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3929A2 -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3929A2
WO2011083929A2 PCT/KR2010/009278 KR2010009278W WO2011083929A2 WO 2011083929 A2 WO2011083929 A2 WO 2011083929A2 KR 2010009278 W KR2010009278 W KR 2010009278W WO 2011083929 A2 WO2011083929 A2 WO 201108392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ewing frustum
interest
view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2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3929A3 (ko
Inventor
김태훈
류중희
Original Assignee
(주)올라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라웍스 filed Critical (주)올라웍스
Priority to EP10842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25288A4/en
Priority to JP2012547946A priority patent/JP5263748B2/ja
Priority to US13/378,400 priority patent/US8587615B2/en
Priority to AU2010340461A priority patent/AU2010340461B2/en
Priority to CN201080061211.6A priority patent/CN102792266B/zh
Publication of WO201108392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3929A2/ko
Publication of WO201108392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3929A3/ko
Priority to US14/019,824 priority patent/US88421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Edge-driven scaling; Edge-based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using a viewing frustu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ewing frustum which is specified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when an image is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r an image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in a preview state.
  • a viewing frustum which is specified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when an image is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or an image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in a preview state.
  • geographic information which has been provided in the form of booklets,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 a typical form of geographic information that is digitized, for example, an electronic map service provided online, a navigation system installed in an automobile, and the like.
  • the digitized geographic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to the user by being combined with a user interface such as a search function, and when a change is made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it can be easily updated through a remote update or the like. Therefore, the situation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printed matter in terms of the latest geographic information.
  • Augmented Reality which synthesizes and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graphics (CG) and text on input images captured by a user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 AR Augmented Reality
  • This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to the user because the user can visually superimpose th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containing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actually sees.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above-mentioned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fers to a viewing frustum that is specified by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n interest in an object existing in the real world. Another purpose is to be able to differentiall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the o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 objects present on the map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on the user terminal device by referring to context information such as demo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and time zone information of the user. It is another object to be able to provide suitable additional information.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using a viewing frustum comprising: (a) specifying at least one viewing frustum of a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And (b) refer to an object that the first viewing frustum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device as the viewpoint and the second viewing frustum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device as the viewpoint in common. Comprising a step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interest for the object is provided.
  •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using a viewing frustum comprising: a viewing frising that specifies at least one viewing frustum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as the viewpoint
  • a viewing frising that specifies at least one viewing frustum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as the viewpoint
  • the viewpoint With reference to the object which the term determination part and the 1st viewing frustum which makes a 1st user terminal device the viewpoint, and the 2nd viewing frustum which makes the 2nd user terminal apparatus the viewpoint contain in common
  • a system includes a viewing frustum analyzer that calculates an interest in the object.
  • the user's interest in an object existing in the real world is automatically calculated with reference to the viewing frustum, an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is differenti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terest of the object. Since it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to other user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hat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users.
  • additional information on an object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on a building of high interest to a man in his 30s, additional information on a store of high interest during the daytime, etc.
  • additional information on a building of high interest to a man in his 30s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on a store of high interest during the daytime, etc.
  • the type of the user can be subdivided to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of interest to the user.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with reference to a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shape of a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viewing frustum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unit 260 control unit
  • a viewing frustum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area included in a field of view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when an image is 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or input in a preview state. It is specified by the point of view of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hotographing lens, an infinite region in the form of a cone or a polygonal cone (near plane or far plane in which the cone or polygonal cone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ine of sight).
  • the viewing frustum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formed to pass at least a part of an object (a building, etc.) existing in the real world, and each of which is specified using different user terminal devices as a viewpoint.
  • the viewing frustum may have a common area that overlaps each other.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with reference to a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ntire system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00, an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nd a user terminal device 300.
  •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Network).
  • LAN local area network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nown World Wide Web (WWW).
  • WWW World Wide Web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refers to the viewing frustum which is specified by using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and refers to the terminal device.
  •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alculating an interest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input image and differentiall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terest of the object may be performed.
  •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unction to enable communication after connecting to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 personal computer (for example, a desktop computer) , A laptop computer, etc.), a digital device having memory means such as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and the like with a microprocessor can be adopted a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frustum determination unit 210, the viewing frustum analysis unit 220,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a database 240, a communication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may be included.
  • the viewing frustum determiner 210,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er 230, the database 240, the communicator 250, and the controller 260 are provided. At least some of them may be program modules that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 the viewing frustum determiner 210 sets the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when an image is captured or inputted in the preview state by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Specifies the viewing frustum and saves it.
  • the user may use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of the user to perform a meaningful action such as image capturing, image preview, etc. on the object of interest to the user.
  • the viewing frustum specified by using 300 as a viewpoint may include all or a part of an object such as a building, a store, etc.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 the viewing frustum may be a three-dimensional region defined in three-dimensional space, and may be defined as an infinite region in the form of a cone or a polygon having a vertex as a vertex and an infinite height.
  • the shape of the viewing frustum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hotographing lens.
  • the viewing frustum may be defined as a polygonal pyramid such as a square pyramid.
  • the shape of the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listed embodiments, and the viewing frustum is a trapezoidal cylinder cut by a near plane or a far plane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sight. Or a finite region such as a trapezoidal cube shape.
  • FIG. 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shape of a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ewing frustum 310 may have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s a viewpoint according to a perspective view, and the near plane 320 and the circular plane 330. It can be defined as a finite region partitioned by.
  • the distances from the viewpoint to the near plane 320 and the circle plane 330 may be uniformly set for all viewing frustums or may be adaptively set according to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For example, when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is a building, the distances from the viewpoint to the near plane 320 and the circle plane 330 are 10 m and 10, respectively, so that the building can be completely included in the viewing frustum. It can be set to be 5000m.
  • the distance to the circular plane 330 may be defined as an infinite region.
  •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ing frustum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at is, the viewing frustum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s a viewpoint may be specifi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n the map by the lo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 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be obtained by a know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nd acceleration sensing means, respectively.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be changed at any time due to the movement or manipulation of the user.
  •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viewing frustum may also be changed at any time.
  • the viewing frustum may be defined to be specified from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the video.
  • the viewing frustum determiner 210 may perform a function of acquir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viewing frustum is specified.
  • the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viewing frustum may include a time zone in which the viewing frustum is specified,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etc.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t which the viewing frustum starts.
  • the contextual information may be utilized when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s object information targeted to the user.
  •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analyzes a plurality of viewing frustums specifi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300 to determine an interest in an object existing in the real world. Perform the function of calculating.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viewing frustum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nd second viewing frustum (410 and 420, respectively) is a viewing frustum with a different point (415 and 425, respectively) as a view point to be an infinite region in the form of a square pyramid. Let's assume.
  • a common area 430 which is an area overlapping each other, may exi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iewing frustums 410 and 420 specifi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n a map, and the common area may be a user of the user. It may be evalua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users who have taken an image by using the terminal device and are interested in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who have specified the first and second frustums 410 and 42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bject A 440 in the common area 430 and the object B 450 in the area of the first viewing frustum 410.
  • object A 440 When included only in object A 440 may determine that object A is of high interest from both the first and second users and object B 450 is object of high interest only from the first us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nterest in 440 is higher than the interest in object B 450.
  •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indicates that an object located in a common area having a large number of crossings by different viewing frustums has a higher interest in the object. You can decide.
  • the viewing frustum analysis unit 220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located in the viewing frustum and the dista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viewing frustum,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object The higher the ratio of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n the common area, the higher the interest in the object.
  • the viewing frustum may not overlap each other even though they are extended toward the same object.
  • a shooting frustum that is specified when photographing a high-rise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building B and a low-rise portion of the side of the building B that is specified may not have common areas overlapping each other even though they all extend toward Building B.
  •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may refer to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ing frustum or the object even though there is no common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viewing frustums overlap each other.
  • Recognition techniques are used to first recognize which objects are included in all or part of the viewing frustum, and as a result, when an object is recognized as being contained in different viewing frustums, the object is viewed by the object.
  •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at the frustums have the same degree of interest as in the case where the frustums are located in the common area overlapping each other may be performed.
  • a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viewing frustum may be per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n a map by referr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iewing frustum obtained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and an acceleration sensing means.
  • a method of recogniz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viewing frustum may be applied, and analyzing the appearance (contour, pattern, etc.)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frustum to recognize what the object is. The method may be applied.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differentially adds additi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bject with reference to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object calculated by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Perform the function provided by.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a point of interest (POI) displayed in augmented reality. On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level may be provided or the size of a visual effect such as an icon pointing to the object may be differenti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the object.
  • POI point of interest
  • the user B located near the station 3 is provide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n object in the form of augmented reality using a user terminal device to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is attached.
  • the user B may selectively receive additional information only for the "Gangnam Finance Tower” determined to be of high interest to the plurality of users, while selectivel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Sacred Heights Building” determined to be of low interest.
  • only useful information can be intensively provided according to preference.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nly on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ser receiving the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viewing frustum. Can be performed.
  • the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viewing frustum may include a time zone in which the viewing frustum is specified,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etc.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that is the viewpoint of the viewing frustum. have.
  •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refers to the interest of the object calculated by referring only to the viewing frustum specified during the day time zone by other users corresponding to women in their 20s. Additional information may only be provided for object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user C (eg, department stores, coffee shops, etc.).
  • the viewing frustum defin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n the map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viewing frust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 the viewing frustum analysis unit 220 projects the viewing frustum specifi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two-dimensional space on the map and refers to a common area between different projection areas. You can also calculate the degree of interest.
  • the database 24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near plane, circle plane, position, direction, etc. of the viewing frustum specified by us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device as a viewpoint.
  • Each view frustum may be associated with and stored contextual information.
  • the contextual information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viewing frustum may include a time zone in which the viewing frustum is specified,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etc.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that is the time of the viewing frustum. have.
  • a database is a concept that includes not only a negotiated database but also a database in a broad sense including data recording based on a computer file system, and even a simple set of arithmetic processing logs can be retrieved to extract predetermined data.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f possible, it can be included in the databas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database 240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in FIG. 2,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40 may be provided as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It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 the communication unit 25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 the control unit 260 is the data between the viewing frustum determination unit 210, the viewing frustum analysis unit 220,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0, the database 2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50.
  •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flow of data from the outside or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thereby the viewing frustum determiner 210, the viewing frustum analyzer 220, and the object information.
  • the providing unit 230, the database 2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50 controls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respectively.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는 단계, 및 (b)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1 뷰잉 프러스텀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2 뷰잉 프러스텀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참조로 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위와 같이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은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거나 프리뷰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하여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을 참조로 하여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위와 같이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객체에 대한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은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에는 책자와 같은 인쇄물의 형태로 제공되어 왔던 지리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공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디지털화된 대표적인 지리 정보의 형태로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전자 지도 서비스, 자동차에 설치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화된 지리 정보는, 검색 기능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편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지리 정보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원격 업데이트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갱신 가능하므로, 지리 정보의 최신성 측면에서도 종래의 인쇄물에 비하여 우위에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입력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스(Computer Graphics: CG), 문자 등의 부가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형태로 지리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제로 보고 있는 현실 세계를 담고 있는 화면에 부가 정보를 시각적으로 중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촬영 또는 입력되는 작은 크기의 입력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객체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관심도(또는 중요도)가 높은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만을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지도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수동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별개의 관심도 산출 방법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그 정확도가 높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참조로 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함으로써,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 증강 현실의 형태로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구학적 속성 정보, 시간대 정보 등의 상황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는 단계, 및 (b)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1 뷰잉 프러스텀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2 뷰잉 프러스텀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는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1 뷰잉 프러스텀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2 뷰잉 프러스텀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참조로 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위와 같이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은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예를 들면, 30대 남자에게 관심도가 높은 건물에 대한 부가 정보, 낮 시간대에 관심도가 높은 상점에 대한 부가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타입을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객체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을 참조로 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과 객체의 위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통신망
200: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
210: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
220: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
230: 객체 정보 제공부
240: 데이터베이스
250: 통신부
260: 제어부
300: 사용자 단말 장치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 있어서,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은,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거나 프리뷰(preview) 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촬영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3차원 영역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해당 촬영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며 촬영 렌즈의 종류에 따라 원뿔 또는 다각뿔의 형태의 무한 영역(원뿔 또는 다각뿔이 시선(視線) 방향에 수직한 근 평면(near plane) 또는 원 평면(far plane)에 의하여 잘려진 사다리꼴 원기둥 또는 사다리꼴 다면체 형태의 유한 영역일 수도 있음)으로 특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뷰잉 프러스텀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건물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각각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은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을 참조로 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통신망(100)은 유선 및 무선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을 참조로 하여 단말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위와 같이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 객체 정보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 객체 정보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거나 프리뷰 상태로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자신이 관심을 갖는 객체에 대하여 영상 촬영, 영상 프리뷰 등의 유의미한 행위를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에는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건물, 상점 등의 객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정의되는 3차원 영역일 수 있으며 시점(視點)을 꼭지점으로 하고 높이가 무한대인 원뿔 또는 다각뿔 형태의 무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뷰잉 프러스텀의 형태는 촬영 렌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인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는 경우 사각뿔 등의 다각뿔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의 형태가 상기 열거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뷰잉 프러스텀은 시선 방향에 수직한 근 평면(near plane) 또는 원 평면(far plane)에 의하여 잘려진 사다리꼴 원기둥 또는 사다리꼴 육면체 형태 등의 유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310)은, 투시도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시점(視點)으로 하고 근 평면(320) 및 원 평면(330)에 의하여 구획되는 유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시점(視點)으로부터 근 평면(320) 및 원 평면(330)까지의 거리는 모든 뷰잉 프러스텀에 있어서 일정하게 설정되거나 촬영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의 대상이 되는 객체가 건축물인 경우에는 해당 건축물이 뷰잉 프러스텀에 온전하게 포함될 수 있도록 시점(視點)으로부터 근 평면(320) 및 원 평면(330)까지의 거리가 각각 10m 및 5000m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하였듯이 원 평면(330)까지의 거리에 제한을 두지 않아 무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및 방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뷰잉 프러스텀은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및 방향에 의하여 지도 상의 3차원 공간에서 그 위치 및 방향이 특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는 각각 공지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및 가속도 센싱 수단에 의하여 얻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사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 또는 조작 등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및 방향이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도 시시각각 변화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부터 뷰잉 프러스텀이 각각 특정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되는 당시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된 시간대,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이 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인구학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 정보는 후술할 객체 정보 제공부(230)가 사용자에 타겟팅된 객체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특정된 복수의 뷰잉 프러스텀을 분석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을 참조로 하여, 지도 상의 3차원 공간 상에서 복수의 뷰잉 프러스텀이 서로 겹쳐지는, 이른바, 공통 영역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된 공통 영역에 해당하는 객체를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뷰잉 프러스텀과 객체의 위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4에 있어서,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각각 410 및 420)은 서로 다른 지점(각각 415 및 425)을 시점(視點)으로 하는 뷰잉 프러스텀으로서 사각뿔 형태의 무한 영역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도 상의 3차원 공간에서 특정된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410, 420) 사이에는 서로 겹치는 영역인 공통 영역(43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통 영역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제1 및 제2 프러스텀(410, 420)이 각각 특정되도록 한 제1 및 제2 사용자가 모두 관심을 갖는 영역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객체 A(440)가 공통 영역(430)에 포함되고 객체 B(450)가 제1 뷰잉 프러스텀(410)의 영역에만 포함되는 경우에 객체 A(44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모두로부터의 관심도가 높은 객체이고 객체 B(450)는 제1 사용자로부터만 관심도가 높은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객체 A(440)에 대한 관심도가 객체 B(450)에 대한 관심도보다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서로 다른 뷰잉 프러스텀에 의한 교차 횟수가 많은 공통 영역에 위치하는 객체일수록 해당 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뷰잉 프러스텀에 위치하는 객체가 해당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가까울수록 해당 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공통 영역에서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클수록 해당 객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뷰잉 프러스텀의 시야각이 좁거나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으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에는, 서로 다른 뷰잉 프러스텀이 동일한 객체를 향해 뻗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겹쳐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높이가 300m인 건축물 B에서 불과 10m 떨어진 거리에서, 건축물 B의 정면의 고층 부분을 촬영하는 경우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과 건축물 B의 측면의 저층 부분을 촬영하는 경우에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은 모두 건축물 B를 향해 뻗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비록 해당 뷰잉 프러스텀들이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거나 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뷰잉 프러스텀에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되는 객체가 무엇인지를 먼저 인식하고, 그 결과 어떤 객체가 서로 다른 뷰잉 프러스텀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해당 객체는 해당 객체가 해당 뷰잉 프러스텀들이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관심도를 갖는 것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뷰잉 프러스텀에 포함되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및 가속도 센싱 수단 등을 통하여 얻어지는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을 참조하여 지도 상의 3차원 공간에서 해당 뷰잉 프러스텀에 포함되는 객체가 무엇인지를 인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뷰잉 프러스텀에 대응되는 입력 영상 상에 나타난 객체의 외형(윤곽, 패턴 등)을 분석하여 해당 객체가 무엇인지를 인식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에 의하여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를 참조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증강 현실에 표시되는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 POI)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관심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만을 제공하거나 객체의 관심도에 따라 해당 객체를 가리키는 아이콘 등의 시각 효과의 크기가 차등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역삼역 근처에 위치하는 사용자 B가 촬영 장치가 부착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의 형태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B는 복수의 사용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된 "강남 파이낸스 타워"에 대하여서만 선택적으로 부가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반면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결정된 "성지 하이츠 빌딩"에 대하여는 선택적으로 부가 정보를 제공 받지 않을 수 있게 됨으로써 기호에 따라 유용한 정보만을 집중적으로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정보를 제공 받는 사용자의 상황에 부합하는 객체에 대하여만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된 시간대,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이 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인구학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0대 여자인 사용자 C가 낮 시간대에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정보 제공부(230)는 20대 여자에 해당되는 다른 사용자들에 의하여 낮 시간대에 특정된 뷰잉 프러스텀만을 참조로 하여 산출된 객체의 관심도를 참조하여 사용자 C의 상황에 적합한 객체(예를 들면, 백화점, 커피숍 등)에 대하여만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도 상의 3차원 공간에서 정의되는 뷰잉 프러스텀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뷰잉 프러스텀이 반드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는 3차원 공간 상에서 특정된 뷰잉 프러스텀을 지도 상의 2차원 공간에 투영하고 서로 다른 투영 영역 사이의 공통 영역을 참조로 하여 객체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여 특정되는 뷰잉 프러스텀의 형태, 근 평면, 원 평면, 위치, 방향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뷰잉 프러스텀에는 상황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뷰잉 프러스텀과 연계되어 저장되는 상황 정보에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된 시간대,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이 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의 인구학적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란,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컴퓨터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단순한 연산 처리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40)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40)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이 사용자 단말 장치(3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 객체 정보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6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객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210),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220), 객체 정보 제공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3)

  1.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는 단계, 및
    (b)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1 뷰잉 프러스텀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2 뷰잉 프러스텀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하여 프리뷰 상태로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은, 상기 시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무한 원뿔 또는 다각뿔이거나 상기 무한 원뿔 또는 다각뿔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한 개 또는 두 개의 평면에 의하여 구획되어 획득되는 사다리꼴 원기둥 또는 다면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이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을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통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객체의 관심도를 상기 공통 영역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 객체의 관심도보다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공통 영역에서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클수록 상기 객체의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객체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뷰잉 프러스텀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객체일수록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에 각각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1 및 제2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서로 동일한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을 지도 상의 2차원 공간 상에 투영하여 각각 제1 및 제2 투영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b2) 상기 지도 상의 2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투영 영역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산출된 관심도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관심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객체에 대하여만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부가 정보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제공 받는 제3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황에 타겟팅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된 시간대 및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이 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인구학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상기 제3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제공 받는 장소, 시간대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인구학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뷰잉 프러스텀(viewing frustum)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뷰잉 프러스텀을 특정하는 뷰잉 프러스텀 결정부,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1 뷰잉 프러스텀 및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시점(視點)으로 하는 제2 뷰잉 프러스텀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하여 프리뷰 상태로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은, 상기 시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무한 원뿔 또는 다각뿔이거나 상기 무한 원뿔 또는 다각뿔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한 개 또는 두 개의 평면에 의하여 구획되어 획득되는 사다리꼴 원기둥 또는 다면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의 위치 및 방향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이 서로 겹쳐지는 공통 영역을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공통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객체의 관심도를 상기 공통 영역에 전혀 포함되지 않는 객체의 관심도보다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공통 영역에서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의 비율이 클수록 상기 객체의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객체를 공통으로 포함하는 뷰잉 프러스텀의 수가 많을수록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객체일수록 관심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에 각각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제1 및 제2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객체가 서로 동일한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 분석부는, 상기 제1 및 제2 뷰잉 프러스텀을 지도 상의 2차원 공간 상에 투영하여 각각 제1 및 제2 투영 영역을 획득하고, 지도 상의 2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투영 영역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객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관심도에 따라 상기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객체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산출된 관심도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객체에 대하여만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제공부는, 상기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제공 받는 제3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3 사용자의 상황에 타겟팅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프러스텀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뷰잉 프러스텀이 특정된 시간대 및 뷰잉 프러스텀의 시점(視點)이 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인구학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사용자에 대한 상황 정보에는 상기 제3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제공 받는 장소, 시간대 및 상기 제3 사용자의 인구학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3.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10/009278 2010-01-11 2010-12-23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083929A2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842309.6A EP2525288A4 (en) 2010-01-11 2010-12-23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A VISUALIZATION CONE TRUNK
JP2012547946A JP5263748B2 (ja) 2010-01-11 2010-12-23 ビューイングフラスタムを用いて客体に関する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3/378,400 US8587615B2 (en) 2010-01-11 2010-12-23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viewing frustums
AU2010340461A AU2010340461B2 (en) 2010-01-11 2010-12-23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a viewing frustum
CN201080061211.6A CN102792266B (zh) 2010-01-11 2010-12-23 使用视见平截头体提供关于目标的信息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4/019,824 US8842134B2 (en) 2010-01-11 2013-09-06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viewing frustu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2340A KR100975128B1 (ko) 2010-01-11 2010-01-11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02340 2010-01-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378,400 A-371-Of-International US8587615B2 (en) 2010-01-11 2010-12-23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viewing frustums
US14/019,824 Continuation US8842134B2 (en) 2010-01-11 2013-09-06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using viewing frustu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29A2 true WO2011083929A2 (ko) 2011-07-14
WO2011083929A3 WO2011083929A3 (ko) 2011-11-03

Family

ID=4275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278 WO2011083929A2 (ko) 2010-01-11 2010-12-23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587615B2 (ko)
EP (1) EP2525288A4 (ko)
JP (1) JP5263748B2 (ko)
KR (1) KR100975128B1 (ko)
CN (1) CN102792266B (ko)
AU (1) AU2010340461B2 (ko)
WO (1) WO20110839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61B1 (ko) * 2015-07-13 2016-10-24 한국과학기술원 증강 공간 내 부분 공간 획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63B1 (ko) 2010-01-29 2010-10-26 (주)올라웍스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지 않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798926B2 (en) 2012-11-14 2014-08-05 Navteq B.V. Automatic image capture
CN105205127B (zh) * 2015-09-14 2019-06-0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液体质量/体积特性数据库的自适应步长建库方法和系统
EP3506214A1 (en) * 2017-12-28 2019-07-03 Dassault Systèmes Method for defining drawing planes for the design of a 3d object
US20200082576A1 (en) 2018-09-11 2020-03-12 Apple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livering Recommend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348A (en) * 1997-12-31 2000-01-25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visibility culling
US7883415B2 (en) * 2003-09-15 2011-02-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view of a scene being displayed according to tracked head motion
CA2406131A1 (en) * 2002-09-30 2004-03-30 Idelix Software Inc.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detail-in-context folding
WO2004042662A1 (en) * 2002-10-15 2004-05-2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ugmented virtual environments
JP4008333B2 (ja) * 2002-10-25 2007-11-14 株式会社リアルビズ 複数台のプロジェクタによるマルチ映像投影方法、同方法を使用するためのプロジェクタ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488233B2 (ja) * 2003-04-21 2010-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オブジェクト認識装置、映像オブジェクト認識方法、および映像オブジェクト認識プログラム
US7978887B2 (en) * 2003-06-17 2011-07-12 Brown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ubject matter in view data
JP4262011B2 (ja) * 2003-07-30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提示方法及び装置
US20060195858A1 (en) * 2004-04-15 2006-08-31 Yusuke Takahashi Video object recognition device and recognition method, video annotation giving device and giving method, and program
FR2875320A1 (fr) * 2004-09-15 2006-03-17 France Telecom Procede et systeme d'identification d'un objet dans une photo, programme, support d'enregistement, terminal et serv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systeme
US7773832B2 (en) * 2005-02-28 2010-08-10 Fujifilm Corporation Image outputting apparatus, image outputting method and program
US7599894B2 (en) * 2005-03-04 2009-10-06 Hrl Laboratories, Llc Object recognition using a cognitive swarm vision framework with attention mechanisms
US7573489B2 (en) * 2006-06-01 2009-08-11 Industrial Light & Magic Infilling for 2D to 3D image conversion
US8269822B2 (en) * 2007-04-03 2012-09-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splay viewing system and methods for optimizing display view based on active tracking
US8326048B2 (en) * 2007-10-04 2012-12-04 Microsoft Corporation Geo-relevance for images
US8390618B2 (en) * 2008-03-03 2013-03-05 Intel Corpor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ray tracing performance
US8595218B2 (en) * 2008-06-12 2013-11-26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Interactive displa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8745090B2 (en) 2008-12-22 2014-06-03 IPoin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ring 3D scenes by pointing at a reference objec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references of EP2525288A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61B1 (ko) * 2015-07-13 2016-10-24 한국과학기술원 증강 공간 내 부분 공간 획득 시스템 및 방법
WO2017010614A1 (ko) * 2015-07-13 2017-01-19 한국과학기술원 증강 공간 내 부분 공간 획득 시스템 및 방법
US10409447B2 (en) 2015-07-13 2019-09-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partial space in augmented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5288A4 (en) 2015-05-13
EP2525288A2 (en) 2012-11-21
US8842134B2 (en) 2014-09-23
KR100975128B1 (ko) 2010-08-11
US8587615B2 (en) 2013-11-19
US20120162258A1 (en) 2012-06-28
JP5263748B2 (ja) 2013-08-14
WO2011083929A3 (ko) 2011-11-03
JP2013516687A (ja) 2013-05-13
AU2010340461B2 (en) 2013-09-12
AU2010340461A1 (en) 2012-07-26
CN102792266A (zh) 2012-11-21
US20140002499A1 (en) 2014-01-02
CN102792266B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608A9 (ko) 단말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및 상기 입력 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139115A2 (ko)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인물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083929A2 (ko)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174729A1 (ko)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WO2011034308A2 (ko) 그래프 구조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85737B1 (ko) 단말 장치의 시야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2093811A1 (ko) 입력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619314A (zh) 安全帽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24449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R) information
CN106165386A (zh) 用于照片上传和选择的自动化技术
CN116134405A (zh) 用于扩展现实的私有控制接口
CN111062255A (zh) 三维点云的标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55876B (zh) 用于确定位置的方法和装置
CN108712644A (zh) 一种tw_ar智能导览系统及导览方法
CN111967664A (zh) 一种游览路线规划方法、装置及设备
CN107084740A (zh) 一种导航方法和装置
KR20180120456A (ko) 파노라마 영상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1078596A2 (ko)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미지 매칭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034306A2 (ko) 파노라마 이미지 사이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133052A (ko) 360도 이미지 및 비디오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 방법
WO2021210725A1 (ko) 점군 정보 가공 장치 및 방법
CN111858987A (zh) Cad图像的问题查看方法、电子设备及相关产品
CN110580275A (zh) 地图显示方法及装置
CN115460388B (zh) 扩展现实设备的投影方法及相关设备
JP749074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61211.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23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78400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340461

Country of ref document: AU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423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479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340461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01223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