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982B1 -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982B1
KR930011982B1 KR1019910014880A KR910014880A KR930011982B1 KR 930011982 B1 KR930011982 B1 KR 930011982B1 KR 1019910014880 A KR1019910014880 A KR 1019910014880A KR 910014880 A KR910014880 A KR 910014880A KR 930011982 B1 KR930011982 B1 KR 93001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tate
event
relay
contro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483A (ko
Inventor
송범현
김한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1001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982B1/ko
Publication of KR93000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의 온라인 방법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의 온라인 백업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SP 101, 102 :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
103, 104, 105, 106 :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이중화 제어시 중계선 상태의 온라인 백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전전자 교환기에서는 실시간 처리와 아울러 장애 발생시 최소한의 호처리 손실과 신속한 재구성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전전자 교환기 중계호 처리를 담당하는 중게선 제어 프로세서에서는 두개의 프로세서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네 개의 하드웨어 유니트를 각각 제어하는 분산 구조 이중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선 이중화 제어 상태에서 한 쪽의 제어 프로세서가 장애로 인하여 다운될 경우 나머지 정상 프로세서가 다운된 프로세서의 제어를 넘겨 받아 기존 서비스 호의 유실됨 없이 부하 전담 모드로 모든 하드웨어 유니트에 대한 서비스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전자 교환기의 서비스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와 상기 상위 프로세서에 연결된 부하 분담 이중화 구조의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선의 이중화 제어시 중계선 상태를 온라인 백업시키는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에 있어서, 가입자가 중계선과 관련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호의 진행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의 종류를 검색하는 제1단계, 상기 이벤트 종류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단계, 상대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상기 이벤트 처리 정보를 온라인상에 백업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상대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백업된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의 구성도로, 100은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101, 102는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 103 내지 106은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프로세서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 이하 IPC라 함)을 통해 상위 프로세서인 ASP(100) 및 부하 분담 이중화 구조를 갖는 양측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 (101,102)가 통신하고, 상기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101,102)에 TD-버스를 통해 연결된 해당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3,104,105,10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만일, 양측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101,102)가 부하 분담 모드로 동작중에 한쪽의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 상대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장애가 발생된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담당하던 하드웨어 유니트에 대한 제어를 넘겨 받아 부하 전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의 온라인 백업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해야 할 네개의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103 내지 106)에 대하여 한쌍의 부하 분산 이중화 구조의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101,102)가 각각 두 개의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만을 직접 제어하게 되는데 상대 프로세서 제어분에 해당하는 두개의 하드웨어 유니트에 대해서는 상태 관리만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당하는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를 직접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라고 하고 대기 상태로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의 상태 관리만을 수행하는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를 상태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라고 한다.
제어도중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 상에서 감지되는 호에 대한 중요한 사건들을 상태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온라인 상에서 백업시켜 주는 과정을 제2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가 중계선과 관련된 통화를 시도할 경우 호의 진행 상태에 따라 교환기 중계선 하드웨어에 여러가지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201),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이를 감지하여 적절히 처리를 하게 된다.
중계선과 관련된 호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출중계선이 점유되어야 하는데, 이벤트 종류 검색결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출중계선 점유 요구를 받은 후, 출중계선 점유 가드타임이 타임 아웃된 경우에는 (202) 중계선의 상태를 출중계선 점유로 만들어 놓고(203)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 (204).
출중계선 점유에 상응하여 입중계쪽에서는 입중계선 점유 보고가 상위 프로세서로 통보된다. 이때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프로세서 변경 통보를 받게 되면(205) 해당 중계선 상태를 검사하여(206) 정상적인 경우는 중계선의 상태를 입중계선 점유로 만들어 놓고(207), 비정상적인 경우는 호의 상태를 입중계선 장애로 만들어 놓은 후(208),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해당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이벤트 종류 검색결과, 프로세서 변경 통보에 대해 타임 아웃이 발생된 경우에는 (209) 중계선의 상태를 입중계선 장애로 만들어 놓고(210)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호가 순조롭게 진행되어 출중계선 통화중 상태를 감지하여 되면(211) 중계선의 상태를 출중계선 통화중으로 만들고(212), 상태관리 중게선 제어 프로세서로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입중계쪽 가입자에 의해 통화 해제 의사가 표시되면 출중계쪽으로 크리어 백워드 신호가 송출되게 되는데,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클리어 백워드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213) 중계선의 상태를 출중계선 후크온으로 만들고(214),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장애로 말미암아 블록킹된 출중계선에 대하여 적정 조치가 이루어진 후 블록킹 해제가 발생되면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이를 감지하여(215) 중계선 상태를 출중계선 해제로 만들고(216),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이때, 온라인 백업방법은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이벤트가 발생한 해당 중계선의 상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온라인 시그널을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 송신하게 되면, 온라인으로 해당 시그널을 수신한 상태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백업받은 현상태로 즉시 변경하므로써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 다운시 기존호의 손실됨 없이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부하 전담 모드로 모든 하드웨어 유니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출중계쪽 가입자에 의해 통화 해제 의사가 표시되면 입중계쪽으로 크리어 포워드 신호가 송출되게 되는데,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크리어 포워드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217) 중계선의 상태를 입중계선 해제로 만들고(218),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장애로 인하여 특정 출중계선에 대해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해당 중계선을 복구가 될 때까지 불럭킹시키게 된다.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이러한 출중계선에 대해 블록킹을 감지하게 되면(219) 해당 중계선 상태를 출중계선 블록킹으로 만들고 (220),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이 정보를 즉시 온라인 백업시킨다(204).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태 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의 온라인 백업방법의 흐름도로, 상기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해당 중계선 하드웨어 유니트상에 발생되는 중요 이벤트들을 온라인 백업받아 적절한 상태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로부터 호의 진행 상황에 따라 중요 이벤트들을 온라인 백업받게 되면(301) 그 백업 데이터를 검사하여(302) 해당 호의 중계선에 발생된 중요 이벤트들인 각각의 백업 데이터, 즉 출중계선 점유(303), 입중계선 점유(304), 입중계선 장애(305), 출중계선 통화중(306), 출중계선 후크 온(307), 출중계선 해제 (308), 입중계선 해제(309), 출중계선 블록킹(310)에 해당하는 적절한 상태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311).
따라서,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장애로 인하여 다운될 경우 상태관리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액티브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직접 제어하고 있던 하드웨어 유니트에 대하여 각 호에 대한 주요 이벤트들을 온라인 백업받아 적절한 상태 관리를 수행했으므로 전혀 기존호의 손실됨 없이 부하 전담 모드로 네개의 하드웨어 유니트를 직접 제어하게 됨으로서 효과적인 부하 분산 중계선 이중화 제어를 실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효과적인 이중화 제어가 가능하며 전전자 교환기의 서비스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적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위 프로세서(100)와 상기 상위 프로세세(100)에 연결된 부하 분담 이중화 구조의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101,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선의 이중화 제어시 중계선 상태를 온라인 백업시키는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에 있어서 ; 가입자가 중계선과 관련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호의 진행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의 종류를 검색하는 제1단계(201), 상기 이벤트 종류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제2단계(202,203,205 내지 220), 상대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에게 상기 이벤트 처리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백업시키는 제3단계(204), 및 상기 상태 중계선 제어 프로세서가 상기 백업된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상태관리를 수행하는 제4단계(301 내지 31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종류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출중계선 점유 가드 타임 타임아웃이면 상기 중계선을 출중계선 점유 상태로 만드는 단계 (202,203), 상기 이벤트가 프로세스 변경 통보이면 상기 중계선의 상태에 따라 상기 중계선을 입중계선 점유 상태 및 입중계선 장애 상태로 만드는 단계(205 내지 208), 상기 이벤트가 프로세서 변경 통보 타임 아웃이면 상기 중계선을 입중계선 장애 상태로 만드는 단계(209,210), 상기 이벤트가 출중계선 통화중 상태 감지이며 상기 중계선을 츨중계선 통화중 상태로 만드는 단계(211,213), 상기 이벤트가 크리어 포워드 신호 감지이면 상기 중계선을 입중계선 해제 상태로 만드는 단계(213, 214), 및 상기 이벤트가 출중계선 블록킹 해제 감지이면 상기 중계선을 출중계선 해제 상태로 만드는 단계 (215,216), 상기 이벤트가 크리어 백위드 신호 감지이면 상기 중계선을 출중계선 후크 온상태로 만드는 단계(217,218), 상기 이벤트가 출중계선 블록킹 감지이면 상기 중계선을 출중계선 블록킹 상태로 만드는 단계(219,2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KR1019910014880A 1991-08-27 1991-08-27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KR93001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880A KR930011982B1 (ko) 1991-08-27 1991-08-27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880A KR930011982B1 (ko) 1991-08-27 1991-08-27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83A KR930005483A (ko) 1993-03-23
KR930011982B1 true KR930011982B1 (ko) 1993-12-23

Family

ID=1931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880A KR930011982B1 (ko) 1991-08-27 1991-08-27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9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83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9603B2 (ja) 通信モジュ―ルの冗長性のための分散型スイッチングア―キテクチャ
CA2273348C (en) Redundant call processing
CN100438362C (zh) 一种实现软件上主备双机热备份的方法
KR9300119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JPS61234690A (ja) 交換機の障害時に於ける再開処理方法
JPH06343074A (ja) 耐故障性システム
JPH05244260A (ja) 外部記憶装置切替えによる二重化運転方式
KR94000877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KR93000870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하위레벨 제어장치
JP2606107B2 (ja) プロセッサ冗長化方式
KR970002693B1 (ko)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JP3100464B2 (ja) パケット交換機
KR960010879B1 (ko) 공통의 버스 자원을 공유한 다수 프로세서의 버스 이중화 제어 및 버스 이상 상태 발생시 복구 처리방법
JPS6015181B2 (ja) 交換制御系予備方式
KR930007239B1 (ko) 중계선 제어 이중화를 위한 시동 과정에서의 상태 점검방법
KR013639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메세지 복구 버스구조 및 억세스 방법
JPS63285053A (ja) 網管理装置の障害処理方式
JP2595106B2 (ja) 局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3433453B2 (ja) パケット交換システムおよびパケット交換機
JP2916029B2 (ja) 回線切替方式
KR19980016046A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JP2511719B2 (ja) 加入者サ―ビス救済方式
JPS6251350A (ja) 分散交換機の異常回復方式
JPS63279646A (ja) 網管理装置の自動再開処理方式
JPS62281649A (ja) パケツト情報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