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93Y1 -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93Y1
KR960000593Y1 KR2019930029009U KR930029009U KR960000593Y1 KR 960000593 Y1 KR960000593 Y1 KR 960000593Y1 KR 2019930029009 U KR2019930029009 U KR 2019930029009U KR 930029009 U KR930029009 U KR 930029009U KR 960000593 Y1 KR960000593 Y1 KR 960000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urine
water level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0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8079U (en
Inventor
박재봉
Original Assignee
영일특장주식회사
박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일특장주식회사, 박재봉 filed Critical 영일특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593Y1/en
Publication of KR950018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07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93Y1/en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버스의 수세식 배뇨장치Flushing device of bus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버스의 측면약도1 is a side view of a bus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버스의 평면약도2 is a plan view of a bus showing an applic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사시도3 is a main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고안의 수조 수위감지센서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leve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도는 본 고안의 소변조 수위감지센서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rine tank leve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전기시스템 블럭도.7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ctric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전기시스템 흐름도.8 is a flow chart of the electrica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배뇨실 2 : 수조1: urination room 2: water tank

3 : 소변조 12 : 소변기3: urinal 12: urinal

21a, 21b, 21c, 21d : 수격방지격판 27 : 물21a, 21b, 21c, 21d: water hammer plate 27: water

28 : 소변 29 : 오염방지커버28: urine 29: pollution prevention cover

30 : 수조 수위감지센서 31 : 소변조 수위감지센서30: water tank water level sensor 31: urine tank water level sensor

본 고안은 버스의 수세식 배뇨장치, 특히 남성전용의 배뇨가 가능한 버스의 수세식 배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ing urination device for a bus, particularly a flushing device for men capable of urination for men.

남성전용의 버스는 예컨대 경찰병력 등의 수송을 위한 대형버스를 말하는 것으로, 이 버스는 불특정지역에서 남성으로 이루어진 출동요원들이 차내에서 오랜시간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용변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다.Men's-only buses, for example, are large buses for transporting police troops. These buses are experiencing a lot of confusion in toilets because male crew members have to wait in the car for a long time.

종래, 버스내에 화장실을 설치한 것으로는 일본 실개소 48-112010이 있었는 바 이 고안은 통상의 화장실 위생설비, 즉 세정용 수조, 물보충수조, 대변기, 세면대, 오수조를 설치한 것으로 반고형의 점액질인 대변을 세정하고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주행중의 수격을 방지한다거나 오수의 수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안전기능을 갖추기 어려웠다.Conventionally, there were Japanese toilets 48-112010 to install toilets in the bus. This design is a semi-solid type that installs normal toilet sanitary facilities, that is, a washing tank, a water refill tank, a toilet, a wash basin, and a sewage tank. Because feces, which are mucus, have to be cleaned and stored, it is difficult to have safety functions to prevent water hammer while driving or to easily control the level of sewage.

본 고안의 목적은 남성전용의 수세식 배뇨장치를 버스에 설치하되 이 배뇨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수격방지가 가능하고 물의 공급과 소변의 배출이 용이하며 운전석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와 소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시스템 등을 갖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lushing urination device exclusively for men, but this urin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prevent water hammer, and it is easy to supply water and discharge urine, and the water level and urine supplied from the driver's seat It is to have a safety system to detect the water level.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조내에 수격방지격판과 수조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조에 연결된 소변기의 수세되는 소변을 저장할 수 있는 소변조내에 수격방지격판과 소변조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수위감지센서는 리드 스위치와 안내관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수조의 고, 저수위를, 상기 소변조 수위감지센서는 고수위를 각각 감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 and a water tank level sensor in a water tank, and installs a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 and a water level sensor in a urine tank capable of storing the flushed urine of a urinal connected to the water tank. Each of the water level sensor is made up of a floating ball along the reed switch and the guide tube, the water level sensor is to detect the high and low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he water level sensor to detect the high water level, respectively It is made up.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있어서, 부호 1은 배뇨실이고, 2는 수조, 3은 소변조이다.1 to 4,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urination chamber, 2 denotes a water tank, and 3 denotes a urine tank.

배뇨실(1)은 버스(4)후부 일측의 바닥판(5)과 돌출바닥판(6)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은 도어(7)와 칸막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출바닥판(6)은 하부에 엔진장착부가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통상의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칸막이는 전면 패널(8)과 도어(7)가 설치된 측면 패널(9) 및 후면 패널(1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 파이프를 기둥으로 하여 창틀쪽과 밀폐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The urination chamber 1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5 and the protruding bottom plate 6 of the rear side of the bus 4, and the wall is composed of a door 7 and a partition. The protruding bottom plate 6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engine mounting part, and a normal rear sea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The partition is composed of a side panel 9 and a rear panel 10 in which the front panel 8, the door 7 are installed, and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side with each pipe as a pillar.

상기 배뇨실(1)내의 돌출바닥판(6)상에는 앵글구조체(11)와 상기 앵글구조체(11)상에 위치하는 수조(2) 및 상기 수조(2)하부에 위치하는 수세가능한 남성용의 소변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2)는 앵글구조체(11)상에 고정되고 앵글구조체(11)의 전방에는 벽플레이트(13)가 부착되며 이 벽플레이트(13) 전면에는 비스톨형식의 금속제 소변기(12)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소변기(12)는 수조(2)하단과 플래시 밸브(14)로 연결되어 있고 소변조(3)와 S트랩(15)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조(2)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호스와 연결하여 급수할 수 있는 급수관(16)이 상판(17)일측에 설치되고 수조(2)의 측면 상측에는 설정된 수위 이상의 급수가 되었을때 그 과잉수를 호스와 연결하여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과잉수 유출관(18)이 설치되며 소변기(12)상방의 수조(2) 전면 상측에는 배뇨시 차량의 유동에 대비하여 소변줄기를 소변기(12) 중앙으로 정조준시키도록 바른자세를 취하기 위한 둥근 바아형의 손잡이(19)가 형성되고 상판(17) 중앙에는 급수관(16)을 통하여 급수치 못할 경우에 다른 운반수단을 동원하여 수조(2)내에 급수하기 위한 보조급수덮개(20)가 씌워져 있다. 또, 수조(2)내에는 도수로가 확보될 수 있는 상태로 수격방지격판(21a, 21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격방지격판(21a, 21b)은 버스(4)가 주행할 때 물(27)이 출렁이면서 수조(2)내벽에 부딪치는 수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수격방지격판(21a, 21b)의 하단중앙과 사방모서리에는 물(27)이 넘나들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어서 이것이 일종의 도수로(渡水路)를 확보시키게 되는 것이다.On the protruding bottom plate 6 in the urination chamber 1, an angle structure 11 and a water tank 2 located on the angle structure 11 and a washable male urinal positioned under the water tank 2 ( 12) is installed. The water tank 2 is fixed on the angle structure 11, the wall plate 13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angle structure 11, the metal urinal 12 of the vistol type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wall plate (13) The urinal 12 is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 and the flash valve 14 is connected to the urine tank (3) and the S trap (15). The water tank (2) is connected to the hose coming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17, and when the water supply above the set level i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2) is connected to the excess water with the hose Excess water outflow pipe 18 for outflow to the outside is installed and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2) above the urinal 12, the correct posture to aim the urine stem in the center of the urinal (12) in preparation for the flow of the vehicle during urination. A round bar-shaped handle 19 is formed to take a water supply cover 20 for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tank 2 by mobilizing another transport means when water cannot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6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7. ) Is covered. In the water tank 2, water hammer preventing plates 21a and 21b are provided in a state where a raceway can be secured. The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s 21a and 21b are for minimizing the water hammer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27 slumps and hits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2 when the bus 4 travels. The lower center and four corners are cut so that water (27) can flow in, which is to secure a kind of raceway (渡水 路).

소변기(12)는 남성이 선 자세로 배뇨할 수 있는 금속재질의 구조로서 플래시 밸브(14)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반구형의 집수판(22)이 형성되는데 이 집수판(22)에는 물(27)이 소변기(12)내벽을 타고 내려가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소변기(12)의 개구부에 환설되고 중간 중간에 구멍이 뚫린 분배관(23)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플래시 밸브(14)에서 보내지는 물(27)을 분배관(23)으로 분배하게 된다.The urinal 12 is a metal structure that allows a male to urinate in a standing position, and a hemispherical water collecting plate 22 is form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ash valve 14, and the water collecting plate 22 has water 27. A hole is formed to descend down the inner wall of the urinal (12) an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distribution pipe (23) which is opened in the opening of the urinal (12) and is bored in the middle of the urinal (12). The water 27 to be sent is distributed to the distribution pipe 23.

소변조(3)는 상기 소변기(12)하방의 바닥판(5)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기(12)에서 수세되는 소변(28)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는 상기 소변기(12)와 연결된 S트랩(15)이 연결되고 하부에는 별도의 오수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고 핸들(24)로 개폐할 수 있는 볼 밸브형의 배수전(25)이 설치되고 내부중앙에는 급기관(26)이 설치된다. 또, 소변조(3)내에는 도수로가 확보될 수 있는 상태로 수격방지격판(21c, 21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격방지격판(21c, 21d)은 버스(4)가 주행할 때 수세된 소변(28)이 출렁이면서 소변조(3)내벽에 부딪치는 수격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수격방지격판(21c, 21d)의 하단 중앙과 사방모서리에는 수세된 소변(28)이 넘나들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어서 이것이 일종의 도수로를 확보시키고 있게 되는 것이다.The urine tank 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5 below the urinal 12 to store the urine 28 washed by the urinal 12. The upper side of the urine tank 12 is connected to the urinal 12. The trap 15 is connected to the bottom and connected to a separate sewage pipe, the ball valve-type drainage 25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andle 24 is installed, the air supply pipe 26 is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In the urine tank 3, water hammer preventing plates 21c and 21d are provided in a state where a raceway can be secured. The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s 21c and 21d are for minimizing the water hammer phenomenon in which the washed urine 28 slumps and hits the inner wall of the urine tank 3 when the bus 4 runs. In the lower center of the center and the corners of 21d), the washed urine 28 is cut out to secure a kind of raceway.

상기 소변조(3) 저부 중앙에는 상기한 급기관(26)이 돌출하여 공기를 소변조(3)내로 급기하게 되는데 상기 소변조(3)는 버스(4)의 뒷바퀴와 근접하여 있어서 주행중 뒷바퀴로 부터 튀기는 오물등이 급기관(26)을 오염시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면방지커버(29)가 설치되어 있다.The air supply pipe 26 protrudes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urine tank 3 to supply air into the urine tank 3. The urine tank 3 is close to the rear wheel of the bus 4 so that the rear wheel while driving is carried out. The back surface prevention cover 29 is installed to prevent dirt from splashing from being contaminated by contaminating the air supply pipe 26.

또한, 수조(2)와 소변조(3)내에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조 수위감지센서(30)와 소변조 수위감지센서(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 수위감지센서(30)는 수조(2)의 상판(17) 저면에 볼트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고수위감지부와 저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저수위감지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수위감지부는 2개의 접점(32a, 32b)을 갖는 리드 스위치(33a)와 자석(34a)을 갖는 부구(浮球)(35a)로서 형성되고, 상기 저수위감지부는 2개의 접점(32c, 32d)을 갖는 리드 스위치(33b)와 부구(35a)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water tank 2 and the urine tank 3, the water tank water level sensor 30 and the urine water level sensor 31 as shown in FIG. 5 and FIG. 6 are provided. The water tank water level sensor 30 is bol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7 of the water tank 2, and consists of a high water level sens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a high water level and a low water level sensing unit capable of sensing a low water level. The high water level detecting portion is formed as a reed switch 33a having two contacts 32a and 32b and a float 35a having a magnet 34a, and the low water level detecting portion has two contacts 32c and 32d. It is formed as a reed switch 33b and a float 35a.

상기 리드 스위치(33a, 33b)는 상판(17)에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36a)를 갖는 안내관(37a)내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고 부구(35a)는 안내관(37a)의 정지플레이트(38a)와 액밀을 위한 캡(39a) 사이의 안내관(37a) 외면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The reed switches 33a and 33b are respectively installed above and below in the guide pipe 37a having the flange 36a which can be coupled to the top plate 17, and the sub-hole 35a is the stop plate 38a of the guide pipe 37a. )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ipe 37a between the cap 39a for the liquid tightness so as to flow up and down.

상기한 소변조 수위감지센서(31)는 소변조(3)의 상판(40) 저면에 볼트결합되는 것으로서 소변조(3)의 고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2개의 접점(32e, 32f)을 갖는 리드 스위치(33c)와 자석(34b)을 갖는 부구(35b)로서 형성된다. 상기 리드 스위치(33c)는 상판(40)에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36b)를 갖는 안내관(37b)내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고 부구(35b)는 안내관(37b)의 정지플레이트(38b)와 액밀을 위한 캡(39b) 사이의 안내관(37b) 외면에 상하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The urine tank level sensor 31 is bol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40 of the urine tank 3 is made to detect the high water level of the urine tank (3). That is, it is formed as a reed switch 33c having two contacts 32e and 32f and a float 35b having a magnet 34b. The reed switch 33c is respectively installed above and below in the guide pipe 37b having the flange 36b which can be coupled to the top plate 40, and the mouthpiece 35b and the stop plate 38b of the guide pipe 37b. It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ipe 37b between the cap 39b for liquid tightness so that it can flow up and down.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 고안의 전기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및 흐름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버스(4)의 운전석 쪽 크래쉬 패드 일측에 제어기(41)와 경보기(42) 및 디스플레이 A, B, C(43a, 43b, 43c)를 설치하고, 제어기(41)에 수조 수위감지센서(30)와 소변조 수위감지센서(31)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며, 이 입력신호에 의하여 제어기(41)에서 경보기(42)와 디스플레이 A, B, C(43a, 43b, 43c)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것이다.7 and 8 illustrate a block diagram and a flow chart showing the electric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troller 41, an alarm 42, and displays A, B, and C are located at one side of a crash pad on the driver's side of the bus 4. 43a, 43b, 43c are installed, and the signals of the water tank water level sensor 30 and the urine tank water level sensor 31 are input to the controller 41, and the alarms from the controller 41 are input by this input signal. 42 and the display A, B, C (43a, 43b, 43c) is connected to output a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A(43a)는 수조 수위감지센서(30)의 고수위감지부(33a, 35a)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서 물보충금지램프가 점멸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B(43b)는 수조 수위감지센서(30)의 저수위감지부(33b, 35a)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서 물보충램프가 점멸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C(43c)는 소변조 수위감지센서(31)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서 사용금지램프가 점멸되도록 한 것이다.The display A 43a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s 33a and 35a of the water tank level sensor 30 so that the water replenishment prohibition lamp blinks, and the display B 43b is the water level sensor. The water supplement lamp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ors 33b and 35a of the sensor 30, and the display C 43c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urine tank water level sensor 31. The prohibition lamp flashes.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수조(2)에는 급수관(16)을 통하여 급수하게 되는데 급수가 시작되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구(35a)가 안내관(37a)을 따라 위로 상승한다. 상기 부구(35a)가 정지플레이트(38a)까지 올라가면 고수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부구(35a)내의 자석(34a)에 의하여 리드 스위치(33a)의 접점(32a, 32b)이 서로 접속하게 된다. 상기 자석(34a)은 축방향으로 같은 극이 서로 대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점(32a)과 접점(32b)을 축방향으로 밀어내 접속시키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water tank 2 is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6. When water supply starts, the float 35a rises up along the guide pipe 37a as the water level increases. When the float 35a rises up to the stop plate 38a, it indicates a high water level. At this time, the contacts 32a and 32b of the reed switch 3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 34a in the float 35a. Since the same poles oppose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magnet 34a pushes and connects the contact points 32a and 32b in the axial direction.

이에 따라 제어기(41)에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기(41)는 이 신호를 받아 경보기(42)와 디스플레이 A(43a)에 신호를 출력하는데 상기 경보기(42)는 일정시간 경과후 그 작동을 멈추고 디스플레이 A(43a)도 잠시후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물보충금지램프를 갖는 상기 디스플레이 A(43a)가 잠시후 작동정지되는 이유는 상기 급수된 과잉수가 과잉수 유출관(18)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부구(35a)가 다시 약간 하강해서 리드 스위치(33a)의 접점(32a)과 접점(32b)이 떨어지기 때문이다.Accordingly,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41 and the controller 41 receives the signal and outputs a signal to the alarm 42 and the display A 43a. The alarm 42 stops its oper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43a) also stops its operation after a while. The reason why the display A 43a having the water replenishment prohibition lamp stops working after a while is because the water supply excess water flows out through the excess water outlet pipe 18, so that the buckle 35a is slightly lowered again and the reed switch ( This is because the contact 32a and the contact 32b of 33a are separated.

상기 수조(2)내에 급수되는 과정에서 물(27)은 수격방지격판(21a, 21b)의 도수로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조(2)내로의 급수가 끝나고 필요시 배뇨실(1)내에서 손잡이(19)를 잡고 배뇨한 후 플래시 밸브(14)의 버튼을 누르면 수조(2)내의 물(27)이 집수판(22) 및 분배관(23)을 거쳐 소변기(12)내면을 타고 내려와 소변조(3)내로 보내진다.In the process of water supply in the water tank 2, the water 27 is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while moving through the waterway of the water hammer plate 21a, 21b. In this way,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tank 2 is finished, if necessary, hold the handle 19 in the urination chamber 1 to urinate, and then press the button of the flash valve 14, the water 27 in the tank 2 is collected. It passes down the inner surface of urinal 12 through 22 and distribution pipe 23, and is sent to urine tank 3.

이때 소변조(3)내의 수세된 소변(28)은 수격방지격판(21c, 21d)의 도수로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ashed urine 28 in the urine tank (3) is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while moving through the raceway of the water hammer plate (21c, 21d).

수조(2)내의 물(27)이 줄어 저수위상태로 되면 부구(35a)가 리드 스위치(33b)를 ON 상태로 접속시켜 경보기(42)를 일정기간 작동시킴과 동시에 다시 물(27)이 급수되어 저수위를 벗어날 때까지 물보충램프를 갖는 디스플레이 B(43b)를 작동시키게 된다.When the water 27 in the water tank 2 decreases to a low water level, the float 35a connects the reed switch 33b to the ON state to operate the alarm 42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27 is supplied again. The display B 43b having the water replenishment lamp is operated until the low water level is released.

소변조(3)도 마찬가지로 고수위상태가 되면 부구(35b)가 안내관(37b)을 따라 상승하여 리드 스위치(33c)를 ON 상태로 접속시켜 경보기(42)를 일정시간 작동시킴과 동시에 수세된 소변(28)이 배수전(25)을 통하여 배출되어 고수위를 벗어날 때까지 사용금지램프를 갖는 디스플레이 C(43c)를 작동시키게 된다.Similarly, when the urine tank 3 reaches a high water level, the float 35b rises along the guide tube 37b, connects the reed switch 33c to the ON state, operates the alarm 42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washes urine. The display C 43c having the prohibition lamp is operated until the 28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field 25 and out of the high water level.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대형버스에서 장시간 대기하거나 주행하여야 하는 남성승차자들이 필요시 언제든지 차내에서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고, 수격방지가 가능하며 물의 공급과 소변의 배출이 용이하고 운전석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위와 소변의 수위를 인식하여 안전하게 공급 또는 배출할 수 있으며 소변조의 급기관이 뒷바퀴에서 튀는 오물에 의하여 막히지 않도록 하므로서 소변배출시 급기가 잘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male riders who have to wait or run for a long time on a large bus to conveniently urinate in the car at any time, prevent water hammer, and easily supply water and discharge urine, and the level of water supplied from the driver's seat. Recognition of the water level and urine can be safely supplied or discharged, so that the urine tank is not blocked by dirt splashing from the rear wheel is effective in the supply of urine during discharge.

Claims (1)

수조내에 수격방지격판과 수조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조에 연결된 소변기의 수세되는 소변을 저장할 수 있는 소변조내에 수격방지격판과 소변조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수위감지센서는 리드 스위치와 안내관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부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수조의 고, 저수위를, 상기 소변조 수위감지센서는 고수위를 각각 감지하도록 구성한 버스의 수세식 배뇨장치.A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 and a water tank level sensor are installed in a water tank, and a water hammer prevention plate and a urine tank water level sensor are installed in a urine tank capable of storing the flushed urine of a urinal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 water drainage device of the bus, wherein the water level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high and low levels of the water tank, and the urine tank level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high water level.
KR2019930029009U 1993-12-22 1993-12-22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KR9600005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009U KR960000593Y1 (en) 1993-12-22 1993-12-22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009U KR960000593Y1 (en) 1993-12-22 1993-12-22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079U KR950018079U (en) 1995-07-22
KR960000593Y1 true KR960000593Y1 (en) 1996-01-18

Family

ID=1937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009U KR960000593Y1 (en) 1993-12-22 1993-12-22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593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869B1 (en) * 2016-06-20 2016-11-23 오영동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079U (en)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4825A (en) Water circulation system
FI83797B (en) AVLOPPSSYSTEM.
BR102012002710A2 (en) System fo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water, sanitary installation, sanitary installation with the system and vehicle.
US5539938A (en) Water closet
KR960000593Y1 (en) Flush toilet particularly for vehicles
US2777816A (en) Automatic sewage treatment and disposal unit
US4433443A (en) Self-contained flow through sewage waste disposal system
JP3191765B2 (en) Toilet equipment
KR19990032244U (en) Odor removal device of toilet seat
JP2714916B2 (en) Toilet equipment
US4565636A (en) Self-contained flow through sewage waste disposal system
JP4384572B2 (en) Water recycling equipment
JP3107159U (en) Toilet car
JP3062403U (en) Urinal with handwash
RU2428338C1 (en) Vacuum water-closet system of transport facility
JP2000282538A (en) Water overflow preventive mechanism for flush toilet stool
KR0157833B1 (en) Anti-flood device for sewage of a toilet installed in vehicles
JPH08120728A (en) Toilet stool
SE9603439L (en) Device at the flush tank of a toilet seat to allow flushing with reduced amount of fluid
JPH0613846Y2 (en) Deodorizing structure of toilet bowl
JPH09256448A (en) Automatic flushing device for male urinal
JPH0288827A (en) Water replenishing method of circulating water closet
JPH0875728A (en) Toilet stool with urine-samp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rine sampling valve
KR200290875Y1 (en) a urinal temperature sensing type system
JP2763607B2 (en) Cleaning wat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