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143B1 -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143B1
KR970011143B1 KR1019930020852A KR930020852A KR970011143B1 KR 970011143 B1 KR970011143 B1 KR 970011143B1 KR 1019930020852 A KR1019930020852 A KR 1019930020852A KR 930020852 A KR930020852 A KR 930020852A KR 970011143 B1 KR970011143 B1 KR 97001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ser diode
light
uni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823A (ko
Inventor
조정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143B1/ko
Publication of KR95001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by monitoring the optical outpu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레이저 다이오드
3 :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 4 :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
5 : 포토 다이오드 6 : 전류/전압 변환부
7 : 증폭부 8 : 파형 정형부
9 : 비교부 10 : 피크 홀드부
1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레이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 발광 장치에서 발광되는 레이저의 광량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목표물의 상황 및 기후의 영향에 따라 측정 기능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레이다에서는 반사광의 크기를 분석하여 증폭도를 변화시키며, 측정거리를 확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레이저 발광부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은 반사 물체의 상황 및 기후 조건에 따라 수광부로 돌아오는 광량의 세기가 달라진다.
즉, 동일한 광의 세기로 목표물을 향해 광을 발사하여도 목표물의 색깔과 광택,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정도에 따라 반사광의 세기가 달라지고, 날씨가 맑은 경우와 비가 오는 경우, 안개낀 경우, 눈이 오는 경우 등 주변 기후의 상태에 따라서도 반사광의 세기가 달라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사광의 세기의 변화는 측정 가능 거리의 변화로 연결되는데, 목표물이 백색인 경우와 목표물이 흑색인 경우는 백색인 경우가 흑색인 경우보다 더 먼 거리까지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비나 눈, 안개가 낀 경우에는 빛의 투과율이 떨어져 목표물에 도달되는 빛이 약해지고, 목표물에 맞고 되돌아 오는 빛의 세기도 약해져 맑은 날보다 측정 가능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차간 거리를 이용하여 전방 차와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해주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와 같은 장치에서는, 전방 물체의 상황에 따라 측정 거리가 감소하게 되며, 측정 거리 단축에 의한 위험 경보 가능 시간이 단축되어 운전자가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장치의 측정거리 가능 거리가 좁아지면, 효과적인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거리 또는 기후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량을 조정하지 않아 반사 물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측정 가능 거리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반사광의 량을 분석하여 수광부의 증폭도를 조정해 줌과 동시에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여 발과되는 레이저 광 출력을 함께 조정함으로써, 반사체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측정 가능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 장치는, 발광부에서 발사된 광이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광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발광부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흐르는 신호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의 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광의 세기로 레이저 광을 목표물을 향해 발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소정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의 신호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를 온/오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은 소정의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어 포토 다이오드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광전변환된 전류신호를 신호 처리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압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파형 정형부와; 상기 파형 정형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비교,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는 수광된 광량의 세기를 분석하여 증폭부의 증폭도를 조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피크 홀드부와; 상기 피크 홀드부에서 홀드된 최대치를 그 값에 해당하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본 발명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방법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온시켜 레이저 광을 발광시킨 후, 수광된 신호를 검지하는 비교부의 비교 출력신호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 비교부에서 비교 출력된 신호가 로우 즉 정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상이 아닌 경우 시스템 작동을 중지하고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정상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최대치 수광량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읽어 들인 수광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증폭부의 이득 및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원을 조정하는 단계로 순차동작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 발광부에서 발사된 광이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광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발광부의 레이저 다이오드(2)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부(1)에서 조정하고, 발광되는 광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목표물의 상황 및 기후의 영향에 따라 측정가능 거리가 변화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4)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4)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2)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2)는 전원 제어신호와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3)의 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광의 세기로 레이저 광을 목표물을 향해 발광시킨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발광된 레이저 광은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고, 포토 다이오드(5)에서는 입사된 광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시켜준다.
또한, 전류/전압 제어부(6)에서는 포토 다이오드(5)에서 광전변환된 전류신호를 신호 처리가 용이하도록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주며, 변환된 전압신호는 증폭부(7)에서 증폭되고 파형 정형부(8)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비교부(9)에 입력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9)에서는 제어부(1)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 신호와 비교하고, 수광된 신호가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발광된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발광된 신호라고 판정되었을 때만 제어부(1)에 수광신호가 검지되었음을 알려준다.
또한, 상기 증폭부(7)에서 증폭된 신호는 수광된 광량의 세기를 분석하여 증폭부(7)의 증폭도를 조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2)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해 피크 홀드부(10)에 입력되어 수광된 광량의 최대치를 홀드한다.
또한, 상기 피크 홀드부(10)에서 최대치를 홀드한 후 이 값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에서 해당하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이 값을 제어부(1)에서 분석하여 상황에 맞게 레이저 다이오드(2)의 출력 및 증폭부의 증폭도를 조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동작상태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2)를 온시켜 레이저 광을 발광시킨 후, 수광된 신호를 검지하는 비교부(9)의 비교 출력신호를 읽어 들이고(S1), 상기 비교부(9)에서 비교 출력된 신호가 로우 즉 정상인가를 판단한다(S2).
또한, 상기 비교부(9)에서 정상이 아닌 경우 시스템 작동을 중지하고 에러 신호를 출력한 후(S3), 정상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최대치 수광량을 읽어 들인다(S4).
또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에서 읽어 들인 수광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증폭부(7)의 이득 및 레이저 다이오드(2)의 전원을 조정하는 단계(S5)로 순차동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거리 측정장치에서 목표물의 상황 및 기후조건에 따라 측정거리가 변화되어 장치의 성능이 목표물의 상태 및 기후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발광부에서 발사된 광이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광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발광부의 레이저 다이오드(2)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부(1)와; 상기 제어부(1)에서 흐르는 신호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4)의 신호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광의 세기로 레이저 광을 목표물을 향해 발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2)와; 소정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4)의 신호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2)를 온/오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레이저 다이오드(2)에 공급되는 전력으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전원부(4)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발광된 레이저광은 소정의 목표물에 맞고 반사되어 포토 다이오드(5)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5)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5)에서 광전 변환된 전류신호를 신호 처리가 용이하도록 소정의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6)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에서 변환된 전압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7)와; 상기 증폭부(7)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파형 정형부(8)와; 상기 파형 정형부(8)에서 변환된 신호를 입력시키고 상기 제어부(1)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비교, 출력하는 비교부(9)와; 상기 증폭부(7)에서 증폭된 신호는 수광된 광량의 세기를 분석하여 증폭부(7)의 증폭도를 조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피크 홀드부(10)와; 상기 피크 홀드부(10)에서 홀드된 최대치를 그 값에 해당하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로 입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량 제어장치.
  2. 레이저 다이오드(2) 온시켜 레이저 광을 발광시킨 후, 수광된 신호를 검지하는 비교부(9)의 비교 출력 신호를 읽어 들이고(S1)와; 비교부(9)에서 비교 출력된 신호가 로우 즉, 정상인가를 판단한다(S2)와; 정상이 아닌 경우 시스템 작동을 중지하고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와; 정상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최대치 수광량을 읽어 들이는 단계(S4)와; 읽어 들인 수광량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 증폭부(7)의 이득 및 레이저 다이오드(2)의 전원을 조정하는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량 제어방법.
KR1019930020852A 1993-10-08 1993-10-08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97001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852A KR970011143B1 (ko) 1993-10-08 1993-10-08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852A KR970011143B1 (ko) 1993-10-08 1993-10-08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23A KR950012823A (ko) 1995-05-17
KR970011143B1 true KR970011143B1 (ko) 1997-07-07

Family

ID=193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852A KR970011143B1 (ko) 1993-10-08 1993-10-08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4B1 (ko) * 2001-09-06 2003-07-2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62422B1 (ko) * 2004-08-13 2006-03-23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오가공 방지방법 및 이의 방지장치
KR100852256B1 (ko) * 2006-10-16 2008-08-14 미승씨엔에스검사주식회사 구조물의 변위 측정장치
KR102089453B1 (ko) * 2013-08-08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23A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797B1 (ko) 물품 검출방법 및 그 장치
US5491330A (en) Ambient light detector, laser lighting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suitable for bar code reader, and bar code reader
US9709678B2 (en) Laser radar device, object detecting method
EP1879044A1 (en) Radar device
US4891624A (en) Rearward vehicle obstruction detector using modulated light from the brake light elements
US5082363A (en) Optical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ght projection pulses
JP5889152B2 (ja) 受光回路、レーザレーダ
JP2774955B2 (ja) 周囲光検出装置,光源点灯制御装置および読取装置
JP2004523739A (ja) 同期検知に使用する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03254897A (ja) 雨滴及び光検出装置、及び、オートワイパー装置
US10754013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mitted light output of a light source of an optical sensor system
KR970011143B1 (ko)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TE414900T1 (de) Objektsensor und seine anwendung in einer scheibenwischersteuerungsschaltung
US4533241A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automatic focusing system using same
US5373344A (en) Rangefinder
KR20010113911A (ko) 레이저 광전 센서
US20210088658A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JP2019158523A (ja)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US5986255A (en) Photoelectric cell with lockable differential processing
JPH0735858A (ja) 距離計測装置
JP3265663B2 (ja) 光電スイッチ
EP1209447B2 (en) Light detector and light detecting IC therefor
EP0328136B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JPH11297171A (ja) 光ビームセンサ
KR20230060923A (ko) 근거리의 반사 강도 측정을 위한 라이다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