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430Y1 -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 Google Patents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430Y1
KR920006430Y1 KR2019900013297U KR900013297U KR920006430Y1 KR 920006430 Y1 KR920006430 Y1 KR 920006430Y1 KR 2019900013297 U KR2019900013297 U KR 2019900013297U KR 900013297 U KR900013297 U KR 900013297U KR 920006430 Y1 KR920006430 Y1 KR 920006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istor
constant voltage
driven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2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5410U (en
Inventor
황용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430Y1/en
Publication of KR920005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1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30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standby power

제1도는 이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도.1 is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the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정전압부 20 : 제2정전압부10: first constant voltage unit 20: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30 : 제2표시부 40 : 릴레이 구동부30: second display unit 40: relay drive unit

50 : 스위칭부 60 : 제1표시부50: switching unit 60: first display unit

Q1∼Q6 : 트랜지스터 D1 : 다이오드Q1 to Q6: transistor D1: diode

ZD1, ZD2 : 재너다이오드 L : 릴레이 구동용 코일ZD1, ZD2: Jenner Diode L: Relay Drive Coil

SW1 : 스위치SW1: Switch

이 고안은 전원 공급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지 대기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인지를 표시하여 주는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standby power to indicate whether the power is being supplied or the standby power is being applied.

종래의 전기, 전자 장치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대기전원 상태인지를 표시하여 주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는 대기전원의 상태에서도, 전원 플러그를 전원코드에 접속시키려고 의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do not have a device for indicating whether power is being applied or standby power, and the user has a problem such as intending to connect the power plug to the power cord even in the state of standby power. .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전원의 입력하고자할때, 구동전원 인가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 및, 상기 마이콤의 출력에 따라 구동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구성하여, 대기전원 상태 및 구동전원 입력상태를 표시하여주는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when a driving power is input, a microcomputer for outputting a driving power application signal and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riving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microcomputer are configured to provide standby pow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standby power that displays a state and a driving power input stat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입력되는 대기전원을 일정전압의 정전압화하는 제1 정전압부와, 상기 제1 정전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정전압부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의 정전압부화하는 제2 정전압부와, 구동전원 입력시 구동전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의 구동전원 입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 및 제2 정전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제2 표시부와, 상기 스위칭부 및 제2 정전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구동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스위칭부 및 제1 정전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구동시 제1 표시부와, 함께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로 구성하는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constant voltage unit for constant-voltage input voltage of the standby power input,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constant voltage incubation of a constant voltage A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a microcomputer for outputting a driving power input signal when driving power is input,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and switched according to a driving power inpu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the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A secon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a fir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and drive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And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a first display unit, a relay driving unit driving together with the standby power source, and a standby power supply configured to drive the switching unit.

이하 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이 고안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도로서 제1, 제2 정전압부(10), (20), 마이콤(MC), 스위칭부(50), 제1, 제2 표시부(60), (30), 및 릴레이 구동부(40)로 이루어진다.1 is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the standby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stant voltage units 10, 20, the microcomputer MC, the switching unit 5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60, 30 and the relay driver 40.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되는 대기전원(VCC)을 일정전압의 정전압화 하는 제1 정전압부(10)는 대기전원(VCC)을 증폭용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및 베이스측에 인가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과전압 검출용 제너다이오드 (D1) 및 평활용 콘덴서(C1)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평활용 콘덴서(C2)를 연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은 일정전압의 정전압이 출력되도록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for converting the input standby power VCC to a constant voltage may apply the standby power VCC to the collector and base of the amplifying transistor Q1. The overvoltage detection zener diode D1 and the smoothing capacitor C1 are connected to the base side of the transistor Q1, and the smoothing capacitor C2 is connected to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1. The emitter side of) is made to output a constant voltage of a constant voltage.

그리고 상기 제1 정전압부(10)에 연결된 제2 정전압부(20)는 트랜지스터(Q2), 제너다이오드(ZD2) 및 평활용 콘덴서(C3), (C4)를 상기 제1 정전압부(10)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제1 정전압부(1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 상태를 갖는 정전압으로 하여 출력하게 이루어진다.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connect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may connect the transistor Q2, the zener diode ZD2, and the smoothing capacitors C3 and C4 with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In the same configuration,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is output as a constant voltage having a constant voltage state.

그리고 상기 마이콤(MC)은 사용자가 구동전원을 입력하고자 할때, 하이레벨의 구동전원 입력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콤(MC)에 연결되어 스위칭부(50)는 상기 마이콤(MC)의 단자(0)에 스위칭용트랜지스터(Q5)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5)가 구동시, 구동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3)를 연결한다.When the user inputs driving power, the microcomputer MC is configured to output a high level driving power input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MC so that the switch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MC of the microcomputer MC. The switching transistor Q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0,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Q3 is driven when the transistor Q5 is driven.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2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구동에 따라 구동하는 제2표시부(30)는 상기 스위칭부(50)에 구성되는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측에 상기 트랜지스터(Q3)과 역구동되는 트랜지스터(Q4)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측은 제2 정전압부(20) 및 상기 트랜지스터(Q4)와 역구동하는 발광용 다이오드(LED2)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The second display unit 30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and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unit 50 is a transistor Q3 configured in the switch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4, which is driven back to the transistor Q3, and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4 is driven to emit light which is driven back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and the transistor Q4. This is achieved by connecting a diode (LED2).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2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제1표시부(60)는 상기 스위칭부(50)에 구성되는 트랜지스터(Q3)에 상기 트랜지스터(Q3)와 역구동하는 트랜지스터(Q6)를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측에 발광용 다이오드(LED1) 및 제2 정전압부(20)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6)가 구동시 상기 발광용 다이오드(LEDl)가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The first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and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witching unit 50 is a transistor Q3 configured in the switching unit 50. A transistor Q6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3 in reverse driving to the transistor Q3,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1 and a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connected in series to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6. When the Q6) is driven, the light emitting diode LEDl is driven.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1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구동시 제1 표시부(60)와 함께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40)는 상기 제2 정전압부(20)에 릴레이용 코일(L)을 상기 스위칭부(50)의 트랜지스터(Q5)와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용 코일(L)에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를 연결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5)가 구동시, 상기 릴레이용 코일(L)에 자계가 발생하여 스위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relay driver 40, which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20 and drives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unit 60 when the switching unit 50 is driven,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 The relay coil L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5 of the switching unit 50 in series, and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 is connected to the relay coil L to the transistor Q5. When is driven,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relay coil L to drive the switch.

이와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는, 대기전압(VCC)이 상기 제1정전압부(10)에 인가되면, 상기 제1 정전압부(10)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바이어스용 저항(R1) 및 과전압 방지용 제어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일정전압을 유지하는 정전압을 출력한다.In the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the standby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ndby voltage VCC is appli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the base side of the transistor Q1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is applied. The transistor Q1 outputs a constant voltage maintaining a constant voltage by the bias resistor R1 and the overvoltage control diode ZD1.

그리고 상기 제2 정전압부(20)는 상기 제1 정전압부(10)와 동일하게 상기 제1 정전압부(1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을 갖는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converts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into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and outputs the same as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이때, 상기 마이콤(MC)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대기전원만이 구동시에는 단자(O)를 통하여 로우레벨을 출력하고 구동전원을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하이레벨을 출력하므로 이를 나누어 출력한다.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MC outputs a low level through the terminal O when only standby power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and outputs a high level when inputting the driving power.

우선 대기전원만이 구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콤(MC)은 단자(O)를 통하여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스위칭부(50)의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됨에 따라 트랜지스터(Q3)은 턴온된다.First, when only standby power is driven, the microcomputer MC outputs a low level signal through the terminal O. As the transistor Q5 of the switching unit 50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에 연결된 상기 제2 표시부(30)에 구성되는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축 전위는 하강되어 상기 트렌지스터(Q4)는 턴온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2 정전압부(20)의 전위는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인가되므르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는 오프된다.Since the base axis potential of the transistor Q4 of the second display unit 30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3 is lowered and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n, the potential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is decreased. The light emitting diode LED2 is turned off by being applied to the transistor Q4.

이때, 상기 제1 정전압부(1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부(40)는 상기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상태이므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스위치(SW1)은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표시부(50)의 트랜지스터(Q6)는 상기 트랜지스터(Q3)가 오프상태이므로 온상태가 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에는 상기 제2 정전압부(20)의 전압이 인가되어 턴온된다.At this time, the relay unit 40 connect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is not powered because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ff, so that the switch SW1 remains off and the first display unit is turned off. The transistor Q6 of 50 is turned on because the transistor Q3 is off, and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and turned on.

따라서, 상기 마이콤(MC)이 로우레벨을 출력하는 때에는, 상기 제1표시부(60)의 발광다이오드(LED1)만이 구동되어 발광하고 상기 릴레이부(40) 및 상기 제1 표시부(30)의 발광다이오드(LED2)는 오프상태가 되어 구동전압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대기전원(VBB)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icrocomputer MC outputs a low level,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of the first display unit 60 is driven to emit light,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of the relay unit 40 and the first display unit 30 are emitted. Since the LED2 is turned off and the driving voltage is not input, the user can know that the standby power supply VBB is being input.

그리고 사용자가 구동전원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콤(MC)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50)의 트랜지스터(Q5)는 턴온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5)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3) 역시 턴온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3)에 연결된 제2표시부(30)의 트렌지스터(Q4) 베이스측에 전위는 상승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된다.When the user wants to input driving power, the microcomputer MC outputs a high level signal. Accordingly, the transistor Q5 of the switching unit 50 is turned on and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5. The transistor Q3 is also turned on. The potential of the second display unit 30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3 is rais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so that the transistor Q4 is turned off.

따라서, 상기 제2 정전압부(20)의 출력전압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에 인가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턴온되어 발광한다.Therefore, since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is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2,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n to emit light.

이때, 상기 제1 정전압부(10)에 연결된 상기 릴레이부(40)는 상기 트랜지스터(Q5)가 온 상태이므로 제2 정전압부(20)의 출력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용 코일(L)에는 자계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1)은 온상태가 되므로 구동전압을 입력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transistor Q5 is turned on in the relay unit 40 connect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L so that the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L. FIG. Is formed so that the switch SW1 is turned on to input the driving voltage.

또한, 상기 제1 표시부(60)의 트랜지스터(Q6)는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상태이므로 턴오프된다.In addition, the transistor Q6 of the first display unit 60 is turned off because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6)에 연결된 발광용다이오드(LED1)에는 상기 제2 정전압부(20)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오프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is not a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6 and thus is turned off.

즉, 상이 마이콤(MC)이 하이레벨을 출력하는때에는, 상기 제2표시부(30)의 발광다이오드(LED2)가 발광하는 한편, 릴레이 구동부(40)가 구동하여 스위칭(SW1)를 온상태화하므로서 구동전원을 입력한다.That is, when the microcomputer MC outputs a high level, the light emitting diode LED2 of the second display unit 30 emits light while the relay driver 40 drives the switching SW1 to turn on. Turn on the power.

이때, 상기 제1 표시부(60)의 발광다이오드(LED1)는 오프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구동전압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ode LED1 of the first display unit 60 is turned off and the user can know that the driving voltage is being input.

이와같이 이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 입력 표시회로는 마이콤을 이용하여 대기전원만이 입력시에는 제1 표시부의 발광 다이오드만이 발광하고, 구동전원이 입력시에는 제2 표시부의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여 사용자는 전기, 전자장치의 전원 공급유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the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its only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n only standby power is input by using a microcomputer,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of the second display unit emits light when the driving power is input.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know whether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Claims (4)

입력되는 대기전원(VBB)을 일정전압의 정전압화하는 제1 정전압부(10)와, 상기 제1 정전압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정진압부(10)의 출력전압을 일정전압의 정전압화하는 제2 정전압부(20)와, 구동전원을 인가하고자 할때, 구동전원 인가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MC)과, 상기 마이콤(MC)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MC)의 구동전원 인가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50)와,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2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제2 표시부(30)와,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2 정전압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하는 제1 표시부(60)와, 상기 스위칭부(50) 및 제1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50)의 구동시 제1 표시부(60)와 함께 구동하는 릴레이 구동부(40)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입력표시회로.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for converting the standby standby power VBB to a constan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10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 second commutation voltage unit 20 to be applied, a microcomputer MC for outputting a driving power supply signal when the driving power is to be applied, and a microcomputer MC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MC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MC; A second display unit 30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50 switched according to a signal,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and drive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50; A first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30 and driven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50, the switching unit 50 and the first constant voltage unit ( And a relay driver 40 for driving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unit 60 when the switching unit 50 is driven.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the standby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50)는, 상기 마이콤(MC)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MC)의 구동전원 인가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5) 및 제1정전압부(10)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6)의 구동시,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3)와, 로 구성된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입력표시회로.The transistor Q5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unit 50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MC and drives the transistor Q5 according to a driving power application signal of the microcomputer MC. 1. A power input display circuit using a standby power supply connected to a constant voltage unit (10), the transistor (Q3) being driven when the transistor (Q6) is driv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60)는, 상기 트랜지스터(Q3) 및 제2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트랜지스터(Q3)와 역구동하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와 역구동하는 발광다이오드(LED2)와, 로 구성된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입력표시회로.2. The transisto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play unit 60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3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20 to reversely drive the transistor Q3.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ransistor (Q4) and driven in reverse with the transistor (Q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부(30)는, 상기 트랜지스터(Q3)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구동시 구동되는 트랜지스터(Q6)와, 상기 트탠지스터(Q6) 및 제2 정전압부(20)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6)의 구동시 구동되는 발광다이오드(LED1)와, 로 구성된 대기전원을 이용한 전원입력표시회로.2. The transisto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Q3 and is driven when the transistor Q3 is driven, the transistor Q6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unit.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1) connected to (20) and driven when the transistor (Q6) is driven, and a standby power supply.
KR2019900013297U 1990-08-30 1990-08-30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KR9200064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297U KR920006430Y1 (en) 1990-08-30 1990-08-30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297U KR920006430Y1 (en) 1990-08-30 1990-08-30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10U KR920005410U (en) 1992-03-26
KR920006430Y1 true KR920006430Y1 (en) 1992-09-17

Family

ID=1930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297U KR920006430Y1 (en) 1990-08-30 1990-08-30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43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10U (en)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3663A (en) Kitchen Safety Electric
KR920006430Y1 (en) Indicating circuit for stand-by power source
KR920007247A (en) Optical Coupling Detection Device
US4065683A (en) Circuitry for industrial logic systems
CA2078573A1 (en) Electronic switching power supply
KR930010663A (en) Programmable controller
JPH043487B2 (en)
JPH1078765A (en) Led driving circuit
JP2738140B2 (en) Light emitting circuit of photoelectric switch
KR940007079B1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JPS5685110A (en) Control device
JPH0526829Y2 (en)
KR920004335Y1 (en) Driving apparatus for inverter
KR910006296Y1 (en) Automatic power controller
KR850003095A (en) Infrared transmitter circuit and remote key input device
KR920002448Y1 (en) Stand-by morning circuit
KR910007182Y1 (en) Power source driving display circuit
KR200145519Y1 (en) Led indicator driving citcuit in dpms circuit
KR0163164B1 (en) Vacuum cleaner
KR910004401Y1 (en) Power indicating circuit used light emitting diode
KR930007550Y1 (en) Power switching circuit
KR200252578Y1 (en) Elctronics Earth Selecting Equipment
KR0116354Y1 (en) Video signal input cable diagnosis circuit of a monitor
JPS6241341Y2 (en)
KR910004021Y1 (en) Pow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