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850B1 -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850B1
KR950010850B1 KR1019930007859A KR930007859A KR950010850B1 KR 950010850 B1 KR950010850 B1 KR 950010850B1 KR 1019930007859 A KR1019930007859 A KR 1019930007859A KR 930007859 A KR930007859 A KR 930007859A KR 950010850 B1 KR950010850 B1 KR 95001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ontrol
data
switch
control uni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현주
김연풍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주식회사
김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주식회사, 김정국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8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50B1/en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 first switc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which varies position of key to be selected; a main control portion for outputting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o a corresponding device, if it is in a communicatible state by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portion by a user and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data, if an interrupt response signal is received; a first information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selection type of operation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ype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corresponding device or of the first switch portion under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portion; a second switc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main control portion and selecting an operation to be executed to thereby the control signal which varies position of key to be selected; a remote control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main control portion and if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ata tot he main control portion; and a second information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remote control portion and for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portion.

Description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Communication device of remote control

제 1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제어부 통신장치의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3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리모트 제어부(Remote Controller)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을 위한 송/수신 선로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통신선로를 더 설치하여 송/수신을 위한 각 제어부의 상태와 통신 내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빠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ler, and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as well as transmission / reception lines for communication are further installed to know in advance the status and contents of each control unit for transmission / recep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ler for enabling accurate and fast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한 데이타를 연결되어 있는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필요한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리모트 통신장치는 메인 컴퓨터와 리모트 컴퓨터간의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컴퓨터간에 해당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선로와 접지선으로 이루어져 원하는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remote communication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one system and transmits the necessary data to a required computer using a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mputer and the remote computer can be achieved It is composed of transmission / reception line and ground lin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so that it can transmit / receive desired data.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 통신을 실행할 경우에 계속해서 데이타가 송신되므로 데이타간의 충돌이 발생하고, 그로 인하여 수신되는 데이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수신되는 데이타를 그릇된 상태로 판단하여 오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수신되는 데이타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처리시간이 지연되므로 송/수신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controller commun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above method, data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thu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data, and therefore, the state of the received data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In this case, the processing time for accurately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received data is delayed, which causes a problem of a long transmission / reception time.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타를 송신하기 전에 데이타 송신이 가능한가를 미리 살펴보고 제어부의 상태가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는 정상상태일 경우에 송신되는 데이타의 내용을 미리 송신되는 제어부가 알 수 있도록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송신되는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before transmitting data, and the contents of data to be transmitted when the state of the controller is a normal state that can receive data.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 unit to be transmitted in advance can read the data transmitted accurately and quickl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에 선택 동작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실행시키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하며 선택되는 키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한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일 경우,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으로 동작상태나 선택 동작이 변화할 경우 또는 에러의 종류가 변화할 경우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해당 장치로 출력하며, 인터럽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데이타를 출력하며,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응답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데이타를 수신받아 데이타에 해당하는 동작하는 메인 제어수단과; 상기 메인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메인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의 동작상태나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의 선택 종류 및 그에 해당하는 데이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제 1 정보 표시 수단과;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다수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수단을 동작을 제어하고, 실행시키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하며 선택되는 키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 수단과; 상기 메인 제어수단과 제 2 스위치 수단에 연결되어,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해 각 해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 제어수단으로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송신하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수단으로 해당 데이타를 송신하여 메인 제어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서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수단으로 인터럽트 응답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데이타를 수신받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트 제어수단과; 상기 리모트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리모트 제어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리모트 제어수단의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in which the operation state is changed by the selection operation to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select the operation to be executed First switch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 selected key; When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means, when the user can communicat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when the operation state or selection operation change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or the type of error changes When the interrupt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e data is outputted.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device,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sent. Corresponding main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lection type of an operation selec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or an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means; 1 information display mean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witches whose operation state is changed by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means, selects the operation to be executed and selects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key Second switch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changed; It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the second switch means, when each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switch means, transmits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orresponding data is sent to the main control means. Transm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means; Remote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an interrupt response signal to the main control means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and then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data; And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means to display corresponding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means and to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mea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의 블럭도이고, 제 2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고, 제 3(a) 도와 제 3(b)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ai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Operation flowchart of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통신동작을 설명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ll be described.

제 1 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5개의 포트와 A/D 컨버터가 내장되어 있는 80535(siemens)를 사용하며, 사용자의 제어 동작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정보를 설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1∼제 6 통신선로(A1∼A6)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의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지는 메인 제어부(1)와; 상기 메인 제어부(1)와 연결되어, 메인 제어부(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의 선택 종류 및 그에 해당하는 데이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제 1 정보표시부(11)와; 상기 메인 제어부(1)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각 동작상태가 변화하여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동작 키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1 스위치부(12)와; 80535를 사용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1)와 연결되어 있는 제 1∼제 6 통신선로(A1∼A6)를 통해 메인 제어부(1)에서 입력되는 각각의 정보를 수신받아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 및 에러 발생 상태 또는 제 1 스위치(12)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트 제어부(2)와; 상기 리모트 제어부(2)와 연결되어, 제 1∼제 6 통신선로(A1∼A6)를 거쳐 리모트 제어부(2)를 통해 출력되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리모트 제어부(2)의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정보 표시부(21)와; 상기 리모트 제어부(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각 동작상태가 변화하여 리모트 제어부(2)에서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정전 전원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스위치부(12)로 이루어져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it uses an 80535 (siemens) with five ports and built-in A / D converte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oper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ain control unit that transmits / receiv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sing the first to sixth communication lines A1 to A6 connected 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upply device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state through a set communication method. (1);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a selection type of an operation selected by a user, and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1. 1 information display section 11; The first switch unit 12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and chang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by changing th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key. )Wow; An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using 80535 is performed by receiving respective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hrough the first to sixth communication lines A1 to A6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A remote control unit 2 for determining a state and an error occurrence state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switch 12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unit 2 via the first to sixth communication lines A1 to A6 is displayed, an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A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for displaying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1, each operation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so that the remot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t consists of a switch unit (12).

상기 제 1 스위치부(12)는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메인 제어부(1)와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스위치(S11)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메인 제어부(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메인 제어부(1)에 연결되어 있는 번호 증가 스위치(S121)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메인 제어부(1)에 연결되어 있는 번호 감소 스위치(S122)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switch unit 12 has an operation control switch S11 in which one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and one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Connected to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ne terminal of which is grounded, the other terminal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and a number increasing switch S121, and one terminal of which is grounded The other terminal consists of a number reduction switch (S122)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상기 제 2 스위치부(22)는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리모트 제어부(2)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스위치(S21)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리모트 제어부(2)에 연결되어 있는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211∼S215)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리모트 제어부(2)에 연결되어 있는 번호 증가 스위치(S221)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있고 타측단자가 리모트 제어부(2)에 연결되어 있는 번호 감소 스위치(S222)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witch unit 22 has an operation control switch S21 in which one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and one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Connected to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211 to S215, one terminal is grounde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221, and one terminal is grounded. The other terminal is composed of a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이 시작되면(10), 메인 제어부(1)는 메인 제어부(1)의 상태를 초기화하고(20), 제 1 정보 표시부(11)에 초기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First, when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starts (10), the main control unit 1 initializes the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20), and outputs the initial information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Execute the action.

따라서 메인 제어부(1)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브함수(disxy(str))와, 정보의 종류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나타내는 서브함수(ad-conv(str))의 값을 호출하여 해당하는 값에 따라 원하는 정보의 종류와 데이타를 제 1 정보 표시부(11)에 출력한다(30).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 calls the value of the sub function disxy (st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value of the sub function ad-conv (str) indicat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esired information type and data are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section 11 (30).

처음으로 메인 제어부(1)가 동작할 경우에, 제 1 정보 표시부(11)에는 여러가지의 정보 종류를 표시하는 시리얼 번호중에서 중간부분의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의 데이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초기의 서브함수(disxy(str), ad-conv(str))의 값이 설정되어 있다.When the main control unit 1 operates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displays an initial subfunction such that data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part number among serial numbers indica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output. The value of (disxy (str), ad-conv (str)) is set.

그러므로 메인 제어부(1)가 동작하여 제 1 정보 표시부(11)에 해당 정보의 종류와 그에 따른 데이타를 출력한 후, 메인 제어부(1)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12)의 동작 제어스위치(S11)의 입력상태를 감지하여 동작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40).Therefore, after the main control unit 1 operates to output th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the main control unit 1 is a first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 input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11 of (12) is sensed to determine whether an operation control signal is input (40).

그러므로 제 1 스위치부(12)의 동작 제어 스위치(S11)의 동작으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제어부(1)는 서브함수(disp-key( ))를 호출하여 서브함수(disp-key( ))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12)의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위치가 어떤 것인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해당 동작 스선택 스위치(S111∼S115)에 해당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50).Therefore, 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11 of the first switch unit 12, the main control unit 1 executes a sub function (disp-key ()). To determine which switch i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f the first switch unit 12 using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disp-key (). In operation 50, the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switch selection switch S111 to S115 is performed.

상기 서브함수(disp-key( ))는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여러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제어부(1)의 동작에 의하여 서브함수(disp-key( ))가 호출되면 제 1 정보 표시부(11)에 출력되는 신호는 "Press any key"라는 글자가 출력된다.The sub function (disp-key ()) is used to selectively execute various operations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hen the sub function (disp-key ()) is called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1, 1 As the signal output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1, the word "Press any key" is output.

그리고 메인 제어부(1)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위치부(12)의 제 1∼제 5 의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중에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스위치를 선택하며, 서브함수(disp-key( ))의 함수값은 선택적 스위치에 해당하는 값을 갖게 된다.In addition, among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f the first switch unit 12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 a corresponding switch is selected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and a sub function ( The function value of disp-key () has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tional switch.

그러므로 메인 제어부(1)는 서브함수(disp-key( ))의 함수값을 판독하여 선택된 스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main controller 1 reads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disp-key ()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는, 이용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과충전시키기 위한 동작과, 인가되는 AC의 전압을 DC로 변환하여 DC 전압을 배터리로 충전시키며 그와 동시에 인버터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과, 상기 DC로 변환된 전압이 인버터의 입력단자로 인가됨에 따라 해당하는 AC 전압이 인버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re configured to overcharge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be used and to convert the applied AC voltage into DC. Selects an operation of charging the DC voltage with the battery and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DC voltage to the inverter, and allowing the corresponding AC voltage to be output from the inverter as the DC-converted voltage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verter. Can be.

그리고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정상 상태일때 인버터로 해당하는 전압이 출력으로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무정전 전원공급장치가 비정상적일 때 출력에 인가되는 전원이 바이패스(by-pass)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절환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가를 검사하며 세번이상 반복시에 무정전 전원장치의 이상을 알리는 경고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한 동작과, 위의 기술한 상태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경고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경고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o function properly, whe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 a normal state, a correspond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inverter so that it can operate normally. Whe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abnormal, the power applied to the output is The operation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device for notifying the failur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by checking whether the switching operation to be applied by bypass is normally performed and repeating three or more times, and the state described above.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device may be select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arning device and to take necessary measures.

상기와 같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치부(12)의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중에서 어느 한 스위치가 선택되어 메인 제어부(1)에 의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또는 동작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제 1 스위치부(12)의 번호 증가 스위치(S121)의 동작으로 제 1 정보표시부(11)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하고(60), 번지 증가 스위치(S121)가 동작되지 않아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하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제 1 스위치부(12)의 번호 감소 스위치(S122)의 동작으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었는가를 판단한다(80).After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f the first switch unit 12 for controlling the above operation is selected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by the main control unit 1 Or the main control unit 1 whe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s not input,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by the operation of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121 of the first switch unit 12. If the number is increased (60), and the address increase switch (S121) is not operated and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does not increase, the main control unit 1 switches the number reduction switch of the first switch unit 12. In operation S1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reduced (80).

그러나 동작 제어신호가 입력된 후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 중에서 어느 스위치도 선택되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제 1 정보 표시부(11)를 통하여 "Press any key"란 글자를 계속 출력한다.However, when no switch is selected among the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after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s input, the main controller 1 continuously outputs the word “Press any key”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do.

상기 제 1 스위치부(12)의 번호 증가 스위치(S121)의 동작으로 변수(Str)의 값이 증가되면 메인 제어부(1)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disxy(str))와 (ad-conv(str))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와 데이타값을 제 1 정보 표시부(1)에 출력한 후(70),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었는가를 판단한다(80).When the value of the variable Str is incr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121 of the first switch unit 12, the main control unit 1 determines that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increased and the sub function (disxy ( str)) and (ad-conv (str)), and afte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ype and data value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 (7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decreased. (80).

상기 변수(Str)의 값이 감소되면 메인 제어부(1)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disxy(str), ad-conv(str))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와 데이타 값을 제 1 정보 표시부(11)에 출력한 후(90), 리모트 제어부(2)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원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100).When the value of the variable Str is decreased, the main controller 1 determines that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reduced and uses the sub function disxy (str) or ad-conv (str)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fter outputting the type and data value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90), it is determined whether a power source capable of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unit 2 is normally applied (100).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면 메인 제어부(1)에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가변되는 서브함수(disxy(str), ad-conv(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데이타를 메인 제어부(1)의 정보 표시부(11)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the user, the main control unit 1 uses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disxy (str) or ad-conv (str) that is chang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data can be output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1 of the main control unit 1.

하기 (표1)에 서브함수(disxy(str))의 변수값(Str)에 따른 정보의 종류와 표시형태의 관계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display form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ue Str of the subfunction disxy (str).

[표 1]TABLE 1

상기 메인 제어부(1)가 리모트 제어부(2)에 전원이 인가된 것을 판단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1)는 메인 제어부(1)와 리모트 제어부(2)의 동일한 포트(port)에 연결되어 있는 제 5 통신선로(A5)와 제 6 통신선로(A6)의 신호 상태를 이용한다.In order for the main controller 1 to determine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2, the main controller 1 is connected to the same port of the main controller 1 and the remote controller 2. Signal states of the communication line A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are used.

따라서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고레벨일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리모트 제어부(2)에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Therefore, when the valu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are all at a high level, the main controller 1 determines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ler 2, and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When all values of A6 are maintained at the low level, it is determined that power is not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만약, 리모트 제어부(2)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2)는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신호상태를 하이(high) 상태로 유지시켜 필요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ecessary power is suppli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main control unit 2 maintains the signal stat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in a high state so as to provide a necessary signal. To be transmitted.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 인가되지 않아 동작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제 1 정보 표시부(11)로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와 데이타를 출력하고(30), 리모트 제어부(2)에 전원이 인가되면 메인 제어부(1)는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었거나 동작중에 발생하는 에러의 상태가 가변되었는지를 판단한다(110).Therefore, when it is not operating because it is not appli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main control unit 1 outputs the type and data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3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2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main controller 1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is variable or the state of an error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is changed (110).

그러나 메인 제어부(1)의 동작 상태나 에러 상태가 가변되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130).However, when the operation state or the error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does not vary, the main control unit 1 determines whether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A4 (130).

그러므로 정보의 정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가변되어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나 데이타 값이 가변되거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상태가 가변될 경우, 또는 동작중에 새로운 에러가 발생할 경우 동일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이용자가 정보의 종류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브함수(disxy(str))와 선택된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데이타 값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서브함수(ad-conv(str))를 호출하여 상기 서브함수(disxy(str)), ad-conv(str))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리모트 제어부(2)로 전송한다.Therefore, if the number indicating the rec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is variable and the type of information or data value is outp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changed, or when a new error occurs during operation, the main control unit 1 is the same. The subfunction calls a subfunction (disxy (str))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type of information and a subfunction (ad-conv (str))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corresponding data value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disxy (str)) and ad-conv (str)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서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in the remote control unit 2 has changed.

메인 제어부(1)에서 리모트 제어부(2)로 해당하는 정보를 통신할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먼저,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3 통신선로(A3)를 통하여 리모트 제어부(2)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송신하여 리모트 제어부(2)가 어떤 동작을 처리중일 경우에 처리중인 동작을 잠시 정지하고 메인 제어부(1)에서 전송하는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When communica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main control unit 1 firstly controls the remote control unit 2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line A3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sent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so that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2 is processing any operation, th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paused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can be received.

그리고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받은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응답신호를 메인 제어부(1)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unit 2 receiving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outputs a response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A4 in order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그러므로 응답신호를 수신받은 메인 제어부(1)는 비로소 해당하는 데이타를 제 1 송수신선인 제 1 통신선로(A1)를 통하여 리모트 제어부(2)로 송신한다.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via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1 which is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line.

그리고 메인 제어부(1)에서 송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리모트 제어부(2)가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신되는 데이타의 형태등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 unit 2 accurately grasps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so as to know in advance the type of the received data.

따라서 메인 제어부(1)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타를 송신하기 전에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를 통하여 송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before transmitting the data to be transmitted.

제 5 통신선로(A5)와 제 6 통신선로(A6)의 신호값에 따른 송신 데이타의 종류는 (표2)와 같다.The types of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s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are shown in Table 2.

[표 2]TABLE 2

그러므로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리모트 제어부(2)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면, 메인 제어부(1)는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130).Therefore, when data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is transmit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ain control unit 1 determines whether an interrupt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130).

그러므로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메인 제어부(1)는 제 1 정보 표시부(11)로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와 데이타를 출력한다(30).Therefore,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the main control unit 1 outputs the type and data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30).

그러나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1)는 리모트 제어부(2)로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응답신호를 출력한 후 리모트 제어부(2)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140).However,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main control unit 1 outputs a response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A4, and then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 to receive the received data.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140).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메인 제어부(1)가 동작하고, 리모트 제어부(2)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전송하여 리모트 제어부(2)에서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 operates through the above method,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so that the remote control unit 2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and the main control unit The operation of (1) can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unit 2.

이하, 제 3(a) 도와 제 3(b) 도를 참고로 하여 리모트 제어부(2)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hird (a) and the third (b) diagrams.

먼저, 리모트 제어부(2)의 상태를 초기화하고(1100),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으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1200).First, the state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is initialized (110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an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1200).

메인 제어부(1)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가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 등이 가변되어 해당하는 데이타를 리모트 제어부(2)로 전송하기 위한 동작으로 판단하여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로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he remote control unit 2 may change the operation state or the like of the main control unit 1 so that the main control unit 1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Judging by the operation, the remote control unit 2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A4.

그리고 메인 제어부(1)가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를 통하여 상기 (표2)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타의 종류에 해당하는 신호를 데이타 신호보다 먼저 리모트 제어부(2)로 전송하므로 리모트 제어부(2)는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먼저 수신받은 후, 메인 제어부(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게 된다(1300).When the main control unit 1 receives the response signal, the remote control unit first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data transmitted as shown in Table 2 through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before the data signal. 2), the remote controller 2 receives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first, and then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 (1300). .

그러나 메인 제어부(1)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제 2 정보 표시부(21)를 통하여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정보의 종류번호가 증가되었는가를 판단한다(2600).However,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type number of the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has increased. (2600).

따라서 리모트 제어부(2)가 메인 제어부(1)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면, 리모트 제어부(2)는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값이 모두 "1"의 값을 갖고 있는지를 판단한다(1400).Therefore, when the remote control unit 2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he remote control unit 2 has a value of "1" for all of the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1400).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의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1"일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전송되는 데이타의 종류가 선택된 정보의 경우에 해당하는 실측값에 대한 데이타로 판단한다.Therefore, when the valu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are all "1",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actu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Judging by the data for.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의 동작에 관한 실측값을 전송받아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제어부(1)의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서브함수(disxy(str))에 해당하는 데이타의 값이 0∼2이나, 6∼11에 해당하는 값에 하나인지를 판단한다(1500).Therefore, the remote control unit 2 receives sub-functions (disxy (st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in order to receive the measured value of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data. In step 15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value corresponding to 1) is one of 0 to 2 or 6 to 11.

그러므로 상기 값중에서 어느 한 값에 해당할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서 수신되는 선택된 정보의 종류에 따른 실측값을 제 2 정보 표시부(21)로 출력하기 위하여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에 의하여 결정되는 데이타를 하기 (1)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1600).Therefore, when one of the values corresponds to any one of the above values, the remote controller 2 outputs the measured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lec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1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The data determined by the function value of -conv (str))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1600).

데이타 값×(220/204) (1)Data value × (220/204) (1)

그러므로 상기 (1)의 식에 따라 계산된 값을 리모트 제어부(2)의 제 2 정보표시부(21)로 출력한 후(1700),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2600).Therefore, after outputting the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1)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of the remote controller 2 (17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2600).

그러나 메인 제어부(1)의 서브함수(disxy(str))에 해당하는 값이 0∼2중에 포함되지 않거나, 6∼11중에 하나가 아닐 경우에 서브함수(disxy(str))에 해당하는 값이 "3"인지를 판단하여(1800), "3"일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하기 (2)식에 따라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에 의해 결정된 수신 데이타값을 계산하여(1900), 제 2 정보 표시부(21)로 계시된 실측값을 출력한다(1700).However, when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ub function disxy (str) of the main control unit 1 is not included in 0 to 2 or is not one of 6 to 11,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ub function disxy (str) is In operation 1800, the remote controller 2 determines the received data value determined by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ad-conv (str))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pression (2). In operation 1700, the measured value displayed on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is output (1700).

데이타 값×(240/204) (2)Data value × (240/204) (2)

상기와 같이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제 2 정보 표시부(21)로 출력 가능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크기를 변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ize is converted so that the remote control unit 2 can convert the remote control unit 2 into a state that can be output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서브함수(disxy(str))에 해당하는 값이 "3"이 아닐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 수신되는 데이타를 별도의 계산없이 곧바로 제 2 정보 표시부(21)를 통하여 출력한다(1700).However, when th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ub function disxy (str) is not "3", the remote control unit 2 immediately returns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to the data received by the main control unit 1 without any calculation. Output through (1700).

그러나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1"이 아닐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제 5 및 제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0"인지를 판단하여(2000), 모두 "0"일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는 제 1 정보 표시부(11)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타로 판단한다.However, when the valu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are not all "1", the remote control unit 2 has both the valu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to "0". In operation 2000, when all are 0, the remote controller 2 determines tha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1 is data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는 제 2 정보 표시부(21)에 메인 제어부(1)의 제 1 정보 표시부(11)를 통하여 출력하고 있는 정보의 종류를 표시하도록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출력한후(2000),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2600).Therefore, the remote control unit 2 functions to display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of the main control unit 1 on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Afte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using (20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2600).

그러나 제 5 및 제 6 통신선로(A5,A6)의 값이 모두 "0"이 아닐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제 5 통신선로(A5)의 값이 "0"이고 제 6 통신선로(A6)의 값이 "1"인지를 판단한다(2200).However, when the values of the fifth and sixth communication lines A5 and A6 are not all zeros, the remote controller 2 has the value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as "0" and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is "1" (2200).

그러므로 제 5 선로(A5)의 값이 "0"이고, 제 6 선로(A6)의 값이 "1"일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는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가 가변될 경우에 가변된 동작상태에 따른 데이타로 판단한다.Therefore, when the value of the fifth line A5 is "0" and the value of the sixth line A6 is "1", the remote control unit 2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to the main control unit 1.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is changed, it is determined as data according to the changed operation state.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서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판단된 수신 데이타에 의해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도록 제 2 정보 표시부(21)에 메인 제어부(1)의 동작상태를 출력한(2300) 후,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2600).Therefore, the second control unit 21 displays the main state of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1 can be known by the received data determined by using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ad-conv (str)) in the remote control unit 2. After output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1 (23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2600).

그러나 제 5 통신선로(A5)의 값이 "0"이 아니고, 제 6 통신선로(A6)의 값이 "1"이 아닐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제 5 통신선로(A5)의 값이 "1"이고, 제 6 통신선로(A6)의 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2400).However, when the value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is not "0" and the value of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is not "1", the remote control unit 2 does not have the value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In operation 14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of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is “0”.

그러므로 제 5 통신선로(A5)의 값이 "1"이고 제 6 통신선로(A6)의 값이 "0"일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에서 송신되는 데이타 리모트가 메인 제어부(1)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에러의 종류가 가변될 때 이를 리모트 제어부(2)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로 판단한다.Therefore, when the value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is "1" and the value of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is "0",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that the data remote unit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is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type of error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1) is varied, it is determined as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메인 제어부(1)에서 발생하는 에러의 종류를 제 2 정보 표시부(21)로 출력한 후(2500),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2600).Therefore, after the remote control unit 2 outputs the type of error occurring in the main control unit 1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using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ad-conv (str) (25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2600).

그러나 제 5 통신선로(A5)의 값이 "1"이 아니고, 제 6 통신선로(A6)의 값이 "0"이 아닐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2600).However, when the value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is not "1" and the value of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is not "0",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increased. Determine (2600).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의 정류를 선택하고자 할때, 선택 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번호 증가 스위치(S221)의 동작으로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이 증가되어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리모트 제어부(2)는 제 2 정보 표시부(21)에 증가된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의 종류를 표시하고(2700),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trans(7))로 호출한다(2800).Therefore, when selecting the rec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disxy (str)) is incr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221 which can sequentially increase the selection number. When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increased, the remote control unit 2 displays the type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n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270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2 Called by the subfunction trans (7) (2800).

상기 서브함수(trans(str))는 메인 제어부(1)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출력하고, 메인 제어부(1)로부터 인가되는 응답신호를 수신받은 후 해당하는 리모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고 서브함수(trans(str))의 각 변수값(Str)에 의하여 메인 제어부(1)가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전송되는 송신 데이타를 알 수 있도록 한다.The sub function trans (str) outputs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and then transmits a corresponding remote. (str) allows the main control unit 1 to know the transmiss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ue Str.

하기 표(3)에서 서브함수(trans(str))의 변수값(Str)에 따른 송신 데이타의 관계를 도시한다.Table 3 below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transmission data according to the variable value Str of the subfunction trans (str).

[표 3]TABLE 3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서 서브함수(trans(7))를 호출하여 제 3 통신선로(A3)로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메인 제어부(2)로 송신한 후, 메인 제어부(1)에서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trans(7))의 함수값을 변환하여 제 2 송수선로(A2)로 송신한다.Therefore, the remote control unit 2 calls the subfunction trans (7) to transmit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third control line A3 to the main control unit 2, and then the main control unit 1 to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rough (A4), the remote control unit 2 converts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trans (7)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water line A2.

따라서, 메인 제어부(1)는 서브함수(trans(7))에 의하여 수신되는 데이타를 판단하여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증가 스위치(S221)가 동작되어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main controller 1 determines the data received by the sub function trans (7), and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22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operated to increase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Can be detec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그러나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증가 스위치(S221)가 동작되지 않아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되지 않을 경우나,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증가 스위치(S221)의 동작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리모트 제어부(2)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했는지를 판단한다(2900).However, when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22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not operated and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output is not increased, or the operation of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22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not increased. When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decreased (2900).

리모트 제어부(2)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하고자 할 때 선택번호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감소 스위치(S222)의 동작을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이 감소될 때 리모트 제어부(2)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한다.When selec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operation of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which can sequentially decrease the selection number is a subfunction (disxy (str)). When the function value of) decreases,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that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has decreased.

따라서 리모트 제어부(2)는 제 2 정보 표시부(21)에 감소된 번호에 해당하는 정보의 정류를 표시하고(3000),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trans(8))를 호출한다(3100).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 unit 2 displays the rectification of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number on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3000), and the remote control unit 2 calls the subfunction trans (8) (3100). ).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에서 서브함수(trans(8))를 이용하여 상기에 설명한 동작을 거쳐 서브함수(trans(8))의 함수값을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제 2 송수신선로(A2)로 송신한다.Therefore, the remote control unit 2 converts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trans (8) into a form which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line A2 through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using the sub function trans (8). Send.

따라서, 메인 제어부(1)는 수신되는 데이타를 이용하여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감소 스위치(S222)가 동작되어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1 detects that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operated in the remote control unit 2 using the received data, and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is reduced. To perform the operation.

그러나 제 2 스위치(22)의 번호 감소 스위치(S222)가 동작되지 않아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지 않을 경우나, 제 2 스위치부(22)의 번호 감소 스위치(S222)의 동작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 2 스위치부(22)의 동작 제어스위치부(S21)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3200).However, when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of the second switch 22 is not operated and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output is not decreased, or the operation of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not reduced. Accordingly, when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remote controller 2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unit S2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tha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1 is operated (3200).

그러므로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제 2 스위치부(22)의 동작 제어 스위치(S211)를 동작시킬 경우,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trans(1))를 호출한다(3300).Therefore, when operating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21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from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remote control unit 2 performs the subfunction trans (1). (3300).

상기 서브함수(trans(1))가 리모트 제어부(2)에 의하여 호출되어 메인 제어부(1)에 상기한 동작을 통하여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스위치부(22)의 동작 제어스위치(S21)가 동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한 후, 서브함수(disp-key( ))를 호출한다(3400).The sub function trans (1) is called by the remote control unit 2 to operate the second switch unit 2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 through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to the main control unit 1. Afte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data so that the control switch S21 is operated, the sub function disp-key () is called (3400).

상기 서브함수(disp-key)가 호출되면 제 2 정보 표시부(21)에 "Press any key"라는 글자가 출력되어 제 2 스위치부(22)의 제 1∼제 5 동작 선택 위치(S211∼S215)중에서 어느 한 스위치를 선택하도록 하고,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211∼S215)중에서 어느 한 스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스위치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서브함수(disp-key( ))의 함수값으로 전달한다.When the sub function (disp-key) is called, the word "Press any key" is output on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so that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positions S211 to S215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are displayed. Select one of the switches, and when one of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211 to S215 is selec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s transferred as a function value of a sub-function (disp-key ()). do.

그러므로 서브함수(trans( ))의 값이(X)이 "1"일 경우에(3500) 리모트 제어부(2)는 제 2 스위치부(22)의 제 1 동작 선택 스위치(S211)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trans(2))를 호출하고(4000), 함수값(X)이 "2"일 경우엔(3600) 제 2 스위치부(22)의 제동작 선택 스위치(S212)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trans(3))를 호출하고(4100), 함수값(X)이 "3"일 경우에(3700) 제 2 스위치부(22)의 제 3 동작 선택 스위치(S213)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trans(4))를 호출하고(4200), 함수값(X)이 "4"일 경우에(3800) 제 2 스위치부(22)의 제 4 동작 선택 스위치(S214)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trans(5))를 호출하고(4300), 함수값(X)이 "5"일 경우에(3900) 제 2 스위치부(22)의 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215)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서브함수(trans(6))를 호출한다(4400).Therefore, when the value of the subfunction trans () is (1) (3500) (3500), the remote controller 2 determines that the first operation selection switch S211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selected. Call the subfunction trans (2) (4000), and if the function value X is "2" (3600), it is determined that the deactivation selection switch S212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selected. Call the subfunction trans (3) (4100), and when the function value X is "3" (3700), the third operation selector switch S213 of the second switch section 22 is selected. When it is determined, the sub function trans (4) is called (4200), and when the function value X is "4" (3800), the fourth operation selection switch S214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s sele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 function trans (5) is called (4300), and the function value X is "5" (3900), the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 S215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In operation 4400, the sub function trans (6) is called based on the selection.

따라서 리모트 제어부(2)는 서브함수(disp-key( ))의 함수값(X)을 각 판단하여(3500∼3900) 함수값에 해당하는 서브함수(trans(2∼6))를 호출한다(4000∼4400).Therefore,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function value X of the sub function disp-key () (3500 to 3900) and calls the sub function trans (2 to 6)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alue ( 4000-4400).

그러므로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각 호출된 해당 서브함수(trans(2∼6)에 의하여 상기 표(3)에 설정되어 있는 송신 데이타를 메인 제어부(1)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한 후,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1200).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 unit 2 is allowed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data set in the table (3) to the main control unit 1 by the called subfunctions trans (2 to 6). In operation 1200, it is determined whether an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ler 1.

그러므로 제 2 스위치부(22)의 제 1∼제 5 동작 선택 스위치(S211∼S215) 중에서 선택된 동작 선택 스위치(S211∼S215)에 해당하는 동작이 메인 제어부(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211 to S215 selected from the first to fifth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211 to S215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can be execu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

상기 제 2 스위치부(22)의 각 스위치부(S21,S211∼S215,SS221,S222)의 기능은 제 2 스위치(12)의 기능과 같다.The functions of the switch units S21, S211 to S215, SS221, and S222 of the second switch unit 2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switch 12.

그러나 리모트 제어부(2)로 동작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리모트 제어부(2)는 메인 제어부(1)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1200).However, whe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s not input to the remote control unit 2, the remote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an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1200).

그러므로 리모트 제어부(2)의 제 2 정보 표시부(21)의 상태가 가변될 경우 메인 제어부(1)의 제 1 정보 표시부(11)에 동일한 내용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메인 제어부(1)의 동작을 리모트 제어부(2)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state of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unit 21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changes, the sa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unit 11 of the main control unit 1, and the main control unit 1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unit 2 can be controlled.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메인 제어부의 동작상태가 가변되어 정보 표시부로 출력되는 정보의 상태가 가변될 때, 리모트 제어부의 정보 표시부에 가변된 정보 상태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리모트 제어부의 정보 표시부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unit is changed so that the state of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variable information state can be output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of the remote control unit main control uni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operation state by us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of the remote control unit.

그리고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선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데이타를 메인 제어부나 리모트 제어부로 송신할 경우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발생시켜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는 음답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므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의 상태가 전송되는 데이타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정확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a corresponding data is transmitted to a main control unit or a remote control unit using a communication lin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 interrupt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a corresponding answer signal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s then transmitted. Since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receiving the information enables to receive the transmitted data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correct information.

그리고 메인 제어부에서 리모트 제어부로 해당하는 정보를 송신할 경우에 송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리모트 제어부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므로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타가 서로 충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송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데이타를 처리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통신시간이 절감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control unit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the remote control unit, the remote control unit knows in advance th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so that the data transmitted continuously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Since it can be known in advance, the processing time is reduced because the data processing time is shortened.

Claims (8)

사용자에 선택 동작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다수개의 스위치(S11,S111∼S115,S121,S122)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스위치(S11,S111∼S115,S121,S122)의 동작상태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실행시키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하며 선택되는 키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치 수단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한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으로 통신 가능한 상태일 경우,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으로 동작상태나 선택동작이 변화할 경우 또는 에러의 종류가 변화할 경우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해당 장치로 출력하며, 인터럽트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데이타를 출력하며,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응답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데이타를 수신받아 데이타에 해당하는 동작하는 메인 제어수단과; 상기 메인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메인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의 동작상태나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동작의 선택 종류 및 그에 해당하는 데이타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제 1 정보 표시 수단과;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다수개의 스위치(S21,S211∼S215,S221,S222)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스위치(S21,S211∼S215,S221,S222)의 동작상태에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수단을 동작을 제어하고, 실행시키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하며 선택되는 키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 수단과; 상기 메인 제어수단과 제 2 스위치 수단에 연결되어, 제 2 스위치 수단을 통해 각 해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인 제어수단으로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송신하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수단으로 해당 데이타를 송신하여 메인 제어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서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수단으로 인터럽트 응답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데이타를 수신받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트 제어수단과; 상기 리모트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리모트 제어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해당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리모트 제어수단의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정보 표시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Consists of a plurality of switches (S11, S111 to S115, S121, S122) whose operation state is changed by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s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S11, S111 to S115, S121, S122. First switch means for selecting an operation to be execute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 selected key; When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means, when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when the operation state or selection operation change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or the type of error changes When the interrupt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e data is outputted.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nected device,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sent. Corresponding main control mean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display a selection type of an operation select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or an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means and data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information display mean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witches (S21, S211 to S215, S221, S222) in which the operation state is changed by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S21, S211 to S215, S221, S222, the main Second switch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eans, selecting an operation to be executed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key; It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the second switch means, when each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switch means, transmits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orresponding data is sent to the main control means.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means by transmitting the interrupt response signal to the main control means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and then receives the received data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to the outside. Remote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nd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means to display corresponding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means and to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수단은, 초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 1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고, 제 1 스위치 수단의 동작 제어 스위치(S11)를 통해 동작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스위치 수단의 다수개의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 중에서 선택된 동작 선택 스위치의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 1 스위치 수단의 번호 증가 스위치(S121)가 동작하여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되면, 증가된 번호에 해당하는 종류의 데이타를 제 1 정보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하고; 제 1 스위치 수단의 번호 감소 스위치(S122)가 동작하여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면 감소된 번호에 해당하는 종류의 데이타를 제 1 정보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며; 통신 가능한 상태일 경우에 동작상태나 에러의 종류가 가변될 경우에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리모드 제어수단으로 발생시키고 리모트 제어수단으로 응답신호를 받은 후 해당하는 데이타를 전송하며; 동작상태나 에러의 종류가 가변되지 않을 경우나 데이타 전송을 완료하면 리모트 제어수단으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수신되는 데이타의 내용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The first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 means out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itial stage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and when an operation control signal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11 of the first switch means.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of an operation selection switch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f the means; When the number increasing switch S121 of the first switch means is operated to increase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ting data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number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When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122 of the first switch means is operated to decrease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number is outputted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Generating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o the remode control means when the operation state or the type of error is varied in the communication enabled state, receiving a response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means, and then transmitting corresponding data; When the operation status or the type of error does not vary or when the data transfer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and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data.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emot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 선택 스위치의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메인 제어수단의 동작 제어 스위치(S11)가 동작되면 서브함수(disp-key( ))를 호출하고, 선택된 동작 선택 스위치(S11∼S115)의 상태에 따라 함수값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According to claim 2,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elected operation selection switch, if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11) of the main control means is called a sub-function (disp-key ()), the selected operation A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election switches S11 to S1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감된 번호에 해당하는 종류의 데이타를 제 1 정보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할 때, 제 1 스위치 수단의 번호 증가/감소 스위치(S121,S122)가 선택되면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에 의하여 증가된 정보 종류의 번호를 판단하고,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에 의하여 증가된 정보 종류의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타 값을 판단하여 제 1 정보 표시수단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The subfunction (disx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number increase / decrease switches S121 and S122 of the first switch means are selected when outputting data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or decreased number through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determine the number of information types increased by the function value of (str)), and determine the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formation types increased by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ad-conv (str)). A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 가능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 5 통신선로(A5)와 제 6 통신선로(A6)의 신호값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The communication device of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gnal values of the fifth communication line (A5) and the sixth communication line (A6) are determined in order to determine a communicable st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를 전송할 때, 메인 제어수단은 제 3 통신선로(A3)를 통하여 인터럽트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리모트 제어수단으로부터 제 4 통신선로(A4)를 통하여 응답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3.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in control means transmits an interrupt request signal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line A3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via the fourth communication line A4.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emot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제어수단은, 상기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인터럽트 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나 수신된 데이타의 종류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 제 2 스위치 수단의 번호 증가 스위치(S211)가 동작하여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증가되면 증가된 번호에 해당하는 종류의 데이타를 제 2 정보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전송하며; 제 2 스위치 수단의 번호 감소 스위치(S222)가 동작하여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가 감소되면, 감소된 번호에 해당하는 종류의 데이타를 제 2 정보 표시수단을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전송하고; 제 2 스위치 수단의 동작 제어 스위치(S21)가 동작하면 동작 제어 스위치(S21)의 동작상태를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 전송하며; 제 2 스위치 수단의 다수개의 동작 선택 스위치(S111∼S115)중에서 선택된 동작 선택 스위치의 상태를 상기 메인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 means, when an interrupt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receives the transmitted data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received data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When the interrupt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or when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eceived data is performed, the number increase switch S211 of the second switch means operates to increase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ting data of the type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d number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and transmitt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trol means; When the number reduction switch S222 of the second switch means is operated to decrease the number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number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and corresponding to the main control means. Send data; When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21 of the second switch means is operated, transmits a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switch S21 to the main control means; And a state of the operation selection switch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on selection switches (S111 to S115) of the second switch means to the main control mea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되는 데이타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타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 있어서, 수신된 데이타가 제 1 정보 표시수단에 출력되는 정보의 실측값일 경우에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제 1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여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제 2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할 수 있는 값으로 환산한 후 제 2 정보 표시수단으로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고,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리모트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데이타가 제 1 정보 표시수단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타일 경우에 서브함수(disxy(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제 1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와 동일하도록 제 2 정보 표시수단으로 해당하는 데이타를 출력하고,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리모트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데이타가 메인 제어수단의 동작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타일 경우에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메인 제어수단의 동작 변화 상태를 제 2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고, 메인 제어수단으로부터 리모트 제어수단으로 전송되는 데이타가 메인 제어수단에서 발생하는 에러 종류의 가변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타일 경우에 서브함수(ad-conv(str))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메인 제어수단에서 발생하는 에러의 종류를 제 2 정보 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제어부의 통신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receiving the transmitted data and determining the type of the received data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the received data is a sub-value when the received data is an actual value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displays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ad-conv (str) by checking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using the function value of the function disxy (str). Is data indicating the type of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after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output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In this case,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is identical to the type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first information display means using the function value of the sub function disxy (str). Change of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means by using a function value of the sub-function (ad-conv (str)) whe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to the remote control means i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in control means. Sub-function (ad-conv (str)) when the data is output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means to the remote control means is data corresponding to a variable state of an error type occurring in the main control means. And a type of error occurring in the main control means to the second information display means by using a function value of?).
KR1019930007859A 1993-05-07 1993-05-07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KR950010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859A KR950010850B1 (en) 1993-05-07 1993-05-07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859A KR950010850B1 (en) 1993-05-07 1993-05-07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50B1 true KR950010850B1 (en) 1995-09-25

Family

ID=1935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859A KR950010850B1 (en) 1993-05-07 1993-05-07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85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8287Y2 (en) I / O circuit
US5761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 network interfacing with automatic receiver node and transmit node selection capability
KR950010850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mote control signals
US5765019A (en) Microcomputer with built-in serial input-output circuit and collision detection circuit responsive to common input-output line being occupied
GB2303519A (en)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254813A (en) Elevat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ystem
US6614889B2 (en) Software controlled switch device
KR100269187B1 (en) Fault detector and the method thereof by interrupt
JP3471914B2 (en) System switching device for optical cable power supply system
KR100259076B1 (en) Ethernet network interface card and method for display to network environment
JPH08191319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0430229B1 (en)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of elevator for communicating among controller, transmitting host and each hall station in series and by wireless
JPH1127340A (en) Communication equipment
JPH0537421A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ransmission line
JPH08288979A (en) Interface changeover method and its device for data transfer device
JP2661583B2 (en) Clock signal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JP3505540B2 (en) Data transfer device
JPH04299458A (en) Information retrieving device
CN113885460A (en) Communication line sequence adjusting device and method, touch screen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JPH0480616B2 (en)
JP2984965B2 (en) Digital controller
JPH02198990A (en) Controller for elevator
JPH02301251A (en) Interface discrimination circuit
JPH0622050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66194A (en) Shear processor for distribution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