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49B1 -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49B1
KR920001549B1 KR1019880014565A KR880014565A KR920001549B1 KR 920001549 B1 KR920001549 B1 KR 920001549B1 KR 1019880014565 A KR1019880014565 A KR 1019880014565A KR 880014565 A KR880014565 A KR 880014565A KR 920001549 B1 KR920001549 B1 KR 92000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hannel
base station
communic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797A (ko
Inventor
리젤리 볼지아노 듀안
디앙딜러트 첨롱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날 모빌 머쉰스 코포레이숀
스티븐 브이. 아브람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날 모빌 머쉰스 코포레이숀, 스티븐 브이. 아브람손 filed Critical 인터내셔날 모빌 머쉰스 코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88001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1549B1/ko
Publication of KR90000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저국의 블록선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단일 가입자 유닛의 블록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이중 가입자 유닛의 블록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다수의 단일 가입자 유닛의 블록선도.
제5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다수의 이중 가입자 유닛의 블록선도.
제6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무선처리 유닛 매트릭스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채널 모듈의 세부사항을 도시한 블록선도.
제8도는 무선처리 유닛의 블록선도로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연결요소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기저국과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층을 도시한 기능적 설명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집중기/RPU 접속기 20 : 집중기
22 : 중앙사무실 26 : 반향 상쇄기(echo canceller)
36 : 채널 모듈 38 : 송신/수신 네트워크
40 : 전력증폭기 42 : 가입자 스테이션
50 : 송수신기 54 : 변복조기
56 : 코덱(CODEC) 68 : 버퍼
80 : 결합, 전개 및 듀플렉싱 네트워크(combining, deploying, duplexing network)
84a : 가입자 유닛 132 : 데이타베이스 모듈
134 : 계획 모듈(schedule module) 142 : 자료 연결층
144 : 패킷층(packet layer)
[약어 설명]
BCC : 기저밴드 조종채널(baseband control channel)
BER : 비트오류 전송률(bit error rate)
CCT : 채널조종작업(channel control task)
CCU : 채널조종유닛(channel control unit)
CO : 중앙사무실(central office)
COT : 중앙사무실 단말기(central office terminal)
CRC :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DMB : 데이타베이스 모듈(data base module)
LQ : 링크 양호도(link quality)
MF : 오기능(malfunction)
MPM : 메세지 처리 모듈(message processing module)
MTU : 마스터 타이밍 유닛(master timing unit)
MUX : 멀티플렉서(multiplexer)
PCM :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RCC : 무선 조종채널(radio control channel)
RF :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PU : 무선 주파수 유닛(radio processing unit)
RRT : 원격 무선 단말기(remote radio terminal)
SCT : 가입자 조종작업(subscriber control task)
SDLC : 동기식 자료연결제어(synchronous data link control)
SM : 스케줄러 모듈(scheduler module)
VCU : 음성 코덱 유닛(voice codec unit)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무선의 디지탈 전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타임슬롯(time slot)을 가지며, 특별한 타임슬롯이 특별한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되는 정해진 한 채널을 통해 가입자 스테이션들과 동시 통신을 가능케 하도록 기저국이 RF 채널에 의해 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과 통신하게 되는 무선 디지탈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타임슬롯을 가지며, 특별한 타임슬롯이 특별한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되는 정해진 한 채널을 통해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되는 정해진 한 채널을 통해 가입자 스테이션들과 동시 통신을 가능케 하도록 기저국이 RF 채널에 의해 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과 통신하게 됨을 포함하는 무선 디지탈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걸리지 않았던 추가의 가입자 유닛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또는 변조변경, 주파수 채널 간섭, 장비고장등으로 인한 전송 양호도 악화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주파수 또는 타임슬롯형태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변경수단은 원격-연결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선택된 슬롯으로 통신회로내 선택된 부분을 연결시키므로써 원격-연결처리 유닛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집신기형태의 교환기를 포함한다. 제어신호는 원격-연결처리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태메세지에 응답하여 공급된다.
본 발명은 무선 디지탈 전환기 타입의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주파수 간섭 페이딩(fading), 연결양호도 악화 및 장치고장과 같은 동작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시스템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그같은 시스템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985년 3월 20일자로 출원되어 미국특허 출원번호가 제713,925호로 공개되고 이제는 1987년 6월 23일자로 특허 제4,675,863호로 특허된 바와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같은 시스템은 기저국과 RF 채널에 의해 이에 연결된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이는 가입자 스테이션과 다수의 포트(port)를 갖는 외부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기저국은 순차적 반복성을 갖는 다수의 타임슬롯을 가지며, 정해진 타임 슬롯이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각각 할당되는 바의 정해진 한 통신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포트와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동시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이같은 시스템은 중앙사무실 단말기(COT)를 포함하며, 동 단말기내에는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된 타임슬롯과 정해진 포트사이의 통신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원격-연결 무선처리 유닛(RPU), 통신회로를 포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기가 제공된다. 차후로 보다 충분히 설명될 형태의 집신기인 것이 바람직한 교환기는 선택된 포트를 정해진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할당된 선택된 통신채널 타임슬롯으로 연결시키므로써 R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통신회로는 RPU에 의하여 기저밴즈 제어채널(BCC)을 통하여 CCU로 전달된 명령신호에 응답하여 할당된 통신채널 타임슬롯을 해당하는 가입자 스테이션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채널제어유닛(CCUs)을 포함한다. 이들 명령신호는 BCC를 통하여 RPU로 제공된 상태메세지에 응답하여 통신채널 타임슬롯과 가입자 스테이션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할당된 통신채널 타임슬롯은 할당된 한 무선주파수(RF) 채널에서 할당된 한 타임슬롯에 의해 해당하는 가입자 스테이션에 결합된다. BCC는 RPU로부터 CCU 각각으로 분리하여 연결된 라인을 통하여 제공된다. 제어명령 및 상태 메세지는 예정된 RF 채널의 예정된 타임슬롯으로 할당된 무선 제어채널(RCC)을 통하여 CCUs와 가입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통신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기저국과 이에 연결된 가입자 유닛사이의 통신에서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기 위한 주파수 및 슬롯 어질리티(agility)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교적 값싸고 값싼 방법으로 앞서 언급한 어질리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목적과 부수적인 장점은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판단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 같은번호는 같은부분을 나타내며, 번호(12)를 부여받은 중앙사무실 단말기(COT)를 포함하는 번호(10)의 기저국, 그리고 번호(14)를 부여받은 원격무선 단말기(RRT)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COT(12)는 접속기(18)를 통하여 교반기(20)로 연결되는 무선처리 유닛(RPU)(16)을 포함한다. 교환기는 ″모델 1218C″ 디지탈 영상 집신기와 같은 한 집신기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집신기에는 미국, 뉴욕주, 뉴욕시 ITT 코퍼레이션에서 판매하는 한 스위치가 제공된다.
교환기(20)는 다수개의 2회선 출현라인을 통하여 중앙사무실(CO)에 연결되어 반향 상쇄기(26)와 다수의 스팬트렁크(span trunk)(28)를 통하여 원격무선 단말기(14)내에 있는 마스터 타이밍 장치(MTU)(32)에 연결된 다수의 멀티플렉서(MUX′s)(30)과 회로 연결된다. 스팬트렁크(28) 각각은 MUX(30)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다중화 타임슬롯을 운반한다. 스팬트렁크(28)중 하나에 있는 한 타임슬롯을 점유하는 기저밴드 제어채널(BCC)(34)는 MUX′s(30)과 채널 모듈(36)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된다.
각 MUX(30)은 24개 까지의 펄스 코드번호(PCM) 동시회로 또는 23PCM 동시회로와 BCC를 다룰 수 있는 모듈러 카드에서 실시된다. MUX′s는 트렁크(28)로 부터 데이타를 추출해내도록 하며, 정렬증폭기(40)를 통하여 송신기 수신기 네트워크(38)와 회로연결을 이루는 채널모듈(36)으로 추출된 데이타를 분배시키도록 한다.
RPU(16)는 교환기(집중기)(20)와 RRT(14) 모두를 최종적으로 조종하며, 참고번호(42)로 표시된 가입자 스테이션과 중앙사무실(CO)(22) 사이에 바람직한 전송경로를 만들도록 가입자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한다.
가입자 스테이션(42)은 각각 단일가입자 유닛, 이중가입자 유닛 또는 다중가입자 유닛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가입자 세트(58)로부터의 그리고 가입자로의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해독하기 위한 코덱(codec)(56)에 연결된 변복조기(54)와 안테나(52) 사이에 연결된 송수신기(50)를 포함하는 단일가입자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에서의 이중가입자 유닛으로 되어 있으며, 안테나(60), 송수신기(62), 변복조기(64) 그리고 코덱(66)이 버퍼(68,70)를 통해 분리된 가입자 세트(72,74)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형태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이중 가입자 유닛에서 만약 두 대화가 한 슬롯에서 송신되고 수신된다면, 송수신기, 변복조기 및 코덱은 각 라인을 통하여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즉 한번에 한 세트의 동작만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단일의 가역요소일 수 있다. 또한 이같은 유닛은 결코 동시에 수신하고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유일한 중복이 가입자 세트를 위해 접속회로(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는 버퍼(68,70)을 통하여 발생될 뿐이므로 어떤 듀플렉스(duplexer)도 요구되지 않는다.
제4도에는(80)으로 표시되며 안테나(82)와 다수의 단일 가입자 유닛(84a,84b,84n)으로 연결되는 집합, 전개 및 듀플렉스 네트워커를 포함하는 단일 가입자의 다중 시스템이 도시된다. 각 가입자 유닛은(86a,86b 및 86n)으로 표시되는 각 가입자 세트로 연결된다.
제5도는 제4도에서와 같은 형태의 다중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다만 네트워크(88)가 제3도에서 도시된 각 형태의 이중 가입자 유닛(90,92,94 등)으로 연결되고, 각각이 유닛(90)에는 (96과 98)로 유닛(92)에는 (100과 102)로, 그리고 유닛(94)에는 (104와 106)으로 각각의 이중 가입자 세트에 연결되는 것만이 다르다.
대화중에는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몇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a) 다중가입자 구성, (b) 변조변경, (c) 간섭회피 및 (d) 개인채널의 장비고장.
제6도는 RPU 매트릭스의 예를 설명하며, 다양한 가입자가 문자 A-G로 표시되며 수평으로 행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수직의 열은 슬롯을 나타낸다. 숫자 ″1″은 ″사용중″이고 ″0″은 ″사용되고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이같은 매트릭스에서는 수신슬롯이 항상 그 슬롯으로 구획되기 전송슬롯만이 저장될 필요가 있다(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중에, 특별한 주파수를 갖는 네개의 슬롯 모두가 각기 다른 가입자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예를들어 한 이중가입자 유닛이 있고 나머지는 단일가입자 유닛이라고 가정해보자. 이중 가입자 유닛의 경우에는 이같은 유닛의 두 이중가입자가 인접한 슬롯내에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이중 가입자중 한 가입자가 특별한 주파수를 점유하고 동 주파수에서의 다른 슬롯이 다른 단일 가입자에 의해 점유된다면, 그리고 두 이중 가입자중 다른 한 가입자가 연결을 필요로 한다면 이같은 가입자가 이미 전화를 걸기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거나 입중계 호출이 중앙사무실로부터 이같은 가입자에게로 발송되었기 때문에 그같은 주파수를 갖는 인접한 슬롯에 있는 어느 한 단일 가입자도 또다른 주파수 및/또는 슬롯으로 이동되어 두 이중가입자중 두번째 가입자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해야 하며, 특별한 주파수와 슬롯을 점유하는 첫번째 이중 가입자는 인접한 슬롯이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주파수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RPU는 전류연결을 이룩하고 기억장치내에 이들을 저장하도록 하며, 따라서 그같은 매트릭스 내에서 전달이 이루어졌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전달방식은 다음의 방법으로 달성된다. 예를들어 이중 가입자중 첫번째 가입자가 전송슬롯 1(수신슬롯 3)에서 주파수 D로 통화하고 있다고 하자. 이중 가입자의 두번째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면 경보신호(1비트)가 통화에 추가되어 전송되는 제어비트(control bits)의 일부로서 기저국으로 되보내진다. 경보비트는 채널모듈(36)에서 탐지되며, 채널모듈은 다음에 MUX(30), 스팬트렁크(28), 교환기(20) 및 접속기(18)를 통하여 열통화 경로 또는 분리된 경로를 따라 RPU(16)으로 한 메시지를 되보낸다. 거꾸로 중앙사무실(0)(22)로부터의 입중계 호출을 교환기(20)와 접속기(18) 통하여 RPU(16)로 발송된다.
예를들어 오프-후크(off-hook) 세트로부터 또는 중앙사무실로부터의 어느 한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한 슬롯이 두번째 이중가입자에게 이용될 수 있게 되어야 하며 따라서 첫번째 이중가입자에 의해 이미 사용중인 슬롯에 인접한 한 슬롯에서 두번째 이중 가입자를 기저국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주파수에서 비어있는 두 인접한 슬롯은 거의 이용될 수가 없기 때문에 주파수 채널 D-G로부터 첫번째 이중가입자를 제거함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이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이다. 적어도 어떤 경우에도 인접한 단일가입자 유닛을 주파수 D, 슬롯 2로부터 다른 한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것 만큼은 쉽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접한 가입자는 여덟개의 개방된 슬롯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되는 단일 가입자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인접한 슬롯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에서만 이동이 발생된다면(예를들어 채널 D로부터 B 또는 G로) 슬롯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 따라서 돌연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는 동안 이같은 이동이 성립될 수 있다. 만약 슬롯과 주파수 모드에서 변경이 일어난다면 한 슬롯에 달하는 전송 데이타가 중복되거나 분실되게 된다.
유사한 상황이 제4도에서와 같은 다수의 단일 가입자 유닛에서 발생된다. 각 유닛이 완전한 한 세트의 요소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유닛이 한번에 송신 가능하다. 수신기의 프런트-엔드(front-ent)가 과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사실 모두가 동시에 송신되도록 하고 또한 동시에 수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6도의 매트릭스에서 만약 두 가입자가 주파수 B와 D에서 슬롯 1을 점유하고 있고 세번째 가입자를 위해 한 호출설정이 요구된다면, RPU(16)는 이같은 세번째 가입자를 주파수 F 또는 G 어느 하나로 슬롯 1에 지정하여야 한다.
시스템이 제5도의 것과 같고 다수의 이중 가입자 유닛이 있다면, 이중 가입자 각 쌍의 첫번째 가입자는 각기 다른 주파수로 같은 슬롯내에 있어야 하며, 각 쌍의 두번째 가입자는 이들의 각 첫번째 가입자와 같은 주파수로 인접한 슬롯에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RPU는 각 시간간격으로 전류연결을 이루도록 하며, 이들을 기억장치내에 저장시킨다. 따라서 언제든지 매트릭스내에서 전달이 실시될 수 있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중-가입자 상황에서의 슬롯과 주파수 배열이 관심사인 상기에서와 같은 상황에서, 변화를 위한 자극이 기저국 바깥에서 발생된다(중앙 사무실 또는 가입자 세트로 부터). 페이딩(feding)으로 인한 변조변경, 또는 장비고장으로 인한 간섭회피변경, 유사한 기인을 포함하는 다음의 상황에서, 기저국 그 자체에서 탐지된다.
기저국에서,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각 채널모듈(36)이 채널제어유닛(CCU)(110) 및 변복조기(112)를 포함하며, 각각은 각 압출된 자료연결(116)과 제어상태연결(118)에 의해 음성코덱유닛(VCU)(114)로 연결된다. VCU는 펄스코드변조(PCM) 자료채널(120)에 의해 MUX(30)으로 접속되며, CCU는 동기식 자료연결 제어(SDLC)(122)에 의해 MUX(30)으로 접속된다.
버퍼의 숫자(도시되지 않음)는 여러가지 요소와 관계가 있다. 이점에 있어서 각 채널모듈은 각 슬롯을 위한 AG 버퍼를 갖고 있을 뿐아니라 수신된 위상오류의 차이를 측정하는 연결양호도(LQ) 버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순환중복검사(CRC)는 각 대화가 암호화된 버스트의 일부로서 송신되며, 이때의 버스트가 BER 버퍼로 BER 계수를 제공한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높은 AGC 수준수단이 높은 신호수준을 수신하며, 수신기 이득은 작다. 역으로, 낮은 AGC 수준은 수신된 신호수준이 낮으며, 수신기 이득은 크다. 이같은 AGC 수준은 신호의 악화가 신호의 페이딩 때문인지 아니면 어떤 간섭이 있었는지를 표시하도록 사용된다. 간섭은 AGC 수준이 전송된 신호와 어떤 간섭신호의 합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AGC 수준에 의해 표시된다. 어느 경우에도 변조변경에 의해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이후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각 채널모듈(36)은 16 또는 4비트를 갖는 한 기다란 슬롯으로 결합된다.
예를들어 이중가입자 시스템이 작동중인 때 BER이 일정한 한계(예를들어 0.1%)를 넘어 증가하거나 LQ가 일정한 한계(예를들어 6도) 아래로 떨어진다면 해당되는 버퍼의 내용이 MUX-스팬-교환기(집중기)-접속연결을 통하여 RPU로 보고된다. 그후 즉시 RPU가 동 연결을 통하여 16에서 4위상 작동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제어모듈로 제어신호를 되돌려 보낸다. 동시에 만약 두 가입자가 위상 변조를 갖는 음성슬롯을 통해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변복조기를 갖고 있다. 4위상 변조에는 16위상 변조에서 심볼(symbol)마다 통과되는 비트의 단지 반에 해당하는 비트만이 있으나 비트전송률은 같다. 따라서 4위상 변조가 사용되는때 제6도의 매트릭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인접한 슬롯은 16위상 작동중 한 슬롯내에서 발생되는 바와 같은 기다란 슬롯마다의 비트숫자와 같은 숫자의 현재 동일한 주파수로 인접한 슬롯에서 작동되고 있다면 한 가입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또다른 주파수로 변경되어야 한다.
만약 변조수준이 상기와 같은 식으로 변경된 이후에 AGC 수준이 아직 그같은 특정 가입자에게 높다면 보잘것 없는 BER과 LQ에 대한 이유는 송신 페이딩(transmission fade)이 아닌 간섭인 것이다. 모든 AGC 버퍼의 출력은 어떤 주파수(만약 있다면)가 낮은 AGC 수준을 갖는지를 결정할 RPU로 보고되며, RPU가 다음 그같은 가입자를 위해 높은 AGC 수준을 갖는 주파수로부터 낮은 AGC 수준을 갖는 주파수로 주파수 변경을 발생시킨다. 이는 만약 간섭이 있다면 그같은 간섭을 제거시키도록 한다.
기저국에는 오기능 버퍼(MF)가 또한 제공되며 이같은 버퍼가 교환기(집중기), 스팬트렁크, MUX, 채널모듈, 전력 증폭기,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기저국 체인에서의 각 연결의 작동상태를 준비해준다. 만약 MF 버퍼가 오기능 또는 장비고장을 감지한다면 어떤 주파수가 포함되는지를 나타내는 RPU로 한 신호가 보내진다. 이같은 MF 신호를 수신하여 RPU가 영향을 받는 채널에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각 통화(만약 있다면)에 대하여 주파수(그리고 필요하다면, 슬롯) 변경을 발생시킨다.
RPU(18)는 주파수 채널과 슬롯의 배열을 조종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그 일반적인 구조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같은 구조는 데이타 베이스 모듈(DBM)(132)과 스케줄러 모듈(SM)(134)에 연결된 메세지 처리모듈(MPM) 메세지는 모듈 RPU내의 SM과 DBM 사이에서 접속되며, 뿐만아니라 RPU 바깥에 위치한 채널제어 유닛(CCU)(110)과 가입자 제어테스크(SCT)(136)과 접속된다. CCU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모듈(36)내에 놓여지며, SCT는 가입자 스테이션과 연결된다.
작동시에, 만약 예를들어 호출중에 연결양호도(LQ)가 정해진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RPU는 SCT(128)로 메세지를 보내도록 작동되며, 바로 이후에 SCT가 MPM(122)과 통신하게 된다. 다음에 (a) MPM이 이용가능한 채널을 명시하기 위하여 DM(124)으로 신호를 보내며, (b) 스케줄러 및 타이밍(수신되는 순서로 스케줄러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메세지를 배열하도록 하는 스케줄러 모듈)을 위해 스케줄러 모듈과 타합한다. 만약 이용가능한 채널이 있다면 MPM이 호출을 이용가능한 채널로 이동시키기 위해 매트릭스를 재구성시키도록 SCT로 메세지를 되돌려 보낸다. 만약 이용가능한 메세지가 없다면 호출은 동일한 채널내에 남아있게 된다.
한 호출중에 모든 4개의 슬롯이 점유되었으나, 특정 주파수에서의 간섭으로 말미암아 모든 가입자를 각각의 같은 슬롯을 갖는 또다른 주파수로 모든 가입자를 이동시킴이 필요하다면 다음의 순서가 발생된다. 연결 양호도를 낮추므로써 작동되어 지자마자 RPU가 SCT로 주파수 변경을 요청하는 메세지를 보낸다. SCT는 그같은 메세지를 주파수 변경 처리를 위해 가입자 스테이션에 위치한 채널제어 테스크(CCT)로 보내며, 또한 기저국에서 이용가능한 CCU 채널의 할당을 위해 MPM과 통신한다. MPM은 이용가능한 채널을 확인하기 위해 DMM으로 한 신호를 보내며 예정대로의 타임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스케줄러 모듈과 타합한다. 만약 이용가능한 채널이 있다면 MPM이 채널위치를 재구성시키기 위해 SCT로 메세지를 되돌려 보낸다. 만약 이용가능한 채널이 없다면 SCT는 RPU로 통화중 신호를 보낸다.
제9도는 RCC 프로토콜(protocol)을 설명한다. RPU(16)는 CCU(110) 및 변복조기(112)와 통신되고 있다. 가입자 스테이션에서 SCT(136)는 변복조기(140)가 제공된 CCT(138)과 통신되고 있다. RCC 프로토콜은 두개의 층, 데이타 연결층(142)와 패킷층(144)로 되어 있다. 데이타 연결층은 부분들간의 물리적인 연결이며, 패킷층은 이같은 물리적 링크로 보내어지는 메세지를 포함한다. 데이타 연결층은 오류탐지, 단어 동기 및 프레임잉, 충돌탐지 및 해결(같은 RF 채널에서 같은 트임슬롯에 대한 충돌경쟁)에 대해 책임을 진다.
한 예로서 제9도에서 RPU는 두 경로의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첫번째 프로토콜에서 RPU는 기저국에 있는 CCU로 한 메세지를 보내어 변조변경을 요청하도록 한다. 이같은 메세지는 두 기능을 발생시킨다. 첫번째, 메세지는 가입자 스테이션에서의 SCT가 RCC로 부터 또다른 주파수로의 한 경로를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SCT는 바로 즉시 CCT와 통신하고, CCT는 다음 채널들을 조사하며, 이용가능한 슬롯과 주파수를 발견한 때 그곳으로 스위치시킨다. 두번째, 메세지 프로토콜은 SCT가 중앙사무실을 호출하여 연결을 위해 대기하도록 한다.
만약 대화중에 연결양호도가 예정된 수준이하로 떨어지면 RPU는 이같은 정보를 CCU로 보내며, 변조수준 연결을 요청한다. CCU는 SDLC 연결을 통해 MUX를 경유하여 RPU로 이같은 메세지를 수신 확인한다.

Claims (10)

  1. 다수의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이 있는 한 교통량 채널(traffic channel)을 갖는 기저국(10), 기저국(10)과 RF 통신되는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 기저국(10)과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중 적어도 하나사이에 RF 통신을 만드는 적어도 한 RF 채널, 한 제어 명령신호에 의해 명령을 받는때 기저국(10)과 가입자 스테이션(42)사이에 RF 통신을 만드는 한 RF 채널을 통해 상기 교통량 채널내 한 선택된 시간 슬롯을 가입자 스테이션(42)으로 연결시키는 시간 슬롯 할당 무선처리 유닛(16), 그리고 RF 채널내에서 가입자 스테이션(42)와 관련해서 시간슬롯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메세지에 응답해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명령 신호 발생기(1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국(10)과 다수 가입자 스테이션(42)사이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 어질리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저국(10)으로부터 가입자 스테이션(42)으로 제어명령 및 상태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해 RF 채널내 한 선택된 시간슬롯으로 할당된 한 무선제어 채널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명령 및 상태 메세지를 가입자 스테이션(42)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처리 유닛(16)을 더욱더 포함하고, 이같은 무선처리 유닛(16)이 중앙 사무실(22) 및 기저국(10)과 통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중앙 사무실(22), 다수의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시간슬롯이 있는 한 교통량 채널과 다수의 주파수 채널을 갖는, 중앙 사무실(22)과 통신되는 기저국(10), 기저국(10)과 RF 통신되는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 기저국(10)과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 사이의 RF 통신을 만드는 한 주파수 범위의 RF 채널, 그리고 교통량 채널내의 한 선택된 시간슬롯을 한 가입자 스테이션(42)으로 연결시키고 추가의 한 가입자 스테이션(42)이 라인에 출현하거나 기저국(10)과 가입자 스테이션(42) 사이의 전송에 저하가 있는때 기저국(10)과 가입자 스테이션(42) 사이에 RF 통신을 만드는 한 RF 채널을 위한 주파수를 선택하는 시간슬롯 및 주파수 채널 할당 무선처리 유닛(1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사무실(22), 기저국(10), 그리고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 사이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 어질리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시간슬롯과 주파수 채널 할당 무선처리 유닛(16)이 변조 변경, 주파수 채널 간섭, 또는 장치 고장에 따른 저하가 있음에 응답해서 할당을 하게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신호 가입자 스테이션(50,52,54,56,58)이 시간슬롯 및 주파수 채널 할당 무선처리 유닛(16)와 RF 통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중 가입자 스테이션(60,62,64,66,68,70,72,74)이 시간슬롯 및 주파수 채널 할당 무선처리 유닛(16)과 RF 통신되고, 시간슬롯과 주파수 채널 할당 무선처리 유닛(16)이 이중 가입자 스테이션(60,62,64,66,68,70,72,74) 각 쌍으로 한 선택된 주파수 채널내의 인접한 시간슬롯을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추가의 가입자 스테이션(42)이 라인에 출현하거나 기저국(10)과 가입자 스테이션(42)사이 전송에 저하가 있는때 메모리 메트릭스내 점유된 시간슬롯들로 선택된 가입자 스테이션(42)들이 인접함에 따라 선택된 빈 시간슬롯들로 이들을 할당시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국(10)과 다수의 가입자 스테이션(42) 사이에 통신연결을 형성시키기 위한 주파수 어질리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에서의 저하가 변조 변경, 주파수 채널 간섭, 또는 장치고장으로 인해 발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시간슬롯과 주파수 채널 할당이 가입자 스테이션(42)과 기저국(10) 사이의 통신을 만드는 한 RF 채널을 사용해서 한 가입자와 다른 한 가입자(개체) 사이의 대화중에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80014565A 1988-11-05 1988-11-05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92000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565A KR920001549B1 (ko) 1988-11-05 1988-11-05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565A KR920001549B1 (ko) 1988-11-05 1988-11-05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97A KR900008797A (ko) 1990-06-04
KR920001549B1 true KR920001549B1 (ko) 1992-02-18

Family

ID=1927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565A KR920001549B1 (ko) 1988-11-05 1988-11-05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15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97A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4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requency agility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US5799250A (en) Interface arrangement for connecting base stations to a private branch exchange
FI84003B (fi) Anlaeggning med baerbara, snoerloesa telefonapparater.
CA1271548A (en) Distributed switching architecture
KR890004534A (ko) 무선 디지탈 전화기 시스템용 베이스 스테이션
JPH1023498A (ja) Phsを利用したwll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加入者装置および運用方法
WO1996025807A1 (en) Allocation of time slo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028845A (en) Communication-line-quality measuring system using a conventional signal frame structure
GB2138652A (en) Distributed PABX
US588977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blocks and subscriber unit therefor
US6052365A (en) Multi-channel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EP0334569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EP010769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igital terminals to a digital exchange
GB2213025A (en)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KR920001549B1 (ko)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어질리티(agility)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H04302230A (ja) 移動通信着信制御方法
US6741607B2 (en) Multiprotocol system and de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CA129543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frequency agility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FI98691C (fi) Laite ja menetelmä taajuusjoustavuuden aikaansaamiseksi digitaalisissa tietoliikennejärjestelmissä
JPH0728441B2 (ja) 移動通信交換システム
JP2899805B2 (ja) 通信システム
RU2237366C2 (ru)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и метод присвоения временных интервалов и частотных каналов
JPH029294A (ja) Isdn加入者無線通信方式
JP3105763B2 (ja) 多方向多重接続方式の無線通信システム
CA1339157C (en) Connection of subscriber communication network base station to external inform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