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012B1 -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 Google Patents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012B1
KR920001012B1 KR1019880008341A KR880008341A KR920001012B1 KR 920001012 B1 KR920001012 B1 KR 920001012B1 KR 1019880008341 A KR1019880008341 A KR 1019880008341A KR 880008341 A KR880008341 A KR 880008341A KR 920001012 B1 KR920001012 B1 KR 92000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terminal
video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851A (ko
Inventor
다께시 구와지마
Original Assignee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다다히로 filed Critical 니뽄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비데오신호 처리회로를 가지는 VTR시스템의 부분 블록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중요부분의 블록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스위치회로(24)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데오테이프 4 : 재생증폭회로
7 : 혼합회로 10 : 증폭기
12 : 평활회로 16 : 제어회로
19 : RF컨버터
본 발명은 비데오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한다)의 비데오신호 재생회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재생비데오신호의 등기신호 선단레벨을 소정레벨로 클램프하는 클램프회로에 관한 것이다.
VTR의 비데오신호 재생회로에는 재생비데오신호에 포함되는 동기신호의 선단레벨을 소정레벨(이하, 클램프레벨이라 한다)로 클램프하는 클램프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VTR은 통상의 재생모드외에 스틸, 슬로, 퀵등의 특수재생모드를 가진다. 특수 재생모드에서의 재생 비데오신호에 포함되는 수직동기신호는 텔리비젼 수상기의 수직동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수 재생모드에선 의사수직 동기신호를 따로 준비하고 동신호를 특수 재생모드신호에 삽입하고 있다. 삽입된 의사수직 동기신호의 선단레벨도 상기 클램프레벨에 맞출 필요가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선 의사수직 동기신호의 삽입은 상기 클램프회로의 전단에 있어서 형해져 있다.
통상, 텔레비젼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엔 1/2수평주기(1/2H)의 등가펄스가 삽입되어 있는데 근래의 고화질, 고해상도 텔레비젼 수상기에 쓰이고 있는 수평 AFC회로는 그 등가펄스에도 응답해서, 수평동기 발전기를 제어하며, 수직귀선기간에 있어서도 수평등기 난조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의사수직 동기신호에 수평주기에는 거의 비례되는 주기, 예컨대 1/2수평주기의 펄스를 가함으로서 전술한 수평 AFC회로에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의사수직 동기신호를 클램프회로의 전단에 있어서 단순히 특수재생 비데오신호에 삽입하고 있을 뿐이므로 의사수직 동기신호 전체가 상기 클램프레벨에 클램프되고 말며, 1/2수평주기의 펄스가 소멸되어 있었다. 이 결과, 수평 AFC기능이 작용치 않게되며, 수평동기에 혼란이 생기게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1/2수평동기의 펄스를 소멸시키지 않고 의사수직 동기신호를 재생비데오신호에 삽입해서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한 비데오신호 처리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데오신호 처리회로는 재생비데오신호가 공급되는 제1의 입력단자와, 소정주기의 펄스를 가진 의사수직 동기신호가 공급되는 제2의 입력단자와, 이 제2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의사수직 동기신호를 검출해서 검출신호로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2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의사수직 동기신호로부터 상기 펄스를 분리해서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입력단자에 결합되어서 재생비데오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검출신호가 발생되었을때는 상기 분리된 펄스를 출력하는 스위치수단과, 이 스위치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재생비데오신호에 포함되는 동기신호 기간 및 상기 의사수직 동기신호의 공급기간이며 상기 펄스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스위치수단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클램프하는 클램프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의사수직 동기신호로부터 동신호에 포함된 펄스를 분리하고 이 펄스의 기간에는 클램프수단을 부동작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수단부터는 의사수직 동기신호가 삽입되며 또한 동신호 기간중에 1수평주기에 관계된 주기의 펄스가 존재하는 재생비데오신호를 얻을 수 있다. 각 동기신호의 선단레벨은 소정레벨로 클램프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비데오신호 처리회로를 가진 VTR의 재생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특수 재생모드시에 발생되는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는 단자(22)에 공급되며 비교기(13) 및 (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비교기(13)의 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압원(500)으로부터 기준전압 VA가 인가되며, 비교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는 전압원(510)으로부터 기준전압 VB가 인가되어 있다. 비교기(14)의 출력은 파형 정형회로(17)을 거쳐서 스위치회로(8)의 단자 B에 공급된다. 스위치회로(8)의 출력은 레벨 시프트회로(9), 증폭기(10), 비교기(11), 평활회로(12) 및 전압원(520)으로 구성되는 클램프회로에 공급된다. 비교기(11)은 제어회로(16)로부터의 신호로 그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회로(16)에는 비교기(14)의 출력과 동기신호 분리회로(15)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공급된다. 즉, 제어회로(16)는 비교기(14)의 출력이 하이레벨일때, 또는 동기신호 분리회로(15)로부터 동기신호가 출력되었을때, 비교기(11)를 동작시킨다.
비데오테이프(1)에 기록된 신호는 비데오헤드(2)로 판독되어서 재생증폭회로(4)에 공급된다. 동회로(4)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함과 더불어 FM변조된 휘도신호와 주파수 변환된 크로마(색)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FM변조된 휘도신호는 휘도신호 처리회로(5)로 복조되며 색신호 처리회로(6)는 원래의 주파수의 크로마신호를 발생한다. 혼합회로는 휘도신호 처리회로(5) 및 색신호 처리회로(6)의 각 출력을 합성하고 재생비데오신호로서 스위치회로(8)의 단자(A)에 공급한다.
증폭기(10)의 출력은 RF컨버터(19)에 공급되어서 텔레비젼신호로 변환된다. 스위치(20)는 비데오재생시와 통상의 텔레비젼 방송수신시의 텔리비젼 수상기(21)의 입력신호를 절환한다.
통상의 재생모드시,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는 발생되지 않으며 즉, 로우(GND)레벨이므로 비교기(13)의 출력은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스위치회로(8)는 단자 A측으로 절환되어 있으며, 혼합회로(7)로부터의 재생비데오신호가 레벨 시프트회로(9)에 공급되어 증폭기(10)에 전달된다. 동기신호 분리회로(15)가 수직 및 수평동기 분리회로를 출력하면 제어회로(16)는 비교기(11)를 동작시킨다. 비교기(11)는 재생비데오신호에서의 동기신호의 선단레벨을 전압원(520)으로부터의 기준 전압 VC과 비교하고 양자가 똑같게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평활회로(12)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되며, 레벨 시프트회로(9)에 부귀환되며, 그 레벨시프트량이 제어된다. 이 결과, 재생비데오신호중의 각 동기신호의 선단레벨은 기준전압 VC에 클램프된다.
스틸, 슬로우, 퀵등의 특수 재생모드에선 단자(22)에 의사수지 동기신호 PVS가 공급된다. 이 신호 VS는 제2a도에 도시하듯이 의사수직 동기기간에 VS레벨의 전압진폭을 가지며 그 이외의 기간은 OV로 되어 있다.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21)내의 수평 AFC를 위해서 1수평주기에 관계하는 주기로써 펄스(600)가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선 펄스(600)는 1/2의 수평주기(1/2H)로 삽입되어 있는데, 1H 또는 2H여도 된다. 텔레비젼 수상기(21)내의 수평 AFC의 특성에 의존한다. 각 펄스(600)의 선단레벨은 VS레벨과 OV와의 사이의 VG레벨을 가진다. 비교기(13)는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를 검출하며, 비교기(14)는 각 펄스(600)를 검출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2a도에 도시하듯이 전압원(50)으로부터의 기준전압 VA는 VG레벨과 OV사이에 설정되어 있고, 전압원(51)로부터의 기준전압 VB는 VS레벨과 VG레벨사이에 설정되어 있다. 즉, VA<VG<VB<VS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가 단자(22)에 공급되면, 비교기(13)는 하이레벨 출력을 발생하여(제2b도), 비교기(14)는 의사수직 동기기간이며 펄스(600)가 존재하지 않을때, 하이레벨 출력을 발생한다(제2c도). 파형 정형회로(17)는 비교기(14)로부터의 출력을 받으며, 동출력의 의사수직 동기기간의 로우레벨의 응답해서 진폭 제어된 펄스(600)를 발생한다(제2d). 이 같이 해서,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에 삽입된 펄스(600)가 분기된다. 이 분리된 펄스는 스위치회로(8)의 단자(B)에 공급된다. 제어회로(16)는 비교기(14)의 출력이 하이레벨일때 비교기(11)을 동작시키므로, 클램프 동작은 의사수직 동기기간이며 펄스(600)가 없을때와 동기신호 분리회로(15)가 동기분리신호를 발생하고 있을때 행해진다.
지금, 특수 재생모드에 있어서,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가 단자(22)에 공급되어 있지 않을때엔 비교기(13)의 출력은 로우레벨이므로,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가 단자(22)에 공급되어 있지 않을때엔 비교기(13)의 출력은 로우레벨이므로, 스위치회로(8)는 단자 A측으로 절환되어 있다. 따라서, 혼합회로(7)로부터 출력되는 특수재생 비데오신호가 레벨 시프트회로(9)에 공급되며 증폭기(10)에 전해진다. 동기신호 분리회로(15)가 재생 휘도신호중의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에 응답해서 동기분리신호를 출력하면 제어회로(16)는 비교기(11)를 동작시킨다. 이 결과, 특수재생 비데오신호중의 동기신호의 선단레벨은 기준전압 VC로 클램프된다.
의사수직 동기신호 PVS(제2a도)가 단자(22)에 공급되면 비교기(13)은 의사수직 동기기간중에는 하이레벨신호를 발생하므로(제2b도), 스위치회로(8)은 단자 B측으로 절환된다. 단자(B)에는 파형 정형회로(17)부터 1/2H펄스(600′)(제2d도)가 공급되어 있다. 이 펄스(600′)가 발생하고 있는 동안은 비교기(11)은 부동작 상태이며, 이웃하는 펄스(600′)의 사이에선 비교기(11)은 동작상태로 되어서 클램프동작이 행해진다. 이 결과, 제2e도에 도시하듯이, 재생비데오신호중의 의사수직 동기신호부분에는, 1/2H의 펄스(600′)가 삽입되어짐과 더불어, 펄스(600′)이외의 부분의 전압은 기준전압 VC로 클램프된다. 따라서, 텔레비젼 수상기(21)의 수평 AFC회로는 의사수직 동기기간에 있어서도 수평 AFC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VTR에는 텔레비젼신호를 테이프에 녹화함과 더불어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에 녹화중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기능도 요구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3도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듯이, 제2의 스위치회로(24)를 스위치회로(8)와 레벨 스프트회로(9)와의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스위치회로(24)의 단자 D에는 스위치회로(8)의 출력이 공급되며, 단자 C에는 녹화중의 비데오신호가 증폭회로(25)를 거쳐서 공급되어 있다. 스위치회로(24)는 제어회로(26)로 절환동작이 제어된다.
재생모드시에는 스위치회로(24)는 단자 D측으로 절환된다. 모니터기능시에는 제어회로(26)에 모니터 제어신호가 공급되며 스위치(24)는 단자 C측에 절환된다. 따라서, 녹화중의 비데오신호가 레벨 시프트회로(9)에 공급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동기 신호 분리 회로(15)에는 녹화중의 비데오신호에 기준해서 휘도 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녹화 비데오신호의 동기 신호의 선단 레벨은 전압원(520)의 기준 전압 VC에 클램프되어서 RF컨버터(19)에 공급된다.
제4도에서는 제3도에서 도시한 중요부분 블록의 구체적인 트랜지스터 회로를 도시한다. 통상 재생 모드 또는 특수 재생 모드에서 의사 수직 동기 신호 PVS가 공급되어 있지 않을 경우엔 비교기(13)내의 트랜지스터(70),(71)이 온, 트랜지스터(72) 내지 (75)가 오프로 되므로, 스위치 회로(8) 내의 전류원 회로(40),(41)가 온으로 되며, 재생 비데오 신호가 차동 트랜지스터(42),(43)에서 증폭되며,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48)를 거쳐서 스위치 회로(24)로 공급된다. 재생 모드시는 제어 회로(29)에 의해 트랜지스터(53)은 온, (54)은 오프로 되므로 재생 비데오신호는 차동 트랜지스터(49),(50)로 증폭되며, 레벨 시프트 회로(9)내의 트랜지스터(55)에 공급된다. 한편, 모니터 동작일 때에는 트랜지스터(53)는 오프, (54)는 온이 되므로 차동 트랜지스터(51),(52)가 기록 비데오 신호를 증폭해서 트랜지스터(55)에 공급한다. 레벨 시프트 회로(9)에 있어서의 레벨 시프트량은 저항(92),(93)과 가변 임피던스 소자로서의 트랜지스터(56)로 제어된다.
레벨 시프트된 비데오신호는 트랜지스터(57) 내지 (61), 저항(94),(95), 전류원(35),(36) 및 전압원(111)로 구성되는 증폭기(10)로 증폭되어서 비교기(11)에 공급됨과 더불어 에미터 폴로워 트랜지스터(62)를 거쳐서 RF컨버터(19)에 공급된다. 비교기(11)에서 전류원 트랜지스터(82)가 온으로 되므로서 그 비교 동작이 실행된다. 트랜지스터(82)에 대해서 다이오드 접속의 트랜지스터(81)에 저항(107)를 거쳐서 트랜지스터(78),(79)의 병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13)내의 트랜지스터(71)가 온일 경우엔 트랜지스터(76),(77)가 온으로 되므로 트랜지스터(78),(80)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동기 분리 신호가 회로(15)로부터 출력되므로서 트랜지스터(79),(81),(82)는 온으로 되며 비교기(11)가 동작한다. 증폭기(10)로부터의 신호는 트랜지스터(82) 내지 (88)에 의해 전압원(520)으로부터의 기준 전압 VC와 비교되며, 그 비교 출력은 단자(127)에 접속된 콘덴서(110)로 평활되며 직류화된다. 그 직류 전압은 트랜지스터(89) 내지 (9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56)의 베이스에 부귀환된다. 이같이 해서 재생 비데오 신호 또는 기록 비데오 신호의 동기 신호 선단 레벨이 기준 전압 VC에 클램프된다.
특수 재생 모드 상태로 의사 수직 동기 신호 PVS가 단자(22)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70)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73)의 베이스 전압, 즉, 저항(98) 내지 (101)으로 구성된 전압원(500),(510)으로부터의 기준전압 VA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70),(71),(40) 내지 (43)는 오프 상태로 되며, 재생 비데오 신호는 분리된다. 한편, 트랜지스터(72),(73)은 온으로 되므로 전류원 트랜지스터(46),(47)가 동작되며 차동 트랜지스터(44),(45)가 활성화된다. 또, 트랜지스터(74),(75)가 온으로 되므로 제어 회로(16)의 트랜지스터(76),(77)는 오프가 된다. 트랜지스터(80)는 온으로 되어서 트랜지스터(79)를 오프 상태로 한다. 비교기(14)에 있어서 의사 수직 동기 신호 PVS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63(64))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66(65))의 베이스의 전압 VB보다 높아지므로, 트랜지스터(63),(64)는 오프, (65),(66)는 온이 된다. 또, 트랜지스터(67),(68)는 오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65)로부터 하이 레벨 출력이 트랜지스터(78)에 공급되며, 트랜지스터(78),(81),(82)를 온으로 해서 비교기(11)가 동작한다. 트랜지스터(64)는 오프이므로 저항(98),(99)의 접속점 전압이 트랜지스터(69)를 거쳐서 트랜지스터(45)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펄스(600)(제2도)가 단자(22)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63),(64),(67),(68)가 온, 트랜지스터(65),(66)은 오프로 되므로 트랜지스터(78),(81),(82)는 오프로 되며 비교기(11)는 비동작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64)가 온이 되므로 전류원(38)의 전류, 저항(96) 및 트랜지스터(69)의 에미터 전압으로 결장되는 진폭을 가진 펄스(600)(제2도)가 트랜지스터(45)에 공급된다. 이같이 트랜지스터(63) 내지 (68), 저항(96),(97), 전류원(38)은 비교기(14)와 파형 정형 회로(17)의 양 기능을 가진다. 펄스(600′)는 비교기(11)가 비동작 상태이므로 스위치 회로(24), 레벨 시프트 회로(9), 증폭기(10)를 거쳐서 RF컨버터(19)에 공급된다. 펄스(600)가 존재하지 않는 의사수직 동기 기간의 레벨은 기준 전압 VC에 클램프된다.
제5도는 스위치 회로(24)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재생 비데오 신호 및 기록 비데오 신호의 각가의 동적 범위에 허용 범위내에 있어서 차동 트랜지스터(114),(115)의 에미터 저항(121),(122), 차동 트랜지스터(119),(120)의 에미터 저항(123),(124)의 값을 설정함으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소정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차동 트랜지스터(114,115),(119,120)에 대해서 공통의 부하가 설치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17),(118)은 온,오프 제어는 제4도에 설명한대로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 수직 동기 신호와 이것에 가한 펄스와의 양쪽을 특수 재생 비데오 신호에 삽입할 수 있는 비데오 처리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비데오 신호가 공급되는 제1입력 단자(A)와, 소정의 사이클로 펄스 열(600)을 가진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가 공급되는 제2입력 단자(22)와, 상기 제2입력 단자(22)에 결합되어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13)과, 상기 제2입력 단자(22)에 결합되어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로부터 상기 펄스(600)를 분리하기 위산 수단(14,17)과, 상기 제1입력 단자(A) 및 상기 분리 수단(14,17)에 결합되어 상기 검출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비데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 신호가 발생될 때에는 분리된 펄스(600′)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8) 및, 분리된 펄스(600′)가 존재할 때의 주기를 제외하고 동기 신호 주기에 대응하는 주기 동안 상기 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레빌(VC)로 클램프하기 위한 수단(9-12,15,16,520)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동작 주기 제어 수단(16)과, 상기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상기 동작 주기 제어 수단(16)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15) 및, 상기 펄스 열(600)을 가진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를 상기 동작 주기 제어 수단(16)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14)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동작 주기 제어 수단은 상기 펄스 열이 아닌 공급된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9-12,520)을 가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3. 재생된 비데오 신호가 공급되는 제1단자(22)와, 수직 블랭킹 주기 동안 소정의 사이클로 다수의 펄스(600)를 포함하는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가 공급되는 제2단자(22)와, 상기 제2단자(22)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블랭킹 주기 동안에는 제1레벨을 갖고 잔여 주기 동안에는 제2레벨을 갖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VPS)를 가진 기준 전압(VA)에 비교하기 위한 제1수단(13)과, 상기 제2단자(22)에 결합되어,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로부터 상기 펄스(600)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펄스(600′)를 출력하기 위한 제2수단(14,17)과 상기 재생된 비데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단자에 결합된 제1입력 단자(A)와 상기 분리된 펄스(600′)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2수단(14,17)에 결합된 제2입력 단자(B)와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1수단(13)에 결합된 제어 단자 및 하나의 출력단자를 갖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제2레벨을 가질 때에는 상기 재생된 비데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1입력 단자(A)를 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상기 제1레벨 을 가질 때에는 상기 분리된 펄스(600′)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제2입력 단자(B)를 출력 단자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칭 회로(8)와, 상기 스위칭 회로(8)의 출력 단자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칭 회로의 출력 레벨을 소정의 레벨(Vc)로 활동적으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회로(9-12,520) 및, 상기 펄스(600′)가 존재할 때의 주기를 제외하고 상기 수직 블랭킹 주기에 대응하는 주기 동안 상기 클램핑 회로(9-12,52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3수단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를 상기 제3수단(16)에 공급하기 위한 제4수단(15)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3수단(16)은 상기 동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9-12,520)을 가동시키고, 그래서 상기 재생된 비데오 신호에 포함된 각각의 동기 신호가 상기 소정의 레벨(VC)로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는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는 상기 수직 블랭킹 주기 동안에 제1전압(VS)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1전압 레벨(VS)은 상기 기준 전압(VA)보다 절대값이 크고, 각각의 상기 펄스는 상기 기준 전압(VA)과 상기 제1전압 레벨 사이의 중간이 되는 제2전압 레벨을 갖고 있는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제1전압 레벨(VS)과 제2전압 레벨(VG)사이의 중간이 되는 추가의 기준 전압(VB)에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14)을 포함하고 있는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7. 재생된 비데오 신호가 공급되는 제1단자(A)와, 수직 블랭킹 주기 동안에는, 서로 상이하고 각각 제3전압 레벨(0)보다 절대값이 큰 제1 및 제2전압 레벨(VS,VG)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잔여 주기 동안에는 제3전압 레벨(0)을 유지하는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가 공급되는 제2단자(22)와, 상기 제2 및 제3전압 레벨(VG,O) 사이의 중간 레벨을 가진 제1기준 전압(VA)을 발생하는 제1전압원(500)과, 상기 제1 및 제2전압 레벨(VS,VG)사이의 중간 레벨을 가진 제2기준 전압(VB)을 발생하는 제2전압원(510)과, 상기 수직 블랭킹 주기 동안에는 제1논리 레벨을 갖고 잔여 주기 동안에는 제2논리 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를 상기 제1기준 전압(VA)에 비교하는 제1비교기(13)와, 상기 의사 수직 동기 신호(PVS)를 상기 제2기준 전압(VB)에 비교하는 제1비교기(14)와, 상기 제2비교기(14)의 출력에 응답하여 펄스 열(600′)을 발생하기 위한 파형 정형 수단(17)과, 상기 제1단자(A)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2논리 레벨을 가질 때에는 상기 제1비교기(13)와 상기 파형 정형 수단(17)이 상기 재생된 비데오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1논리 레벨을 가질 때에는 상기 펄스 열(600′)을 전달하도록 하는 스위칭 수단(8)과, 상기 스위칭 수단(8)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8)의 출력을 제3기준 전압(VC)으로 활동적으로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회로(9-12,520) 및, 상기 제2비교기(14)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필스(600′)가 발생될 때에는 상기 클램핑 회로(9-12,520)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수단(16)을 포함해서 이루어진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회로는, 상기 스위칭 수단(8)의 출력이 공급되는 레벨 시프터(9)와, 상기 레벨 시프터(9)의 출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0)와, 상기 제3기준 전압(VC)에 상기 증폭기(9)의 출력을 비교하는 제3비교기(11) 및, 상기 제3비교기(11)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 시프트(9)의 레벨 시프팅 값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12)을 포함하고 있는 비데오 신호 처리 회로.
KR1019880008341A 1987-07-07 1988-07-06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KR920001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0033 1987-07-07
JP17003387 1987-07-07
JP87-170033 1987-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851A KR890002851A (ko) 1989-04-11
KR920001012B1 true KR920001012B1 (ko) 1992-02-01

Family

ID=1589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341A KR920001012B1 (ko) 1987-07-07 1988-07-06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0099A (ko)
EP (1) EP0298488B1 (ko)
KR (1) KR920001012B1 (ko)
DE (1) DE388645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039B2 (ja) * 1991-09-12 1998-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クランプ回路
JPH07288714A (ja) * 1994-03-31 1995-10-31 Hewlett Packard Co <Hp> 高速同期分離システム及び方法
US5999221A (en) * 1997-05-08 1999-12-07 Sony Corporation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generation circuit
US20060250162A1 (en) * 2005-04-18 2006-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amplification circuit for high-speed operation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JP4699205B2 (ja) * 2005-12-28 2011-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83706A (en) * 1975-08-25 1980-08-12 Ichiro Takahara Jitter correcting system i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JPS6022402B2 (ja) * 1976-07-06 1985-06-01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装置
JPS5739677A (en) * 1980-08-20 1982-03-04 Sony Corp Reproducing device for video signal
JPS57148975U (ko) * 1981-03-12 1982-09-18
JPH0346632Y2 (ko) * 1985-03-30 1991-10-02
JPS61281688A (ja) * 1985-06-06 1986-12-12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疑似垂直同期信号生成方法及び疑似垂直同期信号生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6459T2 (de) 1994-05-11
US4860099A (en) 1989-08-22
EP0298488A1 (en) 1989-01-11
DE3886459D1 (de) 1994-02-03
EP0298488B1 (en) 1993-12-22
KR890002851A (ko) 198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47034B2 (ko)
JPS6350271A (ja) テレビジヨン信号クランプ装置
US420980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including lock-out prevention means for the intermediate frequency amplifier thereof
KR920001012B1 (ko)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US4135200A (en) Brightness control circuit with predictable brightness control range
EP1001621B1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overshoots in kinescope beam current measurement pulses
US3955047A (en) D.C. reinsertion in video amplifier
JP2929048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H07105931B2 (ja) ビデオ信号処理回路
KR970002189B1 (ko) 영상기록 재생기의 칼라 자동 조절장치
KR0133433Y1 (ko) 영상재생장치의 뮤트상태 제어회로
JPH023586B2 (ko)
KR970006271Y1 (ko)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KR820000914B1 (ko) 비데오 신호처리장치
KR100349877B1 (ko) 외부입력신호의 영상재생 가능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재생장치
JP3587006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3097691B2 (ja) くし形フィルタ装置
KR800001740Y1 (ko) 자동이득 제어장치(自動利得制御裝置)
JPH05274787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960000687B1 (ko) 비디오 신호의 기록 레벨 자동 조절장치
JPH01152883A (ja) ドロップアウト補償回路
KR940006304Y1 (ko) Vtr 다기능시 노이즈 방지회로
JPH0610525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S6128269B2 (ko)
EP1001620A2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overshoots in kinescope beam current measurement pul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