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27B1 -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 Google Patents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27B1
KR970004927B1 KR1019930002996A KR930002996A KR970004927B1 KR 970004927 B1 KR970004927 B1 KR 970004927B1 KR 1019930002996 A KR1019930002996 A KR 1019930002996A KR 930002996 A KR930002996 A KR 930002996A KR 970004927 B1 KR970004927 B1 KR 97000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field
data
loca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20779A (en
Inventor
박용철
백준기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927B1/en
Priority to US08/072,785 priority patent/US5748231A/en
Priority to JP28049993A priority patent/JPH07284016A/en
Publication of KR94002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An adaptive moving vector decision method and an apparatus where decides the figure of subject and the environment of image i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uses the correlation about the block matching, and stabilizes the images uniformly regardless of the moving frequency in the prescribed area.

Description

디지탈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적응형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 및 장치Adaptive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서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2진 에지로 젼환하고,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현재 필드의 2진 에지신호와 이전 필드의 2진 에지신호의 패턴을 매칭하여 상관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관도를 이용하여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국부움직임벡터 및 통계적 변수들을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백터발생부의 구성도.FIG. 2 converts the image signal received in FIG. 1 into binary edges, calculates the correlation by matching the pattern of the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and the binary edge signal of the previous field in units of local motion detection.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generates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in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sing the calculated correlation.

제3A도는 제2도에서 2진 에지신호를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패턴매칭하여 상관도데이타를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3b도는 상기 제3a도에서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을 구성하는 픽셀의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FIG. 3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correlation data by pattern matching a binary edge signal in units of a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n FIG. 2, and FIG. 3b shows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n FIG. A diagram illustrating the shape of a pixel to be described.

제4도는 제2도에서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 및 에지패턴매칭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and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in FIG.

제5도는 제2도에서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상관도를 분석하여 최대상관도를 검출하며, 최대상관도를 깆은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백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판단부의 구성도.FIG. 5 illustrates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FIG.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judging unit.

제6도는 제1도에서 통계적변수들을 이용하여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해당 가중치와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이용한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using statistical variables in FIG. 1 and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using the corresponding weight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

제7도는 제6도에서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에 대한 고립도와 안정도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불규칙 영상유무를 판별하여 적응적으로 해당 국부움직임벡터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발생부의 구성도.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weight generation unit that calculates weights of isolation and stability of local motion vector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FIG. .

제8도는 제5도의 국부움직임판단부에서 상관도를 이용하여 통계적변수 및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 및 제7도의 가중치발생부에서 불안정한 영상에 대한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후보움직임벡터와 상관도간의 특성도.FIG. 8 shows candidate motion vectors and correl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of FIG. Figure of the liver.

제9a도는 제7도의 가중치발생부에서 고립도가중치계산부가 국부움직임벡터들의 유사성 관계로 고립도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특성도이고, 제9b도는 안정도가중치계산부가 이전필드움직임벡터와 국부움직임벡터와의 관계로 판단하여 안정도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특성도.FIG. 9a is a characteristic diagram in which the weighting unit of the weight generating unit of FIG. 7 assigns the weight of the isolation degree to the simila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s. FIG. Characteristic chart that judges the relationship and weights stability.

제10도는 제6도에서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부터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가중치신호들을 각각 승산하고 그 승산결과들을 가산한 데이타를 가중치들을 가산산한 결과로 제산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의 구성도.FIG. 10 is a field for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by multiplying local motion vectors and weight signals detected from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FIG. 6 by adding weighted values as a result of adding weights.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otion vector determiner.

제11도는 제1도에서 패닝유무 식별 및 누적움직임벡터의 상태에 따라 적정 감쇄계수를 선택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감쇄하고,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에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는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의 구성도.11 is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for attenu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selecting an appropriate attenu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panning presenc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n FIG. Diagram.

제12도는 제11도의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가 이전누적움직임벡터의 상태와 패닝 유무에 따라 적정 감쇄계수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n appropriate attenu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nning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part of FIG.

제13도는 제1실시예에서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와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 사이에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를 삽입하여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FIG. 1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by inserting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between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and an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in the first embodiment.

제14도는 제13도에서 누적움직임벡터 및 평균 최대상관도차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미세한 오류움직임을 제거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의 구성도.FIG.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for removing fine error motion by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a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n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in FIG. 13.

제15a도는 제14도중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에서 처리하는 누적움직임벡터와 오류벡터보상값간의 상관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5b도는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에서 평균 최대상관도차와 오류벡터보상값간의 상관특성을 나타내는 도면.FIG. 1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lation characteristic between an accumulated motion vector and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processed by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in FIG. 14, and FIG. 15B is an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and error in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A diagram showing the corre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vector compensation values.

제16도는 제1실시예에서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와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 사이에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를 삽입하여 변형된 제3실시예의 구성도.FIG.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modified by inserting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between a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and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in the first embodiment.

제17도는 제16도에서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와 평균 최대상관도차의 상관관계를 판단하여 미세한 오류움직임을 제거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의 구성도.FIG. 17 is a block diagram of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for removing fine error motions by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a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n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in FIG. 16.

제18도는 제16도에서 패닝유무 식별 및 누적움직임벡터의 상태에 따라 적정 감쇄계수를 선택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감쇄하고 누적움직임벡터와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는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의 구성도.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for attenuating a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ccumulating a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by selecting an appropriate attenu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 panning presence identification and a cumulative motion vector in FIG. 16.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 12 :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1: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2: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3 :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 14 :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3: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4: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5 : 필드메모리 21 : 에지검출부15: field memory 21: edge detector

22 :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 23 : 에지패턴매칭부22: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3: edge pattern matching unit

24 : 국부움직임판단부 61 : 가중치발생부24: local moving judgment 61: weight generator

62 :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 16 :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62: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16: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7 :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본 발명은 영상 안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안정화 시스템에서 영상 안정화를 위한 움직임 벡터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determining a motion vector for image stabilization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는 최근 소형, 경량화, 고배율의 디지탈 줌 및 특수효과 등이 탑재된 다기능을 선호하는 추세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흔들림이 수반되고, 광학 혹은 디지탈 줌(Zooming)에 의한 원거리 피사체를 확대할 경우 흔들림이 증폭되게 되며, 차량의 내부와 같은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안정화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 안정화시스템(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이하 DIS시스템이라 칭함)에 의한 보정기능이 필수적인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In general, video cameras are being developed in recent years, with the preference for multifunction equipped with small size, light weight, high magnification of digital zoom and special effects. In this case, when the camera is taken, the shaking of the image is accompanied by the shaking, and when the remote subject is enlarged by the optical or digital zooming, the shaking is amplified, and the stabilized image is provided even in an unstable environment such as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this reason, the correction function by the 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 system) has emerged as an essential element.

상기와 같은 영상안정화시스템의 개념은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두영상 프레임간의 움직임 벡터를 결정한후, 뒤해 오는 영상 프레임의 위치를 앞서 검출한 움직임 벡터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흔들리는 영상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종래의 영상 안정화 방법에는 각속도 센서에 의한 손떨림 검출을 기계적인 촬상 광학계의 제어에 의해 실현하는 기술이 Oshima등에 의해 개시되었다(M. Oshima, et. al., VHS Camcorder with Electronic Image Stabilizer, IEEE Tran. Consumer Elec., Vol. 35, no.4,pp. 749-758, November 1989).상기와 같은 Oshima의 영상 안정화 방법은 원치않는 카메라이 각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자이로센서를 사용하고, 렌즈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영상의 변동을 보상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 안정호 방법은 보정 매카니즘의 증가로 소형, 경량화를 요구하는 제품의 추세에 부적합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concept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to determine a motion vector between two consecutive video frames in time, and then stabilize the shaking image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ollowing image frame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previously detected motion vector. A conventional image stabilization method for such a function has been disclosed by Oshima et al. (M. Oshima, et. Al., VHS Camcorder with Electronic Image Stabilizer) to realize image stabilization by an angular velocity sensor by control of a mechanical imaging optical system. , IEEE Tran. Consumer Elec., Vol. 35, no.4, pp. 749-758, November 1989) .Oshima's image stabilization method uses a gyro sensor to detect an angular velocity of an unwanted camera.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the imag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unit. However, the image stabiliz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s unsuitable for the trend of products requiring small size and light weight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rrection mechanism.

DIS시스템은 단지 영상의 디지탈 신호 처리에 의해 손떨림량을 검출하고, 영상특성을 식별하여 적응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는 LSI기술에 의해 손떨림 보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DIS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소의 하드웨어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구성(motion estimation)과, 다변하는 조건에서도 적응적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가지는 것이 중효한 요소이다. 상기 움직임 판단유니트는 일반적으로 백준기(Paik)등에 의해 제안된 블럭 매칭 알고리즘(Block Matching Algorithm :BMA)을 전제로 트라이-스테이트 적응형 선형 뉴런(Tri-State Adaptive Linear Neurons : ADALINES)을 이용한 에지 매칭(edge matching) 기술(J.K.Paik, Y.C.Park, S.W.Park, An Edge Detectio Approach to Digita1 Image Stabilization Based on Tri-State Linear Neurons IEEE Trans. Consumer Elec., Vol. 37.no.3,pp.521-530, August 1991.)과, Umori 등에 의해 제안된 BERP(Band Extract representative Pont)매칭기술(K. Umori, et. al.,Automatic Image Stabilizing System by Full-Digital Signal Processing,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vol. 36, no. 3, pp.510-519, August 1990.)과, Komarek등에 의해 제안된 3단계 탐색(Three Step Search)방법(T.Komarek, et. al., VLSI Architecture for Hierachichical Block Matching Algorithms,IEEE Trans. consumer Elec., pp. 45-48, August 1990.)등이 있다.The DIS system detects image stabilization only by processing digital signals of an image, and performs image stabilization by LSI technology that identifies image characteristics and adaptively controls the system. In order to implement the DIS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o have a motion estimation that determines the motion of an image by a minimum of hardware and an algorithm that can adaptively determine a motion vector even under varying conditions.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is generally based on a block matching algorithm (BMA) proposed by Paik et al. edge matching) technology (JKPaik, YCPark, SWPark, An Edge Detectio Approach to Digita1 Image Stabilization Based on Tri-State Linear Neurons IEEE Trans.Consumer Elec., Vol.37.no.3, pp.521-530, August 1991.) and BERP (Band Extract representative Pont) matching technology proposed by Umori et al. (K. Umori, et. Al., Automatic Image Stabilizing System by Full-Digital Signal Processing,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vol. 36 , no. 3, pp. 510-519, August 1990.) and the three-step search method proposed by Komarek et al. (T.Komarek, et. al., VLSI Architecture for Hierachichical Block Matching Algorithms, IEEE). Trans.consumer Elec., Pp. 45-48, August 1990.

일반적으로 DIS시스템은 매 필드에서 검출된 움직임 벡터로 화면 전체의 움직임을 보정하게 되는데, 실제의 영상 특성상 중심 영역에는 주요 피사체에 의한 움직임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여 모서리 부분등의 M개의 국부 움직임 벡터 검출 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M개의 움직임 검출 영역으로부터 움직임 벡터 판단유니트에 의해 각각의 국부 움직임 벡터(Local Motion Vector)가 얻어지고, 그것들의 다양한 형태의 상관도 데이타(correlation data)가 움직임 결정 유니트의 입력이 된다.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국부움직임벡터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검출될 수 있으므로 움직임 결정 유니트에 의해 영상 상태에 적응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의 최적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필드움직임벡터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Umori는 상기와 같은 움직임 결정 유니트의 구현을 위하여 상관도와 국부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마이컴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In general, the DIS system compensates for the movement of the entire screen with the motion vectors detected in each fiel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image, it is expected that the movement by the main subject will exist in the center region. Has Each local motion vector is obtained from these M motion detection regions by a motion vector determination unit, and their various types of correlation data are input to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Since the local motion vector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ete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ubject,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field motion vector representing the optimal motion of the video camera adaptively to the image state. Umori proposes a method of processing by a microcomputer using a correlation and a local motion vector to implement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지 Umori에 의해 제안된 방법은 마이컴을 사용하는 관계로 순수 하드웨어로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야기된다. 그러나 움직임 판단시 에지 매칭 기술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움직임 결정을 순수한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처리 속도도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proposed by Sangji Umori has a problem of implementing it in pure hardware because it uses a microcomputer. However, when the edge matching technique is used to determine the motion, the motion decision can be implemented in pure hardware, and thus the processing speed can be very high.

그리고 상기와 같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영상을 안정화시키는 종래의 방법은 화면 전체를 다수의 소화면으로 분할하고, 여기서 각각 구해준 해당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적당한 방법으로 조합하여 전체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영상의 불규칙한 환경과 잡음 등의 영향으로 움직임 벡터가 오검출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되어 영상 안정화의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하지 않는 영상 조건들은 카메라의 의도적인 패닝이 일어나는 경우, 낮은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갖는 영상, 반복적인 형태가 있는 영상,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영상, 2개 이상의 국부움직이벡터들이 발산하고 있는 영상, 그리고 잡음에 의하여 움직임 벡터가 시간적으로 미세하게 변화하는 영상등이 있다. 따라서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하지 않는 영상이 발생되더라도 적응적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여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stabilizing an image i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divides the entire screen into a plurality of small screens, and determines the overall motion vector by combining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s obtained from each of them in a suitable manner. However, in the above method, the motion vector is erroneously detected due to the irregular environment of the image and the noise, resulting in instability of the whole system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entire system. As described above, unwanted image conditions include images with low contrast, images with repetitive shapes, images with moving objects, and two or more local motion vectors emitted when intentional panning of the camera occurs. There are images, and images in which a motion vector changes minutely due to noise. Therefore,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stabilize the image by adaptively determining the motion vector even when the unwanted image is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영상의 환경 및 피사체의 형태를 판단하여 적응적으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determining a motion vector by determining an environment of an image and a shape of a subject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블럭 매칭에 의한 상관도를 사용하는 적응형 움직임 벡터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aptive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correlation by block matching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움직임 주파수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영상을 안정화시킬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stabilizing an image continuously and uniformly regardless of a moving frequency within a range in which a motion does not exceed a preset range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카메라의 의도적인 패닝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응하여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in response to an intentional panning of a camera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having low contrast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반복적인 형태가 있는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having a repetitive form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영상을 안정화시킬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having a moving object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 잡음에 의하여 움직임 벡터가 시간적으로 미세하게 변화하는 영상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n image in which a motion vector changes in time by noise in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탈 여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2진의 에지데이타로 변환하고, 현재의 필드 및 이전 필드의 에지데이타의 패턴을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의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수신하며, 상기 국부위직임벡터의 고립도 및 안정도를 계산하여 가중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중치들과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증산한후 필드 주기로 연산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감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및 상관도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기임벡터로부터 의도적인 패닝 유무를 식별하고,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의 발생유무에 따라 상기 감쇄수단의 감쇄값을 선택하며, 상기 감쇄수단을 출력하는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감쇄수단으로 인가하는 수단과, 상기 영사데이타를 수신하여 필드 단위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여 영상데이타에 포함된 움직임벡터를 적응적으로 보정하여 안정한 영상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digital image data generated from a camera, converts received image data into binary edge data, and detects local motion by matching patterns of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and the previous field. Means for sequentially generating the correlation data of the area units, analyzing the generated correlation data, and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sequentially, and the locally generated motion vector And statistical variables, calculates the weight by calculating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local position vector, and calculates the field motion vector by increasing the calculated weights and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s at field periods. And attenuating means and said field motion vector and correlation. Receives and identifi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ntional panning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and selects the attenuation value of the attenu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for outputting the attenuation means Means for accumulating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a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pplying it to the attenuation means, a memory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rojection data in units of fields, and receiv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a stable image screen by adaptively correcting a motion vector included in the image dat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한다. 하기 설명에서 특정 수치 데이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 내용들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은 1필드의 영역을 4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분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타들을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tents described as specific numerical data as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suming a process of dividing an area of one field into four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Therefo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data can be modified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로서, 카메라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타는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 및 필드메모리(15)로 인가된다. 상기 국부움빅임벡터발생부(11)은 디지탈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로부터 현재 필드의 2진 에지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필드의 2진 에지신호를 이전 필드의 2진 에지신호와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패턴을 블럭 매칭시켜 연속적인 두 필드간의 비교에 의한 상관도를 계산하고, 이 상관도데이타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Local Motion Vector; LMV)및 통계적변수들을 발생한다.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상기 국부움직빅임벡터발생부(11)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국부움직임벡터 LVM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수신한다.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수신되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변수들로부터 완전한 1필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필드움직임벡터(Field Motion Vector : FMV)를 발생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누적하여 연속적인 필드 사이의 흔들림을 최초의 상태로 안정화하기 위한 누적움직임벡터(Accumulated Motion Vector : AMV)를 발생한다. 필드메모리(15)는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되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타를 리드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으로부터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로부터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필드메모리(15)로 인가하는 동시에 필드메모리(15)로부터 리드되는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에 의해서 발생되는 외곽 부분의 여백 데이타를 보상하는 디지탈 줌 프로세스(digital zooming process)를 수행한다. 즉,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필드메모리(15)로부터 수신되는 여상데이타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한 움직임 보상에 의해 외곽 부분의 여백 데이타를 보상할 수 있도록 디지탈 줌 프로세스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디지탈 줌프로세스 과정에서는 영상 신호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영상의 일정 부분을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영상을 출력한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digital image data generated from a camera is applied to a local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1 and a field memory 15. The local big vector generator 11 receives digital image data, detects a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s the detected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into a binary edge of the previous field. Block matching of the signal with the unit of signal and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fields, and using this correlation data, the local motion vector (LMV)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cal motion big vector generator 11 to receive local motion vector LVM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2 generates a field motion vector (FMV) representing the motion of one complete field from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and accumulates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to stabilize the shaking between successive fields to an initial state. Generates (Accumulated Motion Vector: AMV). The field memory 15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the read addres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14 generates a read address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nd applies the read address to the field memory 15 and is read from the field memory 15. A digital zooming process is performed to receive image data and to compensate for margin data of the outer portion generated by motion compensation. That i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14 digitally zoom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field memory 15 by the read address to compensate for the margin data of the outer portion by the motion compensa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igital zoom process interpolates an image signal, enlarge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mage, and finally outputs a stabilized image.

상기 제1도와 같은 영상안정화시스템에서는 기준 영상 및 비교 영상으로 되는 연속하는 두 영상들간의 움직임 벡터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먼저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들의 적당한 위치를 국부움직임검출영역(Motion Estimation Area : MEA)에 설정한다. 이후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기준영상이 존재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영상데이타와 비교영상이 존재하는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영상데이타를 비교하며, 이때 상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각 비교영상들은 해당 국부 움직임 벡터 후보에 의해 쉬프트된다. 상기 기준 국부움직임검출영역과 비교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영상데이타를 각각 비교할 시, 상관도(correlation value)는 해당하는 움직임 벡터 후보들에 각각 할당된다. 다수의 움직임벡터 후보들 중에 최대 상관도를 가지는 움직임벡터후보를 선택하여 해당 국부움직임벡터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보다 신뢰성있게 움직임 벡터를 판단하기 위해서, 단위 필드당 M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M개의 국부움직임벡터를 시간적 순서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국부움직임벡터를 판단할 시, 본 발명에서는 계산 및 저장 수단의 하드웨어 수를 감축하기 위하여 실제 영상데이타를 사용하거나 여파된 다중 비트 영상데이타를 사용하는 대신에 2진 에지 영상데이타를 사용한다. 따라서 국부움직임벡터 LMV 발생시 상기한 바와 같은 2진 에지 패턴 매칭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영상안정화시스템의 하드웨어를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이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움직임 주파수에 관계없이 연속적인 영상데이타를 균일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determine a motion vector between two consecutive images, which are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1 first moves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received image data. Set in the Motion Estimation Area (MEA). Thereafter,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1 compares the image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which the reference image exists with the image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which the comparison image exists, and compares ea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The images are shifted by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candidate. When comparing the image data of the referenc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the comparison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 correlation value is assigned to corresponding motion vector candidates, respectively. A motion vector candidate having the maximum correlation among a plurality of motion vector candidates is selected and output as a local motion vector. In addition,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1 determines M local motion vector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M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per unit field in order of time in order to more reliably determine the motion vector. In determining the local motion vecto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binary edge image data instead of using actual image data or filtered multi-bit image data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hardware of the calculation and storage means. . Therefore, by using the binary edge pattern matching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n case of local motion vector LMV generation, the hardware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can be greatly reduced.If the movement of the image data does not exceed the set range, it is continuous regardless of the movement frequenc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uniformly stabilize the image data.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면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로부터 M개의 국부움직임베터를 수신하여 기준 필드와 비교 필드간에 목적하는 움직임 벡터인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구한다. 상기와 같은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각 국부움직임벡터들의 고립도(isolativity)와 안정도(stability)에 대한 가중치들을 적응적으로 결정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가중치들을 국부움직임벡터와 조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출력을 수신하는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두 연속하는 필드 사이의 영상데이타 흔들림을 보다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연속하여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들을 누적하여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한다. 그리고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와 같이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으로부터 출력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여 상기 필드메모(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출력을 제어하여 움직임을 보상한다. 즉, 어드레서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여 상기 필드메모리(15)의 리드 어드레스를 계산하며, 상기 필드메모리(15)는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타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에 발생되는 외곽 부분의 여백 데이타를 보상하는데, 이는 보간에 방법으로 수신되는 영상데이타의 일정 부분을 확대(zoom)하여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By properly combin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motion vector FMV can be obtained. To this end,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receives M local motion vectorers from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to obtain a field motion vector FMV which is a desired motion vector between the reference field and the comparison field. In order to generate the field motion vector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adaptively determines weights for the isolation and the stability of each local motion vector, and determines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s are combined with the local motion vector. In additio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receiving the output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accumulates successively received field motion vectors FMVs in order to more stabilize image data shaking between two consecutive fields. Generat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utput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eld memo 15 as described above. To compensate. That is, the addresser and the zoom processor 14 receiv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to calculate the read address of the field memory 15, and the field memory 15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area. Outputs video data stored in. At this time,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compensates the margin data of the outer portion generated in the movement of the image data, which is finally stabilized by zooming a certain portion of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interpolation method. Will prin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안정화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와 필드메모리(15)로 이루어지는 5개의 구성 유니트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유니트에서는 다양하게 발생될 수 있는 영상데이타들의 불안정 조건들에 따른 영상데이타들을 적응적으로 보상한다. 상기 불안정한 조건은 고의적인 패닝(Panning)에 의해 화면이 이동하는 경우, 낮은 콘트라스트의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반복적인 형태를 갖는 영상인 경우,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영상인 경우, 움직임벡터에 잡음 성분이 존재하는 영상인 경우가 된다. 상기에서 고의적인 패닝이 발생되는 경우의 조건은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저하시키는 불안정 조건이 되며, 나머지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저하시키는 불안정 조건들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a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ddress control and zoom as shown in FIG. It has five structural units which consist of the processing part 14 and the field memory 15. FIG. The component unit adaptively compensates image data according to instability conditions of variously generated image data. The unstable condition is a noise component in a motion vector when the screen is moved due to deliberate panning, when a low contrast image is received, when the image has a repetitive shape, or when a moving object exists. This is the case with the existing video. In the above case, the deliberate panning is an unstable condition for reduc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rest are unstable conditions for lower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상기 제1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영상안정화시스템에 대한 제1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의 구성도로서, 에지검출부(21)은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실제 영상데이타인 현재 필드의 영상데이타로부터 2진 에지데이타(binary edge data)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에지검출을(21)의 구성 및 동작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제91-487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에지검출부(21)는 2진 에지데이타를 각각 에지패턴매칭부(23) 및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로 안가된다. 상기 이전필드우미지임검출영역저장부(22)는 M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검출부(21)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필드의 2진 에지데이타를 국부움직임검출영역단위로 스캐닝(Scanning)하고,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는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 저장중인 2진 에지데이타를 1필드 주기 동안 지연시키고,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부터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검출하는 시점에서 에지패텬매칭부(23)으로 출력한다.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는 상기 에지검출부(2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필드의 2진 에지데이타를 수신하고 이전필드국부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로부터 각각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이전 필드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다.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은 현재 2진 에지데이타외 이전 필드의 2진 에지데이타를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패턴 매칭하여 M개의 상간도데이타 COR들을 출력한다. 상기 이전필드국부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 및 에지패턴매칭부(23)의 구성 및 동작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제91-1020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의 출력을수신하며, 수신되는 상관도 COR들로부터 각각의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을 발생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of FIG. 1, wherein the edge detector 21 receives the image data, and receives binary edge data from the image data of the current field, which is the actual image data received. edge data) is detected and output.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edge detection 21 is described in detail in patent application 91-4871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dge detection unit 21 rests the binary edge data to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respectively. The previous field frame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includes M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d scans the binary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received from the edge detection unit 21 in units of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d store it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herefore,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delays the binary edge data stored in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for one field period, and the edge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from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Output to the pattern matching unit 23.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receives the binary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output from the edge detection unit 21, and transfers the previous field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from the previous field local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respectively. Receive binary edge data.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pattern-matches the binary edge data of the previous field in addition to the current binary edge data in the unit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outputs M phase data COR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previous field local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section 22 and the edge pattern matching section 23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tent application No. 91-1020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unit 24 receives the output of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nd generates local motion vector LVMs of respectiv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from the received correlation CORs.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1필드의 영상데이타를 2진 에지신호로 변환한 후,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해당하는 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4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은 기준움직임벡터검출영역(Motion Vector Estimation Area : MEA)를 중심으로 탐색움직임판단영역(Seach Motion Estimation Area : SMEA)이 있으며, 상기 탐색움직임판단영역 SMEA 내에서 두 개의 비교움직임벡터검출영역(Compared Motion Vector Estimation Area : CMEA)을 가진다. 상기 제3B도는 상기 기준움직임벡터검출영역 MEA 및 비교움직임벡터검출영역 CMEA의 영상데이타 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의 구성픽셀 수는 32*9로 가정하였다, 그리고 행 방향의 픽셀은 2개의 픽셀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63픽셀에서 기수 또는 우수 번째의 픽셀을 선택하면 되며, 열 방향의 픽셀은 4라인 주기로 하나의 픽셀은 선택한다. 따라서 상기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의 픽셀은 행 방향으로 63개의 픽셀과 열방향으로 31라인이 필요하다.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local motion vector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a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fter converting image data of one field into a binary edg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example which comprises a detection area is shown. In addition,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has a search motion estimation area (SMEA) centered on a motion vector estimation area (MEA), and two comparison motions within the search motion decision area SMEA. Compared Motion Vector Estimation Area (CMEA). 3B is a diagram showing the number of image data of the reference motion vector detection area MEA and the comparison motion vector detection area CM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nstituent pixels of the motion vector detection area is assumed to be 32 * 9. The pixel in the direction is selected by selecting one of two pixels in the odd or even pixel from 63 pixels, and the pixel in the column direction selects one pixel every four lines. Therefore, the pixel of the motion vector detection area requires 63 pixels in the row direction and 31 lines in the column direction.

제3c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종 타이밍신호를 도시하는 것으로, VD는 수직동기신호이고, MDCK는 1필드 주기 동안 제3a도와 같이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샘플링클럭이며, SECLR은 상기 MDCK 발생후 이전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클리어시키고 다음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클리어신호이고, FCK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는 필드움직임벡터의 샘플링클럭이며, ACK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하는 누적움직임벡터의 샘플링클럭이다. 또한 상기 SECLR과 FCK 사이에 이제까지 발생되어 저장하고 있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게 되는데, SCK는 영상데이타의 샘플링클럭이고, LMVS0 및 LMVS1은 필드움직임벡터 FMV 발생시 대응되는 각각의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가중치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이고, WTCK는 각 국부움직임벡터에 대응되는 가중치신호와 국부움직임벡터 승산 및 가산하기 위한 클럭이다.FIG. 3C shows various timing signa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VD i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MDCK is a local motion vector generated at a point when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s terminated as shown in FIG. 3A during one field period. Sampling clock, SECLR is a clear signal for clearing the information in the previous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fter the MDCK generation and to detect the information of the next local motion detection area, FCK is a field motion for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 sampling clock of a vector and ACK is a sampling clock of a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lso, between the SECLR and the FCK,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generated by sequentially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that have been generated and stored. SCK is a sampling clock of image data, and LMVS0 and LMVS1 are field motion vector FMV. A control signal for sequentially selecting each local motion vector LMV and a weigh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occurrence, and WTCK is a clock for multiplying and adding a local signal vector and a weigh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local motion vector.

제4도는 제2도중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 및 에지패턴매칭부(2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는 1필드의 영상에서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움직임벡터영역 MEA의 데이타들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준데이타추출부(41)는 상기 에지검출부(21)로부터 출력되는 1필드의 2진 에지신호에서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움직임벡터검출영역 MEA의 위치에 대응되는 2진 에지신호들을 추출한다. 상기 기준데이타추출부(41)를 출력하는 2진 에지신호는 32*9=288로 이루어지는 기준영역데이타가 된다. 상기 기준데이타추출부(41)의 출력을 수신하는 기준데이타저장부(42)은 상기 기준움직임벡터검출영역 MEA들로부터 발생된 기준데이타들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데이타저장부(42)은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이 이동될 때마다 수신되는 기준영역데이타를 쉬프트시키며 저장한다. 상기 기준데이타저장부(42)은 상기 기준영역데이타를 1필드 주기 지연된 싯점에서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 출력한다.4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22 and the edge pattern matching section 23 in FIG. Here,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should be able to store data of the reference motion vector area MEA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n the image of one field. Accordingly, the reference data extractor 41 extracts binary ed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motion vector detection region MEA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from the binary edge signal of one field output from the edge detection unit 21. . The binary edge signal outputting the reference data extractor 41 becomes reference area data consisting of 32 * 9 = 288.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which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ference data extraction unit 41, stores the reference data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motion vector detection areas MEAs. Accordingly,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d shifts and stores the received reference area data whenever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re moved.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outputs the reference area data to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t a point of time delayed by one field period.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에서 비교데이타추출부(43)은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2진 에지신호를 제3b도와 32*9(288)의 영역데이타로 발생한다. 에지패턴비교부(44)은 상기 비교데이타추출부(43)의 출력을 비교영역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기준데이타저장부(42)의 출력을 기준영역데이타로 수신하다. 상기 에지패턴비교부(44)은 상기 두 영역데이타의 에지패턴을 각각 픽셀 단위로 비교하여 출력한다. 상관도발생부(29)는 상기 에지패텬비교부(44)의 출력을 수신하며, 비교된 픽셀들의 비교신호들로부터 동일한 논리를 갖는 픽셀들의 수를 계산하여 상관도데이타 COR로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블럭데이타가 288개의 픽셀들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상관도데이타 COR은 9비트의 데이타로 발생된다.In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the comparison data extracting unit 43 receives the output of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nd outputs the received binary edge signal of area 3b and 32 * 9 (288). Occurs. The edge pattern comparison unit 44 receives the output of the comparison data extracting unit 43 as comparison area data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as reference area data. The edge pattern comparison unit 44 compares the edge patterns of the two pieces of data in pixel units and outputs the pixels. The correlation generator 29 receives the output of the edge pattern comparison unit 44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pixels having the same logic from the comparison signals of the compared pixels to generate the correlation data COR. Since the block data is composed of 288 pixels, the correlation data COR is generated with 9 bits of data.

제5도는 상기 제2도의 국부움직임판단부(24)에 대한 구성도로서,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을 발생하는 움직임판단부(24)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의 구성을 살펴보면,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은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탐색움직임검출영역들의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상관도이다.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상기 상관도를 수신하여 국부움직임벡터, 최대상관도 Cmax, 제2최대상관도 C2nd, 최대상돤도차 Cdif, 평균상관도 Cavg등을 발생한다. 상기 최대상관도 Cmax를 발생하는 수단은 레지스터(501,502,503),비교기(51) 및 멀티플렉서(52)로 구성된다. 상기 레지스터(501)은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발생되는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비교기(51)은 상기 상관도데이타 COR과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두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비교결과신호는 1비트의 신호로서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이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보다 큰가 작은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레지스터(504)는 상기 비교기(51)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비교결과신호를 저장한다. 멀티플렉서(52)는 제1단자로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고 제2단자로 상기 레지스터(501)을 출력하는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며, 선택단자로 상기레지스터(504)로부터 출력되는 비교결과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52)는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논리에 따라 제1단자로 수신되는 상기 이전 최대상관도 Cmax를 선택출력하거나 또는 제2단자로 수신되는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최대상관도 Cmax로 변경 출력한다. 레지스터(502)는 상기 멀티플렉서(52)로부터 출력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저장한다. 상기 최대상관도 Cmax를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이전 상태에서의 최대상관도 Cmax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 상관도 값이 큰 상간도데이타를 최대상관도 Cmax로 출력하는 동시에 저장한다. 제2최대상관도 C2nd를 발생하는 수단은 앤드게이트(53)과 레지스터(503)으로 구성된다. 앤드게이트(53)은 레지스터(504)의 출력과 시스템클럭 SCK를 수신하며,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논리에 따라 시스템클럭 SCK의 출력을 제어한다. 레지스터(503)은 이전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며, 상기 시스템클럭 SCK 수신시 수신되는 이전 최대상관도 Cmax를 제2최대상관도 C2nd로 출력한다. 상기 제2최대상관도 C2nd를 발생하는 수단은 상기 최대상관도 Cmax가 변화될 시 이전 상태에서의 최대상관도 Cmax를 제2최대상관도 C2nd로 출력하는 동ㅅ에 저장한다. 상기 최대상관도차 Cdif를 발생하는 수단은 감산기(54)로서, 상기 최대상관도 Cmax에서 상기 제2최대상관도 C2nd를 감산하여 최대상관도차 Cdif로 발생한다. 평균상관도 Cavg를 발생하는 수단은 가산기(56), 레지스터(506) 및 제산기(57)로 구성된다. 상기 가산기(56)은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수신되는 현 상관도데이타 COR과 누적된 상관도데이타를 가산한다. 레지스터(506)은 상기 가산기(56)을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동시에 누적된 상관도데이타를 상기 가산기(56)으로 인가한다. 제산기(57)은 상기 레지스터(506)의 출력을 수신하며, 후보움직임벡터의 수로 나누어 평균상관도 Cavg를 발생한다. 상기 평균상관도 Cavg를 발생하는 수단은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을 후보움직임벡터에 해당하는 상관도데이타를 연속적으로 가산하며 상기 가산 누적된 상관도를 후보움직임벡터의 수로 나누어 평균상관도 Cavg로 발생한다. 국부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수단은 레지스터(505) 및 국부움직임벡터검출부(55)로 구성된다. 상기 레지스터(505)는 상기 레지스터(504)의 출력을 저장한다. 국부움직임벡터검출부(55)는 수신되는 어드레스 클럭을 계수하여 현 상관도데이타 COR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레지스터(505)에서 출력하는 비교결과신호의 논리에 따라 최대상관도 Cmax 값이 갱신될 시 해당 시점에서의 현 상관도데이타 COR의 위치 정보로 하고 최종적인 상관도 위치에서 국부움직임벡터 LVM으로 검출한다.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of FIG. 2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generating local motion vector LVMs.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COR is a correlation diagram sequenti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rch movement detection areas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unit 24 receives the correlation to generate a local motion vector, a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 a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and an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composed of registers 501, 502, 503, comparator 51 and multiplexer 52. The register 501 receives and stores the correlation diagram COR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generat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The comparator 51 receives the correlation data COR and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two received signals to generate a comparison result signal.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is a 1-bit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is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he register 504 receives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51 and stores the received comparison result signal. The multiplexer 52 receives a current correlation diagram COR which receives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s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s the register 501 as the second terminal, and outputs from the register 504 as a selection terminal. Receive a comparison result signal. The multiplexer 52 selectively outputs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received at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or changes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received at the second terminal to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Output The register 502 stor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output from the multiplexer 52.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compares the current correlation degree data COR receiv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with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 phase correlation data having a large correlation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consists of an AND gate 53 and a register 503. The AND gate 53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504 and the system clock SCK,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system clock SCK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The register 503 receives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max, and outputs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max received when the system clock SCK is received as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 2nd . It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is also stored in the same oi outputting a C 2 nd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second maximum correlation in the previous state when the change is also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is a subtractor 54, which is generated as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by subtracting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is composed of an adder 56, a register 506 and a divider 57. The adder 56 adds the current correlation diagram COR receiv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nd the accumulated correlation diagram data. The register 506 receives and stores the output of the adder 56 and simultaneously applies accumulated correlation data to the adder 56. The divider 57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506 and divides by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to generate an average correlation Cavg.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average correlation diagram Cavg successively adds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COR to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corresponding to the candidate motion vector, and divides the cumulative accumulated correlation by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to generate the average correlation diagram Cavg. do. The means for detecting a local motion vector is composed of a register 505 and a local motion vector detection unit 55. The register 505 stor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504. The local motion vector detector 55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by counting the received address clock, and whe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update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output from the register 505. It is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correlation diagram COR at this point of time and is detected by the local motion vector LVM at the final correlation position.

제6도는 상기 제2도 및 제5도의 국부움직임판단부(24)로부터 출력되는 통계적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을 수신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는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구성도이다.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발생되는 각 국부움직임영역들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VM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발생한다. 필드지연기(63)는 필드움직임벡터 FWV를 수신하여 1필드 주기 지연한 이전필드움직임벡터(Previous Field Motion Vector : PFMV)를 발생한다. 평균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64)은 국부움직임판단부(24)들로부터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을 가산 및 제산하여 평균국부움직임벡터(Average Local Motion Vector : ALMV)를 발생한다. 평균최대상관도차 발생부(34)는 국부움직임판단부(24)로부터 수신되는 최대상관도차 Cdif를 가산 및 제산하여 평균최대상관도차 Cad(Correlation Average Difference)를 발생한다. 가중치발생부(61)은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 국부움직임벡터 LMV,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 평균상관도 Cavg, 최대상관도 Capital 처리 및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수신하며, 국부움직임판단부(24)에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상기 가중치발생부(61)은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 이전필드국부움직임벡터 PFMV 및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를 이용하여 안정도 및 고립도에 대한 가중치를 발생하고, 통계적변수 Cavg, Cmax, C2nd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의 불안정 유무를 판별한 후 상기 계산된 가중치신호의 리셋트유무를 결정한다.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는 상기 가중치발생부(61)로부터 수신되는 가중치신호들과 각각 대응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을 승산하여 각 국부움직임벡터 LVM들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조합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by receiv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and the local motion vector LVMs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of FIGS. 2 and 5. to be.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receives the correlation data COR of each local motion areas generat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s described above, and generates local motion vector LVM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field delay unit 63 receives the field motion vector FWV and generates a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delayed by one field perio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64 adds and divides local motion vector LVMs received from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s 24 to generate an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generation unit 34 adds and divides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received from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to generate a correlation maximum difference Cad (Correlation Average Difference). The weight generator 61 receives a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a local motion vector LMV, an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an average correlation Cavg, a maximum correlation capital processing, and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and determine the local movement. A weigh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ocal motion vector LMV sequentially generated in the unit 24 is continuously generated. The weight generator 61 generates weights for stability and isolation us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 previous field local motion vector PFMV,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received from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signal is unstable us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Cavg, Cmax and C 2 nd, the calculated weight signal is reset or not.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multiplies the localized motion vector LVMs corresponding to the weighted signals received from the weight generator 61 to give weights to the local motion vector LVMs, and is weighted. The local motion vectors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field motion vector FMV.

제7도는 불규칙한 영상에서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를 적응적으로 처리하는 제5도중 가중치발생부(61)의 구성도로서, 국부움직임벡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은 제1저장부(701) 및 제1선택기(702)로 구성된다.상기 제1저장부(701)은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수신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종료시 발생되는 상기 MDCK에 의해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저장한다. 상기 제1저장부(701)은 4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발생할 시의 예를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발생 순서에 따라 상기 MDCK에 의해 레지스터 141-레지스터 144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제1선택기(702)는 상기 제1저장부(701)을 출력하는 국부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1필드의 탐색을 종료하고 발생하는 LMVSO,LMVS1의 논리에 따라 상기 제1저정부(701)에 저장된 대응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선택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MV로 출력한다. 평균 상관도 Cavg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은 제2저장부(703) 및 제2선택기(704)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저장부(703)은 상기 평균상관도 Cavg를 수신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종료시 발생되는 상기 MDCK에 수신되는 평균상관도 Cad를 저장한다. 상기 제2저장부(703)의 4개의 평균상관도 Cavg를 발생할 시의 예를 가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2선택기(704)는 상기 제2저장부(703)으로부터 수신되는 평균상관도 Cavg를 수신하며, 1필드의 탐색을 종료하고 발생하는 LMVSO-LMVS1의 논리에 따라 상기 제2저장부(703)에 저장된 대응되는 평균상관도 Cavg를 선택하여 평균상관도 Cavg를 발생한다. 최대상관도 Cmax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은 제3저장부(705) 및 제3선택기(706)로 구성된다. 상기 제3저장부(705)은 상개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종료시 발생되는 상기 MDCK에 수신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저장한다. 상기 제3저장부(705)의 4개의 최대상관도 Cmax를 발생할 시의 예를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3선택기(706)는 상기 제3저장부(705)으로부터 수신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며, 1필드의 탐색을 종료하고 발생하는 LMVS0, LMVS1의 논리에 따라 상기 제3저장부(705)에 저장된 대응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선택하여 최대상관도 Cmax를 발생한다.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은 제4저장부(707) 및 제4선택기(708)로 구성된다. 상기 제4저장부(707)은 상기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수신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종료시 발생되는 상기 MDCK에 수신되는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저장한다. 상기 제4저장부(707)의 4개의 제2최대상관도 C2nd를 발생할시의 예를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4선택기(708)는 상기 제4저장부(707)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수신하며, 1필드의 탐색을 종료하고 발생하는 LMVS0-LMVS1의 논리에 따라 상기 제4저장부(707)에 저장된 대응되는 제2최대상관도 C2nd를 선택하여 제2최대상관도 C2nd를 발생한다.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eight generator 61 of the fifth diagram for adaptively processing a local motion vector generated in an irregular image. The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local motion vector may include a first storage unit 701 and a first motion vector. And a first selector 702. The first storage unit 701 receives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ores a local motion vector LMV received by the MDCK generated at the end of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he first storage unit 701 is illustrated assuming an example of generating four local motion vectors LMV. Therefo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register 141-register 144 by the MDCK in the order of occurrence. The first selector 702 receives a local motion vector outputting the first storage unit 701, terminates the search of one field, and sends it to the first storage unit 701 according to the logic of LMVSO and LMVS1. The stored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is selected and output as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comprises a second storage unit 703 and a second selector 704. The second storage unit 703 receives the average correlation diagram Cavg, and stores the average correlation diagram Cad received in the MDCK generated at the end of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he four average correlations of the second storage unit 703 are also shown as an example of generating Cavg. The second selector 704 receives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received from the second storage unit 703, terminates the search of one field, and generates the second storage unit 703 according to the logic of LMVSO-LMVS1. Select the corresponding mean correlation Cavg stored in to generate the mean correlation Cavg. The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composed of a third storage unit 705 and a third selector 706. The third storage unit 705 receives the upper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stor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received in the MDCK generated at the end of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Four maximum correlations of the third storage unit 705 are shown assuming an example of generating Cmax. The third selector 706 receiv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received from the third storage unit 705, terminates the search of one field, and generates the third storage unit 705 according to the logic of LMVS0 and LMVS1. Generate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maximum correlation Cmax stored in. The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includes a fourth storage unit 707 and a fourth selector 708. The fourth storage unit 707,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receiving a C 2 nd,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received by the MDCK generated at the end of browsing of the local motion-detection area also stores the C 2 nd. Four second maximum correlation diagrams of the fourth storage unit 707 are illustrated assuming an example of generating C 2nd . The fourth selector 708 receives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 2nd received from the fourth storage unit 707, and ends the search of one field and stores the fourth storage according to the logic of LMVS 0-LMVS1.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 2nd stored in the unit 707 is selected to generate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 2nd .

고립도가중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감산기(711)및 고립도가중치코딩부(7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산기(711)은 상기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L와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차를 계산하여 고립도를 검출한다. 고립도가중치코디부(713)은 상기 감산기(711)로부터 출력되는 고립도를 수신하며, 상기 고립도의 값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고립도가중치를 발생한다. 안정도가중치를 결정하는 수단은 감산기(712)및 안정도가중치코딩부(714)로 구성된다. 상기 감산기(712)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검출한다. 안정도가중치코딩부(714)는 상기 감산기(712)로부터 안정도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안정도 값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국부움직임벡터 LVM의 안정도가중치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가 불안정한 영상데이타에서 발생된 경우, 이러한 조건에 따라 적응적으로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여야 하는데, 상기 불안정한 영상의 조건으로는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경우, 반복적인 영상 형태를 갖는 경우, 그리고 움직이는 물체를 갖는 경우등이 있다. 먼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을 검출하는 기능은 비교기(723)에 의해 수행된다.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isolation weight is composed of a subtractor 711 and an isolation weight coding unit 713. The subtractor 711 detects an isolation degre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L and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 isolation weighting coordinate unit 713 receives the isolation output from the subtractor 711, and assign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isolation to generate an isolation we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The means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weight value comprises a subtractor 712 and a stability weight value coding portion 714. The subtractor 712 calcul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to detect stability. The stability weighting coding unit 714 receives the stability from the subtractor 712 and assign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tability value to generate a stability we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VM. In addition, when the local motion vector is generated from the unstable image data, the field motion vector FMV should be adaptively generated according to this condition. When the local motion vector has a low contrast, the image has a repetitive image shape. And moving objects. First, the function of detecting an image with low contrast is performed by the comparator 723.

상기 비교기(723)은 평균상관도 Cavg와 제1임계값 REF1을 수신하며, 상기 평균상관도 Cavg와 낮은 콘트라스트의 기준인 제1임계값 REF1을 비교하여 상기 평균상관도 Cavg가 제1임계값 REF1 보다 작을시 불안정 영상데이타로 결정한다. 두번째로 움직이는 물체의 영상을 검출하는 수단은 감산기(721)및 비교기(724)로 구성된다. 상기 감산기(721)은 평균상관도 Cavg와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며, 상기 최대상관도 Cmax에서 평균상관도 Cavg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724)는 상기 감산기(721)의 출력과 제2임계값 REF2를 수신하며, 상기 차신호가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인 제2임계값 REF2 보다 작을시 불안정한 영상데이타로 결정한다. 세번째로 반복적인 형태를 갖는 영상을 검출하는 수단은 감산기(722) 및 비교기(725)로 구성된다. 상기 감산기(722)는 최대상관도 Cmax와 제2최대상관도 C2nd 를 수신하며 상기 최대상관도 Cmax에서 제2최대상관도 Csnd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한다. 비교기(725)는 상기 감산기(722)의 출력과 제3임계값 REF3을 수신하며, 상기 차신호가 반복적인 영상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인 제3임계값 REF3 보다 작을시 불안정한 영상데이타로 결정한다. 적응적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은 가산기(715), 제산기(716), 레지스터(717) 및 앤드게이트(726)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산기(715)는 상기 고립도가중치 및 안정도가중치를 수신하여 가산한다. 제산기(716)은 상기 가산기(715)의 출력을 수신하며, 가산된 두 가중치를 평균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 W를 발생한다. 레지스터(717)은 상기 평균화된 가중치 W를 저장한다.The comparator 723 receives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and the first threshold REF1, and compares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with the first threshold REF1, which is a reference for low contrast, so that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is the first threshold REF1. If smaller, it is determined by unstable image data. The second means for detecting the image of the moving object consists of a subtractor 721 and a comparator 724. The subtractor 721 receives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and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and subtracts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to generate a difference signal. The comparator 724 receives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721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REF2, and determines that the image signal is unstable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REF2, which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moving object. The third means for detecting an image having a repetitive form consists of a subtractor 722 and a comparator 725. The subtractor 722 receiv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and subtracts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snd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o generate a difference signal. The comparator 725 receives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722 and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and determines that the image signal is unstable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which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a repetitive image.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adaptive local motion vector consists of an adder 715, a divider 716, a register 717 and an endgate 726. The adder 715 receives and adds the isolated and stable weights. The divider 716 receives the output of the adder 715 and averages the two added weights to generate a weight W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The register 717 stores the averaged weight W.

앤드게이트(726)은 상기 비교기(73,74,75)의 출력을 수신하며, 레지스터(717)의 출력제어신호로 인가한다. 상기 레지스터(717)은 상기 평균화된 가중치를 저장하며, 상기 앤드게이트(726)으로부터 불안정한 영상신호임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저장하고 있는 평균화된 가중치 W의 출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적응적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은 수신되는 영상신호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거나, 반복적인 영상을 갖거나,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평균화된 가중치 W를 리세트하도록 제어하며, 이외에는 상기 가중치 W를 출력하게 된다.The AND gate 726 receives the outputs of the comparators 73, 74, and 75, and applies the output control signal of the register 717. The register 717 stores the averaged weights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averaged weights W stored when the signal is received as an unstable image signal from the AND gate 726. Therefore,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adaptive local motion vector is averaging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when the received image signal is a video signal having a low contrast, a repetitive image, or a moving object. The weight W is controlled to be reset, and the weight W is output.

제8도는 상관도데이타 COR과 영상데이타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6a)와 영상데이타가 정상적인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갖는 경우 상관도의 범위는 큰 범위를 가지며, (6b)와 같이 낮은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영상인 경우에는 상관적인 평균치가 감소되어 검출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정확성을 떨어진다. 또한 (6c)와 같이 반복적인 영상에서는 상관도의 차분이 완만해진다.8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correlation data COR and video data. In the case of (6a) and the image data having normal contrast, the range of the correlation has a large range, and in the case of the image having a low contrast as shown in (6b),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by decreasing the correlated average value. Falls accuracy. In addition, in the repetitive image as shown in (6c), the difference in correlation becomes smooth.

제9a도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의 차를 계산하여 고립도를 구한 후, 고립도가중치코딩부(713)에서 구해지는 고립도의 값에 따라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고립도가중치를 부여하는 특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립도는 각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상관 편이량이다. 제9b도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구한후, 안정도 가중치코딩부(714)에서 구해지는 안정도의 값에 따라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안정도가 중치를 부여하는 특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안정도는 전 국부 움직임벡터 LMV로부터의 편이량을 의미한다.9a shows the isolation degree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and then isolates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isolation degree obtained from the isolation weighting coding unit 713. A characteristic diagram giving the weighting value is shown. Here, the isolation degree is a correlation deviation amount of each local motion vector LMV. 9b shows the st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tability obtained from the stability weight coding unit 714 after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The characteristic diagram to be provided is shown. Here, stability means the amount of deviation from the entire local motion vector LMV.

제10도는 제5도 중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의 구성도로서, 가중치부여수단은 승산기(101) 및 가산기(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산기(101)는 상기 가중치발생부(61)의 제1선택기(702)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곱하여 각 국부움직임벡터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가산기(102)은 상기 승산기(101)의 출력을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가산하므로서 1필드 주기에 대응하는 움직임벡터를 발생하며, 이를 피제수로 인가한다. 가중치계수수단은 가산기(103)이 수행한다. 상기 가산기(103)은 상기 수신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가산하여 이를 제수로 인가한다. 상기 가산기(103)은 가중치신호가 0일시 가산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해당하는 필드 주기에서 신뢰성 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만 가중치와 승산되어 출력되게 된다. 필드움직임벡터계산수단은 제산기(104)이 수행한다. 상기 제산기(104)은 상기 누적기(102)의 출력을 피제수로 수신하고 상기 가산기(103)의 출력을 제수로 수신하며, 상기 제산과정에 의해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ing unit 62 in FIG. 5, wherein the weighting means is composed of a multiplier 101 and an adder 102. As shown in FIG. The multiplier 101 sequentially multiplies the local motion vector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first selector 702 of the weight generator 61 with the weigh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weights each local motion vector. Grant. The adder 102 receive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101 and adds it sequentially to generate a motion vector corresponding to one field period, and applies it as a dividend. The weight counting means is performed by the adder 103. The adder 103 adds the received weight signals and applies them as a divisor. The adder 103 cannot perform the addition function when the weight signal is 0, and as a result, only the reliable local motion vector LMV is multiplied with the weight and outputted in the corresponding field period. The field motion vector calculation means is performed by the divider 104. The divider 104 receives the output of the accumulator 102 as the divide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adder 103 as the divisor, and generates a field motion vector FMV by the division process.

제11도는 제1도중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구성도로서, 패닝식별부(111)은 필드움직임벡터 FMV 및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으로 발생되면 의도적인 패닝(Panning)으로 간주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감쇄계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닝식별신호 PID를 발생한다.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3 in FIG. Is generated as intentional panning, and generates a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for chang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또한 비교기(119)는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비교입력으로 수신하고, 누적 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최대 보정영역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4임계값 REF 4를 기준입력으로 수신한다. 상기비교기(119)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상기 제4임계값 REF4 보다 큰 경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감쇄계수를 변경하기 위한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120)은 상기 패닝식별부(111) 및 비교기(119)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신호를 감쇄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로 발생한다. 감쇄결정수단은 멀티플렉서(118) 및 감쇄기(116,117)로 구성된다. 제1감쇄기(116)은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며, 세트된 제1감쇄계수 K1으로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다. 제2감쇄기(117)은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며, 제2감쇄계수 K2로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다. 멀티플렉서(118)은 제1단자로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단자로 상기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수신하며, 선택단자로 상기 오아게이트(120)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 또는 비교결과 신호가 수신되는 상기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출력하며,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출력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수단은 레지스터(112,115), 가산기(113) 및 리미터(114)로 구성된다. 레지스터(112)는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FCK발생시 저장한다. 가산기(113)은 레지스터(112)와 멀티플렉서(118)의 출력을 수신하며, 두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한다. 리미터(114)는 상기 가산기(113)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일정 크기 이상일시 리미팅한다. 레지스터(115)는 리미터(114)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ACK발생시 저장하고, 이를 상기 감쇄기(116,117)및 비교기(119)의 입력으로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mparator 119 receiv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up to a comparison input and receives a fourth threshold value REF 4 as a reference input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does not exceed the maximum correction region. The comparator 119 generates a comparison result signal for chang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lar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REF4. The oragate 120 receives the outputs of the panning identifier 111 and the comparator 119 and generates the received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n attenuation coefficient. The attenuation determining means is composed of a multiplexer 118 and attenuators 116 and 117. The first attenuator 116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up to the previous time, and attenuat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with the set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The second attenuator 117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up to the previous, and attenuat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with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The multiplexer 118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as a first terminal, receive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as a second terminal,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oragate 120 to a selection terminal. Receive. The multiplexer 118 selectively output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through which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or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is received, and otherwise output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is composed of registers 112 and 115, an adder 113 and a limiter 114. The register 112 stores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at the time of FCK generation. The adder 113 receives the outputs of the register 112 and the multiplexer 118 and adds the two signals to generate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 limiter 114 receives the output of the adder 113 and limits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register 115 receives the output of the limiter 114 and stores it when the ACK is generated, applies it to the inputs of the attenuators 116 and 117 and the comparator 119 and outputs the same to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제12a도는 상기 패닝식별부(111)에서 패닝식별신호 PID에 대한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12b도는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 및 비교기(119)의 발생유무에 따라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이동량을 시간에 변화에 따라 도시한 예도이고, 제12c도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로부터 패닝이 감지될 시 상기 제12b도와 같이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할 수 있도록 감쇄계수가 벌환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T1-T2 주기는 상기 패낭식별신호 PID가 발생되어 상기 제1감쇄계수 K1을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출력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T3-T4 주기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보정 상한치인 제4임계값 보다 커진 상태에서 상기 제1감쇄계수 K1을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출력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FIG. 12a shows the timing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in the panning identification unit 111. FIG. 12b shows the movement amou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ccording to whether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the comparator 119 are generated. FIG. 12C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ttenuation coefficients are compensated to generate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s shown in FIG. 12B when panning is detected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n the drawing, the cycle T1-T2 illustrates a process of output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btained by attenuating the first damping coefficient K1 by generating the cyst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the cycle T3-T4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Shows a process of outputting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btained by attenuating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in a state where is larger than a fourth threshold value, which is an upper limit of correction.

상술한 제2도-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제2도에 도시된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1필드의 실제 영상데이타(real image data)를 수신하여 2진 에지 패턴 데이타로 변환 출력하고, 상기 에지 패턴 데이타를 M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분할한 이전 필드의 2진 에지 데이타를 각각 패턴 매칭시켜 상관도데이타 COR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M개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각각 대응되는 국부움직임판단부(24)에서 수신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발생하며, 상기 M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필드움직임벡터 및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발생에 이용되므로 영상안정화시스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을 정확하게 발생하면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 및 누적움직임벡터 AMV는 단순한 평균화 및 누적만 행하면 된다.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1 shown in FIG. 2 receives real image data of one field, converts it into binary edge pattern data, and outputs M local motion data of the edge pattern data. Correlation data COR is generated by pattern matching the binary edge data of the previous field divided into regions. The M correlation data CORs are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to generate a local motion vector LMV in a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wherein the M local motion vectors LMV are field motion vectors and As it is used to generat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Therefore, if the local motion vector LMVs are generated correctly,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nly need to be averaged and accumulated.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검출부(21)가 수신되는 실제 영상데이타의 에지를 검출하고 이를 2진 에지 신호로 변환출력한다.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detects an edge of the actual image data received by the edge detector 21 and converts it into a binary edge signal as shown in FIG.

상기 에지검출부(21)에서 출력하는 에지신호는 1비트의 2진 신호가 된다. 그러면 상기 이전필드움직임검출영역저장부(22) 기준데이타추출부(41)는 상기 에지검출부(21)로 출력되는 2진 에지 데이타를 수시하여 제3a도와 같이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기준움직임벡터검출영역 MEA의 기준블럭데이타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기준데이타저장부(42)은 상기 기준블럭데이타를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종료 시점에서 저장하며, 이전에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던 이전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쉬프트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데이타저장부(42)은 수신되는 기준블럭 데이타를 1필드 주기 지연한 후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현재 필드의 2진에지 데이타를 출력하는 시점에서 이전 필드의 해당 국부 움직임검출영역에서 추출한 기준블럭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리고 비교데이타추출부(43)은 상기 2진 에지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3B도와 같은 비교블럭데이타를 발생한다. 그러면 에지패턴비교부(44)는 상기 비교블럭데이타와 기준블럭데이타의 블럭 패턴을 비교하여 이전 필드와 현재 필드의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동일한 논리를 갖는 에지 데이타의 갯수를 판별한다. 이 경우 제3a도에서 기준블럭데이타와 가장 큰 상관도를 갖는 움직임벡터검출영역은 비교움직임벡터검출영역 CMEA가 될 것이다. 상기 에지패턴 비교부(44)의 출력을 수신하는 상관도발생부(29)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를 수신하여 동일한 논리를 갖는 픽셀 수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상관도데이타 COR로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관도데이타 COR은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두 필드에서 각 국부 움직임검출영역들의 블럭데이타에서 일치되는 2진 에지 데이타의 수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상기 상관도데이타COR을 이용하여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The edge signal output from the edge detector 21 is a binary signal of 1 bit. Then, the previous field motion detection area storage unit 22 reference data extractor 41 receives binary edge data outputted to the edge detection unit 21 to detect the reference motion vector in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s shown in FIG. 3a. The reference blocks of the area MEA are extracted.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stores the reference block data at the end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shifts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previous local motion detection area previously extracted and stored. Accordingly, the reference data storage unit 42 delays the received reference block data by one field period, and then outputs the binary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of the previous field. The extracted reference block data is output. The comparison data extracting unit 43 receives the binary edge data and generates comparison block data as shown in FIG. 3B. Then, the edge pattern comparison unit 44 compares the block pattern of the comparison block data with the reference block data to determine the number of edge data having the same logic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of the previous field and the current field. In this case, the motion vector detection region having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the reference block data in FIG. 3a will be the comparison motion vector detection region CMEA. The correlation generator 29 receiving the output of the edge pattern comparison unit 44 receives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calculates the number of pixels having the same logic, and generates the result as the correlation data C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lation data COR is the number of binary edge data matched in the block data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n two consecutive temporal fields. Then,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sequentially generates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using the correlation data COR.

먼저 상기 상관도데이타 COR들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발생하고, 또한 가중치발생부(61),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에서 사용하는 통계적 변수들을 구한다. 상기 통계적 변수로는 최대상관도 Cmax, 제2최대상관도 C2nd, 최대상관도차 Cdif, 그리고 평균상관도 Cavg 등이 된다.그러면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의 국부움직임판단부(24)에서 출력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적 변수 Cmax, C2nd, Cdif, Cavg들을 이용하여 각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구하고, 그중에서 신뢰성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만을 선별한다.First, a process of adaptively detecting a motion vector using the correlation data CORs will be described.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receives the correlation diagram COR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o generate a local motion vector LMV, and is used by the weight generator 61 and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Obtain statistical variables. The statistical variables may include a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 a maximum correlation degree Cdif, and an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etc.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2 generates the local motion vector. Us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statistical variables Cmax, C 2 nd, Cdif, and Cavg, which are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of the unit 11, the local motion vector LMV generated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s obtained, and among them, Selects only reliable local motion vectors LMVs.

또한 상기와 같은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 및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를 검사하여 검출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고립도 및 안정도 여부에 의한 가중치를 부여하며,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을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결정한다. 즉, 가중치발생부(61)은 검출한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 및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로부터 고립도 및 안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고립도 및 안정도의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통계적 변수 Cmax, C2nd, Cavg들로부터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 반복적 형태를 갖는 영상, 움직이는 물체를 포함하는 영상인가를 검사하고, 이 검사결과를 토대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신뢰성 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 만을 선별한다. 그리고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는 상기 가중치발생부(61)에서 구한 가중치들과 이에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신뢰성있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에서 결정된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시간적으로 누적하여 연속적인 필드의 사이의 흔들림을 최초의 상태로 안정화하기 위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구한다. 그러면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이용하여 줌 기능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which is determined by check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is determined based on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se fields are averaged to determine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at is, the weight generator 61 calculates the isolation and stability from the detected local motion vector LMV,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and averages the calculated weights of the isolation and stability. Weighting is applied to the motion vector LMV. From the statistical variables Cmax, C 2 nd and Cavg, it is examined whether the image having a low contrast, the image having a repetitive shape, the moving object is includ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st result. Select only reliable local motion vectors LMV.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generates a reliable field motion vector FMV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weights obtained by the weight generator 61 and the local motion vector LMVs corresponding thereto.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ccumulate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determined by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in time and calculat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for stabilizing the shaking between successive fields to an initial state. .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then implements a zoom function us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상기 제5도를 참조하여 국부움직임판단부(24)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3a도와 같은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로부터 발생되는 상관도데이타 COR들 중, 각각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적 변수들을 발생한다.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은 에지패턴매칭부(23)로부터 수신되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위치에 따라 두 필드에서 순차적으로 구해지는 일치된 2진에지 데이타의 갯수가 된다.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0의 각 레지스터(501-506) 및 국부움직임검출부(55)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상기 SECLR신호 발생시 마다 리세트되어 다음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적 변수들을 검출한 준비를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 is shown. Among the correlation data CORs generated from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s shown in FIG. 3a, the correlation data COR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is respectively shown. Receive and generat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COR is receiv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and is the number of matched binary edge data sequentially obtained in two field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he registers 501-506 and the local motion detection unit 55 of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unit 240 are reset at each occurrence of the SECLR signal generated when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ends, and then the next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s generated. Prepare to detect local motion vector of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먼저 최대상관도 Cmaxm의 발생과정을 설펴보면, 상기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관도데이타 COR은 비교기(51)의 일측단자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비교기(51)의 타측단자로는 이전 상태에서의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고 있으며,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을 시작하는 최초의 시점에서는 리세트된 상태를 가진다.First,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m is described. The correlation data COR output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is applied to one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 At this time, the other terminal of the comparator 51 receiv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n the previous state, and has a reset state at the first time when the search for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s started.

그러므로 사기 비교기(51)는 현재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과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를 비교하여 레지스터(504)로 출력하며, 상기 레지스터(504)는 이를 멀티플레서(52)의 선택신호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멀티플렉서(520는 레지스터(502)는 레지스터(502)를 출력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제1단자로 수신하고 제2단자로는 레지스터(501)을 통해 수신되는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51)에서 최대상관도 Cmax 값이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 값보다 클 경우 비교결과신호로서 제1비교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멀티플렉서(52)는 상기 제1단자로 수신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그대로 선택하게 되며, 따라서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를 최대상관도 Cmax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비교기(51)에서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 값이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 값보다 클 경우 비교결과신호로서 제2비교신호를 출력하게되며, 이로인해 상기 멀티플렉서(52)는 상기 제2단자로 수신되는 현재의 상관도데이타 COR을 최대상관도 Cmax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최대상관도 Cmax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레지스터(502)는 상기 멀티플렉서(52)로부터 출력되는 최대상관도 Cmax를 수신하여 저장한다.Therefore, the fraud comparator 51 compares the currently received correlation data COR with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outputs it to the register 504, which registers it as a selection signal of the multiplexer 52. . At this time, the multiplexer 520 receives the maximum correlation diagram Cmax outputting the register 502 as the first terminal and the current correlation diagram COR received through the register 501 as the second terminal. Therefore, whe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value in the comparator 51 is greater than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value,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output as a comparison result signal, and thus the multiplexer 52 causes the first terminal.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received as is selected as it is, so that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maintained at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but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value in the comparator 51 is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If the value is larger than the value, the second comparison signal is output as a comparison result signal. As a result, the multiplexer 52 selects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received at the second terminal a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in which case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also failed to determine the changes, and the register 502 receives and stores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is also outputted from the multiplexer 52.

두번째로 제2최대상관도 C2nd의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비교기(51)을 출력하는 비교결과신호의 논리에 따라 상기 제2최대상관도 C2nd를 결정한다. 즉, 상기 비교결과신호를 수신하는 앤드게이트(53)은 상기제1비교신호 수신시 시스템클럭 SCK의 출력을 차단하여 레지스터(5030의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이는 현재 수신된 상관도데이타 COR 값이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 값보다 작은 경우로 이전의 제2최대상관도 C2nd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최대상관도 Cmax가 변경되어 상기 레지스터(504)로부터 제2비교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앤드게이트(53)은 상기 시스템클럭 SCK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전의 최대상간도 Cmax를 수신하고 상기 앤드게이트(53)의 출력을 클럭으로 수신하는 레지스터(503)은 상기 시스템클럭 SCK에 의해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를 제2최대상관도 C2nd 값으로 저장한다.A second maximum correlation for the second also look at the generation process of the C 2 nd, and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and outputting the comparator 51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termining a C 2 nd. That is, the AND gate 53 which receives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cuts the output of the system clock SCK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and maintains the value of the register 5030 as it is. maximum correlation of the previous Figure is to maintain the previous second maximum correlation as a C 2 nd to be smaller than Cmax value, but when receiving the second comparison signal from the register 504,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is changed The AND gate 53 outputs the system clock SCK. Therefore, the register 503 for receiving the previous maximum phase Cmax and receiving the output of the AND gate 53 as a clock is the system clock SCK. By storing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Cmax as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value.

따라서 상기 최대상관도 Cmax값이 변경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2최대상관도 C2nd 값은 변경 시점의 이전에 유지되고 있던 최대상관도 Cmax가 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value becomes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hat was maintained before the change point whe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value is changed.

세번째로 최대상관도차 Cdif는 상기 레지스터(502)에서 출력되는 최대상관도 Cmax 값으로 상기 레지스터(503)에서 출력되는 제2최대상관도 C2nd 값을 감산하면 된다. 이는 감산기(54)에서 수행된다. 네번째로 평균상관도 Cavg는 수신되는 상관도를 가산한 후 소정의 값으로 나누면 된다. 이때 상기 소정 값은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후보 움직임 벡터의 수이다. 이를 위하여 가산기(56)은 레지스터(506)에 이전까지 누적저장되어 있는 상관도 값에 에지패턴매칭부(23)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을 가산하며, 레지스터(504)는 이를 다시 저장한다. 그리고 제산기(57)는 상기 레지스터(504)의 출력을 소정 값으로 나눈다. 그러면 상기 제산기(57)을 출력하는 값은 평균산관도 Cavg가 되며, 상기 가산기(56)에 가산된 상관도 값은 다시 레지스터(506)에 저장되어 다음 상태에 대비한다.Third,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dif may be subtracted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value output from the register 502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value C 2nd value output from the register 503. This is done in subtractor 54. Fourth,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can be divided by a predetermined value after adding the received correlation.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value is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o this end, the adder 56 adds the correlation data COR received from the edge pattern matching unit 23 to the correlation value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register 506 before, and the register 504 stores them again. The divider 57 divid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504 by a predetermined value. Then, the value outputting the divider 57 becomes the average diffuser Cavg, and the correlation value added to the adder 56 is stored in the register 506 again to prepare for the next state.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Cmax, C2nd, Cdif, Cavg는 통계적변수득이 되며, 움직임 벡터검출부(55)는 상기 통계적변수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구한다.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검출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레지스터(504)를 출력하는 현재 상관도데이타 COR 값과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 값의 비교결과신호는 레지스터(505)로 인가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55)는 어드레스클럭을 계수하여 해당하는 상관도데이타 COR의 위치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클럭은 후보움직임벡터검출영역 내에서의 상관도 샘플링 클럭이다.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55)는 상기 레지스터(505)로부터 최대상관도 Cmax의 갱신을 알리는 제2비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움직임벡터검출부(55)는 이를 인지하고 해당 시점에서 계산된 위치 값을 국부움직임벡터 LMV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최대상관도 Cmax를 갖는 블럭의 위치 정보가 된다.Cmax, C 2nd , Cdif, and Cavg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obtained statistical variables, and the motion vector detector 55 receives the statistical variables to obtain a local motion vector LMV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Looking at the detection process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of the current correlation data COR value outputting the register 504 and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value is applied to the register 505 and stored. At this time, the motion vector detector 55 counts the address clock and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correlation data COR. The address clock is a correlation sampling clock in the candidate motion vector detection area. When the motion vector detector 55 receives a second comparison signal informing the update of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from the register 505, the motion vector detector 55 recognizes this and localizes the position value calculated at the corresponding time point. Output as a motion vector LMV. Therefo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becomes position information of a block having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따라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COR 값을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 값과 비교한 후, 이전의 최대상관도 Cmax 값이 클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작을 경우에는 현재의 상관도 값을 최대상관도 Cmax로 변경하는 동시에 이전 상태에서의 최대상관도 Cmax 값을 제2최대상관도 C2nd로 변경한다.Therefore, the local moving decision unit 24 compares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COR value with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and then maintains the current state as it is when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is large. The current correlation value is changed to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value in the previous state is changed to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

또한 움직임벡터검출부(55)는 어드레스클럭을 이용하여 현재 블럭의 위치를 계산하고 있으며, 상기 최대상관도 Cmax 값이 갱신되면 그 순간의 위치를 국부움직임벡터 LMV로 출력하는데, 이는 결국 최대상관도 Cmax 를 갖는 상관도데이타 CORDML 위치가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대상관도 Cmax 값에서 제2최대상관도 C2nd 값을 감산하면 최대상관도차 Cavg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는 상기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탐색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발생되는 탐색종료신호 SEC-CLR에 의해 리세트되어 다음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 및 통계적변수들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행한다.In addition, the motion vector detection unit 55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 block by using the address clock. When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max is updated, the motion vector detection unit 55 outputs the current position as a local motion vector LMV.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lation data having a CORDML position.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avg may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value C 2 nd value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C max value.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unit 24 is reset by the search end signal SEC-CLR generated at the end of the search of each local motion detecting region as shown in FIG. Preparation is made to detect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신뢰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정확성은 상관도 계산 블럭의 연산 결과의 후보 움직임 벡터의 좌표인(i,j)만큼 이동된 상관도데이타 COR(i,j)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만약 상관도데이타 COR이 비슷할 경우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은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상관도데이타 COR에 의해 평가해야하며, 각 필드를 대표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는 신뢰할 수 있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구한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선택하여 결정해야 한다.The local motion vector LMV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The accurac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as described abov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data COR (i, j) shifted by (i, j), which is the coordinate of the candidate motion vector of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orrelation calculation block. If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is similar,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local motion vector LMV should be evaluated by the correlation diagram COR o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at represents each field is used in the reliabl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he local motion vector LMV obtained should be selected and determined.

제6도를 참조하여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동작을 살펴보면, 가중치발생부(61)은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단위로 모아 저장하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는 시점에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가중치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응하는 통계적변수들을 분석하여 해당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을 판단하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with reference to FIG. 6, the weight generator 61 collects and stores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in unit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stores the field motion.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vector FMV, weighted signals are generated by sequentially analyzing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그리고 상기 신뢰성에 근거하여 상기 가중치신호를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에 부여하거나 무시한다. 그러면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는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곱한 후 가산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한다.Based on the reliability, the weight signal is assigned or ignored to a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Then,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multiplies the weighted signals with local motion vectors and adds them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제7도는 상기와 같은 영상데이타의 불안정한 조건에 대해 적응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발생부(6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8도는 상기와 같은 불안정한 조건의 영상데이타들과 상관도데이타 COR간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9a도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고립도와 고립도가중치 간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9b도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안정도와 안정도가중치 간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3a도와 같이 4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고 가정한다.FIG. 7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the weight generator 61 that adaptively weights the unstable condition of the image data as described above, and FIG. 8 shows the image data of the unstable condition and the correlation diagram C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er are shown. Figure 9a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isolation and isolation weights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Figure 9b show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tability and the stability weights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t is assumed here that field motion vectors FMV are generated in four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as shown in FIG. 3A.

먼저 상기 가중치발생부(61)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이벡터 LMV1-LMV4는 통계적 변수들인 Cavg1-Cavg4, Cmax1-Cmax4, C2nd-C2nd4는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로부터 순차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발생부(61)는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발생시점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는 시점에서 다시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상기 MDCK 발생시마다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레지스터(751-754)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3a도와 같이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탐색이 종료되어 MDCK4가 발생되면 레지스터(751)에는 LMV4가 저장되고, 레지스터(752)에는 LMV3이 저장되고, 레지스터(753)에는 LMV2가 저장되며, 레지스터(754)에는 LMV1이 각각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LMVS1-LMVS0가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0-01-10-11의 순서로 발생되면 상기 제1선택기(702)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를 LMV1-LEV2-LMV3-LMV4의 순서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통계적변수들도 Cavg1-Cavg2-Cavg3-Cavg4, Cmax1-Cmax2-Cmax3-Cmax4, C2nd1-C2nd2-C2nd3-C2nd4의 순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동일한 국부움직임영역들로부터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및 통계적변수들이 순차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며, 통계적변수들은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된다.First, the local motion vectors LMV1-LMV4 received by the weight generator 61 are sequentially generated from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including Cavg1-Cavg4, Cmax1-Cmax4, and C 2 nd-C 2 nd4, which are statistical variables. do. Therefore, the weight generator 61 may store the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t the time of generation and process them again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erefo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stores the local motion vector LMV received every time the MDCK occurs in the registers 751-754. Therefore, as shown in FIG. 3A, when the sear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is completed and MDCK4 is generated, LMV4 is stored in the register 751, LMV3 is stored in the register 752, and LMV2 is stored in the register 753. 754 stores LMV1, respectively. In the above state, when LMVS1-LMVS0 is generated in the order of 00-01-10-11 as shown in FIG. 3C, the first selector 702 converts the local motion vector of LMV1-LEV2-LMV3-LMV4. Occurs in order. Statistical variables are also generated in the order of Cavg1-Cavg2-Cavg3-Cavg4, Cmax1-Cmax2-Cmax3-Cmax4, and C 2 nd 1 -C 2 nd 2 -C 2 nd 3 -C 2 nd 4 .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ocal motion vectors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generated from the same local motion regions are sequentially generated. He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s used to generate a weight signal, and statistical variables are used as signals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주치신호를 구하는 경우, 고립도와 안정도를 구하고, 구해진 고립도 및 안정도를 분석하여 각각 가중치신호를 부여해야 한다. 먼저 상기 고립도(isolativity)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의 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감산기(711)은 국부움직임벡터LMV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64)으로부터 수신되는 평균국부움직임벡터 ALMV의 차를 계산하여 고립도를 발생하고, 이를 고립도가중치코딩부(713)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고립도가중치코딩부(713)는 감산기(711)로부터 수신되는 고립도에 따라 제9a도와 같은 특성으로 고립도 가중치를 계산한다. 즉, 상기 제9a도를 참조하면, 고립도가 0일때 사기 고립도 가중치는 1의 값을 갖게 되고, 상기 고립도가 증가하면 고립도 가중치는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고립도가 매우 큰 값을 갖게 되면 고립도 가중치는 0의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고립도가중치코딩부(713)은 수신되는 고립도를 분석한 후, 제9a도와 같은 고립도에 대한 특성 곡선에 따라 고립도 가중치를 부여한다. 두번째로 상기 안정도(stability)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 PFMV 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간산기(712)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와 이전필드 움직임벡터 PFMV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발생하고, 이를 안정도가중치코딩부(714)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안정도가중치코딩부(714)가 상기 감산기(712)로부터 수신되는 안정도에 따라 제9b도와 같은 특성으로 안정도 가중치를 계산한다.In case of obtaining the temporary value signal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ing signal should be given by analyzing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btained. First, the isolation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Therefore, the subtractor 711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ALMV received from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64, generates an isolation degree, and applies it to the isolation weight coding unit 713. do. Then, the isolation weight coding unit 713 calculates the isolation weight with the same characteristic as that of FIG. 9a according to the isolation received from the subtractor 711. That is, referring to FIG. 9A, the fraud isolation weight has a value of 1 when the isolation degree is 0, and the isolation weight decreases when the isolation degree increases. And if the isolation has a very large value, the isolation weight has a value of zero. Therefore, the isolation weight coding unit 713 analyzes the received isolation degree, and assigns the isolation weigh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isolation degree as shown in FIG. 9a. Second, the stability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Accordingly, the interpolator 712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PFMV to generate stability, and applies it to the stability weighting coding unit 714. Then, the stability weight coding unit 714 calculates a stability weight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at of FIG. 9b according to the stability received from the subtractor 712.

즉, 상기 제9b도를 참조하면, 안정도가 0일때 상기 안정도 가중치는 1의 값을 갖게 되고, 상기 안정도가 증가하면 안정도 가중치는 감소하여 0에 접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안정도가중치코딩부(714)는 감산기(712)로부터 수신되는 안정도를 분석한 후, 제9b도와 같은 안정도에 대한 특성곡선에 따라 안정도가중치를 부여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고립도 가중치 및 안정도 가중치는 가산기(715)에서 가산되며, 제산기(716)은 상기 가산된 고립도 및 안정도의 가중치를 1/2 나누어 평균화된 가중치 W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산기(716)의 출력은 고립도 가중치와 안정도 가중치의 평균 값으로서, 레지스터(717)에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 W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은 가중치신호들은 상기 제1선택기(702)에서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므로, 각각 대응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됨을 알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9b, when the stability is 0, the stability weight has a value of 1. When the stability is increased, the stability weight decreases to approach zero. Therefore, the stability weighting coding unit 714 analyzes the stability received from the subtractor 712, and then assigns the stability weighting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urve for the stability as shown in FIG. The isolation weights and stability weight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added by the adder 715, and the divider 716 divides the weights of the added isolation and stability by 1/2 to generate an averaged weight W. Therefore, the output of the divider 716 is an average value of the isolation weight and the stability weight, and is applied as the weight W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ster 717. The weight signals as described above are sequentially generated by the first selector 702 in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sequenti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타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조건을 살펴본다. 상기와 같은 영상데이타의 불안정한 조건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인 경우, 반복적인 영상 형태를 갖는 영상인 경우, 움직이는 물체를 갖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영상인 경우에는 전체적인 두 필드 사이의 차분에 해당하는 상관도의 평균 값이 감소하게 되어 높은 상관도데이타 COR을 가지는 좌표가 증가하게 되므로,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정확도는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것은 여파 후의 전체해상도(full resolution)의 데이타를 이용하는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2진에지신호를 이용하는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에서는 소정의 윈도우에 의한 서브 블럭의 상태에 의해 에지를 검출하게 되므로 낮은 콘트라스트 영상에서도 만족한 신뢰성을 얻게되지만, 일정레벨 이하로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었을 경우에는 에지 포인트(edge point)가 줄어들게 되어 이 방식도 역시 신뢰성이 저하된다. 화면 상에서 전체적으로 정상적인 콘트라스트를 가진 영상이라 할지라도 국부움직임을 검출하는 영역들이 일정한 인텐시티(intensity)를 갖는 물체일 경우에는 이 영역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것과 같게 되므로 일반적인 피사체의 촬영시 이에 대한 대응이 있어야 한다. 제8도는 상곤도의 특성에 관한 도면으로서, i,f만큼 이동된 위치에서의 상관도가 가장 높을 경우 상관도데이타COR(i,j)에 의해 국부움직임벡터 LMV가 검출되는데, 영상이 정상적인 콘트라스트를 가질 경우에는(8a)와 같이 상관도의 범위가 크게 된다. 반면에 낮은 콘트라스트에서는 (8b)와 같이 영상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S/N비)작아져 상관적인 평균치가 감소하게 되므로 검출된 움직인 벡터의 정확성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낮은 콘트라스트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평균상관도 Cavg를 파라메터로 사용하여 일정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영역에서 구한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영상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조건식은 평균상관도 Cavg제1임계값 REF1 이 된다. 상기 조건식에서 평균상관도 Cavg는 매칭된 에지의 평균 갯수이고, 제1임계값 REF1은 실험적으로 8포인트 이상에서 만족한 움직임 벡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영상데이타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갖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교기(723)은 일측단으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의 제산기(57)로 부터 출력되는 평균상간도 Cavg를 수신하고 타측단자로 상기 제1임계값 REF1을 수신하여 비교한다. 이때 상기 평균상관도 Cavg가 제1임게값 REF1보다 크면 수신되는 영상데이타의 콘트라스트는 정상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3)은 정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상기 평균상관도 Cavg가 제1임계값 REF1보다 작으면 수신되는 영상데이타의 콘트라스트는 비정상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3)은 비정상신호를 출력한다. 두번째로 영상데이타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본다.The conditions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image data us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will be described. The unstable condition of the image data may be divided into a case having an image having a low contrast, an image having a repetitive image form, a case having a moving object, and the like. First, in the case of an image having a low contrast, the average value of the correla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ields decreases, so that the coordinate having the high correlation data COR is increas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etected local motion vector LMV is decreased. Will be. This will be more prominent in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using the full resolution data after the filter. As described above,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using the binary edge signal detects the edge by the state of the sub-block due to a predetermined window, so that a satisfactory reliability is obtained even in a low contrast image, but below a certain level. When the contrast is reduced, the edge point is reduced, which also reduces the reliability. Even if the image has an overall contrast on the screen, if the areas that detect local movement are objects having a constant intensity, this area is equivalent to having a low contrast. Therefore, there should be a response when shooting a general subject. . FIG. 8 is a diagram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ographical degree. When the correlation degree at the position moved by i, f is the highest,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s detected by the correlation data COR (i, j). In the case of having (8a), the range of the correlation is large. On the other hand, at low contrast, the signal-to-noise ratio (S / N ratio) of the image signal is reduced, as shown in (8b), so that the correlation average decreases, so the accuracy of the detected moving vector is reduced. In order to adapt to the low contrast as described above, if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is used as a parameter, the local motion vector LMV obtain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not used when the threshold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ditional expression for identifying the image state as described above is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first threshold value REF1. In the above condition equation,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is the average number of matched edges,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REF1 can experimentally obtain a satisfactory motion vector at 8 points or more.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image data received as described above has a low contrast, the comparator 723 has a mean phase Cavg output from the divider 57 of the local moving decision unit 24 at one end. The first threshold value REF1 is receiv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REF1, the contrast of the received image data is regarded as normal, and the comparator 723 outputs a normal signal. However, if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REF1, the contrast of the received image data is regarded as abnormal, and the comparator 723 outputs an abnormal signal. Second, we look at the case of moving objects in the image data.

두번째로 화면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일반적인 영상데이타는 화면 중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움직이는 물체가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내에 있으면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과는 전혀 다르게 검출되어진다. 그러므로 국부움직임검출영역내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움직이는 물체가 있으며,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한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무시해야 한다.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내에 움직이는 물체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식은 최대상관도 Cmax-평균상관도Cavg제2임계값 REF2이 된다. 이때 상기 평균상간도 Cavg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내에서 모든 후보 움직임 벡터의 상관도 평균값을 나타내며, 제2임계값 REF2는 움지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이 된다. 영상 신호 중 움직이는 물체가 발생하게 되면(8d)와 같이 이전 필드와의 정확한 매칭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최대상관도 Cmax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데이타 중에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산기(721)를 통해 최대상관도 Cmax에서 평균상관도 Cavg를 감산하여 그 차분을 구한다. 그리고 비교기(724)는 상기 감산기(721)의 출력을 일측단자로 입력하고 타측단자로 상기 제2임계값 REF2를 입력하여 비교한다.Second, we look at the case of moving objects on the screen. In general image data, a moving object exists in the screen. If the moving object is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s detected differently from the motion caused by hand shaking.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moving object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there is a moving object, and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should be ignored. The conditional expression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moving object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s the maximum correlation Cmax-average correlation Cavg second threshold REF2. In this case, the mean phase degree Cavg represents a mean value of correlation between all candidate motion vectors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REF2 is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a moving object. If a moving object occurs in the image signal (8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match the previous field, so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is relatively reduc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re is a moving object in the image data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verage correlation degree Cavg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hrough a subtractor 721. The comparator 724 inputs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721 as one terminal and compares the second threshold value REF2 with the other terminal.

이때 상기 최대상관도 Cmax에서 평균상관도 Cavg의 차이값이 상기 제2임계값 REF2 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영상데이타에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4)는 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최대상관도 Cmax와 평균상관도 Cavg의 차이값이 상기 제2임계값 REF2 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타에 움직이는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4)는 비정상신호를 출력한다.In this cas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at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REF2, the moving object is regarded as no moving object, and the comparator 724 outputs a normal signal. Howev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and the average correlation Cavg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eshold REF2, the moving object is considered to exist in the received image data, and the comparator 724 outputs an abnormal signal. .

세번째로 반복적인 영상형태를 갖는 경우를 살펴본다. 영상데이타 중에는 줄무늬(stripe)등과 같이 일정한 형태가 반복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반복형태를 가진 영상이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내에 있는 경우, 블럭단위의 2진에지 데이타를 매칭시켜 움직임을 검출하면 패텬의 겹침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다수의 최대상관도 Cmax를 가지게 되며, 이로인해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반복적인 형태에서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무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이용한 조건식 최대상관도 Cmax-제2최대상관도 C2nd제3임계값 REF3이 된다. 상기 조건식에서 최대상관도 Cmax는 국부움직임발생부(11)에서 매칭된 에치 갯수의 최대값이고, 제2최대상관도 C2nd는 2번째로 높은 상관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3임계값 REF3은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으로 낮은 콘트라스트의 영상에서도 상기와 같은 조건식에 의한 결과는 작게되어 반복적인 영상 형태와 낮은 콘트라스트의 식별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반복적인 형태의 영상에서는 (8c)와 같이 상관도의 차분이 완만해진다.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영상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감산기(722)는 상기 최대상관도 Cmax에서 제2최대상관도 C2nd를 감산하여 이에대한 차분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비교기(725)는 비교입력단자로 상기 감산기(722)의 출력을 수신하고 기준입력단자로 상기 제3임계값 REF3을 수신하여 두 신호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최대상관도 Cmax와 제2최대상관도 C2nd의 차이값이 상기 제3임계값 REF3보다 크면 수신되는 영상데이타가 반복적인 영상 형태를 갖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5)는 정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최대상관도 Cmax와 제2최대상관도 C2nd의 차이값이 상기 제3임계값 REF3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단되는 영상데이타에 반복적인 영상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상기 비교기(725)는 비정상신호를 출력한다.Third, the case of having a repetitive image form will be described. In the image data, a certain shape such as a stripe is repeated. When the image having such a repetition form is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when the motion is detected by matching the binary edge data of the block uni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pattern is generated, and thus the maximum correlation is also Cmax. The accurac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in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is reduced. Therefo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in the repetitive form should be ignored. The conditional expression maximum correlation Cmax-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 nd third threshold value REF3 using the parameter for determining such a state becomes. In the conditional expressio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is the maximum value of the number of etched matches in the local motion generation unit 11,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 nd represents the second highest correlation.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is a threshold value for determining a moving object. Even in a low contrast image, the result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 as described above is small, so that the repetitive image form and the low contrast can be simultaneously identified. In the repetitive image, as shown in (8c), the difference in correlation becomes smooth.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ch a repetitive image, the subtractor 722 subtracts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nd from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to generate a difference signal. The comparator 725 receives the output of the subtractor 722 as a comparison input terminal and receives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as a reference input terminal to compare the two signals. In this cas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 nd is great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the received image data is not regarded as having a repetitive image shape, and the comparator 725 is normal. Output the signal. Howev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degree C 2 nd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REF3, it is assumed that a repetitive image form exists in the image data being used, and the comparator 725 Outputs an abnormal signal.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영상데이타의 상태를 분석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신뢰성 여부에 따라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를 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비교기(73-75)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게이트(76)의 출력은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를 출력하는 레지스터(717)의 제어신호로 인가되므로, 상기 비교기(723-725)중 어느 하나라도 비정상신호를 출력하면, 앤드게이트(726)에 의해 상기 레지스터(717)는 발생된 가중치를 출력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신뢰성이 있는 국부움직이벡터 LMV인 경우, 상기 비교기(73-75)는 모두 정상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앤드게이트(726)은 정상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레지스터(717)는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가중치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지스터(717)은 신뢰성 여부에 따라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를 출력하거나 버린다.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received image data as described above, and the output weight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at is, the output of the gate 76 that ORs the outputs of the comparators 73-75 is applied as a control signal of the register 717 that outputs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us the comparators 723-725. If any one of them outputs an abnormal signal, the register 717 cannot output the generated weight by the AND gate 726.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liable local motion vector LMV, all of the comparators 73-75 output normal signals. In this case, the AND gate 726 outputs normal signals, so that the register 717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signal. Weights are output to the local motion vector LMV. Therefore, the register 717 outputs or discards the weight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pending on the reliability.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조건식은 상관도에 의해 불규칙한 영상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적용되고 어느 한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이 이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구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결정에서 제외된다.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가장 기본적인 처리는 신뢰성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의 평균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뢰성이 낮은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무시되고 선택된 후보 국부움직임벡터만을 사용하여 높은 신뢰성의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신뢰성 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을 평균화하는 경우에 두 필드 사이의 상관도에 의한 편협적인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이용하거나 또는 신뢰성 있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일지라도 유사성이 부적합한 국부움직임벡터 LMV들을 이용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정확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르 해소하기 위하여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고립도 및 안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고립도 및 안정도에 대응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신뢰성 있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를 적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 conditional express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daptively corresponding to the irregular image environment by the correlation. Therefore, if each local motion detection area is applied and on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satisfies this condition, it is excluded from the determination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n consider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obtained from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he most basic processing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can be obtained by averaging the reliable local motion vector LMVs. Therefor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with low reliability is ignored and the high reliability field motion vector FMV can be obtained using only selected candidate local motion vectors. However, in the case of averaging reliable local motion vector LMVs, if the localized local motion vector LMV is us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ields or if the local motion vector LMVs having similar similarities are not used even in the reliabl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the motion vector FMV is los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detected local motion vector LMV are calculated, and the weight of the local motion vector LMV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isolation and stability is determined. In the above case, since the reliable local motion vector LMV is applied, an accurate field motion vector FMV can be determined.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다수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한 가중치 W들을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 FMV로 발생하여야 한다. 제10도는 상기와 같은 필드움직임벡터 결정부(62)의 구성도로서, 상기 승산기(101)는 W1*LMV1, W2*LMV2, W3*LMV3, W4*LMV4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가산기(102)은 상기 승산기(101)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가산한다. 그러므로 상기 가산기(102)은 W1*LMV1+W2*LMV2+W3*LMV3, W4*LMV4를 발생한다. 또한 가산기(103)은 상기 레지스터(717)로 부터 출력되는 가주치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The weights W for the plurality of local motion vectors LMV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veraged and generated a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as described above, and the multiplier 101 sequentially outputs W1 * LMV1, W2 * LMV2, W3 * LMV3, and W4 * LMV4. The adder 102 then sequentially adds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101. Therefore, the adder 102 generates W1 * LMV1 + W2 * LMV2 + W3 * LMV3 and W4 * LMV4. In addition, the adder 103 adds and outputs the temporary value signal output from the register 717.

그러므로 상기 가산기(103)은 W1+W2+W3+W4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산기(104)은 상기 가산기(103)의 출력을 제수로 수신하고 상기 가산기(102)의 출력을 피제수로 수신하여 나누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산기(104)을 출력하는 신호는 W1*LMV1+W2*LMV2+W3*LMV3, W4*LMV4)/(W1+W2+W3+W4)가 된다. 이때 임의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상기 임의 가중치신호 0값을 가지면, 상기 가산기(103)은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에 대응하는 제수를 발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산기(103)은 가중치신호들 중 안정된 영상에서 검출된 국부움직임벡터 LV의 검출회수 신호를 발생하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드움직임벡터 FMV 발생시 신뢰성이 없는 국부움직임벡터 LMV가 있으면,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결정부(62)는 해당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의 가중치는 계산하지 않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산기(104)을 출력하는 신호는 필드움직임벡터가 된다.Therefore, the adder 103 outputs W1 + W2 + W3 + W4. The divider 104 then receives the output of the adder 103 as the divisor and receives and divides the output of the adder 102 as the dividend. Therefore, the signal outputting the divider 104 becomes W1 * LMV1 + W2 * LMV2 + W3 * LMV3, W4 * LMV4) / (W1 + W2 + W3 + W4). In this case, if there is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random local motion vector LMV and the random weight signal has a value of 0, the adder 103 does not generate a diviso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adder 103 generates a detection frequency signal of the local motion vector LV detected in the stable image among the weight signals. Therefore, if there is a local motion vector LMV which is unreliable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gene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field motion vector determiner 62 does not calculate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LMV. The signal output to the divider 104 becomes a field motion vector.

상기와 같이 연속적인 두 필드 간의 비교에 의해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결정하면, 카메라 사용자가 고의적인 패닝(panning, centering, tilt)을 목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도 손떨림으로 인식하여 보정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정하는 경우, 좀 처리되는 화면의 영상신호는 최대 움직임 벡터 보정 영역을 초과할 때마다 영상이 단절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손떨림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의 단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영상을 안정화시켜야 한다.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로 부터 검출되는 국부움직임벡터 LMV는 연속적인 필드 상의 2차원적인 움직임을 표현하는 것이고, 이런 움직임 벡터에 의해 영상 움직임 성분을 제거하는 것은 최초의 움직임 방향으로 부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계속적으로 추적하는 과정으로써 안정화된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의도적인 패닝을 할 경우에도 움직임 벡터의 보정 영역 내에서는 정지된 영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정지영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패닝 동작시 최초 방향으로 움직임이 계속되는 영상을 얻어야 하는데, 이것의 누적 형태는 일정한 계수를가진 X(n+1)=k*X(n)+V(n)와 같은 선형방정식의 형태로 구현하면 가능하다. 상기 방정식에서 X(n+1)은 현 필드에서의 누적움직임벡터 AMV이고, X(n)은 이전 필드에서의 누적움직임벡터 AMV이며, V(n)은 필드움직임벡터 FMV이고, k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감쇄계수를 나타낸다. 상기 감쇄계수 k는 영상의 움직임 보정 감쇄의 양과 패닝 동작 중의 응답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수이다. 상기 감쇄계수 k가 클수록 손떨림 보정에 필요한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에러율은 감소하게 되는 반면에 패닝에 대한 응답 특성이 나빠져 부자연스럽게 단절되는 영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감쇄계수 k가 작으면 누적 에러율이 급증하게 되어 손떨림 보정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지만 패닝에 대한 응답 특성이 향상된다. 이런 상반 관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만족한 감쇄계수 k의 값을 얻기 위하여 카메라의 진동 주파수와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에러율관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 결과를 참고로 손떨림 주파수인 2-10Hz에서 95% 이상의 떨림 보정 특성을 얻기 위해 감쇄계수를 0.995로 결정한다(이하 제1감쇄계수 k1이라 칭함). 또한 패닝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손떨림 주파수 이상에서는 상기 감쇄계수를 0.97로 하여(이하 제2감쇄계수 k2라 칭함)한다. 그리고 고의적인 패닝 유무 및 움직임벡터의 보정영역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감쇄계수 K1,K2를 절환한다. 따라서 누적움직임벡터 AMV는 카메라가 정지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방정식에 의해 0로 수렴하게 된다. 최초의 움직임 벡터가 발생되었을 때의 감쇄계수는 0.995의 제1감쇄계수 k1으로 하고 손떨림 주파수에 의해 3-10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 벡터가 발생될 경우에는 패닝 동작으로 인식하여 감쇄계수를 0.97의 제2감쇄계수 k2로 한다. 그리고 움직임 벡터의 보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감쇄계수 k1으로 하고, 보정영역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감쇄계수 k2로 한다. 또한 최초의 촬상 방향으로 부터 보정할 수 있는 손떨림 양을 나타내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상한은 디지탈 줌 비율(digital zooming ratio)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줌 비율을 크게 할 경우 해상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보통 1.5배 이하로 처리한다. 그래서 패닝에 의해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상한치를 초과하게 되면 리세트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것은 영상의 절단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눈에 거슬리게 되므로, 상한치에서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리미팅(limiting)처리를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determined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fields, the camera user recognizes and corrects the motion even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for the purpose of intentional panning (centering, tilting). In the case of the cor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ignal of the screen to be processed is a phenomenon that the image is disconnected whenever the maximum motion vector correction region is exceeded. Therefore, the image must be stabilized to remove the disconnection of the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shaking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he local motion vector LMV detected by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represents two-dimensional motion on a continuous field, and the removal of an image motion component by such a motion vector is a field from the first motion direction. By continuously tracking the motion vector FMV, a stable output can be obtained. Therefore, even in intentional panning, a still image appears in the correction region of the motion vector. In order to remove this still image, it is necessary to obtain an image in which the movement continues in the initial direction during the panning operation of the camera. The cumulative form of X (n + 1) = k * X (n) + V (n) has a constant coefficient. This can be done in the form of a linear equation such as In the equation, X (n + 1) i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n the current field, X (n) i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n the previous field, V (n) i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k is less than 0. Attenu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1 is shown. The attenuation coefficient k i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motion compensation attenuation of the image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during the panning operation. As the attenuation coefficient k increases, the error rat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quired for image stabilization decreases while the response characteristic to panning worsens, resulting in an unnatural disconnection. In addition, if the attenuation coefficient k is small, the cumulative error rate is rapidly increased, and thus the function of image stabilization is lost, but the response to panning is improved. In order to obtain satisfactory attenuation coefficient k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e-off relationship, the error 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camera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determined experiment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determined to be 0.9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in order to obtain a shake correction characteristic of 95% or more at a hand shake frequency of 2-10 Hz with reference to the experimental result.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anning characteristic,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set to 0.97 or hig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above the jitter frequency.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K1 and K2 are switched by judging whether there is intentional panning and whether a motion vector is corrected. Therefor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onverges to zero by the above equation when the camera is stationary. When the first motion vector is generated,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0.91 and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is set. When the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is generated by more than 3-10 frames due to the shaking frequency,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recognized as a panning operation.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is assumed. If the motion vector exists in the correction region,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is set. If the correction area is exceeded,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is set.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which represents the amount of image stabilization that can be corrected from the first imaging direction, is determined by a digital zooming ratio. To be processed. Therefore, when the upper limi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exceeded by panning, the reset process is performed. This results in the cutting effect of the image, which is annoying, and thus the limiting process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performed at the upper limit. .

이때 상기 손떨림 양이 리미트 상태에 있게 되면, 다시 상기 감쇄계수를 손떨림 보정 모드인 0.995의 제1감쇄계수 k1으로 변화해주여야 한다.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is in the limit state, the attenuation coefficient should be changed to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of 0.995, which is the image stabilization mode.

제11도는 손떨림 특성에 의해 패닝을 보상하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구성도이고, 제12a도는 패닝식별신호 PID의 발생을 나타내는 타이밍된이며, 제12b도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최대 움직임벡터 보정영역 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고, 제12c도는 상기 제12b도와 같은 상태에서 감쇄계수 k1 및 k2의 절환이 이루어져 손떨림이 보정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거 패닝 효과를 억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패낭식별부(111)은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 및 상기 관도데이타 COR로 부터 현재 패닝이 발생되었는가 검사하여 패닝식별신호 PID를 발생한다. 즉, 상기 패닝식별부(111)은 수신되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상태를 분석하여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임 벡터가 발생하면 패닝 발생을 의미하는 패닝 식별신호 PID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손떨림으로 간주하여 제1감쇄계수 k1을 선택하기 위한 식별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수는 10 프레임으로 가정한다. 상기 패닝식별부(11)로 부터 발생되는 패닝식별신호 PID를 선택신호로 수신하는 멀티플렉서(118)은 제1단자로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단자로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감쇄기(116)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제1감쇄계수 k1으로 감쇄시키고, 제2감쇄기(117)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제2감쇄계수 k2로 감소쇄킨다. 따라서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상기 패닝식별부(111)의 출력인 패닝식별신호 PID의 상태에 따라 감쇄기(116,117)의 출력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패닝식별신호 PID가 발생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제2감쇄게수 k2로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출력하는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하고 패닝식별신호 PID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1감쇄계수 k1로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출력하는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한다. 상기 제1감쇄기(116)은 0.995의 제1감쇄계수 k1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 후 상기 멀티플렉서(118)의 제1단자로 인가하고, 상기 제2감쇄기(117)이 0.97의 제2감쇄계수 k2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 후 상기 멀티플렉서(118)의 제2단자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패닝식별부(111)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18)은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의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감쇄계수로 감쇄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선택하여 가산기(113)으로 인가한다. 상기 가산기(113)은 상기 멀티플렉서(118)의 출력과 레지스터(112)로 부터 출력되는 필드움직임 벡터 FMV를 더하여 현재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한다.그러므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로 부터 출력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이전의누적움직임벡터 AMV 값과 순차적으로 더하여 누적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산기(113)의 출력은 리미터(114)로 인가되는데, 상기 리미터(114)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보정영역의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영상의 단절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리미팅 처리한다. 상기 리미터(114)를 출력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는 레지스터(115)를 통해 출력된다.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3 which compensates for panning by the image stabilization characteristic, FIG. 12a is a timing diagram indicating generation of a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FIG. 12b i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maximum mo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ctor correction areas is shown, and FIG. 12C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camera shake is corrected by switching between the attenuation coefficients k1 and k2 in the same state as in FIG. 12B. Looking at the process of suppressing the panning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first, the panangang identification unit 111 generates a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by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panning is generated from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and the duct data COR. That is, the panning identifier 111 analyzes the state of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and outputs a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indicating panning when a motion vector occurs in the same direction over a predetermined frame.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is generated. It is assumed here that the number of frames is 10 frames. The multiplexer 118 that receives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generated from the panning identification unit 11 as a selection signal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as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attenuator 117 as the second terminal. Receive the output of Here, the first attenuator 116 attenuates the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by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and the second attenuator 117 decreas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by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Therefore, the multiplexer 118 selects the outputs of the attenuators 116 and 117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which is the output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unit 111. At this time, when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is generated, the multiplexer 118 select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that output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ttenuated by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An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that outputs the accumulated motion vector AMV attenuated by one attenuation coefficient k1 is selected. The first attenuator 116 attenuat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using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of 0.995 and then applies it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18, and the second attenuator 117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using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of 0.97 is attenuated and appli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18. Then, the multiplexer 118 outputting the panning identifier 111 selects the accumulated motion vector AMV attenuated by a corresponding attenu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applies it to the adder 113. The adder 113 adds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118 and the field motion vector FMV output from the register 112 to generate the current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u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It can be seen that the field motion vector FMV output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2 is accumulated by sequentially adding with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value. The output of the adder 113 is applied to the limiter 114.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exceeds the upper limit of the correction area, the limiter 114 may accumulate the cumulative motion to prevent the effect of disconnection of the image. Limit the vector AMV.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utputting the limiter 114 is output through the register 115.

또한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보정영역은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에서 처리하는 줌 비율(Zoom ratio)에 따라 결정된다. 즉 줌 비율이 큰 경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보정영역은 증가되지만, 그에 수반되어 줌 처리되는 영상신호의 화질은 열화가 발생된다. 따라서 적정한 줌 비율을 설정하여야 하며, 설정된 줌 비율을 구현하기 위한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상한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상한치에 도달되는 경우에는 이를 크게 감쇄시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빠르게 0방향으로 귀환될 수 있어야 한다. 다시말하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 값의 크기가 상한치에 도달하는 경우 감쇄계수를 작게하여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감쇄를 크게하여야 한다. 이런 기능은 비교기(119)에 의해 수행되는데, 비교기(119)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비교입력으로 수신하고 제4임계값 REF4를 기준입력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4임계값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값이 보정영역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임계값이다. 상기 비교기(119)와 패닝식별부(111)의 출력은 오아게이트(120)을 통해 멀티플렉서(118)의 선택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118)은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 발생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정상적인 보정영역의 크기를 갖는 경우(AMVREF4)에서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하고, 보정영역의 상한치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AMVREF4)에서 상기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패닝식별 신호 PID와 동일 동작과정을 수행하면서 누적움직임 벡터 AMV를 발생한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reg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zoom ratio processed by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In other words, when the zoom ratio is large, the correction reg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increased, but the quality of the image signal being zoomed is degraded. Therefore, the proper zoom ratio should be set, and the upper limi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o realize the set zoom ratio should be determined.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aches an upper limit, it is greatly attenuated so that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zero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value reaches an upper limit, the attenuation coefficient must be reduced to increase the attenuat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is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comparator 119. The comparator 119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s a comparison input and receives a fourth threshold value REF4 as a reference input. The fourth threshold value is a threshold value set such that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value does not exceed the correction region. The outputs of the comparator 119 and the panning identifier 111 are applied as a selection signal of the multiplexer 118 through the oragate 120. Therefore, the multiplexer 118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generating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select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has a size of a normal correction region (AMVREF4) and corrects the output. When the value of the upper limit of the area is exceeded (AMVREF4),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is selected. Then,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generated while performing the same operation as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여기서 제12b도와 같이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발생되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제4임계값 REF4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비교기(119)는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이로인해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T1 시점 이전에서 제12c도와 같이 상기 제1감쇄계수 k1인 0.995로 감쇄되는 제1감쇄기(116)의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선택하여 상기 가산기(113)로 인가한다. 그러나 상기 T1의 시점이후, 손떨림에 의한 일정 주파수에 10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벡터가 발생되면, 상기 패닝식별부(111)은 제12a도와 같이 패닝식별신호 PID를 발생한다.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small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REF4, the comparator 119 outputs a signal for selecting an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Thus, the multiplexer 118 selects and appli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f the first attenuator 116, which is attenuated to 0.995 having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as shown in FIG. 12c, before the time point T1. . However, after the time point T1, if a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is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by more than 10 frames due to the shaking, the panning identifier 111 generates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s shown in FIG. 12a.

그러면 상기 멀티플레서(118)은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에 의해 제12c도와 같이 상기 제2감쇄계수 k2인 0.97로 감쇄되는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가산기(113)로 인가한다. 이런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가 해제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다시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에서 T3시점과 같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상기 제4임계값 REF4보다 커지면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다시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보정 가능한 크기로 빨리 환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T4 시점과 같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보정 가능한 크기로 빨리 환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T4 시점과 같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상한치에 도달하면, 이때부터 리미터(114)가 동작되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일정한 크기로 유지시킨다.Then, the multiplexer 118 select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that is attenuated to 0.97, which is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as shown in FIG. 12c by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applies it to the adder 113. In this state, when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is released at time T2, the multiplexer 118 select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again. When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becomes great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REF4 as in time T3, the multiplexer 118 again returns the second attenuator 117. Select the output of so that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an be quickly reduced to a correctable size. However, as in the time point T4,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an be quickly reduced to a correctable size. However,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aches the upper limit as in the time point T4, the limiter 114 is operated from this time to maintai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t a constant siz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상기 제13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출력단과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의 입력단 사이에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을 연결한다. 상기 제2 실시예로서 도시된 제13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카메라로 부터 발생되는 디지탈 영사데이타는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 및 필드메모리(15)로 인가된다.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디지탈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로부터 현재 필드의 2진에지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필드의 2진에지신호를 이런 필드의 2진에지 신호와 국부움직임검출 영역단위로 패턴을 매칭시켜 연속적인 두 필드간의 비교에 의한 상관도를 계산하고, 이 상관도 데이타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적변수들을 발생한다. 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 변수들을 수신한다.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수신되는 사기 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변수들로 부터 1필드의 전체 움직임을 나타내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여 연속적인 필드 사이의 흔들림을 최초의 상태로 안정화하기 위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한다.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의 오검출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세한 잡음으로 인한 영상의 불안정을 억제할 수 있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Compcensation AMV)를 발생한다. 필드메모리(15)는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되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타를 리드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 CAMV로 부터 리드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필드메모리(15)로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필드메모리(15)로 부터 리드되는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를 수행한다. 즉,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필드메모리(15)로 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한 움직임 보상에 의해 수행하며, 상기 디지탈 줌 프로세스 과정에서는 영상 신호를 보간(interpolation)하여 영상의 일정 부분을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안정호 된 영상을 출력한다.FIG.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 13, the output terminal and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 compensating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6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s of 14).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FIG. 13 shown as the second embodiment, the digital projection data generated from the camera is applied to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and the field memory 15. FIG.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receives digital image data, detects a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s the binary edge signal of the detected current field into a binary edge signal of this field. The pattern is matched with the unit of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nd the correlation is calculated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fields. Using this correlation data,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atistical variables ar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 Receive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2 generates a field motion vector FMV representing the total motion of one field from the received fraud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and accumulates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to stabilize the shaking between successive fields to an initial state. Occurs.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6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3, the compensation to detect the false detection movement of the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to suppress the instability of the image due to fine noise Generat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Compcensation AMV). The field memory 15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the read addres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generator 16, generates a read address from the received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CAMV, and applies the read address to the field memory 15.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the image data read from the field memory 15. That i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14 performs image compens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memory 15 by the read address by motion compensa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 image signal during the digital zoom process. By interpolating and zooming in on a certain part of the image, the final stable image is output.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는 정지화시 누적움직임벡터 AMV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오검출 우미직임 벡터 성분을 제거함으로서 안정한 화면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은 적응적인 오류벡터 보상값(Compensation Value)를 사용하는데, 상기 오류벡ㅌ보상값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를 이용한다. 이 경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 및 최대상관도차가 작을 수록 오검출 움직임 벡터의 확률이 높으므로, 오류벡터 보상값을 크게 하여 미세움직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확률이 높으므로, 오류벡터 보상값을 크게 하여 미세움직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클 경우에는 검출된 움직임 벡터를 최대한 이용하여 완벽한 움직임 보정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6 can reproduce a stable screen by eliminating false detection dominant vector components that may be represented by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when freezing. To this end,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6 uses an adaptiv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 use it. In this case, the smaller the magnitude and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false detection motion vector. Therefore, the fine motion can be removed by increasing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s a result, since the probability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high, the fine motion can be removed by increasing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s a result,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are large, perfect motion corre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detected motion vector to the maximum.

제14도는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누적움직임벡터가 잡음에 의해 미세한 움직임 벡터를 포함한 경우 이를 억제하기 위한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6)의 구성도로서, 최소움직임결정수단은 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142). 가산기(143) 및 제산기(144)로 구성된다.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은 누적움직임벡터발생기(13)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최소움직임을 결정하여 제1오류벡터보상값C1을 발생한다.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감산기(54)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최소유효움직임을 결정하여 제2오류벡터보상값 C2를 발생한다. 가산기(143)은 상기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 및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두 오류벡터보상값 C1,C2를 가산한다. 제산기(144)는 상기 가산기(143)와 연결되며, 상기 가산기(143)의 출력 C1+C2를 1/2로 나누어 평균오류벡터보상값 Vc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최소움직임결정수단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최소 유효 움직임을 각각 결정한후 상기 두 오류벡터보상값을 평균하여 출력한다.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수단은 레지스터(115,116), 가산기(117,118), 오아게이트(150), 인버터(121) 및 멀티플렉서(17)로 구성된다. 레지스터(146)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여 저장한다.14 is a block diagram of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6 for suppress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ncluding a fine motion vector due to noise, and the minimum motion determining means include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ing unit ( 141,142). It consists of an adder 143 and a divider 144.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nd determines the minimum motion of the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o generate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C1.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is connected to the subtractor 54 and determines the minimum validity of the received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to generate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C2. The adder 14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and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and adds two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C1 and C2. The divider 144 is connected to the adder 143 and generates an averag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by dividing the output C1 + C2 of the adder 143 by 1/2. Therefore, the minimum mo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minimum effective motions of the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respectively, and averages the two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The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is composed of registers 115 and 116, adders 117 and 118, an oar gate 150, an inverter 121 and a multiplexer 17. The register 146 receives and stor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레지스터(145)는 상기 평균 오류벡터보상값 Vc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감산기(147)은 상기 레지스터(116,115)의 출력을 수신하며, 누적움지임벡터 AMV에서 상기 평균최소움직임값 Vc를 감산하여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를 발생한다. 가산기(148)은 상기 레지스터(116,115)의 출력을 수신하며,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가산하여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150)는 상기 감산기(147)의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의 MSB와 반전된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의 MSB를 수신하여 논리합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49)는 상기 감산기(147)의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 출력을 제1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가산기(148)의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 출력을 제2단자로 수신하며, 상기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 의 MSB를 선택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120)의 출력을 인에이블단자로 수신한다.The register 145 receives and stores the averag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ubtractor 147 receives the outputs of the registers 116 and 115, and subtracts the average minimum motion value Vc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o generate a first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Vc. The adder 148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gisters 116 and 115, and add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o generate a second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X (n) + Vc. The OR gate 150 receives and ORs the MSB of the first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Vc of the subtractor 147 and the MSB of the second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 Vc, which is inverted. The multiplexer 149 receives the first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Vc output of the subtractor 147 as a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 Vc output of the adder 148. The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MSB of the first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Vc as the selection terminal,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gate 120 as the enable terminal.

상기 멀티플렉서(149)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오류벡터보상값 Vc의 관계에 따라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선택하여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로 출력한다. 상기 최종움직임 벡터발생수단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와 평균화된 최소유효우미직임 값을 감산하여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을 오류벡터보상값 Vc와 비교하여 잡음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움직임에 적응적으로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한다. 즉,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양수이고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를 보상누적움직임벡터로 선택 출력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양수이고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작을 경우에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0로 리세트시키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음수이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를 보상누적움직임벡터로 선택 출력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음수이고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클 경우에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0로 리세트시킨다.The multiplexer 149 selects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and outputs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The final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subtract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averaged minimum effective motion value to generate a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compar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with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o generate a noise componen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s generated adaptively to fine movement. That is,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posi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X (n) -Vc is output as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positive. If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less than Vc, the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is reset to 0.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negativ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econd compensation motion vector is calculated. X (n) + Vc is selected and output as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nega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s reset to zero.

제15a도는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에서 처리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오류벡터보상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고, 제15b도는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에서 처리하는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와 오류벡터보상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15A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processed by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ing unit 141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nd FIG. 15B is processed by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ing unit 142. FIG. This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의 동작과정과 동일하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영상안정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실험에 의하면 정지된 영상신호에서도 잡음 성분에 의해 약간의 흔들림이 검출된다. 이런 현상은 영상신호가 에지검출에 의해 2진 데이타로 변환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잡음 성분이 최대상관도 Cmax 주변에서 영향을 주게 되어 작은 양의 움직임 벡터를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누적되어 시간에 따라 불필요한 연속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정지화면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 안정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시킨다. 이것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벡터보상값 만큼 감소된 데이타를 출럭하게 되어 낮은 움직임 벡터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0으로 리세트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움직임 벡터의 잡음성분이 억제되어 화면의 재현을 안정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미소한 실제 흔들림 성분도 제거하게 되어 영상안정화시스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잡음성분을 억제하고 또한 영상안정화 시스템의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처리를 하기 위하여 제안된 특성식은 하기와 같다.Whe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is implemented in hardware, experiments show that even a still image signal is slightly shaken by the noise component.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binary data by edge detection and processed, so that the noise component affects around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max and generates a small amount of motion vector. Movement will occur. In order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stable image in the still picture, the second embodiment suppresses the error motion vector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is is for retrieving data reduced by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by input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resett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w motion vector to zero. Then, the noise component of the motion vector is suppressed to stabilize the reproduction of the screen. However, in such a case, the small actual shake component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also removed, thereby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Therefore, the proposed characteristic equations for suppressing the noise components and processing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are as follows.

상기에서 X(n)은 현 필드의 누적움직임벡터 AMV이고, Xc(n)은 코어링 처리된 누적움직임벡터 AMV이며, Vc는 최소유효움직임을 나타내는 오류벡터보상값(coring vlaue)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는 신호 처리의 성능에 중요한 요소로서,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에 의해 영상의 정지 여부 및 최대 상관도 Cmax와 제2최대상관도 C2nd의 차분인 최대상관도차 Cdif에 의해 잡음 성분의 영향 여부의 가중치를 조합하여 적응적으로 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최대상관도차 Cdif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로 발생되는 신호이므로, 이러한 최대상관도차 신호를 1필드 주기로 평균화한 평균최대상관도체 Cad를 사용한다.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체 Cad는 평균최대상관도차발생부(65)로 부터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작게 나타나면 비디오 카메라는 거의 정지되어 있음을 의미하므로 약간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는 잡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을 크게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최대상관도차 Cad가 각각 크게 나타나면 비디오 카메라의 움직임이 뚜렷하므로 오류벡터보상값은 손떨림 보정 에러를 최소로 하기 위해 작게 한다.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DPTJ 오류움직임벡터의 보상은 최대 0.5 픽셀의 오류벡터보상값에서 안정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결과 상기 코어링 프로세스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에서는 5픽셀인 경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최대상관도차 Cad 는 10개의 에지 매칭 갯수 이상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제15a도 및 제1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균최대상관도 Cad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오류벡터보상값을 적응적으로 부여한다.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잡음 성분 억제를 위한 적응적인 코어링 프로세스는 손떨림 보정의 장확성을 유지하면서 정지 여상의 잡음 성분에 의한 소량의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게 되었다.X (n) i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f the current field, Xc (n) i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subjected to coring, and Vc represent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coring vlaue) indicating that it is the minimum valid motion. In general,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signal processing, and the maximum correla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freeze and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C 2 nd due to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 difference Cdif combines the weights of whether the noise component is affected or not so that the range can be adaptively changed. Since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is a signal generated in units of a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nductor Cad is obtained by averaging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signal by one field perio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nductor Cad is generated from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generation unit 65. Therefore,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re small, the video camera is almost stopped. Therefor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increased to suppress the noise component that can cope with slight movement, and the cumulative motion If the vector AMV and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re large, the motion of the video camera is clear. Therefor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reduced to minimize the image stabilization error. Compensat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DPTJ error motion vector was able to obtain a stable image at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of up to 0.5 pixel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ring process is necessary for 5 pixels i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is required for more than 10 edge matching numb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preset in accordance with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egree Cad is adaptively given. The adaptive coring process for suppressing the noise compone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an compensate for the small amount of motion caused by the noise component of the still image while maintaining the accuracy of image stabilization.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에 의해 오류벨터보상값을 결정한다. 즉,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규최대상관도차 Cad가 각각 작게 나타나면 카메라는 거의 정지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 Vc을 크게 한다. 반면,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최대상관도차 Cdif가 각각 크게 나타나면 카메라의 움직임이 뚜렷한 상태이므로 손떨림 보정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 Vc을 작게한다.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rror belt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That is,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normal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re small, the camera is almost stopped,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increased to suppress the noise. On the other hand,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are respectively large, the motion of the camera is clear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reduced to minimize the camera shake correction error.

따라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으로부터 출력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는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즉, 상기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은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에 따라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0일 때 최대 0.5를 갖게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증가하면서 오류벡터보상값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5 이상일 때 0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의 감산기(54)로부터 출력되는 평균최대상관도차 Cad를 수신하는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즉, 상기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제1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크기에 따라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하는데, 실험적으로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0일때 최대 0.5를 갖게 되고,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점점 증가하면서 최소 유효 움직임이 감소하며,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10을 넘게되면 0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에 대한 오류벡터보상값을 각각 C1및C2라 하면, 가산기(143) 및 제산기(144)는 상기 C1 및 C2를 가산한 후 2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한다. 상기 평균값이 상기한 오류벡터보상값 Vc으로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는(C1+C2)/2에 의해 구해진다.Accordingly,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 receiv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output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provide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at is,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assign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s shown in FIG. 12A.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zero, the maximum value is 0.5, and a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increase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decreases linearly to be 0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ing unit 142 that receives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output from the subtractor 54 of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determine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Grant. That is,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assign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s shown in FIG. 12B. When 0 is 0, the maximum effective correlation decreases as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gradually increases, and when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exceeds 10, it becomes 0. Whe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for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1 and C2, respectively, the adder 143 and the divider 144 add 2 to C1 and C2, and Divide by to get the average valu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obtained by (C1 + C2) / 2 as the average value a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상기와 같이 오류벡터보상값 Vc가 결정되면, 상기한 특성식에 의해 미세 움직임 억제 처리된 움직임 벡터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양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보다 작을 경우 및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음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는 0로 리세트시켜 움직임보정을 하지 않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양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보다 크거나 누적움직임벡터가 음수이면서 작을 경우에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오류벡터보상값 만큼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움직임을 억제 처리하기 위하여 감산기(147)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X(n)에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감산하여 X(n)-Vc값을 발생하고, 가산기(148)은 수신되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X(n)에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가산하여 X(n)-Vc값을 발생한다. 상기 감산기(147) 및 가산기(148)의 출력은 각각 멀티플렉서(149)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로 인가된다. 그리고 오아게이트(150)은 상기감산기(147)의 부호비트 MSB 및 가산기(148)의 반전된 부호비터(MSB)를 수신하여 논리합하고, 여기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149)이 인에이블신호로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감산기(147)의 부호비트가 1이고 상기가산기(148)의 부호비트가 0인 경우, 즉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양수이면서 크기가 오류벡터보상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음수이면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클 경우, 상기 오아게이트(150)은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149)은 디스에이블되어 최종 누적움직임벡터 Xc(n)을 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낮은 움직임벡터 성분을 갖는 경우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리세트시켜 잡음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미세한 움직임벡터 성분을 억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건을 제외하고 상기 게이트(120)은 상기 멀티플렉서(149)을 인에이블시킨다. 이때 상기 감산기(147)를 출력하는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 X(n)-Vc의 부호비트는 상기 멀티플렉서(149)의 선택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47)의 출력 논리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149)는 누적움직임벡터 X(n)이 양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클 경우 제1단자로 수신되는 제1최종움직임벡터 X(n)-Vc값을 선택하는 최종 누적움직임벡터 X(n)으로 출력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X(n)이 음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작을 경우 제2단자로 수신되는 제2보상누적움지임벡터 X(n)+Vc를 선택하여 최종 누적움직임벡터 Xc(n)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카메라의 움직임이 뚜렷한 경우에는 상기 누저움직임벡터 AMV를 오류벡터보상값 Vc 만큼 감소시켜 잡음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한 움직임벡터 성분을 억제한다.Whe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vector subjected to the fine motion suppression process can be obtained using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posi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nd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nega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reset to zero without motion compensation.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or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small,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reduced by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n order to suppress the fine movement as described above, the subtractor 147 subtract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from the received accumulated motion vector X (n) to generate an X (n) -Vc value, and the adder 148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added to the received accumulated motion vector X (n) to generate an X (n) -Vc value. The outputs of the subtractor 147 and the adder 148 ar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49, respectively. The OR gate 150 receives and ORs the sign bit MSB of the subtractor 147 and the inverted sign bitter MSB of the adder 148, and conver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ultiplexer 149 into an enable signal. Is authorized. Therefore, when the sign bit of the subtractor 147 is 1 and the sign bit of the adder 148 is 0, that i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positive and the magnitude is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or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negative. If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the OR gate 150 outputs a logic high signal. In this case, the multiplexer 149 is disabled to output the final cumulative motion vector Xc (n) as zero. . Therefore,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has a low motion vector component,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reset to suppress the fine motion vector component represented by the noise component. However, except for the above conditions, the gate 120 enables the multiplexer 149. At this time, the sign bits of the first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X (n) -Vc outputting the subtractor 147 are applied a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multiplexer 149.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output logic of the subtractor 147, the multiplexer 149 receives the first final motion vector X (n)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X (n) is posi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A second cumulative motion vector, which is output as a final cumulative motion vector X (n) that selects a Vc value and is received as a second terminal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X (n) is nega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Select X (n) + Vc and output it as the final cumulative motion vector Xc (n). Therefore, when the camera motion is clear, the motion blur vector AMV is reduced by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o suppress the fine motion vector component caused by the noise.

따라서 상기와같이 잡음 등에 의해 누적움직임벡터 AMV에 포함되는 미세한 움직임 성분은 코어링 프로세서를 통해 제거되며, 이로인해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신뢰성 있는 움직임벡터 성분의 신호를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누적움직임벡터 AMV에 의해 필드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억세스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필드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를 인터폴레이션에 의한 방법으로 영상의 일정부분을 확대하여 안정된 줌영상을 억세스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ine motion components included i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re removed by the coring processor. Thu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receives a reliable motion vector component signal from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can be supplied. Therefore,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can precisely control the access switch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eld memory 15 by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refore,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14 can access a stable zoom image by enlarg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mage by interpolation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eld memory 15.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 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상기 제16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도의 제1실시예에서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출력단과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입력단의 사이에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을 연결한다. 상기 제3실시예로 도시된 제16도의 구성을 살펴보면, 카메라로부터 발생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타는 국부움직임베터발생부(11) 및 필드메모리(15)로 인가된다.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은 디지탈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로부터 현재 필드의 2진 에지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필드의 2진 에지신호를 이전 필드의 2진 에지신호와 국부움직임검출영역단위로 패턴을 매칭시켜 연속적인 두 필드간의 비교에 의한 상관도를 계산하고, 이 상관도 데이타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의 국부움직임벡터 LMV 및 통계걱 변수들을 발생한다.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발생부(11)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 변수들을 수신한다.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n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 16 is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The compensating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7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 16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digital image data generated from the camera is applied to the local moving vector generator 11 and the field memory 15.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receives digital image data, detects a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s the detected binary edge signal of the current field into a binary edge signal of the previous field. The pattern is matched by using the unit and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 to calculate the correlation by comparing two consecutive fields.The correlation data is used to generate the local motion vector LMV and statistic variables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do.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or 11 to receive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는 수신되는 상기국부움직임벡터 LMV들 및 통계적 변수들로부터 영상의 안정유무에 따라 1필드의 전체 움직임을 나타내는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한다.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2)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수신하고,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를 수신한다.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은 상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를 수신하여 미세움직임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 미세움직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오류움직임벡터를 제거하여 보상된 필드움직임벡터(Compensating Field Motion Vector)CFMV를 발생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수신한다. 상기 누적움직임베터발생부(13)은 수신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누적하여 연속적인 필드 사이의 흔들임을 최초의 상태로 안정화하기 위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하며, 이를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의 입력으로 인가한다. 필드메모리(15)는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수신되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해당하는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영상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6)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로부터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필드메모리(15)로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필드메모리(15)로부터 리드되는 영상데이타를 수신하여 움직임 보상(motion comprnsation)를 수행한다. 즉,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 처리부(14)는 리드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필드메모리(1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한 움직임 보상에 의해 수행하며, 상기 디지탈줌 프로세스 과정에서는 영상 신호를 보간(interploation)하여 영상의 일정부분을 확대하여 최종적으로 안정화된 영상을 출력한다.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2 generates a field motion vector FMV representing the overall motion of one field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he image from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 LMVs and statistical variable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7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2 to receive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7 receives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to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fine motion, and removes the error motion vector included in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ine motion. To generate a Compensating Field Motion Vector (CFMV).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7 and receive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3 accumulates the receive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generat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for stabilizing the shaking between successive fields to an initial state, and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It is applied by input of (17). The field memory 15 receives and stores the image data, and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the read addres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6, generates a read address from the received accumulated motion vector AMV, and applies the read address to the field memory 15. Motion compensa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image data read from the memory 15. That is,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performs image compensation received from the field memory 150 by the read address by motion compensa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interpolates the image signal during the digital zoom process. (interploation) to enlarge a certain portion of the image and finally output the stabilized image.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은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오류움직임벡터를 제거하며, 이로인해 필드움직임벡터 FMV에서 정지화면에 가까운 미세 움직임 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안정한 영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적응적으로 코어링 처리하기 위한 오류벡터보상값은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or 17 removes an error motion vector included in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thereby removing a fine motion component close to a still picture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t becomes possible to reproduce a stable image. Her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for adaptively cor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in the second embodiment.

즉,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발생부(17)은 적응적인 오류벡터보상값을 사용하는데, 상기 오류벡터보상값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를 이용한다. 이 경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크기 및 최대상관도차 Cdif가 작을수록 오검출움지임벡터의 확률이 높으므로, 오류벡터보상값을 크게하여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미세움직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누적움직임벡터 PAMV 값이 크거나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클 경우에는 검출된 움직임벡터를 최대한 이용하여 완벽한 움직임 보정을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generation unit 17 uses an adaptiv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nd uses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as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n this case,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smaller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misdetection motion vector. have. As a result,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value is large or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is large, perfect motion correc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detected motion vector to the maximum.

제17도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CFMV가 잡음에 의해 미세한 움직임벡터를 포함한 경우 이를 억제하기 위한 보상필드움직임벡터(17)의 구성도로서, 최소 움직임결정수단은 오류벡터결정보상부(141,142), 가산기(143) 및 제산기(144)로 구성된다.1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17 for suppressing the field motion vector CFMV including a fine motion vector due to noise. 143 and divider 144.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은 누적움직임벡터발생기(13)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필드지연기(152)를 통해 수신되는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최소움직임을 결정하여 제1오류벡터보상값 C1을 발생한다.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감산기(54)와 연결되며, 수신되는 최대상관도차 Cdif의 최소움직임을 결정하여 제2오류벡터보상값 C2를 발생한다. 가산기(143)은 상기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 및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C1,C2를 가산한다. 제산기(144)는 사기 가산기(143)와 연결되며, 상기 가산기(143)의 출력 C1+C2를 1/2로 나누어 평균오류움직임벡터보상값인 Vc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최소움직임결정수단은 수신되는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오류벡터보상값을 각각결정한 후 상기 두 오류벡터보상값을 평균하여 오류벡터보상값 Vc로 출력한다. 보상움직임벡터발생수단은 레지스터(145,146), 감산기(147), 가산기(148),오아게이트(150), 인버터(151) 및 멀티플렉서(149)로 구성된다. 레지스터(146)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제지스터(145)는 사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저장한다. 감산기(147)은 상기 레지스터(146,145)의 출력을 수신하며, 필드움직임벡터 FMV에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감산하여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발생한다. 가산기(148)은 상기 레지스터(116,115)의 출력을 수신하며, 필드움직임벡터 FMV와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가산하여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150)는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의 MSB와 반전된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MSB를 수신하여 논리합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49)는 상기 감산기(147)의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 출력을 제1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가산기(148)의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출력을 제2단자로 수신하며, 상기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의 MSB를 선택단자로 수신하고, 상기 게이트(120)의 출력을 인에이블단자로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149)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와 오류벡터보상값 Vc의 관계에 따라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발생하여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보상움직임벡터발생수단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와 평균화된 최소움직임값을 의미하는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감산하여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양수이면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로 선택 출력하고, 상기 필드움지임벡터 FMV가 음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로 선택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양수이면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크기가 작거나 또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음수이면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크기가 크면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0로 리세트시켜 잡음성분을 억제하게 된다.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nd determines the minimum motion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received through the field delay 152 to compensate the first error vector. Generates the value C1.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is connected to the subtractor 54 and determines the minimum movement of the received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dif to generate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C2. The adder 14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and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and adds C1 and C2. The divider 144 is connected to the fraud adder 143 and divides the output C1 + C2 of the adder 143 by 1/2 to generate Vc, which is an average error motion vector compensation value. Therefore, the minimum motion determining means determine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respectively, and averages the two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and output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compensation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is composed of registers 145 and 146, a subtractor 147, an adder 148, an oar gate 150, an inverter 151 and a multiplexer 149. The register 146 receives and store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e resistor 145 receives, stores, and stores a fraud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ubtractor 147 receives the outputs of the registers 146 and 145, and subtract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o generate a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Vc. The adder 148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gisters 116 and 115, and add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o generate a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 Vc. The oragate 150 receives and outputs the MSB of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 Vc inverted from the MSB of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 Vc. The multiplexer 149 receives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 Vc output of the subtractor 147 as a first terminal and outputs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 Vc of the adder 148. The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MSB of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Vc as the selection terminal,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gate 120 as the enable terminal. The multiplexer 149 generates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and outputs it to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0. The compensation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is the field motion vector A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is generated by subtracting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which means a vector FMV and an averaged minimum motion value, and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posi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Vc is output a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nega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Select + Vc a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posi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or the fill. While motion vector FMV is negative, the magnitude is great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o reset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0 will suppress noise components.

제15a도는 제1오류벡터qhtkd결정부(141)에서 처리하는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오류벡터보상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고, 제15b도는 상관도차 움직임결정부(112)에서 처리하는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와 오류벡터보상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15A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processed by the first error vector qhtkd determining unit 141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nd FIG. 15B is processed by the correlation difference motion determining unit 112. FIG. This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제18도는 제16도중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구성도로서, 패닝식별부(111)은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및 상관도데이타 COR을 수신하며,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가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으로 발생되면 고의적인 패닝(Panning)으로 간주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감쇄계수를 변경하기 위한 패닝식별신호 PID를 발생한다. 또한 비교기(119)는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비교입력으로 수신하고,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최대 보정영역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4임계값 REF4를 기준입력으로 수신한다. 상기 비교기(119)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크기가 상기 제4임계값 REF4보다 큰 경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감쇄계수를 변경하기 위한 비교결과신호를 발생한다. 오아게이트(120)은 상기 패닝식별부(111) 및 비교기(119)의 출력을 수신하며, 수신되는 신호를 감쇄계수의 선택신호로 인가한다. 감쇄결정수단은 멀티플렉서(118) 및 감쇄기(116,117)로 구성된다. 제1감쇄기(116)은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며,세트된 제1감쇄계수 K1으로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다. 제2감쇄기(117)은 이전까지의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수신하며, 제2감쇄계수 K2로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감쇄한다. 멀티플렉서(118)은 제1단자로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수신하고 제2단자로 상기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수신하며, 선택단자로 상기 오아게이트(120)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멀티플렉서(118)은 상기 패닝식별신호 PID 또는 비교결과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감쇄기(117)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며, 의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1감쇄기(116)의 출력을 선택 출력한다. 누적움직임벡터발생수단은 레지스터(92,95), 가산기(113),및 리미터(114)로 구성된다. 레지스터(112)는 수신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저장한다. 가산기(113)은 레지스터(112)와 멀티플렉서(118)의 출력을 수신하며, 두 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한다. 리미터(114)는 상기 가산기(113)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가 일정 크기 이상일시 리미팅한다. 레지스터(115)는 리미터(114)의 출력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상기 감쇄기(116,117) 및 비교기(119)의 입력으로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로 출력한다.FIG.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3 of FIG. 16, and the panning identification unit 111 receive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the correlation data COR, and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rame. When generated in the same direction, it is considered as deliberate panning and generates a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for chang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n addition, the comparator 119 receiv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s a comparison input, and receives a fourth threshold value REF4 as a reference input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does not exceed the maximum correction region. The comparator 119 generates a comparison result signal for chang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larger than the fourth threshold value REF4. OA gate 120 receives the output of the pan identification unit 111 and the comparator 119, and applies the received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of the attenuation coefficient. The attenuation determining means is composed of a multiplexer 118 and attenuators 116 and 117. The first attenuator 116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up to the previous time, and attenuat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with the set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K1. The second attenuator 117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up to the previous, and attenuat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received with the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K2. The multiplexer 118 receive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as a first terminal, receive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as a second terminal,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oragate 120 to a selection terminal. Receive. The multiplexer 118 select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or 117 when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or the comparison result signal is received. Otherwise, the multiplexer 118 selects and outputs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or 116. .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is composed of registers 92 and 95, an adder 113, and a limiter 114. The register 112 stores the receive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The adder 113 receives the outputs of the register 112 and the multiplexer 118 and adds the two signals to generate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 limiter 114 receives the output of the adder 113 and limits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register 115 receives and stores the output of the limiter 114, applies it to the inputs of the attenuators 116, 117 and the comparator 119, and outputs it to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제12a도는 패닝식별신호 PID의 형태신호를 나타내며, 제12b도는 누적움직임벡터 AMV의 이동량을 시간에 변화에 따라 도시한 예도이고, 제12c도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로부터 패닝이 감지될 시 상기 제12b도와 같이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할 수 있도록 감쇄계수가 절환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FIG. 12A shows a shape signal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signal PID, and FIG. 12B shows an example of the movement amount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according to the change in time, and FIG. 12C shows the 12B when panning is detected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s shown in the figure, the attenuation coefficient is switched to generat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안정화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대한 동작과정을 살펴본다. 여기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발생하는 과정은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의 동작과정과 동일하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안정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정지된 영상신호에서는 잡음 성분에 의해 약간의 흔들림이 검출된다. 이런 현상은 영상신호가 에지 검출에 의한 2진 데이타로 변화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잡음 성분이 최대상관도 Cmax 주변에서 영향을 주게 되어 작은 양의 움직임벡터를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에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누적하여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오검출 움직임벡터가 누적되어 시간에 따른 불필요한 연속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정지화면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고 안정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한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미세한 오검출움직임벡터가 포함된 필드움직임벡터 FMV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벡터보상값 만큼 감소된 데이타를 출력시키므로서, 미세한 움직임벡터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0으로 리세트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면 상기 움직임벡터의 잡음성분이 억제되어 화면의 재현을 안정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미소한 실제 흔들림 성분도 제거하게 되어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잡음성분을 억제하고 또한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처리를 하기 위하여 제안된 특성식은 하기와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is implemented in hardware, slight shaking is detected by the noise component in the still image signal.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image signal is converted into binary data by edge detection and processed, so that the noise component affects around the maximum correlation Cmax and generates a small amount of motion vector, which is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Because. Therefore,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unit 13 accumulate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nd generates a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such a misdetected motion vector is accumulated to generate unnecessary continuous motion over time. In order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stable image in the still image, the third embodiment suppresses the error motion vector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is is to reset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ne motion vector to zero by outputting the data reduced by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by inputting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ncluding the fine misdetection motion vector as described above. Then, the noise component of the motion vector is suppressed to stabilize the reproduction of the screen. However, in such a case, the small actual shaking component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also removed, thereby degrading the function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Therefore, the proposed characteristic equations for suppressing noise components and processing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are as follows.

상기에서 X(n)은 현재의 필드움직임벡터 FMV이고, Xc(n)은 코어링 처리된 필드움직임벡터 CFMV이며, Vc는 최소유효움직임을 나타내는 오류벡터보상값(coring value)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는 신호처리의 성능에 중요한 요소로서,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크기에 의해 영상의 정지 여부 및 최대상관도 Cmax와 제2최대상관도 C2nd의 차분인 최대상관도차 Cdif의 1필드 평균신호에 의해 잡음성분의 영향 여부의 가중치를 조합하여 적응적으로 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X (n) is the current field motion vector FMV, Xc (n) is the corrugated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Vc represent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ndicating a minimum valid motion. In general,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the signal processing, whether the stop of the image by the size of the vector PAMV previously accumulated motion and maximum correlation Cmax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the largest correlation difference of C 2 nd The range can be adaptively changed by combining the weights of the influences of noise components by the one-field average signal of the on-chip Cdif.

즉, 상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작게 나타나면 비디오 카메라는 거의 정지되어 있음을 의미하므로 약간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잡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을 크게하고, 상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 각각 크게 나타나면 비디오 카메라의 움직임이 뚜럿하므로 오류벡터보상값은 손떨림 보정 에러를 최소로 하기 위해 작게 한다.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미세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은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하면 안정된 영상신호를 얻게 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적응적으로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크기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에 의해 오류벡터보상값을 결정한다. 즉, 상기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각각 작게 나타나면 카메라는 거의 정지되어 있음을 의미하므로,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 Vc을 크게한다. 반면,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각각 크게 나타나면 카메라의 움직임이 뚜렷한 상태이므로 손떨림 보정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류벡터보상값 vc을 작게한다.That is, when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re small, the video camera is almost stopped. Therefor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increased to suppress the noise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slight movement.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re respectively large, the motion of the video camera is insignificant, so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reduced to minimize the image stabilization error.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fine noise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rror motion vector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suppressed, a stable image signal is obtained. In the third embodiment, in order to adaptively suppress the error motion vector of the field motion vector FMV,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o. That is, when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are respectively small, the camera is almost stopped. Therefor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increased to suppress noise. On the other hand, i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are respectively large, the camera motion is clear and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reduced to minimize the camera shake correction error.

따라서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를 수신하는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은 상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최소 유효 움직임을 나타내는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즉, 상기 제1오류벡터보상결정부(141)은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의 크기에 따라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부(24)의 감산기(54)로부터 출력되는 평균최대상관도차 Cad를 수신하는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최소 유효 움직임을 나타내는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한다. 즉, 상기 제2오류벡터보상결정부(142)는 제1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의 크기에 따라 오류벡터보상값을 부여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0일 때 최대 0.5를 갖게되고,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점점 증가하면서 최소 유효 움직임이 감소하며,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 Cad가 10을 넘게되면 0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이전누적움직임벡터 PAMV와 평균최대상관도차 Cad에 대한 오류벡터보상값을 각각 C1 및 C2라 하면, 가산기(143) 및 제산기(144)는 상기 C1 및 C2를 가산한 후 2로 나누어 평균 값을 구한다. 상기 평균값이 상기한 오류벡터보상값 Vc으로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는(C1+C2)/2에 의해 구해진다.Accordingly,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receiv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provide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indicating the minimum effective motion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That is, the first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1 assign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s shown in FIG. 12A. In addition,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ing unit 142, which receives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output from the subtractor 54 of the local motion decision unit 24, indicates the minimum effective movement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Giv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That is, the second error vector compensation determiner 142 assigns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difference Cad is 0, the maximum 0.5 is obtained. As the mean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increases gradually, the minimum effective movement decreases, and when the mean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Cad exceeds 10, it becomes 0. If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s for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and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Cad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C1 and C2, respectively, the adder 143 and the divider 144 add the C1 and C2 and then add them. Divide by 2 to get the average value.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obtained by (C1 + C2) / 2 as the average value a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상기와 같이 오류벡터보상값 Vc가 결정되면, 상기한 특성식에 의해 미세 움직임 억제 처리된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세한 움직임을 억제 처리하기 위하여 감산기(147)은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X(n)에서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감산하여 X(n)-Vc값을 발생하고, 가산기(148)은 수신되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X(n)에 상기 오류벡터보상값 Vc를 가산하여 X(n)+Vc값을 발생한다.Whe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subjected to the fine motion suppression process can be obtained using the above characteristic equation. In order to suppress fine movement as described above, the subtractor 147 subtracts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from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X (n) to generate an X (n) -Vc value, and the adder 148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is added to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X (n) to generate a value of X (n) + Vc.

상기 감산기(147) 및 가산기(148)의 출력은 각각 멀티플렉서(149)의 제1단자 및 제2단자로 인가도니다. 그리고 오아게이트(150)은 상기감산기(147)의 부호비트 MSB 및 가산기(148)의 반전된 부호비트(MSB)를 수신하여 논리합하고, 여기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멀트플렉서(149)의 인에이블신호로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감산기(147)의 부호비트가 1이고 상기 가산기(148)의 부호비트가0인 경우, 즉 필드움직임벡터 FMV의 양수이면서 크기가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음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오아게이트(150)은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멀티플렉서(149)은 디스에이블되어 보상필드움직임벡터 Xc(n)을 0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FMV가 낮은 움직임벡터 성분을 갖는 경우에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를 리세트시켜 미세한 잡음 성분들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태를 제외하고 상기 게이트(120)은 상기 멀티플렉서(149)을 인에이블시킨다. 이때 상기 감산기(147)를 출력하는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의 부호비트는 상기 멀티플렉서(149)의 선택신호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47)의 출력 논리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149)는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 X(n)이 양수이면 사서 오류벡터보상값 Vc보다 클 경우 제1단자로 수신되는 제1최종움직임벡터 X(n)-Vc값을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로 출력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X(n)이 음수이면서 오류벡터보상값 Vc 보다 작을 경우 제2단자로 수신되는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 X(n)+Vc를 선택하여 보상필드움직임베터 CFMV로 출력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출력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는 오류벡터보상값 만큼 감소된 값을 출력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의 미세한 움직임 벡터를 억제할 수 있다.The outputs of the subtractor 147 and the adder 148 ar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multiplexer 149, respectively. The OR gate 150 receives and ORs the sign bit MSB of the subtractor 147 and the inverted sign bit MSB of the adder 148, and enable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ultiplexer 149. Applied by signal. Therefore, when the sign bit of the subtractor 147 is 1 and the sign bit of the adder 148 is 0, that is,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positive and the magnitude is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or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If nega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oragate 150 outputs a logic high signal. In this case, the multiplexer 149 is disabled to output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c (n) as 0. . Therefore, when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FMV has a low motion vector component,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is reset to suppress fine noise components. However, except for the above state, the gate 120 enables the multiplexer 149. At this time, the sign bits of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Vc outputting the subtractor 147 are applied as the selection signal of the multiplexer 149. Therefore, according to the output logic of the subtractor 147, the multiplexer 149 receives the first terminal motion vector X received by the first terminal when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X (n) is great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is outputted as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and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X (n) is nega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Vc,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X (n) is output. Select) + Vc to output the compensation field mover CFMV. Therefore, the resulting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outputs a value reduced by an error vector compensation value, thereby suppressing a fine motion vector of noise components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그러면 제17도와 같은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 13은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보상필드움직임 벡터 CFMV를 수신하여 이전 누적움직임 벡터 PAMV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CFMV는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될 수 있는 오검출된 움직임 벡터를 제거한 움직임벡터 성분이다. 따라서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된 미세한 잡음성분이 억제되므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은 안정된 동작으로 누적움직임벡터 AMV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발생부(13)의 동작은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T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as shown in FIG. 17 receive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o generate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PAMV.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CFMV is a motion vector component from which an erroneously detected motion vector that may be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removed. Therefore, since the minut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is suppresse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can generate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with stable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or 13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필드움직임벡터 FMV에 포함되는 미세한 움직이 미성분은 코어링 프로세서를 통해 제거되며, 이로인해 누적움직임벡터 AMV는 신뢰성 있는 움직임벡터 성분의 신호를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상기 누적움직임벡터 AMV에 의해 필드메모리 (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억세스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제어 및 줌처리부(14)는 필드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를 인터폴레이션에 의한 방법으로 영상의 일정부분을 확대하여 안정된 줌영상을 억세스하여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ine motion microcomponents included in the field motion vector FMV are removed by the coring processor. Thu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can supply a reliable motion vector component signal to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or 14 can accurately control the access switch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eld memory 15 by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MV. Therefore, the address control and zoom processing unit 14 can access a stable zoom image by enlarg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mage by interpolation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eld memory 15.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안정화 시스템에서 영상의 불규칙한 현상을 적응적으로 처리하여 정확한 움직임벡터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적응적 영상 안정화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나 VCR등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안정화 시스템에서는 손떨림과 패닝의 동작 식별에 의한 감쇄계수의 절환, 영상특성의 판단 및 가중치에 의한 적응적인 시스템의 제어, 정지화와 손떨림 상태의 판단에 의한 움직임벡터의 잡음제거등이 잇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적응적 영상 안정화 시스템을 순수한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어 동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시스템의 집적화가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daptively processes the irregular phenomenon of the image to determine the correct motion vector. The adaptiv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video camera or a VCR. In the image stabiliz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switching of attenuation coefficients based on motion and panning motion identification, control of image characteristics and adaptive system control based on weights, and noise removal of motion vectors by determination of still and hand shake conditions. . In addition, since the adaptive image stabilization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pure hardware,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system is easily integrated.

Claims (33)

필드단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2진의 에지데이타로 변화하고, 현재의 필드 및 이전 필드의 상기 에지데이타의 패턴을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이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상기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 변수들을 수신하며,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의 고립도를 계산하여 미리 설정한 비율에 대응하는 고립도가중치를 적응적으로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고립도가중치들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승산한 후 필드 주기로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감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감쇄수단에서 감쇄된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안정화 장치.A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a movement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the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wherein the image stabilization device receives the image data and receives the received image. By changing the data into binary edge data, matching the pattern of the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and the previous field,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s sequentially generate the correlation data, and analyze the generated correlation data. Means for sequentially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receiving the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and calculating an isolation degree of the local motion vector to correspond to a preset ratio; The isolated weights are adaptively generated and sequentially generated Means for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by multiplying the lip weight values and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s and averaging them by field periods, and having attenuating means and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ttenuated by the attenuation means. And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accumulating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분석하여 필드 영상을 2진 에지데이타로 변환하는 에지검출수단과, 적어도 2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진 에지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기준영역 위치의 블럭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1필드 지연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에지검출수단을출력하는 현 필드의 2진 에지데이타를 비교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을 출력하는 이전 필드의 2진 ;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수신하여 두 블럭데이타의 블럭데이타를 패턴 매칭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관도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에지패턴매칭수단과,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수신하며,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수신되는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한 이전의 통계적 변수들과 비교하여 변경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상태를 통계적 변수로 발생하는 동시에 최대상관도의 위치 값을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판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안정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local motion vector comprises: edge detection means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ing the field image into binary edge data; and at least two local movements. A storage means for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sequentially extracting block data of the reference region position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delaying one field, and outputting the edge detection means. Receive binary edge data as comparison data and receive binary; data of previous field outputting the memory means as reference data, pattern matching of block data of two block data, and correlating data of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 edge pattern matching means that is sequentially generated and the correlation data, and receives a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 local mo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maximum correlation diagram while generating the state of the correlation data which is changed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data received at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with the previous statistical variables detected as a statistical variable.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comprising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d by a local motion vector of a detection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이,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와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이전의 최대상관도와 비교하여 상기 상관도데이타가 클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어드레스클럭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어드레스클럭을 계수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발생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검출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발생수단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이전의 최대상관도를 제2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도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신호를 감산하여 최대상관도차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이전의 상관도데이타와 가산하고 가산된 상관도데이타를 후보움직임벡터의 수로 나누어 평균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기 통계적 변수들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 안정화 장치.3. The comparison mean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s a first comparison signal when the correlation degree data is large compared with a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Receiving an address clock and an output of the comparison means, counting the address clock to generate a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Receives local motion vector detection means generated as a local motion vector of a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outputs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and comparison means, and generates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maximum correlation and generating means and the comparison means, and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when receiving the first comparison signal.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maximum correlation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subtracting the two received signals to generate a maximum correlation, and receiving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And means for generat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of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by means of generating correlation coefficient data and the added correlation diagram data by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and generating the average correl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통계적 변수들을 수신하며, 상기 통계적 변수들을 소정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국부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비정상조건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고 비정상조건 발생시 비저상신호를 발생하는 신뢰성 판단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필드단위로 발생되는 평균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수신하며, 상기 움직임벡터정보들을 감산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고립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적응적인 상기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이 출력에 따라 상기 고립도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과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며, 각각 수신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국부움직임벡터들에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평균가중치계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안정화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and compares the statistical variables with predetermined threshold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Reliability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 condition that reduces the error and generating a non-base signal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and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generated in units of field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ans. Calculate the isolation degree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by subtract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adaptive weighting signal at a preset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and the reliability judging means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n isolated weighted signal; And a mean weight calculation means for sequentially receiving local motion vectors, and sequentially applying the weight signals to the local motion vectors of the received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and averaging them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Video stabiliz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 판단수단이, 상기 평균상관도와 낮은 콘트라스트의 기준값인 제1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평균상관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평균상관도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인 제2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제2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도를 감산하여 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반복적인 영상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이 제2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상기 제3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3비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5. The first comparison mean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liability judging means compares the average correlation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of low contrast, and generates an abnormal signal when the average correl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average correlation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compared with a second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moving object. Generating second comparing means; Another signal is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difference signal and the repetitive image compares the second threshold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nd a third comparing means for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at the time of occurre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신호발생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두 움직임벡터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안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기 안정도가 클시 가중치를 작게 부여하고 상기 안정도가 작을시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적응적으로 안정도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고립도가중치신호 및 안정도가중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뢰성판단 수단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eight signal generating means receives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calculates a differenc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wo motion vectors, and calculates the stability at a preset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tability. A means for generating a weighted value when the stability is small and a weighted value when the stability is small, and adaptively generating a stability weighted signal; And means for generating a weighted signal of a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by averaging the received two weights.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결정수단이,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각각 대응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가산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국부움직임벡터를 상기 가산된 가중치신호로 나누어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field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s the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by multiplying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with corresponding weight signals, respectively, and the weight signal. And means for adding the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and means for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by dividing the added local motion vector by the added weight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제1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감쇄계수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2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분석하여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 벡터 발생시 패닝으로 간주하여 패닝신호를 발생하는 패닝식별수단과; 상기 제1감쇄수단 및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패닝식별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패닝신호 수신시 상기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을 수단하며, 상기 두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comprises: means for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attenuate it into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 Means for attenuating with a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and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alyz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panning identification for generating a panning signal by considering the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over a predetermined frame. Means; Receives the outputs of the first attenuation means and the second attenuation means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means as a selection signal, selects the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ion means upon receipt of the panning signal, or else the first attenuation means. And means for selecting an output of the means, means for outputt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selection means, a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umulative motion vector by adding the two signals and outputting the accumulated motion vector to the controller.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상한치인 임계값을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클시 선택수단의 제2감쇄수단 선택신호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산수단과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움직임벡터의 최대 보정영역을 초과할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일정 값으로 유지시키는 리미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9. The apparatus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receiving a threshold value, which is an upper limit valu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generating a second attenuating means selection signal of the selection means when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a limiter connected between the adding means and the control unit to maintai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t a constant value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exceeds a maximum correction region of the motion vector. 필드단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안정화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2진의 에지데이타로 변환하고, 현재의 필드 및 이전 필드의 상기 에지데이타의 패턴을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의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상기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수시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상기저장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의 고립도 및 안정도를 순차적으로 계산하여미리 설정한 비율에 대응하는 가중치신호들을 적응적으로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가중치들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들을 혼합한 후 필드 주기로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감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감쇄수단을 출력하는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수신되는 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오류 움직임 보상 만큼 감소시켜 오검출된 움직임벡터가 억제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A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movement of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y a received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the image stabilizing apparatus receiving and receiving image data. Convert the image data to binary edge data, match the pattern of the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and the previous field, and generate the correlation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s sequentially, and analyze the generated correlation data Means for sequentially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and storing the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and sequentially,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stored local motion vectors. Calculate the weighte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reset ratio And a means for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by mixing the weights and the corresponding locally generated weights which are adaptively generated and sequentially generated, and averaging them in a field period, and attenuating means and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accumula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received field motion vector outputting the attenuation means, receiv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reduc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error motion compensation. And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n which the detected motion vector is suppress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분석하여 필드 영상을 2진에지데이타로 변환하는 에지검출수단과, 적어도 2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기준영역 위치의 블럭데일들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1필드 지연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에지검출수단을 출력하는 현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비교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을 출력하는 이전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수신하여 두 블럭데이타의 블럭데이타를 패턴 매칭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관도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에지패턴매칭수단과,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수신하며,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수신되는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한 이전의 통계적변수들과 비교하여 변경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상태를 통계적변수로 발생하는 동시에 최대상관도의 위치 값을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억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판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local motion vector comprises: edge detection means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ing the field image into binary edge data; and at least two local motions. A storage means for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sequentially extracting blockdales of the reference region position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and delaying one field, and outputting the edge detection means. Receive binary edge data as comparison data, receive binary edge data of the previous field outputting the memory means as reference data, pattern-match the block data of two block data, and correlate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of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 edge pattern matching means that is sequentially generated and the correlation data, and receives a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Comparing the correl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revious statistical variables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he state of the correlation data that is changed as a statistical variable, while generating a local correl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maximum correlation A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d by a local motion vector of a detection perman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이,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와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이전의 최대상관도와 비교하여 상기 상관도데이타가 클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어드레스클럭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어드레스클럭을 계수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발생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검출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발생수단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 이전의 최대상관도를 제2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돋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신호를 감산하여 최대상관도차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이전의 상관도데이타와 가산하고 가산된 상관도데이타를 후보움직임벡터의 수로 나누어 평균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s a first comparison signal when the correlation degree data is large compared with a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Receiving an address clock and an output of the comparison means, counting the address clock to generate a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Receives local motion vector detection means generated as a local motion vector of a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outputs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and comparison means, and generates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And a maximum correlation degree before receiving the first comparison signal and receiving outputs of the maximum correlation degree generating means and the comparison means.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maximum correlation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subtracting the two received signals to generate a maximum correlation, and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previously correlated And means for generat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of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by means of generating mean correlation by dividing the added data with the added data by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수신하며,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소정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국부움직임 벡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비정상조건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고 비전상조건 발생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신뢰성판단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필드 단위로 발생되는 평균국부움직임벡터 및 이전의 필드움직임벡터들을 수신하며, 상기 움직임벡터 정보들을 감산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고립도 및 안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적응적인 상기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과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며, 각각 수신되는 국부움직임 검출영역들의 국부움직임벡터들에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평균가중치계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and compares the statistical variables with predetermined threshold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Reliability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conditions that reduce the error and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non-imaginary condition occurs,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local local motion vector generated in units of field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termination means and Receiv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s, subtract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generate the adaptive weighting signal at a preset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and the reliability The number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weigh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determination means And sequentially receiving the weighted signals and the local motion vectors, and sequentially applying the weighted signals to the local motion vectors of the received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and averaging the weighted signals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ea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이, 상기 평균상관도와 낮은 콘트라스트의 기준값인 제1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평균상관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평균상관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평균상간도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인 제2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제2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도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반복적인 영상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인 제3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상기 제3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3비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The first comparison mean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liability judging means compares the average correlation with a first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of low contrast, and generates an abnormal signal when the average correl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a first comparing means for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maximum correlation and the average correlation are less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and generating a difference signal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and the average correlation. Second comparing means for comparing a second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difference, and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when the difference signal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dif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compared with a third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repetitive imag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nd a third comparison means for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at the time of occurren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신호발생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두 움직임벡터의 차를 계산하여 고립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고립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기 고립도가 클시 가중치를 작게 부여하고 상기 고립도가 작을시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적응적으로 고립도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두 움직임벡터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안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기 안정도가 클시 가중치를 작게 부여하고 상기 안정도가 작을시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적응적으로 안정도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고립도가중치신호 및 안정도가중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회성판단수단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weight signal generating means receives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calculates the degree of isolation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tion vectors, and sets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egree of isolation. A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n isolated weight value signal by applying a weight when the isolation is large and a weight when the isolation is small, and receiving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Stability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of the motion vectors, and when the stability is large, the weight is small and the weight is large when the stability is small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tability. Means, receiving the isolated weight value signal and the stability weight value signal,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telemetric determination means. Arc received, the image stabiliz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 means for generating a local motion vector of the corresponding weight signal by averaging the two weights is receive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결정수단이,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가산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국부움직임벡터를 상기 가산된 가중치신호로 나누어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시트템.16. 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field motion determin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generating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by multiplying weigh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means for adding the weight signals; And means for adding the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and dividing the added local motion vector by the added weight signal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제1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감쇄계수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2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분석하여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 벡터 발생시 패닝으로 간주하여 패닝신호를 발생하는 패닝식별수단과;상기 제1감쇄수단 및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패닝식별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패닝신호 수신시 상기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두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comprises: means for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attenuate it into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Means for attenuating with a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and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alyz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panning identification for generating a panning signal by considering the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over a predetermined frame.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s of the first attenuating means and the second attenuating means and receiving the outputs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means as a selection signal, and selecting an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ing means upon receiving the panning signal; Means for selecting an output of a first attenuating means,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output of the selecting means, and adding the two signals to accumulate the motion vector; And a means for generating a data output to the controller. 제17항에 있어서,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설정된 비율로 작은 크기를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상값을 크게하고 큰 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사아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에서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감산하여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값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와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가산하여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값을 리세트시키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리세트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examines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determines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phase value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has a small siz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the magnitud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decreas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it is large and having a large value, receiv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a baby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receiving the error motion i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by subtracting a compensation value, receiv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add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o add a second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compar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ith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s selectively outputted.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less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value is reset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reset. Is negative and less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second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s selectively outputted; and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is reset. Image stabilization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설정된 비율로 작음 크기를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크게하고 큰 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제1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로부터 발생되는 최대상관도차들을 수신하여 1필드의 평균최대상관도차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설정된 비율로 작은 크기를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크게하고 큰 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제2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오류 움직임 보상 값 및 상기 제2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평균화하여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평균화한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에서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감산하여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평균화한 오류 움직이 보상 값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와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가산하여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제1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누적움지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값을 리세트시키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리세트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18.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of claim 17,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receives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examines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measures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has a small magnitud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the magnitud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 first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decreas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it is large and having a large value, and receiving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s generated from ea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and then averaging one field. Means for generating a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and checking the magnitude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and increas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having a small siz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the size and compensating for the error motion when having a large valu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 secon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reducing a value, the first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secon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averaging a value, receiving the average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subtract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from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to obtain a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means for receiving the average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dd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o generate a second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Compare the value with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output the first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small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I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negative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the second selected compensation accumulated motion vector output, image stabiliz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means for the accumulated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vector the reset is larger and the compensation accumulated motion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필드산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의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안정화장치에 있어서,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2진의 에지데이타로 변환하고, 현재의 필드 및 이전 필드의 상기 에지데이타의 패턴을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의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며, 발생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상기 국부움직이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수신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의 고립도 및 안정도를 순차적으로 계산하여 미리 설정한 비율로 대응하는 가중치신호들을 적응적으로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가중치들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들을 혼합한 후 필드 주기로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및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에 대응하는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적응적으로 발생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오류 움직임 보상 값 만큼 감소시켜 오검출움직임이 억제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감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감쇄수단을 출력하는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수신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on a field mountain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the movement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y the received accumulated motion vector. Convert the data into binary edge data, match the pattern of the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and the previous field to generate correlation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s sequentially, and analyze the generated correlation data Means for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s sequentially, 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isolation and stability of the stored local motion vectors. The weighte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preset ratios Receiving means for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by mixing the weights and the corresponding locally generated motion vectors, which are adaptively generated and sequentially generated, and averaging them in a field period, and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corresponding to a preset ratio is adaptively generated, and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whose false motion compensation is suppressed by reducing the field motion vector by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is determined.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vement vector by accumulating means and receiving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receiving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outputting the attenuation means and accumulating the receive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영상데이타를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데이타를 분석하여 필드 영상을 2진에지데이타로 변환하는 에지검출수단과, 적어도 2개의 국부움직임검출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고, 상기 국부움직임검울영역들의 기준영역 위치의 블럭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1필드 지연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에지검출수단을 출력하는 현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비교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수단을 출력하는 이전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기준데이타로 수신하여 두 블럭데이타의 블럭데이타를 패턴 매칭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관도데이타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에지패턴매칭수단과,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수신하며,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수신되는 상기 상간도데이타를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에서 검출한 이전의 통계적변수들과 비교하여 변경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상태를 통계적변수로 발생하는 동시에 최대상관도의 위치 값을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판단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1. The apparatus of claim 20,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local motion vector comprises: edge detection means for receiving the image data, analyzing the received image data, and converting the field image into binary edge data; and at least two local motions. A storage means for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sequentially extracting block data of the reference region positions of the local motion search regions, delaying one field, and outputting the edge detection means; Receive binary edge data as comparison data, receive binary edge data of the previous field outputting the memory means as reference data, pattern-match the block data of two block data, and correlate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of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Receiving edge pattern matching means and the correlation data, which are sequentially generated, and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operations; A localit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maximum correlation diagram while generating the state of the correlation data which is changed by comparing the interphase diagram data received at the station with previous statistical variables detected in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as a statistical variable. An image stabilization device comprising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d by a local motion vector of a motion detection reg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이,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와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이전의 최대상관도와 비교하여 상기 상관도데이타가 클시 제1비교신호를 발생하는 비교수단과, 어드레스클럭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어드레스클럭을 계수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발생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의 위치 값을 해당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국부움직임벡터로 발생하는 국부움직임벡터검출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발생수단 및 비교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비교신호 수신시 이전의 최대상관도를 제2최대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도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신호를 감산하여 최대상관도차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를 이전의 상관도데이타와 가산하고 가산된 상관도데이타를 후보움직임벡터의 수로 나누어 평균상관도로 발생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대응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안정화장치.2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generates a first comparison signal when the correlation degree data is large compared with a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Receiving an address clock and an output of the comparison means, counting the address clock to generate a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value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Receives local motion vector detection means generated as a local motion vector of a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outputs of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and comparison means, and generates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when the first comparison signal is received.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maximum correlation and generating means and the comparison means, and the previous maximum correlation when receiving the first comparison signal. Means for generating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a means for receiving the maximum correlation and a second maximum correlation, subtracting the two received signals to generate a maximum correlation, and transferring the received correlation data. Means for generating the statistical variables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comprising means for generating the average correlation with the correlation data added and the added correlation data by the number of candidate motion vectors.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수신하며,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소정의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국부움직임벡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비정상조건의 발생유무를 판단하고 비정상조건 발생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신뢰성판단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판단수단에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필드단위로 발생되는 평균국부움직임벡터 및 이전의 필드움직임벡터들을 수신하며, 상기 움직임벡터 정보들을 감산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고립도 안정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따라 설정된 비유를 적응적인 상기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의 출력에 따라 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과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평균가중치계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statistical variable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determining means, and compares the statistical variables with predetermined threshold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motion vector. Reliability determination means for judg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 conditions and reducing abnormality and generating abnormal signals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local motion vector generated in units of fields sequentially output from the local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ans, and Receiving previous field motion vectors, subtracting the motion vector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isolation stability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vector, generating the weight signal adaptive to the set analogy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and determining the reliability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weighted signal according to the output of A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mean weight calculation means for sequentially assigning weight signals and local motion vectors, and averaging them to generate field motion vectors.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이, 상기 평균상관도와 낮은 콘트라스트의 기준값인 제1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평균상관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평균상관도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움직이는 물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인 제2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제2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수단과; 상기 최대상관도와 제2최대상관도를 감산하여 차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신호와 반복적인 영상을 판단하기위한 기준값인 제3임계값을 비교하며, 상기 차신호가 상기 제3임계값보다 작을시 비정상신호를 발생하는 제3비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4. The apparatus of claim 23, wherein the reliability judging means compares the average correlation with a first threshold value that is a reference value of low contrast and generates first abnormality signal when the average correlation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average correlation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compared with a second threshold value which i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moving object. Generating second comparing means; The difference signal is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second maximum correlation valu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compared with a third threshold value that i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a repetitive image, and the difference signal is smaller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And a third comparison means for generating an abnormal signal at the time of occurrenc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신호발생수단이,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평균국부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두 움직임벡터의 차를 계산하여 고립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고립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유를 상기 고립도가 클시 가중치를 작게 부여하고 상기 고립도가 작을시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적응적으로 고립도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국부움직임벡터와 이전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두 움직임벡터의 차를 계산하여 안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안정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기 안정도가 클시 가중치를 작게 부여하고 상기 안정도가 작을시 가중치를 크게 부여하여 적응적으로 안정도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고립도가중치신호 및 안정도가중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뢰성판단수단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수신되는 두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대응하는 국부움직임벡터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weight signal generating means receives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average local motion vector, calculates an isolation degree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tion vectors, and sets a preset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solation degree. The analogy is a means for applying a weight when the isolation is large and a weight when the isolation is small to adaptively generate an isolation weight signal, and receiving the local motion vector and the previous field motion vector. Stability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of the motion vectors, and when the stability is large, the weight is small and the weight is large when the stability is small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tability. Means for receiving the isolation weight signal and the stability weight signal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means. Arc received, the image stabiliz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 means for generating a local motion vector of the corresponding weight signal by averaging the two weights is received.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움직임결정수단이,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각각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신호들을 가산하는 수단과,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국부움직임벡터들을 가산하고, 상기 가산된 국부움직임벡터를 상기 가산된 가중치신호로 나누어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시스템.26. The apparatus of claim 25, wherein the field motion determining means comprises: means for generating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by multiplying weigh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means for adding the weighted signals; And means for adding the weighted local motion vectors and dividing the added local motion vector by the added weight signal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제26항에 있어서,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전의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설정된 비율로 작은 크기를 가질시 오류움직임 보상 값을 크게하고 큰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에서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감산하여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보상값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가산하여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필드움직임벡터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값을 리세트시키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다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리세트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examines the magnitud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compensates for the error motion when it has a small siz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the magnitud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decreas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the value is increased and having a large value, receiv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eld motion vector, and receiving the error motion in the field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a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by subtracting a compensation value, receiv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eld motion vector, and add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o add a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Means for generating and compar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ith the magnitude of the field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selectively outputs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if the field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less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reset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value, and reset the field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less than the value of the error motion,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is selectively outputted; and if the field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is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is reset. Image stabilization device. 제26항에 있어서,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작은 크기를 가질시 오류움직임 보상 값을 크게하고 큰 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제1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각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로부터 발생되는 최대상관도차들을 수신하여 1필드의 평균최대상관도차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평균최대상관도차의 크기를 검사하고 크기에 따라 미리설정된 비율로 작은 크기를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크게하고 큰 값을 가질시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작게하여 적응적으로 제2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오류 움직임 보상 값 및 상기 제2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평균화하여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평균화한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에서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감산하여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평균화한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가산하여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과 필드움직임벡터의 크기를 비교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제1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양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 값을 리세트시키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선택출력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가 음수이고 오류 움직임 보상 값보다 크면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리세트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receives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checks the magnitude of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has a small size at a preset ratio according to the magnitud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 first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increasing the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decreas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when it has a large value, and receiving th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s generated from each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s. Means for generating an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of one field, and when the size of the average maximum correlation difference is examined and has a small size at a preset ratio according to the size,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is increased and has a large value. Means for adaptively generating a secon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reducing a tim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first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second error; Means for generat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by averaging the current motion compensation value, receiving the average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eld motion vector, subtracting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from the field motion vector, and subtracting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eans for generating a motion vector, receiving the averaged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the field motion vector, and add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o generate a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The motion compensation value is compared with the magnitude of the field motion vector, and if the field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he first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is outputted, and the field motion vector is positive and great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 small value resets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value, and the field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a means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econd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whe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is smaller, and resetting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when the field motion vector is negative and larger than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Devi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제1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감쇄계수보다 더 작은값을 갖는 제2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상관도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및 상관도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 벡터 발생시 패닝으로 간주하여 패닝신호를 발생하는 패닝식별수단과; 상기 제1감쇄수단 및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패닝식별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패닝신호 수신시 상기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며, 그렇지않으면 상기 제1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와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두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comprises: means for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attenuate it into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Means for attenuating with a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correlation data, and analyz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correlation data to consider panning when a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is generated over a predetermined frame. Panning identifying means for generating a panning signal; Receives outputs of the first attenuating means and the second attenuating means and receives an output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means as a selection signal, selects an output of the second attenuating means upon receiving the panning signal, or else the first attenuation means And a means for selecting an output of the means, a means for receiving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the output of the selection means,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adding the two signals, and outputting the accumulated motion vector to the controller. Devic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이,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제1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입력하여 상기 제1감쇄계수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2감쇄계수로 감쇄하는 수단과, 상기 필드움직임벡터와 상관도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필드움직임벡터 및 상기 상관도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 프레임 이상 동일 방향의 움직임 벡터 발생시 패닝으로 간주하여 패닝신호를 발생하는 패닝식별수단과;상기 제1감쇄수단 및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수신하고 상기 패닝식별수단의 출력을 선택신호로 수신하며, 상기 패닝신호 수신시 상기 제2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감쇄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와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두신호를 가산하여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산수단과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누적움직임벡터가 움직임벡터의 최대 보정영역을 초과할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일정값으로 유지시키는 리미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means for gener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comprises: means for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attenuate it into a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inputting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first attenuation coefficient; Means for attenuating a second attenuation coefficient having a smaller value, receiv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and analyzing the field motion vector and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for panning when a motion vector in the same direction is generated over a predetermined frame. A panning identification means for generating a panning signal, and receiving outputs of the first attenuation means and the second attenuation means and receiving an output of the panning identification means as a selection signal, and receiving the second attenuation means when receiving the panning signal. Means for selecting the output of the first attenuation means, and receiving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the output of the selection means. And a means for generating a cumulative motion vector by adding the two signals, and between the adding means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exceeds a maximum correction region of the motion vector,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is set to a constant value.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limiter to maintain. 필드단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탈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적응형 움직임벡터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2진에지데이타로 변화하는 과정과, 상기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추출하고, 대응되는 기준데이타저장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되는 현재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비교블럭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패턴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의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며, 상기 국부움직임영역의 탐색종료신호 수신시 리세트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필드탐색종료신호 수신시 상기 저장 중인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고립도 및 안정도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고, 이 신호들을 필드 주기로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수단과,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쇄하고 상기 감쇄된 이전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가산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An adaptive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the movement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the received accumulated motion vector. A process of converting the image data in field units into binary edge data, extracting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by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data storage areas. And sequentially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of the converted current field as comparison block data and pattern matching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o sequentially generate correlation diagram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s. And a corresponding local part by analyzing the sequentially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data.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direct detection areas, and resetting upon receiving a search termination signal of the local motion areas; sequentially storing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Upon receiving the field search termination signal, the stored local motion vectors are sequentially examined to generate weight signals of isolation and stability, and the statistical variables are sequentially analyzed to analyze the state of the image signal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weight signals. And multiplying the weighte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averaging the signals at field periods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and attenuating a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t a predetermined ratio. Add the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field motion vector W image stabilizer characterized in that constituted by any process for the generation of a cumulative motion vector. 필드단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탈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적응형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2진에지데이타를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추출하고, 대응되는 기준데이타저장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되는 현재 필드의 2진에지데이타를 비교블럭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패텬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의 상관도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며, 상기 국부움직임영역의 탐색종료신호 수신시 리세트되는 고장과, 상기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필드탐색종료신호 수신시 상기 저장 중인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고립도 및 안정도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고, 이 신호들을 필드 주기로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쇄하고 상기 감쇄된 이전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가산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크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오류 움직임 보상 값을 발생하고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으로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감소시켜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하는 보상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장치.An adaptive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a motion of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a received compensation accumulation motion vector. Converting binary edge data from received field data, extracting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by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data storage areas. Process and receiving binary edge data of the current field to be converted as comparison block data, and matching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area to sequentially generate correlation diagram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area units. Process and the correlation diagram data received sequentially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boolean motion detection regions, and storing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in a sequential order; Upon receiving the field search termination signal, the stored local motion vectors are sequentially examined to generate weight signals of isolation and stability, and the statistical variables are sequentially analyzed to analyze the state of the image signal to output the weight signal. A process of controlling, multiplying the weighte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veraging these signals by field periods, generating a field motion vector, and attenuating a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t a predetermined ratio The reduced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nd the field motion vector Calculat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generating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ccording to a preset ratio, and reduc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by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to obtain an error motion vector. A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compensation cumulative motion vector to suppress. 필드단위로 영상데이타를 저정하는 메모리와, 수신되는 누적움직임벡터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데이타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탈 영상 안정화 시스템의 적응형 움직임 벡터 결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필드단위의 영상데이타를 2진에지데이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2진에지데이타를 수신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추출하고, 대응되는 기준데이타저장영역들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되는 필드이 2진에지데이타를 비교블럭데이타로 수신하고, 상기 대응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의 기준블럭데이타를 패턴 매칭하여 국부움직임검출영역 단위들이 상관도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관도데이타들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국부움직임검출영역들의 통계적 변수들 및 국부움직임벡터들을 발생하며, 상기 국부움직임영역의 탐색종료신호 수신시 리세트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 및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필드탐색종료신호 수신시 상기 저장 중인 국부움직임벡터들을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고립도 및 안정도의 가중치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통계적변수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영상신호의 상태를 분석상하여 상기 가중치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국부움직임벡터들과 대응되는 가중치신호들을 곱하고, 이 신호들을 필드 주기 평균화하여 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이전 누적움직임벡터를 크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오류 움직임 보상값을 발생하고 상기 오류 움직임 보상 값으로 상기 필드움직임벡터를 감소시켜 오류움직임벡터를 억제하는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과, 이전의 누적움직임벡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쇄하고 상기 감쇄된 이전누적움직임벡터와 상기 보상필드움직임벡터를 가산하여 상기 누적움직임벡터를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안정화방법.An adaptive motion vector determination method of a digit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and a controller for correcting a motion of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based on a received cumulative motion vector. Converting image data in field units into binary edge data, extracting the reference block data of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by receiving the binary edge data,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reference data storage regions And receiving, by the converted field, binary edge data as a comparison block data, pattern matching the corresponding block data of the corresponding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and generating locality correlation data sequentially by the local motion detection region units. The corresponding local movement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received correlation diagram data sequentially. Generating statistical variables and local motion vectors of the detection areas, resetting upon receiving the search termination signal of the local motion area, sequentially storing the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nd statistical variables, and Upon receiving the search termination signal, the stored local motion vectors are sequentially examined to generate weight signals of isolation and stability, and the statistical variables are sequentially analyzed to analyze the state of the image signal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weight signals. And multiplying the weighted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received local motion vectors, averaging these periods to generate a field motion vector, and analyzing a magnitude of a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ccording to a preset ratio. Generate an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and generate the error motion compensation value Generating a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that suppresses the error motion vector by reducing the field motion vector, attenuating a previous cumulative motion vector at a preset ratio, and reducing the attenuated previous motion vector and the compensation field motion vector. And adding the cumulative motion vector to the image stabilization method.
KR1019930002996A 1992-10-13 1993-02-27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KR970004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996A KR970004927B1 (en) 1993-02-27 1993-02-27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US08/072,785 US5748231A (en) 1992-10-13 1993-06-07 Adaptive motion vector decisio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system
JP28049993A JPH07284016A (en) 1992-10-13 1993-10-1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vement vector in digital image stabiliz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996A KR970004927B1 (en) 1993-02-27 1993-02-27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79A KR940020779A (en) 1994-09-16
KR970004927B1 true KR970004927B1 (en) 1997-04-08

Family

ID=1935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996A KR970004927B1 (en) 1992-10-13 1993-02-27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9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6832B2 (en) 2013-07-12 2017-07-25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image
US10136063B2 (en) 2013-07-12 2018-11-20 Hanwha Aerospace Co., Ltd Image stabilizing method an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44B1 (en) * 2002-07-19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Implicit block weighting selection for prediction signal in B pictures
KR100631768B1 (en) 2004-04-14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Interframe Prediction Method and Video Encoder, Video Decoding Method and Video Decoder in Video Coding
KR100898406B1 (en) * 2007-11-19 2009-05-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digital video
KR102150705B1 (en) * 2014-01-22 2020-09-0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6832B2 (en) 2013-07-12 2017-07-25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image
US10136063B2 (en) 2013-07-12 2018-11-20 Hanwha Aerospace Co., Ltd Image stabilizing method and apparatus
US10848672B2 (en) 2013-07-12 2020-11-24 Hanwha Techwin Co., Ltd. Image stabilizing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79A (en) 199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080B1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video signals through revising the motion of the video signals using bit plane matching and a stabilizing method therefor
KR101830804B1 (en) Digital image stabilization method with adaptive filtering
JP4570244B2 (en) An automatic stabilization method for digital image sequences.
KR930002613B1 (en) Image motion vector detector
US81308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between video images
US6456660B1 (en)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motion vectors
KR1006572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olating with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KR0163922B1 (en) Method &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 vector of camera image
US5515114A (en) Motion-vector detection apparatus for a video signal
JP2507138B2 (en) Motion vector detection device and image shake correction device
JP200307880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vector,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camera shake and imaging apparatus
US6122319A (en) Motion compensating apparatus using gradient pattern matching and method thereof
KR970004927B1 (en) Adaptive motion decision system for digital image stabilizer based on edge pattern matching
JP2826018B2 (en) Video signal noise reduction system
US7957468B2 (en) Method for processing motion image
US72509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of images in an image sequence
JPH10262160A (en) Signal-to-noise ratio (s/n)detector and noise reduction device
JP4289170B2 (en) Noise amount measuring apparatus and video receiver
JPH072840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ovement vector in digital image stabilizing system
KR100772380B1 (en) An extended method of noise-adaptive motion detection
JP2004320279A (en) Dynamic image time axis interpol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time axis interpolation apparatus
JP2971513B2 (en) Image motion vector detection device and shake correction device
JP2885010B2 (en) Image motion compensation device
US705396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image shift in an image sequence
EP0576080B1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mod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