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196B1 -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196B1
KR100805196B1 KR1020060063933A KR20060063933A KR100805196B1 KR 100805196 B1 KR100805196 B1 KR 100805196B1 KR 1020060063933 A KR1020060063933 A KR 1020060063933A KR 20060063933 A KR20060063933 A KR 20060063933A KR 100805196 B1 KR100805196 B1 KR 10080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o motor
leg
pet dog
mobi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955A (en
Inventor
차성운
박희준
이경수
강민구
남궁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196B1/en
Publication of KR20080004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와 통화가 가능한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본체(10) 또는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작동을 입력하는 버튼(15); 상기 프레임(20)에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다리수단; 상기 각각의 상부 다리수단에 링크(30)를 개제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다리수단; 및 상기 본체(10)의 제어부(41)와 연결되고, 음성 전화가 올 때에 상하부 다리수단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으로 제어하도록 출력하는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of a pet dog robot struct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pet dog robot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with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frame 2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a main body 10 of the mobile terminal; A button 15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or the frame 20 to input a manual operation; Upp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rame 20; Low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leg means by opening a link 30; And a driving unit 4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of the main body 10 and outputting the upper and lower leg units to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when a voice call comes.

이에 따라,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설정된 패턴으로 다리를 움직이는 3차원적 동작을 구현하여 통신기기의 단조로움에 오락적 흥미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motion of moving a leg in a set pattern when a call is received in a call waiting state, thereby providing entertainment interest to the monotony of a communication device.

휴대 단말기, 로봇, 모션, 애완견, 다리 Handheld terminal, robot, motion, dog, leg

Description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내부 블록도,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of a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a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5 and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본체 15: 버튼10: main body 15: button

20: 프레임 21-28: 서보모터20: Frame 21-28: Servo motor

30: 링크 40: 제어기30: link 40: controller

41: 제어부 42: RF송수신부41: control unit 42: RF transmitter and receiver

44: 메모리부 45: 키패드부44: memory portion 45: keypad portion

46: 구동부(MCU)46: drive unit (MCU)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다리를 움직이도록 하여 통신기기의 단조로움에 오락적 흥미를 부여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of a dog-robot struct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give entertainment interest to the monotony of a communication device by moving a leg when a call is received in a call waiting state. will b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는 기본적으로 숫자, 문자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부(10); 단말기의 각 소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1); 음성 데이타 또는 멀티미디어 패킷 데이터를 안테나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부(42); 마이크(MIC)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고, 스피커(SP)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부(코덱)(43); 상기 제어부(41)와 연결된 LCD 구동부에 의해 각종 제어 데이타 및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부(48); 단말기의 구동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44); 및 음성 전화 수신시 메뉴화면에 단말기의 진동 또는 진동후 벨, 벨 후 진동 모드에서로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부(47)를 포함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basically includes a keypad unit 10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keys; A controller 41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element of the terminal; An RF transceiver 4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or multimedia packet data through an antenna; A voice input / output unit (codec) 43 for receiving voice from a microphone MIC and outputting voice to the speaker SP; An LCD display unit 48 for displaying various control data and output data by an LCD driv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A memory unit 44 for storing driving software and data of the terminal; And a vibration motor unit 47 for driving the vibration motor in the bell or vibration mode after the vibration or vibration of the terminal on the menu screen when receiving a voice call.

휴대폰이 생활필수품의 하나로 자리 잡아 너무 흔하게 접하게 되는 현실에서 카메라, MP3, DMB 등의 고기능을 접목에 더하여 오락적 기능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실제 국내외의 선도 기업들의 경우 '멀티미디어'외에 '재미(Fun)'를 강조한 휴대폰을 전면에 내세워 시장을 공략 중이므로 향후'재미없는 휴대폰'은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In the reality that mobile phones are becoming one of the necessities of daily life, and so frequently encountered, the desire for entertainment functions is increasing by adding high-performance functions such as cameras, MP3, and DMB. In fact, leading companies at home and abroad are targeting the market with mobile phones that emphasize 'fun' in addition to 'multimedia', so 'funny mobile phones' are unlikely to succeed in the market in the future.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36820호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해, 무선 통신에 의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여러가지 시퀀스 데이터를 기술한 페이지를 다수 포함하는 북의(광고, 오락, 및 전자 사전에 관한) 콘텐츠가 재생된다. 표시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화면 상에 소정 화상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한편, 발음 시퀀스 데이터에 의해 소정 음성을 발생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mobile terminal apparatus"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36820, "a mobile terminal apparatus such as a mobile telephone includes a large number of pages describing various sequence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tent of the book (relative to the advertisement, the entertainment, and the electronic dictionary) is played. A predetermined image or text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display sequence data, and a predetermined voice is generated by the pronunciation sequence data.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시도는 2차원적 기능에 만족해야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므로 오랜 기간 시장 지배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기 곤란한 한계점을 지닌다.However, most of these attempts, including these technologies, remain at a level of satisfaction with two-dimensional func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market dominance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통화대기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설정된 패턴으로 다리를 움직이는 3차원적 동작을 구현하여 통신기기의 단조로움에 오락적 흥미를 부여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operation of moving the legs in a set pattern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call waiting state to give entertainment interest to the monoton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of a pet dog robot struct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와 통화가 가능한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 상기 본체(10) 또는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작동을 입력하는 버튼(15); 상기 프레임(20)에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다리수단; 상기 각각의 상부 다리수단에 링크(30)를 개제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다리수단; 및 상기 본체(10)의 제어부(41)와 연결되고, 음성 전화가 올 때에 상하부 다리수단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으로 제어하도록 출력하는 구동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he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terminal; A button 15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or the frame 20 to input a manual operation; Upp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rame 20; Low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leg means by opening a link 30; And a driving unit 4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of the main body 10 and outputting the upper and lower leg units to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when a voice call come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 다리수단은 각각의 회전위치 검출이 가능한 제1서보모터, 제3서보모터, 제5서보모터, 제7서보모터를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eg means includes a first servo motor, a third servo motor, a fifth servo motor, and a seventh servo motor capable of detecting respective rotation posit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상기 애완견 로봇(로보텔)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면, 통화대기를 위한 초기화 과정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위치를 본체의 저면에 밀착시켜 초기화하는 단계; (b)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요구신호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검출되어, 구동부에서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다수의 서버 모터를 구동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는 단계; 및 (c) 사이드 키/버튼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통화 대기를 위한 초기화 상태로 진행하여 다리를 원래대로 접고 초 기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robotel) structure is turned on, the call waiting Initializing the initial position by bringing the position of the foot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main body; (b) When the call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from the controller, and the call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river, a plurality of server motors are driven to configure the pet dog robo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b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Driving a leg of the mobil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 determining a side key / button input,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ide key / button, proceeding to an initialization state for waiting for a call, folding the leg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quickly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It is d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기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다리를 부착한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Robotel)에 관하여 개시된다. 상기 로보텔(Robotel)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cellular phone)에 구동부(MCU)와 연결된 8개의 서버모터 구조의 다리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의 기능에 PDA, MP3, DMB 등의 기능을 결합한 복합형 단말기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용 메뉴에서 벨소리를 선택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모션을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하며, 구동부(MCU)에서 소정의 프로그래밍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가 직접 애완견 모션의 패턴을 수정할 수도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robot (Robote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ttached to 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aking a call. The robot has a bridge of eight server motor structures connected to a driving unit (MCU) to a general cellular phone. Such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hybrid terminal combining functions of a mobile phone with functions of PDA, MP3, DMB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motion is selected as in the conventional dedicated menu, and the mobile terminal may directly modify the pattern of the dog's motion through predetermined programming in the driving unit (MCU).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견 구조의 휴대 단말기는 RF송수신부(42)의 통화 신호를 검출하는 제어부(41)와, 기 설정된 동작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4)와, 상하부 다리수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10)의 제어부(41)에 연결된 구동부(46)가 내장되어 상하부 다리수단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4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41 for detecting a call signal of the RF transmitter and receiver 42, the memory unit 44 for stor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and the upper and lower leg means It includes a drive unit 46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and a driving unit 4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of the main body 10 to control the upper and lower leg means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제어부(41)와 메모리부(44)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로보텔)를 기 설정된 패턴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의 RF송수신부(42), 키패드부(45), 음성 입출력부(43), LCD 표시부(48), 및 진동모터부(47) 등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그대로 활용한다.The control unit 41 and the memory unit 44 store programs and data for operating the pet dog-robot portable terminal (robotel)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unit 42 and the keypad unit 45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voice input / output unit 43, the LCD display unit 48, the vibration motor unit 47 and the like utiliz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it is.

상기 구동부(MCU)(46)는 예컨대 LPC3180과 같은 마이크로 컨트롤러(MCU)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처리 속도가 빠르고 초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는 동급 이상의 제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복수의 CPU가 사용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에서 인터럽트를 받아서 독립적으로 모션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배터리의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켜 휴대폰의 대기시간을 단축하므로 초저전력 모드가 필수적이다. 상하부 다리수단을 구성하는 서보모터(21-28)의 구동을 위해 구동부(46)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The driver 46 may use, for example, a microcontroller (MCU) such as the LPC3180, and may be replaced by a product of equivalent or higher in processing speed and operating in an ultra low power mode. If multiple CPUs are used, the main processor can be interrupted and take motion independently, but the ultra low power mode is essential because it increases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and reduces the standby time of the mobile phone.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is generated by the driver 46 to drive the servomotors 21-28 constituting the upper and lower leg means.

상기 구동부(MCU)(46)는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기 설정된 동작 패턴으로 상기 상하부 다리수단을 동작시키며,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Robotel)의 버튼(15) 또는 키패드부(45)의 입력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MCU) 46 operates the upper and lower leg means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while a call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the button 15 or the keypad unit 45 of the portable terminal (Robote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It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upon input.

상기 구동부(46)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초소형 기울기 센서;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drive unit 46 may include a micro tilt sensor for adjusting the tilt of the le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g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nd an acceleration sensor for adjusting the moving acceleration of 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20)이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착탈되는 배터리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상하로 분리하여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20)을 배터리에 결합하는 구성은 전체적인 경박단소 설계에 유리하지만 안전성 측면에서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2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he frame 20 is installed up and down separately i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attery detachable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he configuration of coupling the frame 20 to the battery is advantageous for the overall light and small design but requires careful selection in terms of safe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견 로봇 다리의 수동작동을 입력하는 버튼(15)이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MP3나 카메라 기능은 전용버튼 및 전용 메뉴를 제작하여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외에도 단순 재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버튼(15)은 이러한 전용의 기능을 위한 것으로서 본체(10)에 설치할 수도 있고 프레임(20)에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15 for inputting manual operation of the pet dog robot leg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r the frame 20. Typically, MP3 or camera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for simple fun as well as performing a call function by making a dedicated button and a dedicated menu. Button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uch a dedicated function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or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2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0)에서 복수의 지점에 상부 다리수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상부 다리수단에 하부 다리수단이 링크(30)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 다리수단은 각각의 회전위치 검출이 가능한 제1서보모터(21), 제3서보모터(23), 제5서보모터(25), 제7서보모터(27)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다리수단으로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은 경박단소의 설계를 위함이며 모터를 중심으로 하는 구동부(46) 외에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외장 케이스가 부가될 수 있다. 각 다리의 회전위치 검출에 있어서 포텐쇼미터가 내장된 서보모터(21-28)를 활용하면 물리적 입력을 수치 데이터화할 수 있고 정확한 모션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eg means are rotatab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rame 20, and the lower leg means i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leg means via a link 30. . The upper leg means includes a first servo motor 21, a third servo motor 23, a fifth servo motor 25, and a seventh servo motor 27 capable of detecting respective rotation posi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servo motor as a leg means is for the design of a light and thin element, and in addition to the driving unit 46 centered on the motor, a separate outer case may be added to maintain mechanical strength. In detec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each leg, the servomotors 21-28 with a potentiometer can be used to numerically input the physical inputs and enable accurate motion control.

본 발명의 일예와 같이 4개의 관절 모듈형 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제1서보모터(21)에는 제2서보모터(22)가 링크(3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제3서보모터(23)에는 제4서보모터(24)가 링크(3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제5서보모터(25)에는 제6서보모터(26)가 링크(30)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제7서보모터(27)에는 제8서보모 터(28)가 링크(30)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상기 링크(30)는 통상적인 주행 로봇처럼 관절 모듈의 기능을 보조하도록 장착된다.When using four joint modular legs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rvo motor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o motor 21 via a link 30, the third servo motor 23 The fourth servo motor 24 is connected via the link 30, the fifth servo motor 25 is connected to the sixth servo motor 26 via the link 30, and the seventh servo motor ( 27, an eighth servo motor 28 is connected via a link 30. The link 30 is mounted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articulation module like a conventional traveling robo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Figure 4 is a flow chart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메뉴 화면에 로보텔의 위한 설정 기능, 친구 설정 모드, 강아지 소리의 벨 사용 및 수신인별 소리의 구분 기능을 제공한다.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setting function for a robot, a friend setting mode, a bell sound of a dog sound, and a distinction of a sound for each recipient on a menu scree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견 로봇(로보텔)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면(S10) 통화대기를 위한 초기화 과정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위치를 본체의 저면에 밀착시켜 초기화한다(S2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는 모든 상하부 다리수단이 모두 본체(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말한다.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robotel) structure is turned on (S10) and initializes by contacting the position of 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 the initialization process for the call waiting (S20). As shown in FIG. 5, initializ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ll upper and lower leg mean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단계 S30에서 단말기의 안테나(ANT)와 RF송수신부(42)를 통해 전송된 통화요구신호를 상기 제어부(41)로부터 검출하고, 구동부(46)는 통화요구신호를 수신하면 8개의 서버 모터를 구동하여 메모리부(4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Robotel)의 다리를 구동한다(S40). 이때 전화가 끊어질때까지 계속 동작하다 전화가 끊어지면 동작을 멈춘다.In step S30, the call reque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NT and the RF transmitter / receiver 42 of the terminal is detected from the controller 41, and the driver 46 drives eight server motors upon receiving the call request signal. Then, 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robot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b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44 (S40). At this time, it continues to operate until the telephone is disconnected. If the telephone is disconnected, the operation stops.

예를 들면, 수신된 전화 번호가 단말기의 메뉴 화면에 기 설정된 친구로부터 걸려온 전화 번호로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다리를 올려 인사하는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서보모터(21)와 제2서보모터(22)의 상대 운동 없이 제1서보모터(21)만 회전하고, 제3서보모터(23)와 제4서보모터(24)의 상대운동과 동시에 제3서보모터(23)를 회전하고, 제5서보모터(25)와 제6서보모터(26)는 상대운동 없이 제5서보모터(25)만 회전한다. 이때 서보모터들 간의 작동순서는 모션 중 본체(10)가 안정적 자세를 유지하는 패턴으로 메모리부(44)에 기 저장되어 있다. 만일, 수신된 전화 번호가 알 수 없는 번호에서 걸려온 전화로 판단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다리를 세우는 동작을 택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프로그램 된 대로만 움직이는 것에서 탈피하여 초소형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연계할 수도 있다. 즉, 로봇의 자세를 검출해 내서 가령 10초 이내에 원하는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다리수단 대신 진동을 작동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telephone number received from a friend who is set on the menu screen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6, the user may drive in one mode by raising one leg. In this case, only the first servo motor 21 is rotated withou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servo motor 21 and the second servo motor 22,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hird servo motor 23 and the fourth servo motor 24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third servo motor 23 is rotated, and the fifth servo motor 25 and the sixth servo motor 26 rotate only the fifth servo motor 25 without relative movement. At this time, the operation sequence between the servo motors is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unit 44 in a pattern in which the main body 10 maintains a stable posture during motion. If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n incoming call from an unknown number, as shown in FIG. Of course, you can break away from moving just as programmed and link it with tiny tilt sensors and acceleration sensors. In other words, if the posture of the robot is detected and not maintained in a desired state, for example, within 10 seconds, vibration may be operated instead of the leg means.

사이드 키/버튼 입력을 판단하여(S50), 키/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통화 대기를 위한 초기화 상태(단계 S20)로 진행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보텔의 다리수단을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킴에 따라 통화에 따른 불편이 없도록 한다(S60). 이때의 입력으로서 키패드부(45)를 활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버튼(15)을 활용할 수도 있다.Judging the side key / button input (S50), if there is an input of the key / button, proceeds to the initialization state (step S20) for waiting for a call, as shown in Figure 5 to quickly move the leg means of the robot to the initial position By returning to avoi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call (S60). At this time, the keypad 45 may be used as an input or a separate button 15 may be used.

또한, 휴대폰 카메라로 얼굴인식을 하여 주인이 있는 쪽으로 휴대폰이 이동하는 기능, 강아지 소리의 벨 사용 및 그룹별 소리의 구분 기능,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모션의 공유, 배틀, 게임 등의 기능 확장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by using the mobile phone camera to recognize the face, the mobile phone can move to the owner's head, the bell sound of dogs and the distinction of sounds by group, the sharing of motion using the infrared port, the expansion of battles, games, etc. It can be implemented.

이처럼 본 발명은 전화가 걸려올 경우 제자리에서 일어나 미리 프로그램 되어진 포즈를 취한다. 보행이 가능한 구조 덕분에 보행 프로그램을 메모리부(44)에 탑재하여 보행시킬 수 있지만, 휴대폰이 책상 모서리 등에 있을 경우 떨어져 파손 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배제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takes place and takes a pre-programmed pose when a call comes in. Thanks to the structure that allows walking, the walking program can be mounted in the memory unit 44 to walk, but if the mobile phone is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desk, the risk of falling off is excluded.

한편, 실생활에 있어서 주머니에서 다리가 펴지는 경우 모터에 엄청난 부하가 작용하고 이에 따라 무한대의 전류를 흘려 휴대폰 본래의 기능이 불가능할 우려가 있으나, 이는 과전류 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작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해결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al life, when the legs are stretched out of the pocke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ad of the motor acts and flows indefinitely and thu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is impossible. This can be solved in a limiting way.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설정된 패턴으로 다리를 움직이는 3차원적 동작을 구현하여 통신기기의 단조로움에 오락적 흥미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operation of moving the legs in a set pattern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call waiting state to give entertainment interest to the monoton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t is effective.

또한, 휴대폰 카메라로 얼굴인식을 하여 주인이 있는 쪽으로 휴대폰이 이동하는 기능, 강아지 소리의 벨 사용 및 그룹별 소리의 구분 기능,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모션의 공유, 배틀, 게임 등의 기능 확장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by using the mobile phone camera to recognize the face, the mobile phone can move to the owner's head, the bell sound of dogs and the distinction of sounds by group, the sharing of motion using the infrared port, the expansion of battles, games, etc. It can be implemented.

Claims (11)

휴대와 통화가 가능한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which can carry and talk: 상기 휴대 단말기의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20);A frame 20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본체(10) 또는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수동작동을 입력하는 버튼(15);A button 15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or the frame 20 to input a manual operation; 상기 프레임(20)에서 복수의 지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다리수단;Upp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rame 20; 상기 각각의 상부 다리수단에 링크(30)를 개제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다리수단; 및Lower le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leg means by opening a link 30; And 상기 본체(10)의 제어부(41)와 연결되고, 음성 전화가 올 때에 상하부 다리수단을 기 설정된 동작 패턴으로 제어하도록 출력하는 구동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And a driving unit 4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 of the main body 10 and outputting the upper and lower leg units to control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when a voice call comes in. 상기 구동부(46)는, The drive unit 46,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15) 또는 키패드부(45)의 입력시 단말기의 다리를 접고 통화대기 상태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 When the side button 15 of the terminal or the keypad unit 45 is input,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andby state by folding the leg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다리수단은, The upper leg means, 각각의 회전위치 검출이 가능한 제1서보모터(21), 제3서보모터(23), 제5서보모터(25), 제7서보모터(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Carrying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servo motor 21, a third servo motor 23, a fifth servo motor 25, and a seventh servo motor 27 capable of detecting each rotational posi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46)는, The drive unit 46, 상하부 다리수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공하고,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상하부 다리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having a pet dog robot structure, comprising: providing power applied to upper and lower leg means, and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leg mea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by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while a call request signal is receiv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부(46)는, The drive unit 46,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리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초소형 기울기 센서; 및 A miniature inclin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leg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g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nd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An acceleration sensor for adjusting a moving acceleration of 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The portable terminal, 메뉴 화면에 로보텔의 위한 설정 기능, 친구 설정 모드, 강아지 소리의 벨 사용 및 수신인별 소리의 구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setting function for the robot, a friend setting mode, the bell sound of the dog sound and the distinction of the sound for each recipient on the menu screen.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a) 상기 애완견 로봇(로보텔)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면, 통화대기를 위한 초기화 과정과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리의 위치를 본체의 저면에 밀착시켜 초기화하는 단계; (a)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robot (robotel) structure is turned on, initializing the mobile terminal by closely contacting the position of the leg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gether with an initialization process for waiting for a call; (b)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 통화요구신호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검출되어, 구동부에서 통화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다수의 서버 모터를 구동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를 소정 시간 동안 구동하는 단계; 및 (b) When the call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detected from the controller, and the call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river, a plurality of server motors are driven to configure the pet dog robo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by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unit. Driving a leg of the mobil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 사이드 키/버튼 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입력이 있으면 통화 대기를 위한 초기화 상태로 진행하여 다리를 원래대로 접고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는 단계; (c) determining a side key / button input, and if there is an input of the side key / button, proceeding to an initialization state for waiting for a call, folding the leg back and quickly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를 포함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b)는, Step (b) is, 상기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는 전화가 올 때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전화가 끊어질때까지 계속 동작하다 끊어지면 동작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The leg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ontinues to operate until the telephone is disconnected according to a preset operation pattern when the telephone comes i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b)는,Step (b) is, 수신된 전화 번호가 단말기의 메뉴 화면에 기 설정된 친구로부터 걸려온 전화 번호로 판단되면 단말기의 일측의 다리를 올려 인사하는 모드로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한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제1서보모터(21)와 제2서보모터(22)의 상대운동 없이 제1서보모터(21)만 회전하고, 제3서보모터(23)와 제4서보모터(24)의 상대운동과 동시에 제3서보모터(23)를 회전하고, 제5서보모터(25)와 제6서보모터(26)는 상대운동 없이 제5서보모터(25)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If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 telephone number received from a friend who is set on the menu screen of the terminal,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by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to drive in a mode of raising one leg of the terminal to greet. Accordingly, only the first servo motor 21 is rotated without the relative motion of the first servo motor 21 and the second servo motor 22, and the relative motion of the third servo motor 23 and the fourth servo motor 24 is rotated. And simultaneously rotate the third servo motor 23, and the fifth servo motor 25 and the sixth servo motor 26 rotate only the fifth servo motor 25 without relative movement.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b)는,Step (b) is, 수신된 전화 번호가 알 수 없는 전화 번호에서 걸려온 전화로 판단되면 휴대 단말기의 모든 다리를 세우는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If the received telephone number is determined to be an incoming call from an unknown telephone number, the step of operating all the legs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a pet dog robot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b)는,Step (b) is, 초소형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연계하여 기 설정된 동작 패턴에 따라 상기 애완견 로봇의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다리를 기울기와 가속도로 제어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로봇 구조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And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by controlling the inclination and the acceleration of the leg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et dog robot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in association with a micro tilt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KR1020060063933A 2006-07-07 2006-07-07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5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33A KR100805196B1 (en) 2006-07-07 2006-07-07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33A KR100805196B1 (en) 2006-07-07 2006-07-07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55A KR20080004955A (en) 2008-01-10
KR100805196B1 true KR100805196B1 (en) 2008-02-21

Family

ID=3921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33A KR100805196B1 (en) 2006-07-07 2006-07-07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1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807A (en) * 1998-06-23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Robo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2807A (en) * 1998-06-23 2001-06-25 이데이 노부유끼 Robo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55A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525B1 (en) Robo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073092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ore than one display area, and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101685401B1 (en) Smart toy and service system thereof
CN102512828B (en) Intelligent toy capable of automatically designing and controlling motions
JP2007160427A (en) Robot control system
CN205968983U (en) Intelligent robot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2007044798A (en) Robot communication system
KR10080519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pet robo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334163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communication function
WO2003077087A3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ans for registering its arrangement in space
JP3074434U (en) Toy with hands-free device for mobile phone
JP2004173928A (en) Toy for portable telephone
JP2006166437A (en) Animatronic portable device
US20220047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TW200536344A (en) Multi-funtion mobilephone
KR100703990B1 (en) Apparatus for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pet
US105378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KR10106792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intelligent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JP2003273980A (en) Game controller for mobile phone
CN109769181A (en) A kind of loudspeaker sound outlet hole, terminal and loudspeaker sound outlet hole control method
JP2003163725A5 (en)
KR2009002084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the toy-robot using the mobile-phone
JP2002239971A (en) Robot system and robot
KR200329658Y1 (en) a toy type handphone for built in digital game machine
KR100846340B1 (en) Wireless headset using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