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051B1 -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051B1
KR940009051B1 KR1019860010289A KR860010289A KR940009051B1 KR 940009051 B1 KR940009051 B1 KR 940009051B1 KR 1019860010289 A KR1019860010289 A KR 1019860010289A KR 860010289 A KR860010289 A KR 860010289A KR 940009051 B1 KR940009051 B1 KR 94000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channel
voltage
encrypto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575A (ko
Inventor
알.리쉘 캐네스
히브럭 스티브
Original Assignee
오디오-테크니카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알. 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디오-테크니카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죤 알. 켈리 filed Critical 오디오-테크니카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괄적인 블록선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해독기 회로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 세부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암호기 회로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 세부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해독기 회로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세부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암호기 회로의 또다른 특정 실시예를 설명한 세부 개략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암호기 및 해독기의 또다른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세부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보조송화기 14 : 송화기
16 : 보조헤드폰 20 : 해독기
30 : 암호기 40 : 믹서(mixer)
56,82 : 전위차게 58,88 : 와이퍼(wiper)
60 : 결합콘덴서 64 : 고 이득 증폭기회로
65 : 전압 전원입력 71 : 전지
86 : 입력잭 112 : 보호회로
124 : 중신(重信)선택스위치 130 : 변압기
본 발명은 듀플렉스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준의 이선식 언더시일드(undershield) 송화 케이블에서의 전 듀플렉스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 및 음반 산업분야에 있어서, 원격한 송화기 위치와 제어 중심 사이에 전 듀플렉스 통신 능력을 가짐이 매우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원격한 위치로부터 생생한 방송을 하기 위해 송화기가 리포터에 의해 사용되는 전형적인 방송의 상황에서 리포터는 송화기에 말을 하고 신호가 차폐된 두 도선에 의해 믹서로 보내어진다. 믹서는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전화선 또는 RF 전송에 의해 방송시설로 보낸다. 이같은 상황에서 리포터는 언제 그가 방송중에 있는지 또는 제작자/연출가가 그에게 어떤 지시를 하려하는지 아니면 스튜디오에 있는 아나운서가 리포터에게 질문하려하는지를 알길이 없다. 따라서 이선식통신은 추가선로의 필요없이 제어중앙으로부터 쿠유신호 또는 지시 또는 다른 통신과 같은 반송신호를 허용시킴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도 추가 통신선로에 따른 여분의 비용이 금지된 전 듀플렉스 통신이 바람직한 여러 경우가 있다.
종전기술에서 전 듀플렉스 통신을 달성시키는 한 해결책은 두개의 분리 전도선을 사용하여 반송(return)통신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접근은 비쌀뿐더러 RF 링크의 경우에서는 바람직하지도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두 차례표준 도선 송화기 케이블을 통한 신규의 전 듀플렉스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차폐를 접지로 사용하여 두 도선 차폐송화 케이블을 통해 공통-모드(common-mode)신호를 주사시키는 전 듀플렉스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전 듀플렉스 통신 장치는 두 도선 차폐 통신 채널의 제1 및 제2끝단 사이에서 동시에 두 방향으로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장치는 요구되는 신호를 제1끝단에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에 평형이음시키고 통신 채널 차폐를 접지로 사용하며, 이에 따라 공통모드 신호를 통한 채널의 제2끝단으로 전송시키기 위해 한 단부에 암호기를 포함한다. 통신 채널의 다른 한단부에는 필요한 신호를 회복시키기 위해 공통모드 신호를 해독하며, 동시에 송화기 신호를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을 통하여 제1끝단으로 잇기 위한 해독기가 통신 채널의 다른 한 끝단에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신규의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10)을 설명하는 개괄의 블록선도로서, 단일의 두 도선 차폐 송화기 케이블(22)를 통해 동시에 양방향으로의 통신을 제공한다. 이같은 장치는 제1끝단에서의 송화기(4)가 그 자신의 신호를 한방향으로 전송시키고 있는 동안에도 보조송화기(12)와 같은 어떠한 발생점으로부터 통상 차폐된 두 도선 송화기 케이블의 제1끝단으로의 토오크백(talkback) 신호 전송을 허용시킬 수 있다. 77dB을 초과하는 신호분리가 획득될 수 있다.
동작시에 송화기(14)는 조작자(예를 들어 아나운서)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사용되며, 이같은 신호는 송화기 케이블을 통하여 해독기(20)로 연결되고, 이같은 해독기가 전송을 위해 신호를 통상 두 도선 차폐 송화기 케이블(22)에 연결시킨다. 해독기(20)는 케이블(15)의 필요를 없애기 위해 송화기(14) 하우징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화기(14)로부터의 신호는 케이블(22)를 위해 수신단부에 위치하는 암호기(30)로 전송되며, 암호기가 케이블(32)을 통하여 신호를 예를 들어 자동차 방송스튜디오, 아나운서실 또는 주 스튜디오에 위치하는 통상의 믹서(40)로 연결시킨다. 암호기(30)은 케이블(32)의 필요를 제거시키기 위해 믹서(40)내에 일원화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22)가 송화기(14)로부터 신호를 전송시키도록 사용되는 동안은 케이블(22)을 통한 송화기(14) 아나운서와의 어떠한 통신도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듀플렉스 통신장치(10)을 사용하게 되면 송화기(12)(즉 토오크백 송화기)로부터의 토오크백 신호 또는 단순히 큐신호가 암호기(30)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암호기는 평형 입력으로 케이블(22)을 통하여 공통-모드 신호로 이같은 신호를 주사시키어 신호를 해독기(20)로 전송시킨다. 해독기(20)는 공통모드 신호를 탐지(즉 해독)하며 증폭된 신호를 송화기(14)를 사용하는 아나운서에 의해 보통 착용되는 한쌍의 보조이어폰 또는 수화구(受話口)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아나운서가 송화기(14)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도 추가 비용의 통신선을 요구하지 않은 가운데 아나운서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송화기(12)를 사용하는 연출가는 케이블(22)을 통하여 지시사항을 전달할 수 있으며, 믹서(40)로의 입력(42)을 갖는 또다른 송화기 사용의 방송 스튜디오(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아나운서가 케이블(22) 다른 끝단에 있는 아나운서와 통신할 수도 있다. 믹서(40)의 출력(44)은 통상의 출력으로 비디오 테이프, 필름, 등등으로 방송, 기록 상영된다. 또한 믹서(40)의 출력(46)은 추가의 헤드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스튜디오 아나운서, 연출가 등등이 전송된 신호를 모니터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같은 신호의 일부는 도선(48)을 통하여 암호기(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도의 장치는 두 도선을 갖는 단일의 차폐 송화기 케이블을 통해 동시에 양방향으로의 통신을 위한 값싼 장치를 허용한다. 이같은 장치는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한 곳에 위치하는 방송 거치(据置) 또는 동시 번역 장치의 간이(簡易) 배선에서의 아나운서와의 이선식 통신에서 번역될 자료를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송화기를 통해 번역되어질 대화가 번역기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는 이같은 장치에서 입력신호는 추가 전선의 필요없이 입력신호가 참가자에게 전송되는 간이전화 회의장치, 스테이지 큐 및 인터콤정보가 송화기용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케이블을 통하여 연주대로부터 보내어질 수 있고, 따라서 추가 선로의 필요를 제거하는 극장식 통신장치 등이 있다. 또한 통신장치(10)은 제1도에 도시된 구성의 암호기(30) 및 해독기(20)에 의해 기존장치에 용이하게 일원화된다.
제2도를 보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해독기(20)의 세부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송화기 케이블(15, 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도선(51, 52)과 전도성 차폐(54)를 비교한다. 송화기(14)로부터의 신호는 통상의 방법으로 도선(51, 52)을 가로질러 연결되며, 믹서(40)(제1도 참조)를 향하여 케이블 하향으로 전송된다. 해독기(20)에서 전위차게(56)는 도선(51, 52)을 가로질러 연결되며, 와이퍼(58)가 결합콘덴서(60)을 통하여 고 이득 증폭기회로(64)(예를 들어 시그네틱스(signetics)사에 의해 제조되는 LM386 또는 OM200/62의 보청기 증폭기)로 연결된다. 증폭기(64)는 콘덴서(70) 및 (68), 접지접속(66)을 포함한다. 접지기준은 차폐(54)로의 연결에 의해 제공되며 전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64)의 전압 전원입력(65)에 연결된 전지(71)에 의해 제공된다. 증폭기(64)의 출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저항기-콘덴서 네트워크(74)와 함께 필터링(filtering)을 제공하는 결합콘덴서(62)를 통하여 보조헤드폰(16)에 연결된다. 따라서 해독기회로(20)는 접지기준으로 차폐(54)을 사용하여 케이블라인(52, 51)에 적용되는 공통-모드 토오크 백신호를 탐지하고 증폭하며, 탐지된 신호를 이어폰(16)으로 적용시킨다. 제2도의 실시예는 케이블(22)을 통하여 공통모드 신호를 해독하도록 만들어진 여러 회로 배치중의 하나이다.
실시예의 또다른 배치를 설명하는 세부 개략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같은 배치는 전지가 사용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같은 배치는 공통모드의 DC 전압(중신(重信)전력 : phantom power)이 토오크백 신호에 추가하여 접지기준으로 차폐를 사용하여 믹서끝단에서 케이블에 적용되는 때 사용된다. 제2도에서와의 가장 큰 차이는 케이블을 통한 DC 전압이 저항기(76, 78)를 통하여 도선(51, 52)으로부터 연결되며, 바이패스콘덴서(80)에 의해 필터되며 증폭기(64)의 전압 전원입력(65)에 적용된다. 따라서 사실 공통모드 DC 전압은 공통모드 형태로 적용된 DC 전압을 해독기(20)뿐 아니라 중신 전력을 필요로 하는 송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안 변조된다.
이제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기(30)의 세부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처럼, 송화기케이블(22)는 두개의 도선(51, 52)과 하나의 전도성 차폐(54)를 포함한다. 도선(51 및 52)을 통한 송화기(14)로부터의 신호는 암호기(30)를 통과하여 장치에서처럼 믹서(제1도 참조)로 바로 보내어진다. 암호기(30)는 케이블(22)에 접속되며, 도선(51 및 52)을 가로질러 전위차게(82)를 연결시키고(중앙에 접속된 변압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84)가 저임피던스 송화기를 위해 입력잭(86)에 연결된다. 이같은 입력잭(86)은 송화기(12)가 잭(86)내로 밀어넣어지는 때 보조송화기(12)(즉 토오크백 송화기)가 와이퍼(84)에 연결되고, 그리고 송화기가 잭(86)내로 밀어넣어지지 않는 때 전위차게(90)의 와이퍼(88)가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전위차게(90)은 도선(48)을 통하여(제1도 참조) 믹서 헤드폰의 출력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송화기가 콘센트에 끼워지는 때 개별통신(참고번호(14)에서 참고번호(40)으로의 정상통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이 공통모드 방법에 의해 케이블(22)을 통해 주사될 수 있으며, 송화기(14)에서의 아나운서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이같은 신호는 공통모드(즉 인페이스(in phase))로 두 도선(51, 52)에게 균등하게 주사되며, 이같은 평형입력은 최소신호(즉 영신호)가 믹서에게 얻어지는 때까지 전위차게(82)로 그 평형을 조절하므로써 또는 매우 정확히 중앙에 접속된 변압기를 사용하여 적용되어진다. 결과로서, 두 신호가 거의 같은 수준에 있는 때 획득가능한 신호분리는 믹서입력 단계의 공통모드 거절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다. 송화기가 콘센트에 끼워지지 않는 때 각 끝단에 있는 아나운서(즉 송화기(14)와 예를 들어 입력(42)에 연결될 수 있는 스튜디오 아나운서 송화기)는 라인(48)을 통하여 믹서(40)로부터 헤드폰 급송(給送)의 수준을 조절하도록 사용되는 전위차게(88)로 서로간에 통신할 수 있다. 차폐도선(54)는 접지기준을 제공하며, 제3도의 실시예는 통신 채널로 토오크백신호를 주사시키기 위해 만들어질 수 있는 많은 회로배열중 유일한 것이다.
또다른 회로 배열을 설명하는 세부 개략도가 제5도에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는 입력잭(86)으로부터 토오크백신호의 평형된 주사를 제공하고 주 송화기 신호를 믹서에 연결시키기 위해 중앙에 접속된 변압기(9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도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능하다. 추가로, 케이블의 다른 한끝단에 있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DC 전압(예를 들어 9-50볼트)은 접지기준으로 가능하는 차폐(54)와 함께 믹서(40)로부터 도선(51, 52)으로 연결된다. 이같은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케이블을 통하여 공통모드 변조의 DC 전압을 사용하며, 이같은 구성은 케이블(22)에서 DC 전압을 사용하는 제4도의 해독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6도에는 제1도에서의 암호기(20)와 해독기(30)의 또다른 선택 실시예가 상세한 개략도로 설명된다. 해독기(20)의 이같은 실시예는 변압기(110)가 송화기라인(51, 52)로부터의 신호를 증폭기(64)에 연결시키므로써 제4도의 결합콘덴서(60)를 대체시키도록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와 기능이 제4도의 실시예에서와 같다. 증폭기(64)는 세개의 트랜지스터로 되어있는 고 이득 증폭기이며, 통상의 보호회로(112)가 공급전원을 9v로 제한하도록 제공된다. 추가로, 제4도의 전위차게(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저항기(114 및 116)으로 대체되며, 이득 스위치(120)가 다양한 이어폰 또는 수화구를 수용하도록 고 또는 저 이득의 선택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제6도의 암호기(30)는 구조와 기능면에서 중앙에 접속되는 변압기(92)를 사용한 제5도 실시예와 비슷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된 증폭기는 토오크백 송화기 신호의 분리 및 증폭을 제공하며, 선택스위치(124)가 내부 전지 전력 또는 중신 전력의 선택을 허용한다. 추가로, 선택스위치(126)는 변압기(130)를 통하여 연결된 토오크백 신호로 토오크백 또는 라인 모니터 모드의 선택을 허용한다.
신규의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목적으로 실시된 것으로, 여러 각도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변경된 실시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로서 가능해지며, 또한 본 발명은 실시된 특정 실시예로 한정될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경이 본 발명에 의해 보호됨을 밝혀둔다.

Claims (13)

  1. 두 도선 차폐의 통신 채널 제1 및 제2끝단 사이의 동시 양방향 신호전송을 제공하기 위한 전 듀플렉스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접지기준으로 통신 채널 차폐를 사용하여 제1끝단에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으로 토오크백 신호를 평형되게 결합시키므로써 통신 채널의 제2끝단으로 공통모드 신호를 전송시키기 위한 암호기 수단, 토오크백 신호를 회복시키기 위해 공통모드 신호를 해독하고 동시에 제1끝단으로의 전송을 위해 통신 채널의 두 도선을 가로질러 송화기 신호를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 채널의 제2끝단에 연결된 해독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 듀플렉스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해독기 수단이 자체내 포함된 전력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암호기 수단의 필요한 신호가 변조된 DC 전압이며 해독기 수단이 변조된 DC 전압으로부터 전력을 끌어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암호기 수단이 통신 채널 도선으로 토오크백 신호 결합의 평형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해독기 수단이 회복된 토오크백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해독기 수단이 고 이득 증폭기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암호기 수단이 토오크백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송화기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암호기 수단이 토오크백 신호를 통신 채널로 연결시키도록 중앙에 접속된 변압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암호기 수단이 접지기준으로 통신 채널의 차폐를 사용하여 DC 전압을 통신 채널의 두 도선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 및 제2끝단을 갖는 두 도선 차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동시에 양방향으로의 신호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끝단으로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제2끝단에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을 가로질러 연결시키는 단계, 접지기준으로 차폐를 사용하여 제2끝단으로의 전송을 위해 토오크백 신호를 제1끝단에서 공통모드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에 균등하게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접지기준으로 통신 채널의 차폐를 사용하여 제1끝단에서 DC 전압을 공통모드로 통신 채널의 두 도선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의 제2끝단에서 DC 전압을 추출하고 공급전압으로 DC 전압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토오크백 신호의 평형된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 두 두선으로의 토오크백 신호 결합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010289A 1986-03-11 1986-12-02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KR940009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8,587 1986-03-11
US06/838,587 US4691349A (en) 1986-03-11 1986-03-11 Duplex microphone communication system
US838587 1986-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575A KR870009575A (ko) 1987-10-27
KR940009051B1 true KR940009051B1 (ko) 1994-09-29

Family

ID=2527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289A KR940009051B1 (ko) 1986-03-11 1986-12-02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91349A (ko)
EP (1) EP0236627A3 (ko)
JP (1) JPS63206033A (ko)
KR (1) KR940009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43950A1 (de) * 1993-12-22 1995-06-29 Hessischer Rundfunk Anstalt De Schaltungsanordnung zur Zweifachausnutzung einer einpaarigen geschirmten Leitung
US20130103406A9 (en) * 2010-04-26 2013-04-25 David Hilderma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balanced microphone cable
CN104641427B (zh) * 2012-09-19 2017-05-24 高通股份有限公司 以太网中的高阶多输入多输出
US10470180B2 (en) 2018-01-24 2019-11-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Wireless micropho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96523A (fr) * 1953-12-18 1955-06-21 Electronique & Automatisme Sa Liaison téléphonique bilatérale perfectionnée
JPS5225048B2 (ko) * 1971-12-15 1977-07-05
US3775561A (en) * 1972-01-21 1973-11-27 Wisconsin Alumni Res Found Wide-band transmission line directional coupler
US3983323A (en) * 1973-09-24 1976-09-28 Sperry Rand Corporation Full-duplex digital transmission line system
JPS5222806A (en) * 1975-08-15 1977-02-21 Hitachi Ltd Signal conducting method
US4006310A (en) * 1976-01-15 1977-02-01 The Mosler Safe Company Noise-discriminating voice-switched two-way intercom system
US4173714A (en) * 1977-06-03 1979-11-06 Tie/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circuit with combined power feed and data transmission over a phantom channel
US4598396A (en) * 1984-04-03 1986-07-01 Itt Corporation Duplex transmission mechanism for digital tele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91349A (en) 1987-09-01
KR870009575A (ko) 1987-10-27
EP0236627A2 (en) 1987-09-16
JPS63206033A (ja) 1988-08-25
EP0236627A3 (en) 198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7374A (en) Modem telephone interface circuit
US5929896A (en) RF broadcast system utilizing internal telephone lines
US4491694A (en) Telephone to stereo amplifier interface coupling
US7068682B2 (en) Signal distribution within customer premises
GB2079110A (en) Microphone arrangements
JPH05502563A (ja) 広帯域振幅変調無線周波信号を光リンク上で伝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4723293A (en) Hearing aid apparatus
US3975594A (en) Apparatus utilizing a phantom circuit for connecting additional subscribers to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940009051B1 (ko) 듀플렉스 송화기 통신장치
JPS61172475A (ja) 会議用の完全デユープレツクス電話
US6072363A (en) Facility for combining and amplifying two broadband signals
US4993060A (en) Portable device for use by a news reporter
US5483371A (en) Lightwave distribution system for audio and video services and terminal equipment therefor
US4358644A (en) Bilateral current source for a multi-terminal intercom
JPH10174084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
US3147345A (en) Gain selective telephone set
US3818140A (en) Telephone line receiver and transmitter
JP2673598B2 (ja) 映像信号伝送方式
KR0124857Y1 (ko) 무선 마이크 장치
US20060248566A1 (en) Amplifier for use with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gnal
CA1101074A (en) System for transmitting service communications
KR100308336B1 (ko) 전화음성녹음장비용 전화 송수신음량조절장치
GB2180121A (en) A portable device for use by a news reporter
JPS62151088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用保安器
JPH01138851A (ja) 加入者線多重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