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23Y1 -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23Y1
KR940003723Y1 KR2019890020906U KR890020906U KR940003723Y1 KR 940003723 Y1 KR940003723 Y1 KR 940003723Y1 KR 2019890020906 U KR2019890020906 U KR 2019890020906U KR 890020906 U KR890020906 U KR 890020906U KR 940003723 Y1 KR940003723 Y1 KR 940003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frequency
control unit
amplitude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213U (ko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0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723Y1/ko
Publication of KR910013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형발생기 2 : 파형발생회로
3 : 비교증폭기 4 : 교류버퍼회로
5 : 증폭기 6 : 안정화회로
7,8 : 스텝모터(Step Motor) 9 : 제어부
10,12,13 : 버퍼회로 11 : A/D(Analog/Digital)변환기
14,15 : 표시장치 16 : 발진회로
17 : 리셋버턴 18 : 시작버턴
19 : 주파수조절버턴 20 : 진폭조절버턴
R1-R4: 저항 VR1-VR2: 가변저항
C1-C4: 콘덴서 Q : 트랜지스터
D1-C2: 다이오드 21 : 주파수 형태선택 버턴
본 고안은 펄스(사인파, 구형파, 삼각파)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침 마이크로 컴퓨터(onc Chip M-computer)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의 제어로서 스텝모터를 구동시켜 항상 원하는 주파수 및 진폭을 갖는 펄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제품의 측정이나 장비 또는 전자부품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측정조건, 그 중에서도 특정 파형을 공급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펄스공급장치는 기존의 파형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또는 그때의 주파수 값을 디스플레이 되게 하는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파형발생회로의 내부저항이나 외부잡음으로 인해 출력펄스가 정밀성이 결여됨으로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와 진폭을 가변할 수 없어 다양한 측정조건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형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각종 파형을 교류버퍼회로를 거치게 하여 안정된 펄스를 출력케 하는 한편 이때의 주파수 값과 진폭을 수치로 표시되도록 하되 조절버턴으로 스텝모터을 가동시켜 주파수 및 진폭이 가변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측정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펄스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의 파형을 출력하는 파형발생회로(2)를 안정화 회로(6) 및 A/D변환기(11)와 버퍼회로(10)를 거쳐 제어부(9)에 인가하고 제어부(9)에서 다시 버퍼회로(12)(13)를 통하여 주파수 및 진폭값을 표시장치(14)(15)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통상의 펄스공급장치에 있어서 파형발생회로(2)와 안정화 회로(6) 사이에 비교증폭기(3)와 저항(R1)(R2) 및 콘덴서(C1)(C2)로 이루어진 교류버퍼회로(4)를 매개하여 출력파형을 인출토록 하는 한편 제어부(9)의 주파수 조절버턴(19)과 진폭조절버턴(20)에 의해 스텝모터(7)(8)를 동작시켜 가변저항(VR1)(VR2)을 변화시키되 스텝모터(7)와 제어부(9) 사이에 트랜지스터(Q)를 접속하여서된 스텝모터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인 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발진회로, 17은 리셋버턴, 18은 시작버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9)의 시작버턴(18)를 누르면 발진회로(16)에 의해 동작하게 되어 각 버퍼회로(10)(12)(13)를 이네이블 상태로 만들게 된다. 한편 파형발생기(1)에서 출력되는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 등 내부저항 또는 외부영향으로 잡음이 포함된 펄스는 입력임피던스가 매우 높은 비교증폭기(3)를 거침으로서 완충작용을 갖는 교류버퍼회로(4)에 의해 안정된 펄스를 각종 필요한 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 선택은 제어부(9)에서 선택스위치(21)에 따라 구동하며 이때 교류버퍼회로(4)의 출력펄스는 증폭기(5)에서 증폭된 후 다이오드(D1)(D2)에 의해 정류 및 안정화되어 A/D변환기(11)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A/D변환기(11)에서는 제어부(9)가 판독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전환한 후버퍼회로(10)를 통하여 제어부(9)의 데이타 버스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제어부(9)는 이의 데이타의 읽은 값 즉 교류버퍼회로(4)의 출력펄스인 주파수값과 진폭을 연산한 후 버퍼회로(12)(13)를 거쳐 표시장치(14)(15)에 각각 수치로 디스플레이 되는데 표시장치(14)(15)에 나타난 주파수값과 진폭을 공급대상에 따라 변화시킬 경우 주파수 조절버턴(19)과 진폭조절버턴(20)을 조정하면 제어부(9)에서 트랜지스터(Q)를 구동시켜 스텝모터(7)(8)를 동작하게 되어 가변저항(VR1)(VR2)값을 변화되도록 만든다. 따라서 파형발생기(1)에서 출력되는 파형의 주파수 값은 가변저항(VR1)으로 진폭은 가변저항(VR2)에 의해 각각 조정되어 교류버퍼회로(4)에서 완충작용을 거친 후 출력됨과 동시에 안정화 회로(6)를 거쳐 A/D변환기(11)로 입력되어져 파형의 변화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값으로 변화하고 버퍼회로(10)를 거쳐 제어부(9)에 전달되어 이의 신호를 판독한 후 버퍼회로(12)(13)에서 표시장치(14)(15)를 구동시킬 수 있는 데이타로 변환시켜 출력파형의 주파수 값은 표시장치(14)에 또한 진폭값은 다른 표시장치(15)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며 적정한 값을 가질때 주파수 조절버턴(19)과 진폭조절버턴(20)을 오프시키면 제어부(9)는 스텝모터(7)(8)를 정지케하여 가변저항(VR1)(VR2)이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서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안정된 파형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파형발생회로(2)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사인파, 구형파, 톱니파)를 교류버퍼회로(4)를 거치게 하여 안정되게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파수 시작버턴(18)과 주파수 조절버턴(19)과 진폭 조절버턴(2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9)에서 스텝모터(7)(8)를 구동케하여 주파수 및 진폭을 폭넓게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측정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의 파형을 출력하는 파형발생회로(2)를 안정화회로(6) 및 A/D변환기(11)와 버퍼회로(10)를 거쳐 제어부(9)에 인가하고 제어부(9)에서 다시 버퍼회로(12)(13)를 통하여 주파수 및 진폭값을 표시장치(14)(15)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통상의 펄스공급장치에 있어서 파형발생회로(2)와 안정화 회로(6) 사이에 비교증폭기(3)와 저항(R1)(R2) 및 콘덴서(C1)(C2)로 이루어진 교류버퍼회로(4)를 매개하여 출력파형을 인출토록 하는 한편 제어부(9)의 주파수 조절버턴(19)과 진폭조절버턴(20)에 의해 스텝모터(7)(8)를 동작시켜 가변저항(VR1)(VR2)을 변화시키되 스텝모터(7)와 제어부(9) 사이에 트랜지스터(Q)를 접속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모터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KR2019890020906U 1989-12-30 1989-12-30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KR940003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906U KR940003723Y1 (ko) 1989-12-30 1989-12-30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906U KR940003723Y1 (ko) 1989-12-30 1989-12-30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213U KR910013213U (ko) 1991-07-30
KR940003723Y1 true KR940003723Y1 (ko) 1994-06-07

Family

ID=1929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906U KR940003723Y1 (ko) 1989-12-30 1989-12-30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7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213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517A (ko) 전열기구의 정전력공급장치
KR940003723Y1 (ko) 스텝모터 구동에 의한 펄스공급 장치
US2980853A (en) Component output characteristic tracer
US4143318A (en) Wide range digital meter
JP2931594B2 (ja) ブザー駆動回路
JP2005091206A (ja) パルス時間幅測定装置及びパルス時間幅測定方法
KR0116804Y1 (ko) 삼각형태의 파형 발생회로
KR950008032Y1 (ko) 위상 제어 회로
KR950000243B1 (ko) 원칩 컴퓨터(One-Chip Computer)를 이용한 파형발생장치
KR940002132B1 (ko) 전자악기의 리듬템포 조정회로
KR950014880B1 (ko) 위상제어방식에 의한 모터 구동회로
KR900005306Y1 (ko) 부품의 전압, 전류 특성 검사회로
US4277747A (en) Wide range digital meter
KR940000207B1 (ko) 전자펌프 기능시험시 펄스발생회로 및 온타임(ontime)측정장치
KR950008287Y1 (ko) 전자조리기의 에너지 제어회로
KR950000961Y1 (ko) 펄스폭 변조방식을 이용한 선풍기의 풍량 제어장치
KR900001513Y1 (ko) 에코믹서의 지연시간 측정회로
KR970006382B1 (ko) 전자가변저항기(evr)를 사용한 전자회로의 메모리데이타 자동기억장치
KR890007397Y1 (ko) 펄스발생회로
SU433400A1 (ko)
KR940000875Y1 (ko) 인버터의 목표주파수 도달회로
JPS6346816Y2 (ko)
KR920007171B1 (ko) 키보드에 의한 액정판넬의 휘도 조절회로
SU8302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ВРАщЕНи
SU96493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скорост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