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00B1 -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00B1
KR940001700B1 KR1019910008591A KR910008591A KR940001700B1 KR 940001700 B1 KR940001700 B1 KR 940001700B1 KR 1019910008591 A KR1019910008591 A KR 1019910008591A KR 910008591 A KR910008591 A KR 910008591A KR 940001700 B1 KR940001700 B1 KR 94000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deleting
information
execution statu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761A (ko
Inventor
나지현
황종범
이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100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00B1/ko
Publication of KR92002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맨-머쉰(Man-Machine) 서브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중 운용 명령어 입력시 정보저장 및 변경에 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중 운용 명령어 수행 상태 조회에 대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중 운용 명령어 수행 상태 삭제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억세스 스위칭 서브 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2 : 인터커넥션 네트워크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3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4 : 운용 및 유지 보수 프로세서(Ope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5 : 맨-머쉰 프로세서(Man-Machine Processor).
21 : 윈도우 관리부(Window Manager).
22 : 명령 분석부(Command Analysis).
23 : 수행 제어부(Execution Control).
24 : 출력 제어부(Output control)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운용자가 여러 입력장치 번호에서 운용 명령어를 입력할 때 수행중인 모든 명령어에 대한 상태를 조회 및 삭제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 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시 운용자가 운용명령어를 입력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전전자 교환기에는 운용터미날 및 프린터의 주변기기로 최대 20개의 장치가 연결 가능하고 각각의 운용터미날에서는 운용명령어의 입력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각각의 입력장치에서 많은 명령어들이 수행중일 때 이들의 상태가 어떠한지, 또는 명령어들이 수행중인지 등을 알수 없었으며, 현재 수행중인 작업상태 및 정보 중 운용자에게 불필요한 작업을 삭제할 수 없어서 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용명령어를 이용하여 전자교환기를 운용할 때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의 상태를 조회 및 삭제 가능하게 하여 운용자가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운용자의 등급에 따라 삭제하게하여 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 운용명령어 수행 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억세스 스위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1), 상기 억세스 스위치 서브시스템에 연결되어 호처리 기능중 번호번역과 루트제어 기능 및 공간 스위칭 연결등 집중기능을 수행하고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는 인터커넥션 네크위크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ybsystem, 2), 상기 인터케넥션 네트위크 서브시스템에 연결되며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와 맨-머쉰 프로세서(Man Machine Processor, 5)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앙제어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에 있어서, 명령어 수행상태정보에 대한 테이블 초기화와 각각의 입력장치에서 운용명령어 입력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1단계, 각 운용명령어에 대한 출력메세지 결과의 수신시 이에 대하여 테이블에 정보를 변화 및 삭제시키는 2단계, 운용자로부터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요구시 이를 처리해주는 3단계, 운용자로부터의 수행중인 명령어의 삭제 요구시 이를 적절하게 처리해주는 4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1은 억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이하 ASS라함), 2는 인터커넥션네트워크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이하 INS라함), 3은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CCS라 함), 4는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Ope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이하 OMP라함), 5는 맨-머쉰 프로세서(Man-Machine Processor, 이하 MMP라함)를 나타낸다.
ASS(1)는 호처리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상기 ASS(1)에 연결된 INS(2)는 호처리 기능중 번호번역, 루트제어기능, 공간 스위치 연결등 집중 기능을 수행하며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고 배급한다. 상기 INS(2)에 연결된 CCS(3)는 OMP(4)와 MMP(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스템의 총괄적인 유지보수 및 운용관련기능, 시험 및 측적, 통계, 마그네틱 테잎 장치(Magnetic Tape Unit,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나 디스크 장치(Disk Unit,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같은 보조기억장치의 제어관리, 그리고 운용자 및 타 시스템과의 정합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운용자와 교환기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연계를 해주는 MMP(5)는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의 조회 및 삭제를 실행하며, 상기 INS(2)는 ASS(1)상호간 혹은 ASS(1)와 CSS(3) 사이를 광링크(optical Link)로 연결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맨-머쉰 서브시스템(Man machine Subsystem, 이하 MMS라 함)의 소프트웨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21은 윈도우 관리부(Window Manager, 이하 WM이라함), 22는 명령 분석부(Command Analysis, 이하 CA라함), 23은 수행 제어부(Execution Control, 이하 EC라함), 24는 출력 제어부(Output Control, 이하 OC라함)을 나타낸다.
MMS는 WM(21)에 연결된 CA(22)와 EC(23), 상기 CA(22)와 EC(23)에 연결된 OC(24)로 구성된다.
WM(21)은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CA(22)으로 전해주거나, OC(24)에서 포맷팅된 메시지를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 해준다. CA(22)는 입력된 스트링(String)을 분석하고 이의 정보를 EC(23)에 송신한다. EC(23)에서는 입력 명령어 정보를 상기 OMP(4)등의 프로세서에 저장된 여러 타 블록으로 송신해 준다.
운용명령어가 입력되는 것부터 수행되어 운용자터미날에 출력되는 절차를 본다.
먼저 운용명령어가 입력되면 이는 CA(22)에서의 구문 분석과 의미 분석을 하고 이 명령어가 바른 명령어이면 이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MMC 메타(meta)의 형태(type)로 바꾸어 EC(23)로 명령어의 시작을 알려주고 그 정보도 알려준다. EC(23)에서는 수행중인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타 응용프로그램으로 전달해 준다. 이 정보를 받은 응용프로그램의 프로세스에서는 이에 합당한 처리를 하고 출력메세지를 EC(23)에게로 송신한다. 이를 수신한 EC(23)은 몇가지 처리를 한 후 OC(24)에게 출력메세지를 송신하여 OC(24)에서는 이 출력메세지를 운용자터미날에 출력한다.
제3도는 운용명령어가 입력되어 명령어 수행상태의 조회 및 삭제를 가능하도록 상태 저장 및 입력된 명령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흐름도이다.
한 명령어에 대한 상태는 "휴무상태", "대기상태", "수행상태"의 3가지로 분류한다. 처음 명령어 수행상태정보 테이블을 초기화하여 모든 작업 번호의 상태를 "휴무상태"로 초기화한다(310). 이 명령어 수행상태정보 테이블은 입력장치 번호와 작업 번호를 인덱스(index)로 한다. 운용명령어 스트링이 수신되면(302), 명령어 수행상태 정보테이블에서 "휴무상태"에 있는 작업번호를 부여하고(303)이를 인덱스로하여 입력된 명령어 스트링과 수행상태를 "대기상태"로 변환 저장시킨 후(304) 입력명령어 정보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305). 입력명령어 정보로부터 이것이 내부 명령인가를 판단하여(306), 명령어 수행 상태 조회 요구이면(309) 이에 해당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고(311) 명령어 수행상태 삭제 요구이면(309) 이에 해당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고(310)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다. 내부 명령어가 아니면 입력명령어 정보를 응용프로그램으로 전달 후(307) 현재 시간을 시작 시간으로 명령어 수행상태 테이블에 저장한다(308). 출력메세지가 도달하면(312) 명령어의 수행상태가 "수행상태"로 바뀌고(313) 마지막 메시지가 도달할 때까지 이 수행을 계속한다(314). 마지막 출력메세지가 도달하면 이의 작업번호에 해당되는 테이블 정보를 다시 초기화시킨 후 종료 한다(315). 출력메세지 도달도중 오류 발생시에도(316) 테이블 정보를 초기화한 후(317) 수행을 마친다.
제4도는 입력되어 수행중인 작업의 조회 요구에 대한 흐름도이다.
운용자로부터 수행 중인 작업상태의 조회 요구시에 생성되는 프로세스의 입력장치 번호를 지정해줄 수 있다(401). 먼저, 요구된 입력장치 번호를 알아내어 이 입력장치의 상태를 알아본다(402). 요구한 입력장치의 상태가 현재 작동중이고 작업번호의 상태가 수행중이면(403) 그 입력장치 번호에서 수행중인 모든 작업을 알아내어(404) 각 작업 번호에 대하여 명령어 스트링, 그 작업의 상태, 명령어 수행의 경과 시간을 출력 제어 루틴으로 전송하여 운용자에게 보여준다(405). 작업번호는 100까지 가능하고 이를 인텍스로하여 모두 검색한다(406) 요구한 입력장치가 비작동중이면 이 입력장치 번호의 운용터미날이 작동하지 않고있다는 내용의 오류메세지를 만들어(408) 출력제어 루틴으로 전송하여 준다(409).
제5도는 운용자가 수행중인 작업을 삭제요구시 생성되는 프로세서의 흐름도이다.
운용자는 수행중인 작업을 삭제하고자 할 때 작업 번호를 지정해줄 수 있다. 먼저, 지정된 작업 번호의 상태를 알아본다(501). 이 작업 번호에 대한 상태가 "수행상태"이면 명령어 수행상태 테이블로부터 이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알아내어 해당 응용프로그램에게 이 작업 번호에 해당되는 작업의 수행을 끝내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한다(502), 그 후로 10초를 기다려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이 작업 수행을 끝내었다는 결과가 수신되면(503), 요구된 작업 번호가 삭제되었다는 메시지를 만들어(506) 출력제어 루틴으로 전송한후(507) 명령어 수행상태 테이블에 이 작업 번호에 대한 상태 및 모든 내용을 초기화하고(508) 종료한다. 10초가 지나도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의 결과 메시지가 없으면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을 삭제하지 못해 이의 삭제가 되지 않았다는 내용의 오류메세지를 만들어(504) 출력제어 루틴으로 전송하고 이 프로세스의 수행을 마친다(505).
삭제 요구한 작업번호가 "휴무상태"이거나 "대기상태"이면 운용자가 입력한 작업번호는 현재 수행중이 아니라는 오류메세지를 만들어(509) 출력제어 루틴으로 보낸 후(510)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운용자에게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의 상태 정보를 보여주어 운용자가 이 상태를 알 수 있게하고 이 명령어 정보들은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어 명령어의 삭제 요구시에는 현재 수행중인 작업에 대하여만 삭제가능 하게하고 응용프로그램의 동의하에 삭제가능하게하여 운용자가 수행을 멈추고 싶어하는 작업을 마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호처리 기능과 자체적인 운용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억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1), 상기 억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1)에 연결되어 호처리 기능중 번호번역과 루트제어 기능 및 공간 스위칭 연결등 집중기능을 수행하고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는 인터커넥션네크위크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2), 상기 인터커넥션 네트위크 서스시스템(2)에 연결되며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4)와 맨-머쉰 프로세서(Man Machine Processor, 5)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앙제어 서브시스템(3)으로 구성된 전전자 교환 시스템의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에 있어서, 명령어 수행상태정보에 대한 테이블 초기화와 각각의 입력장치에서 운용명령어 입력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단계, 각 운용명령어에 대한 출력메세지 결과의 수신시 이에 대하여 테이블에 정보를 변화 및 삭제시키는 제2단계, 운용자로부터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요구시 이를 처리해주는 제3단계, 운용자로부터의 수행중인 명령어의 삭제 요구시 이를 처리해주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명령어 수행상태정보 테이블을 초기화하여 운용 명령어 스트링이 수신되면 휴무상태에 있는 작업번호를 부여하고 명령어 스트링과 수행상태를 대기상태로 변환 저장하는 단계, 입력 명령어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명령이면 요구에 따라 명령어 수행상태를 삭제하거나 조회한 후 처음 처리과정으로 되돌아가는 단계, 내부 명령이 아니면 응용프로그램으로 입력 명령어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시간을 명령어 수행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출력메세지가 도달하면 명령어의 수행상태가 "수행상태"로 바뀌는 단계, 마지막 메시지가 도달할 때 까지 반복 실행한 후 테이블 정보를 초기화 하는 단계, 출력 메시지 도달도중 오류가 발생하면 테이블을 초기화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입력장치의 상태를 파악하여 동작중이면 수행중인 모든 작업을 알아내어 그 내용을 출력제어 루틴으로 전송하는 단계, 작업번호를 계속 증가시키면서 검색하는 단계, 입력장치의 상태가 비동작 중이면 오류 메시지를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삭제 번호요구가 수행중인가 판단하여 수행중이면 작업번호에 대한 삭제를 요구하는 단계, 작업번호에 대한 삭제가 완료되면 성공 메시지를 출력제어 루틴으로 전송한후 작업번호에 대한 테이블 내용을 초기화하는 단계, 작업번호에 대한 삭제가 되지 않으면 오류 메시지를 만들어 출력제어루틴으로 오류 메세지를 전달하는 단계, 삭제 요구번호가 수행중이지 않으면 출력제어 루틴으로 오류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KR1019910008591A 1991-05-25 1991-05-25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KR94000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591A KR940001700B1 (ko) 1991-05-25 1991-05-25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591A KR940001700B1 (ko) 1991-05-25 1991-05-25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761A KR920022761A (ko) 1992-12-19
KR940001700B1 true KR940001700B1 (ko) 1994-03-05

Family

ID=1931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591A KR940001700B1 (ko) 1991-05-25 1991-05-25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626B2 (en) 2011-06-29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porting operations of arbitrary size over remote direct memory acc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43B1 (ko) * 1998-12-30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이중화시스템에서운용체제오류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626B2 (en) 2011-06-29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porting operations of arbitrary size over remote direct memory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761A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8955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e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omputers and a network processed as a user resource
US5043881A (en) Session control method for rewriting information in a session control device in an interactive processing system
JPH1112620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7146844A (ja) 製造装置の制御および調整を行う統合オートメーション開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94000170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 명령어 수행상태 조회 및 삭제방법
US2002014376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ata processing program
KR100218723B1 (ko)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대화형 질의어 관리방법
JP3221093B2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制御システム
JP3013785B2 (ja) データ格納システム及びデータ格納方法
KR20010059967A (ko) 이종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을 위한 연동 시스템 및 그방법
JP2522162B2 (ja) 仮想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共用制御方式
JP2000312222A (ja) デバイス検索クライアント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
JP2000339258A (ja) デバイス検索クライアント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
KR100246624B1 (ko) 이기종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450419B1 (ko)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중 쓰레드로 동작하는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동작방법
KR940001701B1 (ko) 전전자 교환기 운용명령어 수행상태 감시방법
JPH07282012A (ja) 分散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分散運用支援方法
KR95000598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상호 대화형 데이터 처리방법
JPS63292371A (ja) オンライン会話処理プログラムによるイメ−ジ処理装置の制御方式
KR920005240B1 (ko) 정보처리시스템
KR100210809B1 (ko) 질의어 처리 윈도우상에서 액세스 스위칭 프로세서의 릴레이션 리스트 및 정보 출력 방법
JPH07143227A (ja) 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のソフトウェア更新制御方法
KR0126089B1 (ko) 분산 실시간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에서의 원격 릴레이션에 대한 록 처리 방법
JPH04336354A (ja) 分散処理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H0749880A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要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