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4058A2 -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4058A2
WO2018044058A2 PCT/KR2017/009461 KR2017009461W WO2018044058A2 WO 2018044058 A2 WO2018044058 A2 WO 2018044058A2 KR 2017009461 W KR2017009461 W KR 2017009461W WO 2018044058 A2 WO2018044058 A2 WO 201804405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pow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461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Other versions
WO2018044058A3 (en
Inventor
양기출
박중길
유진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04405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4058A2/en
Publication of WO201804405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4058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Definitions

  •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When the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is expected to exceed the total limited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or exceed the set time, at least a part of each charging device in the parking lot charges by group or sequentially. You can proceed.
  •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location of each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o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number of empty parking zone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for each parking lot, the location and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area that can be charged may be displayed.
  • the data storage module may further store an upgrade file for remote upgrade of each charging device received through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follow a power meter (AMI) identification system used by a power company (for exampl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one or more letters, number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 the charging device 102 uses the charging cable to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charge (or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amount).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 the charging device 102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detect the load current and the load voltag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based on the detected load current and the load voltage. .
  • the user may check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ing and selling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 the user may check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may query the charging history, the charging amount, the charging progress state,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 the user may check the sell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may query the electric power selling history,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discharge progress state, the estimated discharge time, and the like. Can be.
  • the data storage module 218 may store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 the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may include, for example, the time at which the error occurred when the error (or failure) of the charging device 102 occurred, the cause of the error, a part for resolving the error, or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history / upgrade history of the algorithm.
  • Each charging device 102 stores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i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when an error occurs or resolution thereof, and stores the event log through the repeater 120 throug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May be forwarded to server 114.
  •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 the user may park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by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106 into the charging device 10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omprises: an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for, according to recognition of an electric vehicle, a user terminal, or a payment card possessed by a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uthenticating the user or electric vehicle and approv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 power control module for, when the authentication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are complete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or cutting off the supply of the power;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in real tim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delivering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history to a charging operator cloud server accessible by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harging apparatus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or more charging apparatuses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parking area in a predetermined parking lot.

Description

전기차용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omprising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구축하기 위한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harging device and a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quickly and inexpensively constructing a charging infra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최근 들어,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전기차에 대한 연구 및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운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차의 충전은 그 방식에 따라 급속 충전(Quick Charging)과 완속 충전(Slow Charging)으로 나누어진다. 급속 충전 방식의 경우 대용량 컨버터가 탑재된 고가의 급속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에 직류(DC) 전원을 단시간 공급하게 되며, 완속 충전 방식의 경우 완속 충전기를 통해 소형 컨버터가 탑재된 전기차에 단상의 교류(AC) 전원을 장시간 공급하게 된다. 전기차의 동력원인 전력은 주유소 위주로 공급되는 일반 차량용 유류와는 달리 기존 전력망을 통해 전국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으므로, 전기차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전기차의 운행 중 충전소에 들러 약 20~30여분 동안 충전하는 급속 충전 방식보다 주행 시간에 비해 주차 시간이 훨씬 많은 일반 차량의 특성상 주차하는 동안 주차장에서 충전하는 완속 충전 방식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Recently,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and in particular, as the air pollution problem caused by automobile exhaust gas has emerged, research and investment in electric vehicles of major global automobile companies have increased. In general, the electric vehicle may be driven using electric energy charged in an internal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charged through a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vided into quick charging and slow charging according to the method. In the case of the fast charging method, DC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for a short time through an expensive quick charger equipped with a large capacity converter. ) Power is supplied for a long time. Unlike general vehicle oil, which is mainly supplied to gas stations, electric power, which is the power source of electric vehicles, can be obtained anywhere in the country through the existing electric power gri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rdinary vehicles, which have much more parking time than the charging time, the slow charging method that is charged in the parking lot is expected to be the mainstream.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급속 및 완속 충전 방식의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장 실사, 충전기 설치 계획 수립, 충전기 설치 등의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 설치 위치 확보의 어려움, 배전 전상망 전체 교체 및 중앙 전력 제어 장치의 매입 필요, 다수의 전기차의 급속 충전시 건물 전체 전력계통의 다운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기설치된 계량기로 측정되는 전력 요금에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전력 요금을 분리정산하기 위한 방책으로 별도의 전력공급라인과 계량기를 설치하여야만 하나, 아파트나 복합건물의 경우 별도의 전력공급라인과 계량기를 설치하는 것이나 또는 전력공급라인을 추가하지 않고 전력 요금만을 분리정산하는 모자 분리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나아가, 공동주차장을 사용하는 복합건물의 경우 입주자 및 전기차 사용자와 건물주간의 전력 요금에 대한 상계 처리가 더 복잡하여 건물주가 전기차 충전장치의 설치를 회피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스마트 미터기의 보급에 따른 실시간 전력 요금 변동제와 다양한 전력 요금 체계하에서는 정산문제로 인한 이해관계로 전기차 보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충전 인프라의 확충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나아가, 종래의 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전기차 증가시 전력 예비율을 예측 및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build a conventional charging infrastructure of the fast and slow charging method, complex procedures such as field inspection, charger installation planning, and charger installation are required, which results in excessive time and cos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harging system has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securing the charger installation position, the entire distribution network distribution and the purchase of the central power control device, the risk of down the entire power system of the building when the rapid charging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eparate power supply line and a meter must be installed as a measure for separately calculating the power rate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power rate measured by an installed meter, but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a complex building, separate power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a supply line and a meter, or to separate a hat that separates and sets the electricity bill without adding a power supply li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building using a common parking lot, the process of offsetting power bills between the tenant, the electric vehicle user, and the building owner is more complicated, and the landlord must avoid install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 addition, under the real-time power rate fluctuation system and various power rate systems due to the spread of smart meters, it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expand the most important charging infra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dissemination due to the interest caused by settlement problems.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harg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reserve ratio cannot be predicted and adjusted when the electric vehicle increases.
또한, 최근 들어 충전용 케이블에 RFID 리더, 각종 센서 및 제어 기능을 내장하고 기 설치된 콘센트에 RF 태그를 부착함으로써 스마트 충전기에 기반한 충전 인프라 모델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 전기차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을 보관 및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충전용 케이블의 가격이 과도하게 증가하고 충전용 케이블의 파손 또는 분실시 과도한 비용으로 이를 새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charging infrastructure model based on a smart charger has been developed by embedding an RFID reader, various sensors, and control functions in a charging cable, and attaching an RF tag to an installed outlet. In this case, an electric vehicle user stores and manages a charging cable. Along with the inconvenience to be d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of the charging cable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a new one is purchased at an excessive cost when the charging cable is damaged or los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차의 인증 및 요금의 결제, 전력량의 계측 및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된 간편한 충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보급함과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일원화된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imple charging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the authentication and payment of the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quickly and cheaply disseminate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united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service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용 충전 장치로서, 전기차,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고 전기차의 충전을 승인하는 인증 및 승인 모듈; 상기 인증 및 충전의 승인이 완료되는 경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제어 모듈; 상기 전기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 모듈;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충전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장치는, 설정된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n authentic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and approv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as the electric vehicle, the user terminal, or the payment card possess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is recognized; Approval module; A power contro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or cutting off the supply of power when the authentication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are completed;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in real tim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ferring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history to a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accessible, wherein the charging device is disposed at least one within a set distance from each parking area in the set parking lot. , A charging device is provided.
상기 충전 장치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n outlet.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harging information.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요금, 상기 전력량, 상기 전기차의 식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충전 상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상기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rging fe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amount of p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 state of charge of the electric vehicle, an estimated time of completion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an installation position. have.
상기 충전 장치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충전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의 총 제한 용량을 초과하거나 설정된 시간 내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 내 각 충전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그룹별로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is expected to exceed the total limited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or exceed the set time, at least a part of each charging device in the parking lot charges by group or sequentially. You can proceed.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에 속한 각 주차장의 위치, 상기 각 주차장별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개수, 위치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location of each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o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number of empty parking zone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for each parking lot, the location and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area that can be charged may be displayed.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차장, 빈 주차 구역,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관련 정보를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the repeat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for the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parking lot, the empty parking are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Can be received via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되며,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시 상기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대응되는 충전 요금의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charge rate or a charge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and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may settle the charge rate corresponding to the charge rate or the charge amount upon authentication of the user. Can be approved.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a charging time period input from the user.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충전 시간대에 타 사용자 단말 또는 타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하는 경우 충전 불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may generate a non-chargeable message when recognizing a payment card possessed by another user terminal or another user during the charging time period.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충전 장치의 연결이 단절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충전 중지 요청이 상기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까지 상기 전기차로 공급된 전력량에 해당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만을 승인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is to the present tim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device is disconnected by the user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r when a charge stop reques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peater. Only payment for a charging charg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may be approved.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을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고, 상기 계측 모듈은,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고, 상기 충전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request for selling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and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may be used by the user or the user according to the selling request. The electric vehicle may be authenticated, and the measurement module may measure an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in response to the selling request, and control a direction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module may supply the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ing cable.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구,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수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plug for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and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charging cabl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lug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수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전자석일 수 있다.The locking means may be an electromagnet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polo.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기차의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수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push)하는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separating means for pushing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be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Can be.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는 도중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module may block the supply of power when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while supplying the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력 제어 모듈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 module.
상기 충전 장치의 방수(water proof), 방진(dust proof)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를 위해 상기 충전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surrounding the charging device for water proofing, dust proof and protection of the charging device from external shock.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누전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fault blocking module for blocking a ground fault of the charging device.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 또는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icense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charging device.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를 감지하여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의 주차 유무를 판별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n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진행 과정을 음성 안내하는 음성 안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oice guide module for voice guiding a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장치로 입력 및 출력되는 전원은,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일 수 있다.The power input and output to the charging device may be AC power or DC power.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may further store an event log related to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각 충전 장치의 원격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 파일을 더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may further store an upgrade file for remote upgrade of each charging device received through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각 충전 장치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으로부터 수요관리(Demand Response)를 위한 빅데이터로서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각 지역별 각 차종별, 각 계절별 또는 각 시간대별 충전 이력이 산정될 수 있다.In the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as a big data for demand response (Demand Response) from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by each of the at least one charging device for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each region The charging history for each vehicle, each season, or each time zone may be calculated.
상기 각 충전 장치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DR) 명령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Each charging device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demand management (DR) command of a demand management operator.
상기 수요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주차장 내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의 충전이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charging of one or more charging devices in the parking lot may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각 주차 구역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may be linked to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each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to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차장 내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의 개수, 위치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empty parking area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number,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area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lot. can do.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Information regarding the empty parking area may be displayed in a kiosk installed within a distance set from each of the parking areas.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복수의 충전 장치; 및 중계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에서의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력사 서버에서 상기 전력사 서버와 연결된 계량기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및 타 전력 부하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제2 누적 전력 사용량에서 상기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을 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력사 서버로 제공하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를 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described above; And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nd other power loads are received which receive information on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through a repeater, and which are received from a power company server through a meter connected to the power company server. Recharge provider cloud serv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to the power company server to subtract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from the second cumulative power usage in the includes a recharge provider cloud server, A charging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복수의 충전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피크 전력을 관리하는 최대 전력 관리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총 제한 용량을 초과하거나 설정된 시간 내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중 적어도 일부가 그룹별로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described above; And a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that manages peak power of a powe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wherein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exceeds a total limited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device; A charging system is provided that includes a repeater that controls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perform charging by group or sequentially when expected to exceed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전기차를 인식하며 충전 요금을 결제하고 전기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전 장치의 설치만으로 별도의 전력 공급 라인과 계량기가 필요 없어 전기차의 충전 인프라를 보다 신속하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충전 케이블의 기능이 단순화됨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파손 또는 분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the electric vehicle to be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to charge the charge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ower supply line and a meter only by installing the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electric vehicles can be built more quickly and cheaply. In addition, in this case, as the function of the charging cable is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burden due to damage or loss of the charging c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기차의 충전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충전 장치는 이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는 전기차의 충전 정보를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전력사 서버 및 결제사 서버는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상기 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모자 분리 없이도 건물의 전체 사용전력 및 전력 요금에서 본 충전 장치에서의 충전전력 및 전력 요금을 공제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자와 건물주간의 전력 요금 상계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충전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he charging device may supply power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electric vehicle.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may provide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the power company server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may obtain the charging information throug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ffset the electric charges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user and the building owner by deducting the charging power and the electric charge from the charging device from the total electric power and the electric charge of the building without a separate hat. In addition, a user may remotely check the charging inform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linked wit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공급 장치의 피크 전력제어에 필요한 전력 사용정보를 제공하여 전력 블랙아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blackout may be prevented by providing power usage information necessary for peak power control of the power suppl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를 통해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사에 되팔거나 건물 내 ESS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ing device can be sold back to the power company or stored in the ESS in the building, thereby enabling efficient power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장치는 별도의 설치 공간이 불필요하며,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의 경우 직관적이고 편리한 충전 방식과 설치 장소에 제한없이 동일의 충전 요금 적용이 가능하며, 최대 전력 관리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각 충전 장치의 충전 부하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 시스템의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는 충전 장치의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전량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빅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충전 장치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으로부터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각 지역별 각 차종별, 각 계절별 또는 각 시간대별 충전 이력이 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수요관리(Demand Response)를 위한 빅데이터(즉, 발전량 기준을 산정하기 위한 빅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충전 장치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 명령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관리사업자는 각 충전 장치를 위한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 효율적인 수요관리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harging system using the charging device, the same charging charge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the intuitive and convenient charging metho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charging load of each charging device is flexibly operated by interworking with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can do. Furthermore,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of the charging system can check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charging device in real time, thereby securing big data that is essential for power generation management. In particula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history for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each vehicle, each season, or each time zone can be calculated from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by each charging device. It can be used as big data for demand response (ie, big data for calculating generation amount criteria). In addition, each charging device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of the dem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r, and thus the dem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r may operate an efficient demand management business without establishing a separate infrastructure for each char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3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4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5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6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7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8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예시9 illustrates an exampl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및 충전 장치의 예시10 is an illustration of a kiosk and charg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및 충전 장치의 다른 예시11 is another illustration of a kiosk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나타낸 예시12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 구역 내 전기차의 주차 유무를 판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area using the sensor of FIG. 12.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14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16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전력 요금을 모자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ower charge in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관리 장치와 연동하여 충전 부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charging load in conjunction with a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정보의 예시19 illustrates an example of charging information display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장치(102),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결제사 서버(112) 및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2)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18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device 102, a user terminal 108, a power company server 110, a payment company server 112, and a charging service provider. Cloud server 114.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harging device 1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80.
여기서, 충전 장치(102)는 제1 네트워크(116)를 통해 중계기(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계기(120)는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120 through the first network 116, the repeat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rough the second network 118.
이때, 제1 네트워크(116)는 충전 장치(102)와 중계기(1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LoRa, LTE-M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중계기(120)는 제1 네트워크(116)를 통해 충전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거나,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116)를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network 116 is a communication network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repeater 120, for example, Zigbee, Z-Wave, LoRa, LTE- I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M. The repeater 120 conver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through the first network 116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118, or the provider cloud server through the second network 118. Data received from the 114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hrough the first network 116.
또한, 제2 네트워크(118)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3G망, 4G망 또는 LTE망, 와이브로망 등의 패킷 통신망 이외에 유/무선 인터넷망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118)는 예를 들어, 로라(LoRa)망, LTE-M망 등일 수 있다. 로라망은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전용망으로서, 10Mbps 미만의 저속 무선 통신으로 적은 단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예를 들어, 통신사의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네트워크(118)는 상기 통신사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터넷망일 수 있다. 또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통신사와 무관한 별도 사업자,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할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network 118 i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both wired and wireless Internet networks in addition to packet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network, 4G network or LTE network and WiBro network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econd network 118 may be, for example, a LoRa network, an LTE-M network, or the like. The Laura Network is a dedicated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hat is used to deliver small units of data with low-speed wireless communications below 10 Mbps.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be, for example, a cloud server of a carrier, and in this case, the second network 118 may be an internet network provided by the carrier. In additio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be a separate operator, for example, a server of a provider that provides a charging service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와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와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후술할 충전 정보, 매도 정보 등)를 공유하고 관련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에 제공할 수 있다.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8,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through the second network 118, the user terminal 108, the power company server (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for example, charging information, selling information, etc. to be described later) and share the related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 108,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may be provided.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충전 장치(102)는 예를 들어, 전기차(104) 충전용 콘센트일 수 있으며, 별도의 충전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기차(104)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휴대하는 충전 케이블 또는 충전 장치(102)의 일측에 미리 비치된 충전 케이블(즉, 충전 사업자가 제공하는 충전 케이블)을 상기 콘센트와 전기차(104)에 각각 삽입하여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기차(104)의 충전을 위해 충전 케이블의 일단을 전기차(104)의 주입구(미도시)에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의 타단을 상기 콘센트의 수구에 삽입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2)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차(104)의 배터리 충전 정보를 유, 무선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harging device 102 is a device us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for example, an outle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may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separate charging cable (not shown). In this case, the user inserts a charging cable or a charging cable (ie, a charging cable provided by a charging service provider) previous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device 102 to the outlet and the electric vehicle 104, respectively. 104) can be charged. Specifically, the user may connect one end of the charging cable to the inlet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insert the other end of the charging cable into the outlet of the outlet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harging device 102 may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input from the us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charging cable, and check the battery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Can be.
다만, 충전 장치(102)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장치(102)는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케이블이 미리 탑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 케이블은 충전 장치(102)의 전력 제어 모듈(미도시)에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의 인증 및 전기차(104)의 충전 승인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전기차(104)에 삽입하여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충전 케이블은 케이블 박스(미도시)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및 충전의 승인 완료시 상기 케이블 박스가 개방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form of the charging device 102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the charging cable is mount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charging cable may be fixedly connected to a power control module (not shown)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user may connect the charging cable to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104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is case, the charging cable may be provided in a cable box (not show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and charging is completed, the cable box may be opened to be used by the user.
*한편,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기차(104, Electric Vehicle)는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운송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Electric Car), 전기 오토바이, 전기 카트 등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electric vehicle 104 is a vehicle that is driven by electric power, and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car, an electric motorcycle, an electric cart, or the like.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충전 장치(102)는 완속 충전(Slow Charging)(또는 AC 충전) 방식으로 전기차(104)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는 220V의 교류(AC) 전원을 전기차(104)로 공급할 수 있으며, 이렇게 공급된 전원은 전기차(104)에 내장된 OBC(On-Board Charger, 미도시)를 통해 직류(DC) 전원으로 변환되어 전기차(104) 내부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게 된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충전 장치(102)에서 인(in)/아웃(out)되는 전원의 형태 및 충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전 장치(102)는 예를 들어, 직류(DC) 전원을 전기차(104)로 공급할 수도 있으며, 급속 충전 방식으로 전기차(104)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2)는 교류(AC) 전원 또는 직류(DC) 전원을 전기차(104)로부터 공급 받을 수도 있다. 즉, 충전 장치(102)로 입력 및 출력되는 전원은 교류(AC) 전원 또는 직류(DC) 전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용 가능하며, 자동 또는 수동 스위치 등을 통해 전원 절체(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102)는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을 구분하여 계측 가능하며,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harging device 102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in a slow charging (or AC charging) manner.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supply 220V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supplied power supplies an on-board charger (OBC) (not shown) built in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conversion to the direct current (DC)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not shown) inside the electric vehicle 104.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form and charging method of the power source in / out of the charging device 102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supply direct current (D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by a quick charging method.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supplied with 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or direct current (DC)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That is, the power input and output to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an AC power source or a DC power source.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AC power and DC power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can switch power (switching) through an automatic or manual switch.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can measure the AC power source and DC power source separately, and can control the AC power source and the DC power source in both directions.
상기 충전 장치(102)는 설정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장치(102)는 설정된 하나 이상의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은 개인 주택의 차고,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주차장, 백화점, 병원, 마트 등과 같은 공공 장소의 주차장, 도로변의 공용 주차장 등을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가 상기 주차장 내 주차 구역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충전 장치(102)는 고유의 식별 정보(또는 고유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전력사(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에서 사용하는 전력량계(AMI) 식별체계를 따를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문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장치(102)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charging device 102 can be installed in a wide range in the set area. Specifically, at least one charging device 102 may be dispos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each parking area in the set at least one parking lot. Here, the parking lot i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garage of a private house, a parking lot of a common house such as an apartment, a parking lot of a public place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hospital, a mart, a public parking lot of a roadside, and the lik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of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hav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unique I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follow a power meter (AMI) identification system used by a power company (for exampl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one or more letters, number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이때, 충전 장치(102)는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18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180)은 각 충전 장치(102)가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미도시)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장치(102)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180)과 연동하여 상기 각 주차 구역 중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180)으로부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차장 내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개수(예를 들어, 주차장 내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총 개수, 주차장 내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층별 개수 등), 빈 주차 구역의 위치(예를 들어, 빈 주차 구역이 주차장의 몇 층(지하 1층, 지하 2층…등)인지, 주차장 내 어느 위치(A-1, A-2, A-3, B-1, B-2, B-3, C-1, C-2, C-3…인지 등) 및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단말로서,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0미터)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충전 장치(102)의 일종으로서, 예를 들어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는 충전 장치(102)의 일부 구성, 예를 들어 후술할 인증 및 승인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키오스크를 확인하여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102) 와 주차장 관리 시스템(180)과의 연동을 통해 전기차(104)의 주차 및 충전 예약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장 내 다수의 주차 구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80 that manages each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18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 a gateway (not shown) to which each charging device 102 is connected. In detail, the charging device 102 may gu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charged among the parking areas in cooperation with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80. For example, the gateway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area from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80 and transmit it to the charging device 102.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area is the number of empty parking zones that can be charged for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lot (for example, the total number of empty parking zones that can be charged for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lot, in the parking lot). The number of floors of an empty parking area where the electric vehicle 104 can be charged, etc., the location of the empty parking area (e.g., how many floors of the parking lot is the first floor, the first basement, the second underground, etc.) Where (A-1, A-2, A-3, B-1, B-2, B-3, C-1, C-2, C-3, etc.)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available empty parking area, and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area may be displayed in a kiosk (not shown) install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each parking area. Kiosk is a terminal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the distance set from each parking area (for example, 100 meters) The kiosk is a kind of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it can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and the kiosk is also part of the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a display module,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The kiosk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mpty parking area, and thus, the user may check the kiosk while entering the parking lot, and then the electric vehicle. It is easy to find an empty parking area that can be charged 104. That i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k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80.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charge reservation service more efficiently, and thus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manage a plurality of parking zones in the parking lot.
이후,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 사용자 단말(108) 또는 전기차(104)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를 인증하고 전기차(104)의 충전을 승인(또는 사용자의 충전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charging device 102 authenticates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possessed by the user as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user terminal 108, or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recognizes the payment card. 104 may approve the charging (or approve the charging request of the user).
이를 위해, 사용자는 충전 장치(102) 또는 키오스크에서 충전 요청과 함께 충전 금액 또는 충전량을 입력하고, 상기 결제 카드를 통해 충전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may input the charge amount or the charge amount together with the charge request in the charging device 102 or the kiosk, and may charge the charge through the payment card.
이때, 충전 장치(102)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모듈,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전기차(104)를 인식하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08)을 인식하거나, 또는 카드 리더기 등과 같은 RFID 리더기를 통해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전기차(104)를 인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102 recognizes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photographing module such as a camera, a proximity sensor, or the user terminal 108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Or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authenticated by recognizing the user's payment card through an RFID reader such as a card reader.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과 함께 충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8)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 단말(108)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지역에 속한 각 주차장의 위치, 각 주차장별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개수 및 위치,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102)의 식별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술한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8)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는 상기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는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차장,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빈 주차 구역,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장치(104)의 식별 정보,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의 인증시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금 또는 상기 충전량에 대응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may input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with a charging reques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8. The mobil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receives a specific area from the user or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he location of each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empty parking zones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for each parking lot may be displaye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zones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empty parking area from the above-described gateway and transfer to the user terminal 108. A user may input charging request and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the charging device 102 receives the charging request and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relay 120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can do. The charging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parking lot input from the user, an empty parking area input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4 input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possessed by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charge or the amount of charg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approve payment of the charging fee included in 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or the charging fe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amount when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authenticated.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의 인증 및 충전의 승인(또는 충전 요청에 대한 승인)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 장치(102)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 요금에 대응되는 전력(또는 충전량에 해당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에 공급되는 부하 전류 및 부하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부하 전류와 부하 전압을 기반으로 전기차(104)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102)에서 충전 요금의 결제를 승인하고 전기차(104)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전 장치(102)의 설치만으로 전기차(104)의 충전 인프라를 보다 신속하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충전 케이블의 기능이 단순화됨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가격이 저렴해지고, 이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파손 또는 분실시 저렴한 비용으로 이를 새로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은 RFID 리더, 각종 센서 및 제어 기능이 내장될 필요가 없으며 전력 전달 기능만 있으면 족하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or the approval for the charging request) are completed, the charging device 102 uses the charging cable to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charge (or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amount).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t this tim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detect the load current and the load voltag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based on the detected load current and the load voltage. . That i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arging the charging device 102 to approve the payment of the charge and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electric vehicle 104 only by the install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Can build a charging infrastructure faster and cheaper. In addition, in this case, as the function of the charging cable is simplified, the price of the charging cable becomes cheap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purchase a new one at a low cost when the charging cable is damaged or lost.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harging cable does not need to have a built-in RFID reader, various sensors and control functions, but only a power transfer function.
또한, 각 충전 장치(102)는 상기 충전 장치(102)의 충전 이력을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의 충전 정보 및 충전 이력을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요금 또는 상기 충전 요금에 대응되는 전력량(충전량), 결제 날짜 및 시각, 충전 상태(예를 들어, 현재 충전 대기 중인지, 현재 충전 중인지, 현재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충전 진행률 등),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기차(104)의 차량번호),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충전 장치(102)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이력은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에서 전기차(104)의 충전이 이루어진 시간대,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한 달 동안) 충전 장치(102)에서 전기차(104)가 충전된 횟수, 충전 장치(102)를 통해 충전된 전기차(104)의 차종, 충전 장치(102)를 통해 충전된 충전량 또는 충전 장치(102)에서 결제된 충전 요금(예를 들어, 1건당 개별 충전량/충전 요금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총 충전량/총 충전 요금 등), 충전 장치(102)가 속한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는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충전 정보, 충전 이력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8) 또한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에 접속하여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record and store a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reafter, the charging device 102 may transfer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e charg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charge rate or the amount of power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charge rate, a payment date and time, a charging state (for example, whether it is currently waiting for charging, currently being charged, or is currently being charged, One or more of charging progress, et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for example, a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n estimated time of completion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an installation position. It may include, and may be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In addition, the charging history may be, for example, the time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erformed in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harging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charging device 102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onth). The number of times the vehicle has been charged, the type of vehicl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harging amount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or the charging charges paid by the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the individual charge amount per case / Charge rate or total charge amount / total charge rate for a set time, etc.), information about a parking lot, a building, or a region to which the charging device 102 belongs, and the like.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e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be used. ) Can be stored.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are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rough the second network 118 and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For example, charging information, charging history, etc.) can be obtained. The user terminal 108 may also access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via the second network 118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여기서, 결제사 서버(112)는 예를 들어 카드사 서버, 은행사 서버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요금을 정산하고 이를 전력사에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가 충전 요금을 정산하고 정산 정보를 전력사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사 서버(110)는 결제사 서버(112)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부터 정산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상기 충전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102) 자체에서 전기차(104)의 충전 요금 및 이에 대응되는 전력량을 식별하여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는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를 통해 상기 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모자 분리 없이도 건물의 전체 사용전력 및 전력 요금에서 충전 장치(102)에서의 충전전력 및 전력 요금을 공제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자와 건물주간의 전력 요금 상계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Here,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may be, for example, a card company server, a bank company server, and the like, and may settle a charge using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bill it to the power compan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settle the charging fee and transmit the settlement information to the power company. In addition,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may receive the settlement information from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and may charge the charging fee to the user accordingly.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identify the charge r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amount of power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harging company cloud server 114, and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may obtain the charging information throug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ffset power charges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user and the building owner by deducting the charging power and the electric charge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d the electric charge of the building without a separate hat.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4.
또한, 충전 장치(102)는 상기 충전 정보, 결제에 관한 정보(결제 금액, 결제 카드 등)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급되는 전력량(충전량), 충전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display the charging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payment amount, payment card, etc.), such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charge amount), the state of charge, etc. in real time. have.
또한, 사용자 단말(108)은 제2 네트워크(118)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충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전기차(104)의 충전 이력, 충전량, 충전 진행 상황(즉, 충전 상태), 충전 완료 예상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8)은 사용자로부터 충전 시간대에 관한 정보(즉, 충전 예약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중계기(120)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간대에 타 사용자가 상기 충전 장치(102)에서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불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특정 충전 장치에서 충전할 것을 예약하는 경우 해당 시간대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충전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예약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충전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충전 장치(102)에 사용자들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2)는 상기 충전 장치(102)의 상기 충전 시간대가 입력된 시간(즉, 예약이 완료된 시간)으로부터 설정된 예약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만 전기차(104)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예약 대기 시간은 예를 들어, 5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약을 완료한 시점으로부터 5분 내에 인증 및 결제를 완료하여 전기차(104)의 충전을 진행하여야 하며, 만약 상기 5분 내에 충전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 예약이 자동으로 취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8 is connected to the carrier cloud server 114 via the second network 118 and stored in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arrier cloud server 114 (eg, charging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ccordingly, the user checks the charg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and the charging history, the charging amount, the charging progress (ie,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etc. You can inquir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8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harging time slot (ie, information on charge reservation) from the use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time zone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deliver it to the repeater 120. The charging device 102 may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120, and display a non-chargeable message when another user wants to charge the charging device 102 during the time period. That is, when a user reserves a charge for a specific charging device at a specific time period, another user cannot use the charging device at that time. Through such a reservation service, the charging waiting time of the user can be minimized, and the concentration of users on any one charging device 102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proce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only before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set from the time when the charging time zone of the charging device 102 is input (that is, the time when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elapses. .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may be, for example, 5 minutes. For example, the user must complete charging and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by completing authentication and payment within 5 minutes from the completion of the reservation, and if the charging is not performed within the 5 minutes, the charge reservation is automatically canceled. Can be.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각 충전 장치(102)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으로부터 수요 관리(Demand Response)를 위한 빅데이터로서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각 지역별 각 차종별, 각 계절별 또는 각 시간대별 충전 이력이 산정될 수 있으며, 각 충전 장치(102)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 명령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as the big data for demand response (Demand Response) from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in each charging device 102, charging by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each region, each vehicle type, each season, or each time zone The history may be calculated, and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demand management command of the demand management operat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또한, 충전 장치(102)는 충전 예약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예약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예약 대기 시간이 만료되기까지 남은 시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예약한 충전 장치(104)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예약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a reservation for charging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possessed by the user)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for example, until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expires). Time remaining), an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reserved charging device 104 and check whether the reservation is valid.
또한, 충전 장치(102)는 V2G(Vehicle-to-Grid)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력의 매도 요청을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고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며, 충전 장치(10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사에 되팔기 위해 사용자 단말(108)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량을 확인하고, 매도하고자 하는 전력량 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전력량 또는 비용을 포함하는 매도 요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중계기(120)는 이를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를 인증한 후 상기 전력량 또는 비용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 사용자 단말(108) 또는 전기차(104)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를 인증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충전 장치(10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고,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104)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는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10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고, 매도 정보를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매도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전력량 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 매도 날짜 및 시각, 충전 장치(102)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의 내부 데이터베이스(114a)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8)은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어 상기 매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매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전력 매도 이력, 전기차(104)의 남은 전력량, 방전 진행 상황, 방전 예상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전력사 서버(110) 및 결제사 서버(112)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어 상기 매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장치(102)를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사에 되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perform a vehicle-to-grid (V2G) function. In detail, the charging device 102 receives a request for selling the power input by the user from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authenticates the user according to the selling request, and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can be controlled. As one example, a user may enter a request to sell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to sell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to the power company.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input the amount of power to be sold or the corresponding cost.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a sell request includ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or the cost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 the received request to the repeater 120, and the repeater 120 may transmit it to the charging device 102. .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02 may receive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r cost of power after authenticating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authenticate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as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user terminal 108, or the payment card possess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recognized. The charging device 102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lling request, and may receive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charging cable.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using a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ransmit the selling information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e sell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or the corresponding cost, selling date and tim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internal database 114a of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 Can be stored. The user terminal 108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o obtain the selling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check the sell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and may query the power selling history,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discharge progress status, the discharge estimated tim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the payment company serv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o obtain the selling information. That i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can be sold back to the electric power company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thereby enabling efficient power management.
또한, 사용자는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을 건물 내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8)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사용자가 매도하고자 하는 전력량 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을 포함하는 매도 요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중계기(120)는 이를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를 인증한 후 상기 전력량 또는 비용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건물 내 ESS(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ESS에 저장된 전력을 필요에 따라 소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정전 등의 이유로 전력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건물 내 ESS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즉, 전력 자가 소비)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s a request for selling the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8 to store the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in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n the building. You may.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a selling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8, including the amount of power that the user wants to sell or the corresponding cost, to the repeater 120, and the repeater 120 may charge the selling device. May be delivered to 102.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02 may receive a pow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r cos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fter authenticating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charging device 102 may store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in an ESS (not shown) in a building, and a user may consume power stored in the ESS as needed. In this case, even i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company is interrupted due to a power failur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by using power stored in the ESS in the building (that is, self-consumption).
또한, 충전 장치(102)는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구, 및 충전 케이블의 삽입시 충전 케이블이 수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수단은 수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이 수구에 삽입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도전성 재료를 끌어당겨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잠금 수단은 예를 들어, 수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돌기가 충전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홈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충전 케이블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2)와 충전 케이블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전기차(104)의 충전시 충전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와 같은 다양한 잠금 수단을 통해 전기차(104)를 충전하고 있는 도중 충전 케이블이 수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차(104)의 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include a polo port 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and locking means (not shown) to secure the charging cabl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lo port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locking means may be an electromagnet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polo, and the charging cable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 polo to draw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cable as a current flows to fix the charging cable. .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ethod of fixing the charging cable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cking means may be, for example, a protrusion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polo, and the charging cable may be fixed by engaging the protrusion with a groov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cable.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charging cable may be fastened with a screw so that the charging cable may be stably fixed when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harg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stably performed by preventing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disconnected from the water outlet while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various locking means.
또한,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충전 케이블을 수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 케이블을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push)하는 분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수단은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충전 케이블 측으로 돌기(미도시)를 돌출시켜 충전 케이블을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충전 케이블을 수구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may include a separating means for pushing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be separated from the water outlet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The separating means may push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olo by protruding a projection (not shown) toward the charging cable as the user applies a force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separate the charging cable from the water polo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또한, 충전 장치(102)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 장치(102)의 누전을 차단하는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충전 장치(102)의 누전을 감지 및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ircuit for blocking a short circuit of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ircuit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user by detecting and blocking a short circuit of the charging device 102.
또한,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로 전력을 공급하는 도중(즉, 충전 도중) 충전 케이블이 상기 충전 장치(10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즉, 충전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가 전기차(104)를 충전하고 있는 도중 다른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잡아 당겨 상기 충전 케이블이 충전 장치(102)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충전 장치(102)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전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cuts off (ie, stops charg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while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ie, during charging). can do. As one example, when another user randomly pulls out the charging cable while the user i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charging device 102 stops supplying the power. Can be blocked, thereby preventing the challenge.
또한,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로 전력을 공급하는 도중(즉, 충전 도중) 사용자에 의해 전기차(104)와 충전 장치(102)의 연결이 단절되거나 사용자 단말(108)에서 입력된 충전 중지 요청이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까지 전기차(104)로 공급된 전력량에 해당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만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전기차(104)의 충전 도중 충전 케이블을 전기차(104)에서 제거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8)을 통해 충전을 일시 중지하고 충전량을 재설정하는 등 충전 중지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충전 중지 요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하며, 중계기(120)는 상기 충전 중지 요청을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장치(102)는 실제 전기차(104)로 공급된 전력량에 해당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만을 승인하고, 추가적인 전력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102 is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charging device 102 by the user during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at is, during charging) or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8. When the charge stop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repeater 120, only payment for the charge f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approved. As an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charge stop request, such as removing the charging cable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or pausing the charge and resetting the charging amou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8. .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receives the charge stop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s it to the repeater 120, and the repeater 120 may transmit the charge stop request to the charging device 102.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approve payment only for the charging f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actual electric vehicle 104 and stop supplying additional power.
또한, 충전 장치(102)의 외측에는 커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전 장치(102)를 보호함과 동시에 충전 장치(102)의 방수(water proof) 및 방진(dust proof)을 위한 것으로, 충전 장치(102)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not shown) may be formed outside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over protects the charging device 102 from external shock and at the same time for water proof and dust proof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harging device 102. .
또한, 충전 장치(102)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촬영 모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전기차(104)의 번호판 또는 충전 장치(102)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를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ing modu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photographing module may be, for example, a camera,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to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o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나아가, 상기 충전 장치(102)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100)은 최대 전력 관리 장치(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각 충전 장치(102)의 충전 부하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more, the charging system 100 using the charging device 102 may flexibly operate the charging load of each charging device 102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not shown).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사용자 단말(108)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 또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8)에는 전기차(104)의 충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8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nd may be,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PDA, or the like,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smart watch. The user terminal 108 may be installed with a mobile application used to provide a service related to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user may request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The mobile application may be, for example, a mobil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provider cloud server 114.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또는 충전 예약 요청)과 함께 충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의 인증시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대응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 및 매도하고자 하는 전력량(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매도 요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장치(102)는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를 인증한 후 상기 전력량 또는 비용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a user may input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with a charging request (or a charging reservation reques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charging request and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fer the charging request to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02 may approve payment of the charging fe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or the charging amount included in 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when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authenticated.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request to sell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an amount of power (or a corresponding cost) to be sold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selling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 the selling request to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02 may receive a pow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r cos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fter authenticating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충전 및 매도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전기차(104)의 충전 이력, 충전량, 충전 진행 상황, 충전 완료 예상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전력 매도 이력, 전기차(104)의 남은 전력량, 방전 진행 상황, 방전 예상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heck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rging and selling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s an example, the user may check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may query the charging history, the charging amount, the charging progress state, the charging completion time,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s another example, the user may check the sell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may query the electric power selling history, the remaining power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discharge progress state, the estimated discharge time, and the like. Can b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인증 및 승인 모듈(202), 전력 제어 모듈(204), 계측 모듈(206), 통신 모듈(208) 및 데이터 저장 모듈(218)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10), 촬영 모듈(212), 누전 차단 모듈(214), 센서(216), 음성 안내 모듈(22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a power control module 204, a measurement module 206, a communication module 208, and data. The storage module 218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module 210, a photographing module 212, a ground fault blocking module 214, a sensor 216, a voice guidance module 220, and the like, as necessary.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전기차(104), 사용자 단말(108) 또는 전기차(104)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즉, 충전 요청을 인식)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를 인증하고 전기차(104)의 충전을 승인(또는 충전 요청을 승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과 함께 충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인증시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된 충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대응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카드 리더기, 큐알 코드 리더기 등과 같은 RFID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recognizes the payment card possessed by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user terminal 108, or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e., recognizes a charge request), which the user or the user possesses. The electric vehicle 104 is authenticated and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approved (or the charging request is approved). As described above, a user may input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together with a charge request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8, and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may authenticate the user terminal upon authentication of the user. The payment for the charge or the charge corresponding to the charge amount included in the charge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108 may be approved. To this end, 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may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NFC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RFID reader such as a card reader, a QR code reader, or the like.
또한, 후술할 통신 모듈(208)은 사용자 단말(108)에서 입력된 충전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상기 시간대에 타 사용자 단말 또는 타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하는 경우 충전 불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는 상기 충전 불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to be described later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time period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8 through the relay 120. Thereafter, 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may generate a non-chargeable message when recognizing a payment card possessed by another user terminal or another user in the time slot. The display module 210 may display the charge impossible message.
또한,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상기 전력을 전기차(104)로 공급하는 도중 사용자 단말(108)에서 입력된 충전 중지 요청이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까지 전기차(104)로 공급된 전력량에 해당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만을 승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기차(104)의 충전 도중 충전을 일시 중지하고 충전량을 재설정하는 등 사용자 단말(108)을 통해 충전 중지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충전 중지 요청을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하며, 중계기(120)는 상기 충전 중지 요청을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supplies the electric vehicle 104 to the present time when the charge stop reques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8 is received through the relay 120 while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4. Only payment for the charg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can be approv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input the charge stop request through the user terminal 108, such as to pause the charge dur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resetting the charge amount.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receives the charge stop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s it to the repeater 120, and the repeater 120 may transmit the charge stop request to the charging device 102.
전력 제어 모듈(204)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 요금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충전 케이블은 전력 제어 모듈(204)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전력 제어 모듈(204)에 고정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 케이블이 전력 제어 모듈(204)로부터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충전 케이블을 휴대하거나 상기 충전 케이블이 충전 장치(102)의 일측에 미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제어 모듈(204)은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구, 충전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하는 분리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module 204 supplies power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charging cable or cuts off the supply of the power. The charging cable may be detachable from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or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When the charging cable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the user may carry the charging cable or the charging cable may be disposed in advance on one sid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is a water outlet into which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a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charging cable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and th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It may include a separation means for pushing to.
계측 모듈(206)은 전기차(104)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한다. 계측 모듈(206)은 예를 들어, 전기차(104)에 공급되는 부하 전류 및 부하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부하 전류와 부하 전압을 기반으로 전기차(104)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module 206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For example, the measurement module 206 may detect a load current and a load voltag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calculate an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based on the detected load current and the load voltage. .
또한, 계측 모듈(206)은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에 따라 전기차(104)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고, 충전 장치(10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module 206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104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elling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통신 모듈(208)은 제1 네트워크(116)를 통해 중계기(12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8)은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중계기(120)로부터 수신하고, 전기차(104)의 충전 정보, 사용 전력량 등을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충전 정보, 사용 전력량 등을 중계기(1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결제사 서버(112) 등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08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120 through the first network 116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may receive the charging request and 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from the repeater 120, and may transfer the charging information, the amount of power used,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o the relay 120.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charging request and 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 it to the repeater 120. In additio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charging information, the amount of power used, etc. from the repeater 120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8, power company server 110, billing company server 112 and the like.
또한, 통신 모듈(208)은 전기차(104)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 및 매도하고자 하는 전력량 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에 관한 정보를 중계기(120)로부터 수신하고, 전력의 매도 정보를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전력의 매도 요청, 및 매도하고자 하는 전력량 또는 이에 대응되는 비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8)로부터 수신하여 중계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매도 정보를 중계기(1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8), 전력사 서버(110), 결제사 서버(112) 등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receives a request for selling the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power to be sold or a corresponding cost thereof from the repeater 120, and receives the selling information of the power from the repeater 120. Can be deliver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a request for selling the power,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power to be sold or the cost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user terminal 108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repeater 120. In additio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receive the selling information from the repeater 120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108, power company server 110, billing company server 112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충전 정보, 상기 결제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충전 요금, 전기차(104)에 공급되는 전력량, 현재 충전 상태 및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장치(102)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결제 금액, 결제 카드 등과 같은 결제 정보,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기차(104)의 차량번호)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급되는 전력량, 충전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유, 무선 통신 방식으로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통신 모듈(208)을 통해 수신된 상기 충전 정보, 상기 결제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공간 내에 충전 장치(102)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각 충전 장치(102)에서의 충전 정보, 결제에 관한 정보 등을 상기 각 충전 장치(102)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인증 및 승인 모듈(202) 또한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유, 무선 통신 방식으로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210 displays the charg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and the like. The display module 210 may include the charging fe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supplying the electric current and the charging location such as a payment amount, a payment card, an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104 (for example, the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he state of charge and the like in real time.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When the display module 210 is form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display module 210 may display the charging information, the pay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in the set space, the display module 210 may display charging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etc. in each charging device 102 for each charging device 102.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may also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in which case 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is a charging device 102 in a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It can be connected to other configurations of.
촬영 모듈(212)은 예를 들어, 카메라일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어 전기차(104)의 번호판 또는 충전 장치(102)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를 촬영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odule 212 may be, for example, a camera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to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o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누전 차단 모듈(214)은 충전 장치(102)의 누전을 차단한다. 누전 차단 모듈(214)은 충전 장치(10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누전 차단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치(102)의 구성들은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하드웨어 장치에 적어도 일부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ground fault blocking module 214 blocks a ground fault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ground fault blocking module 214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device 102 and may include a circuit for a ground fault blocking. Configurations of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integrally formed in one hardware device, but at least a part of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separated.
또한, 센서(216)는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를 감지하여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의 주차 유무를 판별한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센서(216)는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미터) 이내에 위치하여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를 감지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센서(216)에 의해 상기 전기차(104)가 감지된 상태가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주차 구역에 전기차(104)가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216 detects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The sensor may be, for example, a proximity sensor. The sensor 216 may be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eg, 1 meter) from each parking zone to detect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zon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whe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04 is detected by the sensor 216 continues for a set time (for example, 10 minutes). Can be.
데이터 저장 모듈(218)은 충전 장치(102)의 충전 이력을 저장한다. 상기 충전 이력은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에서 전기차(104)의 충전이 이루어진 시간대,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한 달 동안) 충전 장치(102)에서 전기차(104)가 충전된 횟수, 충전 장치(102)를 통해 충전된 전기차(104)의 차종, 충전 장치(102)를 통해 충전된 충전량 또는 충전 장치(102)에서 결제된 충전 요금(예를 들어, 1건당 개별 충전량/충전 요금 또는 설정된 시간 동안의 총 충전량/총 충전 요금 등), 충전 장치(102)가 속한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충전 장치(102)는 전기차(104)의 충전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충전 이력을 데이터 저장 모듈(218)에 저장하고, 상기 충전 이력을 중계기(120)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다. 중계기(120)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각 충전 장치(102)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상기 충전 이력은 수요관리(Demand Response)를 위한 빅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수요관리는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거래소 등과 같은 전력사, 또는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서브원 등과 같은 수요관리사업자가 수요 측의 전력사용형태를 합리적으로 통제, 조정하는 계획이나 활동으로서, 예를 들어 수요 측의 부하를 관리(예를 들어, 피크 제어, 심야수요 증대 등)하거나 전력의 이용 효율을 향상(예를 들어, 고객의 전기설비 진단, 절전정보 제공 등)시키는 등의 제반 활동일 수 있다. 중계기(120)(또는 별도의 게이트웨이)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각 충전 장치(102)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각 지역별 각 차종별, 각 계절별 또는 각 시간대별 충전 이력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중계기(120)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각 충전 장치(102)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으로부터 A 주차장의 하루 평균 총 충전량, 오전 9시 ~ 오전 12시 사이에 B 건물에서 충전된 총 충전량, 한달 동안 C 지역에서의 K 전기차의 총 충전 횟수, 여름 동안 충전량이 가장 많은 건물 또는 주차장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은 빅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빅데이터는 수요관리사업자가 수요관리, 즉 발전량 기준을 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요관리사업자는 이러한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요관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수요관리 명령은 수요 측, 즉 각 충전 장치(102)의 전력사용형태를 조정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 위기시 강제절전 명령,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어, 오후 9시 ~ 오후 12시) 평균 소비전력 감축 명령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218 stores the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harging history may be, for example,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102, and a number of times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102 for a set time (for example, for one month). , The type of vehicl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harging amount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2, or the charging fee paid by the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an individual charge / charge rate per case) Or a total charge amount / total charge rate during a set time), information about a parking lot, a building, or an area to which the charging device 102 belongs. Each charging device 102 stores the charging history i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whenever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and the charging history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rough the repeater 120. I can deliver it. The repeater 120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collect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from each charging device 102 in real time, and the collected charging history is used as big data for demand response. Can be. Demand management is a plan or activity in which a power company such as KEPCO, Korea Electric Power Exchange, etc., or a demand management operator such as KT Co., Ltd., and Servone Co., Ltd. reasonably controls and adjusts the use of power on the demand side. It may be activities such as managing the load of (e.g., peak control, increase in the demand of the night, etc.) or improv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power (e.g., diagnosis of electrical equipment of the customer, providing power saving information, etc.). Repeater 120 (or a separate gateway) or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collect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from each charging device 102 in real time, through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each reg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harging history for each vehicle, each season or each time zone. As an example, the repeater 120 or the carrier cloud server 114 charges in building B between the daily average total charge of the parking lot A, from 9 am to 12 am, from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at each charging device 102. Big data such as the total amount of charges charged, the total number of charges of K electric vehicles in region C over a month, and the building or parking lot with the highest amount of charges during the summer months. That is,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generation amount standard. In addition, the demand management operator may issue a demand management command based on such big data.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is a command for adjusting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demand side, that is, each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a power saving command during a power crisis,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from 9 pm to 12 pm). The average power reduction command may correspond to this.
각 충전 장치(102)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 명령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수요관리사업자가 수요관리 명령을 내리는 경우, 중계기(120)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상기 수요관리 명령에 따라 설정된 지역, 건물 또는 주차장 내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102)의 충전을 설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오후 9시 ~ 오후 12시) 중단(또는 감축)하는 내용의 정보를 해당 지역, 건물 또는 주차장 내 각 충전 장치(10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지역, 건물 또는 주차장 내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102)의 충전이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오후 9시 ~ 오후 12시 사이에 A 지역에 속한 주차장의 충전을 중단하는 내용의 수요관리 명령이 내려지는 경우, A 지역에 속한 주차장 내 각 충전 장치(102)는 상기 수요관리 명령에 따라 오후 9시 ~ 오후 12시 사이에 전기차(104)의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충전 장치(102)는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 명령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관리사업자는 각 충전 장치(102)를 위한 별도의 인프라 구축 없이 효율적인 수요관리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Each charging device 1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demand management command of a demand management operator. When the demand management operator issues a demand management command, the repeater 120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performs charging of one or more charging devices 102 in a region, a building, or a parking lot set 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rom 9 pm to 12 pm) information about the interruption (or reduction) may be passed to each charging device 102 in the area, building, or parking lot, and thus within the area, building, or parking lot. Charging of the one or more charging devices 102 may be stopped for a set time. As an example, when a demand management order for stopping charging of a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A is issued between 9 pm and 12 pm, each charging device 102 in the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A is provided with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Accordingly,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stopped between 9 pm and 12 pm. As such,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demand management command of the dem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r, and thus the dem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r operates an efficient demand management business without establishing a separate infrastructure for each charging device 102. can do.
또한, 데이터 저장 모듈(218)은 충전 장치(102)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는 예를 들어, 충전 장치(102)의 에러(또는 고장) 발생시 상기 에러가 발생한 시각, 상기 에러가 발생된 원인, 상기 에러의 해결을 위한 부품 또는 알고리즘의 교체 이력/업그레이드 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충전 장치(102)는 에러 발생시 또는 이의 해결시 상기 충전 장치(102)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데이터 저장 모듈(218)에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로그를 중계기(120)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충전 장치(102)에서 상기 충전 장치(102)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기록 및 저장함으로써, 향후 에러 발생시 상기 이벤트 로그를 참조 정보로서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충전 장치(102)의 유지보수를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may store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may include, for example, the time at which the error occurred when the error (or failure) of the charging device 102 occurred, the cause of the error, a part for resolving the error, or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history / upgrade history of the algorithm. Each charging device 102 stores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i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when an error occurs or resolution thereof, and stores the event log through the repeater 120 throug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May be forwarded to server 114.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rding and storing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in each charging device 102, the event log may be used as reference informa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build big data for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또한, 데이터 저장 모듈(218)은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와 연결되는 중계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각 충전 장치(102)의 원격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업그레이드 파일은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장치(102)에서 제공되는 기능, 서비스, 상기 충전 장치(102)에 적용되는 부품 또는 알고리즘 등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파일로서, 중계기(120)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각 충전 장치(102)는 설정된 주기마다(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중계기(120)(또는 게이트웨이) 또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에 상기 충전 장치(102)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중계기(120)를 통해 상기 업그레이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데이터 저장 모듈(2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 파일을 통해 각 충전 장치(102)의 상술한 각종 기능, 서비스 등과 관련된 버전이 원격으로 업그레이드(OTA : Over The Air)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수의 충전 장치(102)가 각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별로 설치되므로, 상기 업그레이드 파일을 이용하여 각 충전 장치(102)를 원격으로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다수의(예를 들어, 수 만개 내지 수십 만개의) 충전 장치(102)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may store an upgrade file for remote upgrade of each charging device 102 received through the repeater 120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The upgrade file is, for example, a file for upgrading a function, a service provided by the charging device 102, a part or algorithm applied to the charging device 102, or the like, and the repeater 120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Can be downloaded from 114. Each charging device 102 checks whether the repeater 120 (or gateway) or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needs an upgrad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t a set period (for example, once a day). The upgrade file may be downloaded through the repeater 120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218. In this case, a version related to the aforementioned various functions, services, etc. of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be remotely upgraded (OTA: Over The Air) through the upgrade fi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are installed for each parking lot, building, or region,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may be upgraded by remotely upgrading each charging device 102 using the upgrade file. , Tens of thousand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charging devices 102 can be easily managed.
음성 안내 모듈(220)은 전기차(104)의 충전 진행 과정을 음성 안내한다. 이를 위해, 음성 안내 모듈(220)은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음성 안내 모듈(220)은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전기차(104)의 충전 상태(예를 들어, 충전 중인지, 충전 완료인지 등),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시간 등과 같은 충전 진행 과정을 음성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충전 장치가 강전을 사용하므로)이 향상될 수 있다.The voice guide module 220 voice guides the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o this end, the voice guide module 220 may be provided with a speaker for voice output. The voice guide module 220 may voice guide the charging process such as the charging state (for example, whether it is being charged or completed),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charging is completed, etc. using the speaker. In this way, the user's convenience and stability (because the charging device uses a strong power)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다. 3 is an illust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외면에는 인증 및 승인 모듈(202) 및 전력 제어 모듈(204)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and a power control module 20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기차(104)의 충전 요청 및 충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사용자의 인증시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따라 상기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카메라와 같은 촬영 모듈,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전기차(104)를 인식하거나,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108)을 인식하거나, 또는 카드 리더기 등과 같은 RFID 리더기를 통해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은 충전 대기, 충전, 및 충전 완료와 같은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충전 장치(102)에서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충전 대기를 나타내는 버튼에 불이 들어올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에서 전기차(104)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충전을 나타내는 버튼에 불이 들어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의 공급이 완료되는 경우, 충전 완료를 나타내는 버튼에 불이 들어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input the charging request and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8, 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is related to the charging at the time of authentication of the user Payment for the charging fee may be approved according to the charging fee or the charging amoun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recognizes the electric vehicle 104 through a photographing module such as a camera,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or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108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n NFC module, a Bluetooth module, or the like.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authenticated by recognizing the payment card of the user through an RFID reader such as a card read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may display a button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such as charging standby, charging, and charging complete. For example, when the payment is in progress in the charging device 102, the button indicating the charging standby may be lit, and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2 to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button indicating the charging is lit. Can come in. In addition, when the supply of the power is completed, the button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charging may be lit.
사용자 또는 전기차(104)의 인증 및 상기 충전의 승인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을 전력 제어 모듈(204)의 수구에 삽입할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 요금에 대응되는 전력을 전기차(104)로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104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are completed, the user may insert a charging cable into the power outlet of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and the charging device 102 may charge the charging fee through the charging cable. Electric power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su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다. 4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제어 모듈(204)은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구(402), 충전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미도시),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을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하는 분리 수단(4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is a plug 402 into which a charging cable is inserted, a locking means (not shown) for fixing the charging cable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and a user's completion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t may include a separation means 404, etc. for pushing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olo according to the operation.
이때, 상기 잠금 수단은 수구(402)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충전 케이블이 수구(402)에 삽입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충전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도전성 재료를 끌어당겨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means may be an electromagnet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polo 402, and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into the water polo 402 to attract the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cable as the current flows. The cable can be fixed.
또한, 분리 수단(404)은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힘을 가함에 따라 충전 케이블 측으로 돌기(미도시)를 돌출시켜 충전 케이블을 수구(402)의 외측으로 푸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충전 케이블을 수구(402)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ng means 404 may protrude a projection (not shown) toward the charging cable as the user applies a force in a specific direction to push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olo 402.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separate the charging cable from the water polo 402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다. 5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장치(102)의 외측에는 커버(5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전 장치(102)를 보호함과 동시에 충전 장치(102)의 방수(water proof) 및 방진(dust proof)을 위한 것으로, 충전 장치(102)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충전 장치(102)의 미사용시 자석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 cover 502 may be formed outside the charging device 102. The cover 502 protects the charging device 102 from external shock and at the same time for water proof and dust proof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charging device 102. Can be. The cover 502 may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losed by a magnet when the charging device 102 is not in use.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다. 6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충전 장치(102)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기차(104)의 차량번호), 충전 상태, 결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display module 210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display module 210 may displa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for example, a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104), a charging state, pay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예시이다.7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illustration of a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2)는 예를 들어, 충전 케이블(106)이 미리 탑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 케이블(106)은 충전 장치(102)의 전력 제어 모듈(204)에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의 승인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106)을 전기차(104)에 삽입하여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202),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충전 케이블(106)이 벽면에 부착되어 제공되는 형태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the charging cable 106 is mount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charging cable 106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 module 204 of the charging device 102, and the user may connect the charging cable 106 to the electric vehicle 104 upon completion of the approval of the payment for the charging fee. The electric vehicle 104 can be charged by inserting it. 7 and 8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the display module 210, and the charging cable 106 are provided attached to a wall.
도 7을 참조하면, 충전 케이블(106)은 케이블 박스(106a)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의 승인 완료시 상기 케이블 박스(106a)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충전 케이블(106)을 이용하여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harging cable 106 may be provided in the cable box 106a, and the cable box 106a may be opened when the approval of the payment for the charging fee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user ma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using the charging cable 106.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충전 케이블(106)의 일단이 케이스(106b)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및 충전의 승인 완료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충전 케이블(106)의 나머지 부분이 케이스(106b)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106)을 전기차(104)에 삽입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전기차(104)의 충전 완료시,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106)에서 손을 떼는 경우 상기 충전 케이블(106)이 케이스(106b) 내부로 빨려 들어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및 충전의 승인 완료 전에는 상기 충전 케이블(106)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106)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one end of the charging cable 106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6b,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harging cable 106 may be dispos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upon completion of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of the charging. 106b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may insert the charging cable 106 into the electric vehicle 104 to proceed with the charging.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s completed, when the user releases the charging cable 106, the charging cable 106 may be sucked into the case 106b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Meanwhile, the charging cable 106 may remain locked until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of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the user may not use the charging cable 106.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예시이다.9 is an illustration of a display modul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유, 무선 통신 방식으로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통신 모듈(208)을 통해 수신된 충전 정보, 결제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When the display module 210 is form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b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210 may display charging information, pay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도 9를 참조하면, 설정된 공간 내에 충전 장치(102)가 3개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각 충전 장치(102)의 통신 모듈(208)로부터 해당 충전 장치(102)에서의 충전 정보(예를 들어,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 충전상태에 관한 정보), 결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결제 금액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하여 각 충전 장치(102)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차장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구비하면 충분하며, 각 충전 장치(102)별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충전 장치(102)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hree charging devices 102 in a set space, the display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in the corresponding charging device 102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08 of each charging device 102. Receives charging information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payment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payment) and the like and display for each charging device 102 can do.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the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one display module 210,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display module 210 for each charging device 102,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charging device 102. Can be.
한편, 상술한 인증 및 승인 모듈(202) 또한 충전 장치(102)의 다른 구성들과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차장 내에 하나의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을 구비하면 충분하며, 각 충전 장치(102)별로 별도의 인증 및 승인 모듈(202)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may also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in which case it is sufficient to have on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02 in the parking lot, each There is no need to have a separat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202 for each charging device 102.
**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250) 및 충전 장치(102a, 102b, 102c)의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장에는 하나 이상의 키오스크(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250)는 상술한 충전 장치(102)의 일부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주차장 내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10 and 11 are illustrations of kiosk 250 and charging devices 102a, 102b, 102c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kiosks 250 may b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The kiosk 250 may include some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described above, and may gu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키오스크(250)의 인증 및 승인 모듈(250a)에서 상술한 인증 및 충전 승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250)의 디스플레이 모듈(250b)은 상기 주차장 내 충전 가능한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키오스크를 확인하여 상기 주차장 내 전기차(104)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키오스크(250)는 주차장의 입구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키오스크(250)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user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authentication and charging approval process in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250a of the kiosk 250. In addition, the display module 250b of the kiosk 250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that can be charged in the parking lot.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kiosk to obtain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lot can be charged. As described above, the kiosk 250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and the user may check the kiosk 250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parking lot.
일 예시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50b)은 충전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이 지하 1층에는 12개, 지하 2층에는 15개, 지하 3층에는 18개가 있다는 내용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하 2층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50b)은 지하 2층 내 빈 주차 구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상기 빈 주차 구역의 식별 정보, 상기 키오스크(250)에서 상기 빈 주차 구역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module 250b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are 12 empty parking spaces on the first basement, 15 on the second basement, and 18 on the third basement. can do. The user may select the second basement floor, and 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250b may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empty parking area in the basement 2 floor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mpty parking area, the kiosk 250 may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Route to an empty parking area) can be displayed.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250)는 예약된 각 충전 장치(102), 즉 제1 콘센트(102a), 제2 콘센트(102b) 및 제3 콘센트(102c)의 충전 예약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 충전 상태 등), 결제에 관한 정보,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예약한 충전 장치(102)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충전 장치(102)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인증 및 승인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이 키오스크(250)에 구비되고 주차장에 하나의 키오스크(250)만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충전 장치(102)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 the kiosk 250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charge reservation of each reserved charging device 102, that is, the first outlet 102a, the second outlet 102b, and the third outlet 102c (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possessed by the user, a state of charge, etc.), information on payment, information on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charging device 102 reserved by the user. In addition, in this case, some components of the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an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and a display module) are provided in the kiosk 250 and only one kiosk 250 is provided in the parking lot. Can reduce the cost.
또한, 키오스크(250)는 각 충전 장치(102), 즉 제1 콘센트(102a), 제2 콘센트(102b) 및 제3 콘센트(102c) 등과 유,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들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iosk 250 is configured to enabl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charging device 102, that is, the first outlet 102a, the second outlet 102b, and the third outlet 102c, and the like. Can send and receive
상기 제1 콘센트(102a), 제2 콘센트(102b) 및 제3 콘센트(102c)는 충전 예약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기차(104)의 식별 정보) 및 상술한 예약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예약 대기 시간이 만료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예약한 충전 장치(104)를 용이하게 식별하고 예약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약 대기 시간은 특정 시간(예를 들어, 5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예를 들어, 30분, 1시간 …등)될 수도 있다.The first outlet 102a, the second outlet 102b, and the third outlet 102c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charge reservation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4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described above. Information (eg, time remaining until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expires) can be displayed, an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charged charging device 104 and confirm whether the reservation is valid. .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may be preset to a specific time (for example, 5 minut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servation waiting time may be set by the user (for example, 30 minutes, 1 hour, etc.).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나타낸 예시이며, 도 13은 도 12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 구역 내 전기차의 주차 유무를 판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12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ark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area using the sensor of FIG.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센서(216)는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를 감지하여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의 주차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센서(216)는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미터) 이내에 위치하여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를 감지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2)는 센서(216)에 의해 상기 전기차(104)가 감지된 상태가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주차 구역에 전기차(104)가 주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2 and 13, the sensor 216 may detect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may be, for example, a proximity sensor. The sensor 216 may be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eg, 1 meter) from each parking zone to detect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zone. The charging device 102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whe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104 is detected by the sensor 216 continues for a set time (for example, 10 minutes). Can be.
이 경우, 충전 장치(102)는 상술한 주차 관리 시스템(180)과의 연동 없이도 자체적으로 각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의 주차 유무를 판별하고, 상기 주차 유무와 관련된 정보를 중계기(120)를 통해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8)은 상기 주차 유무와 관련된 정보를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216)를 이용하여 주차 구역 내 전기차(104)의 주차 유무를 판별함에 따라, 상기 주차 구역에 주차하면서 충전을 함께 진행하는 차량과 충전 없이 주차만 하는 차량을 구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에서 수집되어 향후 사용자의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102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each parking zone by itself without interlocking with the above-describ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8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rking presence to the repeater 120. Through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can be delivered. The user terminal 108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rking from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and provide it to the user. In addi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104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by using the sensor 216,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 vehicle that parks in the parking area and a vehicle that parks only without charging while parking in the parking area. In addition, such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from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and used as information for improving a service of a user in the future.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주택의 차고와 같은 개인용(가정용)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인용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전기차(104)를 주차한 후, 충전용 케이블(106)을 충전 장치(102)에 삽입함으로써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private (home) parking lot such as a garage of a house. The user may park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of the personal parking lot, and the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by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106 into the charging device 102.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도로변의 공용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공용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전기차(104)를 주차한 후, 충전용 케이블(106)을 충전 장치(102)에 삽입함으로써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public parking lot along a roadside. The user may park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of the public parking lot, and the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by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106 into the charging device 102.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의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지하 주차장의 주차 구역에 전기차(104)를 주차한 후, 충전용 케이블(106)을 충전 장치(102)에 삽입함으로써 전기차(104)를 충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The user may park the electric vehicle 104 in the parking area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n charge the electric vehicle 104 by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106 into the charging device 10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장치(102)는 다양한 위치에서 광범위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장치(102)의 설치만으로 전기차(104)의 충전 인프라를 보다 신속하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퇴근 후 전기차(104)를 충전 장치(102)에 충전시키고 다음 날 충전된 전기차(104)를 운행하는 방식으로 상기 충전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104)의 충전 중 충전 케이블(106)이 제거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이유로 충전이 중지되는 경우, 충전 장치(102)에서 사용자 단말(108)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As such, the charging device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dely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may be more quickly and cheaply constructed by only installing the charging device 102. can do. As an example, the user may utilize the charging infrastructure by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04 after charging to the charging device 102 and driving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104 the following day. In addition, when charging is stopped due to removal or breakage of the charging cable 106 dur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04, the charging device 102 to notify the user immediately by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8.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차(104)뿐 아니라 전기를 사용하는 포장마차, 캠핑장 등과 같이 다양한 옥외 전력 수요에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outdoor electric power demands such as electric cars 104 as well as stalls and camping sites using electricity.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100)에서, 전력 요금을 모자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ower charge in th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A 아파트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 충전 장치(102)들은 고유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충전 장치 ID 번호 : #0000 0001-0001 등)를 구비하며, 실시간으로 충전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A 아파트 주차장에는 충전 장치(102)뿐 아니라 조명 장치(1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계량기(140)는 전력사 서버(110)와 연결되어 고유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계량기 ID 번호 : #0000 0001)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A 아파트의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7에서 이루어지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Referring to FIG. 17,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102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A apartment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charging device ID number: # 0000 0001-0001, etc.), and displays the amount of charging power in real time. I can measure it. In addition, not only the charging device 102 but also the lighting device 130 may be installed in the A parking lot. The meter 14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and h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meter ID number: # 0000 0001),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 Hereinafter, the processes of FIG. 17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S102 단계에서, 사용자는 결제 카드를 이용하여 충전 장치(102)에서 충전 요금을 결제하며, 각 충전 장치(102)는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의 충전 정보를 중계기(120)로 전달한다.In step S102, the user pays the charging fee in the charging device 102 using the payment card, and each charging device 102 transmits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user whos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o the relay 120.
S104 단계에서, 계량기(140)는 A 아파트의 주차장에 설치된 각 충전 장치(102)와, 충전 장치(102)가 설치된 지역(즉, A 아파트의 주차장)의 공용 기기인 조명 장치(130) 및 전자기기 등(즉, 타 전력 부하)의 전체 누적 전력 사용량(예를 들어, A 아파트 주차장의 월 누적 전력 사용량)을 획득하고, 이를 전력사 서버(110)로 전달한다.In step S104, the meter 140 is a charging device 102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 and the lighting device 130 and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a common device in the area where the charging device 102 is installed (that is,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 It acquires the total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the monthly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A apartment parking lot) of the device (ie other power load), and transfers it to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S106 단계에서, 중계기(120)는 각 충전 장치(102)에서의 누적 전력 사용량(예를 들어, 월 누적 전력 사용량)을 취합한 후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로 전달한다.In step S106, the repeater 120 collects cumulative power usage (for example, monthly cumulative power usage) at each charging device 102 and transfers the cumulative power usage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S108 단계에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114)는 각 충전 장치(102)에서의 누적 전력 사용량(예를 들어, A 아파트의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 장치(102)들의 월 누적 전력 사용량)을 전력사 서버(110)로 전달한다. In operation S108,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114 may calculate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of each charging device 102 (for example, the monthly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of the charging devices 102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 110).
복수의 충전 장치(102)에서의 누적 전력 사용량을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이라 지칭하고, 상기 충전 장치(102) 및 타 전력 부하가 설치된 지역의 전체 누적 전력 사용량을 제2 누적 사용량이라 가정하는 경우, S110 단계에서, 전력사 서버(110)는 제2 누적 전력 사용량에서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을 공제(예를 들어, 1000KW - 900KW = 100KW)함으로써 전력 사용량 및 이에 따른 전력 요금에 대한 모자 분리를 할 수 있다. 전력사 서버(110)는 충전에 사용된 전력 사용량(예를 들어, 900KW)를 제외한 나머지 전력 사용량(예를 들어, 100KW)에 대한 전력 요금을 A 아파트의 건물주에게 청구할 수 있다.When the cumulative power usag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is referred to as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and the total cumulative power usage of the region where the charging device 102 and other power loads are installed is assumed to be the second cumulative usage, In step S110,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may subtract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from the second cumulative power usage (for example, 1000KW-900KW = 100KW) to separate the caps for the power usage and the power bill accordingly. have. The power company server 110 may charge the landlord of the apartment A for the power consumption (eg, 100KW) for the remaining power consumption (for example, 900KW) except for the power usage (for example, 900KW) used for charging.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100)에서, 최대 전력 관리 장치(160)와 연동하여 충전 부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adjusting a charging load in conjunction with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160 in th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최대 전력 관리 장치(160)는 전력 공급 장치(150) 및 중계기(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50)는 복수의 충전 장치(102)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분전반일 수 있다. 또한, 최대 전력 관리 장치(160)는 전력 공급 장치(150)의 피크 전력을 관리하는 장치이며, 전력 공급 장치(150)는 계측 모듈(150a)을 통해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50 and the repeater 120, respectively. The power supply device 150 is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and may be, for example, a distribution panel. In addition,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160 is a device for managing the peak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150, the power supply device 150 may measure the amount of power used in real time through the measurement module (150a).
만약, 전력 공급 장치(150)의 최대 부하(총 제한 용량)가 22KW/h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충전 장치(102)의 충전 전력량(각 충전 장치(102)에 공급되는 전력)이 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 내(예를 들어, 1시간 내) 이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중계기(120)는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가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각 충전 장치(102)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내용의 충전 장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상기 충전 장치 제어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각 충전 장치(102)는 상기 충전 장치 제어 메시지에 따라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20)는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가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주차 시간이 긴 시간대(예를 들어, 0시~오전 8시)에 중계기(120)는 충전 그룹을 나누어서 1시간씩 교대로 충전을 진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102)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많은 차량에서 충전을 균등하게 진행할 수 있다.If the maximum load (total limit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device 150 is set to 22 KW / h, the amount of charging power (power supplied to each charging device 102) of each charging device 102 exceeds this. Or if it is expected to exceed this in a set time (eg, within 1 hour), the repeater 120 causes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to sequentially charg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At least some of the 102 may be controlled. The repeater 120 may give priority to each charging device 102,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may receive a charging device control message of charging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riority. Can be generated. The repeater 120 may transmit the charging device control message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and each charging device 102 may sequentially charge the charging device control message. In addition, the repeater 12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sequentially charge by groups. As an example, at a time when the parking time is long (for example, 0 o'clock to 8 o'clock), the repeater 120 divides the charging group and performs charg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102 alternately. You can control some. In this case, charging can be performed evenly in more vehicles.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정보의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8)에 설치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전기차(104)의 충전 이력, 충전량, 충전 진행 상황(즉, 충전 상태), 충전 예상 시간 등을 조회할 수 있다.19 is an illustration of charg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1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hecks the charg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8, the charging history, the charging amount, the charging progress (ie, the charging status), the expected charging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104, etc. Can be retrieved.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정보는 예를 들어, 충전 방식, 사용자 승인 방식, 충전량, 충전 예상시간, 충전 진행상황, 충전 진행률, 주행 가능 거리, 충전 장치 예약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 단말(108)에서 디스플레이 및 제어되는 충전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9, the charging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8 may include, for example, a charging method, a user approval method, a charging amount, an estimated charging time, a charging progress status, a charging progress rate, a driving distance, a charging device reservation, and the like. Can b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displayed and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108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31)

  1. 전기차용 충전 장치로서,As a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전기차,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고 상기 전기차의 충전을 승인하는 인증 및 승인 모듈;An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and approv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 vehicle, a user terminal, or a payment card possessed by a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인증 및 충전의 승인이 완료되는 경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거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 제어 모듈; A power control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or cutting off the supply of power when the authentication and the approval of the charging are completed;
    상기 전기차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 모듈; A measurement module for measuring in real tim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이력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모듈; 및A data storage module storing a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device; And
    상기 전기차의 충전 정보 및 상기 충전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ferring the charging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history of the electric vehicle to a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to which the user terminal is accessible.
    상기 충전 장치는, 설정된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복수 개 배치되며,The charging device is arranged in plural within a set distance from each parking zone in the set parking lot,
    상기 복수 개의 각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충전 이력을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에 저장하고, 상기 충전 이력을 중계기를 통해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하며,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stores the charging history in the data storage module whenever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and transmits the charging history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through a repeater.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 또는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각 충전 장치에서 수집된 충전 이력으로부터 수요관리(Demand Response)를 위한 빅데이터로서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또는 각 지역별 충전 이력이 산정되고,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한 수요관리사업자의 수요관리(DR) 명령에 따라 설정된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 내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의 충전을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하는 내용의 정보를 상기 설정된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 내 각 충전 장치로 전달하며,In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or the repeater, the charging history for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or each region is calculated as big data for demand response from the charging history collec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Each charging device in the above-mentioned parking lot, building or region can display information on stopping charging of one or more charging devices in the parking lot, building or region set 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operator's demand management (DR) order based on big data. To,
    상기 중단하는 내용의 정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주차장, 건물 또는 지역 내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의 충전이 설정된 시간 동안 중단되며,The charging of one or more charging devices in the set parking lot, building or region is stopped for a set tim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topping content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이력은,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진 시간대,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된 횟수, 상기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된 충전량 또는 상기 충전 장치에서 결재된 충전 요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The charging history of the charging device may include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a number of times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a charge amount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or a charging in the charging device. Include one or more of the charges,
    상기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또는 각 지역별 충전 이력은,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각 주차장별, 각 건물별 또는 각 지역별 총 충전량 또는 총 충전 횟수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history for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or each region includes the total charging amount or the total number of charging for each parking lot, each building, or each region for a set time.
  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And said charging device comprises an outlet.
  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harging information.
  4.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요금, 상기 전력량, 상기 전기차의 식별 정보, 상기 전기차의 충전 상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상기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harging charg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amount of pow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 state of charge of the electric vehicle, an estimated time of completion of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an installation position. Charging device.
  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충전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의 총 제한 용량을 초과하거나 설정된 시간 내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주차장 내 각 충전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그룹별로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충전 장치.When the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is expected to exceed the total limited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or exceed the set time, at least a part of each charging device in the parking lot charges by group or sequentially. Going on, charging device.
  6.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에 속한 각 주차장의 위치, 상기 각 주차장별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의 개수, 위치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충전 장치.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location of each parking lot belonging to the area input from the user or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number of empty parking zones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for each parking lot, the location and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area that can be charged.
  7.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주차장, 빈 주차 구역,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차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관련 정보를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하는, 충전 장치.The communication module, the repeat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for the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parking lot, the empty parking area,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Received via, charging device.
  8.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기차의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되며,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a charge rate or a charge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인증시 상기 충전 요금 또는 충전량에 대응되는 충전 요금의 결제를 승인하는, 충전 장치.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the charging device for approving the payment of the charging fe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ee or the charging amount dur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9.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충전 관련 정보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충전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related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a charging time period input from the user.
  10.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충전 시간대에 타 사용자 단말 또는 타 사용자가 소지하는 결제 카드를 인식하는 경우 충전 불가 메시지를 생성하는, 충전 장치.The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module, when recognizing a payment card possessed by another user terminal or another user in the charging time period, the charging device, the charging device.
  11.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전기차와 상기 충전 장치의 연결이 단절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충전 중지 요청이 상기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까지 상기 전기차로 공급된 전력량에 해당하는 충전 요금에 대한 결제만을 승인하는, 충전 장치. 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is to the present time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charging device is disconnected by the user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or when a charge stop reques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peater. Charging device that only approves payment for the charging fe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상기 전기차에 저장된 전력의 매도 요청을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하고,The communication module may receive a request for selling power stored in the electric vehicl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상기 인증 및 승인 모듈은,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전기차를 인증하고,The authentication and approval module authenticates the user or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selling request,
    상기 계측 모듈은, 상기 매도 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로부터 공급되는 전력량을 계측하고, 상기 충전 장치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And the measuring module measures an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in response to the selling request, and controls a direction of a current flowing in the charging device.
  1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는, 충전 장치.And the power control module supplies the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charging cable.
  14.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구, 및 상기 충전 케이블의 삽입시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수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충전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power control module includes a plug for inserting the charging cable, and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charging cable to prevent the charging cab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lug when the charging cable is inserted.
  15.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수구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전자석인, 충전 장치.The locking device is an electromagnet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polo.
  16.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기차의 충전 완료시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수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을 상기 수구의 외측으로 푸시(push)하는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power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separating means for pushing the charging cabl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charging cable can be separated from the water outlet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Charging device.
  17.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전력 제어 모듈은, 상기 전력을 상기 전기차로 공급하는 도중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충전 장치.And the power control module cuts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while supplying the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8. 청구항 1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력 제어 모듈에 고정 연결되는, 충전 장치.And the charging cabl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power control module.
  19.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의 방수(water proof), 방진(dust proof)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상기 충전 장치의 보호를 위해 상기 충전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And a cover surrounding the charging device for protection of the charging device from water proof, dust proof and external impact of the charging device.
  20.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누전을 차단하는 누전 차단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eakage leakage blocking module for blocking an electrical leakage of the charging device.
  21.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차의 번호판 또는 상기 충전 장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within a distance set from the license plate or the charg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2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를 감지하여 상기 주차 구역 내 전기차의 주차 유무를 판별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n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area.
  2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진행 과정을 음성 안내하는 음성 안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voice guide module for voice guiding a charging process of the electric vehicle.
  24.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로 입력 및 출력되는 전원은,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인, 충전 장치.Power supply input and output to the charging device, the AC power supply or DC power supply.
  2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이벤트 로그를 더 저장하는, 충전 장치.The data storage module further stores an event log rela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charging device.
  26.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상기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각 충전 장치의 원격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 파일을 더 저장하는, 충전 장치.The data storage module further stores an upgrade file for remote upgrade of each of the charging devices received through a repeater connected to the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27.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주차장 내 각 주차 구역을 관리하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각 주차 구역 중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충전 장치.The charg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each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charging device for informing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an empty parking area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among the parking areas.
  28. 청구항 27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차장 내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의 개수, 위치 및 상기 전기차의 충전이 가능한 상기 빈 주차 구역과 가장 가까운 충전 장치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The information on the empty parking area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number, lo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device closest to the empty parking area capable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in the parking lot. Charging device.
  29. 청구항 27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빈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각 주차 구역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충전 장치.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empty parking area is displayed in a kiosk which is installed within a distance set from each of the parking areas.
  30. 청구항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충전 장치; 및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9; And
    중계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에서의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력사 서버에서 상기 전력사 서버와 연결된 계량기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및 타 전력 부하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제2 누적 전력 사용량에서 상기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을 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누적 전력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력사 서버로 제공하는 충전사업자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In a reg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nd other power loads are received, which receive information on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through a repeater, and are received from a power company server through a meter connected to the power company server. And a charging provider cloud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the power company serv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so that the first cumulative power usage may be deducted from the second cumulative power usage.
  31. 청구항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충전 장치; 및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9; And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피크 전력을 관리하는 최대 전력 관리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총 제한 용량을 초과하거나 설정된 시간 내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중 적어도 일부가 그룹별로 또는 순차적으로 충전을 진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충전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It is connected to the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peak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the pow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exceeds or set the total limited capacity of the power supply device And a repeater for controlling at least some of said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such that at least some of said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advance charging by group or sequentially if expected to exceed in time.
PCT/KR2017/009461 2016-08-31 2017-08-30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WO2018044058A2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732 2016-08-31
KR20160111732 2016-08-31
KR10-2016-0167664 2016-12-09
KR20160167664 201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58A2 true WO2018044058A2 (en) 2018-03-08
WO2018044058A3 WO2018044058A3 (en) 2018-08-09

Family

ID=6130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461 WO2018044058A2 (en) 2016-08-31 2017-08-30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44058A2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4337A (en) * 2018-09-29 2019-01-29 四川赢才多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service
US20210158460A1 (en) * 2018-07-27 2021-05-27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WO2022007689A1 (en) * 2020-07-08 2022-01-1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Charging reminding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program, storage medium, an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580A1 (en) * 2008-01-07 2009-07-09 Lowenthal Richard W Collection of electric vehicle power consumption tax
JP5490473B2 (en) * 2009-09-15 2014-05-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Data processing system, electric vehicle and maintenance service system
KR101210204B1 (en) * 2010-07-02 2012-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e and Discharge of Electric Energy
US9563215B2 (en) * 2012-07-14 2017-02-07 Causam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ly managing electric power supply for an electric power grid
KR20150090015A (en) * 2015-07-27 2015-08-05 (주)아이비허브 Electric Socket Having Automatic Payment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8460A1 (en) * 2018-07-27 2021-05-27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US11900487B2 (en) * 2018-07-27 2024-02-13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CN109284337A (en) * 2018-09-29 2019-01-29 四川赢才多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service
WO2022007689A1 (en) * 2020-07-08 2022-01-1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Charging reminding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program, storage medium,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58A3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68376A1 (en) Location-based electric power mediation module, electric vehicle, mediation server, and user certification socket or connector
US202401094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tributing electricity to multiple loads based on a scheduler and ammeter measurements
US106829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multiple loads with current measurements
WO2018044058A2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US20100241542A1 (en)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method and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WO2015147360A1 (en) Charging and bill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643281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control device
WO2011065775A2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JP2016189692A (en) Charging system
WO2019054535A1 (en) Device and method for varying communication path of electric vehicle charger
JP6233759B2 (en) Charging system
JP5950216B2 (en) Charging system
WO2020138724A1 (en) Smart outlet and charging control system using same
WO202302231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40083285A1 (en)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with shared resources
WO2018062903A1 (en) IoT-BASED RESIDENTIAL PARKING PERMIT Z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24025329A1 (en) Wireless lan-based charg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wireless power transfer
WO2022086204A1 (en) Active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lan-based smart charging or 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WO202212477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20757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renegotiation in message sequencing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grid
WO2024111748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harging schedule information
JP2023171071A (en) charging system
JP2010246291A (en) Power supply system
WO2011138982A1 (en) Network system
KR20230046328A (en) A method of using electricity using a home network server in a building including parking areas equipped with electrical out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69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69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