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431B1 -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31B1
KR950009431B1 KR1019920024218A KR920024218A KR950009431B1 KR 950009431 B1 KR950009431 B1 KR 950009431B1 KR 1019920024218 A KR1019920024218 A KR 1019920024218A KR 920024218 A KR920024218 A KR 920024218A KR 950009431 B1 KR950009431 B1 KR 95000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elation
processing
data
qu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576A (ko
Inventor
김응하
우왕돈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조백제,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2002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431B1/ko
Publication of KR94001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간의 구성 및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낸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압자 접속 교환 서브시스템(ASS)
200 :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300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에 있어서 시스템 운용저가 운용자용 단말기에서 데이타 베이스를 직접 조작하기 위한 질의어의 사용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환시 시스템에서는 운용자가 운용자용 단말기상에서 데이타 베이스를 구성하는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 릴레이션 데이타의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과 같은 교환기 데이타 운용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운용자로 하여금 교환기데이타를 유지보수 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오류 데이타 운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환기 오동작의 가능성이 있어 교환기 운용의 효율이 떨어졌다. 그래서 교환기 운용의 효율을 높이고자 운용자에게 교환기 데이타 운용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질의어 윈도우의 제공과, 질의어 윈도우를 통하여 처리되는 데이타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철저한 오류 검증을 해 줄 수 있는 질의어 윈도우 처리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TDX-10 교환기에서 시스템 운용자가 운용자영 단말기상에서 데이타베이스를 직접 조작하기 위하여 질의어를 사용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즉 데이타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릴레이션의 생성 및 소멸, 릴레이션 데이타의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과 같은 교환기 데이타 운용시 해당 데이타 운용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 접속 교환 서브시스템(ASS)과, 연결망 서브시스템(INS)과,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과, 상기 각 서브시스템 내장된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질의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질의어 입력 윈도우와 처리 결과를 출력 시켜주는 질의어 출력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후, 새로운 릴레이션을 생성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데이타에 대한 철저한 오류 검증을 수행하면서,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후, 릴레이션에 새로 추가한 데이타 입력을 받고, 입력된 데이타에 대한 오류 검증을 수행하면서 릴레이션 추가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릴레이션 소멸, 변경, 삭제 및 검색 질의요구를 처리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수행후, 질의어 윈도우 처리를 완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는 도면에서와 같이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100), 집중화된 호처리기능 부분을 수행하는 INS(Lnterconnection Subsystem; 200),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300)의 서브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에 대한 질의어 윈도우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인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은 ASS(100), INS(200), CCS(300)에 모든 존재하는데, 각 처리 기능에 따라 DBQG, DBSG, DBBG, DBKG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DBQG(Data Base Query Group)는 운용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타 운용에 따라 적합한 질의어 윈도우 생성 기능, 질의어 윈도우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타에 대한 철저한 오류검증 기능,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의 운용 처리를 위한 정보 구성 기능,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의 운용 처리를 위한 정보 구성 기능, 질의어 처리 결과에 따라 오류 내용 및 결과 내용에 질의어 윈도우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DBSG(Data Base Supporting Group)는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의 운용 처리를 위한 정보를 받아 데이타 베이스내에 생성 및 소멸되도록 요구하는 기능, 릴레이션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을 위한 정보를 받아 데이타 배이스내에서 해당 데이타 처리를 요구하는 기능, 타 프로세서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에 접근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DBBG(Data Base Backup Group)는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에 따른 정보를 디스크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내에 미리 점유해둔 여분의 디스크 영역에 적용시키는 기능,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변경, 삭제에 따른 정보를 디스크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내에 백업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DBKG(Data Base Kernel Group)는 릴레이션 생성 및 소멸 요구를 받아 주 메모리의 데이타 베이스내에 미리 확보해둔 여분의 메모리 영역에서 릴레이션을 생성시키거나 존재하고 있는 릴레이션을 소멸시키는 기능,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변경, 삭제 및 검색 요구를 받아 주 메모리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에서 해당 데이타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미설명된 부호 ASP, INP, NTP, MMP, OMP는 각 서브시스템(100, 200, 300)의 내부 프로세서이다.
제2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질의어 윈도우 처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블럭간의 구성 및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낸 구조도이다.
전전자 교환기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서의 기능에 따라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다른데, MMP(Man-Machine Processor) 프로세서의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DBQG, DBSG, DBKG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고, OMP(Operations and Maintenance Processor) 프로세서의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DBQG, DBSG, DBKG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 프로세서의 데이타의 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DBSG와 DBKG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은 질의어 윈도우 처리를 수행하는 DBQG 블럭이 운용자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입출력 정함(MMI)블럭과 긴밀한 통신을 필요로 하는데 MMI 블럭은 MMP 프로세서에만 존재하기 때문이고, 질의어 윈도우 처리 내용에 따라 디스크 백업을 수행하는 DBBG 블럭은 디스크 접근이 필요한데 디스크는 OMP 프로세서에서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와같은 DBMS 구조를 갖게 된다.
질의어 윈도우 수행을 시작하기 위해서 운용자가 운용자용 단말기로 질의어 윈도우 시작을 요구하는 시작 운용 언어(MML)를 입력하면 MMI 블럭은 MML을 분석한 뒤 DBQG 블럭에게 질의어 윈도우 시작을 요구한다. DBQG 블럭은 질의어 입력 및 출력 윈도우를 생성시키면서 수행을 시작하는데 운용자가 운용자용 단말기의 질의어 입력 윈도우상에서 질의어를 입력하게 되면 DBQG 블럭은 입력된 질의어를 분석하여 분석된 질의어가 릴레이션 윈도우 생성이면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인 릴레이션 정보 윈도우와 애트리뷰트 정보 윈도우를 MMI 블럭을 통하여 운용자용 단말기에 출력을 시켜 운용자로 하여금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하여 운용자가 데이타를 입력하면 데이타에 대해 오류 검증을 한 뒤 오류가 없으면 DBSG 블럭에게 릴레이션 생성 정보를 보내어 릴레이션 생성을 요구한다.
DBSG 블럭은 릴레이션 생성 정보를 받아서 해당 릴레이션을 데이타 베이스내에 처리해 줄 것을 DBKG 블럭에게 요구를 하면 DNKG 블럭은 주 메모리에 있는 1 베이스내의 미리 확보된 여분의 메모리에 요구된 릴레이션을 생성시킨 뒤 CBSG 블럭에게 생성완료를 말한다. 그런다음 DBSG 블럭은 디스크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내의 여분의 영역에도 릴레이션을 생성시켜 줄 것을 DBBG 블럭에게 요구한다. DBBG 블럭은 수행 완료를 DBSG 블럭에게 통보하면 DBSG 블럭은 DBQG 블럭에게 수행 결과를 통보하고 DBQG 블럭은 수행 결과를 운용자용 단말기의 출력 윈도우에 출력을 시킨다.
만약 분석된 질의어가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인 경우는 운용자용 단말기에 릴레이션 추가 윈도우를 MMI 블럭을 통해 생성시킨 다음 운용자가 데이타 입력을 하면 데이타 오류 검증 단계를 거쳐 오류가 없으면 DBSG 블럭을 거쳐 DBKG 블럭에서 주 메모리에 있는 데이타 베이스에 데이타를 추가시키고, 백업이 요구되는 릴레이션 데이타인 경우는 DBSG 블럭은 DBBG 블럭에게 디스크 백업 요구를 하여 백업이 끝나면 수행 결과를 DBQG 블럭에게 통보를 하고 DBQG 블럭은 수행 결과를 운용자용 단말기의 출력 윈도우에 출력시키며 릴레이션 소멸, 릴레이션 데이타 변경, 삭제 및 검색인 경우는 DBQG 블럭에서 바로 DBSG 블럭으로 관련된 정보를 보내 DBKG 블럭 및 DBBG 블럭으로 하여금 수행을 완료시킨 뒤 수행결과를 DBQG 블럭에게 통보하여 운용자용 단말기의 출력 윈도우에 출력하도록 해 운용자에게 교환기 데이타 운용의 편리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철저한 오류 검증을 통해 항상 정확한 데이타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제3도는 전전자 교환시스템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질의어 윈도우 처리는 운용자가 운용자용 단말기에서 질의어 윈도우 시작 운용 언어인 MML을 입력시켜 질의어 윈도우 시작 요구를 하면(1) 질의어 입력 및 출력 윈도우를 생성시켜 수행을 시작한다(2). 운용자가 질의어 입력 윈도우상에서 질의어를 입력하면 입력된 질의어를 이력(history)사용을 위해 버퍼에 저장한 뒤 (3) 질의어를 분석하여(4) 질의어가 릴레이션 생성이면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인 릴레이션 정보 윈도우를 운용자용 단말기에 출력시킨다(5).
그러면 운용자는 릴레이션 정보 항목에 따라 데이타 입력을 하면(6) 입력된 데이타에 대해 오류 검증을 수행하여(7) 오류가 있으면 윈도우상의 오류 출력 영역에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올바른 데이타를 재입력 하도록 하였고(8), 오류가 없으면 애트리뷰트 정보 윈도우를 단말기에 출력시킨뒤(9) 애트리뷰트 정보 항목에 따라 데이타 입력을 하도록 하고(10)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오류 검증을 거쳐(11) 오류가 있으면 오류출력 영역에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데이타를 재입력하도록 하였으며(12), 오류가 없으면 릴레이션 생성을 데이타 베이스내에 처리되도록 요구한뒤(13) 처리가 완료되면(14) 릴레이션 생성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관리하는 정보 테이블에 추가시킨 다음(15)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를 소멸시킨뒤(16) 수행 결과를 출력 윈도우상에 출력시킨다(17).
분석된 질의어가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이면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윈도우를 운용자용 단말기에 출력시킨다(18). 운용자는 윈도우상에 출력된 해당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 정보에 따라 데이타 입력을 하면(19) 입력된 데이타가 해당 애트리뷰트 데이타로 적합한지를 검사하는 오류 검증을 수행하여(20) 오류가 있으면 오류 메시지 출력과 함께 데이타를 재입력하도록 하였고(21), 오류가 없으면 데이타 베이스내에 데이타를 추가하도록 처리를 요구한뒤(22) 처리가 완료되면(23) 프로세서 데이타 추가 윈도우를 소멸 시킨뒤(24) 수행 결과를 출력 윈도우상에 출력시킨다(25).
한편, 상기 질의어 분석 단계(4)의 수행결과, 릴레이션 소멸, 릴레이션 데이타 변경, 삭제 및 검색이면 릴레이션의 소멸의 경우는 직접 데이타 베이스내의 여분의 메모리에 존재하는 해당 릴레이션을 소멸시키도록 처리를 요구하고, 릴레이션 데이타 변경, 삭제 및 검색인 경우는 직접 데이타 베이스내에 해당 데이타를 변경, 삭제 및 검색하도록 처리를 요구한다(26). 처리가 완료되면 수행 결과를 출력 윈도우에 출력하도록 하였다(28).
상기 질의어 분석 단계(4)의 수행결과, 질의어 윈도우 처리를 완료시키는 명령이면 질의어 입력 및 출력 윈도우의 소멸시키고(29), 운용자 터미날에 처리 완료를 출력하고 종료한다(30).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동작하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운용자가 교환기 데이타 운용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질의어 윈도우를 제공하여 교환기 데이타의 유지보수를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오류데이타를 갖고 교환기를 운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교환기의 오동작을 막기 위하여 질의어 윈도우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들에 대해 철저한 오류 검증을 통하여 항상 올바른 교환기 데이타를 갖고 운용될 수 있도록 하여 교환기가 높은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가입자 접속 교환 서브시스템(ASS)(100)과, 연결망 서브시스템(INS)(200)과,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300)과, 상기 각 서브시스템에 내장된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을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질의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질의어 입력 윈도우와 처리 결과를 출력 시켜주는 질의어 출력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1단계(1 내지 4)와, 상기 제1단계(1 내지 4) 수행후, 새로운 릴레이션을 생성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타에 대한 철저한 오류 검증을 수행하면서,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2단계(5 내지 17)와, 상기 제2단계(5 내지 17) 수행후, 릴레이션에 새로 추가할 데이타 입력을 받고, 입력된 데이타에 대한 오류 검증을 수행하면서 릴레이션 추가 윈도우를 처리하는 제3단계(18 내지 25)와, 상기 제3단계(10 내지 25) 수행후, 릴레이션 소멸, 변경, 삭제 및 검색 질의요구를 처리하는 제4단계(26 내지 28)와, 상기 제4단계(26 내지 28) 수행후, 질의어 윈도우 처리를 완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5 내지 17)는,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를 운용자 단말기에 출력시키고 운용자가 릴레이션 정보 항목에 따라 데이타 입력을 하면 오류 검증을 수행한 후, 애트리뷰트 정보 윈도우를 단말기에 출력하고 애트리뷰트 정보 항목에 따른 운용자의 데이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5 내지 19)와, 상기 단계(5 내지 10)수행후, 입력된 데이타에 대해 오류검증을 거쳐 릴레이션 생성을 데이타 베이스내에 처리하도록 요구하고 처리가 완료되면 릴레이션 생성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관리하는 정보테이블에 추가하는 단계(11 내지 15)와, 상기 단계(11 내지 15) 수행후, 릴레이션 생성 윈도우를 소멸시키고 수행결과를 출력 윈도우 상에 출력하고 리턴하는 단계(16, 17)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18 내지 25)는,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윈도우를 운용자용 단말기에 출력시키고 운용자로부터 해당 애트리뷰트 정보에 따른 데이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18, 19)와, 상기 단계(18, 19) 수행후, 입력된 데이타의 오류검증을 거쳐 데이타 베이스내에 데이타를 추가하도록 처리를 요구하고 처리가 완료되면 릴레이션 데이타 추가 윈도우를 소멸 시킨 뒤 수행결과를 출력윈도우 상에 출력하고 리턴하는 단계(20 내지 25)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26 내지 28)는, 릴레이션 소멸인 경우에는 직접 데이타 베이스내의 여분의 메모리에 존재하는 해당 릴레이션을 소멸시키도록 처리를 요구하고, 릴레이션 데이타 변경, 삭제 및 검색인 경우는 직접 데이타 베이스내에 해당 데이타를 변경, 삭제 및 검색하도록 처리를 요구하는 단계(26)와, 상기 단계(26) 수행후, 처리가 완료되면 수행결과를 출력윈도우에 출력하고 리턴하는 단계(27, 28)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 방법.
KR1019920024218A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KR95000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18A KR950009431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18A KR950009431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76A KR940017576A (ko) 1994-07-26
KR950009431B1 true KR950009431B1 (ko) 1995-08-22

Family

ID=1934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218A KR950009431B1 (ko) 1992-12-14 1992-12-14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201B1 (ko) * 1997-12-26 2002-08-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교환기의운용보전인터페이스에서데이터베이스질의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576A (ko)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965B1 (en) Centralized affinity maintenance in a workload managed client/server data processing system
JPH04229344A (ja) 持続性があり再起動可能なカーソルを用いた順次バッチ・アプリ       ケーション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
JPH0667951A (ja) 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
WO2016192496A1 (zh) 数据迁移处理方法及装置
KR950009431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질의어 윈도우 처리방법
JPH02292641A (ja)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
JPH07141237A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制御装置
WO2024029534A1 (ja) Rdbに関する処理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キャッシュサー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95001048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분산릴레이션의 생성에 대한 데이타베이스 스키마 관리방법
KR95001048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복 릴레이션의 생성에 대한 데이타 베이스 스키마(Schema)관리 방법
KR950010486B1 (ko)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의 데이타 메모리 관리방법
KR100501904B1 (ko) 객체 식별자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복제화 및 동기화 방법
KR0126089B1 (ko) 분산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에서의 원격 릴레이션에 대한 록 처리 방법
KR100218723B1 (ko)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대화형 질의어 관리방법
KR100240642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를 위한 파일 병행 접근 제어 방법
KR100198440B1 (ko) 메모리-상주 객체지향 디.비.엠.에스에서 메소드 인덱싱 방법 및동적 변경-전파 방법
KR940007841B1 (ko) 실시간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팀(DBMS)에서의 퀵-해쉬(quick-hash)검색방법
KR100228548B1 (ko) 지리정보 시스템용 시간지원 데이타베이스 관리 장치
KR93001095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dbms에서 가상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타 베이스 접근방법
JPH01120621A (ja) データベースの検索・更新方式
JPH0962554A (ja) 静止点セーブ作成方式
JPH01187632A (ja) 分散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の問合せ処理方式
JP3383527B2 (ja) 言語処理システム
JPH0916611A (ja) データベース制御方法及び装置
JP3006311B2 (ja) ネットワーク構成変更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