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86B1 -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 Google Patents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86B1
KR930004486B1 KR1019900008568A KR900008568A KR930004486B1 KR 930004486 B1 KR930004486 B1 KR 930004486B1 KR 1019900008568 A KR1019900008568 A KR 1019900008568A KR 900008568 A KR900008568 A KR 900008568A KR 930004486 B1 KR930004486 B1 KR 93000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output
emergency
inpu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406A (ko
Inventor
박봉환
Original Assignee
박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환 filed Critical 박봉환
Priority to KR101990000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86B1/ko
Publication of KR92000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통보기를 전반적으로 표시한 다이어그램.
제 2 도는 본 발명의 각 기기 및 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발신기 1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수신부 20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기동부 30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임의수의 각 방의 출입문 또는 귀중품 보관문 등에 착설된 도난 경보 발신용 스위치가 동작되거나, 그 방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비상경보 발신용 푸시버튼을 누르거나, 그 방에서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의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화재경보 발신용 푸시버튼을 누를 때의 도난발생 명령 또는 비상발생 명령 또는 화재발생 명령이 발신되는 발신기에서 주장치로의 경보발생 명령과 비상발생 또는 화재발생 경보중 하나의 주장치에 하나의 공동선을 통하여 접속된 임의수의 각방의 발신기로 주장치에서 제공되는 전화국선접속표시 명령과, 가청 경보 명령들의 송수신을 하나의 공동선을 이용하는 비상경보통보, 화재발생통보양용비상통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주장치에서 수신되는 도난발생 명령 또는 비상발생 명령 또는 화재발생 명령과, 임의수의 각 빌신기에서 수신되는 가청 경보명령과 전화국선 접속표시 명령들을 동일화하기 위해 PLL(Phase-Locked-Loop)를 이용하여 특정복합주파수에만 동작되게 한것이 이용된 것이며, 특정복합주파수에 동작되는 PLL의 동작에 의하여 하나의 주장치에서 카운터에 의해 계수에 의하여 명령을 발신한 발신기의 위치가 표시되고, 수신된 명령의 종류(도난, 비상 및 화재)에 따른 각종 경보가 표시되며, 또 수신된 가동신호에 의하여 본인 발명의 특허 제19030호 "비상통보기"를 작동시켜 하나의 주장치에 연결된 전화국선을 통하여 비상경보 또는 화재발생별로 평상시 기억시켜 둔 4개소의 피호출 전화가 수신된 발생명령에 따라 차례로 주기적으로 장치가 인위적으로 복구될때까지 한 통보기간에 1개소씩 호출이 되고, 비상경보는 화재발생별로 음성합성 IC에 32초간 또는 24초간 통보의 내용이 녹음된 것을 계속 반복적으로 주장치에 연결된 전화국선과 경비실 인터폰선을 통하여 수신된 발생명령에 따른 통보내용이 통보됨으로 하나의 주장치로 비상경보 통보와 화재발생 통보가 되며, 또 임의수의 각 발신기의 가청 경보톤링거의 작동으로 사고의 발생이 경보되고, 국선접속 표시 등에 의해 경보발생중 주장치에 전화국선이 접속된 상태가 표시되는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통보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내의 인명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재장치로 도난경보 장치, 은행 또는 귀중품 취급 상점 등의 비상경보 장치, 화재속보기 및 가정자동화(Autohome System)장치 등이 사용되어 왔다. 도난경보장치는 일반적으로 건물내외로 경보하는 기능이며 사고발생을 외부로 통보하는 기능이 없으며, 화재속보기는 대형건물에 한정되고, 비상경보장치와 가정자동화장치는 시설비 및 유지비에 많은 비용을 들고 설치하는데 제한이 있으며, 특히 종래의 방재장치들은 각 발신위치에서 주장치간을 방재장치를 위한 전용배선, 배관이 시설되어야 됨으로 시설비에 많은 비용이 들고 또 단위 세대 및 점포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공동선(동축케이블, 전등선, 기설의 화재경보선, 아파트 등의 인터폰선)에 임의수의 발신기를 병렬 접속하고 또 하나의 주장치를 병렬 접속하여 임의수의 각 발신기에서 출입문, 금고 기타 중요한 문을 열면 도난발생 명령을, 비상사태(예를 들어 강도, 절도, 협박 등)을 당하였을 때 비상버튼을 누르면 비상발생 명령을, 화재발생(화재, 까스누출, 까스중독 및 구급환자), 또는 특수병 환자(예를 들어 혈압, 심장, 당뇨 기타 특수병 환자로서 특정병원에 등록되고 이상이 발생기 즉시 등록병원과 최우선 연락처로 통보할때)가 화재버튼을 누르면 화재발생 명령이 발신되어 하나의 공동선을 통하여 하나의 주장치의 수신부에서 PLL에 의한 특정복합 주파수 선택에 의하여 발생명령의 종류 즉, 도난, 비상 및 화재 중 하나가 선택되고, 선택된 종류에 관련된 기동신호가 기동부로 제공되고, 또 각 발신기 고유의 펄스수가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어 명령을 발신한 발신기의 위치가 표시되며, 기동부에서 인입된 기동신호에 관련된 제어신호가 제어부와 경보부에 제공되며, 제어부에서 경보부, 다이아라부로 관련된 제어신호가 제공됨으로 주장치의 경보부에서 조경보톤링거가 4초동안 작동되어 주의를 환기시키고, 또 국선접속 표시명령과 경보종류에 따른 가청경보 명령이 하나의 공동선을 통하여 각 발신기에 제공되어 각 발신기에서 PLL에 의한 특정복합 주파수 선택에 의하여 가청경보톤링거가 작동되어 경보되고 또 국선접속표시 등에 의해 전화 국선접속상태가 표시되며, 송출부에 연결된 전화국선을 통하여 종류별(비상, 화재 일반화재 또는 특수병 환자)로 우선 순위에 따라 평상시 미리 기억시켜 둔 4개소의 피호출 전화가 다이아라부로부터의 다이알 임펄스에 의하여 차례로 주기로 한 통보기간(비상발생은 128초간, 화재발생은 80초간)에 1개소씩 호출되며, 평상시 비상 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일반화재, 특수병 환자)별로 32초간 또는 24초간 통보내용이 음성합성 IC에 녹음된 것이 계속 반복적으로 각 피호출 전화로 통보되고, 또 송출부에 연결된 인터폰선을 통하여 경비실이 호출되어 종류별 통보내용이 통보되며, 경보부에 연결된 건물밖의 푸랏슈 전구에 의하여 발생장소가 표시되고, 또 전자시계가 정지되어 발생기간이 지침되며, 주장치는 개별호출〈도난〈비상〈화재로 우선순위가 되어있어, 두 (2)종류 이상의 명령이 수신되면, 현재 작동중인 하위명령의 작동을 복귀시키고, 상위발생 명령에 따른 피호출 전화호출과 통보내용의 통보 및 각종 경보가 표시되므로 하나의 공동선을 이용하여 임의수의 각 방의 도난, 비상 및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의 이상 발생을 하나의 주장치를 통하여 비상경보 또는 화재발생 때의 각기 다른 4개소의 피호출 전화가 호출되고 또 경보종류에 따른 통보내용이 전화국선을 통하여 통보되며, 사고발생 위치와 종류가 표시되고 또 경보종류에 따른 경보와 표시가 주장치 위치와 하나의 공동선에 접속된 각 발신기 위치에서 경보표시되어 하나의 주장치는 비상경보통보와 화재발생통보의 두가지 용도로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식 전화국선이 있는 곳에서 아무 제안없이 저렴한 가격으로(임의수의 각 발신기와 하나의 주장치가 하나의 공동선에 병렬 접속되어 상용됨으로 전용배선, 배관이 필요 없으며, 하나의 주장치에 수백개소의 발신기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농어촌에서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주택, 다세대 주택, 집단부락, 아파트, 점포, 회사, 공장, 병원, 학교, 공공건물, 군용, 여관 호델 및 빌딩 등에 설치하여, 출입문, 금고, 기타 귀중품 보관문을 열면 10초간 또는 25초간 개문위치가 표시되고, 4초간 주경보톤링거를 작동시켜 주의를 환기시키고, 약간 또는 외출중은 1초 단속으로 도난발생 위치가 표시되고, 각 발신기의 가청경보톤링거가 매통보 개시 40초 후 1초 간격으로 4회 작동되어 경보되며, 전화국선 접속상태가 표시되고, 비상경보통보를 위한 4개소의 피호출 전화가 차례로 호출되어 비상통보 내용이 통보되고, 비상사태 발생시 비상버튼을 누르면 1.5초간 점화 0.5초멸화의 단속표시로 비상발생위치가 표시되고, 상기의 가청경보와 국선접속표시와 피호출 전화호출과 통보내용이 통보되며, 화재발생시 화재버튼을 누르면 0.94초 점화 0.31초 멸화의 단속표시로 화재발생 위치가 표시되고, 주경보톤링거를 5초간 작동시켜 주의를 환기시키며 각 발신기의 가청경보톤링거가 매통보 개시후 0.625초 간격으로 28회 작동되어 각 발신기 위치에서 화재발생 경보가 되며, 화재발생 통보를 위한 4개소의 피호출 전화가 우선수위에 따라 차례로 호출되어 화재발생 통보내용이 통보되고, 특히 특수병 환자의 경우는 이상이 발생할 때 환자 자신 또는 발견자가 화재버튼을 누르면 상기 화재 발생 때와 같은 각종경보와 표시가 되고, 특수병 환자를 위한 4개소의 피호출 전화 즉 첫째로 등록병원, 둘째로 환자 이상시 최우선 연락장소, 셋째로 199, 넷째로 112가 차례로 호출되고, 특수병 환자의 통보내용이 전화국선을 통하여 통보되어 하나의 주장치로 비상경보 통보와 화재발생 통보의 두가지 용도로 이용된다.
비상경보 및 화재발생 즉시 전자시계 정지되어 사고발생 시간이 지침되고, 또 건물밖의 푸랏슈 전구가 점멸되어 사고 발생 장소가 표시된다. 본 비상통보기에 연결된 전화국선을 절단시키거나 또는 사고로 전화국선이 절단되면, 즉시 전화국선 절단이 경보됨으로서 사전에 범행을 방지하게 되고, 전화국선이 고장상태에 있을 때 장치가 기동되면 전화국선 고장경보 및 표시가 각 발신기로 제공되며, 비상경보 통보용으로 기억시켜 둔 2개소의 피호출 전화를 해당되는 버튼을 한번 누르므로써 다이아링 조작없이 일상적인 통화목적으로 개별적으로 호출하여 통화하게 되어, 비상통보기의 작동 상태가 수시로 점검됨으로 비상사태 발생시 완전한 각 기능이 발휘되는 것인바 본 발명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공동선이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통보기를 전반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며, 점선 10으로 도시한 부분은 각방의 도난, 비상 및 화재 또는 특수병 환자의 이상 발생 때, 관련 스위치 또는 푸시버튼이 동작되면 최초로 동작된 것에 관련되는 경보발신의 복합주파수를 그 방의 고유 펄스수, 예를 들어 15층 9호의 경우 8ms 폭, 즉 4ms 간격의 펄스를 159회 공동선 20으로 경보발생 명령을 출력시키는 경보 발신부 12와, 경보발생중 공동선 20을 통하여 착신되는 국선접속 표시영역과 가청경보 명령들의 복합주파수는 PLL의 주파수 선택동작에 의하여 전화국선 접속상태가 국선접속 표시 등 184에 의하여 표시되고, 또 가청경보톤링거 194의 작동으로 경보되는 경보착신부 14로 구성된 발신기이며, 하나의 공동선 20에 필요한 임의수의 발신기 10이 병렬접속되어 사용된다. 도난경보 발신용 스위치 101이 착설된 출입문 또는 금고문을 열면 도난경보 발신회로 110이 동작되어 발신신호가 OR게이트 141의 제 1 입력을 통하고 트리거펄스용 콘덴서 150을 통해서 R-S 플립 플롭 145가 셋트된다.
R-S플립.플롭 145의 논리 IQ 출력은 AND게이트 146의 제 1 입력에 가해져서, OSC 190의 S4출력에서 복합용 주파수, 예를 들어 144Hz가 AND 게이트 146의 제 2 입력과 콘덴서 147를 통하여 아나로그 스위치 148의 1입력에 가해지게 하며, 또 AND 게이트 148의 제 1 입력에 가해져서, OSC 190의 CK출력에서 펄스, 예를 들어 8ms 폭, 즉 4ms 간격으 펄스가 AND 게이트 149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아나로그 스위치 149의 C입력에 가해져서, I입력에 가해진 경보발생 명령을 M출력을 통하여 공동선 20으로 출력시키고, 또 발진기 OSC 190을 가동시켜, 예를 들어 S1에서 941Hz, S2에서 1290Hz, S3에서 1336Hz, S4에서 1447Hz, CK에서 8ms폭 펄스가 출력되며, 동작중인 도난발신 회로 110의 출력에서 S1주파수 즉 941Hz가 OR 게이트 143의 제 1 입력과 콘덴서 144를 통하여 아나로그.스위치 149의 I입력에 가해지고, AND게이트 165는 각 발신기의 고유 펄스 제어용이며, 예를 들어 15층 9호의 발신기는 AND게이트 165의 제 1 입력에 결합된 층 선택스위치 170을 10위 계수의 16진 데코더의 15출력에 결합시키고, 또 AND게이트 165의 제 2 입력에 결합된 호 선택스위치 169를 1위 계수인 10진 데코더의 9출력에 결합시켜, 941Hz, 1447HZ의 복합주파수를 4ms 간격으로 159회 출력시키면 AND 게이트 165가 동작되어 R-S 플립.플롭 145가 리셋트되어 경보발신이 멈춘다.
비상사태 발생 때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비상경보 발신용 푸시버튼 102를 동작시키면, S2의 1209Hz와 S4의 1447Hz의 복합주파수가 4ms 간격으로 159회 공동선 20으로 출력되고, 또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에 이상이 생길 때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화재경보 발신용 푸시버튼 103을 동작시키면, S3의 1336Hz와 S4의 1447Hz의 복합주파수가 4ms간격으로 159회 공동선 20으로 출력된다.
공동선 20에서 콘덴서 175를 통하여 국선접속 표시명령과 가청경보 명령이 착신되면 예를 들어 770Hz, 697Hz의 복합주파수가 착신되면 697Hz에 동작되는 PLL 171과 770Hz에 동작되는 PLL 181의 논리 0출력이 NOR 게이트 185의 두 입력에 가해져서 NOR 게이트 185의 논리 1출력에 의하여 국선접속 표시 등 184가 점화되어 국선상태가 표시되고, 도 852Hz, 697Hz의 복합주파수가 착신되면 697Hz에 동작되는 PLL 171과 852Hz에 동작되는 PLL 191의 논리 0출력이 NOR 게이트 195의 두 입력에 가해져서, NOR 게이트 195의 논리 1출력에 의하여 가청경보톤링거 194가 작동되어 경보된다.
공동선 20은 고주파 전송특성이 좋은 동축케이블이 이상적이며, 기설의 화재경보선, 아파트 등의 인터폰선 및 동일 트랜스의 전등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공동선 20에 많은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통보기"를 접속할 수 있다. PLL는 500KHz까지의 주파수에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주파수의 ±4% 범위 내의 주파수에 동작되므로, 예를 들어 경보발생 명령의 복합주파수용 주파수와 각 경보발생 주파수를 변경시키면 각층에 세대당 5개의 방이 있는데 9세대가 살고 있는 15층 아파트의 경우, 135세대에 각 하나의 주장치와 아파트 전체의 공동 주장치 1세트와 합계 136세트의 주장치 30와, 각 세대당 5개의 발신기 즉 675개와, 아파트 전체의 세대당 1개의 발신기 135개를 합한 810개의 발신기 10을 하나의 공동선 20에 병렬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장치 30은 공동선 20을 통하여 임의수의 발신기 10에서 출력되는 도난발생 명령, 비상발생 명령 또는 화재발생 명령들의 복합주파수를 특종복합주파수에만 동작되는 PLL에 의한 도난 수신회로 210과, 비상 수신회로 220과, 화재 수신회로 230에 의하여 수신되고, 명령을 발신한 발신기 10의 고유 펄스 수가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어 명령을 발신한 발생기 10의 위치가 제 2 도의 위치 표시 등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며, 동작된 수신회로에 관련된 기동신호가 동부에 제공되는 수신부 200과, 수신부 200과 개별호출기 53에서 제공되는 기동신호에 의하여 장치가 기동되며, 예를 들어 15층 9호의 소재 스위치 218이 작동되어 재실표시 등 219가 점화되어 재실표기 중에 15층 9호의 출입문을 열면 도난 수신회로 210에서의 기동신호에 의하여 기동부의 M에서 4초간 논리 1이 주경보톤링거 751에 제공되어 개문이 경보되고, 도난위치 표시 등 259는 주간은 10초간, 야간은 25초간 개문위치를 표시한다.
비상경보 통보용으로 기억시켜 둔 두곳의 피호출 전화를 개별적으로 호출할 때, 개별호출기 53에서 제공되는 기동신호에 의하여 ST에서 논리 1의 전화국선 접속신호가 제공되고, 또 P에서 4초 펄스가 제공되어 원하는 개별호출 피호출 전화가 호출되고, 또 예를 들어 15층 9호의 소재 스위치 218이 정상위치 때 15층 9호의 출입문이 열리면 도난 수신회로 210이 동작되어 도난위치 표시 등 259는 1초 단속으로 도난 위치가 표시된다.
이와같은 상태의 도난 수신회로 210과, 비상 수신회로 220, 화재수신회로 230중에서 동작된 수신회로의 기동신호에 의하여 개별호출〈도난〈비상〈화재로 우선순위가 되어 있어 동작중인 하위명령의 동작을 복구시키고, 상위 발생명령에 따른 피호출 전화호출과 통보내용이 기동신호에 의하여 ST에서 논리 1를 제어부에 가하여 전화국선 접속신호가 제공되고, P에서 비상경보의 경우 4초 펄스, 화재발생의 경우 2.5초 펄스가 제공되며, 경보부로 M에서 4초간 논리 1이 제공되고, C에서 2초 펄스, L에서 697Hz 770Hz의 전화국선 접속 표시 명령의 복합주파수, T에서 697Hz, 852Hz의 가청경보 명령의 복합주파수, B에서 비상경보 때 1초 펄스 화재발생때, 0.625초 펄스, 비상경보 때 E에서 논리, 1, 화재발생 때 F에서 논리 1이 제어부 400, 다이아라부 500, 송출부 500 및 경보부 700으로 출력되어 비상경보 통보와 화재발생 통보 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신호가 출력되는 기동부 300이 주장치 30 가운데 본 발명에 속하는 부분이며, 하나의 주장치 30의 기동부 3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신호에 의하여 본인 발명의 특허 제 19030호 "비상통보기" 2세트를 하나의 비상경보 통보용으로 또 다른 하나는 화재발생 통보 또는 특수병 환자 통보용으로 사용하게 한 것이다.
제어부 400은 16진 데코더의 0, 1, 5, 7 출력이 경보부 700에 결합되어 화재발생 때 가청경보 명령을 제어시키고, 비상경보중 전화국선 고장시와, 전화국선 정상시의 가청경보 명령을 제어하고, 또 1출력이 다이라라부 500의 리다이알 발신회로에 결합되어 4진 데코더의
Figure kpo00001
출력에서 논리 1일 가해졌을 때, 즉 주기 초에 한하여 리다이알 발신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또,
Figure kpo00002
출력이 경보부 700의 스위치 721에 연결되어 비상경보의 제 1 통보 때 가청경보 명령의 출력이 제어되고, 16진 데코더는 기동부 300의 P출력에 결합되어 있는 비상경보 때는 8초 단위로 화재발생 때는 5초 단위로 진행되어 0출력에서 차례로 논리 I이 출력되며 13출력에서 전화국선 접속회로를 리셋트시키고 또 4진 데코더로 단일 펄스가 제공되며, 화재, 환자 전화자리수 제어회로에 결합된 스위치 403과, 비상 전화자리수 제어회로에 결합되고, F신호에 결합된 아나로그, 스위치 402와, 피호출 전화 3개소, 4개소의 전환 스위치 401이 포함된 자리수 제어회로는 다이아라부 500에 결합되어 제 2 도의 통보별 전화번호 자리수에 표시된 바와같이 자리수가 제어되며, 개별호출 때 다이아라부 500에서 일련에 다이알 임펄스 송출 후 개별 호출회로 53을 통하여 제어부 400으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하여 4진 데코더에 펄스가 제공되어 자리수를 제어한다.
다이아라부 500은 평상시 비상경보에 대한 피호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둔 다이아라 502와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의 이상발생 통보를 위한 피호출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둔 다이아라 503과, 자리수 계수회로와 다이아라 제어회로 및 리. 다이알 발신회로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어부 400의 I출력에서 제공되는 리. 다이알 발신신호에 의하여 비상경보 통보용 다이아라 502 또는 화재발생 통보용 다이아라 503이 동작되면 아나로그 스위치 501의 I출력에서 송출부 600의 다이알 펄스회로 604를 통하고 포오트 커플된 602의 다이오드와, 리레이 접점 601과, 전화국선 감지회로 605를 통하여 전화국선 90의 L1, L2로 피호출 전화의 다이알 임펄스가 송출되고, 또 경보부 700의 AND 게이트 707의 제 2 입력에 제공되며, 또 자리수 계수회로와 다이아라 제어회로는 제어부 400의 자리수 제어회로에서 제공되는 신호와 또 1,
Figure kpo00003
출력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평상시 전화기 50은 송출부 600의 리레이 접점 601의 평상접점을 통하여 전화국선 90에 접속되어 통상의 전화로 사용되고, 전화국선 90이 단선되면 전화국선 감지회로 605에서 스위치 752를 통하여 주경보 톤링거 751이 작동되어 경보됨으로 전화선 단선을 확인한 후 스위치 752를 작동시켜 주경보 톤링거 751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인터폰 60은 인터폰선 80에 연결되어 평상시 경비실 간의 통상의 인터폰으로 사용된다. 송출부 600은 평상시 비상경보 통보용으로 음성합성 IC에 32초간 또는 24초간 비상통보의 내용을 녹음하여둔 비상녹음 609와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 통보용으로 음성합성 IC에 24초간 통보내용을 녹음하여둔 화재녹음 610은 아나로그·스위치 608의 B.M 출력에 결합되고, I입력은 경보부 700의 OR게이트 701의 출력을 통하여 기동부 300의 E, F 출력에 결합되어 있어 비상경도 통보 또는 화재발생 통보때 관련 녹음회로가 기동되어 녹음회로의 출력에 연결된 트랜스의 1차 코일 607을 통하여 통보내용이 출력되며, 트랜스의 2차 코일 603와 606을 통하여 전화국선 90과 인터폰선 80으로 통보내용이 반복 통보된다.
리레이 접점 601은 전화국선 접속 제어회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며 전화국선회로에 직렬로 삽입된 포오트·커플러 602의 트랜지스터 콜렉터는 인버터 703을 통하여 OR게이트 701의 출력에 제 2 입력이 결합된 AND게이트 702의 제 1 입력과, 멀티·바이브레더 705의
Figure kpo00004
입력에 결합된 AND게이트 702의 출력에 의하여 아나로그·스위치 704의 C에 가해지는 신호에 의하여 기동부 300의 L에서 출력되는 697Hz, 770Hz의 복합주파수가 아나로그·스위치 704의 M, I와 아나로그·스위치 718의 B·I 를 통하고 콘덴서 740을 통하여 OUT 출력을 거쳐서 공동선 20으로 전화국선 접속명령이 출력되어 제 2 도의 국선접속 표시등 184의 국선정상에 표시된 바와같이 각 발신기 10의 표시등이 점화된다.
경보부 700은 비상경보 및 화재발생 때 각종 경보 및 표시가 되며, 전자시계 70은 평상시 일상용 시계로 사용되고, 비상경보 또는 화재발생때, 경보부 700의 OR게이트 701의 논리 1출력에 의하여 전자시계 70의 전원회로가 OFF되고, 또 푸랏슈 전구의 장소 표시등 40이 제 2 도의 시계 70, 장소 표시등 40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고 발생시간이 지침되고 또 사고 발생장소가 표시된다.
멀티·바이브레더 705의
Figure kpo00005
입력에 논리 0이 가해져 있을 때 A 입력에 적당한 트리거 펄스, 본 예에서는 697Hz, 770Hz의 복합주파수가 가해지면 CR 시정수에 의한 지연회로 706에 의해 입력이 제거된후 100ms간은 동작을 유지하게 됨으로, 다이알 임펄스 송출에 따른 브레이크 시간, 즉 67ms간
Figure kpo00006
입력에 논리 1이 가해져도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전화국선이 정상때 전화국선이 본 주장치 30에 접속되면 멀티·바이브레더 705
Figure kpo00007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고, 전화국선이 고장이면 논리 1이 출력되어 AND게이트 707의 제 1 입력에 가해져서 다이아라부 500에서의 다이알 임펄스 출력을 아나로그·스위치 708의 C입력에 가하여, 그 I·M 출력을 통하여 전화국선 접속표시 명령의 복합주파수를 공동선 20으로 출력시켜 제 2 도의 국선접속 표시등 184의 국선고장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발신기 10의 표시등을 점멸시키고, 또 아나로그·스위치 733의 B·I 출력을 통하여 AND게이트 713의 제 2 입력에 제공되며, 제 1 입력은 AND게이트 712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화재발생때 0.625초 펄스가 제 2 입력에 제공되는 AND게이트 732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제어부 400의 16진 데코더의 0출력에 결합되어 화재발생 기동후 5초동안 0.625초 간격으로 4회와, 또 비상경보때 E에서 논리 1이 제 2 입력에 가해져 있는 AND게이트 711의 제 1 입력에 제어부 400의 16진 데코더의 I출력에서 8초동안 논리 1이 제공될때, R·S플립·플롭 719의 S와 OR게이트 712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AND게이트 713의 출력에서 R-S플립·플롭 714의 S입력과 주경보 톤링거 751에 제 2 도의 주경보 톤링거 751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보가 되고, 국선 고장때 R-S플립·플롭 719가 셋트되면 그 Q 출력의 논리 1이 기동부 300의 C로 부터 2초 펄스가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있는 AND게이트 720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아나로그·스위치 715를 2초 간격으로 ON,OFF시키며, 또 R-S 플립·플롭 714가 셋트되면 그 Q출력의 논리 1이 아나로그·스위치 715의 B·I 출력을 통하고 OR게이트 716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비상경보때 1초 펄스, 화재발생때 0.625초 펄스가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있는 AND게이트 717의 제 2 입력에 제공되어, 그 출력에서 아나로그·스위치 718를 ON, OFF시켜, 기동부 300의 T에서 제공되는 697Hz, 852Hz의 가청경보 명령의 복합주파수를 아나로그·스위치 718의 I·M 출력과 콘데서 740를 통하고 OUT를 거쳐 공동선 20으로 출력시키며, 제어부 400의 4진 데코더의
Figure kpo00008
출력에서 논리 1이 스위치 721에 가해지면(즉 매주기 제 1통보때), 아나로그·스위치 722가 ON되어 가청경보 명령회로가 동작할 수 없으며, 스위치 721를 작동시켜 놓으면 또는 제 2 통보때부터는 제어부 400의 16진 데코더의 5 출력에서 8초간 논리 1이 아나로그·스위치 722의 B·I 출력을 통하여 비상경보때 제 2 입력에 논리 1이 가해져 있는 AND게이트 723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AND게이트 716의 제 1 입력을 거쳐서 AND게이트 717의 제 2 입력에 논리 1를 가하고, 또 OR게이트 724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R-S 플립·플롭 714와 719의 R 입력에 논리 1를 가하여 이들을 리셋트시키고, 또 화재발생때 0.625초 펄스가 제 2 입력에 제공되어 있는 AND게이트 734의 제 1 입력에 제어부 400의 16진 데코더의 7출력에서 5초간 논리 1이 가해지면 AND게이트 734의 출력에서 OR게이트 724의 제 2 입력을 통해 0.625초 4회 단속신호가 R-S 플립·플롭 714와 719의 R 입력에 가해져서 이들을 리셋트시켜 제 2 도의 가청경보 톤링거 194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발신기 10의 톤링거 194가 작동되어 경보된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발신기 1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이다. 출입문, 금고, 기타 귀중품 보관장소의 문을 열면 자동적으로 회로가 OFF되는 도난경보 발신용 스위치 101의 한끝은 직류전압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 101의 다른 한끝은 도난 발신회로 110의 SW1 입력을 통하여 아나로그·스위치 117의 0와 AND게이트 111의 제 1 입력에 직접 결합되고, 또 저항기 112를 통하여 AND게이트 111의 제 2 입력과 평상시 R-S 플립·플롭 145의
Figure kpo00009
출력에서 논리 1이 가해져 있는 도난 발신회로 110의 C 입력에 결합되며, 이때 스위치 101이 작동되면 AND게이트 111의 논리 1 출력은 OR게이트 113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AND게이트 114와 115의 제 1 입력과, 도난 발신회로 110의 STI 출력을 거쳐 OR게이트 141의 제 1 입력을 통하고 콘덴서 150을 트리거 펄스를 R-S 플립·플롭 145의 S에 가하여 이를 셋트시키며, 그
Figure kpo00010
출력은 논리 1에서 논리 0으로 스위치되어 각 발신회로 110, 120,130의 AND게이트 111은 동작할 수 없게 되고, 또 그 Q출력은 논리 0에서 논리 1로 스위치되어 첫째로 각 발신회로 110, 120 및 130의 R입력을 거쳐 AND게이트 114의 제 2 입력에 제공됨으로 제 1 입력에 논리 I이 제공되어 있는 도난 발신회로 110의 AND게이트 114의 논리 1출력이 OR게이트 113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도난 발신회로 110의 동작을 유지되고, 또 R-S 플립·플롭 116의 S에 제공되어 이를 셋트시켜, 그 Q 출력의 논리 1이 아나로그·스위치 117의 C에 가해져서 직류전압의 음극, 즉 논리 0이 아나로그·스위치 117의 I·O 출력을 통하여 AND게이트 111의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R-S 플립·플롭 116이 리셋트될때까지 AND게이트 111은 동작할 수 없게되고, 또 도난 발신회로 110의 OI 출력을 거쳐 OR게이트 142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OSC 160의 IN에 제공되어 그 SI 출력에서 941Hz, S2 출력에서 1209Hz, S3출력에서 1336Hz, S4 출력에서 1447Hz, CK 출력에서 4ms 펄스, T1 출력에서 25초, T2 출력에서 16초, T3 출력에서 8초 펄스가 출력되며, 둘째로 OSC 160의 S4에 제 1 입력이 결합된 AND게이트 146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콘덴서 147를 통하여 아나로그·스위치 149의 I 입력에 1447Hz의 복합용 주파수를 출력시키고, 또 OSC 160의 SI에서 출력되는 941Hz는 도난 발신회로 110의 SI 입력을 거쳐 제 1 입력에 논리 1이 가해진 AND게이트 115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도난 발신회로 110의 OUTI 출력을 거쳐 OR게이트 143의 제 1 입력과 콘덴서 144를 통하여 아나로그·스위치 149의 I 입력에 제공되고, 끝으로 OSC 16 CK에 제 1 입력이 결합된 AND게이트 148의 제 2 입력과, OR게이트 152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NAND게이트 153, 154 및 158과 저항기 155,157과, 콘데서 156이 포함된 NAND에 의한 논리 1 미분회로의 리셋트 단일 펄스에 의하여 OSC 160을 리셋트시킨후 재발진시키며, AND게이트 148의 4ms 펄스 출력은 아나로그·스위치 149의 C에 가해져서 그 I 입력의 941Hz, 1447Hz의 도난 발생명령의 복합주파수가 4ms 간격으로 R-S 플립·플롭 145가 리셋트될 때까지 그 0 출력을 통하여 공동선 20으로 출력되고, 또 10진 데코더 163의 입력이 결합된 10진 카운터 161의 E 입력에 가해져서 1위가 계수되고, 또 16진 데코더 164의 입력이 결합된 10위 계수의 16진 카운터 162에 10위 펄스가 제공되어, 예를들어 15층의 9호인 발신기의 경우 층 선택 스위치 170의 선택단을 16진 데코더 164의 15 출력에서 접속시키고, 층 선택 스위치 170의 고정단을 AND게이트 165의 제 1 입력에 결합시키고, 또 AND게이트 165의 제 2 입력은 호 선택 스위치 169를 거쳐 10진 데코더 163의 9출력에 결합시키면 AND게이트 148의 출력에서 159호 펄스가 출력되면 AND게이트 165가 동작되어 카운터 161, 162 및 R-S 플립·플롭 145가 리셋트되어 도난 발생명령의 출력이 멈추고, 비상발신회로 120과 화재 발생회로 130의 동작 폐쇠회로는 개방되고, 25초후 OSC 160의 T1에서 R-S 플립·플롭 116의 R로 리셋트 신호가 가해질 때까지 도난 발신회로 110은 폐쇠된다. R-S 플립·플롭 116이 리셋트되면 OR게이트 142의 논리 0출력에 의하여 OSC 160의 발진이 멈추고, 또 NAND게이트 159의 논리 1출력이 콘데서 166을 충전함으로써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로 OR게이트 152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OSC 160을 리셋트시킨다.
비상사태를 발생하였을때 비상경보 발신용 푸시버튼 102를 작동시키면 비상 발신회로 120의 ST2에서 OR 게이트 141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R-S 플립·플롭 145가 셋트되어 도난 발신회로 110과 화재 발신회로 130의 발신회로를 폐쇠시키고, 비상 발신회로 120의 02 출력에 의하여 OSC 160이 발진되고, 그 S2에서 비상 발신회로 120의 OUT2를 거쳐 OR 게이트 143의 제 2 입력을 통한 1209Hz와 AND게이트 146의 출력에서 1447Hz가 아나로그·스위치 149를 통하여 공동선 20으로 위의 복합주파수 159회 단속된 비상 발생명령이 출력되고, 16초후의 T2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하여 비상 발신회로 120과 OSC 160이 리셋트되며, 또 화재발생 또는 특수병 환자의 이상발생때 화재경보 발신용 푸시버튼 103을 작동시키면 화재 발신회로 130의 ST3에서 OR 게이트 141의 제 3 입력을 통하여 R-S 플립·플롭 145가 셋트되어 도난 발신회로 110과 비상 발신회로 120의 발신회로를 폐쇠시키고, 화재 발신회로 130의 03 출력에 의하여 OSC 160이 발진되고, 그 S3에서 화재 발신회로 130의 OUT3를 거쳐 OR 게이트 143의 제 3 입력을 통한 1336Hz와, AND게이트 146의 출력에서 1447Hz가 아나로그·스위치 149를 통하여 공동선 20으로 1336Hz, 1447Hz의 복합주파수가 159의 단속된 화재 발생명령이 출력되고, 8초후에 T3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하여 화재 발신회로 130과 OSC 160이 리셋트되는 경보 발신부 12이다.
직류전압이 음극은 전화국선 접속표시등 184의 음극에 연결되어 있으며, 표시등 184의 양극은 NOR 게이트 185를 통하여 PLL 181과 171의 OUT 출력에 결합되고, PLL 181의 R는 저항기 182를 통하여 직류전압의 음극에 연결된 콘덴서 183의 한 끝이 결합되어 있는 PLL 181의 C에 결합되며, 가청경보 톤링거 194의 한 끝은 NOR게이트 195를 통하여 PLL 191과 171의 OUT 출력에 결합되어 있으며, PLL 191의 R은 저항기 192를 통하여 직류전압의 음극에 연결된 콘덴서 193의 한 끝이 결합되어 있는 PLL 191에 C에 결합되고, PLL 171의 R는 저항기 172를 통하여 직류전압의 음극에 연결된 콘덴서 173의 한 끝이 결합되어 있는 PLL 171의 C에 결합되며, 콘덴서 175의 한 끝은 공동선 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 끝은 PLL 171, 181, 191의 IN 입력에 결합되어 경보 착신부 14가 구성된다. PLL는 Fo
Figure kpo00011
1/R·C식에 의해 산출된 주파수의 ±4% 범위내의 주파수에서 동작됨으로 이용되는 주파수에 적합한 저항기 182, 172, 192와 콘덴서 183, 173, 193을 선택하여야 되고 또 500KHz까지의 주파수에 사용된다. 공동선 20에서 콘덴서 175를 통하여 예를들어 전화국선 접속표시 명령이 697Hz, 770Hz의 복합주파수가 PLL 171,181 및 191의 IN 입력에 가해지면 저항기 182와 콘덴서 183에 의해 770Hz에서 동작되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는 PLL 181과, 저항기 172와 콘덴서 173에 의해 697Hz에서 동작되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는 PLL 171의 동작으로 NOR 게이트 185를 통하여 전화국선 접속표시등 184가 점화되어 국선접속 상태가 표시되고, 또 697Hz, 852Hz의 가청경보 명령이 착신되면 PLL 171과 191의 동작에 의하여 NOR 게이트 195를 통하여 가청경보톤링거 194를 작동시켜 경보가 되는 경보 착신부 14와 상술한 경보 발신부 12로 발신기 10이 구성된다.
제 4 도는 제 1 도의 주장치 30의 수신부 20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이다. PLL 202의 R는 저항기 203을 통하여 직류전압을 음극에 연결된 콘덴서 204의 한 끝이 결합되어 있는 PLL 202의 C에 결합되어 예를들어 복합용 주파수 1447Hz가 입력되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고, 또 PLL 211과 저항기 212, 콘덴서 213, NOR 게이트 214와 임의수의 위치표시회로 선택용 본 예에서는 3회로분의 선택스위치 아나로그·스위치 215, 216,217로 941Hz가 입력되면 동작되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는 도난 수신회로 210이 구성되며, PLL 221과 저항기 222, 콘덴서 223, NOR 게이트 224와 아나로그·스위치 225, 226, 227로, 1209Hz가 입력되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는 비상 수신회로 220이 구성되고, PLL 231과 저항기 232, 콘덴서 233, NOR 게이트 234와 아나로그·스위치 235, 236, 237로 1336Hz가 입력되면 OUT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는 비상 수신회로 화재수신회로 230이 구성된다.
공동선 20에서 15층 9호의 발신기 10의 화재발생 명령이 콘덴서 201를 통하여 PLL 202, 211, 221 및 231의 1N 입력에 제공되면, 1447Hz에 의하여, PLL 202의 OUT에서 논리 0이 NOR 게이트 214, 224, 및 234의 제 1 입력에 가해지고, 또 1336Hz에 의하여 PLL 231의 OUT에서 논리 0이 NOR 게이트 234의 제 2 입력에 제공되어 NOR 게이트 234의 논리 1 출력이 아나로그·스위치 235의 I·B를 통하여 AND게이트 242의 제 1 입력과, 리·트리거가 가능한 멀티·바이브레더 240의 A 입력에 가해지고, 멀티·바이브레더 240의
Figure kpo00012
는 직류전압의 양극에 결합되어 있으며, Ct Rt는 입력 펄스의 3배의 시간 즉 12ms간 동작복구를 지연되게 하는 지연회로 241이 연결되어 있음으로 펄스 수신중은 그 F 출력에서 논리 1 또는
Figure kpo00013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고, 멀티·바이브레더 240의 논리 1F 출력에 의해 OR 게이트 270의 제 1 입력을 통하고 FS를 거쳐 화재발생의 기동신호가 출력되고, 또 AND게이트 242의 제 2 입력에 제공되어 위치표시등 279가 결합되어 있는 BCD-7세구멘트·데코더/드라이바 246, 247, 248의 입력이 결합되고, 직렬로 결합된 10진 카운터 245, 244, 243의 E 입력에 159의 4ms 펄스가 제공되며, 펄스 종료 12ms후 멀티·바이브레더 240의 F 출력이 논리 1에서 논리 0으로 스위치되어 AND게이트 242는 동작할 수 없으며, 화재발생 기동신호가 제거되며, 또
Figure kpo00014
출력이 논리 0에서 논리 1로 스위치되어 콘덴서 249를 충전함으로써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에 의하여 R-S 플립·플롭 250이 셋트된다.
R-S 플립·플롭 250의 논리 1 Q 출력은 OR 게이트 275의 제 1 입력을 통하고 FH를 거쳐 화재발생 유지 신호가 제공되고, 아나로그·스위치 235의 C에 가해져서 다음으로 입력되는 화재발생 명령을 NO.2 위치표시회로에서 계수되게 하고, 또,
Figure kpo00015
출력이 논리 1에서 논리 0으로 스위치되어 PNP 스위칭 트랜지스터 251이 ON됨으로 기동부 INT를 거쳐 트랜지스터 251의 에밋터에 가해지는 0.94초 직류전압의 양극, 0.31초 직류전압의 음극의 단속 펄스에 의하여 그 콜렉터를 통하여 위치표시등 279의 15(층) 9(호) 표시등이 점멸되어 화재발생 위치가 표시되며, 기동부 300에서 인위적으로 제공되는 리셋트 신호가 R를 거쳐 R-S 플립·플롭 250의 R 입력과, 10진 카운터 243, 244, 245의 R 입력에 가해지면 리셋트된다.
본 예에서는 발신기 3개소에서 화재발생 명령이 출력되면 각기 그 위치가 표시되고, 기동신호와 유지신호는 OR게이트 270과 275의 각 제 1,2,3 입력을 통하여 기동부 300으로 출력된다. 비상경보 수신회로 220과 그 위치 표시회로의 작동은 화재 수신회로 230과 같으며, 위치표시등 269는 1.5초 점화 0.5초 멸화의 단속을 한다.
주장치 30이 위치한 곳에서 15층 9호의 소재스위치 218을 작동시키면 직류전압의 음극이 소재스위치 218를 통하여 재실표시등 219가 점화되어 재실표시가 되고, 또 각 위치 표시회로의 15층 9호의 AND게이트 267의 제 1 입력에 논리 0이 제공되어 AND게이트 267은 동작할 수 없게 된다. 이때, 15층 9호의 출입문을 열면 15층 9호의 발신기 10에서 도난발생 명령이 출력되어 공동선 20을 통하여 콘덴서 201를 거쳐 PLL 202와 211이 941Hz와 1447Hz에 의해 동작되어 NOR 게이트 214와 아나로그·스위치 215의 I·B를 통하여 AND게이트 242의 제 1 입력과,
Figure kpo00016
입력에 논리 1에 결합되고, Ct Rt아나로그·스위치 입력 펄스의 3배의 지연시간의 지연회로 241이 결합된 리·트리거가 가능한 멀티·바이브레더 240의 A 입력에 제공되어 F출력의 논리 1에 의해 AND게이트 242를 통한 159회의 펄스가 10위 계수의 16진 카운터 244와 직렬로 결합된 1위 계수의 10진 카운터 243의 E 입력에 가해져서 계수되고, 또 OR 게이트 270의 제 1 입력(NO. 2 위치 표시회로는 제 2 입력 NO. 3 위치 표시회로는 제 3 입력)을 통하고 DS를 거쳐 기동부 300으로 도난발생의 기동신호가 출력되고,
Figure kpo00017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며, 펄스 종료 12초후에 멀티·바이브레더 240이 리셋트되면
Figure kpo00018
출력이 논리 0에서 논리 1로 스위치되어 콘덴서 249를 통한 충전에 의한 트리거 단일 펄스에 의해 R-S 플립·플롭 250이 셋트되어 그 Q출력의 논리 1에 의해 첫째로 아나로그·스위치 215의 C에 제공되어 다음으로 입력되는 도난발생 명령을 NO.2 위치 표시회로에서 계수되게 하고, 둘째로 콘덴서 260을 통한 트리거 단일 펄스를 각기 10진 카운터 243과 16진 카운터 244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는 10진 데코더 262와 16진 데코더 263의 랫치 LT 입력에 제동되어 카운터 243과 244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끝으로 직류전압의 음극에 연결된 저항기 253을 거쳐 인버터 271을 통해서 논리 1이 제 1 입력에 가해져 있는 AND게이트 272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AND게이트 272의 논리 1 출력이 첫째로 OR 게이트 275의 제 1 입력(NO.2 위치 표시회로는 제 2 입력, NO.3 위치 표시회로는 제 3 입력)을 통하고 DH를 거쳐 개문 보류신호가 기동부 300으로 출력되며, 둘째로 기동부 300에서 10초 또는 25초후에 가해지는 리셋트 신호가 DR를 거쳐 제 1 입력에 제공되는 AND게이트 273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10초 또는 25초후 OR게이트 278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R-S 플립·플롭 250과 10진, 16진 카운터 243, 244와 10진·16진 데코더 262, 263의 R에 리셋트 신호를 가하여 리셋트시킨다. 끝으로 인버터 277을 통하여 PNP스위칭 트랜지스터 252의 베이스에 논리 0이 가해져서 직류전압의 양극이 에밋터와 콜렉터를 통하여 위치표시등 259를 점화시킨다. 위치표시등 259의 (호) 표시등이 결합된 BCD-7세구멘트·데코더/드라이바 248의 입력은 10진 데코더 262의 출력이 결합된 10진-2진 엔코더 264의 출력에 결합되어 있으며, 위치표시등 259의 (층)표시등이 결합된 BCD-7세구멘트·데코더/드라이바 246과 247의 입력은 16진 데코더 263의 출력이 결합된 16진-2진 엔코더 265의 출력에 결합되어 본 예에서는 15(층) 9(호)의 위치표시등 259를 10초간 또는 25초간 점화시킨다.
소재스위치 218이 정상위치때, 즉 야간 또는 외출중 15층 9호에 불법 무단 출입에 의해 도난발생 명령이 출력되면 상술한 설명과 같이 도난발생 기동신호가 출력되고, 또 논리 1이 15층 9호의 재실표시등 219를 통하여 제 1 입력에 가해져있는 AND게이트 267의 제 3 입력에 10진 데코더 262의 9출력에서 제공되는 논리 1과, 또 제 2 입력에 16진 데코더 263의 15출력에서 제공되는 논리 1이 가해져서 AND게이트 267의 논리 1출력이 아나로그·스위치 268의 C에 가해짐으로 ON되어 그 I·O출력을 통하여 논리 1을 첫째로 OR게이트 276의 제 1 입력(NO.2 위치 표시회로는 제 2 입력, NO.3 위치 표시회로는 제 3 입력)을 통하여 DEH를 거쳐 기동부 300으로 도난발생 보류신호가 출력되고 , 둘째로 인버터 271를 통하여 AND게이트 272의 제 2 입력에 논리 0을 가하여 AND게이트 272는 동작할 수 없게되며, PNP스위칭 트랜지스터 252의 베이스에 논리 0이 가해짐으로 기동부 300에서 1초간 직류전압의 양극 1초간 직류전압의 음극의 펄스가 DINT를 거쳐 PNP트랜지스터 252를 통하여 도난 위치표시등 259를 점멸시키고, 끝으로 AND게이트 274의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기동부 300에서 제공되는 리셋트 신호가 R를 거쳐 AND게이트 274의 제 2 입력에 가해지면 OR 게이트 278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위치 표시회로를 리셋트시킨다.
제 5 도는 제 1 도의 주장치 30의 기동부 300을 상세히 표시한 회로도이다. 수신부 200의 도난수신회로 210의 기동신호가 DS를 거쳐 논리 1이 OR 게이트 302의 제 2 입력과 콘덴서 311에 가해지면, OR 게이트 302의 논리 1출력이 OSC 303의 IN입력에 제공되어 그 t에서 697Hz, 852Hz의 가청경보 명령의 복합주파수가 T로 출력되고, ℓ에서 697Hz, 770Hz의 전화국선 접속표시 명령의 복합주파수가 L로 출력되며, f에서 312.5ms의 화재발생 기본펄스가 아나로그·스위치 305의 M로 출력되고, U에서 500ms의 비상경보의 기본펄스가 아나로그·스위치 305의 B·I를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의 E입력에 제공되며, m에서 4초간 펄스가 R-S 플립·플롭 314의 R로 출력되고, DL에서 10 펄스, D에서 25초 펄스가 주·야간 전환스위치 316으로 출력되며, 또 콘덴서 311이 충전됨으로서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가 OR게이트 313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두곳으로 단일펄스가 제공되는데, 첫째로 R-S 플립·플롭 314의 S에 제공되어 그 Q출력의 논리 1이 M을 거쳐 경보부 700의 주경 보톤링거 751를 4초후 OSC 303의 m출력에 의하여 R-S 플립·플롭 314가 리셋트될때까지 작동시키며, 둘째로 OR게이트 308의 제 1 입력을 통하고 OR 게이트 309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의 R과, OSC 303의 R에 리셋트 신호가 제공된다. 도난수신회로 210의 보류신호가 DH를 거쳐 논리 1이 OR게이트 302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OSC 303을 발진시키고, 또 주·야간 전환스위치 316이 제 1 입력에 결합되어 있는, AND게이트 315의 제 2 입력에 제공됨으로 주간은 10초후, 야간은 25초후 AND게이트 315가 동작되어 DR을 거쳐 도난수신회로 210의 위치표시회로를 리셋트시키고, 또 OR게이트 309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와 OSC 303을 리셋트 시킨다.
개별호출을 위하여 버튼 51 또는 버튼 52를 누르면 개별호출회로 53의 논리 1출력이 콘덴서 306에 가해져서 OR게이트 308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와 OSC 303을 리셋트시키고, 또 OR게이트 301의 제 3 입력을 통하고 OR게이트 302의 제 3 입력을 통하여 OSC 303이 발진되고, 또 R-S 플립·플롭 327의
Figure kpo00019
에서 논리 1이 제 1 입력에 제공되어 있는, AND게이트 301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ST를 거쳐 제어부 400의 국선접속 제어회로에 논리 1을 출력시키고 또 16진 카운터 304의 23출력에서 P를 거쳐 4초 펄스를 제어부 400의 16진 카운터 출력시켜, 평상시 기억시켜둔 비상통보용 피호출 전화를 호출하여 전화기 50에서 통상의 통화를 하게 된다.
야간 또는 외출중에 출입문 또는 금고문 등이 열리면 도난수신회로 210에서 DS를 거쳐 논리 1의 가동신호가 입력되어 주경보톤링거 751을 4초간 동작시켜 경보하고, 논리 1의 도난보류신호가 DEH를 거쳐 16진 카운터 304의 21출력에서 1초 펄스가 제 1 입력에 제공되는 NAND게이트 317의 제 2 입력에 가해져서 NAND게이트 317의 1초 펄스 출력에 의하여 PNP 스위칭 트랜지스터 318의 1초 단속 ON, OFF신호가 D·INT를 거쳐 도난수신회로 210의 위치표시등 259를 1초 단속 점멸시키고, 또 OR게이트 328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세곳으로 제공되며, 첫째로 아나로그·스위치 324의 C에 가해져서 OR게이트 325의 제 1 입력 회로를 폐쇄시키고, 둘째로 OR게이트 321의 제 1 입력과 OR게이트 301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OSC 303발진이 유지되고 또 ST를 거쳐 제어부 400의 전화국선 접속제어회로에 논리 1신호가 출력되고, 16진 카운터 304의 21에서 B로 1초 펄스를, 22에서 C로 2초 펄스가 경보부 700으로 출력되고, 끝으로 아나로그·스위치 343의 B·I를 통하고 E를 거쳐 경보부 700의 비상경보신호 E에 제공되어 비상경보에 따른 각종경보와, 표시와, 피호출 전화호출 및 통보가 차례로 주기적으로 리셋트 버튼 350을 인위적으로 작동시켜, 각 수신회로 즉 210, 220 및 230과 OR게이트 309의 제 3 입력을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와 OSC 303의 R에 논리 1을 가하여 리셋트시킬때까지 동작하게 된다.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비상수신회로 220의 기동신호가 ES를 거쳐 논리 1이 OR게이트 321의 제 2 입력을 통해 OSC 303을 발진시키고, AND게이트 310의 제 2 입력에 논리 1을 가하고, 또 콘덴서 322를 충전함으로써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가 두곳으로 제공되는데, 한곳은 아나로그·스위치 324의 B·I를 통하고, OR게이트 325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아나로그·스위치 326의 B·I를 거쳐 R-S 플립·플롭 327의 S에 가해져서 R-S 플립·플롭 327이 셋트되고, 그
Figure kpo00020
출력이 논리 1에서 논리 0으로 스위치되어 AND게이트 310의 제 1 입력에 제공됨으로 AND게이트 310은 동작할 수 없음으로, 예를 들어 개별호출중 전화국선이 접속되어 있을 때, 전화국선 접속제어회로를 복구시킨다.
다른 한곳은 OR게이트 313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R-S 플립·플롭 314를 셋트시켜 그 Q출력의 논리 1은 M을 거쳐 경보부 700의 주경보톤링거 751를 작동시켜 경보하고, 또 OR게이트 308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와 OSC 303을 리셋트시킨다.
비상수신회로 220의 논리 1비상보류신호가 EH를 거쳐 OR게이트 328의 제 2 입력을 통하여 도난보류신호 입력때와 같은 각 회로의 작동이 되고, 2초후 16진 카운터 304의 22출력의 논리 1에 의하여 R-S 플립·플롭 327이 리셋트되고, 그
Figure kpo00021
출력이 논리 0에서 논리 1로 스위치되어 AND게이트 310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ST를 거쳐 전화국선 접속제어회로에 논리 1을 가하여 전화국선을 접속시킨다. PNP 스위칭 트랜지스터 340의 베이스는 NOR게이트 329를 통하여 16진 카운터 304의 20, 21출력이 결합되어 있음으로 비상수신회로 220와 화재수신회로 230의 INT로 비상의 경우 1.5초 양극, 0.5초 음극, 화재의 경우 0.94초 양극, 0.31초 음극의 단속펄스가 PNP트랜지스터 340의 직류전압의 양극에 연결된 에밋터에서 콜랙터를 통하여 제공된다.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수신회로 230의 기동신호가 FS를 거쳐 논리 1이 OR게이트 321의 제 3 입력을 통해 OSC 303을 발진시키고, AND게이트 310의 제 2 입력에 논리 1을 가하고, 또 콘덴서 341를 통하여 트리거 신호가 두곳으로 제공되는데, 한곳은 OR게이트 325의 제 2 입력과 아나로그·스위치 326의 B·I를 통하여 R-S 플립·플롭 327을 셋트시켜, 그
Figure kpo00022
출력의 논리 0을 AND게이트 310의 제 1 입력에 가하여 전화국선 접속제어회로는 동작할 수 없게 되고, 다른 한곳은 OR게이트 313의 제 3 입력을 통하여 주경보톤링거 751를 4초간 작동시켜 경보하고 16진 카운터 304와 OSC 303을 리셋트시킨다.
화재수신회로 230의 논리 1 화재보류신호가 FH를 거쳐 아나로그·스위치 305의 C에 제공되어 그 M·I를 통하여 OSC 303의 f에서 출력되는 312.5ms 펄스를 16진 카운터 304의 E입력에 가하여 계수 출력되게 하고, 또 F를 거쳐 경보부 700, 송출부 600, 다이아라부 500, 제어부 400의 각 F로 논리 1이 출력되어 화재발생에 따른 각종 경보, 표시 및 피호출 전화호출과 통보내용이 통보되고, 또 아나로그·스위치 343의 C에 제공되어 그 I.B에서 I.M로 스위치시켜 E로 논리 0을 출력시키고, 또 아나로그·스위치 326의 C에 제공되어 R-S 플립·플롭 327의 셋트회로를 폐쇠시키며, 또 OR게이트 301의 제 1 입력을 통하여 OSC 303을 발진유지시키고, AND게이트 310의 제 2 입력에 논리 1을 가한다.
OSC 303의 발진 1.25초후 16진 카운터 304의 22출력의 논리 1이 R-S 플립·플롭 327의 R에 입력되어 리셋트됨으로 그
Figure kpo00023
출력은 논리 0에서 논리 1로 스위치되어 AND게이트 310의 제 1 입력에 가해져서 하위순위 경보에 의해 전화국선 90에 접속된 것을 1.25초간(비상의 경우는 2초간) OFF 시켜 복수시킨 후 전화국선 접속제어회로로 논리 1을 제공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각종 경보, 표시와 피호출 전화호출 및 통보내용이 통보된다.
본 기동회로는 개별호출〈도난〈비상〈화재로 우선순위가 되어 있어 두 종류 이상의 명령이 수신되면 하위명령의 작동을 복구시키고, 상위발생 명령에 따른 피호출 전화호출과 통보내용이 통보되고, 또 각종 경보 및 표시가 된다.

Claims (1)

  1.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통보 양용 비상통보기에 있어서, 도난경보 발신용 스위치(101)와 비상경보 발신용 푸시버튼(12) 및 화재경보 발신용 푸쉬버튼(103)에 각각 연결된 도난경보 발신회로(110)와 비상경보 발신회로(120) 및 화재경보 발신회로(130)에서는 OR게이트(141)와 콘덴서(150)를 경유하여 R-S 플립·플롭(145)의 세트단자(S)에 접속하고, 16진 데코더의 출력단에 전환 접속되는 선택스위치(170)와 10진 데코더의 출력단에 전환 접속되는 선택스위치(169)에서 AND게이트(165)를 통해 리세트단자(R)에 연결한 상기 R-S 플립·플롭(145)의 출력단(Q)에서는 OSC(190)와 두 AND게이트(146)(148)의 일측에 동시에 접속하며, 상기 OSC(190)의 출력(S1)이 인가되는 상기 도난 경보발신회로(110)와 상기 OSC(190)의 출력(S2)이 인가되는 상기 비상경보 발신회로(120) 및 상기 OSC(190)의 출력(S3)이 인가되는 상기 화재경보 발신회로(130)들의 출력은 OR게이트(143)와 콘덴서(144)를 경유한 후 상기 OSC(190)의 출력(S4)이 타측에 인가되는 상기 AND게이트(146)의 출력이 콘덴서(147)를 경유한 복합용 주파수와 합쳐져 복합주파수로 아나로그 스위치(149)의 단자(I)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OSC(190)의 출력(CK)이 타측으로 인가되는 AND게이트(148)의 출력단과 단자(C)가 접속된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149)의 출력단자(M)에서 공동선(20)에 연결한 경보 발신부(12)와, 상기의 공동선(20)에 콘덴서(175)를 통해 PLL(171),(181),(191)의 입력단(IN)에 공통으로 연결하고, 상기 PLL(171),(181)의 출력이 양측으로 입력되는 NOR 게이트(185)의 출력단에는 전화의 국선 접속표시등(184)을 접속하면서 상기 PLL(171),(191)의 출력이 양측으로 입력되는 NOR게이트(195)의 출력단에는 가청경보 톤링거(194)를 접속한 경보착신부(14)들로 이루어진 발신기(10)는 상기의 공동선(20)에 병렬로 다수 접속하여 하나의 주장치(30)를 통해 신호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의 주장치(30)는 상기 발신기(10)의 경보발신부(12)로부터 입력되는 복합주파수에 복합용 주파수가 있는가를 인식하는 PLL(202), 상기의 복합주파수에 상기 도난경보 발신회로(110)로부터의 도난 경보주파수가 있는가를 인식하는 PLL(211), 상기의 복합주파수에 비상경보 발신회로(120)로부터의 비상경보주파수가 있는가를 인식하는 PLL(221), 상기의 복합주파수에 화재 경보 발신회로(130)로부터의 화재경보주파수가 있는가를 인식하는 PLL(231), 상기의 발신기(10)가 설치되는 실내에 사람이 있을때 온시켜 재실표시등(291)을 점등시키면서 도난 발생의 인식을 하지 않도록 하는 소재 스위치(218), 상기 두 PLL(202), (211)의 출력이 모두 0인 경우 16진 카운터(244)와 10진 카운터(243)를 통해 계수하여 도난위치 표시등(259)을 소정시간 점등시키는 도난수신회로(210), 상기 두 PLL(202)(221)의 출력이 모두 0인 경우 비상위치 표시등(269)을 소정시간 점등시키는 비상 수신회로(220), 상기 두 PLL(202), (231)의 출력이 모두 0인 경우 화재 위치 표시등(279)을 소정시간 점등시키는 화재 수신회로(230)들로 이루어진 수신부(200)와, 개별호출기(53)의 버튼(51),(52)들에 의한 개별호출신호, 상기 수신부(200)로부터의 도난경보 기동신호, 비상경보 기동신호 및 화재경보 기동신호를 입력받아 우선 순위에 따라 출력하는 기동부(300)와, 상기 기동부(300)로부터의 전화국선 접속신호는 단자(ST)로 입력되면서 비상경보신호 및 화재발생 경보신호는 단자(P)에 다른 펄스로 입력되어 경보명령 및 전화국선 접속명령을 출력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기동부(300)로부터 단자(M)(C)를 통해 정한시간 단위의 펄스신호, 단자(L)를 통해 전화국선 접속표시 명령의 복합주파수, 단자(T)를 통해 가청경보 명령의 복합주파수, 단자(B)를 통해 비상경보 및 화재발생에 따른 다른 펄스신호, 단자(E)를 통해 비상경보 동작신호, 단자(F)를 통해 화재발생 동작신호들을 각각 입력받아 각 발신기(10)의 가청경보 톤링거(194)로 가청경보 명령과 전화국선 표시명령을 출력하면서 국선접속 표시등(184)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전화국선(90)을 통해 외부에 알리는 경보부(70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통보기.
KR1019900008568A 1990-06-12 1990-06-12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KR93000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568A KR930004486B1 (ko) 1990-06-12 1990-06-12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8568A KR930004486B1 (ko) 1990-06-12 1990-06-12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06A KR920001406A (ko) 1992-01-30
KR930004486B1 true KR930004486B1 (ko) 1993-05-27

Family

ID=1929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568A KR930004486B1 (ko) 1990-06-12 1990-06-12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651B1 (ko) * 2005-12-06 2007-02-26 주식회사 아이레보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406A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1810A (en) Neighborhood home security system
US4465904A (en) Programmable alarm system
US5790019A (en) Emergency alarm system
US5012507A (en) Telephone activated emergency light system
US4993058A (en) Phone activated emergency signaling system
GB2179186A (en)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4090182A (en) Security system employing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US4389635A (en) Interfacing attachment for remote mechanical fire alarms
JPS6113280B2 (ko)
WO1992022883A1 (en) Alarm installation
KR930004486B1 (ko) 공동선 이용 비상경보 통보, 화재발생 통보 양용 비상 통보기
JPH0320960B2 (ko)
WO1997048220A2 (en) Programmed telephone security system
JPH0262998B2 (ko)
US3511933A (en) Automatic telephone alarm system
US3801971A (en) Telephone alarm system
JPH0262999B2 (ko)
KR840002448B1 (ko) 비상 통보기
JP2000215369A (ja) 警報監視盤
US3789382A (en) Alarm system with central station monitoring of key operated locks of a number of remote stations
GB2281675A (en) Alarm response system
GB2149543A (en) Alarm system
JPH09324571A (ja) 異常事態報知装置および緊急時開錠装置
JPS62256194A (ja) 電話回線を使用した監視システム
US3848242A (en) Burglar alarm system with selectable latching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