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273A1 -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273A1
WO2017146273A1 PCT/KR2016/001689 KR2016001689W WO2017146273A1 WO 2017146273 A1 WO2017146273 A1 WO 2017146273A1 KR 2016001689 W KR2016001689 W KR 2016001689W WO 2017146273 A1 WO2017146273 A1 WO 20171462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beamsector
beam sector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1689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조동호
정병창
박대희
한준상
김윤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PCT/KR2016/0016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46273A1/en
Publication of WO20171462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2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Definitions

  • the terminal 5 when the terminal 5 is in an idle state and wants to perform communication, it may request a beam sector that can receive service. In this case, too, the terminal 5 may be allocated a new beamsector. This process is also known as cell reselection. As such, the terminal 5 may receive a new beamsector and continue to receive ser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terminal 5 moves below.
  • the AP device 10B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 device 10A (5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a terminal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beam sector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AP devices;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signal strength to a serving AP device which is an AP device for supporting a current service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the serving AP devic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about a target beam sector, which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ignal strength among beam sectors provided from a target AP, to the target AP device which is an AP devic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and the target AP device providing a service for the terminal by means of the target beam sector.

Description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 sector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and a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빔섹터를 결정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특히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technique for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providing a service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relates in particular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mobility of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무선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의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 분할 다중 접속 통신(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한 BDMA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As traffic of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s rapidly increased in a wireless 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udies on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systems are actively conducted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s. Further research on BDMA systems using patterned / polarized antennas is underway.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빔섹터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BDMA 시스템에서 이동하는 단말에 대해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하는 이동성 지원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determining a beam sector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terminal in a BDMA system using a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Furthermore,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is to provide a mobility support scheme that provides a service seamlessly to a mobile station in a BDMA system.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은 단말이 AP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AP 장치에 상기 신호 세기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AP 장치가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by a terminal,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beamsector transmitted from an AP device;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signal strength to the AP device; and The apparatus includes providing a service for the terminal to a target beamsector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은 단말이 복수의 AP 장치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AP 장치인 서빙 AP 장치에 상기 신호 세기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빙 AP 장치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AP 장치인 타깃 AP 장치에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타깃 AP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깃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AP 장치가 상기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BDMA system, a mobility support method for a terminal includes: measuring, by a terminal, signal strengths of beam sector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AP devices, and wherein the terminal is an AP device that provides a current service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Transmitting the signal strength to the target AP device, wherein the serving AP device is an AP devic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and among the beam sectors provided by the target AP;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to the target AP device, and providing the service for the terminal to the target beamsector by the target AP device.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해 일정한 QoS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allows a certain QoS to be provided to a terminal in a BDMA system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도 1은 BDMA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BDMA system.
도 2는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한 방사 패턴에 대한 예이다.2 is an example of a radiation pattern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도 3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예이다.3 is an example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4는 단말이 같은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moves a beam 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도 5는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5 is an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6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6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chart for 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 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7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7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chart for 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 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8은 같은 AP 장치가 각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beam sector.
도 9는 같은 AP 장치가 각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예이다.9 i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ame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beamsector.
도 10은 단말이 다른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moves to a beam sector provided by another AP device.
도 11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11 is an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12는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12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chart for a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13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13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chart for a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도 14는 서로 다른 AP 장치가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AP devices transmit reference signals for beam sectors.
도 15는 서로 다른 AP 장치가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예이다.1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different AP devices transmit reference signals for beam sector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made in various ways and have a variety of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erely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Only used a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re is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o be clear that the division of the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ivided by the main function of each component.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provided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func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mponents,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different. Of course, it may be carried out exclusively by.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carrying out the method or operation method, each proces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빔 분할 다중 접속 통신(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게 빔섹터를 제공하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패턴/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BDMA 시스템(이하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이라고 함)에서 단말에게 빔섹터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BDMA 시스템과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is directed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beam sector to a terminal in a 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system. 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beam sector to a terminal in a BDMA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First, the BDMA system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BDMA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BDMA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BDMA 시스템은 BDMA 기술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BDMA 시스템은 AP 장치(10)가 서로 다른 각도(방향)에 있는 단말(5)들에게 각각 빔을 전송하여 동시에 여러 단말(5)에 데이터를 전송한다(하향 링크). AP 장치(10)는 사전에 단말(5)의 위치를 알고 있다고 전제한다. AP 장치(10)는 빔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일정한 영역을 빔포밍(beamforming)할 수 있는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1 shows an example of a BDMA system. BDMA system mean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BDMA technology. In the BDMA system, the AP device 10 transmits beams to the terminals 5 at different angles (directions), respectively,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data to several terminals 5 (downlink). It is assumed that the AP device 10 know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5 in advance. The AP device 10 may use an antenna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eam or beamforming a predetermined area.
단말(5)이 기지국에 데이터를 보낼 때도 마찬가지로 AP 장치(10)으로 향하는 빔을 전송한다.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빔을 전용하지 않고 비슷한 각도의 위치에 있는 단말들이 하나의 빔을 공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Beam 2는 3개의 단말과 AP 장치(10)가 통신하는 채널이 된다. 이 경우 하나의 빔을 공용하는 단말들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나누어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when the terminal 5 sends data to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5 transmits a beam directed to the AP device 10. One terminal does not dedicate one beam, and terminals at similar angles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by sharing one beam. For example, in FIG. 1, Beam 2 becomes a channel through which three terminals and the AP device 10 communicat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erminals sharing one beam share frequency / time resources.
AP 장치(10)는 이동통신의 기지국과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AP 장치(10)는 이동통신의 매크로셀을 구성하는 기지국, 이동통신의 스몰 셀(small cell)을 구성하는 AP 장치, WiFi의 AP 장치, 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AP 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설명에서 AP 장치(10)는 특정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P 장치(10)는 코어 네트워크와 단말(5)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 장치(1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nodeB, eNodeB 등)이라고 가정한다.The AP device 10 includes a device such as a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AP device 10 includes a base station constituting a macro cell of mobile communication, an AP device constituting a small cell of mobile communication, an AP device of WiFi, and an AP devic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It is a concep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P device 10 refers to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using a specific communication scheme. The AP device 1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core network and the terminal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AP device 10 is a base station (nodeB, eNodeB, etc.)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말(5)은 AP 장치(10)를 통해 무선 통신을 하는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단말(5)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을 포함한다. 단말(5)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성을 갖는다. 또는 단말(5)은 이동하는 장치(차량 등)에 부착되어 이동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5)은 사용자 소지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장치라고 가정한다.The terminal 5 includes various devices tha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AP device 10. For example, the terminal 5 includes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The terminal 5 is basically carried by the user and has mobility. Alternatively, the terminal 5 may be attached to a moving device (vehicle, etc.) to have mobilit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5 i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possessed by a user.
도 2는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한 방사 패턴에 대한 예이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은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안테나는 기본적으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는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나아가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소자의 모양 및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2 is an example of a radiation pattern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s communicate using pattern / polarized antennas. The antenna may basically form a constant beam as described in FIG. The antenna includes an antenna element. Furthermore, the antenna element may exhibit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antenna element.
안테나 소자의 특성에 따라 안테나는 일정한 모양의 방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안테나가 나타낼 수 있는 방사 패턴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크게 2가지의 방사 패턴(n=1 및 n=2)을 도시한다. 또한 동일한 모양의 방사 패턴도 향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방사 패턴 n=1에 대해 3개의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도시하였고, 방사 패턴 n=2에 대해 5개의 방사 패턴을 도시하였다. 나아가 안테나가 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면 전기장과 자기장이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 또 서로 상이한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element, the antenna may have a radiation pattern of a certain shape. 2 is an example of a radiation pattern that an antenna may represent. 2 largely illustrates two radiation patterns (n = 1 and n = 2). In addition, different patterns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ame shape is directed. FIG. 2 shows three different radiation patterns for radiation pattern n = 1 and five radiation patterns for radiation pattern n = 2. Furthermore, if the antenna uses a polarized antenna, it may provide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travel.
AP 장치(10)가 독특한 방사 패턴(제1 방사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단말(5)은 다른 방사 패턴과 제1 방사 패턴을 구별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결국 방사 패턴은 빔과는 별도로 신호를 전송하는 일종의 채널이 되는 것이다.When the AP device 10 transmits a signal using a unique radiation pattern (first radiation pattern), the terminal 5 may receive a signal by distinguishing the first radiation pattern from another radiation pattern. After all, the radiation pattern is a kind of channel that transmits a signal separately from the beam.
이하 "패턴 안테나"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일정하게 배열한 안테나 장치를 의미한다. 패턴 안테나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 소자를 유니크(unique)한 방사 패턴을 가진 소자일 수 있다. 이하 "편파 안테나"는 일정한 편파 패턴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일정하게 배열한 안테나 장치를 의미한다. 편파 안테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장 안테나와 자기장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전기장과 자기장 영역에서 서로 구분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를 의미한다. 이하 "패턴/편파 안테나"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와 일정한 편파 패턴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모두 사용하는 안테나 장치를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pattern antenna" means an antenn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having a certain pattern are constantly arranged. The pattern antenna may include antenna elements having different patterns. In this case, the antenna device may be a device having a radiation pattern unique to the antenna device. Hereinafter, the "polarized antenna" means an antenna device in which antenna elements having a constant polarization pattern are constantly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ed antenna refers to an antenna that transmits signal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n electric field and a magnetic field area by simultaneously using an electric field antenna and a magnetic field antenna. Hereinafter, "pattern / polarized antenna" means an antenna device using both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having a constant pattern and an antenna element having a constant polarization pattern.
도 3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예이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은 패턴/편파 BDMA 기술에 기반한 무선 통신 시슽템을 의미한다. 도 3는 상부에 패턴/편파 안테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편파 안테나는 안테나 어레이(array)일 수 있다. 즉 패턴/편파 안테나는 복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로 구성되는 안테나 어레이를 이하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라고 명명한다. 도 3에서 하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50)를 사각형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하나의 단위 패턴/편파 안테나(50)는 복수의 안테나들(51, 52, 53. 54)을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들(51, 52, 53. 54)은 서로 각각 다른 방사 패턴을 갖는다.3 is an example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The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refer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pattern / polarized BDMA technology. 3 shows an example of a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n top. As shown in FIG. 3,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may be an antenna array. That is,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patterns / polarization antennas. An antenna ar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pattern / polarized antennas is referred to as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hereinafter. In FIG. 3, one uni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50 is represented by a dotted dotted line. One uni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50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51, 52, 53. 54. The plurality of antennas 51, 52, 53. 54 have different radiation patterns, respectively.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는 빔포밍을 통하여 각각 B개의 빔섹터를 구성할 수 있다.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는 섹터별로 유일한(unique) 가중치를 갖는 빔포머들을 이용하여 빔들을 공간적으로 빔섹터로 분리시키고, 서로 다른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일한 AoD (Angle of Direction)를 갖는 빔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턴 편파 안테나 어레이는 각 빔섹터 안에서 다수의 패턴/편파 특성을 갖는 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K개의 패턴/편파 안테나를 이용하여 K개의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동시에 전송한다. 즉 패턴 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송이 가능하다. 단말(5)이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한다면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전송이 가능하다.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may configure B beam sectors through beamforming.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spatially separates the beams into beamsectors using beamformers with unique weights per sector, and uses beams with the same AoD (Angle of Direction) using differen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s. Can transmit Through this, the pattern polarization antenna array may transmit a signal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 /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in each beam sector. Referring to FIG. 3, K different radiation pattern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using K patterns / polarized antennas. That is,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ransmission is possible using a patterned polarization antenna array. If the terminal 5 uses one antenna, multiple-input single-output (MISO) transmission is possible.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BDMA 시스템을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이라고 한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빔섹터를 구성하는 다중 패턴/편파 신호들 사이의 간섭을 프리코더(precoder)로 미리 제거한 다음 전송한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은 종래 BDMA방식의 빔포밍 이득과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한 패턴 편파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A BDMA system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is called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interference between multiple pattern / polarized signals constituting the same beam sector is previously removed by a precoder and then transmitted. The pattern / polarization BDMA system can simultaneously obtain the beamforming gain of the conventional BDMA system and the pattern polarization gain using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단말(5)이 AP 장치(10)가 제공하는 새로운 빔섹터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AP 장치(10) 또는 코어 네트워크가 하향 링크를 통해 단말로 일정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향 링크를 통해 단말로부터 일정한 데이터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1) 단말(5)이 현재 서비스를 받는 빔섹터(이하 서빙 빔섹터라고 함)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동일한 AP 장치(10)가 제공하는 새로운 빔섹터를 할당받을 수 있다. (2) 또 단말(5)은 하나의 AP 장치(10A)에서 제공하는 빔섹터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서 다른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을 서비스하는 AP 장치가 변경되므로 일종의 핸드 오버라고 할 수 있다. (3) 나아가 단말(5)이 아이들(idle) 상태에 있다가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빔섹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역시 단말(5)은 새로운 빔섹터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단말(5)는 새로운 빔섹터를 할당받아 서비스를 계속받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단말(5)이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한다.The terminal 5 may receive a service through a new beamsector provided by the AP device 10. Here, the service means that the AP device 10 or the core network provides constant data to the terminal through the downlink or receives constant data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uplink. For example, (1) when the terminal 5 moves to a different location from a beamsector currently serv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ng beamsector), a new beam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10 may be allocated. (2) In addition, the terminal 5 may be allocated to a beam sector provided by another AP device 10B while moving to another location from the beam sector provided by one AP device 10A. In this case, since the AP device serving the terminal 5 is changed, it can be said to be a kind of handover. (3) Furthermore, when the terminal 5 is in an idle state and wants to perform communication, it may request a beam sector that can receive service. In this case, too, the terminal 5 may be allocated a new beamsector. This process is also known as cell reselection. As such, the terminal 5 may receive a new beamsector and continue to receive servic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terminal 5 moves below.
도 4는 단말이 같은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단말(5), AP 장치(10) 및 이동성 관리 장치(30)를 도시한다. 도 4를 살펴보면 AP 장치(10)는 편파/패턴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4 개의 빔섹터(빔섹터 1, 빔섹터 2, 빔섹터 3 및 빔섹터 4) 를 제공하고 있고, 각 빔섹터는 서로 다른 방사 패턴을 갖는 복수의 신호를 제공한다. 단말(5)은 현재 빔섹터 1(서빙 빔섹터)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고, 빔섹터 2가 서비스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moves a beam 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4 illustrates a terminal 5, an AP device 10, and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Referring to FIG. 4, the AP device 10 provides four beam sectors (beam sector 1, beam sector 2, beam sector 3, and beam sector 4) using a polarization / pattern array antenna, and each beam secto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Provide a plurality of signals having a radiation pattern. The terminal 5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from the beam sector 1 (serving beam sector) and is moving to the area served by the beam sector 2.
단말(5)은 새로운 빔섹터 할당을 요청하기 위해서 해당 빔섹터가 제공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해야 한다. 즉, 단말(5)은 서빙 빔섹터의 신호 세기와 서빙 빔섹터에 인접한 다른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도 4에서 단말(5)은 빔섹터 1의 신호 세기와 빔섹터 2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5)이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대상은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이다. AP 장치(10)는 각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기준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말(5)은 기준 신호를 통해 서빙 빔섹터의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별 채널 이득 및 서빙 빔섹터에 인접한 주변 빔섹터의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별 채널 이득을 얻게 된다. In order to request a new beamsector allocation, the terminal 5 must measure the strength of a signal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beamsector. That is, the terminal 5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beam sector and the signal strength of another beam sector adjacent to the serving beam sector. In FIG. 4, the terminal 5 may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sector 1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m sector 2. The terminal 5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a reference signal. The AP device 10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through each beamsector. The reference signal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5 obtains the channel gain for the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of the serving beamsector and the channel gain for the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of the peripheral beamsector adjacent to the serving beamsector through the reference signal.
단말(5)은 같은 AP 장치(10)에서 빔섹터를 옮겨 이동하는 경우, 빔섹터 경계에서 채널 이득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활용해 끊김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4에서 단말(5)이 이동하여 빔섹터 1보다 빔섹터 2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우수하다면 빔섹터 2를 통해 단말(5)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obile station 5 moves and moves the beam sector in the same AP device 10, the terminal 5 may select a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having excellent channel gain at the beam sector boundary to receive seamless service by utilizing diversity gain. In FIG. 4, if the terminal 5 moves and uses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of beamsector 2 rather than beamsector 1, the channel gain is excellen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ervice for the terminal 5 through beamsector 2. Do.
단말(5)에 대한 빔섹터 선택은 기본적으로 채널 이득(신호의 세기)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기준 내지 환경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빔섹터 선택은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빔섹터의 간섭 정도, 빔섹터의 가용도,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 이득을 기준으로 빔섹터를 결정한다고 가정한다.The beamsector selection for the terminal 5 may be basically based on the channel gain (signal strength). In some cases, other criteria or environments may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beamsector selection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the degree of interference of the beamsector, the availability of the beamsector, and the service provider's policy.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beam sector is determined based on the channel gain.
나아가 단말(5)의 위치나 주변환경에 따라서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와 빔섹터 2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모두 이용하여 단말(5)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AP 장치(10)는 복수의 빔섹터가 서로 협력하여 단말(5)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Furthermor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5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terminal 5 may provide a service for the terminal 5 by using both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of the beam sector 1 and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of the beam sector 2. . In this case, the AP device 10 should allow a plurality of beam sector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5.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여 단말(5)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복수의 AP 장치(10)에 대한 이동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is a device located in the core network to manage mobility of the terminal 5.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control mobility for the plurality of AP devices 10.
도 5는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1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단말(5)이 동일한 AP 장치(10)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110). 빔섹터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121).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5)은 서빙 빔섹터의 기준 신호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빔섹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5 is an example of a process flow diagram for a method 100 for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5 newly receives a beam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10 as shown in FIG. 4. The AP device 10 transmits the reference signal through the beam sector (110). The terminal 5 located in the coverage of the beam sector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using the reference signal (121).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receive not only the reference signal of the serving beam sector but also reference signals of other adjacent beam sectors and measure the strength of each signal.
단말(5)은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22). 예컨대, 단말(5)은 현재 빔섹터 1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빔섹터2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말(5)은 AP 장치(10)에 빔섹터2로 서비스를 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130). 즉 단말(5)은 서빙 빔섹터를 다른 빔섹터로 전환(이동)해 줄 것을 AP 장치(10)에 요청하는 것이다. 현재의 서빙 빔섹터보다 채널이득이 좋은 빔섹터를 타깃 빔섹터라고 명명한다. 즉 단말(5)은 서빙 빔섹터에서 타깃 빔섹터로 이동을 요청한다. 경우에 따라서 단말(5)은 복수의 후보 빔섹터 중에서 가장 채널 이득이 좋은 빔섹터를 최종적인 타깃 빔섹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되는 타깃 빔섹터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 정리하면 단말(5)이 전송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는 이동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타깃 빔섹터의 정보,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5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122). For example, if the terminal 5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from the beam sector 1 and it is determined that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adjacent beam sector 2 has a good channel gain, the terminal 5 beams to the AP device 10. The service may be requested to service the sector 2 (130). That is, the terminal 5 requests the AP device 10 to switch (move) the serving beam sector to another beam sector. A beam sector with better channel gain than the current serving beam sector is called a target beam sector. That is, the terminal 5 requests a movement from the serving beam sector to the target beam sector. In some cases, the terminal 5 may determine a beam sector having the best channel gain amo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beam sectors as the final target beam sector.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beam sector to be move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 in the target beam sector, and the like. In summary, the movement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5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vement request, information of the target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information.
AP 장치(10)는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140). AP 장치(10)는 자신이 선택한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15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는 복수의 빔섹터를 협력적으로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AP device 10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140). The AP device 1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using the beam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selected by the AP device 10 (15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5 using a plurality of beam sectors cooperatively.
도 6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2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4와 같이 단말(5)이 동일한 AP 장치(10)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210). 빔섹터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220).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5)은 서빙 빔섹터의 기준 신호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빔섹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6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200 of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5 newly receives a beam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10 as shown in FIG. 4. The AP device 10 transmits the reference signal through the beam sector (210). The terminal 5 located in the coverage of the beam sector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using the reference signal (220).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receive not only the reference signal of the serving beam sector but also reference signals of other adjacent beam sectors and measure the strength of each signal.
단말(5)은 도 5와 달리 빔섹터 이동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자신이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AP 장치에 전달한다(230). 이때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되는 타깃 빔섹터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Unlike FIG. 5, the terminal 5 transmits the strength of a signal measured by the terminal 5 to the AP device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beam sector to be move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 in the target beam sector, and the like.
AP 장치(10)는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신호의 세기 등)를 기반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41). 예컨대, 단말(5)은 현재 빔섹터 1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빔섹터2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 AP 장치(10)는 서빙 빔섹터를 빔섹터2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AP 장치(10)는 복수의 후보 빔섹터 중에서 가장 채널 이득이 좋은 빔섹터를 최종적인 타깃 빔섹터로 결정할 수 있다. The AP device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information (signal strength, etc.)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241).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5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from beamsector 1 and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of the adjacent beamsector 2 determines that the channel gain is good, the AP device 10 may determine the serving beamsector by beamsector. Can move to 2. In some cases, the AP device 10 may determine a beam sector having the best channel gain amo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beam sectors as the final target beam sector.
AP 장치(10)는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242). AP 장치(10)는 자신이 선택한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25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는 복수의 빔섹터를 협력적으로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AP device 10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242). The AP device 1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using the beam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selected by the AP device (25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5 using a plurality of beam sectors cooperatively.
도 7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3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4와 같이 단말(5)이 동일한 AP 장치(10)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310). 빔섹터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320).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단말(5)은 서빙 빔섹터의 기준 신호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빔섹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각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7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300 of determining a beamsector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5 newly receives a beamsector provided by the same AP device 10 as shown in FIG. 4. The AP device 10 transmits the reference signal through the beam sector (310). The terminal 5 located in the coverage of the beam sector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using the reference signal (320).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receive not only the reference signal of the serving beam sector but also reference signals of other adjacent beam sectors and measure the strength of each signal.
단말(5)은 도 5와 달리 빔섹터 이동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자신이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AP 장치에 전달한다(331). 이때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되는 타깃 빔섹터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 AP 장치(10)는 도 6과 달리 빔섹터 이동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자신이 수신한 정보를 재차 이동성 관리 장치(30)에 전달한다(332).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에서 AP 장치(10)가 서비스하는 단말(5)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LTE 통신에서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같은 엔터티일 수 있다.Unlike in FIG. 5, the terminal 5 transmits the strength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terminal 5 to the AP device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beam sector to be move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 in the target beam sector, and the like. Unlike in FIG. 6, the AP device 10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P device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again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is a device for managing mobility for the terminal 5 serviced by the AP device 10 in the core network. For example,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be an entity such as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in LTE communication.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AP 장치(10)를 경유하여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신호의 세기 등)를 기반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41). 예컨대, 단말(5)은 현재 빔섹터 1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빔섹터2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하는 경우, AP 장치(10)는 서빙 빔섹터를 빔섹터2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복수의 후보 빔섹터 중에서 가장 채널 이득이 좋은 빔섹터를 최종적인 타깃 빔섹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342).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information (signal strength, etc.)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via the AP device 10 (341).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5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from beamsector 1 and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of the adjacent beamsector 2 determines that the channel gain is good, the AP device 10 may determine the serving beamsector by beamsector. Can move to 2. In some cases,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may determine a beam sector having the best channel gain among the plurality of candidate beam sectors as the final target beam sector.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342).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빔섹터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새롭게 선택한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정보를 AP 장치(10)에 전달한다(350).When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determines that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newly selected beam 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to the AP device 10 (350).
AP 장치(10)는 이동성 관리 장치(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36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는 복수의 빔섹터를 협력적으로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AP device 1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using the new beam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36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5 using a plurality of beam sectors cooperatively.
이하 기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는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해 빔섹터를 나누어 공간 분할 이득을 얻게 된다. 여기서 공간 분할을 이용하고 주파수 재사용률을 1 (빔섹터마다 같은 주파수 대역을 최대로 이용)로 하게 된다면 빔섹터 경계에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빔섹터 별로 같은 기준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 기준 신호 간에도 간섭이 생겨 정확한 채널 추정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이동성 지원 등 기준 신호를 이용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빔섹터 간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reference signal in a reference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will be described.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the beam sector is divided by using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to obtain a spatial division gain. If spatial partitioning is used and the frequency reuse ratio is set to 1 (maximum use of the same frequency band for each beam sector), interference occurs at the beam sector boundary. In such a situation, when the same reference signal is used for each beam sector,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reference signals,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he channel. Accordingly, a problem may occur in providing a stab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reference signal such as mobility support. 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 interference problem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may be needed.
도 8은 같은 AP 장치가 각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간섭 요소는 패턴/편파 안테나 배열로 생성하는 빔섹터 간의 간섭일 수 있다. 도 8은 AP 장치(10)가 4개의 빔섹터(빔섹터 1, 빔섹터 2, 빔섹터 3 및 빔섹터 4)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도 8에서 서로 인접한 빔섹터 1과 빔섹터 2, 빔섹터 2와 빔섹터 3, 빔섹터 3과 빔섹터 4 사이에 기준 신호에 대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접한 빔섹터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준 신호를 회피해서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8은 인접한 빔섹터끼리 같은 시간 또는 주파수(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예이다. 도 8의 우측을 살펴보면 빔섹터 1과 빔섹터 3은 같은 시간 또는 주파수를 사용하고, 빔섹터 2와 빔섹터 4는 같은 시간 또는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인접한 빔섹터인 빔섹터 1과 빔섹터 2는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인접한 빔섹터 사이에서 기준 신호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결국 도 8은 인접한 빔섹터에서 같은 자원 영역을 이용하지 않고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beam sector. The largest interference factor that may occur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may be interference between beamsectors generated by a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AP apparatus 10 provides four beam sectors (beam sector 1, beam sector 2, beam sector 3, and beam sector 4). For example, in FIG. 8, interference with reference signals may occur between beam sector 1 and beam sector 2, beam sector 2 and beam sector 3, beam sector 3, and beam sector 4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reduce such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a method of avoiding and operating a reference signal is required.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reference signals are operat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ame time or frequency (channel)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Referring to the right side of FIG. 8, the beam sector 1 and the beam sector 3 use the same time or frequency, and the beam sector 2 and the beam sector 4 use the same time or frequency. However, beamsector 1 and beamsector 2, which are adjacent beam sectors, use different times or frequencies. Through this, interference of the reference signal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can be avoided. As a result, FIG. 8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without using the same resource region in an adjacent beam sector.
도 8과 같은 경우 기준 신호를 주파수 재사용하듯 이용한다. 따라서 주파수 자원 상의 손해를 볼 수 있다. 결국 기준 신호를 최대한 적게 나누어 사용하는 것 (재사용률 조정)이 자원 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빔섹터를 만들 때 예측되는 간섭을 통해 재사용률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8, the reference signal is used as if frequency reuse. Therefore, the loss on the frequency resources can be seen. As a result,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resource management that the reference signal be used as little as possible. When creating a beamsector,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reuse rate through the predicted interference.
인접한 빔섹터 간 간섭을 해결하는 것으로 많은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인접한 빔섹터가 기준 신호를 한 자원 블록 씩 쉬는 구간이 생겨 주파수 자원에서 어느 정도의 손해를 볼 수 있다. 인접한 빔섹터에서 동일한 자원 구간에서 중복되게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경우, 패턴/편파 안테나 배열이 가지는 방사특성이나 진행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되는 채널 이득도 어떤 패턴/편파 안테나로 전송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에 대해 채널 특성이 우수하게 발생하는 지역의 경우 단말(5)이 속한 빔섹터와 인접 빔섹터에서 사용하는 그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 배열에서 전송하는 기준 신호가 서로 간섭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9는 같은 AP 장치가 각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예이다. 도 9(a)는 인접합 빔섹터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도시한 예이다. 도 9(a)에서 빔섹터 1과 빔섹터 2에서 사용하는 패턴/편파 안테나 중 "○"로 표시한 안테나의 채널 특성이 우수하다고 가정한다. 도 9(a)에서는 "○"을 dominant pattern이라고 표시하였다. 결국 도 9(a)와 같은 상황에서 빔섹터 1과 빔섹터 2가 동일한 자원블록에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면 간섭 가능성이 높아진다.Many interferences can be eliminated by solving the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beamsectors. However, there is a section in which adjacent beam sectors rest the reference signal by one resource block, so that some damage may be caused in frequency resources. In the case where the reference signal is operated overlapping in the same resource interval in the adjacent beam sector, the channel gain measured may vary depending on which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is transmitted becaus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r the propagation path of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are different. . Also, in the region where the channel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for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the beam sector to which the terminal 5 belongs and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used in the adjacent beam sector may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The chances are high. 9 i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ame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beamsector. 9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interference may occur in an adjacent beam sector. In FIG. 9 (a), it is assumed that the channel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indicated by "o" among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s used in the beam sector 1 and the beam sector 2 are excellent. In FIG. 9A, "○" is denoted as a dominant pattern. As a result, if the beam sector 1 and the beam sector 2 transmit the reference signal in the same resource block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9 (a),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increases.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a)와 같은 상황에서 인접한 빔섹터끼리 같은 자원 블록에 같은 패턴/편파를 할당해서 기준 신호를 운영하면 간섭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 인접한 빔섹터에서는 중복되어 사용하는 자원 블록에 서로 다른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b)는 인접한 빔섹터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에 서로 다른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9(b)와 같이 동일한 자원 블록에서 사용하는 패턴 신호를 빔섹터별로 다르게 운영하여 간섭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블록은 주파수 또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operated by allocating the same pattern / polarization to the same resource block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i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in this case, differen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s may be used for overlapping resource blocks in adjacent beam sectors. FIG. 9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s are used for the same resource block in adjacent beam sectors. As shown in FIG. 9 (b), interference may be efficiently removed by operating a pattern signal used in the same resource block for each beam sector differently. Here, the resource block is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frequency or tim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5)은 다양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5)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혹은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측정하여, 인접한 빔섹터의 RSRP 혹은 RSRQ가 일정 기준값 이상일 경우 측정된 RSRP 혹은 RSRQ값을 포함하여 AP 장치(10)에 보고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5 may measure the channel gain using various reference sig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5 measures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or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and when the RSRP or RSRQ of the adjacent beam se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AP device (RSP or RSRQ) is measured. You can report to 10).
다양한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빔섹터에서 발생하는 채널 행렬의 랭크(rank)를 기준으로 빔섹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송 전력은 일정한 벡터와 행렬로 표현 가능하다. 채널 행렬의 랭크의 물리적인 의미는, 주어진 채널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최대 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행렬의 랭크(rank)는 서로 독립인(independent) 행(row) 또는 열(column)의 개수 중에서 최소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When using various reference signals, the beam sector may be selected based on a rank of the channel matrix generated in the beam sector. The transmit power can be represented by constant vectors and matrices. The physical meaning of the rank of the channel matrix is the maximum number that can send different information on a given channel. Therefore, the rank of the channel matrix may be defined as the minimum number among the number of independent rows or columns.
그러나 빔섹터의 경계에 단말(5)이 위치하는 경우, 강한 간섭으로 인하여 채널 행렬의 랭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5)이 빔섹터 간 간섭을 받는 상황이라면 다이버시티를 활용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랭크가 아닌 정규화된 행렬(matrix norm) 값을 사용하여 빔섹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정규화된 행렬은 전체 채널의 이득(gain)의 합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However, when the terminal 5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beam sector, it may not be good to refer to the rank of the channel matrix due to strong interference. If the terminal 5 is subjected to interference between beam sectors, it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diversity.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determine the beamsector using a normalized matrix value rather than rank. The normalized matrix is an index representing the sum of gains of all channels.
이하 단말(5)이 AP 장치의 경계에 위치하여 서빙 AP 장치에서 다른 AP 장치의 커버리지로 이동하는 경우(핸드오버)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단말이 다른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도 10은 단말(5), 두 개의 AP 장치(10A 및 10B) 및 이동성 관리 장치(30)를 도시한다. 도 10에서 단말(5)는 AP 장치(10A)와 AP 장치(10B)의 경계에 위치한다. 단말(5)은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와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가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한다. 현재의 서빙 AP 장치가 AP 장치(10A)라고 가정한다. 이때 단말(5)이 수신한 기준 신호의 세기를 평가하여 AP 장치(10B)의 빔섹터 1로 빔섹터를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서빙 AP 장치(10A)가 인접한 다른 AP 장치(10B)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단말(5)이 이동할 AP 장치(10B)를 타깃 AP 장치라고 명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5 is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AP device and moves from the serving AP device to coverage of another AP device (handover) will be described. 10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moves to a beam sector provided by another AP device. 10 shows a terminal 5, two AP devices 10A and 10B and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In FIG. 10, the terminal 5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The terminal 5 is located in an area in which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can simultaneously serve. Assume that the current serving AP device is the AP device 10A. In this case,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5 may be evaluated to move the beam sector to beam sector 1 of the AP device 10B. Hereinafter, a process of moving the serving AP device 10A to another adjacent AP device 10B will be described. The AP device 10B to which the terminal 5 will move is called a target AP device.
한편 도 10에서 AP 장치(10A) 및 AP 장치(10B)는 서로 통신 방식이 상이한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AP 장치(10A)는 이동통신의 기지국이고, AP 장치(10B)는 Wi-Fi의 AP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이종 네트워크 사이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장치에 해당한다.Meanwhile, in FIG. 10,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be device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AP device 10A may be a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AP device 10B may be an AP of Wi-Fi. In this case,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corresponds to a device for managing mobil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도 11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4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예이다. 도 11은 도 10와 같이 단말(5)이 서로 다른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A) 및 AP 장치(10B)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411, 412). 물론 단말(5)은 도 11과 달리 보다 많은 AP 장치로부터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11 is an example of a process flow diagram for a method 400 of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5 newly receives a beam sector provided by different AP devices as shown in FIG. 10.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transmit reference signals through the beamsectors 411 and 412. Of course, unlike FIG. 11, the terminal 5 may receive a reference signal from more AP devices.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421).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단말(5)은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22). 예컨대, 단말(5)은 현재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은 AP 장치(10A)에 AP 장치(10B)의 빔섹터 1(타깃 빔섹터)로 서비스를 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431). 즉 단말(5)은 서빙 빔섹터를 다른 AP 장치(10B)의 빔섹터로 전환(이동)해 줄것을 AP 장치(10A)에 요청하는 것이다.The terminal 5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using the reference signal (421).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The terminal 5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422). For example, the terminal 5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through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but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djacent AP device 10B has a channel gain. You can judge that it is good.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request the AP device 10A to service the beam sector 1 (target beam sector) of the AP device 10B (431). That is, the terminal 5 requests the AP device 10A to switch (move) the serving beam sector to the beam sector of another AP device 10B.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되는 타깃 AP 장치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단말(5)은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와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은 협력 전송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협력 전송을 위한 정보는 현재의 서비 AP에 대한 정보, 서빙 AP의 빔섹터에 대한 정보, 빔섹터에서 채널 특성이 우수한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5 includes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AP device to be mov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among the beam sectors provided by the target AP device,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 in the target beamsector, and the like. You can send it together.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5 simultaneously use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at the same time. You can judge.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Th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ervice AP, information on the beam sector of the serving AP, and information on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having excellent channel characteristics in the beam sector.
AP 장치(10A)는 단말(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타깃 AP 장치인 AP 장치(10B)에 전달한다(432). 현재의 서빙 AP 장치(10A)는 추가적으로 단말(UE)에 대한 정보(식별자 등), UE가 서비스받고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 UE가 수신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432). 나아가 협력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서빙 AP 장치(10A)는 협력 통신을 위한 추가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432).The AP device 10A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 to the AP device 10B serving as the target AP device (432). The current serving AP device 10A may addition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E (identifier, etc.), information on a channel that the UE is receiving, and information on data to be received by the UE to the target AP device 10B. 432. In addition, when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serving AP device 10A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target AP device 10B (432).
AP 장치(10B)는 AP 장치(10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440). The AP device 10B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 device 10A (440).
AP 장치(10A)는 단말(5)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하고 AP 장치(10B)만이 단말(5)을 서비스하는 경우, AP 장치(10B)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450). 도 11에서 A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When the AP device 10A terminates the service for the terminal 5 and only the AP device 10B serves the terminal 5, the AP device 10B may provide a serving beamsector and a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5 is performed by using 450. It corresponds to the block marked with A in FI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하여 단말(5)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 B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 이 경우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통신을 위한 정보를 공유해야한다(461). 이후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5)과 주고 받는다(462). 협력 통신은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되게 보낼 수도 있고,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각각 서로 송수신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cooperate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5. It corresponds to the block denoted by B in FIG. In this cas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461). Thereafte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exchange data with the terminal 5 through cooperative beamforming (462).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the same data in duplicate, o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different data. In the latter cas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on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도 12는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5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12는 도 10와 같이 단말(5)이 서로 다른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A) 및 AP 장치(10B)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511, 512). 12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500 for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5 newly allocates a beam sector provided by different AP devices as shown in FIG. 10.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transmit a reference signal through the beam sector (511, 512).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521).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단말(5)는 도 11과 달리 빔섹터 이동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서빙 AP 장치(10A)에 전달한다(530).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될 수 있는 타깃 AP 장치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단말(5)은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와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은 협력 전송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협력 전송을 위한 정보는 현재의 서비 AP에 대한 정보, 서빙 AP의 빔섹터에 대한 정보, 빔섹터에서 채널 특성이 우수한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5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using the reference signal (521).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Unlike in FIG. 11, the terminal 5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o the serving AP device 10A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or not (530). The terminal 5 includes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AP device that can be mov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among the beam sectors provided by the target AP device,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s in the target beamsector. And the like can be sent together.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5 simultaneously use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at the same time. You can judge.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Th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ervice AP, information on the beam sector of the serving AP, and information on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having excellent channel characteristics in the beam sector.
AP 장치(10A)는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41). 예컨대, AP 장치(10A)는 현재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 장치(10A)는 AP 장치(10B)에 단말(5)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542). 즉 AP 장치(10A)는 AP 장치(10B)에 단말(5)에 대한 빔섹터 제공(이동)을 요청한다.The AP device 10A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541). For example, the AP device 10A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through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djacent AP device 10B uses channel gain. You can judge that this is good. In this case, the AP device 10A may request the AP device 10B to provide a service for the terminal 5 (542). That is, the AP device 10A requests the AP device 10B to provide (move) a beam sector for the terminal 5.
AP 장치(10A)는 추가적으로 단말(UE)에 대한 정보(식별자 등), UE가 서비스받고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 UE가 수신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541). 나아가 협력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서빙 AP 장치(10A)는 협력 통신을 위한 추가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541).The AP device 10A may addition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E (identifier, etc.), information on a channel that the UE is receiving, and information on data to be received by the UE to the target AP device 10B (541). ). In addition, when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serving AP device 10A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target AP device 10B (541).
AP 장치(10B)는 AP 장치(10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한다(550). The AP device 10B selects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 device 10A (550).
AP 장치(10A)가 단말(5)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AP 장치(10B)만이 단말(5)을 서비스하는 경우, AP 장치(10B)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560). 도 12에서 A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When the AP device 10A termi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5 and only the AP device 10B serves the terminal 5, the AP device 10B may provide a serving beamsector and a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In step 560, the terminal 5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It corresponds to the block marked with A in FI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하여 단말(5)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에서 B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 이 경우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통신을 위한 정보를 공유해야한다(571). 이후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5)과 주고 받는다(572). 협력 통신은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되게 보낼 수도 있고,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각각 서로 송수신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cooperate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5. It corresponds to the block denoted by B in FIG. In this cas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571). Thereafte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exchange data with the terminal 5 through cooperative beamforming (572).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the same data in duplicate, o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different data. In the latter cas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on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도 13은 패턴/편파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600)에 대한 절차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3은 도 10와 같이 단말(5)이 서로 다른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를 새롭게 할당받는 경우에 대한 예이다. AP 장치(10A) 및 AP 장치(10B)는 빔섹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전달한다(611, 612). 13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dure flow diagram for a method 600 of supporting mobility for a terminal in a pattern / polarized BDMA system. 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erminal 5 newly allocates a beam sector provided by different AP devices as shown in FIG. 10.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transmit reference signals through the beamsectors 611 and 612.
단말(5)은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621). 신호의 세기 측정은 채널 이득을 측정하는 것이다. 단말(5)는 도 11과 달리 빔섹터 이동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서빙 AP 장치(10A)에 전달한다(630). 단말(5)은 이동 대상이 될 수 있는 타깃 AP 장치의 정보(식별자 등), 타깃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 타깃 빔섹터에서 채널이 우수한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 정보 등을 같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단말(5)은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와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5)은 협력 전송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협력 전송을 위한 정보는 현재의 서비 AP에 대한 정보, 서빙 AP의 빔섹터에 대한 정보, 빔섹터에서 채널 특성이 우수한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5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using the reference signal (621). Measuring the strength of a signal is a measure of the channel gain. Unlike in FIG. 11, the terminal 5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to the serving AP device 10A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630). The terminal 5 includes information (identifier, etc.) of the target AP device that can be move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among the beam sectors provided by the target AP device,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channels in the target beamsector. And the like can be sent together.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5 simultaneously use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the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at the same time. You can judge. In this case, the terminal 5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Th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ervice AP, information on the beam sector of the serving AP, and information on a specific pattern / polarized antenna having excellent channel characteristics in the beam sector.
AP 장치(10A)는 도 12와 달리 빔섹터 이동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고, 자신이 수신한 정보를 이동성 관리 장치(30)에 전달한다(640). AP 장치(10A)는 추가적으로 단말(UE)에 대한 정보(식별자 등), UE가 서비스받고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 UE가 수신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541). 나아가 협력 통신이 필요한 경우 서빙 AP 장치(10A)는 협력 통신을 위한 추가 정보를 타깃 AP 장치(10B)에 전달할 수 있다(640).Unlike in FIG. 12, the AP device 10A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P device 10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without determining whether the beam sector moves. The AP device 10A may additionall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E (identifier, etc.), information on a channel that the UE is receiving, and information on data to be received by the UE to the target AP device 10B (541). ). In addition, when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required, the serving AP device 10A may transmit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target AP device 10B (640).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빔섹터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51).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AP 장치(10A)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준으로 새로운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652).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beam sector movement is necessary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651).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select a new serving beamsector and pattern / polarized antenna array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 device 10A (652).
예컨대, AP 장치(10A)는 현재 AP 장치(10A)가 제공하는 빔섹터 4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인접한 AP 장치(10B)가 제공하는 빔섹터 1의 특정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채널 이득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 device 10A is currently receiving service through the beam sector 4 provided by the AP device 10A, and using a specific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of the beam sector 1 provided by the adjacent AP device 10B uses channel gain. You can judge that this is good.
이동성 관리 장치(30)가 AP 장치(10A)는 단말(5)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AP 장치(10B)만이 단말(5)을 서비스해야한다고 판단한 경우,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빔섹터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새롭게 선택한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정보를 AP 장치(10B)에 전달한다(660). 도 1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AP 장치(10A)에 서비스 종료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AP 장치(10B)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빙 빔섹터 및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단말(5)과 통신을 수행한다(670). 도 13에서 A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When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determines that the AP device 10A termi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5 and that only the AP device 10B should service the terminal 5,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oves the beam sect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newly selected beam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is transmitted to the AP device 10B (660). Although not shown in FIG. 13,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may inform the AP device 10A of the service termination. The AP device 10B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5 using the serving beam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provided by the AP device 10B (670). It corresponds to the block marked with A in FI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하여 단말(5)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서 B로 표시한 블록에 해당한다. 이 경우 이동성 관리 장치(30)는 빔섹터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새롭게 선택한 빔섹터와 패턴/편파 안테나 어레이에 대한 정보를 AP 장치(10A) 및 AP 장치(10B)에 전달한다(681, 682).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통신을 위한 정보를 공유해야한다(691). 이후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협력 빔포밍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5)과 주고 받는다(692). 협력 통신은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되게 보낼 수도 있고, AP 장치(10A)와 AP 장치(10B)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AP 장치(10A)와 AP 장치(10B)는 각각 서로 송수신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cooperate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5. It corresponds to the block marked with B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30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of the beam sector is necessary,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3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newly selected beam sector and the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 array to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681, 682). .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691). Thereafte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exchange data with the terminal 5 through cooperative beamforming in operation 692. In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the same data in duplicate, or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ay transmit different data. In the latter case, the AP device 10A and the AP device 10B must share information on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each other.
도 14는 서로 다른 AP 장치가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이다. 도 14는 인접한 복수의 AP 장치(10A 및 10B)가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예이다. 도 14는 도 8과 같은 방식으로 인접한 빔섹터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예이다. 도 14는 인접한 빔섹터끼리 같은 시간 또는 주파수(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달리하여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예이다. 도 14의 우측을 살펴보면 서로 인접한 AP 장치(10A)의 빔섹터 4와 AP 장치(10B)의 빔섹터 1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인접한 빔섹터 사이에서 기준 신호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AP devices transmit reference signals for beam sectors. 1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AP devices 10A and 10B operate a reference signal. 14 is an example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8. 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reference signals are operat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same time or frequency (channel)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Referring to the right side of FIG. 14, the beam sector 4 of the AP device 10A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beam sector 1 of the AP device 10B use different times or frequencies. Through this, interference of the reference signal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can be avoided.
도 15는 서로 다른 AP 장치가 빔섹터에 대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예이다. 도 15는 인접한 복수의 AP 장치(10A 및 10B)가 기준 신호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예이다. 도 14는 도 9와 같은 방식으로 인접한 빔섹터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예이다. 도 14는 인접한 빔섹터인 AP 장치(10A)의 빔섹터 4와 AP 장치(10B)의 빔섹터 1에서 중복되어 사용하는 자원 블록에 서로 다른 패턴/편파 안테나를 사용하는 예이다. 도 14와 같이 동일한 자원 블록에서 사용하는 패턴 신호를 빔섹터별로 다르게 운영하여 간섭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블록은 주파수 또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된다.15 illustrates another example in which different AP devices transmit reference signals for beam sectors. 15 is an example of how a plurality of adjacent AP devices 10A and 10B operate a reference signal. FIG. 14 is an example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beam sectors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9. 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pattern / polarization antennas are used for a resource block used in a beam sector 4 of an AP device 10A, which is an adjacent beam sector, and a beam sector 1 of an AP device 10B. As shown in FIG. 14, interference may be efficiently removed by operating a pattern signal used in the same resource block for each beam sector differently. Here, the resource block is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frequency or tim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to clearly show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ake i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hat both the inferred modifications and the specific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Claims (20)

  1. 단말이 AP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by the terminal,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beamsector transmitted from the AP device;
    상기 단말이 상기 AP 장치에 상기 신호 세기를 전달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signal strength to the AP device; And
    상기 AP 장치가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And providing, by the AP device, a service for the terminal with a target beamsector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은 자신이 현재 서비스받고 있는 서빙 빔섹터에 대한 신호 세기 및 상기 서빙 빔섹터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빔섹터에 대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The terminal determines the beam sector for the terminal in the BDMA system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beam sector that is currently being serviced and the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other beam sector located around the serving beam sector.
  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는 신호 세기의 값,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빔섹터의 간섭 정도, 빔섹터의 가용도,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타깃 빔섹터로 결정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The AP device may select any one of the at least one beam secto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value,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an interference degree of a beam sector, an availability of a beam sector, and a policy of a service provider. A method of determining a beam sector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that determines the target beam sector.
  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가 상기 신호 세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Forwarding, by the AP device, the signal strength to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located in a core network;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신호 세기의 값,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빔섹터의 간섭 정도, 빔섹터의 가용도,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타깃 빔섹터로 결정하는 단계; 및Any one of the at least one beam secto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value,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a degree of interference of a beam sector, an availability of a beam sector, and a policy of a service provider; Determining as the target beamsector; And
    상기 이동성 관리 장치가 상기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to the AP device.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호 세기는 채널 이득을 의미하고, 상기 타깃 빔섹터는 상기 채널 이득을 나타내는 채널 행렬의 랭크(rank) 또는 상기 채널 행렬의 이득(gain)의 합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The signal strength refers to a channel gain, and the target beamsector is a beam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that is determined based on a rank of a channel matrix representing the channel gain or a sum of gains of the channel matrix. How to determine the sector.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는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빔섹터에 복수의 빔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통신 또는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통신을 수행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The AP device provides a plurality of beams to the beamsector us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and a polarization antenna,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or multiplexing with the terminal using the plurality of beams -Input Single-Output)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beam sector for the terminal in a BDMA system performing communication.
  7.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는 복수의 빔섹터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빔섹터 중 서로 인접한 빔섹터는 시간 또는 주파수를 달리하여 상기 신호 세기의 측정 대상이 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The AP apparatus provides a plurality of beamsectors, and beamsectors for a UE in a BDMA system in which adjacent beamsectors of the plurality of beamsectors transmit a reference signal that is a measurement target of the signal strength by varying time or frequency. How to determine.
  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는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빔섹터에 자원을 제공하고,The AP device provides resources to the beamsector us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and a polarization antenna,
    상기 복수의 빔섹터 중 서로 인접한 빔섹터는 시간 또는 주파수 기준으로 동일한 자원 블록에서 서로 다른 패턴 또는 편파를 사용하여 상기 신호 세기의 측정 대상이 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Adjacent beamsectors of the plurality of beamsectors use a beamsector for a UE in a BDMA system that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which is a measurement target of the signal strength, using different patterns or polarizations in the same resource block on a time or frequency basis. How to decide.
  9.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상기 타깃 빔섹터를 결정하고, 상기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타깃 빔섹터를 선택하는 방법.And determining, by the terminal, the target beamsector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to the AP device.
  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AP 장치는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을 제공하고,The AP device provides a resource for the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and a polarization antenna,
    상기 단말은 상기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깃 빔섹터에서 이득이 기준값 이상인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AP 장치에 더 전달하고,The terminal furth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target beamsector an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or a polarization antenna whose gai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in the target beamsector to the AP device.
    상기 AP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상기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빔섹터를 결정하는 방법.And determining, by the AP device, the beamsector for the terminal in the BDMA system that selects the at least one antenna to provide the target beamsector with the terminal.
  11. 단말이 복수의 AP 장치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빔섹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Measuring, by the terminal, signal strength of beamsectors respective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AP devices;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AP 장치인 서빙 AP 장치에 상기 신호 세기를 전달하는 단계;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signal strength to a serving AP device which is an AP device currently providing a service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상기 서빙 AP 장치가 상기 복수의 AP 장치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AP 장치인 타깃 AP 장치에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타깃 AP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상기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결정된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타깃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A target beamsector determined by the serving AP devi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to a target AP device which is an AP device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AP devices, and the signal strength among beam sectors provided by the target AP; Deliver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P device; And
    상기 타깃 AP 장치가 상기 타깃 빔섹터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And providing, by the target AP device, a service for the terminal to the target beamsector.
  12.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빙 AP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서빙 빔섹터에 대한 신호 세기 및 상기 타깃 AP 장치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에 대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UE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rving beam sector currently being serviced by the serving AP device and the signal strength of at least one beam sector provided by the target AP device.
  13.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AP 장치는 신호 세기의 값,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빔섹터의 간섭 정도, 빔섹터의 가용도,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타깃 AP 장치 및 상기 타깃 빔섹터를 결정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AP device determines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target beamsector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value,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an interference degree of a beamsector, an availability of a beamsector, and a policy of a service provider. The mobility support method for the terminal in the BDMA system to determine.
  14.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이동성 관리 장치가 신호 세기의 값,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빔섹터의 간섭 정도, 빔섹터의 가용도,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섹터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타깃 AP 장치 및 상기 타깃 빔섹터를 결정하고, 상기 타깃 AP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빙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at least one beam based on at least one of a signal strength value,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provided to the terminal, a degree of interference of a beam sector, an availability of a beam sector, and a policy of a service provider by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located in a core network Determining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target beamsector based on any one of the sectors,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to the serving AP device. The mobility support method for the terminal in the.
  15.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신호 세기는 채널 이득을 의미하고, 상기 타깃 빔섹터는 상기 채널 이득을 나타내는 채널 행렬의 랭크(rank) 또는 상기 채널 행렬의 이득(gain)의 합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The signal strength refers to a channel gain, and the target beamsector is mobility to a terminal in a BDMA system determined based on a rank of a channel matrix representing the channel gain or a sum of gains of the channel matrix. Support room
  16.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빙 AP 장치 및 상기 타깃 AP 장치는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빔섹터에 복수의 빔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빔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통신 또는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통신을 수행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serving AP device and the target AP device provide a plurality of beams to the beamsector us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and a polarization antenna, an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th the terminal using the plurality of beams. A mobility support method for a terminal in a BDMA system that performs communication or multiple-input single-output (MIS) communication.
  17.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빙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와 상기 타깃 AP 장치가 제공하는 빔섹터 중 인접한 빔섹터는 시간 또는 주파수를 달리하여 상기 신호 세기의 측정 대상이 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A neighboring beamsector of a beamsector provided by the serving AP device and a beamsector provided by the target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which is a measurement target of the signal strength, by varying time or frequency, with respect to a mobile station. How to apply.
  18.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빙 AP 장치 및 상기 타깃 AP 장치는 패턴 안테나 또는 편파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빔섹터에 자원을 제공하고,The serving AP device and the target AP device provide a resource to the beam sector using at least one of a pattern antenna and a polarization antenna,
    상기 서빙 AP 장치의 빔섹터와 상기 타깃 AP 장치의 빔섹터 중 서로 인접한 빔섹터는 시간 또는 주파수 기준으로 동일한 자원 블록에서 서로 다른 패턴 또는 편파를 사용하여 상기 신호 세기의 측정 대상이 되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A beam sector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beam sector of the serving AP device and the beam sector of the target AP device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to be measured for the signal strength using different patterns or polarizations in the same resource block on a time or frequency basis. Mobility support method for UE in BDMA system
  19.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단말은 상기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상기 타깃 AP 장치 및 상기 타깃 빔섹터를 결정하고, 상기 타깃 AP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타깃 빔섹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빙 AP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target beamsector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eamsector to the serving AP device. Method of supporting mobility for UE in BDMA system.
  20.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서빙 AP 장치는 협력 전송을 위한 정보를 상기 타깃 AP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서빙 AP 장치와 상기 타깃 AP 장치는 협력하여 상기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BDMA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이동성 지원 방법.The serving AP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to the target AP device, and the serving AP device and the target AP device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PCT/KR2016/001689 2016-02-22 2016-02-22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WO2017146273A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1689 WO2017146273A1 (en) 2016-02-22 2016-02-22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1689 WO2017146273A1 (en) 2016-02-22 2016-02-22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273A1 true WO2017146273A1 (en) 2017-08-31

Family

ID=5968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1689 WO2017146273A1 (en) 2016-02-22 2016-02-22 Method for determining beam sector for terminal in bdma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for terminal in bdma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4627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359A1 (en) * 2021-11-24 2023-06-01 株式会社Ntt都科摩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09A (en)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39372A1 (en) * 2012-11-19 2014-05-2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eam direction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beamforming system
WO2015069090A1 (en) * 2013-11-11 2015-05-14 인텔롁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Station and wireless link configuration method therefor
US20150289147A1 (en) * 2012-11-09 2015-10-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ing methods and methods for using beams
US20150333894A1 (en) * 2013-01-25 2015-11-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Sectorization feedback and multi-sector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09A (en)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289147A1 (en) * 2012-11-09 2015-10-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ing methods and methods for using beams
US20140139372A1 (en) * 2012-11-19 2014-05-22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eam direction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beamforming system
US20150333894A1 (en) * 2013-01-25 2015-11-19 Mediatek Singapore Pte. Ltd. Sectorization feedback and multi-sector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WO2015069090A1 (en) * 2013-11-11 2015-05-14 인텔롁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Station and wireless link configura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359A1 (en) * 2021-11-24 2023-06-01 株式会社Ntt都科摩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933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virtual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3716A1 (en) Method for measurement report event operation and network signaling in ue autonomous handover
WO20181559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load balan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46274A1 (en) Random access method in bdma system and random access method in pattern/polarized bdma system
WO2014175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WO2015105387A1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052870A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network access structure
US5559866A (en) Method of reuse through remote antenna and same channel cell division
WO2012091418A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relay method
WO20140620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308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antenna or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technique
WO20211182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2 interface configuration including cell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network
WO2016208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on in coexistence environment of cellular, non-cellular, macro and micro networks
WO20130814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af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3095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ch resource configuration and rach resource selection mechanism
WO2017191939A1 (en) Interference avoidance in unlicensed band
WO20160031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continu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513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operative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80470A1 (en) Apparatus for point-to-multi point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60192283A1 (en)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la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wireless lan search information
WO2013115601A1 (en) Interference alignment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151305A1 (en) Multi-tier clustering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9139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entralized unit-user plan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1455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modes for terminal
WO20191249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1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16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