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904B1 -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904B1
KR950010904B1 KR1019930003242A KR930003242A KR950010904B1 KR 950010904 B1 KR950010904 B1 KR 950010904B1 KR 1019930003242 A KR1019930003242 A KR 1019930003242A KR 930003242 A KR930003242 A KR 930003242A KR 950010904 B1 KR950010904 B1 KR 95001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paniment
information
disc
lyric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326A (ko
Inventor
김범훈
Original Assignee
김범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훈 filed Critical 김범훈
Priority to KR101993000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904B1/ko
Publication of KR94002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 방법에 적용되는 영상가요 반주기의 블록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장치 20 : 디스크 판독기
30 : 기억장치 40 : 중앙처리장치
50 : 출력장치
본 발명은 반주음곡의 가사 및 영상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디스크를 재생하여 반주곡의 템포에 따라 해당 반주곡의 배경영상과 제목, 가사(歌詞)가 자막형태로 영상표시되도록 한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가요 반주기는 디스크를 이용하는 타입과, 디스크를 이용하지 않은 타입으로 구분되어 있는바, 전자의 디스크를 이용하는 가요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영상포함) 출력방법은 디스크에 화면배경에 대한 영상정보와 음곡별 반주곡정보 및 반주곡별 가사(제목포함)정보가 수록되어 그 디스크에 수록된 원하는 곡을 선곡입력하면 디스크 판독기를 통해 선곡에 해당하는 반주곡과 영상 그리고 반주곡의 가사가 해당장치(오디오, 영상기기)에 그대로 출력되도록 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타입의 가요반주기는 상기한 디스크의 조건 즉 음곡별 반주곡정보와 화면배경에 따른 영상정보 그리고 반주곡별 가사정보가 수록된 디스크 이외에는 호환성이 없다는 것이다.
즉, 영상정보와 가사정보가 없고 단순히 음곡별 반주곡정보만 수록된 디스크를 사용할 시에는 당연히 선곡된 반주곡만 연주될뿐 반주곡의 가사와 화면배경의 영상출력은 없게되는 것이므로 그 이용가치면에 선호도가 뒤떨어진다.
또한, 후자의 디스크를 이용하지 않는 가요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영상포함) 출력방법은 가요반주기의 기억장치에 수백곡의 반주곡과 가사정보 그리고 영상정보를 기억시켜 놓은 상태에서 기억된 반주곡을 선곡하면 선곡된 반주곡이 기억장치로부터 출력되면서 해당곡의 가사정보가 자막형태로 영상데이타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디스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대신 반주곡, 영상 및 가사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장치를 이용하는 것이어서, 이는 새로운 신곡이 나올때마다 즉각적으로 수용할 수가 없고, 일정기간이 지나고 난후에 새로운 신곡들을 수록한 기억장치를 증설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사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디스크를 판독하여 그 반주곡에 해당하는 가사정보를 자막표시 되도록 한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을 제공하므로서, 반주음곡별 자막정보 및 영상정보는 없고 반주음곡 정보만 수록된 저가의 디스크의 이용도를 높이고 가요반주 장치의 범용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제시에 따른 다른 목적은 반주음곡의 판별에 따라 반주음곡 주인공의 이미지에 적합한 조명분위기를 연출가능하게 함과 동시 그 반주음곡에 적합한 화면의 영상데이타를 출력가능하게 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가요반주기의 각 기능제어키와 디스크의 반주곡 선곡키를 갖는 입력장치(10)와 ; 상기 입력장치의 입력키신호에 따라 선곡된 디스크상의 정보트랙을 판독하여 해당반주곡의 음성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40)로 출력하는 디스크 판독기(20)와 ; 상기 디스크의 반주곡 정보에 대응하는 음곡별 가사정보와 반주음곡별 주인공의 이미지에 적합한 영상정보 및 조명연출 정보가 저장된 기억장치(30)와 ; 상기 디스크 판독기(20)의 출력정보를 읽어들여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된 해당정보를 비교검색하여 입력정보와 대응하는 기등록 정보가 없으면 디스크 판독정보(반주곡)만 출력시키고, 입력정보와 대응하는 기등록정보가 있으면 디스크 판독의 반주곡과 이 반주곡에 대응하는 기억장치(30)의 가사, 영상 및 조명연출 데이타를 동시에 출력시키는 중앙처리장치(40)와 ; 상기 중앙처리장치(40)에서 처리된 출력정보의 신호분리 수단인 신호분리기(51)을 갖고 이 수단을 통해 반주곡 데이타에 대응하게 음성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음향제어기(57) 및 스피커(58)와, 상기 신호분리기(51)에 의해 분리되어 음향제어기(57)출력의 반주곡 템포에 대응하는 기억장치(30)의 영상정보를 처리하는 영상제어기(53) 및 반주곡 가사에 대한 자막정보를 생성하는 문자생성기(52)를 통한 각각의 신호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55)와, 상기 음향 및 영상의 분위기에 따라 적합하게 기억장치(30)에 기입력된 조명연출 데이타를 제어출력하는 조명제어기(54) 및 조명기기(56)로 구성된 출력장치(50)를 구비하여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기억장치(30)를 필요에 따라 교환가능하게 팩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는 신곡이 발표될때마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장치(10)로부터 디스크의 반주곡 선곡키 신호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40)는 디스크 판독기(20)를 통해 디스크의 선곡신호에 해당하는 위치의 정보트랙을 판독하게 된다.
이때, 디스크의 정보트랙에는 반주곡에 대한 음악길이와, 연주시간 그리고 엠퍼시스(emphasis)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 정보들은 동일정보가 수록된 디스크 이외에는 반주곡에 따라 각기 다르게 수록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판독기(20)는 선곡신호에 해당하는 음곡별 반주곡 정보만 수록된 디스크의 정보트랙의 정보를 판독하여 중앙처리장치(40)로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40)는 제 2 도에서와 같이 디스크 판독기(20)에서 전송되는 디스크의 정보에 대한 음악의 길이, 연주시간 및 엠퍼시스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여, 해당정보와 대응하는 데이타가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되어 있는지를 먼저 비교판별하게 된다.
이때 기억장치(30)에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곡 정보와 대응하는 가사, 영상 및 조명연출 데이타가 등록되어 있으면 중앙처리장치(40)는 디스크 판독기(20)에서 판독된 반주곡 데이타를 출력장치(50)의 음향제어기(57) 및 스피커(58)를 통해 제어 및 출력시킴과 동시 연주곡의 템포에 따라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된 가사데이타와 영상데이타 및 조명연출 데이타를 출력장치(50)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출력장치(50)내의 신호분리기(51)를 통해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된 가사데이타와 영상데이타 및 조명연출 데이타가 각각 분리되어 상기 반주곡의 연주출력과 동시에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되어 있던 영상데이타는 영상제어기(53)를 통해 제어처리되어 모니터(55)로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되어 있던 가사데이타도 역시 신호분리기(51)를 통해 출력된 신호는 문자생성기(52)에 의해 자막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모니터(55)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또한 상기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되어 있던 반주곡의 주인공의 이미지에 적합한 조명연출 데이타는 신호분리기(51)를 통해 조명제어기(53)로 출력되어 이 조명제어기(53)의 처리에 따라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56)는 반주음곡 주인공의 이미지에 적합한 조명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반주음곡 정보만 수록된 저가의 디스크를 본 발명에 적용시키면 영상제어기(53), 문자생성기(52) 및 모니터(55)를 통해 기억장치(30)에 기입력된 영상 및 자막처리된 반주음곡별 가사가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조명제어기(53)를 통해 조명연출 데이타가 처리되어 이에 따라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56)를 통해 반주음곡이 적당한 조명분위기가 연출된다.
한편, 상기한 비교판별 과정에서 만약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곡 정보와 대응하는 기억정보가 기억장치(30)에 기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40)는 판독기(20)에서 판독한 디스크의 반주곡 데이타만 출력장치(50)의 음향제어기(57) 및 스피커(58)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예컨데 신곡이 수록된 디스크 일수록 그 데이타와 대응하는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가 기억장치(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와 대응하는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소자를 교체가능하게 팩화시켜 기억장치(30)에서 반주신곡이 수록된 디스크를 판독할때마다 해당반주곡의 선곡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제로 하고 있는 디스크(콤팩트디스크 또는 레이저디스크) 이외에도, 마그네틱 테이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사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디스크의 반주곡 데이타에 대한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 그리고 조명연출정보 등을 기억장치(30)에 미리 저장시켜 놓고 중앙처리장치(40)를 통해 가사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디스크의 반주곡 판독데이타의 음악길이, 연주시간, 엠퍼시스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여 이와 동일한 기억장치에 기등록된 가사정보 및 영상정보 그리고 조명연출정보 등이 출력장치(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므로서 저가의 디스크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는 동시 기억장치의 팩화로 교체가능하도록 하여 신곡의 디스크가 나올때마다 대체가능하게 하므로서 영상가요 반주시스템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반주음곡만 수록된 디스크를 영상가요 반주기를 통해 재생하여 해당반주곡의 영상 및 가사 그리고 조명분위기를 연출하는 출력방법에 있어서, 디스크의 판독기(20)를 구동하여(단계 1), 상기 디스크 판독기(20)를 통해 판독디스크의 반주음곡에 대한 음악의 길이, 연주시간 및 엠퍼시스에 대한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2), 기억장치(30)에 해당정보에 일치하는 정보의 각각의 데이타가 기등록되어 있는지를 비교판단하여(단계 3), 기억장치(30)에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음곡의 정보와 대응하는 가사, 영상 및 조명연출 데이타가 등록되어 있으면 출력장치(50)중 영상제어기(53), 문자생성기(52) 및 모니터(55)를 통해 기억장치(30)에 기입력된 배경영상 및 자막처리된 반주음곡별 가사가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동시에 조명제어기(53)를 통해 조명연출 데이타가 처리되어 실내에 설치된 조명기기(56)를 통해 반주음곡에 적당한 조명분위기를 연출되도록 하며(단계 4), 디스크에 수록된 반주음곡 정보와 대응하는 각각의 데이타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크 판독기(20)에서 판독한 디스크의 반주곡 데이타만이 단지 음향제어기(57) 및 스피커(58)를 통해 제어출력되도록 함(단계 5)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KR1019930003242A 1993-03-04 1993-03-04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KR95001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242A KR950010904B1 (ko) 1993-03-04 1993-03-04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242A KR950010904B1 (ko) 1993-03-04 1993-03-04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26A KR940022326A (ko) 1994-10-20
KR950010904B1 true KR950010904B1 (ko) 1995-09-25

Family

ID=1935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242A KR950010904B1 (ko) 1993-03-04 1993-03-04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9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326A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326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laying a recording medium
JP3241372B2 (ja) カラオケ演奏方法
KR0135839B1 (ko) 영상노래반주용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KR960038768A (ko) 가라오케용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로부터 가라오케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법과 재생 장치 및 기록매체에 가라오케 데이타를 기록하는 방법과 기록 장치
KR960700510A (ko) 다종 언어 대응형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JP2951502B2 (ja) カラオケ装置
KR950010904B1 (ko) 영상가요 반주기의 반주음곡별 가사출력 방법
JPH06102889A (ja) 情報再生装置
JPS5940379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
JPH0934477A (ja) カラオケ装置
JP3529246B2 (ja) カラオケ映像再生装置
KR0130364B1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문자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2853258B2 (ja) カラオケ装置
CN1100323C (zh) 具有语音服务功能的cd图像-歌曲伴奏再现设备
KR970002863B1 (ko) 영상노래반주전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JPH0546071A (ja) 記録情報再生装置
JPH0546072A (ja) 記録情報再生装置
KR0147612B1 (ko) 영상노래반주 디스크의 배경화면정보의 압축 및 신장방법
JPH09288484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の記録方法
KR960008732A (ko) 영상노래반주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294797B1 (ko) 컴퓨터 가요반주기의 곡목 인식방법
JP3911243B2 (ja) カラオケ映像システム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KR20050097371A (ko) 가라오케시스템에서 영상 및 가사 매칭 장치
JP3766305B2 (ja) 記録媒体、そ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036523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