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640B1 -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640B1
KR100805640B1 KR1020060100841A KR20060100841A KR100805640B1 KR 100805640 B1 KR100805640 B1 KR 100805640B1 KR 1020060100841 A KR1020060100841 A KR 1020060100841A KR 20060100841 A KR20060100841 A KR 20060100841A KR 100805640 B1 KR100805640 B1 KR 10080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mobile terminal
wap
ser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0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6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640B1/en

Links

Images

Abstract

A robot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control a robot by accessing an interface of a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er of the robot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reby easily accessing the interface for robot contro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ithout searching a fixed type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robot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S100)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ccessing a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server interface of a robot including a WAP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S120)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WAP-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has a WAP proxy function for conve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to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and conve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bot into a WAP protocol(S100); selecting a control command in the WAP server interface of the robot through the mobile terminal(S130); enabling the robot to perform a work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S140); and transmitting the work result, performed by the robo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로봇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ath of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nd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로봇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과 로봇의 인터페이스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n interfac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이동 단말기에서 로봇 및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controlling a robot and a home machine in a mobile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a WAP server interfac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이동 단말기100: mobile terminal

120 : 이동통신 서버120: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30 : 통신망130: communication network

200 : 홈네트워크200: home network

210 : 홈게이트웨이210: home gateway

220 : 로봇220: robot

230 : 댁내기기230: housekeepe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로 WAP 서버를 포함하는 로봇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robot including a WAP server as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a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t a distance. A control method of a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로봇이란 인간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걷기도 하고 말도 하는 기계 장치 또는 어떤 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기계 장치를 말하는데, 조종형, 자동형 및 자율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A robot is a machine that walks and talks in a human-like form or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a task or operation.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controlled, automatic, and autonomous type.

조종형 로봇은 사람의 손이나 발에 해당하는 기능을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종할 수 있는 텔레오퍼레이터 시스템(teleoperator system)을 말하는 것으로, 우주나 해저, 고온이나 저온 등의 위험한 환경에서의 작업에 이용된다. 자동형 로봇은 현재 널리 산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업 로봇으로, 미리 설정한 과정을 오차없이 반복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에 이용된다. 자율형 로봇은 로봇 스스로가 현재의 자기 자신의 상태와 환경 상태를 알아차리고 명령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로봇으로 진정한 인조인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A controlled robot refers to a teleoperator system that can control functions corresponding to a human hand or foot from a distance, and is used for work in dangerous environments such as space, the sea floor, and high or low temperatures. The automatic robot is an industrial robot that is widely used in the industry at present, and is used for a task that must be repeatedly performed without error. An autonomous robot is a robot that can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itself and the state of the environment and act autonomously according to commands.

최근에는 인공지능 등 IT기술을 바탕으로 인간과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가사지원,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 지향적인 로봇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미 국내에도 여러 로봇 생산 업체에서 생산된 교육, 오락, 홈서비스 로봇 등이 보급되고 있다. Recently, we are pursuing human-oriented robots that provide various types of services such as housework support,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le interacting with humans based on I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 Entertainment and home service robots are becoming widespread.

특히, 유비퀘터스(Ubiquitous) 네트워크를 통해 지능과 상호작용 능력을 갖춘 서비스 로봇들을 제어하고 로봇 간 상호작용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로봇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In particular, network-based systems such as 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which controls service robots with intelligence and interactivity through the Ubiquitous network and makes use of the services provided by robots anytime, anywhere by interacting between robots Robots are appearing.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단말기 및 비휴대형 PC와 같은 온라인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로봇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로봇 서비스 서버는 수많은 로봇을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로봇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로봇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로봇의 제어 명령을 해당 로봇으로 전송하여 로봇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 network-based robot, a user can control a robot by accessing a network robot service server using a mobile phon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n online device such as a non-portable PC at a long distance. The network robot service server registers a number of robots and provides the user with an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robot, retrieves the information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of the robot to the robot. To control.

하지만, 비휴대형 온라인 장치는 경우에 따라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로봇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로봇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사용자의 환경에 모두 적응케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some cases, a non-portable online device may be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adapting the control interface of the robot provided by the network robot service server to all the various user environmen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로 WAP 서버를 포함하는 로봇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remotely controls a robot including a WAP server as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로봇의 제어방법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를 지원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WAP 프록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서버를 통하여 WAP 서버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로봇이 수행한 작업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using a mobile terminal, the robot including a WAP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having a WAP proxy function as 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ccessing a WAP server interface, select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WAP server interface of the robot, performing a task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by the robot, and a work result performed by the robo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과 통신 가능한 댁내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댁내기기의 작동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tep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by the robot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a premature communicato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and receive an operation state of the premise machine.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의 이동, 영상 및 음성의 탐측일 수 있다. The step of the robot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may be the movement of the robot, the detection of video and audio.

상기 로봇의 이동 및 탐측은 사전에 설정한 동작 플로어(flow)에 따라 수행 되는 자동모드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로봇을 직접 조작하여 수행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Movement and detection of the robot may be either an automatic mod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flow or a manual mode performed by a user directly operating the mobile robot.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WAP 프로토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may conver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to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and conver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bot into a WAP protocol.

또한,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변환하고, 상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may conver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to a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and conver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robot into a wireless markup language (WML).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로봇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경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ath of a home network system including a mobile terminal and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이동통신 서버(120)와 접속하며, 이동통신 서버(120)는 홈네트워크(200)와 통신망(130)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홈네트워크(200)는 홈게이트웨이(210)와 연동하는 로봇(220) 및 댁내기기(2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through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exchanges information through the home network 2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do. The home network 200 includes a robot 220 and a home machine 230 that interoperate with the home gateway 210.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당된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번호로 고유성을 가진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CDMA, GSM, IMT2000 등의 통신방식으로 기지국(11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terminal 100 has uniqueness with an international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assigned to uniquely identify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110 through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DMA, GSM, IMT2000, or the like. The mobile terminal 100 preferably supports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to enable internet access.

이동통신 서버(1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통신망(130)으로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WAP 프로토콜을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로 변환하고, 통신망(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 및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변환하여 통신망(130)으로 전송하고, 통신망(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컨텐트를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컨텐트 필터 기능을 포함하는 WAP 프록시(121)로서 기능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check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relays th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The WAP protocol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s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TCP / IP). , A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for converting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into a WAP protocol, and a conten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n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A WAP proxy 121 that includes a content filter function that converts the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converts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into a wireless markup language (WML)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do.

통신망(130)은 TCP/IP 기반의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LAN), 메트로폴리탄 에어리어 네트워크(MAN) 등이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a TCP / IP-based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or the like.

홈게이트웨이(21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연결될 때 미디어 변환, 주소 변환, 인증 및 필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통신망(130)과 홈네트워크(200) 내의 로봇(220) 및 댁내기기(230)를 중계한다. 홈게이트웨이(210)에는 원격지에서 가정에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원격 검침 기능을 제공하는 텔리메트리 게이트웨이(Telemetry Gateways), 가입자 망과의 기본적인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인터넷 공유,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나 방화벽과 같은 보안기능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기능 등을 포함하는 광대역 엑세스 게이트웨이(Broadband Access Gateway) 등이 있다. The home gateway 210 performs functions such as media conversion, address translation, authentication and filtering when different networks are connected. The home gateway 210 operates the robot 220 and the home machine 230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the home network 200. Relay. The home gateway 210 provides telemetry gateways that provide remote metering to measure the energy consumption of homes at remote locations, basic connectivity with subscriber networks, Internet sharing, and network address translation. And Broadband Access Gateway, including security features such as firewalls and protocol conversions.

댁내기기(230)는 홈게이트웨이(210) 또는 로봇(220)에 의한 제어 및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냉장고와 같은 일반가전기기, 컴퓨터와 같은 정보화기기, 전동 블라인드와 같은 홈오토메이션기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댁내기기(230)는 홈게이트웨이(210) 또는 로봇(220)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The indoor unit 230 is to be controlled and monitored by the home gateway 210 or the robot 220, and includes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n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 home automation device such as an electric blind. . The home machine 230 ha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home gateway 210 or the robot 220.

로봇(220)과 댁내기기(230)의 전송매체(transmission media)는 IEEE 802.11 계열로서 2.4GHz 또는 5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wireless LAN),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Transmission media of the robot 220 and the home machine 230 are IEEE 802.11 series wireless LANs using 2.4 GHz or 5 GHz bands, ZigBee and Bluetooth having low transmission rates. ), Etc.

로봇(220)은 가사지원,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을 위한 가정용 지능형 로봇이 될 수 있다. 로봇(220)은 이동통신 서버(12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댁내기기(230)와 연동하여 댁내기기(230)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댁내기기(23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로봇(220)은 이동기능, 위치추적기능, 영상 및 음성 탐측기능 등을 포함한다. The robot 220 may be a home intelligent robot for housekeeping, education, entertainment, and the like. The robot 22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of the home machine 230 in association with the home machine 230, and the home machine 230. It can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of. In addition, the robot 220 includes a moving function, a location tracking function, an image and a voice detection function, and the like.

한편, 로봇(220)은 WAP 서버(221)를 구비하여 로봇(220)의 제어를 위한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로 로봇(220)의 제어를 위한 WAP 서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로봇(220)이 제공하는 WAP 서버(221)의 WAP 클라이언트(client)가 되고, 이동통신 서버(120)가 이동 단말기(100)와 로봇(220)의 WAP 서버(221)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가 된다. Meanwhile, the robot 220 may include a WAP server 221 to build a site for controlling the robot 220, and may provide a WAP serv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robot 220 to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WAP client of the WAP server 221 provided by the robot 2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is a WAP serv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obot 220 ( It becomes a gateway relaying 221.

이하, WAP 클라이언트로서의 이동 단말기(100), WAP 게이트웨이로서의 이동통신 서버(120), WAP 서버(221)로서의 로봇(220) 및 로봇(220)과 연동하는 댁내기기(230) 간의 통신 과정을 서술한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WAP clien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as a WAP gateway, the robot 220 as the WAP server 221, and the home appliance 230 interoperating with the robot 220 will be described.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로봇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형 단말기(100)로 로봇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요청하면, 이동통신 서버(120)로 WAP 프로토콜 형식으로 명령 정보가 전송된다(S10). 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requests interface information of a robot to the mobile terminal 100, comm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in a WAP protocol format (S10).

이동통신 서버(120)는 이동형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명령 정보를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TCP/IP)의 형식으로 변환하여(S20), 로봇(220)으로 전송한다(S30).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converts the comm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into a format of Internet standard protocol (TCP / IP) (S20) and transmits it to the robot 220 (S30).

로봇(220)은 내부에 마련된 WAP 서버(221)에 구축되어 있는 로봇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인터넷표준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이동통신 서버(120)로 전송하는데(S40), 댁내기기(230)의 동작이나 상태확인을 위해 댁내기기(230)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S31), 댁내기기(230)로부터 상태 정보를 받아서(S32), 로봇(220)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robot 220 transmits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site of the robot built in the WAP server 221 provided therei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in the form of an Internet standard protocol (S40), and the operation of the home machine 230. Alternatively, the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home machine 230 for checking the state (S31),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home machine 230 (S32), an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robot 220.

이동통신 서버(120)는 로봇(220)으로부터 수신한 로봇(220)의 인터페이스 정보의 컨텐트를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하고(S50), 인터넷표준 프로토콜을 WAP 프로토콜로 변환한다(S60).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converts the content of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robot 220 received from the robot 220 into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S50), and converts the Internet standard protocol into the WAP protocol (S60).

이동통신 서버(120)는 컨텐트 필터와 프로토콜 변환이 된 로봇(220)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70).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transmits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robot 220 in which the content filter and the protocol conversion are perform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S70).

이와 같이, 사용자는 WAP 클라이언트로서의 이동 단말기(100)로 WAP 게이트웨이로서의 이동통신 서버(120)를 통하여 로봇(220)의 WAP 서버(211)에 구축되어 있는 로봇(220)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user can access the site of the robot 220 built in the WAP server 211 of the robot 220 via the mobile terminal 100 as the WAP cli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as the WAP gateway. .

이하, 이동 단말기(100)와 로봇(220)의 인터페이스와의 상호 작용에 대하여 서술한다. Hereinaft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obot 22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과 로봇의 인터페이스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n interfac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부(320), LCD 액정과 같은 영상표출장치(331)와 스피커와 같은 음성표출장치(332)로 구성되는 표출부(330) 및 전파발진기와 제어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격제어부(3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n input unit 320 such as a keypad or a touch pad, an image display device 331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and an audio display device 332 such as a speaker. And a remote control unit 310 including a radio wave oscillator and a control module.

로봇(220)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는 로봇(220) 자체의 동작 및 상태를 제어하는 로봇 제어 페이지(410)와 로봇(220)과 연동하는 댁내기기(230)를 제어하는 댁내기기 제어 페이지(420)를 포함한다. 로봇 제어 페이지(410)는 로봇(220)의 위치와 방향을 확인하여 위치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411)와 로봇(220)에 장착된 카메라 및 음성모듈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정보를 탐측하는 탐측 제어(412)로 이루어진다. 댁내기기 제어 페이지(420)는 로봇(220)이 제어할 수 있는 댁내기기(230)의 고유번호에 따라 각각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제어(421-1, 421-n)로 이루어진다. 물론, 로봇(220)이 구비하는 특수한 기능에 따른 제어 페이지는 로봇(220)의 WAP 서버(221)에 구축되는 로봇(220)의 사이트에 추가되어 마련될 수 있 다.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of the robot 220 controls the robot control page 41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state of the robot 220 itself, and the home controller control page for controlling the home machine 230 in cooperation with the robot 220. 420. The robot control page 410 detects the video and audio information by using the movement control 411 for checking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robot 220 to control the position movement and the camera and the voice module mounted on the robot 220. Detection control 412. The home control page 420 includes device controls 421-1 and 421-n that control each device according to a unique number of the home machine 230 that the robot 220 can control. Of course, the control page according to a special function provided by the robot 22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ite of the robot 220 that is built on the WAP server 221 of the robot 220.

사용자는 로봇(220)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를 이동 단말기(100)의 표출부(3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입력부(320)로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의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부(310)를 통하여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의 로봇 제어 페이지(410)와 댁내기기 제어 페이지(420)의 기능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댁내기기 제어 페이지(420)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댁내기기(230)를 선택하고 해당 댁내기기(230)의 동작 및 상태를 조절할 수 있고, 로봇 제어 페이지(410)에서 로봇(220)의 이동이나 카메라 등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may check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of the robot 220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select the control command of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as the input unit 320. The control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robot control page 410 and the housekeeping control page 420 of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unit 310. That is, the user may select the home machine 230 to be controlled on the home control page 420 and adjust the operation and state of the corresponding home device 230, and the robot control page 4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220. You can control the movement and operation of the camera.

도 4a 및 4b는 이동 단말기에서 로봇 및 댁내기기를 제어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a는 이동 단말기에서 로봇의 이동 및 탐측 제어 화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이동 단말기에서 댁내기기의 제어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controlling a robot and a home machine in a mobile terminal. 4A illustrates a movement and detection control screen of a robot in a mobile terminal, and FIG. 4B illustrates a control screen of a home machine in a mobile terminal.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로봇(220)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이 표출되고, 스피커에서는 로봇(220)에 장착된 마이크를 포함한 음성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이 표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amera mounted on a robot 220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voice transmitted from a voice module including a microphone mounted on the robot 220 is displayed on a speaker. Can be expressed.

사용자는 사전에 설정한 로봇(220)의 명령 플로어(flow)에 따라 로봇(220)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로봇(220)의 이동 및 탐측 기능을 조작할 수도 있다. The user may enable the robot 220 to operate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set command flow of the robot 220, and the user may directly manipulate the movement and detection functions of the robot 220. .

사용자가 직접 로봇(220)을 조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마련되는 방향키(a, b, c, d)로 로봇(220)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즉, a키로 전진, c키로 후진, b키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d키로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숫자키 2로 상향이동, 8로 하향이동, 6으로 우측이동, 4로 좌측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robot 220, the robot 220 may be moved by the direction keys a, b, c, and d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forward movement with the a key, the backward movement with the c key, the clockwise rotation with the b key,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with the d key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amera can move up, down to 8, right to 6, left to 4 with the numeric key 2.

사전에 설정한 로봇(220)으 명령 플로어에 따라 로봇(220)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는, 메뉴 버튼으로 제어 명령 목록을 확인하여 제어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는 댁내기기(230)의 제어 메뉴와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robot 220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command floor set in advance, the control command list may be selected by using a menu button,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home appliance 230 may be selected. May be provided similarly.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로봇(220)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에서 댁내기기 제어 페이지(420)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댁내기기(230)의 목록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제어할 댁내기기(230)를 선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 user selects the housekeeping control page 420 on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of the robot 220, a list of the housekeeping machines 230 appears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may select the home machine 230 to control.

댁내기기(230)를 선택하면 댁내기기(230)의 상태와 제어 가능한 명령의 목록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여 댁내기기(230)를 제어할 수 있다. If the selector 230 is selected, a list of states and controllable commands of the keeper 230 is displayed, and the user may select the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keeper 230.

댁내기기(230)의 제어 명령을 선택하여 댁내기기(230)가 명령에 따라 작동하고, 그 결과를 로봇(220)의 WAP 서버(2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By selecting the control command of the home machine 230, the home machine 230 operates according to the comman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AP server 221 of the robot 220.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P server interface of a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로 이동통신 서버(120)를 통하여 로봇(220)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를 요청할 수 있으며, 로봇(220)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번호와 같은 인증번호를 확인하여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로봇(220)의 WAP 서버 인터 페이스(400)에 접속할 수 있다(S100). Referring to FIG. 5, a user may request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of the robot 22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120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robot 220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100. By providing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checking the same authentication number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the user can access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of the robot 220 (S100).

사용자는 WAP 서버 인터페이스(400)에서 로봇(220)의 이동이나 로봇(220)과 연동하는 댁내기기(230)의 제어 등의 작업 목록을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다(S110).The user may check and select a work list such as the movement of the robot 220 or the control of the home machine 230 that is linked with the robot 220 in the WAP server interface 400 (S110).

사용자가 작업 목록을 선택한 사용자는 작업 목록 중에서 사전에 마련된 명령 플로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모드로 해당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가 직접 작업 과정을 조작하는 수동모드로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S120).When the user selects a task list,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perform the task in the automatic mode in which the task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command floor or in the manual mode in which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the workflow. There is (S120).

사용자가 자동모드를 선택한 경우, 작업 목록의 하위 명령 메뉴에서 지정된 작업 명령을 선택할 수 있고(S130), 로봇(220)은 사전에 설정된 작업 명령의 플로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결과를 보고한다(S140). 예를 들면, '방범창 잠금확인'이라는 작업 명령을 선택하면, 방범창이 홈오토메이션이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 로봇(220)은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댁내의 맵에서 대상 방범창의 위치를 검색하여 방범창의 위치로 이동하여 카메라로 방범창의 상태를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the designated work command may be selected from the subcommand menu of the work list (S130), and the robot 220 performs the work according to the floor of the preset work command and reports the work result ( S140). For example, if the operation command of 'check the security window lock' is selected, if the security window does not have a home automation function, the robot 220 checks its own location and searches the location of the target security window on the map of the home, After moving to a location, the state of the security window is captured by the camera and shown to the user.

사용자가 수동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로봇(220)을 조작할 수 있는 화면이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로 로봇(220)이 촬영하는 영상을 보면서 로봇(22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150).When the user selects the manual mode, a screen for operating the robot 220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may move the position of the robot 220 and perform necessary tasks while watch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robot 220 to the mobile terminal 100 (S150).

수동모드나 자동모드로 로봇(220)의 작업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명령 메뉴에서 작업완료 여부를 선택한다(S160). 사용자는 로봇(220)과의 통신을 종료할 수 있 으며, 또 다른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위의 작업 목록 선택 메뉴에서 다른 작업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S160). When the work of the robot 220 is terminated in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the user selects whether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command menu (S160). The user may terminate communication with the robot 220, and if another task is required, the user may select and perform another task from the upper task list selection menu (S16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ly, modifications to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part from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로 로봇의 WAP 서버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로봇을 제어함으로써, PC와 같은 고정형 단말기를 찾을 필요가 없이 이동 단말기로 손쉽게 로봇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이 WAP 서버를 구비하여 WAP 서버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로봇 제어 인터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다. By controlling the robot by accessing the interface of the robot's WAP server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easily access the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robot without having to find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In addition, the robot includes a WAP server to provide a WAP server interface, thereby providing a robot control interface that can adapt to various user environments.

Claims (6)

이동 단말기로 홈네트워크의 로봇에 접속하여 제어할 수 있는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In the robot control method that can be controlled by connecting to the robot of the home network with a mobile termina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지원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고 상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WA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WAP 프록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서버를 통하여 WAP 서버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WAP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erver having a WAP proxy function for conve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Internet standard protocol to the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nd conver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bot to the WAP protocol. Accessing a WAP server interface of the robot including a server; 상기 이동 단말기로 상기 로봇의 WAP 서버 인터페이스에서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WAP server interface of the robot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The robot performing a task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상기 로봇이 수행한 작업결과를 상기 이동통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제어방법.And transmitting the work result performed by the robot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과 통신 가능한 댁내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댁내기기의 작동 상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by the robot comprises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an indoor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obot and receiv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devic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봇의 이동, 영상 및 음성의 탐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제어방 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bot performing a task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comprises movement of the robot, detection of images, and audio.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이동 및 탐측은 사전에 설정한 동작 플로어(flow)에 따라 수행되는 자동모드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형 로봇을 직접 조작하여 수행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vement and detection of the robot is performed in either an automatic mod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flow or a manual mode in which a user directly operates the mobile robot. How to control the rob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변환하고, 상기 로봇으로부터 전송되는 컨텐트를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제어방법.The robot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nverts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to a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and converts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robot into a wireless markup language (WML). Control method. 삭제delete
KR1020060100841A 2006-10-17 2006-10-17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KR100805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41A KR100805640B1 (en) 2006-10-17 2006-10-17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41A KR100805640B1 (en) 2006-10-17 2006-10-17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640B1 true KR100805640B1 (en) 2008-02-20

Family

ID=3938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41A KR100805640B1 (en) 2006-10-17 2006-10-17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64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654A (en) * 1999-09-22 2001-04-06 김상철 Robot control system using radio communication
US6584376B1 (en) 1999-08-31 2003-06-24 Swisscom Ltd.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KR20060007206A (en) * 2004-07-19 2006-01-24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60037979A (en) * 2004-10-29 2006-05-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robot controlling system and a robot control method
KR20060090008A (en) * 2005-02-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92694A (en)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4376B1 (en) 1999-08-31 2003-06-24 Swisscom Ltd.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robot
KR20010028654A (en) * 1999-09-22 2001-04-06 김상철 Robot control system using radio communication
KR20060007206A (en) * 2004-07-19 2006-01-24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60037979A (en) * 2004-10-29 2006-05-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robot controlling system and a robot control method
KR20060090008A (en) * 2005-02-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92694A (en) * 2005-02-18 200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1844744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for a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US9760268B2 (en) Mobile device
KR1020845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KR100434292B1 (en) Home Network System
EP1402101B1 (en) Service system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JP2005118354A (en) House interior clean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CN103595601A (en) Home gateway for internet of things monitoring and internet of things monitoring system
KR101716855B1 (en) Network pairing method in gateway for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50059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roup of home devices in a home network system
JP2019505060A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20156860A1 (en) Personal server system
KR1022068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JP2008294612A (en) Controller
JP4377644B2 (en)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method
CN104880955A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usehold device, and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device
Kaowthumrong et al. Automated selection of the active device in interactive multi-device smart spaces
JP2005102060A (en) Data structure, external server, hom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ommand data
KR10080564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robot using mobile device
KR20060039825A (en)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JP2009217671A (en)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672013B1 (en) Network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server and client function, and home network system thereof
KR20060007206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 using mobile terminal
US9462409B2 (en) Mobile unit for controlling the comfort and/or security conditions in a building
KR101667027B1 (en) One-stop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