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03473A1 -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03473A1
WO2014003473A1 PCT/KR2013/005734 KR2013005734W WO2014003473A1 WO 2014003473 A1 WO2014003473 A1 WO 2014003473A1 KR 2013005734 W KR2013005734 W KR 2013005734W WO 2014003473 A1 WO2014003473 A1 WO 20140034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d
terminal
reassignment
access poi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734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정양석
양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55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14966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JP201552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022055B2/en
Priority to US14/411,301 priority patent/US9398446B2/en
Priority to CN201380034901.6A priority patent/CN104412632B/en
Publication of WO20140034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03473A1/en
Priority to US15/181,555 priority patent/US9622073B2/en
Priority to US15/442,921 priority patent/US10045205B2/en
Priority to US16/025,846 priority patent/US105951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hanging an association ID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D change method for changing an existing AID into a new AID in a WLAN system.
  • AID association ID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s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ptop comput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etc.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at home, a business, or a specific service area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may instruct to change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mmediately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be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PS-Poll frame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from th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AIDs when changing the AIDs for one station or when changing the AIDs for a plurality of stations while all AIDs are in use.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ponent of a TIM included in a beacon.
  •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ID reassignment frame.
  •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of a TIM encoded in block units.
  • the station 1 20 may extrac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S105). In this case, when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0, the station 1 20 may immediately change the existing AID to a new AID (ie,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 the AP may transmit a beacon according to the beacon period.
  • Station 2 (STA 2) may wake up from the power saving mode and send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10.
  • the access point (AP) may generate the above-mentioned AID reassignment frame (new AID: 2000, AID reassignment counter: 4), and generate the generated AID.
  • the reassignment frame may be sent to station 2 (STA 2).
  •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set to 4 with 26 decremented.
  • the station 2 (STA 2)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transmit an ACK frame to the access point (AP), and set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4)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an initial value to reset the AID.
  • the allocation counter can be started. That is, station 2 (STA 2)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by 1 every beacon period (or when the beacon is transm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ethod for changing an AID in a wireless LAN system. The method for changing an AID of a terminal by an access point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an AID reassignment frame from the access point; a step of extracting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and a step of changing the AID of the terminal to the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fter the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indicated by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extracted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reception time have elapsed. Thus, a conflict between AID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How to change AID in wireless LAN system
본 발명은 AID(association ID)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하기 위한 AID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hanging an association ID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D change method for changing an existing AID into a new AID in a WLAN system.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mong them,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s based on radio frequency technology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laptop comput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etc. I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at home, a business, or a specific service area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2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The standard for WLA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s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IEEE 802.11a provides a transmission rate of 54 Mbps using an unlicensed band at 5 GHz. IEEE 802.11b applies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at 2.4 GHz to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11 Mbps. IEEE 802.11g appli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at 2.4 GHz to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54 Mbps. IEEE 802.11n applies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OFDM (MIMO-OFDM) to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300 Mbps for two spatial streams. IEEE 802.11n supports a channel bandwidth of up to 40 MHz, in which case it provides a transmission rate of 600 Mbps.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 중, IEEE 802.11ac는 5 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the WLAN is activated and the applications using the same are diversifi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new WLAN technology for supporting a higher throughput than the data processing speed supported by IEEE 802.11n. Very high throughput (VHT) WLAN technology is one of IEEE 802.11 WLAN technologies that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data processing speeds of 1 Gbps or more. Among them, IEEE 802.11ac is being developed as a standard for providing very high throughput in the band below 5 GHz, and IEEE 802.11ad is being developed as a standard for providing very high throughput in the 60 GHz band.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스테이션이 접속할 때마다 각 스테이션에 고유한 AID(Association ID)를 부여하여 관리한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의 동작 중에 스테이션 고유 번호인 AID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션들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운 AID를 스테이션에 재할당할 수 있고, 스테이션은 기존의 AID를 재할당된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가 재할당되는 경우, 기존의 AID를 재할당된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은 스테이션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AID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 system based on such a WLAN technology, an access point (AP) assigns and manages a unique association ID (AID) for each station whenever a station accesses it. In the WLAN system, a case where an AID, which is a station unique number, needs to be changed during operation of an access point and a station may occur. In this case, when reassigning AIDs for the stations, the access point may reassign a new AID to the station, and the station may change the existing AID to the reassigned new AID. In this case, when AIDs for a plurality of stations are reassigned, a time point for changing an existing AID to a new AID that is reassigned may vary from station to st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llisions between AIDs occu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를 변경하는 경우에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이션의 AID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changing the AID of a station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AIDs when changing the AID in the WLA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AID 변경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에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수신 시점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beacon)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hanging an AID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AID reassignment frame from an access point, extracting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and Changing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fter the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indicated by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are taken from the time of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Steps.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값이 0인 경우,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수신 시점에서 즉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에서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할 수 있다.Here, when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extracted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0, changing the AID of the terminal is immediately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 AID of the terminal can be changed to a new AID.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전송한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수신될 수 있다.Here,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be received corresponding to the PS-Poll fram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to the access point.
여기서,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when there is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the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the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m together.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D of the terminal is changed after the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the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the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Can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은, 새로운 AID와 상기 새로운 AID로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AID reassign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generating an AID reassignment frame including a new AID and an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designating a change point to the new AID. And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the terminal, wherein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ncludes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indicated by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from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reafter, the AID may be instructed to change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에서 즉시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Here, when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s 0,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may instruct to change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mmediately at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be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the PS-Poll frame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from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Here, when there is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s the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the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m.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D of the terminal is changed after the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the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the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hat should simultaneously change the AID. Can be.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모든 AID가 사용중인 상태에서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를 변경하는 경우에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예비 AID 확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AIDs when changing the AIDs for one station or when changing the AIDs for a plurality of stations while all AIDs are in use. In addition, by preventing collisions between AIDs, it is possible to provide stable and reliable network service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ste of cost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access point to secure a separate reserve AID.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n IEEE 802.11 WLAN system.
도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process of a terminal in an infrastructure BSS.
도 3은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ponent of a TIM included in a beacon.
도 4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ta transmiss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도 5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ID structure.
도 6은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frame structure for designating a service type of a terminal.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of a TIM encoded on a block basis.
도 8은 그룹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allocating an AID for a group.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변경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ID reassignment frame.
도 11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ID change process for a plurality of station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elements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station (STA) is a physical layer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wireless medium that conforms to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standard. By any functional medium that includes an interface. The station STA may be divided into a station that is an access point (AP) and a station that is a non-access point (STA). A station (STA), which is an access point (AP), may simply be called an access point (AP), and a station (STA), which is a non-AP, may simply be called a terminal.
스테이션(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The station STA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transcei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and a display device. A processor refers to a unit designed to generate a fram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to process a frame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for controlling a station (STA). A transceiver is a unit that is functionally connected to a processor and is designed to transmit and receive a frame through a wireless network for a station (STA).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n access point (AP) may refer to a centralized controller, a base station (BS), a node-B, an e-node-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or a site controller, and the like. Some or all of the features may be included.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be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unit (WTRU), a user equipment (UE), a user terminal (UT), an access terminal (AT), a mobile station (MS), May refer to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or a mobile subscriber unit, and some of them. Or all of the functions may be included.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n e-communica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may be used. book reader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portable game consoles, navigation devices, digital camer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s, digital audio recorders, digital audio players ), A digital picture recorder, a digital picture player, a digital video recorder, a digital video player, and the like can be used.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n IEEE 802.11 WLA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an IEEE 802.11 WLA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basic service set (BSS). BSS means a set of stations (STA 1, STA 2 (AP 1), STA 3, STA 4, STA 5 (AP 2)) that can be successfully synchroniz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ncept of a specific area is no.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한다. BSS 1은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단말(STA 1)을 관리한다.BSS can be classified into Infrastructure BSS (Independent BSS) and Independent BSS (IBSS), and BSS 1 and BSS 2 represent Infrastructure BSS. BSS 1 connects a terminal (STA 1), an access point (STA 2 (AP 1)) providing a distribution service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STA 2 (AP 1), STA 5 (AP 2))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system (DS). In BSS 1, an access point STA 2 (AP 1) manages a terminal STA 1.
BSS 2는 단말(STA 3, 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단말(STA 3, STA 4)을 관리한다. BSS 2 connects a terminal (STA 3, STA 4), an access point (STA 5 (AP 2)) providing a distribution service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STA 2 (AP 1), STA 5 (AP 2))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system. In BSS 2, an access point STA 5 (AP 2) manages terminals STA 3 and STA 4.
한편, 독립 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IBSS에서 단말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 모든 단말은 이동 단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The independent BSS, on the other hand, is a BSS operating in an ad-hoc mode. Since the IBSS does not include an access point, there is no centralized management entity. That is, in the IBSS, terminals are manag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IBSS, all terminals may be mobile terminals, and thus, are not allowed to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system (DS), thereby forming a self-contained network.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한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The access points STA 2 (AP 1) and STA 5 (AP 2) provide access to the distributed system DS through the wireless medium for the terminals STA 1, STA 3, and STA 4 coupled thereto. .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TA 1, STA 3, and STA 4 in BSS 1 or BSS 2 is generally performed through an access point STA 2 (AP 1) or STA 5 (AP 2), but a direct link (direct link) If the link is configure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STA 1, STA 3, and STA 4 is possible.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단말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frastructure BSSs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system (DS). A plurality of BSSs connected through a distribution system (DS) is called an extended service set (ESS). Stations included in the ESS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UE may move from one BSS to another BSS while seamlessly communicating within the same ESS.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The distribution system (DS) is a mechanism for one access point to communicate with another access point, whereby the access point transmits frames to, or moves to, another BSS for the terminal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BSS it manages. A frame may be transmitted for one arbitrary terminal.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may transmit and receive frames with an external network such as a wired network. Such a distribution system (DS)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network,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its form as long as it can provide a predetermined distribution service defined in the IEEE 802.11 standard.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system may be a wireless network such as a mesh network or a physical structure that connects access points to each other.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변경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changing an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to the IEEE 802.11 WLAN system described above, and in addition to the IEEE 802.11 WLAN system,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and a 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networks such as.
도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process of a terminal in an infrastructure BSS.
인트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먼저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STA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the intra-structure BSS, the terminal STA must first be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도 2를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의 연결 과정은 크게 1)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하는 단계(probe step), 2)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 단계(authentication step), 3) 인증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 단계(association step)로 구분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STA in the infrastructure BSS is largely 1) a probe step (AP), 2) an authentication step with the detected access point (AP). ) And 3) an association step with an authenticated access point (AP).
단말(STA)은 먼저 탐지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탐지 프로세스는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과 능동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으로 구분된다. 수동 스캐닝 방법은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이 전송하는 비컨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능동 스캐닝 방법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STA)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의 존재를 알 수 있다.The STA may first detect neighboring access points (APs) through a detection process. The detection process is divided into a passive scanning method and an active scanning method. The passive scanning method may be performed by overhearing beacons transmitted by neighboring access points (APs). Meanwhile, the active scanning method may be performed by broadcasting a probe request frame. The AP that receives the probe request frame may transmit a probe respon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probe request frame to the corresponding STA. The STA may know the presence of neighboring access points (APs) by receiving a probe response frame.
그 후, 단말(STA)은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하며, 탐지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과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algorithm)은 두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오픈 시스템(open system) 알고리즘, 네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공유 키(shared key) 알고리즘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증 알고리즘을 기초로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과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STA may perform authentication with the detected access point AP and may perform authent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detected access points APs. An authentic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is divided into an open system algorithm for exchanging two authentication frames and a shared key algorithm for exchanging four authentication frames.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frame and an authentication response fram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algorithm, the terminal STA may perform authentication with the access point AP.
마지막으로, 단말(STA)은 인증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STA)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연결 요청 프레임과 연결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Lastly, the terminal STA selects one of the authenticated access points APs and performs a connection process with the selected access point AP. That is, the terminal STA transmits an association request frame to the selected access point AP, and the access point AP that receives the association request frame receives an association response frame corresponding to the association request frame. fram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TA. As such,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ing the connection request frame and the connection response frame, the STA may perform a connection process with the access point AP.
도 3은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ponent of a TIM included in a beacon.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컨(beacon frame) 내의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사용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단말에 알려준다.In the IEEE 802.11 WLAN system,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access point informs the terminal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using a traffic indication map (TIM) in a beacon frame that is periodically transmitted.
도 3을 참조하면, TIM은 요소 ID(element ID) 필드(field), 길이(length) 필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카운터(count) 필드, DTIM 기간(period) 필드,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및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ritual bitmap) 필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IM includes an element ID field, a length field, a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counter field, a DTIM period field, and a bitmap control. control field and a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길이 필드는 정보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DTIM 카운터 필드는 DTIM이 나타나기 전에 나타나는 비컨의 개수를 나타내며, DTIM 카운터가 0 인 경우 현재 TIM이 DTIM에 해당함을 알려준다. DTIM 카운터 필드는 1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DTIM 기간 필드는 연속되는 DTIM들 간의 비컨 인터벌(interval)의 개수를 나타낸다. 만일 모든 TIM이 DTIM인 경우에 DTIM 기간 필드의 값은 1 이다. DTIM 기간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된다.The length field indicates the length of the information field. The DTIM counter field indicates the number of beacons that appear before the DTIM appears. If the DTIM counter is 0, it indicates that the current TIM corresponds to the DTIM. The DTIM counter field consists of one octet. The DTIM Duration field indicates the number of beacon intervals between successive DTIMs. If all TIMs are DTIMs, the value of the DTIM Duration field is one. The DTIM Duration field consists of one octet.
비트맵 제어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비트(bit) 번호 0 은 AID(association ID) 0 과 연관되는 트래픽 인디케이터 비트(traffic indicator bit)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가 1 로 설정되고 DTIM 카운터 필드의 값이 0 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buffering)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나머지 7 비트들은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을 형성한다.The bitmap control field consists of one octet, and bit number 0 of the bitmap control field means a traffic indicator bit associated with association ID (AID) 0. If this bit is set to 1 and the value of the DTIM counter field is 0, this indicates that at least one multicast or broadcast frame is buffered at the access point. The remaining seven bits of the bitmap control field form a bitmap offset.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는 1 ~ 25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 번호 N 은 0 ~ 20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는 특정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traffic)과 대응한다. 임의의 단말의 AID가 N 인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0 으로 설정되고,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1 로 설정된다.The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consists of 1 to 251 octets, and bit number N has a value between 0 and 2007. Each bit of the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corresponds to a traffic buffered for a particular terminal. If the AID of any terminal is N, if there is no buffered traffic for the arbitrary terminal, bit number N in the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is set to 0, and if there is traffic buffered for the arbitrary terminal Bit number N is set to 1 in the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도 4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ta transmission process of an access point.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하며, 3개의 비컨 간격(interval)으로 DTIM이 포함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 PSM)의 단말(STA 1, STA 2)은 주기적으로 깨어나(awake) 비컨을 수신하고, 비컨에 포함된 TIM 또는 DTIM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절력 절감 상태(즉, doze 상태)로 돌아간다.Referring to FIG. 4, the AP may broadcast a beacon periodically and broadcast a beacon including the DTIM at three beacon intervals.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of the power save mode (PSM) periodically wake up to receive a beacon, check the TIM or DTIM included in the beacon, and transmit data to the access point to the access point. Check that it is buffered. In this case, when the buffered data is present,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remain awake to receive data from the access point AP, and when the buffered data does not exist,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 Returns to the power saving state (ie the doze state).
즉,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1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자신이 깨어 있고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PS(Power Save)-Poll 프레임(또는,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단말(STA 1, STA 2)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하고, 단말(STA 1, STA 2)에 데이터 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다. ACK을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적절한 시점에 데이터를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다. 한편,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0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전력 절감 상태로 돌아간다.That is, if the bit in the TIM corresponding to its AID is set to 1, the STA (STA 1, STA 2) is a PS (Power Save) -Poll frame (notifying that it is awake and ready to receive data) Or, transmit a trigger (trigger frame) to the access point (AP), the access point (AP) confirms that the terminal (STA 1, STA 2) is ready for data reception by receiving a PS-Poll frame, Data or an acknowledgment (ACK)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When the ACK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the access point AP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at an appropriate ti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it in the TIM corresponding to its own AID is set to 0, the terminals STA 1 and STA 2 return to the power saving state.
비컨에 포함된 TIM(또는, DTIM)은 동시에 다수의 단말 AID를 위한 비트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한 후,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은 동시에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단말들 간에 PS-Poll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채널 액세스(access) 경쟁이 심해지고, 더불어 무선랜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에 의해 단말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The TIM (or DTIM) included in the beacon may simultaneously set bits for a plurality of terminal AIDs. Therefore, after the access point broadcasts the beacon, a plurality of terminals whose bits corresponding to their AIDs are set to 1 simultaneously transmit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At this time, a competition for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for transmitting PS-Poll frames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s intensified, and a collision between terminals occurs due to a hidden node problem, which is a problem of a WLAN system. do.
예를 들어, 수 천대의 저전력 센서(sensor) 단말을 지원하는 무선랜 서비스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기 위해 깨어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충돌로 인해 전송되지 못한 PS-Poll 프레임의 재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For example, such a phenomenon may occur frequently in a WLAN service supporting thousands of low power sensor terminals.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continue to wake up to complete the reception of the data, or the power consumption problem may appear seriously because the retransmission of the PS-Poll frame not transmitted due to the collision must be repeatedly performed.
도 5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D structure,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rame structure for designating a service type of a terminal.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 많은 수의 단말이 존재하고 이러한 단말들을 유사한 특징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의 AID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inals that are serviced through one access point, and these terminals can be grouped with similar features, the access point may group and manage the AIDs of the terminals.
도 5를 참조하면, AID 구조는 페이지 ID(page ID) 필드, 블록 인덱스(block index) 필드, 서브-블록 인덱스(sub-block index) 필드 및 STA 비트 인덱스(STA bit index) 필드를 포함한다. 즉, AID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 단위로 계층화된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ID structure includes a page ID field, a block index field, a sub-block index field, and a STA bit index field. That is, AIDs may be managed in groups layered by page / block / sub-block units.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접속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에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을 지정하고, 이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은 저전력 단말 타입, 채널 접속 우선 순위를 가지는 단말 타입, 일반적인 단말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may designate a service type in an association request frame and transmit it to an access point. The service type may include a low power terminal type, a terminal type having a channel access priority, a general terminal type, and the like.
즉, 단말은 서비스 타입이 지정된 접속 요청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타입에 맞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으로 그룹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그룹에 따라 AID를 할당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access request frame in which the service type is specified to the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may designate a group as a page / block / sub-block suitable for the service type and allocate an AI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group.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encoding)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of a TIM encoded in block units.
도 7을 참조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block L, block M, … , block P) 필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블록 필드는 블록 제어(block control) 필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필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필드 및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서브-블록(sub-block) 필드를 포함한다. 서브-블록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1, sub-block bitmap2, … , sub-block bitmap M) 필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a partial virtual bitmap field includes at least one block (block L, block M, ..., block P) field. One block field includes a block control field, a block offset field, a block bitmap field, and a sub-block field having various sizes. The sub-block field includes at least one sub-block bitmap (sub-block bitmap1, sub-block bitmap2, ..., sub-block bitmap M) field.
블록 제어 필드는 TIM 의 인코딩 모드(즉, 블록 비트맵 모드, 싱글(single) AID 모드, OLB(오프셋(offset) + 길이(length) + 비트맵(bitmap)) 모드, 인버스(inverse) 모드)를 나타낸다. 블록 오프셋 필드는 인코딩된 블록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블록 비트맵 필드는 블록 오프셋이 가르키는 블록 내의 서브-블록들 중에서 AID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서브-블록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나타낸다. 서브-블록 필드는 서브-블록 내의 AID에 대한 비트맵을 나타낸다.The block control field indicates the encoding mode (ie, block bitmap mode, single AID mode, OLB (offset + length + bitmap) mode, inverse mode) of the TIM. Indicates. The block offset field indicates an offset value of the encoded block. The block bitmap field indicates a bitmap indicating a sub-block in which an AID bit is set among sub-blocks within a block indicated by the block offset. The sub-block field indicates a bitmap for the AID in the sub-block.
도 8은 그룹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allocating an AID for a group.
도 8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가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중에 특정 주기의 트래픽(traffic)이 증가하여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이 포함된 그룹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DTIM을 전송한 후 또는 스테이션(STA)으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후에 AID 재할당(reassign) 프레임을 해당 스테이션(STA)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ile the access point AP groups and manages the stations SAT 1, STA 2, and STA 3, traffic of a specific period is increased so that the stations SAT 1, STA 2, STA are increased. If the need to change the group containing 3) occurs, the access point (AP) sends an AID reassign frame after transmitting the DTIM or after receiving the PS-Poll from the station (STA). Can be sent to.
즉,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AT 1),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고,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은 그룹 ID인 PID 1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이 포함된 그룹 1에 대한 트래픽이 증가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4)을 다른 그룹(예를 들어, 그룹 2)으로 관리하기 위해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에 전송할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은 자신의 그룹 ID를 PID 1에서 PID 2로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access point AP may manage station 1 (SAT 1), station 2 (STA 2), and station 3 (STA 3) as a group, and the stations (SAT 1, STA 2, STA 3) May have PID 1 which is a group ID. If the traffic for Group 1, which includes stations SAT 1, STA 2, and STA 3, has increased, then the access point (AP) may select station 2 (STA 2) and station 3 (STA 4) from other groups (e.g., , AID reassignment frames may be transmitted to station 2 (STA 2) and station 3 (STA 3) for management as group 2). Upon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 station 2 (STA 2) and the station 3 (STA 3) may change their group ID from PID 1 to PID 2.
한편, 액세스 포인트는 접속을 요청하는 스테이션별로 해당 스테이션의 특성에 맞는 그룹의 AID를 할당할 수 있으며, 최대 할당 가능한 AID 개수만큼 스테이션을 수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결국, 모든 AID가 사용중인 경우, 또는 그룹에 대한 AID(즉, 그룹별로 부하 분산 등을 위해 AID 개수가 미리 정해져 있음)가 모두 사용중인 경우, 또는 다른 이유로 AID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스테이션들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값은 서로 다르고 깨어나는 시점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AID를 동시에 변경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AID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point may allocate the AID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ion for each station requesting access, and can accommodate and operate as many stations as the maximum assignable AID. After all, if all AIDs are in use, or if all AIDs for a group (i.e., the number of AIDs is predetermined for load balancing, etc. for each group) are in use, or if AID change is required for other reasons, The AID change must be made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the listen interval values of the stations are different and the waking times are also different, the AID cannot be changed at the same time, and thus an AID collision occur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변경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n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TIM 또는 DTIM을 포함하는 비컨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0). 스테이션들(20, 30) 중에서 스테이션 1(20)은 전력 절감 모드에서 먼저 깨어나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S101).Referring to FIG. 9, the access point 10 may transmit a beacon including a TIM or a DTIM in a broadcasting manner (S100). The station 1 20 among the stations 20 and 30 may first wake up from the power saving mode and transmit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10 (S101).
스테이션 1(20)의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S102). 즉, 스테이션들(20, 30)의 AID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 또는 스테이션 2(30)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경우에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PS-Poll of the station 1 20, the access point 10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S102). That is, when the AIDs of the stations 20 and 30 are to be changed, the access point 10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when receiving the PS-Poll from the station 1 20 or the station 2 30. Can be.
AID 재할당 프레임은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AID, 새로운 AID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ID 재할당 카운터는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10)의 비컨 주기에 대한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5인 경우 이는 AID 재할당 카운터를 수신한 시점부터 5번의 비컨 주기가 지난 후 새로운 AID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고,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0인 경우 이는 AID 재할당 카운터를 수신한 시점에서 새로운 AID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다.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include a new AID to be changed and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that designates when to change the new AID.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indicates a time point of changing an existing AID to a new AID (that is, a new AID included in an AID reassignment frame), and refers to the number of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10. For example, if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5, this indicates to change to a new AID after five beacon cycles from the tim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is received. When the reallocation counter is received, it indicates to change to a new AID.
한편, 스테이션 1(20)과 스테이션 2(30)의 AID를 동일한 시점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30)의 리슨 인터벌을 고려하여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30)의 리스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새로운 AID로 변경하도록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AIDs of the station 1 20 and the station 2 30 are to be changed at the same time, the access point 10 considers the listen interval of the station 1 20 and the listen interval of the station 2 30. You can set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That is, the access point 10 may se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to change to a new AID after the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the listen interval of the station 1 20 and the lease interval of the station 2 30.
예를 들어, 현재 시점에서 스테이션 1(20)의 남은 리슨 인터벌이 5이고 스테이션 2(30)의 남은 인터벌이 1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과 스테이션 2(30)를 위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maining listen interval of station 1 (20) is 5 and the remaining interval of station 2 (30) is 10 at the present time, the access point 10 associates stations 1 (20) and station 2 (30).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can be set to 10.
도 10은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ID reassignment frame.
도 10을 참조하면, AID 재할당 프레임의 바디(body)는 카테고리(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및 AID 재할당 요소(reassignment elemen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액션 값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body of an AID reassignment frame may include a category field, an action value field, and an AID reassignment element field. Here, the category field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the action value field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ID 재할당 요소 필드는 6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요소(element)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새로운 AID 값(new AID value) 필드 및 AID 재할당 카운터(AID reassign coun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 ID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길이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새로운 AID 값 필드는 변경하고자 하는 AID 값을 나타낼 수 있고, 2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ID 재할당 카운터 필드는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고, 2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AID Reassignment Element field may have a size of 6 octets and includes an Element ID field, a length field, a new AID value field, and an AID reassign count field. can do. The element ID field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and the length field may have a size of one octet. The new AID value field may indicate an AID value to be changed and may have a size of 2 octet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ield may indicate a time to change to a new AID, and may have a size of 2 octets.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의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AID reassignment frame is not limited to the frame illustrated in FIG. 10, and may be configured of various types of frames.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할 수 있다(S103).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한 후(또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함과 동시에)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초기값으로 갖는 액세스 포인트용 AID 재할당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S104). 액세스 포인트용 AID 재할당 카운터는 액세스 포인트(10) 내부에서 사용되는 카운터로서, 비컨을 전송할 때마다 1씩 감소하여 0이 될 때 만료된다. 액세스 포인트용 AID 재할당 카운터가 0이 되는 경우, 이 시점부터 액세스 포인트(10)는 해당 스테이션에 대해 새로운 AID를 적용한다.Referring back to FIG. 9, the access point 10 may transmit an AID reassignment frame to the station 1 20 (S103). After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or at the same time as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 access point 10 reassigns the AID reassignment for the access point hav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s an initial value. The counter may be started (S104).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the access point is a counter used inside the access point 10, and decrements by one every time the beacon is transmitted and expires when it reaches zero. If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the access point becomes zero, from this point on, the access point 10 applies a new AID for that station.
한편,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로부터 PS-Poll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1(20)의 AID에 대응하는 TIM 비트맵을 설정하여 비컨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SIFS 등)이 지난 후에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access point 10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even when the PS-Poll is not received from the station 1 20. That is, when the TIM bitmap corresponding to the AID of the station 1 20 is set and the beacon is transmitted by broadcasting, the access point 10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and may define a predefined time (eg, For example, after the SIFS, etc.,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station 1 (20).
또는, 스테이션 1(20)로부터 AID 재할당을 요청하는 특정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SIFS 등)이 지난 후에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receiving a specific frame requesting AID reassignment from station 1 (20), the access point 10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and the predefined time (e.g., SIFS, etc.) After that,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be sent to station 1 (20).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응답인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station 1 20 that receives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transmit an ACK frame, which is a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the access point 10.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프레임으로부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할 수 있다(S105). 이때,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0인 경우 스테이션 1(20)은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즉시 변경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 station 1 20 may extrac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S105). In this case, when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0, the station 1 20 may immediately change the existing AID to a new AID (ie,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한편,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0이 아닌 경우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초기값으로 갖는 스테이션 1용 AID 재할당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S106). 스테이션 1용 AID 재할당 카운터는 스테이션 1(20) 내부에서 사용되는 카운터로서, 스테이션 1(20)은 비컨을 수신할 때마다 AID 재할당 카운터를 1씩 감소시키거나, 또는 비컨 주기(예를 들어, 100ms)마다 AID 재할당 카운터를 1씩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not 0, the station 1 20 may star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station 1 hav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as an initial value (S106).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station 1 is a counter used inside station 1 (20), where station 1 (20) decrement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one each time it receives a beacon, or a beacon period (e.g., , AID reassignment counter can be decremented by 1 every 100ms).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7).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을 전송한 후(또는, 비컨을 전송함과 동시에) AID 재할당 카운터를 1 감소시킬 수 있다(S108). 스테이션 1(20)은 비컨을 수신한 경우 또는 비컨 주기가 지난 경우 AID 재할당 카운터를 1 감소시킬 수 있다(S109).Thereafter, the access point 10 may transmit the beacon in a broadcasting manner according to the beacon period (S107). After transmitting the beacon (or at the same time as transmitting the beacon), the access point 10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one (S108). The station 1 20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1 when the beacon is received or when the beacon period has passed (S109).
스테이션 2(30)는 전력 절감 모드에서 깨어나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S110). 스테이션 2(30)의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10)는, 현재 시점의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포함하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30)에 전송할 수 있다(S111).The station 2 30 may wake up from the power saving mode and transmit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10 (S110). Upon receiving the PS-Poll of the station 2 30, the access point 10 may transmit an AID reassignment frame includ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at the present time to the station 2 30 (S111).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30)은 AID 재할당 프레임으로부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할 수 있다(S112). 이때,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0인 경우 스테이션 2(30)은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즉시 변경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he station 2 30 may extrac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S112). In this case, when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0, the station 2 30 may immediately change the existing AID to a new AID (ie,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한편,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0이 아닌 경우 스테이션 2(30)은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초기값으로 갖는 스테이션 2용 AID 재할당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S113). 스테이션 2용 AID 재할당 카운터는 스테이션 2(30) 내부에서 사용되는 카운터로서, 스테이션 2(30)은 비컨을 수신할 때마다 AID 재할당 카운터를 1씩 감소시키거나, 또는 비컨 주기(예를 들어, 100ms)마다 AID 재할당 카운터를 1씩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not 0, the station 2 30 may start an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station 2 hav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as an initial value (S113).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station 2 is a counter used inside station 2 (30), where station 2 (30) decrement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one each time it receives a beacon, or a beacon period (e.g., , AID reassignment counter can be decremented by 1 every 100ms).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S114).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을 전송한 후(또는, 비컨을 전송함과 동시에) AID 재할당 카운터를 1 감소시킬 수 있고, AID 재할당 카운터가 0이 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AID를 적용할 수 있다(S115). 스테이션 1(20)은 비컨을 수신한 경우 또는 비컨 주기가 지난 경우 AID 재할당 카운터를 1 감소시킬 수 있고, AID 재할당 카운터가 0이 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S116). 스테이션 2(30)는 비컨을 수신한 경우 또는 비컨 주기가 지난 경우 AID 재할당 카운터를 1 감소시킬 수 있고, AID 재할당 카운터가 0이 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S117).Thereafter, the access point 10 may transmit the beacon in a broadcasting manner according to the beacon period (S114). The access point 10 may decrement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one after transmitting the beacon (or at the same time as transmitting the beacon), and apply a new AID when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ecomes zero ( S115). The station 1 20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1 when the beacon is received or when the beacon period has passed, and may change the existing AID to the new AID when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reaches 0 (S116). ). The station 2 30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y 1 when the beacon is received or when the beacon period has passed, and may change the existing AID to the new AID when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reaches 0 (S117). ).
즉, 임의의 비컨이 전송되는 시점(또는, 임의의 비컨 주기)에서 액세스 포인트(10)와 스테이션들(20, 30)의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모두 0이 될 수 있으며, 그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들(20, 30)에 새로운 AID를 적용할 수 있고, 스테이션들(20, 30)은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That i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s of the access point 10 and the stations 20 and 30 may both be zero at a time when any beacon is transmitted (or any beacon period), and at that time, the access point 10 may apply the new AID to the stations 20, 30, and the stations 20, 30 may change the existing AID to the new AID.
도 11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ID change process for a plurality of stations.
도 11을 참조하면,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의 AID를 동시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 새로운 AID를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AID 재할당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an AID of a station 1 (STA 1) and a station 2 (STA 2) is to be changed at the same time, the access point AP may generate an AID reassignment frame.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include a new AID and an AID reassignment counter indicating when to change a new AID.
스테이션 1(STA 1)의 AID를 1000에서 2000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1)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를 20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 2(STA 2)의 AID를 2000에서 1000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를 1000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it is desired to change the AID of the station 1 (STA 1) from 1000 to 2000, the access point AP may determine the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for the station 1 STA1 as 2000. If the AID of the station 2 (STA 2) is to be changed from 2000 to 1000, the access point AP may determine the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for the station 2 (STA 2) as 1000.
AID 재할당 카운터를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을 AID 재할당 카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이 5이고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이 30이므로,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터를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the access point AP may consider the listen interval of station 1 STA 1 and the listen interval of station 2 STA 2.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AP may determine the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the listen interval of the station 1 (STA 1) and the listen interval of the station 2 (STA 2) a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That is, because the listen interval of station 1 (STA 1) is 5 and the listen interval of station 2 (STA 2) is 30, the access point (AP) is responsible for resetting the AID for stations 1 (STA 1) and station 2 (STA 2).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included in the allocation frame may be determined to be 3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면, 스테이션 1(STA 1)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로 2000, AID 재할당 카운터로 30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로 1000, AID 재할당 카운터로 30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AID reassignment frame for station 1 (STA 1) may have 2000 as the new AID and 30 a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The AID reassignment frame for station 2 may have 1000 as the new AID and 30 as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스테이션 1(STA 1)은 전력 절감 모드에서 깨어나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 1(SAT 1)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상기와 같은 AID 재할당 프레임(새로운 AID: 2000, AID 재할당 카운터: 29)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STA 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비컨이 전송되었으므로(즉, 1번의 비컨 주기가 지났으므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1이 감소된 29로 설정된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STA 1)은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고,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29)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AID 재할당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1(STA 1)은 비컨 주기마다(또는, 비컨이 전송되는 경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1씩 감소시킬 수 있다.Station 1 (STA 1) may wake up from the power saving mode and send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10. When the PS-Poll is received from the station 1 (SAT 1), the access point (AP) may generate the above-mentioned AID reassignment frame (new AID: 2000, AID reassignment counter: 29), and generate the generated AID. The reassignment frame may be sent to station 1 (STA 1). Here, since one beacon has been transmitted (that is, one beacon period has passed),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set to 29 with 1 decreased. The station 1 (STA 1)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transmit an ACK frame to the access point (AP), and set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29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an initial value to reset the AID. The allocation counter can be started. That is, the station 1 STA 1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by 1 every beacon period (or when the beacon is transmitted).
그 후, 액세스 포인트(AP)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 2(STA 2)는 전력 절감 모드에서 깨어나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 2(SAT 2)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상기와 같은 AID 재할당 프레임(새로운 AID: 2000, AID 재할당 카운터: 4)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STA 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26개의 비컨이 전송되었으므로(즉, 26번의 비컨 주기가 지났으므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26이 감소된 4로 설정된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STA 2)는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고,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4)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AID 재할당 카운터를 시작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2(STA 2)는 비컨 주기마다(또는, 비컨이 전송되는 경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1씩 감소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AP may transmit a beacon according to the beacon period. Station 2 (STA 2) may wake up from the power saving mode and send the PS-Poll to the access point 10. When the PS-Poll is received from the station 2 (SAT 2), the access point (AP) may generate the above-mentioned AID reassignment frame (new AID: 2000, AID reassignment counter: 4), and generate the generated AID. The reassignment frame may be sent to station 2 (STA 2). Here, since 26 beacons have been transmitted (that is, 26 beacon cycles have passed),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set to 4 with 26 decremented. The station 2 (STA 2)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may transmit an ACK frame to the access point (AP), and set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4)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an initial value to reset the AID. The allocation counter can be started. That is, station 2 (STA 2) may decrease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by 1 every beacon period (or when the beacon is transmitted).
그 후, 액세스 포인트(AP)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전송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4개의 비컨을 더 전송한 경우(즉, 4번의 비컨 주기가 지난 경우)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카운터의 값은 0이 된다. AID 재할당 카운터의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의 AID를 200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스테이션 2(STA 2)의 AID를 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스테이션 1(STA 1)은 AID를 1000에서 2000으로 변경할 수 있고, 스테이션 2(STA 2)는 AID를 2000에서 1000으로 변경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P may transmit a beacon according to the beacon period, and if additional four beacons are transmitted (that is, four beacon periods have passed), the station 1 (STA 1) and the station 2 (STA) The value of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for 2) is zero. At the time when the value of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becomes zero, the access point AP may set the AID of station 1 (STA 1) to 2000 and set the AID of station 2 (STA 2) to 1000. In addition, station 1 (STA 1) may change the AID from 1000 to 2000, and station 2 (STA 2) may change the AID from 2000 to 1000.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Claims (10)

  1. 단말의 AID(association ID) 변경 방법으로서,A method of changing an association ID (AID) of a terminal,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n AID reassignment frame from an access point;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에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an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from the AID reassignment frame; And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수신 시점으로부터 상기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beacon)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AID 변경 방법.After the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indicated by the extracted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are taken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AID reassignment frame is received, the AID of the terminal is changed to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ID change method of a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터값이 0인 경우, If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extracted in the step of extracting 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0,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수신 시점에서 즉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에서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AID 변경 방법.The changing of the AID of the terminal comprises changing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단말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 전송한 PS(Power Save)-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AID 변경 방법.The AID reassignment frame is the AID change metho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received in response to the PS (Power Save) -Poll frame transmitted to the access point.
  4.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If there is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AID 변경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a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5.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AID 재할당 카운터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AID 변경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er value is such that the AID of the terminal is changed after the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the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the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hat should change th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Method for changing the AID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6.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의 AID(association ID)를 재할당하는 방법으로서,An access point reassigns an AID (association ID) of a terminal.
    새로운 AID와 상기 새로운 AID로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n AID reassignment frame including a new AID and an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specifying a time of change to the new AID; And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to the terminal;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beacon)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s a new AID included in the AID reassignment frame after the beac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 indicated by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are taken from the time of transmitting the AID reassignment frame. AID reassign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ruction to change the AID of the terminal.
  7.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If 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s 0,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에서 즉시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ndicates that the AID reassigns the AID of the terminal to a new AID immediately when the AID reassignment frame is transmitted.
  8.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PS(Power Save)-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The AID reassignment frame is an AID reassign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by the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PS (Power Save) -Poll frame received from the terminal.
  9.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If there is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a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o change th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
  10.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The AID reassignment count value may be changed so that the AID of the terminal is changed after a listen interval having the longest value between a listen interval of the terminal and a listen interval of at least one terminal that should change AID simultaneously with the terminal. AID reassignment method of an access p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PCT/KR2013/005734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WO2014003473A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20042A JP6022055B2 (en)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14/411,301 US9398446B2 (en)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CN201380034901.6A CN104412632B (en) 2012-06-28 2013-06-27 A kind of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US15/181,555 US9622073B2 (en) 2012-06-28 2016-06-14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15/442,921 US10045205B2 (en) 2012-06-28 2017-02-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16/025,846 US10595196B2 (en) 2012-06-28 2018-07-02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963 2012-06-28
KR10-2012-0069963 2012-06-28
KR10-2013-0035516 2013-04-02
KR1020130035516A KR101514966B1 (en) 2012-06-28 2013-04-02 Method for reassigning association i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2013-0054185 2013-05-14
KR1020130054185A KR101514829B1 (en) 2012-06-28 2013-05-14 Method for switching association i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411,301 A-371-Of-International US9398446B2 (en)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15/181,555 Continuation US9622073B2 (en) 2012-06-28 2016-06-14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473A1 true WO2014003473A1 (en) 2014-01-03

Family

ID=4978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734 WO2014003473A1 (en)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03473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38A1 (en) * 2015-04-1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114A1 (en) * 2007-01-15 2008-07-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KR100999094B1 (en) * 2003-06-27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sing Virtual TDMA
WO2011115408A2 (en) * 2010-03-15 2011-09-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US20120044925A1 (en) * 2009-12-03 2012-02-23 Dae Won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WO2012077901A1 (en) * 2010-12-07 201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094B1 (en) * 2003-06-27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sing Virtual TDMA
WO2008088114A1 (en) * 2007-01-15 2008-07-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US20120044925A1 (en) * 2009-12-03 2012-02-23 Dae Won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ran system
WO2011115408A2 (en) * 2010-03-15 2011-09-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WO2012077901A1 (en) * 2010-12-07 201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38A1 (en) * 2015-04-1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356757B2 (en) 2015-04-15 2019-07-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939414B2 (en) 2015-04-15 2021-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7765A1 (en) Channel access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WO2014014281A1 (en) Active scanning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KR101960433B1 (en)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0095791A1 (en) Method of controlling channel access
US10595196B2 (en)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WO20111154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band information in a wlan system
WO2015005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WO2015005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system
WO2013183931A1 (en) Method of active scanning and associating based on configuration information
WO2016085243A1 (en) Method for operating station in wireless lan
WO2013187653A1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14003479A1 (en) Aid re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aid reassignment method
WO2017164685A1 (en) Power saving method through user-specific signaling
WO2014003472A1 (en)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 in wireless lan system
WO2016068670A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WO2014003473A1 (en)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WO20220255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communication based on drx
WO2014003471A1 (en) Method for scanning for access points in wireless lan system
WO2013183881A1 (en) Method of scanning access point
WO20141425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multi-band based link in wireless lan system
WO20170268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power saving based on target wake time
WO20221083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in sidelink communication
WO20221083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in sidelink communication
WO2022169252A1 (en)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sl drx in sidelink communication for supporting resource allocation mode 1
WO20230140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 in sidelink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97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1301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004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30/06/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97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