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030B1 -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030B1
KR101010030B1 KR1020090029145A KR20090029145A KR101010030B1 KR 101010030 B1 KR101010030 B1 KR 101010030B1 KR 1020090029145 A KR1020090029145 A KR 1020090029145A KR 20090029145 A KR20090029145 A KR 20090029145A KR 101010030 B1 KR101010030 B1 KR 10101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ader
authentication data
interrup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1509A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아정보
Publication of KR2010010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가 요양보호자가 소지한 제1 단말의 요양서비스 수급자가 소지한 리더기에 대한 접속이 확인된 경우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리더기의 ID를 수신한 제1 단말에서 ID와 제1 단말의 단말번호를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비스서버는 제1 단말의 리더기에 대한 접속 중단이 확인된 경우도 접속이 확인된 경우와 동일하게 제1 단말에서 ID와 제1 단말의 단말번호를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비스서버는 ID,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출근시간데이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수급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제2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단말은 제1 단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USIM카드를 포함한다. USIM카드는 USIM카드에 내장된 USIM모듈, 근거리무선통신모듈 및 칩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하며, 칩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는 리더기로부터 ID를 수신하여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서비스서버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실적을 관리하고 실적을 제2 단말 소지자인 수급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a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ID of the reader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Zigbee) when the connection to the reader possessed by the care service recipient of the first terminal possessed by the caregiver Receives the ID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o check the reception time to generate time data.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ID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first terminal and checks the reception time to generate the leaving time data even when the connection to the reader of the first terminal is confirmed. do.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I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ime to work, and time to leav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number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pre-stored recipient. 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USIM car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he USIM card includes a USIM modul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hip antenna or loop antenna embedded in the USIM card, and the chip antenna or loop antenna receives an ID from the reader and transmits the I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reby,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caregiver via the service server and automatically notify the guardian of the recipient of the second terminal holder of the results.

요양, 관리, 수급자, 보호자, 요양보호사  Care, care, beneficiary, guardian, caregiver

Description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본 발명은 요양서비스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무선통신과 단말을 이용하여 요양서비스 수급자에 대한 요양보호자에 대한 서비스 상태를 점검하고, 수급자의 보호자에게 서비스 사실을 통지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to check the service status for the caregiver to the caregiver for care service recipients, and to inform the facts of the service to the caregiver of the beneficiary accident It relates to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a terminal for preventing the.

최근 결혼 연령이 높아지고 인구가 노령화되면서 독거인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집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는 자녀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독거인들은 집안에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 외부에 연락을 취하지 못하고 생명을 잃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독거 노인의 경우에는 순간적인 호흡 곤란이나 심장 발작 등 응급 처치가 필요한 사고에도 외부에 연락을 취하지 못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심지어, 독거인의 사망 후에도 사망 사실이 알려지지 않아 장기간이 경과한 후에 사체가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eople living alone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marriage age and the aging population. Also,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in-law couples, more children are spending time alone at home. These single people often lose their lives in case of accidental accidents in their homes, and especially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y do not contact outside accidents that require emergency treatment such as momentary shortness of breath or heart attack. Death is a frequent occurrence. Even after the death of a lone alone, death is unknown and the body is found after a long period of time.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요양서비스를 제공받는 수급자들은 대부분 인지능력이 떨어지거나 활동력이 떨어져서 요양보호사 에 대한 실적을 보호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요양서비스 수급자인 독거인이나 보호 대상자 등이 불의의 사고를 당한 경우에 직접적인 연락이 없이도 이를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필요하다.Accordingly, interest in caregivers is increasing. However, most of the beneficiaries receiving care services have a problem that their caregivers cannot accurately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caregiver due to their poor cognitive ability or low activity. Therefore, if a person who is a beneficiary of nursing service or a person to be protected receives an inadvertent accident, it is necessary and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recognize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without direct cont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요양보호사의 실적을 관리하고 수급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적으로 통지하는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a method using a terminal for managing the performance of the caregiver and automatically notify the caregiver of the recipient.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은, 서비스서버는 제1 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의 리더기에 대한 접속 확인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된 상기 리더기의 ID를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생성단계;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의 리더기에 대한 접속 중단 확인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된 상기 리더기의 ID를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생성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한다.The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erver is a terminal ID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ID of the reader transmitted from the read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confirmation of the reader of the first terminal A first generation step of receiving data through the first terminal to check reception time to generate time data for work; The service server receives and receives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ID of the reader transmitted from the read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stop of the first terminal. A second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time for leaving work by checking time; And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o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stored terminal number, the I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work time data, and the work time data. It includes.

상기 제1 생성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 을 이용해 전송된 접속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genera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at receives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ader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제2 생성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된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generating step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at receives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ad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further includes.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와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The transmitting may include: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리더기; 상기 리더기로의 접속과 그 후 접속 중단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리더기로부터 ID를 수신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리더기에 대한 접속 확인과 접속 중단 확인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된 상기 리더기의 ID를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와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서버; 를 포함한다.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er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terminal receiving an ID from the read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to the reader and a subsequent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And receiving, through the first terminal,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ID of the reader transmitted from the read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ccess confirmation and the interruption confirmation of the reader of the first terminal. Checking the reception time to generate time data and leaving time data, and transmits the I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time of the work data, the leave tim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pre-stored terminal number Service server; It includes.

이때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USIM카드를 포함한다. 상기 USIM카드는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된 USIM모듈,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되며, 상기 제1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ID를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전송하는 칩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USIM car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The USIM card is a USIM module embedded in the USIM car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USIM card, embedded in the USIM card, and receives an ID from the reader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terminal to receiv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ncludes a chip antenna or a loop antenna for transmitting to the module.

그리고 상기 리더기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USIM카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중의 하나의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The reader and the USIM card of the first termina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Bluetooth, ZigBee, Ultra-WideBand, Binary CDMA. .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서버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리더기에 대한 접속 확인과 접속 중단 확인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해 전송된 상기 리더기의 ID를 상기 제1 단말에서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제2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3 제어부; 를 포함한다.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at the first terminal,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ID of the reader transmitted from the read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confirmation and a connection interruption confirmation of the reader of the first terminal. A third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transceiver unit to control the transceiver unit to transmit the I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work time data, and the leave time data to a second terminal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stored terminal number;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해 요양보호사의 실적을 관리하고 실적을 수급자의 보호자에게 자동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The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caregiver and automatically notify the caregiver of the beneficiary.

특히 단말에 탈착할 수 있는 USIM카드 또는 SIM카드에 지그비모듈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함으로써,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요양서비스 수급자에 대한 요양보호자에 대한 서비스 상태를 점검하고, 수급자의 보호자에게 서비스 사실을 통지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mount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Zigbee module in a USIM card or a SIM card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terminal, the service status of the caregiver for the caregiver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hecked and By notifying service facts, it is effective to prevent accid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em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해당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corresponding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은 리더기(100), 제1 단말(300), 통신망(500), 서비스서버(700) 및 제2 단말(900)을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der 100, a first terminal 300, a communication network 500, a service server 700, and a second terminal 900.

리더기(100)는 요양서비스 수급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자신의 통신가능영역에 제1 단말(300) 접속하였는지 그 후 접속 중단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리더기(100)는 제1 단말(300)이 통신가능 영역에 접속한 경우, 그 후 접속 중단된 경우 자신의 고유 ID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리더기(100)는 자신의 고유 ID 전송과 함께, 접속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접속 인증데이터 또는 접속 중단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는 키패드로의 비밀 번호 입력, 터치패드로의 사인, 지문인식기로의 지문인식 등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ader 1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care provider, and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its own communicable area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is disconnected thereafter. When the first terminal 300 accesses the communication area, the reader 100 transmits its own unique ID to the first terminal 300 when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thereafter. In addition, the reader 100 may transmit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indicating authentication for the connection or the suspension authentication data indicating authentication for the interruption to the first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transmission of its own ID. Here,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may be data generated by inputting a password to a keypad, signing to a touch pad, fingerprint recognition to a fingerprint reader, and the like.

제1 단말(3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리더기(100)의 통신가능 영역에 접속 또는 접속 중단된다. 접속과 그 후의 접속 중단에 따라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에서 리더기(100)의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ID와 함께, 자신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에 저장된 고유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 The first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ble area of the reader 100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pon connection and subsequent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the first terminal 300 receives the ID of the reader 100 from the reader 100 and, together with the received ID, its own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USIM). Module) transmits the unique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card to the service server 700.

또한, 제1 단말(300)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300)에서 접속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접속 인증데이터 또는 접속 중단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의 ID, 자신의 단말번호와 함께, 접속 또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300 may receiv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indicating authentication for connection or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indicating authentication for connection interruption in the first terminal 30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connection or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service server 700 together with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its terminal number.

통신망(500)은 인터넷(Internet) 서비스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유선 및 무선 망이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All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500)은 제1 및 제2 단말(300, 900)과 통신망(500)에 연결된 서버(700) 및 시스템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may be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n Internet service or a high speed multimedia service, and may be an all IP network that is a high-speed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large capacity, long 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serves to transfer signals and dat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300 and 900 and the server 700 and the system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에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에 대한 접속 확인시, 그리고 접속 중단 확인시에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제1 단말(300)을 통해 수신한다.The service server 700 receive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server 700 is the ID of the reader 10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t the time of confirming the connection to the reader 100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confirming the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terminal 300.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에 대한 접속에 따라 제1 단말(300)로부터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710)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그리고 접속에 따라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생성된 출근시간데이터를 저장한다.When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r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reader 100 of the first terminal 300, the service server 700 The database 710 stores the ID of the reader 10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attendance time data generated based on the time receiv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또한,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에 대한 접속 중단에 따라 제1 단말(300)에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출근시간데이터에 매칭하여 접속 중단에 따라 수신된 시간을 기준으로 생성된 퇴근시간데이터를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300 receive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nterruption of the reader 100 of the first terminal 300, the service server ( 700 matches the ID of the reader 100 stored in the database 71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time of work data to store the time of leaving work data generated based on the time received according to the interruption of access. .

이와 같이 저장된 일 예가 하기의 표 1과 같다.One example sto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Table 1 below.

리더기 정보Reader Information 제1 단말정보1st terminal information 제2 단말정보2nd terminal information 출근시간working time 퇴근시간Time off SlotSlot 12311231 011XXXYMMMM011XXXYMMMM 010KKKLLLL010KKKLLLL 09시31분09:31 10시33분10:33

한편, 서비스서버(700)는 후술할 제2 단말(900)로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요양서비스 수급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인 제2 단말(900)의 단말번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rver 700 may store in advance the terminal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900, which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care service recipient in order to transmit the stored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900 to be described later.

다른 예로,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에 대한 접속 확인에 따라 제1 단말(300)에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시, 서비스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710)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출근시간데이터뿐만 아니라, 접속 인증데이터를 제1 단말(300)에서 수신하여 저장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receiving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in the first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nfirmation to the reader 100 of the first terminal 300, the service server ( 700 receives and stores the ID of the reader 10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time of attendance data in the database 710, as well as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300.

또한,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에 대한 접속 중단 확인에 따라 제1 단말(300)에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시, 서비스서버(700)는 데이터베이스(710)에 저장된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출근시간데이터에 매칭하여 퇴근시간데이터와 중단 인증데이터를 리더기(100)에서 수신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in accordance with the check to stop the connection to the reader 100 of the first terminal 300, the service server ( 700 matches the ID of the reader 100 stored in the database 71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time of work data to receive and store the time of departure and stop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이와 같이 저장된 일 예가 하기의 표 2와 같다.One example sto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Table 2 below.

리더기 정보Reader Information 제1 단말정보1st terminal information 제2 단말정보2nd terminal information 출근시간working time 접속 인증데이터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퇴근시간Time off 중단 인증데이터Interrupted authentication data SlotSlot 12311231 011XXXY
MMMM
011XXXY
MMMM
010KKK
LLLL
010KKK
LLLL
09시31분09:31 이미지 1#.jpgImage 1 # .jpg 10시33분10:33 이미지2#.jpgImage2 # .jpg

제2 단말(900)은 요양보호사가 소지한 제1 단말(300)이 수급자가 소지한 리더기(100)에 접속과 그 이후의 접속 중단에 따라 생성된 출근시간데이터 및 퇴근시간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수급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이다. 제2 단말(900)은 출근시간데이터 및 퇴근시간데이터뿐만 아니라,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리더기(100)에서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900 is configured to receive work time and leave time data generated by the first terminal 300 carried by the caregiver connected to the reader 100 possessed by the beneficiary and the subsequent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A terminal possessed by a protector of a recipient. The second terminal 900 may receive the access time data and the leave time data, as well as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한편, 제1 및 제2 단말(300, 900)은 유선단말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나 근거리무선통신이다. 유선단말은 PC, IP 텔레비전, 노트형 퍼스컴, 무선통신 수단을 갖춘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무선단말은 PDA, 스마트폰, IMT-2000폰, GSM폰, GPRS폰, WCDMA폰, UMTS폰, MBS폰 등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단말들, 서버 및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상적인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300, 900) is a broad concept 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 wired terminal or a wireless terminal. Wired terminals include PCs, IP television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camera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like. Wireless terminals include PDAs, smartphones, IMT-2000 phones, GSM phones, GPRS phones, WCDMA phones, UMTS phones, MBS phones, etc., and make common voice and video calls wirelessly with different terminals, servers and systems. It means a terminal that can be provided with a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to perform.

도 2는 도 1의 리더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더기(100)는 제1 입력부(110), 제1 제어부(130), 제1 저장부(150),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을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der 100 of FIG. 1 and 2, the reader 100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10, a first controller 130, a first storage unit 150, and a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제1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패드, 지문입력기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리더기(100)와 제1 단말(300)이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하여 상호간에 통신가능 영역에 접속한 경우, 그 후 접속 중단된 경우 제1 입력부(110)는 리더기(100)를 소지한 수급자로부터 접속 인증데이터 또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는 키패드로의 비밀번호 입력, 터치패드로의 사인, 지문인식기로의 지문인식 등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110 may be formed of one of a keypad, a touch pad, and a fingerprint input unit. When the reader 100 and the first terminal 300 access the mutually communicable are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reafter, when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the first input unit 110 connects from the recipient having the reader 100. The authentication data or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30. Here,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may be data generated by inputting a password to a keypad, signing to a touch pad, fingerprint recognition to a fingerprint reader, or the like.

제1 제어부(130)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을 통한 수신신호를 통해 제1 단말(300)과 통신 가능한 위치에 놓인 경우, 제1 저장부(150)에 저장된 리더기(100) 고유의 ID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을 제어한다. 이후, 제1 제어부(130)는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을 통한 수신신호를 통해 제1 단말(300)이 통신 가능한 위치에서 이탈하여 접속 중단된 경우, 제1 저장부(150)에 저장된 리더기(100) 고유의 ID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을 제어한다.When the first controller 130 is locat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rminal 300 through a received signal through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the first controller 130 is unique to the reader 100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50.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ID of the first terminal 300 to the first terminal 300. After that, when the first terminal 300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location through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and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the first control unit 130 may contact the first storage unit 150.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stored unique ID of the reader 100 to the first terminal 300.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제1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접속 인증데이터 또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리더기(100)의 ID와 함께 제1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저장부(150)는 리더기(100) 고유의 ID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ler 130 may transmit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or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input unit 110 to the first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ID of the reader 100. To this end, the first storage unit 150 stores the ID unique to the reader 100.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은 제1 제어부(130)로부터 수신된 리더기(100)의 고유 ID와 접속 인증데이터, 중단 인증데이터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단말(3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로, 근거리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등이 될 수 있다.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transmits the unique ID,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of the reader 100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30 to the first terminal 30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one embodiment,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Bluetooth, ZigBee, Ultra-WideBand (UWB), Binary CDMA, or the like.

도 3은 도 1의 제1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300)은 제2 입력부(310), 제2 제어부(330), 제2 저장부(350), 통신부(360), USIM카드(370), 제2 출력부(390)을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rminal 300 of FIG. 1. 1 and 3, the first terminal 300 includes a second input unit 310, a second control unit 330, a second storage unit 350, a communication unit 360, a USIM card 370, and a first terminal 300. Two output units 390.

제2 입력부(310)는 제1 단말(300)의 사용자인 요양보호사가 리더기(100)로부터 수신된 ID, USIM카드(370)에 저장된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접속 인증데이터, 중단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하기 위한 수동 전송요청 키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입력부(310)에 의해 전송요청은 가변적인 사항이다. 즉, 제1 단말(300)이 리더기(100)에 접속 또는 접속 중단되면 자동적으로 ID, 단말번호, 인증데이터가 서비스서버(700)로 전송되며, 제2 출력부(390)를 통해 전송 상황이 출력된다.The second input unit 310 is a caregive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 the ID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stored in the USIM card 370, access authentication data, interruption Manual transmission request key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data to the service server 700. Meanwhile, the transmission request is variable by the second input unit 310. That is, when the first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reader 100, the ID, terminal number, and authentication data are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700, and the transmission status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390. Is output.

제2 제어부(330)는 리더기(100)에서 ID를 수신하도록 USIM카드(370)의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330)는 리더기(100)의 ID와 USIM카드(370)에 저장된 자신의 단말번호를 제2 출력부(390)로 출력하고,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60)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330)는 리더기(100)의 ID, USIM카드(370)에 저장된 자신의 단말번호와 함께, 리더기(1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60)를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330)는 ID, 단말번호,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가 서비스서버(700)로 전송되는 상황이 그래픽화되어 제2 출력부(390)로 출력되도록 한다.The second controller 330 controls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of the USIM card 370 to receive the ID from the reader 100.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330 output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its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USIM card 370 to the second output unit 390, and transmits to the service server 700, the communication unit 360 ). The second control unit 330 transmits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to the service server 700 together with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its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USIM card 370. The communication unit 360 is controlled to do so.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330 graphically outputs the ID, terminal number, connection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service server 700, and outputs the graphic to the second output unit 390.

제2 저장부(350)는 제1 단말(3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저장부(350)은 제1 단말(300)에 결합되는 USIM카드(37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부팅을 수행하고, USIM카드(370)의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second storage unit 350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second storage unit 350 detects whether the USIM card 370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300 is booted, and stores a program for activat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IM card 370. .

통신부(360)는 제2 제어부(330)로부터 리더기(100)의 ID와 USIM카드(370)에 저장된 자신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360)는 제2 제어부(330)로부터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60 transmit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its terminal number stored in the USIM card 370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30 to the service server 7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0 transmits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30 to the service server 700.

USIM카드(370)는 카드몸체에 내장된 USIM 모듈(371),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 및 칩 안테나(375)를 포함한다.The USIM card 370 includes a USIM module 371, a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and a chip antenna 375 embedded in the card body.

USIM 모듈(371)은 인증 과정에 필요한 접속 인증데이터, 가입자의 단말번호(전화번호), 중단 인증데이터, 네트워크 번호 등의 관련 정보들을 저장한다.The USIM module 371 store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ccess authentication data, subscriber's terminal number (telephone number),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nd network number necessary for the authentication process.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은 칩 안테나(375)를 통하여 리더기(100)로부터 ID를 수신한다.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은 ID 뿐만 아니라,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리더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은 제1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과 동일한 근거리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한다.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은 수신한 정보를 제2 제어부(33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0,373)은 지그비를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receives the ID from the reader 100 through the chip antenna 375.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receives not only the ID but also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uses the sam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that of the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second control unit 330.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70 and 373 may use Zigbee a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그리고 칩 안테나(375)는 리더기(100)로부터 수신한 ID를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칩 안테나(375)를 사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루프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chip antenna 375 transmits the ID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to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using the chip antenna 375 is disclosed, but a loop antenna may be used.

도시하진 않았지만, USIM 모듈(371),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 및 칩 안테나(375)는 USIM카드(37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일괄적으로 실장되거나, 양면에 분산되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USIM 모듈(371), 제2 근거리무선통신모듈(373) 및 칩 안테나(375)는 수지 봉합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Although not shown, the USIM module 371,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and the chip antenna 375 may be collectively mount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embedded in the USIM card 370 or distributed on both sides. Can be mounted. The USIM module 371,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73, and the chip antenna 375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resin sealing.

제2 출력부(390)는 제2 제어부(330)로부터 제1 단말(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표시부(391)는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통화연결 버튼,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모듈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91)는 USIM카드(370)를 통해 리더기(100)의 ID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91)는 USIM카드(370)를 통해 접속 인증데이터 또는 중단 인증데이터를 리더기(1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출력부(390)는 제2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ID, 단말번호,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가 서비스서버(700)로 전송되는 상황을 그래픽화하여 출력한다.The second output unit 390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330. Typically, the display unit 391 may display the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button, and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module when the multimedia module is executed. The display 391 may receive and display the ID of the reader 100 through the USIM card 37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91 may receive and display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or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through the USIM card 370. The second output unit 390 graphically outputs a situation in which ID, terminal number,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r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70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330.

제2 출력부(390)는 음성출력부(39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부(393)는 다른 유선단말과의 통화시 음성신호, 버튼입력시 효과음,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 실행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관련해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피커를 내장한다.The second output unit 39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393. The voice output unit 393 may include a voice signal when a call is made with another wired terminal, an effect sound when a button is input, and a multimedia when the multimedia module is executed. It can output voice signals output in connection with service, and a speaker is built in for this.

한편 제1 단말(300)는 탈착 가능한 USIM카드(370)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USIM카드(370) 대신에 SIM카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terminal 300 disclosed an example including a removable USIM card 370, a SIM card may be used instead of the USIM card 370.

도 4는 도 1의 서비스서버(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서버(700)는 송수신부(710), 제3 제어부(730), 데이터베이스(750)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server 700 of FIG. 1. 1 and 4, the service server 700 includes a transceiver 710, a third controller 730, and a database 750.

송수신부(710)는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900)과 통신망(5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transceiver 7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second terminal 9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제3 제어부(730)는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로의 접속에 따라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제1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730)는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750)로 저장한다. 수신시간은 요양보호사의 출근시간이다. 이때, 제3 제어부(730)는 리더기(100)로부터 접속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300)로부터 접속 인증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750)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controller 730 transmits and receives an ID of the reader 100 and a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300 to the reader 100. Control 710. The third controller 730 check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reception time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the ID in the database 750. Receiving time is the working time of the caregiver. In this case, the third controller 730 may receive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300 that receives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and store the same together in the database 750.

제3 제어부(730)는 제1 단말(300)의 리더기(100)로의 접속 이후로 소정시간 경과에 따라 접속 중단된 경우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제1 단말(300)에서 수신하도록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 제3 제어부(730)는 리더기(100)의 ID,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750)로 저장한다. 수신시간은 요양보호사의 퇴근시간이 된다. 이때, 제3 제어부(730)는 리더기(100)로부터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300)로부터 중단 인증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750)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The third control unit 730 is the ID of the reader 100,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when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300 to the reader 100, the first Control the transceiver 710 to receive from the terminal 300. The third controller 730 check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the terminal number reception time of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the ID in the database 750. The reception time is the leave time of the caregiver. In this case, the third control unit 730 may receive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300 that has receive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and store the same as the database 750.

제3 제어부(73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제1 단말(300)에 매칭되는 제2 단말(900)로 출근시간 및 퇴근시간을 전송하도록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 이때, 제3 제어부(73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접속 인증데이터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함께 제2 단말(9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The third controller 730 controls the transceiver 710 to transmit the starting and leaving time to the second terminal 900 that matches the first terminal 300 stored in the database 750. In this case, the third controller 730 controls the transceiver 710 to transmit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 authentica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750 to the second terminal 900 together.

데이터베이스(750)는 제3 제어부(730)의 제어에 따라 리더기(100)의 ID에 매칭하여 제2 단말(900)의 단말번호를 미리 저장한다.The database 750 matches the ID of the reader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third controller 730 and stores the terminal number of the second terminal 900 in advance.

또한, 데이터베이스(750)는 리더기(100)의 ID에 매칭하여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 출근시간데이터, 퇴근시간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750)는 리더기(100)에서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300)로부터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750)로 함께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750 matches the ID of the reader 100 and stores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time to work data, time to leave work data. In this case, the database 750 may receive the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300 that receives the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100, and store the access data with the database 75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리더기(10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단말(200)의 자신에 대한 접속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10, S12). 판단결과 접속된 경우 리더기(100)는 자신의 고유 ID를 제1 단말(300)로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14).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the reader 10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itself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10 and S12).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connected, the reader 100 transmits its unique ID to the first terminal 3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14).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로부터 수신된 ID와 저장된 자신의 단말번호를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S16). 본 실시 예에서, 제1 단말(300)과 서비스서버(700)간의 데이터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나, 유선통신망으로 변형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에서 제1 단말(300)로부터 ID와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단계(S16)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로 저장한다(S18).The first terminal 300 transmits the ID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and its own stored terminal number to the service server 700 (S1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300 and the service server 700 is transmit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server 700 checks the reception time of the step S16 of receiving the ID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in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it as time data for work. (S18).

해당 접속 이후, 리더기(100)는 제1 단말(200)의 자신에 대한 접속 중단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20, S22). 판단결과 접속 중단된 경우 리더기(100)는 자신의 고유 ID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단말(300)로 전송한다(S24).After the connection, the reader 10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200 has stopped accessing itself (S20, S22). If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reader 100 transmits its unique ID to the first terminal 3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24).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로부터 수신된 ID와 자신의 단말번호를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S26).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로부터 ID와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단계(S26)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로 저장한다(S28).The first terminal 300 transmits the ID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and its terminal number to the service server 7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S26). The service server 700 checks the reception time of the step S26 of receiving the ID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the received time data (S28).

서비스서버(700)는 단계(S18)에서 저장된 요양보호사의 출근시간데이터와 단계(S28)에서 저장된 요양보호사의 퇴근시간데이터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요양서비스 수급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제2 단말(900)로 전송한다(S30).The service server 700 is a second time carried by the caregiver of the care service recipient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the caregiver caregiver's work time data stored in step (S18) and caregiver caregiver's leave time data stored in step (S28) It transmits to the terminal 900 (S3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리더기(10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단말(200)의 자신에 대한 접속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50, S52). 판단결과 접속된 경우 리더기(100)는 자신의 고유 ID와 접속 인증데이터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한다(S54, S56). 여기서, 접속 인증데이터는 요양서비스 수급자가 리더기(100)에 부착된 키패드로의 비밀번호 입력, 터치패드로의 사인, 지문인식기로의 지문인식 등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6, the reader 10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itself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50 and S52).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connected, the reader 100 transmits its own ID and access authentica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300 (S54, S56). Here,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is data generated by the care service recipient by inputting a password to a keypad attached to the reader 100, signing to a touch pad, and fingerprint recognition to a fingerprint reader.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로부터 수신된 ID, 접속 인증데이터와 자신의 단말번호를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S58).The first terminal 300 transmits the ID,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its terminal number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to the service server 7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S58).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로부터 ID, 접속 인증데이터와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단계(S58)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로 저장한다(S60).The service server 700 checks the reception time of the step (S58) of receiving the ID,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it as work time data (S60). .

이후, 리더기(10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제1 단말(200)의 자신에 대한 접속 중단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62, S64). 판단결과 접속 중단된 경우 리더기(10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고유 ID와 중단 인증데이터를 제1 단말(300)로 전송한다(S66, S68).Thereafter, the reader 100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first terminal 200 has stopped accessing itself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62 and S64). If the connection is interrup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reader 100 transmits its own ID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30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66 and S68).

제1 단말(300)은 리더기(100)로부터 수신된 ID, 중단 인증데이터와 자신의 단말번호를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서버(700)로 전송한다(S70). 서비스서버(700)는 제1 단말(300)로부터 ID, 중단 인증데이터와 제1 단말(300)의 단말번호를 수신한 단계(S70)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로 저장한다(S72).The first terminal 300 transmits the I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nd its terminal number received from the reader 100 to the service server 7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S70). The service server 700 checks the reception time of the step S70 of receiving the I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300 from the first terminal 300 and stores it as leaving time data (S72). .

서비스서버(700)는 단계(S60)에서 저장된 접속 인증데이터, 요양보호사의 출근시간데이터와 단계(S72)에서 저장된 중단 인증데이터와 요양보호사의 퇴근시간데이터를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요양서비스 수급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제2 단말(900)로 전송한다(S30).The service server 700 is a care service through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stored in step S60, the caregiver's work time data and the stop authentication data stored in step S72 and the caregiver's work time data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The protector of the recipi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900 carried (S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injected onto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ad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제1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terminal of FIG. 1.

도 4는 도 1의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server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리더기 300: 제1 단말100: reader 300: first terminal

500: 통신망 700: 서비스서버500: communication network 700: service server

900: 제2 단말900: a second terminal

Claims (8)

요양서비스 수급자가 소지한 리더기는 상기 리더기에 근접한 요양보호사가 소지한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A reader held by the care service provider, confirm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possessed by the caregiver in proximity to the reader is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확인하면, 상기 리더기는 상기 요양서비스 수급자로부터 비밀번호 입력, 사인 입력 및 지문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접속 인증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hecking the access of the first terminal, the reader receiving access authentication data from at least one of a password input, a sign input,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from the care provider; 상기 리더기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리더기의 ID와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reader, an ID of the reader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a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 ID of the reader,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서비스서버는 수신한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생성단계;A firs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t the service server, a time of attendance data by checking a received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 ID of the reader, and a reception time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상기 리더기는 상기 리더기에 근접한 상기 제1 단말의 접속 중단여부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Checking, by the read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erminal close to the reader is disconnected; 상기 제1 단말의 접속 중단을 확인하면, 상기 리더기는 상기 요양서비스 수급자로부터 비밀번호 입력, 사인 입력 및 지문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중단 인증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Checking the connection termin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reader receiving the suspension authentication data by at least one of a password input, a sign input,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from the care provider; 상기 리더기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리더기의 ID와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The reader transmitting the ID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of the reader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first terminal,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reader,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서비스서버는 수신한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중단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생성단계; 및A second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by the service server, leaving time data by checking a received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an ID of the reader, and a reception time of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nd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및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가 소지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ID of the reader,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he attendance time data and the leave time data to a second terminal possessed by a guardian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stored terminal number. A transmission ste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접속 및 중단 인증데이터,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및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SMS를 통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ID of the reader,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access and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he work time data and the work time data to the second terminal via SMS.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생성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수신한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및 상기 출근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The first generating step may include storing an ID of the reader, a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attendance time data received by the service server; More, 상기 제2 생성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수신한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 및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방법.The second generating step may include: storing, by the service server, an ID of the reader, a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leaving time data; Care service notific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요양서비스 수급자가 소지하며,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근접하는 요양보호사가 소지한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접속을 확인하면 상기 요양서비스 수급자로부터 비밀번호 입력, 사인 입력 및 지문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접속 인증데이터를 입력받고,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ID와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단말의 접속 중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접속 중단을 확인하면 상기 요양서비스 수급자로부터 비밀번호 입력, 사인 입력 및 지문인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중단 인증데이터를 입력받고,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자신의 ID와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리더기;The beneficiary of the nursing service is checked and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possessed by a caregiver who is in close proximity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a password input, a sign input and a fingerprint are received from the beneficiary of the nursing service. Receives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by at least one of the recognition, transmits its ID and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first terminal is disconnec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firming the interruption of access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at least one of a password input, a sign input, and a fingerprint recognition from the care service provider, and receiving the ID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reader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first terminal; 요양보호사가 소지하며, 상기 리더기의 접속 및 그 후 접속 중단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리더기로부터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및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자신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및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제1 단말; 및The caregiver owns a caregiver, and receives the reader's ID,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read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reader and the subsequent interruption of the reader, and the terminal number and the reader. The firs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D,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및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및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가 소지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서비스서버;Receives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reader,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and confirms the reception time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o generate the time to work, the interruption Check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authentication data to generate the leaving time data, and pre-stored the ID of the reader,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he work time data and the leave time data The service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nu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1 단말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USIM카드를 포함하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erminal comprises a USIM car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USIM카드는,The USIM card,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된 USIM모듈;A USIM module embedded in the USIM card;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mbedded in the USIM card; 상기 USIM카드에 내장되며, 상기 제1 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리더기로부터 ID를 수신하여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전송하는 칩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A chip antenna or a loop antenna embedded in the USIM card and receiving an ID from the reader and transmitting the ID from the reader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nder control of the first terminal;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USIM카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 중의 하나의 근거리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IM card of the reader and the first terminal is one of Bluetooth, ZigBee, Ultra-WideBand, and Binary CDMA.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ommunicate wi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rvice server,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리더기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출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리더기로의 접속 중단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리더기의 ID 및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의 수신시간을 확인하여 퇴근시간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더기의 ID, 상기 제1 단말의 단말번호, 상기 접속 인증데이터, 상기 중단 인증데이터, 상기 출근시간데이터 및 상기 퇴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단말번호에 해당하는 보호자가 소지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3 제어부;Receiving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reader and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reader, and receives the reception time of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After confirming, generate time data and receive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ID of the reader and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first terminal to the reader. And confirming the reception time of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o generate leave time data, wherein the ID of the reader, the terminal number of the first terminal, the access authentication data, the interruption authentication data, the attendance time data, and the leave time A third controller for transmitting data to a second terminal possessed by a guardian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stored terminal numb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090029145A 2009-03-09 2009-04-03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KR1010100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82 2009-03-09
KR20090019682 2009-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09A KR20100101509A (en) 2010-09-17
KR101010030B1 true KR101010030B1 (en) 2011-01-21

Family

ID=4300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145A KR101010030B1 (en) 2009-03-09 2009-04-03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044A (en) 2020-11-09 2022-05-17 김성민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208A (en) * 2003-09-03 2005-03-24 Mekku:Kk Presence management system
JP2005182468A (en) 2003-12-19 2005-07-07 Nec Corp Child-related crime prevention report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server apparatus, and system
JP2007026229A (en) 2005-07-19 2007-02-01 Lyncs Entertainment:Kk 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749569B1 (en) * 2007-01-08 2007-08-16 (주) 대동종합건설 Silver town medical treatment service system using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0208A (en) * 2003-09-03 2005-03-24 Mekku:Kk Presence management system
JP2005182468A (en) 2003-12-19 2005-07-07 Nec Corp Child-related crime prevention report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server apparatus, and system
JP2007026229A (en) 2005-07-19 2007-02-01 Lyncs Entertainment:Kk Access controller, acces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749569B1 (en) * 2007-01-08 2007-08-16 (주) 대동종합건설 Silver town medical treatment service system using ubiquitou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044A (en) 2020-11-09 2022-05-17 김성민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509A (en)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552B2 (en) Emergency call-for-help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RU2513920C2 (en) Lo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rfid tag
CN103384243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sip option message for capability discovery of rich is exchanged in portable terminal
CN102970323B (en) By WLAN to the remote access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20070296696A1 (en) Gesture exchange
US200801882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3810594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function of input means
EP1919174B1 (en) Presence inform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2212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riggered by motion
CN104270532A (en)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event reminding thereof
KR1020979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bluetooth in a portable terminal
CN10162760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rvice acces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4138238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3501388A (en) Terminal equipment promp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20070281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mode communications
CN103596145A (en) Information automatic respond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5578385A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KR100987513B1 (en) System and method of notification based location
CN103188628B (en) For mobile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of shared personal electric information
KR101010030B1 (en) System and method of medical treatment service notification using terminal
JPH11187153A (en) Emergency alarm system
CN103533139A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of multi-card user and mobile terminal
US20080278286A1 (en) Communication Method, System and User Terminal
JP2013152502A (en)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safety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EP1234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