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43B1 -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43B1
KR920007143B1 KR1019900005584A KR900005584A KR920007143B1 KR 920007143 B1 KR920007143 B1 KR 920007143B1 KR 1019900005584 A KR1019900005584 A KR 1019900005584A KR 900005584 A KR900005584 A KR 900005584A KR 920007143 B1 KR920007143 B1 KR 920007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artment
name
guide
address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9377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43B1/ko
Publication of KR91001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이름 및 부서 테이블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부서 안내에 의한 자동콜 접속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제어부 20 : 음성 처리부
30 : 보조기억부 40 : 접속부
50 : 부가 모듈부
본 발명은 자동 교환 기능을 갖는 음성 우편장치에서 자동콜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해 원하는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콜을 접속시켜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우편장치(Voice Mailing System)이란 음성 메세지를 회선망을 통해 기억부에 저장시키거나, 저장시켜 놓은 음성 메세지를 회선망을 통해 송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자동 교환 기능이란 교환의 역할을 음성 우편장치가 하는 것으로 음성 우편장치가 안내를 내보내고 송신자가 DTMF 키로 입력을 하면 송신자가 원하는 내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의미하며 계층적 부서 안내방식은 음성 우편장치가 큰 부서들에 대한 안내를 내보내고 송신자가 입력을 하게되면 입력한 부서 밑에 있는 소부서에 대해 다시 안내 및 송신자의 DTMF 입력을 반복하여 마침내 최종소부서에 도달하면 그 소부서에 해당되는 사람들의 이름을 들려주고, 이때 송신자가 원하는 사람의 이름에 대한 지정번호를 누르면 음성 우편장치가 자동으로 내선번호로 변환 접속시켜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교환 기능을 갖는 음성 우편장치는 송신자가 사용자의 이름과 부서만 알고 내선번호 를 모르는 경우나 송신자가 부서명만 알고 부서의 임의의 사람과 통화하고자 할 경우 음성 우편장치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콜(call)을 끊거나 교환으로 연결시켜 주는 방법뿐으로 교환의 역활을 대신하는 우편 음성 장치의 역할에 부합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교환과 2번 연결되는 것과 같으므로 불편함과 불필요한 통화시간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내선번호를 모를 경우 교환을 통하지 않고 음성 우편장치가 계층적인 부서 안내에 따른 사용자의 DTMF 키입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인 부서 안내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우편장치 시스템도로서, 음성 우편장치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0)와, 회선접속부, 음성 변환장치, 클럭발생부 등으로 구성되어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DTMF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10)로 전송하고 녹음하고자 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탈 음성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로 전송하거나 상기 주제어부(10)로부터 디지탈 음성 데이타를 받아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화라인으로 전송하기 위한 음성처리부(20)와, 음성 안내 및 음성 메세지, 프로그램, 데이타 화일 등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부(30)와, 상기 주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조기억부(30)의 음성 안내, 음성 메세지를 상기 주제어부(10)로 전송하거나 상기 주제어부(10)의 음성 데이타를 보조기억부(30)로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접속부(40)와, 입출력 장치 또는 모뎀(MODEM) 및 확장 기억장소부로 구성되어 내부 사설교환기(PABX)와 통신하거나 또는 외부 터미널에서 입력되는 운용 및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를 통신하는 부가 모듈부 (50)로 구성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 흐름도로서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을 설정하여 부서에 대한 안내를 작성할 것인지 사람 이름 안내를 작성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이름 작성을 선택하여 이름 안내 녹음이 되지 않았으면 이름 안내 녹음을 한 후 저장하고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이름이라 표시하고 생성 테이블에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부서 안내를 선택하여 부서 안내 녹음이 되지 않았으면 부서 안내 녹음을 한 후 저장하고 부서 안내 녹음 화일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부서라 표시하고 생성 테이블에 부서 및 부서코드를 입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생성된 부서 테이블의 각 부서에 대해 종속 부서를 요구하는지 아니면 이름 안내 작성인지를 선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이름 안내 작성을 선택하여 이름 안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이름 안내를 녹음하여 저장한 후 상위 부서 테이블에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생성 테이블에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종속부서 작성 요구를 선택하여 부서 안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부서 안내 녹음을 하여 저장한 후 상위부서 테이블에 부서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 지정을 하여 생성 테이블에 부서 및 부서 코드를 입력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이름 및 부서 테이블도로서, 상기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제2,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스템 설치시나 설치후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수행하게 되는데 (1a)단계에서 시스템 관리자가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 설정을 선택한 후 (2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a)단계에서는 부서에 대한 안내를 작성할 것인지 사람이름 안내를 작성할 것인가를 체크하여 부서 안내 작성을 선택하면 (9a)단계를 수행하고 사람 이름 안내 작성을 선택하면 (3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a)단계에서는 이름 안내 녹음이 이미 되어 있는가를 체크하여 이름 안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4a)단계에서 이름 안내 녹음을 하여 저장한 후 (5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a)단계에서는 제2a도와 같은 이름 안내 관련 테이블을 생성후 그 주소를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 후 (6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a)단계에서는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 후 (7a)단계에서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생성된 테이블의 형태를 이름이라 표시하고 (8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8a)단계에서는 생성 테이블에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고 초기화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코드, (9a)단계에서는 부서 안내 녹음이 이미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10a)단계에서 부서 안내 녹음을 하여 저장한후 (ll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lla)단계에서는 제2B도와 같은 부서 테이블을 생성하여 주소를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 후 (12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2a)단계에서는 부서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저장한 후 (13a)단계에서 제2C도와 같은 테이블에 테이블 형태를 부서라 표시하고 (14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4a)단계에서는 생성 테이블에 부서 및 부서 코드를 입력하고 (15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5a)단계에서는 생성된 부서 테이블의 각 부서에 대해 종속부서를 요구하는지 이름 안내 작성을 요구하는가를 체크하여 종속부서 작성을 선택하면 (22a)단계를 수행하고 이름 안내 작성을 선택하면 (16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6a)단계에서는 이름 안내 녹음이 이미 되어 있는 가를 체크하여 녹음되어 있지 않으면 (17a)단계에서 이름 안내 녹음을 하고 저장한 후 (18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8a)단계에서는 상위 부서 테이블에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지정하고 (19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19a)단계에서는 제2a도와 같은 이름 안내 테이블을 생성한 후 상위 부서 테이블에 주소를 지정하고 상기 (20a)단계에서 상위 부서 테이블에 테이블 형태를 "이름"이라 표시하고 (21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1a)단계에서는 생성된 이름 안내 테이블에 코드,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고 다 시 (15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2a)단계에서는 부서 안내녹음이 이미 되었는가를 체크하여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23a)단계에서 부서 안내 녹믐을 하여 저장한 후 (24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4a)단계에서 상위 부서 테이블에 부서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저장하고 (25a)단계에서 제2b도와 같은 부서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위 부서 테이블에 주소를 저장한 후 (26a)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6a)단계에서는 상위 부서 테이블에 테이블 형태를 "부서"라 표시하고 다시 (14a)단계를 수행하여 초기화 과정을 반복 수행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송신자가 음성 우편장치의 교환 안내가 나올때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을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수행후 음성 우편장치에서 부서 안내나 이름 안내가 송출되면 송신자는 DTMF 키로 해당 번호를 입력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입력된 번호가 테이블에 있으면 테이블 형태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테이블 형태가 부서 테이블이면 해당 부서 번호란에서 가리키고 있는 종속 안내 녹음 화일을 가져와 송출하고 관련 테이블을 가져와 이 과정을 다시 수정시키고 테이블 형태가 이름테이블이면 해당 이름 번호란에 입력되어 있는 내선번호로 콜을 전환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송신자가 전화를 하여 음성 우편장치의 교환 안내가 송출될때 (1b)단계에서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을 선택하고 (2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b)단계에서는 가장 상위의 부서 안내나 이름 안내를 송출하고 (3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b)단계에서는 해당 부서 테이블이나 이름테이블을 가져오고 (4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b)단계에서는 송신자가 DTMF 키로 해당 테이블 번호를 입력시킨 후 (5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b)단계에서는 송신자가 입력한 번호가 테이블에 있는가를 체크하여 번호가 없으면 다시 (4b)단계를 수행하고 번호가 있으면 (6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b)단계에서는 해당 테이블 형태가 부서 테이블인지 이름 테이블인가를 체크하여 부서 테이블이면 (8b)단계를 수행하고 이름 테이블이면 (7b)단계에서 테이블내에 해당 이름 번호란에 입력되어 있는 내선번호로 콜을 전환한 후 종료된다. 상기 (8b)단계에서는 해당 부서 번호란에서 가리키고 있는 종속안내 녹음 화일을 가져와 송출하고 (9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9b)단계에서는 테이블의 부서 번호란에서 가르키는 관련 테이블을 가져온 후 다시 (4b)단계부터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우편장치에서 송신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내선번호를 알지 못할 경우에 교환을 통하지 않고 계층적 부서 안내에 의해 음성 우편장치가 자동으로 원하는 상대방으로 접속시켜 주므로 음성 우편장치의 설치 목적에 적합하고 교환원을 두지 않거나 부재중인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며 송신자가 특정 사람이 아니라 부서로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에도 쉽게 접속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 교환 기능을 갖는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직에 의한 콜 접속방법에 있어서,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을 설정하여 부서에 대한 안내를 작성할 것인지 사람 이름 안내를 작성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이름 작성을 선택하여 이름 안내 녹음이 되지 않았으면 이름 안내 녹음을 한 후 저장하고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이름이나 표시하고 생성 테이블에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부서 안내를 선택하여 부서 안내 녹음이 되지 않았으면 부서 안내 녹음을 한 후 저장하고 부서 안내 녹음 화일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부서라 표시하고 생성 테이블에 부서 및 부서코드를 입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생성된 부서 테이블의 각 부서에 대해 종속부서를 요구하는지 아니면 이름 안내 작성인가를 선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이름 안내 작성을 선택하여 이름 안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이름 안내를 녹음하여 저장한 후 상위 부서 테이블에 이름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를 지정하여 생성 테이블에 이름 및 해당 내선번호를 입력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종속부서 작성 요구를 선택하여 부서 안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으면 부서 안내 녹음을 하여 저장한 후 상위 부서 테이블에 부서 안내 녹음 화일명 또는 주소 지정을 하여 생성 테이블에 부서 및 부서 코드를 입력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여 송신자가 음성 우편장치의 교환 안내가 나올때 계층적 부서 안내 기능을 선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수행후 음성 우편장치에서 부서 안내나 이름 안내가 송출되면 송신자는 DTMF 키로 해당 번호를 입력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입력된 번호가 테이블에 있으면 테이블 형태를 검사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테이블 형태가 부서 페이블이면 해당 부서 번호란에서 가리키고 있는 종속 안내 녹음 화일을 가져와 송출하여 관련 테이블을 가져와 이 과정을 다시 수행시키고 테이블 형태가 이름테이블이면 해당 이름 번호란에 입력되어 있는 내선번호로 콜을 전환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콜 접속방법.
KR1019900005584A 1990-04-20 1990-04-20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KR920007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584A KR920007143B1 (ko) 1990-04-20 1990-04-20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584A KR920007143B1 (ko) 1990-04-20 1990-04-20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77A KR910019377A (ko) 1991-11-30
KR920007143B1 true KR920007143B1 (ko) 1992-08-27

Family

ID=1929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584A KR920007143B1 (ko) 1990-04-20 1990-04-20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77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1217A (en) Personal-servicing communication system
US5440625A (en) Personal-servicing communication system
KR920007143B1 (ko) 음성 우편장치의 계층적 부서 안내 방식에 의한 자동콜 접속방법
GB2302238A (en) Alarm calls
KR0168785B1 (ko) 한글코드 키입력에 의한 무인교환 안내 시스템 구현방법
JPS6116667A (ja) 中継同報方式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0138182B1 (ko) 키폰과 결합하는 음성우편 시스템의 내선선택에 의한 사서함 연결방법
JPH0482477A (ja) ファクシミリ通信による情報提供装置
KR100217036B1 (ko) 간이 전자 교환장치의 삐삐호출 예약방법
JP2548538B2 (ja) 通信装置
JP2548522B2 (ja) 画情報送信装置
JPS61148945A (ja) 通信装置
JP3050815B2 (ja) 画像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ベース装置
JP3626663B2 (ja) ファクシミリ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
JP3142306B2 (ja) メッセージ録音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JPS60208148A (ja) 電子式住所録装置
JPH0371760A (ja) 被呼者データ登録方法
KR20020069667A (ko)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음성 사서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379145A (ja) 通信端末装置
JPH0446450A (ja) 勤務管理方式
JPH0548688A (ja) 電話装置
JPH04100462A (ja) デジタル電話装置
JPH04156046A (ja) 通信装置
JPS6251352A (ja) メツセ−ジ送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