서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레버(163b)는 "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부(163c)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절곡부(163c)에 구비된 제 2 회전축(163d)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2)와 연결된다. 즉, 상기 제 2 레버(163b)의 일측은 상기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 2 레버(163b)의 타측은 상기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 안착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상, 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second lever 163b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case 11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two ends thereof, and an intermediate part thereof may protrude downwardly of the lower case 112. Wh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is pressed by the floor, the second lever 163b is rotated while applying a force to the first lever 163a, so that the shield plate 162a is rotated. Moving toward the third air inlet 161 reduces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161. To this end, the second lever 163b is bent in a “b” shape, and the lower case is formed by a second rotation shaft 163d provided in the bent portion 163c to rotate about the bent portion 163c. And 112. 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extends upwardly based on the bent portion 163c,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extends laterally based on the bent portion 163c and the nozzle. As the case 110 is seated on or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case 110 rot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또한, 상기 제 2 레버(163b)의 타측, 즉 상기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바닥에 접촉하는 롤러(163e)가 구비되어 상기 제 2 레버(163b)와 바닥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2)에는 상기 제 2 레버의 일측이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제 2 레버의 타측이 바닥에 의하여 눌려질 때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roller 163e contacting the bottom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ie, a portion extending laterally based on the bent portion 163c and protruding downward of the lower case 112.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friction between the second lever 163b and the floor. The lower case 11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penetrates and a groove inserted wh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by a bottom.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 1 레버(163a)는 상기 차폐판(162a)을 복귀시키는 제 1 스프링(163f)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노즐 케이스(110)가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 1 스프링(163f)이 상기 제 1 레버(163a)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차폐판(162a)을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프링 (163f)은, 상기 제 1 회전축(112a)에 구비되는 토션(Torsion)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lever 163a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first spring 163f for returning the shield plate 162a. That is, when the nozzle case 11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first spring 163f exerts a force on the first lever 163a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air inlet 161. As a result, the shield plate 162a is returned. Here, the first spring 163f may be configured of a torsion spring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shaft 112a.

또한, 상기 제 2 레버(163b)와 상기 노즐 케이스(110) 사이, 특히 상기 제 2 레버(163b)의 타측 상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112) 사이에는, 상기 제 2 레버(163b)의 타측이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 2 레버(163b)에 힘을 가하는 제 2 스프링(163g)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tween the second lever 163b and the nozzle case 110, in particular, between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ever 163b and the lower case 112,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Preferably, a second spring 163g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to the second lever 163b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case 112.

그리고, 상기 제 1 레버(163a)와 상기 제 2 레버(163b)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레버(163a)에는, 상기 제 2 레버(163b)의 일측, 즉 상기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상향 연장되는 부분이 삽입되는 연결공(163h)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the first lever 163a and the second lever 163b, the first lever 163a is referred to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that is, the bent portion 163c. A connection hole 163h into which a portion extending upwardly is inserted is form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100)에 제공되는 상기 제 2 레버(163b)는, 상기 제 1 레버(163a)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차폐판(162a)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에 근접한 위치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ever 163b provided to the suction nozz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 plate 162a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lever 163a to the third air inlet 161. And to guide to a near posi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레버(163b)의 일측이 회전하여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공(163h)의 내벽과 상기 제 2 레버(163b)의 일측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판(162a)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와 근접한 위치까지 상기 제 1 레버(163a)와 제 2 레버(163b)에 의하여 안내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측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차폐판(162a)이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onnection hole 163h and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in a direc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is rotated and moved. Accordingly, when the shielding plate 162a is guided by the first lever 163a and the second lever 163b to a position close to the third air inlet 161, the third air inlet 161 is sided. The shielding plate 162a completely shields the third air intake port 161 by the suction force.

또한, 상기 노즐 케이스(110)의 상면, 즉 상기 상부 케이스(111)의 상면에는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확인창(111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확인창(111a)은 상기 레버부(163)의 상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버(163a)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버(163a)에는 상향 돌출된 확인편(111b)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case 11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confirmation window (111a) that can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third air inlet 161. Here, the confirmation window (11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portion 163, mor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ever (163a), the confirmation piece 111b protruding upward on the first lever (163a). ) Is provided.

이에 따라, 상기 확인편(111b)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측으로 치우쳐져 있으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가 차폐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고, 상기 확인편(111b)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의 반대측으로 치우쳐져 있으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가 개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firmation piece 111b is biased toward the third air intake port 161,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air intake port 161 is shielded, and the confirmation piece 111b is the third. If it is bias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inlet 161,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air inlet 161 is open.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100)은, 상기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카페트와 같은 바닥을 청소할 때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uction nozz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and to preven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from being lowered when cleaning a floor such as a carpet.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 노즐(100)에는 상기 회전 터빈(140)이 회전하도록 외부 공기를 상기 챔버(113) 내부로 안내하는 제 4 공기 통로(164), 그리고 상기 제 4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부(165)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uction nozzle 100 opens and closes a fourth air passage 164 for guiding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113 to rotate the rotary turbine 140, and the fourth air passage. A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 4 공기 통로(164)는, 상기 상부 케이스(111)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제 4 공기 흡입구(164a)와 상기 챔버(113)의 정면, 특히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터빈이 회전하도록 공기를 상기 회전 터빈으로 배출하는 제 4 공기 배기구(16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erein, the fourth air passage 164 may include a fourth air inlet 164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and the front of the chamber 113, in particular, the second air inlet 150. 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comprises a fourth air exhaust port (164b) for discharging air to the rotary turbine for the rotary turbine to rotate.

그리고, 상기 통로 개폐부(165)는 대기압과 상기 챔버(113) 내부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 챔버 내부의 흡입력에 의하여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제 4 공기 통로(164)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회전 터빈(1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art 165 is opened by suction force inside the chamber generated by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the chamber 113, so that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fourth air passage 164 and th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the rotary turbine 14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통로 개폐부(165)는, 일측이 상기 제 4 공기 통로(164)의 소정 위치, 특히 상기 제 4 공기 배기구(164b)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 전방이 상기 제 4 공기 통로(164)의 내벽, 특히 상기 제 4 공기 배기구(164b)의 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챔버(113)의 내측으로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로 개폐부(165)의 탄성계수가 낮을수록 상기 통로 개폐부(165)는 쉽게 열리게 되고, 상기 통로 개폐부(165)의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상기 통로 개폐부(165)는 상기 챔버 내부가 고진공 상태가 되어야 열리게 된다.In more detail, one side of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art 165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ourth air passage 164, 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fourth air exhaust port 164b, and the other side of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is the fourth air. It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passage 164, 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fourth air exhaust port 164b and configured to bend only inside the chamber 113. Here, the lower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is easier to open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the higher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is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is a high vacuum state inside the chamber To be opened.

그러므로, 상기 통로 개폐부(165)의 재질은 모터의 성능이나 상기 제 4 공기 통로의 단면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ourth air passage.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100)이 카페트 바닥을 청소할 때, 상기 카페트에 의해 상기 제 2 레버(163b)의 롤러(163e)가 눌림되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가 상기 차폐판(162a)에 의하여 차폐되고, 더 나아가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가 상기 카페트에 의하여 막혀 상기 챔버(113)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되면, 상기 통로 개폐부(165)의 후방과 전방에 가해지는 압력차이, 즉 상기 챔버(113) 내부의 압력과 상기 보조 공기 통로(164)의 대기압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통로 개폐부(15)가 상기 챔버(113)의 내측으로 휘면서 상기 제 4 공기 배기구(164b)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챔버(113)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회전 터빈(140)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터빈(140)의 회전력은 상 기 벨트(142)를 통하여 상기 교반기(130)에 전달되어 상기 교반기(1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카페트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nozzle 100 of the vacuum cleaner cleans the carpet bottom, the roller 163e of the second lever 163b is pressed by the carpet, so that the third air inlet 161 is closed. When the first air inlet 120 is blocked by the carpet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113 is in a high vacuum state, the barrier opening 162a is shielded by the shielding plate 162a. The passage opening / closing portion 15 is bent into the chamber 113 by the difference in pressure applied, that is,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13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auxiliary air passage 164. 164b is opened. Accordingly, external air flows into the chamber 113 to rotate the rotary turbine 140,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urbine 140 is transmitted to the stirrer 130 through the belt 142. As the stirrer 130 rotates,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carpet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100)이 구비된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anister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uction nozz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진공 청소기로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팬이 회전하여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1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First,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the motor and the fan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rotate to generate an air suction force, and external air into the suction nozzle 100 by the air suction force. Is introduced.

여기서, 상기 흡입 노즐(100)이 청소될 바닥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과 상기 보조 공기 흡입구(115)를 동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20)와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각각을 통과하므로,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유속은 감소되어, 상기 회전 터빈(140)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교반기(130)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Here, when the intake nozzle 100 is separated from the floor to be cleane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and the auxiliary air intake port 115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intake port 120. Since each of the third air inlets 161 passes,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air inlets 120 are reduced, so that the stirrer 130 rotating by the rotary turbine 140 is slow. Will rotate.

다음으로, 바닥의 청소를 위해 상기 흡입 노즐(100)이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제 2 레버(163b)의 롤러(163e)가 상기 바닥에 의해 눌림되어 상기 제 2 레버의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상향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절곡부(163c)를 기준으로 상향 연장된 상기 제 2 레버(163b)의 일측이 상기 제 1 레버(163a)를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폐판(162a)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에 근접하여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켜,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과 유속을 증가시킨다.Next, when the suction nozzle 100 is seated on the floor for cleaning the floor, the roller 163e of the second lever 163b is pressed by the floor to open the bent portion 163c of the second lever. As a reference, the one side of the second lever 163b extend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bent portion 163c rotates the first lever 163a toward the third air inlet 161, thereby The shielding plate 162a reduce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in proximity to the third air inlet 161 and flows in from the first air inlet 120 to the second air inlet 150. Increase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이에 따라, 상기 회전 터빈(14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도 증가하게 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공기 흡입구(120)를 통하여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챔버(113)를 지나 상기 연결관(300)에 의해 상기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210)로 안내된 후, 상기 집진부(2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바퀴의 토출부(2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turbine 140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130 is also increased, so that foreign matter separation performance from the bottom is improved.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20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210 of the cleaner body by the connecting pipe 300 through the chamber 113, and then the dust collecting unit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221 of the wheel in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removed.

여기서,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와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의 이물질 흡입 성능은, 상기 차폐판(162a)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 측의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완전히 차단할 때, 최고조가 된다.Here,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130 and the foreign matter suction performance of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the shielding plate 162a is the third air intake force by the air suction force on the third air intake port 161 side When the inlet 161 is completely shut off, there is a peak.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로 카페트 바닥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가 상기 차폐판(162a)에 의하여 차단되고,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가 상기 카페트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챔버(113)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된다.In addition, when the carpet floor is cleaned by the vacuum cleaner, the third air inlet 161 is blocked by the shielding plate 162a, and the first air inlet 120 is blocked by the carpet. The flow rate of ai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13 is reduced.

상기 챔버(113)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하면,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속도가 저하되거나 상기 교반기(130)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과 상기 모터의 과부하 방지를 위하여, 상기 챔버(113) 내부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 4 공기 통로(164)의 통로 개폐부(165)가 개방되어 상기 챔버(113)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챔버(113)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회전 터빈(1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기(130) 가 회전 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카페트 내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120)로 용이하게 흡입된다.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hamber 113 de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stirrer 130 is lowered or the stirrer 130 cannot be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tirrer 130 and the overload of the motor are performed. For the prevention,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113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65 of the fourth air passage 164 is opened to guide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13, The air guided into the chamber 113 rotates the rotary turbine 140. Accordingly, as the stirrer 130 increases in rotation speed, foreign matter inside the carpet is easily sucked into the first air intake port 120.

또한, 다른 장소의 청소를 위해 상기 흡입 노즐을 바닥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 1 스프링(163f)과 상기 제 2 스프링(163g)에 의하여 상기 제 1 레버(163a)와 상기 제 2 레버(163b)가 상기 차폐판(162a)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켜,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161)를 개방시키므로, 상기 챔버(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가 전체적으로 넓어지는 동시에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15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감소되어 상기 교반기(13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고, 상기 흡입 노즐(100)의 흡입 소음이 감소된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nozzle is removed from the floor for cleaning in another place, the first lever 163a and the second lever 163b by the first spring 163f and the second spring 163g. Returns the shielding plate 162a away from the third air inlet 161 to open the third air inlet 161 so that the passage of air flowing into the chamber 113 is widened. At the same time,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second air intake port 150 is reduced,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gitator 130 is reduced, and the suction noise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reduc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100)이, 캐니스터형(Canister type) 진공 청소기 및 업라이트형(Upright type) 진공 청소기는 물론 모든 타입의 청소기에 장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uction nozzle 100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on any type of vacuum cleaner as well as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nd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 노즐이 바닥에 안착되면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상기 흡입노즐이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며, 상기 흡입노즐이 안착된 바닥의 상태에 따라 교반기의 회전속도가 변화되므로, 바닥으로부터 먼지의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nozzle is seated on the flo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increases, and when the suction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flo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decreases, an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seated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dust is changed, the separation performance of dust from the floor is improved.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을 바닥에서 분리하면 상기 교반기가 저마력과 저속으로 회전하므로, 사용자의 손이 회전하는 교반기에 의해 다치는 것이 방지된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irrer rotates at a low horsepower and a low speed when the suction nozzle is removed from the bottom for the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the user's hand is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by the rotating stirrer.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위치 변경을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이 바닥에서 분리되면, 제 1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감소하여 공기의 흡입 소음이 감소된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floor for changing the cleaning position,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air inlet is reduced to reduce the suction noise of the air.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을 바닥에서 분리하면 상기 흡입 노즐의 공기 흡입력이 감소되므로, 진공 청소기의 이동 중에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에 커튼이나 사용자의 옷 등이 빨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uction nozzle is removed from the floor for the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the air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nozzle is reduced, so that the curtain or the user's clothes, etc. Sucking is prevented.

Claims (10)

노즐 케이스;Nozzle case; 상기 노즐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며, 공기흡입장치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 1 공기 흡입구;A first air inl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case and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by air suction force generated by driving of the air intake device; 상기 공기 흡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교반기; 그리고A stirrer rotatably provided at the air inlet to separate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And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노즐 케이스가 안착되는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속도조절장치를 포함하고,When the nozzle case is mounted on the flo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is increased, and when the nozzle case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is decreased, and the rotation of the stirr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on which the nozzle case is seated. It includes a speed control device for changing the speed, 상기 속도조절장치는,The speed control device, 상기 노즐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회전 터빈; 그리고A rotary turbine provided in an air passage formed inside the nozzle case to rotate by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and rotate the stirrer; And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바닥의 상태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여 상기 교반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공기유동 조절장치를 포함하며,When the nozzle case is mounted on the floor, the air flow control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tirrer by adjusting the flow of air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the bottom, 상기 공기유동 조절장치는,The air flow control device, 상기 회전 터빈이 회전하도록, 상기 노즐 케이스의 공기 통로에 구비되는 챔버 내부로 상기 제 1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제 2 공기 흡입구;A second air inlet for guid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inlet into the chamber provided in the air passage of the nozzle case so that the rotary turbine rotates; 상기 챔버의 일측 벽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 3 공기 흡입구; 그리고A third air inlet formed in one wall of the chamber and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uxiliary air inlet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ozzle case passes; And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과 유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차폐수단을 포함하며,And a shielding means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take port so that the flow rate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intake port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when the nozzle case is seated on the floor. , 상기 차폐수단은,The shielding means,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는 차폐판; 그리고A shielding plate which opens and closes the third air intake port; And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차폐판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노즐 케이스가 상기 바닥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차폐판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When the nozzle case is seated on the floor, the shield plate is moved toward the third air intake port so that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intake port is reduced, and when the nozzle case is detached from the floor, the third air intake port is removed. It includes a lever for returning the shielding pl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air inlet so that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레버부는,The lever unit, 일측이 상기 차폐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노즐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레버; 그리고A first lev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hield plate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provided in the nozzle case; And 일측이 상기 제 1 레버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타측이 상기 노즐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노즐 케이스가 바닥에 안착될 때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레버에 연결된 상기 차폐판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One side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to the first lever,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bottom of the nozzle case, so that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to the third air inlet when the nozzle case is seated on the floor is reduced And a second lever for moving the shielding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to the third air intake s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 공기 흡입구는, 외부 공기가 상기 노즐 케이스의 후측 공간에 유입되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통과하도록, 상기 노즐 케이스의 상부 후방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The auxiliary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ear part of the nozzle case such that external air flows into the rear space of the nozzle case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air inl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레버는 상기 차폐판을 복귀시키는 제 1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And the first lever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first spring for returning the shield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레버는,The second lever, 양단 사이의 소정 위치가 상기 노즐 케이스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The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both ends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case.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6 and 7, 상기 제 2 레버는,The second lever, 상기 제 1 레버에 연결된 상기 차폐판을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And the shield plate connected to the first lever is moved to a position proximate to the third air intake por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차폐판은,The shield plate,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공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3 공기 흡입구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And the third air inlet is completely shielded by the air suction force in a position proximate to the third air inle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유동 조절장치는,The air flow control device, 상기 회전터빈이 회전하도록 외부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로 안내하는 제 4 공기 통로; 그리고A fourth air passage guiding outside air into the chamber for rotating the rotary turbine; And 상기 바닥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회전 터빈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4 공기 통로를 개방하는 통로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노즐.And a passag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the fourth air passage so that the rotary turbine can rotate when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air inlet decreas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thereby lowering the pressure in the chamber.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60413A 2004-07-30 2004-07-30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084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13A KR101084122B1 (en) 2004-07-30 2004-07-30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US11/192,113 US20060021185A1 (en) 2004-07-30 2005-07-29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005124250/12A RU2300303C2 (en) 2004-07-30 2005-07-29 Sucking-in wash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ucking-in washer
DE602005010334T DE602005010334D1 (en) 2004-07-30 2005-08-01 Suction nozzle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EP05254803A EP1621125B1 (en) 2004-07-30 2005-08-01 Intake nozzl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13A KR101084122B1 (en) 2004-07-30 2004-07-30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28A KR20060011528A (en) 2006-02-03
KR101084122B1 true KR101084122B1 (en) 2011-11-17

Family

ID=3516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13A KR101084122B1 (en) 2004-07-30 2004-07-30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21185A1 (en)
EP (1) EP1621125B1 (en)
KR (1) KR101084122B1 (en)
DE (1) DE602005010334D1 (en)
RU (1) RU2300303C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14B1 (en) 2013-05-2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9194654A1 (en) * 2018-04-06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5309A2 (en) 2004-07-29 2006-02-09 Electrolux Care Products, Ltd Upright vacuum cleaner
US8738787B2 (en) 2005-04-20 2014-05-27 Limelight Networks, Inc. Ad server integration
KR20110006236A (en) * 2009-07-14 2011-01-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Brush unit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EP2653085B1 (en) * 2012-04-19 2018-05-30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US8972334B2 (en) * 2012-12-21 2015-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data service suitable for modifying data storage capabilities in applications
CN104622390A (en) * 2015-01-29 2015-05-20 苏州克林威尔电器有限公司 Handheld dust collector using brushless motor
CN106725106A (en) * 2017-01-09 2017-05-31 佛山市顺德区德尔玛电器有限公司 A kind of vacuum cleaning head and the dust catcher using the vacuum cleaning hea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842B2 (en) * 1987-05-30 1997-05-07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er
JP2954431B2 (en) * 1992-09-09 1999-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uction body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is suction body
DE4243235A1 (en) * 1992-12-19 1994-06-23 Fedag Romanshorn Fa Attachment for suction cleaner with speed-controlled rotary brush
US5400466A (en) * 1993-08-10 1995-03-28 Alderman; Robert J. Vacuum cleaner with air vibration suction nozzle
JP3261910B2 (en) * 1995-01-09 2002-03-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acuum cleaner and its mouthpiece
WO1997007728A1 (en) * 1995-08-25 1997-03-06 Philips Electronics N.V. Vacuum cleaner with power control in dependence on a mode of operation of an electrical brush
JPH09253010A (en) * 1996-03-18 1997-09-30 Sanyo Electric Co Ltd Suction tool for floor
DE69832957T3 (en) * 1997-08-25 2013-11-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SURFACE TREATMENT DEVICE WITH ACOUSTIC DETECTOR OF SURFACE MATERIAL
JP3276894B2 (en) * 1997-08-29 2002-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Vacuum cleaner and its rotating brush
US5983446A (en) * 1998-01-16 1999-11-16 Hsia; Chih-Yu Multiple suction nozzle vacuum heads
JP3574000B2 (en) * 1999-04-05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US6956348B2 (en) * 2004-01-28 2005-10-18 Irobot Corporation Debris sensor for cleaning apparatus
CN1240336C (en) * 2000-05-17 2006-02-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Electric dust collector
US7251858B2 (en) * 2004-01-23 2007-08-07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Floor care apparatus with multiple agitator speeds and constant suction pow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14B1 (en) 2013-05-2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WO2019194654A1 (en) * 2018-04-06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0334D1 (en) 2008-11-27
EP1621125B1 (en) 2008-10-15
RU2005124250A (en) 2007-02-10
EP1621125A2 (en) 2006-02-01
EP1621125A3 (en) 2006-05-03
RU2300303C2 (en) 2007-06-10
US20060021185A1 (en) 2006-02-02
KR20060011528A (en)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164B2 (en)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KR101012375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0837360B1 (en) Upright vaccum cleaner using return current of discharging air
EP2316322A2 (en) Robot cleaner
RU2300303C2 (en) Sucking-in wash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ucking-in washer
AU2003207685A1 (en)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US20090307867A1 (en) Cleaner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N113440046B (en) Cleaning device, sweeper and vacuum cleaner
KR101054999B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KR20070016420A (en) Suction Unit for Cleaner
KR20050094060A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055961B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KR100617225B1 (en) suction module in vacuum cleaner
KR20070016543A (en) Suction Unit for Cleaner
KR20060038798A (en) Robot cleaner
KR100504892B1 (en) Upright vacuum cleaner
KR100595557B1 (en) Suction head of vacuum cleaner
JP3337190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KR100539745B1 (en) Air flow apparatus of upright cleaner
KR20230114510A (en)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565694B1 (en) Assembly for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JP3449514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JP3381890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JPH09248264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KR20210012401A (en) A vacc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