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406B1 - Camera - Google Patents

Camera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406B1
KR100915406B1 KR1020070120467A KR20070120467A KR100915406B1 KR 100915406 B1 KR100915406 B1 KR 100915406B1 KR 1020070120467 A KR1020070120467 A KR 1020070120467A KR 20070120467 A KR20070120467 A KR 20070120467A KR 100915406 B1 KR100915406 B1 KR 10091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unit
enlarg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3576A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102007012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406B1/en
Publication of KR2009005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4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의 영상과 상기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의영상을 함께 전달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는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함으로써 해당 영역을 보다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촬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enlarged and the remaining part is photographed as the original video image and displayed together. In the camera photographing the subject,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is included. By providing a camera including a lens unit for transmitting an enlarged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other than the partial portion together, the user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region more clearly by enlarging and photographing only the region of interest. By presenting a photographing method, more functional and beneficial photographing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카메라{CAMERA}Camer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which enlarges only a part of a whole subject to be photographed and displays the remaining part together with the original video image.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원근거리 및 기후의 조건에 따라 렌즈부를 조절하여 선명도를 얻도록 한다. 이때, 렌즈부는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한다.In general, in using a camera, sharpness is obtained by adjusting a lens part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camera and a subject and a condition of a weather. In this case, the lens unit performs a rangefinder measurement function, a focal length adjustment function, an aperture adjustment function, a depth of field adjustment function, and the like.

여기서, 거리계 측정 기능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명확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막대기가 일직선이 되었을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스프리트(Sprit) 방식, 바깥 원과 작은 원 사이에서 상이 선명해질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매크로(Macro) 방식, 기준점은 없지만 화면 전체가 선명해질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매트(Mat) 방식 등을 이용한다.Here, the rangefinder function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subject to make a clear image, and the split method that focuses when the two bars are in a straight line, and focuses when the image is clear between the outer circle and the small circle. This method uses a macro method, a matte method that does not have a reference point but is considered to be in focus when the entire screen is clear, and the like.

초점거리 조절 기능은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필름부(CCD: Charge Coupled Device)까지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초점거리에 따라 렌즈를 구별할 수 있는데, 초점거리가 50(mm)으로 사람이 보는 시각과 동일한 표준렌즈, 초점거리가 50(mm) 미만인 광각렌즈, 초점거리가 50(mm) 이상인 망원렌즈로 나눌 수 있다.The focal length adjustment function adjust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lens to the film coupled charge device (CCD). In this case, the len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focal length. The focal length is 50 (mm), the same standard lens as the human eye, the wide-angle lens having a focal length of less than 50 (mm), and the telephoto distance having a focal length of 50 (mm) or more. Can be divided into lenses.

조리개 조절 기능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개의 크기가 작을수록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다.The aperture control function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and the smaller the aperture size, the clearer the image.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은 피사체의 초점범위를 조절하는 것이다.Depth-of-field adjustment is to adjust the focus range of the subject.

상술한 바와 같은 렌즈부를 구비한 카메라의 촬영에 있어서, 렌즈부에 구성된 조절장치를 선회 수작동시키거나 자동 조절되는 방식에 의해서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한다.In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having the lens unit as described above, the rangefinder measurement function, the focal length adjustment function, the aperture adjustment function, and the depth of field range adjustment function by the method of turning or adjusting the adjustment device configured in the lens unit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so on.

그리고, 렌즈부는 전체 확대(Zoom-in), 스티커 촬영 등과 같은 특수 촬영 기능을 제공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체 확대의 경우, 사용자는 렌즈부의 광학 줌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할 화면 전체를 줌-인하여 촬영할 수 있다.The lens unit may photograph a subject by providing a special photographing function such as zoom-in, sticker photographing, or the like. Here, in the case of full magnification, the user may zoom-in the entire screen to be photographed by using the optical zoom lens of the lens unit.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부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또는, 어느 한 부분)만을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 영상대로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화면 전체를 확대하는 단조로운 영상 촬영밖에 할 수 없었다. 또한, 렌즈부의 광학 줌 렌즈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 전체를 볼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mera lens unit, only a part (or any part)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enlarged, and the remaining part is not capable of capturing the original image. Could not. 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is enlarged and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sing the optical zoom lens of the lens unit,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may not be seen.

예를 들어, 은행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 카메라의 경우, 공공시설 내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전체적인 모습은 촬영할 수 있으나, 해당 사람의 얼굴만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는 없었다. 즉, 사람의 얼굴 부분만 확대하여 사람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래의 전체 모습도 그대로 함께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해 줄 수 없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urveillance cameras install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banks, the overall image of people entering the public facilities can be photographed, but the zoomed-in camera cannot be enlarged to clearly identify only the face of the person. In other words, it was not possible to enlarge only the face of the person to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person, and to display and display the entire original image as it is.

다른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들의 전체적인 형태는 촬영할 수 있으나, 해당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는 없었다. 즉, 주변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한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를 함께 촬영하려고 할 때에,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하고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는 원래의 영상 이미지 그대로 촬영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해 줄 수 없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lack box surveillance camera mounted on a vehicle, the overall sha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vehicle may be photographed, but it may be enlarged so that only the license pl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may be clearly identified. There was no. That is, when attempting to photograph the entire shape of the surrounding vehicle including the license pl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together, only the license pl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could be enlarged and the entire form of the surrounding vehicle could not be taken and displayed together as the original image imag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하여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camera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enlarged and the remaining part is taken as the original image image and displayed together. do.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를 렌즈부에 결착(또는, 일체형으로 구현)시켜,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보조 렌즈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보조 렌즈를 제외한 렌즈부를 통해 원래 영상대로 촬영하여 함께 디스플레이시켜 줌으로써, 복잡한 소프트웨어(즉, 알고리즘)나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관심 있는 부분만을 확대 촬영하여 화면 전체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화면 전체를 확대하는 단조로운 영상 촬영 방식에서 탈피하여 보다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or integrally implemented) an auxiliary lens that performs an optical zoom function to a lens unit,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has a predetermined ratio through the auxiliary lens. By zooming in, the remaining part is taken as the original image through the lens unit except the auxiliary lens and displayed together, so that only the portion of interest is enlarged by the user without using complicated software (ie algorithm) or circuit. It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isplay and escapes from the monotonous image capturing method that enlarges the entire screen.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부분에 대한 영상과 상기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함께 전달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ubject, comprising a lens unit for enlarging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enlarged part and an image of the remaining part other than the part. To provide a camera.

여기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전달하는 주 렌즈, 그리고 상기 주 렌즈의 소정 위치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소정 비율로 확대하고, 상기 확대된 부분에 대한 영상을 전달하는 보조 렌즈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상기 보조 렌즈는, 상기 주 렌즈과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주 렌즈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거나, 상기 위치에서 분리시킨 후에 상기 주 렌즈의 다른 위치에 부착 가능하다.The lens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at a main lens for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remaining part other than the partial part, an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and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may b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ratio. It includes an auxiliary lens for delivering an image for the portion. Alternatively, the auxiliary lens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main lens, and may be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or attach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main len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position.

그리고, 상기 보조 렌즈는, 상기 주 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소정 이상으로 길다. 또한, 상기 보조 렌즈는, 상기 일부 부분을 소정 비율만큼 확대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진다.The auxiliary lens has a focal length longer than the main len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auxiliary lens has a focal length that can enlarge the partial portion by a predetermined ratio.

다르게는, 이러한 카메라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필름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영상 처리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이득 조정부, 영상 처리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Alternatively, such a camera may include a film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ransmitted from the lens un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and an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converted by the film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 gai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gain,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image signal adjusted by the gai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to image data, and an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image data as a view image on a screen, and a control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gain adjust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영상 코덱을 구비한다.Here, the image processor processes the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art and the remaining part adjusted by the gain adjuster in units of fram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converts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The image processor may include an image codec that compresses the image data converted in units of frames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a memory or restores the fram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original fram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해당 설정된 화면 영역에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변경시켜,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sets a screen area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convert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to the set screen area. Display the data.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on another area of the display unit.

또한 다르게는, 이러한 카메라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amera further includes a filtering unit for clearing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overlap with each other.

또한 다르게는, 이러한 카메라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문서인 경우에 해당 문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그리고 상기 메뉴의 선택에 의해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한다.Alternatively, the camera may include a menu for selecting a document when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is a document, and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by selecting the menu. After converting to a gray scale, the image correction unit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r by adjusting the gamma value to obtain a high-contrast sharp image in the gray scale fur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복잡한 소프트웨어(즉, 알고리즘)나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관심 있는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함으로써 해당 영역을 보다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촬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nlarge and photograph only a region of interest without using complicated software (ie, an algorithm) or a circuit, so that the corresponding region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and various photographing methods are presented. By doing so, more functional and beneficial photograph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mera lens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화면에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mage of an enlarged part and a remaining part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10), 필름부(120), 이득 조정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unit 110, a film unit 120, a gain adjusting unit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 display unit 160. ).

렌즈부(110)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원근거리, 기후의 조건, 조명의 밝기 등에 따라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하여 카메라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렌즈부(11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의 영상과 함께,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 그대로 필름부(120)로 전달한다.The lens unit 110 performs a distance measuring function, a focal length adjustment function, an aperture adjustment function, a depth of field adjustment function, etc.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the condition of the weather,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and the like. The image is transmitted to the film unit 120. In this case, the lens unit 110 transmits the remaining portion to the film unit 120 as it is, along with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enlarged by the camera.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영상을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과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함께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The film unit 120 converts the image of the subject transmitted from the lens unit 110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and outputs the image converted into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gain adjusting unit 130. At this time, the film unit 120 convert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transmitted from the lens unit 110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and outputs them to the gain adjusting unit 130.

이득 조정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즉,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영상 처리부(140)로 출력한다.The gain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gain of the image signal (that is, the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signal of the remaining portion) output from the film unit 1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to adjust the image processor. Output to 140.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에서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로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에서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크기, 화소 등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여, 해당 변환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압축하여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내에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여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웨이브렛(Wavelet) 코덱 등이 있다.The image processor 140 receives the image signal gain-adjusted by the gain adjuster 130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on the display unit 160 (that is,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and convert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60.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140 processes the image signal gain-adjusted by the gain adjuster 130 in units of frames, and converts the processed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and pixels, thereby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60. To pass).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40 includes an image codec, compresses the converted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and stores the converted frame image data in a memory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a frame image compressed in the memory. The data is restored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and transferred to the display unit 160. Here,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제어부(150)는 카메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별도로 설정해 둠으로써, 해당 별도로 설정해 둔 화면 영역에 확대 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즉, 좌표 정보)를 변경시켜 표시부(160)의 다른 영역에 확대 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5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amer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sets a screen area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on the display unit 160 among th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so that the enlarged portion of the enlarged portion may be set to the separately set screen area. It can also display images.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hange the position information (i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in another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

표시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as a view image (that is, an image of an enlarged portion and an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Clear)해 줌으로써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가 보다 선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링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Then, the camer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ata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image data overlap each other clear ( And a filtering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make th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cleare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초점이 맞지 않아 피사체(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가 표시부(160)에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 보정부는 모호해진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경계 부분의 대비 효과를 증대시켜 상세한 부분들을 더욱 강조하도록 하는데, 이때 고주파 통과 필터링, 언샤프 마스킹(Un-sharp Masking), 고주파 지원 필터링(High-boost Filtering)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blurring of the subject (that is, the image of the magnified portion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is blurred on the display unit 160 (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drawings are not shown). Here, when the image correcting unit acquires an ambiguous image (that i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the image processor 140 increases the contrast effect of the boundary portion in the image acquired to further emphasize the detailed portions. In this case,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high pass filtering, un-sharp masking, high-boost filtering, and the like.

고주파 통과 필터링은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저주파 요소들을 제거하여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도 보여주도록 하는데, 이때 고주파 통화 필터링을 위한 마스크는 중심에 양의 값의 회선 계수를 가지고 바깥 경계에 음의 값의 회선 계수를 가져, 해당 회선 계수들의 총 합이 '0'이 되도록 구성한다.The high-pass filtering removes low-frequency components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to show even the finest detail. In this case, the mask for high-frequency call filtering has a positive line coefficient at the center and negative at the outer boundary. With the line count of the value, the sum of the corresponding line counts is configured to be '0'.

언샤프 마스트는 원래의 영상(즉,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저주파 통과 필터링한 영상을 빼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한다.The unsharp mast subtracts the low pass filtered image from the original image (ie,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to obtain a clear image.

고주파 지원 필터링은 원래의 영상(즉,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의 밝기를 증진시킨 후에 저주파 통과 필터링한 영상을 빼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한다.The high frequency assisted filtering improves the brightness of the original image (ie,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and then subtracts the low pass filtered image to obtain a clear imag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이 문서(예를 들어, 문자, 기호 등)인 경우에, 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며, 또한 해당 메뉴에 의해 문서로 선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Contrast)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 보정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mer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select a menu when an image (ie, an image of an enlarged portion)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is a document (for example, a character or a symbol).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fter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converts the acquired image (ie,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to gray scale when it is selected as a document by the menu. It further includes an image correct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obtain a high-contrast clear image in gray scale by adjusting brightness and contrast or adjusting a gamma valu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amera lens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201)를 주 렌즈(202)의 소정 위치에 일체형으로 구현시켜 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주 렌즈(202)의 소정 위치에 보조 렌즈(201)를 결착 내지는 부착하였다가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구조를 가진 보조 렌즈(201)는 주 렌즈(202)의 소정 위치에 결착 내지는 부착하였다가, 소정 위치에서 분리시킨 후에 주 렌즈(202)의 다른 위치에 결착 내지는 부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camera lens unit integrally implements the auxiliary lens 201 that performs the optical zoom fun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20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uxiliary lens 201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n which the auxiliary lens 201 is attached or detach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202. In addition, the auxiliary lens 201 having a detachable structure may be attached or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202 and then attached or attach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main lens 202 after being sepa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You have to understand.

보조 렌즈(201)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보조 렌즈(201)는 주 렌즈(202)보다 초점거리가 소정 이상으로 긴 망원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조 렌즈(201)의 초점거리는 보조 렌즈(201)의 중심부로부터 필름부(120)까지의 거리로서, 일부 부분이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를 사용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lens 201 enlarges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ransmit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to the film unit 120. In this case, the auxiliary lens 201 may use a telephoto lens having a focal length long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lens 202. That is, the focal length of the auxiliary lens 201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auxiliary lens 201 to the film portion 120, so that a lens having a focal length that can be enlarged by a ratio set by some portions is used.

주 렌즈(202)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보조 렌즈(201)에 의해 확대되는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The main lens 202 transmits an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enlarged by the auxiliary lens 201 to the film unit 120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렌즈부(110)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원근거리, 기후의 조건, 조명의 밝기 등에 따라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하여, 카메라로 입사되는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부분의 영상과 함께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피사체 부분에 대한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First, when a user photographs a subject through a camera, the lens unit 110 measures a rangefinder, a focal length control function, an aperture control function, and a depth of fiel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weather conditions, and the brightness of the light. By performing a range adjustment function,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subject incident to the camera is enlarged,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subject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film unit 120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이때, 렌즈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 렌즈(202)의 소정 위치에 결착되어 있거나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는 보조 렌즈(201)를 통해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보조 렌즈(201)는 전체 피사체 중의 일부 부분이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지는 광학 줌 렌즈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부 부분의 영상을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시켜 해당 확대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lens unit 110 is partially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lens 202 as shown in FIG. 2 or through an auxiliary lens 201 that is integrally implemented. Only the portion is enlarged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is transmitted to the film unit 120. Here, since the auxiliary lens 201 serves as an optical zoom lens having a focal length that can be magnified by a portion of the entire subject, the magnified image is enlarged by a predetermined ratio. It will be delivered to the film portion 120.

이와 동시에, 렌즈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 렌즈(202)를 통해서, 보조 렌즈(201)에 의해 확대되는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도 상술한 바와 같은 확대 영상과 함께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rough the main lens 202 as shown in FIG. 2, the lens unit 110 also displays an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enlarged by the auxiliary lens 201 together with the enlarged image as described above. Transfer to the film unit 120.

예를 들어, 은행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 카메라의 경우, 공공시설 내로 들어오는 사람의 얼굴 부분만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얼굴 부분의 영상과 함께 사람의 원래 전체 모습에 대한 영상도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a public facility such as a bank, only the face part of the person entering the public facility is enlarged, and the image of the original whole part of the person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enlarged face part is also a film part ( 120).

다른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차량 번호판의 영상을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에 대한 영상과 함께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lack box surveillance camera mounted on a vehicle, only the license pl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passing through the vehicle is enlarged, and the image of the enlarged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overall shape of the surrounding vehicle is a film part. Forwarded to 120.

이에,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함께 전달되는 확대 영상과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즉,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필름부(120)에서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이득 조정부(130)로 인가한다.Thus, the film unit 120 converts the magnified image and the rest of the image transmitted together from the lens unit 110 into an electric video signal (that is, the video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video signal of the remaining portion),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image. The video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video signal of the remaining portion are output to the gain adjusting unit 13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video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video signal of the remaining portion converted by the film unit 120 to conver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gain adjuster 130. Is authorized.

이에 따라, 이득 조정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영상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영상 처리부(140)로 인가한다.Accordingly, the gain adjusting unit 130 adjusts the gain of the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signal of the remaining portion to the image processor 1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Outpu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140 and appli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140.

그러면, 영상 처리부(14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 조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로 전달한다.Then, the image processor 140 may display image data for displaying the gain-adjusted image signal input from the gain adjuster 130 o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that i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Data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art), and the converted image data of the enlarged part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art are transferred to the display unit 160.

이때,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고, 해당 처리된 프레임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크기, 화소 등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표시부(160)로 인가한다.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140 processes the gain-adjusted video signal input from the gain adjuster 130 in units of frames, and displays the processed frame image data (that is, the fram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he display unit 160 converts the image to the display unit 16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the pixel,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60 and appli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160.

그리고, 영상 처리부(1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영상 코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환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압축하고 해당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deo codec includ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compresses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and stores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in a memory as described above. Perform the function.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뷰 영상, 즉 확대 부분의 영상(310)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320)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60 transmit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50 to the view image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image 310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he image 3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추후에,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압축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려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의 영상 코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영상 처리부(140)로 인가한다.Subsequently, when outputt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mage codec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140 and outpu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image processor 140. Is applied.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의 영상 코덱은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압축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뷰 영상, 즉 확대 부분의 영상(310)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320)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codec of the image processor 140 reads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restores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and transfers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60, thereby expanding the view image as shown in FIG. The image 310 of the portion and the image 320 of the remaining por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화면에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mage of an enlarged part and a remaining part on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예를 보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의 영상(310)과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에 대한 나머지 부분의 영상(320)을 함께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a surveillance camera for a black box mounted on a vehicle, an image 310 of an enlarged portion in which only the license plate of the surrounding vehicle passing through the vehicle is enlarged and the rest of the overall shape of the surrounding vehicle The image 320 of the por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조 렌즈(201)를 이용한 광학 줌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자체적 디지털 줌에 의한 확대 영상보다 훨씬 더 선명한 확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the user with a magnified image that is much clearer than the magnified image by the existing digital zoom by utilizing the optical zoom using the auxiliary lens 201.

한편,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별도로 설정해 줄 수도 있다.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별도로 설정해 둔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separately set a screen area for displaying the magnified portion of th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o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art transferred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the screen area set separately.

그리고,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즉, 좌표 정보)를 변경시켜, 표시부(160)의 다른 영역을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재설정된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changes location information (i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and enlarges another area of the display unit 160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The image data of the portion may be reset to a screen area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transferred from the image processor 140 in the reset scree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더 포함되어 있는 필터링부는,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해 줌으로써,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보다 선명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unit further included in th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image data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60 overlap each other By clearing the video data, the vide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can be made clearer.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더 포함되어 있는 영상 보정부는, 초점이 맞지 않아 피사체(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가 표시부(160)에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보정하는데, 모호해진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경계 부분의 대비 효과를 증대시켜 상세한 부분들을 더욱 강조하도록 한다. 이때, 영상 보정부는 고주파 통과 필터링, 언샤프 마스킹, 고주파 지원 필터링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correction unit which is further included in th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s that the subject (that i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is blurred on the display unit 160 because it is not in focus In the case where an ambiguous image (that is, an image of an enlarged portion and an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 is acquired, the image processor 140 increases the contrast effect of the boundary portion in the obtained image to further emphasize the detailed portions. In this case, the image correct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high pass filtering, unsharp masking, high frequency support filtering, or the like.

그리고, 영상 보정부는,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이 문서(예를 들어, 문자, 기호 등)인 경우에, 사용자 메뉴 선택에 의해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 여기서, 문서를 선명하게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해서 해당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그레이 스케일과 유사한 선명도를 가지는 형식으로 변환 가능하다는 점을 잘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processor 140 (that is, the image of the enlarged part) is a document (for example, a character or a symbol), the image processor 140 selects a user menu. After converting the acquired image (that is, the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to the gray scale,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r the gamma value is adjusted to obtain a high contrast sharp image on the gray scale. Here, the image is converted to gray scale in order to display the document clearly,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having a similar sharpness to gray scal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가 결착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보조 렌즈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은 보조 렌즈를 제외한 렌즈부를 통해 원래 영상대로 촬영하여 함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하는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using a lens in which an auxiliary lens that performs an optical zoom function is integrally or integrally enlarged at a predetermined ratio through the auxiliary lens, The remaining par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amera to shoot as the original image through the lens unit except the auxiliary len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like. This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12)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In the camera that photographs the subject,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의 영상과 상기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함께 전달하는 렌즈부를 포함하고, A lens unit which transfers an image of an enlarged portion in which only a portion of the entire subject is enlarged and an image of the remaining portions other than the portion, together; 상기 렌즈부는,The lens unit, 상기 일부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전달하는 주 렌즈와; A main lens for transmitting an image for the remaining part other than the part; 상기 주 렌즈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 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의 영상을 전달하는 보조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 sub-lens detachably formed on the main lens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an enlarged portion in which only a part of the entire subject is enlar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 렌즈는,The auxiliary lens, 상기 주 렌즈보다 초점거리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 fo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main len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필름부,A film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transmitted from the lens unit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A gain adjuster for adjusting gains of the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art and the remaining part converted by the film par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영상 처리부,An image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image signal of the enlarged part and the remaining part adjusted by the gain adjuster into image dat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그리고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nlarged part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image data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n a screen as a view image, and 상기 이득 조정부, 영상 처리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gain adjust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 처리부는,The image processor,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 video signal of the enlarged part and the remaining part adjusted by the gain adjuster in units of fram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convert the imag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rt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r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 처리부는,The image processor, 상기 프레임 단위로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여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n image codec for compressing the image data converted in the frame unit and storing the image data in a memory or restoring the fram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original frame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해당 설정된 화면 영역에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Setting a screen region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or on the set screen region. Featuring camer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변경시켜,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다른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chang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data of the magnified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magnifi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on another area of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하는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d a filtering unit for clearing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image data of the remaining portion overlapping each other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문서인 경우에 해당 문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그리고A menu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document when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is a document; and 상기 메뉴의 선택에 의해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An image correction unit for converting the image data of the enlarged portion conver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the gray scale by selecting the menu, and then obtaining a high contrast sharp image on the gray scale by adjusting brightness and contrast or adjusting a gamma value The camera further comprises.
KR1020070120467A 2007-11-23 2007-11-23 Camera KR1009154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67A KR100915406B1 (en) 2007-11-23 2007-11-23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67A KR100915406B1 (en) 2007-11-23 2007-11-23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76A KR20090053576A (en) 2009-05-27
KR100915406B1 true KR100915406B1 (en) 2009-09-03

Family

ID=408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67A KR100915406B1 (en) 2007-11-23 2007-11-23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40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349A (en) * 2002-02-28 2003-09-12 Sharp Corp Multiple camera system, zoom camera control method, and zoom camera control program
JP2004201231A (en) * 2002-12-20 2004-07-15 Victor Co Of Japan Ltd Monitoring video camera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349A (en) * 2002-02-28 2003-09-12 Sharp Corp Multiple camera system, zoom camera control method, and zoom camera control program
JP2004201231A (en) * 2002-12-20 2004-07-15 Victor Co Of Japan Ltd Monitoring video camer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76A (en)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2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O2017045558A1 (en) Depth-of-field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20070242141A1 (en) Adjustable neutral density filter system for dynamic range compression from scene to imaging sensor
JP523797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the imaging apparatus
JP4935302B2 (en) Electronic camera and program
JP595067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86403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903529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0177212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8037857A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5012437A (en) Digital camera
JP201714335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4188647A1 (en) Image adjustment device, image adjustment method, image adjustment program, and image capture device
KR20160137289A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9009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thereof method
JP4334179B2 (en) Electronic camera
WO2015129479A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100915406B1 (en) Camera
JP2018181070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157274B2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00650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0445847Y1 (en) Camera
KR200449278Y1 (en) A case and a monitoring camera having the case
JP726294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MAGE PROCESSING DEVICE
JP740960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