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499B1 -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 Google Patents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499B1
KR950011499B1 KR1019880004476A KR880004476A KR950011499B1 KR 950011499 B1 KR950011499 B1 KR 950011499B1 KR 1019880004476 A KR1019880004476 A KR 1019880004476A KR 880004476 A KR880004476 A KR 880004476A KR 950011499 B1 KR950011499 B1 KR 95001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acoustic
hearing aid
wall surfac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15635A (en
Inventor
엠. 웨이스 어윈
Original Assignee
벨톤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70,023 external-priority patent/US4870689A/en
Application filed by 벨톤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벨톤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1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6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02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adapted to be supported entirely by 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보청기용 귀에지(귀지) 차단구Ear earmuffs for hearing aids

제1도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종래의 귀 후방 장착형 보청기의 부분 절단 정면도.1 is a partial cutaway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ear rear mounted hearing aid worn on a user's ear.

제2도는 사용자의 귀 내부에 착용하고 귀에지 차단구를 구비한 귀 내부 삽입형 보청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절단 우측면도.2 is a partially cut right sid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in-ear insert hearing aid worn inside a user's ear and having an ear block.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절단 사시도.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부분 단면 사시도.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제1변형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irst modification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4. FIG.

제6도는 차단구가 보청기내에서 사용된후에 귀에지가 쌓인것을 보여주는 제5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FIG.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5 showing ear build up after the barrier is used in a hearing aid. FIG.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제2변형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4. FIG.

제8도는 제4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제3변형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third modification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제9도는 제4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제4변형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제10도는 제4도에 도시된 귀에지 차단구의 제5변형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ifth modification of the ear edge block shown in FIG. 4.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변형예의 측면도.11 is a side view of a six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를 따라서 취한 귀에지 차단구의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 edge breaker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제13도는 내부에 합체된 제11도의 귀에지 차단구를 보여주는 보청기의 부분 단면도.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ring aid showing the ear edge closure of FIG. 11 incorporated therein. FIG.

제14도는 제11도의 귀에지 차단구의 평면도.FIG. 14 is a plan view of the ear edge block of FIG. 11. FIG.

제15도는 제11도의 귀에지 차단구의 제조 금형의 부분 단면도.FIG.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ufacturing die of the ear edge block of FIG. 11. FIG.

제16도는 귀에지 차단구의 변형된 돌기를 보여주는 제11도의 단면도.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showing a modified protrusion of an ear edge block. FIG.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변형된 돌기의 부분적 횡면도.FIG. 17 is a partial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dified protrusion shown in FIG. 16. FIG.

제18도는 합체된 음향 배플(baffle)을 보여주는 제11도의 단면도.FIG. 18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1 showing an integrated acoustic baffle. FIG.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음향 배플 및 하우징의 확대된 부분적 분해 사시도.FIG. 19 is an enlarged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coustic baffle and housing shown in FIG. 18;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귀에지 차단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삽입" 또는 "이도(耳道)"형 보청기 또는 음향 공진기 같은 보청기 및 장치의 음성로(saund channel)로 귀에지(일명 귀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귀에지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ear edge blockers, and more specifically, ear edges (also known as earwax) of hearing aids and devices, such as "inserted" or "ear canal" hearing aids or acoustic resonators. It is about ear blocker which prevents from entering).

대부분의 보청기는 보청기 소자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또는 외피를 지닌다. 많은 보청기들의 외피는 사용자의 이도내에 삽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자 보청기의 외피는 예컨대, 마이크로폰, 증폭회로 및 수화기를 수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보청기의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받아서 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전기 신호는 증폭 회로 또는 다른 전자 보청기 소자들로 전달될수 있다. 그 소자들은 다시 신호를 수화기로 보내고 수화기가 그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시킨다.Most hearing aids have a housing or shell that houses the hearing aid elements. The sheath of many hearing aids is designed to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a user. The envelope of the electronic hearing aid may, for example, accommodate a microphone, an amplifier circuit and a receiver. The microphone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of the hearing aid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passed to an amplifier circuit or other electronic hearing aid elements. The devices send a signal back to the handset and the handset generates the corresponding voice.

많은 전자 보청기에서, 음성은 수화기의 출구로부터 보청기내의 음성로를 통과하고 보청기 외피의 출구를 통해서 보청기 밖으로 이동한다. 외피 출구로부터의 음성은 그후에 사용자의 이도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고막을 진동시킨다.In many electronic hearing aids, voice passes from the exit of the handset through the voice path in the hearing aid and out of the hearing aid through the exit of the hearing aid envelope. The voice from the sheath outlet then passes through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vibrates the user's eardrum.

대부분의 보청기 사용자들의 귀는 본래 귀에지 불리는 물질을 분비한다. 귀에지에지는 귀에 내부 구조를 청결하게하는 반면에 보청기의 음성로 및 수화기내로 흘러들어가는 경향도 있다. 귀에지가 수화기로 들어가면 수화기의 적절한 작동을 간섭 방해한다.The ears of most hearing aid users secrete substances called intrinsic ear. Ear edges tend to flow into the hearing aid's voice and into the receiver, whil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ar is clean. If the ear edge enters the receiver, it interferes with the proper operation of the receiver.

미용용의 소형 "삽입" 보청기 및 "이도" 보청기(통상 사용자의 귀 내부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삽입)가 최근에 개발됐다. 그러나, 그러한 보청기에서는 소자에 할당되는 보청기의 내부 체적이 감소된다. 이는, 예컨대 사용자 귀의 내부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 특히 그렇다.Cosmetic small "insertion" hearing aids and "ear canal" hearing aids (usually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ser's ear)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However, in such hearing aids, the internal volume of the hearing aid assigned to the device is reduced.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for example, when the interior of the user's ear is relatively small.

또한, 보청기 제조 관련 기술은 종종 플라스틱으로 외피를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외피는 귀의 내표면의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외피의 두께는 외피가 집적된 구조를 유지하고 보청기의 내부 소자들을 보호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외피의 벽 두께는 소자에 할당되는 보청기 내부 체적을 감소 시킨다. 소자들에 할당되는 보청기내의 결과적으로 한정된 체적은 수화기가 사용자의 이도내에 가능한한 깊이 배치될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도내에 보청기를 그렇게 배치하면, 수화기 출구를 이도내의 귀에지 생성 조직을 포함하는 이도 환경 내에 더욱 근접시킨다.In addition, the art of hearing aid manufacturing often involves fabricating the shell from plastic. The outer shell is made in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ar. The thickness of the skin must meet the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the skin integrated structure and protec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hearing aid. However, the wall thickness of the shell reduces the volume of the hearing aid internals assigned to the device. The resulting limited volume in the hearing aid assigned to the elements requires the handset to be placed as deep as possible in the ear canal of the user. However, the placement of hearing aids within the ear canal further brings the earpiece exit closer to the ear canal environment, including the ear edge producing tissue in the ear canal.

그러므로, 삽입 및 이도 보청기들을 삽입함으로써 청각 장애자들이 호평할 정도로 보청기들을 개선시켰지만, 그러한 보청기들은 귀에지와 관련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당업자라면 귀에지의 이동이 곤란한 문제로 인식됐다는것을 이해할 것이다.Therefore, although hearing and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improved hearing aids by inserting and inserting ear canal hearing aids, such hearing aids have caused problems with ear edg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movement of ear edges has been perceived as a difficult problem.

보청기의 음성로 및 수화기로 귀에지가 이동함으로써 많은 수화기들이 막히는 고장 발생도가 실질적으로 증가한다. 수화기의 점진적인 막힘은 음향 이득(acoustic gain)의 감소 및 수화기의 출력 저하를 초래하여, 때때로, 증폭 음성의 출력을 허용하는 보청기의 완전한 고장을 야기시킨다.As the ear edges move into the voice path and the receiver of the hearing aid, there is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failure of many handsets. Gradual blockage of the handset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acoustic gain and a drop in the power of the handset, which sometimes results in a complete failure of the hearing aid to allow the output of amplified speech.

보청기 성능의 저하 또는 고장은 사용자에게는 성가신 것이다. 귀에지에의한 막힘이 발생하면, 수화기를 세척하거나 교체하기위하여 보청기를 완전히 분해 해야 한다. 물론, 수화기를 분해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 보청기를 써비스 쎈터에 보내는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든다.Degradation or failure of hearing aid performance is annoying for the user. If ear blockage occurs, the hearing aid must be completely disassembled to clean or replace the earpiece. Of course, sending the hearing aid to the service center to disassemble or replace the handset is inconvenient and expensive for the user.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여러 장치들은 보청기의 수화기내에 쌓이는 귀에지를 예방하는데 적절치 못하다. 몇몇 "차단구(barrier)" 고안물들은 수화기와 보청기의 외부 사이의 음성로에 미세한 그물막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러한 그물막 들은 수화기를 귀에지 이동으로부터 보호할만큼 충분히 작게 만든 경우에 그러한 그물막의 구멍들이 결국 귀에지에의해 막히게되는 단점을 지닌다. 그러나, 그물이 더욱 성기게 만들어지는 경우에 상기 그물은 귀에지가 그물 차단구를 가로질러 수화기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한다.Many devices currently on the market are not suitable for preventing ear accumulating in the hearing aid receiver. Some "barrier" designs use a fine mesh in the negative path between the handset and the outside of the hearing aid. However, such meshes have the disadvantage that if they are made small enough to protect the ear from movement of the ear edges, the holes in such mesh will eventually be blocked by the ear edge. However, if the net is made more coarse, the net does not effectively prevent ear edges from moving across the net block to the receiver.

귀에지가 수화기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장치들은 보청기의 외부와 수화기 사이에 작은 단면적의 단일 구멍을 제공한다. 다른 장치들은 보청기의 외부와 수화기 사이에 다공성 합성 재료 막을 배치한다. 그러한 고안물들은 귀에지 이동에 대한 장기간 차단을 달성함과 동시에 보청기 수명에 걸쳐 귀에지의 막힘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단점을 지닌다.Other devices that prevent ear edges from moving into the handset provide a single hole of small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exterior of the hearing aid and the handset. Other devices place a membrane of porous synthetic material between the exterior of the hearing aid and the earpiece. Such designs have the same disadvantage in achieving long-term blockage of ear edge movemen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blockage of ear edges over the life of a hearing aid.

그러므로, 그러한 다공성 차단구들은 한편으로는, 그 차단구 자체의 귀에지에 의한 막힘에대한 저항과 다른 한편으로는, 수화기내로의 귀에지의 이동 사이의 불만스러운 평균을 취한다. 작은 구멍을 지니는 차단구는 귀에지 이동을 막을수는 있지만 역시 막히게 된다. 큰 구멍은 막히지는 않지만 귀에지를 막는데 효과 적이지 않다.Therefore, such porous barriers take a disgruntled average between the resistance to clogging by the ear edges of the barrier itself, on the one hand, and the movement of the ear edges into the receiver, on the other hand. Blocks with small holes can block ear movement, but will also block. Large holes aren't blocked, but they're not effective at blocking ear edges.

게다가, 보청기의 출구와 수화기 사이의 통로에 배치된 작은 구멍을 지니는 차단구들은 상술된 음향 임피던스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승된 임피던스는 수화기에의해 공급된 출력 음압 레벨의 주파수 응답에 있어서 바람직스럽지 못한 변화를 초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mall openings in the passage between the outlet of the hearing aid and the receiver can cause the acoustic impedance described above. Elevated impedance can cause undesirable changes in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output sound pressure level supplied by the handset.

[발명의 요약][Summary of invention]

본 발명의 주제는 보청기용 귀에지 차단구이다. 예시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히 전자 보청기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귀에지 차단구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다른 귀관련 장치 및 음향 공진기, 음향 보청기에도 유용함을 이해할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 edge block for hearing aids. For illustrative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particular for use with electronic hearing aids.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ful for other ear-related devices, acoustic resonators, and acoustic hearing aids that can benefit from ear edge blockers.

보청기는 외피 및 외피내의 수화기를 포함한다. 외피와 수화기 모두 음향 출구를 지닌다. 차단구는 다수의 돌기들을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외피와 수화기의 음향 출구들을 상호 연결시킨다. 하우징은 내표면 및 하우징 양단부 사이의 통로의 중심축을 한정한다. 돌기들은 서로에대해 변위될 수 있다. 돌기들은 하우징의 내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돌기는 하우징 내부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막는다. 결국, 돌기들은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체 또는 반고체 귀에지용의 구불구불한 통로를 제공한다.Hearing aids include an envelope and an earpiece within the envelope. Both the jacket and the receiver have an acoustic outlet. The block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housing interconnects the sheath and the acoustic outlets of the receiver. The housing defines a central axis of the passageway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housing ends. The protrusions can be displaced relative to one another. The protrusions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Each protrusion partially blocks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projections, in turn, provide a meandering passageway for solid or semisolid ear edges that move axially alo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기용의 개량된 귀에지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귀에지가 들러붙는것을 효과적으로 막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한 목적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귀에지의 이동을 더욱 실질적으로 막음으로써 보청기 수화기의 막힘을 방지하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역시 다른 한 목적은 보청기의 음향 출구와 수화기 사이에 배치된 경우에 수화기에 더 적은 음향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ear edge block for hearing aid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ing device that effectively prevents the sticking of the ear edge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arrier that prevents clogging of the hearing aid earpiece by more substantially preventing the movement of naturally occurring ear edges. Ye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lock that provides less acoustic impedance to the receiver when placed between the acoustic outlet of the hearing aid and the receiver.

다른 한 목적은 귀에지를 수집하고 보청기의 수명에 걸쳐 자주 세척되거나 교체될 필요가 없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 목적은 제조 및 유지비가 저렴하여 소비자를 위해 보청기 가격을 인하시키는 차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arrier that collects ear edges and does not need to be frequently cleaned or replaced over the life of the hearing aid.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block for lowering the cost of hearing aids for the consumer due to low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제2 내지 제10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삽입" 또는 "이도"형 보청기(22)용의 개량된 귀에지 차단구(20)로서 도시되어 있다. 소위 "관행적"즉 일반적 보청기들은 귀의 바울(bowl) 또는 이도 자체내에 착용 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보청기의 개발전에는 보청기들이 귀의 후방 또는 다른 부위에 착용하도록 고안됐다.2-10,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n improved ear edge block 20 for a "insertion" or "ear canal" hearing aid 22. So-called "traditional" or general hearing aids are designed to be worn in the ear or ear canal itself. However, prior to the development of such hearing aids, they were designed to be worn on the back or other areas of the ear.

종래의 후방에 착용하는 보청기(24)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청기(24)는 그 소자들을 수용할 플라스틱 케이스(26)를 포함했다. 대표적인 소자들은 마이크로폰(28), 증폭회로(도시안됨), 수화기(30), 플라스틱 튜브(32) 및 귀 몰드(34)를 포함했다.A conventional rear worn hearing aid 24 is shown in FIG. Hearing aid 24 included a plastic case 26 to receive the elements. Representative devices included a microphone 28, an amplification circuit (not shown), a receiver 30, a plastic tube 32, and an ear mold 34.

마이크로폰은 귀의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를 받아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전기 신호는 그후에 수화기(30)로 전달된다.The microphone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of the ear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electrical signal is then transmitted to the handset 30.

수화기(30)는 관(32)에 상호 연결된 음향 출구(36)를 포함했다. 수화기(30)는 보청기(24)내의 전기 소자들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출구(36)를 통해 음성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음성 신호는 그후에 관을 통해서 귀 몰드(34)및 사용자의 귀 내부로 전달된다.The receiver 30 included an acoustic outlet 36 interconnected to the tube 32. The handset 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electrical elements in the hearing aid 24 and sends a voice signal through the outlet 36. This voice signal is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canal into the ear mold 34 and into the user's ear.

제1도에 도시된 선행 기술의 실시예에서, 수화기(30)의 음향 출구(36)는 관(32)에의해 귀의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격리됐다. 따라서, 고체 또는 반고체의 귀에지 물질이 수화기(30)내로 이동하는것은 관의 물리적 길이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acoustic outlet 36 of the receiver 30 is physically isolated from the environment of the ear by the tube 32. Thus, the migration of solid or semisolid ear edge material into the receiver 30 is negligible due to the physical length of the tube.

그러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전자 소자들의 사이즈가 감소됨에 따라 미용상 더욱 매력적인 보청기들을 만들 수 있었다. 그러한 보청기들은 귀 내부, 즉, 사용자의 이도에 삽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보청기(22)를 보라.However, as the size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1970s and 1980s decreased, they could make hearing aids more cosmetically attractive. Such hearing aids are inserted inside the ear, ie in the ear canal of the user. See hearing aid 22 shown in FIG.

제1도에 도시된 보청기(24)처럼, 보청기(22)도 마이크로폰(42), 증폭회로(도시안됨) 및 수화기(44)를 수용할 수 있는 외피(40)를 지닌다. 외피(40) 및 수화기(44) 각각은 음향 출구(46, 48)를 지닌다. 외피(40) 및 수화기(44)의 출구(46, 48)는 보청기 음성로(50)에의해 상호 연결된다. 차단구(20)는 음성로(50)내에서 두개의 음향 출구(46, 48)사이에 배치된다.Like the hearing aid 24 shown in FIG. 1, the hearing aid 22 has a sheath 40 capable of receiving a microphone 42, an amplification circuit (not shown) and a receiver 44. Each of the envelope 40 and the receiver 44 has acoustic outlets 46 and 48. The sheaths 40 and the outlets 46 and 48 of the receiver 44 are interconnected by a hearing aid voice path 50. The shut-off opening 2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acoustic outlets 46 and 48 in the voice passage 50.

또한, 마이크로폰(42)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전송한다. 전기 신호는 다시 수화기(44)로 보내지며, 수화기는 그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후에, 음성 신호는 수화기(44)의 음향 출구(48), 보청기(22)의 음성로(50)를 통해서 보청기(22)의 외피(40)내의 음향 출구(46)로 전달된다. 음성은 보청기(22)의 외피를 떠난후에 사용자의 이도(52)에서 귀청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icrophone 42 also receives a voice signal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electrical signal is sent back to the handset 44, which converts the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e voice signal is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acoustic outlet 48 of the earpiece 44 and the acoustic outlet 50 of the hearing aid 22 to the acoustic outlet 46 in the envelope 40 of the hearing aid 22. The voice may move from the ear canal 52 of the user to the ear after leaving the envelope of the hearing aid 22.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화기 출구(48)는 귀에지 생성 조직이 들어 있는 이도(52)에 근접해 있다. 따라서, 귀에지는 종종 외피(40)내의 출구(46)를 통해서 음성로(5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출구(48) 및 수화기(44) 자체내로 이동한다. 이는 수화기(44) 또는 외피 출구(46)를 막고 음향이득 및 출력을 감소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보청기(22)를 완전히 고장나게하여 음성을 증폭 또는 변경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earpiece outlet 48 is proximal to the ear canal 52 containing ear edge producing tissue. Thus, the ear edge often passes through the negative path 50 through the exit 46 in the sheath 40 and moves upwardly into the exit 48 and the receiver 44 itself. This blocks the receiver 44 or sheath outlet 46 and reduces sound gain and output and, in some cases, causes the hearing aid 22 to fail completely to amplify or alter vo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귀에지 차단구(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청기 외피(40)의 음향 출구(46)와 수화기(44)사이에 연결되어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수화기(44)의 음향 출구(48)는 거의 원통형이다. 그러므로, 차단구(20) 자체는 실제로 원통형으로 외피 출구(46)에 가지런히 삽입되어 있다. 제3도를 보라.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구(20)는 대부분의 어떤 다른 단면 형상을 지닐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차단구(20)는 보청기(22)의 일부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차단구(20)는 외피(40)의 일부로서 또는 수화기(44)의 일부로서 조립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 edge block 20 is connected between the acoustic outlet 46 and the receiver 44 of the hearing aid envelope 40 as shown in FIG.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the acoustic outlet 48 of the receiver 44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Therefore, the barrier 20 itself is actually cylindrical and is neatly inserted into the sheath outlet 46. See Figure 3. Of course, in other embodiments the block 20 can have most other cross-sectional shapes. Thus, for example, the block 20 may be manufactured as part of the hearing aid 22. That is, the block 20 may be assembled as part of the sheath 40 or as part of the earpiece 44.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귀에지 차단구(20)의 한 실시예는 하우징(54) 및 제1, 제2, 제3 및 제4돌기(56, 58, 60, 62)를 포함한다. 물론, 더 많거나 더 적은 갯수의 돌기들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one embodiment of the ear edge block 20 includes a housing 54 an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56, 58, 60, 62. Of course, more or fewer projections can be used.

이 실시예의 하우징(54)은 제1 및 제2단부(66, 68)로 벽(64)을 한정하고 여러 종류의 재료로 형성된 실제로 원통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하우징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사이클락(Cycolac)" 및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포함한다.The housing 54 of this embodiment defines a wall 64 with first and second ends 66, 68 and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formed from various types of materials. In a preferred embodiment,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s are used.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make the housing include "Cycolac" and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s.

본 발명의 한 특정 실시예의 치수가 후술된다. 물론, 변형예도 가능하며 그 치수들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말아야 한다.The dimensions of on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Of course, variations are also possible and should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 its dimensions.

하우징(54)은 제1 및 제2단부(66, 68)사이의 길이가 약 0.35인치이고 내경이 약 0.11인치이며 벽 두께가 약 0.01인치이고 하우징(54)은 또한 내부 챔버(70)와 내표면(72)을 한정한다. 또한, 하우징(54)은 제1 및 제2단부들 사이의 통로(74)의 중심축을 한정한다.The housing 54 is about 0.35 inches in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66 and 68, an inner diameter of about 0.11 inches, a wall thickness of about 0.01 inches, and the housing 54 also includes an inner chamber 70 and an inner chamber. Define surface 72. The housing 54 also defines a central axis of the passage 7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s.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심축(74)은 하우징(54)의 내표면의 모든 지점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거친 원통형 하우징(54)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단부(66)는 수화기 출구(48)에 가지런히 삽입된다. 보청기(22)에 사용시에, 수화기(44)로부터 원격한 제2단부(68)는 보청기 외피(40)의 음향 출구(46) 및 사용자 귀의 내부를 향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central axis 74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ough cylindrical housing 54 equidistant from all point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4. The first end 66 is neatly inserted into the receiver outlet 48. In use with the hearing aid 22, the second end 68 remote from the earpiece 44 faces the acoustic exit 46 of the hearing aid envelope 40 and the interior of the user's ear.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돌기(56-62) 각각은 다른것과 실제로 유사하다(물론, 차단구는 또한 다수의 다른 형상 돌기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돌기(56)에 대해서만 예시적 목적으로 후술된다.As shown, each of the four protrusions 56-62 is actually similar to the other (of course, the barrier may also use a number of other shaped protrusions). Only the first protrusion 56 is described below for illustrative purposes.

돌기(56)는 하우징(54)의 내표면(72)에 부착되어 하우징(54)의 중심 축(74)을 향해서 내측으로 돌출된다. 돌기(56)는 내부 하우징 챔버(70) 또는 중앙 음향 통로를 부분적으로 막는다.The protrusion 56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72 of the housing 54 and protrudes inward toward the central axis 74 of the housing 54. The protrusion 56 partially obstructs the inner housing chamber 70 or the central acoustic passagewa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56)는 하우징(54)처럼 사출 성형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물론, 변형예에서, 돌기(56)는 귀에지가 잘 부착되지않는 피복물로 덮힐 수 있다. 그러한 피복물은, 예컨대, "테트론(Teflon)" 및 "테프젤"을 포함한다. 그러한 피복물은 하우징 또는 돌기에 귀에지가 쌓인후에 쉽게 세척할 수 있게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rusion 56 is formed of a thermoplastic that can be injection molded like the housing 54. Of course, in a variant, the projections 56 may be covered with a coating that does not adhere well to the ear edges. Such coatings include, for example, "Teflon" and "Tefgel". Such coatings allow for easy cleaning after ear edges build up in the housing or protrusions.

하우징(54)이 원통형이면, 돌기(56)는 일부가 원형인 외주를 형성한다.If the housing 54 is cylindrical, the protrusions 56 form an outer circumference which is partially circular.

또한, 돌기(56)는 원반으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돌기 형상을 포함하지만, 제4도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쐐기형 갭(78)을 지니는 원반을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56)는 약 0.11인치의 최대 외경을 지니므로 하우징(54)의 내표면에 꼭 맞게 삽입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56 may be described as a disc. Although including a number of protrusion shap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 4 includes a disc having a wedge-shaped gap 78.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rusion 56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0.11 inch and therefore fits snugly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54.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56)는 하우징(54)의 내표면(72)에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같은 강력 접착제로 부착한다. 그러나, 변형예에서 돌기(56)는 하우징(54)의 일부로 성형되거나, 하우징(54)의 내부 챔버(70)에 단순히 압입하거나 그렇지않으면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rusion 56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72 of the housing 54.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attached with a strong adhesive such as cyanoacrylate ester. In a variant, however, the protrusion 56 may be molded into part of the housing 54, or simply press-fit into the inner chamber 70 of the housing 54 or otherwise attached to the housing.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우징(54)은 원형 단면의 내부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원형 내부의 일부는 돌기(56)에 의해 막힌다. 제4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56)는 쐐기 형상부(78)가 제거된 원반 형상이다. "제거된"부분을 예시를 위하여 "쐐기"(78)로 기술한다. 물론 대표적으로는 곧은 측부만을 지니지만, 본 발명의 개방 영역을 한정하는 쐐기(78)는 제4도에 도시된 둥근 돌기(56)로부터 제거된 하나의 둥근 측부를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 될 것이다.The housing 54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ms an inner region of circ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a part of the inside of the circle is blocked by the protrusion 56.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projection 56 is disc shaped with the wedge portion 78 removed. The "removed" part is described as "wedge" 78 for illustration. Of cours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wedges 78 defining the open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ypically representative of only straight sides, may include one rounded side removed from the rounded protrusion 56 shown in FIG. .

다른 용어를 사용하면, 돌기(56)는 "2700원부분"으로 기술될 수 있다. 하우징(54)의 중심 축(74)은 원의 중심을 한정한다. 또한, 돌기(56)로부터의 갭은 90°원부분으로 기술될 수 있다.Using other terms, the projections 56 may be described as "2700 circular portions". The central axis 74 of the housing 54 defines the center of the circle. In addition, the gap from the projection 56 may be described as a 90 ° circle.

돌기(56)의 개방 쐐기(78)는 하우징(54)의 단면 영역에 개방 영역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하우징을 통해서 축(74)에 평행하게 제1단부(66)로부터 제2단부(68)를 향해서 보면, 하우징(54)의 내부는 원형이다. 돌기(56)는 쐐기(78)를 제외하고는 하우징(54)의 내부(76)를 막는다. 제1돌기(56) 자체는 제1봉쇄 영역을 형성하고 쐐기(78)는 하우징(54)의 단면 영역내에 제1의 개방 영역을 한정하는데 그들은 축(74)에 수직이다.The open wedge 78 of the projection 56 defines an open area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54. Therefore, looking from the first end 66 to the second end 68 parallel to the axis 74 through the hous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54 is circular. The protrusion 56 blocks the interior 76 of the housing 54 except for the wedge 78. The first protrusion 56 itself forms a first containment region and the wedge 78 defines a first open region in the cross-sectional region of the housing 54,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74.

음성이 수화기(44)로부터 보청기(22)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하우징(54)내의 이 개방 영역, 즉, 쐐기(78)를 통해서 이다. 그러나, 이 돌기(56)가 단일 차단구라면, 몇몇 상태하에서 귀에지가 개방 영역을 통과해서 흐를수 있다. 그러므로, 귀에지가 다시 통과하는것을 막는 최소한 하나의 추가적인 제2돌기(58)가 대개 제공된다.It is through this open area in housing 54, that is, wedge 78, that voice can move out of earpiece 44 out of hearing aid 22. However, if the protrusion 56 is a single block, ear edges may flow through the open area under some conditions. Therefore, at least one additional second projection 58 is usually provided which prevents the ear edge from passing agai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돌기(58)는 제1돌기(56)로부터 약 0.02인치 이격 배치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들은 그들이 전체 음향 응답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않으며 예상된 귀에지 축적 양이 돌기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을만큼 충분히 이격배치되야만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귀에지 차단구(20)의 가장 바람직한 성능을 위해서는 돌기 사이의 간격이 0.005인치 내지 0.04인치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projection 58 is disposed about 0.02 inches away from the first projection 56. 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e projections have found that they do not substantially affect the overall acoustic response and should be spaced far enough so that the expected amount of ear edge accumulation is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ions. Therefore, for the most desirable performance of the ear edge block 20, the spacing between the projections may be 0.005 inches to 0.04 inches.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들(56-62)은 하우징(54)내에 서로 맞물리게 삽입되는데, 즉, 돌기들은 중심 축(74)에 대해 공간적 각도적으로 변위되어 있다. 돌기들은, 예켠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반투과성 재료같은 여러종류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돌기들은 서로 반경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the projections 56-62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54 in engagement with one another, ie the projections are spatially angular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74. The protrusions can be made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for example, thermoplastics or semipermeable materials. Of course, the protrusions can be displaced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from each other.

제2돌기(58)는 제2쐐기(80)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1돌기(56)와 유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쐐기가 제1쐐기(78)와 같은 형상이지만, 제2쐐기(80)가 다른 쐐기와 그 치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돌기(58)와 제2쐐기(80)도 하우징내에서 축(74)과 수직인 봉쇄 영역과 개방 영역을 형성한다. 제2돌기(58)의 개방 영역은 제1의 봉쇄 영역과 중첩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귀에지에 대해 구불구불한 통로가 제공되는바, 그렇지않으면 귀에지가 제1단부(66)로부터 제2단부(68)까지 이동한다.The second protrusion 58 is similar to the first protrusion 56 in that it forms the second wedge 80. Although the second wedg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wedge 78,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econd wedge 80 may b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from other wedges. The second protrusion 58 and the second wedge 80 also form a containment area and an open area perpendicular to the axis 74 in the housing. The open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58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containment area. Therefore, a serpentine passage is provided for the ear edge, otherwise the ear edge moves from the first end 66 to the second end 68.

제4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쐐기들(78, 80)은 약 90°이다, 제2돌기(58)는 형상에 있어서 제1돌기(56)와 유사하지만, 제1돌기(56)의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4돌기(62)는 제3돌기(60)의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90°회전됐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wedges 78 and 80 are about 90 °. The second projection 58 is similar in shape to the first projection 56, but the first projection 56 It i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position of. Finally, the fourth protrusion 62 i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position of the third protrusion 60.

제4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기의 개방 영역은 세개의 다른 돌기들의 봉쇄 부분들에 의해 더욱 봉쇄된다. 그로므로, 서로 맞물리게 삽입된 돌기들은 귀에지 이동을 완전히 봉쇄하는 음향 통로(70)을 형성한다. 즉, 내표면(72)를 따라서 하우징(54)을 통과하는 모든 이동 라인은 돌기들에 의해 막힌다. 그러한 구조에의해 구불구불한 귀에지 통로가 제공되어 음성로(50)로 부터 수화기(44)로 이동할 수 있는 귀에지의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동시에 수화기(44)에 실질적으로 음향 임피던스를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open area of each projection is further blocked by the containment portions of three different projections. Therefore, the protrusion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form an acoustic passage 70 which completely blocks ear edge movement. That is, all moving lines passing through the housing 54 along the inner surface 72 are blocked by projections. Such a structure provides a tortuous ear edge passageway that substantially reduces the amount of ear edge that can move from the voice path 50 to the handset 44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substantially no acoustic impedance to the handset 44. Found that.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차단구(82)는 하우징(84) 및 다수의 돌기들을 지닌다. 차단구(82)는 제1, 제2, 제3 및 제4 돌기들(86, 88, 90, 92)을 포함한다. 하우징(84)의 구조는 제4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또한, 돌기들(86-92)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제로 두께가 같고 이격거리가 같다. 그러나, 각각의 돌기는 270°원이라기 보다는 180°원(반원)이다.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Block 82 has a housing 84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Block 82 include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86, 88, 90, 92.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84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Further, the projections 86-92 are actually the same thickness and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However, each projection is 180 degrees (semicircle) rather than 270 degrees.

제1돌기(86)는 제1봉쇄 영역 및 제1개방 영역을 한정한다. 제2돌기(88)는 회전되어 제2돌기의 봉쇄 영역이 제1돌기(86)의 개방 영역을 봉쇄한다. 제3돌기(90)는 제2돌기(88)의 개방 영역을 봉쇄한다. 마찬가지로, 제4돌기(92)가 제3돌기(90)의 개방 영역을 봉쇄한다.The first projection 86 defines a first containment region and a first open region. The second protrusion 88 is rotated so that the blocking region of the second protrusion blocks the open region of the first protrusion 86. The third protrusion 90 blocks the open area of the second protrusion 88. Similarly, the fourth protrusion 92 blocks the open area of the third protrusion 90.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80°반원 돌기들(86-92)의 배치는 귀에지가 하우징(84)을 직접 통과해서 흐르는것을 방지한다. 귀에지(94)의 실질적인 축적은 보청기(22)의 수명중에 제1돌기상에서 예상될 수 있다. 제2돌기(88)는 하우징(84)에 약간 더 깊게 배치되기 때문에 더 적은 양의 귀에지(96)를 수집 축적한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의 돌기(90)는 귀에지 이동 통로가 제1 및 제2돌기들(86, 88)에의해 봉쇄됐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더욱 적은 양이 수집된다. 제4돌기(92)는 귀에지가 앞서 세돌기들(86-90)에의해 봉쇄됐기 때문에 귀에지가 거의 축적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6, the placement of 180 ° semicircular protrusions 86-92 prevents ear edges from flowing directly through the housing 84. As shown in FIG. Substantial accumulation of ear edge 94 may be expected on the first protrusion during the life of the hearing aid 22.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econd protrusion 88 collects and accumulates a smaller amount of ear edge 96 because it is disposed slightly deeper in the housing 84. However, the third protrusion 90 collects substantially less because the ear edge movement passage is blocked by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86 and 88. The fourth protrusion 92 hardly accumulates ear edges because the ear edges were previously blocked by the three protrusions 86-90.

제7도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구(100)는 하우징 및 다수의 돌기들(104, 106, 108, 110)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4-6도의 것과 실제로 유사하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 100 includes a housing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4, 106, 108, 110). The housing is actually similar to that of FIGS. 4-6.

4개의 돌기들(104-110)각각은 중심 축(128)에의해 한정된 중점(120, 122, 124, 126)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24개의 스포크(112, 114, 116, 118 ; spoke)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포크는 직경이 0.01인치이다. 물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들(104-110)도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2돌기(106)는 제1돌기(104)의 위치로부터 몇도만큼 효과적으로 회전되어 있다. 다시, 제3돌기(108)는 제2돌기(106)의 위치로부터 약간 회전됐으며, 제4돌기(110)는 제3돌기(108)의 위치로부터 약간 회전됐다.Each of the four protrusions 104-110 spokes a series of 24 spokes 112, 114, 116, 118 extending radially from the midpoints 120, 122, 124, 126 defined by the central axis 128. It consists of. Each spoke is 0.01 inch in diameter. Of cours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otrusions 104-110 may also be made of plastic and the second protrusion 106 is effectively rotated several degrees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04. Again, the third protrusion 108 is rotated slightly from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06, and the fourth protrusion 110 is rotated slightly from the position of the third protrusion 108.

제8도에는 다른 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그 실시예에서, 차단구(130)는 하우징(132) 및 제1, 제2, 제3, 제4 및 제5돌기(134, 136, 138, 140, 142)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기(134-142)는 원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2돌기(136)는 제1돌기(134)위치로부터 회전됐다. 제3, 제4 및 제5돌기들(138-142)은 각각의 앞의 돌기들의 위치로부터 유사하게 회전되어 있다. 하우징을 제8도에 도시된 축(144)방향으로 보면, 하우징의 전체 내부 단면은 돌기들(134-142)에의해 봉쇄된다.Another variant is shown in FIG. 8, in which embodiment the block 130 is provided with a housing 132 and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protrusions 134, 136, 138. , 140, 142). Each protrusion 134-142 includes a portion of a circle. The second protrusion 136 is rotated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34. The third, fourth and fifth protrusions 138-142 are similarly rotated from the position of each preceding protrusion. When the housing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144 shown in FIG. 8, the entire inner cross section of the housing is blocked by the protrusions 134-142.

다수의 돌기들(134-142)는 제4-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돌기들과 거의 같은 두께를 지니고 축(144)을 따라서 마찬가지로 변위된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34-142 are similarly displaced along the axis 144 with a thickn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trusions described above for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7.

그러나 4개 아닌 5개의 돌기가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132)은 제4도에 도시된 하우징(54)보다 약 0.02인치 더 길다.But there are five but not four projections. Therefore, housing 132 is about 0.02 inches longer than housing 54 shown in FIG.

제9도에는 다른 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차단구(146)가 하우징(148) 및 다수의 돌기(150-156)를 지니고, 각각의 돌기는 약 180°의 원이다. 그러나 각각의 돌기는 앞의 돌기로부터 180°라기 보다는 약 90°회전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돌기(152)는 제1돌기(150)의 위치로부터 약 90°회전됐고 제3 및 제4돌기들(154, 156)도 마찬가지다.Another variant is shown in FIG. 9,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blocking opening 146 has a housing 148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0-156, each protrusion being approximately It is a circle of 180 °. However, each projection is rotated about 90 ° rather than 180 ° from the preceding projection. Therefore, the second protrusion 152 is rotated about 90 degrees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50, and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154 and 156 are also the same.

제10도에는 또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160-166)는 약 90°원 부분을 포함한다. 제2돌기(162)는 제1돌기(160)의 위치로부터 약 90°회전됐고, 제3돌기(164)는 제2돌기(162)의 위치로부터 약 90°회전됐으며, 제4돌기(166)는 제3돌기(164)로부터 약 90°회전됐다.Also shown in FIG. 10 is a preferred embodiment. Each protrusion 160-166 includes about 90 ° circle portions. The second protrusion 162 is rotated about 90 °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60, the third protrusion 164 is rotated about 90 ° from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62, and the fourth protrusion 166 is rotated. Rotated about 90 ° from the third projection 164.

제11-15도에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가 보청기(202)용의 귀에지 차단구(200)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보청기(202)는 이도(도시안됨)내에 삽입되는데 적합하고 음향 출구(206)를 한정하는 외피(204)를 포함한다. 보청기(202)는 또한 수화기 출구(210)를 지니는 수화기(208)를 포함한다.11-15,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n ear edge block 200 for hearing aid 202. As best shown in FIG. 13, the hearing aid 202 includes an envelope 204 that i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the ear canal (not shown) and defines an acoustic outlet 206. Hearing aid 202 also includes a handset 208 having a handset outlet 210.

이 실시예에서, 수화기(208)는 탄성 중합체 충진물(212)에 의해 외피(204)내에 고착된다. 즉, 수화기(208)는 외피(204)에대해 위치 고정되고 그 후에 충진물(212)에 삽입된다. 일단 충진물(212)이 경화되면, 수화기(208)가 유연한 충격 흡수 충진물(212)에 의해 고착은 물론 보호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arpiece 208 is secured within the shell 204 by the elastomeric fill 212. That is, the earpiece 208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shell 204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ll 212. Once the fill 212 is cured, the earpiece 208 is secured as well as secured by the flexible shock absorbing fill 212.

외피(204)는 음향 출구(206)를 외피(204)의 내측 챔버(216)를 상호 연결시키는 암나사 구멍(214)를 포함한다. 이 구멍(214)은 귀에지 차단구(200)를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04)는 탄성 중합체 충진물(212)이 수화기 출구(210)에 바로 인접한 실제로 원통형인 통로(218) 및 구멍(214)에 바로 인접해서 구멍(214)을 내부 챔버(216)로 연장하는 암나사 공동부(220)를 형성한다.The sheath 204 includes a female threaded hole 214 that interconnects the acoustic outlet 206 with the inner chamber 216 of the sheath 204. This hole 214 is adapted to receive the ear edge block 200. As best shown in FIG. 13, the sheath 204 has a hole 214 directly adjacent to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passageway 218 and the hole 214 where the elastomeric filler 212 is directly adjacent to the receiver outlet 210. ) To form the internal thread cavity 220 extending to the inner chamber 216.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귀에지 차단구(200)는 ABS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된 집적된 부품이다. 차단구(200)는 차단구 입구(226)와 차단구 출구(228) 사이의 중앙 음향 통로(224)를 형성하는바, 칼라 부분이 출구(228)를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칼라 부분(232)의 외경은 수나사 부분(230)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ear edge block 200 is an integrated component molded from a thermoplastic material such as ABS. Block 200 defines a central acoustic passageway 224 between block inlet 226 and block outlet 228, with a collar portion defining outlet 228. As shown, the outer diameter of collar portion 232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male thread portion 230.

하우징(222)은 충진물(212)이 팽창됨에 따라 외피(204)의 암나사 구멍(214)에 수용되는데 적합하다. 그 구멍에 고착된 하우징(222)의 중심축(234)또는 특히, 중앙 음향 통로(224)는 수화기 출구(210)와 실제로 정렬된다. 차단구 입구(226)는 통로(218)와 정렬되어 약간 중첩하기 때문에 수화기(208)에 의해 발생된 음성 신호들이 차단구(200)에 수신되어 중앙 음향 통로(224)를 통과한다. 즉, 통로는 보청기(220)의 출구로 수화기(208)를 음향 연결시킨다.The housing 222 is adapted to be received in the female threaded hole 214 of the shell 204 as the fill 212 is expanded. The central axis 234 of the housing 222, or in particular, the central acoustic passage 224, which is fixed in the hole, is actually aligned with the receiver outlet 210. Since the blocking inlet 226 is aligned and slightly overlapped with the passage 218, voice signals generated by the handset 208 are received at the blocking 200 and pass through the central acoustic passage 224. That is, the passage acoustically connects the receiver 208 to the exit of the hearing aid 220.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222)의 칼라 부분(232)은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여 실제로 원통형인 차단구 출구(228)로 부터 연장되는 슬로트(236A, 236B)를 포함한다. 슬로트(236A, 236B)은 드라이버(도시안됨) 형상부를 지니는 기구로 귀에지 차단구(200)를 회전시키는 키이 수단(238)을 형성한다. 키이 수단(238)을 사용하여, 귀에지 차단구(200)는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외피(204)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collar portion 232 of the housing 222 includes slots 236A, 236B facing radially and extending from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barrier outlet 228. The slots 236A, 236B are mechanisms having a driver (not shown) shape to form the key means 238 for rotating the ear edge block 200. Using the key means 238, the ear edge block 20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hell 204 for cleaning or replacement.

귀에지 차단구(200), 특히 하우징(222)의 수나사 부분(230)은 접근 구멍(240)을 포함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접근 구멍(240)은 실제로 장방향이며 수나사 부분(230)내에 중앙 배치된다. 접근 구멍(240)은 점검 및 세척을 위해 통로(224)에 직접 접근하는것을 허용한다.Ear-edge block 200, in particular male portion 230 of housing 222, includes access hole 240. As best shown in FIGS. 11 and 12, the access hole 240 is actually longitudinal and centered within the male screw portion 230. Access hole 240 allows direct access to passage 224 for inspection and cleaning.

이제 12도 및 제14도에 대해 언급하면, 귀에지 차단구(200)는 또한 통로(224) 내로 돌출되는 최소한 두개의 반원형 돌기들(242A, 242B)를 포함한다.Referring now to FIGS. 12 and 14, earedge blocker 200 also includes at least two semi-circular protrusions 242A, 242B that protrude into passage 224.

돌기들(242A, 242B)은 서로 그리고 차단구 입구(226) 및 출구(228)로부터 등거리 이격되어있으며 중심축(234) 및 하우징(222)의 내벽 표면에 실제로 수직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들(242A, 242B)은 칼라 부분(232)의 중심선 "ML"을 약간 지나쳐 돌출되어 있어서(제1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 돌기들(242A, 242B)은 약간 중첩된다.The protrusions 242A, 242B are equidistant from each other and from the inlet 226 and the outlet 228 and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ral axis 234 and the housing 222.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the projections 242A, 242B protrude slightly beyond the centerline “ML” of the collar portion 232 (best shown in FIG. 14), such that the projections 242A, 242B Slightly overlapping

돌기들(242A, 242B)은 (본 실시예 및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귀에지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중앙 음향 통로(224)를 차단한다. 돌기들(242A, 242B)은 귀에지를 예정된 축적 장소(246A, 246B)에 축적하기 위하여 포획부(244)를 형성함으로써 보청기(202)의 성능 특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고 중앙 음향 통로(224)를 통한 유동을 저지한다. 제1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축적 장소(246A, 246B)는 연합하여 하우징(222)의 내벽면 둘레로 완전히 연장된다.The protrusions 242A, 242B block the central acoustic passageway 224 (in this and other preferred embodiments) such that movement of the ear edges is prevented. The protrusions 242A, 242B form the catch 244 to accumulate ear edges at the predetermined accumulation sites 246A, 246B, thereby opening the central acoustic passage 224 without substantially disturb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aid 202. To block the flow through. As best shown in FIG. 14, the accumulation sites 246A, 246B are fully extended arou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22.

귀에지 차단구(200)는 제15도에 도시된 5개 부분으로 형성된 금형(248)으로 성형된다. 금형(248)은 제1, 제2 및 제3의 삽입물(252A, 252B, 252C)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금형 절반부(250A, 250B)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세개의 삽입물(252A-C)은 상호 연합하여 중앙 음향 통로(224) 및 접근 구멍(240)을 형성한다.The ear edge block 200 is molded into a mold 248 formed of five parts shown in FIG. Mold 248 includes mold halves 250A and 250B suitable for receiving first, second and third inserts 252A, 252B and 252C. As shown, the three inserts 252A-C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entral sound passage 224 and an access hole 240.

제16 및 17도에서, 돌기들(242A, 242B) 대한 변형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간단히 단 하나의 돌기(242A)만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돌기(242A)는 원반부(254) 및 플랜지부(256)를 포함한다. 원반부(254)는 전술된 제12도-15도의 돌기(242A)와 동일하다. 원반부(254)는 경계 연부(258)를 한정한다.In FIGS. 16 and 17, the deformed shape for the protrusions 242A, 242B is shown. Only one protrusion 242A is described herein in brief. The protrusion 242A includes a disc portion 254 and a flange portion 256. Disc 254 is the same as protrusion 242A of FIGS. 12-15 described above. Disc 254 defines boundary edge 258.

플랜지부(256)는 경계 연부(258)로부터 원반부(254)에 실제로 수직으로 돌출된다. 플랜지부(256)는 수화기(208)로부터 외피(204)의 음향 출구(206)를 향해서 돌출된다. 플랜지부(256)는 차단구(200)를 통과하는 귀에지의 이동에 대한 또다른 임피던스를 형성하며 원반부(254)와 함께 포획부(244)를 형성한다.The flange portion 256 protrude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c portion 254 from the boundary edge 258. The flange portion 256 protrudes from the handset 208 toward the acoustic outlet 206 of the shell 204. The flange portion 256 forms another impedance for the movement of the ear edge passing through the blocker 200 and forms the capture portion 244 with the disc portion 254.

원반부(254)는 일련의 "함몰부(260)"를 포함하는바, 그 함몰부들은 추가적인 축적 장소를 제공함으로써 귀에지 이동을 더욱 저지한다. 필수적으로, 함몰부(260)는 또다른 진행이 발생되기전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채워져야하기 때문에 이동이 저지된다.Disc 254 includes a series of “dents 260”, which recesses further inhibit ear movement by providing additional sites of accumulation. Essentially, depression 260 is inhibited because it must be at least partially filled before another progression occurs.

제16도에 도시된 돌기(242A)는 추가된 장점을 제공한다. 원반부(254) 및 플랜지부(256)의 형상은 조정가능한 음향 감쇠 수단을 제공하며, 적절한 치수 결정으로, 귀에지 차단구(200)와 함께 전체 주파수 응답의 실제로 최적의 감쇠를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서, 플랜지부(256)는 "활동 힌지"에의해 원반부(254)에 연결된다. 플랜지부(256)의 배향은 가변적으로 제한된 음향 통로를 제공하여 귀에지 차단구(200)와 함께 소기의 음향 감쇠를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일단 적절히 위치 조정된 플랜지부(256)는 접착등의 수단에의해 하우징(222)의 내벽 표면에 고착된다.The projection 242A shown in FIG. 16 provides additional advantages. The shape of disc 254 and flange 256 provides adjustable sound attenuation means and, with proper dimensional determination, provides a true optimal attenuation of the overall frequency response with the ear edge stop 200. In one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256 is connected to the disc portion 254 by an "active hinge." The orientation of the flange portion 256 is adjusted to provide a variably limited acoustic passageway to provide the desired acoustic attenuation with the earedge blocker 200. The flange portion 256 once properly positioned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22 by means of adhesion or the like.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귀에지 차단구(200)는 또한 조정가능한 음향 배플(26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가능한 음향 배플(262) 또는 "가변 음향 감쇠기"는 중앙의 실제 원통형부(264) 및 한쌍의 날개부(266A, 266B)를 포함하는바, 그 날개부들은 중앙부(264)로부터 반대로 돌출된다. 각각의 날개부(266A, 266B)는 실제로 정방형이며 얇다. 조정가능한 배플(262)은 두개의 핀(268A, 268B)에 장착되는바, 그 핀들은 하우징(222)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중앙부(264)에의해 형성된 통로(270)에 결합된다. 조정가능한 배플(262)의 배향은 접착 또는 하우징(222)의 내벽 표면상에 핀(268A, 268B)둘레로 등이격된 정합 체결 탭(272) 및 조정가능한 배플(262)의 중앙부(264)의 단부 둘레로 등이격된 슬로트(274)에의해 고정될 수 있다. 조정 가능한 배플(262)은 날개부(266A, 266B)의 한 연부를 따라서 중앙에 배치된 조정 구멍(276)를 포함한다. 조정가능한 배플(262)과 돌기들(242A, 242B)사이의 개방 영역(278A, 278B)은 전체 음향 응답의 감쇠를 위한 한정된 통로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earedge blocker 200 may also include an adjustable acoustic baffle 262. The adjustable acoustic baffle 262 or " variable acoustic attenuator " includes a central actual cylindrical portion 264 and a pair of wings 266A and 266B, which wings protrude from the center 264 opposite. Each wing 266A, 266B is actually square and thin. The adjustable baffle 262 is mounted to two pins 268A, 268B, which pins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22 and engage the passage 270 formed by the central portion 264. The orientation of the adjustable baffle 262 may be such that the mating fastening tab 272 and the central portion 264 of the adjustable baffle 262 are equi-spaced around the adhesive or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22 around the pins 268A, 268B. It may be secured by slots 274 spaced about the end. Adjustable baffle 262 includes an adjustment hole 276 disposed centrally along one edge of vanes 266A and 266B. Open areas 278A, 278B between the adjustable baffle 262 and the projections 242A, 242B provide a limited passage for attenuation of the overall acoustic response.

전술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구불구불한 통로는 귀에지 이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에서는 귀에지 차단구(200)와 함께 전체 음향 감쇠를 조정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귀에지 차단구에의한 음향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도록 실질적인 개방 영역이 제공된다. 각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의 단면 영역은 하나 이상의 돌기들에의해 실질적으로 봉쇄된다.In each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 meandering passage is provided to effectively reduce ear edge movement. In addition, some embodiments inclu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overall acoustic attenuation with the ear edge block 200. Nevertheless, a substantial open area is provided to reduce the acoustic impedance by the ear cutoff. In each preferred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is substantially blocked by one or more protrusions.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귀에지 차단구(20)는 음성로(50)내에 배치되거나 그렇지않으면 보청기 외피(40)의 출구(46)와 수화기(44)의 출구(48)사이에 위치된다. 그렇게 위치시킴으로써 차단구(20)는 보청기(22)의 외부로부터 수화기(44)로 들어오는 귀에지를 봉쇄할 수 있다. 물론, 변형예로서, 귀에지 차단구(20)가 수화기(44)의 출구(48)에 또는 그 내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ar edge block 20 is disposed in the voice path 50 or otherwise located between the outlet 46 of the hearing aid envelope 40 and the outlet 48 of the receiver 44. By doing so, the block 20 can block ear edges entering the receiver 44 from the outside of the hearing aid 22. Of course, as a variant, the ear edge block 20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or within the outlet 48 of the earpiece 44.

본 발명의 여러가지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됐으나,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 된바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Whil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a) 음향 출구를 지니는 외피 및 (b) 그 외피내에 위치되어 수화기 출구를 지니는 수화기를 포함하는 보청기내로 귀에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귀에지 차단구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구 및 상기 수화기 출구를 연계시키며, 통과하는 중심축 및 내벽 표면을 한정하는 음향 통로, 및 상기 내벽 표면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공간적 각도적으로 변위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 및 상기 내벽 표면에 수직이며, 상기 축을 따라 중첩되어, 상기 통로중 최소한 일부가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통로를 따라 봉쇄되고, 상기 내벽 표면과 상호 연합하여 귀에지의 구불구불한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a) an envelope having an acoustic outlet and (b) an ear edge barrier to prevent entry of the ear edge into a hearing aid comprising a receiver located within the envelope and having a receiver exit, the ear outlet intercepting the acoustic outlet and the receiver outlet, An acoustic passage defining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and an inner wall surface, and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nto the acoustic passage, being spatially angular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and the inner wall surface, An ear blocker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superimposed along the axis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ageway is sealed along a passage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nd associat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to form a tortuous movement passage of the ear edg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돌기들 사이에 접근 구멍을 지니며, 상기 접근 구멍은 상기 원통형 중앙 음향 통로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귀에지 차단구.The earedge blocker of claim 1, wherein the housing has an access hole between the protrusions, the access hole allowing access to the cylindrical central acoustic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칼라부와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The ear edge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comprises a collar portion and a male screw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가 상기 원통형 중앙 음향 통로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접근 구멍을 지니는 귀에지 차단구.4. The earedge blocker of claim 3, wherein the male screw portion has an access hole to allow access to the cylindrical central acoustic passagewa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부가 상기 귀에지 차단구를 회전시켜 상기 귀에지 차단구를 상기 외피로부터 제거하기위한 키이 수단을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5. An ear edge block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collar portion comprises key means for rotating said ear edge block to remove said ear edge block from said she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수단이 두개의 마주한 슬로트롤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6. The earedge blocker of claim 5, wherein the key means comprises two opposing throttles. 제1항에 있어서, 가변 음향 감쇠기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가변 음향 감쇠기와 상기 돌기들은 상호 연합하여 보청기의 음향 응답을 가변적으로 감쇠시키는 장치를 형성하는 귀에지 차단구.The earedge block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acoustic attenuator, wherein the variable acoustic attenuator and the protrusion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device for variably attenuating the acoustic response of the hearing ai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음향 감쇄기가 상기 중앙 음향 통로를 조정가능하게 한정하는 한쌍의 날개부를 지니는 조정가능한 베플을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8. The earedge blocker of claim 7, wherein the variable acoustic attenuator comprises an adjustable baffle having a pair of vanes that adjustably define the central acoustic passage. (a) 음향 출구를 지니는 외피 및 (b) 그 외피내에 위치되어 수화기 출구를 지니는 수화기를 포함하는 보청기내로 귀에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귀에지 차단구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구 및 상기 수화기 출구를 연계시키며, 내벽 표면 주변에 나사를 포함하는 외벽 표면과 아울러 통과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음향 통로, 상기 내벽 표면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공간적 각도적으로 변위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 및 상기 내벽 표면에 수직이며, 상기 내벽 표면과 상호 연합하여 귀에지 수집용 귀에지 축적 장소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돌기, 및 상기 보청기에 내재하여 상기 통로에 대하여 상기 나사를 정합시키는 암나사 표면을 지님으로써 세척을 위해 상기 보청기로 부터 귀에지 차단구를 제거할 수 있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a) an envelope having an acoustic outlet and (b) an ear edge barrier to prevent entry of the ear edge into a hearing aid comprising a receiver located within the envelope and having a receiver exit, the ear outlet intercepting the acoustic outlet and the receiver outlet, An acoustic passage defining an outer wall surface including a screw around the inner wall surface and defining a central axis therethrough,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nto the acoustic passage and spatially angular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mutually associat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to form ear edge accumulation sites for collecting ear edges, and a female thread surface inherent in the hearing aid to mate the screws with respect to the passage. Receptor for removing ear block from the hearing aid Gwieji block that includes the nine. (a) 음향 출구를 지니는 외피 및 (b) 상기 외피내에 위치되어 수화기 출구를 지니는 수화기를 포함하는 보청기내로 귀에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귀에지 차단구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구 및 상기 수화기 출구를 연계시키며, 내벽 표면 및 주변에 나사를 포함하는 외벽 표면과 아울러 통과하는 중심축을 한정하는 음향 통로, 상기 내벽 표면으로부터 상기 음향 통로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공간적 각도적으로 변위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 및 상기 내벽 표면에 수직이며, 상기 축을따라 중첩되어, 상기 통로중 최소한 일부가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통로를 따라 봉쇄되고, 상기 내벽 표면과 상호 연합하여 귀에지의 구불구불한 이동 통로 및 귀에지 수집용 귀에지 축적장소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돌기, 및 상기 보청기에 내재하여 상기 통로에 대하여 상기 나사를 정합시키는 암나사 표면을 지님으로써 세척을 위해 상기 보청기로분터 귀에지 차단구를 제거할수 있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귀에지 차단구.(a) an envelope having an acoustic outlet and (b) an ear edge barrier to prevent entry of the ear into a hearing aid comprising a receiver located within the envelope and having a receiver exit, the ear outlet intercepting the acoustic outlet and the receiver outlet, An acoustic passage defining an inner wall surface and an outer wall surface including screws around the outer wall surface, the sound passage defining a central axis therethrough,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into the acoustic path and spatially angular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ageway is enclosed along a passage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surface, and interlock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for the winding movement passage and ear edge collection of the ear edg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ing an ear edge accumulation place, and inherent to the hearing aid; Gwieji old block that includes a receptacle that can remove bunteo gwieji Block phrase in the hearing aid for cleaning by jinim a female thread surface which matches the said thread against the furnace.
KR1019880004476A 1988-03-31 1988-04-20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KR9500114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70,023 US4870689A (en) 1987-04-13 1988-03-31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US170,023 198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635A KR890015635A (en) 1989-10-30
KR950011499B1 true KR950011499B1 (en) 1995-10-05

Family

ID=2261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476A KR950011499B1 (en) 1988-03-31 1988-04-20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269398A (en)
KR (1) KR950011499B1 (en)
MX (1) MX16927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9596A4 (en) * 2007-07-23 2012-04-11 Asius Technologies Llc Diaphonic acoustic transduction coupler and ear bud
US8774435B2 (en) 2008-07-23 2014-07-08 Asius Technologies, Llc Audio device, system and method
US9629575B2 (en) * 2014-12-30 2017-04-25 Natus Medical Incorporated Filt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69398A (en) 1989-10-26
JPH0549159B2 (en) 1993-07-23
MX169271B (en) 1993-06-28
KR890015635A (en) 198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0689A (en)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US4972488A (en) Ear wax barrier and acoustic attenuator for a hearing aid
US5113967A (en) Audibility earplug
US7401680B2 (en) Hearing protection earplug and use of the same
US4375016A (en) Vented ear tip for hearing aid and adapter coupler therefore
US4800982A (en) Cleanable in-the-ear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068079A (en) Acoustic valve capable of selective and non-linear filtering of sound
US8249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on linear sound attenuation
MXPA06011341A (en) Wax barrier system.
US20080226114A1 (en) Earbud Adapter with Enhanced Frequency Response
US6000492A (en) Cerumen block for sound delivery system
US11234085B2 (en) Earpieces and related articles and devices
ITGE940067A1 (en) END HEARING HEARING PROSTHESIS.
CN106878894B (en) Sealing ear piece
GB2039191A (en) Hookshaped part of a behind-the ear hearing aid
KR100728189B1 (en) Headset
US20060042867A1 (en) Hearing protection earplu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earplug
US20170095372A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sensory hearing system while retaining quality sound
KR101644738B1 (en) Ear-phone
KR950011499B1 (en) Ear wax barrier for a hearing aid
CN101795647B (en) Ear plug
EP1674059B1 (en) Hearing protection earplug and use of the same
WO2020180901A1 (en) Vented sound attenuation earplug system
GB2579016A (en) Headphones
JPH02116296A (en) Acoustic reprodu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