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829B1 -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 Google Patents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829B1
KR101059829B1 KR1020090006825A KR20090006825A KR101059829B1 KR 101059829 B1 KR101059829 B1 KR 101059829B1 KR 1020090006825 A KR1020090006825 A KR 1020090006825A KR 20090006825 A KR20090006825 A KR 20090006825A KR 101059829 B1 KR101059829 B1 KR 10105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obot
docking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7820A (en
Inventor
권경주
Original Assignee
(주)리눅스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눅스아이티 filed Critical (주)리눅스아이티
Priority to KR102009000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829B1/en
Publication of KR2010008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Abstract

모듈 교체가 가능한 로봇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로봇은 복수의 기능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장착된다.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이 격납되며, 상기 로봇이 도킹 영역에 도킹된 후 상기 로봇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장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로봇에 장착되는 모듈을 교체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 없이 다양한 모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robotic system capable of module replacement is disclosed. A robotic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and a docking station. The robot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of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The docking station stores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and mounts the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to the robot after the robot is docked in the docking are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functions according to a variety of modules without space constraints by replacing the module mounted on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Description

모듈 교체가 가능한 로봇 시스템{Robot system having changable module}Robot system having changable module

본 발명은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모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모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modules by allowing docking stations to replace modules.

로봇과 관련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종래에 산업분야에서 위험하고 단순한 작업에 주로 이용되던 로봇은 교육, 의료, 등을 포함하여 일상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이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이라 함)에서 로봇은 사람이 하는 일을 대신 해주거나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을 위한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s the technology related to robots is developed, robots, which have been mainly used for dangerous and simple tasks in the industry in the past, have been used in various ways in everyday life including education, medical care, and the like. Especially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ncluding home network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me network system'), robo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to replace human tasks or to perform routine tasks at home. .

일상생활에서 로봇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예로 로봇 청소기를 들 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로봇 청소기는 일정 구역의 바닥에서 움직이며 흡입관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 및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미리 설 정된 시간 동안 제한된 공간에서 한정된 기능(청소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로봇 장치들은 공간, 기능 등의 한계 때문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의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A typical example of using a robot in daily life is a robot cleaner. Currently used robot cleaners move on the floor of a certain area and perform the function of sucking and clea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hrough the suction pipe. That is, such a robot cleaner may perform only a limited function (cleaning function) in a limited space for a preset time. However, robot devices used in daily life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be efficiently used in home network systems due to limitations in space and function.

한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로봇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는 현재 집 내부의 조건에 따라 청소 기능, 가습 기능, 제습 기능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분리된 각각의 공간마다 가습기, 제습기 등을 갖추도록 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used efficiently in a home network system, it is preferable that the robo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in a home network system,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cleaning function, a humidification function, a dehumidification function, etc.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side the home. In this case, it is efficient to equip each space separated with a humidifier and a dehumidifier. Is no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pose a robot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without space limitations.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모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모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system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modules by allowing the module to be replaced by docking to the docking sta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로봇, 및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로봇은 복수의 기능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장착된다.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이 격납되며, 상기 로봇이 도킹 영역에 도킹된 후 상기 로봇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장착한다.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robot, and a docking station. The robot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of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The docking station stores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and mounts the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to the robot after the robot is docked in the docking area.

또한 상기 로봇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로봇이 도킹 되며 상기 도킹된 로봇에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도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격납된 복수의 기능 모듈들 중 장착될 기능 모듈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도킹 영역에 배치하는 상하 이동 장치, 및 상기 배치된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장착 영역으로 이송하여 상기 모듈 장착 영역에 장착하는 제 1 이송부를 포함한다. The robot also includes a module mounting area in which the at least one module is mounted, and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docking unit in which the robot is docked and mounts the functional module to the docked robot, and the docking unit Up and down device for moving the functional module to be mounted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up and down and disposed in the docking area, and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rranged functional module to the module mounting area to be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area Include.

또한 각각의 상기 기능 모듈은 양 측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장착 영역은 상기 결합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 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기능 모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결합 홈과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장착 영역에 장착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functional modules includes coupl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dule mounting area includes coupling protrusion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first convey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function. The function module is mounted in the module mounting area by sliding the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 때 상기 제 1 이송부는 피스톤, 모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transfer unit is preferably implemented using any one of a piston, a motor.

한편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기능 모듈을 정비하는 모듈 정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정비되는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정비부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정비부는, 상기 제 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능 모듈이 위치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을 모듈 정비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The docking station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maintenance unit configured to service the function module, and the d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serviced function module to the module maintenance unit, and the module maintenance unit may include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a moving plate on which the function module to be transported is located, and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to the module maintenance box.

한편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은 청소 모듈, 가습 모듈, 제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preferably include a cleaning module, a humidification module, and a dehumidification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로봇에 장착되는 모듈을 교체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 없이 다양한 모듈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modules without space limitation by replacing the module mounted on the robot by docking the dock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공간적인 제약 없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without any spatial constraints, and thus may be variously used in a home network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로봇에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것에 비해 로봇의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로봇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life of the robot by reducing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robot compared to implementing a variety of functions in the form of a functional module, integrally implemented in one robot.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을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로봇 시스템에도 바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existing robot system by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in the form of functional module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로봇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봇(100)은 기능 모듈 장착 영역(110), 습도 센서(120), 인체 감지 센서(130), 마이크 센서(140), 이미지 센서(150), 스피커(160), 표시부(170), 구동 장치(180), 보조 구동 장치(182), 적외선 수신부(190), 및 충전 단자(195)를 포함한다. 1 is a front view of a robot included in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obot of FIG. 1. The robot 100 includes a function module mounting area 110, a humidity sensor 120, a human body sensor 130, a microphone sensor 140, an image sensor 150, a speaker 160, a display unit 170, a driving device. 180, an auxiliary driving device 182, an infrared receiver 190, and a charging terminal 195.

도 2의 (a) 내지 (f)는 각각 로봇(10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상면 도, 저면도,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봇(100)의 형상은 원통형이나, 본 발명이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a) to 2 (f) are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 top view, a bottom view and a rear view of the robot 100,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 2, the shape of the robot 100 is cylindric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기능 모듈 장착 영역(110)에는 후술할 기능 모듈, 즉 청소 모듈, 가습 모듈, 제습 모듈 등이 장착된다. 습도 센서(120), 인체 감지 센서(130), 마이크 센서(140), 이미지 센서(150)는 로봇 주위의 습도,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 음성, 영상을 감지한다. The functional module mounting area 110 is equipped with a functional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 cleaning module, a humidification module, a dehumidification module, and the like. The humidity sensor 120, the human body sensor 130, the microphone sensor 140, and the image sensor 150 detect humidity around a robot, whether a person exists, voice, and image.

표시부(170)는 로봇의 현재 작동 상태, 로봇 주의의 정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 등을 표시한다. 구동 장치(180)는 로봇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센서(150)는 카메라이고, 구동 장치(180)와 보조 구동 장치(182)는 바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a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robot, information of the robot attention, a work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the like. The driving device 180 is a means for moving the robot.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sensor 150 is a camera, and the driving device 180 and the auxiliary driving device 182 are preferably implemented as wheel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적외선 수신부(190)는 후술할 도킹 스테이션의 적외선 송신부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며, 로봇(100)은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신호가 송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신호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infrared receiver 190 receives an infrared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frared transmitter of a docking st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bot 100 performs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nfrared sig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rared signal has been described as being transmitted and receiv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kind of signal.

한편 로봇(100)의 충전은 충전 단자(195)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충전은 충전 단자(195)에 대응하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킹 스테이션에 충전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는 것과 동시에 충전 단자(195)가 도킹 스테이션의 충전 장치에 접속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harging of the robot 100 is performed using the charging terminal 195. In this case, the charging may be performed using a separate charg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195.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device is provided in a docking st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robot 100 docks at the docking station. The charging terminal 195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of the docking station so that charging can be mad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로봇의 구성도이다. 로봇(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외부에 보이는 부분들 이외에 로봇의 작동을 위해서 전원 제어부(125), 키 입력 센서(165),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75, 이하 ‘이미지 DB’라 함), RF 송수신부(135), 구동부(145), 도킹 모듈 제어부(155),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included in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100 may include a power control unit 125, a key input sensor 165, and an image database 17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mage DB”) for the operation of the robot, in addition to the externally visible part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RF transceiver 135, a driver 145, a docking module controller 155, and a controller 115 for controlling the RF transceiver 135.

제어부(115)는 로봇(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125)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제어한다. 키 입력 센서는 키(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감지한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5)는 미리 입력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시에 이미지 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The controller 11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100. The power control unit 125 controls the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5. The key input sensor detects content input through a key (not shown). The image database 155 stores a pre-input image and at the same time an image sensed by the image sensor 150.

RF 송수신부(1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 외의 다른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 송수신부(135)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45)는 구동 장치(180)를 구동시킨다. 도킹 모듈 제어부(155)는 도킹된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RF transceiver 135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xternal devices other tha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RF transceiver 135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ome network system. The driving unit 145 drives the driving device 180. The docking module controller 15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ocked function module.

한편 제어부(115)는 이미지 센서(150)와 이미지 DB(175)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특화된 동작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50)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된 이미지가 사람의 얼굴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15)는 입력된 얼굴 이미지를 이미지 DB(175)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입력된 얼굴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람의 이름을 검색한다. 대응하는 사람의 이름이 검색되는 경우, 제어부(115)는 검색된 이름이 포함된 문장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특화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5 may perform an operation specific to a user by using the image sensor 150 and the image DB 175. For example, when the image detected and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50 is a face image of a person, the controller 115 compares the input face image with a face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175 to correspond to the input face image. Search for the person's name. When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person is searched, the controller 115 may output a sentence including the searched name to the speaker so that a user-specific operation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어서오세요. ○○○님.”이라는 문장을 디폴트로 설정해 놓았다고 가정할 때, 이미지 센서(150)를 통해 입력되는 얼굴 이미지를 검색하여 획득한 이름이 “김영은”이라면, 제어부(115)는 “어서오세요. 김영은님.”이라는 문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검색된 사용자인 “김영은”에 대해 특화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elcome. Assuming the sentence ○○○. "Is set as a default, if the name acquired by searching for the fac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sensor 150 is" Kim Young-eun ", the controller 115" Welcome. The sentence “Kim Young Eun”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o that a specializ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searched user “Kim Young Eu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의 (a) 내지 (e)는 각각 기능 모듈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상면도, 저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모듈은 단면이 (d) 또는 (d)와 같은 모양인 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능 모듈은 복수 개가 사용되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은 청소 모듈, 가습 모듈, 제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al module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to (e)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Top view and bottom view. As shown in FIG. 3, the functional module is preferably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having a shape such as (d) or (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are used, and the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preferably include a cleaning module, a humidification module, and a dehumidification module.

한편 기능 모듈은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홈(310)을 포함하며, 결합 홈(310)과 로봇의 기능 모듈 장착 영역(110)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기능 모듈이 로봇(100)에 장착된다.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module includes a coupling groove 310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functional module is a robot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groove 3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functional module mounting area 110 of the robot. 100 is mounted. A detailed operation of mounting the func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도킹 스테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a) 내지 (e)는 각각 도킹 스테이션(50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상면도, 저면도이다.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부(510)와 모듈 정비부(530)를 포함한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ocking station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to (e)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respectively, of the docking station 500, It is a left side view, a top view, and a bottom view.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docking unit 510 and a module maintenance unit 530.

복수의 기능 모듈들(300)은 도킹부(510)에 격납되고, 로봇(100)은 도킹부(510)에 도킹하며, 도킹부(510)는 로봇(100)이 도킹한 후에 기능 모듈 교체 명령에 응답하여 기능 모듈(300)을 로봇(100)에 장착하거나 교체한다. 기능 모듈을 교체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300 are stored in the docking unit 510, the robot 100 docks in the docking unit 510, and the docking unit 510 commands a function module replacement after the robot 100 is docked. In response, the function module 300 is mounted or replaced in the robot 100. A detailed operation of replacing the functional modul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모듈 정비부(530)는 기능 모듈(300)을 정비하는데, 기능 모듈(300)이 로봇(100)에 장착되기 전에 정비할 수도 있고, 기능 모듈(300)이 로봇(1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정비할 수도 있고, 장착되기 전과 분리된 후 모두의 경우에 정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 모듈은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분리된 후에는 남은 물을 버리고 가습 모듈의 내부를 청소하여야 하며 장착되기 전 신선한 물이 채워져야 한다. 따라서 가습 모듈은 장착되기 전과 분리된 후 모두의 경우에 정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청소 모듈 또는 제습 모듈은 장착되기 전 또는 분리된 후 어느 때 정비해도 무방할 것이다. Meanwhile, the module maintenance unit 530 maintains the function module 300, which may be maintained before the function module 300 is mounted on the robot 100, and the function module 300 is separated from the robot 100. It can be serviced after, or both before and after being mounted. For example, the humidification module must be kept clean, so after removing it, discard the remaining water and clean the inside of the humidification module and fill it with fresh water before mounting. The humidification module is therefore preferably serviced both before and after being removed.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module or dehumidification module may be maintained at any time before or after being removed.

한편, 도킹부(510) 중 로봇(100)이 도킹하는 도킹 영역(511)에는, 로봇(100)의 적외선 수신부(190)에 대응하는 적외선 송신부(550)가 위치한다. 적외선 송신부(550)는 로봇(100)으로 도킹을 위한 적외선 신호를 전송한다. Meanwhile, an infrared transmitter 550 corresponding to the infrared receiver 190 of the robot 100 is positioned in the docking area 511 of the docking unit 510 that the robot 100 docks. The infrared transmitter 550 transmits an infrared signal for docking to the robot 100.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500)의 도킹 영역(511)에 접근할 때,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500) 간의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둘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킹 스테이션(500)의 적외선 송신부(550)와 로봇(100)의 적외선 수신부(190) 간의 적외선 통신을 통해 도킹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When the robot 100 approaches the docking area 511 of the docking station 500, a collision may occur between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if control between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is not smoothly perform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operation is smoothly performed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infrared transmitter 550 of the docking station 500 and the infrared receiver 190 of the robot 100.

예를 들어, 로봇(100)의 진입 자세, 진입 방향, 진입 속도, 로봇(100) 도킹 스테이션(500)과의 거리 등이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로봇과 도킹 스테이션 간의 도킹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or example, an entry attitude, an entry direction, an entry speed, a distance from the docking station 500 of the robot 100, and the like may be controlled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Since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docking operation between the robot and the docking st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ethods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500) 간에는 적외선 통신 이외에 RF 송수신부(135, 525)를 이용한 RF 통신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 통신은 로봇(100), 도킹 스테이션(5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의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RF 통신을 이용한 이들 간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eanwhile, in addition to infra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RF communication using the RF transceiver 135 and 525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F communication is preferably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such as robot 100, docking station 500, home network system, the operation between them using RF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킹 스테이션(500)은, 도 5와 같이 외부에 보이는 부분들 이외에 로봇의 작동을 위해서 도킹 전원 제어부(540), RF 송수신부(525), 도킹 표시부(545), 스피커 출력부(565), 상하 구동부(585), 피스톤 구동부(580), 도킹 모듈 제어부(560) 및 이들을 제어하는 도킹 제어부(5205)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cking station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station 500 may include a docking power control unit 540, an RF transceiver 525, a docking display unit 545, a speaker output unit 565, and a top and bottom for operation of the robot in addition to the externally visible parts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unit 585, the piston driving unit 580, the docking module control unit 560, and a docking control unit 5205 for controlling them may be included.

도킹 전원 제어부(540)는 도킹 스테이션(500)의 전원을 제어한다. 도킹 표시부(545)는 도킹 스테이션(500)의 현재 상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동작 등을 표시한다. 스피커 출력부(565)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나 경고 등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킹 모듈 제어부(560)는 도킹 스테이션(500) 내에서의 기능 모듈들(310 내지 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docking power control unit 540 controls the power of the docking station 500. The docking display unit 545 displays a current state of the docking station 500, an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the like. The speaker output unit 565 outputs an operation, a warning, and the like, which are performed in the docking station, by voice. The docking module controller 5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modules 310 to 330 in the docking station 500.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기능 모듈(300)을 장착하여 장착된 기능 모듈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까지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한 후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기능 모듈의 정비가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한 후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to 10,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100 until the robot 100 is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to mount the function module 300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ed function module will be described.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erformed before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erformed after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tenance of the functional module, Figur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functional module after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으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일부로서, 기능 모듈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a user's manual operation, but as part of constituting a home network system, etc., it is preferable to operate as a subject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odule.

기능 모듈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서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500) 모두에 제어를 위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여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50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며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간의 통신에는 RF 송수신부(135, 525)를 이용한 RF 통신을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500)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며 제어가 수행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현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module needs to be performed, the home network system or the like performs control for performing the function. For example, in a home network system or the like, a command for control may be transmitted to both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and may be transmitted to either one to communicate between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This may be done and control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RF communication using the RF transceivers 135 and 525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m.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robot 100 and the docking station 500 and control is per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명령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장착하라는 명령이 로봇(100) 및/또는 도킹 스테이션(500)으로 전송될 것이다. 이 경우 로봇(100)은, 먼저 자신이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모듈을 장착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해당 기능 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라면 모듈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로봇(100)은 현재 장착된 기능 모듈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 command to mount a function module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 a home network system or a user's operation will be sent to the robot 100 and / or the docking station 500. In this case, the robot 100 first checks whether the robot 100 is equipped with a func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If the module is mounted, there is no need to replace the module, and thus the robot 10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mounted function module.

해당 기능 모듈을 장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로봇(100)은 도킹 스테이션(500)으로 도킹 영역(511)을 비우는 명령을 전송한다(도 7 참조). 이 경우 명령은 RF 송수신부(135, 525)를 이용한 RF 통신을 통해 전송될 것이다. 또한, 로봇(100)은 장착이 필요한 기능 모듈이 도킹 영역(511)에 배치되도록 하는 명령도 함께 전송한다. I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is not mounted, the robot 100 transmits a command to empty the docking area 511 to the docking station 500 (see FIG. 7). In this case, the command will be transmitted through RF communication using the RF transceiver 135 and 525. In addition, the robot 100 also transmits a command for arranging a function module that needs to be mounted in the docking area 511.

한편, 도킹 스테이션(500)의 도킹 제어부(520)는 로봇(10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로봇(100)이 도킹할 수 있도록 도킹 영역(511)을 비우고, 장착될 기능 모듈이 도킹 영역(511)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청소 모듈(310), 제습 모듈(320), 가습 모듈(330) 중 가습 모듈(330)이 장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기능 모듈들의 상하 이동은 상하 구동부(585)가 상하 구동 장치(도면부호 미도시)를 구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Meanwhile,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of the docking station 500 empties the docking area 511 so that the robot 100 can dock in response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robot 100, and the function module to be mounted is a docking area ( 511 is arrang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humidification module 330 is mounted among the cleaning module 310, the dehumidification module 320, and the humidification module 330 illustrated in FIG. 7 will be described. Meanwhil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unctional modules is performed by the vertical drive unit 585 driving the vertical drive device (not shown).

도킹 제어부(520)는 기능 모듈이 장착되기 전에 필요한 경우 장착될 모듈, 즉 가습 모듈(330)을 정비한 후, 정비된 기능 모듈이 도킹 영역(511)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기능 모듈이 정비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maintains the module to be mounted if necessary, that is, the humidification module 330, before the function module is mounted, and then arranges the serviced function module in the docking area 511. 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function module is maintain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기능 모듈의 정비를 위해, 도킹부(510)는 제 1 이송부(512)를 포함하고, 모듈 정비부(530)는 급수통(531), 폐수통(533), 급수관(535), 폐수관(537), 모듈 정비함(539)을 포함하고, 모듈 정비함(539)는 이동판(514), 이동부(516)를 포함한다. For maintenance of the functional module, the docking unit 510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512, the module maintenance unit 530 is a water supply tank 531, waste water container 533, water supply pipe 535, waste water pipe ( 537, a module maintenance box 539, and the module maintenance box 539 includes a moving plate 514 and a moving unit 516.

먼저 상하 구동부(585)는 복수의 기능 모듈 중 정비가 필요한 모듈이 제 1 이송부(512)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도록 기능 모듈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한편 이동판(514)이 정비될 모듈을 받을 수 있도록, 이동부(516)는 이동판(514)을 도킹부(510) 쪽으로 이동시킨다. First, the vertical driving unit 585 moves the functional module up and down so that a module requiring maintenance among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go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fer unit 512. Meanwhile, the moving part 516 moves the moving plate 514 toward the docking part 510 so that the moving plate 514 can receive the module to be maintained.

정비될 모듈이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이동판(514)이 이동한 후, 제 1 이송부(512)는 정비될 모듈을 이동판(514) 위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이송부(512)는 피스톤으로 구현되어 정비될 모듈을 모듈 정비함(539) 방향으로, 즉 이동판(514) 위로 이동시킨다. 즉, 도킹 제어부(520)는 피스톤 구동부(580)를 제어하여 제 1 이송부(512)를 구성하는 피스톤이 정비될 모듈을 이동판(514) 위로 이동시킨다. After the module to be serviced moves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moving plate 514 moves, the first transfer unit 512 moves the module to be serviced onto the moving plate 51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fer part 512 is implemented as a piston to move the module to be maintained in the direction of the module maintenance box 539, that is, above the moving plate 514. That is,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piston drive unit 580 to move the module to be maintained in the piston constituting the first transfer unit 512 on the moving plate 514.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이송부(512)가 피스톤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정비될 모듈을 밀거나 슬라이드시키는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수단이라도 제 1 이송부(512)를 구현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이송부(512)는 모터를 이용해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conveying unit 512 is implemented as a piston, if any means that can be conveyed by pushing or sliding the module to be maintained by any means to implement the first conveying unit 512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example, the first transfer unit 512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tor.

그 후 이동부(516)는 이동판(514)을 모듈 정비함(539)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비될 모듈을 모듈 정비함(530)으로 이동시킨다. The moving part 516 then moves the moving plate 514 toward the module service box 539 to move the module to be serviced to the module service box 530.

정비될 모듈이 모듈 정비함(539)으로 이동된 후, 모듈 정비부(530)는 해당 기능 모듈을 정비한다. 예를 들어, 가습 모듈(330)을 정비하는 경우 가습 모듈(300)에 담겨 있던 물은 폐수관(537)을 통해 폐수통(533)으로 버려지고, 급수통(531)에 저장되어 있는 깨끗한 물이 급수관(535)을 통해 가습 모듈(330)로 공급된다. 제습 모듈(320)의 경우, 제습된 물이 폐수관(537)을 통해 폐수통(533)으로 버려질 것이다. After the module to be serviced is moved to the module service box 539, the module maintenance unit 530 maintains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u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humidification module 330, the water contained in the humidification module 300 is discarded into the waste water container 533 through the waste water pipe 537, and clean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tank 531. The water supply pipe 535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module 330. In the case of the dehumidification module 320, the dehumidified water will be disposed of in the waste water container 533 through the waste water pipe 537.

기능 모듈에 대한 정비가 완료된 후, 기능 모듈은 도킹부(510)에서 모듈 정비함(539)으로 옮겨지는 과정의 반대 과정을 거쳐 다시 도킹부(510)로 이동한다. 그 후, 도킹 제어부(520)는 상하 구동부(585)를 구동시킴으로써 정비된 기능 모듈을 도킹 여역(511)에 배치한다. After the maintenance of the functional module is completed, the functional module is moved back to the docking unit 510 through the reverse process of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docking unit 510 to the module maintenance box 539. Thereafter,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places the functional module maintained in the docking area 511 by driving the vertical driving unit 585.

도킹 스테이션(500)이 도킹 영역(511)을 비우고 장착될 기능 모듈을 도킹 영역(511)에 배치하는 동안, 로봇(100)은 도킹 영역(511)으로 이동하여 도킹 스테이션(500)에 도킹한다. 로봇(100)이 도킹한 후, 도킹 스테이션(500)은 도킹 영역(511)에 배치된 기능 모듈을 로봇(100)에 장착한다. While the docking station 500 emptyes the docking area 511 and places the functional module to be mounted in the docking area 511, the robot 100 moves to the docking area 511 and docks at the docking station 500. After the robot 100 docks, the docking station 500 mounts a functional module disposed in the docking area 511 to the robot 100.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능 모듈의 장착을 위해 도킹부(510)는 제 2 이송부(518)를 포함한다. 제 2 이송부(518)는 배치된 기능 모듈의 결합 홈(310)을 로봇(100)의 모듈 장착 영역(110)에 형성된 결합 돌기(미도시)에 결합하도록 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 홈(310)과 결합 돌기는 길이 방향(즉 로봇(100)에 장착할 때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기능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결합 홈(310)과 결합 돌기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결합 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 은 아니다. 8 and 10, the docking unit 510 includes a second transfer unit 518 to mount the functional module. The second transfer unit 518 allows the coupling groove 310 of the function module to be coupled to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module mounting area 110 of the robot 100. As shown in FIG.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groove 31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when mounted on the robot 100) to extend the function modul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upling groove 3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by sliding in the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coupling form.

상술한 결합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 2 이송부(518)는 배치된 기능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 이송부는 피스톤으로 구현되어 배치된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즉, 도킹 제어부(520)는 피스톤 구동부(580)를 제어하여 제 2 이송부(518)를 구성하는 피스톤이 배치된 기능 모듈을 로봇(100)의 모듈 장착 영역(11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봇(100)에 기능 모듈을 장착한다(도 8 참조).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coupling, the second transfer unit 518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slide the arranged functional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slides the module arranged and implem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piston drive unit 580 to move the functional module in which the piston constituting the second transfer unit 518 is disposed to the module mounting area 110 of the robot 100, thereby causing the robot 100 to move. Mount the functional module on it (see Figure 8).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이송부(518)가 피스톤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정비될 모듈을 밀거나 슬라이드시키는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수단이라도 제 2 이송부(518)를 구현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송부(518)는 모터를 이용해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the second conveying unit 518 is implemented as a piston, if any means that can be conveyed by pushing or sliding the module to be maintained by any means to implement the second conveying unit 518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example, the second transfer unit 518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tor.

한편 로봇(100) 기능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500)은 기능 모듈을 장착하기 전에 장착되어 있는 기능 모듈을 로봇(100)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기능 모듈을 분리하는 방법은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과정의 반대 과정으로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when the robot 100 function module is mounted, the docking station 500 should separate the installed function module from the robot 100 before mounting the function module. Since the method of detaching the function module is performed in a reverse process of mounting the function modu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기능 모듈의 장착이 완료되면, 로봇(100)의 제어부(115)는 도킹 스테이션(500)의 도킹 제어부(520)로 도킹을 종료한다는 정보를 전송한 후, 도킹 영역(511)에서 빠져나와 장착된 기능 모듈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mounting of the functional modul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115 of the robot 10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ocking end of the docking control unit 520 of the docking station 500 exits from the docking area 511 and is mounted. Perform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modu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 스템 등과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네트워크 시스템 등의 서버는 정해진 시간에 또는 정해진 조건이 발생하면 RF 통신을 통해 로봇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 정해진 동작 또는 발생한 조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ici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a home network system. In this case, a server such as a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a command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a generated condition to a robot or a docking station through RF commun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or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occurs.

예를 들어, 집안의 습도(아니면 특정 방의 습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는 가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반대로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는 제습 기능이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한편, 집안에 먼지가 많거나 바닥에 휴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서버는 청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idity in the house (or the humidity in a specific room) is low, the server sends a command to perform the humidification function.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idity is high, the server transmits a command for the dehumidification function to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lot of dust in the house or toilet paper on the floor, the server transmits a command to perform the cleaning function.

로봇은 전송받은 명령을 분석하여 현재 장착되어 있는 모듈이 전송된 명령에 해당하는 모듈이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장착되어 있는 모듈이 전송된 명령에 해당하는 모듈이 아니면, 로봇은 RF 통신을 통해 도킹 스테이션으로 모듈 교체를 위한 명령을 전송한 후,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여 모듈을 교체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obot analyzes the received command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if the currently installed module is th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command. If the currently installed module does not correspond to the transmitted command, the robot transmits a command for replacing the module to the docking station through RF communication, and then docks the docking station to replace the module to replace th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로봇의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obot included in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로봇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obot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로봇의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included in a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al module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도킹 스테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docking station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시스템에 포함되는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도이다.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cking station included in th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erformed before the robot docks in the docking st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한 후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erformed after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기능 모듈의 정비가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intenance of the functional module.

도 10은 로봇이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한 후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동작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mounting the functional module after the robot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Claims (6)

복수의 기능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이 장착되는 로봇; 및 A robot on which one or more function modules of the plurality of function modules are mounted; And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이 격납되며, 상기 로봇이 도킹 영역에 도킹된 후 상기 로봇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며,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are stored, and includes a docking station for mounting the one or more functional modules to the robot after the robot is docked in a docking area, 상기 로봇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 영역을 포함하고, The robot includes a module mounting area in which the one or more modules are mounted,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로봇이 도킹 되며 상기 도킹된 로봇에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하는 도킹부를 포함하며, The docking station includes a docking unit to which the robot is docked and mounts the functional module to the docked robot. 상기 도킹부는, The docking unit, 상기 격납된 복수의 기능 모듈들 중 장착될 기능 모듈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도킹 영역에 배치하는 상하 이동 장치; 및 A vertical movement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functional module to be mounted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functional modules up and down to be disposed in the docking area; And 상기 배치된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장착 영역으로 이송하여 상기 모듈 장착 영역에 장착하는 제 1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And a first transfer part configured to transfer the arranged functional module to the module mounting area and to mount the module in the module mounting are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각각의 상기 기능 모듈은 양 측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고, Each of the functional modules includes coupl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모듈 장착 영역은 상기 결합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The module mounting area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기능 모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결합 홈과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장착 영역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And the first transfer unit slides the functional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gage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to mount the functional module in the module mounting area.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제 1 이송부는 피스톤, 모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The first transfer unit robo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using any one of a piston, a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기능 모듈을 정비하는 모듈 정비부를 더 포함하며, The docking station further includes a module maintenance unit for servicing the function module,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정비되는 기능 모듈을 상기 모듈 정비부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The dock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rviced function module to the module maintenance unit, 상기 모듈 정비부는, The module maintenance unit, 상기 제 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기능 모듈이 위치하는 이동판; 및 A moving plate on which a function module conveyed by the second conveying unit is located; And 상기 이동판을 모듈 정비함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And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moving plate to the module maintenance box.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복수의 기능 모듈들은 청소 모듈, 가습 모듈, 제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The plurality of functional modules includes a cleaning module, a humidification module, a dehumidification module.
KR1020090006825A 2009-01-29 2009-01-29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KR101059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25A KR101059829B1 (en) 2009-01-29 2009-01-29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25A KR101059829B1 (en) 2009-01-29 2009-01-29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20A KR20100087820A (en) 2010-08-06
KR101059829B1 true KR101059829B1 (en) 2011-08-29

Family

ID=4275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825A KR101059829B1 (en) 2009-01-29 2009-01-29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829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3538A1 (en) * 2016-07-13 2018-01-18 Discovery Robo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robotic platform
US10328573B2 (en) 2015-01-06 2019-06-25 Discovery Robotics Robotic platform with teach-repeat mode
USD865830S1 (en) 2016-07-14 2019-11-05 Discovery Robotics Service module for a robot
US10518407B2 (en) 2015-01-06 2019-12-31 Discovery Robo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robotic platform
US10539647B2 (en) 2015-01-06 2020-01-21 Discovery Robotic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ecise robotic position and orientation using near-simultaneous radio frequency measurements
US11400595B2 (en) 2015-01-06 2022-08-02 Nexus Robotics Llc Robotic platform with area cleaning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600B1 (en) * 2014-08-29 2021-07-23 코웨이 주식회사 Mod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5573311A (en) * 2014-10-11 2016-05-1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Self-movement robot
KR102637004B1 (en) * 2017-02-27 202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ic cleaning device for bathroom
KR101982683B1 (en) * 2017-10-11 2019-05-27 대영전자 주식회사 Indo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152731B1 (en) * 2018-03-16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KR102385323B1 (en) * 2020-07-22 2022-04-12 주식회사 알지티 Robot for restaurant service
KR102306564B1 (en) * 2020-08-31 2021-09-30 주식회사 알지티 Multi-funtion self-driving serving robot
CN114343484B (en) * 2020-10-13 2023-04-1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Management library of sweeping robot and sweeping robo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926A (en) 2003-07-30 2005-02-24 Toshiba Corp Service robot system, main robot and follower robot
KR100749579B1 (en) * 2005-09-05 2007-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work modu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926A (en) 2003-07-30 2005-02-24 Toshiba Corp Service robot system, main robot and follower robot
KR100749579B1 (en) * 2005-09-05 2007-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Moving Robot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work modu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8573B2 (en) 2015-01-06 2019-06-25 Discovery Robotics Robotic platform with teach-repeat mode
US10518407B2 (en) 2015-01-06 2019-12-31 Discovery Robo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robotic platform
US10539647B2 (en) 2015-01-06 2020-01-21 Discovery Robotic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ecise robotic position and orientation using near-simultaneous radio frequency measurements
US10571548B2 (en) 2015-01-06 2020-02-25 Discovery Robotic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precise robotic position and orientation using near-simultaneous radio frequency measurements
US10913148B2 (en) 2015-01-06 2021-02-09 Discovery Robotics Operational service plan disruption and return optimization for a service robot
US11400595B2 (en) 2015-01-06 2022-08-02 Nexus Robotics Llc Robotic platform with area cleaning mode
WO2018013538A1 (en) * 2016-07-13 2018-01-18 Discovery Robotic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configurable robotic platform
USD865830S1 (en) 2016-07-14 2019-11-05 Discovery Robotics Service module for a robot
USD869108S1 (en) 2016-07-14 2019-12-03 Discovery Robotics Robot comprising a service module
USD903214S1 (en) 2016-07-14 2020-11-24 Discovery Robotics Robot and servic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20A (en)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829B1 (en) Module replaceable robotic system
KR102648549B1 (en) Robot cleaning system,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CN214104326U (en) Driving wheel module and self-moving robot
US11607103B2 (en) Robot maintenance station and robot cleaning system
KR102312661B1 (en) Cleaning robot
CN109124489B (en) System with at least two cleaning devices
WO2018216687A1 (en) Vacuum cleaning apparatus
KR20120113188A (en) Robot cleaner system having a sub-robot for corner cleaning
CN111657785A (en) Aspirate collection station, related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90003159A (en)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WO2020096170A1 (en) Mobile robot usable as shopping cart
KR20220054168A (en) Using laser sensor mapp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of 3 mob robot cleaner
EP3485784B1 (en) Battery apparatus for a robot, methods, and applications
CN113232751A (en) Artificial intelligence handling device
US20230381949A1 (en) Modular box for component management in mobile robots
CN112707341A (en)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AGV fork truck
KR20100013362A (en) Method and system of robot for auto-changing battery
CN110788826A (en) Domestic transport robot with intelligence lift platform
KR100631538B1 (en) Multi-robot cleaner
JP2019217199A (en) Vacuum cleaning device
KR102412847B1 (en)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KR20200112593A (en)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air purifying system
WO2024037640A1 (en) Cleaning equipment
WO2022178968A1 (en) Cleaning system
CN210572195U (en) Indoor removal empty gas detection surveys do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