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35B1 - Multiport memory - Google Patents

Multiport mem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35B1
KR960004735B1 KR1019920004514A KR920004514A KR960004735B1 KR 960004735 B1 KR960004735 B1 KR 960004735B1 KR 1019920004514 A KR1019920004514 A KR 1019920004514A KR 920004514 A KR920004514 A KR 920004514A KR 960004735 B1 KR960004735 B1 KR 96000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s
bit lines
port
short circui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18753A (en
Inventor
게이쪼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7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3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5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ultiport memories each having random access ports and serial ports, e.g. video RAM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멀티포트 메모리(Multiport Memory)Multiport Memory

제1도는 2-포트 메모리의 응용예의 개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lication of a two-port memory.

제2도는 종래의 2-포트 메모리의 구조적 개통도.2 is a structural opening diagram of a conventional two-port memory.

제3도는 종래의 2-포트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회로의 부분 개략도.3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peripheral circuit of a memory cell array of a conventional two-port memory.

제4도는 종래의 2-포트 메모리의 한 메모리셀의 부분 개략도.4 is a partial schematic view of one memory cell of a conventional two-port memory.

제5도는 종래의 4-포트 메모리의 메모리셀의 주변회로의 부분개략도.5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peripheral circuit of a memory cell of a conventional four-port memory.

제6도는 본 발명의 2-포트 메모리의 구조적 개통도.6 is a structural opening diagram of a two-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 발명의 2-포트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회로의 부분개략도.7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peripheral circuit of a memory cell array of a two-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2-포트 메모리의 동작 설명도.8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two-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본 발명의 4-포트 메모리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주변회로의 부분개략도.9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peripheral circuit of a memory cell array of a four-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4-포트 메모리의 각 포트들과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의 배선도.10 is a wiring diagram of respective ports and short-circuit transistors of the 4-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일명 2-포트 메모리등과 같은 멀티포트 메모리의 데이터 오기입을 방지하고 또한 데이터 기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ta write and write of a multiport memory, such as a so-called two-port memory,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writing.

우선 멀티포트 메모리의 출현 배경에 대해 설명한다. 공지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에서는 단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에 한쌍의 CPU를 접속함으로써 각 CPU에 처리를 분담시키기 위해서는 각 CPU와 단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간을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라인으로 접속시켜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버스라인을 복수의 CPU가 공통 사용할 경우, 한 CPU가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송출 또는 수신하는 동안 다른 CPU는 자연히 이 반도체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할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의 반도체 메모리에 복수의 CPU를 접속하더라도 동시에 데이터 송수를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메모리에 복수의 CPU를 결코 동시에 접속할 수 없다.First,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he multiport memory will be described. In a known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a pair of CPUs are connected to only one semiconductor memory, so that the processing is divided between the CPUs and the single semiconductor memory by a data bus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However, when a plurality of CPUs share a common data busline, another CPU cannot naturally transmit data from this semiconductor memory while one CPU sends or receives data from the semiconductor memory.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CPUs are connected to a normal semiconductor memory, a plurality of CPUs can never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semiconductor memory in order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본 발명을 적용하는 멀티포트 메모리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복수의 CPU들에 의한 동시 데이터 송수를 실현할 수 있다.The multiport memo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realize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by a plurality of CPUs that cannot be realized by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즉, 멀티포트 메모리는 단하나의 메모리셀 어레이에 대해 복수의 포트를 갖고 있어 각 CPU에 의해 분담처리가 가능하도록 CPU를 각 포토들에 접속한다. 멀티포트 메모리는 포트가 메모리 셀 어레이의 좌우에 하나씩 구비된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2-포트 메모리라 칭한다.That is, the multiport memory has a plurality of ports for a single memory cell array, and the CPU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ports so that the sharing processing is possible by each CPU. Multi-port memory is most commonly used as one port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emory cell array and is called a 2-port memory.

멀티포트 메모리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multiport memor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도는 통상의 2-포트 메모리의 응용예의 개통도이다. 제1도에서, 2-포트 메모리(22)는 도시안된 좌우 포트들을 갖고 있고, 좌측포트된 CPU(23)와 접속되는 한편 우측포트는 CPU(24)와 접속되어 있다. CPU(23)는 처리을 위한 주변장치(25)와 접속되어 있고 또한 CPU(24)는 처리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주변장치(26)와 접속되어 있다.1 is an opening diagram of an applica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two-port memory. In FIG. 1, the two-port memory 22 has left and right ports not shown,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ported CPU 23 while the right port is connected to the CPU 24. In FIG. The CPU 23 is connected to a peripheral device 25 for processing, and the CPU 24 is connected to a peripheral device 26 for outputting a processing result.

2-포트 메모리에 의한 고속처리의 효과를 실행하는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의 테스트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새로 제조된 반도체 메모리를 테스트할 경우에, 반도체 메모리의 넓은 메모리셀 어레이에서 각셀을 순차로 체크하여 결함셀들이 그러한 결함셀들을 건너 뛰어야 한다. 그러나, 신속하게 테스트를 완료하기 위해서는 결함셀을 건너뛰는 한편 정상셀에 대해서는 테스트를 계속하는 식으로 2가지 일을 동시에 계속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경우에 처리용 주변장치(25)에 의해 결합셀을 테스트하지 않도록 지시하면 이 지시는 CPU(23)를 통해 기입동작을 위한 2-포트 메모리(22)에 송출된다. 한편, 2-포트 메모리(22)내에 기억된 정보는 독출되어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주변장치(26)로부터 CPU(24)를 통해 테스트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2-포트 메모리(22)가 어느한 CPU를 정지시키도록 비지신호(busy signal)를 발생시켜 지시의 발행을 지연시킴으로써 기입요구와 독출요구가 동일 어드레스로 발생되어 좌측포트로부터의 기입요구와 우측 포트로부터의 독출요구가 동시에 실행되는 일이 없도록 억제된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는 각 포트들의 억세스를 동일 어드레스로 하지 않는다.As an example of the effect of the high speed processing by the two-port memory, a tes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when testing a newly manufactured semiconductor memory, each cell must be sequentially checked in a wide memory cell array of the semiconductor memory so that the defective cells must skip over those defective cells. However, to complete the test quickly,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he two tasks at the same time by skipping the defective cell and continuing the test for the normal cell. In this case, if the processing peripheral device 25 instructs not to test the combined cell, this instruction is sent to the two-port memory 22 for the write operation via the CPU 23. On the other hand, the test result can be output through the CPU 24 from the peripheral device 26 which read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2-port memory 22 and outputs the processing result. In this case, the 2-port memory 22 generates a busy signal to stop any of the CPUs and delays the issuance of the instruction so that the write request and the read request are generated at the same address and write from the left port. The request and the read request from the right port are suppressed from being executed at the same time. In other cases, however, the access of each port is not the same address.

따라서 상술한 2-포트 메모리는 한 데이터 버스라인을 2CPU로 분담하여 2CPU중 하나가 데이터를 메모리셀들로 전송함으로써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장치보다 억세스 속도를 훨씬 고속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two-port memory divides one data bus line into two CPUs, and one of the two CPUs transfers data to the memory cells, thereby making the access speed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종래의 2-포트 메모리는 상술한 바와같이 요약된다.Conventional two-port memories are summarized as described above.

그다음 제2도를 참조하여 2-포트 메모리(2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공지된 2-포트 메모리의 설명 개통도이다. 제2도에서, 2-포트 메모리내의 메모리 매체로서 동작하는 메모리셀어레이(2a,2b)는 도시안된 많은 로우선택 라인들(워드 라인들) 및 컬럼 선택라인들(비트라인들)과 접속된 많은 SRAM를 (스태틱 랜돔 억세스 메모리)에 의해 형성된다. 더우기, 2-포트 메모리는 우측과 좌측 포트들에 상응하는 2로우선택 라인들(워드라인들)과 2컬럼선택라인들(비트라인들)을 갖는다. 우측 비트라인들은 우측 디코더들(11a,11b)에 접속되고, 좌측 비트라인들은 좌측 컬럼 디코더들(6a,6b)에 접속되는 한편 우측 워드라인들은 우측 디코더들(10)에 그리고 좌측워드라인은 좌측 디코더(5)에 접속된다. 또한 좌측 I/O 버퍼(4)는 좌측 I/O 회로(7a,7b)를 통해 데이터 입력용 좌측 디코더들(6a,6b)에 접속된다. 동일 방식으로, 우측 I/O버퍼(9)는 우측 I/O회로들(12a,12b)을 통해 데이터입력용 우측 컬럼디코더들(11a,11b)에 공급되고 또한 좌측어드레스버퍼(3)을 통해 좌측로우디코더(5)와 좌측컬럼디코더들(6a,6b)에도 공급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메모리의 억세스 속도를 간단히 개선하기 위해서 비분리 영역내에 내장되는 메모리셀 어레이는 셀어레이들(2a,2b)로 나누고 어레이들(2a,2b)사이에 우측 로우 디코더(10)와 좌측 로우디코더(5)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전체적으로, 메모리의 억세스 속도가 디코더로부터 가장 먼 메모리셀에 대한 억세스 속도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모든 메모리셀들을 가능하면 디코더에 가장 가갑게 구비할 필요가 있다. 더우기, 상술한 구성은 로우디코더와 워드 라인간의 간격이 증가할 수록 워드라인들의 부하가 커지므로 메모리셀로부터 또는 그에 정보를 독출 및 기입하는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효과적이다.Next, the two-port memory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of a known two-port memory. In FIG. 2, memory cell arrays 2a, 2b, which operate as memory media in a two-port memory, are connected to many row select lines (word lines) and column select lines (bit lines), not shown. SRAM is formed by (static random access memory). Furthermore, the two-port memory has two row select lines (word lines) and two column select lines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eft ports. The right bit lines are connected to the right decoders 11a and 11b, the left bit lines are connected to the left column decoders 6a and 6b while the right word lines are to the right decoders 10 and the left word line to the left It is connected to the decoder 5. The left I / O buffer 4 is also connected to the left decoders 6a and 6b for data input via the left I / O circuits 7a and 7b. In the same way, the right I / O buffer 9 is supplied to the right column decoders 11a and 11b for data input via the right I / O circuits 12a and 12b and also through the left address buffer 3. It is also supplied to the left low decoder 5 and the left column decoders 6a and 6b. In order to simply improve the access speed of the memory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memory cell array embedded in the non-isolated region is divided into cell arrays 2a and 2b and the right row decoder 10 and the left side between the arrays 2a and 2b. The low decoder 5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That is, as a whole, since the access speed of the memory is controlled by the access speed for the memory cell furthest from the decoder, it is necessary to have all the memory cells as lightest as possible in the decoder.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effectiv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oad of the word lines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 decoder and the word line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information from or to the memory cell.

또한 제3도를 참조하여 메모리셀 어레이들(2a,2b)내의 회로의 일부를 설명한다.Also, a part of a circuit in the memory cell arrays 2a and 2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3도에서, 메모리셀들간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우측비트라인쌍들(BLR,)과 좌측비트라인쌍들(BLL,) 및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우측워드라인들(WLR) 좌측과 워드라인들(WLL) 이 구비되고 또한 게이트들이 좌측 비트라인쌍(BLL,)에 접속되므로서 도면의 상단부가 좌측포트가 될 수 있다. 동일 방식으로, 게이트들이 우측 비트라인쌍(BLR,)에 접속되므로서 도면의 좌단부가 우측 포트가 될 수 있다. 데이터버스라인은 우측과 좌측에 각각 독립해 있다. 상단부에서 즉, 좌측포트측에서 좌측 데이터버스라인쌍(DLL,)은 좌측비트 라인쌍(BLL,)에 접속되어 있다. 하단부에서, 즉, 우측포트측에서, 우측데이타 버스라인쌍(DBR,)은 우측비트라인쌍(BLR,)에 접속되어 있다. 제4도에는 1머모리셀의 주변회로들의 상세도이다.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종래의 멀티포트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SRAM과 같은 플립플롭 구조를 각각 갖는 메모리셀을 제공한다. 제4도에서, 참조변호13,14는 드레인과 게이트들이 횡결합된 n-채널 MOS트랜지스터들을 나타내며, 15,16은 n-채널 MOS트랜지스터들(13,14)의 부하저하들을 나타낸다. 플립플롭을 구성하는 메모리셀(17)은 이들 n-채녈 MOS트랜지스터들(13,14)과 부하 저항들(15,16)에 의해 형성된다. WLL은 좌측포트의 워드라인을 나타내며, 18,19는 좌측포트의 전송게이트 트랜지스터(n-채널 MOS)를, BLL,은 좌측포트의 비트라인들을, WLR은 우측포트의 워드라인을, 20,21은 우측 포트의 전송게이트트랜지스터(n-채널 MOS)를, BLR,은 우측포트의 비트라인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메모리셀(17)에 의하면, 좌측포트로부터의 억세스가 워드라인(WLL)을 작동시킴으로써 실현되고 또한 우측포트로부터의 억세스가 워드라인(WLR)을 작동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In FIG. 3, a plurality of right bit line pairs B R 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emory cells. ) And left bit line pairs (BL L , ) And a plurality of right word lines WL R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ord lines WL L , and the gates may include a left bit line pair BL L , ), The upper end of the figure may be the left port. In the same way, the gates are the right bit line pair BL R , ), The left end of the figure may be the right port. Data bus lines are independent on the right and left sides. At the upper end, that is, at the left port side, the left data bus line pair (DL L , ) Is the left bit line pair (BL L , ) At the lower end, ie on the right port side, the right data bus line pair (DB R , ) Is the right bit line pair (BL R , ) 4 is a detailed diagram of peripheral circuits of one mori cell. As shown in FIG. 4, a conventional multiport memory generally provides memory cells each having a flip-flop structure like a conventional SRAM. In Fig. 4, reference numerals 13 and 14 represent n-channel MOS transistors in which drain and gates are cross-coupled, and 15 and 16 represent load drops of n-channel MOS transistors 13 and 14. The memory cells 17 constituting the flip-flop are formed by these n-channel MOS transistors 13 and 14 and load resistors 15 and 16. WL L denotes the word line of the left port, 18 and 19 denote the transfer gate transistor (n-channel MOS) of the left port, and BL L , Are the bit lines of the left port, WL R are the word lines of the right port, 20, 21 are the transfer gate transistors (n-channel MOS) of the right port, BL R , Indicates the bit lines of the right port. According to such a memory cell 17, access from the left port can be realized by operating the word line WL L and access from the right port can be realized by operating the word line WL R.

그러한 메모리셀(17)을 제공하는 제2도에 보인 2-포트 메모리에서, 어드레스들(AOL∼AnL)이 좌측포트로부터 좌측어드레스버퍼(3)로 입력되면 어드레스의 일부(로우 어드레스)는 좌측 로우 디코더(5)로 전송되고 또한 나머지는 좌측컬럼디코더들(6a,6b)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좌측로우디코더(5)는 로우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로우를 선택하고 또한 좌측컬럼 디코더들(6a,6b)은 컬럼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컬럼을 선택한다. 그에 의해 어드레스들(AOL∼AnL)에 의해 지정된 메모리셀들이 선택된다. 선택된 메모리셀들은 좌측 I/O회로들(7a,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독출 및 기입동작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I/O 버퍼(4)는 칩선택신호()와 기입 가능신호()에 의해 메모리셀들로부터 또는 그에 좌측 I/O회로들(7a,7b)을 통해 독출 및 기입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우측포트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메모리 셀들에 대해 독출 및 기입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two-port memory shown in FIG. 2 providing such a memory cell 17, when the addresses A OL to An L are input from the left port to the left address buffer 3, part of the address (row address) is lost. The left row decoder 5 and the rest are sent to the left column decoders 6a and 6b. As a result, the left row decoder 5 selects the row specified by the row address and the left column decoders 6a and 6b select the column specified by the column address. Thereby, the memory cells designated by the addresses A OL to An L are selected. The selected memo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I / O circuits 7a and 7b to perform read and write operations. Here, the left I / O buffer 4 is a chip select signal ( ) And writable signal ( Is controlled to be readable and writable from the memory cells or through the left I / O circuits 7a and 7b thereto. Read and writ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on the memory cells in the same manner with respect to the right port.

제3도는 제4도에 보인 메모리셀어레이(17)를 형성하는 복수의 로우와 컬럼들을 나타낸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27, 28은 좌측포트의 비트라인들(BLL,)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부하트랜지스터들(n-채널 MOS)을, 나타내며, 29, 30은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들(n-채널 MOS)을, YL은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들(29,30)을 ON/OFF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컬럼 선택신호를 DBL,은 데이터라인들을, 31, 32,는 데이터버스라인들(DBL,)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부하트랜지스터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버스라인들(DBL,)에 접속된 감지증폭기의 도시는 생략한다.FIG. 3 shows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forming the memory cell array 17 shown in FIG. In FIG. 3, reference numerals 27 and 28 denote load transistors (n-channel MOS) for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bit lines BL L , of the left port, and 29 and 30 denote column select transistors ( n-channel MOS), Y L is a column select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lumn select transistors 29, 30 ON / OFF state DB L , Are data lines, 31, 32 are data bus lines (DB L , Load transistors to maintain the level of?). Where the data bus lines (DB L , The illustration of the sense amplifier connected to) is omitted.

또한 참조번호 33, 34는 우측포트의 비트 라인들(BLR,)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부하트랜지스터들(n-채널 MOS)를, 35, 36은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들(n-채널 MOS)를, YR은 이들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들(35,36)을 ON/OFF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컬럼선택신호를, DBR,은 데이터버스라인들을, 37, 38은 데이터버스파인들(DBR,)의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부하트랜지스터들(n-채널 MOS)를, 39는 기입회로, 40∼43은 n-채널 MOS트랜지스터들을, INR, INR은 기입입력단자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버스라인들(DBR,)에 접속된 감지증폭기의 도시는 생략한다.Also, reference numerals 33 and 34 denote bit lines BL R of the right port. Load transistors (n-channel MOS) to maintain the level of < RTI ID = 0.0 >),< / RTI > 35, 36 turn on the column select transistors (n-channel MOS), and Y R turn on / off these column select transistors The column select signal for controlling to OFF state is DB R , Are the data bus lines, 37, 38 are the data bus lines (DB R , Load transistors (n-channel MOS) for maintaining the level of N, 39 are write circuits, 40-43 are n-channel MOS transistors, and IN R and IN R are write input terminals. Where the data bus lines (DB R , The illustration of the sense amplifier connected to) is omitted.

여기서, 우측포트로부터 메모리셀(17)로의 데이터기입을 생각해보자, 그러나 이경우에는 좌측포트가 우측포트로부터 기입을 행하지 않는 로우들을 선택하지 않는 다고 하자. 즉, H레벨이 워드라인(WLRO)에 인가되고 또한 워드라인(WLLO)에 L레벨이 인가된다고 하자. H데이타가 메모리셀(17)에 기입될 때, H레벨과 L레벨이 각각 기입 데이터(INR,)에 인가된다. 이 경우에, 기입회로(39)의 n-채널 MOS트랜지스터들(41,42)이 온되고 n-채널 MOS트랜지스터들(40,43)이 오프되면 그에 의해 H레벨이 데이터 버스라인(DBR)으로 그리고 L레벨이 데이타 버스라인()으로 출력된다. 이들 메이타 버스라인들(DBR,)의 레벨들은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들(35,36)을 통해 비트라인들(BLR,)에 전송되어 비트라인(BLR)을 H레벨로 비트라인()을 L레벨로 세트한다. 그결과, 메모리셀(17)의 노드(44)는 H레벨로 되고, 노드(45)는 L레벨로 된다. 그에 의해 H데이타가 메모리셀(17)에 기입될 수 있다.Here, consider data writing from the right port to the memory cell 17. However,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left port does not select rows not writing from the right port. That is, assume that the H level is applied to the word line WL RO and the L level is applied to the word line WL LO . When the H data is written into the memory cell 17, the H level and the L level are respectively written in the write data IN R ,. Is applied. In this case, when the n-channel MOS transistors 41 and 42 of the write circuit 39 are turned on and the n-channel MOS transistors 40 and 43 are turned off, the H level is thereby changed to the data bus line DB R. And L-level data bus lines ) These meta buslines (DB R , Levels of the bit lines BL R , through the column select transistors 35 and 36. ) Is transferred to the bit line B R R to H level. ) To L level. As a result, the node 44 of the memory cell 17 is at the H level, and the node 45 is at the L level. Thereby, the H data can be written into the memory cell 17.

이 경우에, L 레벨이 세트될 비트라인 ()의 레벨은 비트라인()의 부하트랜지스터(34)에 의해 원인이 되는 부하전류와 데이터버스라인()의 부하 트랜지스터(38)에 의해 원인이 되는 부하트랜지스터들 (34,38)의 상호 콘덕턴스(Gm)가 기입회로(39)의 트랜지스터(42)의 것보다 작게 세트되기 때문에 레벨이 부유되는 정도가 아주 작다, (통상 약 수백 mV). 결과적으로 데이터기입모드시에, 이 레벨은 전송게이트 트랜지스터(21)를 통해 메모리셀(17)의 노드(45)로 전송된다.In this case, the bit line where the L level is to be set ( ) Level of the bit line ( Load current and data bus line caused by the load transistor 34 of The level of floating level because the mutual conductance Gm of the load transistors 34 and 38 caused by the load transistor 38 of the C) is set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istor 42 of the write circuit 39. Is very small, (usually around several hundred mV). As a result, in the data write mode, this level is transferred to the node 45 of the memory cell 17 through the transfer gate transistor 21.

이 레벨은 트랜지스터(14)와 횡결합된 트랜지스터(13)를 오프시키기에 충분하므로 이 경우에 안정된 기입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This level is sufficient to turn off the transistor 13 cross-coupled with the transistor 14, so that a stable write operation can be ensured in this case.

그러나, 동일 로우에서라도 우측과 좌측 포트로부터 상이한 메모리셀들로 억세스할 경우, 오기입의 위험이 있다. 그러한 억세스에 대해 아래에 설명하겠다.However, even in the same row, when accessing different memory cells from the right and left ports, there is a risk of write-in. Such access is described below.

데이터를 우측포트로부터 도면에서의 최자측 컬럼내로 위치된 셀(A)로 기입할 경우에 좌측포트는 우측포트에 의해 억세스된 동일로우를 억세스한다. 상기 상황에서, 우측워드라인(WLRO)과 좌측워드라인(WLLO)은 동일한 H레벨이 된다. 그때 도면의 하단부에 나타낸 기입회로(39)의 단자들(INR)은 H레벨이고 또한 단자들()은 L레벨이므로 고데이타가 셀 (17)에 기입될 수 있다.When writing data from the right port to the cell A located in the outermost column in the figure, the left port accesses the same row accessed by the right port. In this situation, the right word line WL RO and the left word line WL LO become the same H level. At that time, the terminals IN R of the writing circuit 39 shown in the lower part of the figure are H level and the terminals ( ) Is at the L level, so that high data can be written into the cell 17.

최자측 컬럼을 선택하기 위해, YRO를 H레벨로 세트하여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를 온하는 한편, 최상단의 우측워드라인(WLLO)을 H레벨로 하여 우측 비트라인쌍(BLR,)과 셀을 도통이 되게 한다.In order to select the outermost column, Y RO is set to H level to turn on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while the upper right word line WL LO is set to H level to the right bit line pair BL R ,. ) And the cell becomes conductive.

다음 설명에서, 우측 비트라인쌍(BLR,) 중 비트라인 (BLR)에 대해서만 생각해보자. 게이트이 입력단자 (INR)가 H레벨이 되면 , 우측 비트라인()은 L레벨이 되므로 자연히 L레벨이 셀의 노드(45)로 전송된다. 그러나 데이터 버스라인과 비트랑인 둘다가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부하 트랜지스터들에 접속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부하 트랜지스터들은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보다 더 게이트와 셀쪽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가 온할 때 비트라인()은 L 레벨로 완전하게 강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ight bit line pair BL R , Think only about the bit line (BL R ). When the gate reaches the level of the input terminal IN R , the right bit line ( ) Becomes the L level, so the L level is naturally transmitted to the node 45 of the cel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the data busline and bitline are connected to the load transistors to maintain the level. Since the load transistors are connected to the gate and the cell side more than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when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is turned on, the bit line ( ) Must descend to L level completely.

그러나, VCC레벨은 부하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송되고 또한 비트라인()의 레벨이 부유된다.However, the V CC leve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ad transistor and also the bit line ( ) Level is floated.

또한 데이터가 기입된 셀과 동일로우내에 존재하는 셀(B)로부터 좌측 포트를 통해 동시에 독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생각해 보자. 이 경우에, 셀(B)이 존재하는 로우의 좌측 워드라인(WLL)은 온되야만 한다. 그러나, 좌측워드라인(WLL) 이 데이터가 우측포트로 기입될 셀 (A)과도 접속되기 때문에 셀(A)이 존재하는 컬럼의 좌측비트라인 쌍(BLL,)은 셀 (A)에 접속된다. 좌측비트라인 쌍(BLL,) 은 또한 부하트랜지스터와도 접속되기 때문에, 상술한 부유레벨의 문제점이 심화된다.Further, consider simultaneously executing the read operation through the left port from the cell B in the same row as the cell to which data is written. In this case, the left word line WL L of the row where the cell B is present must be on. However, since the left word line WL L is also connected to the cell A in which data is to be written to the right port, the left bit line pair BL L , of the column in which the cell A exists is present. ) Is connected to the cell (A). Left bit line pair (BL L , ) Is also connected to the load transistor, so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stray level is intensified.

이 경우에, 좌측워드라인(WLLO)은 H레벨에 세트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류가 좌측포트의 비트라인()의 부하 트랜지스터(28)로부터 메모리셀(17)의 좌측포트의 전송게이트 트랜지스터(19)를 통해 메모리셀(17)의 노드(45)로 흐른다. 그밖에, 동일로우 뿐만 아니라 동일컬럼이 우측과 좌측 포트들에 의해 선택될 경우, 좌측포트의 컬럼선택 트랜지스터(30)가 온되기 때문에, 좌측 포트의 데이터 버스라인()의 부하트랜지스터(32)로부터의 전류는 또한 메모리셀(17)의 노드(45)로도 흐른다.In this case, the left word line WL LO is set at the H level. For this reason, the current flows from the bit line (left) of the left port. 2) flows from the load transistor 28 of the load transistor 28 to the node 45 of the memory cell 17 through the transfer gate transistor 19 of the left port of the memory cell 17. In addition, when not only the same row but also the same column is selected by the right and left ports,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30 of the left port is turned on, so that the data bus line of the left port ( Current from the load transistor 32 also flows to the node 45 of the memory cell 17.

좌측포트로부터 노드(45)로도 흐르는 전류는 메모리셀(17)의 우측포트의 전송게이트 트랜지스터(21)과 우측포트의 컬럼선택 트랜지스터(36)을 통해 우측포트의 기입 트랜지스터(42)에 의해 흡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밑 좌측 포트들이 둘다 동일로우를 선택하면 기입 트랜지스터 (42)는 부하전류의 큰 부분을 흡수해야 하므로 L 레벨에 세트될 비트라인()의 레벨은 상승한다.The current flowing from the left port to the node 45 is also absorbed by the write transistor 42 of the right port through the transfer gate transistor 21 of the right port of the memory cell 17 and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36 of the right port. . As described above, if both the lower right and left ports select the same low, the write transistor 42 must absorb a large portion of the load current, so that the bit line ( ) Level rises.

두비트라인들이 셀들에 대해 도전성이 되면 좌측비트라인과 셀을 접속하는 트랜지스터와 우측 비트라인과 셀을 접속하는 트랜지스터가 설계상 동일 채널 길이와 채널 폭 즉, 동일gm을 가지므로, 우측과 좌측 비트라인들의 레벨이 트랜지스터들(19,21)의 결합을 통해 저항성분들에 의해 나뉜다. 즉 메모리셀(17)의 노드(45)레벨은 트랜지스터(19,21)의 gm비와, 비트라인()(부하트랜지스터의 전원전압 VCC- 임계전압 Vth)의 레벨과 비트라인()의 레벨(약 수백mV)에 의해 나눠서 얻은 레벨과 동일해진다.When the two bit lines are conductive to the cells, the right and left bits have the same channel length and channel width, that is, gm, by design for the transistor connecting the left bit line and the cell and the transistor connecting the right bit line and the cell. The level of the lines is divided by the resistive componen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ransistors 19 and 21. That is, the level of the node 45 of the memory cell 17 includes the gm ratio of the transistors 19 and 21 and the bit line ( Level and bit lin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 CC -threshold voltage Vth of the load transistor It is equal to the level obtained by dividing by) level (about several hundred mV).

여기서, 전송게이트 트랜지스터들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채널길이와 채널폭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레벨의 부유가 더욱 가속화되고 노드(45)의 레벨은 약 1.5∼2.5 [V]정도로 높아진다. 이 레벨에서 n -채널 MOS트랜지스터(14)와 횡결합된 n-채널 MOS트랜지스터(13)은 오프될 수 없으므로 기입동작이 불안정해져서 L데이타가 H데이타 대신 기입된다.Here, since the transfer gate transistors are typically designed with the same channel length and channel width, the floating of the level is further accelerated and the level of the node 45 is increased to about 1.5 to 2.5 [V]. At this level, the n-channel MOS transistor 13 cross-coupled with the n-channel MOS transistor 14 cannot be turned off, so the write operation becomes unstable, so that the L data is written instead of the H data.

이러한 문제는 2-포트 메모리에 국산되지 않고 복수의 포트들이 구비되고 각 포트마다 비트라인들과 워드라인들이 구비되어 있지만 각 비트라인들과 워드라인들이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셀들에 접속되어 있는 통상의 멀트 - 포트 메로리에서도 생긴다.This problem is not localized in a two-port memory, but there are a plurality of ports and each port is provided with bit lines and word lines, but each bit line and word lines are connected to cells through select transistors. -Also occurs in Port Melory.

4-포트 메모리4-port memory

4-포트 메모리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는 4-포트 메모리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한 로우와 그의 주변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5도에서, 제1워드라인(WL1)으로부터 제4워드라인 (WL4)까지 4워드라인들이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4포트들에 상응하여 연재되어 있다. 한편, 수직방향으로는 제1비트라인쌍(BL1,) 내지 제4비트라인쌍(BL4,)의 4비트라인쌍들이 4포트들에 상응하여 연재되어 있다. 비트라인쌍과 워드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내에는 스태틱 메모리셀이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상부와 하부 단부근처의 영역들내에는 4데이타 버스쌍(DB1,,……DB4,)이 각 포트에 상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four-port memory will be described.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row of a memory cell array of a four-port memory and its peripheral circuits. In FIG. 5, four word lines are extended from the first word line WL1 to the fourth word line WL4 corresponding to four por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rawing. Meanwhi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bit line pair BL1, ) To fourth bit line pair BL4, The four bit line pairs of the Cs are serially corresponding to the four ports. Each static memory cell is provided in an area surrounded by a bit line pair and a word line. In addition, the four data bus pairs (DB1, ,… … DB4, ) Extends horizontally corresponding to each port.

수직방향으로 연재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 부분에는 컬럼선택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 컬럼이 독출 또는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되면 이 컬럼 선택 트랜지스터는 온되어 통상 분리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라인과 비트라인을 접속시킨다.A column select transistor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is column is selected for read or write operations, this column select transistor is turned on to connect the data bus lines and bit lines that are normally separated.

여기서, 4-포트 메모리의 제2로우내에서 내포된 스태틱 메모리셀(제5도에서 J)을 선택함으로써 제3포트로부터 H레벨이 기입된다고 하자. 이 경우에, 제3게이트의 입력 단자들(IN3,)의 IN3에 H레벨이 인가되는 반면 IN3에 L레벨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들(Tr1∼Tr4)중에서 Tr1와 Tr4가 오프되는 반면 Tr2와 Tr3는 온된다. 비트라인(BL3)은 H레벨로 상승하고, 비트라인()은 L레벨로 하강한다. 컬럼선택신호(Y3)는 H레벨이 되어 제3비트라인쌍용으로 제공되는 2컬럼선택 트랜지스터들을 온시켜 준다. 제3워드라인(WL3)이 H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는 온되어 제3비트라인쌍(BL3,)과 스태틱 메모리셀(J)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Here, assume that the H level is written from the third port by selecting the static memory cells (J in FIG. 5) contained in the second row of the four-port memory. In this case, the input terminals IN3 of the third gate, H level is applied to IN3, while L level is applied to IN3. Therefore, among the transistors Tr1 to Tr4, Tr1 and Tr4 are turned off while Tr2 and Tr3 are on. The bit line BL3 rises to the H level, and the bit line BL3 ) Drops to L level. The column select signal Y3 becomes H level to turn on the two column select transistors provided for the third bit line pair. When the third word line WL3 is at the H level, the transistor is turned on so that the third bit line pair BL3, ) And the static memory cell J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 경우에, 제1포트를 통해 독출동작을 실행할 또다른 스태틱 메모리셀이 스태틱 메모리셀(J)(J로부터 우측은 도시안됨)의 동일 로우내에 존재하고 또한 제2포트를 통해 독출동작을 실행할 다른 스태틱 메모리셀도 역시 동일 스태틱 메모리셀의 동일 로우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이 제2로우에서 온되기 때문에, 게이트들을 통해 이들 워드라인들에 접속된 2트랜지스터들도 또한 온된다.In this case, another static memory cell which executes a read operation through the first port is present in the same row of the static memory cell J (right side not shown) from J and another that executes the read operation through the second port. The static memory cells are also present in the same row of the same static memory cells. Since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are on in the second row, the two transistors connected to these word lines through the gates are also on.

그에 의해 스태틱 메모리셀들은 제1비트라인쌍, 제2비트라인쌍 및 제3비트라인쌍에 접속되어 전류가 각 비트라인쌍들에 접속된 부하트랜지스터를 통해 입력단자()를 향해 흐르므로 L레벨에 있어야할 제3비트라인쌍()의 레벨이 더 높은 값으로 부유된다.As a result, the static memory cells are connected to the first bit line pair, the second bit line pair, and the third bit line pair so that a current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hrough a load transistor connected to each bit line pair. To the L bit so that it must be at the L level ) Level is floated to a higher value.

복수의 포트로부터 동일로우의 선택은 당연히 발생하는 것이므로 포트들의 수가 증가하면 이러한 선택의 우연성은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2-포트 메모리의 용량이 증대될수록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2-포토 메모리의 용량이 증대될수록 더욱 심각하다. 따라서 2-포트 메모리의 용량을 확대하지만 칩사이즈를 작게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셀과 비트라인간에 접속된 전송트랜지스터들을 소형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송트랜지스터들을 아주 작게 사이즈로 하면 복수포트들의 각 전송트랜지스터의 특성이 공정변동에 의해 달라진다.The selection of the same row from multiple ports is a matter of course, so the chance of this selection increases as the number of ports increases. This problem is also aggravated as the capacity of the two-port memory increases. Therefore, as the capacity of the two-photo memory increases, it becomes more seri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aturize the transfer transistors connected between the memory cell and the bit line because the capacity of the 2-port memory must be increased but the chip size must be reduced. However, if the transport transistors are made very small in s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nsport transistor of a plurality of ports are changed by process vari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포트 메모리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동일로우를 선택하는 동안 셀들에 오기입 동작하는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멀티포트 메모리의 기입동작의 신뢰성을 더욱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멀티포트 메모리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어떤 포트로부터 독출 동작하는 동안 다른 포트로부터 메모리 셀과 동일 로우내에 배치된 다른 메모리셀로 기입 동작을 실행할때만 데이터 기입 및 독출동작을 위해 사용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을 회로 단락시킴으로써 비트라인들의 레벨부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write operation of the multiport memory 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writing into and out of cells while selecting the same row from a plurality of ports commonly occurring in the multiport memory as described above. It is. The structure of the multi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at is, a bit may be shorted by shorting bit lines corresponding to ports used for data writing and reading operations only when a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another port to another memory cell arranged in the same row as a memory cell during a read operation from one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vel floating of the lines.

본 발명의 멀티포트 메모리는 구체적으로 독출 및 기입동작을 위한 복수의 포트들을 한 메모리셀에 상응하여 구비하되, 동일 컬럼내에 내포된 복수의 메모리셀들이 독출 또는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됐음을 검출하는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와 독출 또는 기입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을 회로 단락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가 그러한 선택을 검출할때 이 스위치가 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multi-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cludes a plurality of ports for read and write operations corresponding to one memory cell, and detects that a plurality of memory cells included in the same column are selected for read or write operations. And a switch for shorting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orts used for the read or write operation with the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wherein the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r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detects such a selection. have.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멀티포트 메모리는, 독출 및 기입동작을 위한 스태틱 메모리셀에 구비된 복수의 포트들과, 복수의 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된 복수의 비트라인들 및 워드라인들과, 워드리인들의 레벨에 따라 상기 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기타 비트라인들을 스태틱 메모리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와, 동일 로우내에 내포된 복수의 워드라인들의 독출 또는 기입 동작을 위한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선택될 때 복수의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다른 임의의 비트라인들중에서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을 회로 단락시키는 단락회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orts provided in the static memory cell for read and write operations, a plurality of bit lines and word line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rts, A switch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it lines and other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word lines to the static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level of word lines, and a plurality of read or write operations for a plurality of word lines included in the same row. And a short circuit that short-circuits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orts selected for the write operation among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lected ports and any other bit lines when selected from the ports.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한쌍의 포트를 갖는 2-포트 메모리를 설명하고, 그다음 4-포트 메모리를 설명한다.First, a two-port memory having a pair of ports will be described, followed by a four-port memory.

2-포트 메모리2-port memory

제6∼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은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제6도는 본 발명의 2-포트 메모리의 구조적 개통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2-포트 4메모리와 기술상의 차이가 없으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했다. 종래와 다른점은 단지 어드레스 버퍼들의 출력을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에 입력하는 것뿐이다.6 is a structural opening diagram of the two-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figure, since there is no technical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two-port four memory, the same number is given. The only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is to input the output of the address buffers to the r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또한, 도면에 도시 안됐지만, 새로 추가된 구조는 이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의 출력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비트라인 컬럼들의 단부분에 제공되는 단락회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된다는 것이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newly added structure is that the output of this r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is input to the gate of the short circuit transis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bit line columns of the memory cell array.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는 우측포트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우측 어드레스신호들(AOR∼AIR)과 좌측포트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좌측 어드레스 신호들(AOL∼AIL)이 입력되고 또한 이들 어드레스 신호들의 일치가 검출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r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is inputted to the left addres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the right port address signal that is input corresponding to the right port (A OR ~A IR) (A OL ~A IL) is input In addition, these address signal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match is detected.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셀 어레이의 일부는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3도에 보인 종래기술과의 다른 점은 각 컬럼의 우측 및 좌측 비트라인들을 상호단락시키기 위해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n-채널 MOS)(46,47)이 상부측에 구비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6)는 드레인을 통해 좌측 포트의 비트라인(BLL)에 접속되고 또한 소오스를 통해 우측포트의 비트라인(BLR)에도 접속된다. 또한 비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7)는 드레인을 통해 좌측 포트의 비트라인()에 접속되고 또한 소오스를 통해 우측포트의 비트라인()에도 접속된다. 제6도에 보인 로우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48)의 출력은 이들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6,47)의 게이트들에 접속된다. 우측과 좌측프트들로부터 입력된 로우어드레스들이 비교결과 일치되는 것으로 생각되면 출력은 H레벨로 세트되어 게이트가 온되므로 그에 의해 우측과 좌측 비트라인들이 각 컬럼마다 상호 단락된다.In this embodiment, part of the memory cell array is formed as shown in FIG. The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shown in FIG. 3 is that short-circuit transistors (n-channel MOSs) 46 and 47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to short-circuit the right and left bit lines of each column. Here, the bit line short-circuit transistor 46 through the drain is connected to bit lines (BL L) of the left port also connected to a bit line (BL R) for the right port through the source. In addition, the bit short circuit transistor 47 passes through the bit line of the left port ( ) And through the source to the bit line ( ) Is also connected. The output of the l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circuit 48 shown in FIG. 6 is connected to the gates of thes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47. If the low addresses input from the right and left shafts are considered to be match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output is set to H level and the gate is turned on, whereby the right and left bit lines are shorted to each other.

도한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48)에서, 각 비트마다 제6도에 보인 좌측 로우어드레스 신호들(AOL∼AIL)과 우측 로우 어드레스 버퍼(8)로부터 출력된 우측 어드레스 신호들(AOR∼AIR)이 분할되어 익시클루시브 OR회로들(52O∼52I)에 입력된다. 각 로우 어드레스비트마다 구비된 익스클루시브 OR호로들(52O∼52I)은 로우어드레스 비트들이 일치할 때 L레벨을 출력하고 또는 로우 어드레스비트들이 일치하지 않을 때 H레벨을 출력한다.In addition, in the l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48, the left low address signals A OL to A IL shown in FIG. 6 and the right address signals A OR to output from the right row address buffer 8 are shown for each bit. A IR ) is divided and input to the exclusive OR circuits 52 O to 52 I. Exclusive OR paths 52 O to 52 I provided for each row address bit output an L level when the row address bits match or output an H level when the row address bits do not match.

익스클루시브 OR회로들의 출력들은 NOR회로(53)로 일시에 입력되고 또한 그의 출력은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46, 47)의 게이트들에 입력되오 온 오프 제어한다.The outputs of the exclusive OR circuits are input to the NOR circuit 53 at a time and their outputs are input to the gates of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 and 47 to control on and off.

익스클루시브 OR회로들의 출력들이 모든 어드레스 비트들에서 일치하면, NOR회로(53)는 로우 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AM)로서 H레벨을 출력하고, 불일치신호(AM)로서 L레벨을 출력한다. 다른 구조는 제4도의 종래의 2-포트 메모리의 구조와 동일하다.If the outputs of the exclusive OR circuits match in all the address bits, the NOR circuit 53 outputs the H level as the r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AM, and the L level as the mismatch signal AM.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wo-port memory of FIG.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설명을 위한 타임챠트이다. 시간(T1)에서 좌측 로우 어드레스(AL)는 변동하며, 이 좌측 로우 어드레스(AL)는 우측 로우 어드레스(AR)와 일치한다. 시간 (T2)에서, 좌측 로우 어드레스(AL)는 변동하며, 이 좌측 로우 어드레스(AL)는 우측 로우 어드레스(AR)와 일치하지 않는다.8 is a time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ime T1, the left row address A L fluctuates and this left row address A L coincides with the right row address A R. At time T2, the left row address A L fluctuates and this left row address A L does not coincide with the right row address A R.

우선, 좌측 로우 어드레스(AL)와 우측 로우 어드레스(AR)는 시간(T1)까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로우 어드레스 일치검출신호(AM)는 L레벨에 있는다. 결과적으로,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46,47)은 오프되어, 우측과 좌측 포트들의 비트라인들(BLL,및 BLR,)이 각 포트의 동작을 실행하므로 신호들의 상호 장애가 없다.First, since the left row address A L and the right row address A R do not coincide until the time T1, the r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signal AM is at the L level. As a result, the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 and 47 are turned off, so that the bit lines BL L , of the right and left ports are turned off. And BL R , ) Performs the operation of each port, so there is no mutual interference of signals.

그러나, 좌측 로우 어드레스(AL)와 우측 로우 어드레스(AR)가 시간(T2)에서 일치하면, 어드레스 일치신호(AM)는 H레벨이 된다. 결과적으로, 비트라인 트랜지스터들(46,47)이 온되어 비트라인들(BLL,및 BLR,)은 회로 단락된다.However, if the left row address A L and the right row address A R coincide at time T2, the address coincidence signal AM becomes H level. As a result, the bit line transistors 46 and 47 are turned on so that the bit lines BL L ,. And BL R , ) Is short circuited.

그후, 좌측 로우 어드레스(AL)와 우측 로우 어드레스(AR)는 시간(T2)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그에 의해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신호(AM)는 L레벨이 되어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6,47)이 오프된다.Thereafter, the left row address A L and the right row address A R do not coincide at time T2. As a result, the l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signal AM becomes L level, and the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 and 47 are turned off.

여기서 논의된 것은 제3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좌측포트의 로우선택라인(WLL)과 우측 포트의 로우선택라인(WLR)이 H레벨에 세트된 경우에, 예를들어 우측포트로부터 메모리셀로 예를들어 H데이타가 기입되는 경우이다.As discussed in the case of FIG. 3, when the row select line WL L of the left port and the row select line WL R of the right port are set at the H level, for example, from the right port to the memory cell. For example, H data is written.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포트의 비트라인()의 부하 트랜지스터(28)로부터의 전류가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7)를 통해 우측포트의 비트라인()으로 흐르고 또한 우측포트의 컬럼선택 트랜지스터(36)를 통해 기입 트랜지스터(42)에 의해 흡수된다. 여기서,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47)의 상호 콘덕턴스(Gm)가 높은 값에 세트되면, 비트라인()의 L레벨은 비트라인()의 L레벨과 거의 동일한 레벨까지 낮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this embodiment, the bit line of the left port ( Current from the load transistor 28 through the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 47 ) And is absorbed by the write transistor 42 through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36 in the right port. Here, when the mutual conductance Gm of the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 47 is set to a high value, the bit line ( L level is the bit line ( Can be lowered to almost the same level as L level.

여기서 메모리셀(17)의 노드(45)의 L레벨은 비트라인들(,)의 L레벨과 동일한 저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제4도에 보인 메모리셀(17)내의 MOS트랜지스터(13)(메모리셀(17) 자체는 종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관련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제4도를 참조함)는 오프될 수 있어 안정된 기입동작을 성취할 수 있다.Here, the L level of the node 45 of the memory cell 17 corresponds to the bit lines ( , It becomes the low level same as L level of (). Therefore, the MOS transistor 13 in the memory cell 17 shown in FIG. 4 (refer to FIG. 4 used to describe the related art because the memory cell 17 itself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can be turned off. Can achieve a stable writing operation.

독출동작을 우측과 좌측포트들로부터 수행할 경우엔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46,47)은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는다.When the read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right and left ports, the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 and 47 are not disturbed.

왜냐하면 각 컬럼의 두 포트들의 비트라인들은 동일 동작을 실현하기 때문이다. 또한 칩면적의 제한 때문에, 메모리 셀(17)의 전송 게이트 트랜지스터(18∼21)는 그의 채널폭을 넓게 세트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컬럼내에 단한쌍의 비트라인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46,47)만이 배치되기 때문에 채널폭(W)을 더 넓게 세트하는 것이 가능하다.This is because the bit lines of the two ports of each column realize the same operation. Furth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hip area, the transfer gate transistors 18 to 21 of the memory cell 17 cannot set their channel widths wid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channel width W wider because only a pair of bit line short circuit transistors 46 and 47 are disposed in each column.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호 콘덕턱스(gm)를 더 높은 값에 세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mutual conductance gm to a higher value.

4-포트 메모리4-port memory

그다음 4-포트 메모리의 일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4-port memory will be described.

제9도는 4-포트 메모리의 메모리셀 어레이의 1컬럼과 그의 주변회로들의 부분개략도이다. 상응하는 관련기술을 나타내는 제5도에 비하여 제9도는 비트라인쌍들(,), (,), (, ), (,)중 2비트 라인들을 상호 단락시킴과 동시에 상응하는 2라인들(BL1,BL2,BL3,BL4)을 상호 단락시키는 단락회로 트랜지스터가 구비되는 구조를 새로이 추가하고 있다.9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one column of a memory cell array of a 4-port memory and its peripheral circuits. FIG. 9 shows bit line pairs as compared to FIG. , ), ( , ), (, ), ( , A short circuit transistor is provided to short-circuit two bit lines and to short-circuit the corresponding two lines BL 1 , BL 2 , BL 3 , and BL 4 .

비트라인들(BL1,BL2,BL3,BL4)(제9도의 상부) 측에 구비되는 단락회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비트라인들(,,,)측에 구비되는 단락회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되고 또한 로우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의 출력은 이 게이트에 접속된다.The gates of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provided on the bit lines BL 1 , BL 2 , BL 3 , BL 4 (upper part of FIG. 9) are connected to the bit lines ( , , ,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hort-circuit transistor provided on the () side, and the output of the low address matching circuit is connected to this gate.

제10도를 참조하여, 로우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48)와 단락회로 트랜지스터간의 관계를 다음에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circuit 48 and the short circuit transistor will be described next.

제10도는 제9도의 상부에 위치된 비트라인쌍을 확대하여 한 컬럼만을 나타낸다. 단락회로 트랜지스터(712,723,734,713,714,724)은 비트라인들(BL1~BL4) 사이에 제공되고 또한 단락회로 트랜지스터(812,823,834,813,814,824)도 비트라인들() 사이에 제공된다. 각 단락회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에 접속되지만 단락회로 트랜지스터(712,812)의 게이트들은 로우 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912)의 출력과 접속된다. 이 로우 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912)에는 제1포트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들(AO1,…AI1)과 제2포트에 상응하는 어드레스 신호들(AO2,…AI2)이 입력되어 일치와 불일치가 판정된다. 즉, 제1 및 제2포트로부터 억세스가 동일로우에 대해 행해지면, 이 로우 어드레스 일치 검출회로(912)는 H레벨을 출력하여 비트라인들(BL1,BL2)과 비트라인들(,)은 각각 단락되므로 전술한 2-포트 메모리의 경우에서와 같이 오기입 동작이 억제된다. 다른 비트들 또한 단락되고 또한 복수의 비트라인들이 억세스되면, 목적하는 비트라인들은 모두 단락된다.FIG. 10 shows only one column by enlarging a pair of bit lines located at the top of FIG.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712, 723, 734, 713, 714, 724 are provided between the bit lines BL 1 to BL 4 , and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812, 823, 834, 813, 814, 824 are also provided with the bit lines ( To Is provided between). The gate of each short circuit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l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circuit, but the gates of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712 and 812 ar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r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912. The r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circuit 912 receives address signals A O1, ... A I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 and address signals A O2, ... A I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 Inconsistency is determined. That is, when access is made to the same row from the first and second ports, the r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912 outputs the H level so that the bit lines BL 1 , BL 2 and the bit lines ( , ) Are respectively shorted, so that the write-in operation is suppressed as in the case of the two-port memory described above. If other bits are also shorted and a plurality of bit lines are accessed, the desired bit lines are all shorted.

제9도에서, 4포트들에 상응하는 제1∼4워드라인(WL1∼WL4)의 워드라인들은 수평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또한 수직방향으로는 4포트들에 상응하는 제1 제4비트라인쌍(BL1,∼BL4,BL4)의 4비트라인들쌍이 연재되어 있다. 비트라인들쌍들과 워드라인들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내에는 스태틱 메모리셀이 하나씩 구비된다. 또한, 도면의 상하단부부분들 부근의 영역에는 4쌍의 데이터 버스라인쌍(DB1,,…DB4,)이 4포트들에 상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In FIG. 9, the word line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word lines WL1 through WL4 corresponding to the four ports ar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fourth bit line pair corresponding to the four ports in the vertical direction. (BL 1 , Four bit line pairs of BL4 and BL4 are extended. Each static memory cell is provided in an area surrounded by pairs of bit lines and word lines. In addition, four pairs of data bus line pairs DB1, ,… DB4, ) Are horizontally extended corresponding to the four ports.

수직방향으로 연재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분분에는 컬럼선택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있다. 이 컬럼이 독출 또는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되면, 이 컬럼선택 트랜지스터는 온되어 통상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라인과 비트라인을 전기적으로 접소한다.A column select transistor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is column is selected for read or write operations, the column select transistor is turned on to electrically close the data bus lines and bit lines that are normally electrically isolated.

여기서, 제2로우에 속하는 스태틱 메모리셀(제9도에서 J)을 선택함으로써 상술한 4-포트 메모리내의 제3포트로부터 H레벨의 기입을 실행해본다.Here, by selecting the static memory cells belonging to the second row (J in FIG. 9), the H level writing is performed from the third port in the above four-port memory.

이 경우에, H레벨은 제3게이트의 입력단자들(IN3,)의 입력단자(IN3)에 입력되는 한편 L레벨은 단자()에 입력된다. 트랜지스터들(Tr1∼Tr4)중에서 Tr1과 Tr4는 오프되고 Tr2와 Tr3는 온된다. 비트라인(BL3)은 H레벨로 상승하는 한편 비트라인(BL3)은 L레벨로 강하한다. 컬럼선택신호(Y3)가 H레벨이 되어 제3비트라인쌍을 위해 제공된 2컬럼선택트랜지스터들은 동시에 온된다.In this case, the H level is the input terminal IN3 of the third gate.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IN3, while the L level is ) Is entered. The transistors (Tr 1 ~Tr 4) from Tr 1 and Tr 4 are turned off Tr 2 and Tr 3 are turned on. The bit line BL3 rises to H level while the bit line BL3 falls to L level. The column select signal Y3 goes to the H level so that the two column select transistors provided for the third bit line pair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제3워드라인(WL3)이 H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는 온되므로 그에 의해 제3비트라인쌍(BL3,)과 스태틱 메모리셀(J)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When the third word line WL3 becomes H level, the transistor is turned on, whereby the third bit line pair BL3, ) And the static memory cell J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 경우에, 제1포트로부터 독출 동작을 실행할 또다른 스태틱 메모리셀은 스태틱 메모리셀(J)이 속하는 동일 로우(J의 우측 연장 방향 도시안됨)내에 존재하고 또한 제2포트로부터 독출동작을 실행할 다른 스태틱 메모리셀도 또한 그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자. 즉 4포트들중 제1 및 제2포트들로부터 독출동작을 실행하고 또한 제3포트로부터 동일로우내의 다른 메모리셀들로 기입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자.In this case, another static memory cell to execute the read operation from the first port is in the same row (not shown in the right-extending direction of J) to which the static memory cell J belongs and another to execute the read operation from the second port. It is assumed that the static memory cell also exists therein.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read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orts among the four ports, and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third port to other memory cells in the same row.

그에 의해 제2로우에서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이 온되기 때문에, 이들 워드라인들에 게이트들을 접속하는 2트랜지스터들이 동시에 온된다. 그에 의해 스태틱 메모리셀은 제1, 제2 및 제3비트라인쌍에 접속된다. 그러나 오기입 동작이 후술하는 이유 때문에 생기지 않는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are turned on in the second row, the two transistors connecting the gates to these word lines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static memory cell is thereb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bit line pairs. However, the write-in operation does not occur for the reason described later.

기입동작을 위한 제3포트로부터 입력된 로우 어드레스와 독출 동작을 위한 제1 및 제2포트들로부터 입력된 로우 어드레스는 제각기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에 입력되고 이들이 일치하면 H레벨이 출력된다. 출력된 H레벨 신호는 제3비트라인과 제1 및 제2비트라인들간에 제공된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에 입력되어 온되므로 기입동작을 위한 스태틱 메모리셀(J)이 속하는 제2로우내의 비트라인들이 단락된다.The row address input from the third port for the write operation and the row address in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orts for the read operation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l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and if they match, the H level is output. The output 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gates of the short circuit transistors provided between the third bit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bit lines, so that the bit line in the second row to which the static memory cell J for the write operation belongs is included. Are short-circuited.

스태틱 메모리셀(J)가 속하는 제2로우에서는 제1, 제2 및 제3비트들이 상호 접속되어 제1비트라인내에서 부유하는 L레벨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In the second row to which the static memory cell J belongs, the problem of the L level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b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loat in the first bit line may be solved.

그러므로, 기입할 정보가 반전되는 소위 오기입이 제거될 수 있다.Therefore, the so-called write-in where the information to be written is reversed can be eliminated.

요약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복수의 포트들이 동일 로우내의 스태틱 메모리셀들을 선택했을 경우에, 기입포트와 독출 포트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을 단락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다음 이러한 구조에 속하는 수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들어, 4포트들의 대상 로우들내의 스태틱 메모리셀들로부터 독출동작을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실행하 경우, 기입동작에 참여한 제3비트라인과 독출동작에 참여한 제1 및 제2비트라인들을 더 이상 단락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기입동작에 참여한 제3비트라인과 제2비트라인들중 하나를 접속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비트라인들의 L레벨 부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입 비트라인을 2독출 비트라인들과 단락시켜야 한다.In summary, it is important to have a means for shorting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write port and the read port when a plurality of ports selects static memory cells in the same row to ensu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ext, modifications belonging to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read operation from the static memory cells in the target rows of the four ports is executed from the plurality of ports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bit line participating in the write oper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articipating in the read operation are performed.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short the bit lines and also connect one of the third bit line and the second bit lines participating in the write operation to ob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 level floating of the bit lines, the write bit line should be shorted with the two read bit lines.

이 경우에, 독출동작에 참여한 복수의 비트라인들이 존재할 때 그러한 비트라인중 단하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입동작에 참여한 비트라인들과 단락시키기 위한 독출비트라인용 선택회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벙법은 설사 상당한 장점이 있더라도 회로를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bit lines participating in a read operation, a selection circuit for a read bit line is needed to select only one of those bit lines and short it with the bit lines participating in the write operation. Therefore, even though it has significant advantages, it is not an ideal method because it unnecessarily complicates the circuit.

본 발병의 멀티포트 메모리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지금까지 2-포트와 4-포트 메모리에 대해 설명했으나 그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수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포트들의 수가 2 또는 5로 제한되지 않고 임의로 선택실현할 수 있음을 퉁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이해할 것이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port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port and four-port memories have been described so far,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number of ports is not limited to two or five and can be arbitrarily chosen.

포트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로우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에 대한 포트수만큼 입력들을 이네이블 할 수 있도록 회로변경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들은 모든 포드들의 조합수만큼 구비된다.In order to change the number of ports, a circuit change is necessary to enable the inputs as many as the number of ports for the low address matching circuit. For example, the low address coincidence detection circuits are provided by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all the pods.

즉, 포트수가 4이면 제1 및 제2포트, 제1 및 제3포트, 제1 및 제4포트, 제2 및 제3포트, 제2 및 제4포트 그리고 제3 및 제4포트의 입력들에 대해4C2(=6)만큼의 로우어드레스일치검출회로가 요구된다. 각 컬럼의 비트라인들을 접속하는 단락회로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상술한 설명에 따라 제1과 제2비트라인간, 제1과 제3비트라인간, 제1과 제4비트라인간, 제2와 제3비트라인, 제2와 제4비트라인간, 제3과 제4비트라인간에,4C2(=6)만큼의 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이 구비되고, 그에 의해 출력들이 게이트들에 접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이 마음대로 선택한 정수이면, n쌍의 비트라인과 n워드라인들이 n-포트 메모리내의 개별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상응하여 배치되며 또한 n비트라인쌍의 각 쌍내의 비트라인들간에 즉 2쌍의 n비트라인들간에 단락회로 트랜지스터가 접속된다. 그러므로, 총 nC2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이 필요하다. 또한 nC2로우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의 출력들을 nC2단락회로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에 1대 1로 입력시키면 충분하다.That is, if the port number is 4, the input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s, the first and third ports, the first and fourth ports, the second and third ports, the second and fourth ports, and the third and fourth ports As much as 4 C 2 (= 6) l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is required. In the case of a short-circuit transistor connecting bit lines of each colum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it lines, between the first and third bit lines,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bit lines, and between the second and second bits. As many as 4 C 2 (= 6) short-circuit transistors are provided between the three bit lines,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bit lines, an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bit lines, whereby the outputs can be connected to the gates. In general, if n is a freely chosen integer, then n pairs of bit lines and n word lines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individual static memory cells in the n-port memory and also between two bit lines within each pair of n bit line pairs. A short circuit transistor is connected between the n bit lines of the pair. Therefore, a total of nC 2 short circuit transistors are needed. It is also sufficient to input the outputs of the nC 2 low address match detection circuit to the gates of the nC 2 short circuit transistors one-to-one.

또한 비트라인들을 단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단락회로 스위치는 항상 MOS 트랜지스터로 형성할 필요가 업고, 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을 산화막이외의 절연막 예를들어, 질화막 또는 산화질화막으로 형성된 다른 MIS트랜지스터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ort-circuit switch used for shorting the bit lines does not always need to be formed of a MOS transistor,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of the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film other than an oxide film, for example, a nitride film or another MIS transistor formed of an oxynitride film. have.

또한 필요한 경우, MOS트랜지스터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대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포트는 항상 기입 및 독출동작을 허용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If necessary, the MOS transistor can also be replaced with a bipolar transistor. In addition, each port need not always have a structure to allow write and read operations.

어떤 포트는 입력게이트 없이 독출전용포트로서만 동작하도록 기능을 가질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가 오기입동작을 제거하기 위해 뚜렷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포트는 기입포트이어야 한다.Some ports may have the ability to operate only as read-only ports without input gates. However, at least one port must be a write port becaus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arent to eliminate the write-in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 로우가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선택될 때, 동일 컬럼내의 포트의 비트라인쌍중 한 비트라인과 다른 포트의 비트라인쌍중 한 비트라인이 단락되고 또한 어떤 포트의 비트라인쌍중 다른 비트라인과 다른 포트의 비트라인쌍중 다른 비트라인 또한 단락되는 구조 때문에 기입동작이 수행되는 포트로부터 반대측 포트의 한 비트라인과 다른 비트라인들의 레벨들이 기입동작을 위한 레벨과 동일한 레벨에 세트될 수 있기 때문에 한 포트로부터 기입동작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억세스하는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동일 로우가 선택될 때라도 안정된 기입동작이 보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ame row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ports, one bit line of the bit line pair of the port in the same column and one bit line of the bit line pair of the other port are shorted and also a bit line pair of any port. The level of one bit line and the other bit lines of the opposite port from the port on which the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is set at the same level as the level for the write operation becau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other bit lines of the bit line pairs of the other port and the other port are also shorted. Since a write operation can be executed from one port and a stable write operation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same row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accessing ports.

Claims (33)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스태틱 메모리셀들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포트들과,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비트라인들 및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워드라인들의 레벨들에 따라 동일포트의 상기 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들과, 대응하는 포트들에 의해 동일 로우가 선택될 경우에 대응하는 포트들의 각컬럼의 비트라인간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Static memory cells, a plurality of ports provided for writing or reading data to or from the static memory cells, a plurality of bit lines and a plurality of word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rts; Switche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word lines of the same port to the static memory cell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word lines, and when the same row is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ports. And short circuits for shorting between bit lines of each column of corresponding 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는 MIS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스위치들인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rt circuits are switches formed of MIS transistors. 제2항에 있어서, 동일셀에 접속된 상기 스위치들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es connected to the same cell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들은 상응하는 포트들의 각 컬럼의 비트라인들간을 단락시키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 wherein the short circuits short between the bit lines of each column of corresponding ports.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타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복수의 포트들과, 상기 복수의 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비트라인들 및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워드라인들의 레벨들에 따라 동일 포트의 상기 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상기 스태틱메모리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들과, 기입 또는 독출 동작을 위한 복수의 포트들로부터 동일 로우에 속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이 선택될 경우에 복수의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중에서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된 포트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선택된 다른 임의 의 비트라인들과 선택된 다른 임의의 비트 라인들을 단락 시키는 단락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회로는, 각 포트들에 입력될 로우 어드레스들을 서로 비교하여 복수의 포트들의 로우어드레스들이 일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어드레스일치검출회로와, 상기 로우검출회로와 상기 로우비트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신호에 수신하여 상응포트들의 각 컬럼의 비트라인들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Static memory cells, a plurality of ports provided for writing or reading data to or from the static memory cells, a plurality of bit lines and a plurality of word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orts; Switches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word lines of the same port to the static memory cell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word lines, and the same row from a plurality of ports for a write or read operation. Bit lines corresponding to a port selected for a write operation, other arbitrary bit lines selected, and other arbitrary bit lines selected from among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lected ports when a plurality of word lines belonging to Short circuits for shorting the circuit boards, wherein the short circuits include row addresses to be input to respective ports. A low address matching circuit for outputting a signal when the low addresses of a plurality of ports match with each other, a bit line of each column of the corresponding ports connected to the low detection circuit and the low bit line and received in the output signal And a short circuit switch for shorting them o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MIS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6. 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중에서 동일 셀에 접속된 상기 단락회로들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7. 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short circuits connected to the same cell among said cells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iz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들은 복수의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중에서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다른 모든 비트라인들간을 단락시키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6.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5, wherein the short circuits short circuit between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orts selected for the write operation and all other bit lines among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lected ports.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스태틱 메모리들로 구성되는 셀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6.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5,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positioned outside the cell reg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static memori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MIS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6. 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를 형성하는 MIS형 트랜지스터의 상호콘덕턴스 Gm은 상기 스위치들을 형성하는 MIS형 트랜지스터의 것과 거의 동일한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1.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0 wherein the interconductance Gm of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hort circuit switch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witches.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타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및 제2포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 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되며 레벨들을 갖는 제1 및 제2비트 라인들과 제1 및 제2워드라인들과,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의 레벨들에 따라 동일 포트의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들과, 동일 로우가 상기 제1 및 제2포트들에 의해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상응하는 포트들의 각 컬럼의 비트라인들간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들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Static memory cells, first and second ports provided for writing or reading data to or from the static memory cells, first and second po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orts, and having levels. The static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it lines and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and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of the same port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memory cells, and a short circuit shorting between bit lines of each column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sponding ports when the same row is se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ports. Multiport memory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는 MIS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3.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2, wherein the short circuit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중에서 동일 셀에 접속된 스위치들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4.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3 wherein the switches in the cells that are connected to the same cell are formed about the same siz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들은 상기 복수의 스태틱 메모리들로 구성되는 셀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2, wherein the short circuits are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positioned outside a cell reg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static memori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MIS형 트렌지스터로 형성되는 단락회로 스위치인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3. 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the short circuit MIS transis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를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상호콘덕턴스 Gm은 스위치들을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것 보다 큰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7. The multiport memory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interconductance Gm of the MIS type transistors forming the short circuit swit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MIS type transistors forming the switches.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및 제2포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되며 레벨들을 갖는 제1 및 제2라인들과 제1 및 제2워드라인들과,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의 셀들에 따라 동일 포트의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전기적으 접속한다. 동일로우가 상기 보수의 프트들에 의해 선택될 경우에 상응하는 포트들의 각 컬럼의 비트라인들간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단락회로는 각포트들에 입력될 로우 어드레스들을 서로 비교하여 복수의 포트들의 로우어드레스들이 일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어드레스일치검출회로와, 상기 검출회로와 상기 로우비트라인들에 접속되며 상기 로우어드레스 일치검출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관련포트들의 각 컬럼의 상응하는 비트 라인들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Static memory cells, first and second ports provided for writing or reading data to or from the static memory cells, first and second por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orts, and having levels. And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of the same port according to the second lines,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and the cells of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field. Short circuits for shorting between bit lines of respective columns of corresponding ports when the same row is selected by the complementary shifts, wherein the short circuits compare a plurality of row addresses to be input to the respective ports. A r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that outputs a signal when the low addresses of the ports of the port match with each other; and an output signal from the low address matching detection circuit connected to the detection circuit and the low bit lines to receive a signal from each column of the corresponding ports. And a short circuit switch for shorting corresponding bit lines of the multiport memor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MIS형 트렌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9.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18,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중에서 동일 셀에 접속된 스위치들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10.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8 wherein the switches in the cells that are connected to the same cell are formed about the same size.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스태틱 메모리들로 구성되는 셀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1.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0,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positioned outside of a cell reg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static memorie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MIS형 트렌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2.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1,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를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상호콘덕턴스 Gm은 상기 스위치들을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것보다 큰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3.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2 wherein the interconductance Gm of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hort circuit switch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witches.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 스태틱 메몰셀들에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및 제2포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포트들에 상응하여 구비되며 레벨들을 갖는 제1 및 제2비트라인들과 제1 및 제2워드라인들과,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의 레벨들에 따라 동일포트의 상기 제1 및 제2워드라인들에 상응하는 상기 비트라인들을 상기 스태틱 메모리셀들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들과, 기입 또는 독출 동작을 위해 동일 로우에 속하는 제1 및 제2워드라이들이 선택된 경우에 기입동작을 위해 선택된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제1 및 제2비트라인들중에서 선택된 다른 비트라인들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와, 각 포트들에 입력되는 로우어드레스들을 서로 비교하여 기입을 위해 선택된 것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포트들의 로우어드레스들이 일치할 때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와, 상기 셀 영역내의 상기 워드라인들을 거의 두영역들로 분할하여 형성될 수 있는 제1 및 제2셀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셀영역 사이에 상기 우측포트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우측 로우디코더와, 상기 제1 및 제2셀 영역 사이에 상기 좌측 포트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좌측 로우 디코더를 포함하며, 상기 단락회로는 상기 로우 어드레스일치 검출회로의 출력을 수신하여 기입 동작을 위해 선택되는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과 관련 포트들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중에서 다른 비트라인들을 단락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First and second ports provided for writing or reading data to or from static memory cells, the static memocells, and first and second leve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ports. The static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it lines,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and the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of the same port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word lines.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ports selected for the write oper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when the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cells and the first and second word lie belonging to the same row are selected for the write or read operation. A short circuit for shorting other selected bit lines among the second bit lines, and a row of a plurality of ports including those selected for writing by comparing the low addresses input to the respective ports with each other; A low address matching circuit for outputting a signal when the addresses match, first and second cell regions formed by dividing the word lines in the cell region into almost two reg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 right row decoder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ight port between cell areas, and a left row decoder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eft por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ll areas, and the short circuit corresponds to the row address matching. And shorting other bit lines among bit lines corresponding to ports selected for a write operation and bit lines corresponding to related ports by receiving an output of the detection circu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MIS형 트렌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5.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4, wherein the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중에서 동일 포트에 상응하는 상기 스위치들은 거의 동일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5.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4 wherein said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same port of said switches are formed approximately the same size. 제26항에 있어서, 각 포트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데이터 버스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역시 상응하는 동일포트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 전기접속을 형성해주는 컬럼 선택 트렌지스터와, 상기 비트라인을 소정전압에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1부하회로와, 상기 데이터 버스라인을 소정전압에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2부하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7. The method of claim 26, further comprising: a data bus lin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port, a column select transistor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of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same port, and maintaining the bit line at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 second load circuit for maintaining the data bus line at a predetermined voltag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는 상기 복수의 스태틱 메모리들로 구성되는 셀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각 비트라인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7.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6, wherein the short circuit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each bit line positioned outside of a cell reg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static memories.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는 MIS형 트렌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7.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6, wherein the short circuit switch is formed of a MIS transistor.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 스위치를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상호콘덕턴스 Gm은 상기 스위치들을 형성하는 MIS형 트렌지스터의 보다 큰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30. The multiport memory of claim 29 wherein the interconductance Gm of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hort circuit switch is greater than the MIS transistors forming the switches. 제1항에 있어서, 각 포트에 상응하여 구비되는 데이터 버스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 역시 상응하는 동일 포트에 상응하는 비트라인들간의 전기접속들을 형성해주는 컬럼 선택 트렌지스터와, 상기 비트라인을 소정전압에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1부하회로와, 상기 데이터 버스라인을 소정전압에 유지하도록 해주는 제2부하회로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ata bus lin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port, a column select transistor for forming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bit lines corresponding to the same port, and the bit line at a predetermined voltage. And a second load circuit for maintaining the data bus line at a predetermined voltage. 로우와 컬럼들의 어레이내에 배열되며 셀어드레스들을 제공하는 적어도 2포트들에 상응하는 적어도 2개별 비트라인들을 갖는 스태틱 메모리셀들, 상기 개별 비트라인들에 결합되어 상기 셀어드레스들을 수신하여 셀어드레스들이 일치할 경우 상응하는 컬럼들의 비트라인들간을 단락시키는 단락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Static memory cells arranged in an array of rows and columns and having at least two separate bit line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ports providing cell addresses, the cell addresses being matched by being coupled to the individual bit lines to receive the cell addresses. And a short circuit for shorting between bit lines of corresponding columns.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회로는 상기 셀 어드레스들을 수신하도록 채택된 로우어드레스일치회로와, 상기 2비트라인들중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서 상기 로우 어드레스 일치회로에 접속되는 단락회로 트렌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멀티포트 메모리.32. The circuit of claim 31, wherein the short circuit comprises a low address matching circuit adapted to receive the cell addresses, and a short circuit transistor coupled to the row address matching circuit between one of the two bit lines and the other. Multi-port memory characterized by.
KR1019920004514A 1991-03-19 1992-03-19 Multiport memory KR9600047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04491 1991-03-19
JP91-55044 1991-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753A KR920018753A (en) 1992-10-22
KR960004735B1 true KR960004735B1 (en) 1996-04-12

Family

ID=1298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514A KR960004735B1 (en) 1991-03-19 1992-03-19 Multiport memor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35199A (en)
EP (1) EP0505926B1 (en)
KR (1) KR960004735B1 (en)
DE (1) DE69216267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1647A (en) * 1992-09-21 1996-02-20 ユニシス・コーポレイション Multiport buffer memory system for disk drive complex
US5710742A (en) * 1995-05-12 1998-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two port SRAM cell for low voltage CMOS applications
US5719890A (en) * 1995-06-01 1998-02-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circuit for transferring data with dynamic parity generation and checking scheme in multi-port DRAM
US5836007A (en) * 1995-09-14 1998-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memory component size and access speed including splitting bit lines and alternate pre-charge/access cycles
US5642325A (en) * 1995-09-27 1997-06-2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Register file read/write cell
US5828623A (en) * 1996-02-23 1998-10-27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Parallel write logic for multi-port memory arrays
US6487207B1 (en) 1997-02-26 2002-11-26 Micron Technology, Inc. Shared buffer memory architecture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and multiplexing technology
US5978889A (en) * 1997-11-05 1999-11-02 Timeplex, Inc. Multiple device data transfer utilizing a multiport memory with opposite oriented memory page rotatio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6198684B1 (en) * 1999-12-23 2001-03-06 Intel Corporation Word line decoder for dual-port cache memory
US6594194B2 (en) * 2001-07-11 2003-07-15 Sun Microsystems, Inc. Memory array with common word line
US6938111B2 (en) * 2002-04-19 2005-08-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operating automation control equipment applications
JP2006134379A (en) * 2004-11-02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memory
KR100655081B1 (en) * 2005-12-22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variable access path and method therefore
KR100745374B1 (en) * 2006-02-21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signals input/output therefore
US7564735B2 (en) * 2006-07-05 2009-07-21 Qimonda Ag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mory device
KR101475346B1 (en) * 2008-07-02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Develop level clipping circuit for clipping a develop level of a bitline pair, column path circuit including the same, and multi-por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11258270A (en) 2010-06-09 2011-12-22 Renesas Electronics Cor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171594B2 (en) * 2012-07-19 2015-10-27 Arm Limited Handling collisions between accesses in multiport memories
US8861289B2 (en) * 2013-01-14 2014-10-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ultiport memory with matching address control
US8867263B2 (en) * 2013-01-14 2014-10-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ultiport memory with matching address and data lin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822B2 (en) * 1986-03-07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7107792B2 (en) * 1988-01-19 1995-11-15 株式会社東芝 Multiport memory
KR0141494B1 (en) * 1988-01-28 1998-07-15 미다 가쓰시게 High speed sensor system using a level shift circuit
US5053652A (en) * 1988-01-28 1991-10-01 Hitachi, Ltd. High speed sensor system using a level shift circuit
JP2613257B2 (en) * 1988-05-24 1997-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Multi-port RAM
JPH023164A (en) * 1988-06-16 1990-01-08 Sharp Corp Dual port memory
JP2600304B2 (en) * 1988-06-30 1997-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data path using the same
JP2891504B2 (en) * 1990-03-13 1999-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Multi-port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5926A1 (en) 1992-09-30
DE69216267T2 (en) 1997-09-25
EP0505926B1 (en) 1997-01-02
DE69216267D1 (en) 1997-02-13
KR920018753A (en) 1992-10-22
US5335199A (en) 1994-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735B1 (en) Multiport memory
KR10074536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dvanced data input/output path
US4873669A (en) Random access memory device operable in a normal mode and in a test mode
US4837747A (en) Redundary circuit with a spare main decoder responsive to an address of a defective cell in a selected cell block
US528044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E3943532C2 (en)
EP0361404B1 (en) Memory circuit provided with improved redundant structure
US580893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wiring architecture
US495125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word line drivers
US537925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89781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built-in test circuit
US570623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ndant memory cell
KR19980041740A (en) Static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309852B1 (en) Semiconductor memory
US529916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iscriminator for diagnostic mode of operation
JPH05109279A (en) Multi-port memory
US5305258A (en) Semiconductor memory and memory cell
US4376987A (en) Threshold referenced MNOS sense amplifier
US678191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dual port memory cells
US6259645B1 (en) Matching loading between sensing reference and memory cell with reduced transistor count in a dual-bank flash memory
US6721221B2 (en) Sense amplifier and architecture for open digit arrays
US5365480A (en) Memory cells and a memory apparatus using them
US6058067A (en) Multi-bank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outpu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bit line pairs of each bank connected to data bus pairs
KR100195671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35956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