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742B1 - Medal lending device - Google Patents

Medal len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742B1
KR970007742B1 KR1019890013840A KR890013840A KR970007742B1 KR 970007742 B1 KR970007742 B1 KR 970007742B1 KR 1019890013840 A KR1019890013840 A KR 1019890013840A KR 890013840 A KR890013840 A KR 890013840A KR 970007742 B1 KR970007742 B1 KR 97000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base
cash
unit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05353A (en
Inventor
가쯔스케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사토미 하지메
사미 고우교우 가부시기가이샤
가쯔스케 요시카와
교와기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미 하지메, 사미 고우교우 가부시기가이샤, 가쯔스케 요시카와, 교와기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미 하지메
Publication of KR90000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내용없음.None.

Description

메달 대출기Medal lender

도면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보이는 것으로서,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메달 대출기를 메달 대출기 본체와 기체(基體)로 분할하여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al l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d into a medal lending machine main body and a base.

제2도는 기체 내부를 보이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ody.

제3도는 메달 대출기 본체를 구성하는 메달 수납부를 보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al storage portion constituting the medal loan machine body.

제4도는 메달 대출기 본체를 기체에 장착한 상태를 간략화하여 보이는, 제1도의 IV-IV선 상당단면도.FIG. 4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IV-IV line in FIG. 1, which simplifies the state where the medal lending machine body is mounted on the body.

제5도는 메달 대출기 본체를 구성하는 메달 불출부 및 메달 불출부에 마련된 메달용 로크부를 보이는 분할 사시도.The divisional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edal dispensing part which comprises the medal loan machine main body, and the medal lock part provided in the medal dispensing part.

제6도는 메달 불출부의 스위치류 및 디스플레이 부를 보이는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witches and the display of the medal delivery portion.

제7도는 현금 식별 수납부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h discrimination accommodating portion.

제8도는 메달 수납부에 장착된 슬라이드 셔터의 제2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lide shutter mounted to a medal compartment.

제9도는 종래의 메달 대출기를 간략화하여 보이는 그림이다.9 is a simplified view of a conventional medal lending machin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메달 대출기 2 : 기체(基體)1: medal loaner 2: gas

3 : 메달 대출부 본체 4 : 저판(底板)3: medal loan unit body 4: base plate

5 : 배면판(背面板) 6 : 상판(上板)5: back plate 6: top plate

7 : 메달수납부 8 : 메달불출부7: medal storage 8: medal payment

9 : 현금식별 수납부 10 : 로크부9: cash identification storage unit 10: lock unit

11 : 개구부 12 : 메달11: opening 12: medal

14 : 호퍼부 15 : 꺼내는 그릇14: hopper 15: take out bowl

17 : 안내부 18 : 지폐 식별 수납부17: guide 18: bill identification storage

19 : 경화(硬貨) 선별부 20 : 경화 수납체19: hardening sorting part 20: hardening housing

21 : 경화 22 : 투입구21: hardening 22: inlet

23 : 지폐 24 : 삽입구23: banknote 24: insertion hole

25 : 메달 대출기 26 : 기체25: medal lender 26: gas

27 : 메달 대출기 본체 28 : 개구(開口)부27: medal loan machine body 28: opening portion

29, 30 : 측면판 31, 32 : 가드레일29, 30: side plates 31, 32: guard rail

33 : 간막이 판 34 : 상단(上段)부33: partition plate 34: upper portion

35 : 중단(中段)부 36 : 하단부35: middle part 36: lower part

37 : 장치베이스 38 : 전원코드37: device base 38: power cord

39 : 전원플러그 40 : 메달 수납부39: power plug 40: medal compartment

41 : 메달 불출부 42 : 현금식별수납부41: medal issuance 42: cash identification collection

43 : 하니스 유닛 45 : 소킷43: harness unit 45: socket

46 : 하니스 47 : 와이어46: Harness 47: Wire

48 : 상방(上方) 센서 단자 49 : 하방 센서 단자48: upward sensor terminal 49: downward sensor terminal

50 : 메달 보급 51 : 구멍부50: medal supply 51: hole

52 : 전면 패널부 53, 54 : 양측면 판52: front panel 53, 54: both side plate

55 : 상면 판 56 : 저면 판55: top plate 56: bottom plate

57 : 고정부 58 : 힌지부57: fixing portion 58: hinge portion

59 : 개폐부 60 : 핸들59: opening and closing part 60: handle

61 : 공극(空隙) 62 : 배면판61: air gap 62: the back plate

63 : 메달 보급공(孔) 64 : 가이드 부63: medal supply ball 64: guide

65 : 메달 보급노즐 66 : 메달 낙하공(落下孔)65: medal supply nozzle 66: medal drop ball (落下 孔)

67 : 슬라이드 셔터 68 : 돌기부(突起部)67: slide shutter 68: projection

69 : 개구부 70 : 메달용 로브 부69: opening 70: medal lobe

71 : 메달 불출 기구(機構) 72 : 디스플레이유닛71: medal delivery mechanism 72: display unit

73 : 시정(施錠)부 74 : 링크 부재73: municipal administration 74: link member

75, 76 : 하방 로드 77, 78 : 상방 로드75, 76: downward load 77, 78: upward load

79 : 걸림부 80 : 전면 패널79: catch 80: front panel

81 : 장착 구멍 83 : 넛81: mounting hole 83: nut

84 : 회동(回動) 85 : 넛84: meeting 85: nut

86 : 판상(板狀)부재 87 : 슬릿86 plate member 87 slit

88 : 접속부 89 : 구멍부88 connection part 89 hole

90 : 볼트 91 : 넛90: Bolt 91: Nut

92 : 연결부재 93 : 측면부92: connecting member 93: side portion

94 : 접속편(片) 95 : 구멍부94: connecting piece 95: hole

96 : 볼트 97 : 넛96: Bolt 97: Nut

98 : 구멍부 99 : 철부(凸部)98: hole 99: iron

100 : 요부(凹部) 101 : 철부100: yabu 101: iron

102 : 키 103 : 키 구멍102: key 103: key hole

104 : 좌단 105 : 좌단부104: left end 105: left end

106 : 전원플러그 107 : 제어 유닛106: power plug 107: control unit

108 : 프레임 프레이트 109 : 가로 긴 창108: frame plate 109: horizontal long window

110 : 리셋 스위치 111 : 카운터 모드 스위치110: reset switch 111: counter mode switch

112 : 카운터 리셋 스위치 113 : 이상(異常) 모니터 표시 램프112: counter reset switch 113: abnormal monitor display lamp

114, 115 : 디지털 표시 116 : 메달 부족 표시 램프114, 115: Digital display 116: Medal lack indicator lamp

117 : 브리지 이상 표시 램프 118 : 불출 이상 표시 램프117: bridge abnormality indication lamp 118: dispensing abnormality indication lamp

119 : 지폐막힘 이상 램프 120 : 센서 이상 표시 램프119: abnormal bill jam lamp 120: sensor abnormal indicator lamp

121 : 현금용 로크부 122 : 기체(2)의 하단부 전단(前端)121: cash lock portion 122: front end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2)

123 : 힌지부 124 : 전면 패널123: hinge portion 124: front panel

125 : 경화 선별기 126 : 브래킷125: hardening selector 126: bracket

127 : 코인 슈트 128 : 경화 검지 센서127: coin chute 128: coin detection sensor

129 : 부착구멍 130 : 실린더 자물쇠129: mounting hole 130: cylinder lock

131 : 넛 132 : 회동(回動)부131: nut 132: rotating part

133 : 넛 134 : 회전 로드133: nut 134: rotating rod

135 : 베이스 부재 136 : 플러그135: base member 136: plug

137 : 브래킷 138 : 지폐 삽입구137: bracket 138: bill insertion slot

139 : 경화 투입구 140 : 경화 반환구139: hardening slot 140: hardening return slot

141 : 지폐 식별부 142 : 지폐 수납부141: bill identification unit 142: bill storage unit

143 : 전면 패널 144 : 전용 키143: front panel 144: dedicated key

145 : 키 구멍 146 : 걸림 부145: key hole 146: locking portion

147 : 걸림 돌기 148 : 상방 메달 센서147: hanging projection 148: upward medal sensor

149 : 하방 메달 센서 150 : 기판149: downward medal sensor 150: substrate

151 : 예비 스위치 152, 153 : LED램프151: spare switch 152, 153: LED lamp

154 : 디스플레이 부 155 : 디스플레이 창(窓)154: display unit 155: display window (窓)

156 : 가세수단 157 : 스위치 류156: addition means 157: switches

본 발명은 메달 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위 섬 식으로 배치된 많은 대수의 스롯 머신 또는 마작(麻雀)식 파칭코 기, 조합식 파칭코 기, 가산식 파칭코 기 따위, 메달을 사용하는 게임 기계의 사이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메달 대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al lending machine, and in particular, a number of so-called slot machines or mahjong pachinko groups, combination pachinko groups, additive pachinko groups, or game machines using medals. Relates to a medal lender used by placement.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메달을 사용하여 작동시키는 게임기계에는 현금과 교환하여 메달을 대출하는 메달 대출기를 필요로 한다.In general, game machines that operate using such medals require medal lending machines that lend medals in exchange for cash.

유사한 메달 대출기로서는, 종래부터 제9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As a similar medal loan machine, the structure thing is conventionally used as shown in FIG.

즉, 이 메달 대출기(1)는 전체가 기체(2)와 당해 기체(2)에 장착된 메달 대출부 본체(3)로 이루어진 것이었다.That is, this medal loan machine 1 consisted of the body 2 and the medal loan part main body 3 attached to the said base body 2 whole.

또, 여기에서 기체(2)는 저판(4)과 당해 저판(4)의 단부(端部)에 입설된 배면판(5) 그리고 당해 배면판(5)의 상단에 돌설된 상판(6)에 의해, 측면이 대략 ⊃(역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돼 있었다.In this case, the base 2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4, the back plate 5 placed on the end of the bottom plate 4, and the top plate 6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5. As a result, the side surface wa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한편, 상기 메달 대출부 본체(3)는 상단부(上段部)에 마련된 메달 수납부(7)와 중단부에 마련된 메달 불출부(8) 그리고 하단부에 마련된 현금 식별 수납부(9)로 이루어지고, 당해 메달 대출부 본체는 기체(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돼 있어, 장착할 때에는 상판(6)에 마련돼 있는 시정(施錠) 기능의 로드부(10)에 의해 기체(2)에 고정되는 것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dal loan unit 3 is made of a medal receiving unit 7 provided in the upper end (上 段 部), a medal dispensing unit 8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cash identification receiving unit 9 provided in the lower end, The main body of the medal loan uni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2, and when it is attached, the medal loan unit main body is fixed to the base 2 by a rod 10 having a visibility function provided on the upper plate 6. have.

또, 메달 수납부(7)의 상면부(上面部)에는 개구부(11)가 마련돼 있어, 당해 개구부(11)로 메달(12)을 보급할 수 있도록 형성돼 있다. 또한 상기 메달 불출부(8)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메달(1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경(俓)의 구멍부가 복수 개설된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메달 수납부(7)에서 보내오는 메달(12)을 소정 메수만 꺼내는 그릇(15)에 공급하는 호퍼부(14)와, 당해 호퍼부(14)에서 공급되는 메달(12)을 꺼내는 그릇(15)에 가이드 하기 위한 안내부(17), 그리고 당해 안내부(17)의 단부에 마련되어 메달(12)이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꺼내는 그릇(1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현금 식별 수납부(9)는 지폐식별 수납부(18)와 경화 선별부(19) 그리고 경화 수납체(收納體)(20)로 구성돼 있다.Moreover, the opening part 11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medal accommodating part 7, and it is formed so that the medal 12 can be supplied to the said opening part 11. In addition, the medal dispenser (8) is driven by an actuator, and the medal holder (7) is formed using a disc (not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diameter hole portion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as the medal 12 are formed. Guide for guiding the medals 12 sent from the hopper 14 to the container 15 for taking out onl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and the container 15 for taking out the medal 12 supplied from the hopper 14. It consists of the part 17 and the drawer 15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said guide part 17 to which the medal 12 is finally supplied. The cash discrimination accommodating portion 9 is composed of a banknote identification accommodating portion 18, a coin sorting unit 19, and a coin accommodating body 20.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메달 대출기(1)를 사용할 경우에는, 우선 키를 이용하여 로크부(10)의 시정을 해제하여 메달 대출기 본체(3)를 기체(2)에서 떠어들어내서, 메달 수납부(7)의 개구부(11)로 적당 개수의 메달(12)을 메달 수납부(7) 안에 투입해 둔다. 그 뒤 스타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상태로 함으로서, 메달 불출부(8)에 마련된 호퍼부(14)가 작동 가능해 진다.When using the conventional medal lending machine 1 comprised in this way, the locking of the lock part 10 is canceled using a key first, the medal lending machine main body 3 is floated out of the base | substrate 2, and the number of medals is given. An appropriate number of medals 12 are placed in the medal housing 7 through the opening 11 of the payment part 7. Thereafter, the start switch (not shown) is turned ON to enable the hopper portion 14 provided in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8 to operate.

이후, 놀음군이 경화(21)를 경화 선별부(19)의 투입구(22)에 투입한 경우에는, 투입된 경화(21)의 종류를 도시외의 실렉터에 의해 선별하여, 투입된 경화(21)에 액에 상당하는 개수의 메달(12)이 호퍼부(14)의 작동에 의해, 안내부(17)을 거쳐서, 꺼내는 그릇(15)에 송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놀음군이 지폐(23)를 삽입구(24)에 넣은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당해 지폐(23)가 지폐 식별 수납부(18)에 있어 참 지폐(23)로 식별된 경우에는, 당해 지폐(23)의 액에 상당하는 메달(12)이, 상기와 같이, 꺼내는 그릇(15)에 송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투입된 경화(21)는 경화 수납체(20)에 수납되고, 지폐는 지폐 식별 수납부(18)안에 수납되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play group puts the cure 21 into the inlet 22 of the cure sorting unit 19, the kind of the pour 21 added is sorted by a selector outside the city, and the liquid is added to the pour 21 added. The number of medals 12 corresponding to is sent to the takeout container 15 via the guide part 17 by the operation of the hopper part 14.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in which the play group inserts the banknote 23 into the insertion port 24. When the banknote 23 is identified as the true banknote 23 in the banknote identification accommodating portion 18, the banknote ( The medal 12 corresponding to the liquid of 23 is sent out to the container 15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inserted coin 21 is accommodated in the coin storage body 20, and a banknote is stored in the banknote identification accommodating part 18. As shown in FIG.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메달 대출기(1)에 있어서는, 메달 수납부(7) 안의 메달(12)이 다 되어 메달(12)의 보급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키를 사용하여 로크부(10)의 시정을 해제하고 메달 대출부 본체(3)를 기체(2)로부터 떼어 낸 다음, 메달 수납부(7)의 개구부(11)로 메달(12)을 보급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따라서, 메달(12)을 보급할 때에는 항상 메달 대출부 본체(3) 전체를 기체(2)에서 떼어내어 보급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메달의 보급 작업이 번잡하다고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 메달 수납부(7) 안에 메달(12)이 다 되어 상기 보급작업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메달 대출부 본체(3)를 떼어 내는 것이 당해 메달 대출기(1)의 근방의 게임기계의 게임에 방해가 되어 영업상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메달의 보급 작업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종래부터 요구되고 있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medal lending machine 1, when the medal 12 in the medal storing part 7 is used and the supply of the medal 12 is needed, the lock part 10 is used using a key. Then, the medal lending unit main body 3 was detached from the base 2, and then the medal 12 was supplied to the opening 11 of the medal housing 7. Therefore, when the medal 12 is to be replenished, the medal lending unit main body 3 must be detached from the body 2 at all times to replenish the work,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replenishment work of the medal is complicated. In addition, while the medal 12 is used in the medal housing 7 and the replenishment work is being carried out, the removal of the medal loan unit main body 3 is necessary for the game of the game machine near the medal loan machine 1. Since it may hinder and interfere with business, it has conventionally been required to carry out the spread of medals promptly.

더우기, 상기 메달 불출부(8)를 구성하는 호퍼 부(14)는 액튜에이터와, 당해 액튜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메달(1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경의 구멍부가 복수 개설된 디스크와 그리고 당해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디스크 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메달 수납부(7)로부터 공급되는 메달이나 다수의 메달중에 혼입돼 있는 이물이 디스크와 베이스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해버려, 그 결과 메달(12)의 공급이 정지되고 마는 경우도 있었다. 또 현금식별 수납부(9)에 있어서는, 지폐식별 수납부(18)의 자기(磁氣) 헤드로 된 센서나, 경화 선별부(19)의 센서의 오동작에 의해, 메달(12)의 공급이 정지되고 마는 경우도 있었다.In addition, the hopper portion 14 constituting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8 includes an actuator, a disk which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actuator and has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diameter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medal 12, and the disk is rotated. It has a disk base that holds it wherever possible. Thus, foreign matters mixed in medals or a plurality of medals supplied from the medal housing 7 may be caught between the disk and the base. In such a case, the rotation of the disk was stopped, and as a result, the supply of the medal 12 was stopped. In the cash discrimination receiving section 9, the supply of the medal 12 is prevented due to a malfunction of the sensor of the magnetic head of the banknote discrimination storing section 18 or the sensor of the coin sorting section 19. There was a case where it stopped.

종래, 이와 같은 메달 불출부(8)나 지폐 수납부(18)에 있어서의 고장이 발생한 때에도, 항상 메달 대출부 본체(3) 전체를 기체(2)로부터 떼어내어 고장개소를 처리하지 않으면 아니되어, 수리작업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Conventionally, even when such trouble occurs in the medal dispensing part 8 or the banknote accommodating part 18, the whole medal loan part 3 must always be removed from the body 2, and a trouble spot must be dealt with. Also, the repair work was complicated.

또, 일반적으로 메달의 보급작업 및 메달 불출부등의 정비작업은 일반 종업원이 행하고, 현금관리는 놀음장의 책임자만이 행하는 것이 이치에 맞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메달 대출기의 시정(施錠)관리를 행하는 것이 종래부터 요청되고 있었다.In general, it is reasonable that general employees perform maintenance work such as medal dissemination work and medal disbursement, and cash management is performed only b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laying field. It has conventionally been requested to do.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메달 대출기의 메달의 신속한 보급작업을 가능토록함과 동시에, 메달 대출기의 정비 작업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고, 또한 보다 적절한 시정관리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점에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promptly disseminate the medal of the medal loan machine, and also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the medal loan machine easily and promptly, and to enable more appropriate corrective management. will b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달 수납부, 메달 불출부 및 현금식별 수납부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고 또한 개별적으로 기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돼 있는 한편, 메달 불출부에는 메달 수납부와 메달 불출부를 동시에 기체에 고정하기 위한 시정가능의 메달용 로크부가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현금식별 수납부에는 현금용 로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al housing portion, medal dispensing portion and cash identification storing portion are each formed separately, and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individually, while the medal dispensing medal has a medal. At the same time, a correctable medal lock portion for fixing the storing portion and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to the base is provided, and the cash identification sto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sh locking por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의 도면의 보이는 실시예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based on the visible Example of an accompanying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member as before,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메달 대출기(25)는 기체(26)와, 당해 기체(26)에 장착된 메달 대출기 본체(27)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medal loan machine 25 which concerns on a present Example consists of the base body 26 and the medal loan machine main body 27 attached to the said base body 26. As shown in FIG.

상기 기체(26)는 전체 직방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개구부(28)가 형성돼 있다. 또, 이 기체(26)의 내부이며 상판(6)의 하방(下方)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쌍방의 측면판(29, 30)의 내측으로 각각 가이드 레일(31, 32)이 깊이 방향을 향하여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당해 가이드 레일(31, 32)의 더 하방에는 측면판(29, 30)의 사이를 걸친 간막이 판(33)이 마련되어, 그 결과, 상판(6)과 상기 가이드 레일(31, 32)에 의해 상단부(34)가 형성되고, 당해 가이드 레일(31, 32)과 간막이 판(33)에 의해 중단부(35)가 형성되고, 당해 간막이 판(33)과 저 판(4)에 의해 하단부(36)가 형성돼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형성돼 있는 기체(26)는, 섬식으로 배치된 스롯머신, 마작식 파칭코 기등의 기계의 사이에서 섬에 고정된 부착 베이스(37)위에 배설 고정되고 있다.The base 26 is formed in the case shape of the entir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opening part 28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Moreover, the guide rails 31 and 32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is base | substrate 26, and correspon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ard 6 toward the depth direction inside each side plate 29 and 30,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 partition plate 33 between the side plates 29 and 30 is provided further below the guide rails 31 and 32. As a result, the upper plate 6 and the guide rails 31 and 32 are provided. The upper end portion 34 is formed of the upper end portion 34, and the stopping portion 35 is formed by the guide rails 31 and 32 and the partition plate 33, and the partition plate 33 and the bottom plate 4 are formed. The lower end 36 is formed. Thus, the base 26 thus formed is disposed and fixed on the attachment base 37 fixed to the island between machines such as slot machines and mahjong pachinko machines arranged in an island manner.

한편, 그림 중 부호(38)의 전원 코드(39)는 전원 플러스이다. 또, 제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당해 기체(26)의 배면판(5)의 내측에는 당해 전원 코드(38)의 기단부(基端部)가 부착돼 있는 하니스 유닛(43)이 마련돼 있다. 당해 하니스 유닛(43)은, 중단부(35)에 부착돼 잇는 중계 베이스(44)와, 당해 중계베이스(44)에 상하 2단으로 마련된 소킷(45)과, 당해 중계 베이스(44)에서 하방으로 연설된 하니스(46)와, 기체(26)의 하단부(36)의 하단에 있어서 당해 하니스(46)의 선단에 부착된 소켓(45)과, 당해 중계 베이스(44)에서 상방으로 연설된 와이어(47)와, 기체(26)의 상단부(34)에 있어서, 당해 와이어(47)의 선단에 부착된, 상방센서 단자(48)와, 그리고 당해 와이어(47)에 부착되어, 당해 상방 센서 단자(48)의 하방에 마련된 하방 센서 단자(49)로 이루어진다. 또, 당해 배면판(5)의 상단 부에는, 호술에는 메달 수납부(40)가 기체(26)의 상단부(34)에 수납된 때에, 당해 메달 수납부(40)의 메달 보급공(63)의 가이드 부(64)가 배면판(15)의 이면 방향에 돌출하여 삽입 배치되게 하기 위한 네모꼴의 구멍부(51)가 개설돼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rd 39 of the symbol 38 in the figure is a power supply plus. Moreover, as shown in FIG. 2, the harness unit 43 in which the base end part of the said power cord 38 is attached is provided in the back plate 5 of the said base 26. As shown in FIG. The harness unit 43 includes a relay base 44 attached to the stop part 35, a socket 45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tages of the relay base 44, and a lower portion from the relay base 44. Harness 46 protruded into the socket, a socket 45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harness 46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36 of the base 26, and a wire protruded upward from the relay base 44. (47) and the upper sensor terminal 48 at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base 26, attached to the tip of the wire 47, and attached to the wire 47, the upper sensor terminal It consists of the lower sensor terminal 49 provided below 48. In addition,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said backplate 5, when the medal accommodating part 4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end part 34 of the base | substrate 26, the medal replenishment hole 63 of the said medal accommodating part 40 is performed. A rectangular hole portion 51 is formed to allow the guide portion 64 to protrude into the rear surface direction of the back plate 15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64.

또, 제1도 및 제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체(26)의 측면판(29, 3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31, 32)의 전단부 약간 상방에는, 후술하는 메달 수납부(40)가 당해 상단부(34)에는 수납배치된 때에, 당해 메달 수납부(40)의 저면에 마련된 슬라이드 셔터(67)의 돌기부(68, 68)와 충접(衝 )하여 당해 슬라이드 셔터(67)를 개방할 수 있게 하는 걸림돌기(147, 147)가 각각 상대하여 마련돼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medal accommodating part 40 mentioned later just a little above the front end of the guide rails 31 and 32 provided in the side plates 29 and 30 of the base 26. Moreover, as shown to FIG. Is housed in the upper end portion 34, it contacts with the projections 68, 68 of the slide shutter 67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edal housing portion 40 to open the slide shutter 67. Engaging projections 147 and 147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한편,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메달 대출기 본체(27)는 기체(26)의 상단부(34)에 위치하는 메달 수납부(40), 동 중단부(36)에 위치하는 메달 불출부(41), 및 동 하단부(36)에 위치하는 현금식별 수납부(42)로 이루어져 각각 별개로 형성되고, 또한 개별로 기체(26)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돼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medal lending machine main body 27 has a medal storing portion 40 located at the upper end 34 of the base 26, and a medal dispensing portion located at the same stop 36. FIG. It consists of the 41 and the cash-identification accommodation part 42 located in the lower end part 36, and is formed separately,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26 individually.

상기 메탈 수납부(40)는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 직방체의 상자 꼴로 형성되고 전면 패널부(52), 양 측면판(53, 54), 상면부(55), 저면판(56) 및 배면판(62)을 구비하여 그의 내부에 다수의 메탈을 수납할 수 있게 형성돼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etal accommodating portion 40 is formed in a box shape of the entir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ncludes the front panel portion 52, both side plates 53 and 54, the upper surface portion 55, and the bottom plate 56. And it has a back plate 62 is formed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metal therein.

그리고 여기에서 상기 전면 패널부(52)는 상하로 2분하여 형성되며, 하부는 양 측면판(53, 54)에 고정된 고정부(57)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는 고정부(57)의 상단에 힌지(58)를 통해 부착된 개폐부(59)에 의해 형성되며, 당해 고정부(57)의 하단부 및 개폐부(59)의 대략중단(中段)부에는 각각 U자 모양의 핸들(60)이 천설돼 있다.And here, the front panel portion 52 is formed by splitting up and down two times, the lower portion is formed by the fixing portion 57 fixed to both side plates (53, 54),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57 It is form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9 attached to the upper end via the hinge 58, the U-shaped handle 60 is respective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57 and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9. It is snowy.

그리하여 메달 보급시에는 메달 수납부(40)를 기체(26)에서 떼어내 당해 개폐부(59)를 핸들(60)로 메달 수납부(40)의 전면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개폐부(59)를 힌지(58)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고, 개폐부(59)와 상면판(5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61)을 통해 메달을 메달 수납부(40) 안에 보급할 수 있게 형성돼 있다. 한편, 이 메달 보급은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달 수납부(40)를 기체(26)에 고정한 상태에서도 가능하다.Thus, when the medal is replenished, the medal receptacle 40 is removed from the body 26 and the opening / closing part 59 is hinged by pulling the opening / closing part 59 with the handle 60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medal receptacle 40. 58, and the medal is spread in the medal housing 40 through the air gap 61 form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9 and the top plate 55. On the other hand, this medal can be replenished even in the state which fixed the medal accommodation part 40 to the base 26, as shown in FIG.

또, 제3도 및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달 수납부(40)의 배면판(62)의 상단부에는 메달 보급공(63)이 개설돼 있음과, 동시에 당해 메달 보급공(63)에는 가이드 부(64)가 메달 수납부(40)의 배면 방향으로 돌성돼 있다. 당해 가이드 부(64)는, 메달 수납부(40)가 기체(26)의 상단부(34)에 수납된 때에는, 기체(26)의 배면판(5)의 상단부에 개설된 구멍부(51)를 거쳐 기체(26)의 배면 방향에 배치되며, 당해 가이드(64) 상에 메달 보급노즐(65)을 배치하여, 메달 수납부(7)를 기체(26)에 수납한 상태 그대로 메달을 보급할 수 있게 형성돼 있다.3 and 4, the medal supply hole 63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62 of the medal housing 40, and at the same time, the medal supply hole 63 The guide part 64 is protrud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medal accommodation part 40. The guide portion 64, when the medal housing portion 4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base 26, the guide portion 64 is a hole 51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back plate 5 of the base 26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base | substrate 26, the medal supply nozzle 65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said guide 64, and a medal can be supplied as it is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medal storing part 7 in the base | substrate 26. It is formed.

또, 당해 메달 수납부(40)의 배면판(62)의 메달 보급구(63)의 약간 하방에는 상방 메달 센서(148)가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저면판(56)의 약간 상방에는 하방 메달 센서(149)가 마련돼 있다.이들 양 메달 센서(148, 149)는, 당해 메달 수납부(40)가 기체(26)의 상단부(34)에 수납된 경우에는, 상기 상방센서 단자(48) 및 하방 센서 단자(49)에 각각 접속돼 작동하며, 당해 메달 수납부(40) 안에 담겨 있는 메달의 양을 검지하여, 메달 보급을 행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후술하는 메달 불출부(4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유닛(72)에 표시하도록 구성돼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행하는 메달보급은, 하방 메달센서(149)에 의해 메달 부족을 검지한 때에, 상방 메달 센서(148)에 의해 메달 충족을 확인하기까지의 사이에 행해져, 메달 수납부(40) 안에 메달이 다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medal sensor 148 is provided slightly below the medal supply port 63 of the back plate 62 of the medal housing 40, and at the same time, the medal is slightly above the bottom plate 56. The sensor 149 is provided. These medal sensors 148 and 149 include the upper sensor terminal 48 and the upper case 34 when the medal housing 40 is housed in the upper end 34 of the base 26.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ensor terminal 49 and works, respectively, and detects the quantity of the medal contained in the said medal storing part 40, performs medal spread, and the information is sent to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mentioned later.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72 provided. And when supplying a medal by the lower medal sensor 149, the medal supply performed here is performed until the medal medal is confirmed by the upper medal sensor 148, and a medal is received in the medal storage part 40. This is done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또, 제3도 및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당해 메달 수납부(40)의 저면판(56)의 후반부에는 메달 낙하공(66)이 개설돼 있음과 동시에 당해 저면판(56) 상에는 당해 메달 낙하공(66)을 개폐하는 슬라이드 셔터(67)가 마련돼 있다. 당해 슬라이드 셔터(67)는 당해 메달 낙하공(66)을 뒤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장방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당해 슬라이드 셔터(67)의 양측 전단부에는 각각 돌기부(68, 68)가 마련돼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셔터(67)는 메달 낙하공(66)이 열린 상태의 경우에는, 양측면판(53, 54)의 하단부에 개설된 장원 형상의 개공부(69, 69)로 돌출돼 있는 돌기부(68, 68)가 이 장원 형상의 개공부(69, 69)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돼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medal drop hole 66 is provided in the latter part of the bottom plate 56 of the said medal accommodation part 40, and it is the said on the said bottom plate 56. The slide shutter 67 which opens and closes the medal drop hole 66 is provided. The slide shutter 67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 formed in a size that can cover the medal drop hole 66, and projections 68 and 68 are provided at both front ends of the slide shutter 67, respectively. When the medal drop hole 66 is opened, the slide shutter 67 protrudes into the mandrel-shaped openings 69 and 69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both side plates 53 and 54. , 68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open holes 69, 69 in the shape of a mandrel.

따라서, 메달 낙하공(66)을 닫힌 상태로 할 경우에는, 메달 수납부(40)의 바깥에서 당해 돌기부(68, 68)로 하여금 장원 형상의 개공부(69, 69) 안을 메달 수납부(40)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당해 슬라이드 셔터(67)가 메달 낙하공(66)을 뒤덮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edal drop hole 66 is closed, the protruded portions 68 and 68 are placed inside the rectangular openings 69 and 69 outside the medal housing 40 so that the medal housing 40 is closed. By sliding backward, the slide shutter 67 can cover the medal drop hole 66.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메달 수납부(40)는 기체(26)에 마련된 2개의 가이드 레일(31, 32) 상에 얹혀 있는 형태로 기체(26)의 상단부(34)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돼 있다.And the medal housing | casing part 40 comprised in this way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upper end part 34 of the base body 26 in the form mounted on the two guide rails 31 and 32 provided in the base body 26. As shown in FIG.

한편 제5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메달 불출부(41)는, 메달 수납부(40)와 메달 불출부(41)를 기체(26)에 고정할 수 있는 메달용 로크부(70)와, 종래와 같은 모양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호퍼부(14), 안내부(17) 및 꺼내는 그릇(15)을 구비한 메달 불출기구(71)와, 불출한 메달의 개수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72)과 당해 메달 불출기구(71) 및 디스플레이 유닛(72)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107)을 가지고 있고, 메달 수납부(40)와 같이, 전체 직방체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돼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includes a medal locking part 70 capable of fixing the medal receiving part 40 and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to the body 26, Medal dispensing mechanism 71 provided with the hopper part 14, the guide part 17, and the container 15 which have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hape, and the display unit 72 which displays the number of medals which were issued, etc. And a control unit 107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medal dispensing mechanism 71 and the display unit 72, and are formed in a box shape of the entire rectangular parallelepiped like the medal housing 40.

상기 메달용 로크부(70)는 메달 불출부(41)에 마련된 시정부(73)와, 당해 시정부(73)에 연동하는 링크 부재(74)와, 당해 링크 부재(74)에 접속되어 메달 불출부(41)내에 있어서 대략 수직으로 입설된, 횡단면 4각형의 2개의 하방로드(75), (76)와, 메달 수납부(40)안에 대략 수직으로 입설되어 메달 수납부(40)가 기체(26)에 수납된 때에는 이들 2개의 하방로드(75, 76)의 상단에 그의 하단이 맞닿는 2개의 상방 로드(77, 78)과 그리고 당해 메달용 로크부(70)를 닫힘 동작시킨 경우에 이들 2개의 상방 로드(77, 78)의 상단부가 들어맞는, 기체(26)의 상판(6)에 마련된 구멍부(51)로 이루어지는 걸림부(79)로 구성된다.The medal lock portion 70 is connected to the municipal government 73 provided in the medal dispensing unit 41, the link member 74 interlocking with the municipal government 73, and the link member 74, and the medal dispensing unit. Two lower rods 75 and 76 of a cross-sectional quadrangular shape, which are placed substantially vertically in the 41, and are placed substantially vertically in the medal holder 40, so that the medal holder 40 is formed of the base 26. ), When the two upper rods 77 and 78 whose lower ends abut on the upper ends of these two lower rods 75 and 76 and the lock portion 70 for the medal are closed, these two It consists of the engaging part 79 which consists of the hole part 51 provided in the upper plate 6 of the base body 26 with which the upper end part of the upper rod 77 and 78 fits.

상기 시정부(73)는 전면 패널(80)의 하단부에 개설된 장착 구멍(81)의 넛(83)에 의해 장착되는 실린더 자물쇠(82)와 그리고 당해 실린더 자물쇠(82)의 회동부(84)에 의해 중심부가 넛(85)에 의해 고정되는 판상부재(8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크 부재(74)는, 전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가로로 길게 된 슬릿(87)이 개설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의 단부에는 상기 한쪽의 하방로드(75)와의 접속부(88)가 마련되고, 당해 접속부(88)에는 구멍부(98)가 개설돼 있다. 그리하여, 상기 판상부재(86)와 링크부재(74)는 판상부재(86)의 상단부에 마련된 구멍부(89) 및 이 구멍부(89)에 고정되고 또한 판상부재(86)의 슬릿(87)을 삽통하는 볼드(90)와 넛(91)에 의해 접속되고, 당해 볼트(90)는 판상부재(86)의 회동에 응하여 슬릿(87) 안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링크부재(74)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형성돼 있다.The municipal assembly 73 is attached to a cylinder lock 82 mounted by a nut 83 of a mounting hole 81 open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panel 80 and to a pivoting portion 84 of the cylinder lock 82. The center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86 is fixed by the nut (85). And the said link member 74 is provided with the slit 87 extended horizontally and formed in all rectangles, and the connection part 88 with the said one lower rod 75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end part, The said connection part Holes 98 are provided at 88. Thus, the plate member 86 and the link member 74 are fixed to the hole 89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late member 86 and the hole 89 and the slit 87 of the plate member 86. Is connected by a bold 90 and a nut 91 through which the bolt 90 is inserted, and the bolt 90 moves the link member 74 up and down by moving the inside of the slit 87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plate member 86. It is formed to move.

또, 상기 하방로드(75, 76)는 상단부에 마련된 연결부재(92)에 의해 각각 접속 고정되고, 한쪽의 하방로드(75)의 하단부에는 하방로드(75)의 측면부(93)에 대하여 안쪽으로 대략 직각 방향에 돌설된 접속면(94)이 마련되고, 당해 접속편(94)에는 구멍부(95)가 개설돼 있다. 그리고, 상기 링브부재(74)의 접속부(88)와 하방로드(75)의 접속편(94)은, 각각에 마련된 구멍부(95, 98)에 삽통되는 볼트(96)와 당해 볼트(96)를 고정하는 넛(97)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가 볼트(96)를 통해 고정돼 있다.In addition, the lower rods 75 and 76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on member 92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one lower rod 75 is in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portion 93 of the lower rod 75. The connection surface 94 protruded in th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is provided, and the hole part 95 is provided in the said connection piece 94. As shown in FIG. And the connecting part 88 of the said ring member 74 and the connecting piece 94 of the lower rod 75 are the bolt 96 and the said bolt 96 inserted through the hole parts 95 and 98 provided in each,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by the nut 97 which fixes the two, and is mutually fixed through the bolt 96.

한편 2개의 하방로드(75, 76) 각각의 상단에는 각각 철부(凸部)(99, 99)가 형성돼 있고, 동시에 2개의 상방로드(77, 78) 각각의 하단에는 당해 철부(99)에 대응하는 요부(凹部)(100, 100)가 각각 마련돼 있으며, 또 2개의 상방로드(77, 78) 각각의 상단에는 각각 철부(101, 101)가 마련돼 있고, 또한 기체(26)의 상판(6)의 하면부에는 로크 시에는 당해 철부(101, 101)가 진입하는 2개의 구멍 부로 이루어지는, 걸림부(79, 79)가 각각 마련돼 있다. 그리고 그림중의 부호(106)는 전원 플러그(108)는 상기 제어유닛(107)이 장착돼 있는 프레임 플레이트이다.Convex portions 99 and 99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two lower rods 75 and 76,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portions of the two upper rods 77 and 78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99. Corresponding recesses 100 and 100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upper ends of the two upper rods 77 and 78 are provided with convex portions 101 and 101, respectively, and the upper plate 6 of the base 26 is provided. ), The locking portions 79 and 79, which are formed of two hole portions into which the convex portions 101 and 101 enter, are locked, respectively. Reference numeral 106 in the figure indicates that the power plug 108 is a frame plate on which the control unit 107 is mounted.

따라서, 메달 수납부(40)와 메달 불출부(41)를 기체(26)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우선 메달 불출부(41)를 기체(26)의 중단부(35)에 삽입 배치한 후 또는 그 이전에, 메달 수납부(40)를 동 상단부(34)에 수납하고, 메달용 로크부(70)의 전용 키(102)를 실린더 자물쇠(82)의 키 구멍(103)안으로 삽입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로드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판상부재(86)는 실린더 자물쇠(82)의 회동부(8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키(102)와 함께 회동하고, 이 회동에 따라, 판상부재(86)를 링크 부재(74)에 접속하는 볼트(90)는, 당해 링크부재(74)의 슬릿(87)안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상승한다.Therefore, when fixing the medal receiver 40 and the medal dispenser 41 to the base 26, first, after placing the medal dispenser 41 into the stop portion 35 of the base 26 or Prior to that, the medal compartment 40 is housed in the upper end 34, and the dedicated key 102 of the medal lock portion 7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103 of the cylinder lock 82 to counterclockwis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perform the rod operation. In this case, the plate member 86 rotates together with the key 102 using the pivoting portion 84 of the cylinder lock 82 as the rotation center, and the plate-shaped member 86 moves the link member 74 in accordance with this rotation. The bolt 90 connected to the plate moves upward in the slit 87 of the link member 74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그 결과, 당해 링크 부재(74) 전체가 상승함과 동시에, 링크 부재(74)의 접속부(88)에 접속편(94)을 통해 고정된 하방 로드(75)를 밀어올린다. 그리하여, 2개의 하방로드(76)는 연결부재(92)에 의해 접속 고정돼 있기 때문에 어느 하방로드(75, 76)도 함께 상승하고 하방로드(75, 76)의 상단에 형성된 쌍방의 철부(99, 99)는, 상방로드(77, 78)의 하단에 형성된 요부(100, 100)에 들어 맞다. 상방로드(77, 78)를 밀어올린다. 그 결과, 상방로드(77, 78)의 상단에 형성된 철부(101, 101)는, 각각 기체(26)의 상판(6)의 하면부에 형성된 2개의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걸림부(79, 79)에 들어맞기 때문에, 메달 불출부(41) 및 메달 수납부(40)는, 기체(26)에 고정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said link member 74 whole raises, and the lower rod 75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88 of the link member 74 via the connection piece 94 is pushed up. Thus, since the two lower rods 76 are connected and fixed by the connecting member 92, both lower rods 75 and 76 are raised together and both convex portions 99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lower rods 75 and 76. , 99 fits into the recesses 100 and 100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upper rods 77 and 78. The upper rods 77 and 78 are pushed up. As a result, the convex portions 101 and 101 formed on the upper ends of the upper rods 77 and 78 are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s 79 and 79 formed of two hole portion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plate 6 of the base 26, respectively. In order to fit, the medal delivery part 41 and the medal accommodation part 40 are fixed to the base 26.

다음, 디스플레이 유닛(72)은 기판(150)과, 당해 기판(150)의 상단부에 병렬된 각 스위치 류(157), 그리고 당해 스위치 류(157)의 하방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부(1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당해 스위치 류(157)는, 메달 불출부(41)의 전면 패널(80)의 상단부에 개설된 가로 긴 창(109)을 통해, 메달 대출기(1)의 바깥에서 조작 가능하게 배치돼 있다. 다만 이 경우, 메달용 로크부(70)를 로크 동작시킨 경우에는, 하방로드(75, 7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92)가 가로 긴 창(109)을 폐쇄하고 있고, 메달용 로크부(70)가 개정된 경우에, 당해 연결부재(92)가 하방로드(75, 76)와 함께 하강하여 가로 긴 창(109)이 개방되어, 상기 스위치류(157)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Next, the display unit 72 includes a substrate 150, respective switches 157 parallel to the upper end of the substrate 150, and a display unit 154 provided below the switches 157. And the said switch 157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operation is possible outside the medal lending machine 1 via the horizontal window 109 opened in the upper end part of the front panel 80 of the medal delivery part 41. FIG. . In this case,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medal lock portion 70 is locked, the connecting member 92 connecting the lower rods 75 and 76 closes the horizontal window 109 and the medal lock portion ( In the case where 70) is revised, the connecting member 92 descends together with the lower rods 75 and 76 so that the horizontal window 109 is opened so that the switches 157 can be operated. .

그리고 여기에서 각 스위치 류(157)는, 제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4개의 후시버튼식 스위치가 병렬로 배치되어, 좌로부터 차례로 리셋 스위치(110), 카운터 모드 스위치(111), 카운터 리셋스위치(112), 예비 스위치(151)의 순서로 배열돼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four backswitch switch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reset switch 110, the counter mode switch 111, and the counter reset switch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eft. (112), the preliminary switch (151) is arranged in order.

상기 리셋 스위치(110)는, 어떠한 원인으로 메달 대출기(1)의 작동이 정지한 경우에, 제어 유닛(107) 및 후술하는 현금 식별기를 제기동 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카운터 모드 스위치(111)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154)의 각종 카운터 표시를 행하게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당해 스위치(111)를 한번 누름으로써 메달 불출 개수를 표시하고, 두번 누름으로써 현금 식별 수납부(42)에 있어서의 1,000원권 받아들임 장수를 표시하고, 세번 누름으로써 500원의 받아들임 수를 표시하고, 그리고 4번 누른 경우에는 100원의 받아들임 수가 표시되며, 5번 누름으로써 카운터 표시가 OFF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상기 카운터 리셋 스위치(112)는 상기 카운터 표시를 클리어 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The reset switch 110 is used to bring up the control unit 107 and the cash identifier described later when the medal loaner 1 is stopped for some reason. The counter mode switch 111 is used to display various counters of the display unit 154. The counter mode switch 111 displays the number of medals issued by pressing the switch 111 once, and pushes the cash identification storage unit by pressing twice. The number of 1,000 won bills received in (42) is displayed, the number of 500 won won is displayed by pressing three times, and the number of 100 won is displayed when pressed four times, and the counter display is turned off by pressing five times. It is. The counter reset switch 112 is used to clear the counter display.

그리고, 디스플레이 부(154)는, 제6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달 불출부(41)의 전면 패널(80)의 가로 긴 창(109)의 하방에 개설된 대략 정방형이 디스플레이 창(155)에 여러가지의 표시를 나타내도록 형성돼 있다. 당해 디스플레이부(154)는 상단에 5개의 이상 모니터 표시램프(113)가 병렬로 배치되고, 본 메달 대출기(25)에 어떠한 작동 불량의 사태가 생겨, 메달 대출기(25)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 점등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중단에는, 메달 대출기(1)가 받아들인 지폐 및 경화의 수의 디지털 표시(114)가 나타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메달 대출기(1)가 불출한 메달의 개수의 디지털 표시(115)가 나타나도록 형성돼 있다.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unit 154 has a substantially square formed below the horizontal window 109 of the front panel 80 of the medal dispensing unit 41 on the display window 155. It is formed to show various signs. In the display unit 154, five abnormal monitor display lamps 113 are arranged in parallel at the upper end, and a malfunction of the operation occurs in the present medal lending machine 25, and the operation of the medal lending machine 25 is stopped. It is configured to light when it is. In addition, the digital display 114 of the number of the banknotes received by the medal lending machine 1 and the number of hardenings is shown in the middle part, and the number of medals which the medal lending machine 1 paid out is shown in the lower part at the bottom. Is formed to appear.

또 이상 모니터 표시램프(113)는, 좌로부터 녹색의 메달 부족 표시램프(116), 황색의 브리지 이상 표시램프(117), 오린지색의 불출 이상 표시램프(118), 황록색의 지폐 막힘 표시램프(119), 적색의 센서 이상 표시램프(120)의 순으로 배열돼 있다. 메달 부족 표시 램프(116)는 메달 수납부(7)안에 수납돼 있는 메달이 다 됐을 때에 점등하며, 메달을 보급함으로서 소등된다. 한편, 메달을 보급하여도 램프가 점등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의 리셋 스위치(110)를 누른다. 다음, 브리지 이상 표시램프(117)는, 메달 수납부(7) 안에 메달이 들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달 불출부(41)까지 메달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점등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메달 전용 로크부(70)를 개정하여 메달 수납부(40)를 약간 전방으로 끌어내 전동을 줌으로써 메달을 낙하 시킨후에 리셋 스위치(110)를 누르면 제기동하는 것이다. 또 상기 불출이상 표시램프(118)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메달 불출부(8)에서 메달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메달의 안내부(17)등의 메달 불출통로 및 메달의 꺼내는 그릇(15)안에 메달이 충만해 있는 경우등에 점등한다.The abnormal monitor display lamp 113 includes a green medal shortage display lamp 116, a yellow bridge abnormality display lamp 117, an orange dispensing abnormality display lamp 118, and a yellow-green banknote clogging display lamp (from left to right). 119), and the red sensor abnormality display lamp 120 is arranged in order. The medal shortage indication lamp 116 turns on when the medal stored in the medal housing 7 is exhausted and is turned off by replenishing the med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mp is lit even when the medal is replenished, the reset switch 110 is pressed. Next, the bridge abnormality display lamp 117 lights up when the medal is not supplied to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even though the medal is contained in the medal storing part 7, and in this case, the medal exclusive locking part. After revising (70) and pulling the medal compartment 40 slightly forward, the medal is dropped, and then the reset switch 110 is pressed to raise the motion. In addition, when the medal is not supplied from the medal dispensing unit 8 due to any cause, the dispensing abnormality display lamp 118 is, for example, a medal dispensing passage such as the guide 17 of the medal, and a container for dispensing the medal 15. I turn on when a medal is full in).

이 경우에는, 메달의 안내부(17) 등에 충만돼 있는 메달을 제거하고 리셋 스위치(110)를 누르면 재기동하는 것이다. 또 리셋 스위치(110)를 눌러도 당해 램프(118)가 소등되지 않는 경우에는, 메달 불출기구(71) 그것에 기능 이상이 생겨 있는 것이다. 또한 지폐 막힘 이상 표시램프(119)는 지폐 식별 수납부(18)안에 지폐가 충만해 있는 때에 점등하며, 내부의 지폐를 빼내고 리셋 스위치(110)를 누르면 소등된다.In this case, when the medal filled with the guide part 17 of a medal etc. is removed and the reset switch 110 is pressed, it will restart. If the lamp 118 is not turned off even when the reset switch 110 is pressed, the medal dispensing mechanism 71 has a malfunction in it. In addition, the banknote blockage abnormality display lamp 119 lights when the banknote is filled in the banknote identification accommodating unit 18, and turns off when the banknote is taken out and the reset switch 110 is pressed.

그리고, 상기 센서 이상 표시램프(120)는 메달 대출기(25)의 각부에 장착돼 있는 각종 센서의 작동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점등하도록 구성돼 있다.The sensor abnormality display lamp 120 is configured to light when an operation failure of various sensors mounted on each part of the medal lending machine 25 occurs.

한편, 그림 중 (152) 및 (153)은 디스플레이 창(155)의 양측에 각각 배설된 LED램프이며, 좌측의 램프(152)는 메달 대출기(25)가 작동중인 경우에 점등하도록 구성돼 있고, 동시에 우측의 램프(153)는 메달 대출기(25)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작동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점등하도록 구성돼 있다.On the other hand, 152 and 153 in the figure are LED lamps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window 155, the lamp 152 on the left is configured to light when the medal lending machine 25 is in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lamp 153 on the right side is configured to light when the medal lending machine 25 has stopped operating for some reason.

다음으로 현금 식별 수납부(42)는, 제7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폐 식별 수납부(18), 경화선별부(19), 경화 수납체(20), 및 현금용 로크부(121)로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cash discrimination accommodating part 42 is a banknote discrimination accommodating part 18, the coin selecting part 19, the coin accommodating body 20, and the cash lock part 121. As shown in FIG. Is done.

상기 경화 선별부(19)는, 기체(26)의 하단부 전단(122)에 힌지부(123)을 통해 기체(26)의 전면 방향으로 열도록 장착된, 전면 패널(124)의 이면에 장착 고정돼 있다. 즉, 당해 경화 선별부(19)는 경화 선별기(125), 당해 경화 선별기(125)를 전면 패널(124)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26), 당해 경화 선별기(125) 상에 돌설된 코인 슈트(127) 및 경화 선별기(125) 하방에 마련된 경화검지 센서(128)로 이루어진다. 또 당해 경화검지 센서(128)의 하방에는 경화수납체(20)가 배설돼 있다.The coin sorting unit 19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24, which is mounted at the front end 122 of the lower end of the base 26 to open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base 26 via the hinge 123. It is. That is, the coin sorter 19 includes a coin sorter 125, a bracket 126 for fixing the coin sorter 125 to the front panel 124, and a coin chute protruding from the coin sorter 125. 127 and the coin detection sensor 128 provided below the coin sorter 125. Moreover, the hardening housing 20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aid hardening detection sensor 128. FIG.

그리고, 전면 패널(124)에는 현금용 로크부(121)가 마련돼 있다. 당해 현금용 로크부(121)는, 전면 패널(124)의 상방 좌단부에 개설된 부착구멍(129)에 넛(131)에 의해 고정된 실린더 자물쇠(130), 당해 실린더 자물쇠(130)의 회동부(132)에 넛(133)에 의해 고정된 회전로드(134), 및 당해 회전로드(134)가 걸리게 하기 위해 기체(26)의 간막이 판(33)에 마련된 걸림부(146)로 이루어진다. 한편, 그림중 부호(135)는 지폐 식별 수납부(18)를 앉히기 위한 베이스 부재, (136)은 당해 베이스 부재(135)에 도시와의 브래킷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전원 플러그, (137)은 경화검지 센서(128)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 (138)은 지폐삽입구, (139)는 경화 투입구, (140)은 경화 반환구, (141)는 지폐 식별부, (142)는 지폐 수납부이며 당해 지폐 수납부(142)의 전면 패널(143)을 전방으로 열어서 내부에 담겨 있는 지폐를 꺼낼수 있게 형성돼 있다.The front panel 124 is provided with a cash lock portion 121. The cash lock portion 121 includes a cylinder lock 130 secured by a nut 131 to an attachment hole 129 formed at an upper left end of the front panel 124, and a rotation of the cylinder lock 130. The rotating rod 134 fixed by the nut 133 to the eastern part 132, and the locking part 146 provided in the partition plate 33 of the base | substrate 26 for the said rotating rod 134 to catch.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35 denotes a base member for seating the banknote identification accommodating portion 18, 136 denotes a power plug fixed to the base member 135 by a bracket with an illustration, and 137 is hardened. Bracket for mounting the detection sensor 128, (138) is a bank insertion slot, (139) is a hardening slot, (140) is a hard currency return opening, (141) is a banknote identification unit, (142) is a banknote storage unit The front panel 143 of the banknote accommodating part 142 is opened to the front to form a banknote contained therein.

이와 같이 구성된 메달 대출기(25)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우선 제1도에 보이는 전원 플러그(39)를 AC 24 V의 전원에 접속시킨다. 그리하여 제7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체(26)의 하단부(36)의 저판(4)상에, 베이스 부재(135)와 함께 지폐식별 수납부(18)을 삽입함으로서, 베이스부재(135)의 배면부에 장착된 전원 플러그(136)를 기체(26)의 하단부(36)의 하단(下端)에 마련돼 있는 소킷(45)에 접속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경화 수납체(20)를 당해 베이스 부재(135) 하방에 삽입 배치한 후, 전면 패널(124)을 힌지부(123)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기체(26)의 하단부(36) 전면을 폐색한다. 그리고 현금용 로크부(121)의 전용 키(144)를 실린더 자물쇠(130)의 키 구멍(145)에 삽입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약 45° 회전시킨다.When operating the medal lending machine 25 comprised in this way, the power plug 39 shown in FIG. 1 is firs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AC24V. Thus, as shown in FIG. 7, by inserting the banknote identification storing portion 18 together with the base member 135 on the bottom plate 4 of the lower end portion 36 of the base 26, the base member 135 is formed. The power plug 136 attached to the rear part is connected to the socket 4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36 of the base 26. Thus, after the hardening housing 20 is inserted and disposed below the base member 135, the front panel 124 is rota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123 to lower the lower end portion 36 of the base 26. Occupy the front. Then, the dedicated key 144 of the cash lock portion 121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145 of the cylinder lock 130 and rotated about 45 ° counterclockwise.

이렇게 하면 실린더 자물쇠(130)의 회동부(132)가 수평 위치에서 약 45°회전하여 수직위치에 되돌아가서 간막이 판(33)의 전단부에 마련돼 있는 걸림부(146)에 걸리고 전면 패널(124) 및 경화선별기(19)는 기체(26)에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pivoting portion 132 of the cylinder lock 130 rotates about 45 °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return to the vertical position to be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146 provid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artition plate 33 and the front panel 124. And the coin selector 19 is fixed to the base 26.

다음에,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탈 불출부(41)를 기체(26)에 마련돼 있는 간막이 판(33) 상에 얹어놓는 형식으로 중단부(35)에 삽입 배치하고, 제5도에 보이는 메달 불출부(41)의 프레임 플레이트(108)에 장착돼 있는 전원 플러그(106)를 기체(26)의 중단부(35)의 하단에 마련돼 있는 소킷(45) 접속시킨다. 그런다음,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미리 메달을 담은 메달 수납부(40)를 기체(26)의 측면판(29, 30)의 내측에 마련돼 있는 가이드레일(31, 32)에 하단부가 미끄러지게 하면서 상단부(34)에 수납한다.Next, as shown in FIG. 1, the metal discharge | release part 41 is inserted into the interruption | blocking part 35 in the form which mounts on the partition board 33 provided in the base | substrate 26, and FIG. The power plug 106 attached to the frame plate 108 of the visible medal ejection portion 41 is connected to the socket 4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op portion 35 of the base 26. Then, as shown in FIG. 1, the lower end portion slides the medal receptacle 40 containing the medal in advance to the guide rails 31 and 32 provided inside the side plates 29 and 30 of the base 26. As shown in FIG. It is stored in the upper end 34 while making it.

이 경우, 제1도 및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당해 메달 수납부(40)의 저부에 마련돼 있는 슬라이드 셔터(67)의 양측의 돌기부(68, 68)는 기체(26)측에 마련돼 있는 걸림 돌기(147, 147)와 각각 충접하여,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셔터(67)는 메달 수납부(40)의 저면판(56)상을 메달 수납부(40) 전방으로 이동하여 메달 낙하공(66)은 개방되고, 내부의 메달을 메달 낙하공(66)으로 하방에 낙하하여 메달 불출부(41)에 마련돼 있는 호퍼부(14)에 이른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and FIG. 3, the projections 68 and 68 of both sides of the slide shutter 67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edal accommodation part 40 are provided in the base body 26 sid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rojections 147 and 147,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the slide shutter 67 moves the bottom plate 56 on the medal holder 40 in front of the medal holder 40. The medal drop hole 66 is opened, and the inner medal is dropped below the medal drop hole 66 to reach the hopper portion 14 provided in the medal discharge part 41.

이어서, 메달용 로크부(70)의 전용 키(102)를 사용하여 메달용 로크부(70)의 로크 동작을 행함으로서 메달 불출부(41) 및 메달 수납부(40)를 동시에 기체(26)에 고정시키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41 and the medal storing portion 4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by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medal locking portion 70 using the dedicated key 102 of the medal locking portion 70. To fix it.

그 후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타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상태로 놓음으로서 각 작동부에 통전하여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after, as in the prior art, the start switch (not shown) is set to the ON state to energize each of the operation units, thereby enabling the operation.

그리고, 그 다음 메달 수납부(40)안에 메달이 다 됐을 경우에는 메달용 로크 상채를 해제하여 메달 수납부(40)의 기체(26)에의 고정을 해제한 후, 메달 수납부(40)만을 단독으로 기체(26)에서 들어내 슬라이드 셔터(67)를 폐색한 다음 메달의 보급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물론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메달 수납부(40)를 기체(26)에 고정한 채로 개폐부(59)만을 열어 그곳으로 메달 보급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n, when the medal is finished in the medal housing 40, the lock lock for the medal is releas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medal housing 40 to the base 26, and only the medal housing 40 is detached. As a result, the slide shutter 67 is lifted out of the base 26, and then the medal can be supplied. Of course, as shown in FIG. 4, it is also possible to open only the opening-and-closing part 59 with the medal accommodating part 40 fixed to the base | substrate 26, and to supply a medal there.

또, 메달 보급에 대하여는 미리 예비 메달 수납부(40)에 메달을 충전해 준비해 두었다가 빈 메달 수납부(40)와 교환하도록 한다면 영업중이라도 영업에 지장을 조해함이 없이 메달 보급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f a medal is charged and prepared in advance for the medal replenishment storing part 40, and it is made to exchange with the empty medal storing part 40, even if it is during business, medal replenishment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disturbing business.

더우기, 전술한 바와 같이 메달 수납부(40)에 장착된 메달 센서(148, 149)의 정보를 토대로 메달 보급 노즐(65)을 사용하여 메달 수납부(40)의 배면에 마련돼 있는 메달 보급공(63)으로 적당히 메달 보급을 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medal replenishing hol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edal receptacle 40 using the medal replenishing nozzle 65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medal sensors 148 and 149 attached to the medal receptacle 40 ( 63) can also supply medals as appropriate.

또, 메달 불출부(41)의 메달 불출기구(71)에 어떠한 기능 이상이 있어, 작동불량이 된 경우라 하더라도, 전기한 바와 같이 메달용 로크부(780)의 전용 키(102)를 사용하여 메달용 로크부(70)의 로크 상태를 해체하고, 메달 불출부(41)만을 메달 수납부(40) 및 현금 식별 수납부(42)와는 별개로 독립하여 기체(26)에서 들어내 정비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malfunction in the medal dispensing mechanism 71 of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and malfunctions, the key 102 of the medal lock part 780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lock state of the medal lock portion 70 is dismantled, and only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41 is lifted out of the body 26 independently of the medal storing portion 40 and the cash identification storing portion 42 to perform maintenance work. I can do it.

또한 현금 식별 수납부(42)에 마찬가지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나 내부에 수납된 경화나 지폐를 꺼낼 경우에도, 현금용 로크부(121)의 전용키(144)를 사용하여 현금용 로크부(121)의 로크를 해체하고, 경화선별기(19)를 힌지부(123)를 중심으로 전방에 회동시켜 경화 수납체(20) 및 지폐 식별 수납부(18)를 메달 수납부(40)나 메달 불출부와는 별개로, 독립하여 들어내 정비작업이나 현금 회수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where a failure occurs in the cash discrimination accommodating portion 42 or when the coin or paper money stored therein is taken out, the cash lock portion 121 is used by using the dedicated key 144 of the cash lock portion 121. , The lock selector 19 is rotated forward about the hinge portion 123, and the coin holder 20 and the banknote identification receiver 18 are combined with the medal holder 40 or the medal dispenser. Separately, it can be lifted off independently and can carry out maintenance work or cash collection.

더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달 수납부(40)에 마련된 슬라이드 셔터(67)를, 메달 수납부(40)의 양측면 판(53, 54)의 하단부에 개설된 장원형 개공부(69, 69)에 배치되는 돌기부(68, 68)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메달 낙하공(66)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8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셔터(67)의 후단의 양측 또는 일방측과 배면 판(62)과의 사이에, 스프링 따위의 적당한 부세(付勢) 수단(156)을 마련하여, 당해 슬라이드 셔터(67)를 상시 메달 수납부(40)의 후방으로 부세해서, 메달 낙하공(66)을 폐색함과 동시에, 당해 메달 수납부(40)를 기체(26)의 상단부(34)에 수납한 때에는, 당해 돌기부(68, 68)가 기체(26)측에 마련돼 있는 걸림돌기(147, 147)와 충접하여서 당해 부세 수단(15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당해 슬라이드 셔터(67)가 메달 수납부(40)의 전방에 이동하여서 메달 낙하공(66)을 개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tangular shutters 69 and 69 provided with the slide shutters 67 provided in the medal housing 40 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53 and 54 of the medal housing 40. The case in which the medal drop hole 66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protrusions 68 and 68 arranged in the above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 8, the slide shutter 67 is shown. An appropriate biasing means 156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betwee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ck end) and the back plate 62, and the slide shutter 67 is always placed in the medal compartment 40. When the medal drop hole 66 is closed and the medal housing portion 4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end portion 34 of the base 26, the protrusions 68 and 68 are formed by the base ( It contacts with the latching projections 147 and 147 provided in the 26 side, and resists the vigorous force of the said taxation means 156, Ride shutter 67 is moved forward of the medal hayeoseo housing 40 may be configured to open a medal falling hole 66.

이와 같이, 부세수단(156)을 사용하여 슬라이드 셔터(67)를 구성한 경우, 당해 메달 수납부(40)를 보급등을 위해 기체(26)에서 들어낸 경우에는, 부세수단(156)의 부세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셔터(67)가 메달 낙하공(66)을 폐색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셔터(67)를 닫는 것을 잊는 채 메달 보급을 하고마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ide shutter 67 is configured using the taxing means 156, the taxing force of the taxing means 156 is applied when the medal receptacle 40 is lifted from the base 26 for replenishment or the like. Since the slide shutter 67 automatically closes the medal drop hole 66 by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medal is replenished without forgetting to close the slide shutter 67.

또 제5도에 보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달용 로크부(70)의 시정 조작에 의해 메달 불출부(41) 및 메달 수납부(40)의 쌍방을 동시에 기체(26)에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시정부(73)의 판상부재(86)의 하단부에 걸림 돌부(突部)를 마련함과 동시에, 기체(26)의 간막이판(33)의 전단부에 걸림 요부(凹部)를 마련하여, 메달 수납부(40)의 시정조작에 의해 이들 걸림돌부와 걸림 요부를 걸리게 하고, 당해 메달 수납부(40)를 간막이판(33)을 통해 기체(26)에 단독으로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하여도 좋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case where both the medal dispensing part 41 and the medal accommodating part 40 are simultaneously fixed to the base | substrate 26 by the corrective operation of the medal lock part 70 is an example. Although it demonstrated, for example, the locking protrusion was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plate-shaped member 86 of the municipal government 73, and the locking recessed part wa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plate 33 of the base body 26, for example. And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ing recess by the corrective operation of the medal compartment 40, and the medal compartment 40 can be fixed to the base 26 alone through the partition plate 33. It may form, and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돼 있으므로, 메달 수납부내에 메달이 없어도 메달 보급이 필요해진 경우, 또는 메달 불출부에 고장이 발생하여 메달 공급이 정재돼 버린 경우, 그리고 또 현금 식별 수납부에 마찬가지로 고장이 발생한 때와 같은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항상 메달 대출부 본체 전체를 기체에서 들어내, 메달 보급작업을 행하거나 고장개소를 수리할 필요가 없이, 메달 수납부, 메달 불출부 또는 현금 식별 수납부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부를 적당히 개별로 기체에서 들어내, 메달 보급작업이나 정비작업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신속히 메달 보급작업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정비 작업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no medal in the medal storing unit, the medal supply is necessary, or a failure occurs in the medal dispensing unit, and the medal supply is settled. Even in the case of a failure, the medal holding unit, the medal dispensing unit or the cash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removed without the need to always lift the entire medal loan unit body out of the body and perform a medal replenishment work or repair a malfunction point as in the case of a failure. Since one or more parts of the payment can be lifted out of the body appropriately and individually, the medal replenishment work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달 수납부 및 메달 불출부가 함께 시정 가능한 메달용 로크부에 의해 기체에 고정됨과 동시에, 현금 식별 수납부는 메달용 로크부와는 별개의, 시정가능의 현금용 로크부에 의해 기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메달용 로크부와 현금용 로크부는 각각 별개의 전용 키로 시정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메달보급작업이나 메달 불출부등의 정비작업을 행하는 일반 종업원은 메달용 로크부의 전용 키를 관리하고, 현금 회수작업을 행하는 유희장 책임자만이 현금용 로크부의 전용 키를 관리하는 그러한 체제를 확립할 수 있어, 보다 적절한 시정관리를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al storing portion and the medal dispensing portion are fixed to the base by a medal lock portion which can be corrected together, and the cash identification stor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edal lock portion by a correctable cash lock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body, and because the medal lock portion and the cash lock portion are to be corrected with separate dedicated keys, the general employee who performs maintenance work such as medal supply work or medal dispenser manages the dedicated key of the medal lock portion. Onl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layroom who performs the cash collection operation can establish such a system that manages the private key of the cash lock part, and can perform more appropriate corrective management.

Claims (1)

기체와 당해 기체에 장착된 메달 대출기 본체로 이루어지고, 대출기 본체는 메달 수납부, 메달 불출부 및 현금 식별 수납부를 가지고 있어, 현금이 당해 현금 식별 수납부에 투입된 경우에는, 소정개수의 메달을 계측하여 메달의 대출을 행하는 메달 대출기에 있어서, 상기 메달 수납부, 메달 불출부 및 현금 식별 수납부는 각각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개별로 기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메달 불출부에는 메달 수납부와 메달 불출부와의 기체에 고정하는 시정가능의 메달용 로브부가 마련돼 있음과 동시에, 현금 식별 수납부에는 현금 식별 수납부를 기체에 고정하는 시정가능의 현금용 로크부가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대출기.The body of the body and the medal lending machine body mounted on the body, the lender body has a medal storing unit, a medal dispensing unit and a cash identification storing unit, and when cash is put into the cash identification storing unit, a predetermined number of medals In the medal lending machine which measures the lending of a medal, the medal storing part, the medal dispensing part, and the cash identification storing part are each formed separately, and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individually, while the medal dispensing part has the number of medals. Medal, characterized in that a correctable medal lobe is provided for fixing to the base of the payment and the medal issuing unit, and the cash identification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correctable cash lock for securing the cash discriminating compartment to the body. Lender.
KR1019890013840A 1988-09-30 1989-09-26 Medal lending device KR9700077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46175A JPH072194B2 (en) 1988-09-30 1988-09-30 Medal lending machine
JP63-246175 198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53A KR900005353A (en) 1990-04-14
KR970007742B1 true KR970007742B1 (en) 1997-05-16

Family

ID=1714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840A KR970007742B1 (en) 1988-09-30 1989-09-26 Medal lend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194B2 (en)
KR (1) KR9700077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7684U (en) * 1991-03-29 1992-10-21 株式会社オーイズミ Inter-machine medal rental machine management structure
JP3047337U (en) * 1997-09-19 1998-04-10 株式会社大明社 Life buoy belt
JP2006280631A (en) * 2005-03-31 2006-10-19 Glory Ltd System and method for renting tok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2Y2 (en) * 1988-05-14 1994-01-19 株式会社エル・アイ・シー Discharge device for di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353A (en) 1990-04-14
JPH072194B2 (en) 1995-01-18
JPH0295389A (en) 199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055B2 (en) Medals lending machine
US5632408A (en) Apparatus for securing and dispensing currency
US2581502A (en) Coin changer
US3604547A (en) Merchandise-vending machine
KR970007742B1 (en) Medal lending device
US3690332A (en) Bill and coin changer
US3734344A (en) Coin operated article vending machine
JP5032254B2 (en) Game media rental machine
JP2590037B2 (en) Medal lending machine
US3200828A (en) Coin changer having double escrow unit
JP2700079B2 (en) Medal lending machine
JP3766902B2 (en) Prize ball distribution control device in pachinko machines
US20080017473A1 (en) Removable Hinged Cashbox
JPH0293890A (en) Paying-out machine
US4282892A (en) Paper money dispensing means
JPH02113389A (en) Money changing machine
JPH061752Y2 (en) Discharge device for disk
US20030173375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at articles
JP2683810B2 (en) Ball rental supply pipe
JPH04329988A (en) Game machine
US2272683A (en) Vending machine
JPH08257228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of game data for game machine
JP4521925B2 (en) Bullet ball machine
JP2003019339A (en) Game medium renting equipment
JP3172349B2 (en) Coin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