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610B1 -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 Google Patents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610B1
KR940002610B1 KR1019910012492A KR910012492A KR940002610B1 KR 940002610 B1 KR940002610 B1 KR 940002610B1 KR 1019910012492 A KR1019910012492 A KR 1019910012492A KR 910012492 A KR910012492 A KR 910012492A KR 940002610 B1 KR940002610 B1 KR 94000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signal
output
luminance
color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3788A (en
Inventor
야스시 다까기
다꾸야 이마이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도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White balance control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화이트 검출기의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of the white detector of FIG.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촬상소자 2 : 색분리기1 imaging device 2 color separator

11 : WB 매트릭스 71,72 : 게이트 회로11: WB matrix 71, 72: gate circuit

81,82 : 적분기 91,92 : 비교 증폭기81,82: integrator 91,92: comparison amplifier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등의 촬상장치용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의 색온도가 변화할 때에 안정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기능을 실행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for an imaging device such as a video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a stable white balance control function when the color temperature of a light source changes.

상술한 종류의 종래장치는 미국 특허 4,797,733호에 대응하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63-219291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실행한 후에 색차신호(또는 색차신호를 연산한 신호의 진폭에 대해 고정된 임계값을 사용하는 화이트 추출처리를 실행할 수 있었다.The conventional apparatus of the above-described type is fixed to the color difference signal (or the amplitude of the signal whose color difference signal is calculated) after the white balance adjustment,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219291 corresponding to US Patent No. 4,797,733. It was possible to run a white extraction process that uses the specified threshold.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화이트 밸런스를 달성한 상태에서의 유채색 부분의 채도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조명의 색온도 상태에 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았다.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ttention is paid only to the saturation of the chromatic color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white balance is achieved, and no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color temperature state of the illumination.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화면의 화이트 비율에 대한 자동노출제어특성 또는 촬상소자의 감도에 대해서는 그다지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았고, 그의 관점에서 검출 레벨은 촬영하는 피사체 또는 조도에 따라 때때로 부적절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characteristic for the white ratio of the screen or the sensitivity of the image pickup device is not considered very much, and from that point of view,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ction level is sometimes inappropriate depending on the subject or illuminance to be photograph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채도에 관한 정보와 조명의 색온도 또는 조정된 화이트 밸런스의 상태를 조합하는 것에의해 화이트 추출시의 안정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a stable range at the time of white extraction by combining information about the saturation of a subject with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illumination or the state of the adjusted white bal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사체의 촬영조건의 변화에 대응하는 모든 시간에서 정확한 화이트 추출을 달성할 수 있는 화이트밸런스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accurate white extraction at all times corresponding to changes in photographing conditions of a subje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이트로 간주되는 범위(색상, 채도)를 조명의 색온도 또는 화이트 밸런스의 제어상태에 따라서 적용시키도록 하였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nge (color, saturation) regarded as white is adapted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illumination or the control state of the white balan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화이트로 간주되는 범위(농담, 명암)를 촬영화면등의 휘도 분포에 따라서 적응시키도록 하였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light and dark) considered to be white is adapt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or the like.

달성된 화이트 밸런스의 초기상태에 대해서 화이트 추출범위가 결정될 때, 화이트로 간주되는 채도의 범위는 항상 일정하지만, 화이트등의 색온도의 변화를 고려하면, 상기 범위는 조정된 상태 또는 화이트 밸런스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예를들면, 초기상태가 5000°K로 설정되는 것에 따라서 10000°K까지의 색온도를 화이트로 간주하도록 설정할 때, 화이트 밸런스가 8000°K에서 달성되면, 20000°K에서도 화이트로 간주되고, 반대로 낮은 색온도쪽의 추출범위는 더 좁아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된 상태에 따라서 화이트 추출범위를 시프트할 수 있다. 특히, 화이트 밸런스가 더 높은 색온도에서 달성될때, 예를들면 화이트 추출범위가 적색방향(R-B 축에 따른 정방향)으로 확대되고, 화이트 추출범위가 청색방향(R-B 축에 따른 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제어가 실행된다.When the white extraction range is determined for the initial state of the white balance achieved, the range of saturation considered to be white is always constant, but considering the change in color temperature such as white, the range changes according to the adjusted state or the white balance. Done. For example, when setting the color temperature up to 10000 ° K to be considered white as the initial state is set to 5000 ° K, if the white balance is achieved at 8000 ° K, it is also considered white at 20000 ° K and vice versa. The extraction range toward the color temperature is narrower. 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hift the white extraction range according to the adjusted state of the white balance. In particular, when white balance is achieved at a higher color temperature, for example, the white extraction range is expanded in the red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long the RB axis), and the white extraction range is controlled in the blue direction (negative direction along the RB axis). Is executed.

반대로, 화이트 밸런스가 더 낮은 색온도에서 달성될 때, 화이트 추출범위가 적색방향(R-B 축에 따른 정방향)으로 좁아지고, 화이트 추출범위가 청색방향(R-B 축에 따른 부방향)으로 확대되도록 제어가 실행된다.Conversely, when white balance is achieved at a lower color temperature, control is executed so that the white extraction range is narrowed in the red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long the RB axis) and the white extraction range is expanded in the blue direction (negative direction along the RB axis). do.

상술한 구성에 의해, 화이트 추출의 대상으로서의 색온도의 범위를 촬영 또는 슈팅(shooting)시의 조명의 색온도(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상태)로 적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더 안정하고 더 엄밀한 화이트 추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dapt the range of the color temperature as the object of white extraction to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illumination (adjustment state of the white balance) at the time of shooting or shooting. Therefore, more stable and more precise white extraction can be achieved.

일반적으로, 피사체의 화이트 부분은 유채색 부분보다 반사율이 높다. 그러므로, 화이트 부분과 채색 부분이 혼재할 때, 비교적 고휘도의 부분을 화이트로 간주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체 화면의 평균 휘도를 임계값으로 사용해서 임계값보다 높은 휘도를 갖는 부분에 대해서 화이트를 추출한다. 따라서, "비교적"고휘돌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체 화면의 휘도 변동이나 규정의 휘도가 불충분한 조명때문에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서도 안정한 검출을 달성할 수 있다.In general, the white portion of the subject has a higher reflectance than the colored portion. Therefore, when the white portion and the colored portion are mixed, relatively high brightness portions can be regarded as white. Therefore, white is extracted with respect to the part which has brightness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using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whole screen as a threshold value. Therefore, detection of "comparative" high doldol can be performed, so that stable detection can be achieved even when the luminance fluctuation of the entire screen or the prescribed luminance is not obtained due to insufficient illumina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에 따라 설명한다. 색분리기(2)는 촬상소자(1)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서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생성한다. 적색(R)신호와 청색(B)신호는 이득 제어회로(3r)과 (3b)를 통과한후 매트릭스회로(4)에서 휘도(Y)와 결합되어 색차신호(R-Y,B-Y)가 생성된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휘도(Y)신호와 색차신호(R-Y,B-Y)는 일부 출력되고 일부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시스템으로 입력된다. 제어시스템은 휘도 및 색차신호를 사용해서 촬영화면중의 화이트 또는 무채색부분을 검출하고,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신호를 생성해서 R 및 B신호 경로중의 이득 제어 회로(3r) 및(3b)에 그 신호를 공급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color separator 2 generates a luminance signal and a color signa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ickup device 1. The red (R) and blue (B) signals pass through the gain control circuits 3r and 3b and are then combined with the luminance Y in the matrix circuit 4 to generate 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The luminance Y signal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generated in this way are partially output, and some are input to the white balance control system. The control system uses the luminance and color difference signals to detect white or achromatic portions of the photographed image, generates a signal for adjusting the white balance, and applies the gain control circuits 3r and 3b in the R and B signal paths. Supply the signal.

카메라 신호처리시스템에 의해 인출된 색차신호(R-Y,B-Y)는 감산기(5)에 의해 감산되고, 가산기(6)에 의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색온도변화 및 R-B 방향의 채도의 검출신호 R-B와 Mg-G 방향의 채도의 검출신호 R+B-2Y가 생성된다. 이들 두신호(R-B, R+B-2Y)에선 화이트부분에 대한 신호만이 게이트회로(71) 및 (72)에서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는 전체화면에 대해 평균화되도록 적분기(81) 및 (82)에 의해 적분되고, 촬영 화면의 색조(화이트 밸런스상태에서의 어긋남)에 대응하는 평균화된 화이트 부분 신호 R-B(R+B-2Y)에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가 비교 증폭기(91) 및 (92)에서 생성된다. 비교증폭기(91) 및 (92)의 다른 입력에 대한 비교입력의 기준전압은 화이트 밸런스된 상태에서의 화이트 밸런스부분 평균신호 R- B(R+B-2Y)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비교증폭기(910로 부터 출력된 R- B 축 방향의 제어신호 및 비교증폭기(92)로 부터 출력된 R+B-2Y 축방향의 제어신호는 이 실시예에서는 WB(화이트 밸런스) 매트릭스(11)에서 회로(3r) 및 (3b)의 적색(R) 및 청색(B)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신호로 각각 변환되는 것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가 조정된다. WB 매트릭스는 도시한 바와같이 접속된 감산기(113), 가산기(112), 하중 저항(111)을 구비한다.The color difference signals RY and BY extracted by the camera signal processing system are subtracted by the subtractor 5 and added by the adder 6 to detect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nd the saturation signal in the RB direction RB and Mg-G. Direction detection signal R + B-2Y is generated. In these two signals RB and R + B-2Y, only signals for the white portion are detected in the gate circuits 71 and 72, and the detected signals are integrators 81 and 82 so as to be averaged over the entire screen. The white balance control signal is integrated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d white part signal RB (R + B-2Y) corresponding to the color tone (deviation in the white balance state) of the photographing screen. Is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ison input to the other inputs of the comparison amplifiers 91 and 92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hite balance partial average signal R-B (R + B-2Y) in the white balance state. The control signal in the R-B axis direction output from the comparison amplifier 910 and the control signal in the R + B-2Y axis direction output from the comparison amplifier 92 are WB (white balance) matrix 11 in this embodiment. The white balance is adjusted by converting the gains of the red (R) and blue (B) signals of the circuits 3r and 3b into the signals respectively to control the WB matrix. ), An adder 112, and a load resistance 111.

화이트 또는 무채색검출회로(이하, 화이트 검출회로 또는 화이트 검출기라 한다)(10)이 화이트 부분 추출용의 게이트회로(71) 및 (72)를 구동하기 위해 마련되어 감산기(5) 및 가산기(6)의 두개의 채도검출신호(R- B,R+B-2Y)와 휘도신호(Y)에서 저채도이고 고휘도 부분을 검출한다. 제2도에 도시한 화이트검출기(10)은 가변전압원(100a)~(100d), 증폭기(101)~(105) 및 AND 게이트(106)을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이트 검출기(10)으로 귀화하는 증폭기(91)의 출력은 증폭기(101) 및 (102)의 비교 입력으로써 사용된 가변전압원(100a) 및 (100b)를 제어하기 위해 가능하고, 한 방향의 검출범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증폭기(92)의 출력은 가변전압원(100c) 및 (100d)를 제어하기 위해 화이트 검출기(10)으로 귀환해서 다른 방향의 검출범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가변전압원은 일반적으로 (100b)<(100a)와 (100d)<(100c)의관계를 갖는다. 흑체 복사에 따른 색온도변화(자연광의 색질변화)의 궤적은 R- B 축 및 R+B-2Y 축의 관계로 도시되어 있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차평면상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특히 광원의 색온도변화에 의한 화이트(R- Y 축과 B-Y 축의 교차점)으로 부터의 어긋남은 R- B에 따라 결정되고, 색온도변화 이외의 이유에 의한 화이트로 부터의 어긋남은 R+B-2Y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화이트 추출의 범위(화이트로 간주함)를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실용적인 색온도범위(예를들면, 2000°K에서 10000°K까지)의 보정이 가능하므로, 채도로 나타낸 상기 범위내의 색온도에 따른 화이트의 착색을 갖는 것에 의해, 도면에서 1점 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화이트 추출범위로 규정된다(초기상태).A white or achromatic detection circ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hite detection circuit or a white detector) 10 is provided to drive the gate circuits 71 and 72 for extracting the white portion of the subtractor 5 and the adder 6. The two chroma detection signals (R-B, R + B-2Y) and the luminance signal (Y) detect low chroma and high luminance portions. The white detector 10 shown in FIG. 2 includes variable voltage sources 100a to 100d, amplifiers 101 to 105, and an AND gate 106. As shown in FIG. As shown, the output of the amplifier 91 naturalized with the white detector 10 is possible to control the variable voltage sources 100a and 100b used as comparison inputs of the amplifiers 101 and 10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tection range in one direction. In the same way, the output of the amplifier 92 returns to the white detector 10 to control the variable voltage sources 100c and 100d to enable control of the detection range in the other direction. The variable voltage source generally has a relationship of (100b) <(100a) and (100d) <(100c). The trajectory of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color quality change of natural light) according to the black body radiation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n the chrominance plane as shown in FIG. 3, which is show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B axis and the R + B-2Y axis. In particular, the deviation from white due to the change in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source (the intersection of the R-Y and BY axes) is determined by R-B, and the deviation from white due to reasons other than the change in color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R + B-2Y. Is determined by Here, in order to set the range of white extraction (referred to as white), correction of at least a practical color temperature range (for example, from 2000 ° K to 10000 ° K) is possible, and according to the color temperature within the above range indicated in saturation. By having the coloring of white, the part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figure is defined by the white extraction range (initial state).

초기상태에서 조명의 색온도가 변화하면, 2000°K까지(또는 1000°K)까지의 변화에 대응하는 채도가 상기와 같이 설정한 조건하에서 화이트로 간주되고, 화이트 부분의 조건 R- B=0(R+B-2Y=0)과 일치하도록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실행한다. 이때,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예를들면, 증폭기(91)의 출력)가 조면의 색온도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므로, 이때의 색온도를 화이트 밸런스가 달성된 후에 발생된 제어신호로 부터 추측할 수가 있다. 실용적인 색온도의 범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한되는 경우에, 예를들면 카메라가 2000°K에서 화이트에 대해 밸런스되면, 그 부분에서의 색온도가 더 낮게 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한 조건하에서, 적색방향으로 진폭을 갖는 모든 신호는 유채색으로 고려할 수 있다. 즉, 낮은 색온도하에서의 적색쪽의 화이트 추출 범위의 경계를 증폭기(910의 출력에 따라서 초기상태의 상기 설정보다 낮은 채도쪽으로 시프트해도 좋다. 반대로, 청색쪽의 경계를 확장하거나 또는 더 높은 채도쪽으로 시프트해도 좋다.When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light changes in the initial state, the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up to 2000 ° K (or 1000 ° K) is regarded as white under the conditions set as above, and the condition of the white portion R-B = 0 ( The white balance control is executed to match R + B-2Y = 0). At this time, since the white balanc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output of the amplifier 91)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of the rough surface, the color temperature at this time can be estimat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after the white balance is achieved. In the case where the range of practical color temperatures is limit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camera is balanced against white at 2000 ° K,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lor temperature at that portion will not be lower. Under such conditions, any signal with amplitude in the red direction can be considered chromatic. That is, the boundary of the white extraction range on the red side at a low color temperature may be shifted toward the saturation lower than the above setting in the initial state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910. Conversely, the boundary on the blue side may be extended or shifted toward the higher saturation. good.

제4도는 그러한 낮은 색온도하에서의 촬영 또는 슈팅에서의 화이틀 추출범위(1점 쇄선)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이트 밸런스 제어신호(제어상태)에 따라서 어느 때에도 화이트로 간주되는 채도 레벨의 변화에 의해, 적정한 화이트 추출범위를 항상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색온도 변화에 따른 방향의 제어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마찬가지의 제어를 증폭기(92)의 출력에 따른 Mg-G 방향(R+B-2Y 축에 따른)에 대해서 실행하면 더 나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FIG. 4 shows the extraction range (dotted dashed line) in shooting or shooting under such a low col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white balance control signal (control stat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ppropriate white extraction range can be always set by changing the saturation level regarded as white at any time. In this embodiment, only the control of th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color temperature is described, but it is better to perform the same control in the Mg-G direction (along the R + B-2Y axi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amplifier 92. Effect can be achieved.

제5도는 화이트 추출에 휘도신호(Y)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의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마찬가지이지만, 평균화 회로(12)와 비교기(13)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다른다. 화이트 추출에 있어서, 그의 동작은 저채도 및 고휘도의 부분을 화이트로 간주하고, 이 부분의 신호를 추출하는 제1도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화이트로 간주되는 휘도 레벨이 고정되면, 화이트 부분과 유채색 부분 사이의 비율에 따라서 자동노출 제어등의 동작에 의해 유채색 부분의 휘도 레벨이 저하하므로 적절한 화이트 추출의 실행이 때때로 불가능하게 된다. 제5도에서는 신호 시스템으로부터 추출된 휘도(Y) 신호가 비교기(13)에서 평균화 회로(12)에 의해 발생된 평균값과 비교되고, 화이트 추출이 그 비교결과에 따라 실행된다. 그것에 의해, 촬영상태가 상기와 같이 변동할 때에도 안정한 화이트 추출을 "비교적" 고휘도조건에서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비교 기준값을 평균화 장치 대신에 평균화에 의해 생성하고 있지만, 기준값으로써 피크 휘도의 80%에서의 값 등의 휘도 분포에 따라서 값을 생성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검출될 휘도의 최대값 부근의 부분을 가져도 좋다.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luminance signal Y for white extrac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5 is similar to that of FIG. 1, except that the averaging circuit 12 and the comparator 13 are provided. In white extraction, its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which regards a portion of low saturation and high luminance as white and extracts a signal of this portion. However, if the luminance level regarded as white is fixed, the luminance level of the chromatic color portion is lowered by an operation such as automatic exposure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between the white portion and the chromatic color portion, so that proper white extraction is sometimes impossible. In Fig. 5, the luminance Y signal extracted from the signal system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generated by the averaging circuit 12 in the comparator 13, and white extra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reby, stable white extraction can be achieved under "comparative" high brightness conditions even when the photographing state fluctuat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mparison reference value is generated by averaging instead of the averaging device, but as the reference value of the luminance to be detected by using a device that generates a value according to a luminance distribution such as a value at 80% of the peak luminance. You may have a part near the maximum value.

상술한 제어동작을 정확히 설명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미묘한 신호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디지탈 신호처리와 약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describe the above-described control operation, some subtle signal control is required. This can be easily accomplished, for example,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some software.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촬영 또는 슈팅시점에서의 색온도, 조명의 종류 등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의 상태에 적응한 채도 레벨과 조도, 밝은(화이트)색의 비율 등에 의한 노출의 상태에 적응한 휘도 레벨에 의해서 화이트 추출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촬영조건 변화시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오동작을 경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turation level adapted to the state of the white balance by the color temperature at the time of each shooting or shooting, the kind of illumination, etc., and the luminance level adapted to the state of the exposure by the illuminance, the ratio of the bright (white) color, etc. White extraction is performed. Therefore, the white balance control at the time of changing the shooting conditions can be stabiliz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lfunction can be achiev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Of course, it can change various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Claims (14)

화상을 표시하는 출력을 공급하는 촬상수단, 상기 촬상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휘도신호 및 다수의 색신호를 생성하는 색분리 수단, 상기 색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시프트중 적어도 2개의 시프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수단과 색신호와 휘도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색차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용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색차신호에 따라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화면내의 화이트 및 무채색 부분중의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과 촬영화면내의 화이트 밸런스의 이상을 검출하고, 그의 출력을 상기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의 입력에 공급하여, 그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이득제어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고, 화이트 조정을 가능한게 하는 이상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건스 제어장치.Image pickup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for displaying an image, color separation means for generating a luminance signal and a plurality of color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image pickup means, and gains of at least two shifts of the plurality of shifts separated by the color separation means. A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gain controlling means for controlling and means for generating a color difference signal from at least one of a color signal and a luminance signal, wherein at least one of white and achromatic portions in a photographed screen by the image pickup means in accordance with at least the color difference signal Detecting abnormality of the white / unchromatic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and the white balance in the photographing screen, and supplying its output to the input of the white / unchromatic detection means, the gain of the gai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d white anomaly detection means for controlling white and enabling white adjustment. Ballguns Control.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또 촬영에 사요된 조며의 색온도에 따라서, 화이트 부분을 화이트로써 검출하는 상기 화이트/무채색 부분 검출수단에 의해 동작 범위를 변화시키는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The white balance contro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parison means for changing an operating range by said white / achromatic por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white portion as white in accordance with the coarse color temperature used for photographing. Device.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또 화이트 조정시에 시프트의 이득제어량을 사용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촬영에 사용된 조명의 색온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The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using a gain control amount of shift during white adjustment, and means for detecting a color temperature of illumination used for photographing.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분리수단은 적색(R), 청색(B) 및 휘도(Y)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색차신호 생성수단은 Y, R-Y 및 B-Y 신호를 공급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lor separation means supplies red (R), blue (B) and luminance (Y) signals, and the color difference signal generating means supplies white for supplying Y, RY and BY signals. Balance control.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제1방향의 동작 범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색차신호 R- B를 나타내는 출력을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의 입력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includes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B to an input of the white / chromatic color detecting means to enable control of the operating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ite balance control.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제2방향의 동작 범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색차신호 R+B-2Y를 나타내는 출력을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의 입력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supplies an output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to the input of the white / achromatic detecting means to enable control of the operating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출수단은 제2방향의 동작 범위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색차신호 R+B-2Y를 나타내는 출력을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의 입력에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supplies an output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to the input of the white / achromatic detecting means to enable control of the operating range in the second direction.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having a.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수단은 적색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1의 이득제어수단과 청색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2의 이득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8. The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ain control means includes first gai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red signal and second gai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blue signal.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또 휘도신호에 응답하고, 부분이 고휘도를 갖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비교임계값을 휘도신호에 따라서 생성하고, 평균 휘도 레벨과 휘도 분포중의 하나에 따라서 값을 변화시키고, 그의 출력을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comparative threshold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luminance signal in response to the luminance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rtion has a high luminance and according to one of the average luminance level and the luminance distribution. Means for changing and supplying its output to the white / chromatic detection means.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은 한쪽의 각각의 입력에서 색차신호 R- B를 받고, 다른쪽의 각각의 입력에서 제1 및 제2의 가변전압원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받는 제1 및 제2의 증폭비교수단, 한쪽의 각각의 입력에서 색차신호 R+B-2Y를 받고, 다른쪽의 각각의 입력에서 제3및 제4의 가변전압원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받는 제3및 제4의 증폭비 고수단, 한쪽의 입력에서 휘도신호를 받고, 다른쪽의 입력에서 제5의 가변전압원 수단의 신호를 받는 제5의 전압비교수단과 상기 제1, 제2, 제3, 제4및 제5의 층폭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받고, 상기 이상검출수단에 출력을 공급하는 AND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및 제2의 가변전압원 수단은 색차신호 R- B를 나타내는 이상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그의 신호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3및 제4의 가변전압원 수단은 색차신호 R+B-2Y를 나타내는 이상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그의 신호를 변화시키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8. 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hite / chromatic detection means receives a color difference signal R-B at each input on one side and a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voltage source means at each input on the other side. First and second amplifying comparison means, each receiving a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at each inpu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hird and fourth variable voltage source means at each input of the other, respectively. Receiving third and fourth amplification ratio means, fifth voltage comparing means receiving a luminance signal at one input and a fifth variable voltage source means at the other input and the first, second, And an AND gate for receiving an output from the third, fourth and fifth layer width comparing means, and supplying the output to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 voltage source means ar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B. When the signal thereof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And the third and fourth variable voltage source means change the signal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색차신호 R- B를 받고, 상기 색차신호 R- B를 나타내는 출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6의 증폭비교 수단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1의 적분지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1의 게이트수단, 색차신호 R+B-2Y를 받고, 상기 색차신호 R+B-2Y를 나타내는 출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7의 증폭비교수단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2의 적분기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2의 게이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이트/무채색 검출수단의 출력은 상기 제1및 제2의 게이트수단으로 공급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12.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abnormality detecting means receives a color difference signal R-B and supplies an output to a sixth amplification comparison means to supply an output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B. A first gate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to the integrating branch, a second for receiving a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and supplying an output to a seventh amplifying comparison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representing the color difference signal R + B-2Y And second gate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to the integrator of the controller, wherein the output of the white / chromatic detection means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gate means. 특허청구의 범위 제11항에 있어서, 또 상기 제6및 제7의 증폭비교수단의 출력을 받고, 그것에 따라 이득제어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화이트 밸런스 매트릭스 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12. The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white balance matrix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s of the sixth and seventh amplification comparison means and controlling the gain of the gain control means accordingly. 화상을 표시하는 출력을 공급하는 촬상수단, 상기 촬상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휘도신호 및 다수의 시프트를 생성하는 색분리수단, 상기 색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시프트중의 적어도 2개의 시프트의 이득을 제어하는 이득제어수단과 시프트와 휘도신호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색차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갖는 촬상장치용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휘도신호를 사용해서 촬영 화면내의 화이트 부분을 검출하고, 비교적 고휘도를 갖는 촬영 화면내의 부분을 화이트로 간주하는 검출수단과, 부분이 고휘도를 갖느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비교임계값을 휘도신호에 따라서 생성하고 평균 휘도 레벨과 휘도분포중의 하나에 따라서 그 값을 변화시키고, 그 출력을 상기 검출수단에 공급하는 생성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Image pickup means for supplying an output for displaying an image, color separation means for generating a luminance signal and a plurality of shifts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of the image pickup means, and gain of at least two shifts among a plurality of shifts separated by the color separation means A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gai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control unit and a means for generating a color difference signal from at least one of a shift and a luminance signal, the white balance control apparatus for an imaging device using a luminance signal to detect a white portion in a photographing screen and to obtain a relatively high luminance. A detection means for considering a portion of the photographed screen as white and a comparison threshold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portion has high luminance according to the luminance signal, and changing the value according to one of the average luminance level and the luminance distribution. And generating means for supplying its output to said detecting means.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수단은 한쪽의 입력에서 휘도신호를 받고, 상기 휘도신호를 평균화하는 평균화 회로로부터의 평균 휘도 레벨을 다른쪽의 입력에서 받는 증폭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said generating means includes an amplification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luminance signal at one input and receiving an average luminance level from an averaging circuit for averaging said luminance signal at the other input. Balance control.
KR1019910012492A 1990-07-23 1991-07-22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KR9400026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3010A JP2776965B2 (en) 1990-07-23 1990-07-23 Imaging device
JP?2-193010 1990-07-23
JP90-193010 1990-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788A KR920003788A (en) 1992-02-29
KR940002610B1 true KR940002610B1 (en) 1994-03-26

Family

ID=1630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492A KR940002610B1 (en) 1990-07-23 1991-07-22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76965B2 (en)
KR (1) KR940002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3823B2 (en) * 1991-06-24 1997-05-28 赤井電機株式会社 White balance detection method for white balance circuit
JP2618297B2 (en) * 1991-06-26 1997-06-11 赤井電機株式会社 Color temperature range detection method for white balance circuit
JP3760815B2 (en) 2001-07-27 200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ideo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693A (en) * 1987-10-01 1989-04-07 Sony Corp White balance correcting circuit
JPH0294790A (en) * 1988-09-30 1990-04-05 Toshiba Corp White balance control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76965B2 (en) 1998-07-16
JPH0479692A (en) 1992-03-13
KR920003788A (en) 199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974B1 (en)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color video camera
EP0658058B1 (en) White balance adjustment apparatus
US5177599A (en)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US4638350A (en) Color image sensing device
JP4042432B2 (en) Imaging device
US6670987B1 (en)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 chrominanc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camera using them
JPH07875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ment
US4635101A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US20070211165A1 (en)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is recorded
US6642957B1 (en) Color signal processing circuit, method of the same and a camera apparatus
KR940002610B1 (en)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EP045522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JP3193456B2 (en) White balance control device
KR960008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hroma
US5654753A (en) White balance correcting device for an image sensing apparatus
US5563656A (en)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white balance adjustment
JPH03274884A (en) White balance control circuit
JP2618908B2 (en)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JP3733641B2 (en) Color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693781B2 (en) Automatic white balance control circuit
JPS62133884A (en) Automatic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JP4458114B2 (en) Imaging device
JP2506073B2 (en) Auto white balance adjustment device
JP2002044675A (en) Color television camera
KR19990019673A (en) Auto white balance adjuster of video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