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96B1 -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96B1
KR970006396B1 KR1019900003090A KR900003090A KR970006396B1 KR 970006396 B1 KR970006396 B1 KR 970006396B1 KR 1019900003090 A KR1019900003090 A KR 1019900003090A KR 900003090 A KR900003090 A KR 900003090A KR 970006396 B1 KR970006396 B1 KR 970006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field
item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016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나끼
가즈히꼬 시오노
도시히꼬 도꾸다
유이찌로오 노나까
가쯔히로 나가따
아끼라 노구찌
Original Assignee
산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54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605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54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32764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7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of tables; using rule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제1도는 기능 블럭 구성도.
제2a도는 하드웨어적 블럭 구성도.
제2b도는 주요부 평면도.
제3도는 전체 플로우 차트.
제4도는 표시교환 플로우 차트.
제5a도 내지 5r도는 각 형태별 표시화면의 모식도.
제6도는 레코드 메모리내의 레코드 데이터의 격납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7도는 항목관리 테이블의 모식도.
제8도는 카드설계 플로우 차트.
제9도는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 플로우 차트.
제10도는 커서표시 플로우 차트.
제11a도 내지 11q도는 다른 카드의 각 상태별 표시화면의 모식도.
제12도는 항목관리 테이블의 모식도.
제13a도 내지 13j도는 다른 카드의 각 상태별 표시화면의 모식도.
제14도는 일시의 타입을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항목관리 테이블의 모식도.
제16a도 내지 16f도는 다른 카드의 각 형태별 표시화면의 모식도.
제17도는 다른 실시예의 카드설계 플로우 차트.
제18도는 행 리피트 플로우 차트.
제19도는 열 리피트 플로우 차트.
제20도는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 플로우 차트.
제21도는 표지정 체크 플로우 차트.
제22a도는 조건등록 플로우 차트.
제22b도는 조건식 정의 플로우 차트.
제23a도는 연산식 리피트 플로우 차트.
제23b도는 항목 탐색 플로우 차트.
제24a도 내지 24ac도는 다른 카드의 각 형태별 표시화면의 모식도.
제25도는 리피트 처리 테이블의 모식도.
제26도는 표지정 테이블의 모식도.
제27도는 항목관리 테이블의 모식도.
제28도는 항목데이터 입력의 플로우 차트.
제29도는 열 리피트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CPU) 2 : 주메모리
3 : 제1보조 메모리 4 : 인터페이스
5 : 배드(bath) 6 : DMA 콘트롤러
7 : CRT 8 : CRT 인터페이스
9 : 캐랙터 제너레이터 10 : 버퍼 메모리
11 : 키보드 12 : 키보드 인터페이스
13 : 프린트 14 : 프린트 인터페이스
16 : 플로피 디스크 인터페이스 17 : 제어장치
18 : 주 기억장치 19 : 보조 기억장치
20 : 표시장치 21 : 입력장치
22 : 인자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필드로 이루어진 레코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 이미지 및 필드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필드의 정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개소59-68040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카드 이미지내에서 필드의 정의를 내릴때, 필터의 표시범위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필드의 표시범위와, 수치형, 문자형 등의 필드의 형을 지정해서 필드를 정의할 경우, 필드의 형이 다른때에 표시범위를 지정하는 키가 다르고, 표시범위 지정의 조작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장치에서는, 항목(필드)의 범위를 지정할 때에 지정표시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것과 함께, 항목의 문자 사이즈의 정의는 지정표시에 의한 범위 지정과 별개의 조작에 의해서 행할지 또는 문자 사이즈가 고정되어 문자 사이즈가 변경되지 않는 것이었다.
또 카드 이미지의 데이터 처리의 항목 정의는 행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반복할 경우가 많고, 이렇게 한 경우 각행 또는 각열에서 항목의 정의를 반복한 것은 항목 정의의 조작이 나쁘다.
또, 반복된 정의 내용을 오퍼레이터로 분리하기 쉽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워드프로세서를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필드의 표시범위가 지정되고, 또한 필드의 표시범위의 시각적인 파악이 용이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더 정의방법을 쉽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드를 정의할 때, 필드에 입력한 필드 데이터의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사이즈의 커서를 이용해서 필드 데이터의 표시범위를 지정하고, 쉽게 필드 데이터의 표시 사이즈 및 표시범위의 정의를 내리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의 타입에 따른 소정의 문자를 설정한 표시 사이즈로 정의한 표시범위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정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의된 필드에 대해 표시된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서 행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복사하는 것에 의해, 행방향 및 열방향의 필드 정의의 반복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의된 필드에 대해서 표시된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서 행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반복된 필드 정의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장치인 오피스 프로세서 기능을 하는 문서처리 모우드와, 카드 표시 형식등 레코드 데이터를 입력하고, 소트(sort) 셀렉트 등의 여러가지 데이터 처리를 하고, 카스 형식등으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 모우드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a 및 제2b도에 표시한 하드웨어적 구성과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기능 블럭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2a도에 있어서 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CPU)로서, 중앙처리장치는 각종의 출입력 장치의 제어, 문서처리, 데이터 처리등을 한다.
2은 DRAM으로 이루어진 주메모리이며, 주메모리(2)에서는 각종의 프로그램과 문서처리 모우드로 작성된 문서 화일 및 데이터처리 모우드로 작성한 데이터처리 화일이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3은 하드디스크 I/O 인터페이스(4)를 끼워서 배드(5)에 접속된 하드디스크로된 제1보조 메모리이다.
하드디스크 I/O 인터페이스는 하드디스크 제어부를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1)에서의 기동명령에 의해 DMA 콘트롤러(6)의 제어하에, 주메모리(2)와 보조메모리(3)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7은 표시장치로서의 CRT이며, CRT 인터페이스(8)를 끼워서 배드(5)에 접속되어 있다.
CRT 인터페이스(8)는 CRT(7) 화면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와 표시용 코드 데이터를 캐랙터 제너레이터(9)로 패턴으로 변경해서 표시용 버퍼 메모리(10)로 전개해서 CRT(7)로 표시한다.
11은 데이터, 텍스터 등의 입력과 여러 가지 기능의 선택등을 하는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이며, 이 키보드는 키보드 제어 회로용 회로를 포함한 키보드 인터페이스(12)를 끼워서 배드(5)에 접속된다.
전술한 키보드(11)는 기본적으로 시판 워드프로세서의 키배열로 되어 있다. 키보드는 제2b도에 그 주요부의 배열을 나타낸 것과 같이, 기능 모우드에 의해 변하는 기능키((F1)-(F10)) 및 고정 기능 지정용 기능키(F11)를 가지고 있다. 그의 실행키(SW1), 네방향의 스트기(SW2) 및 숫자, 문자키군을 가지고 있다. 키보드 인터페이스(12)는 눌려진 키를 판별해서 제어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변환해서 중앙처리장치(1)로 보낸다. 중앙처리장치(1)는 이 제어신호를 받아서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한다.
13은 레이저빔 프린트, LED 프린터, 열전사 프린트 등의 프린터이다. 프린트(13)는 예를 들어 48×48돗트 매트릭스 문자를 인자하는 데이터를 주메모리(2)와 프린트(13)의 인자 버퍼(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주고 받는 프린트 인터페이스(14)를 끼워서 배드에 접속된다. 인자제어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한다.
15은 플로피 디스크 인터페이스(16)를 끼워서 배드(5)에 접속된 플로피 디스크로 된 가반식(可搬式)의 제2보조메모리이다.
제2보조메모리(15)는 본 발명장치로 작성 문자 화일과 데이터 화일을 제1보조메모리(3)로부터 운송해서 축적하기도 하고, 다른 문자 화일 작성 장치에서 작성 문자 화일등을 축적한다.
플로피 디스크 인터페이스(16)는 플로피 디스크 제어부를 포함해서, 중앙처리장치에서의 기동명령에 의해 DMA 콘트롤러(6)의 제어하에서, 주메모리(2)와 보조메모리(15)사이의 고속 데이터전송을 제어한다.
전술한 하드웨어적 구성의 본 발명장치를 기능 블럭적으로 도시하면 제1도와 같이 된다. 즉, 제어장치(17)는 중앙처리장치(1)와 주메모리(2) 또는 제1보조메모리(3)에 저장된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내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대응한다. 주기억장치(18)는 주메모리(2)에 대응하고, 보조기억장치(19)는 하드디스크(3) 및 인터페이스(4), 플로피디스크(15) 및 인터페이스(16)에 대응한다. 표시장치(20)는 CRT(7) 및 인터페이스(8)등에 대응하고, 입력장치(21)는 키보드(11) 및 인터페이스(12)에 대응한다. 인자장치(22)는 프린터(13) 및 인터페이스(14)에 대응한다. 전술한 제어장치(17)는 주기억장치(18)상에 각종의 버퍼메모리(M1)...및 테이블(T1)...을 형성한다.
전술한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각 기능장치(P2)-(P5)에 의해, 전술한 버퍼 메모리(M1) 및 테이블(T1)을 이용해서 제어장치(17)는 문서 화일 기능과 데이터처리 기능을 실행한다.
버퍼 및 테이블에 대해서 설명한다.
M1은 문서처리 모우드로 작성한 텍스트와 데이터처리 모우드로 작성한 카드의 이미지 데이터(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텍스트 메모리이다.
T1은 텍스트 메모리(M1)의 텍스트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페이지수, 라인수와 엑세스중의 페이지, 라인 번호등이 기억된 텍스트 관리 테이블이다.
M2은 데이터처리 모우드에 입력한 복수의 항목(필드)으로 된 레코드를 복수건으로 저장할 수 있는 레코드 메모리이다.
T2은 레코드 메모리(M2)의 레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레코드수, 항목수, 엑세스중의 레코드 및 항목번호 등을 관리하는 레코드관리 테이블이다.
T3은 데이터처리 모우드에 있어서 데이터가 입력되는 항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된 항목관리 데이블이다.
M3은 여러 가지 사용되는 처리시 여러 가지 워크 버퍼 및 여러 가지 레지스터이다.
M4은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다.
T4은 제1보조메모리(3)상에서의 문서 화일 및 데이터처리 화일과 여러 가지 프로그램 읽기와 기입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한 디렉토리 테이블이다.
전술한 제어장치(17)에 대해서 설명한다.
P1은 제어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달성하는 제어장치이며, 입출력 제어장치(P2), 화일 관리장치(P3), 문서 처리장치(P4), 데이터 처리장치(P5)를 관리 제어한다.
전술한 입출력 제어장치(P2)는 입력장치(21), 표시장치(22), 인자장치(22)의 제어를 주관하고, 이것들(21)(20)(22)과 주기억장치(18)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동시에, 이것들(21)(20)(22)과 주기억장치(18)와의 사이에서 문서데이터로 전송한다.
화일 관리장치(P3)는 보조기억부(19)에 기록된 각종 화일(문서화일, 데이터화일, 사전화일, 프린트화일, 프로그램화일)의 엑세스를 행하기 위해 디렉토리 데이블(T4)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화일을 논리적으로 관리한다.
디렉토리 테이블(T4)에서는 문서선택화면(예를 들어 제15a도)으로 표시할때 필요한 데이터 및 문서에 대해서 구성하고 있는 화일의 제2보조 메모리상에서의 위치정보, 구성화일수 정보 각 테이블의 사용 상활 플래그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문서처리장치(P4)는 일본어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문서처리장치(P4)는 입력장치(21)에서 입력된 문자를 한자 가나 혼용문자로 변환하는 가나 한자 변화기능 및 여러 가지 문자 편집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편집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작성중인 문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문서표시 기능등을 행하는 문서작성장치(P41) 및, 편집된 문서를 인자장치(22)에 인쇄하는 문자인쇄장치(P42)등의 기능 제어장치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처리장치(P5)는 카드작성장치(P51), 문서작성장치(P52), 레코드작성장치(P53), 표시형식 관리장치(P54), 레코드 처리장치(P55), 데이터처리 교환장치(P56), 전표출력 처리장치(P57)등으로 된다.
문서작성장치(P52)는 전술한 문서작성장치(P4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카드작성장치(P1)는 신규 카드 작성시에는 예를 들어 제5g도와 같이 카드 이미지(카드 양식)를 문서작성장치(P52)의 기능을 이용해서 작성하는 기능과, 데이터가 입력되는 항목(필드)에 대해서 항목명, 형태등의 정의를 하고, 이 정의 데이터를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하는 기능등을 가진다.
전술한 카드 이미지 및 관리 데이터는 텍스트 메모리(M1), 텍스트 관리 테이블(T1)에 각각 격납된다.
그리고 텍스트 메모리(M1)의 리드(R)/라이트(W) 가능한 행 자리수를 나타내는 엑세스 라인 포인트와 엑세스 칼럼 포인트를 가지는 문서작성장치(P52)에 의해 동포인트와, 텍스트 관리 테이블(T1)의 정보를 이용해서 텍스트 메모리(M1)의 리드/라이트를 한다.
카드작성장치(P53)는 신규 카드 작성이 없을때, 선택된 데이터화일의 작성종료 카드를 표시하는 기능도 가진다.
레코드작성장치(P53)는, 키보드(11)에서의 입력데이터를 카드작성장치(P51)에서 작성카드의 항목 입력 영역(정의 범위)에 표시한다.
또, 레코드작성장치(P53)는 전술한 입력데이터를 레코드 메모리(M2)에 격납하고, 레코드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를 레코드관리 테이블(T2)에 격납하는 라이트(W)기능과, 지정레코드를 레코드 메모리(M2)에서 읽고, 카드이미지와 함성시켜 표시하는 리드(R)기능을 가진다.
이 레코드작성장치(P53)는 리드/라이트 가능하고, 레코드를 지정하는 엑세스를 가진다.
표시형식관리장치(P54)는 레코드를 건당 1장씩 카드형식(예를 들어 5a도 참고)으로 표시할 지 또는 복수의 레코드를 정리해서 일람표 형식(예를 들어 제5l도 참조)으로 표시하는지를 교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레코드처리장치(P55)는 레코드의 셀렉트와 소트 등의 여러 가지 레코드처리(데이터처리)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셀렉터 처리를 한다면 지정 조건에 맞지 않는 레코드에 대해, 처리대상에서 빠지는 처리를 행하는 것과 함께, 셀렉트 처리를 해제하면, 전 레코드가 처리 대상으로 되돌아 간다. 데이터 변환장치(P56)는 문서작성 모우드로서 작성 텍스트 데이터를 데이터처리 모우드로서 레코드로 변환해서 데이터베이스로서 축적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표 출력장치(P57)는 데이터처리 모우드로서 작성 레코드를 문서작성의 문서화일내의 텍스트 테이터내에 매설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 제어장치(17)의 각 기능 제어장치(P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하드웨어적으로 추출 분리가능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소프트웨어적, 기능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기능제어장치(P1)...는 예를 들어 제3도 및 제4도등에 나타난 플로우 차트(중앙처리장치의 처리순서의 개략을 나타냄)에 의해 실현된다. 또, 기능제어장치(P1)...는 필요에 따라서 로직 회로로 치환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 장치의 기본적 동작 및 기능을 주로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제어장치(17)의 플로우 차트 및 제5도의 표시화면에 따라 설명한다.
[A] 장치 기동 및 문서 선택
우선 장치에 전원을 투입하면, 문서 작성용의 프로그램이 로우드되고, 제5a도에 나타난 처기 화면이 표시장치(20)에 표시된다.
동표시 예에서는, 좌단에 넘버링된 것과 같은 No 1-5의 5개의 화일이 벌써 작성되어 보조기억장치(19)에 축적되어 있다. 5개의 화일중 용지의 난이 흑반점(그물망 모양으로 나타낸다)되어 있는 화일 No.1, 2, 4는 데이터처리 모우드로서 작성된 데이터처리 화일이며, 반전하지 않는 NO.3,4는 문서 작성 모우드로 작성된 화일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화면의 최 하단에는 키보드(11)의 최상단의 기능키(F1)-(F10)에 대응하느 기능키가 표시되고, 예를 들여 F1은 편집(문서작성)에, F6은 데이터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B]데이터처리 모오드의 기동
상술한 것과 같이, 장치가 가동되어지면, 제5a도의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그 초기 상태에서는 횡일행의 커서(C1)는 No.0의 문서 신규 작성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 것을 알려야만 하고, 해당 No.0의 행을 흑반전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3도의 스텝 S1에 의거해서 문자 선택을 한다.
신규로 작성하는 문서는 데이터처리 모우드에 의해 작성될 수 있도록 저작자가 표시화면 하단의 메뉴 항목에서 데이터처리를 선택하는 기능키(F6)를 누르면, 처리는 스텝 S2에서 데이터처리 모우드로 들어간다.
스텝 S3에서 신규 작성이 판단되면, 표시화면은 제5b도와 같이 변해 오른쪽 아래 틀내에 문서명, 날짜 등의 입력을 요구하는 윈도우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멀티 윈도우 표시된 화면 오른쪽 아래 틀내에 문서명, 날짜 등을 입력한후, 실행기(SW1)을 누르면, 지금까지 로우드된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 무효화되고, 전환되어 데이터처리 프로그램이 로우드된다. 그 결과, 데이터처리 모우드가 기동해서 표시화면은 제5c도와 같이 변해, 스텝 S5이후의 카드 작성 루틴으로 이행한다.
[C]카드 작성
제5c도의 화면은 문서작성 모우드의 공백 1페이지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커서(C2)는 공백 1페이지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입력장치(21)에서의 문자입력, 기준선 묘화에 의해 자유로운 입력 화면이 문서작성장치(P52)의 기능을 이용한 문서작성 모우드시와 동일한 조작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동표시화면의 최하단에는 입력하고 싶은 항목의 데이터형(문자 또는 숫자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키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제 제5d도에 따라 성명, 주소, 전화, 연령의 네 항목으로 된 주소록 카드의 설계를 설명한다.
제5-3도는 제3도의 스텝 S5, 즉 제8도에 나타낸 카드설계 루틴에 있어서, 다음에서 스텝 S40으로 커서를 즉각(풀사이즈)으로 세트하고, 세트된 사이즈로 커서를 표시(스텝 S41)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42의 가나키와 기준선키 등의 입력에 의해 문서작성장치(P52)의 기능에 위해, '성명', '주소', '전화'의 항목명으로 된 카드 이미지를 작성하고, '성명', '주소'의 항목 단위 정의를 마치고, '전화' 항목단위 정의 도중 표시화면을 제5d도는 표시하고 있다.
이 '전화'항목 정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서(C2)를 예를 들어, '전화' 항목의 항목 정의 시작 단위에 위치키시고, 카드정의 : 문자의 기능키(F1)을 누른다. 여기서 처리는 스텝 S43으로 이행하고, 커서키(SW2)를 이용해서 커서를 이동시켜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해 제5d도의, '전화' 항목 난과 같이 문자 데이터 입력 범위(R)가 커서의 길이로 표시된다. 동시에 화면 아래에 입력(정의)범위가 '문자항목 단위 정의 : 문자수 반각(하프 사이즈)(30)문자'와 같은 (30)문자분(반각으로 계산)인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커서 사이즈가 전각으로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전각(15)문자이다. 이 표시는 전각(15)문자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화에 관한 항목 단위 정의, 즉 커서에 의해 나타난 데이터 입력 범위 및 문자수가 이것으로 좋을 경우, 실행키(SW1)를 누르면 스텝 S44에서 스텝 S45로 이행한다.
스텝 S45에서는 커서 사이즈 래지스터에 커서 사이즈를 세트해서, 스텝 S46으로 이행해서 설정 범위(R)가 휘선(Z)부인, 커서 래지스터로 설정한 사이즈 문자 X으로 변한다(제5e도.) 이 상태에서는 문자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낸다. 'X'가 15문자 표시되고 각 'X'의 아래에 휘선(Z)이 붙착되어져 있다.
텍스트 메모리(M1)에 있어서 데이터의 유지 방법은 'X' 등의 문자가 3워드(6비트/1워드로서, 문자 사이즈 등의 속성부와, JIS 코드부와, 휘도비트와 문자 수식 정보를 포함한 확장부가 각 1워드씩)로 이루어진 문자코드 데이터이며, 그중 휘도비트(1비트)를 '1'로 설정하고 있다. 동비트는 '1'로서 표시 시문자인 휘선(Z)가 부착되어 '0'인 휘선(Z)이 소멸된다. 이렇게 해서 항목명 '전화'에 대해서 항목 단위 정의가 가등록된다.
스텝 S44로 취소키를 누르면 스텝 S41로 되돌아 오고, 다른 키를 누르면 스텝 S44에 머문다. 다음에 스텝 S46를 종료하면 스텝 S41로 돌아가고, 커서키(SW2)를 조작해서 커서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51의 처리로서 '연령', '나이'의 카드 이미지 부분을 문서작성장치의 기능을 이용해서 작성한다. 그후 '연령' 항목의 정의 개시 단위로 커서(C2)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카드 정의 : 수치 기능키(F2)를 선택하면, 스텝 S48→S49→S50의 루틴으로, 스텝 S44→S45→S46의 루틴과 동일하게 수치 항목의 가정의가 실행된다. 스텝 S50으로서 스텝 S46과 다른 것은 표시문자가 문자 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X'대신, 수치 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N'으로 되는 점이다.
이렇게 해서, 각 항목의 설정을 마치고, 입력장치(21)의 종료키(F11)를 누르면, 제5f도의 화면과 같은 화면 아래에 좌우로 큰 그물망 형태의 문자 표기 2개의 기능키가 표시된다. 다음에, 입력장치 키중 좌반분(F1)-(F5)중 어느것인가를 누르면, 제3의 스텝 S6에서 카드 설계의 종료가 판단되어, 스텝 S7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 루틴으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각 항목에 대해서의 정의 정보가 제7도와 같이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시킨다(상세한 것은 나중에 설명한다). 여기서 항목정의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텝 S8로 테이블 세트 에러가 판단되고, 에러가 없다면 스텝 S9로 이행한다. 스텝 S8에서 에러가 있다는 것이 판단되면 스텝 S5로 되돌아 온다.
스텝 S6에서 기능키(F6)-(F10)중, 어느것인가를 누르면 카드 정의를 중지하고 스텝 S1으로 되돌아 온다.
[D]레코드 작성
스텝 S9에서는 제5f도의 표시화면에 있어서 광선부 문자 'X'와 'N'만을 지워 스텝 S10에서 항목명만의 공백 표시를 한다. 스텝 S11에서 최초의 입력항목 영역의 선두에 커서(C2)를 위치시킨다. 또 화면 아래 우측단에는 커서의 위치 표시만을 하지 않고 입력중의 카드가 몇매째인가를 표시한다(제5g도).
데이터 입력시, 커서(C2)는 카드 설계로서 설정한 항목영역(X 또는 N의 영역)만 이동할 수 없으며, 커서 사이즈도 정의한 문자의 크기로 자동적으로 변경 설정한다. 또, 문자 항목에서는 가나 한자 변환에 의해 자유로운 한자, 가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문자는 16비트의 JIS 코드로 기억한다.
한편, 수치 항목에서는 입력장치(1)의 숫자키만 접수하지 않으며, 숫자 열만의 가능하다. 수치의 입력데이터는 16비트의 JIS 코드와 다른 코드 체계의 '4'비트의 BcD 코드로 기억된다.
스텝 S13에서 각 항목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5h도와 같은 표시도면이 된다. 여기서 입력장치(21)의 다음 페이지키(2F12)를 누르면, 화면은 페이지가 개정되어, 제5i도와 같은 스텝 S14에 의거해서 공백의 새로운 카드로 된다.
새로운 카드는, 카드로서는 2매째인 것이지만, 우측 아래에 표시되고, 스텝 S11, S12로 되돌아와 제5j도와 같이 2매째의 카드형식으로의 항목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스텝 S12-S13-S12-S14-S12-S13의 루우프를 순환하는 것에 의해, 1건 1장의 카드형 주소록 데이터가 임의의 건수(매수)로 작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5k도의 우측 아래에 「12매째로」나타내는 것과 같이 12건의 카드가 작성된다.
스텝 S12로 표시교환키(F13)를 누르면, 제4도에 나타난 플로우로 이동하고, 표시형식 관리장치(P54)는 제5l도와 같이 지금까지의 카드형식 화면에서 일람표의 표시에서 자동적으로 교환한다(스텝 S21).
제5m도는 일람표의 표시항목의 소거, 변경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람표에 있어서, 항목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은 스텝 S18에서 접수한다. 수정의 경우, 제5n도와 같이, 커서(C2)를 항목데이터의 난으로 이동시킨다.
커서를 이동시키면, 화면 아래에 문자 입력난(L1)이 표시되어 수정하고 싶은 항목까지 커서를 이동시켜 해당 문자 입력난(L1)에 정확한 항목 데이터를 입력장치(21)로 워드프로세서 터치 입력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수정된 항목은, 입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드 형식의 항목 데이터를 수정했던 것과 동일하게 된다. 즉 스텝 S19에서 표시 교환키(F13)를 누르면 제5o도와 같이 수정한 내용의 카드 표시형식으로 화면에 되돌아온다(스텝 S52).
스텝 S19에서 다음 페이지 키(F12)를 누르면 스텝 S20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카드 No.13의 난이 자동적으로 추가 표시된다. 여기서, 항목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일람표시상태로 새로운 레코드(카드)의 추가 작성이 실행된다.
[E]레코드 처리
다음으로 제3도로 되돌아가서, 입력된 12건의 레코드로 구성된 데이터처리 화일에 있어서 레코드 처리의 예로서, 조건 검색을 하는 셀렉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2에서, 셀렉트 키(F15)를 누르면 화면은 제5p도로 변하고, 셀렉트 조건을 접수하는 스텝 S15로 이행한다. 이렇게 하면, 카드표시화면의 아래에 조건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조건 입력란(L2)에 주소가 오사까인 레코드를 검색하면 「오사까*」를 입력장치(21)에 의해 워드프로세서 터치로 입력한다. 「*」는 오사카의 뒷문자는 무엇이라도 좋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방 일치의 연산자이다.
조건의 입력이 끝나면 실행키(SW1)를 누르는 것으로서 스텝 S16으로 진행하는 레코드처리장치(P55)에 의해 셀렉트 처리가 실행된다. 전술한 조건에 합치하는 레코드는 본 실시예에서는 5건이다. 이것을 일람표로 볼 경우 스텝 S12로 표시교환키(F13)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제5q도와 같이 표시된다. 또, 표시 절개키(F13)을 누르지 않는다면 카드 형식으로 1매씩 볼 수 가 있다.
이렇게 한, 셀렉트 처리의 결과가 필요하지 않고, 입력코드(12)건을 전부 보존하고 싶은 경우는 셀렉트 해제키(F16)를 누르는 것으로서 셀렉트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2에서 종료키(F11)를 누르는 것으로서, 제5r도의 화면이 표시되어, 스텝 S15로 다시 문자명, 저자명, 날짜가 윈도우에 표시된다.
표시내용으로서, 좋다면 실행키(SW1)를 누르고, 또 그것을 수정하고 싶은 문서명, 날짜 등의 항목을 수정 입력한(스텝 S17), 후 실행키(SW1)를 누르는 것으로서 「주소록」의 데이터처리 화일이 클로즈되어, 스텝 S1으로 되돌아 온다.
물론, 셀렉트 해소키(F16)를 누르지 않고 셀렉트된 레코드만으로 새로운 데이터처리 화일을 개별 작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한 셀렉트의 다른 데이터처리로서는 소트와 그외에도 AND, OR 등의 논리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식 검색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건식[주소=오사까후*] AND[연령30세]에 의해 검색한다.
[F]데이터처리 화일의 구성
이렇게해서, 작성된 하나의 데이터처리 화일은 '주소록'의 카드 이미지가 문자 데이터의 연속으로서 일행씩 텍스트 메모리(M1)에 저장되어, 복수의 레코드 데이터(각 레코드는 복수 항목 데이터로 구성된다)는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항목순으로 레코드 메모리(M12)에 저정된다.
레코드의 각 항목을 카드 이미지의 어디에 저장할지의 정보와 그외의 정보는 제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저장된다.
[G]다른 종류의 카드에 의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1) 기초화면이 공백일 때 커서 사이즈를 임의로 설정항목 단위 정의
기초화면이 공백일때에 커서 사이즈를 임의로 설정해서 항목정의를 할 경우에 있어서, 제11a도 내지 제11m도로 나타낸 명함관리 카드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1a도는 제3도의 스텝 S5, 즉 제8도에 그 세부적인 것을 표시한 카드설계 루틴에 있어서, 카드 이미지를 작성한 상태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스텝 S40으로 커서를 전각(초기값)으로 세트하고, 세트된 사이즈로 커서를 표시한다(스텝 S41).
다음으로 스텝 S42의 가나키와 기준선키 등의 입력에 의해 문서작성장치(P52)의 기능에 따라 카드 이미지를 작성한다(스텝 S63). 그후 스텝 S41로 되돌아가서 커서(C2)를 표시한 상태를 제11a도로 표시한다.
우선 커서(C2)를 항목 정의 시작 단위에 위치시키고, 카드정의 : 문자 기능키(F1)을 누르면, 스텝 S47로 이행하고, 표시화면은 제11b도로 변한다(커서키는 폭이 좁게 된다).
커서키(SW2)을 이용해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하면, 제11c도와 같은 문자 데이터 입력범위(R)가 커서의 길이로 표시된다. 동시에, 화면 아래에 입력(정의) 범위가 '문자항목정의 : 문자수 반각(44)문자'와 같이 44문자분(반각으로 계산)(이 경우 커서 사이즈가 전각으로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전각(22)문자분)인 것을 표시한다. 이 표시는 전각(22)문자로 표시할수도 있다.
회사명에 관한 항목단위 정의, 즉 커서에 따라 표시된 데이터 입력관리 범위 및 문자수가 이것으로 좋은 경우, 실행키(SW1)을 누르면 처리가 스텝 S48에서 스텝 S49로 이동한다. 여기서 앞부분의 공백을 판단해서, 스텝 S51로 커서 사이즈 레지스터에 커서 사이즈를 세트한다.
다음에 스텝 S52로 옮겨서 설정 범위(R) 전체에 걸쳐 휘선(Z)부인, 커서 레지스터에 설정한 사이즈 문자 'X'로 변한다(제11d도). 이 상태에서는 문자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X'가 22문자표시된 각 'X'의 아래에 휘선(Z)이 부착되어져 있다.
이 경우 텍스트 메모리(M1)에 있어서 데이터의 보존방법은 'X' 등의 문자가 3워드(16비트/1워드로서, 문자 사이즈 등의 속성부와, JIS 코드부와, 휘도 비트와 문자수식 정보를 포함한 확장부가 각 1워드씩)로 구성된 문자코드 데이터이며, 그중의 휘도비트(1비트)를 '1'로 설정하고 있다.
동비트는 '1'이면 표시 시문자에 휘선(Z)이 부착된 '0'인 것과 휘선(Z)이 소멸된다. 이렇게 해서, 항목명, '회사명'에 대해서의 항목단위 정의가 가등록된다
스텝 S48에서 취소키가 눌려지면 스텝 S41로 되돌아와 제11a도의 화면으로 되고, 다른 키가 눌려지면 스텝 S48에 머문다. 다음에 스텝 S48을 마치면 스텝 S52로 되돌아 온다.
화면 11d도의 커서키(SW2)를 조작해서 커서를 '후리가나'난의 데이터 입력범위의 앞부분에 위치시켜(제11e도), 커서 사이즈 변환키를 누르면, 화면이 제11f도로 변해 S43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커서 사이즈가 화면 아래에 기능키(F1)-(F8)에 대응해서 표시되고, 상부(전각의 1/4인 위쪽), 하부(전각의 1/4인 아래쪽), 반각 행배(전각), 전각 행배(전각의 행방향 2배), 반각 종배(반각의 종방향 2배), 전각 종배(전각의 횡방향 2배), 반각 4배(반각의 종방향 4배), 전각 4배(전각의 종횡 2배)의 사이즈 선택이 가능한 것을 표시한다.
이 '후리가나'난에는 '하부'를 선택하는 스텝 S43으로 기능키(F1)를 누르면, 스텝 S4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6에서는 선택된 커서 사이즈가 커서 사이즈 레지스터에 세터되어, 스텝 S41로 옮겨서 화면은 제1g도로 변한다.
스텝 S42에서의 카드 정의 : 문자(기능키(F1))를 누르면 스텝 S47로 이행하고, 화면은 제11h도로 변한다. 앞서 설명한 '회사명'의 항목 정의와 동일한 처리 루틴으로 제11i도와 같이 커서(C2)에 의해 범위를 지정하고, 실행키(SW1)을 누르면, 전각의 1/4사이즈로 휘선(R)부의 'X'가 표시된다.
동일하게, '성명'난 '회사주소'난 'TEL'난 'FAX'난의 항목 정의를 가등록한 상태가 제11k도이다. 이렇게 해서 항목 정의의 상태가 표시되어, 문자 사이즈, 범위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이 정의로서 좋다고 판단하면, 종료키(F11)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제3도의 스텝 S6으로 카드 설계 루틴의 종료가 판단된다.
다음에 스텝 S7의 항복 관리 테이블 세트 루틴, 즉 카드 설계 루틴으로 텍스트 메모리에 가등록된 항목 정의 정보를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하는 루틴으로 이행한다. 또, 카드 설계 루틴에 있어서, 항목정의로서 수치를 정의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1a도의 화면인 카드정의 : 수치 기능키(F2)를 선택하면, 기초화면이 공백인 경우 스텝 S44→S53→S54의 루틴으로 스텝 S47→S48→S49→S51→S52의 루틴과 동일한 수치 항목의 가정의가 실행된다.
스텝 S62에서 스텝 S52와 다른 것은 표시 문자가 문자 항목인 것을 나타내는 'X'의 대신, 수치 항목인것을 나타내는 'N'으로 된다.
다음에 제9도에 나타난 항목관리 테이블 루틴(스텝 S7이 상세함)에 대해서 설명한다. 텍스트 메모리(M1)에는 제11k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텍스트 데이터가 격납되어져 있어, 가정의되어 있는 항목 정의 조건을 일행씩 판단 처리에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한다. 즉, 스텝 S80에 있어서 처리하는 행을 일행째로 세트해서, 스텝 81에서 처리하는 칼럼(자리수)을 좌단으로 진행시키고, 스텝 S82에서 항목 설정 단위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11k도의 예로서는 일행째에는 휘선(Z)부 문자가 없으므로, 스텝 S82→처리칼럼을 1문자분 우측으로 진행하는 스텝 S89→처리칼럼이 우측단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86→S82을 일행분 반복한다.
일행분이 끝나면 스텝 S90에서 처리하는 행이 최종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 S91로 처리하는 행을 일행 아래로 진행시켜 스텝 S81로 되돌아 온다. 2행 및 3행째도 동일하게 항목 설정 단위가 없고, 4행째로 처리가 옮겨진다. 4행째에 있어서, 처리칼럼이 제9칼럼으로 되면, 스텝 S82의 'X'문자의 휘선 비트가 식별된다.
스텝 S83에서 제12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커서 사이즈가 전각인 것을 나타내는 항목관리 테이블(T3)의 항목 No.1의 커서 타입란에 '3'을 세트한다. 다음으로 스텝 S83의 항목 타입이 '문자'인 것을 타입란에 세트한다.
스텝 S84에서 처리하는 칼럼을 해당 처리 항목의 최종 칼럼의 다음까지 칼럼을 진행한 후, 스텝 S85에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 다른 정보를 세트한다. 즉, 자리수 시작단위는 스텝 S82에서 기억된 자리수 시작단위 '9'를, 자리수 위치는 스텝 S80에서 기억하고 있는 행위치 '4'를, 데이터 길이는 스텝 S84에서 카운터 값을 각각 세트하고, 항목명은 항목 시작 자리수 위치의 좌측에 위치하는 문자 데이터를 읽어서 세트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문자 데이터가 해독되지 않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항목 No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 예를 들어 '문자 No.1'이 기억된다. 이렇게 해서, 항목 No.1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처리가 끝나면 스텝 S86→S82→S789→S86의 흐름으로서, 제4행째의 항목 No.1의 우측으로 항목 설정 위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있다면 항목 No.2로써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 예로써는 항목 설정 위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 칼럼 1행의 우측단까지 진행되어, 스탭 S86에서 YES로 되고, 처리는 스텝 S90→S91→S81로 이행하고, 제5행째 이후 항목의 항목관리 테이블(T3)로의 세트가 진행된다.
그 결과, 항목 No.2 내지 No.6의 항목관리 데이터는 제12도와 같이 세트된다. 이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루틴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카드표 화면은 제11k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게 되어 있다.
단지 화면 아래에 카드정의 표시 대신에 「항목정의 중입니다」의 표시와 함께, 몇행째, 어느 자리수 째인지가 처리되는 지를 리얼타임으로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게 처리가 진행중이다 라는 것을 알린다.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를 마치면 제3도의 테이블 세트의 판단처리 스텝 S8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항목설정이 전혀 진행되지 않으면 에러 판단을 해서 스텝 S5의 카드 설계로 되돌아 가며, 오퍼레이터에게 항목설정을 요구한다.
스텝 S8에서 테이블 세트의 에러가 없으면, 스텝 S9로 이행하고, 스텝 S9에서 제11k도의 휘선부 문자 'X'를 제거하고, 스텝 S10에서, 제11l도와 같이 카드 화면을 나타낸다. 이 경우, 카드정의 직후이기 때문에 공백의 카드를 표시한다.
스텝 S3에서, 데이터처리 화일이 신규 작성이 아닌 경우는 스텝 S10에서 각 항목의 데이터와 카드의 양식 이미지 데이터가 합성된 1매째의 카드를 표시한다. 또 스텝 S11에서는 이 카드에 커서(C2)를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제10도의 플로우 차트의 스텝(S100)에서 항목관리 테이블(T3)의 커서 타입난에서, 사이즈 데이터가 판독되어 스텝 S101에서 그 사이즈에 따라서 화면에 커서(C2)를 표시한다. 커서의 초기 설정 위치는 No.1의 머리 부분 자리수이며(제11l도), 항목 데이터 입력을 가진다.
항목 데이터의 입력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을 했으므로 생략하지만 커서 이동 범위는 항목 설정 위치, 즉 제11k도의 문자 'X'의 표시되어 있는 범위만이다.
제11m도는 데이터 입력 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스텝 S13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 항목 타입이 문자의 경우, 커서 사이즈 변환키를 누르면 타입이 문자인 것을 항목 테이블(T3)에서 판단해서 커서 사이즈의 변환을 허가하고, 항목의 타입이 수치 및 일시인 경우는 커서 사이즈 변환키가 눌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문자항목에서의 사이즈 변환은 좌우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바꿀 수 있지만, 상하 방향은 작게하는 방향의 사이즈 변환을 허가하는 것으로서, 화면의 표시가 이상하게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구성으로서, 문자 항목 입력은 비교적 자유로운 사이즈의 입력, 레코드 메모리의 축적 및 표시가 가능하다.
한편, 수치, 일시 항목에서는 동일 항목 범위내에서 사이즈가 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사이즈 변환을 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데이터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문자 사이즈를 반각에서 전각으로 변환시켜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 문자수는 반각의 반분이 되며, 그 이상은 입력이 불가능하다.
(2) 기초화면에 문자를 표시해 두는 항목 단위 정의
① 일시(일부) 항목 정의
제8도의 카드 설계 루틴에서, 스텝 S4에 있어서, 일시항목 정의가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 제13a도 내지 13j도의 표시화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3a도는 카드 정의 루틴에 있어서, 잔업시간 관리표 카드 이미지가 작성된 상태를 표시하고, 스텝 S42에서는 키1입력 대기로 되어 있다.
일시 항목을 정의하고 싶은 위치에 커서(C2)를 이동시켜(제13a도), 적당한 수치를 적용한 기초화면을 기입력하고, 문서작성장치(P2)에 의해 작성한다(제13b도). 다음으로, 기초화면의 머릿부분에 커서(C2)를 진행시켜(제13c도), 카드정의 : 일시의 기능키(F3)을 누르면, 범위 지정의 스텝 S70으로 이동해서 화면은 제13d도로 변한다.
여기서 커서키(SW2)의 우방향 이동 키를 눌러서 커서 흑반전을 날짜까지 띠형태로 넓게, 커서키를 아래로 누르는 것과 해제하는 것으로 정의 단위의 범위를 지정한다(제13m도).
이 범위 지정은, 커서키를 아래로 누르는 조작만으로 한다. 이 범위지정이 좋은 경우 오퍼레이터가 실행키(SW1)를 누르면 스텝 S71에서 YES가 판단되어 스텝 S72에서 머릿부분이 공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머리부분은 '1'이며 공백이 아니므로, 스텝 S73에서 '1'의 문자 사이즈를 판정하고, 문자 사이즈 버퍼에 '전각'의 정보를 세트한다.
스텝 S74에서 지정 범위내에 사이즈가 다른 문자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스텝 S75에서는 사이즈 체크의 결과 사이즈가 다른 문자가 있는 경우는 에러로 처리하고, 에러의 경우는 스텝 S79에서 화면으로 에러 메세지를 표시한다. 사이즈가 다른 문자가 없는 경우는 스텝 S76으로 이행해서, 일시의 형태, 자릿수를 체크한다.
스텝 S77에서 이 에러를 체크한다. 에러가 있는 경우 전술한 사이즈 체크의 경우와 동일하게 스텝 S79에서 에러 메세지를 표시한다. 에러가 아닌 경우는 스텝 S78로 이행해서 휘선(Z)부 문자를 표시한다(제13f도).
이 문자는 앞부분이 3자리수 이상이라면, 'NN...'으로 되고, 2자리인 경우 년의 앞을 'YY'로, 월의 앞은 'MM'으로 일의 앞을 'DD'로, 시의 앞을 'HH'로, 분의 앞을 'MM'으로 초의 앞을 'SS'로, 시간의 앞을 'NN'으로 해서, 각각 텍스트 메모리(M1)에 세트해서 표시한다.
이때 각 문자는 전술한 것과 같이 휘선 비트가 '1'에 세트되고, 표시된 휘선(Z)부의 문자로서 표시하며, 스텝 S41로 되돌아 온다.
스텝 S72에서 앞부분의 공백이면, 스텝 S79로 옮겨서 에러 메세지를 내고, 스텝 S41로 되돌아 온다. 즉, 일시 항목 정의의 경우는 기초화면을 작성해둘 필요가 있으며, 또한 항목 정의에 들어가기 전에 커서를 기초화면 앞부분에 위치시켜 둘 필요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점은, 문자 항목 정의의 경우는 기초화면을 형성하고 있는 커서가 기초화면 앞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정의 : 실행에 들어가면, 제8도 스텝 S48→S49→S50에서, S50에서 앞부분의 문자 사이즈를 기억하고, 스텝 S52에서 기억 사이즈인 'X'을 표시한다.
기초화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기초화면이 있어도 커서 위치가 공백의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의 실행에 들어가면, 스텝 S48→S49→S51→S52의 처리가 되고, 에러가 되지 않는다. 이것은 나중에 설명하는 수치 항목의 경우도 동일하다.
동일하게 기초화면 '1988년 12월 17일'도 동일한 정의 처리가 실행하면, 화면은 제13g도로 변한다. 다음으로, 잔업시간 및 누계시간의 정의는 앞서 설명한 연월일의 정의와 동일한 처리로 실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13g도와 같이 적당히 기초화면을 작성한 후, 범위를 지정하고(제13h도), 실행키(SW1)를 아래로 누르는 것으로서, 정의가 실행된다(제13i, 제10j도).
이렇게 해서 항목 No.1(#1)-No.4(#4)의 일시 가정의가 실행된다. 또 화 내지 토의 일시 정의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잔업시간의 난 화 내지 토에 'NN시간 MM분'을 기입할 때, 'NN시간 MM분'의 데이터를 일시를 기억시켜서, 이것을 복사시키는 문서작성장치(P52)의 복사기능을 이용해서 실행할 수도 있다.
각 일시 항목의 정의가 완료되면 스텝 S7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루틴이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실행되어, 항목관리 테이블(T3)은 제15도와 같은 내용으로 관리 정보가 세트된다.
제12도의 문자항목 정의의 경우와 다른 것은, 타입의 난에 일시가 세트되어, 항목명의 난에 자동적으로 실시 1, 일시 2...와 같이 항목명이 세트되고, 타입 2의 난에 '01'과 '11' 등의 일시의 타입(제14도 참고)을 나타내는 정보가 세트되는 점이다.
이 일시 타입형을 기억하는 것으로서, 레코드로서는 제14도에 00로 표시한 부분만을 기억해 두면 좋고, 카드를 표시할 때는 타입을 읽어내는 것으로서 일시 데이터의 합성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②수치 항목 정의.
기초 화면을 작성한 후에 수치 항목을 정의한 예를 제16a도 내지 제16f도의 견적시 카드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1도에서 설명한 문자 항목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처리 되지만, 다른 것은 지정범위내에 사이즈가 다른 문자가 있는가 없는 가의 체크 스텝과 콤마 및 소수점이 정확히 찍혀져 있는 가 없는 가의 체크 스텝을 설정한 점이다.
이하 표시도면에 따라서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제16a도는 '단가'난에 기초화면 100,000을 작성하고, 범위를 지정해서 커서(C2)를 '1'위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카드 정의 : 수치의 기능키(F2)를 누르면, 제16b도의 화면으로 된다.
커서키를 조작해서 범위를 설정하고(제16c도), 실행키를 누르면 스텝 S54에서 스텝 S55로 이행한다. 스텝 S55에서 머리 문자의 사이즈 데이터 레지스터에 세트하고, 스텝 S56에서 지정 범위내에 선두 사이즈와 다른 사이즈의 문자가 있는 가 없는 가를 체크한다.
스텝 S57에서 체크 결과의 에러를 판정하고, 에러가 있는 경우는 스텝 S64에서 화면에 에러 메시지를 낸 처리를 스텝 S41로 되돌려 오퍼레이터에게 정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사이즈 체크를 하는 것 없이 선구 문자로서 사이즈를 통일하는 방법도 있지만, 도중에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 오퍼레이트는 반드시 선두 문자 사이즈로서의 정의만을 바라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체크 방법이 보다 유효하다.
스텝 S57에서 에러가 없는 경우, 스텝 S58로 이행하고, 콤마 및 소수점의 에러 체크를 한다. 이 체크는 지정 범위내에 소수점이 둘 이상 없는가, 콤마가 세자리수 마다 붙여져 있는가, 소수점의 뒤에 콤마가 있는가 등을 포함한다.
스텝 S59에서 에러가 있는 경우는 스텝 S64에서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없는 경우는 스텝 S60으로 이행하고, 지정 범위내의 콤마, 소수점 이외의 문자를 N'으로 치환해서(제16d도) 스텝 S41로 되돌아오고, 다음 항목의 처리로 이동한다.
스텝 S7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것과 같으므로 생략하지만, 스텝 S13에서의 항목 데이터 입력 스텝에서는 예를 들면 단가의 항목에 수치를 입력해 가면 수치는 항목의 최종 단위에 표시되어, 콤마(콤마, 소수점의 정보는 스텝 S84에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 기억되어 있다)는 자동적으로 부터 되어진다(제13e 및 제13f도).
또, 이 수치 항목에서는 문자 사이즈가 지정 범위내에서 통일 되어져 있고, 커서 사이즈 변환키의 아래로 누름은 부착하지 않고,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된 커서 사이즈에 따른 소정의 문자 사이즈 입력에 한정된다.
[H] 다른 종류의 카드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1) 표에 있어서 항목 정의의 행 리피트.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제24a도와 같이, 기준선으로 둘러싸여진 표형식에 있어서 항목명 '품명','단가','수량','소계'에 대해서 종(행)방향으로 항목 단위 정의를 반복하고, 행 리피트 기능과 좌우(열)방향으로 반복하는 열 리피트 기능도 있다. 아래에서 그 기능 및 그것을 실행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4a도는 제3도의 스텝 S5, 즉 제17도의 다른 실시예의 설계 루틴에 있어서, 견적서의 카드 이미지를 작성한 상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24b도는 품명, 단가, 수량, 소계의 각 항목의 항목단위 정의가 제5a도 내지 제5e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동일한 순서로 진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각 항목의 정의는 아래 방향(횡방향)으로는 변할 필요가 없는 경우, 하나하나 각행에서 동일한 조작을 할 필요는 없고, 항목단위 정의의 행 리피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7도의 스텝 S42에서, 제24c도와 같이 커서(C2)를 표의 좌상단으로 진행시켜(항목명의 행은 포함해도, 포함치 않아도 좋고, 적어도 정의 완료한 행의 좌단이면 좋다), 카드정의 : 표지정의 기능키(F4)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스텝 S60으로 이행하고, 커서가 종, 횡 기준선의 교점상에 있는지 없는지가 판단된다.
이 경우, YES이면, 스텝 S61로 이행하고, 화면이 제24d도로 변하면, 도면 아래에 행 리피트 및 열 리피트의 표시가 되고, 어느쪽이든지 선택을 기다리게 된다(스텝 S62).
이 경우 행 리피트를 할려는 기능키(F1)-(F5)의 어느 것인가를 누르면, 스텝 S62에서 스텝 S63의 행 리피트 처리로 이행한다(제24e도).
이 행 리피트 처리는 제18도의 처리 플로우에서 실행한다. 즉, 스텝 S70에서 커서키(SW2)로 커서(C2)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작하고,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켜 2차원적 조작(범위 지정)을 하면, 행 리피트를 하는 범위가 흑반전된다(제24f도).
이 범위 지정은 표전체가 아닌, 가운데까지의 지정도 가능하다. 범위 지정이 이것으로 좋으면 실행키(SW1)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처리는 스텝 S72 및 S73으로 이행하고, 처리 행 및 자릿수를 범위 지정 시작행 및 자릿수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74에서 처리 칼럼이 범위 지정 종료 칼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스텝 S77에서 항목 시작단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정의된 항목없이 스텝 S81로 이행해서 처리 칼럼을 1문자분을 우측으로 진행시켜 스텝 S74로 되돌아 오고, S74→S77→S81→S74의 반복으로, 일행분의 처리가 끝난다. 다음으로, 스텝 S75로 이행하고, 리피트 처리 테이블에 정보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리피트 처리 테이블은 리피트 행, 즉 정의가 끝난 항목이 존재하는 행에 대해서, 각 항목의 시작 자릿수 단위, 끝 자릿수 위치 및 끝 표시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이 경우 스텝 S75에서는 NO가 판단되어 스텝 S76에서 처리행을 일행 진행시켜 스텝 S73→S74→S77→S81→S74→S77의 처리로서, 네자리째가 되면 스텝 S78로 이행한다.
여기서 제25도에 표시한 리피트 처리 테이블에 최초 항목의 시작 위치를 세트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처리 행의 텍스트 메모리(M1)의 데이터를 일행분 레지스터에 기억한다.
스텝 S79에서 처리 칼럼을 해당 항목의 종료 단위의 다음으로 진행시켜, 스텝 S80에서 해당 항목의 끝단위를 세트한다.
스텝 S81에서 처리 칼럼을 1문자분씩 우측으로 진행시켜, 다음 항목을 찾아내어 이것에 대해서 리피트 처리 테이블에 정보를 세트한다. 이 처리는 최초의 항목과 동일하다. 이렇게 해서, 해당 일행(4행째)의 처리가 끝나면, 스텝 S75에서 YES가 판단된다.
다음에 스텝 S82에서 처리 테이블에 끝표시 'FF'가 세트되고, 스텝 S83에서 범위 지정 최종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최종행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S84에서 처리행을 일행 아래로 진행시킨다.
스텝 S85에서 처리행이 기준선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로서 스텝 S83으로 되돌아 오고, 스텝 S84에서 처리행을 일행 진행한다. 이 행은 최초의 리프트 행이 되기 때문에 스텝 S85에서 NO가 판단되고, 스텝 S86에서 리피트 처리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해서 일행분의 복사를 한다. 즉, 우선 리피트 처리 테이블의 왼쪽난에서 처리를 시작해서 난 No.1의 시작 위치의 데이터가 끝 표시인지 여부를 본다.
데이터가 끝 표시가 아닌 경우는 시작 위치 '4'와, 끝 위치 '14'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전술한 1행분 레지스터의 데이터에서 4 내지 14자리수의 데이터, 즉 품명 난의 「XX...X」의 데이터를 끄집어 내어, 이것을 해당 처리행의 4 내지 14자리수의 위치로 복사한다. 그리고, 동일하게 난 No.2 내지 No.4에 대해서 처리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단가, 수량, 소계에 대해서 「N...N」, 「N...N」, 「N...N」의 데이터를 1행분 레지스터에서 해당 처리행에 복사한다.
리피트 처리 테이블에서의 처리를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No.5로 되면 끝 표시가 검출되기 때문에, 여기서, 1행분 리피트를 종료하고, 스텝 S83으로 되돌아 간다. 다음의 처리는 기준선이므로 S83→S84→S85→S83→S85→S84로 처리가 진행되고, 다음의 행에서 2번째의 리피트 처리가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처리행이 범위 지정 최종행으로 되면, 스텝 S83에서 YES가 판단되고, 제24g도와 같이 스텝 S88에서 표 지정 표시 '∇'(시작표시)(24)와 '△'(종료표시)(25)가 표시된다.
동시에 리피트가 종료한 것을 표시해야만 하고, 제24e도에서 공백인 항목에 휘선부 문자를 기입하는 것과 함께 표시하고, 행 리피트 처리를 끝마치고, 제17도의 스텝 S41로 되돌아 온다.
전술한 표지정 표시는 해당 기준선중의 특정 비트를 표지정 표시 비트로 이용하고, 이 비트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표지정 표시를 쓰기도 하고, 지우기도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해서, 견적서의 전항목에 대해서 정의가 가등록(텍스트 메모리(M1)상에서 휘선부 문자를 세트한 것만으로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는, 미세트)한 상태가, 제24g도이다.
이렇게 해서, 항목 정의의 상태가 표시되고, 문자 사이즈, 범위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이 정의가 좋다고 판단하면, 종료키(F11)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제3도의 스텝 S6에서 카드 설계 루틴 종료가 판단되고, 스텝 S7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 루틴, 즉 카드 루틴에 가등록된 항목 단위 정의 정보를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하는 루틴이 실행된다.
이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스텝 S7)를 제20도 및 제21도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텍스트 메모리(M1)에는 제24g에 표시한 것과 같이 텍스트 데이터가 내장되고 있고, 가정의 되어 있는 항목 정의 조건을 1행씩 판단 처리해서 항목관리 테입블(T3)에 세트한다. 즉, 스텝 S110에 있어서 처리하는 행을 1행에 세트하고, 스텝 S111에서 처리하는 칼럼(자릿수)를 좌측 단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 표지정 시작 표시인지, 여부를 체크해서, 시작 표시는 5행째까지 없이 NO이므로 스텝 S119로 이행해서, 여기서 항목시작 단위가 어떤지를 체크한다.
현재의 경우 8행째까지 항목이 없으므로 스텝 S115로 이행하고, 스텝 S115에서 처리 칼럼이 우측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NO로 되어 스텝 S116에 있어서 처리 칼럼을 한문자 우측으로 진행시켜, 스텝 S112으로 되돌아 오며, S112→S115→S1160→S112→S115의 플로우로, 처리 칼럼이 우측단으로 되면 스텝 S115에서 최종행인지 여부를 판단해서 스텝 S117로 이행한다.
스텝 S117이 NO로서 스텝 S118에서 처리하는 행을 1행씩 진행시켜, 스텝 S111로 되돌아 온다. 2행째 내지 4행째는 1행째와 동일한 처리로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는 아무것도 세트되지 않는다. 제5행째의 처리에 들어가서, 스텝 S112에서 시작 표시가 식별되고, 표지정의 체크를 하는 스텝 S113으로 이행한다. 이 처리는 제12도에 표시한 플로우 차트에서 실행한다.
스텝 S125에서 제26도에 표시한 표지정 테이블에 이미 정보가 세트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한다. 이 경우 NO로서 스텝 S126으로 이행해서, 타입난에 0(0:행 리피트 및 열 리피트 없이, 1:행 리피트 있음, 2:행 리피트 있는 정보)이 세트되어, 시작 표시의 시작행 및 시작 자리수가 각각 세트된다.
전술한 타입의 정보는 행 리피트의 처리 스텝 S63 또는 열 리피트의 처리 스텝 S64(나중에 설명)에서 리피트가 실행될 때, 그 정보를 레지스터에 메모리시켜 두고, 이것을 이용한다. 계속해서, 스텝 S127에서 처리 칼럼을 1문자 우측으로 진행시켜, 스텝 S128에서 표지정 끝표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NO이며, 스텝 S131에서 처리 칼럼이 우측단이 아닌지를 판단해서, NO로써 스텝 S127로 되돌아 온다.
처리는 스텝 S128→S131→S127→S128→S131의 반복으로서 시작 표시행을 우측단 칼럼까지 진행시킨다. 스텝 S131에서 YES가 판단되면, 스텝 S132에서 최종행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 S132가 NO로서, 처리하는 행을 1행 진행시켜 스텝 S133이 실행된 후, 스텝 S134에서 처리 칼럼을 표시지정의 시작 칼럼으로 진행시켜 스텝 S127로 되돌아 온다.
지금 처리행은 항목명난에, 시작 표시도 없고, 정의 지정 항목도 없으므로, 처리는 스텝 S127→S128→S131→S127을 반복해서, S131에서 YES가 판단되면 스텝 S131→S132→S133→S134로서 다음행의 처리에 들어간다.
다음행은 기준선이므로, 앞행과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행처리가 제17행째가 되어서 스텝 S128에서 표지정 끝 표시가 검출되면, 스텝 S129에서 표지정 테이블의 종료 행난에 끝 표시의 행, 자릿수를 세트한다.
그후 스텝 S130에서 처리행을 표지정 시작행에, 처리 칼럼을 표지정 시작 칼럼에 각각을 세트하고, 표지정 체크 루틴을 끝으로 해서 제20도의 스텝 S114로 이행한다.
스텝 S114에서는 표지정 끝 표시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 에러 블럭을 정한다. 또 스텝 S128에서 표지정 끝 표시가 없는 경우, 스텝 S128→S131→S132에서 스텝 S135로 이행하고, 에러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스텝 S114에서 에러가 없으면 스텝 S115→S116→S112→S119의 경로로 처리되며, 표지정 시작행에서 항목을 찾는 루틴이 시작된다. 즉, 8행째에 있어서, 처리 칼럼이 제9칼럼으로 되면, 스텝 S119에 있어서, 'X'문자의 휘선 비트가 식별된다.
스텝 S120에서 해당 항목은 0 : 표 밖에 있는지 1 : 행 리피트 표안에 있는지 2 : 열 리피트 표의 안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항목이 1,2의 경우, 스텝 S127에서 그 정보(이 경우1)를 제27도에 표시한다. 항목관리 테이블(T2)의 표지정 정보난에 세트한다. 세트할 때는, 제26도의 표지정 테이블의 정보가 이용된다.
스텝 S121에서는 제2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자 사이즈 및 커서 사이즈가 전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항목 No.1의 커서 타입난에 '3'을 세트한다. 동시에 항목 타입의 '문자'인 것을 타입난에 세트한다.
스텝 S122에서 처리하는 칼럼을 해당 처리 항목의 최종 칼럼 다음까지 칼럼을 진행시킨다. 그후 스텝 S123에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 다른 정보를 세트한다. 즉, 자릿수 시작 단위는 스텝 S119에서 기억하고 있는 자릿수 시작 단위 '4'를, 행 위치는 스텝 S118에서 기억하고 있는 행 위치 '8'를, 데이터 길이는 스텝 S122에서 카운터 값을 각각 세트하고, 항목명은 항목 정의 위치(범위)를 함께 다음의 처리로 텍스트 메모리(M1)에서 문자 데이터를 읽어서 세트한다.
즉, 우선 제1스텝은 항목 시작 위치의 좌측 블럭(종 기준선으로 둘러 싸여진 구획)내의 문자를 읽어내고, 기준선이 없는 경우는 항목 시작 자릿수 위치의 왼쪽에서 마진까지의 범위 문자를 읽어 내는 처리를 한다.
좌측에 문자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제2스텝에서 해당 항목정의 위치의 상방 블럭의 문자를 읽어내고, 블럭이 없는 경우, 항목 정의 범위와 비슷한 자릿수 범위인 문자를 읽어낸다.
제3스텝은 제1스텝, 제2스템에서 문자를 읽을 수 없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문자 No.1','문자 No.2'...와 같이 항목명을 붙여서 테이블에 세트한다. 이 경우 항목의 형태와 NO와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이름을 붙인다.
표지정을 하고 있는 경우 행 리피트인 제2스텝을 우선으로 하고, 열 리피트이면 제1스텝을 우선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제2스텝에서 품명, 단가, 수량의 문자를 읽어내서 세트한다. 또 표지정이 되어 있는 경우는 항목명마다 1행 또는 1열마다 번호를 변환시킨다. 즉, 품명이면 품명 1, 품명 2...와 같이.
이렇게 해서, 항목 No.1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115→S116→S112→S119의 흐름에 의해 제8행에서 항목 No.1의 우측에 항목 설정 위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존재한다면 항목 No.2와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단가, 수량, 소계의 각 정의 항목에 대해서의 정의 정보가 제27도의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되어, 1행분의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를 마친다.
리피트 기능에 의해 정의된 항목 제10행, 제12행, 제14행 제16행에 대해서도 제8행과 동일한 순서로서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된다. 이렇게 해서 처리를 최종 자릿수까지 진행하면, 처리는 S115→S117를 경과해서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 루틴을 마친다. 또, 이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루틴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카드표 화면은 제24g도와 같이 되어 있다.
단지, 화면 아래에 카드 정의 표시 대신에 「항목정의 중입니다」의 표시와 함께, 몇 행째, 몇 자릿수째가 처리되고 있는지를 리얼타임으로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대해 처리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를 마치면 제3도의 테이블 세트의 판단처리 스텝 S8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제20도 스텝 S114로 세트된 에러 플래그를 보고, 플래그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또는, 정의 항목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에러 있음의 판단으로 되어 스텝 S5의 카드 설정으로 되돌아 오고, 오퍼레이터에 항목의 재정의를 요구한다. 스텝 S8에서 테이블 세트의 에러가 없다고 판단하면, 스텝 S9로 이행해서, 스텝 S9에서 제24g도로 나타낸다.
휘선부 문자 'X'를 제거한다. 스텝 S10에서 제24h도와 같이 카드화면을 표시한다. 현재의 경우 카드정의 직후이므로 공백의 카드가 표시된다. 스텝 S3에서, 데이터 처리 화일을 신규 작성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0으로 진행시키고, 거기서, 각 항목의 데이터와 카드의 양식 이미지 데이터가 합성된 1매째의 카드를 표시한다. 또, 스텝 S11에서는 이 카드에 커서(C2)를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항목관리 테이블(T3)의 커서 타입난에서 사이즈 데이터를 읽어서, 그 사이즈에 따라서 화면에 커서(C2)를 표시한다. 커서의 초기 설정 위치는 항목 No.1의 선두 자릿수로서, 항목 데이터 입력을 기다린다.
(□) 조건등록처리
다음에 제24h도의 화면에 있어서, 소계 1를 단가 1×수량 1로 정의하는 연산식의 정의 기능과 그 정의를 하방향 행의 소계 항목으로 반복하는 연산식 리피트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4i도의 화면(제3도 스텝 S12)의, 조건등록키(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스텝 S23으로 이동하고, 제22도 및 제23도에 처리의 상세함을 나타내고, 조건등록 처리를 한다. 즉, 제22i의 스텝 S140에서 화면을 상하로 분해해서, 스텝 S141에서 위측으로 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스텝 S142에서 아래측에 항목 조건 정의표를 표시한다(제24j도).
이 표에서 '항목명','형상','프로텍트','기입처리','처리정의','참조검색'이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이때 커서는 아래 화면에 이동 가능상태로 있다.
변환키(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스텝 S150으로 처리가 진행되고, 거기서 눌렀을 때 커서(C1)의 위치가 '프로텍트'의 열로 있는지, 없는지가 판단되어, YES이면 스텝 S154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프로텍트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프로텍트의 열 표시가 '하지 않는다'라면 '한다'로 '한다'라면 '하지 않는다'로 교환한다. 또, 초기값은 '하지 않는다'로 설정되어져 있다.
'프로텍트','하지 않는다'는 해당 항목의 입력 데이터를 접수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한다'는 것은 해당 항목 데이터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텍트되면 커서의 이동은 그 항목을 패스할 수(뛰어넘는다)있도록 제어한다.
스텝 S150에서는 커서(C1)가 '프로텍트'의 열에 없으면, 스텝 S151로 이행한다. 스텝 S151에서는 커서(C3)가, '기입처리'의 열에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하고, 있으면 YES가 판단되어, 스텝 S152로 이행해서 항목이 수치항목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수치항목의 경우 즉, YES이면 스텝 S153에서, '기입처리'의 '하지 않는다' 또는 '자동계산'을 각각 '자동계산' 또는 '하지 않는다'로 교환한다. 또, '기입처리'의 초기 값도 '하지 않는다'로 설정되어져 있다.
스텝 S151, 스텝 S152에서 NO가 판단되면 스텝 S143으로 되돌아 온다. 예를 들어, 최초의 조건 커서 설정시 커서(C1)를 항목명 '소계 1', '기입처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변환키를 누르면 S150, S151, S152, S153으로 처리 루프가 진행하고, '소계 1'의 '기입처리'를 '하지 않는다'에서 '자동계산'으로 교환하고, 스텝 S143으로 되돌아 온다.
여기서, 커서키(C1)를 조작해서 '처리정의' 열로 이동시키면(제24m도), 화면 아래에 '연산식 등록/변경','연산식 제거'의 기능키(F1)-(F10)의 입력 접수 표시가 된다.
처리 정의 등록을 하지 않고 기능키(F1)-(F5)의 어느것인가를 누르면, 기능키(F1)-(F10)의 어느것인가를 눌렀는가의 판단을 하는 스텝 S144에서 YES가 판단되고, 스텝 S145로 이행한다. 이 스텝 S145에서 커서(C1)가 처리 정의 열에 있고, 또한 항목이 수치항목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YES로서 기능키(F6)-(F10)의 어느것인가를 눌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 S146에서 NO가 판단되고, 제22b도이 연산식 정의 루프로 이행한다.
스텝 S160에서 화면 아래에 식정의 라인(L3)을 별도의 커서(C3)와 함께 표시한다. 스텝 S161에서 커서(C2)를 카드측(위쪽화면)으로 이동하고, 스텝 S162에서 키입력을 기다린다. 여기서, 커서(C2)를 조작하면 스텝 S168에서 커서(C2)가 카드중의 항목 사이를 이동한다.
커서(C2)를 우선 '단가'로 이동시키고(제24o도), 실행키(SW1)를 누르면(단가 1로 키입력하지 않고) 스텝 S163에서 '단가 1'이 항목관리 테이블에서 읽혀져서 식정의 라인에 세트되어 표시된다.
이어서, 연산자(+,-,×,÷)키의 X키를 누르면, 스텝 S167에서 '단가 1'의 다음에 'X'가 세트되어 표시된다. 게다가 커서키(C2)를 '수량' 항목으로 이동시켜(제24r도), 실행키(SW1)을 누르면 스텝 S163에서 'X'의 다음에 '수량 1'이 세트되어 표시된다.
연산식이 좋으면 종료키(F11)를 누르면 스텝 S169에서 YES가 판단된다. 스텝 S165에서 소계 1의 항목이 표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로 스텝 S166에서 화면 아래 연산식의 리피트를 할지의 여부를 묻는 표시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능키(F1)-(F5)가 눌려지면 스텝 S171로 이행해서 연산식 리피트를 하며, 키(F6)-(F10)를 누르면, 스텝 S162로 되돌아 온다.
연산식의 리피트 처리는 제23도(a)(b)로 나타낸 루프로 실행한다. 즉, 스텝 S180에서 소계 1의 처리 정의난에 세트되어 있는 연산식 「단가 1×수량 1」을 레지스터에서 꺼집어낸다.
스텝 S181에서 동연산식내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명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찾는다. 스텝 S182에서 발견하면, 스텝 S186으로 이행하며, 표내의 항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최초는 단가 1의 항목명이 발견되므로 YES라고 판단되고, 스텝 S187에서 단가 1 : 0(0은 표내 항목을 나타낸다)으로 체크 테이블에 세트하고, 스텝 S181로 되돌아 온다.
스텝 S181에서 NO인 경우, 스텝 S188에서 단가 1 : 1(1은 표의 항목을 나타냄)로 세트한다. 스텝 S181→S182→S186→S187의 루프로서 항목명을 붙이고, 체크 테이블에 수량 1 : 0으로 세트하고, 스텝 S181에서 S182로 이행하고, 여기서 NO로 되며, 스텝 S183에서 연산식을 리피트하는 항목을 찾는 루틴이 실행된다.
이 세트항목 색인 루틴은 제23도(b)에서 실행된다. 즉, 스텝 S200에서, 표의 타입이 판단되고, 행 리피트이므로, 스텝 S201로 이행한다. 스텝 S201에서 지정완료행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며, 이 경우 제24r도에서 커서(C2)행(정의 종료행)은 NO이므로, 스텝 S202에서 처리행을 1행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 처리 칼럼을 연산식이 정의한 소계(1)의 항목이 시작 자릿수까지 진행되어, 스텝 S204에서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항목관리 테이블(T3)을 참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처리행은 기준선이므로, NO로서 스텝 S201로 되돌아간 다음 행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202→S203→S204 에서 소계(2)의 항목이 발견되면, 스텝 S205에서 항목 번호를 항목 번호 레지스터에 기억한다. 이 경우, 소계(2)의 항목 번호(8)를 기억해서 항목 탐색 루틴을 끝마친다. 이어서, 스텝 S185에서 체크 테이블을 주사하고, 세트되어 있는 항목을 찾는다.
「단가 1」이 발견되므로, 스텝 S191에서 YES가 판단된다. 스텝 S193에서 세트값이 (1)인지 (0)인지를 판단하고, (0)이므로 스텝 S194로 이행해서 전술한 항목 탐색 루틴을 실행한다. 여기서는 단가(1)에 대응하는 단가 항목이 있는지 여부의 탐색을 한다.
제10행째에서 단가(2)의 항목이 발견되어지므로 스텝 S195에서 YES로 되며, 스텝 S196에서 레지스터에 세트되어 있는 연산식의 단가 1×수량 1의 단가(1)를 단가(2)에 치환해서 스텝 S190으로 되돌아 온다. 동일하게 수량(1)에 대해서도 처리가 되고, 레지스터에 세트되어 있는 연산식은 단가 2×수량 2로 된다.
스텝 S190에서 세트항목의 주사를 마치면 스텝 S191로 이행해서, 소계(2) 항목의 처리 정의난에 레지스터식을 세트한다. 처리가 최종행까지 진행되어, 스텝 S185에서 NO가 판단되면 연산식 리피트의 처리를 종료하고, 제22도(b)의 스텝 S162로 되돌아 온다. 또, 스텝 S195에서 NO가 판단되면, 동일하게 스텝 S162로 되돌아 온다.
연산식 리프트 처리는 제24t도와 같이 '처리중'의 표시를 화면 아래에 나타내고, 처리가 종료되면 항목 조건 정의표의 처리 정의난의 소계(2), 소계(3)...의 항목에 연산식을 표시해서 세트 종료를 통지한다. 또, 스텝 S192에서는 프로텍트 및 기입처리(자동계난)난의 세트도 동시에 한다(제24u도, 제24v도).
제24v도의 표시화면에서 연산식의 등록을 제거한다. 즉, 연산식 제거를 할 경우는 커서(C1)를 제거하고 싶고, 정의식이 표시된 곳에 위치시키고, 기능키(F6)-(F10)의 어느것인가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제22도(a)에서 S144, S145, S146을 지나서 스텝 S147로 이행하며, 여기서 YES가 판단되고, 스텝 S148에서 식을 없앤다. 즉, 항목관리 테이블(T3)의 처리 정의난에 저장한 정의식은 클리어된다.
여기서, 아래 화면에 나타난 항목의 정의 조건의 내용에서 좋은 경우, 종료키(F11)를 누르면, 스텝 S119로 이행하고, 프로텍트 기입처리, 처리정의에 관한 데이터가 표시 내용대로 제27도와 같이 항목관리 테이블(T3)에 세트된다. 즉, 이 조건등록에서 새로이 정의된 정의내용(프로텍트, 기입처리, 처리정의)과 반경된 내용(항목명은 항목관리 테이블 세트의 스텝 S7에서 이미 세트되어 있지만 변경가능)이 세트되고, 스텝 S143으로 되돌아 온다.
또한, 종료키(F11)를 누르면, 스텝 S155에서 화면이 2분할 화면에서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며(제24w도), 조건 등록 루틴이 종료하며, 제3도의 스텝 S12로 이행한다.
제24w도(스텝 S12)에서 문자키로 품명을 입력하면, 항목 데이터 입력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그 상세한 처리 루프는 제28도에 표시한다. 즉, 스텝 S202에서, 항목 데이터의 입력이 제24w도 내지 제24y도와 같이 접수되어 수량 '250'의 입력을 해나가면, 스텝 S221에서 입력된 항목이 변한것에 의해 다른 항목에서 변화하는 것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항목관리 테이블(T3)를 참조해서 실행한다.
스텝 S221의 YES에서 스텝 S222로 이행하며, 100×250=25,000의 정의식 계산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며, 소계 1 항목에 입력되며, 레코드 메모리에 세트된다(제24z도).
제25aa도 내지 제25ac도는 레코드 입력과 자동계산에 의해 표시화면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3) 열 리프트 기능
제17도의 표시 지정 루틴의 스텝 S62에서 열 리프트가 선택되면, 제19도에 나타난 열 리피트의 루틴(S64)이 실행된다. 이 열 리프트는 예를 들어 제2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항목난이 종(행)방향으로 존재하고, 정의 항목이 횡(열)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열 방향으로 항목 정의를 리프트한다.
이 처리는 1행씩, 1블럭씩 우측 방향으로 진행한다. 즉, 스텝 S90에서 커서키의 상, 하 이동키를 조작해서 범위 지정을 한다. 이것은 제24e도 및 제24f도와 동일하게 행하여 지고, 적어도 정의가 완료된 항목과 그 우측 방향의 인접 블럭(리피트하는 항목을 포함한 종기준선에서 좁혀진 블럭)을 한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도록 범위 지정을 한다.
이 예로서는 제24f도와 동일하게 표전체를 범위 지정(화면상에서 지정범위도 흑반전)한 것으 설명한다. 범위 지정이 도면 표시의 상태에서 좋으면 실행키(SW1)을 누른다. 이렇게 하면 스텝 S92에서, 처리하는 행을 범위 지정 시작행+1로 진행되며, 스텝 S93에서 처리하는 칼럼을 범위 지정 시작 위치로 진행시킨다.
스텝 S94에서 지정완료 칼럼인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NO에서 스텝 S95로 이행하며, 항목 시작 위치 여부를 판단한다. 항목 시작 위치가 아닌 경우, 스텝 S95에서 처리 칼럼을 1문자분 우측으로 진행시켜 스텝 S103으로 이행하며, 스텝 S94로 되돌아 온다.
스텝 S95에서 항목(품명 XXX)시작 위치를 발견하면, 스텝 S96에서 해당 항목 종료 위치 다음의 칼럼 까지 처리 칼럼을 진행한다. 스텝 S97에서, 열 리프트 처리 테이블에 해당 항목폭을 세트하는 것과함께 항목의 내용(XXX)을 레지스터에 메모리한다.
스텝 S98에서 처리 칼럼을 다음의 우측 블럭(종기준선으로 끼운 구획)으로 진행하며, 스텝 S99에서 처리 칼럼이 범위 지정 완료 칼럼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99가 NO인 경우, 스텝 S100에서 해당 블럭 폭과 처리 테이블 항목폭을 비교한다.
블럭폭항목폭의 경우는 스텝 S102에서 처리 칼럼을 다음의 블럭으로 진행시킨다(복사하지 않고 패스처리). 블럭폭=항목폭의 경우는 스텝 S101에서 해당 처리 블럭내에 레지스터의 항목 내용을 복사한다.
블럭폭항목폭의 경우는 스텝 S104에서 항목의 형태가 문자인지 수치인지를 판단하며, 문자인 경우 해당 처리 블럭내에서 왼쪽으로 접근해서 레지스터의 항목 내용을 복사하고, 수치인 경우, 해당 블럭내에서 오른쪽으로 접근해서 처리 테이블의 내용을 복사한다. 이렇게 해서 품명 항목의 블럭에 대해서의 열 리프트가 행해진다.
일열분의 열 리프트를 마치면, 스텝 S99에서 YES가 판단되고, 스텝 S107에서 범위 지정 최종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107이 NO인 경우, 스텝 S108에서 처리행을 1행 진행시켜 스텝 S93으로 되돌아 오고, 다음행처리를 한다.
다음행은 기준선이므로, 복사 처리는 하지 않고, 다음 단가행의 복사처리 행으로 이행한다. 이 행에서의 처리는 전술한 품명 행의 열 리프트와 동일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른 것은 스텝 S104에서 수치가 판단되고, 스텝 S106에서 복사에 의해 오른쪽으로 접근해서 처리가 되며, 보기 쉽게 표시된다. 또, 설명하지 않았지만 일시, 즉○○시 ○○분과 같은 경우도 수치와 동일하게 오른쪽으로 접근해서 처리한다.
동일한 수량, 소계의 행복사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처리가 범위 지정 최종행, 최종 칼럼이 되면, 스텝 S99→S107로 진행해서 열 리프트 처리를 끝마친다. 또, 연산식 정의의 열 리프트는 제23도(a)(b)에서 열 리프트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리피트 처리는 제29도의 소계행 만으로만 실행된다.
특히 행 리피트와 다른 것은 항목 탐색 루틴(제23도(b))의 스텝 S200에서 표 타입이 열 리프트로 판정되면, 스텝 S207로 이행한다. 여기서, 정의가 끝난 항목 다음의 오른쪽 블럭의 시작 칼럼으로 처리 칼럼을 진행시키고, 스텝 S208에서 해당 블럭의 종료 칼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208의 NO에 의해서 스텝 S209에서 해당 처리 블럭내에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없다면 스텝 S207로 되돌아 오며, 다음의 오른쪽 블럭으로 처리 진행한다. 스텝 S209에 있다면 스텝 S210에서 항목 NO 레지스터에 세트시켜 항목 탐색 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208에서 YES가 판정되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하는 플래그을 정하여 탐색 루틴을 마친다. 또, 블럭내에 항목이 있는지의 여부 판정은 블럭내에서의 항목 시작 위치는 항목 위치 정의 리피트에서 미리 알고 있으므로, 블럭의 시작 칼럼에서 종료 칼럼까지 주사하지 않고, 갑자기 항목 시작 위치를 보는 것으로서 판정 가능하다.

Claims (20)

  1. 복수의 필드명을 포함한 카드 이미지 및 그 카드 이미지내에 상기 필드명으로 정의된 필드 복수에 입력된 필드 데이터 복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카드 이미지를 기억하는 제1기억장치와, 상기 필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기억장치와, 상기 카드 이미지내의 필드에 대한 소정수 문자의 표시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각 필드의 내용을 정의하는 필드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장치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내의 상기 필드의 표시범위를 지정하는 표시범위 지정 장치와,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에서 지정된 표시범위를 위치 정보로 필드 표시범위내에 표시할 수 있는 소정수 문자를 상기 제1기억장치에 격납시키는 격납제어 장치와, 그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필드 표시영역의 카드 이미지 및 소정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내용에서 상기 소정문자를 검색하고, 검색한 소정문자에 의해 설정된 표시범위를 해석하고, 해석결과를 상기 필드 정의 정보로서 상기 제3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기억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제어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격납 지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의 커서의 이동으로서, 상기 표시범위를 지정할 때, 상기 커서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표시 범위를 상기 표시장치에 반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데이터의 형태를 지정하는 데이터형 지정장치를 더 갖추고, 상기 격납 제어장치는 상기 데이터형 지정장치에서 지정한 데이터형태에 따라서 소정문자를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입하고, 상기 제3기억장치는 상기 필드 데이터의 지정된 표시범위와 데이터 형태를 포함한 필드 정의 정보조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커서 및 게다가 상기 커서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사이즈 설정 장치를 갖추고,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설정된 사이즈의 커서로서, 상기 표시범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형 지정장치는 필드의 데이터 형태로서 문자 또는 수치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형 지정장치는 필드 데이터의 형태로서 문자, 수치 또는 날짜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의 미표시 부분에서 표시범위의 지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상기 표시장치에 어떤 문자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범위에서 표시범위의 지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표시된 필드 데이터에 기초로해서 커서 사이즈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형 지정장치는 표시형식이 날짜일 때, 날짜표기의 형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표시된 필드 데이터가 날짜일 때, 표시된 날짜에 기초로해서 날짜표기의 형태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상기 필드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의 지정을 표시범위의 지정에 의해 지정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4. 복수의 필드명을 포함한 카드 이미지 및 그 카드 이미지내에 상기 필드명으로 정의된 필드 복수에 입력된 필드 데이터 복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카드 이미지를 기억하는 제1기억장치와, 상기 필드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기억장치와, 상기 카드 이미지내의 필드의 표시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각 필드의 내용을 정의하는 필드 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제3기억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카드이미지내의 상기 필드의 표시범위에 대한 소정수의 문자를 지정하는 표시범위 지정장치와,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에 지정된 표시범위를 위치 정보로서, 필드 표시범위내에 표시 가능한만큼 소정수 문자를 상기 제1기억 장치에 격납시키는 격납제어 장치와, 그 격납 제어장치에 의해 격납동작이 종료했을 때, 상기 제1기억장치에 기억된 카드 이미지 및 필드 표시영역의 소정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와, 필드정의 정보를 행 또는 열로서 반복해서 이용할 때, 행 또는 열의 반복 범위를 지정하는 반복범위 지정장치와, 상기 제1기억장치에 격납된 소정문자를 지정된 반복범위의 행 또는 열에 대해서 상기 제1기억장치에 반복해서 격납하는 반복격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범위 지정장치는 커서의 행 또는 열 방향의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반복범위의 지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6. 복수의 필드명을 포함한 카드 이미지 및 그 카드 이미지내에 상기 필드명으로 정의된 필드 복수에 입력된 필드 데이터 복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내의 상기 필드의 표시범위를 지정하는 표시범위 지정장치와, 그 표시범위 지정장치에 지정된 표시범위에 표시가능한 만큼 소정수의 문자를 상기 카드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범위 지정장치는 커서의 이동으로서, 상기 표시범위를 지정할 때, 상기 커서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표시범위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8. 복수의 필드명을 포함한 카드 이미지 및 그 카드 이미지내에 상기 필드명으로 정의된 필드 복수에 입력되는 필드 데이터 복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내의 상기 필드의 표시범위를 지정하는 표시범위 지정장치와, 상기 필드 데이터의 형태를 지정하는 데이터형 지정장치와, 그 표시범위 지정장치에서 지정된 표시범위에 표시 가능한 만큼, 상기 데이터형 지정장치에서 지정된 데이터형태에 따른 소정수의 문자를 상기 카드 이미지와 함께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19. 표시장치상에서 카드 이미지를 작성하는 제1스텝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내의 제1의 소정단위에서 제2의 소정단위까지 커서를 이동시키고 제1의 소정단위에서 제2의 소정단위까지 표시 가능한 소정수의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카드 이미지내에 필드를 정의하는 제2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터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텝은 커서를 이동시키는 스텝의 앞에 상기 필드의 형태를 지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KR1019900003090A 1989-03-07 1990-03-07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KR970006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54586A JP2760549B2 (ja) 1989-03-07 1989-03-07 情報処理装置
JP1054587A JPH02232764A (ja) 1989-03-07 1989-03-07 情報処理装置
JP??01-54586? 1989-03-07
JP1-54586 1989-03-07
JP??01-54587? 1989-03-07
JP1-54587 1989-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016A KR900015016A (ko) 1990-10-25
KR970006396B1 true KR970006396B1 (ko) 1997-04-28

Family

ID=2639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90A KR970006396B1 (ko) 1989-03-07 1990-03-07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30062A (ko)
KR (1) KR970006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158A (en) * 1996-08-22 1998-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ying predicted input between computer systems
US6137906A (en) * 1997-06-27 2000-10-24 Kurzweil Educational Systems, Inc. Closest word algorithm
USRE47442E1 (en) 2001-04-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10232907A1 (de) * 2002-07-19 2004-02-05 Agere Systems, Inc. Visuelle graphische Anzeige der Anzahl restlicher Zeichen in einem Editierungsfeld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US20050071753A1 (en) * 2003-09-30 2005-03-31 Udo Klein Variable size input areas in user interfaces
CN103294656A (zh) * 2012-02-27 2013-09-11 福州福昕软件开发有限公司 Pdf文档静态表单中添加可填写表单域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5777A (en) * 1981-05-18 1984-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ly rearranging spatially related data
JPS5968040A (ja) * 1982-10-11 1984-04-17 Fujitsu Ltd カード様式変更処理方法
EP0120977B1 (en) * 1982-10-11 1992-04-08 Fujitsu Limited Card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US4962475A (en) * 1984-12-26 1990-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document utilizing a plurality of windows associated with different data objects
JPS61275795A (ja) * 1985-05-31 1986-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US4939674A (en) * 1988-04-22 1990-07-03 Engineered Data Products, Inc. Label generation apparatus
JPH02250161A (ja) * 1988-09-06 1990-10-05 Sharp Corp 入力文字表示方式
JPH0778717B2 (ja) * 1989-01-19 1995-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016A (ko) 1990-10-25
US5230062A (en) 199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1400B1 (en) Text processing device
EP0163503B1 (en) Text processing system
US5745891A (en) Apparatus for rearranging the rows of information in a displayed table by highlighting a different column attribute
JPH04350768A (ja) 名刺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KR970006396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필드 정의 방법
US5835917A (en) Tabl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a partial ruled survey for facilitated table formation
US5781898A (en) Data retrieval condition setting method
US6088713A (en) Data processor for retrieving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an input character string and one or more selected text handling options
JP2845897B2 (ja) 文書検索・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S62271048A (ja) 索引出力装置
JPH0743624B2 (ja) 情報処理装置
JPH02228719A (ja) 情報処理装置
JPH0749757A (ja) データ一覧表示装置
JPH08123833A (ja) Cadシステムの注釈記入方式
JP2769865B2 (ja) 電子ファイル装置におけるインデックスの作成方法
JP2760549B2 (ja) 情報処理装置
JP2636472B2 (ja) 階層データ配置装置
JPH11126226A (ja) 帳票作成装置及び記憶媒体
CA1316265C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device aided thereby
JP323355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キー定義変更方法
JPH03226862A (ja) 情報処理装置
JPH03113672A (ja) データ検索装置
JPS61224070A (ja) ワ−ドプロセツサの内字呼出方法
JPH02181866A (ja) 情報処理装置
JPH02181867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