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092B1 -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092B1
KR910010092B1 KR1019880013445A KR880013445A KR910010092B1 KR 910010092 B1 KR910010092 B1 KR 910010092B1 KR 1019880013445 A KR1019880013445 A KR 1019880013445A KR 880013445 A KR880013445 A KR 880013445A KR 910010092 B1 KR910010092 B1 KR 91001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screen
picture
sub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234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10092B1/ko
Publication of KR90000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제1도는 다중화면 기능이 내장된 일반적인 텔레비젼이 구성도.
제2도는 비월 주사 방식의 영상신호 구성도.
제3도는 다중화면의 주화면과 자화면의 필드가 다를때의 영상 신호 구성도.
제4a도는 일반적인 텔레비젼 신호 구성도.
(b)는 일반적인 다중화면 신호 구성도.
(c)는 일반적인 다중화면의 정지화면 구성도.
(d)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면 신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구성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콤 104 : 동기분리 및 영상신호 처리부
107 : 클럭 발생부 109 : 데이터 제어부
110 : 메모리부 112 : 신호 스위칭 조합부
114, 115 : 필드 검출회로 116 :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장치
117 : 리드 어드레스 발생장치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중 일부 기간에 또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여 동시에 두 화면을 볼 수 있는 다중화면(Picture in Picture)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회로에 있어서, 떨림현상과 수직 해상도 감소를 방지해주는 정지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다중화면의 정지 화상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화면 기능은 하나의 주화면과 그 주화면중의 일부 구간에 해당하는 자화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으로 비월 주사방식에서 다중화면의 자화면을 구성하는 영상신호 매 필드(FIELD)마다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킨후 주화면의 필드에 맞춰 화상정보를 메모리해서 읽어내므로써 2개의 다중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다중화면 기능을 내장시킨 텔레비젼의 일반적인 구성은 제1도와 같이 통상의 텔레비젼 회로와 다중화면 회로로 구성된다.
즉 리모콘 등의 키입력에 따라 마이콤(100)에서 투너 및 중간 주파 증폭부(101)와 신호 스위칭부(103)를 제어하여 음성 증폭부(102)에서 스피커(SP)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게 하고 영상신호 처리 및 동기분리 편향부(105)에서는 고압 발생 및 편향부(106)와 음극 선관 드라이버(113)를 통하여 음극 선관(CRT)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텔레비젼 회로를 구성하며, 자화면 영상신호를 메모리부(110)에 메모리 시켰다가 주화면 동기신호에 맞추어 읽어내므로써 다중화면을 구성하는 다중화면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중화면 회로를 살펴보면 신호 스위칭부(103)에서선택되어진 자화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동기분리 및 영상 신호 처리부(104)에서 자화면 동기신호와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 형태로 분리한후 동기신호는 클럭발생부(107)에 인가시키며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부(108)에 인가시킨다.
그러면 데이터 제어부(109)에서는 클럭 발생부(107)에서 발생되는 자화면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에 의해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부(108)에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된 데이터를 메모리부(110)에 저장한후 주 화면의 동기신호에 따라 클럭 발생부(107)에서 발생되는 클럭신호에 의해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진 데이터를 읽어내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111)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111)에서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부(108)로 입력되었던 아나로그 신호로 다시 만들어 주게 되는데 아나로그/디지탈 변환시에는 샘플링(Sampling)을 천천히 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에는 빨리 읽어내어 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111)의 출력인 아나로그 신호는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부(108)에 입력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압축시킨 영상신호가 된다.
이렇게 압축된 영상신호는 신호 스위칭 조합부(112)에 인가되어 음극선관(CRT)에서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주화면 영상신호의 일부 구간에 할당 되므로써 다중화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다중화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1개의 필드(field)메모리가 필요하게 되나 제2도에서와 같이 비월주사 방식의 영상신호는 1st필드(제2a도참조)와 2nd필드(제2b도참조)로 구성되는 비월주사 방식으로 한 장의 화면(제2c도화면 참조)을 만들게 되어 있으므로 다중화면의 자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신호의필드가 주화면의 필드와 반대가 되어 다중화면의 자화면 수직 해상도가 나빠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한 장의 화면을 구성하는데 다중화면의 주화면과 자화면의 필드가 서로 반대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수직 해상도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이다.
이같이 다중화면의 필드가 서로 반대가 되는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여러개의 필드 메모리(통상 4개의 필드 메모리 사용)를 사용하게 되므로 필드 메모리의 용량을 늘리게 되어 가격 상승의 요인이 발생되었으나 결과적으로 필드 메모리를 여러개 사용하면 제4b도에서와 같이 음극선관에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주화면과 자화면의 필드가 맞게 구성할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다중화면에서 정지화면을 만들때에는 해상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다중화면은 주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와 똑같은 정보량을 갖는 또다른 영상신호를 수평, 수직 방향으로 각각 데이터 압축을 하여 자화면을 구성하게 되는데 수평 압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천천히 저장시키고 읽어낼때에는 빠른 속도로 읽어냄으로써 수평 압축은 가능하게 되나 수직압축은 주화면의 수평라인 일부에 삽입되는 자화면의 특성상 그라인수를 줄여야 한다.
이를 제4a도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텔레비젼 신호구성과(b)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다중화면 신호구성도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주화면의 1st필드에서는 자화면 신호의 1st필드의 첫라인 데이터를 자화면으로 내보내고 두 라인을 생략하고 4번째라인을 내보내는 순서로(1,4,7,10…:제4b도참조)구성하고 2nd필드에서는 자화면 신호의 2nd필드 라인중 1st필드의 1,4라인의 중간인 라인부터 시작한후(제4b도에서 13라인)두라인은 생략하고 16라인을 내보내는 순서로(13,16,19… : 제4b도참조)구성 하므로써 다중화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자화면의 라인수 부족으로 인한 수직 해상도 감소를 최대한 보상해 주게 되며 이때에 자화면 영상신호를 계속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정지시키고 데이터만을 계속해서 읽어내면 정지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같이 정지화면을 선택하면 제4b도에서와 같이 1st필드 정지화면과 2nd필드 정지화면으로 다중화면의 자화면을 구성하게 되므로 1st필드와 2nd필드 화면중 움직임에 의한 화상 변화가 계속 반복되어 화면 떨림 현상이 발생된다.(즉 지휘자의 지휘봉이 계속해서 흔들린다)
이러한 화면떨림 현상을 막기 위하여 통상의 다중화면은 제4c도에서와 같이 자화면을 구성해준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자화면용 영상신호중 한필드(제4c도에서는 1st필드)만 읽어내는 읽어낸 데이터를 주화면의 1st필드와, 2nd필드의 구분없이 계속해서 내보내므로써 정지화면을 구성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는 실제 자화면으로내보내던 데이터량이 반감되므로(1st필드와, 2nd필드중 한 필드만 읽어내므로)수진 해상도가 반감되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수직 해상도가 반감되는 문제점과 화면떨림 현상을 없애주도록 다중화면의 자화면을 제4d도에서와 같이 구성시켜주는 것이 본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다중화면을 구성하는 자화면 영상신호와 1st필드나 2nd필드중 한 필드만을 메모리에 저장하고(제4d도에서는 1st필드를 저장)읽어낼때에는 주화면의 필드가 1st 필드일 때 저장된 데이터를 앞라인을 읽어내고 한 라인식 건너서 읽어내는 순서로(1,5,9…:제4d도참조)자화면을 구성하고 주화면이 2nd필드 일때에는 1st필드시 생략했던 라인을 차례로 읽어내어(3,7,11…:제4d도참조) 자화면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인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을 제5도 및 제6도에 의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메모리부(110)에 아나로그/디지탈 변환된 다중화면의 자화면 데이터를 저장할때에는 자화면 수평동기 신호(
Figure kpo00001
: 제6도 참조)와 자화면 수직 동기 신호(
Figure kpo00002
: 제6도 참조)를 필드 검출회로(114)에 인가시켜 필드 검출을 행한 후 필드 검출회로(114)의 필드 검출신호(
Figure kpo00003
: 제6도 참조)를 자화면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04
)와 자화면 수직 동기신호(
Figure kpo00005
)가 인가되는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장치(116)에 인가시켜 주므로써,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장치(116)에서는 수직 압축을 위하여 자화면 영상 데이터가 한 라인씩 걸러서 메모리되게 메모리부(110)에 어드레스를 지정해 주게 된다.
따라서 메모리부(110)에서는 라이드 어드레스 발생장치(116)의 어드레스 지정신호(
Figure kpo00006
: 제6도 참조)에 의하여 디지탈 변환되어 인가되는 자화면 신호를 실제 라인중 한 라인씩 건너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된 데이터를 읽을 때에는 저장시킬때와 같은 방식으로 주화면 수평 동기 신호(
Figure kpo00007
: 제6도 참조)와 주화면 수직동기 신호(
Figure kpo00008
: 제6도 참조)를 필드 검출회로(115)에 인가시켜 필드 검출을 행한후 필드 검출회로(115)의 필드 검출신호(
Figure kpo00009
: 제6도참조)를 주화면 수평 동기신호(
Figure kpo00010
)와 주화면 수직동기신호(
Figure kpo00011
)가 인가되는 리드 어드레스 발생장치(117)에 인가시켜 주므로써 리드 어드레스 발생장치(117)에서 어드레스 지정신호(
Figure kpo00012
: 제6도 참조)를 메모리부(110)에 인가시켜 주게 된다.
즉 메모리부(110)에 메모리된 동기 신호(
Figure kpo00013
)의 N번째 라인부터 시작하여 1st필드에서는 메모리부(110)의 홀수 번지를 차례로 읽어내고, 2nd필드에서는 1st필드시 생략했던 짝수 번지를 차례로 읽어내어 자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짝수 번지를 최초로 읽어내는 라인은 N+263 라인(N=자화면이 시작되는 라인)이 되는데 그 이유는 비월 주사 방식에서 한 필드에서 라인수가 262.5라인이기 때문에 짝수 번지를 최초로 읽어내는 라인이 N+263라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자화면의 영상신호중 한 필드만을 메모리에 저장시킨후 읽어낼때에는 1st필드에서 한 라인씩 건너서 읽어내고 2nd필드에서는 1st필드시 생략했던 짝수번지를 차례로 읽어내어 자화면을 구성하게 하는 다중화면의 구성방법은 통상의 다중화면회로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발생된다.
먼저 장점으로는 정지화면 구성시 수직 해상도 감소가 전혀 일어나지 않고 화면떨림 현상도 없으며 통상의 다중화면 회로 구성시에는 1st필드와 2nd 필드 신호를 모두 저장하여야 하므로 메모리의 용량이 커야하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필드 신호만 저장하면 되므로 메모리의 용량이 작아도 되며 또한 설계도 용이하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실제 영상신호가 1초당 60필드의 화면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30필드만 사용하므로 움직임의 연속성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나 사람의 시각으로서는 이의 판별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시 화면떨림 현상과 수직 해상도의 감소를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읽어내어 다중 화면의 정지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화면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
    Figure kpo00014
    를 필드 검출 회로(114)에 인가시켜 자화면 필드를 검출하고 상기 자화면 필드 검출 신호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장치(116)에서 한 필드분의 자화면 영상 데이터가 한 라인씩 걸러서 메모리부(110)에 저장되게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며 주화면 수평 및 수직동기 신호
    Figure kpo00015
    를 필드 검출 회로(115)에 인가시켜 주화면 필드를 검출한 후 상기 주화면 필드 검출신호에 따라 리드 어드레스 발생 장치(117)에서 1st필드시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한라인씩 건너서 읽어내고 2nd필드에서는 1st필드시 생략했던 라인을 차례로 읽어내게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자화면을 구성시키는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 방법.
KR1019880013445A 1988-10-14 1988-10-14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KR91001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45A KR910010092B1 (ko) 1988-10-14 1988-10-14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3445A KR910010092B1 (ko) 1988-10-14 1988-10-14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234A KR900007234A (ko) 1990-05-09
KR910010092B1 true KR910010092B1 (ko) 1991-12-14

Family

ID=1927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445A KR910010092B1 (ko) 1988-10-14 1988-10-14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100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234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43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533393B2 (ja) Ntsc―hdコンバ―タ
US4249213A (en) Picture-in-picture television receiver
KR960014231B1 (ko) 텔레비젼 신호 처리 회로
KR950014577B1 (ko) 고화질 텔레비젼의 픽쳐인픽쳐신호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H05183833A (ja) 表示装置
US5729300A (en) Double-screen simultaneous viewing circuit of a wide-television
US5021887A (en) Method and circuit for composing still image of picture-in-picture
JP2893110B2 (ja) ピクチャーインピクチャーのビデオ信号発生回路
KR950009698B1 (ko) 엔티에스씨/에치디티브이(ntsc/hdtvm) 듀얼 리시버의 라인 트리플러
KR950002662B1 (ko) 2화면 텔레비젼 수상기
KR910010092B1 (ko) 다중화면의 정지화상 구성방법
JP2976982B2 (ja) 多重画面構成回路、及び、多重画面構成方法
US5223928A (en) Television receiver
JP2713699B2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804893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11136592A (ja) 画像処理装置
JP3217820B2 (ja) 映像合成方法および外部同期表示装置
JP2970592B2 (ja) 映像処理方法
KR100378788B1 (ko) 다중-표준형2화면영상신호처리회로
JP2687346B2 (ja) 映像処理方法
JPH0320116B2 (ko)
KR100206845B1 (ko) 2주사선 동시주사 방식의 영상신호 처리장치
JPS61208981A (ja) 2画面表示機能付高画質テレビジヨン受信機
JPS5894277A (ja) テレビ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