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796B1 -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796B1
KR100917796B1 KR1020080006166A KR20080006166A KR100917796B1 KR 100917796 B1 KR100917796 B1 KR 100917796B1 KR 1020080006166 A KR1020080006166 A KR 1020080006166A KR 20080006166 A KR20080006166 A KR 20080006166A KR 100917796 B1 KR100917796 B1 KR 10091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all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0291A (en
Inventor
김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로봇
Priority to KR102008000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796B1/en
Publication of KR2009008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대응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서, 구난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하기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을 수행하는 단축키 입력수단과,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의 입력 및 수화 음성의 출력을 수행하는 통화 입출력 수단,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 및 수화 음성의 통화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신호 처리수단, 구난 통신을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통화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 수단, 해당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에 의해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되어 통화 진행시에 그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연동적으로 동작되는 로봇, 상기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을 수행하는 로봇 구동수단 및,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의 원키 조작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접속을 위한 정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통해 통화신호의 송수신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봇을 연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로봇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a shortcut key input means for performing one-key operation of a shortcut key for making a call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for rescue communication, and a voice call for a call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Call input / output mean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a spoken voice, a call signal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call signal processing of a call voice and a sign language voice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contact, and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scu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the call of the call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all signal, mounted on th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contact by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all progress state during the call progress Robot to perform a drive for operating the robot The controller generates an information signal for a call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by a robot driving means and a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input unit, and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call sig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eans. And controlling means for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driving means to interoperate the robot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e.

Description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Robot 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영상 통화 기능 및 로봇의 동작을 이용하여 구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to enable rescue communication using a voice / video call function and a robot oper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유선 전화기 간에 음성으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 전화망 시스템이 주요 통신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유선 전화망 시스템으로부터 발전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무선 기지국이 분포되어 있는 이동 통신망을 구축하고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여 이동하는 중에도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들 간에 무선으로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망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In general, a wired telephone network system that allows voice calls between wired telephones through a wired telephone network has been used as a main communication means. In recent years, wireless base stations have been distributed from a wide range of wired telephone network system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capable of making a voice call wirelessly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making a phone call while being mobile and allowing a user to carr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망을 적용하여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호를 사용한 음성 패킷의 교환에 의해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통화 기능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인터넷 통화 기능에서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기능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단말이나 인터넷 통화 전용으로 구비된 인터넷 전화기를 사용하여 상대방측 컴퓨터 단말이나 인터넷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나 이동통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recently, an internet call function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allow a voice call to be carried out by exchanging voice packets us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all. By using a computer terminal equipped with a function application for a telephone or an Internet telephone provided exclusively for an internet call, a voice call can be made with a computer terminal, an internet telephone, a landline telephon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other side.

한편, 근래에는 발전된 의학의 도움으로 사람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여 전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노령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고, 노령 인구의 독거화가 일반적인 사회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중산층 이하의 가정의 경우에는 가계 경제를 위해 부부간의 맞벌이가 성행하고 있고, 부부간 맞벌이의 성행에 따라 자녀들을 부모가 돌보는 시간이 점점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with the help of advanced medicine, the longevity of people can be extended, and the aging population is accelerating worldwide, and the aging population is not only becoming a general social phenomenon, but also the majority of the middle class. In the case of the following families, couples are earnestly working for the household economy, and the time for parents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s gradually decreasing according to the couples' earnests.

이에, 독거하는 노인들이나 부모없이 혼자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자녀들의 경우에는 외부인의 침입에 의한 도난 및 강도의 가능성이 많고, 화재, 가스 누출 등과 같은 거주지 내의 사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대처할 능력이 떨어져서 상시적인 위험에 무방비하게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노인들의 경우에는 노환으로 인한 질병의 악화 가능성이 많고 심하게는 자녀들에게 제대로된 연락한번 취해보지 못하고 사망하게 되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 Therefor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or children who spend a lot of time alone without parents have a high possibility of theft and robbery due to outsider intrusions, and they are incapable of responding quickly to accidents in the house such as fire or gas leaks. Not only is it unprotected at constant risk, but especially in older peop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ggravation of the disease caused by old age, and even worse, they can die without proper contact with their children.

그에 따라, 현재는 유선 전화망 시스템이나 이동 통신망 시스템, 또는 인터넷 전화 기능을 이용하여 독거 노인이나 부모없이 혼자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자녀들에게 사고 상황 또는 위험이 발생되었을때, 이를 미연에 대처하여 적절한 보호자나 관련 기관과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효과적인 통신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As a result, when an accident situation or danger occurs to an elderly person who spends a lot of time alone without a parent or a parent using a wired telephone network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or an Internet telephone function, an appropriate guardian or related pers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s that allow for rapid contact with institu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축키 기능에 의해 미리 지정된 관련 연락처를 원키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고, 탑재된 로봇의 동작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enable a related key contact previously designated by a shortcut key function to be called by one-key operation, and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ed robot. It is to provide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의 관련자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출력함과 더불어, 그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에 의해 로봇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the robot to be operated by motion data synchronized with the multimedia data, as well as the multimedia data provided from a remote party.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주 공간의 이상을 감지하는 이상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이상 감지 센서에 의해 주변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된 이상 상태와 관련된 연락처와 자동으로 통화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living space, when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surroundings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to automatically connect the call to the contact associated with the detected abnormal state An on-board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대응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서, 구난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하기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을 수행하는 단축키 입력수단과,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의 입력 및 수화 음성의 출력을 수행하는 통화 입출력 수단,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 및 수화 음성의 통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신호 처리수단, 구난 통신을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통화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 수단, 해당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에 의해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되어 통화 진행시에 그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연동적으로 동작되는 로봇, 상기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을 수행하는 로봇 구동수단 및,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의 원키 조작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접속을 위한 정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통해 통화신호의 송수신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봇을 연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로봇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hav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for performing a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for mak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specified in advance for rescue communication; Call input / output means for inputting a spoken voice and outputting a spoken voice for a call with a contact of the other party, a call signal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a call signal processing of a talk voice and a sign language for a call with a contact of the other party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all signal for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s contact, mounted on th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contact by the hot key input means when the call is in progress Robot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call progress A robot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robot and generating an information signal for a call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by a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to transmit and receive a call sig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eans;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progression, and provides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bot drive means for interlocking operation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e with the other contact.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대응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서, 구난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하기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을 수행하여 상대방 연락처와의 음성 통화를 진행하고, 상대방과의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탑재된 로봇을 연동적으로 동작시키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로부터의 구난 통신을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에 따라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성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통신 관리서버 및,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단축키 조작에 의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의 중계를 통해 통화 접속되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 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is provided, and one-key operation of a shortcut key for accessing a call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for rescu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which performs a voice call and interoperates the mounted robot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e with the other party, and a shortcut key according to the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for rescue communication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for making a voice call by making a call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counterpart contact, and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being connected by a call through the relay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by a shortcut key operation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other party's contact It provide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비상 상황에 직면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단축키의 원키 조작에 의해 인터넷망을 통해 원하는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그 통신 장치에 영상 카메라가 부착된 로봇을 탑재함에 따라, 독거 노인이나 부모없이 혼자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 자녀에게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하여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각별한 효과가 있고, 탑재된 로봇을 구난 통신을 위한 음성 통화시에 적용함에 의해 음성 통화만으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구난 통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faced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nducting a voice call with a desired counterpart via an internet network by one-key operation of a preset shortcut key, and the video camera in th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robot attached to the robot,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can occur to the elderly who live alone or without a parent, a child who has to spend a lot of time alone, and can prevent large accidents in advance. Applied at the time of a voice call for rescue communica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rescue rescue, which is bound to only have a voice c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로봇이 탑재된 통신 장치에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와 동기되는 움직임 정보를 갖는 움직임 데이터를 제공하여 음악 출력과 동기되는 로봇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통신 장치를 유희 도구로서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에게 큰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robot with a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otion data having the music data and mo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robot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utput, the communication device as a play tool As it can be used as a combine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great convenience to the user.

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의 이상 상태를 다양하게 감지하는 이상감지 센서를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 적용하여 이상감지 센서로부터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이상 발생의 종류에 대응하는 관련 기관으로 이상발생을 통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미처 예상하지 못하는 긴급 상황에 대해서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normal state is detected from the abnormality sensor by apply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o detect the various abnormal state of the space in which the user lives, the relevant orga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By enabling the notification of the occurre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that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expect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는, 해당 장치의 본체 상에 사람 형상의 로봇이 탑재되어 있는 바, 상기 로봇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몸체(6) 상에 로봇 머리(4)가 결합되어 있고, 몸체(6)의 양측에 각각 로봇 오른팔(8) 및 로봇 왼팔(10)이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uman-shaped robot is mounted on a main body of the device, and the robot is fixed to the main body 6. The robot head 4 is coupled to the robot, and the robot right arm 8 and the robot left arm 1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6, respectively.

상기 로봇 머리(4)와 로봇 오른팔(8), 로봇 왼팔(10)은 각기 독립적인 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조작될 수 있다The robot head 4, the robot right arm 8, and the robot left arm 10 may be freely manipulated in an up /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driving control of independent motors, respectively.

상기 로봇 머리(4)의 정면 위치에는 영상 카메라(12)가 탑재되어 있어서 해당 로봇 머리(4)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주시하는 정명 위치를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image camera 12 is mounted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robot head 4, so that the robot head 4 can photograph the sharp position which the robot head 4 rotates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몸체에는 양측에 각각 우측 및 좌측 스피커(14,1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전단 양측에는 각각 우측 및 좌측 마이크로폰(18,20)이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ody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provided with right and left speakers 14 and 16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right and left microphones 18 and 20 on both front ends of the body, respectively. have.

또, 상기 몸체 전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다수의 키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다수의 키버튼은 미리 지정된 관련 연락처를 원키 조작에 의해 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단축키 버튼(22,24,26,28,30)과,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나 음악 데이터의 음성 출력시에 스피커(14,16)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음량키 버튼(32),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이나 다양한 기능 조작을 위한 번호키 및 특수키를 갖춘 10-키버튼(34), 상대방과의 통화 개시를 위해 버튼 조작되는 통화키 버튼(36), 통화 상태를 종료시키기 위해 버튼 조작되는 통화종료키 버튼(38)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ey buttons that can be manipulated by the user,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a plurality of shortcut buttons 22, which can be called by the one-key operation to pre-specified related contacts 24, 26, 28, 30, the volume key button 32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14, 16 during the telephone call or voice output of music data, the input of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nd various functions 10-key button 34 having a number key and a special key for operation, a call key button 36 for operating a button for initiating a call with the other party, and a call-end key button for operating a button for terminating a call state (38) ).

상기 복수의 단축키 버튼(22,24,26,28,30)은 미리 지정된 보호자의 연락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조작되는 보호자호출 단축키 버튼(22)과, 미리 지정된 친구의 연락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조작되는 친구호출 단축키 버튼(24), 미리 지정된 병원의 연락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조작되는 병원호출 단축키 버튼(26), 미리 지정된 경찰서의 연락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조작되는 경찰서호출 단축키 버튼(28), 미리 지정된 소방서의 연락처를 호출할 수 있도록 조작되는 소방서호출 단축키 버튼(30)으로 구성된다. The plurality of shortcut keys 22, 24, 26, 28, and 30 may be called by a guardian call shortcut button 22 which is operated to call a contact of a predetermined guardian, and may be called to call a contact of a predetermined friend. Friend call hotkey button 24, hospital call hotkey button 26, which is operated to call a predetermined hospital contact, police station call hotkey button 28, which is operated to call a contact of a predetermined police station, predefined It is composed of a fire station call hotkey button 30 which is operated to call the contacts of the fire station.

그 다음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은,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인터넷망, 통신 관리서버(40), 정보 데이터베이스(42), 인터넷 전화기(44), 컴퓨터 단말(46), 유선 전화망, 유선 전화기(48), 이동 통신망, 이동통신 단말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n internet network, a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an information database 42, and an internet phone 44. ), A computer terminal 46, a wired telephone network, a wired telephone 48,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는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로부터의 상대방 호출을 위한 단축키 입력에 의해, 해당 입력된 단축키가 지정한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연결을 중계하여 상기 통신 장치(2)와 상대방 관련자와의 전화 통화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상대방 관련자측 컴퓨터 단말로부터의 원격 제어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탑재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발생한다.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relays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designated by the inputted shortcut key by inputting a shortcut key for the counterpart call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2. A telephone call with the counterpart party is made, and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mounted 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generated by remote control from the counterpart related party computer terminal.

한편, 도 2에서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를 관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다수의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를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Meanwhile, in FIG. 2,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manages on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substantially manages a plurality of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s 2. It is supposed to be managed.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42)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의해 관리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단축키에 대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information database 42 stores contact information of a counterpart designated in advance for a shortcut key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managed by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상기 인터넷 전화기(44)는 인터넷망을 통한 상대방 측과의 VoIP호 연결에 의해 인터넷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 전용 단말기로서, 이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의 중계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인터넷 음성 통화를 진행한다. The Internet phone 44 is an Internet phone dedicated terminal for making an internet call by connecting a VoIP call to the other party through an internet network, which is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by the relay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An internet voice call is conducted with the device 2.

상기 컴퓨터 단말(46)은 인터넷 전화를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하드웨어가 탑재되고서, 인터넷망을 통한 상대방 측과의 VoIP호 연결에 의해 인터넷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의 중계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인터넷 음성 통화를 진행하고, 인터넷 음성 통화와 동시에 진행되는 화상 통신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는 주변 영상을 모니터 화면 상에 표시하게 된다. The computer terminal 46 is equipped with a dedicated software application or dedicated hardware for the Internet phone,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Internet call by the VoIP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which is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nternet voice call is carried out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y relaying, and image is taken from the video camera 12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y video communic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Internet voice call. The surround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상기 컴퓨터 단말(46)은 로봇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탑재 하고서, 해당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로봇 머리(4)에 대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함에 의해, 상기 로봇 머리(4)에 설치된 영상 카메라(12)의 촬영 위치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mputer terminal 46 is equipped with a control application for remote control of the robot, an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applicatio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with respect to the robot head 4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y remotely controlling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image camera 12 installed in the robot head 4.

상기 유선 전화기(48)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대방과 유선으로 음성 통화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의 중계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 The wired telephone 48 is for carrying out a voice call with a counterpart via a wired telephone network in a wired manner, which performs a voice call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y relaying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과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의 중계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무선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i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y a relay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Perform

한편,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카메라(12)와, 우측 및 좌측 스피커(14,16), 우측 및 좌측 마이크로폰(18,20), 단축키 입력부(60), 키입력부(62), 영상신호 입력부(64), 디지털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66), 네트워크 통신모듈(68), 전력 증폭부(70), 신호 증폭부(72), 프로그램 메모리(74), 데이터 메모리(76), 제어부(78), 모터 구동부(80), 제 1∼제 4모터(82,84,86,88),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90),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94), 왼팔 구동 메카니즘(96), 음성 트래킹부(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cludes an image camera 12, right and left speakers 14 and 16, right and left microphones 18 and 20, and a shortcut key input unit ( 60, a key input unit 62, an image signal input unit 64,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66,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a power amplification unit 70, and a signal amplification unit 72. , Program memory 74, data memory 76, control unit 78, motor drive unit 80, first to fourth motors 82, 84, 86, 88, upper and lower drive mechanisms 90, head left and right The driving mechanism 92, the right arm driving mechanism 94, the left arm driving mechanism 96, and the voice tracking unit 98 are configured.

상기 단축키 입력부(6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보호자호출 단축키 버튼(22)과, 친구호출 단축키 버튼(24), 병원호출 단축키 버튼(26), 경찰서호출 단축키 버 튼(28), 소방서호출 단축키 버튼(30)을 포함한다.The shortcut input unit 60 is the guardian call hot key button 22, the friend call hot key button 24, the hospital call hot key button 26, the police station call hot key button 28, the fire department call hot key shown in FIG. Button 30.

상기 키입력부(6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음량키 버튼(32)과, 10-키 버튼(34), 통화키 버튼(36), 통화종료키 버튼(38)을 포함한다. The key input unit 62 includes the volume key button 32 shown in FIG. 1, a 10-key button 34, a call key button 36, and a call end key button 38.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64)는 상기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전처리하여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6)에 출력한다. The video signal input unit 64 receives a video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video camera 12 and preprocesses the video signal to be output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6.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6)는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64)를 통한 영상 카메라(12)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모듈(68)에 출력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68)로부터의 인터넷 통화에 따른 수신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 처리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70)로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각 마이크로폰(18,20)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넷 통화에 따른 송신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68)에 출력한다.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6 digitally processes the video signal from the video camera 12 through the video signal input unit 64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and from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Processing the received voice data according to the Internet call of the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o the power amplifier 70, and processing the digital voice signal of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according to the Internet call input from each of the microphones 18 and 20 Output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68)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단축키 버튼 조작에 따른 코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VoIP호의 연결에 의한 인터넷 통화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수신 음성 패킷을 수신받음과 더불어,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6)로부터의 송신 음성 데이터를 음성 패킷으로 인터넷망에 전송한다.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accesses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ransmits code data according to a shortcut button operation, and receives a received voice packet from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an internet call by a VoIP call connection.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6 is transmitted to the Internet as a voice packet.

상기 전력 증폭부(70)는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6)에 의해 음성신호 처리된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상기 각 스피커(14,16)를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한다.The power amplifier 70 amplifies a sign language voice signal from a counterpart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6 to output a voice through the speakers 14 and 16.

상기 신호 증폭부(72)는 상기 각 마이크로폰(18,20)으로부터 입력되는 송화 음성 신호를 신호 증폭하여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66)에 출력한다. The signal amplifier 72 amplifies a voice signal of a voice input from each of the microphones 18 and 20 and outputs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66.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74)는 해당 통신 장치의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과, 모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구동 제어 프로그램, 해당 통신 장치의 자체적인 음성 안내를 위한 안내 멘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메모리(76)는 해당 통신 장치의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상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program memory 74 stores a system operation program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a driv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motor, and guidement data for own voice guidance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The data memory 76 Stores stat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어부(78)는 상기 단축키 입력부(60)로부터의 단축키 입력에 따른 코드 데이터를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전송하여 단축키에 의해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대방 컴퓨터 단말(46)로부터의 원격 조작에 의한 로봇의 임의 조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모터 구동부(80)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모터(82,84)가 상기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90) 및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을 구동시키도록 한다.The controller 78 transmits code data according to a shortcut key input from the shortcut key input unit 60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so that a voice call can be made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designated by the shortcut key, and the counterpart computer terminal 46 When the arbitrary operation command of the robot by the remote operation is received, the motor driving unit 80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otors 82 and 84 may move the head up and down driving mechanism 90 and the head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 ( 92).

또한, 상기 제어부(78)는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상대방측이 컴퓨터 단말(46)인 경우에,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카메라(12)를 작동시켜서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46)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other side of the voice call is the computer terminal 46, the controller 78 operates the video camera 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 imag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mputer terminal 46 via the Internet network.

상기 모터 구동부(80)는 상기 제어부(7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제 4모터(82,84,86,88)를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한다.The motor driver 80 performs motor driving for individually operating the first to fourth motors 82, 84, 86, and 88, respectiv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8.

상기 제 1모터(82)는 상기 모터 구동부(8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90)을 작동시켜서 로봇 머리(4)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first motor 82 is to operate the robot head 4 in the up / down direction by operating the head up and down driving mechanism 90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motor driving unit 80.

상기 제2모터(84)는 상기 모터 구동부(8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을 작동시켜서 로봇 머리(4)를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second motor 84 is to operate the robot head 4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by operating the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s 92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er 80.

상기 제 3모터(86)는 상기 모터 구동부(8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94)을 작동시켜서 로봇 오른팔(8)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third motor 86 operates the right arm driving mechanism 94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ing unit 80 to operate the robot right arm 8 in the up / down direction.

상기 제 4모터(88)는 상기 모터 구동부(8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왼팔 구동 메카니즘(96)을 작동시켜서 로봇 왼팔(10)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fourth motor 88 is for operating the robot left arm 10 in the up / down direction by operating the left arm drive mechanism 96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motor driver 80.

여기서, 상기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90)과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94) 및 왼팔 구동 메카니즘(96)은 각각 로봇 머리(4)의 상/하 방향 동작과 좌/우 방향 동작, 오른팔(8)의 상/하 방향 동작, 왼팔(10)의 상/하 방향 동작을 위한 기계적인 작동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Here, the head up and down driving mechanism 90, the head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 92, the right arm driving mechanism 94 and the left arm driving mechanism 96 are the up / down movement and the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robot head 4, respectively. To perform a mechanical operation for the operation, the up / down direction of the right arm 8, the up / down direction of the left arm 10, which may be applied to any mechanical mechanism generally used.

한편, 상기 단축키 입력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호자호출 단축키 버튼(22)과, 친구호출 단축키 버튼(24), 병원호출 단축키 버튼(26), 경찰서호출 단축키 버튼(26), 소방서호출 단축키 버튼(28)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때, 상기 제어부(78)로부터 각각의 단축키 버튼에 대응하는 단축키 코드 데이터와 해당 통신 장치의 전화기 고유 식별코드 데이터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통신 모듈(68)을 통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전송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hortcut key input unit 60, as shown in Figure 4, each guardian call shortcut button 22, friend call shortcut button 24, hospital call shortcut button 26, police station call shortcut button 26 When the fire station call hot key button 28 is operated by a user,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generates hot key code data corresponding to each hot key button and ph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ata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control unit 78. Through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o be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각 단축키 버튼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단축키 코드 데이터는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를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등록시킬때 각각의 단축키 버튼마다 고유한 단축키 코드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단축키 코드로 지정되는 보호자와, 친구, 병원의 연락처의 경우에는 해당 통신 장치(2)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후견인에 의해 임의로 입력 설정할 수 있도록 하되, 경찰서 및 소방서의 경우에는 해당 통신 관리서버(4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Here, the shortcut code data set corresponding to each shortcut button is to set a unique shortcut code for each shortcut button when registering the corresponding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Preferably, in the case of a guardian, a friend, a contact of a hospital designated by the shortcut key, a user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or a guardian of the user may be set arbitrarily, but in the case of a police station and a fire statio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The server 40 sets itself.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는 상기 단축키 버튼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로부터 전송되는 단축키 코드 및 전화기 고유 식별코드를 수신받게 되면, 상기 전화기 고유 식별 코드에 의해 미리 등록된 통신 장치의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42)로부터 추출하고, 단축키 코드에 의해 해당 통신 장치에서 호출하고자 하는 연락처의 정보를 알아내어 상기 연락처(예컨대 보호자 인터넷 전화기나 친구 이동통신 단말기, 병원 컴퓨터 단말, 경찰서 유선 전화기, 소방서 컴퓨터 단말)로 호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 상기 연락처와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receives a shortcut code and a ph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f the shortcut butto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s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ph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database 42,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tact information to be call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is obtained by the shortcut code, and the contact information (e.g., guardian internet phone or frie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spital computer terminal, police station wired) A call connection is attempted with a telephone and a fire station computer terminal), and a voice call is made betwee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contact.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축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대방 연락처 즉, 보호자, 친구, 병원, 경찰서, 소방서 등을 통신 관리서버(40)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서는 단축키 코드 및 전화기 고유 식별코드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축키 버튼에 대응하는 상대방 연락처의 정보가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데이터 메모리(76)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의 중계에 의하지 않고서도 단축 키 버튼의 원키 조작시에 그 단축키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로 호접속을 진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2)에서 직접 통화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party's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button, i.e., guardian, friend, hospital, police station, fire department, etc. can be set i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 the shortcut key code and Although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telephone,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s conta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 memory 76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direct call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 by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in response to the shortcut key when the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button is performed without the relay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t is possible.

그 다음에, 도 5는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에서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로봇을 원격 조종하여 영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Next,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uter termina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video camera by remotely controlling the robot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n the remote computer termina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 단말(46)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100)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02), 음성신호 처리부(104), 스피커(106), 마이크로폰(108), 영상신호 처리부(110), 표시 모니터(112), 키입력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omputer terminal 46 includes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00, a microprocessor 102, a voice signal processor 104, a speaker 106, a microphone 108, and a video signal processor ( 110, a display monitor 112, and a key input unit 114.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100)은 인터넷망을 통해 웹페이지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VoIP호의 접속에 따른 음성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화상 통신의 진행에 따라 상대방 통신 장치(2)의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음과 더불어, 해당 컴퓨터 단말(46)로부터의 로봇 조작 명령을 전송한다.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00 receives web page data through an internet network or transmits / receives voice packet data according to a VoIP call connection, and the video camera 12 of the counterpart communication device 2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video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the robot operation command from the computer terminal 46 is transmitted.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2)는 인터넷 전화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100)의 음성 패킷 송수신을 통한 인터넷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상 통신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통신 장치(2)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 모니터(112)의 화상 통신용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영상신호 처리부(110)를 제어한다. The microprocessor 102 makes an Internet voice call through voice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00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for Internet telephony, and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age communication. The video signal is requested to the device 2, and the video signal processor 110 is controlled so that the video data photograph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displayed on the video communication interface screen of the display monitor 112.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2)는 로봇 조작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114)의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로봇 머리(4)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로봇 조작 명령을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102 up / down / bottoms the robot head 4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14 by executing a robot manipulation application program. Generate a robot operation command to operate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104)는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와의 인터넷 음성 통화의 진행에 따라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106)를 통해 음성 출력시키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마이크로폰(108)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처리하여 네트워크 통신 모듈(100)에 출력한다. The voice signal processor 104 performs voice signal processing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other party through the speaker 106 as the internet voice call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proceeds, and the microphone ( 108 process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00.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10)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100)을 통해 수신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 처리하여 상기 표시 모니터(112) 상에 화상 통신용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10 processes an image signal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00 and displays an image screen on an image communication interface screen on the display monitor 112. Be sure to

상기 키입력부(114)는 컴퓨터 키보드로 이루어지고서, 4방향 키(114a)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 신호를 발생한다. The key input unit 114 is formed of a computer keyboard, and generates a key input signal for operation in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by user manipulation of the four-way key 114a.

도 5에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제어부(78)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46)과 VoIP호를 통한 인터넷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114)의 4방향 키(114a)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로봇 조작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로봇 조작 명령에 따라 모터 구동부(8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제 1모터(82)가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90)을 동작시키거나, 상기 제 2모터(84)가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을 동작시켜서, 상기 로봇 머리(4)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In FIG. 5, the control unit 7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performs the Internet voice call through the VoIP call with the computer terminal 46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When the four-way key 114a is operated by the user and a robot operation command is received, the first motor 82 drives the head up and down driving mechanism 90 by driving control of the motor driver 80 according to the robot operation command. Or the second motor 84 operates the head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 92 so that the robot head 4 can be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상기 로봇 머리(4)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면, 상기 로봇 머리(4)가 부착되어 있는 영상 카메라(12)의 촬영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컴퓨터 단말(46)의 사용자가 원하는 주변 위치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robot head 4 is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image camera 12 to which the robot head 4 is attached is changed so that the user of the computer terminal 46 You can take a picture of the desired surrounding location.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화상 통신을 위한 로봇의 원격 제어가 컴퓨터 단말(46)에서만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 기능 및 인터넷 웹브라우징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50)를 통해서도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봇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도 화상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He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mote control of the robot for the ima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only in the computer terminal 46, but not limited to th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having an image capturing function through an image camera and an internet web browsing function. Through the user's manipulation through the keypad to enable the remote control of the robot. 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age communication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remote control of a robot should be mounted.

한편, 상기 제어부(78)는 상기 음성 트래킹부(98)의 음성 트래킹 처리에 의해 상기 우측 마이크로폰(18) 및 좌측 마이크로폰(20)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 발생 방향의 탐지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는 방향으로 로봇이 반응하여 동작될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78 is a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sound generation direction input through the right microphone 18 and the left microphone 20 by the voice tracking processing of the voice tracking unit 98.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so that the robot can operate in response.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우측 마이크로폰(18)과 가까운 위치에서 인기척을 발생하는 경우에, 음성 트래킹부(98)에서는 우측 마이크로폰(18) 및 좌측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입력 시간을 비교하여 소리가 발생된 방향을 추적하고 그 결과에 따른 음성 트래킹 신호를 상기 제어부(78)에 제공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A, when the user generates a popularity chuck at a position close to the right microphone 1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he voice tracking unit 98 uses the right microphone 18. And comparing input times of the voice signals input from the left microphone 20 to track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and provide the voice tracking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78.

상기 제어부(78)는 상기 음성 트래킹부(98)로부터의 음성 트래킹 신호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우측 마이크로폰(18)과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됨에 의해, 상기 모터 구동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모터(84)가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92)을 구동시켜서 로봇 머리(4)가 사용자의 위치로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제 3 및 제 4모터(86,88)가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94) 및 왼팔 구동 메카니즘(96)을 구동시켜서 로봇 오른팔(8) 및 왼팔(10)이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안내 멘트의 음성 신호가 각 스피커(14,16)를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78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position close to the right microphone 18 by the voice tracking signal from the voice tracking unit 98, thereby controlling the motor driver 80 to control the motor driver 80. The second motor 84 drives the head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 92 so that the robot head 4 can be rotated to the user's position, and the third and fourth motors 86 and 88 are right arms. The driving mechanism 94 and the left arm driving mechanism 96 are driven so that the robot right arm 8 and the left arm 10 are repeatedly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the voice signal of the preset announcement is applied to each speaker 14, 16) to output audio.

그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탑재된 로봇 머리(4)가 우측 마이크로폰(18)의 설치 위치 측으로 회전 이동되면서, 오른팔(8) 및 왼팔(10)을 반복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B, the robot head 4 mounted o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rotat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side of the right microphone 18, while the right arm 8 and the left arm 10 are rotated. ) Repeatedly in the up / down direction.

그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서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로부터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에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제공받아 음악 출력과 더불어 음악에 동기되는 로봇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That is, Figure 7 is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music data and motion data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from a remote computer terminal in operation of the robot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utput music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control is perform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격지에서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소정의 음악 데이터 및 그 음악 데이터와 동기되는 움직임 정보가 포함된 움직임 데이터를 선물하여 전송하게 되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서 선물받은 음악 데이터를 음성 출력함과 더불어, 그 음악 데이터에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로봇의 머리(4) 및 오른팔(8), 왼팔(10)을 동작시켜서 해당 통신 장치(2)에 탑재된 로봇이 음악에 맞추어서 동작되는 효과를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presents and transmits motion data including predetermined music data and mo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remotely present. In addition to voice outputting the music data received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he robot head 4, the right arm 8, and the left arm 10 ar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movement data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By doing so, the robot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device 2 shows an effect of being operated in accordance with music.

도 7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46)은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제공할 음악을 선택하게 된다.In FIG. 7, the computer terminal 46 accesses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o select music to be provided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여기서,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42)에는 상기 컴퓨터 단말(46)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장르 및 방대한 양의 음악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각 음악 데이터에 동기되도록 움직임 정보가 작성된 움직임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Here, the information database 42 holds various genres and vast amounts of music data selectable by the computer terminal 46, and holds motion data in which motion information is written to be synchronized with each music data.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는 상기 컴퓨터 단말(46)에 대해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42)의 음악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음악 조회 리스트를 인터넷 웹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단말(46)에 의해 특정 음악이 선택되면 해당 음악에 따른 음악 데이터와 움직임 데이터를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provides a music inquiry list, which can inquire music data of the information database 42, to the computer terminal 46 in the form of an Internet web page, and supplies the computer terminal 46 to the computer terminal 46. When the specific music is selected by the music data and motion data according to the music is transmitted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서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를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46)로부터 제공받은 음악 데이터를 디지털신호 처리부(66)의 음성신호 처리에 의해 재생하여 스피커(14,16)를 통해 음성 출력한다.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he music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terminal 46 through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s reproduced by the voice signal processing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6 and the speakers 14, 16 Voice output through).

그와 더불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제어부(78)는 상기 음악 데이터와 함께 제공받은 움직임 데이터에 포함된 움직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악과 동기되는 움직임에 따라 모터 구동부(80)를 구동 제어함에 의해, 제 1∼제 4모터(82,84,86,88)를 구동시켜서 로봇 머리(4)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거나, 오른팔(8) 및 왼팔(10)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analyzes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otion data provided with the music data to operate the motor driver 80 according to the motion synchronized with the music. By controlling the driving, the first to fourth motors 82, 84, 86 and 88 are driven to rotate the robot head 4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or the right arm 8 and the left arm. The 10 is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즉,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의 움직임 정보를 코드화한 텍스트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하게 되는 바, 예컨대 "[robotff]"와 같은 시작 태그를 부여하여 해당 움직임 데이터가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표시하고, 예컨대 "[00:05:11]"와 같은 시간 태그를 각 움직임 코드별로 부여하여 해당 움직임과 동기되는 음악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한편, 각 시간 태그마다 로봇의 움직임을 규정하는 움직임 코드값을 부여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mo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data encoded with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For example, the motion data is assigned to the robot by giving a start tag such as "[robotff]". It indicates that the code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is included, and for example, a time tag such as "[00:05:11]" is assigned to each movement code to indicat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music data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Each time tag is assigned a motion code value that defines the robot's movement.

도 8에서는 상기 움직임 코드값을 예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되, 이러한 움직임 코드값은 음암 데이터와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예시된 형태일 뿐이고 다른 형태의 움직임 코드값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In FIG. 8, the motion code value may be set by way of example, and the motion code value is merely an example to easily describe motion data synchronized with sound data, and any other type of motion code value may be used. Applicable

상기 움직임 코드값에서, 예컨대 "hdlr_laud"는 로봇 머리(Head; hd)를 좌/우 방향(Left/Right; lr)으로 반복적으로 회전 동작시키고, 왼팔(Left Arm; la)을 상/하 방향(Up/Down; ud)으로 반복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나타내고, 예컨대 "hdud#2_hdlr3"는 로봇 머리(hd)를 상/하 방향(ud)으로 2번 동작시키고, 로봇 머리(hd)를 좌우 방향(lr)으로 3번 동작시키라고 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In the motion code value, for example, "hdlr_laud" repeatedly rotates the robot head (h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Left / Right; lr) and rotates the left arm (la) in the up / down direction ( Up / Down; ud) indicates a command to repeatedly operate, for example, " hdud # 2_hdlr3 " operates the robot head hd twice in the up / down direction ud and the robot head hd right and left. An instruction to operate three times in the direction lr is shown.

한편,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는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로부터 제공받은 음악 데이터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키입력부(62)의 통화키 버튼(36)을 재생키 버튼으로 활용하여 조작될 수 있도록 하고, 제공받은 음악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키입력부(62)의 10-키 버튼(34)에 의해 각각의 음악마다 번호를 부여하고, 부여된 번호를 선택함에 의해 해당 음악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utilizes the call key button 36 of the key input unit 62 as a play key button when playing the music data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provided music data, a number is assigned to each music by the 10-key button 34 of the key input unit 62, and the corresponding music data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assigned number. To be regenerated.

또한, 복수개의 음악 데이터에 대해 10-키 버튼(34)을 통해서 번호를 부여하고, 부여된 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부(140)를 적용하여 번호의 부여 기능 및 부여된 음악 번호의 선택 상태를 화면 표시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가 음악 데이터의 선택 및 재생 상태를 가시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assign a number to the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data through the 10-key button 34, and to select the assigned number, the display unit 140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visually determine the selection and reproduction state of the music data by enabling the screen display of the selected music number.

그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상감지 센서가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 내에 실장되어 있는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That is,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is mounted in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해당 통신 장치가 설치된 위치 주변의 이상 상태를 다양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상 감지 센서를 내장하고, 그 내장된 이상 감지 센서에 의해 통신 장치(2) 주변에 이상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통신 관리서버(4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이상 발생과 관련된 기관으로 이상발생의 통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관련 기관의 원격 제어에 의해 통신 장치(2)의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는 주변 영상을 관련 기관으로 전송하여 해당 이상 상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9,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cludes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ities around a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around the communication device 2 by the built-i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notify the engine related to the abnormality of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By transmitting a peripheral image taken from the image camera 12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by the remote control to the relevant organs so that the abnormal situation can be identified.

도 9에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는 주변의 이상 상태를 다양하게 감지하기 위한 이상 감지 센서로서, 가정용 도시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감지 센서(120)와, 실내의 화재로 인한 고열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122), 실내의 화재 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 센서(124), 실내로의 불청객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감지 센서(126)가 내장되어 있다. In FIG. 9,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various abnormal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s, and includes a gas detection sensor 120 that detects leakage of household city gas, and a fire caused by a fire in a room. A heat sensor 122 for detecting high heat, a smoke sensor 124 for detecting smoke generated by a fire in the room, and an intrusion sensor 126 for detecting an intruder intrusion into the room are built in.

여기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는 가스감지 센서(120)와, 열감지 센서(122), 연기감지 센서(124), 침입감지 센서(126)만이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통신 장치(2)가 설치된 위치에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어떠한 이상감지 센서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Here,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described that only the gas sensor 120, the heat sensor 122, the smoke sensor 124,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26 is buil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may be applied to detect an abnormal situation that may occur variously at a location w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installed.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제어부(78)는 상기 가스감지 센서(120)나 열감지 센서(122) 또는 연기감지 센서(124), 침입감지 센서(126)로부터 이상을 감지하게 되면, 전력 증폭부(70)를 통해 상기 스피커(14,16)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네트워크 통신모듈(68)을 통해 통신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상기 감지된 이상 상태의 종류(예컨대 가스 누출, 화재 발생, 침입자 발생 등)를 통보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7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detects an abnormality from the gas sensor 120, the heat sensor 122, the smoke sensor 124, or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26,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in the speakers 14 and 16 through the power amplification unit 70,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to provide the kind of the detected abnormal state (for example, gas). Leaks, fires, intruders, etc.).

상기 통신 관리서버(40)는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로부터의 이상 상태의 종류를 통보받게 되면, 해당 이상 상태의 종류에 적합한 관련 기관을 호출하여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사용자 개인 정보(즉, 사용자 성명, 집주소, 통신 장치의 전화번호, 보호자 전화번호 등)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이상 상태의 종류에 적합한 이상발생 안내 메시지(즉, 음성 안내 메시지, 텍스트 메시지 등)를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is informed of the type of the abnormal state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calls the relevant authority appropriate to the type of the abnormal state to make the communication device 2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stand out. In addition to providing your personal information (i.e. your name, home address, phone number of your communication device, guardian's phone number, etc.), you may also receive an error message (e.g. voice prompt, text message, etc.) that is appropriate for your condition. Will occur.

한편, 각 관련 기관의 컴퓨터 단말(46a1∼46an)에서는 상기 통신 관리서 버(40)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사용자 정보 및 이상발생 안내 메시지를 제공받게 되면, 관리자의 화상 통신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조작에 의해 인터넷 웹 상에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로봇 조작 명령을 전송하게 됨에 따라, 상기 통신 장치(2)의 로봇 머리(4)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켜서 해당 로봇 머리(4)에 부착된 영상 카메라(12)가 이상이 발생된 위치의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terminals 46a1 to 46an of each relevant organization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error occurrence guidance message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 response to a call from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By transmitting a robot operation command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on the Internet web by means of an image communication application program operation, the robot head 4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moved up / down or left / right. By operat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image camera 12 attached to the robot head 4 can provide a captured image of the position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제어부(78)는 상기 관련 기관의 컴퓨터 단말(46a1∼46an) 중에서 특정 컴퓨터 단말로부터 로봇 조작 명령이 전송되면, 해당 로봇 조작 명령에 따라 로봇 머리(4)가 동작되도록 모터 구동부(80)를 구동제어하면서 상기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네트워크 통신 모듈(68)을 통해 해당 컴퓨터 단말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s a robot operation command from a specific computer terminal among the computer terminals 46a1 to 46an of the relevant engine. While driv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driver 80 to operate, the image data captured from the image camera 12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comput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도 9에서는 다양한 이상감지 센서가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 내장되어 있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해당 통신 장치(2)에 내장되어 있지는 않지만 해당 통신 장치(2)가 위치한 특정 공간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이상감지 센서로부터의 이상발생 감지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9, various abnormality detection sensors are embedded 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bu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embedd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2, the specific communication device 2 is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already installed in the space.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가 설치된 장소에 각각 가스감지 센서(120a)와, 열감지 센서(122a), 연기감지 센서(24a), 침입감지 센서(126a)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의 이상감지 센서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128,130,132,134)을 구비하고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0, the gas sensor 120a, the heat sensor 122a, the smoke sensor 24a, and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26a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place where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s installed. ), Each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8, 130, 132, 134)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는 상기 각 가스감지 센서(120a)와, 열감지 센서(122a), 연기감지 센서(24a), 침입감지 센서(126a)에 각각 구비된 무선통신 모듈(128,130,132,134)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36)를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each of the gas sensor 120a, the heat sensor 122a, the smoke sensor 24a, and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26a.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6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128, 130, 132 and 134.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128,130,132,134)과, 근거리 무선 통신부(136)는 상호 근거리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rDA) 통신, Zigbee, Binary CDM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무선 통신을 진행하도록 한다.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8, 130, 132, 134)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6 by applying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Bluetooth (Bluetooth), infrared (IrDA) communication, Zigbee, Binary CDMA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hort distance to each other Proce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의 제어부(78)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36)를 통해 가스감지 센서(120a), 열감지 센서(122a), 연기감지 센서(24a), 침입감지 센서(126a)로부터의 이상감지 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전력 증폭부(70)를 통해 상기 스피커(14,16)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네트워크 통신모듈(68)을 통해 통신 관리서버(40)에 접속하여 상기 감지된 이상 상태의 종류를 통보하게 된다. The controller 78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communicates with the gas sensor 120a, the heat sensor 122a, the smoke sensor 24a, and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26a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6. When receiving an abnormal detection signal from the),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in the speaker (14, 16) through the power amplification unit 70,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68 To notify the type of the detected abnormal condition.

그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 표시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Next,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에는 그 전면 소정부에 표시부(140)를 구비하고, 표시부(140)를 통해 상기 단축키 입력부(60) 및 키입력부(62)의 키입력에 의한 기능 실행 상태를 표시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40 at a predetermined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shortcut key input unit 60 and the key input unit 62 are provided via the display unit 140. It displays the function execution status by the key input of), and displays the video data provided from the counterpart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즉,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2)는 VoIP호를 통해 상대방과 인터넷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상대방이 화상통신 가능한 컴퓨터 단말이면, 영상 카메라(12)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대방측 컴퓨터 단말에 전송함과 더불어, 그 상대방측 컴퓨터 단말에 부착된 영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부(140)에 화면 표시함으로써 영상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video camera 12 to the counterpart computer terminal if the counterpart is a computer terminal capable of video communication during the Internet voice call with the counterpart via a VoIP call.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video camera attached to the counterpart computer terminal is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o that the video call can be made.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단축키 버튼을 통해서 지정된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ll connection with the designated party via a shortcut button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에서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로봇을 원격 조종하여 영상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termina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camera by remotely controlling the robot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from a remote computer terminal;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서 소리가 발생되는 방향을 탐지하여 로봇을 작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6A and 6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robot is operated by detecting a direction in which a sound is generated in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서 원격지의 컴퓨터 단말로부터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에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를 제공받아 음악 출력과 더불어 음악에 동기되는 로봇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otion control operation of a robot synchronized with music by receiving music data and motion data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from a remote comput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being made,

도 8은 음악 데이터와 동기되는 움직임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낸 도면, 8 illustrates a data format of motion data synchronized with music data;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상감지 센서가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 내에 실장되어 있는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is mounted in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가 별도로 구성된 이상감지 센서와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enabl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abnormality sensor configured separately;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 표시부가 추가적으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additionally configured in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 4:로봇 머리,2: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4: robot head,

8,10:로봇팔, 12:영상 카메라,8,10: robot arm, 12: video camera,

14,16:스피커, 18,20:마이크로폰,14, 16: speakers, 18, 20: microphone,

22,24,26,28,30:단축키 버튼, 32:조정키 버튼,22, 24, 26, 28, 30: Hotkey button, 32: Control key button,

34:10-키 버튼, 36:통화키 버튼,34: 10-key button, 36: call key button,

38:통화종료키 버튼, 40:구난통신 관리서버,38: call end key button, 40: rescu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42:정보 데이터베이스, 44:인터넷 전화기,42: information database, 44: Internet telephone,

46:컴퓨터 단말, 48:유선 전화기,46: computer terminal, 48: wired telephone,

50:이동통신 단말기.5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24)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대응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서, 구난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하기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을 수행하는 단축키 입력수단과; A shortcut key input means hav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and performing one-key operation of a shortcut key for mak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specified in advance for rescue communication;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의 입력 및 수화 음성의 출력을 수행하는 통화 입출력 수단; Call input / output means for inputting a spoken voice and outputting a spoken voice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contact;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송화 음성 및 수화 음성의 통화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통화신호 처리수단; Call signal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call signal processing of a talk voice and a sign voice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contact; 구난 통신을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통화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 수단; Network communication means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escue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call signal for a call with a counterpart contact; 해당 장치에 탑재되어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에 의해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되어 통화 진행시에 그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연동적으로 동작되는 로봇; A robot mounted on th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other party's contact by the hot key input unit and interoperab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e during the call; 상기 로봇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을 수행하는 로봇 구동수단; 및 Robot driving means for driving to operate the robot; And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의 원키 조작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접속을 위한 정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을 통해 통화신호의 송수신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고,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봇을 연동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로봇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By generating the information signal for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contact of the other party specified in advance by the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to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all signal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e with the other contact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robot driving means to operate the robot in an interlocked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에 구비된 각 단축키의 키코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의 정보가 네트워크 상의 통신 관리서버에 등록되어 관리되고, The information of the contact information designated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key code data of each shortcut key provided in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on the network.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단축키 입력수단의 각 단축키의 원키 조작시에 해당 단축키의 키코드 데이터와, 전화기 고유식별코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에 제공하여 통신 관리서버의 중계를 통해 상대방 연락처와의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control means provides key code data of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and unique identification code data of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a network when the one-key operation of each shortcut key of the shortcut key input means is performed.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connection is mad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화 입출력 수단은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신호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대방으로부터의 수화 음성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 전력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상대방의 수화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The call input / output means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for a voice call, a signal amplifier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 power amplifier for power amplifying a sign language voice signal from the other party, and a power amplifi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eaker for voice output the sign language voice signal of the amplified counterpart through, 상기 통화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의 송화 음성 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에 출력하고, 그 네트워크 통신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상대방의 수화 음성 신호를 음성신호 처리하여 상기 전력 증폭부에 출력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DSP)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call signal processing means digitally processes the voice signal from the signal amplification unit, outputs the digital signal to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 processes the speech signal of the other party received from 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DSP) to outpu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통신 수단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인터넷망의 VoIP호를 통한 인터넷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 패킷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said network communication means is configured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ternet packet data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to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packet for an internet voice call through a VoIP call of the internet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봇은 장치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몸체 상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로봇 머리와, 상기 몸체 양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로봇 오른팔 및 왼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The robot is a robot head attached to the body fixed to the main body to enable the operation in the up / down and left / right direction, the robot right arm attached to the operation in the up / down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Composed of the left arm, 상기 로봇 구동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구동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로봇 머리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1모터, 상기 로봇 머리를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2모터, 상기 로봇 오른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3모터, 상기 로봇 왼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4모터, 상기 제 1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머리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2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머리를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3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오른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4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왼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왼팔 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robot driving means includes a motor driving part driven by driv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 first motor for driving a motor for operating the robot head in an up / down direction, and operating the robot head in a left / right direction. A second motor performing a motor drive for driving the motor, a third motor performing a motor drive for operating the robot right arm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a motor performing a motor drive for operating the robot left arm in the up / down direction 4 motors, a head up and down driving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 head in an up / down direction by driving a motor of the first motor, and a head left and right driving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 head in a left / right direction by driving a motor of the second motor. A right arm driving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s right arm in an up / down direction by driving the motor of the third motor; and the motor of the fourth motor. And a left arm driving mechanism configured to operate the robot left arm in an up / down direction by driving.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로봇의 머리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robot further comprises an image camera for taking a peripheral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대방 연락처로부터 화상 통신 요청에 따라 상기 로봇 머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 제어 정보가 전송되고, Robot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head is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방 연락처로부터의 로봇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여 상기 로봇 머리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대방 연락처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control means drives and controls the robot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unterpart contact so that the robot head is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video camera is counterparted.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o the contact.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해당 장치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위치하여 주변 소리를 입력받는 우측 및 좌측 마이크로폰과, 상기 우측 마이크로폰 및 좌측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음성신호의 입력 시간을 비교하여 소리가 발생된 방향을 추적하고 그 결과에 따른 음성 트래킹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트래킹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is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evice, respectively, and compares the input time of the voice signals input to the right and left microphones and the right and left microphones, and track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It further comprises a voice tracking unit for generating a voice tracking signal,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성 트래킹부의 음성 트래킹 신호에 의해 소리가 발 생된 방향으로 상기 로봇 머리가 동작되도록 하고, 로봇 오른팔 및 왼팔이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uses the robot head to operate in a direction in which sound is generated by the voice tracking signal of the voice tracking unit, and the robot right and left arms to oper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대방 연락처로부터 소정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와 동기된 움직임 정보가 포함된 움직임 데이터가 전송되고, Music data including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and motion data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ar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contact information;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음악과 동기시켜서 상기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the control means reproduces the music data, outputs music,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obot by synchronizing with the music based on the motion data.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움직임 데이터는 로봇의 움직임 정보를 코드화한 움직임 코드값을 음악의 재생시간 별로 작성한 텍스트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the mo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text data in which motion code values obtained by encod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are prepared for each playing time of music.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주변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이상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이상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surroundings and generates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상감지 신호를 수신받으면 감지된 이상상태에 대응하는 관련 기관과 호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the control means performs a call connection with a related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bnormal state when receiv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장치 외부의 특정 공간에 설치되고서 주변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이상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이상감지 센서와, 그 이상감지 센서로부터의 이상감지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outside the device and detecting an ambient abnormality condition and generat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according thereto,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by near field communic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해당 장치에 내장되고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상감지 센서로부터의 이상감지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받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mbedded in a corresponding device and wirelessly receiving an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상감지 신호를 수신받으면 감지된 이상상태에 대응하는 관련 기관과 호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the control means performs a call connection with a related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bnormal state when receiving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상기 이상감지 센서는 가스감지 센서와, 열감지 센서, 연기감지 센서, 침입감지 센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The abnormality sensor is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ny one of a gas sensor, a heat sensor, a smoke sensor, an intrusion detection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대방 연락처와의 화상 통신을 위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대방 연락처로부터 촬영되어 제공되는 상대방 영상데이터를 화면 표시 하고, 해당 장치의 기능 실행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video camera that photographs and provides a surrounding image for video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contact, and to display a counterpart image data captured and provided from the counterpart contact, and to display a function execu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대응하는 단축키를 구비하고서, 구난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하기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을 수행하여 상대방 연락처와의 음성 통화를 진행하고, 상대방과의 통화 진행 상태에 따라 탑재된 로봇을 연동적으로 동작시키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Hav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and performing a one-key operation of a shortcut key for accessing a call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for rescue communication, proceeds with a voice call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and according to the call progress status with the counterpart.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for interoperating the mounted robot;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로부터의 구난 통신을 위한 단축키의 원키 조작에 따라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대방 연락처와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성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통신 관리서버; 및 A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for making a voice call by making a call connection with a contact of a counterpart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according to a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for rescue communication from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단축키 조작에 의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의 중계를 통해 통화 접속되어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a call through the relay of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by a shortcut key operation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performs a voice call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상기 단축키의 원키 조작시에 해당 단축키의 키코드 데이터와,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전화기 고유식별코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the keycode data of the shortcut key and the phone identification code data uniquely assigned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a network when the one-key operation of the shortcut key is performed. 상기 통신 관리서버는 상기 전화기 고유식별코드 데이터를 통해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구별하고, 상기 단축키의 키코드 데이터에 대응하여 등록 관리되는 미리 지정된 상대방 연락처의 정보를 근거로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를 호출하여 통화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distinguishes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phone unique identification code data, and calls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counterpart contact registered and managed in correspondence to the key code data of the shortcut key.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connection is mad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인터넷망을 통한 인터넷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과, 인터넷망의 VoIP호를 통한 인터넷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ternet packet data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the Internet voice call via a VoIP call of the Internet network.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인터넷 전화기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하드웨어가 탑재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음성 통화를 진행하는 컴퓨터 단말, 인터넷망 및 유선 전화망을 매개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유선 전화기, 인터넷망 및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other party's contact side includes an Internet telephone for making an Internet voice cal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 computer terminal for carrying out an Internet voice cal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a dedicated application or dedicated hardware for the Internet phone. It is any one of a landline telephone for making a voice call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via a telephone network, an internet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aking a voice call with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ing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해당 장치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몸체 상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로봇 머리와, 상기 로봇의 머리에 설치되어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 상기 몸체 양쪽에서 상/하 방향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된 로봇 오른팔 및 왼팔, 상기 로봇 머리와 로봇 오른팔 및 왼팔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봇 머리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모터,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로봇 오른팔 및 왼팔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을 수행하는 제 3 및 제 4모터, 상기 제 1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머리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머리 상하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2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머리를 좌/우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머리 좌우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3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오른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오른팔 구동 메카니즘, 상기 제 4모터의 모터 구동으로 상기 로봇 왼팔을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왼팔 구동 메카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robot head mounted on the body fix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so as to be operable in an up / down direction and a left / right direction, and installed on the head of the robot to photograph surrounding images. An image camera, a robot right arm and left arm capable of operating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ody, a motor driver driven to operate the robot head and the robot right arm and left arm, and the robot driven by the motor driver. First and second motors that perform motor driving for operating the hea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the left /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for operating the robot right arm and the left arm in the up / down directions by driving the motor driving unit. Third and fourth motors for driving the motor, and head upper and lower spheres for operating the robot head in an up / down direction by driving the motor of the first motor. Mechanism, Head left and right drive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 hea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by the motor drive of the second motor, Right arm drive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 right arm in the up / down direction by the motor drive of the third motor, And a left arm driving mechanism for operating the robot's left arm in an up / down direction by driving a motor of a fourth motor. 제 1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신에 따라 상기 영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영상 카메라가 부착된 로봇 머리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로봇 제어 정보를 전송하 고,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a robot to remotely control an up / down direction or a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robot head to which the video camera is attached in order to obtain image data captured by the video camera according to video communication. Send information,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로봇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로봇 머리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영상 카메라의 촬영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영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대방 연락처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ntrols driving of the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robo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robot head is oper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or the left / right direction so that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image camera is adjusted. And adjust and transmit the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image camera to a counterpart contact. 제 2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키보드의 사용자 조작으로 로봇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컴퓨터 단말과, 화상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로봇 원격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키패드의 사용자 조작으로 로봇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mputer terminal having an application for video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for remote control of a robot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robot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user operation of a keyboard, an application for video communication, and a robot remote control. Is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robot control information by the user operation of the keypad. 제 2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신을 위해 영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에 전송하고,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peripheral image data photographed from the video camera to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와의 화상 통신을 위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 카메라와,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로부터 촬영되어 제공되는 상대방 영상데이터를 화면 표시하고, 해당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기능 실행 상태를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displays a video camera that photographs and provides a surrounding image for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s the counterpart image data captured and provided from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unction execution state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통신 관리서버는 상기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소정의 음원을 포함하는 음악 데이터와, 그 음악 데이터와 동기된 움직임 정보가 포함된 움직임 데이터를 전송되고,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music data including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tion data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with the music data,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상기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움직임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음악과 동기시켜서 상기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producing the music data to output music,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usic based on the movement data.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는 주변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이상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이상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서, 그 이상감지 센서로부터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상태의 종류를 상기 통신 관리서버에 통보하고,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surroundings and generating an abnormal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bot. When the abnormality is detected from the abnormality detection sensor, the communication management is performed on the type of the abnormal condition. Notify the server, 상기 통신 관리서버는 상기 이상상태의 종류에 대응하는 관련 기관의 상대방 연락처측 통신 단말기로 상기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의 사용자 개인 정보 및 이상발생 안내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탑재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The communication management server is a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error occurrence guidance message of the robot-mounted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unterpart contact side of the relevant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abnormal sta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KR1020080006166A 2008-01-21 2008-01-21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917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66A KR100917796B1 (en) 2008-01-21 2008-01-21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166A KR100917796B1 (en) 2008-01-21 2008-01-21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291A KR20090080291A (en) 2009-07-24
KR100917796B1 true KR100917796B1 (en) 2009-09-18

Family

ID=4129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166A KR100917796B1 (en) 2008-01-21 2008-01-21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7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8733B1 (en) * 2020-01-20 2020-12-09 合同会社Mdk Consideration-linked motion induction method and consideration-linked motion induction program
JP6841465B1 (en) * 2020-10-02 2021-03-10 合同会社Mdk Consideration-linked motion induction method and consideration-linked motion induction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59A (en) * 1993-06-14 1995-01-10 Chuo Denshi Kk One-action dial notifying device
KR19980052725A (en) * 1996-12-24 1998-09-25 유기범 Emergency dialing method of telephone handset
KR20060036645A (en) * 2004-10-26 2006-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Apparatus and method of emergency call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59A (en) * 1993-06-14 1995-01-10 Chuo Denshi Kk One-action dial notifying device
KR19980052725A (en) * 1996-12-24 1998-09-25 유기범 Emergency dialing method of telephone handset
KR20060036645A (en) * 2004-10-26 2006-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Apparatus and method of emergency call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291A (en) 200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819B1 (en) Doorbell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103678A (en) Robot apparatus
CN108039170A (en) Communication mean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Emergency Assistance
JP2007221327A (en) Monitoring system,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voice output apparatus
KR100917796B1 (en) Robot Mount Type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mergency Rescu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226928B1 (en) Smart doorbell system
KR101412793B1 (en) A doll having security function
JP2007096502A (en) Intercom device
JP2009182593A (en) Intercom system
JP2005352956A (en) Security system, abnormality report terminal, abnormality report method, and program
KR20040011010A (en) Home secreting/home networking system by us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0299740A (en) Interphone provided with transfer function
JP5065214B2 (en) Intercom device
JP2008258695A (en) House information board
JP2012249259A (en) Room monitoring system, and telephone device
JP2002290577A (en) Interphone device
JP2007096717A (en) Intercom system
JP5060518B2 (en) Intercom system
JP2008244954A (en) Security door intercom system
JP2005101963A (en) Multiple dwelling house interphone system
JP5846990B2 (en) Intercom device
KR200255553Y1 (en) Home control system
JP2012156876A (en)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alarm notification function
KR102165377B1 (en) Emergency remote monitoring method using smart phone
JP2008289084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