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41766A1 -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Google Patents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41766A1
WO2021241766A1 PCT/KR2020/006767 KR2020006767W WO2021241766A1 WO 2021241766 A1 WO2021241766 A1 WO 2021241766A1 KR 2020006767 W KR2020006767 W KR 2020006767W WO 2021241766 A1 WO2021241766 A1 WO 20212417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tenna
loop
extension
point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767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드미트리네미리히
민재상
황주성
로만사리모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067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41766A1/en
Priority to KR1020227026956A priority patent/KR20230014678A/en
Publication of WO20212417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417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radiation antenna capable of receiving and re-radiating a radio signa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orean Patent No. 10-1594373 B1 (registration date: Feb. 5, 2016) discloses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t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 the re-radiation antenna includes an insulating plate,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 the first switch is configured to connect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 the second antenn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 the first loop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 the first loop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connection part protrudes outwardly of the first loop part.
  • the first branch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both ends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 the second loop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 the second loop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cond branch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both ends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may each form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 parallel to each other.
  •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and the The second branch portions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irst branch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entral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 the second central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loop portion.
  • the thir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line toward the first antenna.
  •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 the second switch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fifth point positioned on the first extension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high efficiency, the power transmitting coil 140 and the power receiving coil must b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when they are spaced apart or arranged at an angle, th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the arrangement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and the power reception coil is very important.
  • any one of the antennas may show better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with the mobile terminal than the other antenna.
  • the control unit prevents the first antenna 220 from being grounded or ground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second switch 160, so that a more efficient antenna between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mobile terminal Coupling may be made.
  •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are rotationally symmetric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entral axis CP (which may b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second loop part ( 231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223 and the second branch part 233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3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c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that is farther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
  • the first extension part 223b may be formed on the left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 the second extension 223c may be formed on the right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233c may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
  • a signal is inpu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one of the first point 225a and the second point 225b,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transmitte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through the second port 235 . transmitted and radiated.
  •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a ratio of the intensity of an incident signal to a signal reflected and output in a decibel region, and since the intensity of a signal reflected and output is small,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negative.
  • the re-radiation antenna 20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24 and a second protrusion 234 .
  • the lower portion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placed directly above the first loop portion 221 of the first antenna 220 .
  •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may be excellent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in a fixed position.
  • the length L6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223b to the fifth point 226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can be done
  • the magnitud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in particular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gnal in the low frequency band (800 MHz to 1000 MHz).
  •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at wireless charg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can be made effectively, industrial applicability is remarkable.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reradiation antenna comprises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The first antenna comprises a first loop portion,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first branch portion, and the second antenna comprises a second loop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branch portio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Even when a mobile terminal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 a different direction therefrom,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can be effectively achieved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재방사할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radiation antenna capable of receiving and re-radiating a radio signa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최근에는 고층 건물과 내부의 공간이 날로 복잡해짐에 따라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파환경이 열악한 음영지역이 건물 내부 곳곳에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차량안에 위치하는 경우 차체가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파의 송수신율이 저하된다.In recent years, as high-rise buildings and interior spaces become more complex, shaded areas with poor radio wave environments are generated throughout the buil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addition, when located in a vehicle, the body is entirely made of metal, so that the transmission/reception rate of radio waves is reduc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중계기를 이용하여 열악한 전파환경을 개선하였다. 중개기를 이용하는 기술은 2개의 안테나와 그 사이에 양방향 증폭회로를 사용하는 능동중계기나 2개의 안테나를 동축케이블 또는 도파관으로 연결하는 수동 중계기를 사용하여 전파환경을 개선하는 기술이다.As a technique to solve this problem, the poor propagation environment was improved by using a repeater. The technology using a repeater is a technology to improve the propagation environment by using an active repeater that uses two antennas and a bidirectional amplifier circuit between them or a passive repeater that connects the two antennas with a coaxial cable or a waveguid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건물이나 차량 외부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이 안테나를 도파관 또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건물이나 차량 내부에 설치된 재방사 안테나에 연결함으로써 음영지역의 전파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n antenna outside a building or vehicle, and connecting this antenna to a re-radiation antenna installed inside a building or vehicle through a waveguide or coaxial cable, the radio wave environment in the shaded area can be improved.
다만, 중계기를 이용한 기술은 전자기파를 방사하므로 주변의 전자장치에 영향을 주고 특히 차량과 같이 전자장비가 내부에 밀집된 경우에는 다른 장치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다양한 통신 표준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technology using a repeate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affects nearby electronic devices, and in particular, when electronic equipment is densely packed inside, such as a vehicle, it affects other device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having frequencies of different band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등록특허 10-1594373 B1(등록일:2016.02.05)는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새로운 재방사 안테나에 의하여 무선충전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594373 B1 (registration date: Feb. 5, 2016) discloses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t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이더라도, 무선충전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signals,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이더라도, 주파수 대역별 방사 효율이 우수한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excellent radiation efficiency for each frequency band,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재방사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가변될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radiation antenna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하우징, 인쇄회로기판, 전력송신코일, 재방사 안테나 및 제1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a power transmission coil, a re-radiation antenna, and a first switch.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상기 전력송신코일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외부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상기 재방사 안테나는, 절연판,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radiation antenna includes an insulating plate,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상기 제1 스위치는,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witch is configured to connect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이격된다.The second antenn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루프부, 제1 연결부 및 제1 브랜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includes a first loop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first branch part.
상기 제1 루프부는, 닫힌 고리(loop)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루프부는,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고리의 양쪽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loop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The first loop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protrudes outwardly of the first loop part.
상기 제1 브랜치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2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first branch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both ends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루프부, 제2 연결부 및 제2 브랜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antenna includes a second loop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branch part.
상기 제2 루프부는, 닫힌 고리(loop)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루프부는,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고리의 양쪽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loop portion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The second loop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protrudes outwardly of the second loop part.
상기 제2 브랜치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1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second branch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both ends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면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may form rotational symmetry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상기 제1 브랜치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first loop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first branch portion.
상기 제2 루프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상기 제2 브랜치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second loop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second branch portion.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may each form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and be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서로 대칭이고, 상기 제1 브랜치부와 상기 제2 브랜치부가 서로 대칭일 수 있다.Based on a first virtual center li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pass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and the The second branch portions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2 루프부를 양분하는 가상의 제2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from an imaginary second center line that is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bisects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have.
상기 제1 브랜치부는, 제1 중앙부,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ranch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entral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상기 제1 중앙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entral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first loop portion.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line toward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먼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상기 제2 브랜치부는, 제2 중앙부, 제3 연장부 및 제4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branch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portion, a third extension portion,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상기 제2 중앙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2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entral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loop portion.
상기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line toward the first antenna.
상기 제4 연장부는,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먼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ourth extension portion may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상기 재방사 안테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radiation antenna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상기 제1 돌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protrude inward from the first loop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2 돌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protrude inward from the second loop portion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comprises a first port.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기 제2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1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인접한 제2 지점을 포함한다.The first port includes a first point located in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extension than the first extension, and a second point adjacent to the first point in the first roof portion.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antenna comprises a second port.
상기 제2 포트는, 상기 제3 연장부보다 상기 제4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2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3 지점과,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한 제4 지점을 포함한다.The second port includes a third point located in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fourth extension than the third extension, and a fourth point adjacent to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roof portion.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중에서, 어느 하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된다.A signal is inpu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one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된다.Among the third and fourth points, one receives a signal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상기 제1 지점이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점으로 신호기 입력될 수 있다.In the first antenna, the first point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and a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cond point.
상기 제2 안테나에서, 상기 제3 지점이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4 지점이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In the second antenna, the third point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and a signal from the fourth point may be input.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닫.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switch and a third switch.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5 지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switch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fifth point positioned on the first extension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3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6 지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third switch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sixth point positioned on the third extension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하우징, 인쇄회로기판, 전력송신코일, 재방사 안테나 및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재방사 안테나는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제1 스위치는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가 선택적으로 전파를 방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이더라도, 또한, 서로 다른 구조의 이동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 놓이더라도, 재방사 안테나와 각 이동 단말기 간의 안테나 커플링(antenna coupling)이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무선충전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a power transmission coil, a re-radiation antenna, and a first switch. The re-radiation antenna includes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the first switch connects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selectively radiate radio waves can do. Accordingly,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ven if the mobi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re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antenna coupling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each mobile terminal is excellent It can be done, and wireless charg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can be made eff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는, 제1 루프부, 제1 연결부, 제1 브랜치부 및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2 안테나는 제2 루프부, 제2 연결부, 제2 브랜치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 이동 단말기가 무선충전장치 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놓이더라도, 주파수 대역별 방사 효율이 우수하고,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 안테나 매칭(antenna matching)이 우수한,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 first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op portion, a first connection portion, a first branch portion, and a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antenna includes a second loop por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branch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Accordingly, even if each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have excellent radiation efficiency for each frequency band, and particularly have excellent antenna matching in a high frequency band.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는,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를 포함하고, 제2 스위치는 제1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5 지점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제3 스위치는 제3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6 지점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특성에 따라 재방사 안테나의 방사 특성이 가변될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저주파 대역에서 안테나 매칭이 우수한,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witch and a third switch, wherein the second switch selectively connects a fifth point located i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3 switch selectively connects the sixth point positioned on the third extension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which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radiation antenna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used, and excellent antenna matching in a low frequency band,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n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re-radia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장치 위에 이동 단말기가 거치된(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에 이동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의 구성간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radiatio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6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radiatio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8 .
도 10은 도 6의 제1 안테나 및 도 8의 제1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별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ic field distributions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ntenna of FIG. 6 and the first antenna of FIG. 8 .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radiatio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11 .
도 13은 도 11의 재방사 안테나의 제1 안테나 부분에서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first antenna part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11 .
도 14는 도 8의 재방사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별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8 .
도 15a, 도 15b 및 도 15c 각각은,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15A, 15B, and 15C are each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재방사 안테나(200)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물 내부나 차량(400)안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는 기지국(500)에서 송신한 전파가 건물에 부딪히거나 차량(400)의 외관을 이루는 금속에 차폐되어 전파 송수신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전파가 전달되지 않는 곳을 음영지역이라고 하며, 음영지역의 전파 송수신율을 높이기 위해 재방사 안테나(200)를 구비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re-radiation antenna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bile terminal 600 located inside the building or vehicle 400, the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500 collides with the building or is shielded by the metal form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400, so that the radio wave transmission/reception rat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have. A place where radio waves are not partially transmitted is referred to as a shaded area, and a re-radiation antenna 200 may be provided in order to increase the radio wave transmission/reception rate in the shaded area.
차량(400) 외부에 외부 안테나(30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안테나(300)에서 수신한 신호가 별도의 증폭기(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된 후 차량(400) 내부에 있는 재방사 안테나(200)를 통해 차량(400) 내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파 송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An external antenna 300 is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400 , and a re-radiation antenna 200 inside the vehicle 400 after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amplified through a separate amplifi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adio wave transmission/reception r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by transmitting it to the mobile terminal 600 located inside the vehicle 400 .
다만, 재방사 안테나(200)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주변 기기에 영향을 많이 주고 받는다. 따라서 주변의 다른 기기와의 관계를 고려하면, 다른 기기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위치에 재방사 안테나(200)를 배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600)와 거리가 멀면 재방사 안테나(200)의 성능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바, 이동 단말기(600)와의 거리를 줄이면서 재방사 안테나(200)와 주변기기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200)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re-radiation antenna 2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it is greatly influenced by peripheral devices. Therefor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devices in the vicinity,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t a position that has little influence on other devices. However, when the distance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is f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also reduced, and the effect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peripheral devices can be minimized while reducing the distance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Research o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being made.
도 2는, 차량(400) 내부에 설치된 무선충전장치(100) 위에 이동 단말기(600)가 거치된(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된 X, Y 및 Z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400 . The X, Y, and Z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respectively.
이동 단말기(600)가 무선충전장치(1)의 위에 놓인 상태에서, 무선충전방식으로 이동 단말기(6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방식은 무선충전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를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 무선충전장치(100) 위에 이동 단말기(600)를 거치하는 것만으로 충전이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마다 충전 케이블을 이동 단말기(600)에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 ,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harged in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harging only by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600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without connect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with a cable.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 charging cable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every time it is used can be reduced.
무선충전장치(100)를 구비한 차량(400) 내부에서 이동 단말기(600)는 대부분 무선충전장치(100) 위에 거치된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시에도 거치된 상태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핸즈프리로 통화를 할 가능성이 높은 바, 무선충전장치(100) 상에 이동 단말기(6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안테나 신호의 수신율이 매우 중요하다.Most of the mobile terminal 600 inside the vehicle 400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be used in a stat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aking a hands-free call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in a mounted state even during a call, the reception rate of the antenna signal is very important in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is sea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따라서 차량(400) 내부의 재방사 안테나(200)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기 위해서는 재방사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600)에 가까워야 하므로, 재방사 안테나(200)는 무선충전장치(100) 자체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nside the vehicle 400, the re-radiation antenna 200 must be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600, so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t is better to have it on its own.
다만, 재방사 안테나(200)와 무선충전장치(100)의 전력송신코일(140)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은 전력송신코일(140)과 재방사 안테나(200) 사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방사 안테나(200)와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100)를 제공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ffect each oth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and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Provided are a re-radiation antenna 200 capable of minimizing the impact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having the sam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장치(100)에 이동 단말기(600)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600)는 다양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을 위한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을 위한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에 위치하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및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모듈 등이 있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includ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broadcast,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600 There is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하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an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이와 같은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안테나가 필요하며 방송수신 모듈의 경우 이동 단말기(600) 케이스에서 인입출 가능한 모노폴 형태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An antenna is required to receive such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and in the cas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nopole type antenna that can be drawn in and out of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used.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LTE-A)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600)의 메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메인 안테나로 부르기도 한다. 다양한 이동 통신의 기술표준마다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브로드 밴드 안테나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Since the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is in charge of the mai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it is also referred to as a main antenna. Since a different frequency is used for each technical standard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he need for a broadband antenna is growing.
사용자가 전화 통화시에는 귀에 이동 단말기(600)를 직접 대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6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전파의 송수신이 사용자의 뇌와 가까운 곳에서 일어나므로, 이 거리를 최대로 멀리 떨어뜨리기 위해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610) 또는 음성 수신부에 인접한 위치에 메인 안테나를 둔다.When a user makes a phone call, in many cases, the user puts the mobile terminal 600 directly to his or her ear. When the antenna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600, sin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waves occurs close to the user's brain, the lower part 610 or the voice receiver of the mobile terminal 600 in order to keep this distance as far away as possible. Place the main antenna in an adjacent position.
다른 무선통신 방식에서는, 사용자의 귀에 직접 인접한 상태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기(600)의 상부(620)나 배면 등에 메인 안테나를 위치시킬 수 있다.In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ince it is not often used in a state directly adjacent to the user's ear, the main antenna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620 or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600 .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6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includes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The range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the It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600)와 다른 이동 단말기(6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다른 이동 단말기(6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wireless area networks, an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other mobile terminals 600, Alternativel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a network in which another mobile terminal 600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may be supported.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local area network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6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nclud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For example, if the mobile terminal 600 utilizes a GPS module, it may acquir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utilizes the Wi-Fi modul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based on information of the Wi-Fi module and a wireless AP (Wireless Access Point)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can be obtained.
이동 단말기(600)의 중간 부분에는 다른 부품들이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파지하고 있을 때 전파가 방해되어 수신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600)의 상부와 하부에 나눠서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other parts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bile terminal 600 , when the user is holding the mobile terminal 600 , radio waves are disturbed, thereby reducing the reception rate. It is common to divide them into .
예외적으로 NFC나, RFID와 같이 초근접 안테나는 직접 이동 단말기(600)를 접촉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600)의 배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Exceptionally, since the ultra-proximity antenna such as NFC or RFID is u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 it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600 .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는, 하우징(110a, 110b), 인쇄회로기판(120), 전력송신코일(140), 재방사 안테나(200) 및 제1 스위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ousings 110a and 110b,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first switch 150 . made including
무선충전장치(100)는 쉴드캔(125) 및 페라이트 시트(130)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hield can 125 and a ferrite sheet 130 .
인쇄회로기판(120)은, 무선충전장치(100)의 제어부로서, 하우징(110a, 110b) 내부에 위치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a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s 110a and 110b.
전력송신코일(140)은, 하우징(110a, 110b) 내부에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12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외부 단말기(예컨대, 이동 단말기(600))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s 110a and 110b,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eg, the mobile terminal 600).
하우징(110a, 110b)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전력송신코일(140) 및 재방사 안테나(200)가 실장되고, 외부에 상기 전력송신코일(140)에 공급할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와, 차량(400)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한 안테나 신호를 재방사 안테나(200)에 공급하기 위한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s 110a and 110b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110a and a lower housing 110b,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and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re mounted therein,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il ( A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be supplied to 140 , and a port for supplying an antenn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antenna 300 located outside the vehicle 400 to the re-radiation antenna 200 may be provided.
이동 단말기(600)가 하우징(110a, 110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우징(110a, 110b) 상면 둘레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상면에 마찰력이 큰 소재(부직포, 실리콘, 고무 등)를 부가하여 이동 단말기(600)가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upper surfaces of the housings 110a and 110b so that the mobile terminal 6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housings 110a and 110b, or a material with high frictional force (non-woven fabric, silicone, rubber, etc.) is ad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6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인쇄회로기판(120)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전력송신코일(140)에 공급하고, 외부 안테나(3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재방사 안테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인쇄회로기판(120)이 무선충전장치(100)의 제어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에는 열을 방사하고 그 위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쉴드캔(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supplies i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serves to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to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 may be used as a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may further include a shield can 125 that radiates heat and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components thereon.
인쇄회로기판(120) 위에 위치하는 전력송신코일(140)은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외부 이동 단말기(600)의 전력수신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외부 이동 단말기(600)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쉴드캔(125) 위에 전력송신코일(140)이 위치한다.I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loc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 when current flows,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nd current flows in the power reception coil of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600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to charge the external mobile terminal 600 . can do.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is positioned on the shield can 125 .
무선충전방식에는 자기공명방식과 전자기유도방식이 있다. 전자기유도방식은 유도전류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이 필요한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충전장치에 실장 된 전력송신코일(140)에 흐르는 전류가 전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기장 내에 위치하는 전력수신코일은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There are two types of wireless charging methods: magnetic resonance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method of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requiring charging using the principle of induced current. The current flowing i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mounted in the portable charging device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power receiving coil located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Electric current can flow by electromagnetic fields.
자기공명방식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인 공명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갖는 전력송신코일(140)과 전력수신코일 사이에 형성되는 강한 자계결합 현상을 이용한다.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uses a strong magnetic field coupling phenomenon formed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coil 140 and the power receiving coil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as a charging method using the resonance method, which is a phenomenon that vibrates with a large amplitude at a specific frequency.
전자기유도방식은 효율이 높으나 전력송신코일(140)과 전력수신코일이 인접하게 위치해야 하며, 이격되거나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따라서, 전자기유도방식의 충전에서는 전력송신코일(140)과 전력수신코일 사이의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Although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has high efficiency, the power transmitting coil 140 and the power receiving coil must b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when they are spaced apart or arranged at an angle, th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the arrangement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and the power reception coil is very important.
반면 자기공명방식은 효율이 전자기유도방식에 비해 높지는 않으나, 이격된 거리에서도 충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은 에너지 부분은 전자장으로 재 흡수되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is not high compared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but since it can be charged even at a distance, its use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unused energy por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absorbed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전력송신코일(140)에 상면 또는 하면에 페라이트 시트(130, ferrite shee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라이트 시트(130)는 코일의 자속선의 회로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력송신코일(140)에서 나오는 전자기 방사량을 줄일 수 있다.A ferrite sheet 13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The ferrite sheet 130 may improve the circuit flow of the magnetic flux line of the coil, and may reduce the amount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e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방사 안테나(200)가 전력송신코일(140)의 상면에 위치하면, 재방사 안테나(200)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므로, 전력송신코일(140)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재방사 안테나(200)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충전장치(100)의 성능이 저하된다.4, whe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is If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re-radiation antenna 200,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degraded.
전력송신코일(140)에서 방사되는 자력이 재방사 안테나(200)를 통과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력수신코일로 전송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10a)의 상면에 안착되는 이동 단말기(600)에 자력 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재방사 안테나(200)를 전력송신코일(140) 하부에 두면 안테나에서 방사하는 신호가 전력송신코일(140)에 의해 노이즈가 섞이게 되어 통신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t is difficult for the magnetic force radia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to pass through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be transmitted to the power reception coil of the mobile terminal 600 . Accordingly, the magnetic force transfer efficiency to the mobile terminal 60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10a may be reduced. Conversely, whe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is placed under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antenna is mixed with noise by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thereby deteriorating communication quality.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방사 안테나(200)는 전력송신코일(140)의 상면에 두되 전력송신코일(140)에서 전송하는 자력이 이동 단말기(600)에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재방사 안테나(200)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100)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radiation antenna 200 tha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and does not prevent the magnetic for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 A radiation antenna 200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의 구성간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방사 안테나(200)는 절연판(210),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를 포함한다.The re-radiation antenna 200 includes an insulating plate 210 , a first antenna 220 , and a second antenna 230 .
절연판(210)은, 절연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계통의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절연판(210)은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insulating plate 210 includes an insulating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type insulating material. The insulating plate 2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그 내부에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의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600)의 상부(620) 또는 하부(610)에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600 may include an antenna therein,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620 or lower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상부(620)가 위쪽을 향하도록 무선충전장치(100) 위에 거치할 수 있고(도 3a 참조), 또는 이동 단말기의 하부(610)가 위쪽을 향하도록 무선충전장치(100) 위에 거치할 수 있다(도 3b 참조).The user may be mount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upper part 620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upward (see FIG. 3A ), or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lower part 610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upward. ) can be mounted on it (see FIG. 3b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의 안테나 배치 구조가 다를 수 있는 점, 및 이동 단말기(600)가 놓이는 방향이 다를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각각의 경우에 재방사 안테나(200)와 이동 단말기(600) 간의 안테나 커플링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는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different antenna arrangement structures of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600 is placed may be different.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in each case,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is made to be excellent, and for this purpose,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s made including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
제1 스위치(150)는,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switch 150 is configured to connect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
제1 스위치(150)에 의하여 제1 안테나(220)가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된 경우, 외부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1 안테나(220) 쪽으로 전달되고 방사되어 이동 단말기(600)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tenna 22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y the first switch 150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transmitted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and is radia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 ) can be transferred.
또한, 제1 스위치(150)에 의하여 제2 안테나(230)가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된 경우, 외부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2 안테나(230) 쪽으로 전달되고 방사되어 이동 단말기(600)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antenna 23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y the first switch 150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transmitte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and is radia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각 이동 단말기(600)의 크기 및 종류,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이는 각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주파수 크기 등에 따라,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는 다른 하나의 안테나보다 이동 단말기와의 전파의 송수신 효율이 더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each mobile terminal 600,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each mobile terminal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frequency band used, the frequency size, etc.,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 any one of the antennas may show better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with the mobile terminal than the other antenna.
제어부(인쇄회로기판)는, 이처럼, 이동 단말기와의 전파의 송수신 효율이 더 우수하게 나타나는 안테나(제1 안테나(220) 또는 제2 안테나(230))를 통하여 전파가 방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안테나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printed circuit board) allows the radio wave to be radiated through the antenna (the first antenna 220 or the second antenna 230) showing the better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with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re efficient antenna Coupling may be ma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에서, 제1 안테나(220)의 일 부분은 제2 스위치(16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에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20)의 일 부분이 인쇄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경우와 접지되지 않는 경우는 제1 안테나(220)의 안테나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I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first antenna 220 is selective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second switch 160 can be grounded to When a portion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when not grounded,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enna 2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동 단말기의 크기, 종류,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이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주파수 크기 등에 따라, 제1 안테나(220)가 제2 스위치(16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에 접지되는 경우와 접지되지 않는 경우는 이동 단말기와의 전파의 송수신 효율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frequency band used, the frequency size, etc., the first antenna 220 is a printed circuit through the second switch 160 When the substrate 120 is grounded and when it is not grounded, the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with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어부(인쇄회로기판)는, 제1 안테나(220)가 제2 스위치(16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에 접지되거나 접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1 안테나(220)와 이동 단말기 간에 보다 효율적인 안테나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printed circuit board) prevents the first antenna 220 from being grounded or ground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second switch 160, so that a more efficient antenna between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mobile terminal Coupling may be ma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에서, 제2 안테나(230)의 일 부분은 제3 스위치(17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에 선택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제2 안테나(230)의 일 부분이 인쇄회로기판(120)의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경우와 접지되지 않는 경우는 제2 안테나(230)의 안테나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I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second antenna 230 is selective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third switch 170 can be grounded to When a portion of the second antenna 230 is grounded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and when not grounded,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antenna 2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동 단말기의 크기, 종류,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이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그리고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주파수 크기 등에 따라, 제2 안테나(230)가 제3 스위치(17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에 접지되는 경우와 접지되지 않는 경우는 이동 단말기와의 전파의 송수신 효율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nd the frequency band used, the frequency size, etc., the second antenna 230 is a printed circuit through the third switch 170 When the substrate 120 is grounded and when it is not grounded, the transmission/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with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어부(인쇄회로기판)는, 제2 안테나(230)가 제3 스위치(17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20)에 접지되거나 접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2 안테나(230)와 이동 단말기 간에 보다 효율적인 안테나 커플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printed circuit board) prevents the second antenna 230 from being grounded or not ground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rough the third switch 170, so that a more efficient antenna between the second antenna 230 and the mobile terminal Coupling may be mad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재방사 안테나(200)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of FIG. 6 .
제1 안테나(220)는, 절연판(210)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2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제2 안테나(230)는, 절연판(210)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 안테나(220)와 이격된다.The second antenna 2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220 .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는, 절연판(210)에 형성된 구리 박막을 통상의 노광, 에칭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 방식으로, 절연판(210)에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의 패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formed by conventional exposure and etching of the copper thin film formed on the insulating plate 210 . Alternatively, the pattern shape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plate 210 by a printing method using a printer.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는, 절연판(210)의 같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는 절연판(2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절연판(210)의 가운데 부분에는 안테나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는 전력송신코일(140)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판(210)의 중앙에는,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가 형성되지 않는 중앙영역(215)이 구비된다. 중앙영역(215)은 전력송신코일(140)과 중첩되고, 중앙영역(215)의 면적은 전력송신코일(140)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and the antenna may not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That is, the central region 215 in which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are not form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The central region 215 may overlap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and the area of the central region 215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이에 따라, 전력송신코일(140)에서 무선충전장치(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송되는 전력의 전송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to the mobile terminal 60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from being lowered.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의 전부가 전력송신코일(140)과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ll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do not overlap the power transmission coil 140 , but this may not be the case.
제1 안테나(220) 및 제2 안테나(230) 각각은, ㄷ자 또는 U자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formed in a U-shape or U-shape, and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제1 안테나(220)는, 제1 루프부(221), 제1 연결부(222) 및 제1 브랜치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220 includes a first loop part 221 , a first connection part 222 , and a first branch part 223 .
제1 루프부(221) 및 제1 브랜치부(223)에 안테나의 포트(제1 포트(225))가 연결된다. 제1 루프부(221)와 제1 브랜치부(22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제1 포트(225)의 포지티브 부분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 제1 포트(225)의 네거티브 부분이 연결된다. 제1 루프부(221)와 제1 브랜치부(22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급전(신호 입력)되고, 다른 하나가 그라운드와 접지된다.An antenna port (a first port 225 ) is connected to the first loop unit 221 and the first branch unit 223 . Among the first loop portion 221 and the first branch portion 223 , a positive portion of the first port 225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loop portion 221 and the first branch portion 223 , and a negative portion of the first port 225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ne of the first loop unit 221 and the first branch unit 223 is fed (signal input) and the other is grounded.
제1 루프부(221)는, 닫힌 고리(loop)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루프부(221)는,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고리의 양쪽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loop portion 221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The first loop portion 22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 루프부(221)는 절연판(210)의 어느 한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루프부(221)는 절연판(2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루프부(221)는 재방사 안테나(200)의 하측 테두리를 이룰 수 있다.The first loop part 221 may be formed along either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The first loop part 221 may be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and accordingly, the first loop part 221 may form the lower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제1 루프부(221)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로(제1 방향(X))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루프부(221)의 가로 길이(a1)는 세로 길이(b1)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 길이(a1), 상기 세로 길이(b1) 및 상기 가로 길이(a1)와 상기 세로 길이(b1)의 비율(a1/b1)은,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oop part 2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ong horizontally (in the first direction (X)). The horizontal length (a1) of the first loop part 221 is mad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b1), and the horizontal length (a1), the vertical length (b1), and the horizontal length (a1) and the vertical length (b1) ) ratio (a1/b1) may be made various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제1 연결부(222)는, 제1 루프부(22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protrudes outwardly of the first loop part 221 .
제1 연결부(222)는 제1 루프부(221)와 제1 브랜치부(223)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222)는, 제1 루프부(221) 및 제1 브랜치부(223)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is a part that connects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first branch part 223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may have a ver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first branch part 223 .
제1 연결부(222)는 제1 루프부(221)에서 제2 안테나(230)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재방사 안테나(200) 전체에서 제1 연결부(222)는 제1 루프부(221)보다 안쪽에 위치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protrudes from the first loop part 221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 In the entire re-radiation antenna 200 , 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loop part 221 .
제1 브랜치부(223)는, 제1 연결부(222)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제2 안테나(230) 쪽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first branch part 223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 and both ends thereof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
제2 안테나(230)는, 제2 루프부(231), 제2 연결부(232) 및 제2 브랜치부(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antenna 230 includes a second loop part 231 , a second connection part 232 , and a second branch part 233 .
제2 루프부(231) 및 제2 브랜치부(233)에 안테나의 포트(제2 포트(235))가 연결된다. 제2 루프부(231)와 제2 브랜치부(23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제2 포트(235)의 포지티브 부분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 제2 포트(235)의 네거티브 부분이 연결된다. 제2 루프부(231)와 제2 브랜치부(233) 중에서, 어느 하나로 급전(신호 입력)되고, 다른 하나가 그라운드와 접지된다.An antenna port (a second port 235 )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op unit 231 and the second branch unit 233 . Among the second loop portion 231 and 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 a positive portion of the second port 235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loop portions 231 and 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 and a negative portion of the second port 235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ne of the second loop portion 231 and 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is fed (signal input) and the other is grounded with the ground.
제2 루프부(231)는, 닫힌 고리(loop)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루프부(231)는, 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고리의 양쪽 단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loop portion 231 is formed in a closed loop (loop) shape. The second loop portion 23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ring is not broken, and both ends of the 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2 루프부(231)는 절연판(210)의 어느 한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재방사 안테나(200)에서, 제2 루프부(231)는 제1 루프부(211)의 반대쪽 테두리를 이룰 수 있다. 제2 루프부(231)는 절연판(21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루프부(231)는 재방사 안테나(200)의 상측 테두리를 이룰 수 있다. 제2 루프부(231)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로(제1 방향(X))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loop part 231 may be formed along either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I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the second loop part 231 may form an edge opposite to the first loop part 211 . The second loop part 231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and accordingly, the second loop part 231 may form the upper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The second loop part 23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a horizontal (first direction (X)) long rectangular shape.
제2 루프부(231)는 제1 루프부(221)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loop part 231 may form a symmetry with the first loop part 221 .
제2 연결부(232)는, 제2 루프부(23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protrudes outward of the second loop part 231 .
제2 연결부(232)는 제2 루프부(231)와 제2 브랜치부(233)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2 연결부(232)는, 제2 루프부(231) 및 제2 브랜치부(233)와 비교할 때, 매우 짧은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is a part that connects the second loop part 231 and the second branch part 233 to each oth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may have a ver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second loop part 231 and the second branch part 233 .
제2 연결부(232)는 제2 루프부(231)에서 제1 안테나(220)쪽을 향하여 돌출된다. 재방사 안테나(200) 전체에서 제2 연결부(232)는 제2 루프부(231)보다 안쪽에 위치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protrudes from the second loop part 231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 In the entire re-radiation antenna 20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loop part 231 .
제2 브랜치부(233)는, 제2 연결부(232)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제1 안테나(220) 쪽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 and both ends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는, 절연판(210)의 면에 수직한 중심축(CP)(제3 방향(Z)과 평행할 수 있음)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are rotationally symmetric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entral axis CP (which may be parallel to the third direction Z)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can
제1 루프부(221) 및 제1 연결부(222)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제1 브랜치부(223)를 이루는 라인의 폭(w1, w2)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line forming the first loop portion 221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s w1 and w2 of the line forming the first branch portion 223 .
제2 루프부(231) 및 제2 연결부(232)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제2 브랜치부(233)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line forming the second loop portion 2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ine forming 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
제1 루프부(221)와 제2 루프부(231)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second loop part 231 may each form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be parallel to each other.
제1 방향(X)과 평행하고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제1 루프부(221)와 제2 루프부(231)는 서로 대칭이고, 제1 브랜치부(223)와 제2 브랜치부(233)가 서로 대칭일 수 있다.Based on a first virtual center line CL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pass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second loop part ( 231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223 and the second branch part 233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 연결부(222) 및 제2 연결부(232)는,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제2 방향(Y)과 평행하고 제1 루프부(221) 및 제2 루프부(231)를 양분하는 가상의 제2 중심선(CL2)으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are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Y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bisect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second loop part 231 .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imaginary second center line CL2 .
제1 루프부(221)의 한쪽 끝에서 제1 연결부(222)까지의 길이(L1)는 0보다 크고, 제1 루프부(221)의 가로 길이(a1)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L1)는,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L1 from one end of the first loop part 221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is greater than 0, and is made less than half of the horizontal length a1 of the first loop part 221 . The length L1 may be variously ma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제1 브랜치부(223)는, 제1 중앙부(223a), 제1 연장부(223b) 및 제2 연장부(22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ranch portion 223 may include a first central portion 223a, a first extension portion 223b,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223c.
제1 중앙부(223a)는, 제1 연결부(222)와 연결되고 제1 방향(X)과 평행하며 제1 루프부(221)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앙부(223a)는 제1 루프부(221)와 이격되되 제1 루프부(221)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loop portion 221 .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op portion 221 and located very close to the first loop portion 221 .
제1 연장부(223b)는, 제2 중심선(CL2)보다 제1 연결부(222)와 가까운 제1 중앙부(223a)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2 안테나(23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3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
제1 연장부(223b)는 절연판(210)의 한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223b)는 대체로 제2 중심선(CL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223b may be formed along one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The first extension 223b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1 연장부(223b)의 길이(L3)는,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L3 of the first extension 223b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제2 연장부(223c)는, 제2 중심선(CL2)보다 제1 연결부(222)와 먼 제1 중앙부(223a)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2 안테나(23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c may exten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that is farther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2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2 연장부(223c)는 절연판(210)의 한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23c)는 대체로 제2 중심선(CL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223c may be formed along one edge of the insulating plate 210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c may be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1 루프부(221) 및 제1 중앙부(223a)가 재방사 안테나(200)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될 때, 제1 연장부(223b)는 재방사 안테나(200)의 좌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연장부(223c)는 재방사 안테나(200)의 우측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loop part 221 and the first central part 223a are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the first extension part 223b may be formed on the left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In addition, the second extension 223c may be formed on the right edg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
제2 연장부(223c)는 제1 연장부(223b)와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223c may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tension 223b.
제2 연장부(223c)의 길이(L4)는,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연장부(223c)의 길이(L4)는 제1 연장부(223b)의 길이(L3)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L4 of the second extension 223c may vary depending on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etc., and the length L4 of the second extension 223c is the first The length L3 of the extension part 223b may be the same.
제2 브랜치부(233)는, 제2 중앙부(233a), 제3 연장부(233b) 및 제4 연장부(23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may include a second central portion 233a, a third extension portion 233b,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233c.
제2 중앙부(233a)는, 제2 연결부(232)와 연결되고 제1 방향(X)과 평행하며 제2 루프부(231)와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중앙부(233a)는 제2 루프부(231)와 이격되되 제2 루프부(231)와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nd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cond loop portion 231 .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op portion 231 and located very close to the second loop portion 231 .
제3 연장부(233b)는, 제2 중심선(CL2)보다 제2 연결부(232)와 가까운 제2 중앙부(233a)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1 안테나(22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extension portion 233b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than the second centerline CL2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
제4 연장부(233c)는, 제2 중심선(CL2)보다 제2 연결부(232)와 먼 제2 중앙부(233a)의 한쪽 단부로부터 제1 안테나(22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ourth extension portion 233c may extend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32 than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2 브랜치부(233)는 제1 브랜치부(223)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 중앙부(233a)는 제1 중앙부(223a)와 대칭을 이루고, 제3 연장부(233b)는 제1 연장부(223b)와 대칭을 이루고, 제4 연장부(233c)는 제2 연장부(223c)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branch portion 233 may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branch portion 223 . Accordingly,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is symmetrical to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the third extended portion 233b is symmetrical 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223b, and the fourth extended portion 233c is the second It may form a symmetry with the extension part 223c.
제1 안테나(220)는 제1 포트(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antenna 220 includes a first port 225 .
제1 포트(225)는, 제1 연장부(223b)보다 제2 연장부(223c)와 가깝게 제1 중앙부(223a)에 위치하는 제1 지점(225a)과, 제1 루프부(221)에서 제1 지점(225a)과 인접한 제2 지점(225b)을 포함한다.The first port 225 is connected to a first point 225a located in the first central portion 223a closer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23c than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23b, and from the first loop portion 221 . and a second point 225b adjacent to the first point 225a.
제2 중심선(CL2)을 기준으로 제1 포트(225)는 제1 연결부(222)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ort 225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22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1 지점(225a)과 제2 지점(225b)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된다.A signal is inpu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one of the first point 225a and the second point 225b,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일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220)의 제1 지점(225a)은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0)의 제2 지점(225b)은 전원(power source)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점(225a)과 제2 지점(225b)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된다. 전원에서 공급된 전류가 제1 안테나(220)를 따라 흐르면서 특정 파장을 갖는 전파를 생성한다. 상기 파장은 공급되는 전류와 제1 안테나(220)의 패턴, 각 부분의 길이 및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point 225a of the first antenna 22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point 225b of the first antenna 22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e first point 225a and the second point 225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 current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flows along the first antenna 220 to generate a radio wave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The wavelength is determined by the supplied current, the pattern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length and shape of each part.
제1 루프부(221)의 한쪽 끝에서 제1 포트(225)까지의 길이(L2)는 제1 루프부(221)의 가로 길이(a1)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L2)는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gth L2 from one end of the first loop portion 221 to the first port 225 is less than half of the horizontal length a1 of the first loop portion 221 . The length L2 may be made variously according to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제1 스위치(150)에 의하여 제1 안테나(220)가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된 경우, 외부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1 포트(225)를 통하여 제1 안테나(220) 쪽으로 전달되고 방사된다.When the first antenna 22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y the first switch 150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transmitted toward the first antenna 220 through the first port 225 . transmitted and radiated.
제2 안테나(230)는 제2 포트(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antenna 230 includes a second port 235 .
제2 포트(235)는, 제3 연장부(233b)보다 제4 연장부(233c)와 가깝게 제2 중앙부(233a)에 위치하는 제3 지점(235a)과, 제2 루프부(231)에서 제3 지점(235a)과 인접한 제4 지점(235b)을 포함한다.The second port 235 is connected to a third point 235a located in the second central portion 233a closer to the fourth extension 233c than to the third extension 233b, and at the second loop portion 231 . and a fourth point 235b adjacent to the third point 235a.
제2 중심선(CL2)을 기준으로 제2 포트(235)는 제2 연결부(232)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ort 235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32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line CL2 .
제3 지점(235a)과 제4 지점(235b)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된다.A signal is input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one of the third point 235a and the fourth point 235b,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일 실시예에서, 제2 안테나(230)의 제3 지점(235a)은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제2 안테나(230)의 제4 지점(235b)은 전원(power source)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지점(235a)과 제4 지점(235b)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된다. 전원에서 공급된 전류가 제2 안테나(230)를 따라 흐르면서 특정 파장을 갖는 전파를 생성한다. 상기 파장은 공급되는 전류와 제2 안테나(230)의 패턴, 각 부분의 길이 및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In an embodiment, the third point 235a of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fourth point 235b of the second antenna 23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e third point 235a and the fourth point 235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 current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flows along the second antenna 230 to generate a radio wave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The wavelength is determined by the supplied current, the pattern of the second antenna 230, and the length and shape of each part.
제1 스위치(150)에 의하여 제2 안테나(230)가 인쇄회로기판(120)과 연결된 경우, 외부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2 포트(235)를 통하여 제2 안테나(230) 쪽으로 전달되고 방사된다.When the second antenna 230 is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0 by the first switch 150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ntenna 300 is transmitted toward the second antenna 230 through the second port 235 . transmitted and radiated.
도 7은 도 6의 구조와 같은 재방사 안테나(200)의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S-parameter(반사계수)를 나타낸다. 반사계수는, 입사된 신호와 반사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의 비율을 데시벨 영역으로 나타낸 것으로 반사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작으므로 반사계수는 음수를 나타낸다. 7 is a graph illust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s in the structure of FIG. 6 , wherein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frequency and the vertical axis indicates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a ratio of the intensity of an incident signal to a signal reflected and output in a decibel region, and since the intensity of a signal reflected and output is small,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negative.
도 6의 재방사 안테나(200)에서 제1 안테나(220)와 제2 안테나(230)는 서로 대칭을 이룬다. 도 7은, 제1 안테나(220)의 안테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고, 또한 제2 안테나(230)의 안테나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일 수 있다.In the re-radiation antenna 200 of FIG. 6 , the first antenna 220 and the second antenna 230 are symmetric to each other. FIG. 7 may be a graph showing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first antenna 220 and may be a graph showing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second antenna 230 .
반사계수가 작을수록 반사되는 신호의 세기가 더 큰 것을 의미하며, 3세대 통신에서 이용하는 이동통신 주파수(900MHz, 1800MHz, 2100MHz 및 2700MHz) 근처에서의 반사계수의 크기가 중요하다.The smaller the reflection coefficient,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reflected signal, and the magnitud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near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ies (900 MHz, 1800 MHz, 2100 MHz and 2700 MHz) used in 3G communication is important.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는 중주파(1800~2100MHz) 대역에서 반사계수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in the mid-frequency (1800-2100 MHz) ban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재방사 안테나(200)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of FIG. 8 .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900MHz, 1800MHz, 2100MHz 및 2700MHz)에서 신호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재방사 안테나(200)는 제1 돌출부(224) 및 제2 돌출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signal effici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s (900 MHz, 1800 MHz, 2100 MHz and 2700 MHz), the re-radiation antenna 20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24 and a second protrusion 234 .
제1 돌출부(224)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루프부(221)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24)의 개수, 돌출높이(w3), 폭(w4) 및 간격(L5)은,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part 22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protrude inward from the first loop part 221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The number of the first protrusions 224, the protrusion height w3, the width w4 and the spacing L5 a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etc. It can be done in various ways.
제1 돌출부(224)의 개수 및 간격(L5)은,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가 커질수록 감소할 수 있고,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pacing L5 of the first protrusion 224 may decrease as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increases, and may increase as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decreases.
상기 제2 돌출부(234)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루프부(231)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23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protrude inward from the second loop portion 231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복수 개의 제2 돌출부(234)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224)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34 may be symmetrical with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24 .
도 9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900MHz, 1800MHz, 2100MHz 및 2700MHz)에서 신호가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 상기 제1 돌출부(224) 및/또는 제2 돌출부(234)의 크기와 길이, 간격 등을 조절하면 도 8에 나타나는 재방사 안테나(200)의 효율이 변화하며,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특히 크게 나타나도록 길이와 간격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signals appear relatively large in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s (900 MHz, 1800 MHz, 2100 MHz, and 2700 MHz). If the size, length, and spacing of the first protrusion 224 and/or the second protrusion 234 are adjusted,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shown in FIG. 8 is changed, and is particularly larg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You can adjust the length and size of the gap.
도 10의 (a), (b) 및 (c) 각각은 도 6의 제1 안테나(220)의 주파수 대역별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고, 도 10의 (d), (e) 및 (f) 각각은 도 8의 제1 안테나(220)의 주파수 대역별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 진한 색 부분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크며, 전기장의 효율이 높다. Each of (a), (b) and (c) of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ntenna 220 of FIG. 6, (d), (e) and (f) of FIG. )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first antenna 220 of FIG. 8 .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is large in the dark colored part, and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field is high.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61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단말기(600)를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일 때(이러한 상태를, 이동 단말기(600)가 정위치에 놓인 것으로 한다. 도 3a 참조),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610)는 제1 안테나(220)의 제1 루프부(221)의 바로 위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높게 나타나므로 이동 단말기(600)를 정위치로 거치하는 경우 안테나 커플링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600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lower part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faces downward (this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600 is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See Fig. 3a ), the lower portion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placed directly above the first loop portion 221 of the first antenna 220 . In this case, since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is high in all frequency bands in the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located,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may be excellent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in a fixed position.
또한, 도 10에 의하면, 제1 안테나(220)에 제1 돌출부(224)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1 돌출부(224) 부분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224)에 의하여, 보다 균일하고 강한 전기장 형성이 이루어지 수 있고, 안테나 커플링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FIG. 10, when the first protrusion 224 is formed on the first antenna 220,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is strong i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224 portions, and the first protrusion ( 224), a more uniform and strong electric field can be formed, and an area for antenna coupling can be further expanded.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610)가 위쪽을 향하도록 단말기(600)를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일 때(이러한 상태를, 이동 단말기(600)가 역위치에 놓인 것으로 한다. 도 3b 참조),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610)는 제2 안테나(230)의 제2 루프부(231)의 바로 위에 놓일 수 있다. 이때에도,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높게 나타나게 되며, 이동 단말기(600)를 역위치로 거치하는 경우 안테나 커플링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600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lower part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faces upward (this state, the mobile terminal 600 is placed in the reverse position. See Fig. 3b ), the lower portion 6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placed directly above the second loop portion 231 of the second antenna 230 . Even at this time,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in the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located appears high in all frequency bands,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in an inverted position,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may be excellent.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며, 도 13은 도 11의 재방사 안테나의 제1 안테나 부분에서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radiatio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of FIG. 11, and FIG. It is a figure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first antenna part of the re-radiation antenna.
무선충전장치(100)는 제2 스위치(160) 및 제3 스위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참조)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econd switch 160 and a third switch 170. (See FIG. 5)
제2 스위치(160)는, 제1 연장부(223b)에 위치하는 제5 지점(226)과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switch 16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the fifth point 226 positioned on the first extension 223b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3 스위치(170)는, 상기 제3 연장부(233b)에 위치하는 제6 지점(23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The third switch 17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 sixth point 236 located in the third extension part 233b to the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1 연장부(223b)에 위치하는 제5 지점(226)과, 상기 제3 연장부(233b)에 위치하는 제6 지점(236)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fifth point 226 positioned on the first extension part 223b and the sixth point 236 positioned on the third extension part 233b may form a symmetry with each other.
제1 연장부(223b)의 하단부터 제5 지점(226)까지의 길이(L6)는, 무선충전장치(100)의 크기,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안테나 특성,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ength L6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223b to the fifth point 226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the antenna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mobile termin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used, and the like. can be done
도 12에서,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이고,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이다.In FIG. 12 , ⓒ denotes a case in which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 denotes a case in which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와 접지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계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고, 특히, 저주파수 대역(800MHz~1000MHz)에서 신호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when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when not grounded,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and in particular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gnal in the low frequency band (800 MHz to 1000 MHz).
도 13은 800MHz주파수에서 제1 안테나(220)의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3에서, (a)는 800MHz 주파수에서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off)이고, (b)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on)이며, 특히, 제1 연장부(223b) 및 제2 연장부(223c)에서 전기장의 세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first antenna 220 at a frequency of 800 MHz. In FIG. 13, (a) is a case in which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off) at the 800 MHz frequency, (b) is the fifth point of the first antenna 220 In the case where 226 is grounded to the ground (on),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electric fiel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extension 223b and the second extension 223c.
이처럼,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와 접지된 경우, 반사계수 특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특히 저주파수 대역에서 반사계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이동 단말기에 적합한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not grounded and grounded, the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the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in the low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radiation antenna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suitable for a mobile terminal.
예컨대, 임의의 제1 이동 단말기의 경우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 저주파 대역에서 경로 손실(Path Loss)을 더욱 낮출 수 있고, 다른 임의의 제2 이동 단말기의 경우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는 경우 저주파 대역에서 경로 손실(Path Loss)을 더욱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y first mobile terminal, when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the path loss in the low frequency band may be further lowered, and another arbitrary second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when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path loss in a low frequency band may be further reduced.
도 14의 (a), (b), (c), (d) 및 (e) 각각은 도 8의 재방사 안테나(200)의 주파수 대역별 전기장 분포를 도시한 그림이다.(a), (b), (c), (d) and (e) of FIG.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electric field distribution for each frequency band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of FIG. 8 .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에 이동 단말기 안테나가 형성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단말기를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일 때,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위치하는 부분(제1 안테나(220)의 제1 루프부(221))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높게 나타나므로 이동 단말기(600)를 정위치로 거치하는 경우에 안테나 커플링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antenna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600, and when the terminal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600 faces downward,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located Since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in the portion (the first loop portion 221 of the first antenna 220) is high in all frequency bands,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is excellent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in a fixed position. may appear
또한,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에 이동 단말기 안테나가 형성될 때,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단말기를 무선충전장치(100)에 놓일 때, 이동 단말기(600)의 하부가 위치하는 부분(제2 안테나(230)의 제2 루프부(231))에서 전기장의 세기는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높게 나타나므로 이동 단말기(600)를 역위치로 거치하는 경우에도 안테나 커플링 효율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antenn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and when the terminal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faces up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Since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in the portion (second loop portion 231 of the second antenna 230) is high in all frequency bands,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mounted in an inverted position, the antenna coupling efficiency is reduced. can appear excellent.
도 15a, 도 15b, 도 15c 각각은, 재방사 안테나의 효율을 나타내는 S-parameter(반사계수)그래프이다.15A, 15B, and 15C are S-parameter (reflection coefficient) graphs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re-radiation antenna.
도 15a는 임의의 제1 이동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반사계수 그래프이며, 도 15a에서,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이고,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이다.15A is a graph of reflection coefficients in relation to an arbitrary first mobile terminal. In FIG. 15A, ⓔ is a case in which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 is the first antenna. The fifth point 226 of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도 15b는 임의의 제2 이동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반사계수 그래프이며, 도 15b에서,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이고,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이다.15B is a graph of reflection coefficients in relation to an arbitrary second mobile terminal. In FIG. 15B, ⓖ is a case where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 is the first antenna. The fifth point 226 of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도 15c는 임의의 제3 이동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반사계수 그래프이며, 도 15c에서,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된 경우이고, ⓙ는 제1 안테나(220)의 제5 지점(226)이 그라운드에 접지되지 않은 경우이다.FIG. 15C is a graph of reflection coefficients in relation to a third mobile terminal. In FIG. 15C, ⓘ is a case in which the fifth point 226 of the first antenna 220 is grounded to the ground, and ⓙ is the first antenna. The fifth point 226 of 220 is not grounded to the ground.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200) 및 무선충전장치(100)의 경우, 여러 다른 이동 단말기와의 관계에서도 각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900MHz, 1800MHz, 2100MHz 및 2700MHz)에서 매칭(matching)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the re-radiation antenna 200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tching in each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900 MHz, 1800 MHz, 2100 MHz and 2700 MHz) in relation to several other mobile terminals ( matching) is excellent.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와 제1 그룹의 이동 단말기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주파수 대역별로 나타낸 것이다. 단말기의 정위치(Forward)와 역위치(Reverse)의 경우를 구분하였고, 또한, 업링크(Up Link)와 다운링크(Down Link)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Table 1 shows the path loss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frequency band. The case of the forward and reverse positions of the terminal was divided, and the uplink and the downlink were displayed separately.
Phone PositionPhone Position
ForwardForward ReverseReverse
LTE 800LTE 800 Up LinkUp Link 8.6 dB8.6 dB 9.6 dB9.6 dB
Down LinkDown Link 10.9 dB10.9 dB 11.2 dB11.2 dB
LTE 900LTE 900 Up LinkUp Link 6.8 dB6.8 dB 8.5 dB8.5 dB
Down LinkDown Link 7.4 dB7.4 dB 9.2 dB9.2 dB
LTE 1800LTE 1800 Up LinkUp Link 12.8 dB12.8 dB 12.5 dB12.5 dB
Down LinkDown Link 13.6 dB13.6 dB 13.1 dB13.1 dB
LTE 2100LTE 2100 Up LinkUp Link 13.7 dB13.7 dB 11.8 dB11.8 dB
Down LinkDown Link 14.9 dB14.9 dB 12.3 dB12.3 dB
LTE 2600LTE 2600 Up LinkUp Link 13.6 dB13.6 dB 15.7 dB15.7 dB
Down LinkDown Link 13.2 dB13.2 dB 15.5 dB15.5 dB
AVERAGEAVERAGE 11.7 dB11.7 dB
여기서, 제1 그룹의 이동 단말기는, 2017년도와 2018년도에 판매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단말기들(A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 B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 C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이다.Here, the mobile terminals of the first group are mobile terminals with a relatively high sales ratio in 2017 and 2018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A,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B, It is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C).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들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은, 이동 단말기들이 정위치(Forward)로 놓일 때 평균값이 약 11.5dB이고, 이동 단말기들이 역위치(Reverse)로 놓일 때 평균값이 약 11.9dB이며, 이동 단말기가 정위치로 놓일 때와 역위치로 놓일 때의 경로 손실 값의 편차가 매우 작음을 알 수 있고, 모든 경우에 안정적인 안테나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average value of the path loss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the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11.5 dB when the mobile terminals are placed in a forward posi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value is about 11.9 dB when they are placed in the reverse position, and the deviation of the path loss valu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the normal position and the reverse position is very small, and stable antenna characteristics in all cases. It can be seen that indicates
또한, 정위치(Forward)와 역위치(Reverse) 전체의 경로 손실은 약 11.7dB이며, 이는 종래의 다른 재방사 안테나와 비교하더라도 우수한 값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path loss of the forward and reverse positions is about 11.7 dB, which is an excellent value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re-radiation antennas.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와 제2 그룹의 이동 단말기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을 주파수 대역별로 나타낸 것이다. 단말기의 정위치(Forward)와 역위치(Reverse)의 경우를 구분하였고, 또한, 업링크(Up Link)와 다운링크(Down Link)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Table 2 shows the path loss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frequency band. The case of the forward and reverse positions of the terminal was divided, and the uplink and the downlink were displayed separately.
Phone PositionPhone Position
ForwardForward ReverseReverse
LTE 800LTE 800 Up LinkUp Link 9.5 dB9.5 dB 9.5 dB9.5 dB
Down LinkDown Link 10.9 dB10.9 dB 10.4 dB10.4 dB
LTE 900LTE 900 Up LinkUp Link 7.6 dB7.6 dB 7.9 dB7.9 dB
Down LinkDown Link 10.8 dB10.8 dB 11.0 dB11.0 dB
LTE 1800LTE 1800 Up LinkUp Link 9.6 dB9.6 dB 8.7 dB8.7 dB
Down LinkDown Link 12.1 dB12.1 dB 11.6 dB11.6 dB
LTE 2100LTE 2100 Up LinkUp Link 12.9 dB12.9 dB 12.7 dB12.7 dB
Down LinkDown Link 17.9 dB17.9 dB 17.3 dB17.3 dB
LTE 2600LTE 2600 Up LinkUp Link 15.4 dB15.4 dB 16.6 dB16.6 dB
Down LinkDown Link 16.5 dB16.5 dB 17.5 dB17.5 dB
AVERAGEAVERAGE 12.3 dB12.3 dB
여기서, 제2 그룹의 이동 단말기는, 현재 판매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단말기들(A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 B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 C사(社)의 휴대전화 브랜드 및 시리즈)이다.Here, the mobile terminals of the second group include mobile terminals with a relatively high sales proportion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A,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B, and a mobile phone brand and series of company C). of mobile phone brands and series).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와 이동 단말기들 간의 경로 손실(Path Loss)은, 이동 단말기들이 정위치(Forward)로 놓일 때 평균값이 약 12.3dB이고, 이동 단말기들이 역위치(Reverse)로 놓일 때 평균값이 약 12.3dB이며, 이동 단말기가 정위치로 놓일 때와 역위치로 놓일 때의 경로 손실 값이 거의 같음을 알 수 있고, 모든 경우에 안정적인 안테나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average value of the path loss between the re-radiation antenna and the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12.3 dB when the mobile terminals are placed in a forward position, and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value is about 12.3 dB when they are placed in the reverse position, and the path loss value is almost the sam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n the normal position and in the reverse position, indicating stable antenna characteristics in all cases. can be known
또한, 정위치(Forward)와 역위치(Reverse) 전체의 경로 손실은 약 12.3dB이며, 이는 종래의 다른 재방사 안테나와 비교하더라도 우수한 값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path loss in the forward and reverse positions is about 12.3 dB,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n excellent value even compared to other conventional re-radiation antenna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changes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방사 안테나 및 무선충전장치는, 무선충전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현저하다.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wireless charg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can be made effectively, industrial applicability is remarkable.

Claims (20)

  1. 절연판;insulation plate;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안테나; 및a first antenna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고,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이격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A second antenna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안테나는,The first antenna is
    닫힌 고리(loop) 형상의 제1 루프부;A first loop portion of a closed loop (loop) shape;
    상기 제1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연결부; 및a first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loop part; and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2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브랜치부를 포함하고,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 first branch part having both ends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닫힌 고리(loop) 형상의 제2 루프부;A second loop portion of the closed loop (loop) shape;
    상기 제2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연결부; 및a second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loop part; and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1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브랜치부를 포함하는,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 second branch part having both ends extending toward the first antenna,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2.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면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루는,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insulating plate,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3.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상기 제1 브랜치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작고,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first loop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first branch portion,
    상기 제2 루프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은, 상기 제2 브랜치부를 이루는 라인의 폭보다 작은,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second loop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a line forming the second branch portion,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4. 제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each form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5.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서로 대칭이고, 상기 제1 브랜치부와 상기 제2 브랜치부가 서로 대칭인,Based on a first virtual center li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pass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and the The second branch portion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6.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2 루프부를 양분하는 가상의 제2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이격되는,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a second imaginary center line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bisecting the first loop portion and the second loop portion,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7. 제6항에 있어서,7.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 브랜치부는,The first branch unit,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한 제1 중앙부;a first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first loop portion;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and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먼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상기 제2 브랜치부는,The second branch unit,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2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한 제2 중앙부;a second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second loop portion;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 및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line toward the first antenna; and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먼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포함하는,Comprising a four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first antenna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8.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안테나는, The first antenna is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from the first loop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Contain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protruding inward from the second loop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9.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1 안테나는,The first antenna is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기 제2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1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인접한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제1 포트를 포함하고,A first port including a first point located in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extension than the first extension and a second point adjacent to the first point in the first loop portion,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상기 제3 연장부보다 상기 제4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2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3 지점과,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한 제4 지점을 포함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고,A second port including a third point located in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fourth extension than the third extension and a fourth point adjacent to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loop portion,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 중에서, 어느 하나로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A signal is input to one of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제3 지점과 상기 제4 지점 중에서, 어느 하나는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는 그라운드와 연결되는,Among the third point and the fourth point, one is inputted with a signal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10.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제1 안테나는,The first antenna is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기 제2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1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인접하고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제1 포트를 포함하고,a first point located in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ha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point adjacent to the first point in the first loop portion and to which a signal is input. including a first port to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상기 제3 연장부보다 상기 제4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2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3 지점과,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하고 신호가 입력되는 제4 지점을 포함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는,a third point located in the second central part closer to the fourth extension part than the third extens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fourth point adjacent to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loop part and to which a signal is input. including a second port to
    재방사 안테나.re-radiating antenna.
  11.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외부 단말기에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송신코일; 및a power transmission coil located inside the housing, receiving power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to an external terminal; and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안테나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다시 방사하도록 이루어지고,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안테나와, 상기 절연판의 한쪽 면에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이격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재방사 안테나; 및The first antenna is configured to receive an antenna signal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radiate it again, an insulating plate, a first antenna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and a conductive material on one side of the insulating plate, the first antenna and a re-radiation antenna comprising a second antenn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A first switch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2.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안테나는,The first antenna is
    닫힌 고리(loop) 형상의 제1 루프부;A first loop portion of a closed loop (loop) shape;
    상기 제1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연결부; 및a first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loop part; and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2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브랜치부를 포함하고,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 first branch part having both ends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닫힌 고리(loop) 형상의 제2 루프부;A second loop portion of the closed loop (loop) shape;
    상기 제2 루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 연결부; 및a second connection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loop part; and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양 단부가 상기 제1 안테나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브랜치부를 포함하는,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includes a second branch part having both ends extending toward the first antenna,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3.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절연판의 면에 수직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대칭을 이루는,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insulating plate,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4.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each form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5. 제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 사이를 지나는 가상의 제1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루프부와 상기 제2 루프부는 서로 대칭이고, 상기 제1 브랜치부와 상기 제2 브랜치부가 서로 대칭인,Based on a first virtual center li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passing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the first loop part and the second loop par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ranch part and the The second branch portion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6. 제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루프부 및 상기 제2 루프부를 양분하는 가상의 제2 중심선으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이격되는,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a second imaginary center line parallel to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bisecting the first loop portion and the second loop portion,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7. 제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 브랜치부는,The first branch unit,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1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한 제1 중앙부;a first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first loop portion;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and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1 연결부와 먼 상기 제1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cond antenna from one end of the first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상기 제2 브랜치부는,The second branch unit,
    상기 제2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며 상기 제2 루프부와 길이가 동일한 제2 중앙부;a second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that of the second loop portion;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가까운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 및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line toward the first antenna; and
    상기 제2 중심선보다 상기 제2 연결부와 먼 상기 제2 중앙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안테나 쪽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를 포함하는,Comprising a fourth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first antenna from one end of the second central portion that is farth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an the second center line,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8.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 돌출부; 및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 from the first loop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Containing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protruding inward from the second loop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19.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안테나는,The first antenna is
    상기 제1 연장부보다 상기 제2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1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1 지점과, 상기 제1 루프부에서 상기 제1 지점과 인접하고 신호가 입력되는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제1 포트를 포함하고,a first point located in the first central portion closer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ha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second point adjacent to the first point in the first loop portion and to which a signal is input. including a first port to
    상기 제2 안테나는,The second antenna,
    상기 제3 연장부보다 상기 제4 연장부와 가깝게 상기 제2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3 지점과, 상기 제2 루프부에서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하고 신호가 입력되는 제4 지점을 포함하는 제2 포트를 포함하는,a third point located in the second central part closer to the fourth extension part than the third extens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fourth point adjacent to the third point in the second loop part and to which a signal is input. including a second port to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20. 제17항에 있어서,18.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5 지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 및a second switch selectively connecting a fifth point positioned on the first extension to a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상기 제3 연장부에 위치하는 제6 지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including a third switch selectively connecting a sixth point located in the third extension portion and a grou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PCT/KR2020/006767 2020-05-25 2020-05-25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21241766A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767 WO2021241766A1 (en) 2020-05-25 2020-05-25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20227026956A KR20230014678A (en) 2020-05-25 2020-05-25 Reradiating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6767 WO2021241766A1 (en) 2020-05-25 2020-05-25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766A1 true WO2021241766A1 (en) 2021-12-02

Family

ID=7874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767 WO2021241766A1 (en) 2020-05-25 2020-05-25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4678A (en)
WO (1) WO2021241766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906B2 (en) * 2007-01-08 2012-06-26 Apple Inc. Antenna insert
US20130300358A1 (en) * 2008-05-13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appliances and equipments
KR20140000814A (en) * 2012-06-25 2014-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rection control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60114884A (en) * 2015-03-25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er
KR20200003907A (en) * 2018-06-01 2020-01-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Antennas and mobile termi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906B2 (en) * 2007-01-08 2012-06-26 Apple Inc. Antenna insert
US20130300358A1 (en) * 2008-05-13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appliances and equipments
KR20140000814A (en) * 2012-06-25 2014-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rection control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60114884A (en) * 2015-03-25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er
KR20200003907A (en) * 2018-06-01 2020-01-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Antennas and mobile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78A (en)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6578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10114307A2 (en) Internal antenna module
WO202108566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5g antenna
EP337812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leaky-wave phased array antenna
WO2021033806A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ransparent antenna
WO2020153823A1 (en) Antenna module having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laminated therein,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2157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by electronic device, antenna path of transmission signal
WO2021157752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tenna
WO202102546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1006564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21225187A1 (en) Vehicle-mounted antenna system
WO202118779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lurality of antennas
WO2009154417A2 (en) Multiband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unit and portable terminal unit equipped with the same
WO2021235578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WO2022004913A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antenna
WO2021225186A1 (en) Vehicle-mounted antenna system
WO2021241766A1 (en) Reradiation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WO2021085688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built-in antenna
WO202108566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ntenna
WO202014541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2125151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WO202202540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multi-beam transmission
WO202112538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102059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WO2020251089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ransmiss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37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37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